KR20240003783A -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783A
KR20240003783A KR1020220081144A KR20220081144A KR20240003783A KR 20240003783 A KR20240003783 A KR 20240003783A KR 1020220081144 A KR1020220081144 A KR 1020220081144A KR 20220081144 A KR20220081144 A KR 20220081144A KR 20240003783 A KR20240003783 A KR 20240003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information
terminal
drug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현
김종엽
권미혜
신현아
노균호
이상민
이충천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81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783A/ko
Publication of KR20240003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약물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말기; 플랫폼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 및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서버는, 제1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약물 정보가 기 설정된 약물 정보이면, 제공된 약물 정보를 제거하고, 제공된 약물 정보가 기 설정된 약물 정보가 아니면, 제공된 약물 정보에 대해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며, 구분된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제2 단말기로부터 특정 약물의 판별이 요청되면, 요청된 특정 약물에 상응하는 약물 효능 정보 또는 약물 부작용 정보를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PLATFORM-BASED DRUG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본 개시는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사는 환자가 약품을 복용할 때의 주의사항이나 복용 방법 등을 간단히 구두로 설명하거나, 복약지 도문을 발행하여 복약지도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처방된 약품에 관해 보고된 부작용이나, 다른 약품과의 상호작용 등에 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환자가 약품 복용으로 부작용이 발생하더라도 약품에 의한 부작용 증상임을 인지하지 못하고 복용을 계속할 경우, 약품에 의한 부작용에 대한 치료가 더욱 늦어져 2차 질병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최근에는, 처방된 약품의 부작용 및 약품 간 상호작용에 관한 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하여, 환자들이 약품에 대한 효능 정보와 부작용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는 개선된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000056 (2021.01.04.공고)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특정 약물에 대한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자발적 부작용 보고를 통해 약물 부작용 안전 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환자의 상태 파악을 토대로 의료진의 환자 부작용 보고에 대한 조치를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은,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약물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말기; 상기 플랫폼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 및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약물 정보가 기 설정된 약물 정보이면, 상기 제공된 약물 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제공된 약물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약물 정보가 아니면, 상기 제공된 약물 정보에 대해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며, 상기 구분된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상기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특정 약물의 판별이 요청되면, 상기 요청된 특정 약물에 상응하는 약물 효능 정보 또는 약물 부작용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는 환자의 단말기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환자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약물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제공된 약물 정보가 기 설정된 약물 정보이면, 상기 제공된 약물 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제공된 약물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약물 정보가 아니면, 상기 제공된 약물 정보에 대해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구분하여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는 유사 약물을 복용하는 복수개의 환자의 단말기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유사 약물을 복용하는 복수개의 환자의 단말기간에 공유된 유사 약물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제공된 유사 약물 정보가 기 설정된 약물 정보이면, 상기 제공된 유사 약물 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제공된 유사 약물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약물 정보가 아니면, 상기 제공된 유사 약물 정보에 대해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구분하여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특정 약물에 대한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자발적 부작용 보고를 통해 약물 부작용 안전 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환자의 상태 파악을 토대로 의료진의 환자 부작용 보고에 대한 조치를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약물 정보를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약물 정보 제공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서버의 동작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약물 부작용 정보를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약물 정보 저장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약물 정보 저장 과정을 다른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도 1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증상 정보, 부작용 보고 정보, 환자 정보, 처방전 정보, 질병 정보를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약물 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1의 제2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환자가 처방전 등록 UI를 이용하여 처방전을 관리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의 제2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환자가 마이 페이지 UI를 이용하여 나의 약물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도 1의 제2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환자가 나의 건강 다이어리 UI를 이용하여 나의 건강을 관리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도 1의 제2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환자가 우리들의 이야기 UI를 이용하여 커뮤니티 활동을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1의 제2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환자가 이상사례 보고 가이드 UI를 이용하여 이상사례를 보고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은 도 1의 제2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환자가 의약품 검색 UI들을 이용하여 의약품을 검색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0은 도 1의 제2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환자가 의약품 위험도 알아보기 UI를 이용하여 의약품 위험도를 검색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은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은, 컴퓨터,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것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약물 정보가 기 설정된 약물 정보이면, 제공된 약물 정보를 제거하고, 제공된 약물 정보가 기 설정된 약물 정보가 아니면, 제공된 약물 정보에 대해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며, 구분된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제2 단말기로부터 특정 약물의 판별이 요청되면, 요청된 특정 약물에 상응하는 약물 효능 정보 또는 약물 부작용 정보를 제2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은, 특정 약물에 대한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은, 자발적 부작용 보고를 통해 약물 부작용 안전 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은, 환자의 상태 파악을 토대로 의료진의 환자 부작용 보고에 대한 조치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을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약물 정보를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약물 정보 제공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서버의 동작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약물 부작용 정보를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제1 단말기(110), 제2 단말기(120),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는 적어도 하나로 마련되고 약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는 약학정보원의 단말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단말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단말기, 대한약사회의 단말기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약물 정보는, 약학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약물 정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약물 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공하는 약물 정보, 대한약사회에서 제공하는 약물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 정보(20)는, 검색된 약물(21)에 대한 효능 효과(22)와 용법 용량(23) 및 주의 사항(24)과 복약 정보(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물 정보는, 약물에 대한 설명, 일반 의약품 안내, 의약품 복용법, 외용약 사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약학정보원의 관리자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관리자 및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관리자와 대한약사회의 관리자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약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11). 제1 단말기(110)는 약물 정보를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S112).
