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174A - 콘텐츠 투사용 함체 - Google Patents

콘텐츠 투사용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174A
KR20240000174A KR1020220076807A KR20220076807A KR20240000174A KR 20240000174 A KR20240000174 A KR 20240000174A KR 1020220076807 A KR1020220076807 A KR 1020220076807A KR 20220076807 A KR20220076807 A KR 20220076807A KR 20240000174 A KR20240000174 A KR 20240000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nit
projection
enclosure
inte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정
Original Assignee
페인트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인트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페인트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6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174A/ko
Publication of KR20240000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17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4Coo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투사용 함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젝터를 통해 투사면에 콘텐츠를 투사하고,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감지하여 사용자와 해당 콘텐츠 사이의 인터랙션을 제어하며, 방열을 통해 벌레를 퇴치하고 콘텐츠의 출력크기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텐츠 투사용 함체{ENCLOSER FOR CONTENTS PROJECTION}
본 발명은 콘텐츠 투사용 함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젝터를 통해 투사면에 콘텐츠를 투사하고, 상기 투사한 콘텐츠의 출력크기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의 출력크기에 연동하여 사용자와 해당 콘텐츠 사이의 인터랙션을 제어하며, 함체의 내부에서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에 벌레가 달라붙거나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동작을 인식하여 교육, 문화, 오락, 게임, 운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보고, 듣고, 만지고, 공감하는 체험형 콘텐츠인 실감형 콘텐츠가 매우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바닥면, 천정, 벽면 등에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이나 홍보, 교육, 운동 등을 위한 콘텐츠를 투사하고, 상기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감지하여 해당 콘텐츠의 세부내용을 텍스트, 음성, 새로운 콘텐츠 등을 이용하여 추가로 제공하거나 파생되는 이벤트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참여와 즐거움을 유도할 수 있다.
실제 사용자가 이러한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콘텐츠를 바닥, 벽, 천정 등에 투사하는 프로젝터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필요하지만, 프로젝터와 센서의 설치 위치나 투사거리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환경이나 공간이 많이 존재한다.
또한 기존에는 상기 콘텐츠의 출력범위가 고정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콘텐츠가 투사되는 근거리의 바닥면과 같이 투사면이 충분히 구비되지 않으면 사용하기 어려웠고,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크기도 자유자재로 조절하지 못하는 제한이 있었다.
또한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출력범위(즉, 사용자가 손, 발 등으로 터치할 수 있는 범위)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불필요한 반응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를 투사면(바닥, 벽, 천정 등)에 투사하는 프로젝터와 사용자와 제스처(터치 포함), 음성 등을 포함하여 해당 콘텐츠 사이의 인터렉션을 제어하는 인터렉션 감지 센서를 구비한 함체를 고정형이면서 이동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프로젝터를 통해 투사면에 콘텐츠를 투사하고,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를 확인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 감지를 통해서 해당 사용자와 콘텐츠 상호간의 인터랙션을 제어함으로써, 서비스나 제품의 홍보 및 판매, 교육, 학습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프로젝터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서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출력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의 출력크기 변경에 따라 인터렉션 감지 센서의 감지범위를 연동하여 자동 혹은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할 때 프로젝터의 렌즈 방향으로 배출함으로써, 프로젝터의 렌즈에 벌레가 달라붙거나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편, 열을 배출하는 용도가 아니라도 별도의 팬(fan)을 설치하여 프로젝터의 렌즈에 벌레가 달라붙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발명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발명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2233395호(2021.03.30.)는 라이다 센서를 이용한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스포츠 콘텐츠를 위한 영상을 투영하고 스포츠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 모션을 라이다 센서를 이용해 트래킹하여 스포츠 콘텐츠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어할 수 있는 라이다 센서를 이용한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에 관한 선행발명이다.
즉,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2233395호는 별도의 오브젝트나 장치 착용 없이 몸만으로 실내에서 스포츠를 즐길 수 있고, 모션 트래킹이 가능한 범위가 넓어서 바닥면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2개의 라이다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함으로써,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스포츠 콘텐츠를 이용할 때에도 빠르고 정확하게 각각의 사용자 모션을 트래킹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2340281호(2021.12.17.)는 라이다 센서를 구비한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라이다 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객체를 인식하는 라이다 센서를 구비한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선행발명이다.
