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965A -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 Google Patents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965A
KR20240000965A KR1020220077819A KR20220077819A KR20240000965A KR 20240000965 A KR20240000965 A KR 20240000965A KR 1020220077819 A KR1020220077819 A KR 1020220077819A KR 20220077819 A KR20220077819 A KR 20220077819A KR 20240000965 A KR20240000965 A KR 20240000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hole
brush
deburring tool
type cross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8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8403B1 (en
Inventor
박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팔하이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팔하이테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팔하이테코
Priority to KR1020220077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403B1/en
Publication of KR20240000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9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4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of pipes or cylinders
    • B23C3/124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of pipes or cylinders in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05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u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20Debur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버링 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스 홀의 천공시 발생하는 버(burr)를 별도의 절삭가공에 의하지 않고 브러쉬로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브러쉬 타입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타입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섕크부(1)와; 상기 섕크부(1)의 단부 외주면에 구비되는 헤드부(2)와; 상기 헤드부(2)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섕크부(1)의 회전에 따라 관체(P)의 내주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관체(P)와 교차하도록 천공된 크로스 홀(CH)의 내측 가장자리를 연마하여 버를 제거하는 다수의 브러쉬와이어(31)가 구비된 연마부(3)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burring tool, and more specifically, to a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that can easily remove burrs generated when drilling a cross hole with a brush without separate cutting processing. A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nk portion (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ead portion (2)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shank portion (1); A cross hole (CH)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2) and is drilled to intersect the tubular body (P) while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P) as the shank portion (1) rotates. It includes a polishing unit (3)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ush wires (31) that polish the inner edge to remove burrs.

Description

브러쉬 타입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Brush 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본 발명은 디버링 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스 홀의 천공시 발생하는 버(burr)를 별도의 절삭가공에 의하지 않고 브러쉬로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브러쉬 타입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burring tool, and more specifically, to a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that can easily remove burrs generated when drilling a cross hole with a brush without separate cutting processing.

크로스 홀(cross hole)이란 관체에 다른 관을 연결하거나 기타 구조물의 결합 또는 가공 등을 위해 관체와 교차되도록 천공된 구멍을 의미한다. 이러한 크로스 홀의 천공시에는 크로스 홀의 내측 가장자리에 버(burr)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버 제거를 위하여 종래에는 인용문헌1(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72156)과 인용문헌2(XEBEC사 디버링 공구 소개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55xCGNKxiTQ)에 공지된 바와 같은 다양한 디버링 공구들이 제안되었다. A cross hole refers to a hole drilled to intersect with a pipe body for the purpose of connecting another pipe to the pipe body, joining or processing other structures, etc. When drilling such a cross hole, a burr is generated on the inner edge of the cross hole. In order to remove such burrs, it was previously announced in Cited Document 1 (Korea Public Patent No. 10-2017-0072156) and Cited Document 2 (XEBEC company's deburring tool introduction video, https://www.youtube.com/watch?v=55xCGNKxiTQ). Various deburring tools as described have been proposed.

