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440A -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와, 각 장치에서 수행되는 dci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와, 각 장치에서 수행되는 dci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440A
KR20240002440A KR1020220079650A KR20220079650A KR20240002440A KR 20240002440 A KR20240002440 A KR 20240002440A KR 1020220079650 A KR1020220079650 A KR 1020220079650A KR 20220079650 A KR20220079650 A KR 20220079650A KR 20240002440 A KR20240002440 A KR 20240002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ci
pdcch
terminal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호
나민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440A/ko
Priority to JP2022194758A priority patent/JP7360529B1/ja
Priority to US18/085,506 priority patent/US20240008053A1/en
Priority to JP2023168976A priority patent/JP2024007556A/ja
Publication of KR2024000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4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Adaptive formatting arrangements particular to signalling, e.g. variable amount of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CI의 일부 정보(변환 대상의 Bit 값)를 PDCCH의 위치정보(Scheduling 위치)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 DCI의 Size를 최소화하면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아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와, 각 장치에서 수행되는 DCI 조절 방법{BASE STATION AND TERMINAL DEVICE, DCI CONTROL METHOD PERFORMED IN EACH DEVICE}
본 발명은,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DCI의 크기(Size)를 조절하여 전송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은 단말에게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스케줄링 승인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채널이다.
PDCCH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전술의 정보들은, 규격에 정의되어 있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mat에 맞춰 생성 및 단말에 전달되게 된다.
DCI는 그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Format이 정의되어 있다.
이렇듯 DCI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PDCCH는 제어 정보를 담고 있는 중요한 채널이므로, 안정적인 전송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PDCCH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DCI는, 최소한의 크기(Size)로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이는 DCI의 Size가 작을수록, PDCCH로 전송 시 더욱 보수화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기지국이 RRC message를 통해 여러 Profile을 사전에 생성 및 단말에 전달해 두고, DCI에서는 Profile의 Index만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 DCI의 Size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이 시도되고 규격화 되어오고 있다.
허나 전술의 기존 기법 역시, DCI를 통해 단말에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들이 많을 경우 각 정보들 별로 전달해야 하는 Index가 많아질 수 것이므로, DCI의 Size를 최소화하여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아 전달하기 위한 목적을 충분히 만족시키기에는 한계를 갖는다.
결국, DCI의 Size를 최소화하여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아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DCI 전송 기술이 요구되는 시점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DCI의 Size를 최소화하여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아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DCI 전송 기술을 제안 및 실현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의 전체 정보 중 일부 정보를 변환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DCI에서 상기 일부 정보를 생략한 후 상기 결정한 특정 정보를 근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DCI를 전송 받는 과정에서 파악되는 상기 특정 정보로부터 상기 일부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전체 정보로 구성된 DCI를 획득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단말로의 DCI 전송에 사용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스케줄링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DCI 내 변환 대상의 일부 정보가 갖는 정보 값 및 PDCCH의 스케줄링 위치 간 변환 관계가 정의되는 정보를 상기 단말과 공유하는 공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정의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일부 정보가 갖는 정보 값에 따라서 PDCCH의 스케줄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DCI에서 상기 일부 정보를 생략한 후 상기 결정한 스케줄링 위치의 PDCCH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유부는, RRC Reconfiguration message 내의 pdcch-Configuration Common에 정의하는 신규 IE를 이용하여, 상기 정의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DCCH의 스케줄링 위치 단위로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 여부가 설정되는 정보를 상기 단말에 기 전달하거나, DCI 단위로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 여부를 상기 단말에 전달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PDCCH의 스케줄링 위치로부터 상기 일부 정보가 생략되기 이전의 전체 정보로 구성된 DCI를 획득하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통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부는, 기 정의된 DCI 내 정보 위치에 따라, 상기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DCI에서 변환 대상의 상기 일부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수신 시, 상기 DCI를 전송 받는 과정에서 파악되는 특정 정보로부터 상기 DCI에서 생략된 일부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및 상기 획득한 일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일부 정보가 생략되기 이전의 전체 정보로 구성된 DCI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스케줄링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DCI 내 변환 대상의 일부 정보가 갖는 정보 값 및 PDCCH의 스케줄링 위치 간 변환 관계가 정의되는 정보를 기지국과 공유하는 공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기 정의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스케줄링 위치에 따르는 것으로 확인되는 정보 값을 상기 생략된 일부 정보의 정보 값으로서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기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스케줄링 위치가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 대상인 것으로 기 설정된 위치이거나, 상기 DCI에 DCI 내 일부 정보가 변환됨을 나타내는 특정 필드가 포함되거나, 상기 DCI가 DCI 내 일부 정보가 변환되는 경우 사용되는 전용 DCI 포맷을 갖는 경우, 상기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스케줄링 위치로부터 상기 DCI에서 생략된 일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에서 수행되는 DCI 조절 방법은,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의 전체 정보 중 일부 정보를 변환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DCI에서 상기 일부 정보를 생략한 후 상기 결정한 특정 정보를 근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DCI를 전송 받는 과정에서 파악되는 상기 특정 정보로부터 상기 일부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전체 정보로 구성된 DCI를 획득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에서 수행되는 DCI 조절 방법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수신 시, 상기 DCI를 전송 받는 과정에서 파악되는 특정 정보로부터 상기 DCI에서 생략된 일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일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일부 정보가 생략되기 이전의 전체 정보로 구성된 DC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DCI의 일부 정보를 PDCCH의 위치정보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 DCI의 Size를 최소화하면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아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DCI 전송 기술을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DCI의 Size를 최소화하면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PDCCH 자원을 더욱 보수화하여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 더 나아가 DCI의 Size 최소화를 통해 절감된 Bit 자원을 다른 용도로 규격화하여 활용할 수도 있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기 정의된 기존의 일반적인 DCI Format을 보여주는 일 예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DCI의 Bit 값에 따른 PDCCH의 위치정보 변환 관계를 보여주는 일 예시 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신규 IE 정의를 통해 제안 기술을 실현하는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조절 방법의 흐름을 기지국 관점에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조절 방법의 흐름을 단말 관점에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DCI의 크기(Size)를 조절하여 전송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은 단말에게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스케줄링 승인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채널이다.
