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080A - No hub coupling joint unit for Pipes - Google Patents

No hub coupling joint unit for Pip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080A
KR20240003080A KR1020220080138A KR20220080138A KR20240003080A KR 20240003080 A KR20240003080 A KR 20240003080A KR 1020220080138 A KR1020220080138 A KR 1020220080138A KR 20220080138 A KR20220080138 A KR 20220080138A KR 20240003080 A KR20240003080 A KR 20240003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s
coupler
ring
straigh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태윤
Original Assignee
권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윤 filed Critical 권태윤
Priority to KR1020220080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080A/en
Publication of KR20240003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0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6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내, 외부에 설치되는 오,배수관이나 지하 횡주관 등과 같은 각종 금속재 혹은 합성수지재 직관의 단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내, 외부에 설치되는 직관의 단부를 커플러에 의해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구조체로서, 이 커플러는 외경부 일측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분할된 몸체가 힌지에 의해 조립됨과 동시에 하나의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풀고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경부 측에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에 의해 수용홈이 형성되며, 이 수용홈 내에는 상호 연결해야 할 양측 직관의 단부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링스톱퍼와, 이 링스톱퍼의 내주 둘레면 일측으로 조립되어 한쪽 직관의 외경부를 압착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링과, 상기 링스톱퍼의 내경부에 형성된 돌출편의 양측에 위치하여 직관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이 배설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hub coupling joint unit for straight pipes configured to easily and quickly connect the ends of various metal or synthetic resin pipes, such as sewage pipes or underground horizontal pipe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a building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for binding the ends of straight pipe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a building structure to each other by a coupler. This coupler has a body divided into a body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one side of the outer diameter, assembled by a hinge, and at the same time, fastened to one another. It is configured to be loosened and tightened using an element, and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side of the body by locking protrusions protruding inward from both edges, and within this receiving groove, the ends of both straight pipe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re positioned and fixed. a ring stopper to stop the flow, an elastic ring assemble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stopper to press and secure the outer diameter of one straight pipe, and a ring stopper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pieces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stopper to control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straight pipe. A rubber ring is provided to prevent water leakage.

Description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No hub coupling joint unit for Pipes}No hub coupling joint unit for straight pipes {No hub coupling joint unit for Pipes}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내, 외부에 설치되는 오,배수관이나 지하 횡주관 등과 같은 각종 금속재 혹은 합성수지재 직관(直管)의 단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no-hub coupling joint unit for straight pipes configured to easily and quickly connect the ends of various metal or synthetic resin pipes such as sewage pipes and underground horizontal pipe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building structures. It's about.

일반 산업용 플랜트나 빌딩 혹은 아파트 등과 같은 건축 구조물에는 실 생활에 필요한 냉, 온수나 가스 등의 유체(流體)는 물론 생활 하수를 해당 목적지까지 운반하기 위하여 여러 형태로 제작된 배관이 설치된다.In architectural structures such as general industrial plants, buildings, or apartments, pipes of various types are installed to transport fluids such as cold, hot water, and gas necessary for everyday life, as well as domestic sewage, to their respective destinations.

대부분의 배관은 주변의 온도변화와 운반중인 유체물질의 압력 등에 의해 신축현상이 발생하거나 혹은 미세 지진 등과 같은 외부 충격은 물론 열팽창 등의 온도차에 의해 배관이 파손되거나 변형이 생기게 되어 누수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In most pipes, water leakage may occur due to expansion or contraction due to changes in surrounding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fluid being transported, or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pipe due to temperature differences such as thermal expansion as well as external shocks such as micro-earthquakes. there is.

또한,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 주택에 있어서는 배관의 신축현상을 보상하기 위해 지하층의 경우 다소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루프배관을 설치하거나 입상관의 경우에 신축이음이 있는 부위의 양쪽에 가이드를 마련한 상태에서 그 양 끝단에 앵커(Anchor)를 설치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pipes in apartments, etc. in apartments, loop pipes that require a little more space are installed in the basement, or guid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xpansion joint in the case of riser pipes. Anchors are installed at both ends.

통상, 배관용으로 사용되는 금속재 관의 경우 용융 처리된 액상원료를 거푸집에 부어 굳히는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하게 되고, 합성수지재 관은 다양한 직경의 다이(Die)를 이용하여 인발(引拔) 작업으로 길게 뽑아내는 방식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하거나 관 사이에 여러 방식의 결속 구조물을 이용하여 상호 조립시킴으로써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Typically, metal pipes used for piping are manufactured by pouring molten liquid raw materials into a mold and hardening them, while synthetic resin pipes are manufactured by drawing using dies of various diameters. Since it is manufactured by pulling it out long, the length can be extended by cutting it to the required length in the field or assembling it using various types of binding structures between pipes.

