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811U - Plant pot for preventing overflooding - Google Patents

Plant pot for preventing overfloo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811U
KR20240000811U KR2020230001741U KR20230001741U KR20240000811U KR 20240000811 U KR20240000811 U KR 20240000811U KR 2020230001741 U KR2020230001741 U KR 2020230001741U KR 20230001741 U KR20230001741 U KR 20230001741U KR 20240000811 U KR20240000811 U KR 202400008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drain pipe
side wall
drain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17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진
Original Assignee
김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진 filed Critical 김명진
Priority to KR2020230001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811U/en
Publication of KR202400008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811U/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전용토양이나 일반토양, 또는 식물분에 포함된 부속물이 흘러내리는 현상과 물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식물분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식물분은 측벽에 접하도록 저면에 형성되는 배수공에 결합되면서 측벽에 접하여 식물분의 상단 주면을 향해 연장되는 배수관을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식물분은 종래의 식물분 구조에 배수관을 결합함으로써 간소한 공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This specification provides a plant meal that can prevent the spilling and water overflow of special soil, general soil, or appendages contained in the plant meal. The plant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drainage hole formed on the bottom so as to contact the side wall, and is provided with a drain pipe extending toward the upper main surface of the plant powder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The plant me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can be manufactured in a simple process by combining a drain pipe with a conventional plant meal structure.

Description

물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식물분{PLANT POT FOR PREVENTING OVERFLOODING}{PLANT POT FOR PREVENTING OVERFLOODING}

본 명세서는 규격과 형태에 관련 없는 모든 식물분에 관한 것이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ll plant components regardless of size and shape.

화분(Flower pot)을 포함하는 식물분(Plant Pot)은 수목이나 화훼를 심어 기르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식물분은 통상적으로 속이 빈 항아리 모양으로 바닥과 측벽이 형성되어 내부에 흙이 채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식물분의 바닥은 식물분에 관수한 물이 식물의 뿌리에 의해 흡수되고 남은 물이 바닥에 고이지 않고 배수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배수구를 구비한다. 배수구는 식물의 뿌리가 과습으로 인하여 썩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배합된 흙의 종류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내부의 흙이 압착되어 밀도가 높아지게 되면 배수구까지 관수된 물이 흘러나오기 전에 내부 흙에 장시간 머무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배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배수구조들이 제시된 바 있다.A plant pot, including a flower pot, has a structure for planting and growing trees or flowers. Plant pots are typically shaped like a hollow jar with a bottom and side walls so that the inside can be filled with soil. Meanwhile, the bottom of the plant pot is provided with drainage holes in various ways so that the water irrigated into the pot is absorbed by the roots of the plant and the remaining water can drain without pooling on the bottom. Drainage holes are used to prevent plant roots from rotting due to excessive moisture. However, if the type of soil mixed or the internal soil is compressed and density increases over time, a problem arises in which the water irrigated remains in the internal soil for a long time before flowing out to the drain. In the past, various types of drainage structure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is drainage problem.

특허공개 제10-2022-0052853호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52853 등록실용신안 제20-0348057호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48057 중국특허공개 CN 108781871Chinese Patent Publication CN 108781871

이와 같이 식물분에 관수시 흙에 침투한 물로 인해 뿌리가 과습으로 인해 썩지 않게 하는 것은 식물생장에 필요한 조건이다. 이와 별개로 흙과 뿌리의 흡수속도보다 급수속도가 빠를 경우, 식물분 상단의 흙과 함께 물이 식물분 위로 흘러넘치게 되는 일이 발생한다. 즉 전용토양이나 일반토양, 또는 식물분에 포함된 부속물이 흘러내리는 현상과 물넘침을 방지할 필요가 생긴다. 특히 실내공간과 같이 배수가 어렵거나 청소가 곤란한 지면에 물이 흘러넘치게 되면 수습이 곤란할 수 있다.Likewise, it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plant growth to prevent roots from rotting due to excessive moisture caused by water that penetrates the soil when watering plants. Separately, if the water supply rate is faster than the absorption rate of the soil and roots, water may overflow onto the plant pot along with the soil at the top of the plant pot.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to prevent the spilling and water overflow of exclusive soil, general soil, or appendages contained in plant soil. In particular, if water overflows into areas where drainage is difficult or cleaning is difficult, such as indoor spaces, it may be difficult to clean up the water.

