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411U - Supporting device for beam form - Google Patents

Supporting device for beam 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411U
KR20240000411U KR2020220002075U KR20220002075U KR20240000411U KR 20240000411 U KR20240000411 U KR 20240000411U KR 2020220002075 U KR2020220002075 U KR 2020220002075U KR 20220002075 U KR20220002075 U KR 20220002075U KR 20240000411 U KR20240000411 U KR 202400004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supporting
support
deck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07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티산업
김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티산업, 김상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티산업
Priority to KR2020220002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411U/en
Publication of KR20240000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411U/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 거푸집의 측벽을 지지하는 사이드 지지부와, 보 거푸집의 바닥을 지지하는 멍에재와, 보 거푸집의 코너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지지부와 상기 멍에재에 체결되어 자립형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부는 상기 사이드 지지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멍에재에 전달하고, 보 콘크리트 타설측압으로 발생하는 회전력을 보의 자중에 의해 상쇄가 되도록 구성되어, 보 거푸집을 안전하게 지지하면서도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보 거푸집에 대하여 용이하게 크기를 조절하여 지지할 수 있고, 보 거푸집의 측면과 하면을 각각 지지하는 사이드 지지부와 하부지지부를 서로 체결되어 서로간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고, 보 거푸집의 외부면을 지지하되 바닥면과 측벽에 가해지는 압력이 서로 상쇄될 수 있도록 하는 자립형 지지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 form support device, which includes a side support part supporting the side wall of the beam formwork, a yoke membe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beam formwork, and is installed at a corner of the beam formwork and fastened to the side support part and the yoke member. and includes a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part, wherein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part transmits the load applied from the side support part to the yoke material and is configured to offset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side pressure of placing the beam concrete by the self-weight of the beam, forming the beam formwork. It can safely support beam formwork of various sizes by easily adjusting the size, and the side support and lower support parts that support the side and bottom of the beam formwork, respectively, are fastened to each other and can be fixed while stably supporting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lf-supporting support member that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beam formwork and allow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wall to cancel each other out.

Description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FOR BEAM FORM}Self-supporting beam form support device {SUPPORTING DEVICE FOR BEAM FORM}

본 고안은 보 거푸집의 측면과 밑면을 직각으로 유지하고 보의 폭과 높이의 변화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장치, 여기에 보의 측면거푸집에 전달되는 슬래브의 콘크리트 타설하중을 사이드 지지대가 직접 하부 멍에재를 거쳐 동바리에 도달할 수 있도록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폭과 높이를 갖는 보 거푸집에 대하여 길이와 폭을 조정할 수 있고 지지부의 강성이나 크기를 작게 하더라도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is design is a device that maintains the side and bottom of the beam form at a right angle and can be applied to changes in the width and height of the beam. Here, the side support directly transfers the concrete pouring load of the slab transmitted to the side form of the beam to the lower yoke. It relates to a device that can support a vertical load so that it can reach the beam through the material. More specifically, it can adjust the length and width of beam formwork with various sizes of width and height and adjust the rigidity or size of the support part. This relates to a self-supporting beam form support device that can secure sufficient support even if it is small.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라멘 구조에서는 슬래브(slab)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beam)나 거더(girder) 등의 지지부재에 전달한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기둥을 설치하고, 각각의 기둥은 보로 연결한 후, 보 사이에 슬라브를 설치하게 된다.Generally, in ramen structures such as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or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the load applied to the slab is transmitted to support members such as beams or girders. To construct such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pillars are installed, each pillar is connected with a beam, and then a slab is installed between the beams.

종래의 보나 거더의 거푸집은, 합판 또는 유로폼으로 이루어진 받침패널과 측면패널을 형성하고, 내측에는 철근과 스트럽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있다. The form of a conventional beam or girder forms a support panel and a side panel made of plywood or Euroform, and reinforcing bars and stirrups are installed on the inside to be spaced apart.

이러한 보 거푸집은 거푸집의 설치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물의 설치에도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어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is type of beam formwork had the problem of being uneconomical because it required a lot of manpower to install the form, and it also took a lot of manpower and cost to install a support structure to support the form.

이러한 종래의 보 거푸집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데크플레이트를 보 거푸집으로 이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beam formwork, a method of using a deck plate as a beam formwork has been proposed.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보 거푸집으로는, 종래에는 T형 돌기나 ㄱ자형 돌기를 가지는 데크플레이트를 돌기의 길이방향을 보 거푸집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데크플레이트 보 거푸집은, 돌기의 길이방향이 보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므로, 보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해 돌기 및 데크플레이트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염려가 많기 때문에 돌기에 U자형 스터럽을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여야 하며, 보 거푸집의 외부에는 별도의 보강 가설재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가설재는 공장에서 미리 설치하기 어렵고 현장에서 설치하여야 하므로, 현장에서의 노동력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As a beam form using a deck plate, a method has been proposed in the past to form a deck plate with T-shaped protrusions or L-shaped protrusions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form. However, in the conventional deck plate beam form, sinc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coincides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protrusion and deck plate will be deformed or damaged by the lateral pressure of the concrete when pouring concrete into the beam form. U-shaped stirrups must be fixed by welding, etc., and separate reinforcing temporary members must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eam form. However, these temporary materials are difficult to install in advance at the factory and must be installed on site, which is a problem that increases labor on site. There is.

