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829A -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829A
KR20240002829A KR1020220080912A KR20220080912A KR20240002829A KR 20240002829 A KR20240002829 A KR 20240002829A KR 1020220080912 A KR1020220080912 A KR 1020220080912A KR 20220080912 A KR20220080912 A KR 20220080912A KR 20240002829 A KR20240002829 A KR 20240002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conference
user
meeting
specific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오
박인규
김종현
변상우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엠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엠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엠엑스
Priority to KR102022008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829A/ko
Priority to PCT/KR2023/008831 priority patent/WO2024005473A1/ko
Publication of KR20240002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82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04N7/157Conference systems defining a virtual conference space and using avatars or ag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은, 가상 회의 플랫폼을 구비하고, 상기 가상 회의 플랫폼을 통해 가상 VR 회의를 위한 가상 회의실을 제공하는 서버, 상기 가상 회의 플랫폼을 통해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가상 VR 회의를 위한 회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가상회의 운영 단말, 및 상기 가상 회의 플랫폼을 통해 상기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가상 VR 회의를 위한 가상 회의실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및 방법{Real-time virtual reality conference system for sharing of pointed location on 3D object in virtual spa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대면 회의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에 기반한 회의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비대면 회의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많은 사업상 미팅, 회의, 학회 등이 질병 확산, 특히 COVID-19로 인해 사람들의 직접 참석 대신에 비대면으로 온라인 화상 회의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화상 회의는 실시간 통신을 위해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사용자에 의한 시청각 신호의 수신 및 전송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상 회의는 줌(ZOOM)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화상 회의 서비스에서 여러 컴퓨팅 장치를 통해 사용 가능하다.
한편,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최근에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회의시스템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화상 회의가 가진 현장감의 부족, 의사소통의 어려움 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일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2292606호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컨퍼런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오프라인 컨퍼런스를 3D(3-Dimension) 가상현실을 이용해 가상현실 환경 내에서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 경험을 그대로 온라인으로 담아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최근 가상 공간에서의 다양한 사용자 활동이 이뤄지며, 산업적으로 여러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다. 그에 따라 가상의 공간에서 3D 오브젝트(object)를 다수의 사용자들이 함께 관찰하며 이뤄지는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상의 공간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3D 오브젝트(object)를 함께 관찰하며 논의를 진행하는 중에 해당 오브젝트(object) 상의 특정 부분을 지칭함에 있어 정확한 위치 표시에 어려움이 있어 왔다.
따라서, 다수의 사용자가 가상의 공간에서 3D 오브젝트를 두고 논의를 진행할 때, 각 사용자가 3차원 공간에 있는 오브젝트(object)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정확히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92606호 (2021.08.24.)
본 발명은 가상의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다수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정확히 공유할 수 있는 VR 회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의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다수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정확히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대면 회의에서의 사용자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VR 회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의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다수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정확히 공유하여 비대면 회의에서의 사용자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VR 회의시스템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VR 회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은, 가상 회의 플랫폼을 구비하고, 상기 가상 회의 플랫폼을 통해 가상 VR 회의를 위한 가상 회의실을 제공하는 서버; 상기 가상 회의 플랫폼을 통해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가상 VR 회의를 위한 회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가상회의 운영 단말; 및 상기 가상 회의 플랫폼을 통해 상기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가상 VR 회의를 위한 가상 회의실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 VR 회의를 위한 회의 정보는, 상기 가상 VR 회의에 대한 참석자 정보, 회의실 위치 및 사이즈, 회의용 3D 오브젝트(obje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상 VR 회의를 위한 회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 회의실을 생성하고,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object)를 상기 가상 회의실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상회의 운영 단말을 통해 상기 가상 회의실에 접속한 회의 운영 계정은 회의 운영 아바타로 표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가상 회의실에 접속한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 아바타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어느 한 사용자 아바타가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여 포인팅(pointing)하는 경우, 포인팅된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를 상기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 모두로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어느 한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Object) 상의 특정 위치가 터치되면, 상기 어느 한 사용자 단말은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측정 및 저장하는 한편, 상기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수신한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Object)를 보고 있는 공유 대상의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고, 상기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수신한 상기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은 이를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의 앵커(anchor) 기준으로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느 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측정하는 것은, 레이캐스팅(Raycasting) 기법을 토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하는 방식은 레이저 포인트(Laser point) 표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 상 3차원 좌표(x,y,z)에 이벤트(Event)를 발생시킨 사용자 아바타와, 발생 