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639A - 반자동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잠금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자동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잠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639A
KR20230174639A KR1020220075814A KR20220075814A KR20230174639A KR 20230174639 A KR20230174639 A KR 20230174639A KR 1020220075814 A KR1020220075814 A KR 1020220075814A KR 20220075814 A KR20220075814 A KR 20220075814A KR 20230174639 A KR20230174639 A KR 20230174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unit
block
semi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진성은
윤의열
송기연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5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639A/ko
Publication of KR20230174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10Hydraulic or pneumat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1Locks for military or armoure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05C19/12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pivotally mounted around an axis
    • E05C19/14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pivotally mounted around an axis with toggle a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606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을 고정하도록 이동체에 고정되는 반자동 잠금 장치에 있어서, 대상물의 잠금부와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 조립체, 체결 조립체의 적어도 일 측에 연결되며, 잠금부와의 잠금 해제 시 선형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선형 구동부, 선형 구동부와 연결되며, 선형 구동부를 구동시켜 잠금부와 잠금 또는 잠금을 해제하도록 이동하는 이동 조립체 및 이동 조립체의 일 측면과 적어도 일면이 맞물리도록 조립되며,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잠금 해제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잠금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반자동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잠금 시스템{Semi-automatic locking Apparatus and automatic lock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자동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동체에 탑재되는 레이다용 반자동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반자동 잠금 장치는 탑재 트럭 등의 이동체에 장착되는 고중량의 중량물이 지면의 요철 등에 따른 진동/충격에 의한 이탈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기계적인 장치를 나타낸다.
종래의 중량물을 잠금시키기 위한 잠금 장치는 전동장치 및 관련 전원계통이 적용되어 개발 및 제작 비용이 비싸고,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수동식 잠금 장치는 사용자 오작동에 따른 안테나 파손이 다빈도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전동식 잠금 장치는 별도의 조작이 불필요하며, 레이다 운용실에서 안테나의 잠금, 잠금 해제, 잠금 상태 확인이 가능하나, 개발 및 제작비용이 고비용이고 별도의 전원 입력이 필요하며 고장 발생 시 즉시 잠금 해제가 어려우며 수리비용 과다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수동식 잠금 장치는 구조가 간편하고 별도의 전원 입력이 불필요하며 개발 및 제작비용 저렴하나, 운용자 오작동에 따른 잠금장치 및 안테나 파손 발생이 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전동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반자동식의 잠금 장치를 구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상물을 고정하도록 이동체에 고정되는 반자동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잠금부와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 조립체; 상기 체결 조립체의 적어도 일 측에 연결되며, 상기 잠금부와의 잠금 해제 시 선형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선형 구동부; 상기 선형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선형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잠금부와 잠금 또는 잠금을 해제하도록 이동하는 이동 조립체; 및 상기 이동 조립체의 일 측면과 적어도 일면이 맞물리도록 조립되며, 상기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잠금 해제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잠금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조립체는, 제1 조립부; 상기 제1 조립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조립부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조립부; 및 상기 제1 조립부 및 상기 제2 조립부를 연결하며, 상기 잠금부와 체결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립부 및 상기 제2 조립부는 상기 선형 구동부 및 상기 이동 조립체와 양 측면에서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조립체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조립부 및 상기 제2 조립부를 연결하며, 상기 이동 조립체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조립체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잠금부와 체결 시 상기 제1 체결부가 자중에 의해 쳐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체결부에 체결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선형 구동부의 상기 잠금부와 체결 시 압축 상태로 구현되고, 상기 잠금부와 잠금 해제 상태 시 압축이 해제되는 탄성부에 의해 스트로크가 연장 또는 축소되는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형 구동부는, 상기 체결 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체결 조립체와 