서버(130)는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30)는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20)가 플랫폼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접속(access)을 허용할 수 있다. 서버(130)는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20)에 각각 적용된 암호화키와 각각의 복호화키등을 이용하여 보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30)는 제1 단말기(110)로부터 제공된 약물 정보가 기 설정된 약물 정보이면(S310), 중복된 약물 정보로 판단하여, 제공된 약물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S320).
서버(130)는 제1 단말기(110)로부터 제공된 약물 정보가 기 설정된 약물 정보가 아니면, 제공된 약물 정보에 대해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S330).
여기에서, 약물 효능 정보는, 약학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약물 효능 정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약물 효능 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공하는 약물 효능 정보, 대한약사회에서 제공하는 약물 효능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 부작용 정보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서 제공하는 약물 부작용 정보일 수 있다. 약물 부작용 정보(30)는, 검색된 약물 사례(31)에 대한 부작용 코드, 환자 약물 사례(32), 부작용 증상(33), 부작용 확률(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물 부작용 정보는, 부작용 보고 유형, 의심병용구분, 부작용경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약물 부작용 정보는, 병용 금기 정보, 연령 금기 정보, 임부 금기 정보, 노인 주의 정보, 용량 주의 정보, 투여 기간 주의 정보, 분할 주의 정보, 헌혈 금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병용 금기 정보는, 두 가지 이상의 의약품을 함께 사용할 때 치료효과의 변화 또는 심각한 부작용 발생 등의 우려가 있어, 동시에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 의약품의 조합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연령 금기 정보는, 소아, 노인 등 특정한 연령대의 환자가 사용함에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았거나, 심각한 부작용 발생 등의 우려가 있어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 의약품 정보일 수 있다. 임부 금기 정보는, 태아에게 매우 심각한 위해성(태아기형 또는 태아독성 등)을 유발하거나,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 임부에게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지 않는 의약품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노인 주의 정보는, 노인에서 부작용 발생 빈도 증가 등의 우려가 있어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한 의약품 정보일 수 있다. 용량 주의 정보는, 성인에서 특정용량을 초과하여 투여 시 효과의 증가는 기대하기 어렵고, 용량 의존적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높아져, 1일 최대용량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의약품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투여 기간 주의 정보는, 특정 투여기간을 초과하여 투여 시 효과의 증가는 기대하기 어렵고,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높아져, 1회 최대 투여기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의약품 정보일 수 있다. 분할 주의 정보는, 분할하여 복용할 경우 허가된 약효를 기대하기 어려운 의약품 정보일 수 있다. 헌혈 금지 정보는, 혈액을 수혈받는 사람의 안전을 위해 복용 후 일정기간 헌혈 금지가 필요한 의약품 정보일 수 있다.
서버(130)는 구분된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플랫폼에 업로드할 수 있다(S340). 서버(130)는 내부에 마련된 메모리 또는 연계된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약학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약물 효능 정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약물 효능 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공하는 약물 효능 정보, 대한약사회에서 제공하는 약물 효능 정보 등을 플랫폼에 업로드할 수 있다. 서버(130)는 내부에 마련된 메모리 또는 연계된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서 제공하는 약물 부작용 정보를 플랫폼에 업로드할 수 있다.
