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082A - Access floor panel integrated with air duc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ccess floor panel integrated with air duc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082A
KR20240002082A KR1020220079280A KR20220079280A KR20240002082A KR 20240002082 A KR20240002082 A KR 20240002082A KR 1020220079280 A KR1020220079280 A KR 1020220079280A KR 20220079280 A KR20220079280 A KR 20220079280A KR 20240002082 A KR20240002082 A KR 20240002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plate
access floor
floor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3921B1 (en
Inventor
한현목
Original Assignee
한현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현목 filed Critical 한현목
Priority to KR1020220079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921B1/en
Publication of KR20240002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0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92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718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 H05K7/20745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within rooms for removing heat from cabinets, e.g. by air condition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은 서버룸의 하부 공간에 배선 등을 포설하기 위한 액세스플로어를 구성하기 위한 액세스플로어 패널로서 상기 액세스플로어 패널은 서버룸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통풍구가 형성되고 서버룸 내부의 장비를 직접적으로 받쳐주고 서버룸의 내부에서 평평한 플로어를 구성하기 위한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 공간은 공기 덕트로서 기능하며 상기 서버룸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판 사이 공간은 배선이 포설되는 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floor panel integrated with an air duct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e access floor panel integrated with an air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cess floor panel for constructing an access floor for laying wiring, etc. in the lower space of a server room. The access floor panel includes a floor plate disposed at intervals upward from the floor of the server room, and a ventilation hole formed therein, directly supporting the equipment inside the server room and the interior of the server roo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op plate for forming a flat floor,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functions as an air duct, and the space between the floor of the server room and the bottom plate is configured as a space where wiring is installed.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과 그 시공방법 {ACCESS FLOOR PANEL INTEGRATED WITH AIR DUC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Air duct 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CCESS FLOOR PANEL INTEGRATED WITH AIR DUC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세스플로어 패널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액세스플로어 설치와 함께 서버에 냉각용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덕트까지 구성하는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floor pan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that includes an air duct capable of supplying cooling air to servers along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access floo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인터넷과 모바일 데이터서비스의 생활화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데이터센터와 통신국사가 증설되고 있으나 이러한 설비들은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고 그만큼 많은 탄소배출을 많이 하는 시설로 분류되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센터의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방법이 시행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et and mobile data services into our daily lives, numerous data centers and telecommunication offices are being built around the world, but these facilities are classified as facilities that consume enormous amounts of electricity and emit a large amount of carbon emissions. Therefore, many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lement various systems and method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n data centers.

전력소비를 절감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서버랙이 놓이는 구역만 집중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컨테인먼트시스템을 도입하여 서버실을 쿨존과 핫존으로 나누어 관리함으로써 서버실을 냉각시키는 공기의 소비전력을 줄이는 것이 있다.A representative way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s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air that cools the server room by introducing a containment system that can intensively cool only the area where the server rack is placed and dividing the server room into cool zones and hot zones. there is.

서버실과 통신실은 정비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계속 순환시켜야 하는데 대부분 서버실의 아랫부분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서버들을 냉각시킨 뒤 열을 흡수한 고온의 공기는 상부로 회수하는 액세스플로어 구조를 갖게 되는데, 공기가 공급되는 플로어 아랫부분의 공간에는 서버와 연결되는 수많은 케이블들이 포설되어 있어 서버로 공급되는 냉각용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흐름의 방해는 공기 블로어의 과부하를 유발하고 서버실 전체적으로 고른 온도분포를 만드는데 지장을 초래한다.Server rooms and communication rooms must continuously circulate air to cool the heat generated during maintenance. Most of them have an access floor structure that supplies air to the lower part of the server room to cool the servers, and then returns the high temperature air that has absorbed the heat to the upper part. In the space below the floor where air is supplied, numerous cables connected to the server are installed, which is a factor that hinders the flow of cooling air supplied to the server. This obstruction of air flow causes overload of the air blower and interferes with creating an even temperature distribution throughout the server room.