특히 보의 내부를 작업 통행로 사용할 때 보 거푸집의 내부에 스터럽을 설치한 보의 폭이 좁을 경우 현장에서 작업자가 통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using the inside of the beam as a work passag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workers to pass on site if the width of the beam with stirrups installed inside the beam form is narrow.

또한, 상기 종래의 데크플레이트 보 거푸집은 구조물에 따라서 보의 크기가 변경될 수 밖에 없는데, 다양한 보의 크기에 맞추어 스터럽과 외부의 보강 가설재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eck plate beam formwork inevitably changes the size of the beam depending on the structur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stirrups and external reinforcing temporary members to match the sizes of various beams.

또한, 데크플레이트의 돌기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하여 보 거푸집을 형성하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데크플레이트 보 거푸집은 데크플레이트의 돌기가 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이므로, 보 콘크리트의 타설시 콘크리트의 측압에 견디기 용이하고,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방향에 따라 필요한 만큼만 절단하여 절곡시키면 되므로 다양한 보의 크기에 대하여 대응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는 반면에, 데크플레이트 생산설비를 통해 포밍된 철판을 보의 높이와 폭을 고려하여 부분 절단 후 절곡시키는 공정이 추가되고, 절곡시킨 복수 개의 데크플레이트를 보의 길이만큼 연결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Additionally, a method of forming a beam form by bending the deck plate at a right angl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has been proposed. The conventional deck plate beam formwork has the protrusions of the deck plate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so it is easy to withstand the lateral pressure of the concrete when pouring the beam concrete, and only needs to be cut and bent as nee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k plate, so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Whi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adapt to the size of the beam, a process of partially cutting and then bending the formed steel plate through the deck plate production facility is added considering the height and width of the beam, and a plurality of bent deck plates are added. It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be connec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eam.

한편, 종래의 보 거푸집에 있어서는, 거푸집 동바리 이외에 보 거푸집의 외부에 보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나, 종래의 보 거푸집 지지장치는 보의 크기에 따라 거푸집의 크기가 변경되기 때문에, 다양한 보의 크기에 상응하는 거푸집 지지장치를 설치하는데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beam form, a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the beam form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eam form in addition to the form bar. However, in the conventional beam form support device, the size of the form chang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eam, so there are various There was a problem that it took a lot of time and manpower to install a form suppor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beam.

한국특허 10-1009753호(보 구조용 거푸집)Korean Patent No. 10-1009753 (formwork for beam structure)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 거푸집을 안전하게 지지하면서도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보 거푸집에 대하여 용이하게 크기를 조절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afely support the beam formwork and provide beam formwork of various sizes. The aim is to provide a support member that can be easily adjusted in size to suppor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 거푸집의 측면과 하면을 각각 지지하는 사이드 지지부와 하부지지부를 서로 체결되어 서로간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고, 보 거푸집의 외부면을 지지하되 바닥면과 측벽에 가해지는 압력이 서로 상쇄될 수 있도록 하는 자립형 지지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sten the side supports and the lower supports, which support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beam formwork,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be fixed while stably supporting each other, and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beam formwork, but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wall.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elf-supporting support member that allows the pressures applied to the surface to cancel each other ou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는, 보 거푸집의 측벽을 지지하는 사이드 지지부와, 보 거푸집의 바닥을 지지하는 멍에재와, 보 거푸집의 코너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지지부와 상기 멍에재에 체결되어 자립형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며,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urpose, the self-supporting beam form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corner portion of the beam form, a side support part supporting the side wall of the beam form, a yoke membe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beam form, and the above It includes a side support part and a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part fastened to the yoke material,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부는 상기 사이드 지지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멍에재에 전달하고, 상기 멍에재로부터 가해지는 반발력을 상기 사이드 지지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part transmits the load applied from the side support part to the yoke member, and transmits the repulsive force applied from the yoke member to the side support part.

여기서,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부는,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와, 상기 사이드 지지부와 맞닿아 연결되는 사이드 체결부와,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멍에재에 연결되는 멍에재 체결부와, 상기 멍에재 체결부와 상기 사이드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part includes a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main body, a side fastening part connected to the side support part, a yoke fastening part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yoke material,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necting rib connecting the yoke fastening part and the side fastening part.

여기서, 상기 사이드 체결부는,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의 폭 방향 양측 끝단에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지지부의 2면에 맞닿는 복수의 사이드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이드 고정판은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사이드 고정판과, 상기 제 1 사이드 고정판에 직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 사이드 고정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id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fixing plates form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butting two surfaces of the side support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side fixing plates are A first side fixing plate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support body and protru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main body, and a second side that protrudes from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main body so as to be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first side fixing plate.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fixing plate.

