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569A - Manufacturing method of cold rolling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ld rolling steel sheet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cold rolling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ld rolling steel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569A
KR20240000569A KR1020237040251A KR20237040251A KR20240000569A KR 20240000569 A KR20240000569 A KR 20240000569A KR 1020237040251 A KR1020237040251 A KR 1020237040251A KR 20237040251 A KR20237040251 A KR 20237040251A KR 20240000569 A KR20240000569 A KR 20240000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mass
less
roll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0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마 기타가와
도시오 무라카미
다카시 데라오카
다쿠마 요네다
슌 하라다
šœ 하라다
게이타 나카야마
가쓰마 이시토비
마사노리 고바야시
고키 후쿠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240000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5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involving a particular fabrication or treatment of ingot or slab
    • C21D8/0215Rapid solidification; Thin strip cas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고장력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의 중간 과정에 있어서의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후의 냉간 압연 시에 있어서의 강판의 단부 균열을 억제할 수 있는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은, 소정의 화학 조성을 함유하는 슬래브를,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 온도가 800℃ 이상 940℃ 이하가 되도록 열간 압연하는 것과, 상기 열간 압연 후의 강판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를 통과하여 런아웃 테이블 상에 송출되고 나서 3.0초 이내에, 상기 강판의 적어도 일부분을 100L/분/m2 이상의 수량 밀도로 0.1초간 이상 냉각하는 것과, 550℃ 이상의 권취 온도에 있어서 상기 냉각 후의 열연 강판을 권취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that can suppress end cracks of the steel sheet during subsequent cold rolling,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in an intermediate process of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ther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involves hot rolling a slab containing a predetermined chemical composition so that the exit temperature of a finishing mill is 800°C or more and 940°C or less,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el sheet after the hot rolling is in the finish rolling mill. Coo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el sheet for 0.1 second or more at a water density of 100 L/min/m 2 or more within 3.0 seconds after passing through the final stand and being delivered to the run-out table, and hot rolling after the cooling at a coiling temperature of 550°C or more. It involves winding steel plates.

Figure P1020237040251
Figure P1020237040251

Description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 및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ld rolling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ld rolling steel sheet

본 발명은, 인장 강도 980MPa 이상의 고장력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의 중간 과정에 있어서의,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을 이용하는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in an intermediate process of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with a tensile strength of 980 MPa or mo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d rolled steel sheet using a steel sheet manufactured by the method.

열간 압연한 강판을 냉간 압연하면, 판폭 방향의 단부(이하, 「폭 방향 단부」 또는 「폭 방향 양단부」라고도 한다) 및 압연 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의 단부(이하, 「긴 방향의 선단(先端)」 또는 「긴 방향의 미단(尾端)」이라고도 한다)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단부 균열은, Mn 등의 담금질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를 많이 포함하는 강이 이용되는 고장력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 시에 생기기 쉽다. 이와 같이 생긴 단부 균열은, 당해 냉간 압연 시, 나아가서는, 소둔 공정, 도금 공정 등의 그 후의 공정 시에 있어서, 이 단부 균열을 기점으로 한 강판의 파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단부 균열을 원인으로 하는 리스크를 저감하기 위해서, 열간 압연한 강판에 있어서의 단부 균열이 생기기 쉬운 부분이 제거된다. 그러나, 그 결과, 수율이 저하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When a hot-rolled steel sheet is cold-rolled, an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e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width direction end portion” or “width direction both ends”) and an end por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lling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ngitudinal tip”) are formed. )” or “the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develop cracks. These end cracks are likely to occur during the production of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s in which steel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elements that improve hardenability, such as Mn, is used. End cracks formed in this way may cause fracture of the steel sheet starting from the end cracks during cold rolling and subsequent processes such as an annealing process and plating proces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risk caused by such end cracks, portions in the hot rolled steel sheet where end cracks are likely to occur are removed. However, as a result, a decrease in yield has become a problem.

한편, 권취 후의 열간 압연 강판의 냉각 과정에서는, 코일 형상의 강판의 폭 방향 단부의 냉각 속도가, 강판의 판폭 방향의 중앙부(이하, 「폭 방향 중앙부」라고도 한다)와 비교하여, 빨라지고 있다. 그 때문에, Mn 등의 담금질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를 많이 포함하는 강이 이용되고 있는 열간 압연 강판에서는, 강판의 폭 방향 양단부의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당해 강판의 폭 방향 양단부는 마텐자이트를 비교적 많이 포함하는 경질 조직이 된다. 강판의 긴 방향의 선단 및 긴 방향의 미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고장력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냉간 압연 시 등에 있어서, 강판의 단부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있다고 생각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oling proc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after coiling, the cooling rate of the width direction end portion of the coil-shaped steel sheet is faster compared to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he “width direction center portion”). Therefore, in hot-rolled steel sheet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elements that improve hardenability, such as Mn, the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does not sufficiently progress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and th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are martenized. It becomes a hard tissue contain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zite. The same applies to the longitudinal end and longitudinal end of the steel plate. For this reason, it is thought that cracks at the ends of the steel sheet are becoming more likely to occur during cold rolling during the production of high-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전술한 강판의 단부 균열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코일 형상으로 권취되어 냉각된 띠 형상의 열간 압연 강판을 냉간 압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열간 압연 강판을 코일로부터 조출(繰出)하는 조출 공정과, 상기 조출된 열간 압연 강판의 폭 방향 양단부를 열간 압연 강판 재료의 A1점 이하 4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 공정과, 상기 가열 공정 후의 열간 압연 강판을 산에 의해 세정하는 산세 공정과, 상기 산세 공정 후의 열간 압연 강판을 냉간 압연하는 냉간 압연 공정을 구비하는 냉간 압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As a method of suppressing end cracking of the above-described steel sheet,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escribes a method of cold rolling a strip-shaped hot-rolled steel sheet wound into a coil and cooled, wherein the hot-rolled steel sheet is fed from the coil ( a feeding process of heating the fed hot-rolled steel sheet to a temperature of 400° C. or lower, the A1 point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material, and washing the hot-rolled steel sheet with acid after the heating process. A cold rolling method comprising a pickling process and a cold rolling process of cold rolling the hot rolled steel sheet after the pickling process is described.

일본 특허공개 2019-141888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9-141888

본 발명은, 고장력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의 중간 과정에 있어서의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후의 냉간 압연 시에 있어서의 강판의 단부 균열을 억제할 수 있는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that can suppress end cracks of the steel sheet during subsequent cold rolling,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in an intermediate process of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Do it as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본 발명에 도달했다.The present inventors conducted intensive studie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rrived at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제 1 국면에 따른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은, 화학 조성에 있어서,That is,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emical composition,

C: 0.15질량% 이상, 0.25질량% 이하,C: 0.15 mass% or more, 0.25 mass% or less,

Si: 0.8질량% 이상, 3.0질량% 이하,Si: 0.8 mass% or more, 3.0 mass% or less,

Mn: 1.8질량% 이상, 3.0질량% 이하,Mn: 1.8 mass% or more, 3.0 mass% or less,

Ni, Cu, Cr, Mo: 1.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Ni, Cu, Cr, Mo: 1.0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Ti, Nb, V: 1.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및Ti, Nb, V: 1.0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and

B: 0.01%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B: 0.01% or less (including 0 mass%)

를 함유하는 슬래브를,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 온도가 800℃ 이상 940℃ 이하가 되도록 열간 압연하는 것과,Hot rolling the slab containing so that the exit temperature of the finishing mill is 800°C or more and 940°C or less,

상기 열간 압연 후의 강판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를 통과하여 런아웃 테이블 상에 송출되고 나서 3.0초 이내에, 상기 강판의 적어도 일부분을 100L/분/m2 이상의 수량(水量) 밀도로 0.1초간 이상 냉각하는 것과,Within 3.0 seconds aft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el sheet after the hot rolling passes through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and is sent out on the runout table,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el sheet is heated at a water density of 100 L/min/m 2 or more for 0.1 second. Over cooling,

550℃ 이상의 권취 온도에 있어서 상기 냉각 후의 열연 강판을 권취하는 것을 포함한다.It includes winding the cooled hot-rolled steel sheet at a coiling temperature of 550°C or higher.

본 발명의 제 2 국면에 따른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제 1 국면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강판을, 30%∼80%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d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cold rolling the steel sheet manufactur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described above at a reduction ratio of 30% to 80%.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도 측정을 위한 강판의 시험편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in this embodiment.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of a steel plate test piece for hardness measurement in this example.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가열하는 것에 의해, 강판의 폭 방향 양단부의 마이크로 조직에 있어서의 마텐자이트가 템퍼링 마텐자이트로 변성된다. 그 결과, 강판의 폭 방향 양단부가 적당히 연질화되는 것에 의해, 강판의 단부 균열이 억제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martensite in the microstructure of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is transformed into tempered martensite by heating. As a resul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are moderately softened, thereby suppressing cracks at the ends of the steel sheet.

