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764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764A
KR20240002764A KR1020220080752A KR20220080752A KR20240002764A KR 20240002764 A KR20240002764 A KR 20240002764A KR 1020220080752 A KR1020220080752 A KR 1020220080752A KR 20220080752 A KR20220080752 A KR 20220080752A KR 20240002764 A KR20240002764 A KR 20240002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
message
terminal
network
r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주석
석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2008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764A/ko
Publication of KR20240002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76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가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단말에 대한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 method for initiating a RRC connection release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가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예를 들어, 대역폭, 전송 전력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시브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신뢰도(reliability) 및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단말을 고려한 통신 시스템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확장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커뮤니케이션(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massive MTC,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해당 기술(technology)을 new RAT 또는 NR이라고 부른다.
한편, 상술한 무선 통신을 위해서 통상적으로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인 유심카드(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심 카드는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모듈로 가입자의 인증, 과금, 보안 기능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인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유심카드는 스마트 카드 형태로 제작되어 단말에 삽입될 수 있다. 유심카드가 삽입된 휴대 단말기는 부팅(booting)시 유심카드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 및 전화번호 정보를 읽어 들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다.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하나의 휴대용 통신단말기로 두 개의 번호를 이용할 수 있는 듀얼 심폰(Dual SIM Phone)이 개발되고, 듀얼 심 폰의 장점으로는 하나의 폰으로 두 개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고, 개인용과 사업용으로 구분해 별도의 번호로 단말을 사용할 수도 있는 장점 등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로부터 전달된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포함된 DSDS와 관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DSDS에 의해 연결이 제한되는 특정 SIM에 기반한 RRC 연결을 효과적으로 식별함으로써 상기 식별된 RRC 연결에 대한 해제 절차를 신속하게 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가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은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단말에 대한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DSDS에 의해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연결이 제한된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DSDS에 의해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연결이 제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상기 DSDS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IMS 위치 등록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기지국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IMS 위치 등록 절차는 상기 네트워크에 포함된 HSS 또는 UDM(Unified Data Management)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에 포함된 MME 또는 AMF가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능력 정보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RRC 연결에 대한 트래픽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능력 정보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위치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과 무관하게 상기 기지국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에 포함된 MME 또는 AMF가 상기 기지국에 전달하는 UE CONTEXT RELEASE COMMAND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DSDS와 관련한 RRC 연결 해제임을 지시하는 원인 (cause)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가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은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는 단계, UDM (Unified Data Management)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DSDS에 의해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연결이 제한되는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DSDS에 의해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연결이 제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능력 정보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IMS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수신 받은 경우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능력 정보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UDM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수신 받은 경우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능력 정보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RRC 연결에 대한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리는 제2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능력 정보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IMS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메시지의 수신 여부와 무관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에 상기 단말에 대한 RRC UE CONTEXT RELEASE COMMAND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DSDS와 관련한 RRC 연결 해제임을 지시하는 원인 (cause)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UDM에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는 IMS가 상기 UDM에 상기 단말에 대한 IMS 위치 등록을 완료한 경우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가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은,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는 단계, HSS (Home Subscriber Server)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SDS (Dual SIM Dual Standby)를 지원하는 단말이 RRC 연결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에 포함된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하여 기지국과의 제1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및 제2 SIM에 기반하여 제2 RRC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DSDS에 의해 상기 제2 RRC 연결이 제한된 것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네트워크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고, 상기 단말에 대한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고, UDM (Unified Data Management)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고,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고, HSS (Home Subscriber Server) 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고,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DSDS (Dual SIM Dual Standby)를 지원하는 RRC 연결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은 RF(Radio Frequency) 송수신기, 및 상기 RF 송수신기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RF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에 포함된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하여 기지국과의 제1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및 제2 SIM에 기반하여 제2 RRC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DSDS에 의해 상기 제2 RRC 연결이 제한된 것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단말로부터 전달된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포함된 DSDS와 관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DSDS에 의해 연결이 제한되는 특정 SIM에 기반한 RRC 연결을 효과적으로 식별함으로써 상기 식별된 RRC 연결에 대한 해제 절차를 신속하게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를 통해 특정 SIM에 기반한 RRC 연결을 신속하게 해제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고 다른 SIM에 기반한 RRC 연결의 통신 품질에 대한 특정 SIM에 기반한 RRC 연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는 5G NR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5G NR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G-RAN과 5GC 간의 기능적 분할을 나타낸다.
도 4는 단말의 위치 등록을 관리하는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또는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무선자원제어(RRC) 계층에서의 연결 과정을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제1 SIM 및 제2 SIM을 포함하는 단말이 제2 SIM에 대한 RRC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네트워크가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RRC 연결 해제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네트워크가 DSDS 기반 단말과 관련하여 RRC 연결 해제 절차의 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DSDS와 관련된 제2 SIM에 대한 RRC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단말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용어들 이외에,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 및 ","는 "및/또는"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A, 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A/B/C"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A, B, C"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또는"은 "및/또는"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오직 A", "오직 B", 및/또는 "A 및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또는"은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5G NR은 LTE-A의 후속 기술로서, 고성능, 저지연, 고가용성 등의 특성을 가지는 새로운 Clean-slate 형태의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 5G NR은 1GHz 미만의 저주파 대역에서부터 1GHz~10GHz의 중간 주파 대역, 24GHz 이상의 고주파(밀리미터파) 대역 등 사용 가능한 모든 스펙트럼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LTE-A 또는 5G NR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으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분야인 5G에 관하여 살펴보면, 5G의 세 가지 주요 요구 사항 영역은 (1) 개선된 모바일 광대역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영역, (2) 다량의 머신 타입 통신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영역 및 (3) 초-신뢰 및 저 지연 통신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영역 (4) UAM Urban Aerial Mobility) 영역 등을 포함한다.