여기서, 상기 사이드 체결부는, 삽입되는 상기 사이드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사이드 고정판에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사이드 고정판에 연결되는 제 2 사이드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ide fastening part is installed on a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fixing plate around the inserted side support part and includes a second side fastening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fixing plate.

여기서, 상기 제 2 사이드 체결부는 일측이 상기 사이드 지지부에 맞닿아 지지하는 제 1 지지면을 가지고, 타측은 상기 제 1 지지면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멍에재에 맞닿아 지지하는 제 2 지지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econd side fastening part has a first support surface on one side of which is supported by abutting against the side support,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surface at a right angle and has a second support surface that supports the yoke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yoke material.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여기서, 상기 제 2 사이드 고정판에는 상기 사이드 지지부의 사이드 지지본체에 형성된 사이드 체결구멍에 연통하는 사이드 체결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econd side fix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 side fastening slit communicating with a sid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side support main body of the side support part is formed.

여기서, 상기 멍에재 체결부는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 체결부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를 향하여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yoke fastening part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fastening par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U-shape open toward the lower part.

여기서, 상기 연결리브는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를 중심으로 상기 사이드 체결부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며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connecting rib is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the side fastener around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beams from the upper end of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보 거푸집을 안전하게 지지하면서도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보 거푸집에 대하여 용이하게 크기를 조절하여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support beam formwork and easily adjust the size of beam formwork of various sizes.

또한, 보 거푸집의 측면과 하면을 각각 지지하는 사이드 지지부와 하부지지부를 서로 체결되어 서로간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고, 보 거푸집의 외부면을 지지하되 바닥면과 측벽에 가해지는 압력이 서로 상쇄될 수 있도록 하는 자립형 지지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support and the bottom support, which support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beam formwork, respectively, ar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stably supported and fixed to each other. They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beam formwork, bu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wall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 self-supporting support member that allows offset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데크보 어셈블리를 이용한 데크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데크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데크보 어셈블리의 측벽 유닛 및 바닥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데크보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고안에 의한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고안에 의한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의 자립형 하부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deck beam system using a deck beam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deck bea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ide wall unit and floor unit of the deck bea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deck bea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lf-supporting beam form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portion of the self-supporting beam form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및 데크보 시스템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elf-supporting beam form support device and deck bea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an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데크보 시스템은 데크보 어셈블리(1)와,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30)와, 상기 데크보 지지장치를 지지하는 보 거푸집 동바리(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7, the deck bea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ck beam assembly (1), a self-supporting beam form support device (30), and a beam form assembly (2) supporting the deck beam support device. Includes.

상기 데크보 어셈블리(1)는, 보 거푸집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 데크유닛(10)과, 보 거푸집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데크유닛(11)을 포함한다. The deck beam assembly 1 includes a side wall deck unit 10 forming the side wall of the beam formwork, and a floor deck unit 11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eam formwork.

본 실시에에서, 상기 데크보 어셈블리(1)는 공장에서 미리 제조된 데크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서로 연결되는 일체의 데크플레이트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측벽 데크유닛(10)과 상기 바닥 데크유닛(11)이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후에 현장에서 상기 바닥 데크유닛에 상기 측벽 데크유닛을 삽입하여 세워 설치함으로써 보 거푸집을 형성하는 분리형 데크보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eck beam assembly (1) is not composed of an integrated deck plate connected to each other by bending a deck plate pre-manufactured in a factory, but is composed of the side wall deck unit (10) and the floor deck unit (11). )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eparate deck beam assembly that forms a beam form by inserting and erecting the side wall deck unit into the floor deck unit at the site after being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데크플레이트의 제조는, 원재료인 철판코일을 언코일하고, 복수의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체결돌기를 형성하는 엠보싱 과정과, 다단계의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데크플레이트 형상으로 포밍하는 포밍과정 및 데크플레이트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The manufacturing of the deck plate includes an embossing process of uncoiling the raw material, steel plate coil, passing it between a plurality of rollers to form a fastening protrusion, a forming process of forming the deck plate shape by passing it between multi-stage rollers, and forming the deck plate to a certain length. This is done through a cutting process.

구조물 및 보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보의 높이와 폭이 다른 다양한 크기의 보가 형성될 수 밖에 없는데, 상기 데크보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보 거푸집을 형성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에 따라 제조되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측벽과 바닥을 형성할 경우, 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체결돌기의 간격 및 체결돌기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야 하고, 이는 엠보싱과정과 포밍과정에 사용되는 복수의 롤러의 크기 및 간격을 매번 조정하여야 하게 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보에 적합하지 않다.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tructure and beam, beams of various sizes with different heights and widths are inevitably formed. When forming a beam form using the deck beam assembly, the deck plate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ocess described above. When forming the side walls and floor using Since this has to be done, it is not suitable for beams of various sizes.

