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795A -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795A
KR20230174795A KR1020220075731A KR20220075731A KR20230174795A KR 20230174795 A KR20230174795 A KR 20230174795A KR 1020220075731 A KR1020220075731 A KR 1020220075731A KR 20220075731 A KR20220075731 A KR 20220075731A KR 20230174795 A KR20230174795 A KR 20230174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rocessing unit
inlet
gas processing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한
최준
김신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75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795A/ko
Publication of KR2023017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18Employing electrical discharges or the generation of a plasm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대상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유입된 처리대상가스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되는 가스처리부; 상기 가스처리부 내부 중앙에서, 시작단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가스처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말단이 상기 가스처리부 내부에 위치하며, 방전에 의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 및 상기 가스처리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심측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둘레부, 상기 둘레부의 중앙에 상기 유입구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처리대상가스가 통과하는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처리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정화장치{An 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공기 중의 포함된 유해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 등의 처리대상가스를 정화하며, 에어가이드를 포함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에 따라 처리대상가스의 반응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공기청정기, 공조시스템, 또는 산업용 배기가스 내 유해물질 제거에 사용되며, 특히, 악취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의 정화에 많이 사용된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공기 중에 고압 전기를 가하여 전리를 일으켜 방전이 일어나면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플라즈마 발생시 전극의 근접한 영역에서는 O2 -, O*, O 또는 OH*를 포함하며 상대적으로 반응성은 높으나 생존시간(Life time)이 짧은 산소활성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과 상대적으로 반응성은 낮지만 생존시간(Life time)이 긴 O3 또는 H2O2을 포함하는 산화제가 발생한다.
산소활성종과 산화제는 공기에 포함된 처리대상가스(오염물질)와 반응하는 속도 및 존재하는 시간이 다르므로 이를 고려한 장치 설계가 필요하다.
특허문헌 1에는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에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전극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공기정화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장치는 공기와 전극과의 사이 거리를 일률적으로 조절하므로, 처리대상가스와 산소활성종과의 반응시간 및 처리대상가스와 산화제와의 반응시간을 별개로 조절할 수는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2109361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스처리부 내로 유입되는 처리대상가스와 산소활성종 및 처리대상가스와 산화제 각각의 반응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처리대상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유입된 처리대상가스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되는 가스처리부; 상기 가스처리부 내부 중앙에서, 시작단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가스처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말단이 상기 가스처리부 내부에 위치하며, 방전에 의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 및 상기 가스처리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심측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둘레부, 상기 둘레부의 중앙에 상기 유입구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처리대상가스가 통과하는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처리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에어가이드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처리대상가스의 유량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처리대상가스의 유량이 증가하면 상기 에어가이드가 상기 가스처리부의 유입구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처리대상가스의 유량이 감소하면 상기 에어가이드가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의 유출구 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 측에 위치하는 유량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처리대상가스의 유량이 증가하면 상기 에어가이드가 상기 가스처리부의 유입구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유량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처리대상가스의 유량이 감소하면 상기 에어가이드가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의 유출구 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 전단에 위치하는 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의 회전수가 증가하면 상기 에어가이드가 상기 가스처리부의 유입구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팬의 회전수가 감소하면 상기 에어가이드가 상기 가스처리부의 유출구 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130)의 방전에 의해 O2-, O*, O 및 OH*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소활성종 및, O3 또는 H2O2를 포함하는 산화제가 발생하며,
상기 에어가이드(120)가 상기 가스처리부(110)의 유입구(111) 측과 유출구(112) 측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처리대상가스와 상기 산소활성종의 반응시간 및 상기 처리대상가스와 상기 산화제와의 반응시간이 변화하는,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는, 시작단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가스처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말단이 상기 가스처리부 내부에 위치하는 설치바, 및 상기 설치바에 설치되어 방전에 의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전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에 의하면, 에어가이드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처리대상가스를 포함하는 공기가 플라즈마 발생부에 근접하여 유동하도록 하고, 또한, 에어가이드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가스처리부 내에서의 효과적인 체류시간을 확보함으로써, 산소활성종과 산화제와 처리대상가스의 반응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처리대상가스의 제거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공기정화장치에 비해 동일한 소비 전력으로 높은 처리대상가스 제거율을 나타내며, 낮은 소비전력으로도 거의 동일한 수준의 처리대상가스 제거율을 나타내므로 보다 효율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가스처리부 및 그 내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가스처리부를 유출구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가스처리부 내부의 에어가이드가 유입구 측으로 근접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처리대상가스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가스처리부 내부의 에어가이드가 유입구 측에서 멀어지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처리대상가스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가스처리부(110), 플라즈마 발생부(130), 에어가이드(12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더 참조하여 가스처리부(110)의 구성을 설명한다.