이러한 직관의 연결방식과 관련하여 일예를 들어 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통부(3)를 갖는 이음본체(2)와, 삽입통부(3)의 외측으로 끼워진 파이프의 단부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이 형성된 클램프링(5)과, 클램프링(5)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클램프링(5)을 직경 확장하도록 슬릿에 외경 방향으로 튕겨져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된 확경편(6)과, 확경편(6)의 외경 방향으로 튕김 동작을 규제하기 위해 클램프링(5)의 외측으로 끼워진 규제슬리브(10b)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Regarding this connection method of straight pipe,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joint body 2 having an insert cylinder portion 3, and the end of the pipe inserted to the outside of the insert cylinder portion 3 are elastically formed. A clamp ring (5) formed with a slit for tightening with a clamping force, and a diameter expansion piece (6)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lit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so as to expand the diameter of the clamp ring (5)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clamp ring (5). ) and a regulating sleeve (10b)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clamp ring (5) to regulate the bouncing motion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diameter expansion piece (6).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관 이음 방식은, 확경편의 완전한 탈락이 일어나지 않을 경우나 튕겨져 나간 확경편이 커버와 규제슬리브 사이에 끼일 경우 확실한 관 이음을 확보할 수 없으며, 클램프링의 슬릿에 끼워져 있던 확경편이 탈락하고 클램프링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축하여 파이프의 외주면을 고정할 때, 클램프링의 확경편이 끼워져 있던 부분에서 파이프의 외주면을 완전히 압박할 수 없게 되어 기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파이프의 내부 압력이 높을 경우에 유체 누설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pipe joint method cannot ensure a reliable pipe joint if the diameter expansion piece does not completely fall off or if the protruding diameter piece is caught between the cover and the regulating sleeve, and the pipe fitting inserted into the slit of the clamp ring When the expansion piece falls off and the clamp ring contracts by elastic restoring force to fix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ipe, the part where the expansion piece of the clamp ring was inserted cannot completely pres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ipe, which reduces airtightness and causes the inside of the pipe to leak. If the pressure is high, there is a risk of fluid leakage.

더구나, 클램프링에서 분리된 확경편이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를 사용할 경우 확경편이 규제슬리브와 파이프 외주면과 커버 사이의 공간에 유지되기 때문에 다른 파이프와 연결하기 위해 파이프가 설치된 관 이음을 회전시킬 경우 간섭이 일어나 연결 작업에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Moreover, when a cover is used to prevent the diameter piece separated from the clamp ring from being thrown out, the diameter piece is maintain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gulating sleev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ipe, and the cover, so the pipe joint where the pipe is installed to connect to another pipe cannot be rotated. If you do so, interference will occur and cause considerable inconvenience to the connection work.

한편, 등록특허 제0941883호나 제0976588호 등을 포함한 다수의 공보에는 배관을 연결할 때 연결구가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을 위한 다수 개의 볼트가 동일한 깊이로 체결되도록 함은 물론 패킹의 일측을 이중단부로 형성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배관 연결구」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 구조는 모두 나사 체결력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뒤떨어지고, 더구나 다수의 부품들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비용이 상당히 비싸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Meanwhile, many publications, including Patent Registration No. 0941883 or 0976588, prevent the connector from being twisted when connecting pipes, ensure that multiple bolts for fastening are fastened to the same depth, and that one side of the packing is double-ended. Although technology has been disclosed for “piping connectors” aimed at maintaining watertight formation, these structures all require screw fastening force, so workability is very poor, and moreover, they are constructed by combining multiple part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s bound to be quite expensive.

등록특허 제0941883호(2010.02.04 등록) : 배관 연결구.Registered Patent No. 0941883 (registered on February 4, 2010): Piping connector. 등록특허 제0976588호(2010.08.11 등록) : 배관 연결구.Registered Patent No. 0976588 (registered on August 11, 2010): Piping connector. 등록특허 제1523307호(2015.05.20 등록) : 관 연결 조립체.Registered Patent No. 1523307 (registered on May 20, 2015): Pipe connection assembly. 등록특허 제1891081호(2018.08.17 등록) : 관 연결 조립체.Registered Patent No. 1891081 (registered on August 17, 2018): Pipe connection assembly.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호 연결해야 할 직관의 단부를 하나의 커플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재를 절감하고 작업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ave materials and significantly improve workability by enabling the ends of straight pipe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easily connected using a single coupler. The aim is to provide a no-hub coupling joint unit for straight pipes.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직관의 내부에 생성되는 압력으로 인해 직관이 밀려 이탈하는 등의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직관의 결속부위에서 발생되는 누수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the negative effects of straight pipe being pushed out due to pressure generated inside the pipe, as well as to more reliably prevent water leakage occurring at the binding portion of the pipe. To provide a no-hub coupling joint unit for us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에 있어서는, 건축 구조물의 내, 외부에 설치되는 직관의 단부를 커플러에 의해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구조체로서, 이 커플러는 외경부 일측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분할된 몸체가 힌지에 의해 조립됨과 동시에 하나의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풀고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경부 측에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에 의해 수용홈이 형성되며, 이 수용홈 내에는 상호 연결해야 할 양측 직관의 단부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링스톱퍼와, 이 링스톱퍼의 내주 둘레면 일측으로 조립되어 한쪽 직관의 외경부를 압착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링과, 상기 링스톱퍼의 내경부에 형성된 돌출편의 양측에 위치하여 직관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이 배설되어 있다.In the no-hub coupling joint unit for straight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it is a structure for binding the ends of straight pip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a building structure to each other by a coupler, and this coupler is A body divided into openings and closings on one side of the outer diameter is assembled by a hinge and can be loosened and tightened using a single fastening element, and is accommodated on the inner diameter side of the body by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from both edges. A groove is formed, and within this receiving groove is a ring stopper for positioning and fixing the ends of both straight pipe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 elastic ring assemble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stopper to press and secure the outer diameter of one straight pipe, and , Rubber ring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pieces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stopper to prevent leakage of fluid flowing into the straight pipe.

또한, 상기 연결해야 할 두개의 직관 중에서 다른쪽 직관의 단부 측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커플러를 구성하는 일측 걸림턱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유체 압력의 상승시 직관이 커플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of the two straight pipes to be connected, a concave groove is formed on the end of the other pipe to prevent the straight pip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upler when the fluid pressure rises by inserting a stopper on one side constituting the coupler. will be.

또, 상기 탄성링은 내경부로 향해 통공을 갖는 결속편이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간격을 두고 경사져서 형성됨과 동시에 일측 부위에 절결부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elastic ring is configured so that the binding pieces having through holes toward the inner diameter are inclined at intervals at opposing positions and have a cutout on one side.