PDCCH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전술의 정보들은, 규격에 정의되어 있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mat에 맞춰 생성 및 단말에 전달되게 된다.
DCI는 그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Format이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5G에서 PDSCH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 Format 1_0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을 보면, DCI Format 1_0의 경우, MCS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변조 및 부호화) 정보, PDSCH의 주파수/시간 위치 등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렇듯 DCI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PDCCH는, 제어 정보를 담고 있는 중요한 채널이므로, 안정적인 전송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PDCCH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DCI는, 최소한의 크기(Size)로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이는 DCI의 Size가 작을수록, PDCCH로 전송 시 더욱 보수화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된 DCI Format 1_0의 경우를 보더라도, 28 + alpha (273 RB 기준 16 bit)에 불과한 bit수 만으로 PDSCH 전송을 위한 Scheduling 정보들을 다양하게 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지국이 RRC message를 통해 여러 Profile을 사전에 생성 및 단말에 전달해 두고, DCI에서는 Profile의 Index만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 DCI의 Size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이 시도되고 규격화 되어오고 있다.
허나 전술의 기존 기법 역시, DCI를 통해 단말에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들이 많을 경우 각 정보들 별로 전달해야 하는 Index가 많아질 수 것이므로, DCI의 Size를 최소화하여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아 전달하기 위한 목적을 충분히 만족시키기에는 한계를 갖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DCI의 Size를 보다 최소화하여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아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DCI 전송 기술을 제안 및 실현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방식의 DCI 전송 기술을 실현하기 위한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4G(LTE), 5G(NR) 모두에 적용될 수 있으며, 향후 6G 등으로도 확장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NR 규격을 바탕으로 하여 본 발명의 특징 및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결정부(110),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공유부(130), 통지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동종의 통신 네트워크(5G)의 다른 기지국 및/또는 이종의 통신 네트워크(LTE)의 다른 기지국과의 통신, 단말(10)과의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부(미도시)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기지국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기지국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방식의 DCI 전송 기술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지국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결정부(110)는,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의 전체 정보 중 일부 정보를 변환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결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특정 정보는, 단말(10)로의 DCI 전송에 사용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Scheduling 위치, 즉 해당 PDCCH를 전송하기 위해 Scheduling한 자원의 위치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
즉, 결정부(110)는,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한 DCI의 전체 정보(Bit stream) 중 일부 정보(변환 대상의 Bit 값)를 변환하기 위한 PDCCH의 위치정보(Scheduling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결정부(110)는, 기 정의된 DCI 내 정보 위치에 따라,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DCI에서 변환 대상의 일부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송할 상기 DCI에서 상기 일부 정보(변환 대상의 Bit 값)를 생략한 후 상기 결정한 특정 정보 즉 PDCCH의 위치정보(Scheduling 위치)를 근거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UE)에 대한 PDCCH 자원은 주파수 축 내의 다양한 위치에 Scheduling될 수 있다.
일 예로서, NR 규격에 따르면, 6RB의 배수 위치에 PDCCH가 Scheduling될 수 있다. 이에 BWP BW = 100MHz, subcarrier-spacing = 30kHz를 가정할 경우(즉, 273 RB), PDCCH가 Scheduling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의 위치가 최대 45개로 존재한다.
이에, 만약 DCI 내 특정 Bit를 해당 DCI의 전송에 사용되는 PDCCH의 위치정보(Scheduling 위치)와 연계시킬 수 있다면, 기지국이 특정 Bit가 생략된 DCI를 특정 Bit와 연계된 위치정보의 PDCCH를 사용하여 전송하고, 단말이 PDCCH 위치정보로부터 수신 DCI의 특정 Bit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10) 관점에서 최종 획득하는 DCI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DCI 내 특정 Bit를 해당 DCI의 전송에 사용되는 PDCCH의 위치정보와 연계시키는 구성을 전제로 하여, 새로운 방식의 DCI 전송 기술을 실현하게 된다.
이에, 이하 설명에서는, 결정부(110) 및 제어부(120)에 대한 구체적인 기능 설명에 앞서, DCI 내 특정 Bit를 해당 DCI의 전송에 사용되는 PDCCH의 위치정보와 연계시키는 구성과 관련이 있는 공유부(130)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먼저 하겠다.
공유부(130)는, DCI 내 변환 대상의 일부 정보가 갖는 정보 값(이하, Bit 값) 및 PDCCH의 위치정보(이하, Scheduling 위치) 간 변환 관계가 정의되는 정보를 단말(10)과 공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면, 공유부(130)에 의해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10) 간에 공유되는 전술의 정의된 정보는, 다음의 2가지 실시 예에 따라 그 형태가 다를 수 있다.
