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332A -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332A
KR20240000332A KR1020220121661A KR20220121661A KR20240000332A KR 20240000332 A KR20240000332 A KR 20240000332A KR 1020220121661 A KR1020220121661 A KR 1020220121661A KR 20220121661 A KR20220121661 A KR 20220121661A KR 20240000332 A KR20240000332 A KR 20240000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cartridge
wick
vibrator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호
고경민
서장원
정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PCT/KR2023/00857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49391A1/en
Priority to CN202380013254.4A priority patent/CN117858633A/zh
Publication of KR20240000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05Devices without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Nozzl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전달받는 심지, 상기 심지에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는 진동자 및 상기 심지와 연통되는 무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무화 공간으로 개방되는 제1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심지의 일부 영역과 접하여 상기 심지를 가압하는 가압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CARTRIDG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이하 실시 예들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전통 궐련의 단점을 극복하는 대체 물품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 스틱을 전기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예: 궐련형 전자 담배)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그에 적용되는 궐련 스틱(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초음파 무화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용 카트리지에 있어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심지로 전달하고, 진동자는 심지로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그런데, 심지는 진동자의 진동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카트리지는, 심지의 변형에 의하여 심지의 에어로졸 공급이 저하되거나, 진동자의 진동 전달에 방해가 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에어로졸 발생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전달받는 심지, 상기 심지에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는 진동자 및 상기 심지와 연통되는 무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무화 공간으로 개방되는 제1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심지의 일부 영역과 접하여 상기 심지를 가압하는 가압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압면은, 상기 심지의 마주보는 일부 영역과 실질적으로 밀착하여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가압면에 홈(groove) 구조로 형성되고, 일 단부가 상기 저장조에 연통되어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유동하는 공간인 액상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액상 유로는, 상기 일 단부에 반대되는 타 단부는 상기 무화 공간으로 연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액상 유로를 복수로 포함하고, 복수의 액상 유로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액상 유로는, 상기 제1 개구를 기준으로 상호 실질적으로 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는 상기 무화 공간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을 전달받는 에어로졸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무화 공간으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유로로 연통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2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에어로졸 유로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무화 공간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무화 공간의 외부로 연통되는 제3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 개구는, 상기 무화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3 개구를 복수로 포함하고, 복수의 제3 개구는, 상기 무화 공간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개구와 연통되는 심지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와 접하는 전달 부재 및 상기 전달 부재 및 상기 진동자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심지 홀을 통하여 상기 무화 공간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흡수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전달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전달 부재 및 상기 흡수체를 가압하여 상기 심지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 부재는, 폴리페닐설폰(polyphenylsulfone), 폴리에스테르설폰(polyethersulfo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아미드(polyamide), 실리콘, 세라믹, 글래스, 또는 이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 가능한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는, 심지를 지지 또는 가압하여 심지의 형상을 유지하거나,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보강 부재를 포함하여, 효과적으로 에어로졸 발생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7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제1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와 같은 표현이 배열된 구성요소들 앞에 있을 때, 배열된 각각의 구성이 아닌 전체 구성 요소들을 수식한다. 예를 들면, "a, b, 및 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라는 표현은 a, b, c, 또는 a와 b, a와 c, b와 c, 또는 a와 b와 c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매질을 수용하는 물품으로써 에어로졸이 해당 물품을 통과하며 매질이 이행되는 물품을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대표적인 예로는 궐련을 들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류"(upstream) 또는 "상류 방향"은 사용자(흡연자)의 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류"(downstream) 또는 "하류 방향"은 사용자의 구부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류 및 하류라는 용어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퍼프(puff)"는 사용자의 흡입(inhalation)을 의미하며, 흡입이란 사용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 사용자의 구강 내, 비강 내 또는 폐로 끌어당기는 상황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궐련을 전기적으로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터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할 수 있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르면 히터가 가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궐련은 담배 로드 및 필터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로드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 있고,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 로드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필터 로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 로드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1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는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조립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탈착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카트리지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주입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는 액체 상태, 고체 상태, 기체 상태, 겔(gel) 상태 등의 다양한 상태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는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 또는 무선 신호 등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카트리지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 및 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즉, 액상 조성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에어로졸이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진동 방식은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킴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고, 진동자를 통해 짧은 주기의 진동을 발생시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킬 수 있다. 진동자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초음파 진동일 수 있고,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 대역은 약 100 kHz 내지 약 3.5 MHz 주파수 대역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는 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심지는 진동자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진동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자에 전압(예: 교류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진동자로부터 열 및/또는 초음파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진동자로부터 발생된 열 및/또는 초음파 진동은 심지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전달될 수 있다. 심지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진동자로부터 전달되는 열 및/또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기체의 상(phase)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자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심지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진동자로부터 발생된 초음파 진동에 의해 점도가 낮아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미세 입자화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서셉터(susceptor) 및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코일은 서셉터에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코일에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코일의 내부에는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셉터는 외부 자기장에 의해 발열하는 자성체일 수 있다. 