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052U -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 - Google Patents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1052U KR20240001052U KR2020220002911U KR20220002911U KR20240001052U KR 20240001052 U KR20240001052 U KR 20240001052U KR 2020220002911 U KR2020220002911 U KR 2020220002911U KR 20220002911 U KR20220002911 U KR 20220002911U KR 20240001052 U KR20240001052 U KR 2024000105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 banners
- mat
- tree
- tree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ogen oxide Inorganic materials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628 calc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110 calc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HGUFODBRKLSHSI-UHFFFAOYSA-N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Chemical compound O1C2=CC(Cl)=C(Cl)C=C2OC2=C1C=C(Cl)C(Cl)=C2 HGUFODBRKLSHS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323 bea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38 degradable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58 fert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IXCSERBJSXMMFS-UHFFFAOYSA-N hydrogen chloride Substances Cl.Cl IXCSERBJSXMMF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41 hydrogen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3 mo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0 soi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TQHKBHJIVJGKJ-UHFFFAOYSA-N sulfur monoxide Chemical class S=O XTQHKBHJIVJG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5 sulfu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85—Paper; Wood; Fabrics, e.g. cloth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6—Disintegrating fibre-containing textile articles to obtain fibres for re-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로서, 수거된 폐현수막을 색상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폐현수막을 폭 10~15cm로 재단하고, 재단된 복수개의 폐현수막 조각들을 꼬아서 하나의 줄을 직조 혹은 제직하고, 적어도 3가닥 이상의 줄을 서로 꼬아서 하나의 합쳐진 굵기가 되도록 일체형으로 줄을 직조 혹은 제직하여 제조된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이고, 상기 적어도 3가닥 이상의 줄이 합쳐질 때, 서로 합쳐진 적어도 3가닥 이상의 줄이 합쳐져서 일정 굵기가 형성된 직조 혹은 제직된 폐현수막을 이용한 줄을 이용하여 제조된 원형형태 혹은 직사각형 형태 혹은 다각형 형태의 수목 멀칭매트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폐현수막을 이용한 리사이클링 멀칭 매트(mui ching mat)에 관련된 것으로 수목, 산책로, 묘목, 식물재배의 뿌리 위를 덮어주어 수목보호와 수목생장, 토지보호에 도움을 주던 폐현수막을 사용한 멀칭매트 제조방법에 관련된 것이며, 기존 수입품으로 조경수목 재배 및 식재, 조림 묘목, 가로수 등 수목 뿌리 부근에 잡초제거, 겨울철 동해예방, 가뭄철 수분보호, 토양유실방지, 수목답압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수목 뿌리 위에 깔아주는 멀칭매트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에 관한 것이다.
현수막은 광고나, 정보제공 등을 위해 제작되어 건물 외부나 도로 곳곳에 부착되거나, 걸려있다. 대부분의 현수막은 일정시간 동안 광고를 하거나 정보를 제공하고, 그 기간이 만료되면 다른 광고나 정보제공을 위해 기존의 현수막을 제거하고, 새로운 현수막으로 대처된다.
상기 기존의 현수막(폐현수막)은 폐기 처분되며, 대부분 다른 쓰레기와 함께 매립되거나, 소각된다.
그러나 현수막은 용도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섬유원단, 부직포, 합성지, 한지,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소재에 문자나 그림 등이 잉크로 인쇄되어 있다.
즉, 현수막의 소재에 따라 매립될 경우에는 토양 오염을 심화시키실 수 있다.
또한, 현수막을 소각시킬 경우에는 현수막의 소재 중에 합성수지가 타면서 다이옥신이 배출되고, 현수막 잉크성분이 악취를 내뿜어 대기 오염이 가속화될 수 있다.
이렇게 일회성으로 사용되어 각종 오염을 유발하는 폐현수막을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다음은 앞서 설명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폐현수막을 이용한 재활용 방법에 관한 배경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4961호(이하, 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0958호(이하, 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275481호(이하, 문헌 3)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2247호(이하, 문헌 4)가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29878호(문헌 5)가 있다.