또, 상기 고무링은 커플러의 양측 걸림턱 내에 각각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내측으로 형성된 요홈에 의해 직관 내부의 압력 발생시 테두리부의 전 둘레에 걸쳐 탄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rubber ring is located within the locking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coupler, and is configured to exert elasticity o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edge portion when pressure is generated inside the straight pipe due to a groove formed on the inside.

상기한 바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소정 길이로 제작된 금속재 혹은 합성수지재 직관의 단부를 하나의 커플러를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결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전과 같이 허브(hub)가 형성된 조인트 관이나 소켓 또는 별도의 커플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소모 자재를 절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the features described above, allows the ends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straight pipe manufactured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easily connected in a one-touch method using a coupler, so that it can be used as a joint pipe or a hub with a hub as before. Since it does not require a socket or a separate coupler, material consumption can be reduced.

또한, 작업자의 제반 공수를 줄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can be performed simply and quickly by reducing the operator's man-hours, thereby greatly improving workability.

또, 커플러 내에 장착되는 탄성링 및 고무링에 의해 직관 내부에서의 유체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직관이 밀려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양측 직관의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누수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ring and rubber ring installed within the coupler not only prevent the straight pipe from being pushed out even when fluid pressure occurs inside the straight pipe, but also more reliably prevent water leakage occurring at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two straight pipes. there is.

더구나, 두개의 직관 중에서 한쪽 직관의 단부 측에 형성된 오목홈 내로 커플러의 걸림턱이 삽입됨에 따라 유체 압력이 점차 상승하더라도 직관이 커플러로부터 이탈하려는 힘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Moreover, as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oupler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formed at the end of one of the two straight pipes, the force of the straight pipe to separate from the coupler can be more effectively suppressed even if the fluid pressure gradually increases.

도 1은 일반적인 관 이음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선 등록특허 제1523307호에 개시된 관 연결 조립체의 연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탄성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가압링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직관용 커플링 조인트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a, 도 9b는 직관의 조립 및 분리상태 단면 구성도,
도 10은 링스톱퍼 내에 탄성링 및 고무링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11의 a,b는 링스톱퍼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2의 a,b는 탄성링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3의 a,b는 고무링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pipe joint structur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connection of the pipe connection assembly disclosed in Sun Registration Patent No. 1523307;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Figure 3;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lastic ring;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pressure ring;
7 is a view showing a clamp;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joint unit for straight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9a and 9b are cross-sectional diagrams of straight pipes in assembled and separated states;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astic ring and rubber ring installed in the ring stopper;
11 a and b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ring stopper,
Figures 12a and 12b are perspective and top views of the elastic ring,
Figures 13a and 13b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rubber ring.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우선, 본 발명을 적용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예로서, 선 등록특허 제1523307호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을 발췌하여 설명하고, 또한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한다.First, as a preferred examp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pplied, the technology disclosed in Pre-registered Patent No. 1523307 will be extracted and explained, and the resulting problems will be derived, and then the structure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등록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관 연결 조립체는 이음관(100), 가압체(200) 및 클램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pipe connection assembly disclosed in the previously registered patent is comprised of a fitting pipe 100, a pressurizing body 200, and a clamp 300.

상기 이음관(100)은 연결해야 할 관(P)이 삽입되는 것으로, 단부에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확경구가 형성되어 클램프(300)에 의해 조여질 수 있다. 이러한 이음관(100)은 관(P)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단부에 단차가 형성되며, 삽입부의 내경은 관(P)의 내경보다 5mm 내지 7.5mm 범위 내에서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tting pipe 100 is one in which the pipe P to be connected is inserted, and an expansion port whose inner diameter gradually expands is formed at the end, which can be tightened by the clamp 300. This joint pipe 100 has a step formed at the end so that the pipe P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P within the range of 5 mm to 7.5 mm.

또한, 상기 가압체(200)는 확경구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클램프(300)에 의해 조여지는 가압링(210) 및 탄성링(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가압링(210)이 클램프(300)에 의해 조여짐에 따라 탄성링(220)을 가압하게 되며, 이 탄성링(220)은 합성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가압링(210)과 확경구의 사이로 삽입된다.In addition, the pressurizing body 2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essurizing ring 210 and an elastic ring 220 that are disposed opposite to the expansion port and are tightened by a clamp 300. As this pressure ring 210 is tightened by the clamp 300, it pressurizes the elastic ring 220, and this elastic ring 22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ynthetic rubber and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ring 210 and the confirming ball. is inserted between

아울러, 상기 클램프(300)에 의해 확경구와 가압체(200)가 감싸 조여짐에 따라 탄성링(220)이 가압되면서 관(P)의 외주면에 밀착된다.In addition, as the clamp 300 surrounds and tightens the expansion port and the pressurizing body 200, the elastic ring 220 is pressed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P).

상기 확경구는 확장경사부(111) 및 가이드부(112)로 이루어진다. 확장경사부(111)는 이음관(100) 단부의 내주면에서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내주면(111a)과 이음관(100) 단부의 외주면에서 클램프(300)의 내주면에 접하는 제1경사외주면(111b)을 구비하고 있다.The expansion port consists of an expansion inclined portion 111 and a guide portion 112. The expansion inclined portion 111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expands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fitting pipe 100, and is formed at an inclined inner peripheral surface (111a) and the first contact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lamp 30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fitting pipe 100. It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outer peripheral surface (111b).