일부 사용 예(Use Case)는 최적화를 위해 다수의 영역들이 요구될 수 있고, 다른 사용 예는 단지 하나의 핵심 성능 지표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에만 포커싱될 수 있다. 5G는 이러한 다양한 사용 예들을 유연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eMBB는 기본적인 모바일 인터넷 액세스를 훨씬 능가하게 하며, 풍부한 양방향 작업, 클라우드 또는 증강 현실에서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을 커버한다. 데이터는 5G의 핵심 동력 중 하나이며, 5G 시대에서 처음으로 전용 음성 서비스를 볼 수 없을 수 있다. 5G에서, 음성은 단순히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 연결을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처리될 것이 기대된다. 증가된 트래픽 양(volume)을 위한 주요 원인들은 콘텐츠 크기의 증가 및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수의 증가이다. 스트리밍 서비스 (오디오 및 비디오), 대화형 비디오 및 모바일 인터넷 연결은 더 많은 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될수록 더 널리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은 사용자에게 실시간 정보 및 알림을 푸쉬하기 위해 항상 켜져 있는 연결성이 필요하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및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통신 플랫폼에서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것은 업무 및 엔터테인먼트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률의 성장을 견인하는 특별한 사용 예이다. 5G는 또한 클라우드의 원격 업무에도 사용되며, 촉각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때 우수한 사용자 경험을 유지하도록 훨씬 더 낮은 단-대-단(end-to-end) 지연을 요구한다. 엔터테인먼트 예를 들어, 클라우드 게임 및 비디오 스트리밍은 모바일 광대역 능력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키는 또 다른 핵심 요소이다. 엔터테인먼트는 기차, 차 및 비행기와 같은 높은 이동성 환경을 포함하는 어떤 곳에서든지 스마트폰 및 태블릿에서 필수적이다. 또 다른 사용 예는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증강 현실 및 정보 검색이다. 여기서, 증강 현실은 매우 낮은 지연과 순간적인 데이터 양을 필요로 한다.
또한, 가장 많이 예상되는 5G 사용 예 중 하나는 모든 분야에서 임베디드 센서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는 기능 즉, mMTC에 관한 것이다. 2020년까지 잠재적인 IoT 장치들은 204 억 개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산업 IoT는 5G가 스마트 도시, 자산 추적(asset tracking), 스마트 유틸리티, 농업 및 보안 인프라를 가능하게 하는 주요 역할을 수행하는 영역 중 하나이다.
URLLC는 주요 인프라의 원격 제어 및 자체-구동 차량(self-driving vehicle)과 같은 초 신뢰/이용 가능한 지연이 적은 링크를 통해 산업을 변화시킬 새로운 서비스를 포함한다. 신뢰성과 지연의 수준은 스마트 그리드 제어, 산업 자동화, 로봇 공학, 드론 제어 및 조정에 필수적이다.
5G는 초당 수백 메가 비트에서 초당 기가 비트로 평가되는 스트림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FTTH (fiber-to-the-home) 및 케이블 기반 광대역 (또는 DOCSIS)을 보완할 수 있다. 이러한 빠른 속도는 가상 현실과 증강 현실뿐 아니라 4K 이상(6K, 8K 및 그 이상)의 해상도로 TV를 전달하는데 요구된다. VR(Virtual Reality) 및 AR(Augmented Reality) 애플리케이션들은 거의 몰입형(immersive) 스포츠 경기를 포함한다. 특정 응용 프로그램은 특별한 네트워크 설정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R 게임의 경우, 게임 회사들이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어 서버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에지 네트워크 서버와 통합해야 할 수 있다.
도 1는 5G NR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R 시스템의 네트워크는 크게 차세대 무선 접속 네트워크(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와 차세대 코어(next generation core, NGC) 네트워크로 이루어진다. NGC는 5GC로 칭해지기도 한다.
도 1를 참조하면, NG-RAN은 UE에 대한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들(예, SDAP, PDCP, RLC, MAC, PHY)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들(예, RRC, PDCP, RLC, MAC, PHY) 종단을 제공하는 gNB들로 구성된다. gNB들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gNB는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NGC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gNB는 gNB와 NGC 간의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인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을 갖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gNB와 NGC 간의 인터페이스들 중 다른 하나인 N3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을 갖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로 연결된다. AMF와 UPF는 각각 서로 다른 코어 네트워크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RAN에서 BS와 UE 간 신호의 전송/수신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RAN에서 BS와 UE 간 신호의 전송/수신은 물리 자원(예,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를 통해 수행된다. 이에 반해, 코어 네트워크에서 gNB와 네트워크 기능들(예, AMF, UPF) 간 신호의 전송/수신은 무선 인터페이스가 아닌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 간 물리적 연결(예, 광 케이블) 혹은 코어 네트워크 기능들 간 논리적 연결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3GPP 시스템에 무선 프로토콜 스택은 크게 사용자 평면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과 제어 평면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으로 구분된다. 사용자 평면은 데이터 평면이라고도 하며, 사용자 트래픽(즉,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사용자 평면은 음성, 데이터와 같은 사용자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에 반해, 제어 평면은 UE와 UE 간 혹은 UE와 네트워크 노드 간 사용자 데이터가 아닌 제어 시그널링을 처리한다. LTE 시스템에서 NR 시스템에서 사용자 평면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은 PDCP, RLC, MAC 및 PHY를 포함하며, NR 시스템에서 사용자 평면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은 SDAP, PDCP, RLC, MAC 및 PHY를 포함한다. LTE 시스템 및 NR 시스템에서 제어 평면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은 네트워크 단에서는 BS에서 종결(terminate)되는 PDCP, RLC 및 MAC을 포함하며, 아울러, PDCP의 상위 계층인 무선 접속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와 RRC의 상위 계층은 비-접속 층(non-access stratum, NAS) 제어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NAS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단에서는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에서 종결되며, 이동성 관리 및 베어러 관리를 수행한다. RRC는 NAS 시그널링의 전달을 지원하며, 무선 자원들의 효율적 관리과 요구되는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RRC는 다음 기능들을 지원한다: 시스템 정보의 브로드캐스팅; UE와 BS 간 RRC 연결의 수립(establishment), 유지(maintenance) 및 해제(release); 무선 베어러의 수립, 설정, 유지 및 해제; UE 측정 보고 및 보고의 제어; 무선 링크 실패의 검출(decection) 및 복구(recovery); UE의 NAS로의/로부터의 NAS 메시지 수송(transfer).
본 명세에서 BS에 의한 혹은 BS로부터의 RRC 메시지/시그널링은 BS의 RRC 계층이 UE의 RRC 계층에게 보내는 RRC 메시지/시그널링이다. UE는 BS로부터의 RRC 메시지/시그널링에 포함된 파라미터(들) 혹은 파라미터(들)의 세트인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를 기반으로 설정되거나 동작한다.
