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584U - Car paint holder - Google Patents

Car paint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584U
KR20240000584U KR2020220002304U KR20220002304U KR20240000584U KR 20240000584 U KR20240000584 U KR 20240000584U KR 2020220002304 U KR2020220002304 U KR 2020220002304U KR 20220002304 U KR20220002304 U KR 20220002304U KR 20240000584 U KR20240000584 U KR 202400005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ontainer
longitudinal direction
hollow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3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석두
Original Assignee
안석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석두 filed Critical 안석두
Priority to KR2020220002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584U/en
Publication of KR202400005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584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개의 각각 다른 색의 페인트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포함하는 카페인트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된 덮개; 상기 덮개의 길이방향 일단에 복수의 원기둥이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 측의 일단에 펜촉이 마련되고, 타단에 제1 브러쉬가 마련되는 제1 브러쉬부; 상기 제1 브러쉬 부의 일단에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고, 내부에 제1 페인트가 담기는 제1 용기; 상기 제1 용기의 일단에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고, 중공된 내부에 제2 브러쉬가 마련되는 제2 브러쉬부; 및 상기 제2 브러쉬부의 일단에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고, 내부에 제2 페인트가 담기는 제2 용기;를 포함하여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pet holder including a container capable of holding two different colors of paint. For this purpose, a cover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nd having a hollow interior from one end to a predetermined depth; a first brush portion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ylinders are stack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a pen tip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ver, and a first brush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 first container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t one end of the first brush unit, hollow on the insid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taining the first paint therein; a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t one end of the first container and hollow insid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brush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interior of which is hollow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brush provided within the hollow interior; and a second container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t one end of the second brush part, the interior of which is hollow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container containing the second paint therein.

Description

카페인트 홀더{Car paint holder}Car paint holder {Car paint holder}

본 고안은 카페인트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각각 다른 색의 페인트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포함하는 카페인트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pet hold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carpet holder including a container capable of holding paint of two different colors.

차량에 흠집이 발생한 경우, 차량의 도색이 벗겨져 해당부분이 녹슬기 시작하면서 전체적으로 녹이 번지게 된다. 따라서, 도장면에 발생한 흠집이 좁은 범위인 경우, 일반적으로 자동차 붓펜이라고 부르는 카페인트를 이용하여 흠집을 메우게 된다.If a scratch occurs on the vehicle, the vehicle's paint peels off, the affected area begins to rust, and the rust spreads throughout the vehicle. Therefore, if the scratches on the painted surface are within a narrow range, the scratches are filled using carpet paint, commonly called an automobile brush pen.

도 1은 종래의 카페인트 홀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카페인트 홀더는 덮개(100)의 일측 끝단에 마련된 브러쉬(110)에 용기(120) 내부의 페인트가 묻어, 차량의 흠집을 메울 수 있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arpet holder. Referring to FIG. 1, in a conventional carpet holder, the paint inside the container 120 is applied to the brush 110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ver 100, thereby filling scratches on the vehicle.

그러나, 종래의 카페인트 홀더는 하나의 용기를 포함하여, 한 종류의 페인트를 담을 수 있어, 흠집이 발생한 차량이 둘 이상의 색으로 구성되는 경우, 여러 개의 카페인트 홀더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arpet holder includes one container and can hold one type of paint, so when a scratched vehicle is composed of two or more colo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multiple carpet holders must be provided.

KRKR 20-0200143 20-0200143 Y1Y1 2000.08.072000.08.07 KRKR 10-2005-0022228 10-2005-0022228 AA 2005.03.072005.03.07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This desig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두 개의 각각 다른 색의 페인트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포함하는 카페인트 홀더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pet holder containing a container that can hold two different colors of paint.