특허공개 제10-2022-0052853호는 물받이 받침대와 결합되는 화분 저면의 배수홀에 연결되는 튜브형태의 중공형 배수관을 포함하는 화분의 배수구조를 개시한다. 해당 기술은 화분의 흙속에 매립되는 배수관을 통해 흙속에 투과된 물의 배수를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받침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관수시 흙속으로 물이 투과되기 전에 흙위에 고이는 물이 화분 상단을 넘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52853 discloses a drainage structure for a flower pot that includes a hollow tube-shaped drain pipe connected to a drainage hole on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that is coupled with a water receiving stand. This technology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the drainage of water permeating into the soil through a drain pipe buried in the soil of the flower pot and controlling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pedestal. However, when watering, it is im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that accumulates on the soil from overflowing over the top of the pot before the water penetrates into the soil.

등록실용신안 제20-0348057호는 관수시 물이 흘러내리지 않는 화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화분의 상단 모서리로부터 화분 하단으로 연결되는 공기통로겸 배수관을 포함하는 화분구조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화분의 흙 위로 흘러넘치는 물을 일부 배수관을 통해 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배수관이 화분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배수관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으로 흘러나가는 물은 그대로 화분 밖으로 넘치게 될 뿐 아니라 배수관을 걸기 위한 구조를 화분 상단에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진다.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48057 relates to a flower pot structure that prevents water from flowing out during irrigation, and discloses a flower pot structure that includes an air passage and drain pipe connected from the top edge of the flower pot to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This structure allows water that overflows over the soil of the pot to move to the bottom through some drainage pipes. However, since the drain pipe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pot, the water that flows out to the part where the drain pipe is not installed not only overflows out of the pot, but also a separate structure for hanging the drain pipe must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pot, making the configuration complicated.

중국특허공개 CN 108781871는 식물분 내부에 설치되는 유수관을 개시한다. 그러나 해당 유수관은 흙위로 넘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것이 아닌, 흙속에 침투한 물을 유수공(9)을 통해 흡수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앞의 선행기술들과 마찬가지로 흙위로 흘러넘치는 물을 신속하게 배수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Chinese Patent Publication CN 108781871 discloses a water pipe installed inside a plant pot. However, the water pipe is not designed to drain water overflowing onto the soil, but is structured to absorb water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soil through the water flow hole (9). Therefore, like the previous prior technologies, it is not suitable for quickly draining water overflowing onto the soil.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수시 식물분 밖으로 물이 흘러넘치지 않는 식물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im to provide plant meal that does not allow water to overflow out of the plant meal when watering.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명세서는 물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식물분을 제공한다.This specification provides plant powder to prevent water overflow.

본 고안의 일 양상으로 상기 식물분은 측벽에 접하도록 저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수공, 및 상기 배수공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측벽에 접하여 상기 측벽의 상단 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 pot may include one or more drainage holes formed on the bottom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and one or more drainage pipes whose lower ends are coupled to the drainage holes and extend toward the upper main surface of the side wall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there is.