먼저,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10) 간에는, DCI 내 변환 대상의 Bit 값 및 PDCCH의 Scheduling 위치 간 변환 관계를 동일하게 사전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공유부(130)에 의해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10) 간에 공유되는 전술의 "정의된 정보"란, 동일하게 사전 정의된 "DCI 내 변환 대상의 Bit 값 및 PDCCH의 Scheduling 위치 간 변환 관계"라 하겠다.
예를 들면, 다음의 수학식 2에 따르는 DCI 내 변환 대상의 Bit 값 및 PDCCH의 Scheduling 위치 간 변환 관계를 사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Location to DCI bits는 PDCCH의 Scheduling 위치로 변환될 DCI 내 일부 정보가 갖는 Bit 값, 즉 변환 대상의 Bit 값을 의미한다.
이에, 6RB의 배수 위치에 PDCCH가 Scheduling될 수 있는 전술의 NR 규격을 전제로, Nunber of Total RBs = 273 RB, PDCCH 규 scheduling step size = 6RB인 경우로 가정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CCH의 Scheduling 위치로서 PDCCH의 Start RB Offset이 0RB인 경우에는 변환 대상의 Bit 값이 00000, RB Offset이 6RB인 경우에는 00001, RB Offset이 12RB에는 경우 00010, RB Offset이 18RB인 경우에는 00011, ..., 192RB인 경우에는 11111으로 맵핑(Mapping)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실시 예의 경우, 결정부(110)는, 단말(10)과 공유되는 기 정의된 정보 즉 단말(10)과 동일하게 사전 정의한 정보(예: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전술의 일부 정보가 갖는 정보 값 즉 변환 대상의 Bit 값에 따라서 PDCCH의 Scheduling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기지국장치(100, 결정부(110))는, DCI 내 정보 위치를 기 정의함으로써, DCI 내 어떤 Bit 값을 변환 대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하여 정의해 둘 수 있다.
예컨대, DCI 내 어떤 Bit 값을 변환 대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DCI 내 정보 위치는, 1) 마지막 n bit로 정의될 수 있고, 2) 앞에서부터 n bit로 정의될 수 있고, 3) x번째 bit부터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DCI 내 정보 위치는, 규격화 과정에서 선택 및 정의하는 방식으로 기지국장치(100, 결정부(110)) 및 단말(10) 간에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으며, 또는 기지국장치(100, 결정부(110))에서 선택하여 RRC message를 통해 단말(10)에 알려주는 방식으로 기지국장치(100, 결정부(110)) 및 단말(10) 간에 동일하게 정의될 수도 있다.
이에, 만약 DCI의 마지막 5 Bit를 변환 대상으로 하는 DCI 내 정보 위치가 기 정의되어 있다면, 전술의 제1 실시 예의 경우, 결정부(110)는 단말(10)에 전송할 DCI의 마지막 5 bit를 변환 대상으로 결정하고 이 5 bit의 Bit 값에 따라서 PDCCH의 Scheduling 위치를 결정하게 되며, 예컨대 DCI의 마지막 5 bit의 Bit 값이 00001인 경우 PDCCH의 Scheduling 위치로서 PDCCH Start RB Offset = 6RB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 제2 실시 예를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에서 RRC message를 통해 PDCCH start RB Offset 별 Bit 값 정보를 단말(10)에게 전달하여 알려줄 수 있다.
이 경우, 공유부(130)에 의해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10) 간에 공유되는 전술의 "정의된 정보"란, 단말(10)에게 전달되는 "PDCCH start RB Offset 별 Bit 값 정보"라 하겠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RRC Reconfiguration message 내의 pdcch-Configuration Common에, "PDCCH start RB Offset 별 Bit 값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신규 IE를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정의되는 신규 IE는, locationToDciConversionInfo IE라 지칭할 수 있다.
이 경우, 공유부(130)는, RRC Reconfiguration message 내의 pdcch-Configuration Common에 정의하는 신규 IE 즉 locationToDciConversionInfo IE를 이용하여, "PDCCH start RB Offset 별 Bit 값 정보"를 단말(10)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공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를 참조하면, frequencyDomainResources IE는, 3GPP 5G 규격에 기 정의되어 있는 IE로서, CORESET(Control Resource Set)의 Frequency Domain Configuration을 보여 줄 수 있다.
frequencyDomainResources IE의 각 bit는 6RBs에 해당하며, 1은 CORESET에 해당함을, 0은 해당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PDCCH는 CORESET으로 할당된 영역에만 할당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신규 IE 즉 locationToDciConversionInfo IE는, PDCCH의 Start RB Offset 별 Bit 값 (Mapping) 정보를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locationToDciConversionInfo IE 내 ‘,’로 구분되는 각각의 line은 frequencyDomainResources에서 ‘1’로 정의된 RB 위치에 Mapping된다.
도 4의 예시에 따르면, locationToDciConversionInfo 첫 번째 Bit 값(00000)은 RB Offset = 0에 해당하며, 두 번째 Bit 값(001011)은 frequencyDomainResources에서 두 번째 ‘1’에 해당하는 RB Offset = 18RB 위치에 해당한다. RB Offset 6, 12의 경우, frequencyDomainResources이 ‘0’ 이므로 PDCCH 자원이 할당 불가하기에 locationToDciConversionInfo에 Mapping 정보가 정의되지 않고 생략되었다.