케이블이 공기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 케이블을 서버실 천장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하여 포설하거나 플로어 하부 공간에서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팬들을 추가 설치하는 방법이 쓰이고 있다.To prevent cables from interfering with airflow, methods are used to route cables using cable trays on the ceiling of the server room or to install additional fans that force air circulation in the space below the floor.

그러나 천장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은 서버룸의 천장 높이를 추가로 확보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액세스플로어 하부의 공기순환용 팬 운용방법은 팬을 위한 전력소비가 증가하게 될 뿐 아니라 설비 유지보수에 적지 않은 관리자의 업무부담이 수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able laying method using a cable tray on the ceiling has the problem of requiring additional ceiling height in the server room, and the method of operating a fan for air circulation under the access floor not only increases power consumption for the fan but also increases facility maintenan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entails a considerable workload on managers.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케이블포설 시공방법이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액세스플로어 하부 공간을 이용한 케이블 연결 방식은 유지하되 액세스플로어 하부 공간의 고른 공기온도 유지를 위한 추가 팬을 설치하지 않으면서 간단한 방법으로 적절한 곳으로 적정량의 냉각용 공기를 흐를 수 있게 하는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과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More specifically, the cabl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pace below the access floor,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is maintained, but the space below the access floor is evenly distribut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at allow an appropriate amount of cooling air to flow to the appropriate location in a simple manner without installing an additional fan to maintain the air temperature.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은 서버룸의 하부 공간에 배선 등을 포설하기 위한 액세스플로어를 구성하기 위한 액세스플로어 패널로서, 상기 액세스플로어 패널은, 서버룸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통풍구가 형성되고 서버룸 내부의 장비를 직접적으로 받쳐주고 서버룸의 내부에서 평평한 플로어를 구성하기 위한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 공간은 공기 덕트로서 기능하며, 상기 서버룸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판 사이 공간은 배선이 포설되는 공간으로 구성된다.The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n access floor panel for constructing an access floor for laying wiring, etc. in the lower space of the server room. The access floor panel is a server A floor plate disposed at intervals upward from the floor of the room and a ventilation hole disposed at intervals upward from the floor surface, directly support equipment inside the server room and form a flat floor inside the server roo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op plate,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functions as an air duct, and the space between the floor surface of the server room and the bottom plate is configured as a space where wiring is installed.

또한,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xing pin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and to support the load of the top plate.

또한,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 공간의 측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세워지는 칸막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artition plate erect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to form a side wall of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또한, 상기 고정핀 중 모퉁이 부분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핀은 상기 칸막이판을 끼워넣을 수 있는 슬롯이 형성된 칸막이판 고정슬롯 겸용 고정핀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in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fixing pin is a fixing pin that doubles as a partition plate fixing slot and has a slot into which the partition plate can be inserted.

또한, 상기 서버룸의 바닥면 위에 세워져서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용 페데스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anel support pedestal that stands on the floor of the server room and supports the floor plate.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의 시공방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판과 바닥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공기덕트 일체형 엑세스플로어 패널을 구성하는 단계와, 서버룸의 바닥면 위에 세워진 패널 지지용 페데스탈이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공기덕트 일체형 엑세스플로어 패널 다수 개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상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 공간은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기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바닥판 아래의 공간에는 케이블다발이 포설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cludes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install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Constructing an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including fixing pins that maintain constant spacing between the air ducts, and allowing a panel support pedestal erected on the floor of the server room to support the floor plate, and constructing the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It includes installing a plurality of panels, configuring the space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s an air duct through which air can flow, and arranging a cable bundle in the space below the bottom plate.

