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510A -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510A
KR20240003510A KR1020220081131A KR20220081131A KR20240003510A KR 20240003510 A KR20240003510 A KR 20240003510A KR 1020220081131 A KR1020220081131 A KR 1020220081131A KR 20220081131 A KR20220081131 A KR 20220081131A KR 20240003510 A KR20240003510 A KR 20240003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ealth
unit
calculation
so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아롱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8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510A/ko
Publication of KR20240003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쌍의 배터리 유닛의 충전 정보를 확보하여 운영 가능한 전력 용량과 건전성을 계산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적어도 한쌍의 배터리 유닛의 충전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부, 상기 배터리 관리부로부터의 배터리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량과 적산 전력량을 계측하고, 계측된 충전량 및 적산 전력량에 기초하여 방전 가능 전력 용량을 계산하며, 계산된 방전 가능 전력 용량에 기초하여 해당 배터리 유닛의 건전성을 계산하는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은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가 배터리 관리부로부터 적어도 한쌍의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 충전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가 해당 배터리 유닛의 방전 중 충전량 변화 및 적산 방전 전력량의 변화에 따라 방전 가능 전력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가 계산된 방전 가능 전력 용량에 기초하여 해당 배터리 유닛의 건전성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APPARATUS FOR BATTERY MANAGEMENT AND METHOD FOR CACULATING BATTERY HEALTH}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 (Electric Vehicle; EV),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는 배터리에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사용하는 구성을 가지며, 많은 수량의 배터리가 소요되고,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 중에서 리튬 계열 배터리들이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배터리들은 영구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일정 사용 시간이 결과하면 성능이 열화되는데,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 전체가 균등하게 열화되는 경우와 배터리 셀 일부만 열화되는 경우에는 부분적인 과충전 또는 과방전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고, 이러한 과충전 또는 과방전은 배터리의 과열로 인한 화재 또는 폭발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배터리 셀의 부분적인 열화를 감지하고 배터리의 고장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충방전 중 생성되는 전압, 전류, 온도 등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분석하여 배터리의 잔존 용량, 내부 등가 저항 등의 값을 계산하였으나, 가동중인 전기차 또는 에너지 지장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없어,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각 배터리 셀의 전압 또는 온도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6079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한 쌍의 배터리 유닛의 충전 정보를 확보하여 운영 가능한 전력 용량과 건전성을 계산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을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적어도 한쌍의 배터리 유닛의 충전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부, 상기 배터리 관리부로부터의 배터리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량과 적산 전력량을 계측하고, 계측된 충전량 및 적산 전력량에 기초하여 방전 가능 전력 용량을 계산하며, 계산된 방전 가능 전력 용량에 기초하여 해당 배터리 유닛의 건전성을 계산하는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은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가 배터리 관리부로부터 적어도 한쌍의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 충전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가 해당 배터리 유닛의 방전 중 충전량 변화 및 적산 방전 전력량의 변화에 따라 방전 가능 전력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가 계산된 방전 가능 전력 용량에 기초하여 해당 배터리 유닛의 건전성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기간 전기차용 또는 에너지 저장 장치용으로 사용된 배터리를 재사용하거나 수명 연장 사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배터리의 사용 가능한 방전 전력 용량을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고, 배터리의 건전성(SOH)를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잔존 수명 예측과 더불어 안정적인 배터리 충방전 운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를 채용한 배터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에서 방전 중 충전량 변화와 적산 방전 전력량의 변화에 따른 방전 가능 전력 용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에서 배터리 관리부로부터 전달받은 배터리 유닛 전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압 평균, 분산, 최고 및 최저 전압값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에서 배터리 관리부로부터 전달받은 배터리 유닛의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온도 평균, 분산, 최고 및 최저 온도값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를 채용한 배터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를 채용한 배터리 시스템은 적어도 한쌍의 배터리 유닛을 갖는 배터리부(10)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충방전기(20)와 배터리 관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10)는 한쌍별로 배터리 유닛(제1 내지 제N 배터리 유닛)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유닛 각각은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모듈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유닛은 리튬 배터리를 구성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배터리 