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346U - 다기능 헬스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헬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346U
KR20240000346U KR2020220001997U KR20220001997U KR20240000346U KR 20240000346 U KR20240000346 U KR 20240000346U KR 2020220001997 U KR2020220001997 U KR 2020220001997U KR 20220001997 U KR20220001997 U KR 20220001997U KR 20240000346 U KR20240000346 U KR 202400003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lide rail
handle
support part
exercis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이-헝 치앙
Original Assignee
샤먼 프리타임 레저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먼 프리타임 레저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샤먼 프리타임 레저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220001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346U/ko
Publication of KR202400003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346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76Rowing machines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헬스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다기능 헬스기는 슬라이드 레일부, 지탱부, 손잡이 지탱부를 포함하고, 그중 슬라이드 레일부상에는 슬라이드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세트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세트 상에는 안장이 설치되며, 상술한 슬라이드 레일부의 한 끝단에는 지탱부와 피봇 연결되는 제2연결부품 및 손잡이 지탱부와 피봇 연결되는 제1연결부품이 고정 설치된다. 본 고안은 제1연결부품을 통해 손잡이 지탱부와 슬라이드 레일부 사이의 고정 연결 혹은 흔들림 연결을 구현하게 되고, 제2연결부품을 통해 지탱부와 슬라이드 레일부 사이의 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감쇠부품을 지탱부 상에 설치하고, 감쇠부품의 한 끝단은 분리되는 형태로 손잡이 지탱부 상에 연결되어 헬스기를 복부 운동모드, 로잉머신 모드, 접이 모드 등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운동 기구로 여러 종류의 운동 모드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빈틈없으며 부피가 작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수납하기에 매우 편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헬스기{Multifunctional fitness machine}
본 고안은 헬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기능 헬스기에 관한 것이다.
사회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수준은 현저하게 개선되고 향상되었으며 체력적 노동의 강도는 끊임없이 하락하고 있기 때문에 운동을 통해 단련을 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 이를 위해 현재 시중에는 가정에서 체력 단련을 하기에 적합한 헬스 기자재들이 수도 없이 많이 출시되어 있으며, 사람들은 헬스장뿐만 아니라 가정 내에서도 체력 단련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바쁘게 생활하는 사람들을 위해 운동이 가능한 조건을 제공해 주고 있다.
현재 시중에는 복부 단련기, 로잉머신 기구 등을 포함하여 수많은 종류의 헬스 기자재들이 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종 헬스 기자재들은 사용 기능이 비교적 단일하여 다양한 사용자들의 사용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복부 단련기의 경우 복부 운동에만 사용이 가능하고, 로잉머신 기구의 경우에는 로잉 운동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다양한 운동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일부 업자들은 복부 단련기와 로잉머신 기구를 하나로 결합하여 새로운 헬스기를 완성하였으며, 이렇게 완성된 헬스기를 통해 사용자의 복부 운동 요구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로잉 운동 요구도 만족시킬 수 있게 되었으나, 현재 시중의 복부 운동기와 로잉머신 기구를 결합한 형태의 기자재는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은 다기능 헬스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 사용한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다기능 헬스기를 제공하며, 상기 다기능 헬스기는 슬라이드 레일부, 지탱부, 손잡이 지탱부를 포함하고, 그중 슬라이드 레일부상에는 슬라이드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세트가 설치되며, 슬라이드 세트 상에는 안장이 설치되고, 상술한 슬라이드 레일부의 한 끝단에는 지탱부와 피봇 연결되는 제2연결부품 및 손잡이 지탱부와 피봇 연결되는 제1연결부품이 고정 설치되며, 제1연결부품과 손잡이 지탱부 상에는 모두 서로 대응되어 사용되는 제 1회전버튼구멍이 설치되고, 제1회전버튼구멍 상에는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제1회전버튼이 설치되며, 제2연결부품 상에는 조절홈이 설치되고, 조절홈 상에는 제1위치고정점과 제2위치고정점이 설치된다. 지탱부 상에는 조절홈과 함께 사용되는 삽입핀구멍이 설치되고, 조절홈과 삽입핀구멍 내에는 당김핀이 설치되며, 당김핀은 조절홈 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제1위치고정점 혹은 제2위치고정점의 위치에 고정된다. 당김핀이 조절홈의 제1위치고정점에 고정되었을 때, 지탱부와 슬라이드 레일부는 평행을 이루게 되고, 당김핀이 조절홈의 제2위치고정점에 고정되었을 때, 지탱부와 슬라이드 레일부 사이에는 180°보다 작은 협각이 형성된다.