서셉터가 코일의 내부에 위치하여 자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발열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서셉터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크래들(crad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래들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가 가열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는 앞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들에서 구현 가능한 형태로 실시되거나 또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제어부(110), 센싱부(120), 출력부(130), 배터리(140), 히터(150), 사용자 입력부(160), 메모리(170) 및 통신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내부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설계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12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상태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히터(150)의 동작 제어, 흡연의 제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예: 에어로졸 발생 물품, 카트리지 등)의 삽입 여부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120)는 온도 센서(122), 삽입 감지 센서(124) 및 퍼프 센서(12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온도 센서(122)는 히터(150)(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가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히터(150)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거나, 히터(150) 자체가 온도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온도 센서(122)는 배터리(140)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도록 배터리(140)의 주위에 배치된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 감지 센서(124)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 및/또는 제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감지 센서(124)는 필름 센서, 압력 센서, 광 센서, 저항성 센서, 용량성 센서, 유도성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삽입 및/또는 제거됨에 따른 신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퍼프 센서(126)는 기류 통로 또는 기류 채널의 다양한 물리적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센서(126)는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전압 변화 및 압력 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120)는 전술한 센서(122 내지 126) 외에, 온/습도 센서, 기압 센서,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 위치 센서(예컨대, GPS), 근접 센서,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부(13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디스플레이부(132), 햅틱부(134) 및 음향 출력부(13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132)와 터치 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2)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2)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대한 정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배터리(140)의 충/방전 상태, 히터(150)의 예열 상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제거 상태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사용이 제한되는 상태(예: 이상 물품 감지) 등의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32)는 상기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2)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등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2)는 LED 발광 소자 형태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햅틱부(134)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자극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햅틱부(134)는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향 출력부(136)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36)는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14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40)는 히터(15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4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내에 구비된 다른 구성들(예: 센싱부(120), 출력부(130), 사용자 입력부(160), 메모리(170) 및 통신부(18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4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40)는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150)는 배터리(1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배터리(140)의 전력을 변환하여 히터(150)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 회로(예: DC/DC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가 유도 가열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배터리(140)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DC/AC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 센싱부(120), 출력부(130), 사용자 입력부(160), 메모리(170) 및 통신부(180)는 배터리(1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터리(140)의 전력을 변환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 회로, 예를 들면 LDO(low dropout) 회로 또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150)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150)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150)는 유도 가열 방식의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50)는 코일에 의해 인가된 자기장을 통해 발열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150)는 복수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5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제1 히터 및 액상을 가열하기 위한 제2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6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연결 인터페이스(connection interface)를 더 포함하고, USB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배터리(140)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17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제어부(11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 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180)는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80)는 근거리 통신부(182) 및 무선 통신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82)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 통신부(184)는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부, 인터넷 통신부,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부(184)는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를 확인 및 인증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배터리(140)의 전력을 히터(150)에 공급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히터(15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배터리(140)와 히터(150) 사이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부(1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가열직접회로가 히터(15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분석하고, 이후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150)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히터(15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15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5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센서(126)를 통해 카운트된 퍼프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부(132), 햅틱부(134) 및 음향 출력부(13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가 곧 종료될 것을 예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상태에 따라 히터(150)에 대한 전력 공급 시간 및/또는 전력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과습 상태인 경우에, 제어부(110)는 유도 코일에 대한 전력 공급 시간을 제어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일반적인 상태인 경우보다 예열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카트리지(10) 및 본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이하에서 설명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일부 구성은 도 1에서 상술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일부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할 수 있고, 본체(5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10)는 적어도 일부가 본체(50)의 내부(예: 도 3a의 카트리지(10) 체결 영역)에 삽입되어, 카트리지(10) 및 본체(5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체(50)의 적어도 일부가 카트리지(10)로 내부로 삽입되어, 카트리지(10) 및 본체(50)가 연결될 수 있다. 카트리지(10) 및 본체(50)의 체결 방식은 스크류 체결, 자력 체결, 끼움 체결 또는 스냇-핏 체결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10)는 저장조(30), 전달 부재(32) 및 진동자 어셈블리(33)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구성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20)은 카트리지(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내부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20)의 구조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 또는 스틱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하우징(20)은 마우스 피스(23) 및 에어로졸 유로(2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우스 피스(23)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적 또는 간적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우스 피스(23)는 카트리지(10) 내부로, 구체적으로 에어로졸 유로(27)로 연통되는 흡입구(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마우스 피스(23)에 구강을 접촉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서 생성되는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 피스(23)를 흡입하면, 흡입구(25) 및 에어로졸 유로(27)의 압력이 감소하고, 카트리지(10) 내부의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유로(27) 및 흡입구(25)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장조(30)는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조(3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다른 구성(예: 전달 부재(32))로 제공하거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체, 고체, 기체 또는 겔(gel)과 같은 다양한 상태의 물질일 수 있고, 또는 이들 중 일부가 혼합된 상태의 물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 및 담배 함유물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로,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및 과일 향 성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달 부재(32)는 저장조(3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전달 부재(32)는 저장조(30)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에어로졸 유로(27)와 마주볼 수 있다. 전달 부재(32)는 면, 세라믹, 유리 및 다공성 물질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구조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유동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달 부재(32)는 흡습성 또는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심지(wick)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자 어셈블리(33)는 하우징(20) 내부에 위치하고, 전달 부재(32)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자 어셈블리(33)는 진동자(35) 및 진동자(35)의 구동을 제어하는 카트리지 기판(3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자 어셈블리(33)는, 또는 진동자 어셈블리(33) 및 다른 부품(예: 하우징(20)의 일부 영역 및/또는 전달 부재(32))은 무화기(atomizer)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진동자 어셈블리(33)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5a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자 어셈블리(33)는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는 약 100 kHz 내지 3.5 HMz일 수 있다. 