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472A -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 - Google Patents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472A
KR20240003472A KR1020220081045A KR20220081045A KR20240003472A KR 20240003472 A KR20240003472 A KR 20240003472A KR 1020220081045 A KR1020220081045 A KR 1020220081045A KR 20220081045 A KR20220081045 A KR 20220081045A KR 20240003472 A KR20240003472 A KR 20240003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power generation
rotor
arranged alo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1686B1 (ko
Inventor
이효상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81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686B1/ko
Publication of KR20240003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04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with substantially axial flow throughout rotors, e.g. propell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2Blades; Blade-carrying rotors
    • F03B3/126Rotors for essentially axial flow, e.g. for propell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6Stators
    • F03B3/18Stator blades; Guide conduits or vanes, e.g.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20Application within closed fluid conduits, e.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05B2220/7068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equipped with permanent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4Rotors for turbines
    • F05B2240/243Rotors for turbines of the Archimedes screw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관로부, 회전축과 나선형 날개를 가지며 상기 관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수차부, 상기 수차부의 외부 둘레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회전자, 상기 회전자와 대향되는 상기 관로부에서 배치되어 상기 회전자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로 이루어진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브러쉬리스 타입의 발전 방식을 적용하여 저 회전의 조건에서도 일정수준이상의 발전이 가능하므로 발전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Ultra-small 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Pipeline apparatus}
본 발명은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력발전은 높은 곳에 위치한 물의 위치에너지를 발전기 터빈의 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키고 발전기 내부의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기를 얻는 방법으로 강, 댐 등에 대형으로 설치되어 대량으로 에너지를 생산한다.
대형화된 터빈, 수차 등은 휴대 및 이동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을 목적으로 건물 등 또는 에너지의 생산이 필요한 개발도상국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소량의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소형발전기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소형의 발전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소형 수력발전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종래의 소형 수력발전기는 소형 수력발전기임에 도 불구하고 설치 시 소형 수력발전기에 필요한 다양한 부자재들과 결합으로 많은 공간이 소요되는 점과 이로 인해 발생되는 설치 용이성의 저하 등 해결해야 하는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수력발전을 위한 수차는 그 적용 대상 지점에 따라, 다양한 수차가 적용된다. 저 유량 및 저 낙차의 조건에서는 중력식 수차가 적용되며, 물레방아형 수차 와 회전나선형 수차가 일반적으로 고려된다. 회전 나선형 수차는 수차의 발전기 부분이 상류 측 수차의 끝단에 위치하여 별도의 지지 구조물이 필요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1940호 (2021.06.2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96747호 (2022.05.06.)
본 발명은 브러쉬리스 발전기의 방식으로 수차 및 관로에 발전 부품을 위치시켜 저속에서도 발전가능한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는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관로부, 회전축과 나선형 날개를 가지며 상기 관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수차부, 상기 수차부의 외부 둘레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회전자, 상기 회전자와 대향되는 상기 관로부에서 배치되어 상기 회전자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로 이루어진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자는 상기 수차부의 일단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자는 상기 관로부의 일단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관로부는 관통된 내부에 상기 수차부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관로본체, 그리고 상기 고정자를 감싸 상기 관로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자를 상기 유체로부터 보호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차부는 상기 나선형 날개를 연결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설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자는 상기 복수의 설치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자는 상기 설치대와 대향되는 상기 관로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수차부는 상기 관로부의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자가 배치된 고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차부에 영구자석을 배치하여 회전자를 형성하고 관로부에 코일을 배치하여 고정자를 형성한다.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는 회전자와 고정자를 통해 외부의 별도의 발전기 없이 발전이 가능하여,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한 발전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브러쉬리스 타입의 발전 방식을 적용하여 저 회전의 조건에서도 일정수준이상의 발전이 가능하므로 발전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공간을 유동하는 유체의 부딪힘으로 회전하는 나선형 날개에 의해 수차부는 저유량, 저낙차, 부유물질이 많은 경우에도 회전이 가능하여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의 적용성 및 설치성과 발전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자와 고정자는 수차부와 관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의 전체를 활용하여 발전량을 조정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부분을 자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일부분을 자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일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1)는 관로부(10), 수차부(20), 회전자(30), 고정자(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하며 브러쉬리스 발전기의 방식으로 수차 및 관로에 발전 부품을 위치시켜 저속에서도 발전할 수 있도록 한다.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1)는 물(유체)이 흐르는 통로에 설치되어 관로를 직접 형성할 수 있다.