그러나, 강판을 A1점 이하 4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서는, 고온에서의 가열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당해 장치의 설치에 드는 코스트가 필요해진다. 더욱이, 냉간 압연 강판의 생산 라인에 필요해지는 전력도 커지기 때문에, 그에 의한 코스트도 든다. 따라서, 그와 같은 추가의 고온 가열 공정에 의한 설비 코스트 및 러닝 코스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냉간 압연 시의 단부 균열을 억제할 수 있는 신규한 수법이 요구된다.However, in order to heat a steel sheet to a temperature of 400°C or higher below the A1 point, a device that enables heating at high temperature and the cost of installing the device are required. Moreover, since the power required for the cold rolled steel production line increases, the resulting cost also increas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hat can suppress end cracks during cold rolling that does not require equipment costs and running costs due to such additional high-temperature heating processes.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냉간 압연 시에 있어서의 강판의 단부 균열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를 거듭했다. 그리고, 특히, 열간 압연에 있어서의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 온도 및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를 통과한 후에 있어서의 수랭 제어 공정에 주목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ducted various studies on a new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that can suppress end cracks of the steel sheet during cold rolling.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exit temperature of the finishing mill during hot rolling and the water cooling control process after passing through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은, 소정의 화학 조성을 만족시키는 슬래브를 이용하여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 온도가 소정의 온도 범위가 되도록 열간 압연을 행하는 것, 이어서,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를 통과한 후에 강판을 소정의 조건하에서 수랭하는 것, 그 후, 강판을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권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열간 압연 강판의 폭 방향 양단부, 선단 또는 미단에 있어서의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를 촉진할 수 있어, 이들 단부를 적당히 연질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조된 강판은, 후의 냉간 압연 시에 있어서의 단부 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 제조된 강판에, 계속해서 냉간 압연, 임의로의 열처리 등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고장력 냉간 압연 강판, 특히 980MPa 이상의 인장 강도(TS: Tensile Strength)의 고장력 냉간 압연 강판이 얻어진다.Specificall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volves performing hot rolling using a slab that satisfies a predetermined chemical composition so that the exit temperature of the finish rolling mill is with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and then performing hot rolling at the finish rolling mill. This includes water-cooling the steel sheet under predetermined conditions after passing through the final stand, and then winding the steel sheet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at both ends, leading end, or tail end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promoted, and these ends can be appropriately softened. As a result, the manufactured steel sheet can suppress end cracks during subsequent cold rolling. By continuously subjecting the manufactured steel sheet to cold rolling, optional heat treatment, etc., a high tensile cold rolled steel sheet, particularly a high tensile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with a tensile strength (TS: Tensile Strength) of 980 MPa or more, is obtained.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고장력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의 중간 과정에 있어서의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후의 냉간 압연 시에 있어서의 강판의 단부 균열을 억제할 수 있는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in an intermediate process of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that can suppress end cracks of the steel sheet during subsequent cold rolling is provided. can do.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Meanwhi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impair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1.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도 1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각 부호는, 압연 설비(1), 가열로(2), 열간 압연기(3), 런아웃 테이블(4), 냉각 설비(5), 조(粗)압연기(31),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311), 마무리 압연기(32), 및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321)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연 설비(1)에 있어서, 우선, 특정 화학 조성을 함유하는 슬래브가 가열로(2)에 장입된다. 그 후, 가열로(2)로부터 추출된 슬래브는, 열간 압연기(3)에 의해 마무리 압연기(32)의 출측 온도가 특정 온도 범위 내가 되도록 제어되면서 열연된다. 이어서, 런아웃 테이블(4) 상에 송출된 열연 후의 강판은, 특정 조건하에서 냉각 설비(5)에 의해 수랭된다. 그 후, 권취 온도를 특정 온도 이상이 되도록 조정하면서, 강판을 권취한다.Figure 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in this embodiment. In FIG. 1, each symbol refers to rolling equipment 1, heating furnace 2, hot rolling mill 3, run-out table 4, cooling equipment 5, rough rolling mill 31, and final rolling mill 3. A stand 311, a finishing mill 32, and a final stand 321 of the finishing mill are show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in the rolling equipment 1, first, a slab containing a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 is charged into the heating furnace 2. do. Thereafter, the slab extracted from the heating furnace 2 is hot rolled by the hot rolling mill 3 while controlling the exit temperature of the finishing mill 32 to be within a specific temperature range. Next, the hot-rolled steel sheet sent out on the run-out table 4 is water-cooled by the cooling facility 5 under specific conditions. Thereafter, the steel sheet is wound while adjusting the coiling temperature to become a specific temperature or higher.

이하, 이들 공정 및 임의로 포함되는 공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se processes and optionally included process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슬래브의 준비)(Preparation of slab)

우선, 소정의 화학 조성을 만족시키는 슬래브를 준비한다. 슬래브는 기지의 임의의 방법에 의해 준비할 수 있다. 슬래브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이하에 기술하는 화학 조성을 갖는 강을 용제하고, 그 후 연속 주조하는 것에 의해, 슬래브를 제작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조괴 또는 연속 주조에 의해 얻은 주조재를 분괴 압연하는 것에 의해, 슬래브를 얻어도 된다.First, prepare a slab that satisfies a predetermined chemical composition. The slab can be prepared by any known method. A method of producing a slab includes melting a steel having the chemical composition described below and then continuously casting the slab. If necessary, a slab may be obtained by crushing and rolling a cast material obtained by ingot or continuous casting.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에서 이용되는 슬래브는, 그 화학 조성에 있어서, C: 0.15질량% 이상, 0.25질량% 이하, Si: 0.8질량% 이상, 3.0질량% 이하, Mn: 2.0질량% 이상, 3.0질량% 이하, Ni, Cu, Cr, Mo: 1.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Ti, Nb, V: 1.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및 B: 0.01%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를 함유한다. 또한, 슬래브는, P: 0.1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S: 0.01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Al: 0.1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및 N: 0.01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lab used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d rolling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in its chemical composition, C: 0.15 mass% or more, 0.25 mass% or less, Si: 0.8 mass% or more, 3.0 mass% or less, and Mn. : 2.0 mass% or more, 3.0 mass% or less, Ni, Cu, Cr, Mo: 1.0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Ti, Nb, V: 1.0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 and B: Contains 0.01% or less (including 0 mass%). In addition, the slab has P: 0.1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S: 0.01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Al: 0.10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and N: 0.01% by mass or less (including 0% by mass).

이하, 슬래브의 화학 조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lab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C: 0.15질량% 이상 0.25질량% 이하][C: 0.15 mass% or more and 0.25 mass% or less]

C는,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중요한 원소이다. C 함유량을 0.15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강도 향상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고, 최종적으로, 980MPa 이상의 고장력 냉간 압연 강판을 얻을 수 있다. C 함유량을 0.25질량%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담금질성이 향상되어,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의 촉진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나아가, C 함유량이 과잉이 되는 것에 의한 강판의 용접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C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6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7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18질량% 이상이다. 또한, C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23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1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9질량% 이하이다.C is an important element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steel sheets. By setting the C content to 0.15% by mass or more, the strength improvement effect can be exhibited, and ultimately, a high-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of 980 MPa or more can be obtained. By setting the C content to 0.25% by mass or less, hardenability is improved and insufficient acceleration of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can be prevented. Furthermore, a decrease in the weldability of the steel sheet due to excessive C content can be suppressed. The C content is preferably 0.16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0.17 mass%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0.18 mass% or more. Moreover, the C content is preferably 0.23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0.21 mass%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0.19 mass% or less.

[Si: 0.8질량% 이상 3.0질량% 이하][Si: 0.8 mass% or more and 3.0 mass% or less]

Si는, 고용 강화 원소로서 강판의 강도 상승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Si 함유량을 0.8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강도 향상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고, 최종적으로, 980MPa 이상의 고장력 냉간 압연 강판을 얻을 수 있다. Si 함유량을 3.0질량%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Si양이 과잉이 되는 것에 의한 강판의 용접성의 현저한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Si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8질량% 이상이다. 또한, Si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1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9질량% 이하이다.Si is an element that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strength of a steel sheet as a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lement. By setting the Si content to 0.8% by mass or more, a strength improving effect can be exhibited, and ultimately, a high-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of 980 MPa or more can be obtained. By setting the Si content to 3.0% by mass or les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weldability of the steel sheet due to excessive Si content can be suppressed. The Si content is preferably 1.0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1.5 mass%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1.8 mass% or more. Moreover, the Si content is preferably 2.5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2.1 mass%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1.9 mass% or less.

[Mn: 1.8질량% 이상 3.0질량% 이하][Mn: 1.8 mass% or more and 3.0 mass% or less]

Mn은, 고용 강화 원소로서 강판의 강도 상승에 기여하는 원소이며, 또한 담금질성을 높여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유효한 원소이기도 하다. Mn 함유량을 1.8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강도 향상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고, 최종적으로, 980MPa 이상의 고장력 냉간 압연 강판을 얻을 수 있다. Mn 함유량을 3.0질량%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담금질성이 향상되어,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의 촉진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Mn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3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5질량% 이상이다. 또한, Mn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9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8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7질량% 이하이다.Mn is an element that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strength of a steel sheet as a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lement, and is also an effective element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a steel sheet by increasing hardenability. By setting the Mn content to 1.8% by mass or more, the strength improving effect can be exhibited, and ultimately, a high-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of 980 MPa or more can be obtained. By setting the Mn content to 3.0% by mass or less, hardenability is improved and insufficient acceleration of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can be prevented. The Mn content is preferably 2.0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2.3 mass%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2.5 mass% or more. Additionally, the Mn content is preferably 2.9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2.8 mass%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2.7 mass% or less.