도 2는 5G NR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5G 시스템은 단말(100), 기지국(110), 5G 핵심망 (120, 이하 5GC 내지 5G Core Network)으로 구성될 수 있다. 5G 핵심망(120)는 AMF(121), SMF(122), PCF(123), UDM(124), UPF(125), NSSF(126), NRF(127), SCP(128), NEF(129), UDR(130), BSF(131) 등의 네트워크 기능 (Network Function, 이하 NF와 혼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기능이란 네트워크 엔티티(Network Entity, 이하 NE와 혼용), 네트워크 자원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NG­RAN(Next Generation-Radio Access Network, 이하 5G-RAN, RAN과 혼용), E-UTRA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100, User Equipment, Terminal, UE)은 기지국(110)을 통해 5G 핵심망(120)에 접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MF(121,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는 단말에 대한 무선망 접속(Access) 및 이동성을 관리(Mobility Management)하는 네트워크 기능일 수 있다.
SMF(122, Session Management Function)은 단말에게 제공하는 Packet Data Network 연결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기능일 수 있다. Packet Data Network 연결은 PDU(Protocol Data Unit) Session이라는 이름으로 지칭될 수 있다. PDU 세션 정보에는 QoS(Quality of Service) 정보, 과금 정보, 또는 패킷 처리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PCF(123, Policy Control Function)는 단말에 대한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비스 정 책, 과금 정책, 그리고 PDU session에 대한 정책을 적용하는 네트워크 기능일 수 있다.
UPF(125, User Plane Function)는 단말이 송수신하는 Packet을 전달하는 게이 트웨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SMF에 의해 제어를 받는 네트워크 기능일 수 있다. UPF는 Data Network(DN)로 연결되어, 단말이 생성한 업링크 데이터 패킷(Uplink data packet)을 5G 시스템을 통해 외부 Data Network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UPF는 외부 Data Network에서 생성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Downlink data)을 5G 시스템을 통해 단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PF는 Internet으로 연결되는 Data Network로 연결되어, 단말이 보내는 데이터 패킷을 Internet으로 라우팅(Routing)할 수 있고, Internet에서 보내는 데이터 패킷을 단말에게 라우팅할 수 있다. UDM(124, Unified Data Management)은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기능일 수 있다.
NEF(129, Network Exposure Function)는 5G 네트워크에서 단말을 관리하는 정 보에 접근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능이며, 단말의 Mobility Management 이벤트에 대한 구독, 단말의 Session Management 이벤트에 대한 구독, Session 관련 정보에 대한 요청, 단말의 Charging 정보 설정, 단말에 대한 PDU session Policy 변경 요청 등을 통해, 5G 핵심망 NF들과 연결되어 NF들에게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Report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기능일 수 있다.
UDR(130, Unified Data Repository)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네트워크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UDR은 단말 가입 정보를 저장하고, UDM에게 단말 가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UDR은 사업자 정책 정보를 저장하고, PCF에게 사업자 정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UDR은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NEF에게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NSSF(126, 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은 단말이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고, 이러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결정하는 네트워크 기능일 수 있다. 한편, 각 NF들은 자신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정의해두고 있으며, NF가 제공하는 서비스들은 Npcf, Nsmf, Namf, Nnef 서비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MF가 SMF에게 세션과 관련된 메시지를 전달 할 때, AMF는 Nsmf_PDUSession_CreateSMContext라는 서비스 (또는, API)를 이용할 수 있다.
AF(140, Application Function)는 5G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 기 능을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능일 수 있다. 또한 AF는 Application server일 수도 있다. AF(140)는 NEF(129)를 통하지 않고, 5G 핵심망을 구성하는 NF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AF(140, 200)는 5G 핵심망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외부망에 위치하여 NEF(129)를 5G 핵심망과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단말(100)은 기지국(110)을 통해 AMF(121)에 접속하고, 5G 핵심망과 제어 평면 (Control Plane) 시그널링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기지국(110)을 통해 UPF(125)에 접 속하고, Data Network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응용 계층 서비스를 단말에게 제 공하는 Application Server는, 5G 핵심망과 제어 평면 시그널링 메시지를 주고받을 때는 AF로 지칭될 수 있고, 단말과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는 DN(Data Network)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Application Server를 지칭하는 명칭으로 AF와 DN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G-RAN과 5GC 간의 기능적 분할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gNB는 인터 셀 간의 무선 자원 관리(Inter Cell RRM), 무선 베어러 관리(RB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무선 허용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측정 설정 및 제공(Measurement configuration & Provision),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MF는 NAS(Non Access Stratum) 보안, 아이들 상태 이동성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UPF는 이동성 앵커링(Mobility Anchoring), PDU(Protocol Data Unit)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는 단말 IP(Internet Protocol) 주소 할당, PDU 세션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단말의 위치 등록을 관리하는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MF(121)는 단말의 접속 및 이동성 관리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며, 하나의 단말 당 기본적으로 하나의 AMF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MF(130)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액세스 네트워크들 간의 이동성을 위한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 간 시그널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예: 5G RAN(radio access network)) 간 CP 인터페이스(N2 인터페이스), 단말(101)과의 NAS 시그널링, SMF의 식별, 단말과 SMF 간 세션 관리 메시지의 전달 제공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MF의 일부 또는 전체의 기능들은 하나의 AMF의 단일 인스턴스(instance) 내에서 지원될 수 있다.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은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엔티티(network entity)이다. AMF는 하나 이상의 셀(cell)들의 집합인 TA(tracking area)를 단위로 단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단말이 AMF에 접속 가능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상태의 경우, AMF는 단말의 위치를 셀 단위로 알 수 있다. NR(new radio)에서 도입된 단말의 RRC 비활성(inactive) 상태의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코어와 단말이 연결된 상태라고 인지하며, RAN(radio access network) 페이징(paging)이 수행되는 상황이므로, 역시 AMF는 단 말의 위치를 알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이 RRC 유휴(idle) 상태에 있는 경우, AMF는 등록된 TA만 알고 있을 뿐, 단말의 위치를 알지 못하므로, AMF는 단말과의 연결을 위해 페이지(paging) 메시지를 전송해야 한다.