즉, 공유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RC Reconfiguration message 내의 pdcch-Configuration Common에 신규로 정의하는 locationToDciConversionInfo IE에 PDCCH의 Start RB Offset 별 Bit 값 (Mapping) 정보를 담아 전송함으로써, 단말(10)로 전달 및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실시 예의 경우, 결정부(110)는, 단말(10)과 공유되는 기 정의된 정보 즉 신규 정의한 locationToDciConversionInfo IE를 통해 단말(10)에 전달한 정보(예: 도 4 참조)를 이용하여, 전술의 일부 정보가 갖는 정보 값 즉 변환 대상의 Bit 값에 따라서 PDCCH의 Scheduling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역시, 기지국장치(100, 결정부(110))는, 규격화 과정에서 선택 및 정의하는 방식 또는 RRC message를 통해 단말(10)에 알려주는 방식 등으로 DCI 내 정보 위치를 기 정의함으로써, DCI 내 어떤 Bit 값을 변환 대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하여 정의해 둘 수 있다(전술의 1) ~ 3)).
이에, 만약 DCI의 마지막 n bit를 변환 대상으로 하는 DCI 내 정보 위치가 기 정의되어 있다면, 전술의 제2 실시 예의 경우, 결정부(110)는 단말(10) 전송할 DCI의 마지막 n bit를 변환 대상으로 결정하고, 이 마지막 n bit의 Bit 값에 따라서 PDCCH의 Scheduling 위치를 결정하게 되며, 예컨대 마지막 n bit의 bit stream이 0001011인 경우 PDCCH의 Scheduling 위치로서 PDCCH Start RB Offset = 18RB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전술과 같이 전송할 DCI 내 일부 정보 즉 변환 대상의 Bit 값을 변환하기 위한 PDCCH의 Scheduling 위치(예: PDCCH의 Start RB Offset)가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되면, 전송할 DCI에서 변환 대상의 Bit 값을 생략한 후 상기 결정한 Scheduling 위치의 PDCCH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단말(10)은, PDCCH를 통해 DCI를 전송 받는 과정에서 파악되는 PDCCH 위치정보 즉 Scheduling 위치로부터 수신 DCI의 생략된 특정 Bit(= 변환 대상의 Bit 값)을 획득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전술한 수학식 1과 같이 전체 정보로 구성된 DCI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1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정보획득부(11), 제어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공유부(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단말장치(1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단말장치(1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방식의 DCI 전송 기술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단말장치(1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획득부(11)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수신 시, 상기 DCI를 전송 받는 과정에서 파악되는 특정 정보로부터 상기 DCI에서 생략된 일부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특정 정보는,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Scheduling 위치, 즉 해당 PDCCH를 전송하기 위해 Scheduling한 자원의 위치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정보획득부(11)는, DCI 수신 시, 해당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위치정보(Scheduling 위치)로부터 수신 DCI에서 생략된 일부 정보(변환 대상의 Bit 값)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정보획득부(11)에서 획득한 일부 정보(변환 대상의 Bit 값)를 이용하여, 일부 정보(변환 대상의 Bit 값)가 생략되기 이전의 전체 정보로 구성된 DCI를 획득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본 발명은, DCI 내 특정 Bit(변환 대상의 Bit 값)를 해당 DCI의 전송에 사용되는 PDCCH의 위치정보와 연계시키는 구성을 전제로 하여, 새로운 방식의 DCI 전송 기술을 실현하게 된다.
이에, 이하 설명에서는, 정보획득부(11) 및 제어부(12)에 대한 구체적인 기능 설명에 앞서, DCI 내 특정 Bit(변환 대상의 Bit 값)를 해당 DCI의 전송에 사용되는 PDCCH의 위치정보와 연계시키는 구성과 관련이 있는 공유부(13)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먼저 하겠다.
공유부(13)는, DCI 내 변환 대상의 일부 정보가 갖는 정보 값(이하, Bit 값) 및 PDCCH의 위치정보(이하, Scheduling 위치) 간 변환 관계가 정의되는 정보를 기지국(100)과 공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전술의 기지국장치(100)에 대한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공유부(13)에 의해 기지국(100) 및 단말장치(10) 간에 공유되는 전술의 "정의된 정보"란, 동일하게 사전 정의된 "DCI 내 변환 대상의 Bit 값 및 PDCCH의 Scheduling 위치 간 변환 관계"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실시 예의 경우, 정보획득부(11)는, 기지국(100)과 공유되는 기 정의된 정보 즉 기지국(100)과 동일하게 사전 정의한 정보(예: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금번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Scheduling 위치에 따르는 것으로 확인되는 Bit 값을 금번 DCI에서 생략된 일부 정보의 정보 값 즉 변환 대상의 Bit 값으로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규격화 과정에서 선택 및 정의하는 방식 또는 기지국(100)이 RRC message를 통해 단말(10)에 알려주는 방식 등으로 DCI 내 정보 위치를 기 정의함으로써, DCI 내 어떤 Bit 값을 변환 대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하여 정의해 둘 수 있다(전술의 1) ~ 3)).
