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702U -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 Google Patents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702U
KR20240000702U KR2020220002471U KR20220002471U KR20240000702U KR 20240000702 U KR20240000702 U KR 20240000702U KR 2020220002471 U KR2020220002471 U KR 2020220002471U KR 20220002471 U KR20220002471 U KR 20220002471U KR 20240000702 U KR20240000702 U KR 202400007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rope
shaft rod
fixing
circul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옥
Original Assignee
박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옥 filed Critical 박정옥
Priority to KR2020220002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702U/ko
Publication of KR202400007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702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과실재배시 과실 성장에 따른 가지 처짐을 방지하도록 지지파이프의 상측에 설치하여 로프 또는 노끈등을 이용하여 가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을 구성한 것이다.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에 있어서 상기 지주캡은 내부 중심에 삽입홈을 구비한 원형축봉, 상기 원형축봉의 하단 외면에는 돌출형 로프가이드유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원형축봉의 상단 외면에는 로프 풀림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간편한 구조를 통해 장기간 오랜 시간 사용하여도 내구성과 지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과, 생산조립시 조립구조를 단순화시켜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과, 작업자가 가지에 노끈 또는 로프를 묶어 지주캡에 고정시 간편하고 짧은 시간에 설치할 수 있는 이점과, 높낮이조절수단에 의해 간편하게 사용자가 가지의 위치와 외부환경에 맞게 과실나무의 가지를 고정지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The Holding cap for fixing fruit tree branches for fruit cultivation}
본 고안은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실재배시 과실 성장에 따른 가지 처짐을 방지하도록 지지파이프의 상측에 설치하여 로프 또는 노끈등을 이용하여 가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을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실재배시 과실의 성장에 따른 가지의 전체 하중이 증가하고 이때 가지의 처짐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과실나무 주변에 지지파이프를 설치한 후 상기 지지파이프 상측에 과실나무 가지를 로프 또는 노끈으로 묶어 설치하는 지주캡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주캡은 상면이 반원형, 또는 수평형태의 원형판을 구비하여 그 상면에 로프 고정고리 또는 홈에 끼워져 체결고정되는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구비하고, 그 원형판의 중심 하면에 수직으로 지지파이프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지주캡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다양한 종류의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이 사용되고 있으며, 과실 가지에 대한 관리를 좀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다양한 형태의 선행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한 예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36658호(공개일자: 2021.11.17.)에서는 “과실나무 지주 캡으로서, 지주와 결합할 수 있도록 지주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 상단에 형성되는 몸체인 받침대; 그리고 상기 받침대 상단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지주 캡”이 있고,
또,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723호(공고일자: 2005.06.16.)에서는 “수형 교정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중에 일측단이 매설되는 지주(20)에 끼워져 고정볼트(36)의 조임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빈봉형의 몸체(30)를 가지되, 다수개의 지지고리(34)가 별도로 마련되어서 상기 몸체(30)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고리(32)와 연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형 교정기구”가 있으며,
또,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8605호(공고일자: 2012.03.07.)에서는 “중심부 하측의 지주결합공(101)에 지주대(7)를 결합하고 상면을 구형으로 형성하고 상부표면에 다수의 와이어투입홈(201)과 와이어투입홈에 교차하여 조임홈(202)을 형성하여 U형볼트(5)로 와이어(6)를 조임하는 와이어고정부(2)를 가진 방조망설치용 와이어고정부재에 있어서; 하부 둘레가 넓고 상부가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본체(1)를 형성하여 하측 둘레에 환형의 단면을 가지는 원형링 모양의 견인줄결속바(301)를 형성하고 와이어고정부(2)와 연결리브(4)로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하며 각각의 연결리브(4) 사이에 견인줄결속공(30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나무의 가지처짐방지용 견인줄결속부를 가지는 방조망설치용 와이어고정부재”가 있고,