즉,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2340281호는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를 인식할 수 있어, 큰 장비 없이 소형 센서 설치만으로 터치를 인식할 수 있어 공간 구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라이다 센서로부터 획득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객체의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으며, AR, VR 컨텐츠와 같은 신체 동작 인식과 관련된 기술에서 높은 정확도의 터치 인식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실재감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바닥, 천장, 벽 등의 투사면에 콘텐츠를 투사하는 함체를 고정형이면서 동시에 이동형인 겸용으로 제작 가능하고, 상기 함체에서 프로젝터의 렌즈 방향으로 에어를 배출하여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에 벌레가 달라붙거나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프로젝터의 높낮이나 방향 조절을 통해 콘텐츠의 출력크기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으며, 콘텐츠의 출력크기 변경에 따라 인터렉션 감지 센서의 감지범위 역시 연동하여 자동 혹은 수동으로 조절하여 상기 콘텐츠의 투사되는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인터렉션만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2233395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2340281호와 본 발명은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분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실내 및 실외에서 투사면에 콘텐츠를 투사할 수 있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젝터를 통해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를 확인한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감지하여, 해당 사용자가 콘텐츠 상호간의 인터랙션을 제어할 수 있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즉, 손, 발을 이용한 특정 위치의 객체를 터치하거나 특정 동작(제스처), 행동, 움직임, 음성을 발성하는 것을 포함하여)을 IR 카메라 센서, 초음파 카메라 센서, 라이다 센서 등을 포함한 제스처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것과 음성인식을 통해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형으로 제작하는 것은 물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이동형으로,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겸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할 때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 방향으로 에어를 배출하여,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에 벌레가 달라붙거나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높낮이나 방향의 조절을 통해서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출력크기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콘텐츠의 출력크기나 위치의 변경에 따라 사용자 인터렉션의 감지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인터렉션은 제스처 감지 센서나 음성인식 등을 통해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스처는 움직임, 행동, 터치, 동작 등의 의미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용어이다. 즉, 개별적으로 열거하여 사용하거나 어느 하나를 대표적으로 사용해도 위에 열거된 움직임, 행동, 제스처, 터치, 동작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임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 내부의 환기, 냉각 및 히팅을 통해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가 자신의 휴대단말을 통해서 원격에서 함체의 이동이나 프로젝터의 높낮이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 내부에 프로젝터를 복수 개 구비하여, 전면은 물론 측면과 후면의 다양한 방향으로 콘텐츠를 투사할 수 있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는, 함체의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내장된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부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콘텐츠 투사부; 상기 몸체의 외부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 상에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인터렉션 감지부; 및 상기 프로젝터를 통한 콘텐츠의 투사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한 사용자의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콘텐츠와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제어하는 인터랙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터랙션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렉션 감지에 따라 해당 위치에 지정된 상기 콘텐츠의 세부정보나 또 다른 콘텐츠를 상기 프로젝터를 통해 투사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용 팬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상기 콘텐츠 투사부의 돌출부에 설치된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부 방향으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부에 벌레가 달라붙거나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 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 배출부는, 에어 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용 팬; 및 상기 배출용 팬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의 방향을 조절하는 에어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터렉션 감지부는, 상기 콘텐츠 상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감지하며, 상기 몸체의 저면 혹은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R 카메라 센서, 초음파 센서, 라이다 센서 등을 포함한 제스처 감지 센서, 음성인식 센서, 혹은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는, 상기 몸체의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승강용 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콘텐츠 투사부를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콘텐츠 투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콘텐츠 투사부의 일측에 구비된 랙(rack) 기어와 맞물려 구성되는 피니언(pinion) 기어; 상기 콘텐츠 투사부의 일측에 구비된 랙(rack)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피니언 기어를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랙 기어에 의해 상기 콘텐츠 투사부가 상기 승강용 홀을 따라 하강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피니언 기어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랙 기어에 의해 상기 콘텐츠 투사부가 상기 승강용 홀을 따라 상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콘텐츠 투사부를 상승 혹은 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콘텐츠 투사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콘텐츠 투사부의 상승 혹은 하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콘텐츠 투사부가 상승 혹은 하강됨에 따라 외부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출력크기가 변경되며, 상기 인터랙션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콘텐츠의 출력크기에 따라 상기 인터렉션 감지부의 감지범위를 상기 콘텐츠가 투사되는 범위 이내로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용 팬, 히터, 냉각기 및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온도 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한 상기 몸체의 내부 온도를 토대로 제어모듈에서 기 설정된 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용 팬, 히터 또는 냉각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관리자 