다만,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desig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explain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desig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understandabl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tasks,

본 고안에 의한 카페인트 홀더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된 덮개; 상기 덮개의 길이방향 일단에 복수의 원기둥이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 측의 일단에 펜촉이 마련되고, 타단에 제1 브러쉬가 마련되는 제1 브러쉬부; 상기 제1 브러쉬 부의 일단에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고, 내부에 제1 페인트가 담기는 제1 용기; 상기 제1 용기의 일단에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고, 중공된 내부에 제2 브러쉬가 마련되는 제2 브러쉬부; 및 상기 제2 브러쉬부의 일단에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고, 내부에 제2 페인트가 담기는 제2 용기;를 포함하여 제공된다.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nd includes a cover with a hollow interior from one end to a predetermined depth; a first brush portion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ylinders are stack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a pen tip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ver, and a first brush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 first container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t one end of the first brush unit, hollow on the insid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taining the first paint therein; a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t one end of the first container and hollow insid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brush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interior of which is hollow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brush provided within the hollow interior; and a second container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t one end of the second brush part, the interior of which is hollow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container containing the second paint therei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는 탈착이 용이하도록 외주연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cover is characterized by a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브러쉬부는 상기 펜촉 측의 외주연에 상기 덮개의 내부로 결합되기 위한 제1 스플라인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브러쉬 측의 내주연에 상기 제1 용기와 결합되기 위한 제1 나사 홈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탈착을 위한 회전이 용이하도록 제1 스플라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first brush part has a first spline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nib side for be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and a first spline protrusion for being coupled to the first container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brush side. 1 screw groove is formed, and a first splin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o facilitate rotation for attachment and detachmen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용기는 상기 제1 브러쉬부 측의 외주연에 상기 제1 나사 홈과 결합되기 위한 제1 나사 산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측의 외주연에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2 스플라인 돌기와 제1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first container has a first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brush portion side for engaging the first screw groove, and a second screw thread for engaging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portion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spline protrusions and first ribs are form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용기 측의 내주연에 상기 제2 스플라인 돌기와 결합되기 위한 제2 스플라인 홈과 상기 제1 리브와 결합되기 위한 제1 리브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러쉬부 측의 내주연에 상기 제2 브러쉬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3 스플라인 홈과 제2 리브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connection part has a second spline groove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spline protrusion and a first rib groove for coupling with the first rib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rst container side, and the second brush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spline groove and a second rib groove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side for engaging the second brush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브러쉬부는 상기 연결부 측의 외주연에 상기 제3 스플라인 홈과 연결되기 위한 제3 스플라인 돌기와 상기 제2 리브 홈과 결합되기 위한 제2 리브가 형성되고, 내주연에 상기 제2 용기와 결합되기 위한 제2 나사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second brush part has a third spline protrusion for connecting to the third spline groove and a second rib for engaging the second rib groov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brush portion on the inner peripher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crew groove is formed for coupling with the container.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2 브러시부 측의 외주연에 상기 제2 나사 홈과 결합되기 위한 제2 나사 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second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crew thread for engaging the second screw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brush par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브러쉬부는 상기 제1 용기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브러쉬에 상기 제1 페인트가 묻고, 상기 펜촉에 제1 페인트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first brush unit is coupled to the first container, so that the first paint is applied to the first brush, and the first paint is injected into the nib.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브러쉬부는 상기 제2 용기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브러쉬에 상기 제2 페인트가 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second brush unit is coupled to the second container so that the second paint is applied to the second brush.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페인트와 상기 제2 페인트는 서로 다른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first paint and the second pain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different colors.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두 개의 각각 다른 색의 페인트 또는 페인트와 코팅액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포함하는 카페인트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A carpet holder can be provided that includes a container that can hold two different colors of paint or paint and coating liquid.