본 고안의 다른 양상으로 상기 배수관의 상단은 상기 식물분의 상단 주면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of the drain pipe may be located below the upper main surface of the plant pot.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으로 상기 배수관의 단면은 반원, 또는 호(arc)와 호의 양 끝점을 잇는 선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drain pipe may be defined by a semicircle, or an arc and a line connecting both end points of the arc.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으로 상기 식물분의 상단 주면과 상기 배수관의 상단 개구부 간의 이격거리는 15~25mm일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main surface of the plant powder and the upper opening of the drain pipe may be 15 to 25 mm.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으로 상기 배수관의 절단면을 구성하는 두 점 간의 길이는 15~45mm일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between the two points constituting the cut surface of the drain pipe may be 15 to 45 mm.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으로 상기 배수관의 상단 개구부를 덮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covering the upper opening of the drain pipe.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으로 상기 배수공의 형상은 식물분 측벽의 경계선과 식물분 저면의 중심부를 향하는 호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drainage hole may be limited by the boundary line of the side wall of the plant material and an arc toward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plant material.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으로 상기 식물분의 측벽을 위에서 바라본 원주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wo drain pipes opposing each other on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wall of the plant pot when viewed from above.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으로 상기 배수관의 개수는 3개일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drain pipes may be three.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식물분은 식물분 전용토양이나 일반토양, 또는 식물분에 포함된 부속물이 흘러내리는 현상과 물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실내외에서 바닥이 더러워지지 않도록 하고, 특히 실내의 경우 바닥청소가 곤란하게 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plant me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water overflow and the phenomenon of spilling of the soil dedicated to plant meal, general soil, or appendages contained in the plant me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or from becoming dirty both indoors and outdoors,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indoors, floor cleaning becomes difficult.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식물분은 종래의 식물분구조에 배수관을 결합함으로써 간소한 공정으로 제조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lant me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e manufactured in a simple process by combining a drain pipe with a conventional plant meal structure.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 내지 6의 배수관의 절단면도를 나타낸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specific details for implementing the desig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detail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plant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plant pow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plant pow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plant pow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plant pow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plant pow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5.
Figure 7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 pipe of Figures 1 to 6.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화분을 포함하는 식물분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장치 및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can be applied to plant matter, including pollen. However,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applied to all devices and methods to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technology can be appli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 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piri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unless specifically defined in a different way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belo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very comprehensive sense or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In addition, if the technical term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an incorrect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idea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t is a technical term that can be correctly understood by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belongs. It should be understood and replaced with . Additionally, genera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defined in the dictionary or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technology by the attached drawings.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식물분(植物盆, plant pot)은 수목이나 화훼를 심어 기르기 위한 그릇으로서 꽃에 한정되는 화분(花盆)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식물분은 저면(바닥)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측벽(1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측벽(10)이나 저면은 위에서 보았을 때 원형인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타원형 또는 다른 자유로운 형태도 가능하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를 위해 원형 식물분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식물분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공들(22a, 22b, 22c, 22d)이 측벽(10)의 안쪽에 형성된다. 도 1에는 예시적으로 4개의 배수공들(22a, 22b, 22c, 22d)이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배수공들이 형성되는 위치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배수공들(22a, 22b, 22c, 22d)의 형상은 예를 들어 식물분 측벽(10)의 경계선과, 식물분 저면의 중심부를 향하는 호(arc)에 의해 한정(define)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호의 곡률이나 길이는 가변적일 수 있다. 배수관(20)의 하단은 배수공들(22a, 22b, 22c, 22d) 중 임의의 배수공(22a)으로부터 측벽(10)에 접하면서, 상기 측벽(10)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단 주면(11)을 향하여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20)의 측면은 밀폐된 형태를 가져서, 배수관(20)의 상단으로 유입되는 물이 중간에 새지 않고 배수공들(22a, 22b, 22c, 22d) 중 임의의 배수공으로 바로 배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편의상 주면(11)을 선으로 처리하였으나 실제 식물분의 경우 곡률과 면적의 차이가 있더라도 면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Figure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plant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a plant pot is defined as a container for planting and growing trees or flowers and includes flower pots limited to flowers. Referring to Figure 1, the plant soil includes a side wall 10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Referring to FIG. 2, the side wall 10 or bottom is generally circular when viewed from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polygon including a square, an oval, or any other free shape. However,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the description is based on circular plant powder. On the bottom of the plant pot, one or more drainage holes (22a, 22b, 22c, 22d) are formed inside the side wall (10). In FIG. 1, four drainage holes 22a, 22b, 22c, and 22d are exemplarily shown facing each other, but the position or number of drainage holes formed may be varied as needed. The shape of the drainage holes 22a, 22b, 22c, and 22d is defined by, for example, a boundary line of the side wall 10 of the plant pot and an arc toward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pot. The curvature or length of the arc may be variable.