AMF (121)는 아이들 상태(통신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의 위치를 트랙킹 영역(TA: Tracking Area, 이하 'TA'라고 함) 단위로 인식하고 있다. 즉, AMF (121)는 아이들 상태의 단말이 어느 TA에 위치에 있는지를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TAU(Tracking Area Update, 이하, 'TAU'라고 함)를 통해 알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은 TA 또는 TAL이 변경될 때마다 TAU 메시지를 이용하여 변경된 TA 정보를 AMF (121)로 전송하며, LTE 망에 접속할 때 또는 TAU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때, TAL(Tracking Area List, 이하, 'TAL'이라고 함)를 AMF (121)로부터 제공받는다. 이와 같이, AMF (1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TAL를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AMF (121)는 단말 (100)에 대해 TA1(110) 및 TA2(120)를 포함하는 TAL을 관리/운용할 수 있다.
기지국들(41, 42, 43, 44, 45, 46)은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기지국들(41, 42, 43, 44, 45, 46)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이하, 사용되는 '커버리지'의 용어는, 기지국들(41, 42, 43, 44, 45, 46)에서 서비스 가능한 영역(service coverage area)를 가리킬 수 있다. 기지국들(41, 42, 43, 44, 45, 46)은 하나의 셀(one cell)을 커버할 수도 있고, 다수의 셀들 (multiple cells)을 커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수의 셀들은 지원하는 주파수(frequency), 커버하는 섹터 (sector)의 영역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단말(100)은 AMF(130)와 NAS 시그널링을 통해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NAS 시그널링은 5GS(5G system) 프로토콜 스택에서 단말과 코어 네트워크 간 시그널링, 트래픽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한 기능적인 계층을 의미할 수 있다. NAS 계층에서 단말(101)은 기지국을 경유하여 AMF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AMF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은 해당 메시지를 해석하지 않고 단말(101) 또는 AMF에게 전달할 수 있다. NAS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100)의 이동성이 지원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네트워크의 엔티티로 AMF를 서술하고 있으나, AMF 대신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가 이용될 수 있다. 즉, 후술되는 본 개시의 AMF 동작들은 MM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무선자원제어(RRC) 계층에서의 연결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RRC 연결 여부에 따라 RRC 상태 또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상기 RRC 상태란 단말의 RRC 계층의 엔티티(entity)가 eNodeB 또는 gNB의 RRC 계층의 엔티티와 논리적 연결(logical connection)이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말하며,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RRC 연결 상태(connected state)라고 하고,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RRC 유휴 모드(idle state)라고 부른다.
상기 연결 상태(Connected state)의 단말은 RRC 연결(connection)이 존재하기 때문에 E-UTRAN은 해당 단말의 존재를 셀 단위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유휴 모드(idle state)의 단말은 상기 eNodeB 또는 상기 gNB가 파악할 수는 없으며, 셀 보다 더 큰 지역 단위인 트래킹 지역(Tracking Area) 단위로 핵심망(Core Network)이 관리한다. 상기 트래킹 지역(Tracking Area)은 셀들의 집합단위이다. 즉, 유휴 모드(idle state) 단말은 큰 지역 단위로 존재여부만 파악되며, 음성이나 데이터와 같은 통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단말은 연결 상태(connected state)로 천이해야 한다.
사용자가 단말의 전원을 맨 처음 켰을 때, 상기 단말은 먼저 적절한 셀을 탐색한 후 해당 셀에서 유휴 모드(idle state)에 머무른다. 상기 유휴 모드(idle state)에 머물러 있던 단말은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을 때 비로소 RRC 연결 과정(RRC connection procedure)을 통해 eNodeB 또는 gNB의 RRC 계층과 RRC 연결을 맺고 RRC 연결 상태(connected state)로 천이한다.
상기 유휴 모드(Idle state)에 있던 단말이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화 시도 또는 상향 데이터 전송 등이 필요하다거나, 아니면 EUTRAN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 전송 등을 들 수 있다.
유휴 모드(idle state)의 단말이 상기 eNodeB 또는 상기 gNB와 RRC 연결을 맺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RRC 연결 과정(RRC connection procedure)을 진행해야 한다. RRC 연결 과정은 크게, 단말이 상기 eNodeB 또는 상기 gNB로 RRC 연결 요청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 전송하는 과정, 상기 eNodeB 또는 상기 gNB가 단말로 RRC 연결 설정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그리고 단말이 상기 eNodeB 또는 상기 gNB로 RRC 연결 설정 완료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유휴 모드(Idle state)의 단말은 통화 시도, 데이터 전송 시도, 또는 상기 eNodeB 또는 상기 gNB의 페이징에 대한 응답 등의 이유로 RRC 연결을 맺고자 할 경우, 먼저 상기 단말은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상기 eNodeB 또는 상기 gNB로 전송한다.
2) 상기 단말로부터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eNodeB 또는 상기 gNB는 무선 자원이 충분한 경우에는 상기 단말의 RRC 연결 요청을 수락하고, 응답 메시지인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3) 상기 단말이 상기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eNodeB 또는 상기 gNB로 RRC 연결 설정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단말이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전송하면, 비로소 상기 단말은 상기 eNodeB 또는 상기 gNB과 RRC 연결을 맺게 되고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한다.