도 1 에는 이러한 종래 디버링 공구에 의한 크로스 홀(CH) 디버링 공정의 모식도가 도시된다. 이러한 종래의 디버링 공구(1)는 대체로 단부에 1 또는 그 이상의 디버링 블레이드가 구비되고, 공구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디버링 블레이드를 크로스 홀(CH)의 가장자리(E) 윤곽을 따라 이동(도 1 의 화살표 방향)시키면서 크로스 홀(CH)의 가장자리(E)에 형성된 버를 직접 절삭 제거하는 방식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절삭 작업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미리 크로스 홀의 가장자리 윤곽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해당 공구를 저장된 크로스 홀의 가장자리 윤곽에 상응하게 이동시키는 가공 제어 프로그램의 구비가 요구된다. 그런데, 크로스 홀의 가장자리 형상은 일정하지 않고 3차원적인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형상 윤곽을 따라 디버링을 하려면 가공 제어 프로그램이 복잡하고 구축 비용이 증가(XEBEC사의 디버링 공구 적용시 전용 프로그램 별도 구매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가공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보통 브러쉬로 디버링 하는 경우가 많은데, 브러시에 의한 디버링의 경우 디버링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공구 보다 절삭력이 약하고 크로스 홀 가장자리 윤곽에 균일한 절삭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버가 잔존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Figure 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cross hole (CH) deburring process using such a conventional deburring tool. This conventional deburring tool (1) is generally provided with one or more deburring blades at the end, and rotates the tool and simultaneously moves the deburring blade along the edge (E) contour of the cross hole (CH) (arrow in FIG. 1 The main method is to directly cut and remove the burr formed on the edge (E) of the cross hole (CH)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In order to automate such cutting operations, it is necessary to have a machining control program that stores data on the edge outline of the cross hole in advance and moves the tool corresponding to the stored edge outline of the cross hole. However, since the edge shape of the cross hole is not constant and consists of a three-dimensional curve, deburring along the shape contour requires complicated machining control programs and increased construction costs (when applying XEBEC's deburring tool, a separate purchase of a dedicated program is required).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takes a lot of processing time. Because of these difficulties, deburring is often done with a brush. In the case of deburring with a brush, the cutting force is weaker than that of a tool equipped with a deburring blade, and because uniform cutting is not performed on the edge contour of the cross hol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burrs remain.

이러한 종래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55991호에서 새로운 구조의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를 제안한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섕크부(110)와; 상기 섕크부(110)의 단부 외주면에 구비되는 몸체부(120)와; 상기 몸체부(120)의 가장자리 일측에만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섕크부(110)의 회전에 따라 관체(P)의 내주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관체(P)와 교차하도록 천공된 크로스 홀(CH)의 내측 가장자리를 챔퍼 가공하는 절삭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절삭부(130)는 상기 몸체부(120)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길이 방향 선단에 볼록하게 만곡된 절삭면(13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특허에 따른 디버링 공구는 공구를 크로스 홀의 가장자리 윤곽을 따라 이동시키지 않고 단지 관체의 내주면을 따라 1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 크로스 홀의 가장자리 전체를 챔버 가공함으로써 버를 한꺼번에 제거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 및 품질 향상을 달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가공 제어 프로그램의 구축 없이 디버링 가공이 가능하여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ross hole deburring tool, the present inventor has proposed a cross hole deburring tool with a new structure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255991. The registered patent includes, as shown in FIG. 2, a shank portion 1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body portion 120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shank portion 110; A cross hole ( It includes a cutting part 130 that chamfers the inner edge of CH); The cutting portion 130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20 and has a convexly curved cutting surface 134a formed at the longitudinal end. The deburring tool according to the above registered patent can remove burrs all at once by chamber processing the entire edge of the cross hole by simply rotating it onc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body without moving the tool along the edge contour of the cross hole, thereby reducing work time and reducing work time. Quality improvement can be achieved, and deburring processing is possible without establishing a separate processing control program,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equipment costs.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 따른 디버링 공구는 절삭부(130)의 절삭면(134a) 형상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크로스 홀의 형상에 따라 별도의 설계 및 가공 작업을 통하여 해당 크로스 홀에 맞는 절삭부를 그때그때 제작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전용공구를 이용한 가공이 필요하고, 첨단(cutting edge) 가공 또한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 난이도가 높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버를 깎아서 제거하는 타입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떨림 발생으로 가공면에 채터링이 발생하고, PCD 등의 고가 소재를 사용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되고, 공구의 크로스 홀 내부 진입 및 오프셋 이동이 필요하여 CNC 장비 세팅 등의 주의가 요구된다. However, the deburring tool according to the registered patent cannot universally use the shape of the cutting surface 134a of the cutting part 130, and a cutting tool suitable for the cross hole is then made through separate design and processing work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ross hole.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having to produce it at that time. For this purpose, processing using dedicated tools is required, and cutting edge processing is also required,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high work difficulty. In addition, since it is a type that removes burrs by cutting them, chattering occurs on the machined surface due to vibration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manufacturing costs increase because expensive materials such as PCD must be used, and the tool needs to enter the cross hole and move offset. Therefore, caution is required when setting up CNC equipment.