문헌 1은 잡초의 발육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부재, 폐현수막 원단, 접착층과 지지부재가 적층된 잡초방지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문헌 1의 매트는 시트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접착층을 이용하여 폐현수막 원단이 접착시켜 일체화되는 공정을 통해, 별도의 과정으로 인해 매트의 단가가 상승되어 경제적인 면에서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문헌 2는 열경화성 폐현수막을 수거하여 타면과정을 거쳐 솜이 제조되고, 솜을 부직포형태로 성형하여 제설용 농업, 축산업 등에 사용되는 폐현수막을 이용한 보온덮개 제조방법과 폐보온덮개 재활용 방법 및 그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문헌 2의 보온덮개는 폐현수막을 수거, 정렬, 세정, 절단, 솜 제조, 시트 제조, 시트롤 제조 및 보온덮개 제조단계를 거쳐 제조됨에 따라 가공 단계에 따라 많은 비용이 발생되고, 평평하지 않는 지면 특히, 움푹 파인 부분에 적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문헌 3은 폐현수막 재활용 시에 탈락되는 잉크와의 접촉에 의한 피부트러블, 물건의 색상변형 등을 방지하기 위한 폐현수막을 재활용한 원단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 3의 원단은 폐현수막의 인쇄층을 커버하기 위해 접착제를 이용하여 시트부재를 부착하여 제조됨에 따라, 제조된 원단의 단가가 상승되어 활용되는 분야가 제한적일 수 있다.
문헌 4는 혼합 접착제를 이용하여 여러 장의 현수막을 접착시켜 단단하게 제조하는 폐현수막을 여러 자재에 쓰일 수 있도록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 4의 가공방법으로 제조된 판은 유해물질이 용출될 수 있는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어, 밭, 논둑이나 과수원의 지면에 시공하게 될 경우에 접착제의 유해물질에 의해 토양이 오염될 수 있다.
문헌 5는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폐현수막을 재사용하여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폐현수막을 이용한 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 5의 방법으로 제조된 시트는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폐현수막을 이용하여 시트를 제조하여 폐현수막을 재사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제조과정이 번거롭고, 제조비용이 많이들며, 사용후 다시 재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었다.
한편, 상기한 문헌 1 내지 5의 폐현수막의 활용방법의 예들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폐현수막 재활용방법 또는 폐현수막을 이용한 시트는 논이나 밭을 경작하기 위한 커버로서의 역할을 주로 제안하는 것이지만, 조경수목 재배 및 식재, 조림 묘목, 가로수 등 수목 뿌리 부근에 잡초제거, 겨울철 동해예방, 가뭄철 수분보호, 토양유실방지, 수목답압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수목 뿌리 위에 깔아주는 멀칭매트에 대한 내용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입 수목 멀칭매트가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입 수목 멀칭매트(10)가 도로에 설치되어, 도로를 보호하고, 기타 도로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편안함을 주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입 수목 멀칭매트가 설치되는 사례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입 수목 멀칭매트(50)가 중앙부가 개구된 상태이며, 일부 절개된 상태이고, 수목(20)을 감싸면서 수목(20)주위 노출된 흙부분(30)을 감싸면서 설치되며(도 2 (A)참조), 마무리된 상태를 나타낸다(도 2 (B)).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경수목 재배 및 식재, 조림 묘목, 가로수 등 수목 뿌리 부근에 잡초제거, 겨울철 동해예방, 가뭄철 수분보호, 토양유실방지, 수목답압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수목 뿌리 위에 깔아주는 멀칭매트(50)는 수입품이 대부분이고, 그 멀칭매트 재료에 사용되는 분해성 플라스틱은 또다른 환경오염을 유발 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즉, 기존의 수목 멀칭매트(50)는 플라스틱멀칭매트 재료, 석재멀칭매트, 톱밥멀칭 등 여러재료 사용으로 그 비용들이 비싸며, 환경오염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4961호
(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0958호
(문헌 3) 등록특허공보 제10-1275481호
(문헌 4)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2247호
(문헌 5)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29878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수입품으로 조경수목 재배 및 식재, 조림 묘목, 가로수 등 수목 뿌리 부근에 잡초제거, 겨울철 동해예방, 가뭄철 수분보호, 토양유실방지, 수목답압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수목 뿌리 위에 깔아주는 멀칭매트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저탄소 및 탄소 중립을 위한 소각으로 처분하던 페현수막을 이용하여 수목을 보호하고 생장에 도움을 주며 페현수막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지자체의 골칫거리인 페현수막을 소각이 아닌 재활용하기 위한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페현수막의 긴 수명으로 장기간 수목 멀칭 매트로 사용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목적은 멀칭 매트로 수분 보호로 수목의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표토층의 온도변화를 줄이고 겨울철 동해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토양 유실 방지와 염화칼슘에 인한 수목의 피해방지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로서,