브러쉬리스 발전기는 브러쉬를 사용하지 않고 정격부하의 전압은 영구 자석에서 발생시키고, 부하 변동에 따른 변동 전압은 권선에 의해 제어한다. 브러쉬리스 발전기는 제어기의 용량이 작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고속 운전이 가능하고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간단하고 고효율 운전이 가능하다. 특히, 브러쉬리스 발전기는 영구자석에 의한 계자 자속이 항상 존재하므로, 회전력이 인가되면 항상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관로부(10)는 관로본체(11), 그리고 덮개(12)를 포함하며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며 유체가 흐르는 곳에 고정된다. 관로부(10)는 덮개(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로본체(11)에는 회전공간(111)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공간(111)은 관로본체(11)의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있다. 관로본체(11)가 유체가 흐르는 곳에 설치되면 유체는 회전공간(111)으로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다.
관로본체(11)는 회전공간(111)이 관로본체(11)의 길이 방향 일단과 타단으로 개방된 관수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관로본체(11)의 상부측이 생략되어 회전공간(111)이 상부로 개방된 개수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로본체(11)가 관수로형인 경우 회전공간(111)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관로본체(11)는 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로본체(11)의 형상은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관로본체(11)에는 관로본체(11)를 물이 흐르는 통로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도시하지 않음) 또는 고정링(도시하지 않음)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다. 관로본체(11)를 통로에 고정하는 것을 브래킷, 고정링 따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통로의 환경에 따라 관로본체(11)는 다양한 구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덮개(12)는 관로본체(11)의 일단 외부 둘레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덮개(12)에 의해 관로본체(11)의 일단 외부 둘레에는 배치공간(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덮개(12)는 생략될 수 있다.
수차부(20)는 회전축(21), 그리고 나선형 날개(22)를 포함하며 회전공간(111)에 배치되어 흐르는 유체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21)은 중공으로 형성되어 회전공간(111)의 중앙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21)의 양단은 관로본체(11)와 연결된 지지대(21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지지대(211)와 회전축(21)의 사이에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베어링은 부싱 따위일 수 있다. 수차부(20)와 부싱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나선형 날개(22)는 회전축(21)의 외부 둘레에 배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나선형 날개(22)의 가장자리는 관로본체(11)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있다. 회전공간(111)으로 유입된 유체는 관로본체(11)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나선형 날개(22)와 부딪히게 되며 나선형 날개(22)는 회전하며 회전축(21)을 회전시킨다.
회전자(30)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석은 영구자석일 수 있다. 자석은 덮개(12)와 일치하는 수차부(20)의 일단에서 나선형 날개(22)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면 도 2에서 자석을 나선형 날개(22)의 가장자리에서 간격을 두고 떨어져 등간격으로 4개 배열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자석은 나선형 날개(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 연결되어 배열될 수 있다. 자석은 N극과 S극이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전자(30)의 배치는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회전자(30)는 회전공간(111)을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하는 수차부(20)에 의해 회전공간(111)에서 회전할 수 있다.
고정자(40)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치공간(121)에서 회전자(30)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관로본체(11)와 결합되어 있다. 고정자(40)의 코일은 관로본체(11)와 결합된 요크(도시하지 않음)에 감겨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자(40)는 회전자(30)와 근접되어 있다. 고정자(40)는 관로본체(11)의 외부 둘레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면 도 2에서 고정자(40)를 관로본체(11)의 외부 둘레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4개 배열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고정자(40)는 관로본체(11)의 외부 둘레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될 수 있다. 고정자(40)의 배치는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고정자(40)의 개수는 회전자(30)의 자석 개수와 같을 수 있다. 고정자(40)는 덮개(12)에 의해 유체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고정자(40)는 회전자(30) 회전 시 자석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고정자(40)가 결합된 관로본체(11)의 내부 둘레와 외부 둘레 사이 부분은 최소 두께로 형성하여 고정자(40)로부터 발생된 기전력이 효율적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50)는 관로부(10)의 일단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자(40)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 배터리 따위로 이루어지는 충전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충전회로는 고정자(40)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을 안정화시키는 정류부, 전원안정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류부는 고정자(40)에서 발생 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고, 전원안정부는 정류부에서 변환된 직류전류에 의해 발생된 전원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전원안정부는 레귤레이터(regulator), 벅-컨버터(buck converter), SMPS(Switch Mode Power Supply)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1)는 유체가 흐르는 통로에 설치하여 관로를 형성한다.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1)는 브래킷을 통해 통로에 견고히 고정한다.