다만,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카페인트 홀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펜 모드로 사용하기 위해 덮개를 탈착하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의 펜 모드로 사용하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제1 브러쉬 모드로 사용하기 위해 제1 브러쉬부를 탈착하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제1 브러쉬 모드로 사용하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제2 브러쉬 모드로 사용하기 위해 연결부에서 제2 용기와 제2 브러쉬부를 탈착하는 도면.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제2 브러쉬 모드로 사용하기위해 제2 용기에서 제2 브러쉬부를 탈착하는 도면.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제2 브러쉬 모드로 사용하는 도면.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later, s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only .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arpet hold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of detaching the cover to use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en mode.
Figure 6 is a diagram of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d in pen mode.
Figure 7 is a view of detaching the first brush part to use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brush mode.
Figure 8 is a view of using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brush mode.
Figure 9 is a view of detaching the second container and the second brush portion from the connection portion to use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brush mode.
Figure 10 is a view of detaching the second brush part from the second container in order to use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brush mode.
Figure 11 is a view of using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brush mod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In other word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so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thereby.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is desig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Meanwhil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neighboring"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them. It is intended to specify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design.

고안의 구성composition of desig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카 페인트 홀더는 덮개(10), 제1 브러쉬부(20), 제1 용기(30), 연결부(40), 제2 브러쉬부(50), 제2 용기(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2 to 4, the car pain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10, a first brush part 20, a first container 30, a connection part 40, a second brush part 50, It may include a second container 60.

덮개(10)는 외형이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원기둥의 길이방향 일단으로 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어 길이방향 단면이 ㄷ모양인 쉘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덮개(10)는 외주연에 돌기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11)는 덮개(10)의 중공된 측에서 타측으로 볼록하고 길이방향으로 얇은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덮개(10)의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 고무 및 나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한, 덮개(10)는 중공된 내부로 제1 브러쉬부(2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The cover 10 may have a cylindrical outer shape, be hollow on the insid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longitudinal end of the cylinder, and have a U-shaped longitudinal cross-section. Additionally, the cover 10 may have a protrusion 1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Here, the protrusion 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that are convex from the hollow side of the cover 10 to the other side and are th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cover 10 may be any one of plastic, metal, rubber, and wood, and is preferably plastic. Additionally, the cover 10 may be coupled by inserting the first brush portion 20 into the hollow interior.

제1 브러쉬부(20)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순차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복수의 원기둥이 길이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브러쉬부(20)는 펜촉(21) 측의 외주연에 제1 스플라인 돌기(23)가 형성되고, 일단에 펜촉(21)이 마련되며, 타단에 제1 브러쉬(22)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플라인 돌기(23)는 제1 브러쉬부(20) 측과 타측이 곡면이고 펜촉(21)측의 방향으로 테이퍼진 복수의 육면체를 포함하여,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기어 형태 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브러쉬부(20)는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나선 형태인 제1 나사 홈(24)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얇은 사각형인 복수의 홈으로 이루어진 제1 스플라인 홈(2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브러쉬부(20)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그리고, 펜촉(21)은 금속재질의 내부가 중공된 얇은 관이고, 제1 브러쉬(22)는 일단이 얇은 원기둥의 형태로 재질이 플라스틱이고, 타단이 복수의 모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모의 재질은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중 어느하나 또는 둘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제1 브러쉬부(20)는 펜촉(21) 측이 덮개(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중공된 내부로 제1 용기(30)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brush portion 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cylinders whose diameters sequentially increas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hollow on the insid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ther end. In addition, the first brush unit 20 has a first spline protrusion 2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en nib 21 side, a pen nib 21 is provided at one end, and a first brush 2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It can be. Here, the first spline protrusion 23 includes a plurality of hexahedrons that are curved on the first brush part 20 side and the other side and tapered in the direction of the pen tip 21, and have a gear-shaped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You can. In addition, the first brush part 20 has a first screw groove 24 formed in a longitudinal spiral shape on the inner periphery, and a first spline groove 25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n rectangular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y. ) can be formed. Here, the material of the first brush unit 20 may be plastic or metal, and preferably may be plastic. In addition, the pen nib 21 is a thin tube made of metal with a hollow interior, and the first brush 22 has one end in the form of a thin cylinder made of plastic, and the other en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bristles. At this time, the wool material may be either nylon or polyester or a mixture of the two. Additionally, the first brush unit 20 may be coupled by inserting the pen tip 21 side into the inside of the cover 10, and the first container 3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interior and screwed together.