본 발명에서 상기 데크보 어셈블리의 상기 측벽 데크유닛과 상기 바닥 데크유닛은 서로 다른 폭과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데크채널을 서로 체결하여 데크 유닛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wall deck unit and the floor deck unit of the deck beam assembly are configured to form a deck unit by fastening a plurality of deck channels having different widths and shapes to each other.

상기 측벽 데크유닛(10)은 복수의 데크채널(101, 102, 1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ide wall deck unit 10 includes a plurality of deck channels 101, 102, and 103.

상기 복수의 데크채널은 서로 다른 폭과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데크채널의 체결돌기(100a)는 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보 거푸집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The plurality of deck channels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widths and shapes, and the fastening protrusions 100a of the deck channel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and are arranged to face the inside of the beam formwork.

상기 복수의 데크채널은, 상단에 배치되는 제 1 측벽 데크채널(102)과, 상기 제 1 측벽 데크채널의 하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측벽 데크채널(101, 103)을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deck channels includes a first side wall deck channel 102 disposed at the top, and a plurality of second side wall deck channels 101 and 103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side wall deck channel.

상기 제 1 측벽 데크채널(102)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의 끝단의 꺾임돌기(100b)가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하여 설치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side wall deck channel 102 is installed so that the bent protrusions 100b at the ends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face each other.

상기 제 2 측벽 데크채널(101, 103)은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의 끝단의 꺾임돌기가 같은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다. The second side wall deck channels 101 and 103 have fastening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with bent protrusions at the ends facing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제 1 측벽 데크채널과 상기 제 2 측벽 데크채널은, 다양한 폭을 가지는 복수의 채널로 공장에서 미리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 데크채널과 상기 제 2 측벽데크채널은, 예를 들면 100mm, 150mm, 200mm의 폭을 가지는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The first side wall deck channel and the second side wall deck channel may be manufactured in advance at a factory as a plurality of channels having various width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ide wall deck channel and the second side wall deck channel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for example, having a width of 100 mm, 150 mm, and 200 mm.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폭을 가지는 복수의 제 1 측벽 데크채널과 제 2 측벽 데크채널을 조합하여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보의 거푸집으로 구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formwork for beams having various heights can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first side wall deck channels and second side wall deck channels having various widths.

예를 들어, 보의 높이가 600mm인 경우, 상기 제 1 측벽 데크채널과 제 2 측벽 데크채널을 모두 150mm의 폭으로 형성하여 측벽 데크유닛을 구성할 수 있고, 보의 높이가 700mm인 경우, 상기 제 1 측벽 데크채널을 100mm의 폭으로, 제 2 측벽 데크채널을 150mm * 4 의 폭으로 형성하여 측벽 데크유닛을 구성할 수 있고, 보의 높이가 800mm인 경우, 상기 제 1 측벽 데크채널을 100mm의 폭으로, 제 2 측벽 데크채널을 150mm * 4, 100mm * 1로 형성하여 측벽 데크유닛을 구성하는 등 보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폭의 채널을 적절하게 구성하여 다양한 보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height of the beam is 600 mm, the side wall deck unit can be formed by forming both the first side wall deck channel and the second side wall deck channel to a width of 150 mm, and if the height of the beam is 700 mm, the A side wall deck unit can be formed by forming the first side wall deck channel with a width of 100 mm and the second side wall deck channel with a width of 150 mm * 4. When the height of the beam is 800 mm, the first side wall deck channel is 100 mm. With a width of 150mm * 4, 100mm * 1, the second side wall deck channel is formed to form a side wall deck unit, and channels of various widths can be appropriate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eam to respond to various beam heights.

상기 복수의 데크채널은 인접하는 상기 체결돌기(100a)와 상기 꺾임돌기(100b)가 서로 맞물리도록 끼워 맞추고 일정 개소에서 점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eck channels may be fitted so that the adjacent fastening protrusions 100a and the bending protrusions 100b engage with each other, and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spot welding or the like at certain locations.

또한, 상기 복수의 데크채널은 상기 체결돌기의 끝단에 고정바(12)가 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바(12)는 상기 보에 가해지는 하중을 일부 부담하기도 하지만, 주로 상기 복수의 데크채널을 정위치에서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보 거푸집이나 보 구조물에 배치되는 스터럽 철근의 배근만큼 많이 설치할 필요가 없이 예를 들면 1 ~ 3 m 정도의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데크채널의 체결돌기에 용접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eck channels have fixing bars 12 fixed to the ends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by spot welding or the like.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bar 12 bears some of the load applied to the beam, but mainly functions to fix the plurality of deck channels to maintain their shape in the correct position, and is similar to the conventional beam form or beam.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s many stirrup reinforcing bars as are placed in the structure, and are welded and fix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s of the plurality of deck channels at intervals of about 1 to 3 m, for exampl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바(12)는 U자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이형 철근 등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일자형 봉 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1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벽 데크유닛의 높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bar 12 is not formed in a U shape, but may be installed by cutting deformed reinforcing bars, etc. to a certain length to form a straight bar shape. The fixing bar 12 is configur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ide wall deck unit, as shown in Figure 4.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데크채널을 배치한 후에 데크채널끼리를 점 용접으로 서로 체결하여 상기 측벽 데크유닛(10)을 형성한 후에, 상기 측벽 데크유닛에 일정 간격으로 봉 형상의 상기 고정바을 용접하여 설치하여 측벽 데크유닛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측벽 데크유닛을 공장에서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 after arranging the plurality of deck channels, the deck channels are joined to each other by spot welding to form the side wall deck unit 10, and then the rod-shaped unit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wall deck unit. Since the side wall deck unit can be completed by welding and installing the fixing bar, the side wall deck unit can be manufactured simply and easily at the factory.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상기 측벽 데크유닛(10)은 평면 형상에 가깝기 때문에, 복수 개를 적층하더라도 용적을 크게 차지하지 않으므로, 동일한 공간이라도 복수 개의 측벽 데크유닛을 적층할 수 있다. Since the side wall deck unit 10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close to planar shape, it does not occupy a large volume even if a plurality of side wall deck units are stacked, so a plurality of side wall deck units can be stacked even in the same space.