이에, 만약 DCI의 마지막 5 Bit를 변환 대상으로 하는 DCI 내 정보 위치가 기 정의되어 있다면, 전술의 제1 실시 예의 경우, 정보획득부(11)는 금번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Scheduling 위치가 예컨대 PDCCH Start RB Offset = 6RB인 경우, 생략된 DCI의 마지막 5 bit에 해당하는 변환 대상의 Bit 값으로 00001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 전술의 기지국장치(100)에 대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공유부(13)에 의해 기지국(100) 및 단말장치(10) 간에 공유되는 전술의 "정의된 정보"란, 기지국(100)이 RRC message를 통해 전달해 주는 "PDCCH start RB Offset 별 Bit 값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실시 예의 경우, 정보획득부(11)는, 기지국(100)과 공유되는 기 정의된 정보 즉 기지국(100)으로부터 신규 정의한 locationToDciConversionInfo IE를 통해 전달 받은 정보(예: 도 4 참조)를 이용하여, 금번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Scheduling 위치에 따르는 것으로 확인되는 Bit 값을 금번 DCI에서 생략된 일부 정보의 정보 값 즉 변환 대상의 Bit 값으로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역시, 본 발명에서는, 규격화 과정에서 선택 및 정의하는 방식 또는 기지국(100)이 RRC message를 통해 단말(10)에 알려주는 방식 등으로 DCI 내 정보 위치를 기 정의함으로써, DCI 내 어떤 Bit 값을 변환 대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하여 정의해 둘 수 있다(전술의 1) ~ 3)).
이에, 만약 DCI의 마지막 n bit를 변환 대상으로 하는 DCI 내 정보 위치가 기 정의되어 있다면, 전술의 제2 실시 예의 경우, 정보획득부(11)는 금번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Scheduling 위치가 예컨대 PDCCH Start RB Offset = 18RB인 경우, 생략된 DCI의 마지막 n bit에 해당하는 변환 대상의 Bit 값으로 0001011을 획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DCI의 일부 정보(변환 대상의 Bit 값)를 PDCCH의 위치정보(Scheduling 위치)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 DCI의 Size를 최소화하면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아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DCI 전송 기술을 실현하고 있다.
더 나아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PDCCH의 위치정보로서 Frequency domain의 Scheduling 위치를 언급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일 뿐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해 DCI 내 일부 정보 즉 변환 대상의 Bit 값을 PDCCH의 위치정보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방식/기법은, PDCCH의 위치정보로서 Frequency domain 뿐 아니라 Time domain까지 확장된 Scheduling 위치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컨대 PDCCH를 1개 이상 Symbol에서 전송하는 경우에는 DCI의 일부 정보(변환 대상의 Bit 값)를 PDCCH의 Frequency / Time domain Scheduling 위치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DCI 내 일부 정보 즉 변환 대상의 Bit 값을 PDCCH의 위치정보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방식/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이지 못하거나 불가능한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동일 Slot 내에서 PDCCH의 위치정보로 변환해야 하는 DCI의 정보가 동일한 UE가 2대 이상 존재하는 경우, 또는 PDCCH의 위치정보를 통해 변환할 수 없는 DCI Bit Stream을 전송해야 하는 경우(예: 11101을 위치정보로 변환하여 전송해야 하는데, 해당 Bit stream에 대한 PDCCH의 위치정보가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등이, 이러한 상황에 해당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단말(UE)로, 하여금 전송 받은 DCI가 DCI 내 일부 정보를 PDCCH의 위치정보로 변환하여 전송된 것인지를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더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통지부(140)의 구성을 갖는다.
통지부(140)는, PDCCH의 위치정보(이하, Scheduling 위치) 단위로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 여부가 설정되는 정보를 단말(10)에 기 전달하거나, DCI 단위로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 여부를 단말(10)에 전달하여, 단말(10)이 PDCCH의 Scheduling 위치로부터 DCI 내 일부 정보가 생략되기 이전의 전체 정보로 구성된 DCI를 획득하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실시 예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통지부(140)는, PDCCH의 Scheduling 위치 단위로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 여부가 설정되는 정보를 단말(10)에 기 전달하여 미리 알려줄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한 신규 IE를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PDCCH의 Scheduling 위치 단위로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 여부가 설정되는 정보를 전달하는데 이용할 목적으로, 신규 IE 즉 frequencyLocationToDciInfo IE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frequencyLocationToDciInfo IE의 각 bit는, frequencyDomainResources IE의 CORESET에 대응되어, 해당 PDCCH의 위치(정보)가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과 관련이 있는지 여부(상관 여부)를 나타낸다. '1'은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0'은 관계가 없음을 나타낸다.