서버(130)는 제2 단말기(120)로부터 특정 약물의 판별이 요청되면(S350), 요청된 특정 약물에 상응하는 약물 효능 정보 또는 약물 부작용 정보를 제2 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기(120)는 적어도 하나로 마련된 환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환자는 제2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특정 약물을 입력하면, 제2 단말기(120)는 서버(130)로부터 특정 약물에 상응하는 약물 효능 정보 또는 약물 부작용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약물 정보 저장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의 약물 정보 저장 과정을 다른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환자는 제2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약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21). 제2 단말기(120)는 약물 정보를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S122).
서버(130)는 제2 단말기(120)로부터 제공된 약물 정보가 기 설정된 약물 정보이면, 중복된 약물 정보로 판단하여, 제공된 약물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서버(130)는 제2 단말기(120)로부터 제공된 약물 정보가 기 설정된 약물 정보가 아니면, 제공된 약물 정보에 대해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S123).
도 7을 참조하면, 유사 약물을 복용하는 복수의 환자들은 복수개의 제2 단말기(121, 122, …)를 각각 이용하여 유사 약물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S721a). 유사 약물을 복용하는 복수의 환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의 제2 단말기(121, 122, …)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공유된 유사 약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721b, S721c). 즉, 유사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는 제2 단말기(121)를 이용하여, 공유된 유사 약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721b). 또한, 유사 약물을 복용하는 다른 환자는 제2 단말기(122)를 이용하여, 공유된 유사 약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721c).
복수개의 제2 단말기(121, 122, …)는 공유된 유사 약물 정보를 서버(130)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S722a, S722b). 서버(130)는 복수개의 제2 단말기(121, 122, …)로부터 일정 주기마다 유사 약물 정보를 제공받고, 일정 주기 동안 둘 이상의 유사 약물 정보가 수신되면, 둘 이상의 유사 약물 정보가 서로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서로 동일한 유사 약물 정보이면, 일정 주기 동안 수신된 둘 이상의 유사 약물 정보 중 하나의 유사 약물 정보를 출력하고, 나머지의 유사 약물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130)는 복수개의 제2 단말기(121, 122, …)로부터 유사 약물 정보를 한꺼번에 수신받을 때에, 유사 약물 정보가 중복된 약물 정보인지를 판단하기 전에, 미리 동일한 유사 약물 정보를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하므로, 중복된 약물 정보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어 약물 정보를 빨리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버(130)는 복수개의 제2 단말기(121, 122)로부터 제공된 유사 약물 정보가 기 설정된 약물 정보이면, 중복된 약물 정보로 판단하여, 제공된 유사 약물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서버(130)는 복수개의 제2 단말기(121, 122)로부터 제공된 유사 약물 정보가 기 설정된 약물 정보가 아니면, 제공된 유사 약물 정보에 대해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S723).
여기에서, 약물 효능 정보는, 약학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약물 효능 정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약물 효능 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공하는 약물 효능 정보, 대한약사회에서 제공하는 약물 효능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약물 부작용 정보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서 제공하는 약물 부작용 정보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은 도 1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증상 정보, 부작용 보고 정보, 환자 정보, 처방전 정보, 질병 정보를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서버(130)는 내부에 마련된 메모리 또는 연계된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증상 정보(81), 부작용 보고 정보(82), 환자 정보(83), 처방전 정보(84), 질병 정보(85) 등을 플랫폼에 업로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30)는 환자 정보(83)를 리스트 목록(83a)으로 배열하여 플랫폼에 업로드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30)는 처방전 정보(84)를 처방전 보고서 형태(84a)와 처방전 목록(84b)으로 배열하여 플랫폼에 업로드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30)는 질병 정보(85)를 질병 목록(85a)으로 배열하여 플랫폼에 업로드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30)는 부작용 보고 정보(82)를 환자별 부작용 목록(82a)으로 배열하여 플랫폼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서버(130)는 의사 등의 의료진의 단말기가 플랫폼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접속(access)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의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약물 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서버(130)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관리자의 단말기(1400)를 이용하여 약물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의 단말기(1400)를 이용하여 환자 데이터베이스 관리 UI(1410), 약물 데이터베이스 관리 UI(1420), 처방전 데이터베이스 관리 UI(1430), 부작용보고서 데이터베이스 관리 UI(1440)를 선택하여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관리자의 단말기(1400)를 이용하여 처방전 데이터베이스 관리 UI(1430)를 선택하면, 관리자의 단말기(1400)는 처방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처방전 정보 창(143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1의 제2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환자가 처방전 등록 UI를 이용하여 처방전을 관리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환자가 제2 단말기(120)의 처방전 등록 UI(1501)를 선택하면, 제2 단말기(120)는 직접 입력 UI(1501a)와 처방전 찍기 UI(1501b)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환자가 직접 입력 UI(1501a)를 선택하면, 제2 단말기(120)는 처방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항목 UI(1501a1)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자가 저장 하기 UI(1501a2)를 선택하면, 입력된 