진동자 어셈블리(33)의 진동에 의하여 저장조(30)로부터 전달 부재(32)로 전달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기화 및/또는 입자화되어 에어로졸로 무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5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예 : 도 1의 제어부(110)),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 및 다른 구성(예: 도 1의 센싱부(120), 출력부(130), 메모리(170) 및 통신부(180) 중 적어도 일부)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50)는 카트리지 기판(37)과 전기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및/또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어부(110)와 카트리지 기판(37)을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 설명으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 기판(37)은 제어부(110)의 일부 구성으로서 포함될 수 있고, 본체(50)는 제어부(110)의 다른 구성인 본체 기판(예: 도 5a의 본체 기판(2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마우스 피스(223)가 닫힌(close) 상태일 수 있고, 도 3b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마우스 피스(223)가 열린(open) 상태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예: 도 1 또는 도 2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카트리지(210)(예: 도 2의 카트리지(10)) 및 본체(250)(예: 도 2의 본체(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3a 이하에서 도시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 및 그 구성들은, 도 1 및 도 2에서 상술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구현 가능한 실시예 중 하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실제 구현 시에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250)는 제1 바디(250a) 및 제2 바디(2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50a) 및 제2 바디(250b)는 상호 고정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고, 제1 바디(250a) 및 제2 바디(250b) 각각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내부 구성 요소를 수용하고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바디(250a)는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을 포함할 수 있고,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에 카트리지(210)가 체결되면, 카트리지(21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은 제1 바디(250a)의 일 방향(예: + z 방향)의 면에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카트리지(210)가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 안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바디(250b)는 제1 바디(250a)와 체결될 수 있고,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를 그립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바디(250b) 내부에는 온도 센서(예: 도 1의 온도 센서(122)) 및 기판(예: 도 1 또는 도 2의 제어부(110))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바디(250b)가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도시되었으나, 실제 구현 시에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를 들면 기둥형 또는 스틱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210)는 마우스 피스(22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 피스(223)는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또는 틸팅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마우스 피스(223)의 흡입구(225)(예: 도 2의 흡입구(25))가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는 사용하지 않거나, 보관 중인 상태에서는, 마우스 피스(223)는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흡입구(225)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외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마우스 피스(223)를 회전 또는 틸팅 시킬 수 있고, 흡입구(225)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흡입구(225)를 가려줌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는 흡입구(225)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카트리지(2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흡입구(225)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흡입구(225)를 가려줌으로써, 카트리지(210) 내부로부터 에어로졸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일부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도 3a 및 도 3b의 마우스 피스(223)의 구동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 실제 구현 시에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250) 또는 카트리지(210)는 별도의 도어를 포함하여, 카트리지(210)의 흡입구(225)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2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210)는 카트리지 몸체(211) 및 마우스 피스(2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이하에서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상술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거나 그 변형 예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 몸체(211)는 하우징(205) 및 심지(235), 진동자 어셈블리(24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우스 피스(223)는 카트리지 몸체(21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카트리지 몸체(211)와 결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관한 카트리지(210)의 구성 요소들이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205)은 카트리지(21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부에 카트리지(210)의 구성 요소(예: 저장조(230), 심지(235) 및 진동자 어셈블리(240)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205)의 구조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205)은 기둥형 또는 스틱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 상에는 카트리지(210)의 하우징(205)이 전체적으로 사각 기둥 형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 예(미도시)에서, 하우징(205)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사각 기둥이 아닌 다른 다각형 기둥(예: 삼각 기둥, 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205)은 제1 하우징(205a), 제1 하우징(205a)의 일 영역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205b) 및 제1 하우징(205a)의 다른 영역에 연결되는 제3 하우징(205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205b)은 제1 하우징(205a)의 하단(예: -z 방향)에 위치한 일 영역에 결합되고 제1 하우징(205a)과 제2 하우징(205b)의 사이에는 카트리지(210)의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하우징(205c)은 제1 하우징(205a)의 상단(예: +z 방향)에 위치한 일 영역에 결합되고 제3 하우징(205c)의 일 측에 마우스 피스(223)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205a)과 제2 하우징(205b)은 서로의 결합에 의해 카트리지 몸체(211)의 내부에서 기류(예: 공기, 에어로졸)가 이동하는 에어로졸 유로(224)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05a)은 에어로졸 유로(224)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2 하우징(205b)은 에어로졸 유로(224)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205a)과 제2 하우징(205b)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내부 공간에는 진동자 어셈블리(240) 및 심지(235)와 같이 카트리지(21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수용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205a)과 제2 하우징(205b)은 내부 공간에 수용된 구성 요소들을 보호하고, 제3 하우징(205c)은 마우스 피스(223) 및 마우스 피스(223)와 결합 또는 연결되는 다른 구성 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205)은 에어로졸 유로(224)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거나, 하우징(205)의 적어도 일부 구조는 에어로졸 유로(224)의 내벽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205)은 센서 홀(207)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홀(207)은 하우징(205) 중 제2 하우징(205b)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홀(207)은 카트리지(210)가 본체(250)와 결합하는 제2 하우징(205b)의 하단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 홀(207)은 온도 센서(예: 도 5a의 온도 센서(271))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 홀(207)에 대하여는 도 5a 이하에서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마우스 피스(223)는 사용자의 구강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마우스 피스(223)는 하우징(205)의 일 영역에 배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 피스(223)는 제3 하우징(205c)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우스 피스(223)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카트리지(210)는 마우스 피스(22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22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223a)는 개방 위치를 향하여 마우스 피스(223)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체(223a)는 마우스 피스(223)의 회전 축 또는 그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마우스 피스(223)는 탄성체(223a)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탄성체(223a)는 금속 재질(예: SUS)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우스 피스(223)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탄성체(223a)는 마우스 피스(223)의 회전 축에 위치한 비틀림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체(223a)는 마우스 피스(223)가 폐쇄 위치일 때 변형이 상대적으로 큰 상태이고, 마우스 피스(223)가 개방 위치일 때 상대적으로 변형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태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우스 피스(223)는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개방되도록 편향된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우스 피스(223)는 카트리지(210)의 내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카트리지(2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구(2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225)는 일 측이 외부와 연결되고 타 측이 개방 위치에서 에어로졸 유로(224)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 피스(223)에 구강을 접촉하고, 마우스 피스(223)의 흡입구(2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로졸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우스 피스(223)는 받침부(223b)와 함께 제3 하우징(205c)에 회전 또는 틸팅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받침부(223b)는 마우스 피스(223)와 제3 하우징(205c)의 사이에 배치되고, 마우스 피스(223)의 타 측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우스 피스(223), 받침부(223b) 및 제3 하우징(205c)은 회전 축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우스 피스(223)는 제3 하우징(205c)과 견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제3 하우징(205c)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자 어셈블리(240)에 의해 무화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유로(224)를 통해 카트리지(210)의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자 어셈블리(240)의 진동자(예: 도 5b의 진동자(241))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무화 공간(예: 도 5a의 무화 공간(303))과 마우스 피스(223)의 흡입구(225)를 연결 또는 연통하도록 형성된 에어로졸 유로(224)를 따라 유동한 후, 흡입구(225)를 통해 카트리지(2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유로(224)는 제2 하우징(205b)과 제1 하우징(205a)의 내부 구조를 따라 마우스 피스(223)까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유로(224)를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류는, 일정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예: +z 방향, z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 -z 방향, z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 및 +z 방향을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흡입구(225)는 마우스 피스(223)의 내부의 통로를 의미할 수 있다. 