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542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갖는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갖는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542A
KR20210055542A KR1020190142141A KR20190142141A KR20210055542A KR 20210055542 A KR20210055542 A KR 20210055542A KR 1020190142141 A KR1020190142141 A KR 1020190142141A KR 20190142141 A KR20190142141 A KR 20190142141A KR 20210055542 A KR20210055542 A KR 20210055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
terminal
amf
service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정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2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5542A/ko
Publication of KR20210055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단말이 여러 개의 가입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단말이 여러 개의 가입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단말이 여러 개의 가입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갖는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G OF AN USER EUQIPTMENT HAVING MULITPLE SUBSCRIBER INO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단말이 여러 개의 가입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시스템에서는 기존 4G 시스템 대비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들은 모바일 초광대역 통신 서비스(eMBB: enhanced mobile broad band), 초 고신뢰성/저지연 통신 서비스(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대규모 기기간 통신 서비스(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차세대 방송 서비스(eMBMS: evolved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RLLC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URLLC 시스템, eMB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eMBB 시스템 등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와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 URLLC 서비스는 기존 4G 시스템과 달리 5G 시스템에서 새롭게 고려하고 있는 서비스이며, 다른 서비스들 대비 초 고 신뢰성(예를 들면, 패킷 에러율 약 10-5)과 저 지연(latency)(예를 들면, 약 0.5msec) 조건 만족을 요구한다. 이러한 엄격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URLLC 서비스는 eMBB 서비스보다 짧은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의 적용이 필요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운용 방식들이 고려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단말에 둘 이상의 가입자 정보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표준에서는 하나의 단말이 둘 이상의 가입자 정보를 갖는 경우 원활하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규약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단말이 여러 개의 가입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가입자 정보(SIM-1)를 이용하여 서빙(Serving)하고 있는 AMF는 제 2 가입자 정보(SIM-2)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Downlink Data) 혹은 시그널링(Signaling)이 발생했을 때, SIM-1과 SIM-2에 대한 혹은 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를 파악한 뒤 SIM-1에 해당하는 N1 연결로 페이징(Paging) 혹은 NAS 통지(Notification)를 보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AMF는 제 2 가입자 정보(SIM-2)에 대한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후, 해당 단말이 제 1 가입자 정보(SIM-1)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중에 SIM-2에 대한 Paging(또는 NAS notification)이 발생한 단말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가입자 정보(SIM-1)의 N1 연결로 제 2 가입자 정보(SIM-2)에 대한 Paging 혹은 NAS Notification을 보낸 뒤, 일정시간으로 설정된 타이머(Timer)를 구동(T3565)시킬 수 있다.
또한 Timer 내에 SIM-2에 대한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SIM-1의 N1 연결을 해제하는 절차를 시작할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Timer 내에 SIM-2에 대한 Service Request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SIM-2에 대한 Paging 혹은 NAS Notification을 재수행하거나, SIM-2에 대한 Paging이 실패했다고 판단하여 단말이 Reachable하지 않다고 SMF에 알림(SIM-1에 대해 구동하는 Timer를 SIM-2에 대한 동작으로 판단하여 처리하는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AMF는 SIM-2에 대한 Service Request가 수신되었으면, SIM-1의 N1 연결을 해제하도록 판단하고, 연결 해제 절차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에 N2 UE Context Release Command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SIM-2에 대한 N1 Notification에 대한 응답을 SIM-1에 대한 N1 연결을 통해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이 N1 Notification 메시지에 SIM-2에 대한 paging을 응답할 것인지 거절할 것인지의 여부를 알리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AMF는 단말이 어느 SIM에 대한 연결을 유지할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MF는 연결이 되지 않을 SIM에 대한 연결을 해지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SIM-2로 연결을 새로 수립하기로 결정한 후, N1 notification에 대한 응답을 보내고, SIM-2로 연결을 새로 수립하기 위하여 Service Request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RRC-Inactive를 지원하기 위하여, SIM-1을 Serving하고 있는 AMF는 SIM-2에 대한 Downlink Data 혹은 Signaling이 발생했을 때, SIM-1에 해당하는 N1 연결로 Paging 혹은 NAS Notification을 보낼 수 있으며, 이때, RRC-Inactive 를 지원하는 경우 RRC Connection을 Suspend하는 절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AMF는 SIM-2에 대한 DL Data 혹은 Signaling이 발생했으면, SIM-1과 SIM-2에 대한 혹은 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를 파악한 뒤, 해당 단말 및 해당 단말을 서빙하는 기지국이 RRC-Inactive를 지원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으로부터 N2 Notification (RRC-Inactive로 천이)을 수신한 적이 있다면, 해당 단말이 해당 기지국에서 RRC-Inactive를 이용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MF는 MUSIM 단말에 대해서 RRC-Inactive Transition Report Request를 반드시 기지국에 요청하도록 판단할 수 있으며, 이 요청을 Initial UE Context Setup 혹은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에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AMF는 SIM-2에 대한 paging을 N1 Notification으로 보낼 때, 이를 포함한 N2 메시지에 ‘단말을 RRC-Inactive’로 천이하라는 Ind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ndication은 Downlink NAS Transport, N2 UE Context Release Command에 포함되어 기지국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을 RRC-Inactive로 천이시키고, 이에 대한 Report를 AMF에 전달하거나 혹은 단말을 RRC-Inactive로 보낼 수 없는 경우, 단말의 연결을 Release하고 AN release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단말이 여러 개의 가입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SIM을 이용하는 단말이 네트워크의 페이징을 수신하고 서비스를 요청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다른 SIM으로 서비스를 요청했을 때 기존 SIM의 연결을 해제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다른 SIM으로 서비스를 받게 할 때 기존 SIM의 연결을 RRC-Inactive로 천이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다른 SIM으로 서비스를 받게 할 때 기존 SIM의 연결을 RRC-Inactive로 천이하는 보다 효과적인 절차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NF(Network Function)이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가상화(Virtualization) 된 경우, 클라우드(Cloud)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단말에 다수의 가입 정보(Subscription)을 갖는 경우 다양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하나의 단말이 다수의 가입 정보를 갖는 것은, 하나의 단말이 가입 정보를 저장한 SIM(Subscription Identity Module)을 두 개 이상 가지고 있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SIM은 물리적인 카드 형태(예를 들어, 범용 집적 회로 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에 담기거나,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두 방식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기술함에 있어 가입 정보와 SIM은 서로 동등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SIM 과 USIM은 서로 동등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네트워크 객체(NE, network entity) 또는 네트워크 기능(NF, network function)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들 또는 네트워크 기능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및 5G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이러한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5G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장치(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장치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정책 및 과금 기능(Policy and Charging Function, PCF), 네트워크 노출 기능(Network Exposure Function, NEF), 통합된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등의 네트워크 기능(NF, Network Functio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AMF, SMF, PCF, NEF, UDM 및 UPF는 모두 특정한 네트워크의 노드로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특정한 집합적 컴퓨터 상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복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뿐만 아니라 AMF, SMF, PCF, NEF, UDM 및 UPF는 논리적으로 식별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도 서로 식별될 수 있다. 