수거된 폐현수막을 색상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폐현수막을 폭 10~15cm(이에제한되지 않음, 적당한 길이로, 10cm단위로 확대하여 재단가능함)로 재단하고, 재단된 복수개의 폐현수막 조각들을 꼬아서 하나의 줄을 직조 혹은 제직하고, 적어도 3가닥 이상의 줄을 서로 꼬아서 하나의 합쳐진 굵기가 되도록 일체형으로 줄을 직조 혹은 제직하고, 적어도 3가닥 이상의 줄이 합쳐져 일정 굵기가 형성된 직조 혹은 제직된 폐현수막을 이용한 줄을 이용하여 원형형태 혹은 직사각형 형태 혹은 다각형 형태로 제조된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적어도 3가닥 이상의 줄이 합쳐질 때, 서로 합쳐진 적어도 3가닥 이상의 줄이 합쳐져서 일정 굵기가 형성된 직조 혹은 제직된 폐현수막을 이용한 줄을 이용하여 제조된 원형형태 혹은 직사각형 형태 혹은 다각형 형태의 수목 멀칭매트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적어도 3가닥 이상의 줄은 서로 다른 색상의 줄을 이용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가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 제조방법은 기존 수입품으로 조경수목 재배 및 식재, 조림 묘목, 가로수 등 수목 뿌리 부근에 잡초제거, 겨울철 동해예방, 가뭄철 수분보호, 토양유실방지, 수목답압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수목 뿌리 위에 깔아주는 멀칭매트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탄소 및 탄소 중립을 위한 소각으로 처분하던 페현수막을 이용하여 수목을 보호하고 생장에 도움을 주며 페현수막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자체의 골칫거리인 페현수막을 소각이 아닌 재활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페현수막의 긴 수명으로 장기간 수목 멀칭 매트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멀칭 매트로 수분 보호로 수목의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토층의 온도변화를 줄이고 겨울철 동해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양 유실 방지와 염화칼슘에 인한 수목의 피해방지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경제적 효과로서는 지자체에서 가로수 관리시 잡초제거를 위한 인원동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경적 효과로서, 소각 처리하던 페현수막을 재활용할 수 있어 소각장에서 발생하는 산성 유해물질(일산화탄소, 염화수소,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경수목 성장을 위한 효과로서, 수목의 잡초관리(잡초의 생장을 더디게 하여 수목 생장 수분과 양분을 제공)효과와, 자연환경 유지(태양복사, 바람으로부터 토양의 온도와 토양 수분을 보존)효과와, 토양 보존(표토의 유실과 침식을 보존)효과와, 토양 굳힘 방지(답압과 빗방울 충격으로부터 토양이 다짐현상 방지)효과와, 토양의 구조향상효과 및 입단화 촉진효과가 있으며, 공극률을 높여서 부리 생장을 도움을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토양의 비옥도(유익한 미생물의 활동을 증진시켜 양료를 공급)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수목병충해 방지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으며, 가뭄철 수분증발을 막아 수목성장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수목용 멀칭 매트는 굵은 줄로 꼬아 제작되어 통기성이 우수하여 빗물이 잘 스며들며 잡초의 생장을 억제하여 수목생장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겨울철 수목동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토양유실로부터 토양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입 수목 멀칭매트가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입 수목 멀칭매트가 설치되는 사례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를 제작하기 위한 원재료로서 지자체 등에 수거된 상태의 폐현수막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를 제작하기 위한 원재료로서 지자체 등으로부터 폐현수막을 수거하기 위한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 제조과정에서 직조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를 수목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도 8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를 수목에 설치한 상태 이후에 관리를 위하여 시트에 부착 인쇄된 큐알코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수거된 폐현수막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수거된 폐현수막을 재단하기 위해 측정하는 사진이다.