연결되는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현되는 제1 힌지부; 상기 제1 힌지부의 반대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 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 조립체와 연결되는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현되는 제2 힌지부; 상기 잠금부와 체결 시 압축 상태로 구현되고, 상기 잠금부와 잠금 해제 상태 시 압축이 해제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가 안착되는 탄성 하우징을 포함하는 조절부; 및 상기 탄성부에 의해 스트로크가 연장 또는 축소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조절부 및 상기 피스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형 구동부는,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조절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단에 조립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씰링을 포함하는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스트로크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체결 조립체와 고정되는 제1 축을 형성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의 일 측단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과 고정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이동 조립체와 고정되는 제2 축을 형성하는 제3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의 일 측단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와 고정되는 제4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형 구동부는, 상기 제4 블록을 상기 조절부에 고정하도록 조립되는 너트; 및 상기 탄성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나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조립체는, 상기 체결 조립체, 상기 선형 구동부 및 상기 잠금 해제부와 조립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립부 사이에 조립되어 상기 잠금 해제 시 상기 조립되는 축을 이동시키는 제1 이동블록; 및 상기 제1 이동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잠금 해제부와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2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이동 블록에 형성되는 홈에 상기 조립부를 통해 조립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 해제부는,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2 이동블록의 일 측에서 맞닿아 맞물려 고정되도록 조립되고, 잠금 해제 상태에서 상기 제2 이동블록과의 고정이 해제되는 조절 블록; 및 상기 조절 블록의 일측에 연결되며,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위해 이동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자동 잠금 장치는, 상기 잠금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잠금 해제를 위해 상기 손잡이를 바깥 방향으로 잡아 당겨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손잡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조절 블록이 이동하여 상기 제2 이동블록과의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선형 구동부의 내부 탄성부에 의해 스트로크가 연장되고, 상기 탄성부의 장력 및 상기 제2 이동 블록의 하중에 의해 상기 체결 조립체의 제1 체결부와 상기 잠금부가 분리되어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정되어 구비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대상물; 상기 대상물을 탑재하여 이동하는 이동체; 및 상기 잠금부와 체결되는 체결 조립체; 상기 체결 조립체의 적어도 일 측에 연결되며, 상기 잠금부와의 잠금 해제 시 선형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선형 구동부; 상기 선형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선형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잠금부와 잠금 또는 잠금을 해제하는 이동 조립체; 및 상기 이동 조립체의 일 측면과 적어도 일면이 맞물리도록 조립되며, 상기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해 이동하는 잠금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에 고정되는 반자동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반자동 잠금 시스템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자동 잠금 장치는, 상기 잠금부와 상기 체결 조립체가 체결된 상태에서 잠금 해제를 위해 상기 잠금 해제부의 손잡이를 바깥 방향으로 잡아 당겨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손잡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잠금 해제부의 조절 블록이 이동하여 상기 이동 조립체의 이동 블록의 제2 이동블록과의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선형 구동부의 내부 탄성부에 의해 스트로크가 연장되고, 상기 탄성부의 장력 및 상기 제2 이동 블록의 하중에 의해 상기 체결 조립체의 제1 체결부가 상기 잠금부와 분리되어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운용자의 부주의 및 기존 제품이 가지고 있었던 잠재적인 장비 파손의 위험성을 예방할 수 있음에 따라 안전사고를 비롯한 경제적/시간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인 수동 해제 절차가 없으므로, 레이다를 다루는 운용자가 신속하게 장비를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의 체결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의 선형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의 이동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의 이동 조립체의 스토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의 이동 조립체와 잠금 해제부의 잠금 해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반자동 잠금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반자동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자동 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체에 장착된 고중량의 회전 대상물(레이더 등)이 지면의 요철 등에 따른 진동/충격에 구조물의 이탈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장치가 필요하다.