단말(User Equipment, Terminal, UE)은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 basestation, BS)을 통해 5G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는 단말에 대한 무선망 접속(Access) 및 이동성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기능이다.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은 단말에게 제공하는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기능이다. 이 연결은 PDU(protocol data unit) 세션(Session)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세션 정보에는 QoS 정보, 과금 정보, 패킷 처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PCF(Policy and Charging Function)는 단말에 대한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정책, 과금 정책, 그리고 PDU session에 대한 정책을 적용하는 네트워크 기능이다. UDM(Unified Data Management)은 가입자에 대한 정보, 즉 가입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기능이다. NEF(Network Exposure Function)는 5G 네트워크에서 단말을 관리하는 정보에 접근이 가능하여 해당 단말의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이벤트에 대한 구독, 해당 단말의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 이벤트에 대한 구독, 세션(Session) 관련 정보에 대한 요청, 해당 단말의 과금(Charging) 정보 설정, 해당 단말에 대한 PDU session 정책(Policy) 변경 요청과 같은 5G 코어 네트워크의 다양한 NF(Network Function)들과 연결되어 해당 NF들에게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보고(Report)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F(Application Function)은 NEF를 통해 5G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5G-RAN(Radio Access Network) 또는 NG-RAN은 단말에게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다. UPF(User Plane Function)는 단말이 송수신하는 패킷(Packet)을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SMF에 의해 제어를 받을 수 있다. UPF는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DN)로 연결되어 5G 시스템에서 발생한 데이터 패킷을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PF는 인터넷(Internet)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로 연결되어, 단말이 보내는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Internet)으로 라우팅 할 수 있다. UDR(Unified Data Repository)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네트워크 기능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DR은 단말 가입 정보를 저장하고, UDM에게 단말 가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UDR은 사업자 정책 정보를 저장하고, PCF에게 사업자 정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UDR은 네트워크 서비스 노출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NEF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각 NF들은 자신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정의해두고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서비스들은 Npcf, Nsmf, Namf, Nnef 서비스 등으로 불릴 수 있다. 예를들어 AMF가 SMF에게 세션 관련된 메시지를 전달 할 때는 Nsmf_PDUSession_CreateSMContext 라는 서비스(혹은 API)를 이용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을 통해 AMF에 접속하여, 5G 코어 네트워크와 제어 평면(Control Plane) 시그널링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은 기지국을 통해 UPF에 접속하여,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와 사용자 평면(User Plane)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두 개 이상의 가입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각 가입 정보는 하나의 SIM(또는 USIM) 카드와 연동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가입 정보를 사용하는 단말(100)은 두 개의 SIM 카드(101, 102)를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00)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은 해당 단말(100)을 각각 하나의 SIM 카드를 이용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단말로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러한 단말(100)을 두 개의 SIM 카드를 이용하는 하나의 단말로 처리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단말이 두 개 이상의 가입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를 모두 지원할 수 있으나, 개시의 명료함을 위해 두 개의 가입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단말(100)은 PLMN A에 가입하고, PLMN A의 단말 가입 정보는 SIM 카드 1(101)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단말(100)의 PLMN A의 가입 정보는 PLMN A의 UDM(134)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단말(100)은 PLMN B에 가입하고, PLMN B의 단말 가입 정보는 SIM 카드 2(102)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단말(100)의 PLMN B의 가입 정보는 PLMN B의 UDM(134)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UDM이 하나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각각의 PLMN에 대응하여 각각의 UDM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PLMN A와 PLMN B는 서비스 레벨 계약(Service Level Agreement, SLA)을 맺고, 단말(100)에게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PLMN A의 UDM은 SLA를 기반으로 SIM 1(101)에 저장되는 PLMN A의 가입 정보뿐만 아니라 SIM 2(102)에 저장되는 PLMN B의 가입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PLMN B의 UDM(134)은 SLA를 기반으로 SIM 2(102)에 저장는 PLMN B의 가입 정보뿐만 아니라 SIM 1(101)에 저장되는 단말(100)의 PLMN A의 가입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이 PLMN B에 접속하였을 경우, 단말(100)은 PLMN B의 가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SIM 카드 2(102)를 이용하여 기지국(111)을 거쳐 AMF(112)에 등록(registration)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PLMN B의 PCF로부터 PLMN B의 이동통신 사업자 정책 정보(operator policy, UE policy, URSP 등)를 내려 받고, SMF(122), UPF(132)를 거쳐 PDU 세션을 맺고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AMF(112)는 PLMN B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단말(100)에게 제공하는 local PLMN의 serving AMF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PLMN A의 가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SIM 카드 1(101)을 이용하여 기지국(111)을 거쳐 AMF(112)에 등록(registration)하고, PLMN A의 PCF로부터 PLMN A의 이동통신 사업자 정책 정보(operator policy, UE policy, URSP 등)를 내려 받고, V-SMF, H-SMF, V-UPF, H-UPF를 거쳐 PDU 세션을 맺고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AMF(112)는 PLMN A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단말(100)에게 제공하는 VPLMN의 serving AMF 역할을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은 단말이 하나의 PLMN에 두개의 가입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즉 단말이 PLMN A에 가입한 SIM-1과 SIM-2를 모두 가지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설명에서 PLMN A와 PLMN B가 같은 경우에도 AMF 및 SMF는 단말의 가입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단말을 SIM에 따라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단말(100)은 사용자가 단말(100)의 SIM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설정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SIM의 우선 순위(예를 들며, primary USIM, secondary USIM 등)를 단말(100)에 설정할 수 있다. 단말(100)의 SIM은 탈부착 내지 설치(install)/삭제(uninstall) 내지 다운로드 등이 가능하다. SIM의 우선 순위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단말(100)에 SIM이 한 개 있을 경우, 해당 SIM의 우선 순위가 primary로 설정될 수 있다. 단말(100)에 SIM이 추가로 삽입/설치/다운로드 될 경우, 두 번째 SIM의 우선 순위를 secondary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두 개의 SIM 사이에 우선 순위가 정해질 수도 있다.
