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371A - 배터리 팩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371A
KR20240001371A KR1020220077934A KR20220077934A KR20240001371A KR 20240001371 A KR20240001371 A KR 20240001371A KR 1020220077934 A KR1020220077934 A KR 1020220077934A KR 20220077934 A KR20220077934 A KR 20220077934A KR 20240001371 A KR20240001371 A KR 20240001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cell
pack assembly
assembly devic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7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371A/ko
Priority to US18/068,903 priority patent/US20230420722A1/en
Priority to CN202211655506.7A priority patent/CN117317337A/zh
Priority to DE102022214312.4A priority patent/DE102022214312A1/de
Publication of KR20240001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듈 구조없이 셀에서 팩으로 조립되는 배터리 팩의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배터리 팩 조립장치는, 전지 셀을 파지가능하고, 파지된 상기 셀을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셀 파지부; 및 상기 제1 방향의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셀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셀 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듈 구조없이 셀에서 팩으로 조립되는 배터리 팩의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차 등에 장착되는 2차 전지에서는 복수의 셀이 모듈로 제작되고, 복수의 모듈이 팩으로 제작된다. 구체적으로 각형 셀을 4 내지 6개 정도 적층하여 커버와 금속 하우징으로 외곽을 형성하여 배터리 모듈을 제작한다. 그리고 배터리 모듈을 배터리 팩의 트레이에 장착한 뒤, 상부 커버를 조립하여 배터리 팩이 제작된다. 이처럼 부품화된 배터리 팩 완제품은 차량 차체, 예를 들어, 하부에 장착된다.
배터리 셀의 에너지 용적률은 전기차의 주행거리에 영향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다시 말하면, 전기차의 항속거리는 같은 공간 안에 가능한 많은 셀을 배치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현재의 배터리 팩 제조 방식에서는 셀, 모듈, 팩이 각각 부품화되고, 하우징을 갖는 형태의 경우 셀의 용적률(전기차에서 배터리 장착을 위해 할애된 공간 중 셀이 차지하는 부피) 약 절반 수준으로 나머지 반은 용량과 관계없는 기계적 강성을 위한 부품, 배터리 냉각 관련 부품, 단열 및 절연 부품 등이 차지하고 있다.
보다 간소화된 배터리의 제작이 가능해지면 궁극적으로 전기차의 만충전당 주행가능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1372호 (공개일자: 2019.08.3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 셀의 에너지 용적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형 배터리 팩을 조립하는 경우에도 팩 내 안착되는 셀의 정렬도에 손상이 없는 배터리 팩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배터리 팩 조립장치는, 전지 셀을 파지가능하고, 파지된 상기 셀을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셀 파지부; 및 상기 제1 방향의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셀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셀 안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배터리 팩의 트레이의 마주보는 양 측 외곽에서부터 중심부를 향해 복수의 셀을 순차적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셀 간 적어도 하나의 셀이 삽입되기 위한 여분의 공간을 남기고 삽입을 중지하는 단계; 상기 중심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셀 사이에서 배터리 팩 조립장치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셀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미는 단계; 반대방향으로 밀린 상기 두 개의 셀 사이에 상기 조립장치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셀의 에너지 용적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배터리 팩을 조립하는 경우에도 팩 내 안착되는 셀의 정렬도에 손상이 없는 배터리 팩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1b는 셀투팩(cell-to-pack, CTP) 배터리의 제조공정을 도시하고,
도 2a는 셀투팩 배터리 제조공정 내 소형 팩의 압입을 도시하고,
도 2a는 셀투팩 배터리 제조공정 내 대형 팩의 압입 시 정렬도 손상을 도시하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조립방법을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조립장치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조립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조립장치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조립장치의 간소화된 정면도이고,
도 8a 내지 8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조립장치를 통한 셀 삽입 과정을 도시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셀의 에너지 용적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최근에는 셀에서 모듈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팩으로 조립되는 이른바 CTP(cell-to-pack) 배터리가 등장한바 있다.
도 1a 내지 1b를 참조하면, CTP 배터리에서는 각형 셀(C)이 블록(B)을 형성하여 배터리 팩(P)의 트레이(T)에 압입된다. 즉, 각형 셀(C)이 하나씩 트레이(T)에 안착되는 것이 아니라, 각형 셀(C)을 일정 수량 모아 블록화한 뒤, 이 블록(B)이 배터리 팩(P)의 트레이(T)에 일정 압력으로 가압되면서 압입된다.
