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843A -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 Google Patents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843A
KR20240000843A KR1020220077537A KR20220077537A KR20240000843A KR 20240000843 A KR20240000843 A KR 20240000843A KR 1020220077537 A KR1020220077537 A KR 1020220077537A KR 20220077537 A KR20220077537 A KR 20220077537A KR 20240000843 A KR20240000843 A KR 20240000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ding
unit
actions
score calculator
writ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연우
최준우
Original Assignee
최연우
최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연우, 최준우 filed Critical 최연우
Priority to KR1020220077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843A/en
Publication of KR20240000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843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채점 행위와 점수 계산 행위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점수 산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점수 산정의 실수를 최소화하는 자동 점수 계산기를 제공한다.By allowing grading and score calculation actions to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n automatic score calculator is provided that shortens score calculation time and minimizes mistakes in score calculation.

Description

자동 점수 계산기{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본 발명은 채점 행위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점수를 계산하는 자동 점수 계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core calculator that recognizes grading behavior and automatically calculates scores.

현재 학교나 학원 등의 교육기관에서 학생들에게 연습문제나 숙제를 내어주거나 시험을 치게 하는 경우 크게 종이에 시험문제를 출력하여 문제를 풀게 하는 방식(Paper Based Test)과 모니터 등의 화면에 시험문제를 출력하여 컴퓨터 등에 정답을 입력하게 하는 방식(Computer Based Test)이 있다. Currently, when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or academies assign practice problems or homework to students or have them take tests, the test questions are printed out on paper and have students solve the problems (Paper Based Test), and the test questions are displayed on a screen such as a monitor. There is a computer-based test that prints out the answer and inputs the correct answer into a computer.

컴퓨터를 이용한 방식(Computer Based Test)의 경우, 반드시 컴퓨터 단말기가 학생별로 구비가 되어 있어야 하여 문제의 출제자나 풀이자 모두에게 비용의 부담이 크고 모니터 화면에 문제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문제를 정확하게 풀기가 어렵다.In the case of the computer-based test, a computer terminal must be provided for each student, which imposes a high cost on both the test taker and the solver, and when the problem is displayed on the monitor screen,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accurately. difficult.

종이에 시험문제를 출력하여 문제를 풀게 하는 방식의 경우, 학생측이 아닌 출제자 측에서 이를 채점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수동으로 채점을 하는 방식과 광학 마크 판독기(Optical Mark Reader;OMR) 카드를 이용하여 채점을 하는 방식이 있다.In the case of printing test questions on paper and solving them, in order to grade them on the test taker's side, not the student's side, a person must manually score them, or an optical mark reader (OMR) card can be used to score them. There is a way to do this.

그러나 광학 마크 판독기 카드를 이용하여 채점하는 방식의 경우에도 시험을 볼 때마다 광학 마크 판독기용 카드를 매번 인쇄해야 하는 점, 광학 마크 판독기 카드에 문제 풀이자가 표시를 잘못했을 경우 광학 마크 판독기용 카드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는 점,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광학 마크 판독기용 카드 리더기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 반드시 문제 풀이자가 광학 마크 판독기용 리더기가 식별 가능한 필기구나 방법을 이용하여 광학 마크 판독기 카드에 표시해야 한다는 점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grading using an optical mark reader card, the optical mark reader card must be printed every time a test is taken, and if the problem solver makes a mistake on the optical mark reader card, the optical mark reader card must be printed.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place it, and for this, a separate card reader for the optical mark reader is necessary. The problem solver must mark the optical mark reader card using a writing instrument or method that can be identified by the optical mark read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cluding the fact that

이처럼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광학 마크 판독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컴퓨터 또는 광학 마크 판독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한다는 점에서 간편하게 사용될 수 없다. In this way, when using a computer or an optical mark reader, it cannot be used conveniently because a separate computer or optical mark reader must be provided.

수동으로 사람이 채점을 하게 되는 방식은 정답과 오답을 표시하는 채점 행위를 1차적으로 수행하고 난 다음,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정답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총 점수를 산정하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사람이 수동으로 채점하는 방식은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채점 행위를 수행하고 나서 점수 계산 행위를 수행함에 따라 채점 행위와 점수 계산 행위가 별개로 진행됨으로써, 인력의 낭비가 매우 심하고 인건비가 많이 들고 채점을 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채점자의 실수로 인해 채점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동으로 사람이 채점을 하게 되는 방식의 단점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Manual human scoring involves first performing the grading act of mark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then going back to the beginning and counting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to calculate the total score. The advantage of manually grading by humans is that it is easy to use. However, as the grading action is performed and then the score calculation action is performed, the grading action and the score calculation action are carried out separately, which results in a significant waste of manpower, high labor costs, a lot of time for grading, and the scorer's mistak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are cases where grading is not done accuratel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manual human scoring.