단말의 원격제어를 토대로 제어모듈에서 상기 프로젝터를 통해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선택 및 상기 콘텐츠 투사부의 상승 또는 하강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는, 상기 몸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 및 상기 몸체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바퀴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동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바퀴의 구동을 수행하는 바퀴 구동용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관리자 단말의 원격제어를 토대로 상기 바퀴 구동용 액추에이터를 통해 상기 바퀴를 구동하여 상기 투사용 함체를 특정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 구성 방법은,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용 홀이 형성되고, 콘텐츠 투사부를 지지하기 위한 수직 프레임이 구비된 몸체를 구성하는 단계; 프로젝터를 내장할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부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의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승 혹은 하강되는 콘텐츠 투사부를 구성하는 단계; 에어 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용 팬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용 팬을 통해 에어가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 배출부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에어 배출부를 상기 구성한 콘텐츠 투사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투사부의 상승 또는 하강 구동을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승강 구동부를 구성하는 단계; 외부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 상에 위치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한 인터렉션 감지부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와 상기 사용자 상호간의 인터랙션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랙션 제어부를 포함한 제어모듈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한 몸체에 상기 구성한 콘텐츠 투사부, 승강 구동부, 인터렉션 감지부 및 제어모듈을 설치하여 콘텐츠 투사용 함체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 구성 방법은, 상기 몸체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용 팬, 히터, 냉각기 및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온도 유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온도 유지부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투사용 함체를 이동형으로 구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바퀴를 상기 몸체의 저면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바퀴에 상기 구성한 스토퍼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콘텐츠 투사용 함체에 따르면, 프로젝트가 내장된 콘텐츠 투사부를 통해 투사면에 콘텐츠를 투사하고,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를 확인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감지하여 해당 사용자와 콘텐츠 상호간의 인터랙션을 제어함으로써, 서비스나 제품의 홍보 및 판매, 교육, 학습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프로젝터의 렌즈 방향으로 에어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 부분에 벌레가 달라붙거나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높낮이나 방향을 설치 현장에서 수동으로 조절하거나 원격에서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투사면의 조건에 따라 콘텐츠의 출력크기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출력크기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인터렉션 센서의 감지범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콘텐츠가 투사되는 위치에 있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 만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콘텐츠가 투사되는 위치 바깥에 위치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에 불필요하게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를 이용한 외부 투사면으로의 콘텐츠 투사 및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 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의 에어 배출부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의 승강 구동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의 콘텐츠 투사부 높낮이 변동에 따른 콘텐츠 출력크기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의 온도 유지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의 원격제어와 콘텐츠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 구성 방법의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콘텐츠 투사용 함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는 실내 및 실외에서 내장되어 있는 프로젝터를 통해 투사면에 콘텐츠를 투사하고,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예: 손이나 발을 이용한 터치(제스처), 음성인식 등)을 인터렉션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해당 사용자가 콘텐츠 상호간의 인터랙션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제스처 감지 센서에는 IR 카메라 센서, 초음파 카메라 센서, 라이다 센서 이외에도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제스처 감지 센서는 제스처를 통해서 특정 객체를 터치하는 경우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므로, 넓은 범위에서 제스처 감지 센서는 터치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터치패널을 이용할 경우, 터치패널상에서 제스처를 인식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때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는 특정 위치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동형으로 구성하여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할 때 콘텐츠를 투사하는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부 측으로 에어를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부에 벌레가 달라붙거나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는 콘텐츠를 투사하는 프로젝터의 높낮이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 장소나 환경에 따라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출력크기를 가변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는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출력크기가 변경되면,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인터렉션 감지 센서의 감지범위를 상기 콘텐츠의 출력크기에 따라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다.(도 5 참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는 몸체(110), 프로젝터(120), 콘텐츠 투사부(130), 인터렉션 감지부(140), 제어모듈(150), 바퀴(160), 에어 배출부(170), 승강 구동부(180), 온도 유지부(1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강화 플라스틱, 철제 등의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승강용 홀(111), 수직 프레임(112) 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용 홀(111)은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가 상하로 승강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개방된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용 홀(111)의 좌우 폭은 도 1의 (a) 및 (b)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131)의 좌우 크기에 맞추어 형성된다.