이러한 삽입 공법에서는 셀(C)을 블록 단위로 미리 마련해 둘 수 있어 제조라인 운용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다만, 소형의 배터리 팩에서 셀(C)을 횡방향(y)으로 적층하여 셀 블록이 제작되는 경우에는 압입에 문제가 없다. 다만, 소형 팩의 종방향(x)이나 대형 배터리 팩의 경우에는 정렬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이, 셀 블록 내 셀(C)의 적층 개수가 적을 경우에는 도 2a의 화살표와 같이 압력을 가할 시에도 셀(C)들의 정렬도가 유지될 수 있다. 다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C)의 적층 개수가 많을 경우에는 압입을 위한 가압 시 정렬도가 상실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대형 배터리 팩의 제조가 가능하면서도, 가압 시 정렬도 상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셀-모듈-팩 간 기계적 강성 기능이 중복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냉각, 하우징, 기구적 강성 기능 등 다기능을 가진 통합 부품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셀의 탑재 수량을 늘리면서, 냉각, 절연, 기구적 구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각형 셀(C)을 모듈 구조 없이 바로 배터리 팩(10)의 트레이(20)에 안착하는 것은 기존 CTP 배터리와 동일하다. 다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형 셀(C)을 하나씩 트레이(20)의 둘레에서 중심부로 또는 외곽 벽면에서부터 중심부쪽으로 셀(C)을 안착시킨다. 다만, 셀(C)을 모두 탑재하기 전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의 셀(C)이 삽입될 수 있는 여분의 공간을 남기고 삽입을 중지한다. 그리고 도 3b와 같이, 중심부에 마지막 셀(LC)의 삽입을 위해서 중심부에 적층된 셀 사이를 벌려서 남은 마지막 셀(LC)을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마지막 셀(LC)은 배터리 팩 조립장치(100)에 의해 삽입되는 셀을 가리키며, 팩(10) 내에 마지막으로 장착될 셀일 수도 있고, 마지막보다 먼저 장착될 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배터리 팩의 경우에도 종방향(x)으로 탑재되는 셀(C) 개수의 상관없이 공정 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터리 팩(10)에 마지막 셀(LC)을 넣기 위한 배터리 팩 조립장치와 조립방법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조립장치(100)는 레일(200)에 장착된다. 배터리 팩 조립장치(100)는 행어(102)를 포함하여 레일(200)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레일(200)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일(200)은 한 쌍의 사이드 멤버(300a, 300b)에 의해 지지된다. 레일(200)의 각 단부는 각 사이드 멤버(300a, 300b)에 결합되고, 레일(200)은 사이드 멤버(300a, 300b)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배터리 팩 조립장치(100)와 레일(200)은 모터 등의 구동부에 의해 이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멤버(300a, 300b)는 복수의 레그(4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레일(200)은 한 쌍의 사이드 멤버(300a, 300b)를 통해 레그(4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레그(400)에 의해 형성된 구역에는 셀(C)이 조립될 배터리 팩(10)이 놓이게 된다.
도 5 내지 6에는 배터리 팩 조립장치(100)의 부분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배터리 팩 조립장치(100)는 셀 파지부와 셀 안내부를 포함한다. 셀 파지부와 셀 안내부는 베이스(104)를 중심으로 작동할 수 있다.
셀 파지부는 셀(C) 또는 마지막 셀(LC)을 배터리 팩(10)의 외부에서 가져와 배터리 팩(10)에 장착될 때까지 파지하고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셀 파지부는 그리퍼(106)와 구동기(108)를 포함한다.
그리퍼(106)에는 배터리 팩(10)에 장착될 셀(C)이 파지될 수 있다. 그리고 그리퍼(106)는 구동기(108)의 구동에 이해 선형이동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구동기(108)는 전동 실린더일 수 있다. 그리퍼(106)는 전동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110)에 연결되어 전동 실린더의 동작으로 그리퍼(106)는 z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셀 안내부는 마지막 셀(LC)을 트레이(20)에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셀 안내부는 마지막 셀(LC)을 트레이(20)에 장착할 때, 인접하는 셀(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셀 안내부는 셀 파지부에 의해 파지된 셀(C)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셀 안내부는 슬라이더(112) 및 면 지지부(114)를 포함한다.