지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줌으로써, 어떤 사용자가 상기 이벤트를 발생시켰는지 알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 방법은, 서버가 가상회의 운영 단말로부터 회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가상 회의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가상회의 운영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회의용 3D 오브젝트(object)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가상 회의실에 반영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가상 회의실에 접속한 각각의 사용자 계정을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로 표현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과 일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어느 한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Object) 상의 특정 위치가 터치되면, 상기 어느 한 사용자 단말은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측정 및 저장하는 한편,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수신한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Object)를 보고 있는 공유 대상의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수신한 상기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은 이를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의 앵커(anchor) 기준으로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느 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측정하는 것은, 레이캐스팅(Raycasting) 기법을 토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하는 방식은, 레이저 포인트(Laser point) 표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 상 3차원 좌표(x,y,z)에 이벤트(Event)를 발생시킨 사용자 아바타와, 발생 지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줌으로써, 어떤 사용자가 상기 이벤트를 발생시켰는지 알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가상의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다수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정확히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가상의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다수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정확히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대면 회의에서의 사용자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가상의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다수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정확히 공유하여 비대면 회의에서의 사용자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VR 회의시스템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3D 오브젝트의 특정 위치 측정을 위해 사용하는 레이캐스팅(Raycasting) 기법의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에서 3D 오브젝트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에서 3D 오브젝트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 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은 서버(110), 가상회의 운영 단말(120), 및 사용자 단말(131-1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버(110), 가상회의 운영 단말(120), 및 사용자 단말(131-133)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VR 회의시스템은 VR(Virtual reality) 기술을 통해 VR 회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360° VR 가상 회의를 위한 가상의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10)는 서버(11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가 보유한 자체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으며,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가상 회의 플랫폼(140)을 구비하고, 이러한 가상 회의 플랫폼(140)을 통해 가상 VR 회의를 위한 가상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110)는 가상 회의 플랫폼(140)을 통해 VR 기술을 접목시켜 360° VR 가상 회의실을 포함하는 가상의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가상의 공간은 3D 모델링과 VR 기술을 접목한 방식일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서버(110)는 가상 3D 회의실 및 회의 논의 대상이 되는 가상 3D 오브젝트(object)를 생성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가상 3D 회의실은 각 회의실 만의 특정 컨셉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 회의실은 일반회의실 그래픽으로, B 회의실은 연구실 그래픽으로, C구역은 제조공장 그래픽으로 렌더링(rendering)할 수 있다.
가상회의 운영 단말(120) 및 사용자 단말(131-133)은 가상 회의 플랫폼(140)을 통해 서버(11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서, 가상회의 운영 단말(120)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VR 기기 등일 수 있다. 즉, 도 1에서 가상회의 운영 단말(120)은 데스크탑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노트북이나 태블릿이 될 수도 있다. 또한, 가상회의 운영 단말(120)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회의 운영 계정(151-153)은 가상회의 운영 단말(120)을 통해 가상 회의 플랫폼(140)에 접속할 수 있으며, 회의 운영 계정(151-153)은 가상 회의 플랫폼(140)에서 회의 운영 아바타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의 운영 아바타는 사용자 계정(161-163)과 연동된 사용자 아바타와 인터랙션할 수 있다. 인터랙션이 이루어질 경우 미리 정의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데, 가령 회의 운영 아바타와 연동된 회의 운영 계정과, 사용자 아바타와 연동된 사용자 계정 간에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1-133)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VR 기기 등일 수 있으며, 일예로 도 1에서 제 1 사용자 단말(131)은 스마트폰일 수 있고, 제 2 사용자 단말(132)은 데스크탑, 제 3 사용자 단말(133)은 노트북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31-133)들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계정(161-163)은 사용자 단말(131-133)을 통해 가상 회의 플랫폼(140)에 접속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사용자 단말(131-133)은 가상 회의 플랫폼(140)을 통해 서버(11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161-163)은 가상 회의 플랫폼(140)에서 사용자 아바타로 표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아바타는 전술한 회의 운영 아바타와 인터랙션할 수 있다. 인터랙션이 이루어질 경우, 미리 정의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데, 가령 인터랙션이 이루어질 경우 회의 운영 아바타와 연동된 회의 운영 계정과, 사용자 아바타와 연동된 사용자 계정 간의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하나의 가상회의 운영 단말(120)과 3 대의 사용자 단말(131-133)만을 도시했으나, 각각의 단말의 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서버(11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각각의 단말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가상회의 운영 단말(120)과 사용자 단말(131-133)을 별도의 기기로 표시하였으나, 구현예에 따라서는 가상회의 운영 단말과 사용자 단말을 하나의 단말로 통합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이 VR 회의를 구현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우선, 서버(110)는 가상회의 운영 단말(120)로부터 회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01). 여기서, 회의 정보는 VR 회의에 참여하고자 하는 참석자 정보, 회의실 사이즈 및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의 운영 계정(151-153)이 가상회의 운영 단말(120)에 로그인한 상태일 수 있으며, 서버(110)는 가상 회의 플랫폼(140)에 접속한 가상회의 운영 단말(120)로 회의 정보 입력 UI(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시각적 구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회의 운영 계정(151-153)이 회의 정보 입력 UI를 통해 입력한 회의 정보를 업로드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10)는 회의 정보를 기초로 가상 회의실을 생성할 수 있다 (S202).