흡입구(225)는 마우스 피스(223)가 개방 위치일 때 에어로졸 유로(224)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구(225)는 마우스 피스(223)가 폐쇄 위치일 때 에어로졸 유로(224)와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장조(230)는 제1 하우징(205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저장조(230)의 내부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조(230)에는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지(235)는 저장조(230)와 진동자 어셈블리(240)의 진동자(24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심지(235)는 전달 부재(235a) 및 흡수체(235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달 부재(235a)는 보강 부재(300)와 접할 수 있고, 흡수체(235b)는 전달 부재(235a) 및 진동자(24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전달 부재(235a)는 보강 부재(300)와, 예를 들면 보강 부재(300)의 제1 개구(예: 도 5b 이사의 제1 개구(301))와 연통되는 심지 홀을 포함할 수 있고, 흡수체(235b)는 심지 홀을 통하여 무화 공간(303)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장조(23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전달 부재(235a)를 통해 진동자 어셈블리(240)에 공급될 수 있다. 전달 부재(235a)는 저장조(23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진동자(241) 또는 흡수체(235b)로 전달하거나, 또는 전달 부재(235a)는 진동자(241)로부터 초음파 진동을 제공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부재(235a)는 저장조(230)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할 수 있으며, 전달 부재(235a)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진동자 어셈블리(24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210)는 흡수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진동자 어셈블리(240)에 전달하는 흡수체(235b)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체(235b)는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진동자 어셈블리(240)의 진동자(241)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전달 부재(235a)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전달받고, 이 중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무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흡수체(235b)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체(235b)는 SPL 30(H), SPL 50(H)V, NP 100(V8), SPL 60(FC), 멜라민(Melamine)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210)에 흡수체(235b)가 포함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전달 부재(235a)뿐만 아니라 흡수체(235b)에도 흡수될 수 있게 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흡수량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달 부재(235a)는 흡수체(235b)에 비해 더 빠른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흡수 속도를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달 부재(235a)가 흡수체(235b)에 비해 더 빠른 흡수 속도를 가질 경우, 전달 부재(235a)에 의해 흡수체(235b)에 전달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비교적 흡수 속도가 느린 흡수체(235b)에 의해 진동자(241)로 균일한 속도로 공급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나치게 많은 양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진동자(241)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흡수체(235b)가 진동자(241)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됨에 따라, 흡수체(235b)는 에어로졸의 생성 과정에서 충분히 미립화되지 못한 입자가 곧 바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액튐'을 방지하는 물리적인 장벽으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액튐'은 충분히 미립화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입자가 카트리지(2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카트리지(210)에 흡수체(235b)가 더 포함됨에 따라, 액튐의 발생 가능성이 감소되어, 사용자의 흡연 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흡수체(235b)는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진동자(241)의 일 면과 전달 부재(235a)의 사이에 위치하여, 전달 부재(235a)에 공급된 에어로졸을 진동자(241)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체(235b)의 일 영역은 전달 부재(235a)의 일 방향(예: -z 방향)을 향하는 일 영역과 접촉하고, 흡수체(235b)의 다른 영역은 진동자 어셈블리(240)의 진동자(241)의 일 방향(예: +z 방향)을 향하는 일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즉, 흡수체(235b)는 진동자(241)의 상단면(예: +z 방향의 면 또는 도 5b의 제1 면(241a))에 위치하여, 전달 부재(235a)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진동자 어셈블리(240)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달 부재(235a), 흡수체(235b) 및 진동자 어셈블리(240)는 카트리지(210) 또는 하우징(205)의 길이 방향(예: z축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진동자(241) 상에 흡수체(235b) 및 전달 부재(235a)가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상술한 배치 구조를 통해 저장조(230)에서 전달 부재(235a)로 공급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는 전달 부재(235a)와 접촉하는 흡수체(235b)로 이동하고, 흡수체(235b)로 이동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흡수체(235b)를 따라 이동하여 진동자 어셈블리(240)와 인접한 영역에 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진동자 어셈블리(240)에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진동자 어셈블리(240)는 균일한 양의 에어로졸이 지속적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배치 구조를 통해 전달 부재(235a) 및 흡수체(235b)에 의해 전술한 액튐을 방지하는 물리적인 이중 장벽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면 상에는 전달 부재(235a)와 흡수체(235b)의 각각을 하나씩 포함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카트리지(210)는 전달 부재(235a) 및 흡수체(235b) 중 적어도 하나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전달 부재(235a) 및 흡수체(235b)가 하나의 몸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체(235b)는 전달 부재(235a)와 연결되는 카트리지(210)의 별개의 구성일 수 있고, 또는, 전달 부재(235a) 및 흡수체(235b)는 상호 연결 또는 결합되는 구성 또는 일체의 구성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210)는 카트리지 기판(245)을 접지시키거나, 카트리지 기판(245)을 제2 하우징(205b)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지지판(2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진동자 어셈블리(240)는 진동자(241), 제1 전극체(243), 제2 전극체(244), 지지 구조물(247), 지지판(246) 및 카트리지 기판(24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자 어셈블리(240)는 전달 부재(235a)로 진동을 발생시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자(241)는 전달 부재(235a)로 진동을 발생시켜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진동자(241)는 심지(235)의 전달 부재(235a)를 바라보는 제1 면(241a) 및 제1 면(241a)에 반대되는 제2 면(241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자(241)는 압전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세라믹은 힘이 인가되면 전기가 발생하고, 전기가 인가되면 힘이 발생하여, 전기 및 힘을 상호 변환하는 기능성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자(241)는 인가되는 전기에 의하여 짧은 주기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진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기화 및/또는 입자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자(241)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자(241)에서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는 약 100kHz 내지 10MHz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00kHz 내지 3.5MHz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자(241)가 해당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 진동을 발생함에 따라, 진동자(241)는 카트리지(210) 또는 하우징(205)의 길이 방향(예: z축 방향)을 따라 진동할 수 있다. 다만,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의 진동자(241)가 진동하는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자가 진동하는 방향은 다양한 방향(예: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방향의 조합)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자(241)는 초음파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킴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방식의 경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의도치 않게 섭씨 200 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가 에어로졸에서 탄 맛을 느끼게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관한 카트리지(210)는, 이에 반하여, 초음파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킴으로써, 히터로 가열할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약 섭씨 100 도 내지 160도의 온도 범위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에서 탄 맛이 느껴지는 것이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흡연 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자(241)는 카트리지 기판(245)을 통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자(241)는 카트리지(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 기판(2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카트리지 기판(245)은 본체(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진동자(241)가 배터리(예: 도 1 또는 도 2의 배터리(1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은, 진동자(241)의 제1 면(241a) 위에 위치하여 에어로졸 유로(224)와 연통하는, 무화 공간(예: 도 5a의 무화 공간(303))에서 생성될 수 있다. 