슬라이더(112)는 x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슬라이더(112)는 베이스(104)에 장착되는 슬라이더 이송기(116)에 의해 x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슬라이더 이송기는 선형 구동기일 수 있다. 슬라이더(112)는 파지되는 셀(C)을 중심으로 양 측에 각각 한 개씩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더(112)에는 면 지지부(114)가 연결된다. 면 지지부(114)는 복수의 롤링요소(118)를 포함한다. 또한, 슬라이더(112)에는 가이드 필름(120)과 가이드 필름(120)을 권취하고 권출할 수 있는 둘 이상의 필름 롤러(122)가 마련된다. 필름 롤러(122)는 면 지지부(114)를 중심으로 면 지지부(114)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필름 롤러(122u)와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필름 롤러(122d)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필름(120)의 일 단은 상측 필름 롤러(122u)에 권취되고, 가이드 필름(120)의 타 단은 하측 필름 롤러(122d)에 권취된다. 각 필름 롤러(122)는 필름 모터(12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가이드 필름(120)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배터리 팩 조립장치(100)에 투입된 뒤 주기적으로 교체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필름(120)은 복수 회, 예를 들어, 50회 이상 사용되므로 내구성이 충분한 재질로 선택된다. 그리고 가이드 필름(120)은 추가적으로 저 마찰계수를 갖고, 내마모성, 내부식성, 내화학성, 내약품성, 내열성, 비유성, 치수 안정성, 전기절연성 등의 성질을 갖는 재질로 선택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가이드 필름(120)의 재질은 PTFE 내열 코팅이 된 유리 섬유 직물 원단(PTFE Coated Glass Fabric Sheet)일 수 있다.
상측 필름 롤러(122u)와 하측 필름 롤러(122d)의 사이에서 가이드 필름(120)은 면 지지부(114)에 의해 지지된다. 특히, 면 지지부(114)의 롤링요소(118)에 의해 가이드 필름(120)의 이동이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 필름(120)은 하측 필름 롤러(122d)보다 z축방향으로 아래쪽까지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접혀진 가이드 필름(120)의 사이에는 에어 나이프(126)가 형성되어 하측 필름 롤러(122d)의 아래쪽에서도 가이드 필름(120)의 설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배터리 팩 조립장치(100)는 공기라인(128)을 포함한다. 공기라인(128)은 접혀진 가이드 필름 사이에 일정치 이상의 높은 압력의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에어 나이프(126)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또한, 슬라이더(112)는 푸싱 아암(132)을 포함한다. 푸싱 아암(132)은 배터리 팩(10) 내 셀(C)을 밀어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푸싱 아암(132)은 에어 나이프(126) 내에 구비될 수 있다. 푸싱 아암(132)은 에어 나이프(126) 전체 길이를 연장할 필요는 없고 일부만 연장하면 족하다.
앞서 설명된 셀 안내부는 셀 파지부를 중심으로 양 측에 각각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반대측의 셀 안내부에도 앞선 설명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8a 내지 8h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조립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배터리 팩(10)은 앞서 도 4와 같은 작업 공간에 놓이고, 도 8a와 같이, 배터리 팩(10)의 트레이(20)에는 양 측 끝에서부터 중심부 쪽으로 셀(C)이 안착된다. 그리고 여분의 공간, 예를 들어 하나 내지 두 개의 셀(C)이 들어갈 정도의 공간을 남긴 채, 셀(C)의 안착이 중지된다.
도 8b에서 배터리 팩 조립장치(100)가 마지막 셀(LC)을 셀 파지부에 파지한 채로 마지막 셀(LC)이 삽입될 위치로 이동한다. 배터리 팩 조립장치(100)의 이동은 레일(100) 상에서의 이동 및/또는 레일(200)의 이동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팩 조립장치(100)의 셀 안내부는 배터리 팩(10) 내에서 마지막 셀(LC)이 삽입될 공간을 확보하기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푸싱 아암(132)이 중심부에서 서로 직접 이웃하는 두 셀(C)을 반대쪽으로 밀게 되면 공간이 형성된다(도 8c 참조).