이때, 서버(110)는 회의 운영 계정(151-153)이 입력한 회의 정보를 기초로, 가상 회의실의 위치 및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가상 회의실의 성격 및 요구사항에 따른 미리 정의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가상 회의실의 기본 외관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10)는 가상회의 운영 단말(1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회의용 3D 오브젝트(object)를 획득할 수 있다 (S203).
여기서, 회의용 3D 오브젝트는 해당 VR 회의에서 사용자들이 논의할 3D 모델링 리소스(3D Model resource)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VR 회의에서 논의될 제품이 신규 모델의 자동차 이라면, 회의용 3D 오브젝트는 해당 차량의 3D 모델링 리소스 일 수 있다. 또는 VR 회의에서 논의될 제품이 신규 모델의 휴대폰 이라면, 회의용 3D 오브젝트는 해당 휴대폰의 3D 모델링 리소스 일 수 있다.
이후, 서버(110)는 가상 회의실에 적어도 하나의 회의용 3D 오브젝트를 반영할 수 있다 (S204).
이때, 서버(110)는 가상 회의실의 성격 및 요구사항에 따른 미리 정의된 렌더링을 3D 오브젝트에 수행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렌더링은 가상 회의실에 따른 색감, 질감, 조명 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상 회의실에 포함되는 3D 오브젝트가 전체적으로 부자연스럽지 않게 연출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1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131-133)을 통해 가상 회의실에 접속한 각각의 사용자 계정(161-163)을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로 표현할 수 있다(S205).
이때, 사용자 계정들(161-163)은 사용자 단말(131-133)에서 로그인하여 가상 회의 플랫폼(140)을 통해 가상 회의실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버(110)는 가상 회의실에 접속한 사용자 계정들(161-163)을 사용자 아바타로 렌더링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 아바타는 이동하기, 주변 둘러보기, 대화하기, 및 선택하기 등의 동작이 수행 가능한 3D 인간형 아바타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아바타의 모습은 실사를 기반으로 모델링되거나 캐릭터화된 것일 수 있고, 또는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모습일 수 있다.
이후, 서버(110)는 VR 회의에서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과 일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S206).
여기서,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은 다양한 동작이 있을 수 있으며, 일예로서 다른 사용자 아바타를 클릭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아바타의 사용자 계정과 채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을 회의용 3D 오브젝트와 연계하고 있다.
즉, 어느 한 사용자 아바타가 회의용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여 포인팅(pointing)하는 경우, 서버(110)는 포인팅된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를 사용자 계정(161-163)이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131-133) 모두로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서버(110)가 포인팅된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를 사용자 계정(161-163)이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131-133) 모두로 전송하여 공유하는 동작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레이캐스팅(Raycasting) 기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3D 오브젝트의 특정 위치 측정을 위해 사용하는 레이캐스팅(Raycasting) 기법의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상의 3차원 공간에서 좌표를 얻기 위해 레이캐스팅(Raycasting) 기법을 사용한다. 레이캐스팅(Raycasting) 기법이란 가상의 공간에 보이지 않는 빛(Ray)를 투사해서 빛에 닿는 표면을 파악하는 기술이다.