[Ni, Cu, Cr, Mo: 1.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Ni, Cu, Cr, Mo: 1.0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Ni, Cu, Cr 또는 Mo는, 고용 강화 원소로서 강판의 강도 상승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또한, 이들 원소는, 담금질성을 높여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유효한 원소이기도 하다. 그 때문에, 이들 원소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가, 슬래브의 화학 조성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강도 향상 작용을 유효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Ni, Cu, Cr 및 M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원소의 함유량은, 0.0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Ni, Cu, Cr 및 M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원소의 함유량은, 담금질성이 향상되어,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의 촉진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1.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이다. Ni, Cu, Cr 및 M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원소의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이다. 또한, Ni, Cu, Cr 및 M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원소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하이다.Ni, Cu, Cr, or Mo are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lements that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Additionally, these elements are also effective elements for improving hardenability and improving the strength of steel sheets. Therefore, one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these elements may be included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lab. In order to effectively exhibit the strength improving effect, the content of one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Ni, Cu, Cr, and Mo is preferably 0.05% by mass or more. In addition, the content of one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Ni, Cu, Cr, and Mo is 1.0% by mass or less (including 0% by mass) in order to improve hardenability and prevent insufficient acceleration of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It is). The content of one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Ni, Cu, Cr, and Mo is more preferably 0.1% by mass or more. Additionally, the content of one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Ni, Cu, Cr, and Mo is preferably 0.5% by mass or less.

[Ti, Nb, V: 1.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Ti, Nb, V: 1.0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Ti, Nb 또는 V는, 석출 강화 원소로서 강판의 강도 상승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그 때문에, 이들 원소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가, 슬래브의 화학 조성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석출 강화 작용을 유효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Ti, Nb 및 V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원소의 함유량은, 0.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Ti, Nb 및 V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원소의 함유량은, 전술한 강도 상승의 효과가 포화되어, 비용이 낭비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1.0질량% 이하이다. Ti, Nb 및 V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원소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2질량% 이상이다. 또한, Ti, Nb 및 V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원소의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하이다.Ti, Nb, or V are precipitation strengthening elements that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Therefore, one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these elements may be included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lab. In order to effectively exert the precipitation strengthening effect, the content of each element selected from Ti, Nb, and V is preferably 0.01% by mass or more. Additionally, the content of each element selected from Ti, Nb, and V is 1.0% by mass or less in order to avoid saturating the effect of increasing strength described above and wasting costs. The content of one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Ti, Nb, and V is preferably 0.02% by mass or more. Additionally, the content of each element selected from Ti, Nb, and V is more preferably 0.5% by mass or less.

[B: 0.01질량% 이하(0질량% 이상)][B: 0.01 mass% or less (0 mass% or more)]

B는, 담금질성을 높여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유효한 원소이다. 그 때문에, B는, 슬래브의 화학 조성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담금질성을 유효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B 함유량은, 0.00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 함유량은, 담금질성이 향상되어,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의 촉진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0.01질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05질량% 이하이다.B is an effective element for improving hardenability and improving the strength of steel sheets. Therefore, B may be included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lab. In order to effectively exhibit hardenability, the B content is preferably 0.0001% by mass or more. In addition, the B content is 0.01% by mass or less, and preferably 0.005% by mass or less, in order to improve hardenability and prevent insufficient acceleration of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P: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P: Preferably 0.1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P는, 불순물 원소로서 불가피적으로 존재하는 원소이다. P는, 고용 강화에 의해 강도의 상승에 기여하지만,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에 편석하여, 입계를 취화시킴으로써 단부 균열의 원인이 된다. 그 때문에, P 함유량을, 0.1질량%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질량%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P is an element that inevitably exists as an impurity element. Although P contributes to the increase in strength through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it segregates at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and embrittles the grain boundaries, causing end crack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uppress the P content to 0.1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to 0.05 mass% or less.

[S: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S: Preferably 0.01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S는, 불순물 원소로서 불가피적으로 존재하는 원소이다. S는, MnS 개재물을 형성한다. 이 MnS 개재물은, 균열의 기점이 됨으로써 단부 균열의 원인이 된다. 그 때문에, S 함유량을, 0.01질량%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5질량%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S is an element that inevitably exists as an impurity element. S forms MnS inclusions. These MnS inclusions become the starting point of cracks and cause end crack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uppress the S content to 0.01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to 0.005 mass% or less.

[Al(S-Al): 바람직하게는 0.1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Al(S-Al): Preferably 0.10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Al은, 탈산재로서 첨가된다. 탈산재로서의 작용을 유효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Al(S-Al) 함유량은, 0.0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l은, 강의 청정도를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Al(S-Al) 함유량은, 0.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l is added as a deoxidizer. In order to effectively function as a deoxidizing agent, the Al(S-Al) content is preferably 0.001% by mass or more. Additionally, Al may worsen the cleanliness of the river. Therefore, the Al(S-Al) content is preferably 0.10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05 mass% or less.

[N: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N: Preferably 0.01% by mass or less (including 0% by mass)]

N은, 불순물 원소로서 불가피적으로 존재하는 원소이다. N은, 조대 질화물을 형성한다. 이 조대 질화물은, 균열의 기점이 됨으로써 단부 균열의 원인이 된다. 그 때문에, N 함유량을, 0.01질량%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5질량%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N is an element that inevitably exists as an impurity element. N forms coarse nitride. This coarse nitride becomes the starting point of cracks and causes end crack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uppress the N content to 0.01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to 0.005 mass% or less.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슬래브의 화학 조성은, 상기 성분 외에,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의 촉진,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강도, 충분한 가공성 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주지된 임의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도 있다. 다른 주지된 임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Zr, Hf, Ca, Mg, REM(희토류 원소)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lab in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contains,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other well-known optional component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ede acceleration of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required strength, sufficient workability, etc. You may. Other well-known optional components include, for example, Zr, Hf, Ca, Mg, and REM (rare earth elements).

[잔부][Remaining balance]

잔부는, Fe 및 불가피 불순물이다. 불가피 불순물로서는, 원료, 자재, 제조 설비 등의 상황에 따라 반입되는 미량 원소(예를 들면, As, Sb, Sn 등)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미량 원소 등의 혼입은 허용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P, S 및 N은, 통상, 함유량이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이들 원소는, 불가피 불순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원소는 특정 범위까지 함유량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이 그 효과를 보다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잔부를 구성하는 「불가피 불순물」은, 그 조성 범위가 규정되고 있는 원소를 제외한 개념이다.The remainder is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Inevitable impurities include trace elements (eg, As, Sb, Sn, etc.) that are brought in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raw materials, materials, manufacturing facilities, etc., and the mixing of these trace elements, etc. is permitted. On the other hand, the smaller the content of P, S and N as described above, the more preferable it is usually. Therefore, these elements can also be said to be inevitable impurities.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its effects better by suppressing the content of these elements to a specific range, they are stipulated as above. For this reason, in this specification, the “inevitable impurities” constituting the remainder are a concept excluding elements whose composition range is specified.

(슬래브의 균열(均熱) 처리)(Crack treatment of slab)

그 후, 일반적인 압연 전의 공정으로서, 준비한 슬래브를 가열로에 장입한다.Thereafter, as a general pre-rolling process, the prepared slab is charged into the heating furnace.

슬래브를 가열할 때, 슬래브의 가열로 추출 온도를 1180℃ 이상 128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래브의 가열로 추출 온도를 1280℃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강판의 마이크로 조직의 조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의 억제를 방지하여, 단부 경화의 원인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슬래브의 가열로 추출 온도를 1180℃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압연 하중이 과도하게 커져, 열간 압연이 곤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열로 추출 온도는, 후의 실시예에서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산출되는 온도로 한다.When heating a slab, it is desirable to set the heating extraction temperature of the slab to 1180°C or more and 1280°C or less. By setting the heating and extraction temperature of the slab to 1280°C or lower, coarsening of the microstructure of the steel plate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suppression of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can be prevented and it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a cause of edge hardening. By setting the heating and extraction temperature of the slab to 1180°C or hig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lling load from becoming excessively large, making hot rolling difficult. In this specification,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temperature is the temperature calculat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later examples.

(열간 압연)(Hot Rolled)

이어서, 가열로로부터 추출한 슬래브를 이용하여 열간 압연을 행하여, 열연 강판을 얻는다. 열간 압연은,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 온도가 800℃ 이상 940℃ 이하가 되도록 행하면, 그 밖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Next, hot rolling is performed using the slab extracted from the heating furnace to obtain a hot rolled steel sheet. Hot rolling is performed so that the exit temperature of the finish rolling mill is 800°C or more and 940°C or less. Other conditio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effect in the present embodiment.

일반적으로, 열간 압연은, 조압연과 마무리 압연을 포함한다. 이하, 각각의 압연에 대하여 설명한다.Generally, hot rolling includes rough rolling and finish rolling. Hereinafter, each rolling will be described.

조압연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조압연기(31)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조압연은, 도 1에 나타내는 조압연기(31)의 출측 온도, 구체적으로는 조압연기의 최종 스탠드(311)의 출측에 있어서의 강판의 온도가 1000℃ 이상 1200℃ 이하가 되도록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ough rolling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using the rough rolling mill 31 shown in FIG. 1. Rough rolling is preferably performed so that the exit temperature of the rough rolling mill 31 shown in FIG. 1,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of the steel sheet on the exit side of the final stand 311 of the rough rolling mill, is 1000°C or more and 1200°C or less.