도 12는 일정크기로 재단된 폐현수막을 수목 멀칭매트를 만들기 위한 전단계로서 직선형태의 줄(STRING)로 만든 단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도 12의 폐현수막 직조 재료를 통해 제작된 수목 멀칭매트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일명 멍석매트라고도 칭함)를 제조하기 위한 일 예를 준비단계부터 순차적으로 도시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 및 도 21은 수먹 멀칭매트의 두께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수목 멀칭매트의 지름 및 반지름을 측정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입 수목 멀칭매트가 설치되는 사례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를 제작하기 위한 원재료로서 지자체 등에 수거된 상태의 폐현수막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를 제작하기 위한 원재료로서 지자체 등으로부터 폐현수막을 수거하기 위한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 제조과정에서 직조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를 수목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도 8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를 수목에 설치한 상태 이후에 관리를 위하여 시트에 부착 인쇄된 큐알코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수거된 폐현수막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수거된 폐현수막을 재단하기 위해 측정하는 사진이다.
도 12는 일정크기로 재단된 폐현수막을 수목 멀칭매트를 만들기 위한 전단계로서 직선형태의 줄(STRING)로 만든 단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도 12의 폐현수막 직조 재료를 통해 제작된 수목 멀칭매트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일명 멍석매트라고도 칭함)를 제조하기 위한 일 예를 준비단계부터 순차적으로 도시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 및 도 21은 수먹 멀칭매트의 두께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수목 멀칭매트의 지름 및 반지름을 측정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를 제작하기 위한 원재료로서 지자체 등에 수거된 상태의 폐현수막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를 제작하기 위한 원재료로서 지자체 등으로부터 폐현수막을 수거하기 위한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 제조과정에서 직조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를 수목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9는 도 8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를 수목에 설치한 상태 이후에 관리를 위하여 시트에 부착 인쇄된 큐알코드를 혹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를 제작하기 위한 원재료로서, 지자체 혹은 기타 관공서 혹은 관계 정부기관(이에 한정하지 않음)에서 수거된 폐현수막(60)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원료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100)을 제조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를 제작하기 위한 원재료로서 지자체 등으로부터 폐현수막을 수거하기 위한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들로서,
정기수거(S22)과정이 있고,
부(비)정기수거(S32)과정이 있다.
각각 지자체 방문(S24,S34), 수거(S26,S36), 및 보관(S28,S38)과정이 포함된다.
그러나 수거과정을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별도의 수거 기관을 통해 수거된 폐현수막(60)을 공급받을 수 있음은 물론 가능할 것이다.
또한, 지자체 혹은 관공서 등에서 본 고안에 따른 페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 제작업체에 푸쉬메일이나 문자로 수거요청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예시적으로 폐현수막의 수거현황을 살펴보면, 광주광역시 페현수막 수거현황으로, 2020년 77만개, 2021년 81만개가 수거되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로서,
폐현수막(60)을 수거하는 단계(S2),
수거된 폐현수막을 색상별로 분류하는 단계(S4),(자동 혹은 수동가능함, 자동의 경우에는 콘베이어 벨트를 통과하도록 이미지센서를 통해 색상별로 분류하여 분류기(미도시)를 통해 별도로 색상별로 분류되도록 할 수 있다),
분류된 폐현수막을 직조 가공을 위해 건조시키는 단계(S6)(필수 단계는 아님, 보관중인 것을 사용할 때는 건조과정이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 가능할 것이다),
이후, 상기 분류된 혹은 건조된 폐현수막을 펼쳐서 일정한 크기로 재단하는 단계(S8),(재단하는 크기는 용도별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재단이후 재단된 폐현수막 재료를 통해 직조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단계 S10이후에 완성된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는 별도의 장소에 보관된다(S12).