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2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10 from any of the drain holes 22a, 22b, 22c, and 22d, a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 to form an upper main surface 11. extends towards. Here, the side of the drain pipe 20 has a sealed shape, so that water flowing into the top of the drain pipe 20 can be drained directly into any of the drain holes 22a, 22b, 22c, and 22d without leaking in the middle. there is. In Figure 1, the main surface 11 is treated as a line for convenience, but in the case of actual plant powder, it is common to form a surface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curvature and area.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배수관(20)의 길이는 배수공(22a)으로부터 시작하여 주면(11)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된다. 상기 배수관(20)의 상단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되고, 개구부(21)와 주면(11) 간의 거리(a)는 예를 들어 15~25mm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mm일 수 있다. a의 길이는 식물분에 흙이 채워지는 높이를 감안하되, 배수관(20)의 상단높이가 흙의 높이와 비슷하도록 함으로써 식물분에 채워지는 토양에 흡수되는 속도보다 빨리 차오르는 물이 주면(11) 위로 흘러넘치기 전에 배수관(20)을 통해 빠질 수 있도록 정해진다. 이로써 전용토양이나 일반토양, 또는 식물분에 포함된 부속물이 흘러내리는 현상과 물넘침이 없도록 하여, 특히 바닥청소가 곤란한 장소에서 바닥이 더러워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관(20)의 절단면의 형태는 반원, 원통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배수관(20)의 절단면이 반원의 형태를 갖는 반관(half-pipe)으로 설계될 경우 기존에 널리 이용되는 원통형 파이프를 절단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배수관(20)은 측벽(10) 및 배수공들(22a-22d)과 함께 식물분의 제조시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배수관(20)만 생략한 형태의 식물분에 착탈식으로 추후 부착될 수 있다. 착탈식 배수관(20)을 채택할 경우 버려지는 폐자원인 파이프나 호스 등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배수관(2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한 절단면의 형태가 반원인 반관형태인 경우, 또는 반원보다는 짧은 형태의 호(arc)인 경우 배수관(20)의 절단면을 구성하는 호의 양 끝 두 점(point) 간의 길이(b)는 15~45mm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b는 예를 들어 15mm, 30mm 또는 45mm중 선택될 수 있다. 배수관(20)의 상단 개구부(21)에는 관수시 식물분에 채워지는 흙이 배수관(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3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필터(30)는 거름망(mesh)일 수 있으며, 흙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Continuing to refer to FIG. 1, the length of the drain pipe 20 starts from the drain hole 22a and extends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main surface 11. An opening 21 is formed at the top of the drain pipe 20, and the distance (a) between the opening 21 and the main surface 11 may be, for example, 15 to 25 mm, and most preferably 20 mm. The length of a takes into account the height at which the plant pot is filled with soil, but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drain pipe (20) is similar to the height of the soil, so that if the water fills up faster than the rate at which it is absorbed into the soil filled with the plant pot (11) It is arranged so that it can drain through the drain pipe (20) before overflowing. This prevents the spilling and water overflow of the exclusive soil, general soil, or plant matter contained in the soil, thereby preventing the floor from becoming dirty, especially in places where floor cleaning is difficult. The cut surface of the drain pipe 2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emicircle, cylindrical shape, square, or polygon, and preferably has a semicircular shape. If the cut surface of the drain pipe 20 is designed as a half-pipe having a semicircular shap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ut and utilize existing widely used cylindrical pipes. The drain pipe 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ide wall 10 and the drainage holes 22a-22d during the manufacture of plant manure, or may be later attached in a detachable manner to plant manure in a form in which only the drain pipe 20 is omitted. If the detachable drain pipe 20 is adopted, it has the effect of utilizing discarded waste resources such as pipes and hoses. On the other hand, if the shape of the cut surface based o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ain pipe 20 is a semicircular semi-tubular shape, or if it is an arc shorter than a semicircle, the amount of arcs constituting the cut surface of the drain pipe 20 The length (b) between the two end points may be 15 to 45 mm. In the embodiments of Figures 1 and 2, b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15 mm, 30 mm or 45 mm. The upper opening 21 of the drain pipe 20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30 to prevent soil filled with plant fertilizer from flowing into the drain pipe 20 during watering. For example, the filter 30 may be a mesh, and various types of filters may be used as long as they can prevent the inflow of soil.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3-6의 실시예들에서 식물분에 구비되는 배수공들(22a-22d)과 배수관(20a-20c)은 도 1-2를 참고로 설명된 것과 유사하다. 다만 도 3-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측벽(10)을 형성하는 원주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배수관들(20b, 20c) 및 다른 하나의 추가적인 배수관(22a)이 형성된다. 도 5-6의 실시예에서는 도 3-4의 실시예에 도시된 배수관들(22a, 22b, 22c) 중 하나의 배수관(20a)을 생략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배수관들(20b, 20c)이 구비된다. 배수관들(20a-20c)의 개수나 위치는 식물분에 식재되는 식물의 종류나 토양의 성질,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가변될 수 있다. 배수관들(20a-20c)은 배수공(22a, 22b, 22c)에 결합되어 측벽(10)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식물분의 상단을 항하여 연장되며, 식물분 주면(11)과의 이격거리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배수관들(20a-20c)의 절단면의 형태는 반원,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배수관(2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한 절단면의 형태가 반원인 반관형태인 경우, 또는 반원보다는 짧은 형태의 호(arc)인 경우 배수관(20a-20c)의 절단면을 구성하는 두 점(point) 간의 길이(b)는 15~45mm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즉 배수관(20a-20c)의 개수, 형태, b의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3 to 6 show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s of Figures 3-6, the drainage holes (22a-22d) and drain pipes (20a-20c) provided in the plant pots are similar to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1-2. Howev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4, two drain pipes 20b and 20c and one additional drain pipe 22a are formed opposing each other on the circumference forming the side wall 10 when viewed from above. In the embodiment of Figures 5-6, one drain pipe (20a) of the drain pipes (22a, 22b, 22c)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ures 3-4 is omitted and two drain pipes (20b, 20c) facing each other are used. It is provided. The number or location of the drain pipes 20a-20c may be varied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plant planted in the plant pot, the nature of the soil, and the user's convenience. The drain pipes (20a-20c) are coupled to the drainage holes (22a, 22b, 22c) and extend toward the top of the plant pot whil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main plant pot (11) is It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1-2. Likewise, the shape of the cut surface of the drain pipes (20a-20c)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emicircle, square, or polygon, and may preferably have a semicircular shape, based on a plan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ain pipe (20). If the shape of the cut surface is a semi-circle, or an arc shorter than a semicircle, the length (b) between the two points that make up the cut surface of the drain pipe (20a-20c) is 15 to 45 mm. Can be selected from the range. That is, the number, shape, length of b, etc. of the drain pipes 20a-20c can be combined in various ways as needed.