종래 EPC에서의 MME는 Next Generation system(또는 5G CN(Core Network))에서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와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로 분리되었다. 이에 단말과의 NAS interaction 및 MM(Mobility Management)은 AMF가, 그리고 SM(Session Management)은 SMF가 수행하게 된다. 또한 SMF는 user-plane 기능을 갖는, 즉 user traffic을 라우팅하는 gateway인 UPF(User Plane Function)를 관리하는데, 이는 종래 EPC에서 S-GW와 P-GW의 control-plane 부분은 SMF가 담당하고, user-plane 부분은 UPF가 담당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User traffic의 라우팅을 위해 RAN과 DN(Data Network) 사이에 UPF는 하나 이상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종래 EPS에서의 PDN connection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5G system에서는 PDU(Protocol Data Unit) session이 정의되었다. PDU session은 IP type 뿐만 아니라 Ethernet type 또는 unstructured type의 PDU connectivity service를 제공하는 단말과 DN 간의 association을 일컫는다. 그 외에 UDM(Unified Data Management)은 EPC의 HSS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PCF(Policy Control Function)은 EPC의 PCRF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5G system의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그 기능들이 확장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N1은 5G 단말과 AMF 사이의 제어 평면에 대한 reference point이고, N2는 5G (R)AN과 AMF 사이의 제어 평면에 대한 reference point이며, N3는 5G (R)AN과 UPF 사이의 사용자 평면 reference point이다. 또한, N4는 SMF와 UPF 사이의 reference point이고, N5는 PCF 기능과 응용 기능(Application Function) 간 reference point이며, N6는 UPF와 데이터 네트워크 간의 reference point이다. 데이터 네트워크는 운영자 외부 공개 또는 개인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운영자 데이터 네트워크 일 수 있다. N7는 SMF와 PCF 사이의 reference point이다. 5G system architecture, 각 function, 각 interface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TS 23.501을 준용한다. 특히, 5G system (즉, next generation system)은 non-3GPP access도 지원해야 하며, 이와 관련된 시나리오 (예컨대, 상기 시나리오에는 non-3GPP access를 지원하기 위한 아키텍처, network element 등의 내용들이 기술되어 있다. Non-3GPP access의 예로는 대표적으로 WLAN access를 들 수 있으며 이는 trusted WLAN과 untrusted WLAN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술한 바와 같이 RRC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RRC 연결 설정 절차를 통해 상기 RRC 연결이 완료된 경우, 상기 RRC 연결은 네트워크 또는 단말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듀얼-SIM-듀얼-스탠바이 (dual-SIM-dual-standby)
단말은 하나의 무선 주파수 (RF) 트랜시버를 이용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네트워크들 (mobile networks)에 대한 액세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복수의 가입자 식별 모듈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듀얼-SIM-듀얼-스탠바이 (dual-SIM-dual-standby)" (DSDS)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SDS는 둘 이상의 SIM들에 대한 셀룰러 네트워크 (cellular network) 연결이 가능하나, 하나의 SIM에 대한 무선 연결 (radio connection)이 활성 (active) 상태일 경우에 나머지 SIM에 대한 무선 연결이 제한될 수 있는 경우이다. DSDS에 기반한 단말은 하나의 SIM에 대한 통화가 연결될 경우, 나머지 SIM은 네트워크 서버에 대한 등록 (Registration)이 유지되더라도 페이징 (Paging)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다. 이와 달리, 단말이 하나의 SIM에 기반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일 경우, 나머지 SIM은 페이징 (Paging)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Voice over Wi-Fi를 지원하는 DSDS 장치는 일반적으로 셀룰러 베어러의 상태에 관계없이 Wi-Fi 베어러를 통해 음성 연결을 유지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이 이용하는 복수의 SIM들의 개수가 제한되지 않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상기 단말이 2 개의 SIM들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술된 내용은 GSMA TS.37 Requirements for Multi SIM Devices에 정의된 DSDS 디바이스의 동작과 관련되며, 3GPP 단말/기지국/Core장비 간의 RRC/NAS/S1AP 프로토콜 규격과 관련된 표준 시나리오 (① 5G/LTE RRC : ts38.331(5G), ts36.331(LTE) ②5G/LTE NAS : ts24.501(5G), ts24.301(LTE) ③ NGAP/S1AP : ts38.413(NGAP), ts36.413(S1AP))에 기반하여 이하 서술한다.
도 6 및 도 7은 제1 SIM 및 제2 SIM을 포함하는 단말이 제2 SIM에 대한 RRC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제1 SIM (또는, 제1 SIM 포트)에 기반 (또는, 이용)하여 제1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61). 상기 제1 RRC 연결 절차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이 상기 eNodeB 또는 상기 gNB (또는, 기지국)로 RRC 연결 요청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 전송하는 과정, 상기 eNodeB 또는 상기 gNB가 단말로 RRC 연결 설정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및 단말이 상기 eNodeB 또는 상기 gNB로 RRC 연결 설정 완료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는 MME 또는 AMF와의 어태치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필드 (예컨대, dedicatedInfoNAS'Attach Request')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RC 연결 절차의 구체적인 동작은 표준 시나리오 (TS36.331 또는 TS38.331 참조)와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제1 어태치 (attach)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62). 상기 단말은 MME 또는 AMF로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어태치 절차는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 포함된 dedicatedInfoNAS'Attach Request'필드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IMSI (또는, GUTI), 단말 네트워크 능력 (UE network capability) 및/또는 5GMM (5G System Mobility Management) 능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MME 또는 AMF는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HHS와의 사용자 인증 절차 및 NAS 보안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ME 또는 AMF는 상기 HSS 또는 UDM (Unified Data Management)에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제1 어태치 절차에서 APN (Access Point Name)이 설정 또는 선택될 수 있고,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망과 관련된 경우에 IMS APN이 선택 또는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어태치 절차의 구체적인 동작은 표준 시나리오 (TS24.301 또는 TS38.501 참조)와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SIM과 관련된 PDN (Packet Data Network) 연결 (Connectivity)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63).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은 상기 MME 또는 상기 AMF로 PDN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PDU 세션을 형성하며, 상기 PDN과 관련된 internet APN (IPv6에 대한 APN 및/또는 IPv4에 대한 APN)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PDN 연결 절차는 상기 PDN 연결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상기 PDN 연결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단말은 제2 SIM (또는, 제2 SIM 포트)에 대해서도 제2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64).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SIM에 기반한 제2 어태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65). 상기 단말은 MME 또는 AMF로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은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제1 IMS 등록 (Registration)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66). IMS는 상기 제1 IMS 등록 (Registration) 절차를 통해 상기 HSS 또는 UDM (Unified Data Management)에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상기 제1 IMS 위치 등록 (또는, IMS와 관련된 위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IMS 등록 절차는 IMS 또는 IMS 망이 제공하는 서비스 (IP 기반 통신)를 제공받기 위한 절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SIM에 기반한 제2 IMS 등록 (Registration)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67). 상기 IMS는 상기 제2 IMS 등록 (Registration) 절차를 통해 상기 HSS 또는 UDM (Unified Data Management)에 상기 제2 SIM에 기반한 상기 제2 IMS 위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DSDS 기반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하나의 SIM에 기반한 RRC 연결을 유지하되, 나머지 SIM에 대한 RRC 연결을 해제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단말은 제1 SIM 및 제2 SIM 중에서 제1 SIM에 기반한 제1 RRC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DSDS에 따른 제2 SIM에 기반한 제2 RRC 연결의 제한으로 상기 제2 RRC 연결이 해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RRC 연결 해제 절차와 관련하여, MME 또는 AMF는 상기 제2 RRC 연결의 해제 절차와 관련하여 제1 메시지 (또는, UE Context Release Command 메시지 또는 UE Context Release)를 기지국 (eNB/gNB)에 전달하여 상기 기지국 (eNB/gNB)이 제2 RRC 연결의 해제 절차의 수행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는 표준 시나리오 (TS36.413 또는 TS38.413 참조)와 대응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 및 기지국 간에 상기 제2 RRC 연결 해제 절차 (S68)가 수행되고, 제2 SIM과 관련된 페이징 신호의 모니터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S69).