처방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환자가 처방전 찍기 UI(1501b)를 선택하면, 제2 단말기(120)는 처방전 정보를 스캔하기 위한 스캔 영역 UI(1501b1)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자가 촬영 버튼 UI(1501b2)를 선택하면, 처방전 정보가 스캔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환자가 제2 단말기(120)의 처방 목록 UI(1502)를 선택하면, 제2 단말기(120)는 처방 내역에 대한 UI(1502a)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자가 처방받은 병원 UI(1502a1)를 선택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120)는 처방받은 병원에서의 처방전 리스트 UI(1502a2, 1502a3, 1502a4)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의 제2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환자가 마이 페이지 UI를 이용하여 나의 약물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환자가 제2 단말기(120)의 마이 페이지 UI(1503)를 선택하면, 제2 단말기(120)는 나의 인적 사항 UI(1503a), 나의 약물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나의 약물 안전 카드 UI(1503b)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자가 나의 약물 안전 카드 UI(1503b)를 선택하면, 특정 약물에 대한 의심 의약품명, 성분명, 의심 이상사례명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도 1의 제2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환자가 나의 건강 다이어리 UI를 이용하여 나의 건강을 관리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환자가 제2 단말기(120)의 나의 건강 다이어리 UI(1504)를 선택하면, 제2 단말기(120)는 나의 건강을 체크할 수 있는 항목 UI(1504a)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자가 나의 건강을 체크할 수 있는 항목 UI(1504a)를 이용하여 해당 기재란에 기재하고, 저장하기 UI(1504a1)를 선택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120)는 나의 건강 상태에 대해 기록을 추가하기 위한 기록 추가하기 UI(1504a2)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자가 기록 추가하기 UI(1504a2)를 선택하면, 나의 건강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도 1의 제2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환자가 우리들의 이야기 UI를 이용하여 커뮤니티 활동을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환자가 제2 단말기(120)의 우리들의 이야기 UI(1505)를 선택하면, 제2 단말기(120)는 다른 환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게시글 UI(1505a 내지 1505d)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자가 게시글 UI(1505d)를 선택하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120)는 스테로이드 부작용에 대한 커뮤니티 활동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5는 도 1의 제2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환자가 이상사례 보고 가이드 UI를 이용하여 이상사례를 보고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환자가 제2 단말기(120)의 이상사례 보고 가이드 UI(1506)를 선택하면, 제2 단말기(120)는 환자에게 이상사례를 보고하도록 동영상 시청 UI들(1506a, 1506b)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자가 동영상 시청 UI들(1506a, 1506b)을 선택하면, 제2 단말기(120)는 이상사례를 보고하기 위한 동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은 도 1의 제2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환자가 의약품 검색 UI들을 이용하여 의약품을 검색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환자가 제2 단말기(120)의 제1 의약품 검색 UI(1507a)를 선택하면, 제2 단말기(120)는 의약품 검색을 할 수 있도록 검색창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제2 단말기(120)의 제2 의약품 검색 UI(1507b)를 선택하면, 제2 단말기(120)는 제품명, 성분명, 제품코드를 기재할 수 있는 UI(1507b1)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자가 검색하기 UI(1507b2)를 선택하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120)는 의약품 검색결과 정보(I1 내지 I4)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0은 도 1의 제2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환자가 의약품 위험도 알아보기 UI를 이용하여 의약품 위험도를 검색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환자가 제2 단말기(120)의 의약품 위험도 알아보기 UI(1508a)를 선택하면, 제2 단말기(120)는 제품명, 성분명, 제품코드를 기재할 수 있는 UI(1508a)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자가 검색하기 UI(1508b)를 선택하면,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120)는 의약품 위험도 검색결과 정보(I5, I6)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개시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의사가 환자 상태 및 부작용을 팔로업을 할 수 있고, 환자가 처방내역에 대한 현재 및 과거 기록을 조회할 수 있으며, 환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해 자가 체크 및 복용시간의 알림을 받을 수 있고, 환자가 부작용에 대해 자발적인 보고를 할 수 있으며, 환자간에 부작용 정보를 공유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 도 4, 도 6, 및 도 7은 복수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 도 4, 도 6, 및 도 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복수의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 도 4, 도 6, 및 도 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 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 110: 제1 단말기
120: 제2 단말기 130: 서버

Claims (3)

  1.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약물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말기;
    상기 플랫폼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기; 및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약물 정보가 기 설정된 약물 정보이면, 상기 제공된 약물 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제공된 약물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약물 정보가 아니면, 상기 제공된 약물 정보에 대해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며,