즉, 통지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RC Reconfiguration message 내의 pdcch-Configuration Common에 신규로 정의하는 frequencyLocationToDciInfo IE에, 각 PDCCH의 위치(정보)가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과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1' 또는 '0')를 담아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단말장치(10)에서 정보획득부(11)는, 상기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Scheduling 위치가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 대상인 것으로 기 설정된 위치인 경우, 상기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Scheduling 위치로부터 상기 DCI에서 생략된 일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정보획득부(11)는, 금번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Scheduling 위치가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 대상인 것으로 기 설정된 위치인 경우, 다시 말해 RRC message의 frequencyLocationToDciInfo IE로부터 확인한 정보에서 '1'에 해당하는 위치인 경우, PDCCH의 Scheduling 위치로부터 금번 DCI에서 생략된 변환 대상의 Bit 값으로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정보획득부(11)는, 금번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Scheduling 위치가 RRC message의 frequencyLocationToDciInfo IE로부터 확인한 정보에서 '0'에 해당하는 위치인 경우, 변환 대상의 Bit 값 획득을 시도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전술의 frequencyLocationToDciInfo IE를 신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술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locationToDciConversionInfo IE는 더 이상 frequencyDomainResources가 아닌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frequencyLocationToDciInfo와 연계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신규 IE로서 frequencyLocationToDciInfo IE 및 locationToDciConversionInfo IE를 정의하고, frequencyLocationToDciInfo와 locationToDciConversionInfo가 함께 사용되는 실시 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술의 실시 예에 따른 방식은 규격에 정의되어 있는 DCI의 Format들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다만,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과 관련되지 않은 PDCCH 자원 위치를 할당해야 하기에, 조절할 수 있는 DCI의 Bit 개수에 제한을 갖는다.
한편,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통지부(140)는, DCI 단위로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 여부를, 다음의 2가지 방식으로 단말(10)에 전달하여 알려줄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방식은, DCI에 해당 DCI의 일부 정보가 변환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특정 필드가 추가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통지부(140)는, DCI 내 일부 정보(변환 대상의 Bit 값)를 PDCCH의 위치정보(Scheduling 위치)로 변환한 경우, 해당 DCI 내 특정 필드에 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담겨 전송되도록 한다.
다음의 표 1은 DCI Format 1_0에 전술의 특정 필드 "PDCCH location to DCI info conversion indicator"이 추가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Field (Item) Bits
PDCCH location to DCI info conversion indicator 1
Identifier for DCI formats 1
Frequency domain resource assignment Variable
Time domain resource assignment 4
VRB-to-PRB mapping 1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5
New data indicator 1
Redundancy version 2
HARQ process number 4
Downlink assignment index 2
TPC command for scheduled PUCCH 2
PUCCH resource indicator 3
PDSCH-to-HARQ_feedback timing indicator 3
이 경우, 본 발명의 단말장치(10)에서 정보획득부(11)는, 상기 DCI에 DCI 내 일부 정보가 변환됨을 나타내는 특정 필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Scheduling 위치로부터 상기 DCI에서 생략된 일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정보획득부(11)는, 금번 DCI 내 특정 필드에서 DCI 내 일부 정보가 변환됨을 나타내는 정보(예: 1)가 확인되는 경우, PDCCH의 Scheduling 위치로부터 금번 DCI에서 생략된 변환 대상의 Bit 값으로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정보획득부(11)는, 금번 DCI 내 특정 필드에서 DCI 내 일부 정보가 변환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예: 0)가 확인되는 경우, 변환 대상의 Bit 값 획득을 시도하지 않는다.
이 방식은, DCI bit 수가 1 bit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를 통해 절감할 수 있는 DCI의 Bit 수가 더 크기에 최종적으로는 DCI Size 최소화가 가능하다.
다음 두 번째 방식은, DCI 내 일부 정보가 변환되는 경우 사용되는 전용 DCI 포맷을 신규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통지부(140)는, DCI 내 일부 정보(변환 대상의 Bit 값)를 PDCCH의 위치정보(Scheduling 위치)로 변환한 경우, 전용 DCI 포맷이 사용되도록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단말장치(10)에서 정보획득부(11)는, 상기 DCI가 전용 DCI 포맷을 갖는 경우, 상기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Scheduling 위치로부터 상기 DCI에서 생략된 일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정보획득부(11)는, 금번 DCI가 전용 DCI 포맷을 갖는 경우, PDCCH의 Scheduling 위치로부터 금번 DCI에서 생략된 변환 대상의 Bit 값으로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정보획득부(11)는, 금번 DCI가 전용 DCI 포맷을 갖지 않는 경우, 변환 대상의 Bit 값 획득을 시도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DCI의 일부 정보(변환 대상의 Bit 값)를 PDCCH의 위치정보(Scheduling 위치)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 DCI의 Size를 최소화하면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아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DCI 전송 기술을 실현하고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DCI의 Size를 최소화하면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PDCCH 자원을 더욱 보수화하여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 더 나아가 DCI의 Size 최소화를 통해 절감된 Bit 자원을 다른 용도로 규격화하여 활용할 수도 있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조절 방법을 설명하겠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조절 방법을 기지국 관점에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조절 방법에서 기지국장치(100)는, DCI 내 변환 대상의 일부 정보가 갖는 정보 값(이하, Bit 값) 및 PDCCH의 위치정보(이하, Scheduling 위치) 간 변환 관계가 정의되는 정보를 단말(10)과 공유한다(S100).
공유하는 방식은, DCI 내 변환 대상의 Bit 값 및 PDCCH의 Scheduling 위치 간 변환 관계를 동일하게 사전 정의하는 방식(전술의 제1 실시 예), RRC message를 통해 PDCCH start RB Offset 별 Bit 값 정보를 단말(10)에게 전달하여 알려주는 방식(전술의 제2 실시 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조절 방법에서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한 DCI(Bit stream)을 생성하면(S110), 금번 DCI가 일부 정보의 위치정보 변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20).