단말(100)에 두 개의 SIM이 있을 경우, 각 SIM의 우선 순위가 설정(예를 들어, primary, secondary)될 수 있다. 단말(100)의 primary SIM이 탈착/삭제 될 경우, 단말(100)의 secondary SIM의 우선 순위가 primary로 바뀔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단말(100)의 secondary SIM의 우선 순위가 변동되지 않고, 그대로 secondary이면서 primary SIM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100)에 두 개의 SIM이 있을 경우, 단말(100)은 각 SIM을 등록하기 위해 등록 절차를 두 번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100)은 하나의 SIM 당 한 번의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등록 절차의 순서는 primary 심카드를 위한 등록 절차를 먼저 수행하고, 그 다음으로 secondary 심카드를 위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등록 절차의 순서는 SIM의 우선 순위와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secondary SIM을 위한 등록 절차를 먼저 수행하고, 그 다음으로 primary SIM을 위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SIM의 우선순위는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AMF는 SIM-1의 가입정보와 SIM-2의 가입정보를 획득한 후, 가입 정보 내에 두 가입정보가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가입정보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MF는 가입 정보 내에 두 SIM 중 어느 SIM이 더 우선순위가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정보에 따라 SIM 별 우선순위를 적용할 수 있다.
AMF(112)는 UDM(134)에게 SIM-1과 연동된 단말 ID(예를 들면, SUPI 1, 5G-GUTI 1 등), 단말(100)이 현재 접속한 serving PLMN ID를 전송할 수 있다. UDM(134)은 AMF(112)에게 단말 가입 정보, 단말(100)이 다중 심(Multi-USIM, MUSIM)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는 MUSIM 지시자(indicator), SIM-2와 연동된 단말 ID(예를 들어, SUPI(subscription permanenet identifier) B) 등을 회신할 수 있다. AMF(112)는 UDM(134)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100)이 MUSIM 기능을 이용하는 단말임을 알 수 있다. AMF(112)는 단말(100)을 위한 UE context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단말(100)을 위한 UE context가 이미 존재한다면, UE context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UE context에는 단말 ID(예를 들어, SUPI 1, 5G-GUTI(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 1, SUPI 2, 5G-GUTI 2 등), 단말 ID가 연동된 PLMN ID, 단말 능력(capability) 정보(예를 들어, MUSIM 기능 지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실시 예>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시그널링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개시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SIM-1과 SIM-2에 대해서 같은 AMF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단말의 위치 별로 접속할 수 있는 AMF가 정해져 있거나, 혹은 하나의 단말에 대해서 여러 개의 SIM을 사용하더라도 같은 AMF에 접속하게 하기 위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SIM-1으로 먼저 AMF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SIM-2로 스위칭하여 등록(Registration) 요청 메시지를 보내게 되면, AMF는 UDM으로부터 획득한 가입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단말이 MUSIM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고, SIM-1으로 이미 연결 상태에 있는 Serving AMF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AMF로 SIM-2로 접속한 단말의 Context를 관리해달라는 요청을 보내거나, AMF relocation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SIM-2로 스위칭하여 Registration 요청 메시지를 보낼 때, 기지국에 AMF의 ID를 제공하여 기지국이 해당 AMF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단말은 SIM-1과 SIM-2에 대해서 같은 AMF에 접속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SIM-1과 SIM-2를 모두 지원하는 MUSIM 단말은 SIM-1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을 수 있다. AMF는 단말이 SIM-1으로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SIM-2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SIM-2에 대한 PDU Session을 관리하는 SMF가 SIM-2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가 발생하면 AMF로 단말을 깨워달라는 요청을 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AMF는 SIM-2 단말을 페이징 해야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왜냐하면, SIM-2 단말은 AMF입장에서 IDLE 상태이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로, AMF는 SIM-2에 대해서 전송해야할 시그널링이 발생하면 SIM-2 단말을 페이징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AMF는 SIM-1의 N1 NAS 연결을 이용하여 SIM-2에 대한 페이징이 발생했음을 N1 NAS Notification 메시지를 통해 SIM-2에게 알릴 수 있다. AMF는 상기 N1 NAS Notification 메시지에 단말이 SIM-2에 해당하는 Paging 혹은 데이터/시그널링 발생에 대한 notification임을 식별할 수 있는 SIM-2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IM-2의 GUTI 혹은 SIM-2 Context를 지칭할 수 있는 다른 ID 형식일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은 SIM-2에 대해서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발생했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고, SIM-2에 해당하는 UE context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SIM-2에 해당하는 UE context로 네트워크에 접속해야 하는 경우 SIM-2의 정보를 이용해서 Service request를 AMF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ervice Request에는 SIM-2의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SIM-2의 Context를 이용해서 네트워크에 접속을 요청했기 때문에, SIM-2의 연결상태는 Connected로 바뀌게 되고, SIM-1의 연결 상태는 IDLE로 바뀔 수 있다.