즉, 사용자가 터치한 스크린(Screen)의 터치 포인트(touch point)로부터 카메라(Camera)가 바라보고 있는 전방(Forward)으로 레이캐스팅(Raycasting)을 수행하고, 3D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충돌포인트(Collision point) 좌표를 측정한다. 해당 좌표는 공간 상 3차원 좌표로서, (x,y,z) 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통해 3D 오브젝트 표면에서 사용자가 지칭하는 곳의 좌표를 얻어 서버(110)로 정보를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달한다. 이때, 3D 오브젝트 표면에서 사용자가 지칭하는 곳의 좌표에는 소정의 효과(effect)를 생성하여 표시해 줄 수 있다. 일예로, 소정의 효과(effect)는 레이저 포인트(Laser point) 표시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상의 공간에서 해당 좌표에 이러한 이벤트(Event)를 발생시킨 사용자 아바타와, 발생 지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줌으로써, 어떤 사용자가 이벤트를 발생시켰는지 알 수 있도록 제공해 줄 수 있다.
다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에서 3D 오브젝트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에서 3D 오브젝트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 이다.
먼저, 어느 한 사용자(사용자1)의 사용자 단말에서 3D 오브젝트(Object) 상의 특정 위치가 터치되면,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x,y,z)가 측정 및 저장된다(S510).
이때, 사용자1 은 도 4에서와 같이 한국에 위치한 사용자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x,y,z)를 측정하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은 도 3의 레이캐스팅(Raycasting) 기법을 적용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한 스크린(Screen)의 터치 포인트(touch point)로부터 카메라(Camera)가 바라보고 있는 전방(Forward)으로 레이캐스팅(Raycasting)을 수행하고, 3D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충돌포인트(Collision point) 좌표를 측정한다. 이때, 해당 좌표는 공간 상 3차원 좌표로서, (x,y,z) 로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1의 사용자 단말은 저장된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서버(110)에 송신하고, 서버(110)는 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520).
이후, 서버(110)는 수신한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3D 오브젝트(Object)를 보고 있는 공유 대상의 다른 사용자들(사용자2, 사용자3)에게 송출한다(S530). 이때, 사용자2, 사용자3 은 도 4에서와 같이 미국 LA에 위치한 원거리의 사용자 일 수 있다.
이어서, 해당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수신한 다른 사용자들(사용자2, 사용자3)의 사용자 단말은 3D 오브젝트의 앵커(anchor) 기준으로 출력하여 표시한다(S540). 이때, 표시하는 방식의 일예로서 레이저 포인트(Laser point) 표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해당 좌표에 이러한 이벤트(Event)를 발생시킨 사용자 아바타와, 발생 지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줌으로써, 어떤 사용자가 이벤트를 발생시켰는지 알 수 있도록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서는, 공간 상 3차원 좌표(x,y,z) 값이 3D 오브젝트의 픽셀 값으로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오차 없이 정확하게 표시 가능하며, 이를 통해 원거리로 떨어져 있는 VR 회의의 사용자들 일지라도 어느 한 사용자가 지칭하고 있는 가상 공간의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다수의 사용자가 정확히 공유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및 방법은 가상의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다수의 사용자가 정확히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대면 회의에서의 사용자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다수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정확히 공유하여 비대면 회의에서의 사용자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VR 회의시스템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 (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 (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에 기반한 회의시스템으로서,
    가상 회의 플랫폼을 구비하고, 상기 가상 회의 플랫폼을 통해 가상 VR 회의를 위한 가상 회의실을 제공하는 서버;
    상기 가상 회의 플랫폼을 통해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가상 VR 회의를 위한 회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가상회의 운영 단말; 및
    상기 가상 회의 플랫폼을 통해 상기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가상 VR 회의를 위한 가상 회의실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VR 회의를 위한 회의 정보는,
    상기 가상 VR 회의에 대한 참석자 정보, 회의실 위치 및 사이즈, 회의용 3D 오브젝트(obje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상 VR 회의를 위한 회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 회의실을 생성하고,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object)를 상기 가상 회의실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상회의 운영 단말을 통해 상기 가상 회의실에 접속한 회의 운영 계정은 회의 운영 아바타로 표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가상 회의실에 접속한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 아바타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어느 한 사용자 아바타가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여 포인팅(pointing)하는 경우, 포인팅된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를 상기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 모두로 전송하여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어느 한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Object) 상의 특정 위치가 터치되면, 상기 어느 한 사용자 단말은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측정 및 저장하는 한편, 상기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수신한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Object)를 보고 있는 공유 대상의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고,
    상기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수신한 상기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은 이를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의 앵커(anchor) 기준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측정하는 것은,
    레이캐스팅(Raycasting) 기법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방식은 레이저 포인트(Laser point) 표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상 3차원 좌표(x,y,z)에 이벤트(Event)를 발생시킨 사용자 아바타와, 발생 지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줌으로써, 어떤 사용자가 상기 이벤트를 발생시켰는지 알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10.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에 기반한 회의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서버가 가상회의 운영 단말로부터 회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가상 회의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가상회의 운영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회의용 3D 오브젝트(object)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가상 회의실에 반영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가상 회의실에 접속한 각각의 사용자 계정을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로 표현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과 일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어느 한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Object) 상의 특정 위치가 터치되면, 상기 어느 한 사용자 단말은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측정 및 저장하는 한편,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수신한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Object)를 보고 있는 공유 대상의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수신한 상기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은 이를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의 앵커(anchor) 기준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회의용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공간 상 3차원 좌표(x,y,z)를 측정하는 것은,
    레이캐스팅(Raycasting) 기법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방식은,
    레이저 포인트(Laser point) 표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상 3차원 좌표(x,y,z)에 이벤트(Event)를 발생시킨 사용자 아바타와, 발생 지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줌으로써, 어떤 사용자가 상기 이벤트를 발생시켰는지 알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 방법.