또, 상기 가이드부(112)는 확장경사부(111)의 단부, 즉 경사내주면(111a)과 경사외주면(111b)의 단부에서 이음관(100)의 길이방향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112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pipe 100 at the ends of the expanded inclined portion 111, that is, the ends of the inclined inner peripheral surface (111a) and the inclined outer peripheral surface (111b).

이러한 경사내주면(111a)의 경사각도(A)는 이음관(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외주측으로 반시계 방향을 따라 105도 내지 115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외주면(111b)의 경사각도(B)는 이음관(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외주측으로 반시계 방향을 따라 115도 내지 125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inclination angle A of the inclined inner peripheral surface 111a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range of 105 degrees to 115 degrees counterclockwise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tting pipe 100. And the inclination angle B of the inclined outer peripheral surface 111b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range of 115 degrees to 125 degrees counterclockwise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tting pipe 100.

상기 가압체(200)의 탄성링(220)은 확경구 측으로 삽입되도록 두께가 가이드부(112)의 내경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관(P)이 삽입될 때 상호 간의 마찰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즉 탄성링(220)는 가압밀착면(221), 간격유지면(222) 및 지느러미(223)를 구비하고 있다.The elastic ring 220 of the pressurizing body 200 is configured so that its thickness can be fit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112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expansion port side, so that mutual friction can be avoided when the tube P is inserted. . That is, the elastic ring 220 is provided with a pressure contact surface 221, a gap maintenance surface 222, and a fin 223.

상기 가압밀착면(221)은 가압시에 관(P)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이음관(100)의 삽입부 내경과 일치되게 배치되며, 상기 간격유지면(222)은 가압밀착면(221)의 가압링(210) 측 단부에서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 간격유지면(222)의 경사각도(C)는 이음관(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5도 내지 11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pressure contact surface 221 is arranged to match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art of the fitting pipe 100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P when pressed, and the gap maintenance surface 222 is the pressure contact surface 221. At the end of the pressure ring 210, the inner diameter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gradually expand. The inclination angle C of the gap maintenance surface 222 is inclined in the range of 5 degrees to 11 degrees clockwis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pipe 100.

또한, 상기 지느러미(223)는 가압밀착면(221)의 확경구 측 단부에서 선단이 뾰족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가압시에 이음관(100)으로 파고들면서 관(P)들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지느러미(223)의 경사각도(D)는 이음관(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35도 내지 45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n 223 is formed to have a sharply inclined tip at the end of the pressure contact surface 221 on the expansion port side, so that it penetrates into the fitting pipe 100 when pressed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s (P). The inclination angle D of the fin 223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range of 35 to 45 degrees clockwis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tting pipe 100.

또, 상기 가압체(200)의 가압링(210)은 밀착대향면(211), 돌출외주면(212), 조임력 전달빗면(213), 조임력전달내주면(214), 제2경사외주면(215) 및 조임경사면(216)을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ring 210 of the pressing body 200 has a close contact opposing surface 211, a protruding outer peripheral surface 212, a tightening force transmission inclined surface 213, a tightening force transmitting inner peripheral surface 214, a second inclined outer peripheral surface 215, and It is provided with a tightening slope (216).

상기 밀착대향면(211)은 확경구의 가이드부(112)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가압됨에 따라 가이드부에 밀착되는 면이며, 상기 돌출외주면(212)은 밀착대향면(211)의 내주 측 단부에서 이음관(100)의 길이방향과 수평되게 돌출되는 면이다.The close contact opposing surface 211 is formed to face the guide portion 112 of the expansion mouth and is a surface tha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portion as it is pressed, and the protruding outer peripheral surface 212 is located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close contact opposing surface 211. It is a surface that protrudes horizontal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pipe 100.

또, 상기 조임력 전달빗면(213)은 돌출외주면(212)의 확경구 측 단부에서 가압링(210)의 내부 측으로 점차 경사지게 형성되어 클램프(300)가 조여짐에 따라 조임력이 가압밀착면(221)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임력 전달빗면(213)의 경사각도(E)는 이음관(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125도 내지 135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tightening force transmission inclined surface 213 is formed to be gradually inclined from the end of the protruding outer peripheral surface 212 on the side of the expansion port to the inner side of the pressure ring 210, so that as the clamp 300 is tightened, the tightening force is applied to the pressure contact surface 221. so that it can be passed on. The inclination angle E of the tightening force transmission slope 213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range of 125 to 135 degrees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tting pipe 100.

그리고, 상기 조임력 전달내주면(214)은 조임력 전달빗면(213)의 내주 측 단부에서 간격유지면(222)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조임력의 전달방향을 조임력 전달빗면(213) 측으로 유도하며, 상기 제2경사외주면(215)은 조임력 전달내주면(214)의 가압링(210) 측 단부에서 외주방향을 따라 가압링(210)의 내부 측으로 점차 경사지게 형성되어 클램프(300)의 내주면과 접하게 된다. 이 제2경사외주면(215)의 경사각도(F)는 이음관(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105도 내지 115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tightening force transmission inner peripheral surface 214 is formed parallel to the gap maintenance surface 222 at the inner peripheral side end of the tightening force transmission slope 213 and guides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tightening force toward the tightening force transmission slope 213, and the second The inclined outer peripheral surface 215 is formed to be gradually inclined from the end of the tightening force transmission inner peripheral surface 214 on the pressure ring 210 side to the inner side of the pressure ring 21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lamp 300. The inclination angle F of the second inclined outer peripheral surface 215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range of 105 to 115 degrees clockwis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tting pipe 100.

