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595A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edium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595A
KR20240002595A KR1020220079965A KR20220079965A KR20240002595A KR 20240002595 A KR20240002595 A KR 20240002595A KR 1020220079965 A KR1020220079965 A KR 1020220079965A KR 20220079965 A KR20220079965 A KR 20220079965A KR 20240002595 A KR20240002595 A KR 20240002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ck plate
support
media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9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슬해
서창호
김석원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9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595A/en
Publication of KR20240002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5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009Depositing devices
    • G07D11/0093Drop bo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매체 입출금 장치가 개시된다.
이 매체 입출금 장치는 매체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와, 본체의 전방측 벽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와, 본체의 후방측 벽면을 형성하는 백 플레이트 유닛과, 수납공간을 상기 매체의 입금공간과 출금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프론트 플레이트와 백 플레이트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백 플레이트 유닛은 본체의 후방부에 고정 설치되는 플레이트 서포트와, 출금공간을 향해 경사지도록 플레이트 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백 플레이트와, 주변 브라켓과 충돌이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서포트의 충돌 지점에 마련되는 신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 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is launched.
This 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includes a main body that provides storage space for media, a front plate that forms the front wall of the main body, a back plate unit that forms the rear wall of the main body, and a storage space that serves as a deposit space and withdrawal space for the media. It includes a plate that is movably install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to divide it into spaces, and the back plate un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late support so that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rear part of the main body and inclined toward the withdrawal space. It may include a back plate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at a collision point of the plate support that collides with a surrounding bracket.

Description

매체 입출금 장치{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EDIUM}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EDIUM}

본 발명은 매체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는 시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대부분의 금융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In general, automated financial devices are devices that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provide services related to most financial services, excluding consultation services, unmanned and without time constraints.

종래 금융자동화기기는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부와, 입출금부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가 이송되는 반송로 상에 구비되어 지폐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감별부와, 감별부의 감별 결과 정상권으로 판별된 지폐가 일시 저장되는 일시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Conventional financial automated machines include a deposit/withdrawal unit for inserting or receiving banknotes, a discrimination unit provided on the return path through which bills deposited and withdrawn through the deposit/withdrawal unit are transferred, and a discri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banknote, and as a result of discrimination by the discrimination unit, a bill is determined to be normal. It may include a temporary storage unit where banknotes are temporarily stored.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부에는 셔터의 개방시, 입금 지폐를 투입하거나 출금 지폐를 수취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된다. 이 수납공간에는 수납공간 전방측 벽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와,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되어 수납공간 후방측 벽면을 형성하는 백 플레이트와, 프론트 플레이트와 백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수납공간을 입금공간과 출금공간을 구획하는 푸시 플레이트가 구비된다.When the shutter is opened, a storage space is provided in the deposit/withdrawal unit of the automated financial machine where deposited bills can be inserted or withdrawn bills can be received. This storage space includes a front plate that forms the front wall of the storage space, a back plate that is located behind the front plate and forms the rear wall of the storage space,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to transform the storage space into a deposit space and a deposit space. A push plate is provided to partition the withdrawal space.

그런데 지폐가 백 플레이트 및 푸시 플레이트 사이의 출금공간으로 스택될 때, 출금공간에 스택되는 지폐의 양이 많으면, 백 플레이트와 이 백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배치된 브라켓(일 예로, 센서 브라켓) 간에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출금공간에 스택되는 지폐의 양이 많으면, 지폐의 스택을 위한 공간이 출금공간 내에 부족할 수 있으므로, 출금하고자 하는 지폐의 전체 양이 출금공간에 스택되지 못할 수 있다.However, when bills are stacked into the withdrawal space between the back plate and the push plate, if the amount of bills stacked in the withdrawal space is large, a collision may occur between the back plate and a bracket placed adjacent to the back plate (for example, a sensor bracket). It can happen. And if the amount of bills stacked in the withdrawal space is large, the space for the stack of bills may not be enough in the withdrawal space, so the entire amount of bills to be withdrawn may not be stacked in the withdrawal space.