등록번호 제10-1031808호 등록특허공보Registration No. 10-1031808 Registered Patent Gazett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채점 행위와 점수 계산 행위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점수 산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점수 산정의 실수를 최소화하는 자동 점수 계산기를 제공하는 것은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score calculator that shortens the score calculation time and minimizes mistakes in score calculation by allowing the grading and score calculation actions to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hat you do is done for that purpos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수 계산기는, 필기구에 착탈가능하게 구비가능한 자동 점수 계산기에 있어서, 채점 행위를 인식하는 모션 인식부; 상기 모션 인식부에서 인식한 채점 행위에 기반하여 점수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채점 행위가 기 결정한 문제수에 도달하면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한 총점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an automatic score cal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provided on a writing instrument, comprising: a motion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a scoring action; a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score based on the scoring behavior recognized by the motion recognition unit; and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total score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when the grading action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of problems.

또한, 상기 모션 인식부는, 1회 차에서 행해진 채점 행위의 2차원 평면을 기준으로 동일 평면에서 행해진 행위만을 채점 행위로 인식하고 다른 평면에서 행해진 행위는 채점 행위로 인식하지 않는다.Additionally, the motion recognition unit recognizes only actions per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grading action based on the two-dimensional plane of the grading action performed in the first round, and does not recognize actions performed on other planes as grading actions.

또한, 상기 모션 인식부는 센서부에 획득한 모션 데이터와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지정 모션 모델을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한다.Additionally, the motion recogni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match by comparing the motion data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with the user-specified motion model stored in the memory.

또한, 상기 필기구가 삽입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필기구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구비한다.Additionally, it includes a penetrating portion into which the writing instrument is inserted, and the penetr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ortion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writing instrument.

또한, 상기 출력부에 출력된 총점을 기기 외부로 전송하는 데이타 전송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it includes a dat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total score output to the output unit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본 발명은 채점 행위와 점수 계산 행위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점수 산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점수 산정의 실수를 최소화하는 자동 점수 계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score calculator that shortens score calculation time and minimizes mistakes in score calculation by allowing scoring and score calculation actions to be performed simultaneous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점수 계산기가 필기구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점수 계산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점수 계산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점수 계산기의 구성도.
1 is a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score calculator provided in a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n automatic score calcu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an automatic score calcu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score calcu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chnica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mpris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but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점수 계산기(20)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필기구(10)의 제1단부의 움직임이 채점 행위인지를 인식하고 채점 행위라면 해당 행위가 정답을 의미하는 채점 행위인지 아니면 오답을 의미하는 채점 행위인지를 구분하고 이에 따라 점수를 계산한다.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recognizes whether the movement of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a scoring action, and if so, distinguishes whether the action is a grading action indicating a correct answer or a grading action indicating an incorrect answer, and accordingly Calculate your score.

필기구(10)의 움직임이 채점 행위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필기구(10)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된다.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다양한 필기구(10)와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필기구(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필기구(10)는 채점지와 접촉하는 제1단부와 제1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단부로 구분된다.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채점 행위를 방해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필기구(10)의 제2단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채점 행위 판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필기구(10)의 제1단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결합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필기구(10)의 제1단부와 제2단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movement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a scoring action,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is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riting instrument 10 in consideration of compatibility with various writing instruments 10.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divided into a first end that contacts the scoring paper and a second end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end.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may be preferably provided on the second end side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coring operation. Alternatively,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may be preferably provided on the first end side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scoring action judgment. However, the coupling posi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자동 점수 계산기(20)에는 필기구(1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부(21)가 구비된다. 관통부(21)는 홀의 형태로 구성되어 자동 점수 계산기(20)를 전체적 관통하거나 홈의 형태로 구성되어 자동 점수 계산기(20)를 부분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자동 점수 계산기(20)에 구비된 관통부(21)에 필기구(10)가 삽입됨으로써,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필기구(10)와 일체로 거동한다.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is provided with a penetration portion 21 into which the writing instrument 10 can be inserted. The penetrating portion 2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le to entirely penetrate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to partially penetrate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When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21 provided in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operates integrally with the writing instrument 10.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다양한 형태의 필기구(10)에 결합될 수 있다. 관통부(21)에 삽입되는 필기구(10)는 그 직경 또는 외형이 매번 서로 다를 수 있다. 자동 점수 계산기(20)가 필기구(10)에 단단히 고정되지 않고 흔들릴 경우에는, 채점 행위를 판단함에 있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필기구(10)에 흔들림 없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직경과 외형을 갖는 필기구(10)가 관통부(21)에서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부(21)의 내벽에는 탄성부(25)가 관통부(21)의 내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탄성부(25)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관통부(21)의 내벽에서 돌출되며 관통부(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탄성부(25)는 필기구(10)의 외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다양한 직경과 외형을 가지는 필기구(10)와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이를 통해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필기구(10)에 흔들림 없이 체결될 수 있다.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can be coupled to various types of writing instruments 10. The diameter or external shape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21 may be different each time. If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is not firmly fixed to the writing instrument 10 and is shaken, an error may occur in determining the grading act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be fixed to the writing instrument 10 without shaking. An elastic portion 25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penetrating portion 21 to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penetrating portion 21 so that the writing instrument 10 having various diameters and external shapes can be fixed without shaking in the penetrating portion 21. The elastic portion 25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penetrating portion 21 and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21. The elastic portion 25 elastically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thereby improving the fixing force with the writing instrument 10 having various diameters and external shapes. Through this,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can be fastened to the writing instrument 10 without shaking.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채점 행위를 인식하는 모션 인식부(31)와, 모션 인식부(31)에서 인식한 채점 행위에 기반하여 점수를 계산하는 계산부(32)와, 채점 행위가 기 결정한 문제수에 도달하면 계산부(32)에서 계산한 총점을 출력하는 출력부(33)를 포함한다.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includes a motion recognition unit 31 that recognizes the scoring behavior, a calculation unit 32 that calculates a score based on the scoring behavior recognized by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and a scoring behavior that is predetermined. It includes an output unit 33 that outputs the total score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32 when the number of questions is reached.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채점 행위마다 점수를 합산하여 그 때까지의 총점을 출력할 수 있고, 하나의 채점지에 대한 채점 행위가 모두 끝나면 그 총점을 출력할 수도 있다.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can add up the scores for each grading action and output the total score up to that point, and can also output the total score when all grading actions for one grading paper are completed.