도 7은 식물분의 측면에서 바라본 배수관(20)의 절단면도이다. 배수관(20)은 완전한 반관형태일 수 있으나, 도 1, 3, 5에 도시된 측벽(10)에 밀착하기 위해 상단의 개구부(21)의 면적이 식물분 바닥의 배수공(22)에 결합되는 하단의 면적보다 크도록 테이퍼링 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Figure 7 is a cutaway view of the drain pipe 20 viewed from the side of the plant waste. The drain pipe 20 may be in the form of a complete semi-pipe, but in order to adhere closely to the side wall 10 shown in FIGS. 1, 3, and 5, the area of the opening 21 at the top is the bottom coupled to the drainage hole 22 at the bottom of the plant pot. It may have a tapered shape so that it is larger than the area of .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부"는,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부"는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 “part”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the minimum unit of an integrated part or a part thereof. “Part” may be the minimum unit or part of one or more functions. The “part” may be implemented mechanically or electronically.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하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정의된다. 또한, 청구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과 같은 도입 문구를 사용하는 것은, 동일한 청구항에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과 같은 도입 문구 및 "하나" 같은 불명료한 문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 할지라도, 불명료한 문구 "하나"에 의한 다른 청구항 요소의 도입이 그러한 요소를 하나만을 포함하는 고안에 대해 그렇게 도입된 청구항 요소를 포함하는 임의의 특정 청구항을 제한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As used herein, the term “one” is defined as one or more than one. Additionally, the use of introductory phrases such as “at least one” and “one or more” in a claim may mean that the same claim contains introductory phrases such as “at least one” and “one or more” and ambiguous phrases such as “an.” The introduction, if any, of another claim element by the ambiguous phrase "one" shall be construed to mean that any particular claim containing the claim element so introduced is limited to a design containing only one such element. It shouldn't be.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or “at least one of A and/or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는 그러한 용어가 설명하는 요소들을 임의로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들 용어는 그러한 요소들의 시간적 또는 다른 우선 순위를 나타내도록 반드시 의도된 것은 아니며, 특정 수단이 서로 다른 청구항들에 열거되어 있다는 단순한 사실만으로 이러한 수단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들 용어는 그러한 요소의 시간적 또는 다른 우선 순위를 나타내도록 반드시 의도되지는 않는다. 특정 조치가 서로 다른 주장에 인용되었다는 단순한 사실만으로 이러한 조치의 조합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는 않는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optionally distinguish between the elements described by such terms. Accordingly, these terms are not necessarily intended to indicate temporal or other priority of such elements, and the mere fact that particular means are recited in different claims does not indicate that a combination of such means cannot be advantageously used. . Accordingly, these terms are not necessarily intended to indicate temporal or other priority of such elements. The mere fact that a particular measure is cited in different claims does not indicate that a combination of these measures cannot be used usefully.