공개특허공보 10-2017-0033018호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3301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매체의 스택이 이루어지는 출금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매체 입출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 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that can stably secure a withdrawal space where media stacks are ma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매체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측 벽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후방측 벽면을 형성하는 백 플레이트 유닛; 및 상기 수납공간을 상기 매체의 입금공간과 출금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백 플레이트 유닛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백 플레이트 유닛은 상기 본체의 후방부에 고정 설치되는 플레이트 서포트; 상기 출금공간을 향해 경사지도록 상기 플레이트 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백 플레이트; 및 주변 브라켓과 충돌이 이루어지는 상기 플레이트 서포트의 충돌 지점에 마련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매체 입출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providing a storage space for media; a front plate forming a front wall of the main body; a back plate unit forming a rear wall of the main body; and a push plate movably install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unit to divide the storage space into a deposit space and a withdrawal space for the media, wherein the back plate unit is fixedly install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plate support; a back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plate support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withdrawal space; And a 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including an elastic member provided at a collision point of the plate support where a collision occurs with a surrounding bracket.

또한, 상기 백 플레이트 유닛은 상기 신축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서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신축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ack plate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spring disposed between the elastic member and the plate support to elastically support the elastic member.

또한, 상기 신축부재는 측벽이 주름지게 형성되는 원추 형태의 자바라부; 상기 자바라부의 중앙에 연결되는 지지부; 및 상기 자바라부가 상기 플레이트 서포트의 두께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측부에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 cone-shaped bellows portion whose side walls are wrinkled; A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bellows part; And the bellows portion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of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be guid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support.

또한,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서포트의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lastic member may be provided in plural pieces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top of the plate support.

또한,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서포트가 상기 주변 브라켓에 충돌될 때에도, 상기 플레이트 서포트의 평면상에서 적어도 돌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lastic member may at least protrude on the plane of the plate support even when the plate support collides with the peripheral bracket.

또한, 상기 백 플레이트는 플레이트부; 상기 신축부재가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착홈부; 및 상기 플레이트 서포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힌지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ack plate includes a plate portion; a mounting groov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 portion to allow the elastic member to be installed removably; And it may include a hinge groov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plate portion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plate support.

또한,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신축부재의 가이드 돌기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부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ack plat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side of the plate portion to guide the guide protrusion of the elastic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백 플레이트와 이 백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배치된 브라켓(일 예로, 센서 브라켓) 간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of preventing direct collision between a back plate and a bracket (eg, a sensor bracket) disposed adjacent to the back pl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폐의 스택을 위한 공간을 출금공간 내에 안정적으로 확보함으로써, 출금하고자 하는 지폐의 전체 양을 출금공간에 스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dditional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of stably securing a space for a stack of bills in the withdrawal space, thereby allowing the entire amount of bills to be withdrawn to be stacked in the withdrawal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입출금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 플레이트 유닛과 푸시 플레이트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 플레이트 유닛의 백 플레이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매체가 출금공간에 추가적으로 스택될 때, 도 2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back plate unit and a push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back plate of a back plat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ure 2 when media are additionally stacked in the withdrawal spa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mentioned as being 'connected', 'supported', 'connected', 'supplied', 'delivered', or 'contacted' with another component, it is directly connected, supported,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It may be supplied, delivered, or contacted,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expressions such as upper, lower, and side in this specification are expla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if the direction of the object in question changes. For the same reas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dditionally,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As used in the specification, the meaning of "comprising" is to specify a specific characteristic, area,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to specify another specific property, area,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입출금 장치(10)는, 본체(100), 프론트 플레이트(200), 백 플레이트(320) 유닛(300) 및 푸시 플레이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front plate 200, a back plate 320, a unit 300, and a push plate 400. ) may include.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매체가 수용 가능한 수납공간(S)을 제공할 수 있다. 수납공간(S)은 입금된 매체의 수용이 이루어지는 입금공간(S1)과, 출금될 매체의 수납이 이루어지는 출금공간(S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입금공간(S1)은 본체(100)의 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고, 출금공간(S2)은 본체(100)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ain body 100 may provide a storage space (S) that can accommodate media. The storage space (S) may include a deposit space (S1) where deposited media is accommodated, and a withdrawal space (S2) where media to be withdrawn is stored. In this embodiment, the deposit space S1 may b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withdrawal space S2 may b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본체(100)의 전방부에는 입금된 매체의 낱장 분리를 위한 픽업 롤러(410), 피드 롤러(430), 가이드 롤러(440)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의 후방부에는 출금될 매체의 스택을 위한 핀치 롤러(450) 및 스택 롤러(4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피드 롤러(430), 가이드 롤러(440), 핀치 롤러(450) 및 스택 롤러(460) 구성은, 통상의 매체 입출금 장치에 적용되는 피드 롤러, 가이드 롤러, 핀치 롤러 및 스택 롤러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 pickup roller 410, a feed roller 430, and a guide roller 440 for separating sheets of deposited media.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 pinch roller 450 and a stack roller 460 for stacking media to be dispensed. The configurations of these feed rollers 430, guide rollers 440, pinch rollers 450, and stack rollers 460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s of feed rollers, guide rollers, pinch rollers, and stack rollers applied to typical media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s. ,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omitted.