모션 인식부(31)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부를 구비한다. 센서부는 자동 점수 계산기(20)의 모션을 감지한다. 자동 점수 계산기(20)가 필기구(10)의 제1단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1단부의 움직임을 직접적으로 인식하고, 자동 점수 계산기(20)가 필기구(10)의 제2단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데이타 변환을 통해 제1단부의 움직을 인식한다.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includes a sensor unit capable of recognizing motion using sensors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The sensor unit detects the motion of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When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is provided at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the movement of the first end is directly recognized, and when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is provided at the second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The movement of the first end is recognized through data conversion.

모션 인식부(31)는 센서부에서 획득한 모션 데이터에 근거하여 필기구(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행위가 채점 행위인지를 인식한다.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recognizes whether the user's action of using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a grading action based on the motion data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필기구(10)의 제1단부는 채점지에 접촉하여 채점지에 정답과 오답을 의미하는 이동 패턴을 그리는 부분이다.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필기구(10)의 제2단부 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모션 인식부(31)는 필기구(10)의 제2단부의 모션 데이타를 통해 필기구(10)의 제1단부의 이동 패턴을 인식한다. 필기구(10)의 제1단부는 2차원 평면 형태로 제공되는 채점지 상에서 이동하므로, 필기구(10)의 제1단부의 움직임은 2차원 평면상에서의 이동 패턴을 제공한다. 반면에 필기부(10)의 제2단부의 모션 데이타는 제1단부의 이동에 따라 3차원 공간상에서의 이동 패턴을 제공한다. 필기구(10)의 제2단부의 모션 데이타는 3차원적인 모션 데이타일 수 있다.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a part that contacts the marking paper and draws a movement pattern indicat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on the marking paper.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end side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n this case,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determines the second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through the motion data of the second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Recognize the movement pattern of the first end. Since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moves on the marking paper provided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plane, the movement of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provides a movement pattern on the two-dimensional plane. On the other hand, the motion data of the second end of the writing unit 10 provides a movement pattern in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end. The motion data of the second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may be three-dimensional motion data.

모션 인식부(31)는 필기구(10)의 제2단부의 모션 데이타를 분석하여 필기구(10)의 제1단부의 이동 패턴을 판단한다. 모션 인식부(31)는 필기구(10)의 제2단부의 3차원적인 모션 데이타를 2차원적으로 변환하여 필기구(10)의 제1단부에서의 이동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모션 인식부(31)는, 센서부에 획득한 모션 데이타가 3차원적인 데이타일지라도 2차원적으로 변환함으로써 2차원 평면에서의 사용자 행위를 인식한다.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analyzes motion data of the second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and determines the movement pattern of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may recognize the movement pattern at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by converting three-dimensional motion data of the second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nto two dimensions.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recognizes the user's actions on a two-dimensional plane by converting the motion data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into two-dimensional even if it is three-dimensional data.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진동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감지부는 필기구(10)의 제1단부가 채점지와 접촉되어 마찰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한다. 필기구(10)의 제1단부가 채점지와 접촉하면서 채점지 상에서 채점 행위를 할 경우에는 채점지 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필기구(10)의 제1단부에는 미세한 진동이 생성된다. 진동 감지부가 접촉 마찰에 의한 진동을 감지할 경우에만, 모션 인식부(31)는 사용자의 행위를 채점 행위로 인식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행위가 채점 행위인지를 보다 신뢰성있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may include a vibration detection unit (not shown).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detects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comes in contact with the marking paper and moves through friction. When grading is performed on the scoring paper while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in contact with the marking paper, a slight vibration is generated at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due to friction with the surface of the marking paper. Only when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detects vibration due to contact friction,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recognizes the user's action as a scoring ac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determine whether the user's action is a grading action.