또한,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에서의 "앞", "뒤", "꼭대기", "상부", "밑", "바닥", "위에", "아래" 등의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영구적인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는 데 반드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그렇게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가 예를 들어 여기에 도시되거나 달리 설명된 것 외의 다른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 하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다는 것으로 이해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ront,” “back,” “top,” “top,” “bottom,” “bottom,” “over,” and “bottom”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are used for descriptive purposes. It is not necessarily used to describe permanent relative positions. It is understood that the terms so used are interchangeable under appropriate circumstances such tha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can be operated in other directions than, for example, shown or otherwise described herein.

도시의 단순성 및 명료성을 위해,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들은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그려진 것은 아니라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요소들의 치수는 명확성을 위해 다른 요소들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것으로 고려되는 경우, 참조 번호들은 대응되거나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해 도면들 사이에서 반복될 수 있다.For simplicity and clarity of illustra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have not necessarily been drawn to scale. For example, the dimensions of some elements may be exaggerated relative to others for clarity. Additionally, where considered appropriate, reference numbers may be repeated between the drawings to indicate corresponding or similar elements.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 요소의 배열은 효과적으로 "관련"되어 원하는 기능이 달성된다. 따라서, 특정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결합된 임의의 2 개의 구성 요소는 구조 또는 중개하는 구성 요소와 관계없이 원하는 기능이 달성되도록 서로 "관련"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와 같이 연관된 두 개의 구성 요소는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The arrangement of components to achieve the same function is effectively “related” so that the desired function is achieved. Accordingly, any two components combined to achieve particular functionality may b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desired functionality is achieved, regardless of structure or intervening components. Likewise, two such associated components may be considered “operably connected” or “oper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achieve a desired function.

용어 "포함하는", "갖는", "구성된", "이루어진" 및 "본질적으로 이루어진"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임의의 방법은 적어도 도면 및/또는 명세서에 포함된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면 및/또는 명세서에 포함된 동작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청구항에 나열된 요소들 또는 동작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comprising,” “having,” “consisting of,” “consisting of,” and “consisting essentially of” are used interchangeably. For example, any method may include at least the operations included in the drawings and/or the specification, or may include only the operations included in the drawings and/or the specification. Alternatively, the word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elements or acts listed in a claim.

이상에서 본 명세서의 기술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technology of this specifica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ere,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changed, or improv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spirit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측벽 11: 상단 주면
20, 20a, 20b, 20c: 배수관
21, 21a, 21b, 21c, 21d: 개구부
22, 22a, 22b, 22c, 22d: 배수공
30: 필터
10: side wall 11: top main surface
20, 20a, 20b, 20c: drain pipe
21, 21a, 21b, 21c, 21d: opening
22, 22a, 22b, 22c, 22d: drain hole
30: filter

Claims (9)