또한, 상기 공기덕트 일체형 엑세스플로어 패널의 측벽을 이루도록 수직하게 세워진 칸막이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installing a vertical partition plate to form a side wall of the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또한, 상기 칸막이판 다수 개를 수평 방향을 따라 일직선 또는 대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공기의 흐름 방향을 막거나 바꿀 수 있도록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construct the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to block or change the direction of air flow by connecting them in a straight line or diagonally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상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 다양한 종류의 상기 공기덕트 일체형 엑세스플로어 패널들을 구비해놓고, 상기 공기덕트 내로 공기가 들어오는 쪽이 공기를 배출하는 쪽에 비하여 상기 상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간격이 넓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various types of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s configured with different spacing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re provided, and the side from which air enters the air duct is lower than the side from which air is discharged. It is desirable that the gap between them is wide.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은 서버룸 시공시에 패널을 설치함과 동시에 냉각용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덕트까지 구성되게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iscussed above, the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by installing the panel during server room construction and constructing an air duct that can supply cooling air at the same time.

첫째, 액세스플로어 하부에 포설된 케이블다발에 의해 냉각용 공기 흐름이 방해받지 않게 하여 서버실 하부 공기 층에 고른 온도 분포가 형성되도록 한다. First, the cooling air flow is not interrupted by the cable bundl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access floor, so that an even temperature distribution is formed in the air layer at the bottom of the server room.

둘째, 케이블다발의 공기저항 없이 필요한 곳에 적정량의 공기를 보낼 수 있어 공기 운용 효율을 높이고 공기용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Second,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can be sent to where it is needed without the air resistance of the cable bundle, thereby increasing air operation efficiency and reducing air power consumption.

셋째, 플로어 하부공간의 공기흐름을 개선하기 위해 서버실에 추가의 케이블트레이 설치공사와 난이도 높은 케이블 포설공사를 할 필요가 없다.Thir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dditional cable trays or perform difficult cable laying work in the server room to improve airflow in the space under the floor.

넷째, 서버실 상부 케이블트레이와 같은 레이스웨이 설비를 위한 추가 공간을 둘 필요가 없어 데이터센터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Fourth, data center construction costs can be reduced as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dditional space for raceway equipment such as cable trays at the top of the server room.

다섯째, 서버실의 장비가 추가되거나 배치가 변경됐을 때 바뀐 공기흐름에 맞춰 패널의 칸막이판만 다시 끼워주는 것만으로 쉽게 공기덕트를 재구성할 수 있다.Fifth, when equipment in the server room is added or the layout is changed, the air duct can be easily reconfigured by simply reinstalling the panel divider to accommodate the changed air flow.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서버실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천장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포설한 서버실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덕트 일체형 패널을 이용한 서버실 액세스플로어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덕트 일체형 패널과 칸막이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칸막이를 이용한 공기흐름 유도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덕트 일체형 패널을 소요 공기유량에 맞춰 설치한 것을 나타낸 측단면도.
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conventional server room.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erver room in which cables are laid using a conventional ceiling cable tray.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server room access floor using an air duct-integrated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duct integrated panel and parti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method of inducing air flow using a part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duct-integrated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ccording to the required air flow rate.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기존의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의 서버룸은 도 1과 같이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의 공간을 띄우고 패널(10)들을 깔아 플로어를 시공한 뒤 그 위에 서버랙(20)과 컨테인먼트시스템(30) 등의 장비들을 설치하고 그 아래의 공간을 이용해 장비에 연결되는 케이블다발(60)을 포설하고 장비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A)를 공급하는 방식의 액세스플러어의 구조를 가진다.As shown in Figure 1, the server room of an existing Internet Data Center (IDC) is constructed by raising a space of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and laying down panels 10 to construct the floor, and then installing server racks 20, containment systems 30, etc. on it. It has an access floor structure in which equipment is installed, a cable bundle (60) connected to the equipment is laid using the space below it, and air (A) is supplied to cool the equipment.