또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와이어 다발을 관체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속 회전시켜 와이어를 측면으로 타격함에 의해 디버링하는 공구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러한 공구에 의하면 구멍 벽면 스크래치 및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정밀 가공 영역에서는 사용이 불가한 단점이 존재하며, 와이어의 측면 회전력으로 버를 제거하기 때문에 디버링 효과가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a tool is known for deburring a plurality of wire bundles by inserting them into the tube body and rotating them at high speed to strike the wires to the side. According to this tool, scratches and damage to the hole wall are possib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cannot be used in precision machining areas because it occurs frequentl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burring effect is weak because burrs are removed using the side rotational force of the wire.

한편,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방사형 브러쉬를 사용하여 디버링하는 공구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러한 공구 또한 구멍 벽면 스크래치 및 손상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정밀 가공 영역에서의 사용이 불가하고, 버 제거 영역 이외의 부분에도 동일한 브러쉬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역시 디버링 효과가 미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re is a known deburring tool using a general radial brush, but these tools also frequently have scratches and damage problems on the hole wall, making them impossible to use in precision machining areas, and burr removal. Since the same brush pressure is applied to areas other than the area, there is also a disadvantage in that the deburring effect is weak.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72156Republic of Korea Open Patent 10-2017-0072156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55991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2255991

https://www.youtube.com/watch?v=55xCGNKxiTQhttps://www.youtube.com/watch?v=55xCGNKxiTQ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공구를 크로스 홀의 가장자리 윤곽을 따라 이동시키지 않고 단지 공구를 관체(P)의 내주면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 크로스 홀의 가장자리 전체를 연마 가공함으로써 버를 한꺼번에 제거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 및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ross hole deburring tool as described above. Instead of moving the tool along the edge contour of the cross hole, the present invention simply rotates the tool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ipe body (P).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ross hole deburring tool that can reduce work time and improve quality by removing burrs all at once by grinding the entire edge of the ho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타입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섕크부(1)와; 상기 섕크부(1)의 단부 외주면에 구비되는 헤드부(2)와; 상기 헤드부(2)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섕크부(1)의 회전에 따라 관체(P)의 내주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관체(P)와 교차하도록 천공된 크로스 홀(CH)의 내측 가장자리를 연마하여 버를 제거하는 다수의 브러쉬와이어(31)가 구비된 연마부(3)를 포함한다.A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ncludes a shank portion (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ead portion (2)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shank portion (1); A cross hole (CH)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2) and is drilled to intersect the tubular body (P) while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P) as the shank portion (1) rotates. It includes a polishing unit (3)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ush wires (31) that polish the inner edge to remove burrs.

여기서, 상기 연마부(3)는, 상기 헤드부(2)의 가장자리 일측면에 다수의 브러쉬와이어(31)가 식재되어 돌출 형성된다.Here, the polishing part 3 is formed by protruding a plurality of brush wires 31 planted on one side of the edge of the head part 2.