또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2-0000737호(공개일자 : 2022.03.30.) “사과나무, 배나무, 포도나무, 복숭아나무 등을 비롯한 각종 과실수(a)의 나뭇가지(b)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조절이 용이한 가지지지부를 갖는 과실수용 지주대에 있어서, 위치조절이 용이한 가지지지부를 갖는 과실수용 지주대(100)는, 내부가 중공된 관 형태를 갖으며 하부에 쇄기부(11)와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체결공(12)이 형성된 기둥프레임(10)과, 상기 기둥프레임(10)의 체결공(12)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며 기둥프레임(10)과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에 나뭇가지가 안착되며, 기둥프레임(1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를 갖으며 내부에 체결공(12)에 끼움되는 한쌍의 탄성돌조(21)가 형성되는 밀착부(22)와, 상기 밀착부(22)의 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암(23)과, 상기 지지암(23)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나뭇가지가 수용되는 반원형태의 안착부(24)가 일체로 형성된 가지지지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용이한 가지지지부를 갖는 과실수용 지주대”가 알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36658호에서는 일체형 과실나무 가지용 지주 캡으로서, 과실나무의 크기 및 지지하고자 하는 가지의 수에 따라 유연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과실나무 가지용 지주 캡을 제공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과, 조립구조가 복잡하여 생산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노끈 또는 로프 고정시 고정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723호에서는 상기 한번 설치하여 놓고 필요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여 주는 것만으로도 수형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형 교정기구를 얻는데 그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높낮이 조절을 위해 구비되는 통공형 몸체를 위아래 조정시 별도로 고정설치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작물 성장중에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나사가 풀려 높낮이가 변동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내부식성이 높아 외부환경에 의한 부식률이 높아져 장기간 사용이 어려운 재질적인 문제점이 있고, 지지고리가 약해 강한 바람이나 외부환경에 의해 변형되어 장기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8605 에서는 과수원에 설치되는 지주의 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방조망을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지주의 상부에 장치하여 방조망을 설치하는 와이어를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과수나무의 가지처짐을 방지하는 견인줄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지주를 이용하여 방조망의 설치 및 과수나무의 가지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하는 과수나무의 가지처짐방지용 견인줄결속부를 가지는 방조망설치용 와이어고정캡을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는 가지 고정을 위해 설치하는 로프의 갯수가 제한되어 있고 사용중에 이탈되면 안전장치가 없어 가지의 고정지지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상부 고정을 위한 와이어에 고정설치하여 별도의 고정을 위한 와이어가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2-0000737호 에서는 과실수가 과실의 하중에 의해 나뭇가지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비, 바람, 태풍 등 자연 재해로 인해 발생하는 가지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나뭇가지를 지지하며, 특히, 하나의 기둥프레임에 조립되는 복수 개의 가지지지부의 구성을 통하여 각기 다른 높이와 각도 및 위치에 형성되는 여러 개의 나뭇가지를 독립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지지가 필요한 나뭇가지를 정확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자연재해로 인한 과실의 낙과를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가지지지부를 갖는 과실수용 지주대를 제공과, 또한, 지주대가 설치되는 지면의 주변을 덮어 과실수 주변을 잡풀의 성장을 차단함과 동시에 예초기를 이용하여 잡풀의 제거시 과실수가 예초기의 날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가지지지부를 갖는 과실수용 지주대를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지면에 별도의 고정홈을 구비한 지지파이프를 설치하여 추가공정이 발생되어 제조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별도로 설치된 지지파이프 외측의 편측 또는 타측에 걸림구멍에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하지만 설치중에 이탈에 대한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외부환경 이탈에 따른 가지 파손 및 과실 낙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안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문헌1·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36658호(공개일자: 2021.11.17.) 문헌2·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723호(공고일자: 2005.06.16.) 문헌3·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8605호(공고일자: 2012.03.07.) 문헌4·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2-0000737호(공개일자 : 2022.03.30.)