필기구(10)의 제1단부가 채점지와 접촉하면서 생성하는 진동은 채점 행위 동안에는 연속적인 진동이다. 해당 진동이 연속적으로 생성되다가 끊어짐이 발생하면, 모션 인식부(31)는 사용자가 다음 문항의 채점을 위해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1문제를 채점한 이후에 제2문제로 이동하는 도중에는, 필기구(10)의 제1단부는 채점지와 이격되는 기간이고, 이 기간에는 진동이 생성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제1문제의 채점 행위을 끝내고 제2문제의 채점 행위을 시작하기 이전의 사용자의 행위에 대해서는, 모션 인식부(31)는 채점 행위로 인식하지 않는다.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coring paper is a continuous vibration during the grading action. If the vibration is continuously generated and then interrupted,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moved to score the next question. Specifically, while the user moves to the second question after grading the first question,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separated from the grading paper, and no vibration is generated during this period. Through this,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does not recognize the user's actions before finishing grading the first question and starting grading the second question as grading actions.

모션 인식부(31)는, 필기부(10)의 제1단부의 이동 패턴을 기준으로, 1회 차(예를 들어, 1번 문항)에서 행해진 채점 행위의 2차원 평면을 기준으로 동일 평면에서 행해진 행위만을 채점 행위로 인식하고 다른 평면에서 행해진 행위는 채점 행위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채점지 자체의 이동이 없는 이상, 사용자의 채점 행위는 동일 채점지 상에서 수행된다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동일 채점지 상에서의 채점 행위는 동일 평면에서 수행되므로, 1회 차에서 행해진 채점 행위의 2차원 평면을 기준으로 채점 행위인지를 판단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1회차에서 행해진 채점 행위는 하나의 2차원 평면에서 행해진 것이고 이후의 채점 행위 역시 동일한 평면에서 행해지므로 1회차에서 인식된 2차원 평면을 기준으로 동일 평면인 경우에만 채점 행위인 것으로 판단한다. 즉, 1회차에서 인식된 2차원 평면 상에서의 행위만을 채점 행위로 인식하고 다른 평면에서의 행위는 채점 행위로 인식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채점지 상에서 채점 행위를 하다가 잠시 다른 종이 상에서 임의의 행위를 하는 경우에 이를 채점 행위로 인식하지 않음으로써 채점 행위 인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is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unit 10 and in the same plane based on the two-dimensional plane of the grading action performed in the first round (e.g., question 1). Only actions performed may be recognized as grading actions, and actions performed in other planes may not be recognized as grading actions. This takes into account that the user's grading actions are performed on the same grading paper, unless the grading paper itself moves. Since the grading action on the same grading paper is performed on the same plan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grading action is based on the two-dimensional plane of the grading action performed in the first round. In other words, the grading action performed in the first round was performed on one two-dimensional plane, and subsequent grading actions are also performed on the same plane, so it is judged to be a grading action only if it is the same plane based on the two-dimensional plane recognized in the first round. . In other words, only actions on the two-dimensional plane recognized in the first round are recognized as grading actions, and actions on other planes are not recognized as grading actions. This is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grading behavior recognition by not recognizing it as a grading behavior if the user performs a random action on another piece of paper while grading on a grading sheet.

사용자의 채점 행위는 정답 행위를 의미하는 제1채점 행위와, 오답 행위를 의미하는 제2채점 행위와, 불완전 정답을 의미하는 제3채점 행위를 포함한다. The user's grading behavior includes a first grading behavior indicating a correct answer, a second grading behavior indicating an incorrect answer, and a third grading behavior indicating an incomplete correct answer.