손잡이 지탱부 상에는 손잡이가 연결 설치되며, 지탱부 상에는 페달이 설치되고, 지탱부 상에는 또한 감쇠부품이 설치되고, 감쇠부품의 한 끝단은 지탱부에 연결되고, 다른 한 끝단은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손잡이 지탱부에 연결된다.
제2연결부품의 조절홈 상에는 또한 제3위치고정점이 설치되며, 당김핀이 제3위치고정점에 고정되었을 때, 지탱부는 슬라이드 레일부 하측에 수납된다.
손잡이 지탱부 상에는 제3연결부품이 설치되고, 제3연결부품과 감쇠부품 상에는 서로 대응되어 사용되는 제2회전버튼구멍이 설치되며, 제2회전버튼구멍 내에는 분리가 가능한 형태의 제2회전버튼이 설치된다.
지탱부 상에는 감쇠부품을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걸림홈이 설치된다.
손잡이는 제4연결부품을 통해 손잡이 지탱부와 연결되며, 손잡이 지탱부 상에는 제1고정구멍과 제2고정구멍이 설치되며, 제4연결부품 상에는 제3고정구멍 및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제3고정구멍을 관통하는 회전버튼이 설치되고, 회전버튼은 제1고정구멍과 제2고정구멍 내에 설치된다.
슬라이드 레일부의 제1연결부품과 가까운 위치에 폼관이 설치되고, 폼관 상에는 폼이 설치된다.
슬라이드 레일부의 다른 한 끝단에는 제1지지대가 설치되고, 지탱부의 페달이 설치된 한 끝단에는 제2지지대가 설치되고,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상에는 미끄럼방지 커버가 설치된다.
슬라이드 레일부의 양 끝단에는 또한 제1완충받침과 제2완충받침이 설치되며, 제1완충받침과 제2완충받침은 슬라이드 세트 하측에 위치하게 되며, 슬라이드 세트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는 제1완충받침과 제2완충받침 사이가 된다.
지탱부는 슬라이드 레일부의 한 끝단에 설치된 제1지탱다리와 연결되고, 제1지탱다리는 지탱부 하측에 설치된다. 당김핀이 제1위치고정점에 위치했을 때, 제1지탱다리의 하단면과 제2연결부품의 하단면은 평평하게 가지런한 상태가 되거나, 혹은 제1지탱다리의 하단면이 제2연결부품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슬라이드 레일부와 연결된 손잡이 지탱부의 한 끝단에는 지탱부를 향해 제2지탱다리가 설치되고, 당김핀이 제2위치고정점에 위치했을 때, 제2지탱다리가 지탱부를 누르며 지지하게 된다.
상술된 방안을 채택하여 사용한 후, 본 고안은 제1연결부품을 통해 손잡이 지탱부와 슬라이드 레일부 사이의 고정 연결 혹은 흔들림 연결을 구현하게 되고, 제2연결부품을 통해 지탱부와 슬라이드 레일부 사이의 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감쇠부품을 지탱부 상에 설치하고, 감쇠부품의 한 끝단은 분리되는 형태로 손잡이 지탱부 상에 연결되어 헬스기를 복부 운동모드, 로잉머신 모드, 접이 모드 등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운동 기구로 여러 종류의 운동 모드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빈틈없으며 부피가 작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수납하기에 매우 편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술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고안인 다기능 헬스기는 복부 운동모드, 로잉머신 모드, 접이 모드 등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나의 운동 기구로 여러 종류의 운동 모드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빈틈없으며 부피가 작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수납하기에 매우 편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 분해도이다.
