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481A - Control method of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481A
KR20230174481A KR1020220075439A KR20220075439A KR20230174481A KR 20230174481 A KR20230174481 A KR 20230174481A KR 1020220075439 A KR1020220075439 A KR 1020220075439A KR 20220075439 A KR20220075439 A KR 20220075439A KR 20230174481 A KR20230174481 A KR 20230174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control unit
lighting
moving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4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형진
백승우
차준혁
최반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481A/en
Priority to US18/145,939 priority patent/US20230406192A1/en
Publication of KR20230174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4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5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a shaft,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50Projected symbol or information, e.g. onto the road or c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800/00Features related to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Q2800/10Autonom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센서유닛이 차량의 주행 상태와 상기 차량 주변의 이동 객체를 감지하는 단계와, 제어유닛이 감지된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과 이동 객체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차량과 이동 객체의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유닛이 구동유닛, 조명유닛 및 스피커유닛을 동작시켜 이동 객체를 향해 조명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sensor unit detecting a driving state of a vehicle and a moving object around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based on the detected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moving object,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driving unit, lighting unit, and speaker unit to output lighting signals and sound signals toward the moving objec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step of:

Description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Control method of vehicle lighting device {CONTROL METHOD OF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위 차량,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light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lighting device that can transmit signals to surrounding vehicles, drivers, or pedestrians.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 시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고, 주위 차량, 보행자 등에게 차량의 상태를 알리거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조명 장치가 설치된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lighting devices are installed in vehicles to easily identify objects located around the vehicle while driving and to inform surrounding vehicles, pedestrians, etc. of the vehicle's status or transmit signals.

그러나 종래의 조명 장치는 LED의 점등 및 소등만을 통해 신호를 전달함에 따라 전달할 수 있는 신호의 종류에 한계가 있고, 다소 평면적인 이미지만을 전달할 수 있어 명확한 신호전달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외부의 조도값이 높은 주간 상황의 경우, LED의 점등 및 소등만에 의한 신호 전달은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conventional lighting devices transmit signals only by turning on and off LEDs, there are limits to the types of signals that can be transmitted, and they can only transmit somewhat flat images, making it difficult to transmit clear signals. Additionally, in the case of daytime situations where the illuminance value outside the vehicle is high, signal transmission only by turning on and off the LEDs has the problem of poor visibility.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9652호(2017.10.18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용 엘이디 조명 램프)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89652 (registered on October 18, 2017, title of invention: LED lighting lamp for vehicles).

본 발명은 빛에 의한 조명 신호뿐만 아니라 음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lighting device that can transmit sound signals as well as lighting signals by ligh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은: 센서유닛이 차량의 주행 상태와 상기 차량 주변의 이동 객체를 감지하는 단계; 제어유닛이 감지된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과 상기 이동 객체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과 상기 이동 객체의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유닛이 구동유닛, 조명유닛 및 스피커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이동 객체를 향해 조명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detecting a driving state of a vehicle and moving objects around the vehicle; A control unit determining a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moving object based on the detected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moving object, the control unit operates a driving unit, a lighting unit, and a speaker unit to output a lighting signal and a sound signal toward the moving object.

또한, 상기 조명유닛은, 제1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2바디에 결합되고, 노면을 향해 광학 이미지를 조사하는 제1조명유닛; 및 상기 제2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해 상기 차량의 외부로 설정된 색상을 표시하는 제2조명유닛;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includes: a first lighting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body, coupled to a second body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and irradiating an optical image toward the road surface; and a second lighting unit coupled to the second body and displaying a color set to the exterior of the vehicle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이동 객체를 향해 조명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유닛이 감지된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바디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구동유닛을 동작시켜 산출된 회전 각도로 상기 제2바디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제1조명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이동 객체가 위치한 노면상으로 광학 이미지를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스피커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이동 객체를 향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outputting a lighting signal and an audio signal toward the moving object may include calculating a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bod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moving object by the control unit; causing the control unit to operate the drive unit to rotate the second body at a calculated rotation angle;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first lighting unit to project an optical image onto the road surface where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and a step of the control unit operating the speaker unit to output an audio signal toward the moving object.

또한,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와 상기 차량 주변의 이동 객체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차량이 자율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조명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차량의 외부로 제1색상을 표시한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moving objects around the vehicle, if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autonomously driving,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second lighting unit to illuminate the first color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Displays .

또한, 상기 이동 객체를 향해 조명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제2조명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이동 객체를 향해 제2색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outputting a lighting signal and a sound signal toward the moving objec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the control unit operating the second lighting unit to display a second color toward the moving object.