가스처리부(110)는 처리대상가스를 포함하는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가스처리부(110)는 처리대상가스가 유입되어 체류하다가 유출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공간이 마련된 형태를 이룬다.
도 2에는 원통형의 가스처리부(110)가 도시되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통 형상 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가스처리부(110)는 일측에는 처리대상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위치하며, 타측에는 유입된 처리대상가스가 유출되는 유출구(112)가 형성된다.
가스처리부(110)의 유입구(111) 측에는 팬(200) 등의 공기공급수단이 위치하여, 팬(200)의 동작에 의해 처리대상가스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구(111)를 통하여 가스처리부(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팬(200)과 가스처리부(110)의 유입구(111) 사이에는 유량감지센서(140)가 설치되어 가스처리부(110)로 유입되는 처리대상가스를 포함하는 공기의 시간당 유량을 감지한다.
플라즈마 발생부(130)는 가스처리부(110) 내부에 위치하여 고압전기의 방전에 의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고압전기의 방전에 의한 플라즈마의 발생 자체는 이미 알려진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플라즈마 발생부(130)는 그 시작단이 가스처리부(110)의 유입구(111)로부터 가스처리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말단이 가스처리부(110) 내부에 위치하는 설치바(131)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극(132)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전극(132)을 바 형태로 하여 가스처리부(110) 내부에 배치시킴으로써 구성될 수 도 있다.
플라즈마 발생부(130)의 전극(132)에서 고압전기가 방전됨으로써 플라즈마가 발생된다.
에어가이드(120)는 본체 내부에 위치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처리부(110)의 내측면의 둘레 측에 걸쳐서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에어가이드(120)는 내측면으로부터 중심측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원통형을 이루는 둘레부(122)와 둘레부(122)의 중앙 측에 관통형성되는 유로(123)를 포함한다.
둘레부(122)는 가스처리부(110)와 대응되는 형태의 통 형상으로서 가스처리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는, 단면적이 작은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부(122)는 가스처리부(110) 내측면과 플라즈마 발생부(130)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둘레부(122)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로(123)는 가스처리부(110)의 단면적보다는 작고, 플라즈마 발생부(130)의 단면적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즉, 도 2 및 조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즈마 발생부(130)가 에어가이드(120)의 유로(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라즈마 발생부(130)의 외측면과 유로(123)의 내측면은 소정간격 이격되며, 이 간격을 통하여 가스처리부(110)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여 유출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로써, 가스처리부(110)로 유입된 처리대상가스가 에어가이드(120)의 유로(123)를 통과할때는 유속이 빨라지게 되며, 또한, 에어가이드(120)가 플라즈마 발생부(130)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에어가이드(120)의 유로(123)를 통과하는 처리대상가스가 플라즈마 발생부(130)와 근접하여 유동하게 된다.
또한, 에어가이드(120)는 가스처리부(11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에어가이드(120)는 가스처리부(110)의 길이방향 즉, 유입구(111)와 유출구(112) 측 사이에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에어가이드(120)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121)가 구비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21)는 에어가이드(1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모터, 유압 실린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츄에이터(121)의 구동에 의해 에어가이드(120)가 본체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130), 팬(200) 및 액츄에이터(121)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300)가 구비된다.