도 2는 복부 운동모드 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감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복부 운동모드를 로잉머신 모드로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로잉머신 모드 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효과 및 구조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의 신청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9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기능 헬스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기능 헬스기는 슬라이드 레일부(10), 지탱부(30), 손잡이 지탱부(50)를 포함하고, 지탱부(30), 손잡이(60)는 모두 슬라이드 레일부(10)에 움직일 수 있는 형태로 연결되며, 지탱부(30), 손잡이 지탱부(50)와 슬라이드 레일부(10)를 서로 함께 사용하는 방식으로 헬스기가 복부 운동모드와 로잉머신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여, 하나의 헬스기로 여러 가지 종류의 헬스 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슬라이드 레일부(10)상에는 슬라이드 레일부(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세트(20)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세트(20) 상에는 안장(21)이 설치되며, 상술한 슬라이드 레일부(10)의 한 끝단에는 지탱부(30)와 피봇 연결되는 제2연결부품(12) 및 손잡이 지탱부(50)와 피봇 연결되는 제1연결부품(11)이 고정 설치되며, 제1연결부품(11)과 손잡이 지탱부(50) 상에는 모두 서로 대응되어 사용되는 제 1회전버튼구멍(111)이 설치되고, 제1회전버튼구멍(111) 상에는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제1회전버튼(112)이 설치되며, 제2연결부품(12) 상에는 조절홈(121)이 설치되며, 조절홈(121) 상에는 제1위치고정점(122)과 제2위치고정점(123)이 설치된다. 지탱부(30) 상에는 조절홈(121)과 함께 사용되는 삽입핀구멍(31)이 설치되고, 조절홈(121)과 삽입핀구멍(31) 내에는 당김핀(125)이 설치되며, 당김핀(125)은 조절홈(121) 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제1위치고정점(122) 혹은 제2위치고정점(123)의 위치에 고정된다. 당김핀(125)이 조절홈(121)의 제1위치고정점(122)에 고정되었을 때, 지탱부(30)와 슬라이드 레일부(10)는 평행을 이루게 되고(본 평행 상태란 둘 사이의 협각이 180°를 이루는 것을 말하지만, 실제 응용 과정 중에서는 아주 정확하게 180°를 이룬다고 보증할 수 없기 때문에, 둘 사이의 협각이 175°내지 180°사이가 되면 모두 평행으로 간주한다), 당김핀(125)이 조절홈(121)의 제2위치고정점(123)에 고정되었을 때, 지탱부(30)와 슬라이드 레일부(10) 사이에는 180°보다 작은 협각이 형성된다. 손잡이 지탱부(50) 상에는 손잡이가 연결 설치되며, 지탱부(30) 상에는 페달이 설치되고, 지탱부(30) 상에는 또한 감쇠부품(40)이 설치되며, 감쇠부품(40)의 한 끝단은 지탱부(30)에 연결되고, 다른 한 끝단은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손잡이 지탱부(50)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복부 운동모드 혹은 로잉머신 모드를 막론하고 슬라이드 세트가 모드 슬라이드 레일부 상에서 왕복 슬라이드 운동을 하게 된다. 슬라이드 세트(20)가 슬라이드 레일부(10)의 양 끝단까지 이동되었을 때, 과도한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레일부(10)의 양 끝단에 제1완충받침(13)과 제2완충받침(14)을 설치하며, 제1완충받침(13)과 제2완충받침(14)은 슬라이드 세트(20)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슬라이드 세트(20)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는 제1완충받침(13)과 제2완충받침(14) 사이가 된다. 