그리고, 상기 연마부(3)는 굴곡진 크로스 홀(CH)의 가장자리 전체를 원활하게 연마하여 버를 제거할 수 있도록 단부 윤곽 형상이 중앙부가 좌우 양측 보다 더 볼록하게 만곡된 아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연마부(3)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브러쉬와이어(31)의 길이는 섕크부(1) 길이 방향으로는 중앙부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고, 너비 방향으로 같은 행에 속하는 브러쉬와이어(31)들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olishing unit 3 is configured to have an arch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more convexly curved tha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entire edge of the curved cross hole (CH) can be smoothly polished to remove burrs. Preferably, for this purpose, the length of the individual brush wires 31 constituting the polishing part 3 increases in length toward the center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hank part 1, and the brush wires belonging to the same row in the width direction ( 31)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s are the sam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절삭가공시에 발생할 수 있는 채터링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크로스 홀의 모서리 부분의 폴리싱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공구로 크기가 비슷한 크로스 홀에 사용 가능하고 설계 난이도가 낮다. 그리고, 기존 범용 와이어 소재를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재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브러쉬와이어의 끝단면을 타격하여 직접 버를 제거하기 때문에, 와이어 측면으로 타격하여 버를 제거하는 공구에 비해 디버링 강도 및 효과가 월등히 우수하다. 그리고, 관체 내에서 공구를 이동시킴에 따라 가공된 크로스 홀의 인근에 형성된 유사 크기의 홀도 바로 디버링 작업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공구의 진입과 오프셋 이동 및 가공부로의 접근과 회전 작동은 모두 CNC 장비에 의해 수행되므로 관체(P)와 공구의 간섭 및 파손 위험이 적고, 가공부로의 접근 간격 조절을 통하여 디버링 효과의 강도 조절이 가능하고 CNC 장비 세팅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hattering phenomenon that may occur during cutting does not occur and the polishing effect at the corner of the cross hole can be achieved. In addition, one tool can be used for cross holes of similar size and the design difficulty is low.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apply relatively inexpensive materials by using existing general-purpose wire materials. In addition, since burrs are removed directly by striking the end surface of the brush wire, the deburring strength and effect are significantly superior to tools that remove burrs by striking the side of the wire. In addition, as the tool is moved within the pipe body, holes of similar size formed near the machined cross hole can be immediately deburred, providing excellent versatility. The tool's entry and offset movement, approach to the machining part, and rotation operation are all performed by CNC equipment, so there is less risk of interference or damage between the pipe body (P) and the tool, and the intensity of the deburring effect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ccess gap to the machining part. This is possible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set up CNC equipment.

도 1 은 종래의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에 의한 디버링 공정 모식도,
도 2 는 등록특허 제10-2255991호에 따른 디버링 공구의 구조 및 작업 방법이 도시된 도면,
도 3 은 종래 와이어 다발을 이용한 디버링 공구의 구조 및 작업 방법이 나타난 사진,
도 4 는 종래 방사형 브러쉬를 이용한 다버링 공구의 구조 및 작업 방법이 나타난 사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버링 공구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디버링 공구가 가공장비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디버링 공구에 의한 크로스 홀 디버링 작업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eburring process using a conventional cross hole deburring tool;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and working method of a deburring tool according to Patent No. 10-2255991;
Figure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tructure and working method of a conventional deburring tool using a wire bundle;
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tructure and working method of a dabbering tool using a conventional radial brush;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bur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bur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ing used while mounted on processing equipment;
Figure 7 is a process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 cross hole deburring work method using a debur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타입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타입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10)는, 섕크부(1), 헤드부(2) 및 연마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5 to 7, the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hank portion 1, a head portion 2, and a polishing portion 3.

섕크부(1)는 본 발명에 따른 공구를 가공 장비의 스핀들(S)에 장착 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헤드부(2)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대체로 단면이 원형인 봉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섕크부(1)는 가공 장비의 스핀들(S)에 죠(jaw) 또는 기타 커플러에 의해 결합 장착되어 스핀들(S)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The shank part (1) is a part for mounting and coupling th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indle (S) of the processing equipment and also supporting the head part (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s shown, extend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formed and generally consists of a rod shape with a circular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6, the shank portion 1 is coupled to the spindle S of the processing equipment by a jaw or other coupler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spindle S.