상기 수직 프레임(112)은 상기 몸체(112)의 내부 공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112)은 상기 몸체(112)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일측 공간에는 상하로 이동되는 프로젝터(120)와 콘텐츠 투사부(130)를 배치하도록 하며, 다른 일측에는 제어모듈(150), 승강 구동부(180), 온도 유지부(190) 등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110)는 단순히 바닥에 콘텐츠를 투사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그치지 않고, 예를 들어, 백화점이나 대형 마트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 시식대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몸체(110)의 상면에 시식을 위한 각종 장비를 배치하고, 전면의 외부 투사면에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를 투사함으로써, 시식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관심이나 관련 이벤트 참여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도 1에서와 같이 전면 이외에, 측면이나 후면에 홀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홀이 형성된 위치에 프로젝터를 각각 설치할 수 있으며, 각 프로젝터의 설치 방향에 따라 투사면(바닥면, 벽면, 천정 등)에 콘텐츠를 투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로젝터(120)는 상기 몸체(110)에 내장(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내부 공간)되며, 상기 제어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돌출부(131)의 하부 방향에서 외부 투사면으로 콘텐츠를 투사한다.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용 홀(111)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31)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프로젝터(120)의 렌즈부가 상기 돌출부(131)에 위치하여 하부의 개방된 부분에서 투사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인터렉션 감지부(140)는 상기 몸체(110)의 외부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 상에 위치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감지하고, 감지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인터랙션 제어부(151)로 출력한다. 즉 상기 인터렉션 감지부(140)는 상기 콘텐츠 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행동, 제스처, 터치, 움직임, 음성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터렉션 감지부(140)는 레이저를 목표물에 비춤으로써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라이다(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또는 LADAR(Laser Detection And Ranging))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몸체(110)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에 대한 감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거꾸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라이다 센서 대신에 초음파 카메라 센서, IR 카메라 센서 등을 사용하는 것도 포함한다. IR 카메라 센서나 초음파 센서 카메라의 경우, 복수의 IR(적외선, Infrared) 센서나 초음파 센서를 어레이 형태로 구성하고 각 센서에서 감지되는 감도에 따라 콘텐츠와 연계하여 사용자 행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IR 센서나 초음파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유무만 감지하고 이미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콘텐츠를 투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터렉션 감지부(140)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는 물론 측면이나 상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전방은 막혀 있지 않고 오픈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아울러 인터렉션 감지부(140)는 사용자의 인터렉션에 대한 감지가 가능한 양호하게 확보되도록 함체의 전면에 설치되고 바퀴나 본체의 프레임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도록 배치하고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모듈(150)은 인터랙션 제어부(151)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단말이나 관리서버와 통신 접속을 위한 근거리 통신이나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인터랙션 제어부(151)는 상기 프로젝터(120)를 통한 콘텐츠의 투사를 제어하고, 상기 인터렉션 감지부(140)에서 감지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콘텐츠와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제어한다.
즉 상기 프로젝터(120)를 통해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위치에 대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 감지를 통해서, 해당 위치에 지정된 상기 콘텐츠의 세부정보나 또 다른 콘텐츠를 상기 프로젝터(120)를 통해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 구비된 제어용 패널(미도시)과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나 관리자 단말과 통신 접속을 수행하여 함체의 이동이나 프로젝터의 높낮이나 방향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퀴(160)는 상기 몸체(110)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를 이동형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바퀴(160) 각각에는 상기 바퀴(160)를 고정시켜 상기 몸체(11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16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함체(100)에 상기 바퀴(160)와 상기 스토퍼(161)를 구비하는 것은 상기 함체(100)를 이동형과 고정형의 겸용으로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바퀴(160)의 구동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바퀴 구동용 액추에이터를 상기 몸체(110)에 추가로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관리자는 상기 몸체(110)에 부착된 제어용 패널(미도시)을 통해 상기 바퀴(1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원격에서 자신의 단말(즉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바퀴 구동용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투사용 함체(100)를 특정 위치에 이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에어 배출부(170), 승강 구동부(180) 및 온도 유지부(190)의 세부 구조 및 동작은 도 3, 도 4 및 도 6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는 상기 프로젝터(120)를 통해 외부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선택, 관리서버를 통한 콘텐츠 다운로드, 콘텐츠 투사부(130)의 높낮이 조절 등을 관리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용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용 패널은 독립적인 장치로 구현하여 상기 몸체(110)의 상부 또는 측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용 패널은 독립적인 장치로 구성하지 않고 함체와 일체형으로 구성(즉 버튼이나 터치 패널 형태로 하여 함체의 상면이나 측면에 내장하여 구성한 것)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를 이용한 외부 투사면으로의 콘텐츠 투사 및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 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소정 위치에 설치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의 제어모듈(15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모듈(150)은 콘텐츠 투사부(130)에 위치한 프로젝터(120)를 통해 전면의 외부 투사면으로 콘텐츠를 투사한다. 즉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돌출부(131)에 위치한 프로젝터(120)의 렌즈부를 통해 투사면에 콘텐츠를 투사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프로젝터(120)를 통해 콘텐츠가 투사되는 투사면에는 외부 조명이나 햇빛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해상도로 상기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전용의 페인트가 도포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몸체(110)의 저면에 구비된 인터렉션 감지부(140)는 콘텐츠 상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즉, 콘텐츠의 특정 위치나 객체에 손, 발, 혹은 신체의 일부를 이용하는 행동, 제스처, 터치, 움직임, 음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을 감지하고, 이를 인터랙션 제어부(151)로 제공한다.