차량에 탑재되어 운용되는 군용 레이다는 정비성 확보, 공간 활용, 차량 이동에 따른 풍하중, 이동 간 위장성 등을 고려하여 안테나를 전개/회수 할 수 있도록 구동 기능을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레이다는 차량 이동 간 외란에 의한 구동장치 및 안테나 내부 전자장비의 충격을 보호하기 위해 잠금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종래의 잠금 장치는 전동장치 및 관련 전원계통이 적용되어 개발 및 제작되어 비용이 비싸고,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존의 수동식 잠금 장치는 사용자 오작동에 따른 안테나 파손이 다빈도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자동 잠금 장치(10)는 별도의 전동 장치가 불필요하며, 사용자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반 자동식 잠금 및 잠금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반자동 잠금 장치(10)는 차량 이동 시 고하중의 레이다를 외란으로부터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보호하기 위해 반자동식으로 잠금하며, 잠금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자동 잠금 장치(10)는 레이다를 포함한 고하중 차량 탑재형 구동장치에 활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자동 잠금 장치(10)는 차량 탑재형 고하중 레이다 및 구동장치를 외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보호할 수 있으며, 잠금 장치가 필요하나, 별도의 전동장치를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반자동 잠금 장치(10)는 체결 조립체(100), 선형 구동부(200), 이동 조립체(300) 및 잠금 해제부(400)를 포함한다. 반자동 잠금 장치(10)는 도 1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조립체(100)는 대상물의 잠금부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체결 조립체(100)는 제1 조립부(110), 제2 조립부(120), 제1 체결부(130) 및 제2 체결부(140)를 포함한다.
제2 조립부(120)는 제1 조립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 조립부(110)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립부(110) 및 제2 조립부(120)는 선형 구동부(200) 및 이동 조립체(300)의 양 측면에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30)는 제1 조립부(110) 및 제2 조립부(120)를 연결하며, 잠금부와 체결될 수 있다.
제2 체결부(140)는 제1 체결부(130)와 이격된 위치에서 제1 조립부(110) 및 제2 조립부(120)를 연결하며, 이동 조립체(300)와 체결될 수 있다.
선형 구동부(200)는 체결 조립체(100)의 적어도 일 측에 연결되며, 잠금부와의 잠금 해제 시 선형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선형 구동부(200)는 제1 힌지부(210), 제2 힌지부(220), 피스톤(230) 및 조절부(240)를 포함한다.
제1 힌지부(210)는 체결 조립체(100)와 연결되며, 체결 조립체(100)와 연결되는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1 힌지부(210)는 체결 조립체(100)와 고정되는 제1 축을 형성하는 제1 블록(212); 및 제1 블록(212)의 일 측단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피스톤(230)과 고정되는 제2 블록(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힌지부(220)는 제1 힌지부(210)의 반대 측면에 위치하여 이동 조립체(300)와 연결되며, 이동 조립체(300)와 연결되는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2 힌지부(220)는 이동 조립체(300)와 고정되는 제2 축을 형성하는 제3 블록(222); 및 제3 블록(222)의 일 측단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조절부(240)와 고정되는 제4 블록(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부(210) 및 제2 힌지부(220)는 피스톤(230) 및 조절부(24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230)은 탄성부(242)에 의해 스트로크가 연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피스톤(230)은 탄성부(242)에 의해 하우징(250)의 외측으로 스트로크가 연장될 수 있다.
조절부(240)는 잠금부와 체결 시 압축 상태로 구현되고, 잠금부와 잠금 해제 상태 시 압축이 해제되는 탄성부(242) 및 탄성부(242)가 안착되는 탄성 하우징(244)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형 구동부(200)는 하우징(250) 및 캡(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50)은 피스톤(230) 및 조절부(24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캡(260)은 하우징(250)의 일 측단에 조립되어 하우징(250) 내부의 구성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씰링(262)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형 구동부(200)는 너트(270) 및 장력 조절 나사(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너트(270)는 제4 블록(224)을 조절부(240)에 고정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장력 조절 나사(280)는 탄성부(24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동 조립체(300)는 선형 구동부(200)와 연결되며, 선형 구동부(200)를 구동시켜 잠금부와 잠금 또는 잠금을 해제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동 조립체(300)는 조립부(310), 이동 블록(320) 및 고정부(330)를 포함한다.
조립부(310)는 체결 조립체(100), 선형 구동부(200) 및 잠금 해제부(400)와 조립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립부(310)는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블록(320)은 적어도 하나의 조립부(310) 사이에 조립되어 잠금 해제 시 상기 조립되는 축을 이동시키는 제1 이동블록(322); 및 제1 이동 블록(322)과 연결되고, 잠금 해제부(400)와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2 이동블록(324)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30)는 이동 블록(320)에 형성되는 홈에 조립부(310)를 통해 조립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이동체에 고정될 수 있다.