제1채점 행위에 해당하는 제1단부의 이동 패턴은 동그라미 형태의 이동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제1채점 행위에 해당하는 제1단부의 이동 패턴은 행위의 시작점에서 점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다시 행위의 시작점으로 점점 돌아오는 이동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제1채점 행위에 해당하는 제1단부의 이동 패턴은 폐곡선을 그리는 폐쇄형의 이동 패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ovement pattern of the first e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oring action may be a circular movement pattern. Additionally, the movement pattern of the first e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oring action may be a movement pattern that gradually moves away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action and then gradually returns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action. Additionally, the movement pattern of the first e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oring action may be a closed movement pattern that draws a closed curv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제2채점 행위에 해당하는 제1단부의 이동 패턴은 사선 형태의 이동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제2채점 행위에 해당하는 제1단부의 이동 패턴은 행위의 시작점에서 점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패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ovement pattern of the first e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coring action may be a diagonal movement pattern. Additionally, the movement pattern of the first e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coring action may be a pattern of moving in a direction gradually moving away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act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제3채점 행위에 해당하는 제1단부의 이동 패턴는 삼각형 형태의 이동 패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ovement pattern of the first end corresponding to the third scoring action may be a triangle-shaped movement patter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모션 인식부(31)는 센서부에서 획득한 모션 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채점 행위가 제1채점 행위 내지 제3채점 행위 중 어느 하나의 채점 행위인지를 구분하여 인식한다. 다시 말해,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센서부에서 획득한 모션 데이타를 이용하여 필기구(10)의 제1단부의 이동 패턴을 분석하고, 필기구(10)의 제1단부의 이동 패턴이 제1채점 행위 내지 제3채점 행위 중 어느 하나의 채점 행위인지를 구분하여 인식한다. 모션 인식부(31)가 필기구(10)의 제2단부측에 구비될 경우, 모션 인식부(31)의 센서부에서 획득한 모션 데이타는 3차원 데이터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곧바로 채점 행위를 판단하기에는 오류가 많을 수 있다. 하지만 센서부에서 획득한 모션 데이타를 필기구(10)의 제1단부의 2차원 데이타로 변환할 경우에는 신뢰성이 있게 채점 행위를 구분해 낼 수 있다.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recognizes whether the user's scoring behavior is one of the first scoring behavior and the third scoring behavior based on the motion data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In other words,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analyzes the movement pattern of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using the motion data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and the movement pattern of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the first end. It is recognized separately whether it is a grading act or a 3rd grading act. When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is provided on the second end side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the motion data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of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is three-dimensional data, so it is difficult to directly determine the grading action based on this. There may be many errors. However, when the motion data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is converted into two-dimensional data of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the grading behavior can be reliably distinguished.

모션 인식부(31)는, 사용자의 채점 행위가 제1채점 행위 내지 제3채점 행위 중 어느 하나에도 해당하지 않을 경우에는, 무의미한 행위인 것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채점 행위를 하는 과정 중에 허공에서 필기구를 돌리거나 이동시키는 것은 채점 행위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모션 인식부(31)는 이러한 행위를 채점 행위로 인식하지 않고, 무의미한 행위로 인식한다. If the user's grading action does not correspond to any of the first to third grading actions,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recognizes it as a meaningless action. For example, since the user's turning or moving a writing instrument in the air during the grading process does not constitute a grading action,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does not recognize such an action as a grading action, but recognizes it as a meaningless action.

제1채점 행위 내지 제3채점 행위는 필기구(10)의 제1단부를 기준으로 2차원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행위이다. 필기구(10)의 제1단부에서, 사용자의 행위가 2차원 평면에서 이루어지 않고 3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에, 모션 인식부(31)는 이를 무의미한 행위로 인식한다. 모션 인식부(31)는 2차원 평면에서의 사용자의 행위만을 사용자의 채점 행위로 인식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grading actions are actions performed in a two-dimensional plane with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as a reference. At the first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f the user's action is recognized as being performed in three dimensions rather than in a two-dimensional plane,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recognizes this as a meaningless action.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may be controlled to recognize only the user's actions in a two-dimensional plane as the user's scoring actions.

모션 인식부(31)는 센서부에 획득한 모션 데이터와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지정 모션 모델을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지정 모션 모델은, 제1채점 행위 지정 모델 내지 제3채점 행위 지정 모델을 포함한다. 제1채점 행위 내지 제3채점 행위에 각 해당하는 사용자 지정 모션 모델은 사전에 사용자가 자동 점수 계산기(20)에 저장한 이동 패턴의 모델이거나 자동 점수 계산기(20)가 학습한 이동 패턴의 모델일 수 있다.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match by comparing the motion data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with the user-specified motion model stored in the memory. The user-specified motion model includes a first scoring behavior designation model to a third scoring behavior designation model. The user-specified motion mod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ird scoring actions may be a model of a movement pattern previously saved by the user in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or a model of a movement pattern learned by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You can.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복수개의 순차적인 동일 패턴 행위를 예비 행위로 학습하고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행위를 제1채점 지정 모델에 해당하는 사용자 지정 모션 모델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복수개의 순차적인 동일 패턴 행위를 예비 행위로 학습하고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행위를 제1채점 지정 모델에 해당하는 사용자 지정 모션 모델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복수개의 순차적인 동일 패턴 행위를 예비 행위로 학습하고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행위를 제1채점 지정 모델에 해당하는 사용자 지정 모션 모델에 저장할 수 있다.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may learn a plurality of sequential identical pattern actions as preliminary actions and store the same or similar actions in a user-specified motion mod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oring designation model. Additionally,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may learn a plurality of sequential identical pattern actions as preliminary actions and store the same or similar actions in a user-specified motion mod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oring designation model. Additionally,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may learn a plurality of sequential identical pattern actions as preliminary actions and store the same or similar actions in a user-specified motion mod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oring designation model.