상기 인터랙션 제어부(151)는 상기 인터렉션 감지부(140)에서 감지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에 따라 투사면에 투사되고 있는 콘텐츠의 상세정보 혹은 해당 콘텐츠와 연관되어 있는 또 다른 콘텐츠를 상기 프로젝터(120)를 통해 투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와 상기 콘텐츠 상호간에 인터랙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사용자와 상기 콘텐츠 상호간의 인터렉션에 대한 결과는 음성안내나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의 에어 배출부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는 에어 배출부(170)를 통해 상기 돌출부(131)에 위치한 상기 프로젝터(120)의 렌즈부로 에어를 배출할 수 있다.
즉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 과정에서 소정의 콘텐츠를 외부 투사면에 투사하는 상기 프로젝터(120)의 렌즈부 측으로 에어를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에어에 의해 상기 프로젝터(120)의 렌즈부에 벌레가 달라붙거나 이물질이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주요 특징 중 하나로서, 상기 프로젝터(120)의 렌즈부 측으로 에어를 배출시키면, 상기 렌즈부에서 방출되는 빛에 의해 각종 벌레가 몰려서 달라붙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집진되어 흡착됨에 따라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투사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에어 배출부(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용 팬(171)과 에어 배출구(1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에어 배출부(170)는 렌즈부에 먼지가 집진되지 않도록 에어 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배출용 팬(171)은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포함하고 있는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 배출구(172)를 통해 에어를 배출한다. 이러한 에어 배출을 통해서 상기 몸체(11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것은 물론, 상기 프로젝터(120)의 렌즈부에 벌레가 몰리거나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 배출구(172)는 상기 배출용 팬(17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수의 슬릿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 배출부(170)는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이외에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배출부(170)가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에어 배출부(170)의 동작에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에어 배출부(170)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경우,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현재 위치(즉 높이)에 따라 상기 에어 배출부(170)와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돌출부(131)에 위치한 상기 프로젝터(120)의 렌즈부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에어 배출부(170)를 통해 상기 프로젝터(120)의 렌즈부에 충분한 양의 에어가 배출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에어의 배출 방향도 달라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모듈(150)을 통해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에어 배출부(170)를 통해 배출되는 에어 배출량을 늘리거나 줄이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상기 에어 배출부(170)의 방향을 상기 프로젝트(120)의 렌즈부 방향에 맞추어 자동 혹은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5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용 팬(171)의 구동 제어 및 상기 에어 배출구(172)의 슬롯 제어(방향 조절 제어)를 통해 에어 배출량 및 에어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 배출부(170)의 방향은 자동으로 조절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의 승강 구동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구동부(180)는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를 승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도 4의 (a)에 나타낸 것처럼 기어 연동 제어 또는 도 4의 (b)에 나타낸 것처럼 링크부재 이용 제어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구동부(180)는 액추에이터(181), 피니언 기어(182), 랙 기어(183)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후면은 상기 몸체(110)의 수직 프레임(11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는 승강 구동을 위해서 상기 수직 프레임(112)에 고정 설치되지 않고, 상기 수직 프레임(112) 및 콘텐츠 투사부(130)의 후면에 각각 구비된 가이드 홈(미도시)과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통해 끼움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측면에 랙 기어(183)를 구비하고, 상기 랙 기어(183)에 상기 피니언 기어(182)를 맞물려 구성한 다음, 상기 액추에이터(181)를 통해 상기 피니언 기어(182)를 회전시키면, 상기 피니언 기어(182)에 맞물려 상기 랙 기어(183)가 연동되어 끼움 형태로 결합된 콘텐츠 투사부(130)가 승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액추에이터(181)가 상기 피니언 기어(182)를 어느 하나의 방향(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피니언 기어(182)에 맞물린 상기 랙 기어(183)에 의해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가 상기 도 1의 승강용 홀(111)을 따라 하강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181)가 상기 피니언 기어(182)를 다른 방향(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피니언 기어(182)에 맞물린 상기 랙 기어(183)에 의해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가 상기 도 1의 승강용 홀(111)을 따라 상승된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구동부(180)는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를 상승 혹은 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181)와, 상기 액추에이터(181)와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액추에이터(181)의 구동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상승 혹은 하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링크부재(18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181)와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 사이에 다단의 링크부재(184)를 연결한 후, 상기 액추에이터(181)의 구동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184)가 연동하여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높낮이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는 기어의 연동 제어, 링크부재를 이용한 제어를 통해서 자동으로 높낮이나 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식 이외에, 사용자(즉 관리자)가 직접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돌출부(131)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부나 하부로 힘을 가함에 따라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와 상기 수직 프레임(112) 사이의 기어 연동(즉 도 4의 (a) 구조)에 의해 수동으로 높낮이나 방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수동으로 높낮이나 방향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의 콘텐츠 투사부 높낮이 변동에 따른 콘텐츠 출력크기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는 상기 승강 구동부(180)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외부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출력크기도 함께 변경된다.