통로의 유체는 회전공간(111)으로 유입되어 회전공간(111)을 유동할 수 있다. 유체는 나선형 날개(22)에 부딪히게 된다. 회전축(21)이 지지대(2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나선형 날개(22)의 구조상 유체의 부딪히는 압력에 의해 수차부(20)는 회전공간(111)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자(30)는 수차부(20)에 의해 회전공간(111)에서 회전하며 이때 고정자(40)에 기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기전력은 제어부(50)의 충전부에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1)는 수차부(20)에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회전자(30)를 형성하고 관로부(10)에 코일로 이루어진 고정자(40)를 배치함으로써 회전자(30)와 고정자(40)를 통해 외부의 별도의 발전기 없이 발전이 가능하여,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한 발전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브러쉬리스 타입의 발전 방식을 적용하여 저 회전의 조건에서도 일정수준이상의 발전이 가능하므로 발전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가 유동하는 관로부(10)와 유체에 의해 회전하는 수차부(20)로 이루어진 발전장치로 관로에 적용성이 높아 사용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나선형 날개(22)로 이루어진 수차부(20)가 일정 수준이상의 통수 단면을 확보하여 유량 변동이 심한 합류식 하수 관거에 적용이 가능하여 사용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공간(111)을 유동하는 유체의 부딪힘으로 회전하는 나선형 날개(22)에 의해 수차부(20)는 저유량, 저낙차, 부유물질이 많은 경우에도 회전이 가능하여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1)의 적용성 및 설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의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2)에 따른 수차부(20)는 설치대(23)를 더 포함하며 회전자(30)와 고정자(40)의 배치 구조가 다르다.
설치대(23)는 나선형 날개(22)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나선형 날개(22)를 연결하고 있다. 설치대(23)는 회전축(21)과 평행하여 회전공간(111)의 둘레와 근접하게 위치한다. 설치대(23)는 나선형 날개(22)의 가장자리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면 도 4 및 도 5에서 설치대(23)가 나선형 날개(22)의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4개 배열된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설치대(23)의 배열 간격과 개수는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2)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회전자(30)의 자석은 설치대(23)의 외측면에서 설치대(23)의 길이 방향을 배치되어 있다. 회전자(30)는 배열된 설치대(23) 마다 각각 배치되어 있다. 회전자(30)는 설치대(23)에서 회전공간(111)의 둘레와 근접하여 떨어져 있다.
고정자(40)는 설치대(23)와 대향하는 관로본체(11)의 외부 둘레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고정자(40)는 관로본체(11)의 외부 둘레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면 도 5에서 고정자(40)가 관로본체(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4개 배열된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고정자(40)의 배열 간격과 개수는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2)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자(30)와 고정자(40)는 수차부(20)와 관로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2)의 전체를 활용하여 발전량을 조정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일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3)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의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3)에 따른 수차부(20)는 고정링(24)을 더 포함하며 회전자(30)와 고정자(40)의 배치 구조가 다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부(10)는 관로본체(11)의 일단과 연결된 발전관로(13)를 더 포함한다. 발전관로(13)는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발전관로(13)와 관로본체(11)는 경사면으로 연결되어 있다. 발전관로(13)의 내부 둘레 지름 치수는 관로본체(11)의 내부 둘레(회전공간) 지름 치수보다 크다. 발전관로(13)는 회전공간(111)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구를 형성한다. 그러나 발전관로(13)는 관로본체(11)의 타단과 연결되어 회전공간(111)을 유동하는 유체의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링(24)은 발전관로(13)의 내부에 배치되어 나선형 날개(22)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1)과 결합바(241)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고정링(24)의 외부 둘레는 발전관로(13)의 내부 둘레와 이격되어 있다. 고정링(24)은 회전축(21)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회전자(30)는 고정링(24)의 외부 둘레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회전자(30)를 이루고 있는 자석은 N극과 S극이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전자(30)는 수차부(20)에 의해 발전관로(13)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고정자(40)는 발전관로(13)의 외부 둘레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고정자(40)의 배열 개수는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3)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고정자(40)는 회전자(30) 회전 시 자석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기전력은 제어부(50)의 충전부에 충전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1, 2, 3)는 브러쉬리스 타입의 발전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저 회전의 조건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발전이 가능하다. 이에 사용자의 사용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3: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