공기덕트(40)로부터 플로어의 하부공간으로 공급된 공기(A)는 플로어 하부 공간을 채운 뒤 플로어 패널의 통풍구를 통해 서버룸으로 공급되어 장비들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한 후 상부 덕트로 회수되는 과정을 거치는데, 플로어 하부에 포설된 케이블다발(60)이 공기 흐름(A)을 방해하여 플로어 하부공간에 냉각용 공기가 골고루 퍼지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공기 블로어의 과부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서버룸 전체에 장비가 설치되지 않고 추후 증설에 대비해 놓은 경우에도 장비가 없는 공간까지 공기를 순환시키는 에너지 낭비도 발생하게 되므로 그린 인터넷데이터센터를 추구하는 추세에 역행되기도 한다.The air (A) supplied from the air duct 40 to the lower space of the floor fills the lower space of the floor and is then supplied to the server room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in the floor panel, absorbing heat generated from the equipment, and then returned to the upper duct. However, the cable bundle 6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loor interferes with the air flow (A), which not only prevents cooling air from spreading evenly in the space under the floor, but also causes overload of the air blower. In addition, even if equipment is not installed throughout the entire server room and preparations are made for future expansion, energy waste is generated by circulating air to spaces without equipment, which runs counter to the trend of pursuing green Internet data centers.

플로어 하부 공간의 케이블다발(60)들로 인한 서버룸 냉각효율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도 2와 같이 장비의 아래로 연결하던 케이블다발(60)들을 서버룸 천장의 케이블트레이(70)를 통해 상부로 연결하는 방법을 쓰기도 하는데, 이는 서버룸에 추가의 상부공간을 확보해야 하고 케이블트레이(70)를 설치한 후 어려운 케이블 포설 작업을 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감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장비의 배치 변경이나 증설 등 케이블의 설계가 변경될 때 번거롭고 위험한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는 문제가 뒤따른다.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reduced server room cooling efficiency due to the cable bundles 60 in the space below the floor, the cable bundles 60 that were connected below the equipment as shown in FIG. 2 were connected to the cable tray 70 on the server room ceiling. A method of connecting to the top through When the cable design changes, such as changes or expansions, the problem of having to perform cumbersome and dangerous work arises.

케이블다발(60)의 공기흐름(A) 방해로 플로어 하부공간에 냉각용 공기가 골고루 퍼지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플로어 하부 공간 곳곳에 강제순환용 팬을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는 팬을 운용하기 위한 추가의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고 팬의 과부하로 인한 화재의 위험과 관리자에게 유지보수의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다.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cooling air not spreading evenly in the lower floor space due to the airflow (A) obstruction of the cable bundle (60), fans for forced circulation are installed throughout the lower floor space, which is an additional way to operate the fan. Power must be supplied, there is a risk of fire due to fan overload, and there is a burden of maintenance on managers.

도 3은 추가적인 경제적 부담과 설비들을 증설하지 않고도 플로어 하부의 케이블다발(60)의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서버룸에 효율적으로 냉각용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는 것으로, 플로어의 아랫부분에 공기가 방해를 받지 않고 흐를 수 있는 일종의 덕트와 같은 공간을 두게 하여 공기덕트(4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필요한 곳에 적절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한 것이다.Figure 3 shows a method of efficiently supplying cooling air to the server room without additional economic burden and installing additional facilities and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cable bundle 60 at the bottom of the floor. By creating a space like a kind of duct that can flow unhindered,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duct 40 can be properly supplied to where it is needed.

그러나, 덕트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 또한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되고, 장비의 배치가 바뀌게 될 때마다 이에 수반하여 공기 공급 경로를 변경하는 덕트 공사도 해야 하는 부담이 있으므로 액세스플로어 공사 시에 액세스플로어 패널(10)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공기덕트까지 시설되도록 도 4와 같이 장비의 하중을 감당하는 상판(80)과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바닥판(90)이 일정한 공간을 두고 지지핀(100)으로 고정된 이중구조의 공기덕트 일체형 패널을 사용한다.However, installing additional ducts also requires additional costs, and there is the burden of having to construct ducts to change the air supply path every time the equipment arrangement changes, so when constructing the access floor, an access floor panel ( 10), the top plate 80, which bears the load of the equipment, and the bottom plate 90, which forms the air flow, are fixed with support pins 100 at a certain space so that the air duct can be installed just by installing. A dual-structure air duct integrated panel is used.