예를 들어,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위치가 최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위치가 점차 낮아지면, 상기 프로젝터(120)를 통해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출력크기가 점점 줄어들며,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위치가 최하부에 위치하면,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크기가 최상부에 위치할 때보다 거의 반이상 크게 줄어든다(①).
이처럼,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가 상승 혹은 하강됨에 따라 외부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출력크기가 변경되면, 상기 인터랙션 제어부(151)는 상기 변경된 콘텐츠의 출력크기에 따라 상기 인터렉션 감지부(140)의 감지범위를 상기 콘텐츠가 투사되는 범위 이내로 조절할 수 있다(②).
이때 상기 인터렉션 감지부(140)의 감지범위 조절은 수신기의 측정각도를 나타내는 FOV(Field Of View), 측정범위를 선택하기 위한 필드 스탑(field stop) 등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인터렉션 감지부(140)의 감지 범위는 제어모듈(150)에서 자동으로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콘텐츠 출력크기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의 수동 조정이나 제어모듈(150)의 자동조정에 있어, 감지범위에 대한 가이드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수동 혹은 자동으로 조정할 때 감지범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의 온도 유지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 유지부(190)는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의 내부 온도를 소정의 온도범위(예: 5도 내지 40도)로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환기용 팬(191), 히터(192), 냉각기(193), 온도감지센서(19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환기용 팬(191)은 상기 몸체(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몸체(110)의 내부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환기용 팬(191)은 상기 에어 배출부(17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용 팬일 수 있다.
상기 히터(192)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 온도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냉각기(193)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194)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내부온도를 상기 제어모듈(15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50)에서 상기 온도감지센서(194)를 통해 감지한 상기 몸체(110)의 내부온도를 토대로 기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환기용 팬(191)의 구동이나, 상기 히터(192) 또는 냉각기(193)의 구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기가 함체의 외부에서 유입될 때, 함체의 설치 환경에 따라 에어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지나 이물질이 함체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고장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의 원격제어와 콘텐츠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는 관리자가 자체적으로 구비된 제어용 패널(미도시)을 통해 함체의 이동,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높낮이 조절, 상기 인터렉션 감지부(140)의 감지범위 조절 등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관리자가 현장에 없는 경우에도 원격에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관리자가 자신이 소지한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의 제어모듈(150)에 접속하면, 상기 제어모듈(150)에서 함체의 현재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이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200)은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120)를 통해 투사면에 투사되는 특정 콘텐츠의 선택정보,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상승 또는 하강 제어 등에 대한 원격제어정보를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의 제어모듈(15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모듈(150)에서 관리자의 원격제어정보를 토대로 콘텐츠의 선택이나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승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는 투사면에 투사되는 각종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300)에 콘텐츠 제공을 요청하면,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여 관리중인 소정의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의 전면에 카메라(미도시)를 설치하여, 원격에서 사용자를 인식하도록 하거나, 자동으로 얼굴인식을 하여 콘텐츠가 반응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를 사용하여 원격에서 사용자를 인식하는 경우, 원격에서 상기 함체의 올바른 사용을 감시하는 것 이외에 사용자가 함체를 사용하면서 사용상 문제점이 발견될 경우 해결에 도움을 주는 유지보수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함체의 전면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사용자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사용자에 따른 맞춤형 콘텐츠와 콘텐츠 인터렉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관리서버를 통해서 자신의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동시에 해당 콘텐츠에 대한 맞춤형 인터렉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 구성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 구성 방법의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 제작 시스템(미도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투사용 함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용 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용 홀(111)을 따라 승강되는 콘텐츠 투사부(130)를 지지하기 위한 수직 프레임(112)을 내부에 구비된 몸체(110)를 구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0).