한편, 상기 제1 메시지 (또는, UE Context Release Command 메시지, 또는 UE Context Release)는 MME 또는 AMF (또는, 네트워크)의 개시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전달되거나, 상기 단말이 전송한 유휴 TAU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의 개시의 경우, 상기 기지국은 비활성 타이머 (NW Inactivity timer)에 기반하여 상기 제2 RRC 연결에 대한 트래픽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MME 또는 AMF에 제2 메시지 (또는, UE Context Release Request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기 타이머의 만료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MME 또는 AMF는 상기 제2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RRC 연결 해제 절차의 개시를 위한 제1 메시지 (또는, UE Context Release Command 메시지 또는 UE Context Release Command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RRC 에 대한 제2 메시지를 전달 받은 경우, 상기 MME 또는 상기 AMF는 상기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 RRC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RRC 연결은 해제되고 상기 제2 SIM에 기반한 연결 상태가 유휴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은 유휴 TAU (Idle Tracking Area Update)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에 전송 또는 전달하여 직접 상기 RRC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RRC 연결 후에 유휴 TAU (Idle Tracking Area Update) 요청 메시지를 MME 또는 AMF에 전달하여 상기 MME 또는 AMF가 상기 제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달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휴 TAU 요청 메시지는 일반적인 TAU 절차와 달리 'Active Flag’ 값이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MME 또는 AMF는 상기 유휴 TAU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Tracking Area Update 승인 (accep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ME 또는 AMF는 제1 메시지 (UEContextReleaseCommand 메시지, Cause: nas'normal-release')를 상기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RRC 연결 해제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DLInformationTransfer 메시지 및 RRCconnectionRelease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RRC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MME 또는 상기 AMF는 상기 제2 RRC 연결이 DSDS에 의해 연결이 제한되는지 알 수 없다. 이런 점에서, 상기 MME 또는 상기 AMF는 상기 제2 RRC 연결에 대해서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예컨대, 상기 활성 타이머의 만료 전까지) 상기 제2 RRC 연결에 대한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제2 RRC 연결을 해제하는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RRC 연결을 신속하게 해제할 필요가 있으나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RRC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상기 제2 RRC 연결의 유지로 인해, 상기 단말은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RRC 연결이 상기 제1 RRC 연결에 영향까지 줄 수 있다. 예컨대, 제1 RRC 연결 (또는, 데이터 연결) 중 상기 제2 SIM에 기반한 RRC 연결과 관련된 페이징 (또는, Paging 메시지)의 모니터링으로 인해, 제1 RRC 연결에 대한 데이터 전송량의 저하, 스케쥴링 지연, 재전송 발생 등의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표준 시나리오 (예컨대, 3GPP TS.38 Rel.17)에서는 멀티 SIM 규격과 관련하여 멀티 SIM들에 대한 페이징 메시지의 충돌 회피, 네트워크의 멀티 SIM들 간의 스위칭 지시 (NW Switching Indication), 멀티 SIM들과 관련된 음성호 우선 접속 등에 대한 내용이 정의되어 있으나, 소정의 SIM에 기반한 유휴 모드로 천이 방법에 대해서는 기존의 기지국의 비활성 타이머에 기반한 제2 메시지를 통해 상기 MME 또는 상기 AMF의 개시 방식 (또는, 네트워크의 개시 방식)이 유지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Idle TAU 방식을 통해 상기 제2 RRC 연결의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Idle TAU 방식은 기존 RRC 연결을 무시하고 새로운 RRC 연결 절차가 수행되는 것으로, 상기 MME (또는 AMF) 또는 기지국은 NW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통계 상 절단으로 분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2 RRC에 대한 신속한 해제를 위한 방법으로 단말이 Idle TAU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MME 또는 AMF)가 단말이 전달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DSDS 기반 단말에서 RRC 연결이 제한되는 제2 SIM에 기반한 제2 RRC 연결을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8은 네트워크가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RRC 연결 해제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DSDS에 기반한 단말은 전원이 켜질 경우에 제1 SIM에 대한 RRC 연결 절차 (S81), 어태치 절차 (S82) 및 PDN 연결 절차 (S83), IMS 등록 절차 (S86)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제2 SIM에 대한 RRC 연결 절차 (S84), 어태치 절차 (S85) 및 IMS 등록 절차 (S87)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DSDS에 기반한 단말은 제1 SIM 및 제2 SIM 각각에 대한 RRC 연결 및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제1 RRC 연결은 유지되고, 상기 제2 SIM에 기반한 제2 RRC 연결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RRC 연결에 대한 RRC 해제 절차가 개시될 필요가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방식에 따른 비활성 타이머 구동 방식으로는 상기 RRC 해제까지 상당한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예컨대, 비활성 타이머는 10초로 설정될 수 있음).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단말은 상기 DSDS를 기반한다는 점 또는 상기 제2 RRC 연결이 DSDS에 따라 제한된다는 점을 상기 네트워크에 알려 상기 제2 RRC 연결 해제 절차를 신속하게 개시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DSDS 기반 단말을 구분 또는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 (또는, DSDS에 의해 연결이 제한된 RRC 연결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관련된 NAS 파라미터가 새롭게 정의 또는 추가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NAS 파라미터는 상기 어태치 절차와 관련하여 새롭게 정의 또는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어태치 절차와 관련된 RRC 연결이 상기 DSDS와 관련하여 제한되는지 여부를 상기 MME 또는 AMF에 알릴 수 있다.