관리부(110) 및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적어도 한쌍의 배터리 유닛의 충전 정보를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정보는 해당 배터리의 전압, 온도, 충방전 적산 전력, 충전량(SO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120)는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121) 및 배터리 건전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10),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121) 및 배터리 건전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2) 간의 연결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121)은 배터리 관리부(110)로부터의 배터리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배터리 유닛의 방전 중 충전량 변화 및 적산 방전 전력량의 변화에 따라 방전 가능 전력 용량을 계산하여 해당 배터리 유닛의 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 결과를 배터리 충방전기(20) 및 배터리 건전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2)에 전달할 수 있다.
배터리 건전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2)은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121)에 의해 평가된 해당 배터리 유닛의 건전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관리부(110)는 적어도 한쌍의 배터리 유닛의 전력(Power), 충전량(SOC), 적산 전력(Accumulated Power) 등을 측정할 수 있다(Sa).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121)은 배터리 관리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전력 값이 0보다 적으면(Sb), 즉 방전 중이면 전달받은 적산 전력 값을 변수 Enrg1에 저장하고, 충전량 값은 변수 SOC1에 저장한다(Sc). 일정 시간 경과 후(Time delay)(Sd) 전력 값이 0보다 크면(Se, Sf), 즉 충전으로 전환되면 처음으로 돌아가고, 전력 값이 0보다 적으면, 즉 지속적으로 방전 중이면 경과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Set_time)을 경과하였는지 판단 하는데(Sg),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방전이 지속되는 상황이면서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린다.
방전이 지속되는 상황이면서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충전량(SOC)와 적산 전력량(Accumulated Power)을 계측하고(Sh) 적산 전력 값을 변수 Enrg2에 저장하고, SOC 값은 변수 SOC2에 저장한다(Si).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121)은 다음의 수식 1에 따라 방전 가능 전력 용량을 계산한다(Sj).
(수식 1)
여기서, SOC1는 연산 시작 초기 SOC 값, SOC2는 Set_Time 이상 시간 경과 후 SOC 값, Enrg1는 연산 시작 초기 적산전력 값, Enrg2는 Set_Time 이상 시간 경과 후 SOC2 계측 시점의 적산 전력 값, Set_Time은 초기에 설정되는 최소 인터벌 시간 값, Dischg_Capa는 계산된 방전 가능 전력 용량, (SOC_Lmt_Hi - SOC_Lmt_Lo)는 운영 SOC 범위 값(SOC Range)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에서 방전 중 충전량 변화와 적산 방전 전력량의 변화에 따른 방전 가능 전력 용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에서 상측의 그래프는 방전 지속에 따른 전압 변동과 충전량 변동 상황을 나타내고 있고, 하측의 그래프는 방전 지속에 따른 적산 방전 전력량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SOC_Lmt_Lo는 초기 설정된 운영 SOC 하한 값이며, 예를 들어 보통 SOC 5~15% 정도일 수 있다. SOC_Lmt_Hi는 초기 설정된 운영 SOC 상한 값이며, 예를 들어 보통 SOC 85~95% 정도일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10)는 해당 배터리 유닛의 전압과 온도를 계측할 수 있고,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121)은 계측된 전압, 온도 값에 따라 해당 배터리 유닛의 전압 및 온도 분산 값을 산출할 수 있다(Sk). 배터리 관리부(110)에 계측된 충전 정보와 이를 이용하여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121)이 계산하는 데이터는 다음의 도시된 그래프와 같을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에서 배터리 관리부(110)로부터 전달받은 배터리 유닛의 전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121)이 계산한 전압 평균, 분산, 최고 및 최저 전압값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에서 배터리 관리부(110)로부터 전달받은 배터리 유닛의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121)이 계산한 온도 평균, 분산, 최고 및 최저 온도값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121)은 다음의 수식 2에 따라 건전성(SOH)를 계산할 수 있다(Sl).
(수식 2)
여기서, Dischg_Capa : 방전 가능 전력 용량, Set_Dischg_Capa : 방전 용량 초기 설정 값, Set_Temp_Devi : 건전성(SOH) 연산에 사용되는 온도 편차 설정 기준, Set_Volt_Devi : 건전성(SOH)에 사용되는 전압 편차 설정 기준, Set_Time : 초기에 설정되는 최소 인터벌 시간 값, SOC : 배터리 관리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충전량(SOC) 계측 값, Power : 계측된 전력 값, Temp_Devi : 계측된 배터리 유닛의 온도의 편차 값, Volt_Devi : 계측된 배터리 유닛의 전압의 편차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배터리 건전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2)은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121)로부터 전달받은 건전성(SOH)값을 출력하고(Sm),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121)은 저장된 건전성(SOH)값을 갱신한 후(Sn) 배터리 관리부(110)로부터 전력, 충전량, 적산 전력 등의 충전 정보를 입력 받아 상술한 일련의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네트워크(1200)을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배터리 관리부",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 "배터리 건전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기간 전기차용 또는 에너지 저장 장치용으로 사용된 배터리를 재사용하거나 수명 연장 사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배터리의 사용 가능한 방전 전력 용량을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고, 배터리의 건전성(SOH)를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잔존 수명 예측과 더불어 안정적인 배터리 충방전 운영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배터리 관리 장치
110: 배터리 관리부
120: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
121: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
122: 배터리 건전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Claims (7)