또한, 상기 조임경사면(216)은 제2경사외주면(215)의 외주 측 단부에서 외주방향을 따라 가압링(210)의 내부 측으로 점차 경사지게 형성되어 클램프(300)의 조임에 따라 가압링(210) 압박할 수 있게 한다. 이 조임경사면(216)의 경사각도(G)는 이음관(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125도 내지 135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tightening inclined surface 216 is formed to be gradually inclined from the out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outer peripheral surface 215 to the inner side of the pressure ring 21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pressure ring 210 is tightened as the clamp 300 is tightened. enable pressure. The inclination angle G of the tightening slope 216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range of 125 to 135 degrees clockwis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tting pipe 100.

여기에서 상기 탄성링(220)에는 돌출외주면(212), 조임력 전달빗면(213) 및 조임력 전달내주면(214)이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224)이 형성되어 가압링(2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구현하게 된다.Here, a coupling groove 224 is formed in the elastic ring 220 into which the protruding outer peripheral surface 212, the tightening force transmission inclined surface 213, and the tightening force transmission inner peripheral surface 214 are inserted and fitt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pressure ring 210. In response, a structure that is interconnected is implemented.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300)는 적어도 한 곳 이상이 힌지 결합되어 확경구와 가압링(210)을 감쌀 수 있게 되며, 대향되는 면이 상호 체결됨에 따라 확경구와 가압링(210)을 감싼 상태에서 조일 수 있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ure 7, the clamp 300 is hinged at least in one place so as to surround the diagnosing device and the pressing ring 210, and as the opposing surfaces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diagnosing device and the pressing rin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can be tightened while surrounding the ring 210.

상기 클램프(300)의 내주면에는 확경구와 가압링(210)을 감싸는 테이퍼홈부(310)가 형성된다. 이 테이퍼홈부(310)의 양측면이 조여짐에 따라 제1경사외주면(111b)과 제2경사외주면(215)을 타고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경사각도를 가지게 되며, 조임경사면(216)과 제2경사외주면(215)의 변곡지점에 의해 확경구와 가압링(210)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A tapered groove portion 310 surrounding the expansion port and the pressure ring 210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lamp 300. As both sides of the tapered groove portion 310 are tightened, it has a corresponding inclination angle so that it can slide on the first inclined outer peripheral surface 111b and the second inclined outer peripheral surface 215, and the tightening inclined surface 216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15 are tightened. The inflection point of the inclined outer peripheral surface 215 makes it possible to pressurize the expansion port and the pressure ring 210.

그런데, 이러한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연결해야 할 양측 관 사이에 별개의 이음관(100)을 개재한 상태에서 클램프(300)를 양쪽에서 각각 장착해야만 하기 때문에 소모 자재의 증가로 인한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임은 물론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However, in this prior art, the clamp 300 must be installed on both sides with a separate fitting pipe 100 interposed between the two pipes to be connected, which i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unit cost due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materials consumed. Of course, workability is greatly reduced.

또, 가압체(200)를 구성하기 위한 가압링(210)과 탄성링(220)을 결합하여 이음관(100)의 확경부 내로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상호 간의 간섭을 발생시킴에 따라 직관의 조립작업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pressure ring 210 and the elastic ring 220 to form the pressure body 200 must be combined and inserted into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of the fitting pipe 100, interference between them occurs, making the assembly work of straight pipe. This does not happen smoothly.

더구나, 클램프(300)를 조여 관(P)을 연결시켰을 경우 탄성링(220)의 가압밀착면(221)에 의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관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이음관(100)으로부터 관(P)이 이탈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Moreover, when the pipe (P) is connected by tightening the clamp (300), even if the force exerted by the pressure contact surface (221) of the elastic ring (220) is applied, the pressure generated inside the pipe cannot be withstood and the pipe is separated from the fitting pipe (100). The problem of (P) being separated occurs.

본 출원인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제반 문제를 고려하여 커플러에 의한 직관의 결속작업이 간편하도록 함은 물론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내압 발생시에도 연결되어 있는 직관이 밀려나지 않는 조인트 구조체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에 대해 도 8 내지 도 13의 a,b를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In consideration of various problems in the prior art, the present applicant seeks to propose a joint structure that not only makes the joining work of straight pipe by a coupler simple, but also remains more robust and stable, so that the connected straight pipe is not pushed out even when internal pressure occurs.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s 8 to 13 a and b.

이들 각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건축 구조물의 내, 외부에 설치되는 직관(50A,50B)의 단부를 하나의 커플러(60)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상호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each of these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s of the straight pipes 50A and 50B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structure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one-touch manner using a coupler 60. .

즉, 상기 직관(50A,50B)은 유체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종전과 마찬가지로 주조나 인발 등과 같은 통상적인 성형방식에 의해 다양한 직경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대개의 경우 건축 구조물의 설계 사양에 따라 일정 길이로 뽑아낸 직관(50A,50B)의 단부를 커플러(60)를 이용하여 결속시킴으로써 길이를 연장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straight pipes 50A and 50B are intended to induce fluid flow, and as before, they can be manufactured into various diameters by conventional molding methods such as casting or drawing, and in most cases, according to the design specifications of the building structure. The length is extended by connecting the ends of the straight pipes 50A and 50B extracted to a certain length using a coupler 60.

이 커플러(60)는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둘로 분할된 몸체(61)가 힌지(62)에 의해 조립됨과 동시에 타측의 관통공(63a)을 갖는 플랜지(63b)가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볼트(64a) 및 너트(64b)로 이루어진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This coupler 60 has a body 61 divided into two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is assembled by a hinge 62, and at the same time, a flange 63b with a through hole 63a on the other side is formed, so that one bolt 64a is used. and a nut 64b so that it can be loosened or tightened using a fastening element.