다음, 도 8d와 같이, 셀 파지부의 그리퍼(106)에 장착된 마지막 셀(LC)이 구동기(108)의 구동에 의해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때에는, 특히, 공기라인(128)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에어 나이프(126)가 형성되고, 하측 필름 롤러(122d) 아래쪽에 있는 가이드 필름(120)은 에어 나이프(126)에 의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 나이프(126)에 의해 형태가 유지되는 가이드 필름(120) 부분은 마지막 셀(LC)과 직접 이웃하는 인접 셀(C)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강하기 시작한 마지막 셀(LC)은 가이드 필름(120)을 사이에 두고 면 지지부(114)에 의해 지지된다. 하강 시 상측 필름 롤러(122u)에서 가이드 필름(120)이 권출될 수 있고, 셀(C)이 하강하면서 가이드 필름(120)도 권출된다. 이때 면 지지부(114)의 롤링요소(118)에 의해 가이드 필름(120)의 이동이 지지된다.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셀(LC)이 계속 하강하여 트레이(20)에 안착된다. 그리고 도 8f와 같이, 셀 파지부와 인접 셀(C)을 밀고 있던 푸싱 아암(132)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조립장치(100)가 상승하고, 필름 롤러(122)에 의해 가이드 필름(120)이 권취되면서 안착이 종료된다.
기존에는 배터리 팩 트레이 하부에 냉각 채널이 마련되고, 셀 하부 간 공극을 메우기 위한 갭 필러가 먼저 도포되었다. 다만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배터리 팩 삽입 장치에 의해 트레이에 삽입된 셀을 좌우로 벌릴 때, 갭 필러의 접착력에 의해 삽입 공간의 확보가 어렵거나 갭 필러의 밀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도 8g를 참조하면,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팩(10)의 트레이(20) 하부의 냉각 채널 상면과 셀(C)의 하부 간에 일정한 간극을 가지도록 한다. 이때에는 셀(C)을 먼저 모두 삽입한 뒤, 배터리 팩(10)의 트레이(20) 하부에서 갭 필러(40)가 주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팩(10)의 트레이(20)는 복수의 주입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필러 주입기(30)에 의해 공급되는 갭 필러(40)는 주입구(12)를 통해 갭 필러(40)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8h에는 갭 필러(40)의 주입이 완료된 배터리 팩(1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탑재되는 셀 개수의 제한 없이 셀들의 정렬을 유지하면서 CTP 배터리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배터리 팩 12: 주입구
20: 트레이 30: 필러 주입기
40: 갭 필러 100: 배터리 팩 조립장치
102: 행어 104: 베이스
106: 그리퍼 108: 구동기
110: 피스톤 로드 112: 슬라이더
114: 면 지지부 116: 슬라이더 이송기
118: 롤링요소 120: 가이드 필름
122: 필름 롤러 122u: 상측 필름 롤러
122d: 하측 필름 롤러 124: 필름 모터
126: 에어 나이프 128: 공기라인
130: 안내롤러 132: 푸싱 아암
200: 레일 300a, 300b: 사이드 멤버
400: 레그

Claims (20)

  1. 전지 셀을 파지가능하고, 파지된 상기 셀을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셀 파지부; 및
    상기 제1 방향의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셀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셀 안내부;
    를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 파지부는 상기 셀을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그리퍼 및 상기 그리퍼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 안내부는 제1 슬라이더 및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제2 슬라이더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셀 안내부는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제2 슬라이더 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더 이송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 슬라이더 및 제2 슬라이더 각각은,
    면 지지부; 및
    상기 면 지지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이드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면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 필름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롤링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제2 슬라이더 각각은 상기 면 지지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푸싱 아암을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필름은 상기 푸싱 아암을 상기 가이드 필름의 내측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셀 안내부에서 연장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셀 안내부는,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공기라인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푸싱 아암 측에서 가이드 필름을 향해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에어 나이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필름의 일 단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면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필름 롤러에 의해 권취 및 권출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필름의 타 단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면 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필름 롤러에 의해 권취 및 권출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측 필름 롤러 및 하측 필름 롤러는 각각 상측 필름 롤러 및 하측 필름 롤러 각각을 위한 필름 모터의 구동에 의해 권취 또는 권출가능한 것인 배터리 팩 조립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에어 나이프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가이드 필름을 상기 셀 안내부에 위치시키는 안내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지 셀은 각형 셀인 것인 배터리 팩 조립장치.