전원부(300)는 플라즈마 발생부(130), 팬(200) 및 액츄에이터(121)가 동작하도록 전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교류용 콘센트 또는 직류 전원으로서 배터리(1차 전지 및 2차 전지를 포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전원부(300)로부터 플라즈마 발생부(130), 팬(200) 및 액츄에이터(121)로 전원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플라즈마 발생부(130), 팬(200) 및 액츄에이터(121)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팬(200)의 회전수나 유량감지센서(140)에서 감지되는 가스처리부(110)로의 유입유량에 따라 액츄에이터(121)로 공급되는 전원 및 액츄에이터(121)의 이동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4 내지 도 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400)는 전원부(300)로부터 팬(200) 및 플라즈마 발생부(130)의 전극(132)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팬(200)의 동작에 의해 유입구(111)를 통하여 처리대상가스가 포함된 공기가 가스처리부(1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팬(200)의 회전수 또는 유량감지센서(140)로부터 감지되는 유량이 제어부(400)로 전송된다.
플라즈마 발생부(130) 전극(132)에서의 고압 방전에 의해 가스처리부(110) 내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처리대상가스가 정화되게 되며, 이는 다음과 같이 플라즈마 발생부(130)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두가지 물질과의 반응에 의해 이루어진다.
플라즈마 발생부(130)의 동작에 의해 산소활성종 및 산화제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공기에 포함된 처리대상가스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이 됨으로써 공기에 포함된 처리대상가스를 정화한다.
산소활성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은 O2 -, O*, O 또는 OH* 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는 공기에 포함된 처리대상가스와의 반응성이 매우 높으나, 불안정하여 발생 후 존재하는 시간 즉, 생존시간(Life time)이 수 마이크로초 정도로 매우 짧다.
산소활성종은 생존시간이 짧기 때문에, 발생 후 플라즈마 발생부(130)와 근접한 영역에서 존재하게 되며, 플라즈마 발생부(130)와 먼 영역까지는 존재하기 어렵다. 따라서, 처리대상가스가 플라즈마 발생부(130)와 거리가 먼 영역에서 유동하는 경우에는 반응이 일어나기가 어렵다.
한편, 산화제는 O3 또는 H2O2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산소활성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처리대상가스와의 반응성은 낮으나, 안정적이어서 발생 후 존재하는 시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발생 후 플라즈마 발생부(130)와 근접한 영역은 물론 비교적 거리가 먼 영역에서도 존재하여 처리대상가스와 반응이 가능하다.
정리하면, 처리대상가스가 물질이 가스처리부(110) 내에 발생한 플라즈마 영역 중 산소활성종이 존재하는 부분을 통과하는 확률을 높이면 높은 반응성에 의해 처리대상가스의 제거율이 증가한다.
그러나, 처리대상가스를 산소활성종이 존재하는 영역으로 유동하게 하려면 실질적으로 유로(123)를 좁혀야 한다. 그러나 유로(123)를 과도하게 좁히면 유로(123)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처리대상가스가 플라즈마가 발생하는 영역 즉, 가스처리부(110) 내에 머무르는 체류시간이 감소하게 되어 처리대상가스의 제거율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20)의 구성을 통하여 처리대상가스가 산소활성종 및 산화제와 반응하는 체류시간을 효과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며, 이는 가스처리부(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가스처리부(110)의 유입구(111) 측과 에어가이드(120) 사이의 거리(L1)를 조절함으로써, 처리대상가스가 산소활성종 및 산화제와 반응하는 체류시간을 효과적으로 조절되도록 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120)가 가스처리부(110)의 유입구(111) 측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즉, 에어가이드(120)와 유입구(111) 측 거리(L1)가 짧으면, 에어가이드(120)와 유입구(111) 사이의 공간이 줄어듦으로써 처리대상가스가 산화제와 반응하는 시간은 줄어들게 된다.