슬라이드 세트(20)가 슬라이드 레일부(10)의 양 끝단까지 슬라이드 이동되었을 때, 제1완충받침(13)과 제2완충받침(14)은 슬라이드 세트(20)에 대해 일정한 완충 작용을 하여 슬라이드 세트(20)가 슬라이드 레일부(10) 양 끝단에 과대한 충격력을 가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헬스기를 편리하게 수납하기 위해, 본 고안은 조절홈(121) 상에 수납 걸림처, 즉 제3위치고정점(124)이 설치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연결부품(12)의 조절홈(121) 상에는 또한 제3위치고정점(124)이 설치되며, 당김핀(125)이 제3위치고정점(124)에 고정되었을 때, 지탱부(30)가 분리되어 접히는 상태로 슬라이드 레일부(10) 하측에 수납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을 더욱 편리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탄력성을 갖춘 당김핀(125)을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 내에서 감쇠부품(40)과 손잡이 지탱부(50)는 제3연결부품(51)을 통해 연결되며, 손잡이 지탱부(50)와 감쇠부품(40)에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연결된 손잡이 지탱부(50) 상에는 제3연결부품(51)이 설치되며, 제3연결부품(51)과 감쇠부품(40) 상에는 서로 대응하여 사용되는 제2회전버튼구멍(52)이 설치된다. 제2회전버튼구멍(52) 내에는 분리가 가능한 형태의 2회전버튼(53)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 내에서 감쇠부품(40)으로 오일압력 실린더를 사용하였고, 지탱부(30) 상에는 감쇠부품을 고정시키는 걸림홈(32)이 설치된다. 부연 설명하자면, 감쇠부품(40)은 당연히 당김 밧줄, 탄력 벨트 등과 같이 탄력을 갖춘 기타 감쇠 장치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본 고안에서 손잡이는 조정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잡이(60)는 제4연결부품(61)을 통해 손잡이 지탱부(50)와 연결되고, 손잡이 지탱부(50) 상에는 제1고정구멍(54)과 제2고정구멍(55)이 설치된다. 제4연결부품(61) 상에는 제3고정구멍(62)이 설치되고, 제3고정구멍(62) 상에는 함께 사용되는 잠금연결부품(56)이 설치되고, 잠금연결부품(56)은 사용 필요에 따라 제1고정구멍(54) 혹은 제2고정구멍(55) 내로 관통되어 설치된다. 복부 운동모드 하에서, 잠금연결부품(56)은 제1고정구멍(54)과 제3고정구멍(62)으로 관통되어 들어가게 된다. 또한, 로잉머신 모드 하에서, 사용자는 손잡이(60)를 제2고정구멍(55) 위치까지 이동시켜 제2고정구멍(55)과 제3고정구멍(62)이 서로 대응되도록 한 후, 이어서 잠금연결부품(56)을 제2고정구멍(55)과 제3고정구멍(62)을 관통하여 손잡이(60)와 손잡이 지탱부(50)를 잠금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사용자의 쾌적함을 위해, 슬라이드 레일부(10)의 제1연결부품(11)과 가까운 위치에는 폼관(22)이 설치되고, 폼관(22) 상에는 폼(23)이 설치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헬스기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안전과 헬스기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설치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슬라이드 레일부(10)의 다른 한 끝단에 제1지지대(71)가 설치되고, 지탱부(30)의 페달이 설치된 한 끝단에 제2지지대(72)가 설치되며, 제1지지대(71)와 제2지지대(72) 상에는 미끄럼방지 커버(73)가 설치된다.
상술한 구조에 기초해 보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헬스기는 3가지 모드가 존재하며, 즉 복부 운동모드, 로잉머신 모드, 접이 모드 등이 존재하게 된다.
복부 운동모드 하에서는 당김핀(125)을 조절홈(121)의 제2위치고정점(123) 위치에 고정시키고, 이를 통해 지탱부(30)와 슬라이드 레일부(10) 사이에 일정한 협각(180°이하)이 형성되며, 이와 동시에 제1회전버튼(112)은 제1연결부품(11)과 손잡이 지탱부(50)의 제1회전버튼구멍(111)을 관통하게 되고, 손잡이 지탱부(50)와 슬라이드 레일부(10) 사이를 고정 관계로 형성시킨다. 이어서 감쇠부품(40)을 지탱부(30)의 걸림홈(32) 상에 고정시키면 된다. 사용자는 양 무릎으로 안장(21) 상에 꿇어 앉아 양손이 손잡이(60)을 잡은 상태에서 힘을 주게 되면 안장(21)이 슬라이드 레일부(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며, 그 결과 사용자의 복부 근육을 단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잠금연결부품(56)은 제1고정구멍(54)과 제2고정구멍(55) 내로 관통되어 설치된다.