또한, 본체(100)의 전방부에는 프론트 플레이트(200)가 설치될 수 있고, 본체(100)의 후방부에는 백 플레이트(320) 유닛(300)이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0)의 수납공간(S)에는 프론트 플레이트(200) 및 백 플레이트(320) 유닛(30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푸시 플레이트(400)가 설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a front plate 20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100, and a back plate 320 unit 300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part of the main body 100. A push plate 400 movable between the front plate 200 and the back plate 320 unit 300 may be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S of the main body 100.

프론트 플레이트(200)는 본체(100)의 전방측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매체가 고객에 의해 수납공간(S)으로 입금될 때, 프론트 플레이트(200)는 푸시 플레이트(400)와 함께, 매체의 입금공간(S1)을 제공할 수 있다. The front plate 200 may form the front wall of the main body 100. When media is deposited into the storage space (S) by a customer, the front plate 200, together with the push plate 400, may provide a deposit space (S1) for the media.

백 플레이트(320) 유닛(300)은 본체(100)의 후방측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백 플레이트(320) 유닛(300)은 푸시 플레이트(400)와 함께, 매체의 출금을 위한 출금공간(S2)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백 플레이트(320) 유닛(300)은 플레이트 서포트(310), 백 플레이트(320), 신축부재(330) 및 탄성스프링(34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ack plate 320 unit 300 may form the rear wall of the main body 100. The back plate 320 unit 300, together with the push plate 400, may provide a withdrawal space S2 for dispensing media. This back plate 320 unit 300 may include a plate support 310, a back plate 320, an elastic member 330, and an elastic spring 340.

백 플레이트(320) 유닛(300)의 플레이트 서포트(310)는 본체(100)의 후방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 서포트(310)는 본체(100)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서포트부(311)와, 서포트부(311)의 하부에 마련되는 힌지축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축부(312)에는 백 플레이트(320)의 힌지홈부(3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late support 310 of the back plate 320 unit 300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he plate support 310 may include a support part 311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and a hinge shaft part 312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311. The hinge groove portion 323 of the back plate 3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shaft portion 312.

플레이트 서포트(310)는 백 플레이트(320)의 회전 각도를 기 설정된 소정의 각도로 제한할 수 있다. 일 예로, 백 플레이트(320)가 회전될 때, 백 플레이트(320)는 기 설정된 소정의 각도에서 플레이트 서포트(310)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The plate support 310 may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 plate 320 to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when the back plate 320 is rotated, the back plate 320 may be interfered with by the plate support 310 at a predetermined angle.

백 플레이트(320)는 매체가 출금공간에 스택될 때, 출금공간에 대한 매체의 투입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에서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다. 백 플레이트(320)는 플레이트 서포트(3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백 플레이트(320)는 자중에 의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When the media is stacked in the dispensing space, the back plate 320 may provide an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of the medium into the dispensing space. Since the back plate 3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plate support 310, the back plate 320 can maintain an inclined posture at a predetermined angle due to its own weight.