한편, 상기 측벽 데크유닛(10)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는, 인접하거나 교차하는 또 다른 보의 거푸집을 연결하기 위한 보 연결플레이트(14)와, 보 연결용 개구(14a)를 미리 설치하여 현장에 반입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side wall deck unit 10, a beam connection plate 14 for connecting the form of another adjacent or crossing beam and an opening 14a for beam connection are installed in advance at the site. It can be brought in.

상기 바닥 데크유닛(11)은 복수의 데크채널(1111, 111a, 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loor deck unit 11 includes a plurality of deck channels 1111, 111a, and 112.

상기 복수의 데크채널은 서로 다른 폭과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데크채널의 체결돌기(100a)는 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보 거푸집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The plurality of deck channels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widths and shapes, and the fastening protrusions 100a of the deck channel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and are arranged to face the inside of the beam formwork.

상기 바닥 데크유닛(11)은, 바닥에 배치되는 바닥 데크채널(111, 111a)과, 상기 바닥 데크채널의 측면에 배치되는 코너 데크채널(112)을 포함한다. The floor deck unit 11 includes floor deck channels 111 and 111a disposed on the floor, and a corner deck channel 112 disposed on a side of the floor deck channel.

상기 바닥 데크채널은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의 끝단의 꺾임돌기(100b)가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하여 설치되거나 꺾임돌기가 같은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2가지 타입으로 형성되어 보의 폭에 따라 여러 가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floor deck channel is formed in two types, in which the bent protrusions (100b) at the ends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ar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or the bent protrusions are formed facing in the same direction,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beam. Can be used by mixing.

상기 코너 데크채널(112)은 상기 측벽 데크유닛의 하단에 배치되는 데크채널을 감싸도록 복수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코너 데크채널(112)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일측 끝단의 체결돌기는 꺾임돌기를 가지지 않고 상기 측벽 데크유닛의 외부면에 맞닿고, 타측 끝단의 체결돌기는 외측으로 절곡된 꺾임돌기를 가진다. The corner deck channel 112 is formed by bending a plurality of times to surround the deck channel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ide wall deck unit.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corner deck channel 112 is formed by bending into a U shape, the fastening protrusion at one end does not have a bending protrusion and abuts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deck unit, and the other end The fastening protrusion at the end has a bent protrusion bent outward.

상기 코너 데크채널(112)의 내부의 폭은, 상기 측벽 데크유닛의 데크채널의 높이와 상기 고정바의 두께를 합한 길이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벽 데크유닛(10)은 공장에서 평면형태로 제조되고 현장에 적층되어 반입된 후, 현장에서 상기 바닥 데크유닛의 폭 방향 양측끝단의 데크채널에 삽입되어 세워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inner width of the corner deck channel 112 is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deck channel of the side wall deck unit and the thickness of the fixing bar, and the side wall deck unit 10 is factory installed. After being manufactured in a flat form, stacked and brought to the site, 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deck channel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oor deck unit at the site and erected and fastened.

상기 측벽 데크유닛의 데크채널과 마찬가지로, 상기 바닥 데크채널과 상기 코너 데크채널은, 다양한 폭을 가지는 복수의 채널로 공장에서 미리 제조될 수 있고, 다양한 폭을 가지는 복수의 코너 데크채널과 바닥 데크채널을 조합하여 다양한 폭을 가지는 보의 거푸집으로 구성할 수 있다. Like the deck channel of the side wall deck unit, the floor deck channel and the corner deck channel may be pre-manufactured in a factory as a plurality of channels having various widths, and a plurality of corner deck channels and floor deck channels having various widths. It can be combined to form a formwork for beams of various widths.