로잉머신 모드 하에서는 당김핀(125)을 조절홈(121)의 제1위치고정점(122)에 고정시키게 되며, 이를 통해 지탱부(30)와 슬라이드 레일부(10)가 서로 평행(즉 180°협각을 형성)을 이루게 하고, 이와 동시에 감쇠부품(40)을 걸림홈(32) 내에서 꺼내고 제2회전버튼(53)이 감쇠부품(40) 한 끝단을 손잡이 지탱부(50) 상에 연결되게 하며, 또한 제1회전버튼(112)을 꺼내서 손잡이 지탱부(50)와 슬라이드 레일부(10) 사이의 연결 관계가 피봇 연결 상태로 변동된다. 사용자는 안장(21) 위에 앉아서 양발을 페달 위에 두는 한편 양손으로 손잡이(60)를 잡고, 감쇠부품(40)의 인장력을 극복하면서 손잡이(60)를 일정 범위 내에서 당겨 움직이게 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안장(21)도 역시 슬라이드 레일부(10) 상에서 왕복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되어 노를 젓는 듯한 운동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잠금연결부품(56)은 제2고정구멍(55)의 3고정구멍(62) 내로 관통되어 설치된다.
접이 모드 하에서는, 감쇠부품(40)과 손잡이 지탱부(50) 사이의 연결을 해제시켜야 하며, 즉 제2회전버튼(53)를 꺼내고 이와 동시에 당김핀(125)을 조절홈(121)의 제3위치고정점(124) 위치에 고정시키고 이를 통해 지탱부(30)가 슬라이드 레일부(10)의 하측으로 접혀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제1회전버튼(112)과 제2회전버튼(53)은 복부 운동모드와 로잉머신 모드에서 각각 사용되며,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사용되지는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제1회전버튼(112)과 제2회전버튼(53)은 동일한 회전버튼을 사용해도 무방한다. 즉 헬스기 자체적으로 하나의 회전버튼만 있어도 가능하다. 복부 운동모드일 때, 회전버튼을 제1회전버튼(112)으로 사용하여 제1회전버튼구멍(111) 내에 고정시키고, 또한 로잉머신 모드일때, 회전버튼을 제2회전버튼(53)으로 사용하여 제2회전버튼구멍(52) 내에 고정시키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탱부(30)가 슬라이드 레일부(10)의 한 끝단에 설치된 제1지탱다리(33)에 연결되어 있을 때, 제1지탱다리(33)는 지탱부(30) 하측에 설치된다. 당김핀(125)이 제1위치고정점(122)에 위치했을 때, 제1지탱다리(33)의 아래 끝단과 제2연결부품(12)의 아래 끝단은 평평하면서 가지런한 상태가 되거나 혹은 제1지탱다리(33)의 아래 끝단이 제2연결부품(12)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로잉머신 모드 하에서, 지탱부(30)와 슬라이드 레일부(10)의 연결지점(즉 제2연결부품(12))에서 받는 힘이 비교적 커지게 되며, 그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지탱다리(33)에서 제2연결부품(12)에서 받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일정한 정도의 힘으로 제2연결부품(12)을 보호하게 된다.