백 플레이트(320)는 플레이트부(321), 장착홈부(322), 힌지홈부(323) 및 가이드 홈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321)는 평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321)의 상부에는 장착홈부(322)가 형성될 수 있고, 플레이트부(321)의 하부에는 힌지홈부(323)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홈부(322)에는 신축부재(330)가 입출가능한 수용홈을 제공할 수 있다. 장착홈부(322)에는 신축부재(33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340)이 수용될 수 있The back plate 320 may include a plate portion 321, a mounting groove portion 322, a hinge groove portion 323, and a guide groove portion 324. The plate portion 32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 mounting groove 322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plate part 321, and a hinge groove part 323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plate part 321. The mounting groove portion 322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elastic member 330 can enter and exit. The mounting groove 322 can accommodate an elastic spring 340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elastic member 330.

백 플레이트(320)의 힌지홈부(323)는 플레이트 서포트(310)의 힌지축부(312)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320)는 힌지홈부(323)를 회전축으로 하여 플레이트 서포트(310)에서 회전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320)의 상부는 플레이트 서포트(310)의 상부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hinge groove portion 323 of the back plate 320 may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hinge shaft portion 312 of the plate support 310. The back plate 320 can be rotated on the plate support 310 using the hinge groove 323 as a rotation axis. The upper part of the back plate 320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or closer to the upper part of the plate support 310.

가이드 홈부(324)는 신축부재(3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신축부재(330)가 백 플레이트(320)의 장착홈부(322)에서 입출될 때, 가이드 홈부(324)는 신축부재(330)의 가이드 돌기부(333)를 플레이트부(321)의 두께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 가이드 홈부(324)는 플레이트부(321)의 측부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홈일 수 있다.The guide groove portion 324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elastic member 330. In more detail, when the elastic member 330 enters and exits the mounting groove 322 of the back plate 320, the guide groove 324 connects the guide protrusion 333 of the elastic member 330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portion 321. We can guide you in the direction. This guide groove portion 324 may be a long groov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ide of the plate portion 321.

신축부재(330)는 주변 브라켓(110)과 충돌이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서포트(310)의 충돌 지점에 마련되어 충격을 방지하도록 신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축부재(330)는 주변 브라켓(110)과 대향되는 플레이트 서포트(310)에 위치될 수 있다. 신축부재(330)는 플레이트 서포트(310)가 주변 브라켓(110)에 충돌을 완충할 수 있다. 이러한 신축부재(330)는 백 플레이트(320)보다 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거나, 백 플레이트(320)보다 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330 is provided at a collision point of the plate support 310 where a collision occurs with the surrounding bracket 110 and can expand and contract to prevent impact. In other words, the elastic member 330 may be located on the plate support 310 opposite the peripheral bracket 110. The elastic member 330 can cushion the impact of the plate support 310 against the surrounding bracket 110. This elastic member 33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more flexible than the back plate 320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more elastic than the back plate 320.

신축부재(330)는 플레이트 서포트(310)가 주변 브라켓(110)에 충돌될 때에도, 플레이트 서포트(310)의 평면상에서 적어도 돌출될 수 있다. 주변 브라켓(110)과의 충돌시, 신축부재(330)가 플레이트 서포트(310)의 평면상에서 돌출되면, 플레이트 서포트(310)는 플레이트 서포트(310)에서 소정 각도 경사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330 may at least protrude from the plane of the plate support 310 even when the plate support 310 collides with the surrounding bracket 110. When the elastic member 330 protrudes from the plane of the plate support 310 when colliding with the surrounding bracket 110, the plate support 310 may maintain a postu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본 실시예에서, 주변 브라켓(110)은 수납공간 내 매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된 센서 브라켓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며, 주변 브라켓(110)은 백 플레이트(320)의 회전시, 백 플레이트(320)와 간섭이 될 수 있는 브라켓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eripheral bracket 110 may be a sensor bracket installed with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media in the storage sp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back plate 320 rotates, the peripheral bracket 110 It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ncludes brackets that may interfere with the back plate 320.