제1 용기(30)는 지름이 다른 두개의 원기둥이 길이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어, 지름이 작은 원기둥 측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용기(30)는 중공된 측의 외주연에 제1 용기(30)의 끝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나선 형태인 제1 나사 산(31)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얇은 사각형 형태인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제2 스플라인 돌기(32)가 형성되고, 제2 스플라인 돌기(32)의 끝단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돌기인 제1 리브(3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기(30)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한, 제1 용기(30)는 중공된 측이 제1 브러쉬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 나사 홈(24)과 제1 나사 산(31)이 나사 결합되어 제1 용기(30)와 제1 브러쉬부(20)가 결합되고, 타측이 연결부(40)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ntainer 30 is formed in the form of two cylinders with different diameters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interior can be hollow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of the cylinder with a smaller diameter. In addition, the first container 30 has a first screw thread 31 formed in the form of a spir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first container 30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low side, and a first screw thread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end. A second spline protrusion 32 is forme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hin, square-shaped protrusions, and a first rib 33, which is a protrusion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spline protrusion 32. You can. Here, the material of the first container 30 may be plastic or metal, and preferably may be plastic. In addition, the hollow side of the first container 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brush part 20, and the first screw groove 24 and the first screw thread 31 are screwed together to form the first container 30. and the first brush part 20 may be coupled, and the other side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40 and coupled thereto.

연결부(40)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과 타단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40)는 일측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얇은 사각형 형태인 복수의 홈으로 이루어진 제2 스플라인 홈(41)이 형성되고, 제2 스플라인 홈(41)의 끝단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제1 리브 홈(42)이 형성되며, 타측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얇은 사각형 형태인 복수의 홈으로 이루어진 제3 스플라인 홈(43)이 형성되고, 제3 스플라인 홈(43)의 끝단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제2 리브 홈(4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40)의 재질은 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40)는 제2 스플라인 홈(41) 측의 내부에 제1 용기(30)가 삽입되면서 제2 스플라인 홈(41)에 제1 용기(30)의 제2 스플라인 돌기(32)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제1 리브 홈(42) 내부에 제1 리브(33)가 들어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3 스플라인 홈(43) 측의 내부에 제2 브러쉬부(5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nd may be hollow on the inside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40 is formed with a second spline groove 41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n rectangular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inner periphery, and has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second spline groove 41. A first rib groove 42 recessed is formed, and a third spline groove 43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hin rectangular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other side, and the end of the third spline groove 43 A second rib groove 44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formed. Here, the material of the connection part 40 may be plastic. 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40 is such that the first container 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pline groove 41 and the second spline protrusion 32 of the first container 30 is formed in the second spline groove 41. It is fitted and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rib 33 is inserted into the first rib groove 42, is coupled and fixed, and the second brush portion 5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third spline groove 43. can be combined

제2 브러쉬부(50)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브러쉬부(50)는 중공된 측의 내부면에 제2 브러쉬(53)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브러쉬부(50)는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얇은 사각형 형태인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제3 스플라인 돌기(51)가 형성되고, 제3 스플라인 돌기(51)의 끝단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돌기인 제2 리브(52)가 형성되며,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나선 형태인 제2 나사 홈(5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브러쉬부(50)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브러쉬(53)는 일단이 얇은 원기둥의 형태로 재질이 플라스틱이고, 타단이 복수의 모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모의 재질은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제2 브러쉬부(50)는 제3 스플라인 돌기(51) 측이 연결부(4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제3 스플라인 돌기(51)가 제3 스플라인 홈(43)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제2 리브(52)가 제2 리브 홈(44) 내부에 들어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2 나사 홈(54) 측의 내부에 제2 용기(6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brush part 5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nd have a hollow interior from one en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addition, the second brush part 5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brush 53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side. Here, the second brush portion 50 has a third spline protrusion 5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a plurality of thin rectangular protrus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circumferential protrus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hird spline protrusion 51. A second rib 52, which is a protruding height, may be formed, and a second screw groove 54 having a longitudinal spiral shape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Here, the material of the second brush unit 50 may be plastic or metal, and preferably may be plastic. Additionally, the second brush 53 may be in the form of a thin cylinder at one end made of plastic, and at the other en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bristles. At this time, the wool material may be either nylon or polyester or a mixture of the two. In addition, the second brush portion 50 is coupled to the third spline protrusion 51 by inserting it into the interior of the connection portion 40 and fitting the third spline protrusion 51 into the third spline groove 4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second rib 5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ib groove 44, is coupled and fixed, and the second container 60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screw groove 54.