여기서 유사한 행위라 함은 각 채점 지점 모델 간의 차이를 인식하면서도 어느 하나의 채점 지정 모델에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행위를 의미한다. Here, similar behavior refers to behavior that can be judged to be closer to one scoring designation model while recogn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scoring point model.

모션 인식부(31)은 모션 모델에 대응하는 모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메모리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모션에 대한 모션 모델은 적어도 하나의 모션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데이터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에 대한 한 주기 동안의 회전각, 가속도, 또는 회전 강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may control the memory to store mo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motion model. Here, the motion model for user motion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motion data. For example, the motion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otation angle, acceleration, or rotation intensity data for one cycle for a specific motion of the user.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학습부(미도시)를 포함하며 학습부로 하여금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includes a learning unit (not shown) and can control the learning unit to perform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학습부는 복수개의 순차적인 동일 패턴 행위 모델을 제1 채점 행위 모델로 학습하고, 제1채점 행위 모델과 다른 채점 행위 모델로서 복수개의 순차적인 동일 패턴 행위 모델을 제2채점 행위 모델로 학습할 수 있다. 또한, 학습부는 제1채점 행위 모델 및 제2채점 행위 모델과 다른 채점 행위 모델로서 복수개의 순차적인 동일 패턴 행위 모델을 제3채점 행위 모델로 학습할 수 있다. The learning unit may learn a plurality of sequential identical pattern behavior models as a first scoring behavior model, and may learn a plurality of sequential identical pattern behavior models as a second scoring behavior model as a scoring behavior model different from the first scoring behavior model. . Additionally, the learning unit may learn a plurality of sequential identical pattern behavior models as a third scoring behavior model as a scoring behavior model different from the first scoring behavior model and the second scoring behavior model.

또한, 학습부는, 기 저장된 제1채점 행위 모델과 유사한 패턴 행위를 제1 채점 행위 모델로 학습하고, 기 저장된 제2채점 행위 모델과 유사한 패턴 행위를 제2 채점 행위 모델로 학습하며, 기 저장된 제3채점 행위 모델과 유사한 패턴 행위를 제3 채점 행위 모델로 학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arning unit learns a pattern behavior similar to a pre-stored first scoring behavior model as a first scoring behavior model, learns a pattern behavior similar to a pre-stored second scoring behavior model as a second scoring behavior model, and learns a pattern behavior similar to a pre-stored second scoring behavior model as a second scoring behavior model. Pattern behavior similar to the 3 scoring behavior model can be learned as a third scoring behavior model.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센서부에 획득한 모션 데이터와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지정 모션 모델을 비교하여 양 데이터가 서로 매칭되면,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사용자의 행위가 제1채점 행위 내지 제3채점 행위 중 어느 하나의 행위인 것으로 판단한 후, 제1채점 행위 내지 제3채점 행위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compares the motion data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with the user-specified motion model stored in the memory, and when both data match each other,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determines that the user's action is one of the first to third scoring actions. After determining that it is one of the grading actions, the number of the first to third grading actions is counted.

한편,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센서부에 획득한 모션 데이터와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지정 모션 모델의 비교 결과, 양 데이터가 서로 매칭되지 않으면, 사용자로 하여금 채점 행위를 다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부(33)는 음성 또는 디스플레이(23)를 통해 채점 행위를 다시 수행할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Meanwhile,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may allow the user to perform the scoring action again if the two data do not matc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otion data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and the user-specified motion model stored in the memory. The output unit 33 may notify the user to perform the grading action again through voice or the display 23.

계산부(33)는 모션 인식부(31)에서 인식한 채점 행위에 기반하여 점수를 계산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계산부(33)는 모션 인식부(31)에서 인식한 각 채점 행위의 갯수를 카운팅하여 점수를 계산한다. The calculation unit 33 calculates the score based on the scoring behavior recognized by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More preferably, the calculation unit 33 calculates the score by counting the number of each scoring action recognized by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각 문항당 배점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계산부(33)는 각 문항당 배점을 고려하여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문항별 배점이 자동 점수 계산기(20)에 사전에 입력되어 세팅될 수 있다. 예컨대, n 번째(여기서, n은 자연수) 문항의 배점이 M 점일 경우, 제1채점 행위 내지 제3채점 행위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채점 행위가 n 번째 문항에 이르렀는지를 판단하고, 채점 행위가 n 번째 문항에 해당할 경우에는 계산부(33)는 배점을 M 점으로 적용하여 점수를 계산한다. The points assigned for each question may be different. In this case, the calculation unit 33 can calculate the score by considering the points allocated to each question. In this case, the score for each question may be input and set in advance into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For example, if the nth (where n is a natural number) item's score is M, the number of the first to third scoring actions is counted to determine whether the grading action has reached the nth question, and the grading action is n. If the question corresponds to the second question, the calculation unit 33 calculates the score by applying the points to M points.