이에 따라 AMF는 라디오(Radio) 자원을 이용하여 여러 지역의 기지국에 단말을 paging하기 위한 메시지를 보내지 않고, 단말이 현재 접속하고 있는 SIM-1의 NAS 연결로 SIM-2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시그널링이 발생했음을 알릴 수 있기 때문에, 페이징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만약 단말이 SIM-1에 대한 N1 NAS 연결로 N1 NAS Notification을 수신하였고, 해당 N1 NAS Notification 메시지가 SIM-2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시그널링이 발생했다는 Notification이라면, 단말은 이 Notification에 응답을 할지, 즉 SIM-2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보낼지, 아니면 SIM-2에 응답하지 않고 계속 SIM-1의 연결을 유지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단말 내 설정된 SIM-1과 SIM-2에 대한 우선순위, 혹은 단말이 이용하는 서비스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IM-1에서 이용 중인 서비스가 우선순위가 높은 서비스라면, SIM-2로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발생해도 응답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는 SIM-1에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데, SIM-2에 대한 서비스가 더 우선순위가 높다면 단말은 SIM-2로 응답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단말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반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게 발생한 이벤트를 통지하여 사용자의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황들 모두를 단말에서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은 SIM-1의 연결을 계속 유지하고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결정하였으면, N1 NAS Notification에 대한 응답으로 SIM-2로 스위칭 하지 않을 것임을 AMF에 알릴 수 있다. AMF는 이를 수신하면, N1 NAS notification을 수행했던 다운링크 데이터/시그널링 발생에 대해서 더이상 단말에게 SIM-2에 대해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도착했다는 것을 알리지 않는다. AMF는 다음 다운링크 데이터 혹은 시그널링이 발생했을 때 다시 N1 NAS notif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도 3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다른 SIM으로 서비스를 요청했을 때 기존 SIM의 연결을 해제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때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개시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SIM-1과 SIM-2를 모두 지원하는 MUSIM 단말은 SIM-1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을 수 있다. AMF는 단말이 SIM-1으로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SIM-2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SIM-2에 대한 PDU Session을 관리하는 SMF가 SIM-2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가 발생하면 AMF로 단말을 깨워달라는 요청을 보낼 수 있고, 이에 따라 AMF는 SIM-2 단말을 페이징 해야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SIM-2 단말은 AMF입장에서 IDLE 상태이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MF는 SIM-2에 대해서 전송해야할 시그널링이 발생하면 SIM-2 단말을 페이징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에서 AMF는 SIM-1의 N1 NAS 연결을 이용하여 SIM-2에 대한 페이징이 발생했음을 N1 NAS Notification 메시지를 통해 SIM-2에게 알릴 수 있다. AMF는 상기 N1 NAS Notification 메시지에 단말이 SIM-2에 해당하는 Paging 혹은 데이터/시그널링 발생에 대한 notification임을 식별할 수 있는 SIM-2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IM-2의 GUTI 혹은 SIM-2 Context를 지칭할 수 있는 다른 ID 형식일 수 있다.
단계 2에서 AMF는 SIM-1의 N1 NAS 연결로 SIM-2에 대한 N1 NAS Notification을 보낸 뒤, Timer (예를 들어 T3565)를 구동시킬 수 있다. AMF는 이 Timer를 SIM-1의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MM)의 Context로 판단하여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SIM-1 단말로부터 N1 NAS Notification에 대한 응답이 오거나 혹은 SIM-2 단말로부터 Service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해당 Timer를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AMF는 Timer를 구동시킬 때, SIM-2에 대한 NAS 메시지 수신을 함께 판단해야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flag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MF는 SIM-1의 MM Context로 구동한 Timer를 SIM-2의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동작으로 Timer를 정지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SIM-1의 N1 NAS Notification이나 SIM-2의 Service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AMF는 Timer를 멈추고,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로, AMF는 timer 만료 시까지 N1 NAS Notification 응답이 수신되지 않거나, SIM-2의 Service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SIM-2에 대한 Paging을 수행하거나, SIM-1의 N1 NAS 메시지로 다시 N1 NAS Notific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로, AMF는 SIM-2에 대한 페이징 동작이 실패했다고 판단, 즉 SIM-2가 Unreachable하다고 판단하고, 이를 SMF에 알려서 Downlink Data를 해당 단말이 수신할 수 없음을 알린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로 AMF는 이 Timer를 SIM-2의 Mobility Management의 Context로 적용하여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SIM-1 단말로부터 N1 NAS Notification에 대한 응답이 오거나 혹은 SIM-2 단말로부터 Service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해당 Timer를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AMF는 Timer를 구동시킬 때, SIM-1에 대한 NAS 메시지 수신을 함께 판단해야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MF는 SIM-2의 MM Context로 구동한 Timer를 SIM-1의 N1 NAS Notification에 대한 응답, 또는 SIM-2의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동작으로 Timer를 정지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SIM-1의 N1 NAS Notification이나 SIM-2의 Service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AMF는 Timer를 멈추고,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로, AMF는 timer 만료 시까지 SIM-1으로부터 N1 NAS Notification 응답이 수신되지 않거나, SIM-2의 Service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SIM-2에 대한 Paging을 수행하거나, SIM-1의 N1 NAS 메시지로 다시 N1 NAS Notific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로, AMF는 SIM-2에 대한 페이징 동작이 실패했다고 판단, 즉 SIM-2가 Unreachable하다고 판단하고, 이를 SMF에 알려서 Downlink Data를 해당 단말이 수신할 수 없음을 알린다.