개방된 마우스 피스(223)에 대한 사용자의 흡입 동작 시, 무화 공간(303)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유로(224)를 따라 유입된 외부 공기와 혼합되어 흡입구(225)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자(241)는 제1 전극체(243) 및 제2 전극체(244)를 통해 카트리지 기판(2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극체(243)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료(예: 금속)를 포함하며, 진동자(241)의 제1 면(241a)과 접촉할 수 있고, 진동자(241)와 카트리지 기판(245)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극체(243)는 진동자(241)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체(243)의 일 부분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진동자(241)의 적어도 일부(예: 제1 면(241a))가 제1 전극체(243)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체(243)의 일 부분(예: 상단 부분)은 진동자(241)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진동자(241)와 접촉하고, 제1 전극체(243)의 다른 부분(예: 하단 부분)은 일 부분에서 카트리지 기판(245)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카트리지 기판(245)의 일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전극체(243)의 상술한 접촉 구조에 의해, 진동자(241)는 카트리지 기판(2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극체(243)는 개구가 형성되어 진동자(24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전극체(243)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전극체(243)의 개구를 통해 제1 전극체(243)의 외부에 노출되는 진동자(241)의 제1 면(241a)의 일부 영역은 전달 부재(235a) 및/또는 흡수체(235b)와 접촉하여 전달 부재(235a) 및/또는 흡수체(235b)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극체(244)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며, 진동자(241)의 제2 면(241b) 또는 진동자(241)와 카트리지 기판(245)의 사이에 위치할수 있고, 진동자(241)와 카트리지 기판(245)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체(244)는 일 단이 진동자(241)의 제2 면(241b)과 접촉하고, 타 단은 진동자(241)를 향하는 카트리지 기판(245)의 일부 영역에 접촉함에 따라, 진동자(241)가 카트리지 기판(2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극체(244)는 진동자(241)의 제2 면(241b)과 접촉하고 진동자(241)의 제1 면(241a)이 바라보는 방향(예: +z 방향)으로 진동자(241)를 가압할 수 있다. 제2 전극체(244)는 탄성을 갖고, 지지 구조물(247)과 진동자(241)의 타 면 사이에서 압축되어 진동자(241)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극체(244)는 탄성을 갖는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여, 진동자(241)와 카트리지 기판(24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진동자(241)에 대하여 제2 면(241b)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진동자(241)를 지지하는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체(244)는 전도성 스프링(conductive spr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2 전극체(244)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판(246)은 지지 구조물(247)과 카트리지 기판(245)의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카트리지 기판(245)에 체결되어 지지 구조물(247)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판(246)은 카트리지 기판(245)과 제1 전극체(243)의 체결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판(246)은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평면 영역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는 경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246)의 평면 영역과 경사 영역은 일체로 형성되어 경사 영역을 평면 영역과 경사 영역이 가까워지도록 압력을 가할 경우, 반발력이 작용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210)는 진동자(241)의 제2 면(241b)과 카트리지 기판(245)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전극체(244)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24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구조물(247)은 제1 전극체(243)의 내부에 배치되어 진동자(241)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구조물(247)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전극체(243)에 의해 둘러싸이고, 지지 구조물(247)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전극체(243)에 억지 끼워 맞춤 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구조물(247)은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재료(예: 실리콘, 고무)를 포함하며, 제2 전극체(24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2 전극체(244)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자(241)의 일 면은 제1 전극체(243)에 의해 지지되고, 진동자(241)의 타 면은 지지 구조물(24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247)과 접촉하는 진동자(241)의 타 면은 지지 구조물(247)에 의해 타 면에서 일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동자(241)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자(241)의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진동자(241)가 위치를 이탈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 기판(245)은 제2 하우징(205b)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 기판(245)은 진동자(241)와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제1 전극체(243) 및 제2 전극체(244)를 통해 진동자(2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트리지 기판(245)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본체(250)의 내부 구성(예: 도 5a의 본체 기판(27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 기판(245)은 제1 전극체(243) 및 제2 전극체(2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진동자(241)에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카트리지 기판(245)은 제1 전극체(243)의 진동자(241)의 외주면을 감싸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 기판(245)이 제1 전극체(243) 및 제2 전극체(244)에 의해 진동자(2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본체(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진동자(241)는 카트리지 기판(245)을 매개로 카트리지(210)의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210)는 저장조(23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누출되어 에어로졸 유로(224)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유로(224)의 적어도 일부가 저장조(230)에 의해 감싸지도록 배치됨에 따라, 저장조(230)로부터 누출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에어로졸 유로(224)에 유 입되어 사용자의 흡연 만족감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300)는 저장조(230)의 액상 공급구의 주위의 틈(예: 액상 공급구와 전달 부재(235a)의 사이의 틈)을 밀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관한 카트리지(210)에서 보강 부재(300)가 저장조(230)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에어로졸 유로(224)의 내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흡연 만족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300)는 저장조(230)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에어로졸 유로(224)의 내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300)는 원형의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강 부재(300)는 제1 하우징(205a)의 내부에 끼워 맞춤되어 저장조(230)의 외벽과 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300)는 내부에 통로 부분을 가지므로, 저장조(23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에어로졸 유로(224)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진동자(241)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이동하는 에어로졸 유로(224)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300)는 에어로졸 유로(224)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300)는 상면(예: +z 방향의 면)에 제2 개구(예: 도 5a의 제2 개구(30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화 공간(303)은 에어로졸 유로(224)를 향하는 진동자(241)의 제1 면(241a)에 위치하여, 무화 공간(303)과 에어로졸 유로(224)는 진동자(241)의 상단에서 연통할 수 있다. 카트리지(210)는 직선 형태의 에어로졸 배출 경로를 가지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카트리지(21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개구(305)는 무화 공간(303)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유로(224)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구(305)는 보강 부재(300)에서 무화 공간(303)이 에어로졸 유로(224)를 향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무화 공간(303)에서 생성되어 일 방향(예: +z 방향)으로 유동하는 에어로졸은 제2 개구(305)를 통해 마우스 피스(223)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300)는 탄성을 갖는 재료(예: 고무(rubber))를 포함하여 진동자(241)에서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자(241)에서 발생된 초음파 진동이 카트리지(210)의 하우징(205)을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현상이 최 소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300)는 전달 부재(235a)의 상단에 위치하여 전달 부재(235a)를 진동자(241)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보강 부재(300)에 대하여는 도 6a 이하에서 다시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관한 카트리지(210)는 전달 부재(235a) 및/또는 진동자(241)를 제1 하우징(205a)의 내부에 유지시키기 위한 방수 부재(2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방수 부재(249)는 전달 부재(235a), 흡수체(235b) 및/또는 진동자(241)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전달 부재(235a), 흡수체(235b) 및/또는 진동자(241)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방수 부재(249)는 제1 하우징(205a)과 제2 하우징(205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전달 부재(235a), 흡수체(235b) 및/또는 진동자(241)는 제1 하우징(205a)과 제2 하우징(205b)의 사이의 영역에 유지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방수 부재(249)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1 하우징(205a)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방식으로 방수 부재(249)가 제1 하우징(205a)에 결합될 수 있으나, 제1 하우징(205a)과 방수 부재(249)의 결합 방식이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에서, 제1 하우징(205a)과 방수 부재(249)는 스냅-핏 방식, 나사 결합 방식 또는 자력 결합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방수 부재(249)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면서 방수성을 갖는 재료(예: 실리콘, 고무)를 포함하여, 전달 부재(235a) 및 진동자(241)를 제1 하우징(205a)에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저장조(23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 부재(249)는 저장조(230)가 전달 부재(235a) 또는 진동자(241)와 인접한 영역을 밀봉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방수 부재(249)는 보강 부재(300)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갖는 재료(예: 고무(rubber))를 포함하여 진동자(241)에서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방수 부재(249)는 심지(235)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249a)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돌기(249a)는 심지(235)의 전달 부재(235a)에 형성되는 고정 홈(235c)에 인입될 수 있고, 고정 돌기(249a)는 심지(235)를 지지 또는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210)는 제1 하우징(205a)과 제3 하우징(205c)의 결합을 유지하고, 저장조(230)를 밀봉하기 위한 제1 밀봉체(2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밀봉체(236)는 제1 하우징(205a)과 제3 하우징(205c)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밀봉체(236)는 제1 하우징(205a)의 상단에 결합되고, 제3 하우징(205c)의 하단에 결합되어 제1 하우징(205a)과 제3 하우징(205c)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밀봉체(236)는 에어로졸 유로(224)는 밀폐하지 않으면서 저장조(230)는 밀폐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밀봉체(236)는 제1 하우징(205a)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에어로졸 유로(224)가 위치한 부분에는 홀을 포함하고, 저장조(230)가 위치한 부분에는 구멍을 포함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밀봉체(236)는 에어로졸 유로(224)가 막히지 않게 하면서도, 제1 하우징(205a)의 상단에서 저장조(230)와 에어로졸 유로(224)가 분리 또는 격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210)는 제3 하우징(205c)에 결합하여 에어로졸 유로(224)의 주위를 밀봉하는 제2 밀봉체(2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밀봉체(238)는 제3 하우징(205c)의 상단에 결합할 수 있다. 