출력부(33)는 사용자의 행위가 채점 행위인지, 각 채점 행위가 제1채점 행위 내지 제3채점 행위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사용자의 행위에 오류가 있는지, 인식이 제대로 되었는지 여부, 하나의 채점지에 대한 채점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등을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의 화면은 디스플레이(23)일 수 있다. The output unit 33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action is a grading action, whether each grading ac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grading action or the 3rd grading action, whether there is an error in the user's action, whether the recognition was correct, and whether the grading action is one of the grading actions. Whether or not grading has been completed can be output via voice or screen. The screen here may be the display 23.

채점 행위가 기 결정한 문제수에 도달하면, 출력부(33)는 계산부(33)에서 계산한 총점을 디스플레이(23) 또는 음성를 통해 출력한다. 예컨대, 기 결정한 문제수가 20문제인 경우, 제1채점 행위 내지 제3채점 행위의 갯수가 20회에 도달하면 출력부(33)는 계산부(33)에서 계산한 총점을 디스플레이(23) 또는 음성를 통해 출력한다. When the grading action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of questions, the output unit 33 outputs the total score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33 through the display 23 or voice. For example, whe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roblems is 20, when the number of first to third scoring actions reaches 20, the output unit 33 displays the total score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33 through the display 23 or voice. Print out.

세팅부(24)는 문제수를 결정 또는 변경한다. 초기에 기 결정한 문제수는 20문제일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문제수를 25문제로 변경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세팅부(24)를 통해 문제수를 25문제로 변경함으로써 기 결정한 문제수를 변경할 수 있다. The setting unit 24 determines or changes the number of questions. The initially determined number of problems may be 20. However, in some cases, it may be necessary to change the number of questions to 25. In this case, the previously determined number of problems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number of problems to 25 through the setting unit 24.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데이타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타 전송부는 출력부에 출력된 총점을 기기 외부로 전송한다. 테이타 전송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총점을 기기 외부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데이타 전송부는 유선으로 구비되고, 컴퓨터의 엑셀과 같은 문서 작성이 가능한 파일과 연결될 수 있다. 자동 점수 계산기(20)는 데이타 전송부를 통해 컴퓨터의 엑셀과 연결됨으로써, 자동 점수 계산기(20)에서 출력된 총점이 엑셀 작업 문서의 각 셀에 기재될 수 있다.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may further include a data transmission unit. The data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total score output to the output unit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The data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total score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For example, the data transmission unit may be wired and connected to a computer file that can create documents, such as Excel.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is connected to Excel on the computer through a data transmission unit, so that the total score output from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can be written in each cell of the Excel work document.

한편, 전원부(22)는 외부 충전이 가능하거나 1회용 밧데리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22)는 자동 점수 계산기(20)를 온(on)시키나 오프(off)시킨다. 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22 can be externally charged or may be composed of a disposable battery. The power unit 22 turns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on or off.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점 계산기(20)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자동 점수 계산기(20)를 필기부(10)의 결합한다. 자동 점수 계산기(20)를 필기구(10)에 결합하는 것은 아래의 세팅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수행되어도 무관한다. First,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is combined with the writing unit 10. The coupling of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to the writing instrument 10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setting step below.

다음으로, 전원부(22)를 통해 자동 점수 계산기(20)를 온(on)시킨다. 디스레이부(23)는 기 결정한 문제수를 출력한다. 이때 기 결정한 문제수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세팅부(24)를 통해 기 결정한 문제수를 작게 하거나 크게 세팅할 수 있다. 세팅부(24)의 키입력에 따라 기 결정한 문제수가 변경되고 결정된다. Next,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is turned on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2. The display unit 23 outputs a predetermined number of problems. At this time, if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roblems,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roblems can be set smaller or larger through the setting unit 24. The number of predetermined problems is changed and determined according to the key input of the setting unit 24.