신축부재(330)는 플레이트 서포트(310)의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신축부재(330)는 플레이트 서포트(31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신축부재(330a)와, 신축부재(330)는 플레이트 서포트(31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2 신축부재(330b)일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330 may be provided in plural pieces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plate support 310. As an example, the elastic member 330 is a first elastic member 330a disposed on one upper side of the plate support 310, and the elastic member 330 is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on one upper side of the plate support 310. It may be (330b).

각각의 신축부재(330), 다시 말해 제1 신축부재(330a) 및 제2 신축부재(330b)는 자바라부(331), 지지부(332) 및 가이드 돌기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자바라부(331)는 백 플레이트(320)와 주변 브라켓(110)이 충돌될 때,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자바라부(331)는 측벽이 주름지게 형성된 원추 형태의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elastic member 330, that is, the first elastic member 330a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330b, may include a bellows part 331, a support part 332, and a guide protrusion 333. The bellows 331 can cushion the impact when the back plate 320 and the surrounding bracket 110 collide. The bellows portion 331 may be made of a cone-shaped elastic material with wrinkled side walls.

지지부(332)는 자바라부(331)의 중앙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332)는 자바라부(331)의 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 형태일 수 있다. 지지부(332)의 외측에는 탄성스프링(340)이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32)의 측벽에는 가이드 돌기부(3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332 may be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bellows portion 331. The support portion 332 may be in the form of a support bar extending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bellows portion 331. An elastic spring 34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support portion 332. A guide protrusion 333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side wall of the support portion 332.

가이드 돌기부(333)는 지지부(332)의 측부에 돌출되어, 자바라부(331)를 플레이트 서포트(310)의 두께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신축부재(330)가 백 플레이트(320)의 장착홈부(322)에 입출될 때, 가이드 돌기부(333)는 가이드 홈부(324)는 플레이트부(321)의 가이드 홈부(324)를 따라 백 플레이트(320)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333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support part 332 and can guide the bellows part 331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support 310. When the elastic member 330 enters and exits the mounting groove 322 of the back plate 320, the guide protrusion 333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324 of the plate portion 321 to the back plate ( 320) can be mov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탄성스프링(340)은 신축부재(330)와 플레이트 서포트(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스프링(340)은 신축부재(330)의 내측에 위치되어, 신축부재(33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탄성스프링(340)은 원추 형태로 제공되는 콘형 스프링일 수 있다. 콘형 스프링은 자바라부(331)와 대응되는 형상이므로, 자바라부(331)의 내측에서 자바라부(331)를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The elastic spring 3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lastic member 330 and the plate support 310. The elastic spring 340 is located inside the elastic member 330 and can elastically support the elastic member 330. The elastic spring 340 may be a cone-shaped spring provided in a cone shape. Since the cone-shaped spring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ellows portion 331, it can stably and elastically support the bellows portion 331 from the inside of the bellows portion 331.

푸시 플레이트(400)는 프론트 플레이트(200)와 백 플레이트(32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푸시 플레이트(400)는 프론트 플레이트(200) 유닛 사이의 수납공간을 입금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고, 푸시 플레이트(400)는 백 플레이트(320) 유닛(300) 사이의 수납공간을 출금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푸시 플레이트(400)가 프론트 플레이트(200) 쪽으로 이동하면 입금공간 내에 있는 매체의 분리 동작을 보조할 수 있고, 푸시 플레이트(400)가 백 플레이트(320) 유닛(300) 쪽으로 이동하면 출금공간으로 들어오는 매체의 집적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The push plate 400 may be movably installed between the front plate 200 and the back plate 320. The push plate 400 can divide the storage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200 units into a deposit space, and the push plate 400 can divide the storage space between the back plate 320 units 300 into a withdrawal space. You can. When the push plate 400 moves toward the front plate 200, it can assist in the separation of media in the deposit space, and when the push plate 400 moves toward the back plate 320 unit 300, it can assist in the separation of media in the deposit space. It can assist in the integration operation of media.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매체 입출금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2를 참고하면, 고객에 의한 매체의 출금이 요청되면, 매체는 푸시 플레이트(400)와 백 플레이트(320) 유닛(300) 사이의 출금공간에 스택될 수 있다. 출금공간에 대한 매체의 스택량이 증가됨에 따라, 푸시 플레이트(400)는 본체(100)의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출금공간의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when withdrawal of media is requested by a customer, the media may be stacked in the withdrawal space between the push plate 400 and the back plate 320 unit 300. As the stack amount of media in the withdrawal space increases, the push plate 400 can be mov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of the withdrawal space.