  1. 적어도 한쌍의 배터리 유닛의 충방전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부; 및
    상기 배터리 관리부로부터의 배터리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량과 적산 전력량을 계측하고, 계측된 충전량 및 적산 전력량에 기초하여 방전 가능 전력 용량을 계산하며, 계산된 방전 가능 전력 용량에 기초하여 해당 배터리 유닛의 건전성을 계산하는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는
    상기 배터리 관리부로부터의 배터리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배터리 유닛의 방전 중 충전량 변화 및 적산 방전 전력량의 변화에 따라 방전 가능 전력 용량을 계산하여 해당 배터리 유닛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 및
    상기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에 의해 평가된 해당 배터리 유닛의 건전성을 디스플레이하는 배터리 건전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을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은 하기의 수식 1에 따라 해당 배터리 유닛의 방전 가능 전력 용량을 계산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수식 1

    (여기서, Dischg_Capa[kWH]는 방전 가능 전력 용량, SOC1는 연산 시작 초기의 충전량, SOC2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충전량, Enrg1는 연산 시작 초기의 적산 전력량, Enrg2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SOC 계측 시점의 적산 전력량 (SOC_Lmt_Hi - SOC_Lmt_Lo)는 운영 충전량(SOC) 범위 값(SOC Range)을 의미한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은 하기의 수식 2에 따라 해당 배터리 유닛의 건전성을 계산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수식 2

    (여기서, Dischg_Capa : 방전 가능 전력 용량, Set_Dischg_Capa : 방전 용량 초기 설정 값, Set_Temp_Devi : 건전성(SOH) 연산에 사용되는 온도 편차 설정 기준, Set_Volt_Devi : 건전성(SOH) 연산에 사용되는 전압 편차 설정 기준, SOC : 상기 배터리 관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충전량 계측 값, Power : 계측된 전력 값, Temp_Devi : 계측된 해당 배터리 유닛의 온도의 편차 값, Volt_Devi : 계측된 해당 배터리 유닛의 전압의 편차 값을 의미한다.)
  5.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가 배터리 관리부로부터 적어도 한쌍의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 충전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가 해당 배터리 유닛의 방전 중 충전량 변화 및 적산 방전 전력량의 변화에 따라 방전 가능 전력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가 계산된 방전 가능 전력 용량에 기초하여 해당 배터리 유닛의 건전성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가능 전력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건전성 계산부의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이 하기의 수식 1에 따라 해당 배터리 유닛의 방전 가능 전력 용량을 계산하는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
    수식 1

    (여기서, Dischg_Capa[kWH]는 방전 가능 전력 용량, SOC1는 연산 시작 초기의 충전량, SOC2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충전량, Enrg1는 연산 시작 초기의 적산 전력량, Enrg2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SOC 계측 시점의 적산 전력량 (SOC_Lmt_Hi - SOC_Lmt_Lo)는 운영 충전량(SOC) 범위 값(SOC Range)을 의미한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전성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건전성 평가 모듈이 하기의 수식 2에 따라 해당 배터리 유닛의 건전성을 계산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수식 2

    (여기서, Dischg_Capa : 방전 가능 전력 용량, Set_Dischg_Capa : 방전 용량 초기 설정 값, Set_Temp_Devi : 건전성(SOH) 연산에 사용되는 온도 편차 설정 기준, Set_Volt_Devi : 건전성(SOH) 연산에 사용되는 전압 편차 설정 기준, SOC : 상기 배터리 관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충전량 계측 값, Power : 계측된 전력 값, Temp_Devi : 계측된 해당 배터리 유닛의 온도의 편차 값, Volt_Devi : 계측된 해당 배터리 유닛의 전압의 편차 값을 의미한다.)
KR1020220081131A 2022-07-01 2022-07-01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 KR20240003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131A KR20240003510A (ko) 2022-07-01 2022-07-01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131A KR20240003510A (ko) 2022-07-01 2022-07-01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510A true KR20240003510A (ko) 2024-01-09

Family

ID=8953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131A KR20240003510A (ko) 2022-07-01 2022-07-01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5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079A (ko) 2015-05-19 201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079A (ko) 2015-05-19 201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7121B1 (en) Charge control apparatus, charge pattern creating device, method, computer program and power storage system
US106562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US11408942B2 (en) Method for predicting service life of retired power battery
CN110927605B (zh) 电池健康状态的估计方法及装置
CN108574317B (zh) 充放电控制装置以及蓄电系统
Micea et al. Online state-of-health assessment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s
EP2703829B1 (en) De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 degradation of battery capacity
KR101488828B1 (ko) 이차전지 수명 측정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이차전지 수명 측정 방법
JP2018082618A (ja) バッテリ充電方法、バッテリ充電情報生成方法、及びバッテリ充電装置
KR20180115124A (ko) 노이즈를 반영한 배터리 잔존 용량 산출 장치 및 방법
US20170176544A1 (en) Method for estimating degradation of rechargeable battery, degradation estimation circuit, electronic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same
JP7232548B2 (ja) バッテリー状態推定装置及びその方法
US10024924B2 (en) Remaining battery life prediction device and battery pack
CN109991545B (zh) 一种电池包电量检测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11307263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dicting state-of-health of battery
JP2010139260A (ja) 二次電池の余寿命推定システムおよび余寿命推定方法
JPWO2018012151A1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48475B2 (ja) 蓄電制御装置、サーバ、蓄電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40003510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배터리 건전성 산출 방법
KR102627793B1 (ko) 배터리 용량열화 추정 장치 및 배터리 용량열화 추정 방법
KR102256117B1 (ko) 배터리 수명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230036707A (ko) 배터리 상태를 추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8029849A1 (ja) 推定装置、推定プログラムおよび充電制御装置
CN113013507A (zh) 二次电池管理装置及其方法、非暂时性的记录介质
KR20240003780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배터리 고장 징후와 건전성 산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