반면, 처리대상가스가 에어가이드(120)의 유로(123)를 통과하는 공간의 비율이 에어가이드(120)와 유입구(111) 사이의 공간에 비하여 높아지므로, 처리대상가스가 산소활성종과 반응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다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120)가 가스처리부(110)의 유입구(111) 측에서 도 4에서보다 비교적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 즉, 에어가이드(120)와 유입구(111) 측 거리(L1)가 길어지면, 에어가이드(120)와 유입구(111) 사이의 공간이 늘어남으로써 처리대상가스가 산화제와 반응하는 시간은 늘어나게 되며, 처리대상가스가 에어가이드(120)의 유로(123)를 통과하는 공간의 비율은 에어가이드(120)와 유입구(111) 사이의 공간에 비하여 낮아지므로, 처리대상가스가 산소활성종과 반응하는 시간은 짧아지게 된다.
즉, 에어가이드(120)가 가스처리부(110)의 유입구(111) 측과 유출구(112) 측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처리대상가스와 산소활성종의 반응시간 및 처리대상가스와 산화제와의 반응시간이 변화하게 된다.
이하,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에어가이드(120)의 위치와 비교예를 비교하여 처리대상가스의 소비전력에 따른 제거율(%)을 비교한다.
비교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조건에서 에어가이드(120)의 구성을 제외한 공기정화장치이다.
가스처리부(110)에는 처리대상가스로서 100ppm의 톨루엔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였으며, 유입되는 유량은 5L/min, 10L/min의 두가지 경우를 실험하여,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유입유량 5L/min
소비전력 4W 8W 12W
비교예 31.3 50.0 57.2
도 4 36.3 59.8 70.2
도 5 43.4 64.1 70.8
유입유량 10L/min
소비전력 4W 8W 12W
비교예 19 31.5 36.5
도 4 22 38.8 47.5
도 5 20.3 34.1 42.1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가 에어가이드(120)와 유입구(111) 측의 거리와 상관없이 비교예보다 톨루엔 제거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8W 소비전력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제거율이 12W 소비전력의 비교예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에어가이드(120)의 위치에 따른 톨루엔의 제거율을 비교하면, 유입유량이 큰 경우(10L/min)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에어가이드(120)가 유입구(111) 측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경우가 톨루엔의 제거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유입유량이 작은 경우(5L/min)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에어가이드(120)가 유입구(111) 측과 멀리 위치하는 경우가 톨루엔의 제거율이 높음을 알수 있다.
제어부(400)는 팬(200)의 회전수 또는 유량감지센서(140)에서 감지되는 유입유량이 커지면, 즉,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처리대상가스의 유량이 증가하면, 에어가이드(120)의 위치를 가스처리부(110)의 유입구(111) 측에 근접하도록 제어하고, 유입유량이 작아질수록 에어가이드(120)의 위치를 가스처리부(110)의 유입구(111) 측과 멀어지도록(즉, 유출구(112) 측으로) 함으로써 처리대상가스의 제거율을 높이고 또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에 의하면, 에어가이드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처리대상가스를 포함하는 공기가 플라즈마 발생부에 근접하여 유동하도록 하고, 또한, 에어가이드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가스처리부 내에서의 효과적인 체류시간을 확보함으로써, 산소활성종과 산화제와 처리대상가스의 반응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처리대상가스의 제거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공기정화장치에 비해 동일한 소비 전력으로 높은 처리대상가스 제거율을 나타내며, 낮은 소비전력으로도 거의 동일한 수준의 처리대상가스 제거율을 나타내므로 보다 효율적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 가스처리부
111: 유입구
112: 유출구
120: 에어가이드
121: 액츄에이터
122: 둘레부
123: 유로
130: 플라즈마 발생부
131: 설치바
132: 전극
140: 유량감지센서
200: 팬
300: 전원부
400: 제어부

Claims (6)

  1. 처리대상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11) 및 유입된 처리대상가스가 유출되는 유출구(112)가 구비되는 가스처리부(110);
    상기 가스처리부(110) 내부 중앙에서, 시작단이 상기 유입구(111)로부터 상기 가스처리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말단이 상기 가스처리부(110) 내부에 위치하며, 방전에 의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130); 및
    상기 가스처리부(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심측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둘레부(122), 상기 둘레부(122)의 중앙에 상기 유입구(111)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처리대상가스가 통과하는 유로(123)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처리부(11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에어가이드(120);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120)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121); 및
    상기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처리대상가스의 유량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121)를 동작시키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처리대상가스의 유량이 증가하면 상기 에어가이드(120)가 상기 가스처리부(110)의 유입구(111)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처리대상가스의 유량이 감소하면 상기 에어가이드(120)가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130)의 유출구(112) 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121)를 제어하는,