상기 단계 S10에서 직조과정에서는 일정크기 재단되어 준비된 폐현수막을 직조하기 좋게 미리 일정크기로 직조 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렇게 준비된 폐현수막 재료를 적어도 두개 혹은 세개 이상 준비하여 서로 엇갈리게 교차하여(도 7 참조, 세개의 재료가 준비되어 서로 교차하여 직조시켜 하나로 뭉쳐지면서 일정굵기의 폐현수막 멀칭매트가 줄(STRING)형태로 완성된 예)직조한다.
결과적으로 단계 S10에서 직조된 재료는 줄(STRING)형태로 완성된 것이지만, 이렇게 완성된 재료를 똬리형태(이에 한정되지 않음)로 말아서 형성하여 원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제조한 일종의 멍석매트인 수목 멀칭매트(중간에 중공이 형성됨, 미도시)를 완성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를 수목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원형 형태의 수목 멀칭매트(100)는 중간에 수목(40)을 감쌀 수 있는 중앙원형개구부가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수목 멀칭매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가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일정 위치에 형성되어 제작된 것일 수 있으며, 설치는 도2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를 수목에 설치한 상태 이후에 관리를 위하여 시트에 부착 인쇄된 큐알코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큐알 코드를 휴대폰 혹은 개인 단말기의 큐알코드 인식프로그램을 통해 리드(READ)하면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해 제작된 어떤 형식의 어떤 크기의 제품으로 언제 설치되었다는 정보가 표시되며, 이를 통해 수목 멀칭매트(100)의 사후관리가 가능해진다. 즉, 수목 멀칭매트(100)가 손상되거나 노후화된 경우, 큐알코드를 읽은 자료를 전송하여 수목 멀칭매트(100) 설치를 한 본 고안의 운영자 혹은 관리자에게 메시지가 전달되어 사후관리를 통해 수거하거나 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출원인은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의 설치 현황을 파악하여 주기적으로 관리 및 감독할 수 있고, 그 결과를 리포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 및 제3자가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수목 멀칭매트(100)의 방치가 아닌 사후관리를 철저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0은 수거된 폐현수막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와 같이 수거된 폐현수막(60)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수목 멀칭매트를 제작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도 11은 수거된 폐현수막을 재단하기 위해 측정하는 사진을 나타낸다.
일정크기로 측정된 길이만큼 폐현수막이 재단되어 준비된다. 여기서, 폐현수막 자체는 일정폭을 가지며 일정길이가 형성되어 있고, 한 가닥의 줄(실)로 만들기 위해 잘라내는 크기가 10cm~15cm(이에 제한되지 않음)이다.
도 12는 일정크기로 재단된 폐현수막을 수목 멀칭매트를 만들기 위한 전단계로서 직선형태의 줄(STRING)로 만든 단계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재단된 폐현수막(60)을 줄(STRING)형태로 꼬아서 준비한다.