이어서, 상기 몸체(110)의 외부 투사면에 콘텐츠를 투사하는 프로젝터(120)를 내장할 프레임 구조나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프로젝터(120)의 렌즈부가 상기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돌출부(131)를 일측에 형성하며, 상기 몸체(110)의 수직 프레임(112)에 결합되어 상승 혹은 하강되도록 하는 콘텐츠 투사부(130)를 구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0).
또한 상기 함체 제작 시스템은 에어 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용 팬(171)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용 팬(171)을 통해 에어가 상기 프로젝터(120)의 렌즈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 배출부(170)를 구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0).
즉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에어를 상기 프로젝터(120)의 렌즈부로 향하게 함으로써, 상기 렌즈부에 벌레가 몰리거나 콘텐츠 출력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체 제작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투사부(130)의 상승 또는 하강 구동을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승강 구동부(180)를 구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S400), 외부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 상에 위치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한 인터렉션 감지부(140)를 구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며(S500), 상기 인터렉션 감지부(140)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토대로 상기 콘텐츠와 사용자 상호간의 인터랙션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랙션 제어부(151)를 포함한 제어모듈(150)을 구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S600).
또한 상기 함체 제작 시스템은 상기 몸체(110)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용 팬(191), 히터(192), 냉각기(193) 및 온도감지센서(194)를 포함하는 온도 유지부(190)를 구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S700), 투사용 함체를 이동형으로 구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160)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160)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161)를 구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800).
이어서, 상기 함체 제작 시스템은 상기 S100 단계를 통해 구성한 몸체(110)에 상기 S200 내지 S800 단계를 통해 구성한 콘텐츠 투사부(130), 에어 배출부(170), 승강 구동부(180), 인터렉션 감지부(140), 제어모듈(150), 온도 유지부(190), 바퀴(160) 및 스토퍼(161)를 결합하여 콘텐츠 투사용 함체(100)를 완성한다(S900).
이처럼, 본 발명은 투사면에 콘텐츠를 투사하고, 사용자와의 인터렉션 감지를 통해 사용자와 콘텐츠 상호간의 인터랙션을 제어하므로, 서비스나 제품의 홍보 및 판매, 교육, 학습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 내부의 열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프로젝터의 렌즈 방향으로 에어를 분출하여 렌즈 부분에 벌레가 달라붙거나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프로젝터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콘텐츠의 출력크기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으며, 콘텐츠의 출력크기 변경에 따라 인터렉션 감지 센서의의 감지범위 역시 자동으로 조절하여 상기 콘텐츠가 투사되는 위치에 있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만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콘텐츠 투사용 함체 110 : 몸체
111 : 승강용 홀 112 : 수직 프레임
120 : 프로젝터 130 : 콘텐츠 투사부
131 : 돌출부 140 : 인터렉션 감지부
150 : 제어모듈 151 : 인터랙션 제어부
160 : 바퀴 161 : 스토퍼
170 : 에어 배출부 171 : 배출용 팬
172 : 에어 배출구 180 : 승강 구동부
181 : 액추에이터 182 : 피니언 기어
183 : 랙 기어 184 : 링크부재
190 : 온도 유지부 191 : 환기용 팬
192 : 히터 193 : 냉각기
194 : 온도감지센서 200 : 관리자 단말
300 : 관리서버 4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4)

  1. 함체의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내장된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부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콘텐츠 투사부;
    상기 몸체의 외부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 상에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인터렉션 감지부; 및
    상기 프로젝터를 통한 콘텐츠의 투사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콘텐츠와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제어하는 인터랙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위치에 대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 감지에 따라 해당 위치에 지정된 상기 콘텐츠의 세부정보나 또 다른 콘텐츠를 상기 프로젝터를 통해 투사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용 팬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상기 콘텐츠 투사부의 돌출부에 설치된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부 방향으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부에 벌레가 달라붙거나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감지부는,
    상기 콘텐츠 상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의 행동, 제스처, 터치, 움직임, 음성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감지하며, 상기 몸체의 저면 혹은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렉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는,
    상기 몸체의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승강용 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콘텐츠 투사부를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콘텐츠 투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콘텐츠 투사부의 일측에 구비된 랙(rack) 기어와 맞물려 구성되는 피니언(pinion) 기어;
    상기 콘텐츠 투사부의 일측에 구비된 랙(rack)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피니언 기어를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랙 기어에 의해 상기 콘텐츠 투사부가 상기 승강용 홀을 따라 하강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피니언 기어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랙 기어에 의해 상기 콘텐츠 투사부가 상기 승강용 홀을 따라 상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콘텐츠 투사부를 상승 혹은 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콘텐츠 투사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콘텐츠 투사부의 상승 혹은 하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콘텐츠 투사부가 상승 혹은 하강됨에 따라 외부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출력크기가 변경되며,