없음
본 고안은 상기 지적과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쉽고 간편한 구조로 지지파이프에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지주캡을 구비하고,
상기 지주캡에는 로프 풀림방지를 위한 이탈방지수단, 로프걸림수단, 조절아답터 및 높낮이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과실 가지를 외부 환경요인에 관계없이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에 있어서, 상기 지주캡은 내부 중심에 삽입홈을 구비한 원형축봉, 상기 원형축봉의 하단 외면에는 돌출형 로프가이드유지편을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축봉의 상단 외면에는 로프 풀림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아래 측이 수평으로 유지하되, 상측면으로 라운드형태의 “”이탈방지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수단 아래 측이 걸림고리 형태의 후크를 구비할 수 있고,
도 2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아래 측이 수평바 형태의 돌출형 걸림핀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축봉의 상측에는 로프의 걸림을 쉽게 하고 외부 이탈시 로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로프걸림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걸림수단은 상기 원형축봉의 상면에 반원형 걸림유도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걸림수단은 상기 원형축봉의 상면에 라운드면을 구비할 수 있고,
도 2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걸림수단은 상기 원형축봉의 상면에 외측 끝단이 확장되는 굴곡라운드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에는 지지파이프의 관경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절아답터를 탈착형으로 구비할 수 있고,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축봉은 내·외면이 원형, 사각, 육각 또는 팔각 형태로 구비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최소 1개 내지 최대 6 범위 내에서 구비할 수 있고,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가이드유지편은 최소 1개 내지 최대 8 범위 내에서 구비할 수 있으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축봉에는 로프가이드유지편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절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낮이조절수단은 중심이 통공되는 이동구멍을 구비하여 그 내측에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편을 구비한 조절바디, 상기 조절바디의 외측에는 최소 1 내지 최대 8개 범위 내에서 돌출되는 로프가이드유지편, 상기 이동구멍에 축삽되는 원형축봉, 상기 원형축봉의 외면에는 수직으로 음각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의 편측 외면에는 이탈방지턱을 구비한 걸림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은, 간편한 구조를 통해 장기간 오랜 시간 사용하여도 내구성과 지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생산조립시 조립구조를 단순화시켜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가지에 노끈 또는 로프를 묶어 지주캡에 고정시 간편하게 짧은 시간에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높낮이조절수단에 의해 간편하게 사용자가 가지의 위치와 외부환경에 맞게 과실나무의 가지를 고정지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작물 성장중에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지지파이프에서 이탈되거나 파손없이 사용할 수 있는 지주캡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지주캡에 다양한 각도에서 많은 노끈 또는 로프의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등 그 기대하는 바가 실로 다대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양한 응용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단면 및 응용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응용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높낮기조절수단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과실나무에 설치하는 응용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임.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A)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캡(A)은 내부 중심에 삽입홈(1b)을 구비한 원형축봉(1),
상기 원형축봉(1)의 하단 외면에는 돌출형 로프가이드유지편(2)을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축봉(1)의 상단 외면에는 로프(R) 풀림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수단(B)을 구비할 수 있고,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수단(B)은 아래 측이 수평으로 유지하되, 상측면으로 라운드형태의 “”이탈방지턱(3)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수단(B)은 아래 측이 걸림고리 형태의 후크(3a)를 구비할 수 있고,
도 2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수단(B)은 아래 측이 수평바 형태의 돌출형 걸림핀(3b)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축봉(1)의 상측에는 로프(R)의 걸림을 쉽게 하고 외부 이탈시 로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로프걸림수단(C)을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걸림수단(C)은 상기 원형축봉(1)의 상면에 반원형 걸림유도면(4)을 구비할 수 있고,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걸림수단(C)은 상기 원형축봉(1)의 상면에 라운드면(4a)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 2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걸림수단(C)은 상기 원형축봉(1)의 상면에 외측 끝단이 확장되는 굴곡라운드면(4b)을 구비할 수 있고,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b)에는 지지파이프(P)의 관경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절아답터(150)를 탈착형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축봉(1)은 내·외면이 원형, 사각, 육각 또는 팔각 형태로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고,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수단(B)은 최소 1개 내지 최대 6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가이드유지편(2)은 최소 1개 내지 최대 8 범위 내에서 구비할 수 있고,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축봉(1)에는 로프가이드유지편(2)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절수단(H)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낮이조절수단(H)은 중심이 통공되는 이동구멍(202)을 구비하여 그 내측에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편(203)을 구비한 조절바디(201),
상기 조절바디(201)의 외측에는 최소 1 내지 최대 8개 범위내에서 돌출되는 로프가이드유지편(2),
상기 이동구멍(202)에 축삽되는 원형축봉(1),
상기 원형축봉(1)의 외면에는 수직으로 음각되는 가이드홈(101),
상기 가이드홈(101)의 편측 외면에는 이탈방지턱(103)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실재배를 위해서 과실의 성장에 따라 가지의 처짐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과실나무 주변에 지지파이프(P)를 수직으로 고정설치한 다음,
상기 지지파이프(P)의 상측에 탈착형으로 끼움되어 고정설치되는 지주캡(A)을 구비한다.