또한, 상기 복수의 데크채널은 상기 체결돌기의 끝단에 고정바(12)가 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바(12)는 이형 철근 등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일자형 봉 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 데크유닛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바(1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 데크유닛의 폭에서 코너 데크채널의 폭을 제외한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eck channels have fixing bars 12 fixed to the ends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by spot welding or the like. The fixing bar 12 can be installed by cutting deformed reinforcing bars, etc. to a certain length and forming them into a straight bar shape. As shown in FIG. 3, the fixing bar 12 installed on the floor deck unit is configur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loor deck unit minus the width of the corner deck channel.

한편, 상기 측벽 데크유닛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바(12)에 체결되는 간격유지용 고정바(1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용 고정바(121)은 일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바과 함깨 ㅁ자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Meanwhile,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deck unit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bar 121 for maintaining the gap fastened to the fixing bar 12. The fixing bar 121 for maintaining the gap is formed in a straight bar shape or a ]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bar to form a ㅁ shape with the fixing bar.

상기 간격유지용 고정바(121)에는, 세워 설치되는 한 쌍의 상기 측벽 데크유닛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인양기구나 인양용 와이어가 연결되어 조립이 완료된 데크보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인양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gap maintenance fixing bar 121 is supported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 deck units installed upright, and a lifting mechanism or lifting wire is connected to facilitate lifting the assembled deck beam assembly. It is designed for easy installation.

한편, 본 고안에서 보 거푸집은 데크보 어셈블리로 구성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합판 거푸집이나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집, 유로폼 등 다양한 거푸집으로 형성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거푸집을 후술하는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design, the beam formwork is made up of a deck beam assembly as an example,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can be formed with various forms such as plywood formwork, formwork using deck plates, and Euroform, and various types of formwork are described below. It can be supported by beam form support devices.

본 고안에 의한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는, 보 거푸집의 측벽을 지지하는 사이드 지지부(21)와, 보 거푸집의 바닥을 지지하는 멍에재(223)와, 보 거푸집의 코너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지지부와 상기 멍에재에 체결되어 자립형 하부 지지부(30)를 포함한다. The self-supporting beam form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support part 21 supporting the side wall of the beam form, a yoke member 223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beam form, and is installed at a corner of the beam form, and the side support part and a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portion 30 fastened to the yoke material.

상기 사이드 지지부(21)는 상기 하부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보 거푸집의 측벽의 높이에 상응하여 상기 하부 지지부와의 체결위치를 조정가능하게 형성된다. The side support part 21 is detachably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lower support part, and its fastening position with the lower support part is adjustable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side wall of the beam formwork.

상기 사이드 지지부(21)는, 사이드 지지본체(210)와, 사이드 체결핀(212)과, 상부지지채널(213)과, 슬라브 지지부재(13)를 포함한다. The side support portion 21 includes a side support body 210, a side fastening pin 212, an upper support channel 213, and a slab support member 13.

상기 사이드 지지본체(210)는, 예를 들면 기다란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 지지본체(210)는 대략 사각 형상의 각재 파이프로 형성하는 것을 예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side support body 210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the shape of a long bar. In this embodiment, the side support body 210 is formed of a rectangular pipe of approximately square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사이드 지지본체(210)에는 상기 사이드 지지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사이드 체결구멍(211)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 체결구멍(211)에는 상기 사이드 체결핀(212)이 삽입 체결된다. 상기 사이드 체결핀은 보 거푸집의 바닥을 지지하는 상기 하부 지지부의 상단과 하단의 위치에서 각각 상기 사이드 체결구멍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지지부를 일정 위치에 고정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side support body 210, a plurality of side fastening holes 21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support body. The side fastening pin 212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side fastening hole 211. The side fastening pins are fastened to the side fastening holes a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lower support part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beam formwork, respectively, and are configured to fix and support the lower support part at a certain position.

상기 상부지지채널(213)은 상기 사이드 지지본체의 상부끝단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지채널은 예를 들면 ㄴ자 형상의 채널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 지지부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The upper support channel 213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support body. The upper support channel is formed, for example, as an L-shaped channel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lab support member.

상기 슬라브 지지부재(13)는 상기 측벽의 상단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 슬라브 지지부재(13)의 상부면은 상기 측벽의 상단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보의 상부에 설치되는 슬라브 거푸집의 끝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브 지지부재(13)는 상기 제 1 측벽 데크채널(102)와 함께 보 거푸집의 상단에 일정 크기의 폭을 형성하여, 시공시 다소간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슬라브 거푸집의 끝단이 안정적으로 보 거푸집의 상단에 걸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slab support member 13 is installed outside the top of the side wall a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support member 13 is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top of the side wall,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end of the slab formwork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The slab support member 13, together with the first side wall deck channel 102, forms a width of a certain size at the top of the beam formwork, so that even if some errors occur during construction, the end of the slab formwork is stably attached to the beam formwork. It is constructed so that it can be hung over the top.