도 8에서, 상기 몸체(61)의 경우 둘로 분할되어 1개의 힌지(62)와 체결요소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몸체를 3개로 분할한 후 2개의 힌지와 하나의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슴은 물론이다.In Figure 8, it is shown that the body 61 is divided into two and opened and closed by one hinge 62 and a fastening element. However, after dividing the body into three, two hinges and one fastening element are used.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상기 커플러(60)를 구성하는 몸체(61)의 내경부 측에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65a,65b)에 의해 수용홈(6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65a,65b)의 경우 한쪽은 길이가 다른쪽보다 약간 길게 형성된다.A receiving groove 66 is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side of the body 61 constituting the coupler 60 by locking protrusions 65a and 65b protruding inward from both edges. Here, in the case of the locking protrusions 65a and 65b, one side is formed to be slightly longer than the other side.

또한, 상호 연결해야 할 두개의 직관(50A,50B) 중에서 한쪽 직관(50B)의 단부 측에는 오목홈(5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홈(51) 내로 커플러(60)에 있어서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걸림턱(65b)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유체 압력의 상승시 직관(50B)이 커플러(6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mong the two straight pipes (50A, 50B)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 concave groove (51) is formed on the end side of one of the straight pipes (50B), and the length of the coupler (60) is long into this concave groove (51). By inserting the formed locking protrusion 65b,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aight pipe 50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upler 60 when the fluid pressure rises.

상기 커플러(60)의 수용홈(66) 내에는 양측에서 조립되는 직관(50A,50B)의 단부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링스톱퍼(70)와, 이 링스톱퍼(70)의 내주 둘레면에 탄력있게 장착되어 일측의 직관(50A)을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링(80)과, 이들 직관(50A,50B) 내로 흐르는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90)이 각각 배설된다.In the receiving groove 66 of the coupler 60, there is a ring stopper 70 for positioning the ends of the straight pipes 50A and 50B assembled on both sides, and an elastic ring stopper 70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stopper 70. An elastic ring 80 is installed to secure the straight pipe 50A on one side, and a rubber ring 90 is provided to prevent fluid flowing into the straight pipe 50A and 50B from leaking.

도 11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스톱퍼(70)는 원통몸체(71)의 내경부 중앙에 돌출편(72)이 형성되어 직관(50A,50B)을 양쪽에서 끼워 조립할 때 이들 직관(50A,50B)의 단부가 걸려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삽입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As shown in Figure 11 a and b, the ring stopper 70 has a protruding piece 7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71, so that when assembling the straight pipes 50A and 50B from both sides, these The insertion position is determined by ensuring that the ends of the straight pipes 50A and 50B are held together.

또한, 상기 돌출편(72)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단턱(7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턱(73)의 한쪽에는 탄성링(80)이 장착됨과 동시에 다른쪽에는 고무링(90)을 끼워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steps 7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piece 72, and an elastic ring 8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step 73 and a rubber ring 9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It is designed to be deployed.

즉,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링스톱퍼(70)의 내경부에 형성된 돌출편(72)의 좌측에는 탄성링(80)과 고무링(90)이 순차로 조립되고, 우측에는 탄성링(80)을 제외한 고무링(90) 만이 조립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0, the elastic ring 80 and the rubber ring 90 are sequentially assembled on the left side of the protruding piece 72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ring stopper 70, and the elastic ring 80 is on the right side. ) Only the rubber ring (90) is assembled.

도 12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링(80)은 내경부에 통공(81a)을 갖는 결속편(81b)이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간격을 두고 형성됨과 동시에 일측 부위에 절결부(82)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2a and 12b, the elastic ring 80 is formed by spaced apart binding pieces 81b having holes 81a in the inner diameter portion at opposing positions, and at the same time, a cutout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lastic ring 80. (82) can be configured to form.

여기에서, 상기 결속편(81b)의 경우 도면에서는 내경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5개씩 형성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 둘레에 걸쳐 형성할 수도 있슴은 물론이며, 소정 간격을 두고 3개 내지 4개씩 돌출되도록 형성하거나 비대칭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in the case of the binding pieces 81b, the drawing shows that 5 pieces are formed at opposing positions based on the center of the inner diameter, but of course, they can be form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3 pieces are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m so that they protrude one to four at a time or to form them asymmetrically.

또한, 상기 탄성링(80)의 내경부 측으로 돌출되는 결속편(81b)들은 약간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져 형성됨에 따라 탄력을 갖게 되고, 일측 절결부(82)에 의해 링스톱퍼(70)의 내주 둘레면 양측에 형성된 단턱(73)으로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inding pieces (81b) protruding toward the inner diameter of the elastic ring (80) have elasticity as they are inclined to form a slight angle, and are form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ing stopper (70) by the cutout portion (82) on one side. Steps 7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rface allow for easy assembly.

도 13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무링(90)은 커플러(60)의 양측 걸림턱(65) 내에 각각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내측으로 형성된 요홈(91a)에 의해 직관(50A,50B)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 압력의 상승시 테두리부(91b)의 전 둘레에 걸쳐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커플러(60)의 걸림턱(65)과 탄성링(80)의 사이에 배치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3 a and b, the rubber rings 90 are respectively interposed within the locking protrusions 65 on both sides of the coupler 60, and at the same time are connected to the straight pipes 50A and 50B by grooves 91a formed on the inside. ),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increases, elastic force acts o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edge portion (91b). That is, it is disposed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65 of the coupler 60 and the elastic ring 80 to prevent water leakag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링스톱퍼(70)의 내경부 일측으로 탄성링(80)을 조립하여 단턱(73)에 안착시킨 후 고무링(90)을 끼워넣고, 타측에는 고무링(90) 만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간단히 커플러(60)의 수용홈(66) 내로 배치함에 따라 하나의 일체형 커플러(60)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elastic ring 80 is assembled on one sid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stopper 70, seated on the step 73, and then the rubber ring 90 is inserted, and only the rubber ring 90 is inserted on the other side. By simply placing it in the receiving groove 66 of the coupler 60 in the inserted state, one integrated coupler 60 can be formed.