예를 들면, 기지국장치(100)는, 금번 DCI 내 일부 정보를 PDCCH의 위치정보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방식/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이지 못하거나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판단할 경우, 변환 불가능하다고 확인할 수 있다(S120 No).
기지국장치(100)는, 변환 불가능하다고 확인하면(S120 No),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 금번 DCI의 전송에 사용할 PDCCH를 Scheduling한 후 금번 DCI를 해당 PDCCH에서 전송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조절 방법에서 기지국장치(100)는, 변환 가능하다고 확인하면(S120 Yes), S100단계를 거쳐 단말(10)과 공유된 정보를 이용하여, 금번 DCI의 전체 정보(Bit stream) 중 일부 정보(변환 대상의 Bit 값)에 따라서 PDCCH의 Scheduling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130).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조절 방법에서 기지국장치(100)는, 전송할 금번 DCI에서 일부 정보(변환 대상의 Bit 값)를 생략한 후, S130단계에서 결정한 Scheduling 위치의 PDCCH에서 전송할 수 있다(14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조절 방법에서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이 OFF되거나 이동 등의 이유로 접속 해제되지 않는 한(S160 No), S110단계 및 그 이후 단계를 수행하여 단말(10)로의 DCI 전송 시마다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단말(10)은, PDCCH를 통해 DCI를 전송 받는 과정에서 파악되는 PDCCH 위치정보 즉 Scheduling 위치로부터 수신 DCI의 생략된 특정 Bit(=변환 대상의 Bit 값)을 획득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전술한 수학식 1과 같이 전체 정보로 구성된 DCI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조절 방법을 단말 관점에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조절 방법에서 단말장치(10)는, DCI 내 변환 대상의 일부 정보가 갖는 정보 값(이하, Bit 값) 및 PDCCH의 위치정보(이하, Scheduling 위치) 간 변환 관계가 정의되는 정보를 기지국(100)과 공유한다(S10).
공유하는 방식은, DCI 내 변환 대상의 Bit 값 및 PDCCH의 Scheduling 위치 간 변환 관계를 동일하게 사전 정의하는 방식(전술의 제1 실시 예), RRC message를 통해 PDCCH start RB Offset 별 Bit 값 정보를 기지국(100)으로부터 전달받는 방식(전술의 제2 실시 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조절 방법에서 단말장치(10)는, 자신에 할당된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를 수신하며(S11), 이때 금번 DCI가 일부 정보의 위치정보 변환이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2).
예를 들면, 단말장치(10)는, 본 발명에서 신규로 정의하는 frequencyLocationToDciInfo IE에, 각 PDCCH의 위치(정보)가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과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예: '1' 또는 '0')를 보고 확인하거나, 금번 DCI의 특정 필드 내 관련 정보를 보고 확인하거나, 금번 DCI가 전용 DCI 포맷에 따르는지 여부를 보고 확인할 수 있다.
단말장치(10)는, 변환이 적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면(S12 No),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 PDCCH를 Decoding 하여 PDCCH를 통해 수신한 DCI Bits를 최종 DCI로서 획득할 것이다(S15).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조절 방법에서 단말장치(10)는, 변환이 적용되었다고 확인하면(S12 Yes), S10단계를 거쳐 기지국(100)과 공유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Scheduling 위치에 따르는 특정 Bit 값(=변환 대상의 Bit 값), 즉 수신 DCI에서 생략된 일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3).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조절 방법에서 단말장치(10)는, PDCCH를 Decoding 하여 얻게 되는 DCI Bits과 S13단계에서 획득한 Bit 값(=변환 대상의 Bit 값)을 이용하여, 전술한 수학식 1과 같이 전체 Bit stream으로 구성된 최종 DCI를 획득할 수 있다(S14).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조절 방법에서 단말장치(10)는, 전원 OFF, 이동 등의 이유로 기지국(100)과의 접속이 해제되지 않는 한(S16 No), S10단계 및 그 이후 단계를 수행하여 DCI 수신 시마다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DCI의 일부 정보(변환 대상의 Bit 값)를 PDCCH의 위치정보(Scheduling 위치)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 DCI의 Size를 최소화하면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아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DCI 전송 기술을 실현하고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DCI의 Size를 최소화하면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PDCCH 자원을 더욱 보수화하여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 더 나아가 DCI의 Size 최소화를 통해 절감된 Bit 자원을 다른 용도로 규격화하여 활용할 수도 있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조절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와, 각 장치에서 수행되는 DCI 조절 방법에 따르면, DCI의 Size를 최소화하면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아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DCI 전송 기술을 실현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기지국장치
110 : 결정부 120 : 제어부
130 : 공유부 140 : 통지부
10 : 단말장치
11 : 정보획득부 12 : 제어부
13 : 공유부

Claims (13)

  1.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의 전체 정보 중 일부 정보를 변환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DCI에서 상기 일부 정보를 생략한 후 상기 결정한 특정 정보를 근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DCI를 전송 받는 과정에서 파악되는 상기 특정 정보로부터 상기 일부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전체 정보로 구성된 DCI를 획득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단말로의 DCI 전송에 사용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스케줄링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DCI 내 변환 대상의 일부 정보가 갖는 정보 값 및 PDCCH의 스케줄링 위치 간 변환 관계가 정의되는 정보를 상기 단말과 공유하는 공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정의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CI를 구성하는 전체 정보 중 변환 대상의 일부 정보가 갖는 정보 값에 따라서 PDCCH의 스케줄링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DCI에서 상기 일부 정보를 생략한 후 상기 결정한 스케줄링 위치의 PDCCH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부는,
    RRC Reconfiguration message 내의 pdcch-Configuration Common에 정의하는 신규 IE를 이용하여, 상기 정의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PDCCH의 스케줄링 위치 단위로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 여부가 설정되는 정보를 상기 단말에 기 전달하거나, DCI 단위로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 여부를 상기 단말에 전달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PDCCH의 스케줄링 위치로부터 상기 일부 정보가 생략되기 이전의 전체 정보로 구성된 DCI를 획득하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기 정의된 DCI 내 정보 위치에 따라, 상기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DCI에서 변환 대상의 상기 일부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8.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수신 시, 상기 DCI를 전송 받는 과정에서 파악되는 특정 정보로부터 상기 DCI에서 생략된 일부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및