또한, 상기 슬라브 지지부재(13)는, 예를 들면 나무 재질의 각재로 구성하여, 슬라브 거푸집을 못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더욱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lab support member 13 is made of, for example, wooden square lumber, so that the slab formwork can be connected more stably through fixing means such as nails.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부(30)는 상기 사이드 지지부(21)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멍에재(223)에 전달하고, 상기 멍에재로부터 발생하는 반발력을 상기 사이드 지지부에 전달하여, 하부지지부의 강성이나 크기를 작게 하더라도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part 30 transfers the load applied from the side support part 21 to the yoke material 223 and transfers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from the yoke material to the side support part, thereby changing the rigidity or size of the lower support part. Even if it is small, sufficient support can be secured.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부(30)는, 자립형 하부지지본체(301)와, 사이드 체결부(304, 305)와, 멍에재 체결부(302)와, 연결리브(303)를 포함한다.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part 30 includes a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301, side fastening parts 304 and 305, yoke fastening parts 302, and connecting ribs 303.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301)은 대략 판 형상으로 세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사이드 체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연결리브와 상기 멍에재 체결부가 형성된다.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301 is installed in an approximately plate shape, and the side fastening part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connecting rib and the yoke fastening part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상기 사이드 체결부는 상기 사이드 지지부의 사이드 지지본체(210)와 맞닿아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The side fastening part is configured to contact and connect with the side support body 210 of the side support part to support the side support part.

상기 사이드 체결부는 복수의 사이드 고정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사이드 고정판은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301)의 폭 방향 양측 끝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지지본체의 2면에 맞닿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The side fastening par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de fixing plates, and the plurality of side fixing plates ar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301 and are supported by contacting two surfaces of the side support main body. It is composed.

상기 복수의 사이드 고정판은 제 1 사이드 고정판(304)과, 제 2 사이드 고정판(30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사이드 고정판(304)은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301)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plurality of side fixing plates include a first side fixing plate 304 and a second side fixing plate 305. The first side fixing plate 30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301 and protru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상기 제 2 사이드 고정판(305)은 상기 제 1 사이드 고정판에 직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사이드 고정판(305)에는 사이드 체결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체결슬릿은 상기 사이드 지지부의 사이드 지지본체에 형성된 사이드 체결구멍에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체결핀 등을 상기 사이드 체결슬릿과 상기 사이드체결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사이드 지지본체와 상기 사이드 체결부를 체결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The second side fixing plate 305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so as to be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first side fixing plate. A side fastening slit is formed in the second side fixing plate 305, and the side fastening sl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sid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side support main body of the side support part. It is configured to fasten and support the side support body and the side fastening part by inserting a fastening pin, etc. into the side fastening slit and the side fastening hole.

상기 멍에재 체결부(302)는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멍에재에 체결구멍을 통해 못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연결되고 고정된다. The yoke fastening part 302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and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yoke material through a fastening hole such as a nail or other fastening means.

상기 멍에재 체결부(302)는 상기 사이드 체결부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를 향하여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멍에재의 상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The yoke fastening part 302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fastening part and is formed in a U-shape open toward the bottom, so as to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yoke material.

상기 연결리브(303)는 상기 멍에재 체결부(302)와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리브는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를 중심으로 상기 사이드 체결부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며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지지부(21)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멍에재(223)에 전달하고, 상기 멍에재로부터 발생하는 반발력을 상기 사이드 지지부에 전달하여, 하부지지부의 강성이나 크기를 작게 하더라도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rib 303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yoke fastening portion 302 and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The connecting rib is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fastening part around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and is formed in an upward-and-downward shape from the upper end of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to absorb the load applied from the side support part 21. It is transmitted to the yoke material 223, and the repulsion force generated from the yoke material is transmitt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 so that sufficient support force can be secured even if the rigidity or size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is reduced.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부(30)는 제 2 사이드 체결부(306)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이드 체결부(306)는 삽입되는 상기 사이드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사이드 고정판(304)에 대향하는 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사이드 체결부(306)는 상기 제 2 사이드 고정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part 3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ide fastening part 306. The second side fastening part 306 is install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fixing plate 304 around the inserted side support part. Additionally, the second side fastening portion 306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fixing plate.

상기 제 2 사이드 체결부(306)는 일측이 상기 사이드 지지부에 맞닿아 지지하는 제 1 지지면을 가지고, 타측은 상기 제 1 지지면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멍에재에 맞닿아 지지하는 제 2 지지면을 구비한다. 이로써, 상기 제 2 사이드 체결부는 상기 사이드 지지본체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뿐만 아니라, 상기 사이드 지지본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2 지지면이 멍에재를 가압하고 멍에재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사이드 지지본체의 가압력에 더욱 저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second side fastening portion 306 has a first support surface on one side of which is supported by abutting against the side support,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surface at a right angle and supports a second suppor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yoke material. Provide noodles. Accordingly, the second side fastening portion not only stably fixes the side support body, but also the second support surface presses the yoke materi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ide support body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side support body by the repulsion force of the yoke material. It is designed to be more resistant to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This embodiment only clearly shows part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t is obvious that all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데크보 어셈블리
10 : 측벽 데크유닛
11 : 바닥 데크유닛
21 : 사이드 지지부
30 : 자립형 하부지지부
1: Deck beam assembly
10: Side wall deck unit
11: Floor deck unit
21: side support
30: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Claims (8)