이 상태에서, 각각의 직관(50A,50B) 단부를 커플러(60) 내의 링스톱퍼(70)에 형성된 돌출편(72) 측으로 끼워 고정시킨 상태에서 커플러(60)의 몸체(61) 일측에 구비된 플랜지(63b)의 관통공(63a)을 통해 조립된 볼트(64a)에 너트(64b)에 체결함으로써 양 직관(50A,50B)의 단부를 연결하게 되며, 이 때 탄성링(80)에 형성된 결속편(81b)들이 일측 직관(50A)의 외경부에 압착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end of each straight pipe (50A, 50B) is fixed to the side of the protruding piece 72 formed on the ring stopper 70 in the coupler 60,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61 of the coupler 60. The ends of both straight pipes 50A and 50B are connected by fastening the nut 64b to the bolt 64a assembled through the through hole 63a of the flange 63b. At this time, the ends of the straight pipes 50A and 50B are connected to the bond formed in the elastic ring 80. The pieces 81b can be pressed and fixed to the outer diameter of one side of the straight pipe 50A.

또, 다른쪽 직관(50B)의 경우에는 커플러(60)를 구성하는 걸림턱(65b)이 직관(50B)의 단부 가까이에 형성된 오목홈(51) 내로 끼워져 들어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직관(50A,50B)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커플러(6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other straight pipe (50B), the locking protrusion (65b) constituting the coupler (60) is maintain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51) formed near the end of the straight pipe (50B), so that the straight pipe (50A, Even if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50B) increases,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prevent separation from the coupler 60.

이와 같이, 일측 직관(50A)의 외경부에는 탄성링(80)의 결속편(81b)이 밀착되고, 타측 직관(50B)의 오목홈(51)에는 커플러(60)의 걸림턱(65b)이 강하게 삽입됨으로써 직관(50A,50B)을 통해 흐르는 유체 압력의 상승으로 인해 커플러(60)로부터 직관(50A,50B)이 빠져 버리는 등의 악영향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링스톱퍼(70)의 내경부 양측에 장착된 고무링(90)에 의해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binding piece 81b of the elastic ring 8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straight pipe 50A on one side, and the locking protrusion 65b of the coupler 60 is attached to the concave groove 51 of the other straight pipe 50B. By being strongly inserted, adverse effects such as the straight pipes (50A, 50B) being pulled out of the coupler (60) due to an increase in fluid pressure flowing through the straight pipes (50A, 50B) will not occur, and both sides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stopper (70) will be removed. Water leakage can be reliably prevented by the rubber ring 90 mounted on the.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양쪽 직관의 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방향 전환을 위한 엘보우 혹은 T자관 등과 연결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method of binding the ends of both straight pipes to each other was explained, but of course, the same can be applied when connecting an elbow or T-tube for changing direc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에 의하면, 소정 길이로 제작된 금속재 혹은 합성수지재 직관의 단부를 하나의 커플러를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결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전과 같이 허브(hub)가 형성된 조인트 관이나 소켓 또는 별도의 커플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소모 자재를 절감할 수 있다.As previously explained, according to the no-hub coupling joint unit for straight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s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pipe manufactured to a predetermined length can be easily connected in a one-touch method using a single coupler,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method. As there is no need for a joint pipe or socket with a hub or a separate coupler, material consumption can be reduced.

또한, 작업자의 제반 공수를 줄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can be performed simply and quickly by reducing the operator's man-hours, thereby greatly improving workability.

또, 커플러 내에 장착되는 탄성링 및 고무링에 의해 직관 내부에서의 유체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직관이 밀려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양측 직관의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누수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ring and rubber ring installed within the coupler not only prevent the straight pipe from being pushed out even when fluid pressure occurs inside the straight pipe, but also more reliably prevent water leakage occurring at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two straight pipes. there is.

더구나, 두개의 직관 중에서 한쪽 직관의 단부 측에 형성된 오목홈 내로 커플러의 걸림턱이 삽입됨에 따라 유체 압력이 점차 상승하더라도 직관이 커플러로부터 이탈하려는 힘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Moreover, as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coupler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formed at the end of one of the two straight pipes, the force of the straight pipe to separate from the coupler can be more effectively suppressed even if the fluid pressure gradually increases.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50A,50B: 직관 51: 오목홈
60: 커플러 61: 몸체
62: 힌지 63a: 관통공
63b: 플랜지 64a: 볼트
64b: 너트 65a,65b: 걸림턱
66: 수용홈 70: 링스톱퍼
71: 원통몸체 72: 돌출편
73: 단턱 80: 탄성링
81a: 통공 81b: 결속편
82: 절결부 90: 고무링
91a: 요홈 91b: 테두리부
50A, 50B: Straight pipe 51: Concave groove
60: Coupler 61: Body
62: Hinge 63a: Through hole
63b: Flange 64a: Bolt
64b: Nut 65a, 65b: Locking jaw
66: Receiving groove 70: Ring stopper
71: cylindrical body 72: protruding piece
73: Step 80: Elastic ring
81a: through hole 81b: binding piece
82: cutout 90: rubber ring
91a: Groove 91b: Edge portion

Claims (4)