제2 밀봉체(238)는 에어로졸 유로(224)와 대응되는 크기의 홀을 포함하여 에어로졸 유로(224)가 막히지 않도록 하면서도 에어로졸 유로(224)와 흡입구(225)가 연결되는 부분의 주위를 밀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210)는 제1 밀봉체(236)와 제2 밀봉체(238)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밀봉체(236)와 제2 밀봉체(238)는 각각 제3 하우징(205c)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하고, 제1 밀봉체(236)와 제2 밀봉체(238)의 적어도 일부는 제3 하우징(205c)의 내측에서 부분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205a)과 제3 하우징(205c)은 제1 밀봉체(236)와 제2 밀봉체(238)를 매개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밀봉체(236) 및 제2 밀봉체(238)는 제1 하우징(205a) 및/또는 제3 하우징(205c)과 억지 끼워 맞춤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제1 밀봉체(236) 및 제2 밀봉체(238)의 결합 방식이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밀봉체(236) 및 제2 밀봉체(238)는 소정의 강성 및 방수성을 갖는 재료(예: 실리콘)를 포함하여, 제1 하우징(205a) 및/또는 제3 하우징(205c)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에어로졸 유로(224)의 내벽 일부로 기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진동자(241)에 의해 무화되는 과정에서, 일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충분히 무화되지 못하여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액적이 생성될 수 있다. 또는, 무화된 에어로졸의 일부는 기류 통로의 내부에서 액화되어 액적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액적은 에어로졸 유로(224)를 막거나, 다른 경로(예: 도 5a의 유입구(251))를 통하여 카트리지(210)의 외부로 누출되거나, 흡입구(225)를 통해 마우스 피스(223)의 외부로 누출되어 사용자의 편의성 및 흡연 만족감이 저하될 수 있다. 제1 밀봉체(236) 및 제2 밀봉체(238)는 이를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 및 흡연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단면도이고, 도 5b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확대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b은 도 5a에 도시된 P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는 온도 센서(271) 및 렌즈(2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에 삽입되는 카트리지(210)는 도 4의 진동자 어셈블리(240)를 포함하는 카트리지(210)일 수 있으나,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카트리지(210)가 삽입된 상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210)는 본체(250)의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은 카트리지(210)가 결합되는 본체(250)의 일 부분일 수 있다. 고정 부재(255a)는 폐쇄 위치에 위치한 마우스 피스(223)를 유지 또는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은 카트리지(2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은 카트리지(210)의 마우스 피스(223)의 적어도 일부 영역 및 카트리지 몸체(예: 도 4의 카트리지 몸체(221))가 수용 또는 삽입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2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예: 하우징(205)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210)의 카트리지 몸체(221)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제1 자성체(미도시)가 포함되고, 본체(250)의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제2 자성체(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성체(미도시)는 카트리지 몸체(221)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제2 자성체(미도시)는 삽입된 카트리지 몸체(221)의 하부면과 마주보는 본체(250)의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카트리지(210)는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는 마우스 피스(223)를 특정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255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50)는 폐쇄된 마우스 피스(223)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는 고정 부재(255a)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255a)는 폐쇄 위치의 마우스 피스(223)를 수납하는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의 일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마우스 피스(223) 폐쇄 시, 마우스 피스(223)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다. 마우스 피스(223)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면, 고정 부재(255a)는 마우스 피스(223)에 유지력을 제공하여 마우스 피스(223)를 폐쇄 위치에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255a)는 마우스 피스(223)의 일 단부에 자력, 탄성력 및/또는 마찰력을 제공하여 마우스 피스(223)가 폐쇄 위치에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마우스 피스(223)를 개방 시, 마우스 피스(223)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마우스 피스(223)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마우스 피스(223)의 타 측을 소정의 힘 이상으로 가압하면, 마우스 피스(223)가 고정 부재(255a)와 분리되어, 마우스 피스(223)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부재(255a)와 마우스 피스(223)의 일 단은 각각 반대의 극성을 갖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우스 피스(223)의 일 단부가 폐쇄 위 치와 소정의 거리만큼 가까워지면, 자력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마우스 피스(223)가 폐쇄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는 흡입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감지센서(미도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내부 압력 변화 또는 기류의 흐름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를 흡입하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흡입감지센서(미도시)는 카트리지(210) 또는 본체(250) 중 어느 곳에도 위치할 수 있다. 카트리지(210)는 내부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모두 소모되면 교체되는 소모품일 수 있으므로, 흡입감지센서(미도시)는 본체(250)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흡입감지센서(미도시)는 본체(250)의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감지센서(미도시)는 본체(250)에 결합된 카트리지(210)의 외주면에 인접하는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의 일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 로, 흡입감지센서(미도시)는 본체(250)에 결합된 카트리지(210)의 하우징(205)의 외주면을 마주보는 본체(250)의 일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공기는 결합된 본체(250)와 카트리지(210)의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흡입감지센서(미도시)가 외부 공기가 흐르는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본체(250)의 내부의 압력 변화 또는 기류의 흐름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250)는 본체(250)의 외부의 공기가 본체(250) 및 카트리지(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25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251)는, 카트리지(2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예: 센서 홀(207))를 통하여 카트리지(210)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300)는 제1 개구(301), 무화 공간(303) 및 제2 개구(3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301)는 보강 부재(300)의 하부면 또는 바닥면(예: 도 6a의 가압면(315))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301)는 심지(235)의 전달 부재(235a) 및/또는 진동자(241)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부재(300)는 제1 개구(301)를 통하여 심지(235)로부터 무화 공간(303)으로 연통될 수 있다. 제2 개구(305)는 무화 공간(303) 및 에어로졸 유로(224) 사이에 형성되어, 무화 공간(303)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이 제2 개구(305)를 통과하여 에어로졸 유로(224)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류는 유입구(251)로부터 보강 부재(300)의 무화 공간(303)을 통과하여 흡입구(225)를 향하는 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방향'은 사용자가 마우스 피스(223)를 흡입하면 기류가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방향은 유입구(251)에서 무화 공간(303)을 향하는 방향과 무화 공간(303)에서 흡입구(225)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의 일 면(예: 바닥면)에는 렌즈(273)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273)는 카트리지(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210)의 일부 영역(예: 카트리지(210)의 센서 홀(207))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온도 센서(271)는 본체(250)에서, 카트리지 체결 영역(255)과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온도 센서(271)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센서(271)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 및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271)는 수광부에서 감지하는 광량을 통하여 대상 물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의 온도 센서(271)는 발광부를 포함하지 않고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부는 대상 물체로부터 발산 및/또는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통하여, 대상 물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의 적외선 센서의 온도 센서(271)의 구동에 대한 예시적 설명이고, 실제 구현 시에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온도 센서(271)는 본체 기판(272)과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본체 기판(272)에 실장 또는 배치될 수 있다. 본체 기판(272)은 본체(250)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 기판(272)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제어부(예: 도 1 또는 도 2의 제어부(110)) 자체이거나, 또는 일부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카트리지 기판(245) 및 본체 기판(272)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기판(245) 및 본체 기판(272)은 상호 전기적으로 및/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 기판(272)은 케이블 또는 도선을 통하여 카트리지(210)의 카트리지 몸체(221)의 내부로 접속되고, 카트리지(210)의 카트리지 기판(245)과 연결될 수 있다. 