도 13은 도 12의 폐현수막 직조 재료를 통해 제작된 수목 멀칭매트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3을 참조하면, 일종의 수목용 멍석매트(200)의 한 형태이며, 중심부에 구멍)250)이 형성되며,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절단선(220)이 형성되어 이부분은 종래 멀칭매트와 마찬가지로 수목(40)을 감싸면서 설치할 때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 멀칭매트(일명 멍석매트라고도 칭함)를 제조하기 위한 일 예를 준비단계부터 순차적으로 도시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세가닥의 줄을 도 11의 측정 단계에서 준비하여 이후 꼬아놓은 상태이다. 미리 꼬아진 줄들(110-1,110-2,110-3)이 준비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4에서 준비된 꼬아진 줄들(110-1,110-2,110-3)이 하나로 서로 묶여져서 다시 하나의 줄(100)로 준비된다. 줄(100)의 총길이는 계속해서 새끼꼬듯이 연결하면서 길이를 늘려가며 길이를 연장시켜가면서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10m~15m길이로 제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나의 멍석매트(가격 약 5,000원,이에 한정되지 않음)(20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6를 참조하면, 도 15의 과정을 통해 일정길이만큼 제조된 줄(100)을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에서 도시된 일정 길이 및 일정두께의 줄(100)을 통해 원형의 멍석매트(200)를 만든 것인데, 참조부호 160은 서로 원형으로 연속해서 말아진 줄(10)을 서로 연결한 연결선을 나타낸다, A1 및 A2는 멍석매트(200)를 만들 때, 중심부가 수목(원의 지름이 서로 다름)의 지름에 따라 크거나 작게 미리 형성되며, 감싼후에 서로 완전하게 하나의 수목을 감싸는 원형 멍석매트(200)가 되도록 한 대향하는 측면들을 나타낸 것으로 측면 연결한 선을 연장하여 도시한 가상의 선을 나타낸다. A1 및 A2 부분은 서로 만나서 접하게 된다. 이를 통해 완전한 하나의 멍석매트(200)가 되는 것이다(도 13에서 절단선(220)으로 표시한 부분과 동일하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 17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예를 들어 화분(300)을 감싼다고 가정하면 중심부의 구멍(250)으로 형성된 부분이 화분을 감싸게 되며, 이때, A1 및 A2로 표시된 부분은 서로 만나면서 멍석매트(200)를 형성하게 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 18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중심부의 구멍(250)부분이 도시되며, A1 및 A2로 표시된 부분은 서로 만나면서 멍석매트(200)가 완전하게 중심부분에 위치한 수목(미도시)을 감싸면서 멍석매트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도 19에서 중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줄(100)의 두께는 약 3~5cm 정도가 적당할 것이다(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400은 두께를 재기위한 자를 나타낸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도 18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멍석매트(200)의 전체지름은 약 60~100cm정도이며(반지름 30~50cm, 이에 제한되지 않음), A1 및 A2로 표시된 부분은 서로 만나면서 멍석매트(200)가 완전하게 중심부분에 위치한 수목(미도시)을 감싸면서 멍석매트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멍석매트의 형태는 내측 중심부는 거의 원형이지만 외형은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제작가능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중심부에는 일정지름을 가진 원형링(미도시, 이때 원형링은 친환경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이 미리 배치되어 그 원형링(미도시)을 중심부가 감싸면서 멍석매트가 완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2 및 도 23를 참조하면, 연결선(160)은 천연재료로 사용가능하며, 서로 인접한 부분을 하나로 감아돌리면서 연속하여 인접한 부분을 감아돌려 일체로 묶기 위한 끈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22 및 도 23를 참조하면, 연결선(160)은 천연재료로 사용가능하며, 서로 인접한 부분을 하나로 감아돌리면서 연속하여 인접한 부분을 감아돌려 일체로 묶기 위한 끈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과정은 도 6에서의 제조과정에서, 재단과정(S10)후에, 줄 형태로 만들고, 다시 여러 가닥(실시예에서는 3가닥, 이에 한정되지 않음)의 줄을 하나로 새끼 꼬듯이 꼬아서 하나의 일정 두께 및 일정길이를 가진 연합사 형태의 멍석매트용 줄(100)을 꼬아서(직조 혹은 제직) 만든다. 이후, 줄(100)을 중심부는 구멍(250)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서로 동심원형태로 맞닿게 하여 중심에서부터 방사상으로 지름을 넓혀가며 약30~50cm 반지름을 가진 멍석매트(200)를 만들기 위한 연속된 줄이 겹쳐져서 형성된 동심원 형태의 멍석매트(200)를 만들되, 이렇게 동심원 상태로 준비된 상태에서 연결선을 통해 서로 마주하여 접한 줄(100)끼리 서로 연결한다. 이때, 도 13에서 절단선(220)부분이 되는 마주하는 면(A1,A2)은 동심원을 형성할 때, 미리 설계된 대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수목(미도시)을 감싸면서 설치하기 위한 개방부 역할도 하며, 수목을 중심부 구멍을 통해 멍석매트(20)가 감싸고 난 후에는 개방부 역할이 끝났으므로, 서로 면접하여 하나의 멍석매트(20)가 되는 것이다.