제2 용기(60)는 두 개의 원기둥이 길이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어, 지름이 작은 원기둥 측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용기(60)는 중공된 측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나선 형태인 제2 나사 산(6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용기(60)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한, 제2 용기(60)는 제2 나사산(61) 측이 제2 브러쉬부(5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 나사산(61)과 제2 나사 홈(54)이 나사 결합되어 제2 용기(60)와 제2 브러쉬부(50)가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container 6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wo cylinders are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ntainer 60 may be hollow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of the cylinder with a smaller diameter. In addition, the second container 60 may have a second screw thread 61 formed in a longitudinal spiral shap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low side. Here, the material of the second container 60 may be plastic or metal, and preferably may be plastic. In addition, the second container 60 has the second screw thread 61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brush part 50, and the second screw thread 61 and the second screw groove 54 are screwed together to form the second container. (60) and the second brush part 50 may be combined.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카페인트 홀더는 전체적인 외형이 원기둥의 형태 뿐만 아니라 다른 단면을 가진 기둥의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overall appearance not only in the form of a cylinder but also in the form of a pillar with a different cross section.

고안의 동작action of desig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펜 모드로 사용하기 위해 덮개를 탈착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의 펜 모드로 사용하는 도면이다.Figure 5 is a view of removing the cover to use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en mode, and Figure 6 is a diagram of using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en mode.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카페인트 홀더를 펜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한 손을 덮개(10)의 돌기부(11)에 파지하고, 다른 한 손을 제1 브러쉬부(20)의 제1 스플라인 홈(25)에 파지하여, 길이방향으로 힘을 작용하여 덮개(10)를 제1 브러쉬부(20)에서 탈착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플라인 돌기(23)는 덮개(10)의 내주연에서 마찰력을 발생하면서 미끄러져 빠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한 손으로 덮개(10)를 탈착한 카페인트 홀더를 파지하고 팬촉(21)을 중력방향으로 기울여 제1 용기(30) 내부에 담긴 제1 페인트가 팬촉(21)에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좁은 부위에 발생한 흠집에 제1 페인트를 도포하여 흠집을 제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5 and 6, when using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en mode, the user holds one hand on the protrusion 11 of the cover 10 and holds the other hand on the first brush part. The cover 10 can be detached from the first brush portion 20 by gripping the first spline groove 25 of (20) and applying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spline protrusion 23 may slide off while generating friction at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ver 10. Then, the user holds the paint holder with the cover 10 removed with one hand and tilts the pen nib 21 in the direction of gravity so that the first paint contained inside the first container 30 is discharged from the pen nib 21. You can. Therefore, the user can remove the scratch by applying the first paint to the scratch that occurs in a small area.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제1 브러쉬 모드로 사용하기 위해 제1 브러쉬부를 탈착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제1 브러쉬 모드로 사용하는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of detaching the first brush part to use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brush mode, and Figure 8 is a diagram of using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brush mode.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카페인트 홀더를 제1 브러쉬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한 손으로 제1 용기(30)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을 제1 브러쉬부(20)의 제1 스플라인 홈(25)에 파지하여, 제1 브러쉬부(20)를 회전시켜 카페인트 홀더에서 제1 브러쉬부(20)를 탈착할 수 있다. 