도 5를 참고하면, 푸시 플레이트(400)가 본체(100)의 전방으로의 최대 이동거리까지 이동되면, 매체는 백 플레이트(320) 유닛(300)의 백 플레이트(320)를 푸시하면서, 출금공간(S2)에 스택될 수 있다. 매체가 백 플레이트(320)를 푸시하면, 백 플레이트(320)는 도 5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백 플레이트(320) 유닛(300)의 신축부재(330)는 주변 브라켓(110)과의 충돌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때, 신축부재(330)는 압축 및 탄성스프링(3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주변 브라켓(110)과의 충돌은 완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push plate 400 is moved to the maximum moving distance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the medium pushes the back plate 320 of the unit 300 to the withdrawal space. Can be stacked on (S2). When the medium pushes the back plate 320, the back plate 320 rotates counterclockwise in Figure 5, and the elastic member 330 of the back plate 320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bracket 110. A collision may occur, and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33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compression and elastic spring 340, and the collision with the surrounding bracket 110 can be cushioned.

그리고 이 신축부재(330)에 의해 백 플레이트(320)가 주변 브라켓(110)에 대해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면, 매체는 적은 푸시력으로도 백 플레이트(320)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스택을 위한 공간이 출금공간 내에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으며, 결국, 출금하고자 하는 지폐의 전체 양을 출금공간에 스택할 수 있다.And when the back plate 320 is cushioned against the surrounding bracket 110 by the elastic member 330, the medium can rotate the back plate 320 with a small pushing force, thereby creating space for the stack. This withdrawal space can be stably secured, and ultimately, the entire amount of bills to be withdrawn can be stacked in the withdrawal sp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백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배치된 브라켓 간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지폐의 스택을 위한 공간을 출금공간 내에 안정적으로 확보함으로써, 출금하고자 하는 지폐의 전체 양을 출금공간에 스택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irect collision between brackets arranged adjacent to the back plate, and by stably securing a space for a stack of bills in the withdrawal space, the entire amount of bills to be withdrawn can be stored in the withdrawal space. It has excellent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stack.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erely illustrate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technical idea by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may be possible, and all such implement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technical idea.

10 :매체 입출금 장치
100 :본체 110 :주변 브라켓
200 :프론트 플레이트 300 :백 플레이트 유닛
310 :플레이트 서포트 311 :서포트부
312 :힌지축부 320 :백 플레이트
321 :플레이트부 322 :장착홈부
323 :힌지홈부 324 :가이드 홈부
330 :신축부재 330a :제1 신축부재
330b :제1 신축부재 331 :자바라부
332 :지지부 333 :가이드 돌기부
340 :탄성스프링 410 :픽업 롤러
430 :피드 롤러 440 :가이드 롤러
450 :핀치 롤러 460 :스택 롤러
10: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100: Body 110: Surrounding bracket
200: Front plate 300: Back plate unit
310: Plate support 311: Support part
312: Hinge shaft 320: Back plate
321: Plate portion 322: Mounting groove portion
323: Hinge groove 324: Guide groove
330: Expansion member 330a: First expansion member
330b: First expansion member 331: Bellows part
332: support 333: guide protrusion
340: Elastic spring 410: Pickup roller
430: Feed roller 440: Guide roller
450: Pinch roller 460: Stack roller

Claims (7)