상기 지주캡(A)은 지지파이프(P)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b)을 구비한 원형축봉(1)을 구비하여 그 원형축봉(1)의 하단 외면에는 최소 1개 내지 최대 8개 범위내에 돌출되어 톱니바퀴형태의 외면이 라운드화된 로프가이드유지편(2)을 구비하여 상기 원형축봉(1)의 노끈 또는 로프(R)가 걸림되어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가지가 흔들릴 때 상기 각 로프가이드유지편(2)에 걸림되어 과도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축봉(1)의 상단 외면에는 로프(R)가 걸림되어 상·하 이동에 의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수단(B)을 구비하여 외부환경요인에 의한 걸림된 로프(R)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도 2의 (가),(나),(다)에 상기 이탈방지수단(B)은 아래 측이 수평으로 유지하되, 상측면으로 라운드형태의 “”이탈방지턱(3), 걸림고리 형태의 후크(3a) 및 수평바 형태의 돌출형 걸림핀(3b)을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제조할 수 있어 상기 원형축봉(1)의 외면에 걸림된 수개의 로프(R)가 인위적으로 풀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축봉(1)의 상측에는 로프(R)의 작업자의 로프(R) 고정과 외부 이탈시 로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로프걸림수단(C)을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이탈방지수단(B)에 의해 걸림이 방지되는 로프(R)가 외부환경에 의해 이탈되더라도 상기 로프걸림수단(C)에 의해 걸림과 고정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도 2의 (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걸림수단(C)은 상기 원형축봉(1)의 상면에 반원형 걸림유도면(4) 및 라운드면(4a)을 구비 로프(R)의 고정을 쉽고 간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도 2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걸림수단(C)은 상기 원형축봉(1)의 상면에 외측 끝단이 확장되어 돌출되는 형태의 굴곡라운드면(4b)을 구비하여 로프(R)의 고정과 고정이후 사용중에 로프(R)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함께 포함하도록 하고,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b)에는 지지파이프(P)의 관경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절아답터(150)를 탈착형으로 구비하여 지지파이프(P)의 관경이 작더라도 상기 조절아답터(150)을 사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축봉(1)은 내·외면이 원형, 사각, 육각 또는 팔각 형태로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수단(B)은 최소 1개 내지 최대 6 범위 내에서 구비하여 과실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축봉(1)에는 로프가이드유지편(2)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절수단(H)을 구비하여 쉽고 간편하게 사용자가 상기 로프가이드유지편(2)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높낮이조절수단(H)은 중심이 통공되는 이동구멍(202)을 구비하여 그 내측에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편(203)을 구비한 조절바디(201)를 구비하여 상기 원형축봉(1)이 상기 이동구멍(202)으로 축삽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축삽되어 이동되는 조절바디(201)는 상기 원형축봉(1)의 외면에 편측 또는 타측에 수직으로 음각되는 가이드홈(101)을 따라 상기 걸림편(203)이 가이드 되면서 축삽되어 가이드되도록 작동하며,
또한 상기 가이드홈(101)의 편측 외면에는 이탈방지턱(103)을 구비한 걸림홈(102)을 수직으로 하나 이상 구비하여 상기 조절바디(201)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쉽게 외부환경 및 과실가지의 형태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절바디(201) 외측에는 최소 1 내지 최대 8개 범위내에서 돌출되는 로프가이드유지편(2)을 구비하여 로프(R)가 걸림되어 고정지지될 수 있도록 작동한다.