다음으로, 모션 인식부(31)는 사용자의 채점 행위를 인식한다. 모션 인식부(31)는 사용자의 채점 행위가 제1채점 행위 내지 제3 채점 행위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구분하여 인식한다. 계산부(32)는 제1채점 행위 또는 제3채점 행위에 대해서만 점수를 산정한다. 제1채점 행위 내지 제3채점 행위가 기 결정한 문제수에 도달하면, 계산부(32)는 총점을 산정하며 출력부(33)는 음성 또는 디스플레이(23)를 통해 총점을 출력한다. 사용자는 음성 또는 디스플레이(23)를 통해 총점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Next,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recognizes the user's grading behavior. The motion recognition unit 31 recognizes whether the user's grading ac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grading action or the third grading action. The calculation unit 32 calculates scores only for the first or third scoring act. When the first to third scoring actions reach a predetermined number of questions, the calculation unit 32 calculates the total score, and the output unit 33 outputs the total score through voice or the display 23. Users can easily recognize the total score through voice or display 23.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점수 계산기(20)에 따르면, 채점 행위와 점수 계산 행위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점수 산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점수 산정의 실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2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score calculation time and minimize mistakes in score calculation by allowing the scoring action and the score calculation action to be performed simultaneously.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필기구
20 : 자동 점수 계산기
21 : 관통부
22 : 전원부
23 : 디스플레이부
24 : 세팅부
25 : 탄성부
10: writing instrument
20: Automatic Score Calculator
21: Penetrating part
22: power unit
23: display unit
24: Setting section
25: elastic part

Claims (5)

필기구에 착탈가능하게 구비가능한 자동 점수 계산기에 있어서,
채점 행위를 인식하는 모션 인식부;
상기 모션 인식부에서 인식한 채점 행위에 기반하여 점수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채점 행위가 기 결정한 문제수에 도달하면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한 총점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자동 점수 계산기.
In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a writing instrument,
A motion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grading actions;
a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score based on the scoring behavior recognized by the motion recognition unit; and
An automatic score calculator including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total score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when the grading action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of problem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부는,
1회 차에서 행해진 채점 행위의 2차원 평면을 기준으로 동일 평면에서 행해진 행위만을 채점 행위로 인식하고 다른 평면에서 행해진 행위는 채점 행위로 인식하지 않는, 자동 점수 계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tion recognition unit,
An automatic score calculator that recognizes only actions performed on the same plane as grading actions based on the two-dimensional plane of the grading actions performed in the first round, and does not recognize actions performed on other planes as grading a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부는 센서부에 획득한 모션 데이터와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지정 모션 모델을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자동 점수 계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tion recognition unit is an automatic score calculator that compares the motion data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with a user-specified motion model stored in memory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ma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가 삽입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필기구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자동 점수 계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It includes a penetrating portion into which the writing instrument is inserted,
An automatic score calculator, wherein the penetr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ortion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writing instru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에 출력된 총점을 기기 외부로 전송하는 데이타 전송부를 포함하는, 자동 점수 계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utomatic score calculator including a dat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total score output to the output unit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KR1020220077537A 2022-06-24 2022-06-24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KR202400008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537A KR20240000843A (en) 2022-06-24 2022-06-24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537A KR20240000843A (en) 2022-06-24 2022-06-24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843A true KR20240000843A (en) 2024-01-03

Family

ID=8953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537A KR20240000843A (en) 2022-06-24 2022-06-24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84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808B1 (en) 2011-03-03 2011-04-29 주식회사 경기정보통신 Apparatus for recognizing correct answer marks of an omr c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808B1 (en) 2011-03-03 2011-04-29 주식회사 경기정보통신 Apparatus for recognizing correct answer marks of an omr c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6106B2 (en) Digital pen with enhanced educational feedback
US200801318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aching proper letter and character formation
US55966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handwritten inputs in a computerized teaching system
US8195085B2 (en) Method of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multiple-choice questions
US20060246410A1 (en) Learning support system and learning support program
JP2005517214A (en) Entry and method for interactive devices
CN103903491A (en) Method and device for achieving writing inspection
JP6963302B2 (en) Kanji learning device
WO2006064295A2 (en) Computerised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handwriting and reading
CN105118354A (en) Data processing method for language learning and device thereof
US200700487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 Creation, Verification, and Evaluation
KR20150113294A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an education using a smart pen based on a dot code
KR20240000843A (en) The Automatic Score Calculator
JP2014145893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05004909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tudying data based on learning level
JP2022064946A (en) Dictation learning support system, dictation learning support server, dictation learning support device, dictation learning support method, and dictation learning support program
JP2015141233A (en) Answer determination assistance system
JP4876666B2 (en) Scoring result recognition system and scoring result recognition processing program
JP2007310124A (en) Learning support system and support method
CN113256457A (en) Online learning diagnosis method and de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JP4757176B2 (en) Scoring input device and scoring input system
CN109240523A (en) One kind, which being corrected system and corrected, uses mouse
JP2021089552A (en)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and scoring system using the same
JP5845729B2 (en) Learning support apparatus and program
TWI591567B (en) A test paper batch modific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