카트리지(210)의 카트리지 기판(245)은 진동자(241)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고 있으므로, 카트리지 기판(245)을 매개로 진동자(241)는 본체(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진동자(241)는 본체 기판(272)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될 수 있고, 또는, 진동자(241)는 본체(250)의 배터리(예: 도 1 또는 도 2의 배터리(1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온도 센서(271)는 진동자(241)의 제2 면(241b)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진동자(241)는 구동되어 진동을 발생시킴에 따라 열을 방출할 수 있고, 진동자(241)가 과열되면 진동자(241) 또는 주변 부품이 파손되거나, 진동자(241)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온도 센서(271)는 진동자(241)의 제2 면(241b)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접적으로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제어부는 진동자(24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자(241)가 가열되면, 진동자(241)의 제2 면(241b)의 중심 영역이 먼저 온도가 변화할 수 있다. 온도 센서(271)가 진동자(241)의 제2 면(241b)의 중심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온도 센서(271) 및 진동자(241) 사이의 장애물이 없거나 또는 최소화되거나, 온도 센서(271) 및 진동자(241) 사이의 경로가 단축되거나, 및/또는 온도 센서(271) 및 진동자(241) 사이의 빛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온도 센서(271)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동자(241)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외선 센서인 온도 센서(271)는, 대상 물체와의 거리가 먼 경우 감지 결과의 정확도가 떨어지고, 신속하게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273)는 센서 홀(207) 및 온도 센서(27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렌즈(273)는 온도 센서(271)의 감지 범위(또는, 적외선 센서인 온도 센서(271)의 화각)를 넓혀줄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273)는 온도 센서(271)에서 방출되는 빛을 집광하여 진동자(241)의 제2 면(241b) 방향으로 광로를 제어할 수 있다. 및/또는, 렌즈(273)는 진동자(241)에서 반사되는 빛(또는 온도 센서(271)가 방출하고 진동자(241)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빛)을 집광하여 온도 센서(271) 방향으로 광로를 제어할 수 있다. 렌즈(273)를 통하여, 온도 센서(271)는 정확하고 신속하게 진동자(241)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부재(300)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부재(300)의 측면도이고, 도 6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부재(300)의 평면도이고, 도 6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부재(300)의 배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보강 부재(300)는 가압면(315), 몸체(310) 및 헤드(318)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300)는 심지(예: 도 4 내지 도 5b의 심지(235))의 상단에 위치하여 심지(235)를 진동자(예: 도 4 내지 도 5b의 진동자(241))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심지(235)와 진동자(241)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300)는 심지(235)의 전달 부재(예: 도 4 내지 도 5b의 전달 부재(235a)) 및/또는 흡수체(예: 도 4 내지 도 5b의 흡수체(235b))를 일 방향(예: -z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흡수체(235b)와 진동자(241)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압면(315)은 심지(235)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가압하기 위한 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면(315)은 보강 부재(300)의 외주면 중 심지(235)와 마주보는 면일 수 있고, 가압면(315)은 심지(235)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면(315)은 심지(235)의 마주보는 일부 영역과 실질적으로 밀착하여 접촉할 수 있고, 심지(235)를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압면(315)에는 심지(235)와 마주보도록 개방된 제1 개구(30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개구(301)는 무화 공간(303)으로 개방되어, 제1 개구(301)를 통하여 심지(235)는 무화 공간(303)으로 연통될 수 있고, 심지(235)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이 무화 공간(303)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310)는 보강 부재(300)를 형성하는 몸체 내지 하우징일 수 있고, 몸체(310)의 내부에는 무화 공간(303)이 마련될 수 있다. 무화 공간(303)은 제1 개구(301)와 연통되어, 심지(235)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이 이동하는 경로이거나, 또는 에어로졸이 일시적으로 잔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몸체(310)의 외주면은 제2 하우징(205b) 또는 저장조(23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헤드(318)는 몸체(310)로부터 가압면(315)에 반대되는 방향(예: +z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헤드(318)에는 무화 공간(303)으로부터 에어로졸 유로(예: 도 5a 및 도 5b의 에어로졸 유로(224))로 연통되는 제2 개구(305)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지(235) 및 진동자(241)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무화 공간(303) 및 제2 개구(305)를 통과하여 에어로졸 유로(224)로 전달될 수 있다. 헤드(318)는 몸체(310)로부터 에어로졸 유로(224)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헤드(318)의 외주면은 제2 하우징(205b) 또는 에어로졸 유로(224)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압면(315)은 몸체(310)를 기준으로 심지(235)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예: x-y 평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압면(315)은 심지(235)를, 예를 들면 심지(235)의 전달 부재(235a)를 가압하기 위한 면으로, 심지(235) 또는 전달 부재(235a)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310)는 제2 하우징(205b) 및/또는 저장조(23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가압면(315)은 심지(235)와 접함으로써, 가압면(315)을 통하여 보강 부재(300)는 심지(235)를 고정 또는 가압할 수 있고, 심지(235)를 지지하여 심지(235)의 형상 변화를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예: 도 3a, 도 3b 또는 도 5a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가 구동되면, 심지(235)는 진동자(241)에 의하여 초음파를 전달받을 수 있고, 및/또는 진동자(241)의 구동에 의하여 심지(235)는 고온(예: 약 섭씨 100도 내지 150도의 온도)으로 가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지(235)는 진동자(241)에 의해 진동되고 및/또는 고온으로 가열되며, 변형 또는 변성될 수 있다. 심지(235)의 형상이 변형되면, 심지(235)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전달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또는 진동자(241)로부터의 초음파 전달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에어로졸 생성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300)는 내부에 무화 공간(303)을 형성하고, 가압면(315)을 통하여 심지(235)의, 예를 들면 전달 부재(235a)의, 상면의 고르게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 부재(300)는 전달 부재(235a)를 가압함으로써 전달 부재(235a) 및 흡수체(235b)를 가압하여 심지(235)를 지지 또는 고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강 부재(300)는 심지(235)의 변형 또는 변성을 방지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에어로졸 생성 효율을 개선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제품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압면(315)은 돌출부(315a)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15a)는 방수 부재(249)의 고정 돌기(249a)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15a)는 보강 부재(300)가 방수 부재(249)에 안착된 상태에서, 보강 부재(300)가 회전하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보강 부재(30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액상 유로(320)는 가압면(315)에서 심지(23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예: +z 방향)으로 오목지게 또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액상 유로(320)의 일 단부는 저장조(예: 도 4의 저장조(230))에 연통될 수 있고, 액상 유로(32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유동하는 공간일 수 있다. 액상 유로(320)는 가압면(315)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홈(groove) 구조일 수 있다.. 액상 유로(320)는 저장조(230)로부터 심지(235)로 전달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전달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액상 유로(320)와 저장조(230)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는,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액상 유로(320)는 심지(235)와 보강 부재(300)의 가압면(315)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는 액상 유로(320)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는, 보강 부재(300)의 가압면(315)이 심지(235)를 가압하는 상황에서, 액상 유로(320)에 대응되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심지(235)를 덜 가압하거나, 심지(235)를 가압하지 않을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는 액상 유로(320)에 대응되는 심지(235)의 일부 영역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액상 유로(320)의 일 단부는 저장조(230)에 연통되고, 이에 반대되는 타 단부는 무화 공간(303)으로 연통될 수 있다. 액상 유로(320)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가 심지(235)를 거치지 않고 무화 공간(303)으로 직접적으로(directly) 이동할 수 있다. 액상 유로(320)의 면적 또는 높이와 같은 구조적 요인에 따라, 액상 유로(320)를 통하여 전달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액상 유로(32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무화 공간(303)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심지(235)를 도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액상 유로(320)는 상호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액상 유로(320)는 제1 개구(301)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액상 유로(320)가 대칭 형성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복수의 방향으로 균일하게 무화 공간(303) 또는 심지(235)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300)는 몸체(310)의 측면에 마련되고, 무화 공간(303)으로 연통되는 제3 개구(3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개구(309)에 대하여는,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300)는 고온의 환경에서 그 형상 및/또는 강도를 유지하도록, 내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보강 부재(300)는 가열됨에 따라 환경 호르몬 또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방출되지 않도록, 친환경 또는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 부재(300)는 폴리페닐설폰(polyphenylsulfone), 폴리에스테르설폰(polyethersulfo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아미드(polyamide), 실리콘, 세라믹, 글래스, 또는 이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30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 가능한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보강 부재(300)의 무화 공간(303)은 다공성 및/또는 방수 소재로 코팅될 수 있다. 무화 공간(303)에서 진동자(241)의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에어로졸이 발생하는 동안,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는 미립화되지 못한 상태로 심지(235) 또는 진동자(241)로부터 튀는 액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보강 부재(300)는 다공성 및/또는 방수 소재를 포함함으로써, 액튐 형상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다시 심지(235) 또는 진동자(241)로 전달할 수 있다.