이와 동일하게 로잉머신 모드 하에서, 손잡이 지탱부(50)와 슬라이드 레일부(10) 사이에서 받는 힘이 비교적 크게 된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 내에서는 슬라이드 레일부(10)를 손잡이 지탱부(50)의 한 끝단에 지탱부(30)를 향해 설치된 제2지탱다리(15)에 연결시키게 되고, 당김핀(125)이 제2위치고정점(123)에 위치했을 때(즉 로잉머신 모드가 되었을 때), 제2지탱다리(15)가 지탱부(30)를 눌러 지탱시키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운동 상황을 더욱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헬스기 상에 전자시계(80)를 더 설치하며, 이때 전자시계(80)는 구체적으로 손잡이 지탱부(50) 상에 설치된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고안의 관건은 제1연결부품(11)을 통해 손잡이 지탱부(50)와 슬라이드 레일부(10) 사이의 고정 연결 혹은 흔들림 연결을 완성하는 것이고, 제2연결부품(12)은 지탱부(30)와 슬라이드 레일부(10) 사이의 연결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감쇠부품(40)을 지탱부(30) 상에 설치하고, 감쇠부품(40)의 한 끝단은 분리되는 형태로 손잡이 지탱부 상에 연결되어 헬스기를 복부 운동모드, 로잉머신 모드, 접이 모드 등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운동 기구로 여러 종류의 운동 모드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빈틈없으며 부피가 작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수납하기에 매우 편리한 특징을 가지게 된다.
상술한 내용은 또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제된 것일뿐 결코, 이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신청범위 내에서 가한 어떠한 첨가나 수정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슬라이드 레일부
11 제1연결부품
111 제1회전버튼구멍
112 제1회전버튼
12 제2연결부품
121 조절홈
122 제1위치고정점
123 제2위치고정점
124 제3위치고정점
125 당김핀
13 제1완충받침
14 제2완충받침
15 제2지탱다리
20 슬라이드 세트
21 안장
22 폼관
23 폼
30 지탱부
31 삽입핀구멍
32 걸림홈
33 제1지탱다리
40 감쇠부품
41 페달
50 손잡이 지탱부
51 제3연결부품
52 제2회전버튼구멍
53 제2회전버튼
54 제1고정구멍
55 제2고정구멍
56 잠금연결부품
60 손잡이
61 제4연결부품
62 제3고정구멍
71 제1지지대
72 제2지지대
73 미끄럼방지 커버
80 전자시계

Claims (10)

  1. 다기능 헬스기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헬스기는 슬라이드 레일부, 지탱부, 손잡이 지탱부를 포함하고, 그중 슬라이드 레일부상에는 슬라이드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세트가 설치되며, 슬라이드 세트 상에는 안장이 설치되고, 상술한 슬라이드 레일부의 한 끝단에는 지탱부와 피봇 연결되는 제2연결부품 및 손잡이 지탱부와 피봇 연결되는 제1연결부품이 고정 설치되며, 제1연결부품과 손잡이 지탱부 상에는 모두 서로 대응되어 사용되는 제 1회전버튼구멍이 설치되고, 제1회전버튼구멍 상에는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제1회전버튼이 설치되며, 제2연결부품 상에는 조절홈이 설치되고, 조절홈 상에는 제1위치고정점과 제2위치고정점이 설치되며, 지탱부 상에는 조절홈과 함께 사용되는 삽입핀구멍이 설치되고, 조절홈과 삽입핀구멍 내에는 당김핀이 설치되며, 당김핀은 조절홈 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제1위치고정점 혹은 제2위치고정점의 위치에 고정되고, 당김핀이 조절홈의 제1위치고정점에 고정되었을 때, 지탱부와 슬라이드 레일부는 평행을 이루게 되며, 당김핀이 조절홈의 제2위치고정점에 고정되었을 때, 지탱부와 슬라이드 레일부 사이에는 180°보다 작은 협각이 형성되고, 손잡이 지탱부 상에는 손잡이가 연결 설치되며, 지탱부 상에는 페달이 설치되고, 지탱부 상에는 또한 감쇠부품이 설치되며, 감쇠부품의 한 끝단은 지탱부에 연결되고, 다른 한 끝단은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손잡이 지탱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헬스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2연결부품의 조절홈 상에는 또한 제3위치고정점이 설치되며, 당김핀이 제3위치고정점에 고정되었을 때, 지탱부는 슬라이드 레일부 하측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헬스기.