조압연기의 출측 온도를 1200℃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강판의 마이크로 조직의 조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의 억제를 방지하여, 단부 경화의 원인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조압연기의 출측 온도를 1000℃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압연 하중이 과도하게 커져, 열간 압연이 곤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조압연기의 출측 온도는, 후의 실시예에서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방사 온도계를 배치하는 위치는, 조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로부터 0.1m∼20m의 위치이면 된다.By setting the exit temperature of the rough rolling mill to 1200°C or lower, coarsening of the microstructure of the steel sheet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suppression of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can be prevented and it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a cause of edge hardening. By setting the exit temperature of the rough rolling mill to 1000°C or hig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lling load from becoming excessively large, making hot rolling difficult. In this specification, the exit temperature of the rough rolling mill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later examples. The location where the radiation thermometer is placed can be anywhere from 0.1 m to 20 m from the final stand of the rough rolling mill.

또한, 가열로 추출을 행하고 나서 조압연이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추출-조압연 간의 시간)은, 240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로 추출을 행하고 나서 조압연이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240초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강판의 마이크로 조직의 조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의 억제를 방지하여, 단부 경화의 원인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추출-조압연 간의 시간은, 후의 실시예에서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e from extraction by heating to completion of rough rolling (time between extraction and rough rolling) is preferably 240 seconds or less. By setting the time from extraction by heating until completion of rough rolling to 240 seconds or less, coarsening of the microstructure of the steel sheet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suppression of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can be prevented and it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a cause of edge hardening. In this specification, the time between extraction and rough rolling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later examples.

마무리 압연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마무리 압연기(32)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마무리 압연은, 도 1에 나타내는 마무리 압연기(32)의 출측 온도, 구체적으로는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321)의 출측에서 측정되는 강판의 온도가 800℃ 이상 940℃ 이하가 되도록 행한다.Finish rolling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using the finish rolling mill 32 shown in FIG. 1. Finish rolling is performed so that the exit temperature of the finish rolling mill 32 shown in FIG. 1,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of the steel sheet measured at the exit side of the final stand 321 of the finish rolling mill, is 800°C or more and 940°C or less.

마무리 압연을 고온에서 행하면, 열간 압연으로 형성된 가공 조직이 회복, 재결정 및/또는 입(粒)성장해 버린다. 그 결과, 권취 후의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가 억제되어, 강판의 단부 경화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 온도를 940℃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오스테나이트의 회복, 재결정 및/또는 입성장을 억제하여, 강판의 단부 경화를 억제할 수 있다.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 온도를 800℃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압연 하중이 커져 버려, 열간 압연이 곤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When finish rolling is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the processed structure formed by hot rolling recovers, recrystallizes, and/or grains grow. As a result,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after winding is suppressed, which causes hardening of the ends of the steel sheet. Therefore, by setting the exit temperature of the finish rolling mill to 940°C or lower, recovery, recrystallization, and/or grain growth of austenite can be suppressed, and end hardening of the steel sheet can be suppressed. By setting the exit temperature of the finishing mill to 800°C or hig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lling load from becoming large and hot rolling becoming difficult.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9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20℃ 이하이다. 또한,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8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70℃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 온도는, 후의 실시예에서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방사 온도계를 배치하는 위치는,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로부터 0.1m∼10m의 위치이면 된다.The exit temperature of the finishing mill is preferably 930°C or lower, more preferably 920°C or lower. Additionally, the exit temperature of the finishing mill is preferably 850°C or higher, and more preferably 870°C or higher. In this specification, the exit temperature of the finish rolling mill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later examples. The position where the radiation thermometer is placed may be 0.1 m to 10 m from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또한, 강판의 조압연기의 최종 스탠드 통과로부터 마무리 압연기의 최초의 스탠드 도달까지의 시간(조압연-마무리 압연 간의 시간)은, 50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압연기의 최종 스탠드 통과로부터 마무리 압연기의 최초의 스탠드 도달까지의 시간을 50초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열간 압연으로 형성된 가공 조직이 회복, 재결정 및/또는 입성장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권취 후의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의 억제를 보다 확실히 막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조압연-마무리 압연 간의 시간은, 후의 실시예에서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e from the steel sheet passing through the final stand of the rough rolling mill to reaching the first stand of the finishing mill (the time between rough rolling and finishing rolling) is preferably 50 seconds or less. By setting the time from passing the final stand of the rough rolling mill to reaching the first stand of the finishing mill to 50 seconds or less, recovery, recrystallization, and/or grain growth of the worked structure formed by hot rolling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the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after winding can be more reliably prevent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ime between rough rolling and final rolling can be obtain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later examples.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를 나온 열연 후의 강판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런아웃 테이블(4) 상에 송출된다. 이때, 열연 후의 강판의 런아웃 테이블(4) 상에 있어서의 판 속도는, 강판의 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 차이를 갖지만, 300m/분∼1000m/분 정도가 되고 있다.The hot-rolled steel sheet that exits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is sent out onto the run-out table 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At this time, the speed of the steel sheet after hot rolling on the runout table 4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but is approximately 300 m/min to 1000 m/min.

(런아웃 테이블 상에 있어서의 냉각 제어)(Cooling control on run-out table)

다음으로, 열간 압연 후의 강판의 적어도 일부분이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를 통과하여 런아웃 테이블 상에 송출되고 나서 3.0초 이내에, 당해 강판의 적어도 일부분은 100L/분/m2 이상의 수량 밀도로 0.1초간 이상 냉각된다.Next, within 3.0 seconds after at least a part of the steel sheet after hot rolling passes through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and is sent out on the runout table, at least a part of the steel sheet is cooled for 0.1 second or more at a water density of 100 L/min/m 2 or more. do.

런아웃 테이블 상에서의 냉각 중에 강판이 고온에서 유지되고 있으면, 열간 압연으로 형성된 가공 조직이 회복, 재결정 및/또는 입성장해 버린다. 그 결과, 권취 후의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가 억제되어, 강판의 단부 경화가 야기된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런아웃 테이블 상에 있어서의 냉각 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해, 오스테나이트의 회복, 재결정 및/또는 입성장을 억제하여, 강판의 단부 경화를 억제할 수 있다.If the steel sheet is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while cooling on the runout table, the processed structure formed by hot rolling recovers, recrystallizes, and/or grain grows. As a result,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after winding is suppressed, resulting in hardening of the ends of the steel sheet. Therefore, by performing such cooling control on the run-out table, recovery, recrystallization, and/or grain growth of austenite can be suppressed, and end hardening of the steel sheet can be suppressed.

냉각되는 열연 후의 강판의 판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열연 강판의 판 두께인, 1.0mm∼5.0mm 정도이면 된다.The sheet thickness of the steel sheet after hot rolling to be cool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bout 1.0 mm to 5.0 mm, which is the sheet thickness of a common hot rolled steel sheet in this technical field.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강판의 적어도 일부분」이란, 열간 압연 후의 강판에 있어서의 수랭 대상이 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강판의 적어도 일부분」은, 강판 전면, 강판에 있어서의 특정 영역 및 강판에 있어서의 특정 개소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냉각 제어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강판의 적어도 일부분」은, 강판 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강판의 단부 균열이 생기기 쉬운 영역에 중점을 두는 경우, 「강판의 적어도 일부분」은, 강판의 폭 방향 양단부의 근방 영역, 긴 방향의 선단의 근방 영역 및 긴 방향의 미단의 근방 영역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이들 영역을 강판에 있어서의 수랭 대상이 되는 부분으로 하는 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을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t least a portion of a steel sheet” means a portion of a steel sheet after hot rolling that is subject to water cooling. Specific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el sheet” may be any of the entir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 specific area in the steel sheet, or a specific location in the steel sheet.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cooling control,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el sheet” is the entire steel sheet. Alternatively, when focusing on the area where end cracks of the steel sheet are likely to occur,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el sheet” is selected from the area near both ends of the steel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the area near the leading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rea near the tail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desirable to include one or more regions. In other words, by making these areas the parts of the steel sheet that are subject to water cool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in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more effectively.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강판의 적어도 일부분이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를 통과하여 런아웃 테이블 상에 송출되고 나서 3.0초 이내에, 당해 강판의 적어도 일부분을 냉각한다」란, 엄밀하게는, 다음의 것을 의미한다. 강판에 있어서의 냉각 대상이 되는 부분이, 열간 압연의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를 통과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즉 0초 지점으로 하여), 그대로 런아웃 테이블 상에 송출되고 나서 3.0초 이내에 냉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 강판에 있어서의 냉각 대상이 되는 부분이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321)를 통과한 시점으로부터 3.0초 이내에 냉각 설비(5)에 도달하여 냉각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냉각이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을, 이하, 「수랭 개시 시간」이라고도 한다. 한편, 강판의 판 속도는, 그 긴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변동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수랭 개시 시간은, 후의 실시예에서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시간, 즉 판 속도의 최소치로부터 산출되는 시간으로서 정의된다.In this specification, “cooling at least a part of the steel sheet within 3.0 seconds after the steel sheet passes through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and is sent out on the run-out table” strictly means the following. . The part of the steel sheet to be cooled is cooled within 3.0 seconds after being sent out onto the runout table as is, based on the time it passes the final stand of the hot rolling finish rolling mill (i.e., 0 second point). Specifically, for example, in Figure 1, the portion of the steel sheet to be cooled reaches the cooling facility 5 within 3.0 seconds from the time it passes the final stand 321 of the finishing mill and is cooled. it means. The time until such cooling starts i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water cooling start time.” On the other hand, the plate speed of a steel plate varies depending on its longitudinal position. Therefore, in this specification, the water cooling start time is defined as the time calculat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later examples, that is, the time calculated from the minimum value of the plate speed.