또는,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네트워크 능력 (및/또는 5G Mobility Management (5GMM) 능력)에 대해 새롭게 정의 또는 추가된 규격 또는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네트워크 (또는, MME 또는 AMF)는 상기 단말 네트워크 능력 (및/또는 5GMM 능력)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어태치 절차와 관련된 SIM에 대한 RRC 연결이 상기 DSDS에 의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또는, MME 또는 AMF)는 상기 어태치 절차에서 전달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단말 네트워크 능력 (및/또는 5GMM 능력)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어태치 절차와 관련된 제2 SIM에 대한 제2 RRC 연결이 DSDS에 의해 제한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네트워크 (또는, MME 또는 AMF)는 상기 제2 SIM에 대한 어태치 절차 (S85)에서 상기 단말은 DSDS 구분 식별자 (예컨대, DSDS 관련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네트워크 (또는, MME 또는 AMF)는 상기 어태치 절차 (S85)와 관련된 제2 SIM에 대한 제2 RRC 연결이 DSDS와 관련하여 제한됨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SIM에 대한 어태치 절차 (S82)에서는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 또는, 상기 식별 정보는 0 또는 1 값의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또는, MME 또는 AMF)는 상기 지시자의 값을 통해 상기 어태치 절차와 관련된 SIM에 대한 RRC 연결이 DSDS에 의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네트워크 (또는, MME 또는 AMF)는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식별 정보로써 1 값의 지시자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어태치 절차 (S85)와 관련된 제2 SIM에 대한 제2 RRC 연결이 DSDS에 의해 제한됨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SIM에 기반한 IMS 등록 (S87)에서, 상기 네트워크에 포함된 AMF 또는 MME는 상기 HSS 또는 UDM (Unified Data Management)으로부터 상기 제2 SIM에 기반한 IMS 등록이 완료됨을 알리는 IMS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MS 등록 알림 메시지는 상기 MME 또는 상기 AMF와 상기 HSS 또는 UDM (Unified Data Management)간의 S6a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새롭게 정의될 수 있다 (diameter protocol).
다음으로, 상기 네트워크 (또는, MME 또는 AMF)는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RRC 연결이 DSDS와 관련하여 제한된 RRC 연결임을 식별되고, 상기 제2 SIM과 관련된 IMS 등록 알림 메시지를 수신 받을 경우에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S88). 여기서, 상기 제1 메시지는 RRC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메시지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또는, MME 또는 AMF)가 상기 기지국에 전달하는 (S1AP) UE Context Release Command 메시지 또는 (NGAP) UE Context Release 메시지일 수 있고, 상기 DSDS와 관련된 원인 (cause)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은 상기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DSDS와 관련된 원인 (cause) 값에 기반하여 상기 DSDS와 관련하여 제한된 RRC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절차가 개시됨을 인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제1 RRC 연결의 경우,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제1 SIM에 대한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서 식별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므로 기존과 같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또는, 비활성화 타이머 만료 시) 상기 제1 RRC에 대한 트래픽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MME 또는 상기 AMF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트래픽 미발생에 따른 비활성 타이머 만료를 알리는 제2 메시지를 수신 받으면, 상기 기지국에 상기 제1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기 RRC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과의 제2 RRC에 대한 연결 해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89). 상기 RRC 연결 해제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단말의 제2 SIM에 대한 연결 상태가 유휴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SIM에 대한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IMS 등록 알림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DSDS에 의해 제한된 제2 RRC 연결을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단말의 제2 SIM에 대한 제2 RRC 연결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기다리지 않고도 신속하게 해제될 수 있다.
도 9는 네트워크가 DSDS 기반 단말과 관련하여 RRC 연결 해제 절차의 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복수의 SIM들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되 DSDS에 기반하여 하나의 SIM에 대한 RRC 연결이 유지되고 나머지 SIM에 대한 RRC 연결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은 상기 DSDS에 따라 상기 제1 SIM 및 상기 제2 SIM 중 하나의 SIM에 대한 RRC 연결이 유지되고, 나머지 SIM에 대한 RRC 연결이 제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 상 상기 RRC 연결이 제한되는 SIM을 제2 SIM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네트워크는 제2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과 관련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 받을 수 있다 (S91).
또한,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능력 정보는 상술한 상기 단말 네트워크 능력 및/또는 5GMM 능력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는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와 관련된 제2 SIM에 대한 RRC 연결이 제한된 경우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는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와 관련된 제2 SIM에 대한 RRC 연결이 제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DSDS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의 지시자 값에 기반하여 DSDS와 관련하여 상기 제2 SIM에 대한 RRC 연결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에 대한 또는 상기 제2 SIM과 관련된 IMS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93). 여기서, IMS 위치 등록은 IMS와 HSS (또는, UDM) 간에 수행되는 절차로써,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의한 어태치 절차에 따른 위치 등록 (LTE 위치 등록 또는 NR 위치 등록)과 구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SIM에 기반한 RRC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S95). 상기 제1 메시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RRC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 상기 MME가 상기 기지국에 전달하는 (S1AP) UE Context Release Command 메시지 또는 상기 AMF가 기지국에 전달하는 (NGAP) UE Context Release 메시지일 수도 있다.
즉,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의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면 상술한 미리 설정된 시간 (비활성 타이머의 만료) 동안 상기 RRC 연결에 대한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은지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제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즉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의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제2 SIM에 기반한 RRC 연결에 대한 트래픽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을 경우 (예컨대, 기지국의 UE Context Release 요청 메시지에 의해 상기 비활성 타이머의 만료가 확인된 경우)에 상기 RRC 연결의 해제를 위한 제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제2 SIM에 대한 IMS 위치 등록 절차의 완료 여부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제1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면서 상기 제2 SIM에 대한 IMS 위치 등록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제2 SIM에 기반한 RRC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즉시 상기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IMS 위치 등록의 완료는 상술한 바와 같이 MME 또는 AMF가 HSS 또는 UDM(Unified Data Management)으로부터 상기 제2 SIM과 관련된 IMS 등록 알림 메시지를 수신 받을 경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에 DSDS와 관련된 RRC 연결 해제 절차의 개시임을 알리는 원인(cause)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동작들은 상기 네트워크에 포함된 상기 MME 또는 AMF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도 10은 DSDS와 관련된 제2 SIM에 대한 RRC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및 제2 SIM을 포함하는 단말은 상기 제1 SIM에 대한 제1 RRC 연결과 상기 제2 SIM에 대한 제2 RRC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S101).