    공기정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11) 측에 위치하는 유량감지센서(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유량감지센서(140)에서 감지되는 처리대상가스의 유량이 증가하면 상기 에어가이드(120)가 상기 가스처리부(110)의 유입구(111)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유량감지센서(140)에서 감지되는 처리대상가스의 유량이 감소하면 상기 에어가이드(120)가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130)의 유출구(112) 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121)를 제어하는,
    공기정화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11) 전단에 위치하는 팬(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팬(200)의 회전수가 증가하면 상기 에어가이드(120)가 상기 가스처리부(110)의 유입구(111)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팬(200)의 회전수가 감소하면 상기 에어가이드(120)가 상기 가스처리부(110)의 유출구(112) 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121)를 제어하는,
    공기정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130)의 방전에 의해 O2 -, O*, O 및 OH*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소활성종, 및 O3 또는 H2O2를 포함하는 산화제가 발생하며,
    상기 에어가이드(120)가 상기 가스처리부(110)의 유입구(111) 측과 유출구(112) 측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처리대상가스와 상기 산소활성종의 반응시간 및 상기 처리대상가스와 상기 산화제와의 반응시간이 변화하는,
    공기정화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130)는,
    시작단이 상기 유입구(111)로부터 상기 가스처리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말단이 상기 가스처리부(110) 내부에 위치하는 설치바(131), 및 상기 설치바(131)에 설치되어 방전에 의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전극(132)을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KR1020220075731A 2022-06-21 2022-06-21 공기정화장치 KR20230174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731A KR20230174795A (ko) 2022-06-21 2022-06-21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731A KR20230174795A (ko) 2022-06-21 2022-06-21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795A true KR20230174795A (ko) 2023-12-29

Family

ID=8933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731A KR20230174795A (ko) 2022-06-21 2022-06-21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479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361B1 (ko) 2020-01-29 2020-05-13 주식회사 원일공기정화 저온 산화 고효율 플라즈마 탈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361B1 (ko) 2020-01-29 2020-05-13 주식회사 원일공기정화 저온 산화 고효율 플라즈마 탈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84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n ozone generating device for air purification
US69917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taminants in air emissions
US20190282722A1 (en) Gas processing apparatus
KR102023950B1 (ko) 폐가스 처리 장치
JP2017018901A (ja) ガス処理装置
JP2010131564A (ja) 排ガス処理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
CN108096969B (zh) 一种基于挥发油气净化技术的尾气光氧裂解处理方法
KR100949303B1 (ko) 고효율 플라즈마 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효율 플라즈마악취제거 시스템
KR100934479B1 (ko) 유해가스처리장치
KR20190127244A (ko) 폐가스 처리 장치
KR20190059795A (ko) 잉여 오존가스 제거장치
KR20230174795A (ko) 공기정화장치
KR100650051B1 (ko) 이온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 하수 및 폐수 정화방법
KR20110012997A (ko) 고효율 플라즈마 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효율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 시스템
TW201711081A (zh) 供應至在一多製程腔室氣體處理系統中的一電漿炬的氣流及電力之控制
KR102059265B1 (ko) 반도체 제조 공정으로부터 오염물질 처리 장치
KR20180129490A (ko) 고전압펄스전원과 플라즈마반응기, 이를 이용한 오염공기제거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102359322B1 (ko) 가습된 오염가스와 저온 플라스마를 이용한 대용량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악취물질 처리시스템
KR101913946B1 (ko) 유해가스 정화장치
JP2002361272A (ja) 促進酸化処理装置
JP2007021312A (ja) 放電装置
JP2002307083A (ja) 促進酸化処理装置
CN112691520B (zh) 基于低温等离子体的废气处理方法与系统
KR20190074704A (ko) 플라즈마 토치
KR200389979Y1 (ko) 고농도대기오염물질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