헤드부(2)는 상기 섕크부(1)의 단부에 형성되는 블록체로서 일측면에 후술하는 연마부(3)가 구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2)는 대체로 단면이 사각 또는 오각형인 블록체로 구성되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측면에 다수의 브러쉬와이어(31)가 식재될 수 있는 수직한 평면을 갖는 구조라면 그 형상에 제한이 없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헤드부(2)의 네 모서리 부분은 가공 작업시 관체(P)의 내주면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모따기 또는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2)는 섕크부(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블록체의 중앙부에 섕크부(110)의 직경에 상응하는 홀이 관통 형성되고, 여기에 상기 섕크부(1)가 삽입되어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거나, 용접, 블레이징 또는 기타 체결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ad portion 2 is a block body formed at the end of the shank portion 1 and is provided with a polishing portion 3 to be described later on one side. As shown, the head portion 2 is generally composed of a block body with a square or pentagonal cross-section,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has a structure having a vertical plane on which a plurality of brush wires 31 can be planted on one side. There will be no restriction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our corners of the head portion 2 are chamfered or rounded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body P during processing. The head part 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ank part 1, but a hol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hank part 110 is formed through the central part of the block body, and the shank part 1 is formed here. It is preferable to be inserted and coupled by pressure fitting, or to be firmly fixed and coupled by welding, blazing, or other fasteners.

연마부(3)는 관체(P)에 교차하도록 천공된 크로스 홀(CH)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 전체를 다수의 브러쉬와이어(31)로 연마하여 버를 제거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2)의 가장자리 일측면에 다수의 브러쉬와이어(31)가 식재되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마부(3)를 구성하는 브러쉬와이어(31)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재질 변경에 의해 다양한 소재의 가공에 작용될 수 있으며, 브러쉬와이어(31) 부분을 헤드부에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마부(3)는 굴곡진 크로스 홀(CH)의 가장자리 전체를 원활하게 연마하여 버를 제거할 수 있도록 단부 윤곽 형상이 중앙부가 좌우 양측 보다 더 볼록하게 만곡된 아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마부(3)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브러쉬와이어(31)의 길이는 길이 방향(섕크부 길이 방향)으로는 중앙부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고 너비 방향으로 같은 행에 속하는 브러쉬와이어(31)들의 길이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lishing part 3 is a part that removes burrs by grinding the entire inner edge of the cross hole (CH) drilled to intersect the pipe body (P) with a plurality of brush wires (31). As shown, the head A plurality of brush wires 31 are planted on one side of the edge of the part 2 to protrude. The brush wire 31 constituting the polishing unit 3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or metal, and can be used to process various materials by changing the material, and the brush wire 31 can be used as a head. The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replaceable. Meanwhile, the polishing unit 3 is configured to have an arch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more convexly curved tha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entire edge of the curved cross hole (CH) can be smoothly polished to remove burrs. desirable. That is, the length of the individual brush wires 31 constituting the polishing unit 3 becomes longer toward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hank length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brush wires 31 belonging to the same row in the width direction increases. It is desirable that the lengths are configured to be the same.

상기 연마부(3)는 다수의 브러쉬와이어(31)를 크로스 홀의 가장자리에 마찰시켜 버를 제거하고 모서리를 연마(마모)한다. 이에 따라 절삭가공시에 발생할 수 있는 채터링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크로스 홀의 모서리 부분의 폴리싱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공구로 크기가 비슷한 크로스 홀에 사용 가능하고 설계 난이도가 낮다. 그리고, 기존 범용 와이어 소재를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재의 적용이 가능하다. The polishing unit 3 rubs a plurality of brush wires 31 against the edges of the cross hole to remove burrs and polish (wear) the edges. Accordingly, the chattering phenomenon that can occur during cutting does not occur and the polishing effect at the corners of the cross hole can be achieved. In addition, one tool can be used for cross holes of similar size and the design difficulty is low.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apply relatively inexpensive materials by using existing general-purpose wire materials.