물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식물분으로서, 측벽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저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수공, 및 상기 배수공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측벽의 상단 주면(柱面)을 향하여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의 상단에 유입되는 물이 상기 배수공으로 신속히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관의 측면은 밀폐되는, 식물분.
A plant powder for preventing water overflow, comprising at least one drainage ho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a side wall, and a lower end joined to the drainage hole an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to form an upper main surface of the side wall. comprising one or more drain pipes extending toward,
The side of the drain pipe is sealed so that water flowing into the top of the drain pipe is quickly drained into the drain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상단은 상기 식물분의 상단 주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식물분.
According to claim 1,
The top of the drain pipe is located below the upper main surface of the plant po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단면은 원, 반원, 또는 호(arc)와 호의 양 끝점을 잇는 선에 의해 한정되는, 식물분.
According to claim 1,
The cross section of the drain pipe is defined by a circle, a semicircle, or an arc and a line connecting both end points of the arc.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분의 상단 주면과 상기 배수관의 상단 개구부 간의 이격거리는 15~25mm인, 식물분.
According to claim 2,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main surface of the plant powder and the upper opening of the drain pipe is 15 to 25 m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절단면을 구성하는 두 점 간의 길이는 15~45mm인, 식물분.
According to claim 3,
The length between the two points constituting the cut surface of the drainage pipe is 15 to 45 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상단 개구부를 덮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식물분.
According to claim 1,
A plant pot further comprising a filter covering the upper opening of the drain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의 형상은 식물분 측벽의 경계선과 식물분 저면의 중심부를 향하는 호(arc)에 의해 한정(define)되는, 식물분.
According to claim 1,
The shape of the drainage hole is defined by the boundary line of the side wall of the plant pot and an arc toward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po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분의 측벽을 위에서 바라본 원주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배수관을 포함하는, 식물분.
According to claim 1,
A plant pot comprising two drain pipes facing each other on a circumference of a side wall of the plant pot viewed from ab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개수는 3개인, 식물분.
According to claim 1,
The number of drain pipes is three, for plants.
KR2020230001741U 2022-11-07 2023-08-18 Plant pot for preventing overflooding KR2024000081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741U KR20240000811U (en) 2022-11-07 2023-08-18 Plant pot for preventing overfloo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313 2022-11-07
KR2020230001741U KR20240000811U (en) 2022-11-07 2023-08-18 Plant pot for preventing overflood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313 Division 2022-11-07 2022-1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811U true KR20240000811U (en) 2024-05-14

Family

ID=9107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741U KR20240000811U (en) 2022-11-07 2023-08-18 Plant pot for preventing overfloo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811U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057Y1 (en) 2004-01-02 2004-04-28 반완규 Flowerpot being used without under water-vessel
CN108781871A (en) 2018-06-26 2018-11-13 江苏锦叶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gas permeability is strong and applies the good rose planting pot of water effect
KR20220052853A (en)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그린월 Flowerpot with adjustable drainage flow and water level and drainage structures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057Y1 (en) 2004-01-02 2004-04-28 반완규 Flowerpot being used without under water-vessel
CN108781871A (en) 2018-06-26 2018-11-13 江苏锦叶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gas permeability is strong and applies the good rose planting pot of water effect
KR20220052853A (en)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그린월 Flowerpot with adjustable drainage flow and water level and drainage structures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441B2 (en) Insertable plant watering device and reservoir with inlet pipe
CN204560398U (en) A kind of flowerpot
CN106212223B (en) Plant green keeping tank
ES2922482T3 (en) Planting system for optimizing plant growth
US4346532A (en) Planter
US20190261586A1 (en) A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method
CN105009973A (en) Gas-permeable and water-storing flowerpot
KR20090002388U (en) Flowerpot mat
KR101136612B1 (en) Cultivation for functional plant
KR20240000811U (en) Plant pot for preventing overflooding
KR200278171Y1 (en) Dual sturcture flower pot
US9591813B2 (en) Multi-purpose plant water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CN203505174U (en) Automatic irrigation flowerpot
KR20170001235U (en) Potting basin and double pots for supplying liquid with air passage
CN206078227U (en) Many function combination water storage flowerpot
JP3118116U (en) Flower pots and planters that can save water easily
CN201911093U (en) Water and soil separated wetting type plant cultivation flowerpot
CN208387402U (en) One kind is breathed freely vertical hanged type flowerpot
CN214708970U (en) Novel self-water-absorption gardening basin
KR200159549Y1 (en) The flower pot with water tank
JP4838376B2 (en) Bottom plate separation type container
US20080236039A1 (en) Plant growing container with internal water reservoir
RU66657U1 (en) DEVICE FOR DOMESTIC IRRIGATION OF INDOOR PLANTS
CN2708637Y (en) Automatic water supply flowerpot
KR200493718Y1 (en) Flowerport of pipe type for cultivating a p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