이때, 제1 나사 산(31)은 회전하면서 제1 나사 홈(24)과의 나사 결합이 풀릴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1 브러쉬부(20)를 한 손에 파지한 후 제1 브러쉬(22)에 묻은 제1 페인트를 넓은 부위에 발생한 흠집에 페인트를 도포하여 흠집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시 제1 브러쉬(22)를 제1 용기(30)의 내부로 삽입하여 제1 용기(30) 내부에 담긴 제1 페인트를 더 묻쳐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7 and 8, when using the caf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brush mode, the user holds the first container 30 with one hand and uses the other hand to hold the first brush unit ( The first brush part 20 can be detached from the carpet holder by holding it in the first spline groove 25 of 20) and rotating the first brush part 20. At this time, the first screw thread 31 may rotate and become unscrewed with the first screw groove 24. Additionally, the user can remove the scratches by holding the first brush unit 20 with one hand and applying the first paint on the first brush 22 to the scratches occurring in a large area. Additionally, the user can insert the first brush 22 into the first container 30 again and apply more of the first paint contained within the first container 30.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제2 브러쉬 모드로 사용하기 위해 연결부에서 제2 용기와 제2 브러쉬부를 탈착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제2 브러쉬 모드로 사용하기위해 제2 용기에서 제2 브러쉬부를 탈착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카페인트 홀더를 제2 브러쉬 모드로 사용하는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of detaching and detaching the second container and the second brush part from the connection part in order to use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brush mode, and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brush mode This is a diagram of detaching the second brush unit from the second container for use, and Figure 11 is a diagram of using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brush mode.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카페인트 홀더를 제2 브러쉬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한손으로 연결부(40)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을 제2 용기(60)에 파지하여, 길이방향으로 힘을 작용하여 제2 브러쉬부(50)와 결합된 제2 용기(60)를 연결부(40)에서 탈착할 수 있다. 이때, 제2 리브(52)가 작용한 힘에 의해 제2 리브 홈(44)에서 빠진 후, 제3 스플라인 돌기(51)가 제3 스플라인 홈(43)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유도되어 제2 브러쉬부(50)와 결합된 제2 용기(60)가 연결부(40)에서 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한 손에 제2 브러쉬부(50)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에 제2 용기(60)을 파지하여, 제2 브러쉬부(50)를 회전시켜 제2 용기(60)에서 제2 브러쉬부(50)를 탈착할 수 있다. 이때 제2 나사 산(61)은 회전하면서 제 2 나사 홈(54)과의 나사 결합이 풀릴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2 브러쉬부(50)를 한 손으로 파지한 후 제2 브러쉬(53)에 묻은 제2 페인트를 넓은 부위에 발생한 흠집에 페인트를 도포하여 흠집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시 제2 브러쉬(53)를 제2 용기(60)의 내부로 삽입하여 제2 용기(60) 내부에 담긴 제2 페인트를 더 묻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페인트는 제1 페인트와 다른 색의 페인트 또는 코팅액일 수 있다.9 to 11, when using the carpe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brush mode, the user holds the connection part 40 with one hand and holds the second container 60 with the other hand. Thus, the second container 60 coupled to the second brush portion 50 can be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40 by applying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after the second rib 52 is removed from the second rib groove 44 by the force applied, the third spline protrusion 51 is gu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third spline groove 43 to form the second brush. The second container 60 coupled to the portion 50 may be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40. Then, the user holds the second brush part 50 in one hand and the second container 60 in the other hand, and rotates the second brush part 50 to remove the second brush part 50 from the second container 60. 2 The brush unit 50 is detachable. At this time, the second screw thread 61 may rotate and become unscrewed with the second screw groove 54. Thereafter, the user can hold the second brush unit 50 with one hand and apply the second paint on the second brush 53 to the scratches in a large area to remove the scratches. Additionally, the user can insert the second brush 53 into the second container 60 and apply more of the second paint contained within the second container 60. Here, the second paint may be a paint or coating liquid of a different color from the first paint.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고안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y combining them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ttach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reference relationship in the patent claims can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included as a new claim through amendment after filing.