도 4의 공기덕트 일체형 패널에서 상판(80)과 바닥판(90)은 일정한 간격(B)을 유지하기 위해 고정핀(100)으로 고정되는데, 이중 각 4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칸막이판 고정슬롯 겸용 고정핀(120)은 상판(80)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공기의 이동 통로를 만드는 칸막이판(110)을 고정시키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air duct-integrated panel of Figure 4, the top plate 80 and the bottom plate 90 are fixed with fixing pins 100 to maintain a constant gap B, which also doubles as partition plate fixing slots located at each of the four corners. The fixing pin 120 serves to support the load of the upper plate 80 and is formed with a slot for fixing the partition plate 110, which creates a passage for air to move.

설치된 상태에서 패널의 상판(80)은 공기덕트의 상부면, 바닥판(90)은 공기덕트의 하부면, 칸막이판 고정슬롯 겸용 고정핀(120)의 슬롯에 끼워 고정하는 칸막이판(110)은 덕트의 벽면을 각각 구성한다. 패널의 상판(80)은 서버실 장비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제작하며 바닥판(90)은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하여 플로어 하부에 있는 케이블다발(60)에서 발생하는 열이 덕트 내에서 흐르는 공기(A)에 잘 흡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과열로 인한 화재를 예방한다.In the installed state, the top plate 80 of the panel is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duct, the bottom plate 90 is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duct, and the partition plate 110 is fixed by inserting into the slot of the partition plate fixing slot double fixing pin 120. Constructs each wall of the duct. The top plate (80) of the panel is manufactured to have sufficient rigidity to support the load of the server room equipment, and the bottom plate (90) is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so that heat generated from the cable bundle (60) at the bottom of the floor flows through the duct. It prevents fire due to overheating of the cable by allowing it to be well absorbed by the air (A) flowing inside.

도 5는 공기덕트 일체형 패널로 설치된 액세스플로어 평면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냉각용 공기(A)가 필요한 곳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해 패널의 측벽을 형성하는 칸막이판(110)을 이용하여 덕트를 구성한 예이다. 여기서 서버실 장비의 배치가 변경될 경우 패널의 칸막이판(110)만 그에 맞추어 다시 끼워주기만 하면 새로운 덕트가 손쉽게 만들어지게 된다. 칸막이판(110)을 패널의 한 쪽 면을 따라 끼워주면 공기를 막아서 공기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게 안내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고 패널의 대각선 방향으로 끼워주면 공기흐름의 방향을 바꿔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Figure 5 shows a plan view of an access floor installed as an air duct-integrated panel, and is an example of a duct constructed using a partition plate 110 that forms the side wall of the panel to guide cooling air (A) to flow to the required location. . Here, if the arrangement of the server room equipment changes, a new duct can be easily created by simply reinstalling the partition plate 110 of the panel accordingly. When the partition plate 110 is inserted along one side of the panel, it blocks air and guides the air to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When the partition plate 110 is inserted diagonally of the panel, it functions to change the direction of air flow.

도 6은 공기덕트 일체형 패널로 설치된 액세스플로어 측면도로서, 공기덕트 일체형 패널의 상판(80)과 바닥판(90) 사이의 간격(B)이 서로 다른 패널들을 사용하여 플로어를 구성한 예이다. 큰 유량의 공기가 흐르는 공기덕트(40) 쪽은 상판(80)과 바닥판(90)의 간격(B)이 넓은 패널을 사용하고 종단 쪽으로 갈수록 간격(B)이 좁은 패널을 사용하여 유량에 맞춘 공기덕트 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한다.Figure 6 is a side view of an access floor installed with an air duct-integrated panel, and is an example of a floor constructed using panels with different spacing (B) between the top plate 80 and the bottom plate 90 of the air duct-integrated panel. On the side of the air duct (40) through which a large flow rate of air flows, a panel with a wide gap (B) between the top plate (80) and the bottom plate (90) is used, and a panel with a narrow gap (B) toward the end is used to match the flow rate. It is possible to have an air duct structure.