도 7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타입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를 이용한 디버링 작업 공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다. 도 7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타입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는 관체(P)의 중공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공구는 관체(P)의 중심에서 오프셋되어 삽입된다. 즉, 상기 연마부(3)의 단부가 크로스 홀(CH)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헤드부(2) 또한 관체(P)의 벽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된 상태로 진입됨에 따라 관체(P)의 내벽 손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연마부(3)가 일측에만 형성된 비대칭 구조이기 때문에 관체(P) 내에서의 오프셋 진입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기존 공구들에 비해 진입 직경이 작다는 점에 장점이 있다. 공구의 연마부(3)가 크로스 홀(CH)과 상응하는 위치로 진입한 후에는, 도 7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홀(CH)의 가장자리 가공 부분에 연마부(3)를 접근시킨 후 공구를 회전시켜 와이어 끝단면으로 타격하여 직접 버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와이어 끝단면을 타격하여 직접 버를 제거하기 때문에,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측면으로 타격하여 버를 제거하는 종래 디버링 공구와 비교해 디버링 강도 및 효과가 월등히 우수하다. 한편, 도 7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를 이동시킴에 따라 가공된 크로스 홀의 인근에 형성된 유사 크기의 홀도 바로 디버링 작업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공구의 진입과 오프셋 이동 및 가공부로의 접근과 회전 작동은 모두 CNC 장비에 의해 수행되므로 관체(P)와 공구의 간섭 및 파손 위험이 적고, 가공부로의 접근 간격 조절을 통하여 디버링 효과의 강도 조절이 가능하고 CNC 장비 세팅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In Figure 7, a deburring work process using a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quentially shown. As shown in (a) of FIG. 7, the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hollow interior of the tubular body (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tool is inserted offset from the center of the pipe body (P). That is, the end of the polishing part 3 does not contact the cross hole CH and the head part 2 also enters in a spaced state so as not to contact the wall surface of the tube body P, so that the inner wall of the tube body P Make sure damage is prevented. Because the polishing part 3 has an asymmetric structure formed on only one side, offset entry within the pipe body P is possible, and thus the entry diameter is smaller than that of existing tools, which is advantageous. After the polishing portion 3 of the tool enters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ross hole CH, as shown in (b) of FIG. 7, the polishing portion 3 is applied to the edge processing portion of the cross hole CH. After approaching, rotate the tool and strike the end face of the wire to directly remove the burr. Since the burr is removed directly by hitting the end surface of the wire in this way, the deburring strength and effect are significantly superior compared to a conventional deburring tool that removes the burr by hitting the side of the wire, as shown in FIG. 3. Meanwhile, as shown in (c) of FIG. 7, as the tool is moved, holes of similar size formed near the machined cross hole can be immediately deburred, thus providing excellent versatility. The tool's entry and offset movement, approach to the machining part, and rotation operation are all performed by CNC equipment, so there is less risk of interference or damage between the pipe body (P) and the tool, and the intensity of the deburring effect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ccess gap to the machining part. This is possible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set up CNC equipment.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it is known by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chang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ho has it will underst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 : 섕크부 2 : 헤드부
3 : 연마부 31 : 브러쉬와이어
P : 관체 CH : 크로스 홀
1: Shank part 2: Head part
3: Polishing part 31: Brush wire
P: Tube CH: Cross Hole

Claims (4)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섕크부(1)와;
상기 섕크부(1)의 단부 외주면에 구비되는 헤드부(2)와;
상기 헤드부(2)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섕크부(1)의 회전에 따라 관체(P)의 내주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관체(P)와 교차하도록 천공된 크로스 홀(CH)의 내측 가장자리를 연마하여 버를 제거하는 다수의 브러쉬와이어(31)가 구비된 연마부(3)를 포함하는 브러쉬 타입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
A shank portion (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ead portion (2)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shank portion (1);
A cross hole (CH) is formed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2) and is drilled to intersect the tubular body (P) while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P) as the shank portion (1) rotates. A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including a polishing section (3)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brush wires (31) that polish the inner edge to remove bur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3)는,
상기 헤드부(2)의 가장자리 일측면에 다수의 브러쉬와이어(31)가 식재되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타입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
According to claim 1,
The polishing unit 3 is,
A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rush wires (31) are planted and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edge of the head portion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3)는 굴곡진 크로스 홀(CH)의 가장자리 전체를 원활하게 연마하여 버를 제거할 수 있도록 단부 윤곽 형상이 중앙부가 좌우 양측 보다 더 볼록하게 만곡된 아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타입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
According to claim 2,
The polishing unit 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utline shape is an arch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more convexly curved tha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entire edge of the curved cross hole (CH) can be smoothly polished to remove burrs. Brush 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제 3 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3)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브러쉬와이어(31)의 길이는 섕크부(1) 길이 방향으로는 중앙부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고, 너비 방향으로 같은 행에 속하는 브러쉬와이어(31)들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타입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
In the third,
The length of the individual brush wires 31 constituting the polishing unit 3 becomes longer toward the center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hank unit 1, and the lengths of the brush wires 31 belonging to the same row in the width direction are Brush 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nfigured identically to each other.
KR1020220077819A 2022-06-24 2022-06-24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KR1026584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819A KR102658403B1 (en) 2022-06-24 2022-06-24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819A KR102658403B1 (en) 2022-06-24 2022-06-24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965A true KR20240000965A (en) 2024-01-03
KR102658403B1 KR102658403B1 (en) 2024-04-17