도 7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210)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210)의 제1 하우징(205a)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210)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c는 도 7a의 제2 하우징(205b)이 도 7a의 제1 하우징(205a)에 결합된 상태에서, 저장조(230)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면, 제1 하우징(205a)은 액상 개구(231) 및 외기 유로(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락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액상 개구(231)는 제1 하우징(205a)의 저장조(230)의 일 면에, 예를 들면 심지(235)를 바라보는 방향(예: -z 방향)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액상 개구(23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심지(235)로 전달되기 위한 개구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05a) 및 제2 하우징(205b)이 결합된 상태에서, 저장조(230)는 액상 개구(231)를 통하여 심지(235)로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235)의 전달 부재(235a)는 저장조(230)와, 특히 저장조(230)의 액상 개구(231)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저장조(230)로부터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저장조(23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저장조(230)에 형성되는 액상 개구(231)를 통해 저장조(2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전달 부재(235a)는 저장조(230)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저장조(23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300)의 액상 유로(320)의 일 단부는, 제1 하우징(205a) 및 제2 하우징(205b)이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액상 개구(231)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조(230)는 액상 유로(320)와 실질적으로 직접적으로 연통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심지(235) 또는 무화 공간(303)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기 유로(232)는 본체(예: 도 5a의 본체(250))의 유입구(예: 도 5a의 유입구(251))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기 유로(232)는 카트리지(2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예: 도 5a 및 도 5b의 센서 홀(207))를 통하여 본체의 유입구(251)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카트리지(210)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기 유로(232)는 저장조(230)와 분리될 수 있고, 보강 부재(300)의 제3 개구(309)와 연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개구(309)는 보강 부재(300)에서, 예를 들면 무화 공간(303)의 일 측면에서 무화 공간의 외부303)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부재(300)의 외부로부터 무화 공간(303)으로 연통될 수 있다. 제3 개구(309)는 무화 공간(303)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 또는 카트리지(21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300)는 카트리지(210)의 제1 하우징(205a)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250)에 형성된 유입구(251)를 통해 카트리지(21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외기 유로(232) 및 제3 개구(309)를 통하여 무화 공간(30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개구(309)로부터 무화 공간(303)으로 진행되는 부분에서, 기류의 흐름의 진행 경로가 급격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류가 무화 공간(303)에서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고 와류의 발생 가능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 결과, 무화 공간(303)으로 유입된 외기와 생성된 에어로졸의 혼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마우스 피스(예: 도 3a 내지 도 5b의 마우스 피스(223))에 구강을 접촉하고 흡입 동작을 실시하면 카트리지(210)의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게 되어, 외부 공기는 본체(250)의 유입구(251)를 통해 카트리지(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기 유로(232)는 유입구(251)로부터 제3 개구(309)를 통하여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무화 공간(303)과 흡입구(예: 도 3a 내지 도 5b의 흡입구(225))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기 유로(232)는 카트리지(21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제1 하우징(205a), 제2 하우징(205b) 또는 마우스 피스(22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이를 변형하여 외기 유로(232)의 적어도 일부는 카트리지(210)의 내부에 삽입된 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에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전달받는 심지;
    상기 심지에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는 진동자; 및
    상기 심지와 연통되는 무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무화 공간으로 개방되는 제1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심지의 일부 영역과 접하여 상기 심지를 가압하는 가압면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은,
    상기 심지의 마주보는 일부 영역과 실질적으로 밀착하여 접촉하는,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가압면에 홈(groove) 구조로 형성되고, 일 단부가 상기 저장조에 연통되어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유동하는 공간인 액상 유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유로는,
    상기 일 단부에 반대되는 타 단부가 상기 무화 공간으로 연통되는, 카트리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액상 유로를 복수로 포함하고,
    복수의 액상 유로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상 유로는,
    상기 제1 개구를 기준으로 상호 실질적으로 대칭되는, 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 공간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을 전달받는 에어로졸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무화 공간으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유로로 연통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2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에어로졸 유로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무화 공간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무화 공간의 외부로 연통되는 제3 개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는,
    상기 무화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와 연통되는, 카트리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3 개구를 복수로 포함하고,
    복수의 제3 개구는, 상기 무화 공간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카트리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개구와 연통되는 심지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와 접하는 전달 부재 및
    상기 전달 부재 및 상기 진동자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심지 홀을 통하여 상기 무화 공간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전달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전달 부재 및 상기 흡수체를 가압하여 상기 심지를 고정하는, 카트리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폴리페닐설폰(polyphenylsulfone), 폴리에스테르설폰(polyethersulfo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아미드(polyamide), 실리콘, 세라믹, 글래스, 또는 이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 가능한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KR1020220121661A 2022-06-23 2022-09-26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 KR20240000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8570 WO2023249391A1 (en) 2022-06-23 2023-06-21 Cartridg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CN202380013254.4A CN117858633A (zh) 2022-06-23 2023-06-21 用于气溶胶生成装置的烟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76815 2022-06-23
KR1020220076815 2022-06-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332A true KR20240000332A (ko) 2024-01-02

Family

ID=8951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661A KR20240000332A (ko) 2022-06-23 2022-09-26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3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212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6275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7007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40000332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
JP7472303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626889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71207B1 (ko)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67679A (ko)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47768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5107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40000331A (ko) 진동자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 및 진동자의 제조 방법
KR10265710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36655B1 (ko)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31935B1 (ko)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470821B2 (ja) カートリッジ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CN117858633A (zh) 用于气溶胶生成装置的烟弹
KR10264517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22053A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2176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44202B1 (ko) 진동자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7769367A (zh) 包括温度传感器的气溶胶生成装置
KR102648881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571203B1 (ko) 진동자 밀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 시스템
KR20240054848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이에 수용되는 스틱
KR20240020640A (ko) 증기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