수랭 개시 시간을 3.0초 이내로 하는 것에 의해, 런아웃 테이블 상에서 열간 압연 후의 강판이 고온에서 오래 유지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열간 압연 후의 강판이 고온에서 오래 유지되면, 열간 압연으로 형성된 강판에 있어서의 가공 조직이 회복, 재결정 및/또는 입성장해 버린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권취 후의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가 억제되어, 강판의 단부 경화가 야기된다. 수랭 개시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2.5초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초 이내, 더 바람직하게는 1.5초 이내이다.By setting the water cooling start time to 3.0 seconds or less, it is possible to avoid the steel sheet after hot rolling being hel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on the run-out table. If the steel sheet after hot rolling is kept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the processed structure in the steel sheet formed by hot rolling recovers, recrystallizes, and/or grain grows. As a result, the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after winding is ultimately suppressed, resulting in hardening of the ends of the steel sheet. The water cooling start time is preferably within 2.5 seconds, more preferably within 2.0 seconds, and even more preferably within 1.5 seconds.

냉각 시의 수량 밀도를 100L/분/m2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런아웃 테이블 상에서의 강판의 냉각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강판의 냉각이 불충분해지면, 열간 압연으로 형성된 가공 조직이 회복, 재결정 및/또는 입성장해 버린다. 그 결과, 권취 후의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가 억제되어, 강판의 단부 경화를 야기해 버린다.By setting the water density during cooling to 100 L/min/m 2 or more, insufficient cooling of the steel sheet on the run-out table can be avoided. When cooling of the steel sheet becomes insufficient, the processed structure formed by hot rolling recovers, recrystallizes, and/or grain grows. As a result,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after winding is suppressed, causing hardening of the ends of the steel sheet.

냉각 시의 수량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200L/분/m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L/분/m2 이상이다. 한편, 수량 밀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강판의 통판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3000L/분/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수량 밀도는, 후의 실시예에서 기재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강판의 냉각 대상이 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냉각에 이용하는 수류량(L/분)을, 냉각 설비 등의 구획의 길이(m)와 폭(m)으로 나누는 것에 의해 구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강판의 냉각 대상이 되는 부분이, 강판의 긴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강판 전장의 4/5의 위치인 경우의 수량 밀도를 산출하고 있다. 또한, 냉각에 이용하는 수류량은, 냉각 설비가 구비하는 밸브 등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The water density during cooling is preferably 200 L/min/m 2 or more, more preferably 250 L/min/m 2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of the water densit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for example, 3000 L/min/m 2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ensuring the sheetability of the steel sheet. In this specification, similar to the method described in the later examples, the water density refers to the water flow rate (L/min) used for cooling in the part to be cooled of the steel plate, and the length of the section such as cooling equipment (m It can be obtained by dividing by ) and width (m). Meanwhile, in the examples described later, the water density is calculated when the portion of the steel sheet to be cooled is at a position 4/5 of the total length of the steel sheet from the ti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Additionally, the amount of water flow used for cooling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valves, etc. provided in the cooling equipment.

냉각 시간, 구체적으로는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 통과로부터 3초 이내에 있어서의 합계의 수랭 시간(이하, 「3초 이내의 총 수랭 시간」이라고도 한다)을 0.1초간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강판의 냉각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강판의 냉각이 불충분해지면, 열간 압연으로 형성된 가공 조직이 회복, 재결정 및/또는 입성장해 버린다. 그 결과, 권취 후의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가 억제되어, 강판의 단부 경화를 야기해 버린다.Cooling of the steel sheet is achieved by setting the cooling time, specifically the total water cooling time within 3 seconds from passing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otal water cooling time within 3 seconds”) to 0.1 second or more. You can avoid becoming inadequate. When cooling of the steel sheet becomes insufficient, the processed structure formed by hot rolling recovers, recrystallizes, and/or grain grows. As a result,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after winding is suppressed, causing hardening of the ends of the steel sheet.

3초 이내의 총 수랭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0.2초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4초간 이상이다. 한편, 3초 이내의 총 수랭 시간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3초 미만이다. 3초 이내의 총 수랭 시간도, 전술한 수랭 개시 시간과 마찬가지로, 강판의 긴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변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명세서에 있어서, 3초 이내의 총 수랭 시간은, 후의 실시예에서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시간, 즉 판 속도의 최대치로부터 산출되는 시간으로서 정의된다.The total water cooling time within 3 seconds is preferably 0.2 seconds or more, more preferably 0.4 seconds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of the total water cooling time within 3 second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less than 3 seconds. The total water cooling time within 3 seconds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similar to the water cooling start time described above. Therefore, in this specification, the total water cooling time within 3 seconds is defined as the time obtain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later examples, that is, the time calculated from the maximum value of the plate speed.

또한, 런아웃 테이블 전장을 1로 한 경우,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로부터 1/4∼3/4의 위치에 있어서 측정되는 온도(이하, 「중간 온도」라고도 한다)는, 바람직하게는 6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50℃ 이상이다. 중간 온도를 650℃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냉각 속도가 과도하게 빨라져, 권취 온도의 확보가 어려워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와 같은 중간 온도는, 후의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되는 온도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중간 온도는, 런아웃 테이블 전장을 1로 한 경우,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로부터 1/4∼3/4의 위치에 있어서 설치한 방사 온도계에 의해 측정되는 코일의 폭 방향 중앙부의 온도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overall length of the runout table is set to 1, the temperature measured at a position of 1/4 to 3/4 from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intermediate temperature”) is preferably 650°C or higher, More preferably, it is 700°C or higher, and even more preferably, it is 750°C or higher. By setting the intermediate temperature to 650°C or hig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ling rate from becoming excessively fast,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the coiling temperature. In this specification, such intermediate temperature is taken as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s shown in the later examples. 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temperature is the temperature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il measured with a radiation thermometer installed at a position of 1/4 to 3/4 from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when the overall length of the runout table is set to 1. do.

이와 같은 냉각은,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적용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랭은, 상면 라미나(laminar) 설비, 하면 스프레이 설비 등을 적용할 수 있다.Such cooling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any known metho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water cooling can be done using a laminar equipment on the top or a spray equipment on the bottom.

(권취)(winding)

그 후, 550℃ 이상의 권취 온도에 있어서 냉각 후의 열연 강판을 권취한다.Thereafter, the cooled hot-rolled steel sheet is wound at a coiling temperature of 550°C or higher.

권취 온도를 550℃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권취 후에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가 진행되는 온도 영역에서 강판을 유지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강판의 단부 경화를 억제할 수 있다.By setting the coiling temperature to 550°C or higher, it is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time to maintain the steel sheet in the temperature range where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occurs after coiling. As a result, hardening of the ends of the steel plate can be suppressed.

권취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30℃ 이상이다. 또한, 권취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7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이하이다. 권취 온도를 750℃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열간 압연으로 형성된 가공 조직이 회복, 재결정 및/또는 입성장하는 것을 억제하여, 권취 후의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의 억제를 막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권취 온도는, 후의 실시예에서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방사 온도계를 배치하는 위치는, 런아웃 테이블 전체 길이를 1로 한 경우, 권취기 측으로부터 1/5의 위치로 한다.The coil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600°C or higher, more preferably 630°C or higher. Moreover, the coil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750°C or lower, more preferably 700°C or lower. By setting the coiling temperature to 750°C or lower, recovery, recrystallization, and/or grain growth of the worked structure formed by hot rolling can be suppressed, and suppression of ferrite-pearlite transformation after coiling can be prevented. In this specification, the coiling temperature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later examples. The position where the radiation thermometer is placed is 1/5 from the winder side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run-out table is set to 1.

권취 후의 코일 형상의 열간 압연 강판은, 상온까지 자연 냉각해도 된다.The coiled hot-rolled steel sheet may be naturally cooled to room temperature.

강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전술해 온 바와 같은 공정 및 임의로 포함되는 공정을 거치는 것에 의해, 코일 형상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간 압연용 강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간 압연용 강판은, 후의 냉간 압연 시에 있어서의 강판의 단부 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 그때, 추가의 고온 가열을 위한 설비 코스트 및 러닝 코스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후의 냉간 압연 시에 있어서 단부 균열이 생기기 쉬운 부분의 제거에 의한 수율의 저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In the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the coil-shaped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in this embodiment can be obtained by going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and optionally included processes. The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in this embodiment obtained in this way can suppress cracks at the ends of the steel sheet during subsequent cold rolling. At that time, there is no need for equipment cost and running cost for additional high temperature heating.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in this embodiment, the problem of lowering the yield due to removal of portions where end cracks are likely to occur during subsequent cold rolling can be solved.