A: 지주캡 B: 이탈방지수단
C: 로프걸림수단 H: 높낮이조절수단
R: 로프 1: 원형축봉
1b: 삽입홈 101: 가이드홈
103: 이탈방지턱 150: 조절아답터
2: 로프가이드유지편 201: 조절바디
202: 이동구멍 203: 걸림편
3: 이탈방지턱 3a: 후크
3b: 걸림핀 4: 걸림유도면
4a: 라운드면 4b: 굴곡라운드면

Claims (15)

  1.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A)에 있어서,

    상기 지주캡(A)는,
    내부 중심에 삽입홈(1b)을 구비한 원형축봉(1),
    상기 원형축봉(1)의 하단 외면에는 돌출형 로프가이드유지편(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축봉(1)의 상단 외면에는,
    로프(R) 풀림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수단(B)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B)은,
    아래 측이 수평으로 유지하되, 상측면으로 라운드형태의 “
    Figure utm00004
    ”이탈방지턱(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B)은,
    아래 측이 걸림고리 형태의 후크(3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B)은,
    아래 측이 수평바 형태의 돌출형 걸림핀(3b)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축봉(1)의 상측에는,
    로프(R)의 걸림을 쉽게 하고 외부 이탈시 로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로프걸림수단(C)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걸림수단(C)은,
    상기 원형축봉(1)의 상면에 반원형 걸림유도면(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걸림수단(C)은,
    상기 원형축봉(1)의 상면에 라운드면(4a)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걸림수단(C)은,
    상기 원형축봉(1)의 상면에 외측 끝단이 확장되는 굴곡라운드면(4b)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b)에는,
    지지파이프(P)의 관경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절아답터(150)를 탈착형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축봉(1)은,
    내·외면이 원형, 사각, 육각 또는 팔각 형태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B)은,
    최소 1개 내지 최대 6 범위 내에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가이드유지편(2)은,
    최소 1개 내지 최대 8 범위 내에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축봉(1)에는,
    로프가이드유지편(2)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절수단(H)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수단(H)은,
    중심이 통공되는 이동구멍(202)을 구비하여 그 내측에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편(203)을 구비한 조절바디(201),
    상기 조절바디(201)의 외측에는 최소 1 내지 최대 8개 범위내에서 돌출되는 로프가이드유지편(2),
    상기 이동구멍(202)에 축삽되는 원형축봉(1),
    상기 원형축봉(1)의 외면에는 수직으로 음각되는 가이드홈(101),
    상기 가이드홈(101)의 편측 외면에는 이탈방지턱(103)을 구비한 걸림홈(10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KR2020220002471U 2022-10-24 2022-10-24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KR202400007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471U KR20240000702U (ko) 2022-10-24 2022-10-24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471U KR20240000702U (ko) 2022-10-24 2022-10-24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702U true KR20240000702U (ko) 2024-05-02

Family

ID=9107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471U KR20240000702U (ko) 2022-10-24 2022-10-24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702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723Y1 (ko) 2005-03-30 2005-06-16 이광환 수형 교정기구
KR200458605Y1 (ko) 2009-03-20 2012-03-07 권각수 과수나무의 가지처짐방지용 견인줄결속부를 가지는 방조망설치용 와이어고정부재
KR20210136658A (ko) 2020-05-08 2021-11-17 신현국 과실나무 가지용 지주 캡
KR20220000737U (ko) 2020-09-21 2022-03-30 이분금 위치조절이 용이한 가지지지부를 갖는 과실수용 지주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723Y1 (ko) 2005-03-30 2005-06-16 이광환 수형 교정기구
KR200458605Y1 (ko) 2009-03-20 2012-03-07 권각수 과수나무의 가지처짐방지용 견인줄결속부를 가지는 방조망설치용 와이어고정부재
KR20210136658A (ko) 2020-05-08 2021-11-17 신현국 과실나무 가지용 지주 캡
KR20220000737U (ko) 2020-09-21 2022-03-30 이분금 위치조절이 용이한 가지지지부를 갖는 과실수용 지주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9162A (en) Vertical plant support with horizontal hoops
US11178825B2 (en) Stackable trellis support system
KR20180006217A (ko) 양팔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농작물지지대
US20190387692A1 (en) Netting installation for use in tree fruit production
US10676959B2 (en) Netting post cap
US5341593A (en) Plant support
US8813422B1 (en) Tomato plant support structure
US5276996A (en) Creeping plant supporting frame assemblies
KR101057968B1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KR102306948B1 (ko) 그물망을 이용한 고추 줄기 지지 장치
CN210695264U (zh) 一种藤本果树栽培支架
KR20240000702U (ko) 과실재배용 과수가지 고정용 지주캡
KR200460435Y1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KR200488819Y1 (ko) 다용도 유인구
CN212087337U (zh) 果树支撑装置
KR101395747B1 (ko) 조립식 농작물 지지대
CN212728286U (zh) 一种树木移栽固定支撑结构
CN210642157U (zh) 一种农田防鸟网支撑杆装置
KR102247951B1 (ko) 과수가지 처짐방지용 견인지주의 견인줄결속구
KR200490531Y1 (ko) 작물열매 보호를 위한 열매가지 지지장치
KR101643664B1 (ko) 방조망 걸이 겸용 로프 지주캡
JP2018019617A (ja) 果樹棚及びその設置方法
KR20220000737U (ko) 위치조절이 용이한 가지지지부를 갖는 과실수용 지주대
KR200485675Y1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CN221011150U (zh) 一种猕猴桃的牵引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