단계 3에서 단말은 단계 1에 따른 N1 NAS Notification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은 SIM-2에 대해서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SIM-2에 해당하는 UE context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결정(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선순위에 기반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방식(서비스(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별로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문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말은 이 Notification에 응답을 할지, 즉 SIM-2로 Service request를 보낼지, 아니면 SIM-2에 응답하지 않고 계속 SIM-1의 연결을 유지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단말 내 설정된 SIM-1과 SIM-2에 대한 우선순위, 혹은 단말이 이용하는 서비스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IM-1에서 이용 중인 서비스가 우선순위가 높은 서비스라면, SIM-2로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발생해도 응답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는 SIM-1에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데, SIM-2에 대한 서비스가 더 우선순위가 높다면 단말은 SIM-2로 응답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SIM-1의 연결을 계속 유지하고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결정하였으면, N1 NAS Notification에 대한 응답으로 SIM-2로 스위칭 하지 않을 것임을 AMF에 알릴 수 있다. AMF는 이를 수신하면, N1 NAS notification을 수행했던 다운링크 데이터/시그널링 발생에 대해서 더이상 단말에게 SIM-2에 대해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도착했다는 것을 알리지 않는다. AMF는 다음 다운링크 데이터 혹은 시그널링이 발생했을 때 다시 N1 NAS notif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4에서 단계 3에 따라 SIM-2에 대한 페이징에 응답하기로 결정한 단말은 SIM-2의 정보를 이용해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AMF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ervice Request에는 SIM-2의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5에서 AMF는 단계 2에서 구동한 Timer가 만료되기 전에 SIM-2에 대한 Service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SIM-1의 N1 연결을 해제하는 절차를 시작하도록 판단(결정)할 수 있다. 단말이 SIM-2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보냈기 ‹š문에, SIM-1에 대한 연결은 더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단계 6에서 단계 5에 따라 단말의 SIM-1 연결을 해제하기로 결정한 AMF는 기지국에 N2 UE Context Release Command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메시지는 AMF가 기지국에게 단말의 연결을 해제하라고 요청하는 메시지다. 이를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의 SIM-1에 대한 RRC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단말은 이미 SIM-2에 대한 RRC 연결을 수립했기 때문에 기지국은 단말과 RRC 연결 해제 절차를 수행할 수 없으며, 따라서 Locally 단말의 RRC 연결을 해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 예의 다른 세부적인 실시 예로, 단말은 SIM-1의 N1 NAS 연결로 전송된 SIM-2에 대한 N1 NAS Notification(즉 SIM-2 단말에게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발생했다는 것을 알리는 Notification)에 대해서 항상 응답을 보내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단말은 SIM-1의 N1 NAS 연결로 수신한 SIM-2에 대한 N1 NAS Notification에 대해서 어떤 응답을 보낼지 결정해야 한다. 단말은 SIM-2로 Switching할지, 혹은 SIM-1의 연결을 유지하고 SIM-2로의 Switching은 거절할지 식별(판단)할 수 있다. 이는 단말 내 설정된 SIM-1과 SIM-2에 대한 우선순위, 혹은 단말이 이용하는 서비스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우선순위를 기반 또는 사용자의 선택으로 식별(판단)될 수 있다. 단말은 판단 결과를 AMF에 알리기 위하여 N1 NAS Notification Response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단말은 SIM-2로 Switching 할 것으로 결정했다면, SIM-2로 Switching 한다는 것을 알리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N1 NAS Notification Response 메시지를 AMF에게 보낼 수 있다. 단말은 N1 NAS Notification Response를 보낸 후, SIM-2에 대한 Service Request를 단계 4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SIM-1의 연결을 유지할 것으로 결정했다면, SIM-1의 연결을 유지한다는 것을 알리는 식별자, 또는 SIM-2로의 Switching을 거절한다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N1 NAS Notification Response 메시지를 AMF에게 보낼 수 있다.
N1 NAS Notification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 AMF는 단말의 동작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SIM-2로 Switching 할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MF는 단계 5와 단계 6에 따라 SIM-1의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을 기지국과 수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 예>
도 4는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다른 SIM으로 서비스를 받게 할 때 기존 SIM의 연결을 RRC-Inactive로 천이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때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기에 앞서 먼저, 본 개시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SIM-1과 SIM-2를 모두 지원하는 MUSIM 단말은 SIM-1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을 수 있다. AMF는 단말이 SIM-1으로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SIM-2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SIM-2에 대한 PDU Session을 관리하는 SMF가 SIM-2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가 발생하면 AMF로 단말을 깨워달라는 요청을 보낼 수 있고, 이에 따라 AMF는 SIM-2 단말을 페이징 해야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왜냐하면, SIM-2 단말은 AMF입장에서 IDLE 상태이기 때문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MF는 SIM-2에 대해서 전송해야할 시그널링이 발생하면 SIM-2 단말을 페이징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AMF는 SIM-2에 대한 다운링크 Data 혹은 Signaling이 발생했으면, SIM-1과 SIM-2에 대한 혹은 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를 파악한 뒤, SIM-2에 대한 Paging을 할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AMF는 SIM-2에 대한 Paging을 하기로 결정했으면 해당 단말 및 해당 단말을 서빙하는 기지국이 RRC-Inactive를 지원하는지 식별(판단)할 수 있다. AMF는 기지국으로부터 N2 Notification (RRC-Inactive로 천이)을 수신한 적이 있다면, 해당 단말이 해당 기지국에서 RRC-Inactive를 이용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MF는 MUSIM 단말에 대해서 RRC-Inactive Transition Report Request를 반드시 기지국에 요청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이 요청은 Initial UE Context Setup 혹은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기지국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에게 RRC-Inactive를 적용한 뒤 AMF에게 단말이 RRC-Inactive로 천이했다는 것을 AMF에 알릴 수 있다. AMF는 이를 수신하고, 해당 기지국에서 해당 단말이 RRC-Inactive를 지원한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AMF가 RRC-Inactive Transition Report Request를 요청했을 때, 이에 대한 가능/불가능을 결정하여 AMF에게 응답할 수 있다. 기지국이 해당 단말에게 RRC-Inactive 기능을 적용할 수 없으면, 기지국은 RRC-Inactive 적용이 불가하다는 식별자를 AMF에게 전달할 수 있다.