상판(80)과 바닥판(90) 사이의 간격(B)은 고정핀(100)에 의해 정해지고 유지되며, 바닥판(90)은 하단이 서버룸의 바닥면에 닿아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패널 지지용 페데스탈(140)의 상단에 받쳐짐으로서 지지된다. The gap (B) between the top plate 80 and the bottom plate 90 is determined and maintained by the fixing pin 100, and the bottom plate 90 is a panel that stands vertically with the bottom touching the floor of the server room. It is supported by being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edestal 140.

공기덕트를 지나는 공기(A) 유량이 적게 하려면 그에 맞추어 패널 지지용 페데스탈(140)의 길이는 길게 하여 바닥판(90)이 더 올라오게 하고 상판(80)과 바닥판(90) 사이의 간격을 고정하는 고정핀(100)은 더 짧은 것을 사용하면 된다.In order to reduce the flow rate of air (A) passing through the air duct, the length of the panel support pedestal (140) is lengthened accordingly so that the bottom plate (90) rises higher, and the gap between the top plate (80) and the bottom plate (90) is increased. A shorter fixing pin 100 can be used.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s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specific preferred examples, but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specific examples, and such modifications It is natural that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액세스플로어 패널
20 : 서버랙
30 : 컨테인먼트시스템
40 : 공기덕트
60 : 케이블다발
70 : 케이블트레이
80 : 공기덕트 일체형 패널의 상판
90 : 공기덕트 일체형 패널의 바닥판
100 : 고정핀
110 : 칸막이판
120 : 칸막이판 고정슬롯 겸용 고정핀
140 : 패널 지지용 페데스탈
A : 공기 흐름
B : 패널 상판과 바닥판의 간격
10: Access floor panel
20: Server rack
30: Containment system
40: air duct
60: Cable bundle
70: cable tray
80: Top plate of air duct integrated panel
90: Bottom plate of air duct integrated panel
100: fixing pin
110: partition board
120: Partition plate fixing slot and fixing pin
140: Pedestal for panel support
A: air flow
B: Gap between panel top plate and bottom plate

Claims (8)

서버룸의 하부 공간에 배선 등을 포설하기 위한 액세스플로어를 구성하기 위한 액세스플로어 패널로서,
상기 액세스플로어 패널은, 서버룸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통풍구가 형성되고, 서버룸 내부의 장비를 직접적으로 받쳐주고, 서버룸의 내부에서 평평한 플로어를 구성하기 위한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 공간은 공기 덕트로서 기능하며,
상기 서버룸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판 사이 공간은 배선이 포설되는 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
An access floor panel for constructing an access floor for laying wiring, etc. in the lower space of the server room,
The access floor panel includes a floor plate disposed at intervals upward from the floor of the server room; and
It is disposed at intervals upward from the floor plate, has ventilation holes, and includes a top plate to directly support equipment inside the server room and to form a flat floor inside the server room,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functions as an air duct,
An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between the floor of the server room and the floor plate is configured as a space for wi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ccess floor panel integrated with an air duct,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in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and to support the load of the top pla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 공간의 측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세워지는 칸막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access floor panel integrated with an air duct, further comprising a partition plate erect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to form a side wall of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중 모퉁이 부분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핀은 상기 칸막이판을 끼워넣을 수 있는 슬롯이 형성된 칸막이판 고정슬롯 겸용 고정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
According to paragraph 3,
An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in installed at the corner among the fixing pins is a fixing pin that doubles as a partition plate fixing slot and is formed with a slot into which the partition plate can be insert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룸의 바닥면 위에 세워져서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용 페데스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further comprising a panel support pedestal that stands on the floor of the server room and supports the floor plate.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판과 바닥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공기덕트 일체형 엑세스플로어 패널을 구성하는 단계;
서버룸의 바닥면 위에 세워진 패널 지지용 페데스탈이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공기덕트 일체형 엑세스플로어 패널 다수 개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상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 공간은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기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바닥판 아래의 공간에는 케이블다발이 포설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의 시공방법.
Constructing an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including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fixing pin install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Installing a plurality of the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s while supporting the floor plate by a panel support pedestal erected on the floor of the server room; and
The space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is composed of an air duct through which air can flow, and the step of arranging a cable bundle in the space below the bottom plate is an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Construction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덕트 일체형 엑세스플로어 패널의 측벽을 이루도록 수직하게 세워진 칸막이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칸막이판 다수 개를 수평 방향을 따라 일직선 또는 대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공기의 흐름 방향을 막거나 바꿀 수 있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use 6,
I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installing a vertically standing partition plate to form a side wall of the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A method of constructing an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are connected in a straight or diagonal lin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lock or change the direction of air flow.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 다양한 종류의 상기 공기덕트 일체형 엑세스플로어 패널들을 구비해놓고,
상기 공기덕트 내로 공기가 들어오는 쪽이 공기를 배출하는 쪽에 비하여 상기 상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간격이 넓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덕트 일체형 액세스플로어 패널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use 6 or 7,
Various types of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s are provided with different spacing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 method of constructing an air duct-integrated access floor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is wider on the side where air enters the air duct than on the side where air is discharged.
KR1020220079280A 2022-06-28 2022-06-28 Access floor panel integrated with air duc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6639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280A KR102663921B1 (en) 2022-06-28 2022-06-28 Access floor panel integrated with air duc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280A KR102663921B1 (en) 2022-06-28 2022-06-28 Access floor panel integrated with air duc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082A true KR20240002082A (en) 2024-01-04
KR102663921B1 KR102663921B1 (en) 2024-05-08