매체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측 벽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후방측 벽면을 형성하는 백 플레이트 유닛; 및
상기 수납공간을 상기 매체의 입금공간과 출금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백 플레이트 유닛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백 플레이트 유닛은
상기 본체의 후방부에 고정 설치되는 플레이트 서포트;
상기 출금공간을 향해 경사지도록 상기 플레이트 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백 플레이트; 및
주변 브라켓과 충돌이 이루어지는 상기 플레이트 서포트의 충돌 지점에 마련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매체 입출금 장치.
A main body that provides storage space for media;
a front plate forming a front wall of the main body;
a back plate unit forming a rear wall of the main body; and
A push plate movably install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unit to divide the storage space into a storage space and a withdrawal space for the media,
The back plate unit is
A plate support fixedly install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a back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plate support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withdrawal space; and
Including an elastic member provided at a collision point of the plate support where a collision occurs with a surrounding bracket,
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 유닛은
상기 신축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서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신축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매체 입출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ck plate unit is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spring disposed between the elastic member and the plate support to elastically support the elastic member,
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측벽이 주름지게 형성되는 원추 형태의 자바라부;
상기 자바라부의 중앙에 연결되는 지지부; 및
상기 자바라부가 상기 플레이트 서포트의 두께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측부에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부를 포함하는,
매체 입출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xpansion member is
Cone-shaped Javarabu with wrinkled side walls;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bellows portion; and
The bellows portion includes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of the support portion to be guid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 support,
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서포트의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되는,
매체 입출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xpansion member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top of the plate support,
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서포트가 상기 주변 브라켓에 충돌될 때에도, 상기 플레이트 서포트의 평면상에서 적어도 돌출되는,
매체 입출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xpansion member is
Even when the plate support collides with the peripheral bracket, it protrudes at least on the plane of the plate support,
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는
플레이트부;
상기 신축부재가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착홈부; 및
상기 플레이트 서포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힌지홈부를 포함하는,
매체 입출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ck plate is
Plate part;
a mounting groov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 portion to allow the elastic member to be installed removably; and
Comprising a hinge groov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plate portion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plate support,
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신축부재의 가이드 돌기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부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를 더 포함하는,
매체 입출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back plate is
Further comprising a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side of the plate portion to guide the guide protrusion of the elastic member,
Media deposit/withdrawal device.
KR1020220079965A 2022-06-29 2022-06-29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edium KR202400025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965A KR20240002595A (en) 2022-06-29 2022-06-29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965A KR20240002595A (en) 2022-06-29 2022-06-29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ed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595A true KR20240002595A (en) 2024-01-05

Family

ID=8954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965A KR20240002595A (en) 2022-06-29 2022-06-29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ed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59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018A (en) 2015-09-16 2017-03-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aper money process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018A (en) 2015-09-16 2017-03-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aper money process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2827B2 (en) Medium stack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2511886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830770B1 (en) A cassette for various kinds of banknotes having a movable bill stopper and the stacking method thereof
WO2016035420A1 (en) Paper-sheet conveying device and paper-sheet handling device
KR100471934B1 (en) Handling device for paper
KR101732795B1 (en) Medium stack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JP4346475B2 (en) Paper sheet processing equipment
EP2156416B1 (en) Media stacking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JP2004310773A (en) Assembly of cassette for paper money and pressure plate
KR20240002595A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medium
EP3046084B1 (en) Paper sheet receiving stacker
JP4178132B2 (en) Paper sheet stacking and separating device
KR101457300B1 (en) Media stacking apparatus
CN112707193B (en) Medium stacking plate and medium separating and stacking device comprising same
JP6417927B2 (en) Media processing device
EP2511884B1 (en) Automatic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511885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732825B1 (en) Financial device and medium stacking apparatus
JP3449891B2 (en) Media integration device
US20150217961A1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JP5632093B2 (en)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KR102355445B1 (en) Medium stacking device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including the same
JP6536071B2 (en) Medium feeding cassette and medium delivery device
CN210836309U (en) Sheet-like medium storage device and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KR101478442B1 (en) Wing roller module, media processing device and financial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