    상기 인터랙션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콘텐츠의 출력크기에 따라 상기 인터렉션 감지부의 감지범위를 상기 콘텐츠가 투사되는 범위 이내로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용 팬, 히터, 냉각기 및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온도 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한 상기 몸체의 내부 온도를 토대로 제어모듈에서 기 설정된 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용 팬, 히터 또는 냉각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관리자 단말의 원격제어를 토대로 제어모듈에서 상기 프로젝터를 통해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의 선택 및 상기 콘텐츠 투사부의 상승 또는 하강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는,
    상기 몸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 및 상기 몸체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바퀴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동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바퀴의 구동을 수행하는 바퀴 구동용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관리자 단말의 원격제어를 토대로 상기 바퀴 구동용 액추에이터를 통해 상기 바퀴를 구동하여 상기 투사용 함체를 특정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
  13.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용 홀이 형성되고, 콘텐츠 투사부를 지지하기 위한 수직 프레임이 구비된 몸체를 구성하는 단계
    프로젝터를 내장할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부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의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승 혹은 하강되는 콘텐츠 투사부를 구성하는 단계;
    에어 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용 팬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용 팬을 통해 에어가 상기 프로젝터의 렌즈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 배출부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에어 배출부를 상기 구성한 콘텐츠 투사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투사부의 상승 또는 하강 구동을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승강 구동부를 구성하는 단계;
    외부 투사면에 투사되는 콘텐츠 상에 위치한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한 인터렉션 감지부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와 상기 사용자 상호간의 인터랙션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랙션 제어부를 포함한 제어모듈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한 몸체에 상기 구성한 콘텐츠 투사부, 승강 구동부, 인터렉션 감지부 및 제어모듈을 설치하여 콘텐츠 투사용 함체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 구성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투사용 함체 구성 방법은,
    상기 몸체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용 팬, 히터, 냉각기 및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온도 유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온도 유지부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투사용 함체를 이동형으로 구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바퀴를 상기 몸체의 저면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바퀴에 상기 구성한 스토퍼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투사용 함체 구성 방법.
KR1020220076807A 2022-06-23 2022-06-23 콘텐츠 투사용 함체 KR202400001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807A KR20240000174A (ko) 2022-06-23 2022-06-23 콘텐츠 투사용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807A KR20240000174A (ko) 2022-06-23 2022-06-23 콘텐츠 투사용 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74A true KR20240000174A (ko) 2024-01-02

Family

ID=8951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807A KR20240000174A (ko) 2022-06-23 2022-06-23 콘텐츠 투사용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1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1076B2 (ja) サーマル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判断の装置および方法
US11783345B2 (en) Cyber life electronic networking and commerce operating exchange
US10120386B2 (en) Robotic creature and method of operation
CN107810369A (zh) 具有包含延伸到安装位置的电路板的壳体的用户控制装置
CN106448277B (zh) 基于交互式岩壁的模拟攀岩学习系统及方法
US20180077904A1 (en) Toy and App for Remotely Viewing and Playing with a Pet
US20070208460A1 (en) Remote Sensing For Building Automation
US11787061B2 (en) Method for operating moving robot
KR20120097978A (ko)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JP6368571B2 (ja) 空気調和機
JPWO2019240208A1 (ja) ロボット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05353904B (zh) 互动显示系统及其触控互动遥控器和互动触控方法
KR20240000174A (ko) 콘텐츠 투사용 함체
CN104685456A (zh) 交互控制系统、其制造方法以及并入交互控制系统的装置
US11482194B2 (en) Simulation system
KR20230004750A (ko) 터치리스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350931B1 (ko) 이동 로봇
KR102530664B1 (ko) 입력 장치
KR102622094B1 (ko) 증강현실을 위한 실내공간 3d 맵핑 지원 시스템
KR101763123B1 (ko) 증강된 가상공간 제공용 프로젝션 함체
KR102069765B1 (ko) 이동 로봇
ES2610797B1 (es) Procedimiento para escaparate virtual in situ.
KR20220077079A (ko) 가상체험을 위한 다면 부스 시스템 및 몰입형 전시체험을 위한 다면스크린의 컨텐츠 제공방법
WO2017059567A1 (zh) 互动显示系统及其触控互动遥控器和互动触控方法
KR200474687Y1 (ko) 프로젝터가 구비된 이동식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