  14. 배터리 팩의 트레이의 마주보는 양 측 외곽에서부터 중심부를 향해 복수의 셀을 순차적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셀 간 적어도 하나의 셀이 삽입되기 위한 여분의 공간을 남기고 삽입을 중지하는 단계;
    상기 중심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셀 사이에서 배터리 팩 조립장치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셀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미는 단계; 및
    반대방향으로 밀린 상기 두 개의 셀 사이에 상기 조립장치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셀 삽입 후 조립을 종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셀 삽입 후,
    상기 트레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주입구를 통해 갭 필러를 주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 조립장치는 셀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셀 안내부는,
    상기 두 개의 셀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밀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푸싱 아암; 및
    상기 푸싱 아암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더 이송기;
    를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 조립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을 파지하는 그리퍼; 및
    상기 그리퍼를 상기 한 쌍의 푸싱 아암 사이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기;
    를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셀 안내부는, 상기 셀 안내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과 접촉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이 트레이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 필름이 상기 트레이 내까지 연장하도록 상기 가이드 필름의 내측에서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배터리 팩 조립방법.
KR1020220077934A 2022-06-27 2022-06-27 배터리 팩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KR20240001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934A KR20240001371A (ko) 2022-06-27 2022-06-27 배터리 팩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US18/068,903 US20230420722A1 (en) 2022-06-27 2022-12-20 Battery Pack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CN202211655506.7A CN117317337A (zh) 2022-06-27 2022-12-22 电池组组装设备和方法
DE102022214312.4A DE102022214312A1 (de) 2022-06-27 2022-12-22 Batteriepackmontagevorrichtung und verfahr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934A KR20240001371A (ko) 2022-06-27 2022-06-27 배터리 팩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371A true KR20240001371A (ko) 2024-01-03

Family

ID=8907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934A KR20240001371A (ko) 2022-06-27 2022-06-27 배터리 팩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420722A1 (ko)
KR (1) KR20240001371A (ko)
CN (1) CN117317337A (ko)
DE (1) DE10202221431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372A (ko) 2017-01-19 2019-08-30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셀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372A (ko) 2017-01-19 2019-08-30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셀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317337A (zh) 2023-12-29
DE102022214312A1 (de) 2023-12-28
US20230420722A1 (en)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1229B1 (en) Secondary-battery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device
CN101573809B (zh) 蓄电装置单元
US97869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for rectangular battery
CN105144553A (zh) 向转子铁心的磁铁插入方法
KR101348040B1 (ko) 전지 조립 장치 및 전지 조립체의 제조 방법
KR20140006984A (ko) 2차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2013004522A (ja) トレイ
JP2014203778A (ja) 充放電装置
CN103765655A (zh) 蓄电池的制造方法以及制造装置
KR20240001371A (ko) 배터리 팩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CN205809112U (zh) 夹式探针装置
KR102178185B1 (ko) 2차 전지용 전극 생산 시스템의 스태킹 장치 및 2차 전지용 전극 생산 시스템의 스태킹 방법
KR101243914B1 (ko) 전지 팩의 제조 장치
KR102319133B1 (ko) 분리막 인출장치
CN107607746A (zh) 夹式探针装置
KR102015901B1 (ko) 2차전지셀 케이스 삽입 장치
CN207426049U (zh) 电芯分距机构及电芯入壳装置
RU20323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ки батареи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KR102197509B1 (ko) 2차 전지용 전극 생산 시스템의 얼라인 장치
TWI814941B (zh) 多段式手臂及具有此手臂之搬運機器人
CN114868299A (zh) 蓄能器模块、具有这种蓄能器模块的车辆及制造这种蓄能器模块的方法
JP2014035985A (ja) 仕切り板および蓄電素子の拘束方法
TWI449234B (zh) Positioning device for conductive probe for power battery
KR102549034B1 (ko) 이차전지 제조장비
CN111081447B (zh) 高温超导磁体保护结构及其安装方法以及磁悬浮列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