Family

ID=8954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280A KR102663921B1 (en) 2022-06-28 2022-06-28 Access floor panel integrated with air duc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92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304A (en) * 1991-12-11 1993-06-22 Fujitsu Ltd Clean room
JP2775469B2 (en) * 1989-06-02 1998-07-16 株式会社建築設備設計研究所 Floor systems for air conditioning and electrical equipment
JP2001263774A (en) * 2000-03-16 2001-09-26 Ntt Docomo Tohoku Inc Air conditioner in containing house
KR101422607B1 (en) * 2013-04-11 2014-07-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5469B2 (en) * 1989-06-02 1998-07-16 株式会社建築設備設計研究所 Floor systems for air conditioning and electrical equipment
JPH05157304A (en) * 1991-12-11 1993-06-22 Fujitsu Ltd Clean room
JP2001263774A (en) * 2000-03-16 2001-09-26 Ntt Docomo Tohoku Inc Air conditioner in containing house
KR101422607B1 (en) * 2013-04-11 2014-07-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921B1 (en) 202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0012B2 (en) Data center air routing system
RU2524181C2 (en) Refrigerating unit built into rack
US8004831B1 (en) Orthogonally system arrangements for data center facility
CA2949839C (en) Modular data center row infrastructure
US7173821B2 (en) Computer rack with power distribution system
US8934242B2 (en) Hot aisle containment cooling system and method
US8157626B2 (en) Data center cooling
US6859366B2 (en) Data center cooling system
US4378727A (en) Data station with wire and air duct
US8867214B2 (en) Modular server design for use in reconfigurable server shelf
US9788455B1 (en) Electronic equipment data center or co-location facility desig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8720043B2 (en)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s in a rack system
US9661782B2 (en) Data center cooling arrangements
US201102098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oling apparatus racks
US10939588B2 (en) Airflow distribution and management architecture for large data center
US20110102974A1 (en) Modular multilevel raised floor electro-mechanical distribution system
US4519013A (en) Assemblies of electrical or electronic apparatus
KR102663921B1 (en) Access floor panel integrated with air duc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6859889B2 (en) Server system and server room
Hannaford Ten cooling solutions to support high-density server deployment
JP6471969B2 (en) Server room air conditioning system
CN105578805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abinet thereof
Hannaford Ten steps to solving cooling problems cause by high-density server deployment
US11324146B2 (en) Modular data center serverhall assembly
Karki et al. CFD Modeling of Data Cen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