    상기 획득한 일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일부 정보가 생략되기 이전의 전체 정보로 구성된 DCI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스케줄링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DCI 내 변환 대상의 일부 정보가 갖는 정보 값 및 PDCCH의 스케줄링 위치 간 변환 관계가 정의되는 정보를 기지국과 공유하는 공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기 정의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스케줄링 위치에 따르는 것으로 확인되는 정보 값을 상기 생략된 일부 정보의 정보 값으로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기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스케줄링 위치가 DCI 내 일부 정보의 변환 대상인 것으로 기 설정된 위치이거나, 상기 DCI에 DCI 내 일부 정보가 변환됨을 나타내는 특정 필드가 포함되거나, 상기 DCI가 DCI 내 일부 정보가 변환되는 경우 사용되는 전용 DCI 포맷을 갖는 경우,
    상기 DCI의 전송에 사용된 PDCCH의 스케줄링 위치로부터 상기 DCI에서 생략된 일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2. 기지국장치에서 수행되는 DCI 조절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의 전체 정보 중 일부 정보를 변환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DCI에서 상기 일부 정보를 생략한 후 상기 결정한 특정 정보를 근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DCI를 전송 받는 과정에서 파악되는 상기 특정 정보로부터 상기 일부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전체 정보로 구성된 DCI를 획득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I 조절 방법.
  13. 단말장치에서 수행되는 DCI 조절 방법에 있어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수신 시, 상기 DCI를 전송 받는 과정에서 파악되는 특정 정보로부터 상기 DCI에서 생략된 일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일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일부 정보가 생략되기 이전의 전체 정보로 구성된 DC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I 조절 방법.
KR1020220079650A 2022-06-29 2022-06-29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와, 각 장치에서 수행되는 dci 조절 방법 KR20240002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650A KR20240002440A (ko) 2022-06-29 2022-06-29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와, 각 장치에서 수행되는 dci 조절 방법
JP2022194758A JP7360529B1 (ja) 2022-06-29 2022-12-06 基地局装置及び端末装置と、各装置で遂行されるdci調節方法
US18/085,506 US20240008053A1 (en) 2022-06-29 2022-12-20 Bs apparatus, ue apparatus, and dci control method performed by each device
JP2023168976A JP2024007556A (ja) 2022-06-29 2023-09-29 基地局装置及び端末装置と、各装置で遂行されるダウンリンク情報調節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650A KR20240002440A (ko) 2022-06-29 2022-06-29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와, 각 장치에서 수행되는 dci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440A true KR20240002440A (ko) 2024-01-05

Family

ID=8824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650A KR20240002440A (ko) 2022-06-29 2022-06-29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와, 각 장치에서 수행되는 dci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08053A1 (ko)
JP (2) JP7360529B1 (ko)
KR (1) KR20240002440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6146B2 (ja) 2018-05-11 2021-08-2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アップリンク送信を行う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60529B1 (ja) 2023-10-12
JP2024007556A (ja) 2024-01-18
US20240008053A1 (en) 2024-01-04
JP2024006897A (ja)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1960B1 (ko) 정보 타입 멀티플렉싱 및 전력 제어
JP5711386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phrにおいて電力バックオフのインジケーションを可能に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9588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539329C2 (ru) Поддержка планирования в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в системах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с множеством несущих
US20170111868A1 (en) Uplink power control method and user equipment supporting both common and separate tpc commands
CN101742626B (zh) 功率调整方法及系统、基站和用户设备
KR102522174B1 (ko)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과 단말기
US202300237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default beam for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
KR10251460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cch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2016506135A (ja) Lteのためのグループベースのpdcch能力
US20210068100A1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130069728A (ko) 다중 반송파 동작 중 전력 헤드룸 보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AU2019207785A1 (en)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with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KR102636524B1 (ko)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KR2021006196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위한 기준신호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CN112956152A (zh) 下行链路控制信息(dci)大小匹配
JPWO2017022617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2022017375A (ja) 確認応答リソースの永続的なインジケーション
US11723099B1 (en) Use of frequency band comparison as basis to control configuration of dual-connectivity service
US11050602B2 (en) Methods and communication apparatuses for bit-to-symbol mapping
CN110637431B (zh) 发送/接收控制信息的方法、无线设备、网络节点和介质
KR20240002440A (ko)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와, 각 장치에서 수행되는 dci 조절 방법
JP6837114B2 (ja) データ伝送のための方法及び端末
KR2022016891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보고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137305A1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