AMF는 상기와 같이 단말이 RRC-Inactive를 적용할 수 있는 단말인지 판단한 후, 단계 1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AMF는 단말이 RRC-Inactive를 적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지 않고 단계 1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1에서 AMF는 SIM-1의 N1 NAS 연결을 이용하여 SIM-2에 대한 페이징이 발생했음을 N1 NAS Notification 메시지를 통해 UE의 SIM-2에게 알릴 수 있다. AMF는 상기 N1 NAS Notification 메시지에 단말이 SIM-2에 해당하는 Paging 혹은 데이터/시그널링 발생에 대한 notification임을 식별할 수 있는 SIM-2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IM-2의 GUTI 혹은 SIM-2 Context를 지칭할 수 있는 다른 ID 형식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AMF는 단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N1 NAS Notification을 포함한 N2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보낼 때 ‘단말을 RRC-Inactive로 천이하라’는 Ind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AMF는 단말이 SIM-2에 대해서 발생한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도록 N1 NAS Notification을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단말이 SIM-2로 Service Request를 요청한다면 단말의 SIM-1 연결을 계속 유지할 필요가 없다. 이런 경우 AMF는 기지국이 SIM-1의 단말의 연결을 RRC-Inactive 상태로 천이하여 무선자원을 절약하게 할 수 있다. 기지국은 AMF로부터 N1 NAS Notification을 수신한 후, 이를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은 AMF로부터 수신한 ‘단말을 RRC-Inactive로 천이하라’는 Indication을 수신한 뒤, 이에 따라 단말의 RRC 연결을 Inactive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절차를 단계 2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계 2를 수행하기 전에 단계 1에서 수신한 N1 NAS 메시지를 단말에게 먼저 전달할 수 있다.
단계 2에서 기지국은 AMF가 단계 1에서 보낸 Indication에 따라 SIM-1에 대한 단말을 RRC-Inactive로 보내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RRC Release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하며, 이 때 Suspend Configuration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의 RRC 연결을 Inactive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Suspend Configuration 정보에는 단말이 RRC 연결을 Resume할 때 사용할 수 있는 Resume ID, 또는 기지국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한 RAN Notification Area, 또는 paging 타이밍을 위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3에서 SIM-1에 대한 단말의 RRC 연결을 Inactive로 천이한 기지국은 단계 3에 따라 AMF에 SIM-1에 대한 단말이 RRC-Inactive로 천이했음을 알릴 수 있다.
단계 4에서 단말은 단계 1에서 N1 NAS Notification 메시지를 수신한 상태이므로, 이를 수신한 단말은 SIM-2에 대해서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단계 4에서 SIM-2에 해당하는 UE context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이 Notification에 응답을 할지, 즉 SIM-2로 Service request를 보낼지, 아니면 SIM-2에 응답하지 않고 계속 SIM-1의 연결을 유지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단말 내 설정된 SIM-1과 SIM-2에 대한 우선순위, 혹은 단말이 이용하는 서비스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판단(또는 식별 또는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IM-1에서 이용 중인 서비스가 우선순위가 높은 서비스라면, SIM-2로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발생해도 응답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는 SIM-1에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데, SIM-2에 대한 서비스가 더 우선순위가 높다면 단말은 SIM-2로 응답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단계 5에서 단계 4의 결정에 기반하여 SIM-2에 대한 페이징에 응답하기로 결정한 단말은 SIM-2의 정보를 이용해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AMF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ervice Request 메시지에는 SIM-2의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SIM-2에 대해서 RRC-Inactive 상태였다면, RRC Resume 절차를 수행하며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AMF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말은 단계 6에서 SIM-1의 연결을 계속 유지하고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결정하였으면, 단계 7에서 SIM-1의 RRC 연결을 Resume하기 위한 RRC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AMF에 SIM-1에 대한 단말이 RRC-Connected 상태가 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를 수신한 AMF는 SIM-1에 대한 단말이 다시 네트워크에 접속했음을 알게되고, SIM-1의 단말에게 계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MF는 단계 1에 따라 N1 NAS notification을 수행했던 다운링크 데이터/시그널링 발생에 대해서 더이상 단말에게 SIM-2에 대해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도착했다는 것을 알리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AMF는 다음 다운링크 데이터 혹은 시그널링이 발생했을 때 다시 N1 NAS notif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제 4 실시 예>