잠금 해제부(400)는 이동 조립체(300)의 일 측면과 적어도 일면이 맞물리도록 조립되며,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잠금 해제부(400)는 손잡이(410) 및 조절 블록(420)를 포함한다.
손잡이(410)는 조절 블록(420)의 일측에 연결되며,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위해 이동할 수 있다.
조절 블록(420)은 잠금 상태에서 제2 이동블록(324)의 일 측에서 맞닿아 맞물려 고정되도록 조립되고, 잠금 해제 상태에서 제2 이동블록(324)과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이동 조립체(300)는 스토퍼(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332)는 제1 체결부(130)와 잠금부와 체결 시 제1 체결부(130)가 자중에 의해 쳐짐을 방지하도록 제2 체결부(140)에 체결될 수 있다.
스토퍼(332)는 선형 구동부(200)의 잠금부와 체결 시 압축 상태로 구현되고, 잠금부와 잠금 해제 상태 시 압축이 해제되는 탄성부(242)에 의해 스트로크가 연장 또는 축소되는 피스톤(230)의 스트로크를 제한할 수 있다.
반자동 잠금 장치(10)는 잠금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잠금 해제를 위해 손잡이(410)를 바깥 방향으로 잡아 당겨 이동시키는 경우, 손잡이(410)의 이동에 의해 조절 블록(420)이 이동하여 제2 이동블록(324)과의 결합이 해제되며, 선형 구동부(200)의 내부 탄성부(242)에 의해 스트로크가 연장되고, 탄성부(242)의 장력 및 제2 이동 블록(324)의 하중에 의해 체결 조립체(100)의 제1 체결부(110)와 잠금부가 분리되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의 체결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체결 조립체(100)는 제1 조립부(110), 제2 조립부(120), 제1 체결부(130) 및 제2 체결부(140)를 포함한다. 체결 조립체(100)는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립부(110) 및 제2 조립부(120)는 서로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선형 구동부(200) 및 이동 조립체(300)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립부(110)및 제2 조립부(120)는 제1 체결부(130)가 조립되는 힌지 축에서 선형 구동부(200)와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될 수 있으며, 선형 구동부(200)와 조립되는 반대측단에서 이동 조립체(300)와 힌지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제2 체결부(140)는 제1 조립부(110)및 제2 조립부(120)와 선형 구동부(200) 및 이동 조립체(300)가 조립되는 사이에 제1 조립부(110)및 제2 조립부(120)를 연결하도록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체결부(140)는 대상물에 형성되는 잠금부(20)의 걸쇠와 체결 시 접촉될 수 있으며, 걸쇠가 체결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부(140)는 선형 구동부(200)의 적용에 따라 치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잠금부(20)의 걸쇠와 접촉되는 접촉부 마찰에 따른 손상 방지를 위한 롤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체결부(140)는 STS 계열로 구현되는 뼈대와, 뼈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롤러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구성 확보 및 마찰부 손상에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의 선형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선형 구동부(200)는 제1 힌지부(210), 제2 힌지부(220), 피스톤(230), 조절부(240), 하우징(250), 캡(260), 너트(270) 및 장력 조절 나사(280)를 포함한다. 선형 구동부(200)는 도 3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부(210)는 제1 블록(212) 및 제2 블록(2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블록(212)은 체결 조립체(100)와 체결될 수 있으며, 제2 블록(214)은 선형 구동부(200)의 피스톤(230)과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힌지부(220)는 제3 블록(222) 및 제4 블록(2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 블록(222)은 이동 조립체(300)와 체결될 수 있으며, 제4 블록(224)은 선형 구동부(200)의 조절부(240)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형 구동부(200)는 반자동 잠금 장치(10)에서 핵심적인 구동을 담당할 수 있다.
캡(260)은 선형 구동부(200)의 내부 구성품을 보호하고, 씰링(262)이 적용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260)은 피스톤(230) 및 조절부(240)가 내부에 구비되는 하우징(250)의 일측단에 고정되어 하우징(250) 내부의 피스톤(230) 및 조절부(240)를 보호할 수 있다.