60: 폐현수막(수거된 것)
100: 폐현수막 이용 멀칭매트(직조 멀칭매트)
110,120,130: 폐현수막 이용 소재
150: 큐알코드 소재
200: 수목용 멍석매트
250: 구멍
220: 절단선
100: 폐현수막 이용 멀칭매트(직조 멀칭매트)
110,120,130: 폐현수막 이용 소재
150: 큐알코드 소재
200: 수목용 멍석매트
250: 구멍
220: 절단선
Claims (3)
-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로서,
수거된 폐현수막을 색상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폐현수막을 폭 10~15cm로 재단하고, 재단된 복수개의 폐현수막 조각들을 꼬아서 하나의 줄을 직조 혹은 제직하고, 적어도 3가닥 이상의 줄을 서로 꼬아서 하나의 합쳐진 굵기가 되도록 일체형으로 줄을 직조 혹은 제직하며, 적어도 3가닥 이상의 줄을 서로 꼬아서 하나로 합쳐져 일정 굵기 및 일정길이가 되도록 연속하여 형성된 직조 혹은 제직된 폐현수막을 이용한 줄을 이용하여 원형형태 혹은 직사각형 형태 혹은 다각형 형태로 제조된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가닥 이상의 줄이 합쳐질 때, 서로 합쳐진 적어도 3가닥 이상의 줄이 합쳐져서 일정 굵기가 형성된 직조 혹은 제직된 폐현수막을 이용한 줄을 이용하여 제조된 원형형태 혹은 직사각형 형태 혹은 다각형 형태의 수목 멀칭매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가닥 이상의 줄은 서로 다른 색상의 줄을 이용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2911U KR20240001052U (ko) | 2022-12-13 | 2022-12-13 |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2911U KR20240001052U (ko) | 2022-12-13 | 2022-12-13 |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1052U true KR20240001052U (ko) | 2024-06-21 |
Family
ID=9166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20002911U KR20240001052U (ko) | 2022-12-13 | 2022-12-13 |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01052U (ko) |
-
2022
- 2022-12-13 KR KR2020220002911U patent/KR20240001052U/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rtman et al. | Biodegradable plastic and fabric mulch performance in field and high tunnel cucumber production | |
WO1998020205B1 (en) | Improved surface for sports and other uses | |
Allen | Testing lichen transplant methods for conservation applications in the southern Appalachian Mountains, North Carolina, USA | |
KR20240001052U (ko) |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 | |
JP3523863B1 (ja) | コケ育成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構造物緑化方法 | |
KR20240088429A (ko) | 폐현수막을 이용한 수목용 멀칭매트 제조방법 | |
Restrepo-Osorio et al. | Agrotextiles and crop protection textiles | |
US6330762B1 (en) | Mulching structure with irrigation apertures | |
Meffert | Birds on urban wastelands | |
JP2004225408A (ja) | 緑化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植生マット | |
KR101282428B1 (ko) | 폴리에틸렌 섬유층을 포함하는 수목 보호용 매트 | |
KR20170141584A (ko) | 녹화용 매트의 제조방법 | |
KR20070109769A (ko) | 코이어 섬유를 이용한 수목 보호판 | |
JP3141200U (ja) | 防草シート | |
JP3562173B2 (ja) | のり面防草構造体 | |
JP2863987B2 (ja) | 緑化用基板、当該基板の製造方法、当該基板製造用基板、当該製造用基板の製造方法及び上記緑化用基板の使用方法 | |
DE4114857A1 (de) | Papiersuspensions - mulchverfahren | |
US20080085382A1 (en) | Landscape Fabric | |
JP3093958U (ja) | 耐洗文字入りテープ | |
KR101165394B1 (ko) | 외떡잎 식물의 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펜스 | |
CN207720836U (zh) | 环式可降解地膜及地膜组件 | |
JP2005102600A (ja) | 生分解性防草シート | |
Fiedler et al. | Managing for old growth in frequent-fire landscapes | |
JPH08308390A (ja) | 植生マットによる緑化方法及び植生マット | |
EP1867789B1 (en) | Biodegradable mes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