10: 덮개 11: 돌기부
20: 제1 브러쉬부 21: 펜촉
22: 제1 브러쉬 23: 제1 스플라인 돌기
24: 제1 나사 홈 25: 제1 스플라인 홈
30: 제1 용기 31: 제1 나사 산
32: 제2 스플라인 돌기 33: 제1 리브
40: 연결부 41: 제2 스플라인 홈
42: 제1 리브 홈 43: 제3 스플라인 홈
44: 제2 리브 홈 50: 제2 브러쉬부
51: 제3 스플라인 돌기 52: 제2 리브
53: 제2 브러쉬 54: 제2 나사 홈
60: 제2 용기 61: 제2 나사 산
100: 덮개 110: 브러쉬
120: 용기
10: cover 11: protrusion
20: first brush part 21: pen nib
22: first brush 23: first spline protrusion
24: first screw groove 25: first spline groove
30: first container 31: first screw thread
32: second spline protrusion 33: first rib
40: Connection 41: Second spline groove
42: first rib groove 43: third spline groove
44: second rib groove 50: second brush portion
51: third spline protrusion 52: second rib
53: second brush 54: second screw groove
60: second container 61: second screw thread
100: cover 110: brush
120: Courage

Claims (10)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된 덮개;
상기 덮개의 길이방향 일단에 복수의 원기둥이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 측의 일단에 펜촉이 마련되고, 타단에 제1 브러쉬가 마련되는 제1 브러쉬부;
상기 제1 브러쉬 부의 일단에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고, 내부에 제1 페인트가 담기는 제1 용기;
상기 제1 용기의 일단에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고, 중공된 내부에 제2 브러쉬가 마련되는 제2 브러쉬부; 및
상기 제2 브러쉬부의 일단에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고, 내부에 제2 페인트가 담기는 제2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트 홀더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된 덮개;
상기 덮개의 길이방향 일단에 복수의 원기둥이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 측의 일단에 펜촉이 마련되고, 타단에 제1 브러쉬가 마련되는 제1 브러쉬부;
상기 제1 브러쉬 부의 일단에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고, 내부에 제1 페인트가 담기는 제1 용기;
상기 제1 용기의 일단에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고, 중공된 내부에 제2 브러쉬가 마련되는 제2 브러쉬부; 및
상기 제2 브러쉬부의 일단에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내부가 중공되고, 내부에 제2 페인트가 담기는 제2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트 홀더.
A cover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nd having a hollow interior from one end to a predetermined depth;
a first brush portion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ylinders are stack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a pen tip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ver, and a first brush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 first container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t one end of the first brush unit, hollow on the insid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taining the first paint therein;
a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t one end of the first container and hollow insid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brush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interior of which is hollow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brush provided within the hollow interior; and
A second container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t one end of the second brush unit, hollow on the insid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taining a second paint therein.
A carpet holder characterized by a cover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nd having a hollow interior from one end to a predetermined depth;
a first brush portion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ylinders are stack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a pen tip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ver, and a first brush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 first container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t one end of the first brush unit, hollow on the insid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taining the first paint therein;
a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t one end of the first container and hollow insid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brush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interior of which is hollow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brush provided within the hollow interior; and
A second container tha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t one end of the second brush part, is hollow on the insid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tains a second paint therein. A carpet hold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탈착이 용이하도록 외주연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트 홀더.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is a carpet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o facilitate detach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러쉬부는 상기 펜촉 측의 외주연에 상기 덮개의 내부로 결합되기 위한 제1 스플라인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브러쉬 측의 내주연에 상기 제1 용기와 결합되기 위한 제1 나사 홈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탈착을 위한 회전이 용이하도록 제1 스플라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트 홀더.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brush part has a first spline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nib side for coupling to the inside of the cover, and a first screw groove for coupling with the first container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rst brush side. A carpet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splin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o facilitate rotation for attachment and detachm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는 상기 제1 브러쉬부 측의 외주연에 상기 제1 나사 홈과 결합되기 위한 제1 나사 산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측의 외주연에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2 스플라인 돌기와 제1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트 홀더.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container has a first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brush portion for engaging the first screw groove, and a second spline protrusion and a first threa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ng portion side for engaging the connecting portion. A carpet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ribs are form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용기 측의 내주연에 상기 제2 스플라인 돌기와 결합되기 위한 제2 스플라인 홈과 상기 제1 리브와 결합되기 위한 제1 리브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러쉬부 측의 내주연에 상기 제2 브러쉬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3 스플라인 홈과 제2 리브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트 홀더.
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on portion has a second spline groove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spline protrusion and a first rib groove for coupling with the first rib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rst container side,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second brush portion side. A carpet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spline groove and a second rib groove are form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brush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러쉬부는 상기 연결부 측의 외주연에 상기 제3 스플라인 홈과 연결되기 위한 제3 스플라인 돌기와 상기 제2 리브 홈과 결합되기 위한 제2 리브가 형성되고, 내주연에 상기 제2 용기와 결합되기 위한 제2 나사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트 홀더.
According to claim 5,
The second brush part has a third spline protrusion for connecting to the third spline groove and a second rib for engaging with the second rib groov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container on the inner periphery. A carpet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crew groove is formed fo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2 브러시부 측의 외주연에 상기 제2 나사 홈과 결합되기 위한 제2 나사 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트 홀더.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container is a carpet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crew thread for engaging the second screw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brush unit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러쉬부는 상기 제1 용기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브러쉬에 상기 제1 페인트가 묻고, 상기 펜촉에 제1 페인트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트 홀더.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rush unit is coupled to the first container, and the first paint is applied to the first brush, and the first paint is injected into the ni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러쉬부는 상기 제2 용기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브러쉬에 상기 제2 페인트가 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트 홀더.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rush unit is coupled to the second container and the second paint is applied to the second brus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인트와 상기 제2 페인트는 서로 다른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트 홀더.
According to claim 1,
A carpet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aint and the second paint are different colors.
KR2020220002304U 2022-09-28 2022-09-28 Car paint holder KR2024000058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304U KR20240000584U (en) 2022-09-28 2022-09-28 Car paint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304U KR20240000584U (en) 2022-09-28 2022-09-28 Car paint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584U true KR20240000584U (en) 2024-04-04