10: 관로부 11: 관로본체
111: 회전공간 12: 덮개
121: 배치공간 13: 발전관로
20: 수차부 21: 회전축
211: 지지대 22: 나선형 날개
23: 설치대 24: 고정링
241: 결합바 30: 회전자
40: 고정자 50: 제어부

Claims (5)

  1.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관로부,
    회전축과 나선형 날개를 가지며 상기 관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수차부,
    상기 수차부의 외부 둘레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회전자,
    상기 회전자와 대향되는 상기 관로부에서 배치되어 상기 회전자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로 이루어진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회전자는 상기 수차부의 일단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자는 상기 관로부의 일단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관로부는
    관통된 내부에 상기 수차부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관로본체, 그리고
    상기 고정자를 감싸 상기 관로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자를 상기 유체로부터 보호하는 덮개
    를 포함하는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수차부는 상기 나선형 날개를 연결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설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는 상기 복수의 설치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자는 상기 설치대와 대향되는 상기 관로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수차부는 상기 관로부의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자가 배치된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
KR1020220081045A 2022-07-01 2022-07-01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 KR102631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045A KR102631686B1 (ko) 2022-07-01 2022-07-01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045A KR102631686B1 (ko) 2022-07-01 2022-07-01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472A true KR20240003472A (ko) 2024-01-09
KR102631686B1 KR102631686B1 (ko) 2024-01-30

Family

ID=8953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045A KR102631686B1 (ko) 2022-07-01 2022-07-01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6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2020A (ko) * 2007-11-16 2010-08-19 엘리멘털 에너지 테크널러지스 리미티드 동력발생장치
KR102271940B1 (ko) 2020-07-27 2021-07-0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회전 스크류를 갖는 초소수력 발전 장치
KR102396747B1 (ko) 2020-12-08 2022-05-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축 나선형 수차 초소수력 발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2020A (ko) * 2007-11-16 2010-08-19 엘리멘털 에너지 테크널러지스 리미티드 동력발생장치
KR102271940B1 (ko) 2020-07-27 2021-07-0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회전 스크류를 갖는 초소수력 발전 장치
KR102396747B1 (ko) 2020-12-08 2022-05-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축 나선형 수차 초소수력 발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686B1 (ko)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0913B2 (en) Hollow turbine
US20140284932A1 (en) Turbine generator
JP2006189014A (ja) 水力発電装置
KR20020039674A (ko) 수처리 시스템에 대한 수력발전
JP5809126B2 (ja) マイクロ水力発電機
CN111997815A (zh) 基于管道驱动式发电装置
US20090146430A1 (en) Tidal/water current electrical generating system
US8536725B2 (en) Compact wind and water turbine systems
RU2453725C2 (ru) Электрогене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2631686B1 (ko) 초소수력 발전 관로 장치
JP2018531346A (ja) 水力発電エネルギーシステム、及び関連する構成要素及び方法
JP2018531346A6 (ja) 水力発電エネルギーシステム、及び関連する構成要素及び方法
KR101098239B1 (ko) 수력발전기
JP3915960B2 (ja) 水力発電装置
JP2014058944A (ja) 水力発電装置
WO2015079403A1 (en) Energy converting apparatus
JP2001298902A (ja) タービン一体型発電機
JP2015050892A (ja) 発電システム
JP2003129931A (ja) 水力発電機
WO2010101796A2 (en) Compact wind and water turbine systems
RU178822U1 (ru) Модуль выработк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KR101791355B1 (ko) 수력발전기
JP2017072039A (ja) 制御装置一体型携帯発電機
KR101293537B1 (ko) 에이에프피엠 발전기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JP2009019532A (ja) 相反転クロスフロー型超小形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