2.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2. Manufacturing method of cold rolled steel sheet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법으로 제조된 강판을, 냉간 압연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d rolled steel sheet in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cold rolling the steel sheet manufactured by the metho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ld rolled steel sheet i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산세)(sans)

냉간 압연 전에,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법으로 제조된 냉간 압연용 강판을, 산세해도 된다. 산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적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염산 등을 이용하여 침지시키는 것에 의해, 스케일을 제거하면 된다.Before cold rolling, the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manufactured by the metho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pickled. The pickl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method may be applied. For example, scale may be removed by immersion using hydrochloric acid or the like.

(냉간 압연)(cold rolled)

냉간 압연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적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소망하는 판 두께로 하기 위해서, 30%∼80%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할 수 있다. 냉간 압연 강판의 판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method of cold roll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method may be applied. For example, in order to achieve a desired plate thickness, cold rolling can be performed at a reduction ratio of 30% to 80%. The thickness of the cold rolled steel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전술해 온 바와 같은 공정 및 임의로 포함되는 공정을 거치는 것에 의해, 인장 강도(TS) 980MPa 이상의 고장력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에 이용되는 냉간 압연 강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간 압연 강판은, 냉간 압연 시에 있어서의 단부 균열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단부 균열을 원인으로 하는 강판의 파단 등의 후의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임의의 방법으로 냉간 압연 강판에 소둔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인장 강도(TS) 980MPa 이상의 고장력 냉간 압연 강판을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d rolled steel sheet, a cold rolled steel sheet used for manufacturing a high tensile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with a tensile strength (TS) of 980 MPa or more can be obtained by going through the processes described above and optionally included processes. In the cold roll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embodiment obtained in this way, end cracking during cold rolling is suppressed, and thus the risk of fracture of the steel sheet due to end cracking can be reduced. Therefore, by annealing the cold rolled steel sheet by any method, a high tensile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with a tensile strength (TS) of 980 MPa or more can be suitably manufactured.

이상, 본 발명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 및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정리하면 하기와 같다.The out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ld rolling steel shee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ld rolling steel shee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본 발명의 제 1 국면에 따른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은, 화학 조성에 있어서,The method for produc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emical composition,

C: 0.15질량% 이상, 0.25질량% 이하,C: 0.15 mass% or more, 0.25 mass% or less,

Si: 0.8질량% 이상, 3.0질량% 이하,Si: 0.8 mass% or more, 3.0 mass% or less,

Mn: 1.8질량% 이상, 3.0질량% 이하,Mn: 1.8 mass% or more, 3.0 mass% or less,

Ni, Cu, Cr, Mo: 1.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Ni, Cu, Cr, Mo: 1.0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Ti, Nb, V: 1.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및Ti, Nb, V: 1.0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and

B: 0.01%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B: 0.01% or less (including 0 mass%)

를 함유하는 슬래브를,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 온도가 800℃ 이상 940℃ 이하가 되도록 열간 압연하는 것과,Hot rolling the slab containing so that the exit temperature of the finishing mill is 800°C or more and 940°C or less,

상기 열간 압연 후의 강판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를 통과하여 런아웃 테이블 상에 송출되고 나서 3.0초 이내에, 상기 강판의 적어도 일부분을 100L/분/m2 이상의 수량 밀도로 0.1초간 이상 냉각하는 것과,Within 3.0 seconds after at least a portion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passes through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and is sent out on a runout table, coo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el sheet for 0.1 second or more at a water density of 100 L/min/m 2 or more. And,

550℃ 이상의 권취 온도에 있어서 상기 냉각 후의 열연 강판을 권취하는 것을 포함한다.It includes winding the cooled hot-rolled steel sheet at a coiling temperature of 550°C or higher.

전술한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는,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described above, the slab is,

P: 0.1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P: 0.1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S: 0.01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S: 0.01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Al: 0.1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및Al: 0.10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and

N: 0.01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N: 0.01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additionally contain.

본 발명의 제 2 국면에 따른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제 1 국면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강판을, 30%∼80%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d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cold rolling the steel sheet manufactur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described above at a reduction ratio of 30% to 80%.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elow,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in no way limited by the examples.

본 실시예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법으로 실제로 냉간 압연용 강판을 제조하고, 제조한 당해 강판의 단부 근방의 시험편의 경도로부터, 후의 냉간 압연 시에 있어서의 강판의 단부 균열의 위험률을 산출했다.In this example,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was actually manufactured by the method in this embodiment, and the risk rate of end cracking of the steel sheet during subsequent cold rolling was calculated from the hardness of the test piece near the end of the manufactured steel sheet. did.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Manufacture of steel sheets for cold rolling]

후의 표 1에 나타내는 화학 조성(목표하는 화학 조성)의 강을 전로에서 용제한 후, 연속 주조에 의해 슬래브를 제조했다. 연속 주조에 의해 제조한 슬래브를 표면 온도가 200℃ 이상 900℃ 이하인 상태에서 직접 가열로에 장입하고, 고온으로 가열했다. 그 후, 슬래브를 가열로로부터 추출하여, 조압연 및 마무리 압연에 의해 열간 압연했다. 판 두께는, 최종적으로 2.3mm로 했다. 열연 후의 강판을 그대로 런아웃 테이블 상에 송출하고, 그 앞에 설치된 상면 라미나 설비 및/또는 하면 스프레이 설비에 의해, 런아웃 테이블 상의 강판을 냉각했다. 그 후, 냉각한 열간 압연 강판을 코일 형상으로 권취하고 냉각하여, 냉간 압연용 강판을 제조했다. 한편,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로부터 강판의 권취기까지 계속되는 런아웃 테이블의 전장은, 188.3m였다.Steel with the chemical composition (target chemical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was melted in a converter, and then a slab was manufactured by continuous casting. The slab manufactured by continuous casting was directly charged into a heating furnace with a surface temperature of 200°C or more and 900°C or less, and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After that, the slab was extracted from the heating furnace and hot rolled by rough rolling and finish rolling. The plate thickness was finally set to 2.3 mm. The steel sheet after hot rolling was delivered as is on the run-out table, and the steel sheet on the run-out table was cooled by the upper surface laminar equipment and/or the lower surface spray equipment installed in front of it. After that, the cooled hot-rolled steel sheet was wound into a coil shape and cooled, thereby produc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On the other hand, the total length of the runout table extending from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to the steel plate winder was 188.3 m.

상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열간 압연, 냉각 및 권취의 조건을 바꾸어, 다양한 조건하에서 냉간 압연용 강판을 제조했다. 각종 강판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열간 압연 시의 가열로 추출 온도, 조압연기의 출측 온도, 가열로 추출을 행하고 나서 조압연이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추출-조압연 간의 시간), 조압연기의 최종 스탠드 통과로부터 마무리 압연기의 최초의 스탠드 도달까지의 시간(조압연-마무리 압연 간의 시간),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 온도,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 통과로부터 런아웃 테이블 상에서의 수랭 개시까지의 시간(수랭 개시 시간),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 통과로부터 3초 이내에 있어서의 합계의 수랭 시간(3초 이내의 총 수랭 시간), 냉각 시에 있어서의 수량 밀도, 런아웃 테이블 중간 부근에 있어서의 강판의 온도(중간 온도),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 통과로부터 런아웃 테이블 중간 부근에서의 온도 측정까지의 시간(마무리 압연-중간 온도 측정 간의 시간), 및 권취 온도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하기 표 2에 있어서, 「-」은, 수랭 개시 시간이 3.0초를 경과하고 있기 때문에, 3.0초 이내의 총 수랭 시간 및 수량 밀도가 0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In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the conditions for hot rolling, cooling, and coiling were changed, and steel sheets for cold rolling were manufactured under various conditions. In the production of various steel sheets,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temperature during hot rolling, the exit temperature of the rough rolling mill, the time from heating furnace extraction until rough rolling is completed (time between extraction and rough rolling), and the rough rolling mill Time from passing the final stand to reaching the first stand of the finishing mill (time between rough rolling and finishing rolling), exit temperature of the finishing mill, time from passing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to the start of water cooling on the run-out table (start of water cooling) time), total water cooling time within 3 seconds from passing through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total water cooling time within 3 seconds), water density during cooling, temperature of the steel sheet near the middle of the run-out table (intermediate temperature) ), the time from passage through the exit side of the finish rolling mill to the temperature measurement near the middle of the run-out table (time between finish rolling and intermediate temperature measurement), and the coiling temperature are shown in Table 2 below. Meanwhile, in Table 2 below, “-” indicates that the water cooling start time has passed 3.0 seconds, so the total water cooling time and water density within 3.0 seconds are 0.

상기 표 2에 있어서, 각 항목의 상세한 측정 및 산출 방법은 이하와 같다.In Table 2 above, detailed measurement and calculation methods for each item are as follows.

· 가열로 추출 온도: 가열로 추출 온도는, 가열로 장입 시의 슬래브 온도, 가열로 내의 분위기 온도 및 가열로 내의 체재 시간으로부터, 열전달 계산에 의해 산출했다.· Heating furnace extraction temperature: The heating furnace extraction temperature was calculated by heat transfer calculation from the slab temperature at the time of charging the heating furnace, the ambient temperature in the heating furnace, and the residence time in the heating furnace.