다음으로,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RRC 연결 및 상기 제2 RRC 연결 중에서 상기 DSDS에 의해 연결이 제한되는 제2 RRC 연결과 관련된 어태치 절차에서 상기 DSDS와 관련된 식별 정보를 더 포함시킨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에 전달할 수 있다 (S103).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네트워크에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단말은 상기 DSDS와 관련하여 연결이 제한되는 RRC 연결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상기 식별 정보를 더 포함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SIM에 대한 제2 RRC 연결이 상기 DSDS와 관련하여 제한되므로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SIM과 관련된 어태치 절차에서 상기 DSDS와 관련하여 RRC 연결이 제한됨을 알리는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SIM에 대한 제1 RRC 연결은 DSDS에 의해 제한되지 않은 바,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RRC 연결과 관련된 어태치 요청 메시지의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는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의 AMF 또는 MME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SIM에 대한 제2 RRC 연결은 상기 식별 정보를 통해 상술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전이라도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해제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RRC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에 전달되고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제2 RRC 연결과 관련된 위치 등록이 완료된 경우에 즉시 해제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RRC 연결은 유휴 TAU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은 이상 상기 RRC 연결에 대한 트래픽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발생을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의 개시에 의해 상기 기지국과의 RRC 연결 해제 절차를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단말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제1 장치(1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및/또는 송수신기(106)를 제어하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106)을 통해 제1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송수신기(106)를 통해 제2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2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1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1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2)와 메모리(1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셋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RF(Radio Frequency)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셋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장치 (100)는 도 7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단말과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02)는 도 7 내지 도 10에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2)는 송수신기(106)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에 포함된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하여 기지국과의 제1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및 제2 SIM에 기반하여 제2 RRC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DSDS에 의해 상기 제2 RRC 연결이 제한된 것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장치(200)는 도 5 내지 도 9에서 설명된 기지국일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및/또는 송수신기(206)를 제어하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3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3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2)는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4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4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2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2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2)와 메모리(2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RF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2 장치(200)는 상술한 기지국일 수 있다. 제2 장치(200)는 단말 (100) 및/또는 후술할 네트워크와 도 7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절차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네트워크는 (300)는 통신 인터페이스 (3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320)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3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320)는 메모리(330), 및/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310)를 제어하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 (310)는 상술한 기지국와 형성된 백홀 링크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거나 전달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메모리(330)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정보를 생성한 뒤, 통신 인터페이스 (310)를 통해 제1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 또는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통신 인터페이스 (310)를 통해 제2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 또는 전달 받은 뒤, 제2 정보를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프로세서(320)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320)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30)는 프로세서(320)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단말과 기지국 간의 RRC 연결을 관리 또는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도 7 내지 도 10에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20)는 통신 인터페이스 (310)를 제어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고, 상기 단말에 대한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300)는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또는,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320)에 기반하여 AMF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제어부 또는 프로세서(320)에 기반하여 상기 MME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AMF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고, UDM (Unified Data Management)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고,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MME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고, HSS (Home Subscriber Server)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고에,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신호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송수신 관계는 단말과 릴레이 또는 기지국과 릴레이간의 신호 송수신에도 동일/유사하게 확장된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가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Attach)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단말에 대한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DSDS에 의해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연결이 제한된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DSDS에 의해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연결이 제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상기 DSDS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IMS 위치 등록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기지국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MS 위치 등록 절차는 상기 네트워크에 포함된 HSS (Home Subscriber Server) 또는 UDM (Unified Data Management)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에 포함된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또는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가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능력 정보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RRC 연결에 대한 트래픽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능력 정보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IMS 위치 등록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과 무관하게 상기 기지국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에 포함된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또는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가 상기 기지국에 전달하는 UE CONTEXT RELEASE COMMAND 메시지 또는 UE Context Release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DSDS와 관련한 RRC 연결 해제임을 지시하는 원인 (cause)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가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는 단계;
    UDM (Unified Data Management)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DSDS에 의해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연결이 제한되는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DSDS에 의해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연결이 제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능력 정보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IMS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수신 받은 경우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능력 정보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RRC 연결에 대한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리는 제2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능력 정보에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IMS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메시지의 수신 여부와 무관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에 상기 단말에 대한 UE CONTEXT RELEASE 메시지 또는 UE Context Release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DSDS와 관련한 RRC 연결 해제임을 지시하는 원인 (cause)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UDM에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는 IMS에 의해 상기 UDM에 상기 단말에 대한 IMS 위치 등록을 완료한 경우에 상기 UDM으로부터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가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는 단계;
    HSS (Home Subscriber Server)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SDS (Dual SIM Dual Standby)를 지원하는 단말이 RRC 연결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포함된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하여 기지국과의 제1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및 제2 SIM에 기반하여 제2 RRC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DSDS에 의해 상기 제2 RRC 연결이 제한된 것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고, 상기 단말에 대한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고, UDM (Unified Data Management)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고,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하는, AMF.
  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한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고, HSS (Home Subscriber Server)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위치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고, 상기 네트워크 능력 정보에 DSDS (Dual SIM Dual Standby)와 관련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SIM에 기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하는, MME.
  26. DSDS (Dual SIM Dual Standby)를 지원하는 RRC 연결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 송수신기; 및
    상기 RF 송수신기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RF 송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에 포함된 제1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반하여 기지국과의 제1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및 제2 SIM에 기반하여 제2 RRC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DSDS에 의해 상기 제2 RRC 연결이 제한된 것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 네트워크 능력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단말.

KR1020220080752A 2022-06-30 2022-06-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40002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752A KR20240002764A (ko) 2022-06-30 2022-06-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752A KR20240002764A (ko) 2022-06-30 2022-06-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764A true KR20240002764A (ko) 2024-01-08

Family

ID=8953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752A KR20240002764A (ko) 2022-06-30 2022-06-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7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231B1 (ko) 네트워크 슬라이싱 동작
US11115893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117005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RRC connection,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200139771A (ko) 5g 네트워크에서의 로컬 영역 데이터 네트워크(ladn)에 대한 접속들을 관리하는 방법들
US20220060935A1 (en)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CN109673060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EP3840522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rrc state
JP2016201850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アタッチされていないデバイスのトリガ
KR20190140037A (ko)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CN112806038A (zh) 通信系统
US119104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efficient establishment of policy control associations
WO2022068771A1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US102850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DDN messag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he same
WO2021237246A1 (en) Proximity services path selection and switching
WO2020168467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a group communication
US10057871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base station
WO2023011871A1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WO2022155853A1 (zh) 无线通信方法、通信装置及通信系统
KR2024000276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4000387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10055542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갖는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4642079B (zh) 通信方法及装置
US202301369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compliance with ue route selection policy
EP4216622A2 (en) Network registration method for traffic steering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230379687A1 (en) Network slice local switching at a distributed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