  3.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 지탱부 상에는 제3연결부품이 설치되고, 제3연결부품과 감쇠부품 상에는 서로 대응되어 사용되는 제2회전버튼구멍이 설치되며, 제2회전버튼구멍 내에는 분리가 가능한 형태의 제2회전버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헬스기.
  4. 제1항에 있어서,
    지탱부 상에는 감쇠부품을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걸림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헬스기.
  5.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는 제4연결부품을 통해 손잡이 지탱부와 연결되며, 손잡이 지탱부 상에는 제1고정구멍과 제2고정구멍이 설치되고, 제4연결부품 상에는 제3고정구멍 및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제3고정구멍을 관통하는 회전버튼이 설치되며, 회전버튼은 제1고정구멍과 제2고정구멍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헬스기.
  6.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부의 제1연결부품과 가까운 위치에 폼관이 설치되고, 폼관 상에는 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헬스기.
  7.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부의 다른 한 끝단에는 제1지지대가 설치되고, 지탱부의 페달이 설치된 한 끝단에는 제2지지대가 설치되고,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상에는 미끄럼방지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헬스기.
  8.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부의 양 끝단에는 제1완충받침과 제2완충받침이 설치되고, 제1완충받침과 제2완충받침은 슬라이드 세트 하측에 위치하며, 슬라이드 세트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는 제1완충받침과 제2완충받침 사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헬스기.
  9. 제1항에 있어서,
    지탱부는 슬라이드 레일부의 한 끝단에 설치된 제1지탱다리와 연결되고, 제1지탱다리는 지탱부 하측에 설치되며, 당김핀이 제1위치고정점에 위치했을 때, 제1지탱다리의 하단면과 제2연결부품의 하단면은 평평하게 가지런한 상태가 되거나, 혹은 제1지탱다리의 하단면이 제2연결부품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헬스기.
  10.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부와 연결된 손잡이 지탱부의 한 끝단에는 지탱부를 향해 제2지탱다리가 설치되고, 당김핀이 제2위치고정점에 위치했을 때, 제2지탱다리가 지탱부를 누르며 지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헬스기.
KR2020220001997U 2022-08-17 2022-08-17 다기능 헬스기 KR202400003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997U KR20240000346U (ko) 2022-08-17 2022-08-17 다기능 헬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997U KR20240000346U (ko) 2022-08-17 2022-08-17 다기능 헬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346U true KR20240000346U (ko) 2024-02-26

Family

ID=9004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997U KR20240000346U (ko) 2022-08-17 2022-08-17 다기능 헬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34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6803E1 (en) Portable multipurpose whole body exercise device
US8721507B2 (en) Multi-planar resistance band exercise system
US7169087B2 (en) Cushioned elliptical exerciser
KR102092669B1 (ko)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US7951056B2 (en) Rockable exercise apparatus
US20050187082A1 (en) Exercise system using exercise resistance cables
US20170106227A1 (en) Mountable Exercise Machine
CA2654232C (en) Push-up exercise apparatus
KR20100100758A (ko) 운동 기구용 컴비네이션 그립
US5967950A (en) Load mechanism of body building device
US6544151B2 (en) Exercise apparatus
US20040014570A1 (en) Exercise bench
US7601109B2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CN111672053B (zh) 一种坐卧式多功能健身康复机
EP2929915B1 (en) Fitness apparatus
US20120322626A1 (en) Exercise device including an inelastic sling strap
US20100255969A1 (en) Combined push pad and fixed handle accessory for use with elliptical cross training exercise machine
CN203539986U (zh) 双拉绳多功能仰卧板
KR20240000346U (ko) 다기능 헬스기
US20110218083A1 (en) Upright gluteus isolation weightlifting machine
CN209575618U (zh) 一种多功能体育健身装置
WO2017184841A1 (en) Core exercise machine
CN218187704U (zh) 一种多功能健身器
CN203556091U (zh) 多功能仰卧板
WO2010100415A1 (en) Exercis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