· 조압연기의 출측 온도: 조압연기의 출측에 설치된 방사 온도계에 의해, 코일의 폭 방향 중앙부의 온도를 측정했다. 온도계는, 조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로부터 16.6m의 위치에 있어서 설치했다.· Temperature on the exit side of the rough rolling mill: The temperature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il was measured using a radiation thermometer installed on the exit side of the rough rolling mill. The thermometer was installed at a position of 16.6 m from the final stand of the rough rolling mill.

· 추출-조압연 간의 시간: 가열로 추출을 행하고 나서, 강판의 긴 방향의 미단의 조압연이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을, 추출-조압연 간의 시간으로 했다.· Time between extraction and rough rolling: The time between extraction by heating and the end of rough rolling of the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was taken as the time between extraction and rough rolling.

· 조압연-마무리 압연 간의 시간: 강판의 긴 방향의 미단의 조압연이 종료하고 나서, 강판의 긴 방향의 선단의 마무리 압연이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을, 조압연 시간-마무리 압연 간의 시간으로 했다.· Time between rough rolling and finish rolling: The time from the end of rough rolling of the bottom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until the start of finish rolling of the leading end of the steel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time between rough rolling time and finish rolling. did.

·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 온도: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에 설치된 방사 온도계에 의해, 코일의 폭 방향 중앙부의 온도를 측정했다. 온도계는,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로부터 5.9m의 위치에 있어서 설치했다.· Exit temperature of the finish rolling mill: The temperature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il was measured using a radiation thermometer installed on the exit side of the finish rolling mill. The thermometer was installed at a position of 5.9 m from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 수랭 개시 시간: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의 판 속도는, 강판의 긴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변동한다. 그 때문에, 수랭 개시 시간은, 강판의 긴 방향에서 가장 판 속도가 느려 입성장하기 쉬운 긴 방향의 선단 위치의 판 속도에 기초하여, 정의했다. 구체적으로는, 수랭 개시 시간은,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로부터 수랭이 행해지는 런아웃 테이블 상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강판의 긴 방향에 있어서의 판 속도의 최소치로 나누는 것에 의해 구했다.· Water cooling start time: The sheet speed at the exit side of the finishing rolling mill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Therefore, the water cooling start time was defined based on the sheet speed at the tip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where the sheet speed is slowest and grain growth is most likely to occur. Specifically, the water cooling start time was obtained by dividing the distance from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to the position on the runout table where water cooling is performed by the minimum value of the sheet spe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 3초 이내의 총 수랭 시간: 3초 이내의 총 수랭 시간은, 강판의 긴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강판 전장의 4/5의 위치(환언하면, 긴 방향의 미단으로부터 강판 전장의 1/5의 위치)에 있어서의 값을 구했다. 구체적으로는, 냉각을 실제로 행한 냉각 설비의 구획의 길이(m)를, 강판의 긴 방향의 판 속도의 최대치로 나누는 것에 의해, 이 위치에 있어서의 3초 이내의 총 수랭 시간을 구했다.· Total water cooling time within 3 seconds: The total water cooling time within 3 seconds is the position of 4/5 of the total length of the steel sheet from the ti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in other words, the position of 1/5 of the total length of the steel sheet from the tail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 was obtained. Specifically, the total water cooling time of less than 3 seconds at this position was obtained by dividing the length (m) of the section of the cooling facility where cooling was actually performed by the maximum value of the plate spe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 수량 밀도: 수량 밀도는, 강판의 긴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강판 전장의 4/5의 위치(환언하면, 강판의 긴 방향의 미단으로부터 강판 전장의 1/5의 위치)에 있어서의 값을 구했다. 구체적으로는, 냉각에 이용한 수류량(L/분)을, 냉각을 실제로 행한 냉각 설비의 구획의 길이(m)와 폭(m)으로 나누는 것에 의해, 이 위치에 있어서의 수량 밀도를 구했다.· Quantity density: The quantity density was obtained at a position of 4/5 of the total length of the steel sheet from the ti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in other words, a position of 1/5 of the total length of the steel sheet from the tail end of the steel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water volume density at this location was obtained by dividing the water flow rate (L/min) used for cooling by the length (m) and width (m) of the section of the cooling facility where cooling was actually performed.

· 중간 온도: 런아웃 테이블의 중간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방사 온도계에 의해, 코일의 폭 방향 중앙부의 온도를 측정했다. 온도계는,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로부터 56.1m의 위치에 있어서 설치했다.· Middl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il was measured using a radiation thermometer installed near the middle of the run-out table. The thermometer was installed at a position of 56.1 m from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rolling mill.

· 마무리 압연-중간 온도 측정 간의 시간: 강판의 긴 방향의 선단이,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에 설치된 방사 온도계에 도달하고 나서, 런아웃 테이블의 중간 부근에 설치된 방사 온도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마무리 압연-중간 온도 측정 간의 시간으로 했다.· Time between finish rolling and intermediate temperature measurement: The time from when the longitudinal tip of the steel sheet reaches the radiation thermometer installed on the exit side of the finish rolling mill to the time it reaches the radiation thermometer installed near the middle of the run-out table is the finish. The time between rolling and intermediate temperature measurements was taken.

· 권취 온도: 런아웃 테이블의 종단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방사 온도계에 의해, 코일의 폭 방향 중앙부의 온도를 측정했다. 온도계는,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로부터 180.1m의 위치에 있어서 배치했다.· Winding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il was measured using a radiation thermometer installed near the end of the run-out table. The thermometer was placed at a position of 180.1 m from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추가로, 상기 표 2에 나타내는 구분에 있어서, 본 발명예는, 마무리 압연 출측 온도가 800℃ 이상 940℃ 이하이고 또한 수랭 개시 시간이 3.0초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의 시험편이다. 한편, 비교예 1은, 마무리 압연 출측 온도가 940℃보다 높고 또한 수랭 개시 시간이 3.0초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의 시험편이다. 비교예 2는, 마무리 압연 출측 온도가 940℃ 이하이고 또한 수랭 개시 시간이 3.0초보다 큰 경우에 있어서의 시험편이다. 비교예 3은, 마무리 압연 출측 온도가 940℃보다 높고 또한 수랭 개시 시간이 3.0초보다 큰 경우에 있어서의 시험편이다.Additionally, in the categories shown in Table 2 above,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est specimens when the finish rolling exit temperature is 800°C or more and 940°C or less and the water cooling start time is 3.0 seconds or less. On the other hand, Comparative Example 1 is a test piece when the finish rolling exit temperature is higher than 940°C and the water cooling start time is 3.0 seconds or less. Comparative Example 2 is a test piece in which the finish rolling exit temperature is 940°C or lower and the water cooling start time is greater than 3.0 seconds. Comparative Example 3 is a test piece in which the finish rolling exit temperature is higher than 940°C and the water cooling start time is longer than 3.0 seconds.

[냉간 압연용 강판의 시험편의 경도 측정][Measurement of hardness of test pieces of cold rolling steel sheets]

상기의 방법으로 얻은 각 냉간 압연용 강판의 시험편의 경도를 측정했다. 강판의 긴 방향의 미단으로부터 30m의 위치를 포함하도록, 시어(shear) 절단에 의해 강판의 폭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의 시험편을 잘라냈다. 시험편의 사이즈는, 10mm(압연 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20mm(판폭 방향)×2.3mm(판 두께)로 했다. 도 2는, 경도 측정을 위한 강판의 시험편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긴 방향의 미단의 위치를, 화살표 X로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시험편은, 강판의 긴 방향의 미단으로부터 30m의 위치(파선 Y로 나타낸다)에 있어서의 강판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1mm의 위치(화살표 Z로 나타낸다)를 포함하도록 잘라냈다. 이와 같이 잘라낸 시험편을 이용하여, 냉간 압연용 강판의 긴 방향의 미단으로부터 30m의 위치에 있어서의 강판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1mm의 위치, 또한 판 두께의 4분의 1에 있어서의 위치에서의 비커스 경도를 측정했다. 비커스 경도 시험은, 9.807N의 하중으로 측정하고, 당해 폭 방향 양단부의 측정치 중의 최대치로 평가했다. 이와 같이 구해진 비커스 경도가 290HV보다 큰 경우, 제조된 냉간 압연용 강판은 단부 경화되어 있어, 냉간 압연 시에 강판의 단부 균열의 위험이 있다고 평가했다.The hardness of each cold rolling steel sheet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was measured. Test pieces were cut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by shear cutting so as to include a position 30 m from the tail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The size of the test piece was 10 mm (direction parallel to the rolling direction) x 20 mm (plate width direction) x 2.3 mm (plate thickness).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of a steel plate test piece for hardness measurement. The position of the tail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dicated by an arrow X. As shown in Figure 2, specifically, the test piece includes a position (indicated by arrow Z) 1 mm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at a position of 30 m from the longitudinal end of the steel sheet (indicated by a broken line Y). I cut it out so that I could do it. Using the test piece cut in this way, the Vickers hardness at a position 30 m from the longitudinal end of the cold rolling steel sheet, 1 mm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and a position at one quarter of the sheet thickness was measured. The Vickers hardness test was measured with a load of 9.807N, and evaluated as the maximum value among the measured values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Vickers hardness determined in this way was greater than 290 HV, the manufactured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was hardened at the ends, and it was evaluated that there was a risk of cracking at the ends of the steel sheet during cold rolling.