피스톤(230)은 캡(260)의 외측에서 확장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캡(260)은 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절부(240)의 탄성부(242)는 잠금부(20)의 걸쇠에 고정 시 압축 상태이며, 손잡이(410)를 당기는 경우, 잠금부(20)의 걸쇠에서 고정 상태가 해제 되어 늘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242)는 압축 시 길이는 22mm 내지 30mm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최대 인출 시 길이는 60mm 내지 72mm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부(242)는 재질, 외경, 유효 권수, 수명 시험을 거쳐 제품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피스톤(230)은 탄성부(242)의 작동에 따라 하우징(250)의 밖으로 스트로크가 연장되는 기구물로써, 양극산화피막처리를 통해 내식성을 고려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250)은 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의 이동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이동 조립체(300)는 조립부(310), 이동 블록(320) 및 고정부(330)를 포함한다. 이동 조립체(300)는 도 4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조립부(310)는 이동 블록(320)의 양 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며, 제1 조립부(110)와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조립부(310)는 회전 가능하도록 복수의 조립 힌지 축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부(310)는 제1 조립 힌지 축(312), 제2 조립 힌지 축(314) 및 제3 조립 힌지 축(3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립 힌지 축(312)은 제1 조립부(110)와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고정되는 축을 나타낸다.
제2 조립 힌지 축(314)은 선형 구동부(200)의 제4 블록(224)과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고정되는 축을 나타낸다.
제3 조립 힌지 축(316)은 이동 블록(320)에 형성되는 홈에 조립되는 고정부(330)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고정된 축을 나타낸다.
제1 조립 힌지 축(312), 제2 조립 힌지 축(314) 및 제3 조립 힌지 축(316)은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시 체결 조립체(100), 선형 구동부(200) 및 이동 조립체(30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블록(320)은 제1 이동블록(322) 및 제2 이동블록(324)을 포함한다.
제1 이동블록(322)은 고정부(330)가 조립되는 홈을 포함하며, 홈에 고정부(330)가 조립되어 제3 조립 힌지 축(316)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동블록(324)은 제1 이동블록(322)과 일부 연결되도록 구현되며, 잠금 해제부(400)와 맞닿아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홈은 잠금 해제부(400)의 조절 블록(420)과 맞닿아 고정되는 부분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동블록(324)은 제1 이동블록(322)의 끝단에서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330)는 이동체에 고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고정부(330)는 스토퍼(332)가 일측에 고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의 이동 조립체의 스토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토퍼(332)는 반자동 잠금 장치(10)가 해제될 경우, 제품과 운용자의 안전을 위해 더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32)는 잠금부(20)의 걸쇠에 체결되었던 제1 조립부(110)가 자중에 의해 과도하게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조립부(12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반자동 잠금 장치(10)는 일차적으로는 선형 구동부(200)의 탄성부(242)와 피스톤(230)의 스트로크가 제한되므로 과도한 쳐짐을 방지 할 수 있으나, 스토퍼(332)가 적용됨에 따라 이중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의 이동 조립체와 잠금 해제부의 잠금 해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잠금 해제부(400)는 손잡이(410) 및 조절 블록(420)를 포함한다. 잠금 해제부(400)는 도 6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잠금 해제부(400)는 손잡이(410) 및 조절 블록(420)를 포함한다.
손잡이(410)는 잠금해제를 위해 조작해야 하는 유일한 기구물로서, 당기면 추가적인 조작 없이 자동으로 잠금이 해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 블록(420)은 T자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 블록(420)은 T자로 구현되는 블록과, 그 블록이 이동할 수 있는 캡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절 블록(420)은 손잡이(410)를 조작하는 경우 같이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고정 상태가 해제되면 탄성부(242)의 작동까지 이루어지는 시퀀스일 수 있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잠금 상태는 조절 블록(320)이 제2 이동블록(324)과 맞물려 고정이 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의 (b) 및 도 7을 참고하면, 잠금 풀림 상태는 조절 블록(420)이 제2 이동블록(324)과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로서, 탄성부(242)의 작동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반자동 잠금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반자동 잠금 장치(10)는 이동체에 부착되어 운용될 수 있으며, 잠금부(20)는 대상물에 부착되어 운용될 수 있다.