보 거푸집의 측벽을 지지하는 사이드 지지부와,
보 거푸집의 바닥을 지지하는 멍에재와,
보 거푸집의 코너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지지부와 상기 멍에재에 체결되어 자립형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부는 상기 사이드 지지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멍에재에 전달하고, 보 콘크리트 타설측압으로 발생하는 회전력을 보의 자중에 의해 상쇄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A side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side wall of the beam formwork,
A yoke membe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beam formwork,
It is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beam formwork and is fastened to the side support and the yoke material to include a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unit transmits the load applied from the side support unit to the yoke material, and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side pressure of placing the beam concrete is offset by the self-weight of the beam. A self-supporting beam form suppor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부는,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와,
상기 사이드 지지부와 맞닿아 연결되는 사이드 체결부와,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멍에재에 연결되는 멍에재 체결부와,
상기 멍에재 체결부와 상기 사이드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part,
A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A side fastening part connected to the side support part,
A yoke fastening part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and connected to the yoke material,
A self-supporting beam formwork support device comprising a connecting rib connecting the yoke fastening portion and the side fasten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체결부는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의 폭 방향 양측 끝단에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지지부의 2면에 맞닿는 복수의 사이드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이드 고정판은,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사이드 고정판과,
상기 제 1 사이드 고정판에 직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 사이드 고정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id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fixing plates that abut two surfaces of the side support portion,
The plurality of side fixing plates are,
a first side fixing plate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and protru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A self-supporting beam formwork support device comprising a second side fixing plate that protrudes from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so as to be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first side fixing plate.
제 3 항에 있어서,
삽입되는 상기 사이드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사이드 고정판에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사이드 고정판에 연결되는 제 2 사이드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self-supporting beam form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a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fixing plate around the inserted side support part and includes a second side fastening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fixing pla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이드 체결부는,
일측이 상기 사이드 지지부에 맞닿아 지지하는 제 1 지지면을 가지고,
타측은 상기 제 1 지지면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멍에재에 맞닿아 지지하는 제 2 지지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side fastening part is,
One side has a first support surface that abuts and supports the side support,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surface at a right angle and has a second support surface supporting the yoke materi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이드 고정판에는 상기 사이드 지지부의 사이드 지지본체에 형성된 사이드 체결구멍에 연통하는 사이드 체결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self-supporting beam form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ide fixing plate is formed with a side fastening slit communicating with a sid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side support main body of the side support pa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멍에재 체결부는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 체결부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를 향하여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yoke fastening part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fastening part, and is formed in a U-shape open toward the lower part. A self-supporting beam form support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리브는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를 중심으로 상기 사이드 체결부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며 상기 자립형 하부지지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ing rib is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the side fastener centered on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and is formed in an upward and downward shape from the upper end of the self-supporting lower support body.


KR2020220002075U 2022-08-23 2022-08-23 Supporting device for beam form KR2024000041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075U KR20240000411U (en) 2022-08-23 2022-08-23 Supporting device for beam 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075U KR20240000411U (en) 2022-08-23 2022-08-23 Supporting device for beam 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411U true KR20240000411U (en) 2024-03-04

Family

ID=9024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075U KR20240000411U (en) 2022-08-23 2022-08-23 Supporting device for beam 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411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53B1 (en) 2010-07-21 2011-01-19 (주)동하이엔지 Beam structural fo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53B1 (en) 2010-07-21 2011-01-19 (주)동하이엔지 Beam structural 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670B1 (en) Prefabricated beam structure with concrete form
KR101781603B1 (en) Prefabricated beam structure with concrete form
KR102044791B1 (en) the improved girder form
KR102038061B1 (en) An assembly type supporting beam mol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102177975B1 (en) Girder form system using deck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2357050B1 (en) Column form system using deckplate form
KR102144476B1 (en) Modular steel plate form
KR19980702605A (en) Building method of suspension street
KR101900310B1 (en) Pre-fabricated column structure with l-type steel material
KR102029301B1 (en) Prefabricated column assembly with foundation reinforcement part
KR100203016B1 (en) Monolithic beam form
KR20240000411U (en) Supporting device for beam form
KR100889338B1 (en) An Assembly Type panel for mold
KR20240027362A (en) Supporting device for girder form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KR100786144B1 (en) Supporter suitable to matrix for slab using structure
KR101152588B1 (en) Upper panel for SRC column
KR20240027361A (en) On-site assembling deck-plate beam structure
JP6401883B1 (en) Deck plate and deck plate fixing bracket used for it
KR102628550B1 (en) Assembled girder form using deckplate
KR20160150572A (en) Composite intergrated optimized cross-section
KR20240027960A (en) Complex deck-girder assembly
JP2022037522A (en) Beam construction method, and beam formwork support structure
JP6909000B2 (en) Heavy equipment support mechanism
KR102589436B1 (en) Pre-assembled column assembly integrated with finish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