강판의 긴 방향의 미단으로부터 30m의 위치는, 전술한 제조 과정에 있어서 수량 밀도를 구한 위치인 강판의 긴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강판 전장의 4/5의 위치보다도 미단에 가까워져 있다. 강판의 긴 방향에 있어서, 강판의 판 속도는 미단에 가까울수록 보다 빨라지고, 또한 일반적으로 단부 경화는 보다 생기기 쉬워지는 것이 상정된다. 그 때문에, 강판의 긴 방향의 미단으로부터 30m의 위치에 있어서 단부 경화가 관찰되지 않으면, 강판의 긴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강판 전장의 4/5의 위치에 있어서도 단부 경화는 당연히 관찰되지 않는 것이 생각된다. 게다가, 이 결과로부터, 강판에 있어서의 냉각 대상이 되는 부분을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에 의해, 강판의 긴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미단까지의 전체에 걸쳐서도 단부 경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도 상정된다.The position 30 m from the longitudinal end of the steel sheet is closer to the tail end than the position 4/5 of the total length of the steel sheet from the longitudinal end of the steel sheet, which is the position where the quantity density was calculated in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it is assumed that the plate speed of the steel sheet becomes faster as it approaches the tail end, and that end hardening is generally more likely to occur. Therefore, if end hardening is not observed at a position of 30 m from the longitudinal end of the steel sheet, it is natural that end hardening is not observed even at a position 4/5 of the total length of the steel sheet from the longitudinal end of the steel sheet. Furthermore, from these results, it is assumed that end hardening can be suppressed even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steel sheet from the tip to the tail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portion of the steel sheet that is subject to cooling as necessary.

이하의 표 3에, 각 강판의 시험편에 있어서 측정된 비커스 경도(HV) 및 그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Table 3 below shows the Vickers hardness (HV) measured on test pieces of each steel plate and the evaluation results.

상기 표 3의 각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편의 수와 그의 비커스 경도에 의한 경도 평가의 결과로부터, 단부 균열 위험률을 산출했다. 산출 결과를 이하의 표 4에 나타낸다.The end crack risk rate was calculated from the number of test pieces in each category in Table 3 and the results of hardness evaluation based on their Vickers hardness. The calcul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고찰)(Review)

상기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예의 6개의 모든 시험편은, 비커스 경도가 290HV 이하였기 때문에, 단부 균열 위험률은 0이었다. 한편, 비교예 1∼비교예 3의 시험편의 단부 균열 위험률은, 0.33, 0.5 또는 1.0이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 온도를 940℃ 이하 또한 수랭 개시 시간을 3.0초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오스테나이트의 회복, 재결정 및/또는 입성장을 억제하여, 강판의 단부 경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4 above, the Vickers hardness of all six test piece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was 290 HV or less, so the risk rate of end cracking was 0. On the other hand, the risk ratio of end cracking of the test piece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as 0.33, 0.5, or 1.0. From these results, by setting the exit temperature of the finish rolling mill to 940°C or lower and the water cooling start time to 3.0 seconds or less, recovery, recrystallization and/or grain growth of austenite can be suppressed, and end hardening of the steel sheet can be suppressed. could know that

본 출원은, 2021년 5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특원 2021-079218호를 기초로 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본원에 포함되는 것이다.This application is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21-079218 filed on May 7, 2021,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luded in this application.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 및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The embodiments and examples disclosed this time should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is intended to include all changes within the meaning and scope equivalent to the claims.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간 압연 시에 있어서의 강판의 단부 균열을 억제할 수 있는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조된 냉간 압연용 강판은, 인장 강도 980MPa 이상의 고장력 냉간 압연 강판을 제조할 때, 수율의 저하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that can suppress cracks at the ends of the steel sheet during cold rolling. The manufactured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can be suitably used without causing the problem of lower yield when manufacturing a high-tensile cold rolled steel sheet with a tensile strength of 980 MPa or more.

Claims (3)

화학 조성에 있어서,
C: 0.15질량% 이상, 0.25질량% 이하,
Si: 0.8질량% 이상, 3.0질량% 이하,
Mn: 1.8질량% 이상, 3.0질량% 이하,
Ni, Cu, Cr, Mo: 1.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Ti, Nb, V: 1.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및
B: 0.01%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를 함유하는 슬래브를, 마무리 압연기의 출측 온도가 800℃ 이상 940℃ 이하가 되도록 열간 압연하는 것과,
상기 열간 압연 후의 강판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마무리 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를 통과하여 런아웃 테이블 상에 송출되고 나서 3.0초 이내에, 상기 강판의 적어도 일부분을 100L/분/m2 이상의 수량(水量) 밀도로 0.1초간 이상 냉각하는 것과,
550℃ 이상의 권취 온도에 있어서 상기 냉각 후의 열연 강판을 권취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
In chemical composition,
C: 0.15 mass% or more, 0.25 mass% or less,
Si: 0.8 mass% or more, 3.0 mass% or less,
Mn: 1.8 mass% or more, 3.0 mass% or less,
Ni, Cu, Cr, Mo: 1.0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Ti, Nb, V: 1.0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and
B: 0.01% or less (including 0 mass%)
Hot rolling the slab containing so that the exit temperature of the finishing mill is 800°C or more and 940°C or less,
Within 3.0 seconds aft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el sheet after the hot rolling passes through the final stand of the finishing mill and is sent out on the runout table,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el sheet is heated at a water density of 100 L/min/m 2 or more for 0.1 second. Over cool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comprising winding the cooled hot rolled steel sheet at a coiling temperature of 550°C or hig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는,
P: 0.1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S: 0.01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Al: 0.10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및
N: 0.01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한다)
를 추가로 함유하는, 냉간 압연용 강판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lab is,
P: 0.1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S: 0.01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Al: 0.10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and
N: 0.01 mass% or less (including 0 mas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further compris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강판을, 30%∼80%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냉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cold rolled steel sheet, further comprising cold rolling the steel sheet manufactur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t a reduction ratio of 30% to 80%.
KR1020237040251A 2021-05-07 2022-04-08 Manufacturing method of cold rolling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ld rolling steel sheet KR2024000056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79218A JP2022172888A (en) 2021-05-07 2021-05-07 Method for producing steel sheet for cold-rolling and method for producing cold-rolled steel sheet
JPJP-P-2021-079218 2021-05-07
PCT/JP2022/017334 WO2022234760A1 (en) 2021-05-07 2022-04-08 Method for producing steel sheet for cold rolling and method for producing cold-rolled steel she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569A true KR20240000569A (en) 2024-01-02

Family

ID=83932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251A KR20240000569A (en) 2021-05-07 2022-04-08 Manufacturing method of cold rolling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ld rolling steel shee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172888A (en)
KR (1) KR20240000569A (en)
CN (1) CN117295831A (en)
WO (1) WO2022234760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1888A (en) 2018-02-21 2019-08-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Cold roll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5205B2 (en) * 2011-07-06 2015-12-0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Cold 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JP6237047B2 (en) * 2013-09-25 2017-11-2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fatigue strength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398210B2 (en) * 2014-02-07 2018-10-03 新日鐵住金株式会社 Cold 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US10787727B2 (en) * 2016-09-21 2020-09-29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sheet
CN112313352B (en) * 2018-06-29 2023-06-27 东洋钢钣株式会社 Hot-rolled steel sheet,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1888A (en) 2018-02-21 2019-08-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Cold roll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4760A1 (en) 2022-11-10
JP2022172888A (en) 2022-11-17
CN117295831A (en)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4265C2 (en) Method of production of hot-rolled flat rolled steel
JP5893769B2 (en) Method for producing 550 MPa class high strength weathering steel strip by strip casting method
JP5609383B2 (en)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195469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thick-walled high-tensile hot-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low-temperature toughness
JP2011052320A (en)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8208454A (en) High-strength steel excellent in delayed fracture resistance and its production method
WO2008093897A1 (en) High tensile steel products excellent in the resistance to delayed fracture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ame
JP5846445B2 (en) Cold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553093B2 (en) Thick high-tensile hot-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low-temperature toughness
US20150218684A1 (en) Cold-Rolled Flat Steel Produc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008266758A (en) High tensile strength steel having excellent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reduced strength anisotrop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04298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thickness accuracy
JP5347540B2 (en) Thick high-tensile hot-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low-temperature toughnes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7350057B2 (en) hot stamp molded body
JP5796781B2 (en) Steel wire for high strength spring excellent in spring workabilit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high strength spring
JP7332859B2 (en) Slab manufacturing method
JP6066023B1 (en) Hot-rolled steel sheet, full-hard cold-rolled steel sheet, and hot-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EP3722449B1 (en) Hot-rolled steel sheet for coiled tub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18373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rod
KR2024000056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ld rolling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ld rolling steel sheet
JP5481941B2 (en) Hot-rolled steel sheet for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JP2013127101A (en) HIGH-STRENGTH STEEL MATERIAL HAVING EXCELLENT MECHANICAL DESCALING PROPERTY AND TENSILE STRENGTH OF 600 MPa OR MO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71900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hot-rolled steel strip with two-phase structure
JPH08337817A (en) Production of ultrahigh tensile strength electric resistance welded tube excellent in hydrogen delayed cracking resistance
JP651529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high strength steel pl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