잠금부(20)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조립부(110)와 결합되어 잠금 될 수 있다.
반자동 잠금 장치(10)는 간단한 동작 시퀀스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우선적으로, 반자동 잠금 장치(10)의 손잡이(410)를 잡아 당겨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410)는 잠금 해제를 위해 운용자가 잡아당길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잡아 당겨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손잡이(410)의 이동에 따라 조절 블록(320)이 이동하여 결합 상태에서 벗어남에 따라 선형 구동부(200)의 탄성부(242)가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선형 구동부(200) 내부의 탄성부(242)는 장력이 작용하여 선형 구동부(200)의 스트로크가 연장될 수 있다.
탄성부(242)의 장력 및 잠금 이동 조립체(300)의 제2 이동블록(324)의 하중에 의해 잠금부(20)의 걸쇠로부터 결합 부위가 자동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상물에 부착된 잠금부(20)와 안전하게 분리되며, 추가적인 수동 해제 절차가 불필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반자동 잠금 장치
20: 잠금부
100: 체결 조립체
200: 선형 구동부
300: 이동 조립체
400: 잠금 해제부

Claims (13)

  1. 대상물을 고정하도록 이동체에 고정되는 반자동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잠금부와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 조립체;
    상기 체결 조립체의 적어도 일 측에 연결되며, 상기 잠금부와의 잠금 해제 시 선형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선형 구동부;
    상기 선형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선형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잠금부와 잠금 또는 잠금을 해제하도록 이동하는 이동 조립체; 및
    상기 이동 조립체의 일 측면과 적어도 일면이 맞물리도록 조립되며, 상기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잠금 해제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조립체는,
    제1 조립부;
    상기 제1 조립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조립부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조립부; 및
    상기 제1 조립부 및 상기 제2 조립부를 연결하며, 상기 잠금부와 체결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립부 및 상기 제2 조립부는 상기 선형 구동부 및 상기 이동 조립체와 양 측면에서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잠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조립체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조립부 및 상기 제2 조립부를 연결하며, 상기 이동 조립체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반자동 잠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립체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잠금부와 체결 시 상기 제1 체결부가 자중에 의해 쳐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체결부에 체결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선형 구동부의 상기 잠금부와 체결 시 압축 상태로 구현되고, 상기 잠금부와 잠금 해제 상태 시 압축이 해제되는 탄성부에 의해 스트로크가 연장 또는 축소되는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잠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동부는,
    상기 체결 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체결 조립체와 연결되는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현되는 제1 힌지부;
    상기 제1 힌지부의 반대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 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 조립체와 연결되는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현되는 제2 힌지부;
    상기 잠금부와 체결 시 압축 상태로 구현되고, 상기 잠금부와 잠금 해제 상태 시 압축이 해제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가 안착되는 탄성 하우징을 포함하는 조절부; 및
    상기 탄성부에 의해 스트로크가 연장 또는 축소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조절부 및 상기 피스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잠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동부는,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조절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단에 조립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씰링을 포함하는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스트로크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잠금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체결 조립체와 고정되는 제1 축을 형성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의 일 측단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과 고정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이동 조립체와 고정되는 제2 축을 형성하는 제3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의 일 측단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와 고정되는 제4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잠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동부는,
    상기 제4 블록을 상기 조절부에 고정하도록 조립되는 너트; 및
    상기 탄성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나사를 더 포함하는 반자동 잠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립체는,
    상기 체결 조립체, 상기 선형 구동부 및 상기 잠금 해제부와 조립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립부 사이에 조립되어 상기 잠금 해제 시 상기 조립되는 축을 이동시키는 제1 이동블록; 및 상기 제1 이동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잠금 해제부와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2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이동 블록에 형성되는 홈에 상기 조립부를 통해 조립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잠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부는,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2 이동블록의 일 측에서 맞닿아 맞물려 고정되도록 조립되고, 잠금 해제 상태에서 상기 제2 이동블록과의 고정이 해제되는 조절 블록; 및
    상기 조절 블록의 일측에 연결되며,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위해 이동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반자동 잠금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자동 잠금 장치는,
    상기 잠금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잠금 해제를 위해 상기 손잡이를 바깥 방향으로 잡아 당겨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손잡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조절 블록이 이동하여 상기 제2 이동블록과의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선형 구동부의 내부 탄성부에 의해 스트로크가 연장되고, 상기 탄성부의 장력 및 상기 제2 이동 블록의 하중에 의해 상기 체결 조립체의 제1 체결부와 상기 잠금부가 분리되어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잠금 장치.