건축 구조물의 내, 외부에 설치되는 직관(50A,50B)의 단부를 커플러(60)에 의해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구조체로서,
이 커플러(60)는 외경부 일측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분할된 몸체(61)가 힌지(62)에 의해 조립됨과 동시에 하나의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풀고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경부 측에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65a,65b)에 의해 수용홈(66)이 형성되며,
이 수용홈(66) 내에는 상호 연결해야 할 양측 직관(50A,50B)의 단부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링스톱퍼(70)와,
이 링스톱퍼(70)의 내주 둘레면 일측으로 조립되어 한쪽 직관(50A)의 외경부를 압착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링(80)과,
상기 링스톱퍼(70)의 내경부에 형성된 돌출편(72)의 양측에 위치하여 직관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90)이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A structure for binding the ends of straight pipes 50A and 50B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a building structure to each other by a coupler 60,
This coupler 60 is configured so that a body 61 divided into openings and closings on one side of the outer diameter can be assembled by a hinge 62 and simultaneously loosened and tightened using a single fastening element, and on the inner diameter side of the body. A receiving groove 66 is formed by locking protrusions 65a and 65b protruding inward from both edges,
In this receiving groove (66), there is a ring stopper (70) for fixing the ends of the straight pipes (50A, 50B) on both side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 elastic ring (80) assembl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ng stopper (70) to press and secure the outer diameter of one straight pipe (50A),
A no-hub coupling for straight pipe, characterized in that rubber rings 9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pieces 72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stopper 70 to prevent leakage of fluid flowing inside the straight pipe. join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해야 할 두개의 직관 중에서 다른쪽 직관(50B)의 단부 측에는 오목홈(51)이 형성되어 커플러(60)를 구성하는 일측 걸림턱(65b)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유체 압력의 상승시 직관이 커플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According to claim 1, of the two straight pipes to be connected, a concave groove (51) is formed on the end side of the other straight pipe (50B), and one side locking protrusion (65b) constituting the coupler (60) is inserted, thereby allowing fluid flow. A no-hub coupling joint unit for straight pip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straight pipe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upler when the pressure 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링(80)은 내경부로 향해 통공(81a)을 갖는 결속편(81b)이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간격을 두고 경사져서 형성됨과 동시에 일측 부위에 절결부(82)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ring (80) is formed by slanting the binding pieces (81b) having a through hole (81a) toward the inner diameter at intervals at opposing positions, and at the same time has a cutout portion (82) on one side. A no-hub coupling joint unit for straight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ha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링(90)은 커플러의 양측 걸림턱 내에 각각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내측으로 형성된 요홈(91a)에 의해 직관 내부의 압력 발생시 테두리부(91b)의 전 둘레에 걸쳐 탄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ubber rings (90) are respectively interposed within the locking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coupler, and at the same time, the grooves (91a) formed on the inside provide elasticity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edge portion (91b) when pressure is generated inside the straight pipe. A no-hub coupling joint unit for straight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ct.
KR1020220080138A 2022-06-30 2022-06-30 No hub coupling joint unit for Pipes KR202400030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138A KR20240003080A (en) 2022-06-30 2022-06-30 No hub coupling joint unit for Pip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138A KR20240003080A (en) 2022-06-30 2022-06-30 No hub coupling joint unit for Pip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080A true KR20240003080A (en) 2024-01-08

Family

ID=8953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138A KR20240003080A (en) 2022-06-30 2022-06-30 No hub coupling joint unit for Pip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080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883B1 (en) 2009-07-17 2010-02-16 두리화학 주식회사 Pipe connector
KR100976588B1 (en) 2008-03-18 2010-08-18 두리화학 주식회사 Pipe connector
KR101523307B1 (en) 2014-06-03 2015-05-27 두리화학 주식회사 Assembly for connecting pipe
KR101891081B1 (en) 2018-05-14 2018-09-28 두리화학 주식회사 Pipe connection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588B1 (en) 2008-03-18 2010-08-18 두리화학 주식회사 Pipe connector
KR100941883B1 (en) 2009-07-17 2010-02-16 두리화학 주식회사 Pipe connector
KR101523307B1 (en) 2014-06-03 2015-05-27 두리화학 주식회사 Assembly for connecting pipe
KR101891081B1 (en) 2018-05-14 2018-09-28 두리화학 주식회사 Pipe connection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753B2 (en) Pipes coupling with integrated grip
FI74337C (en) Pipe coupling.
US11525533B2 (en) Pipe device having a bonded joint
JP2019505734A (en) One-touch piping connection device
US6113156A (en) Pipe connector
KR20240003080A (en) No hub coupling joint unit for Pipes
KR200399662Y1 (en) Connection apparatus for manhole
KR102053283B1 (en) Pipe coupler
US20170074438A1 (en) Pipe Coupling Apparatus
KR102035976B1 (en) Pipe fitting having anti-loosening structure
KR20230172164A (en) No hub coupling joint unit for Pipes
KR200482592Y1 (en) PB Pipe Connection Socket Device of Faucet
US20170074432A1 (en) Pipe Coupling Apparatus
US8003181B2 (en) Anticorrosion sleeve
KR101294759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pipe
KR101973850B1 (en) Joint for connecting pipe
US20090184513A1 (en) Pipe fitting assembly and a method therefor
KR20170129573A (en) Coupling Structure for Pipes
KR101785632B1 (en) water and sewage pipe set integrated with protective socket for improved water tightness by prevent breakage of connection end and prevent separation of the pipes
US5860678A (en) Self-threading joining system for flexible or semirigid pipes
KR101047503B1 (en) Branch pipe socket
KR20230161628A (en) No hub coupling joint unit for Pipes
KR102351804B1 (en) Clamp for pipe connection
US20170074431A1 (en) Pipe Coupling Apparatus
JP7340851B2 (en) insulation fit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