도 5는 본 개시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다른 SIM으로 서비스를 받게 할 때 기존 SIM의 연결을 RRC-Inactive로 천이하는 보다 효과적인 절차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기에 앞서 본 개시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SIM-1과 SIM-2를 모두 지원하는 MUSIM 단말은 SIM-1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을 수 있다. AMF는 단말이 SIM-1으로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SIM-2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SIM-2에 대한 PDU Session을 관리하는 SMF가 SIM-2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가 발생하면 AMF로 단말을 깨워달라는 요청을 보낼 수 있고, 이에 따라 AMF는 SIM-2 단말을 페이징 해야한다고 판단(또는 결정 또는 식별)할 수 있다. 왜냐하면 SIM-2 단말은 AMF 입장에서 IDLE 상태이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 AMF는 SIM-2에 대해서 전송해야할 시그널링이 발생하면 SIM-2 단말을 페이징하도록 결정(또는 판단 또는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4 실시 예에 따라 AMF는 SIM-2에 대한 다운링크 Data 혹은 Signaling이 발생했으면, SIM-1과 SIM-2에 대한 혹은 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를 파악한 뒤, SIM-2에 대한 Paging을 할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AMF는 SIM-2에 대한 Paging을 하기로 결정했으면 해당 단말 및 해당 단말을 서빙하는 기지국이 RRC-Inactive를 지원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AMF는 기지국으로부터 N2 Notification (RRC-Inactive로 천이)을 수신한 적이 있다면, 해당 단말이 해당 기지국에서 RRC-Inactive를 이용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AMF는 MUSIM 단말에 대해서 RRC-Inactive Transition Report Request를 반드시 기지국에 요청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이 요청은 Initial UE Context Setup 혹은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기지국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에게 RRC-Inactive를 적용한 뒤 AMF에게 단말이 RRC-Inactive로 천이했다는 것을 AMF에 알릴 수 있다. AMF는 이를 수신하고, 해당 기지국에서 해당 단말이 RRC-Inactive를 지원한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기지국은 AMF가 RRC-Inactive Transition Report Request를 요청했을 때, 이에 대한 가능/불가능을 결정하여 AMF에게 응답할 수 있다. 기지국이 해당 단말에게 RRC-Inactive 기능을 적용할 수 없으면, 기지국은 RRC-Inactive 적용이 불가하다는 식별자를 AMF에게 전달할 수 있다.
AMF는 상기와 같이 단말이 RRC-Inactive를 적용할 수 있는 단말인지 판단한 후, 도 5의 단계 1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AMF는 단말이 RRC-Inactive를 적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지 않고 도 5의 단계 1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1에서 AMF는 SIM-1의 N1 NAS 연결을 이용하여 SIM-2에 대한 페이징이 발생했음을 N1 NAS Notification 메시지를 통해 SIM-2에게 알릴 수 있다. AMF는 상기 N1 NAS Notification 메시지에 단말이 SIM-2에 해당하는 Paging 혹은 데이터/시그널링 발생에 대한 notification임을 식별할 수 있는 SIM-2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IM-2의 GUTI 혹은 SIM-2 Context를 지칭할 수 있는 다른 ID 형식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4 실시 예에 따라 AMF는 단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N1 NAS Notification을 포함한 N2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보낼 때 ‘단말을 RRC-Inactive로 천이하라’는 Ind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AMF는 단말이 SIM-2에 대해서 발생한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도록 N1 NAS Notification을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단말이 SIM-2로 Service Request를 요청한다면 단말의 SIM-1 연결을 계속 유지할 필요가 없다. 이런 경우 AMF는 기지국이 SIM-1의 단말의 연결을 RRC-Inactive 상태로 천이하여 무선자원을 절약하게 할 수 있다. 기지국은 AMF로부터 수신한 ‘단말을 RRC-Inactive로 천이하라’는 Indication을 수신한 뒤, 이에 따라 단말의 RRC 연결을 Inactive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절차를 아래의 단계 2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
단계 2에서 기지국은 AMF가 단계 1에서 보낸 Indication에 따라 SIM-1에 대한 단말을 RRC-Inactive로 보내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잇다. 기지국은 RRC Release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하며, 이 때 연기 구성(Suspend Configuration)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의 RRC 연결을 비활성화(Inactive)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Suspend Configuration 정보에는 단말이 RRC 연결을 재개(Resume)할 때 사용할 수 있는 Resume ID, 또는 기지국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한 RAN Notification Area, 또는 paging 타이밍을 위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4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상기 RRC Release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달할 때, 단계 1에서 AMF로부터 수신한 N1 NAS Notification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SIM-1에 대한 단말의 RRC 연결을 Inactive로 천이한 기지국은 단계 3에 따라 AMF에 SIM-1에 대한 단말이 RRC-Inactive로 천이했음을 알릴 수 있다.