KR1020220080912A 2022-06-30 2022-06-30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2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912A KR20240002829A (ko) 2022-06-30 2022-06-30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및 방법
PCT/KR2023/008831 WO2024005473A1 (ko) 2022-06-30 2023-06-26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912A KR20240002829A (ko) 2022-06-30 2022-06-30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829A true KR20240002829A (ko) 2024-01-08

Family

ID=8938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912A KR20240002829A (ko) 2022-06-30 2022-06-30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2829A (ko)
WO (1) WO202400547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606B1 (ko) 2021-03-30 2021-08-24 주식회사 에이드소프트 Mice 산업 기반 가상현실을 이용한 컨퍼런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584B1 (ko) * 2010-09-10 2017-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상 메모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가상 메모 관리방법
KR102374408B1 (ko) * 2017-09-08 202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현실에서의 포인터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112074B1 (ko) * 2019-10-16 2020-05-18 김보언 유니크베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이벤트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259350B1 (ko) * 2019-12-24 2021-06-01 주식회사 브이알미디어 Ar 기반 원격 지원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220070235A1 (en) * 2020-08-28 2022-03-03 Tmrw Foundation Ip S.Àr.L. System and method enabling interactions in virtual environments with virtual prese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606B1 (ko) 2021-03-30 2021-08-24 주식회사 에이드소프트 Mice 산업 기반 가상현실을 이용한 컨퍼런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05473A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1655B2 (en) Single user multiple presence in multi-user game
AU2017101911A4 (en) A system, device, or method for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US20220319139A1 (en) Multi-endpoint mixed-reality meetings
US102490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remote participants to a meeting
US9367950B1 (en) Providing virtual reality experiences based on three-dimensional designs produced using three-dimensional design software
US11080941B2 (en) Intelligent management of content related to objects displayed within communication sessions
US201201920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hysical mapping in a virtual world
US10891014B2 (en) Remote view manipulation in communication session
US20180123816A1 (en) Collaboration environments and views
CN114445500A (zh) 增强现实场景构建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CN115482325A (zh) 画面渲染方法、装置、系统、设备及介质
CN114697755A (zh) 虚拟场景信息交互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US11704885B2 (en) Augmented reality (AR) visual display to save
KR20240002829A (ko)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 표시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및 방법
Jouet et al. AR-Chat: an AR-based instant messaging system
KR20240002828A (ko) 가상 공간에 있는 3d 오브젝트 상의 특정 위치와 연동된 메모를 공유할 수 있는 실시간 vr 회의시스템 및 방법
US20230122666A1 (en) Cloud xr-based program virtualizing method
US20230316663A1 (en) Head-tracking based media selection for video communications in virtual environments
CN116563505B (zh) 虚拟形象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Seki et al. TeleGhost: Asymmetric Telepresence System Using AR and VR Avatars in a Shared Real Space
TW201812609A (zh) 以虛擬實境/擴增實境為基礎並結合即時通訊服務的檔案分享系統及方法
KR20230160534A (ko) 메타버스 환경 기반 전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ean Using motion controllers in virtual conferenc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