Family

ID=8953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819A KR102658403B1 (en) 2022-06-24 2022-06-24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40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8565A (en) * 2004-03-31 2005-10-20 Musashi Seimitsu Ind Co Ltd Brush for deburring
KR101534441B1 (en) * 2014-04-09 2015-07-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Deburring device
KR20170072156A (en) 2015-12-16 2017-06-26 허윌레 베르크쩌윅 아게 Method for deburring the edges of intersecting boreholes, and tool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2017159408A (en) * 2016-03-10 2017-09-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Deburring tool
KR20200068491A (en)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마팔하이테코 Cross hole deburring tool and the deburr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22012238A (en) * 2020-07-01 2022-01-17 株式会社ジーベックテクノロジー Polishing brush, and polishing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8565A (en) * 2004-03-31 2005-10-20 Musashi Seimitsu Ind Co Ltd Brush for deburring
KR101534441B1 (en) * 2014-04-09 2015-07-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Deburring device
KR20170072156A (en) 2015-12-16 2017-06-26 허윌레 베르크쩌윅 아게 Method for deburring the edges of intersecting boreholes, and tool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2017159408A (en) * 2016-03-10 2017-09-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Deburring tool
KR20200068491A (en)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마팔하이테코 Cross hole deburring tool and the debur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255991B1 (en) 2018-12-05 2021-05-25 주식회사 마팔하이테코 Cross hole deburring tool
JP2022012238A (en) * 2020-07-01 2022-01-17 株式会社ジーベックテクノロジー Polishing brush, and polishing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www.youtube.com/watch?v=55xCGNKxiTQ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403B1 (en) 202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289B2 (en) Polisher brush having wire-shaped grinding elements
EP0047652A2 (en) Honing head
CN204770729U (en) Drilling equipment and hole chamfer sword thereof
KR102658403B1 (en) Brush-type cross hole deburring tool
JP3792794B2 (en) Drill blade with groove for chip discharge
JP4034034B2 (en) Drilling method and drilling tool
KR102255991B1 (en) Cross hole deburring tool
CN219026161U (en) Cutter for removing burrs of intersecting holes
CN205733143U (en) A kind of three traverse drill reaming step drill
CN210526140U (en) Nested cutter and equipment
JP2012115970A (en) Main spindle of machine tool, and the machine tool using the same
CN106238785A (en) A kind of Multifunction drilling tool
JP7064674B2 (en) Cutting tool and cutting equipment equipped with this cutting tool
KR100758279B1 (en) Tool for the material-removing machining of pipe ends
JPH10151509A (en) Burr removing method
US3147645A (en) Boring tool
CN210908267U (en) Quick positioning milling cutter
CN215750048U (en) Abrasion-proof tungsten steel drill bit
JPH0319774A (en) Burr removing tool and drill
CN211465035U (en) Diamond forming reamer
CN220296030U (en) Deburring instrument
CN210756445U (en) Milling cutter anchor clamps and rather than milling cutter of adaptation
JP2003025130A (en) Large-diameter deep groove machining device and method
SU1715648A1 (en) Tool for dressing surface defects
JPH0137854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