  12. 고정되어 구비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대상물;
    상기 대상물을 탑재하여 이동하는 이동체; 및
    상기 잠금부와 체결되는 체결 조립체; 상기 체결 조립체의 적어도 일 측에 연결되며, 상기 잠금부와의 잠금 해제 시 선형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선형 구동부; 상기 선형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선형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잠금부와 잠금 또는 잠금을 해제하는 이동 조립체; 및 상기 이동 조립체의 일 측면과 적어도 일면이 맞물리도록 조립되며, 상기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해 이동하는 잠금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에 고정되는 반자동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반자동 잠금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자동 잠금 장치는,
    상기 잠금부와 상기 체결 조립체가 체결된 상태에서 잠금 해제를 위해 상기 잠금 해제부의 손잡이를 바깥 방향으로 잡아 당겨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손잡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잠금 해제부의 조절 블록이 이동하여 상기 이동 조립체의 이동 블록의 제2 이동블록과의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선형 구동부의 내부 탄성부에 의해 스트로크가 연장되고, 상기 탄성부의 장력 및 상기 제2 이동 블록의 하중에 의해 상기 체결 조립체의 제1 체결부가 상기 잠금부와 분리되어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잠금 시스템.
KR1020220075814A 2022-06-21 2022-06-21 반자동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잠금 시스템 KR20230174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814A KR20230174639A (ko) 2022-06-21 2022-06-21 반자동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잠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814A KR20230174639A (ko) 2022-06-21 2022-06-21 반자동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잠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639A true KR20230174639A (ko) 2023-12-28

Family

ID=89385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814A KR20230174639A (ko) 2022-06-21 2022-06-21 반자동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잠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46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9969B1 (en) Pull then lift hold open rod lock mechanism
JP5469374B2 (ja) ロック装置および航空機
EP3168138B1 (en) Aircraft door assembly
US7571877B2 (en) Operation mechanism for activating a deceleration device
US20160347465A1 (en) Positive lock latching mechanism
US4286810A (en) Manually operable latching device
DE102010007388A1 (de) Verrieglungseinrichtung mit Zuhaltung für Schutztüren
US10155580B1 (en) Ball-lock fastening device
EP3662124A1 (en) Mechanically damped pull then lift hold open rod mechanism
US9406994B2 (en) Remote antenna deployment latch
US6520359B2 (en) Lateral boom locking and actuating unit
KR20230174639A (ko) 반자동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잠금 시스템
CN107448064B (zh) 一种电磁式解锁装置
US9175770B2 (en) Secured locking corset for shutter controlled by actuator, in particular actuator corset for aircraft door and locking method
US11203512B2 (en) Winch drum tension isolation system
WO2013074047A2 (en) Safety locking mechanism for the multi-connection member (manifold) controlling the fluid passages
CA3101208C (en) Auto-locking telescoping mast
DE102013104553A1 (de) Antriebsspindelanordnung und Fahrwerkanordnung, die diese verwendet
US20080060396A1 (en) Vehicle compartment locking apparatus
US5960674A (en) Mechanical actuator with integral travel stop and down lock
AU2019227831B2 (en) Overload protection valve
CN217440414U (zh) 用于机动游戏设备安全带的油缸
EP3477028A1 (en) Protecting arrangement, system and method
CN106593142B (zh) 一种锁轴控制装置及其锁具
CN103437610B (zh) 发动机机顶罩支撑装置和工程机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