Family

ID=9065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304U KR20240000584U (en) 2022-09-28 2022-09-28 Car paint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584U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3Y1 (en) 2000-03-31 2000-10-16 유상춘 Car paint Touch-up&pen
KR20050022228A (en) 2003-08-25 2005-03-07 김동찬 A pen for car pain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3Y1 (en) 2000-03-31 2000-10-16 유상춘 Car paint Touch-up&pen
KR20050022228A (en) 2003-08-25 2005-03-07 김동찬 A pen for car pain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8123A (en) Double-ended pen
US11178954B2 (en) Dispensing-by-rotation liquid cosmetic container
KR20090027340A (en) Tool for applying liquid cosmetic material
KR20240000584U (en) Car paint holder
JP6301598B2 (en) Liquid container
US11297925B2 (en) Refillable lipstick case
TWM514773U (en) Dual-head eyeliner
CN201790195U (en) Liquid eyeliner
JP3126860U (en) Cartridge brush pen
JP2008006267A (en) Liquid cosmetic storage container
JP3854483B2 (en) Applicator
CN209750170U (en) Pen structure with automatic and smooth liquid discharge
JP3110135U (en) Cosmetic container structure
JP2001346626A (en) Make up set for eyelash decoration
CN219270355U (en) Tubular cosmetic container
KR200371433Y1 (en) A paint brush having a colors within
CN214854979U (en) Lipstick pipe of no gelatinization equipment
CN214647142U (en) Watercolor pen with sleeved structure
KR102142151B1 (en) Eye liner
CN211608476U (en) Telescopic lash brush
CN212280345U (en) All-in-one combined cosmetic container
CN210672514U (en) Portable cleaning pen
CN213550256U (en) Eyeliner pen
KR20110005948U (en) Pencil type eyeshadow
TWM521925U (en) Single-headed eyel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