    상기 구분된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상기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특정 약물의 판별이 요청되면, 상기 요청된 특정 약물에 상응하는 약물 효능 정보 또는 약물 부작용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환자의 단말기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환자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약물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제공된 약물 정보가 기 설정된 약물 정보이면, 상기 제공된 약물 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제공된 약물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약물 정보가 아니면, 상기 제공된 약물 정보에 대해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구분하여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유사 약물을 복용하는 복수개의 환자의 단말기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유사 약물을 복용하는 복수개의 환자의 단말기간에 공유된 유사 약물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제공된 유사 약물 정보가 기 설정된 약물 정보이면, 상기 제공된 유사 약물 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제공된 유사 약물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약물 정보가 아니면, 상기 제공된 유사 약물 정보에 대해 약물 효능 정보와 약물 부작용 정보를 구분하여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20081144A 2022-07-01 2022-07-01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40003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144A KR20240003783A (ko) 2022-07-01 2022-07-01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144A KR20240003783A (ko) 2022-07-01 2022-07-01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783A true KR20240003783A (ko) 2024-01-10

Family

ID=8951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144A KR20240003783A (ko) 2022-07-01 2022-07-01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7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056A (ko) 2019-06-24 2021-01-04 주식회사 스마디안 인공지능기반 약과 약봉투 사진인식 복약지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056A (ko) 2019-06-24 2021-01-04 주식회사 스마디안 인공지능기반 약과 약봉투 사진인식 복약지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bino et al. Effect of continued weekly subcutaneous semaglutide vs placebo on weight loss maintenance in adults with overweight or obesity: the STEP 4 randomized clinical trial
So et al. Telehealth for diabetes self-management in primary healthca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adras The surge of opioid use, addiction, and overdoses: responsibility and response of the US health care system
Ray et al. Out-of-hospital mortality among patients receiving methadone for noncancer pain
Gehlaut et al. Hypoglycemia in type 2 diabetes-more common than you think: a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tudy
Freund et al. Effect of systematic physician cross-checking on reducing adverse ev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CHARMED cluster randomized trial
Song et al. Comparison of clinical care and in-hospital outcomes of Asian American and white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Castro et al. Pharmaceutical care in community pharmacies: practice and research in Brazil
Samet et al. Suggested paths to fixing the opioid crisis: directions and misdirections
Heymann et al. The need for global action against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Li et al. Association of self-reported high-risk allergy history with allergy symptoms after COVID-19 vaccination
Cowart et al. Pharmacist impact on treatment intensification and hemoglobin A1C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t an academic health center
Abraham et al. The influence of COVID-19 pandemic on the health seeking behaviors of adults living with chronic conditions: a view through the health belief model
Dameff et al. Ransomware attack associated with disruptions at adjacent emergency departments in the US
Hughes How many deaths are due to medical errors?
Walther et al. Treating depression in patients with advanced CKD: beyond the generalizability frontier
Freudenberg et al. Impact of a pharmacist-driven protocol to improve guideline-concordant prescribing of diabetes medications in patients with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A pilot study
KR20240003783A (ko) 플랫폼 기반의 약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Viljoen et al. The tolerability and safety of DPP-4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older people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n observational study
Wai Leng et al. Telehealth for improved glyca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poorly controlled diabetes after acute hospitalization–a preliminary study in Singapore
Rifkind et al. When should patients with heterozygous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be treated?
Trinkley et al.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dverse drug events in primary care
Roshdy et al. Implementation of a comprehensive intervention focused on hospitalized patients with HIV by an existing stewardship program: successes and lessons learned
Losey et al. Investigation of simulated pharmacist decision making involving prescriptions with a high probability of causing patient harm
Pavlov et al. Ten-year trends in the morbidity of diabetes mellitus and antidiabetic drug utilization in Croatia: a study based on routinely collected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