단계 4에서 단말은 단계 2에 따라 RRC-Inactive로 천이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서, 이 메시지에 포함된 N1 NAS Notification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N1 NAS Notification 메시지를 보고 SIM-2에 대해서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SIM-2에 해당하는 UE context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이 Notification에 응답을 할지, 즉 SIM-2로 Service request를 보낼지, 아니면 SIM-2에 응답하지 않고 계속 SIM-1의 연결을 유지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지 결정(판단 또는 식별)할 수 있다. 이는 단말 내 설정된 SIM-1과 SIM-2에 대한 우선순위, 혹은 단말이 이용하는 서비스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IM-1에서 이용 중인 서비스가 우선순위가 높은 서비스라면, SIM-2로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발생해도 응답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는 SIM-1에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데, SIM-2에 대한 서비스가 더 우선순위가 높다면 단말은 SIM-2로 응답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게 문의하여 사용자의 결정에 기반하여 SIM-2로 응답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모든 상황의 결정을 포함하는 형태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5에서 단계 4에 따라 SIM-2에 대한 페이징에 응답하기로 결정한 단말은 SIM-2의 정보를 이용해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AMF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ervice Request에는 SIM-2의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SIM-2에 대해서 RRC-Inactive 상태였다면, RRC Resume 절차를 수행하며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AMF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말은 단계 6에서 SIM-1의 연결을 계속 유지하고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결정하였으면, 단계 7에서 SIM-1의 RRC 연결을 Resume하기 위한 RRC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AMF에 SIM-1에 대한 단말이 RRC-Connected 상태가 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를 수신한 AMF는 SIM-1에 대한 단말이 다시 네트워크에 접속했음을 알게되고, SIM-1의 단말에게 계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MF는 단계 1에 따라 N1 NAS notification을 수행했던 다운링크 데이터/시그널링 발생에 대해서 더이상 단말에게 SIM-2에 대해 다운링크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도착했다는 것을 알리지 않는다. AMF는 다음 다운링크 데이터 혹은 시그널링이 발생했을 때 다시 N1 NAS notif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단말은 송수신부(610), 메모리(620), 프로세서(630), 제1 SIM(631) 및 제2 SIM(63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의 통신 방법에 따라 단말의 송수신부(610), 메모리(620), 프로세서(630), 제1 SIM(631) 및 제2 SIM(632)이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단말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제1 SIM(631) 및 제2 SIM(632)에 대해서만 개시되어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N개의 SIM(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630), 송수신부(610) 및 메모리(62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610)는 단말의 수신부와 단말의 송신부를 통칭한 것으로 기지국과 설정된 통신 규약 및 신호 대역으로 앞서 상술한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6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610)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송수신부(610)의 구성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수신부(6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63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6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20)는 단말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63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6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3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를 위한 CP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하나의 Core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둘 이상의 코어를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는 필요한 경우 AP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AP는 경우에 따라 송수신부(6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 1 SIM(631) 및 제 2 SIM(632)은 이동통신 사업자의 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제어 모듈일 수 있다. 프로세서(630)는 제 1 SIM(6310)을 이용하여 소정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30)는 제 2 SIM(632)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10), 제어부(711), 송수신부(712) 및 메모리(713)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10)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상위의 노드 즉, 이동통신 코어의 각종 네트워크 기능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10)는 UPF, AMF 등의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712)는 특정한 주파수 대역의 에어(air) 상으로 단말과 미리 설정된 방식 예를 들어 5G 이동통신 방식 또는 LTE 또는 LTE-A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송수신부(712)는 단말과 데이터 또는/및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증폭기, 믹서, 저잡음 필터, 변/복조기, 모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송수신부(712)는 송신할 데이터 또는/및 신호의 부호화/변조/대역 상승 변환을 수행하고, 소정의 값으로 증폭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때, MIMO 기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송수신부(712)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대역 하강 변환/복조/복호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711)로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71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그 외에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11)는 이상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들에 따라 단말 또는/및 네트워크 엔티티와 데이터/신호의 송신 및 수신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논리적 또는/및 물리적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네트워크 엔티티(network entity)는 송수신부(810), 메모리(820), 프로세서(8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네트워크 엔티티의 통신 방법에 따라 네트워크 엔티티의 프로세서(830), 송수신부(810) 및 메모리(820)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는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830), 송수신부(810) 및 메모리(78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위에서 설명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 PCF(Policy and Charging Function), NEF(Network Exposure Function), UDM(Unified Data Management), UPF(User Plane Function) 등의 네트워크 기능(NF, Network Fun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810)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수신부와 네트워크 엔티티의 송신부를 통칭한 것으로 단말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810)는 유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20)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820)는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82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83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엔티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8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UE
101, 631, 632 : SIM
111: NG-RAN
112 : AMF
121, 122: SMF
131, 132: PSA UPF
610: 송수신부
620: 메모리
630: 프로세서
7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711: 제어부
712: 송수신부
713: 메모리
810: 송수신부
820: 메모리
830: 프로세서

Claims (1)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시간에 복수의 사용자 정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1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142141A 2019-11-07 2019-11-0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갖는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210055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141A KR20210055542A (ko) 2019-11-07 2019-11-0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갖는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141A KR20210055542A (ko) 2019-11-07 2019-11-0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갖는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542A true KR20210055542A (ko) 2021-05-17

Family

ID=76158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141A KR20210055542A (ko) 2019-11-07 2019-11-0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갖는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55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3097A1 (en) * 2021-07-07 2023-01-12 Cisco Technology, Inc. Providing session continuity for parallel sessions involving a multiple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er equip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3097A1 (en) * 2021-07-07 2023-01-12 Cisco Technology, Inc. Providing session continuity for parallel sessions involving a multiple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er equipment
US11785662B2 (en) 2021-07-07 2023-10-10 Cisco Technology, Inc. Providing session continuity for parallel sessions involving a multiple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er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4330B (zh) 用于通过使用切片向终端提供网络服务的方法和装置
US118188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ervice relia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47753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時間又はサービス地域による端末のセッション設定管理方法及び装置
US116171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th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04085A1 (en) Direct communication sess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21837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가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295265A1 (en)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device using plurality of sims
EP40210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13389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i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5362699A (zh) 无线通信系统中根据用户设备策略应用的会话管理方法
CN114731735A (zh) 在无线通信系统中提供服务的方法和装置
KR20210055542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갖는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US119246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 management for group event monitoring
US202102436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changes in coverage enhancement usage in a network
CN114830760A (zh) 无线通信系统中的寻呼方法和装置
KR20210144207A (ko) 사용자 가입자 데이터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한 커넥티비티 제공 네트워크 검색 및 선택 방법 및 장치
CN114982371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修改pdu会话和始终在线pdu会话的方法和装置
KR20210125389A (ko) Target AF로 Notification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16321110B (zh) 服务订阅方法、装置、服务提供网元及存储介质
US119976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th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22750A (ko) NPN를 위한 UDM Update Data 지원 방안
KR2021008838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U Session 및 Always-on PDU Session의 변경 방법 및 장치
JP2024519444A (ja) ワイヤレス通信の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KR20210055561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03941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