또한, 상기 센서유닛이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유닛이 변화된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객체의 회피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detect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and determining, by the control unit, whether avoidance of the moving object has been completed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또한, 상기 이동 객체의 회피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유닛이 변화된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제2바디의 회전 각도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구동유닛을 동작시켜 보정된 회전 각도로 상기 제2바디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voidance of the moving object is not completed, the control unit corrects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body calculated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and rotating the second body at a corrected rotation angle by the control unit operating the driv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은 조명유닛에 의한 조명신호와 스피커유닛에 의한 음향신호의 조합으로 주위 차량, 운전자, 보행자, 동물 등과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The control method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surrounding vehicles, drivers, pedestrians, animals, etc. by combining lighting signals from a lighting unit and sound signals from a speaker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2바디의 회전에 의해 조명유닛과 스피커유닛의 조사 방향 및 출력 방향이 능동적으로 가변될 수 있음에 따라 움직이는 객체와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a moving object because the irradiation direction and output direction of the lighting unit and the speaker unit can be actively varied by rotation of the second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명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가 웰컴 모드 및 주차 위치 알림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130 단계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S130 단계에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140 단계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S140 단계에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가 위험 경보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220 단계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S220 단계에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가 충돌 방지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S320 단계에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가 보행 안내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9,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명유닛이 S433 단계에서 노면상으로 조사하는 광학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ligh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ak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in which a vehicle lighting device performs a welcome mode and a parking location notific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sequence of step S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in step S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sequence of step S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in step S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in which a vehicle lighting device performs a hazard warn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sequence of step S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in step S220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in which a vehicle lighting device performs a collision avoidanc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in step S320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in which a vehicle lighting device performs a walking guidanc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9 and 20 are diagrams showing optical images that the first lighting unit emits onto the road surface in step S43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does not only mean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but also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Also includes cases where there is an “indirect connection (or connec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or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rather “includes (or includes)” other components. It means you can do it.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Even if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signs are not mentioned or explained in a particular drawing, the numbers may be explained based on other drawings. Additionally, even if there are parts that are not indicated by reference signs in a specific drawing, those parts can be explained based on other drawings. In addition, the number, shape, size, and relative differences in size of detailed components included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set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do not limit the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It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schematic view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1)는 제1바디(100), 제2바디(200), 구동유닛(300), 조명유닛(400), 스피커유닛(500), 센서유닛(600), 제어유닛(7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4, a vehicle ligh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0, a second body 200, a driving unit 300, a lighting unit 400, It includes a speaker unit 500, a sensor unit 600, and a control unit 700.

제1바디(100)는 차체(10)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제2바디(20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100)는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통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용접 등에 의해 차체(1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볼팅 등에 의해 차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바디(100)는 개구된 측이 차체(10)의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1에서는 제1바디(100)가 차체(10)의 전면에 장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제1바디(100)는 이러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체(10)의 후면, 차체(10)의 측면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body 100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10 and supports the second body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the shape of a cylinder with one side open and an empty interior. The first body 10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10 by welding or the like, and may als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10 by bolting or the like. The first body 100 is arranged so that the open side faces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10. In Figure 1, the first body 100 is shown as an example of being mount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10, but the first body 100 is not limited to this position, and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0, the vehicle body ( 10) It is also possible to be mounted on the side.

제2바디(200)는 제1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2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제1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하 양단부가 제1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제2바디(200)는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제1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2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body 100. The second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The second body 200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100, and both upper and lower end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00. In this case, the second body 200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body 100 about an ax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제2바디(200)에는 후술하는 조명유닛(400)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명 신호와, 후술하는 스피커유닛(50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제2바디(200)의 외부로 투과시키는 그릴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부(210)는 제2바디(2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패턴홀이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릴부(210)는 제2바디(200)의 하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차체(10)의 외부 공간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릴부(210)를 이루는 복수개의 패턴홀은 도 2에 도시된 사각형의 형상 이외에도 삼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The second body 200 includes a grill portion 210 that transmits a lighting signal emitted from a lighting uni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n audio signal output from a speaker unit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200. can be formed. The grill portion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pattern holes formed penetrating the second body 200 arranged in a lattice shape. The grill portion 210 is formed along the low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0 and is disposed to face the external space of the vehicle body 10. The plurality of pattern holes forming the grill portion 210 can be design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triangle, circle, and oval in addition to the square shape shown in FIG. 2.

구동유닛(300)은 구동력을 발생시켜 제2바디(200)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30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스텝모터로 예시될 수 있다. 구동유닛(300)은 차량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구동유닛(300)은 제1바디(100)의 하측면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 경우, 구동유닛(300)은 용접 등에 의해 제1바디(1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볼팅 등에 의해 제1바디(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유닛(300)의 출력축은 제2바디(20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구동유닛(300)은 출력축을 매개로 제2바디(200)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제1바디(100)에 대해 제2바디(200)를 상대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구동유닛(300)의 출력축은 제2바디(2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감속기를 매개로 제2바디(200)와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유닛(300)의 출력축은 제2바디(200)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 즉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구동유닛(300)은 후술하는 제어유닛(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유닛(700)에 의해 구동력의 발생 여부, 구동력의 방향 등이 제어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300 generates driving force to rotate the second body 200. The drive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mplified as a step motor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nd generates rotational force. The driving unit 300 may receive power from a vehicle battery, etc. The drive unit 300 is coupled to and suppor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100. In this case, the drive unit 300 can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first body 100 by welding, etc., and can als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100 by bolting, etc. The output shaft of the drive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200. Accordingly, the drive unit 300 can rotate the second body 200 relative to the first body 100 by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body 200 through the output shaft. In this case, the output shaft of the drive unit 3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200, and may also be in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200 through a separate reducer. The output shaft of the drive unit 300 is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body 200, that 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driving unit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whether or not driving force is generated and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force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0.

조명유닛(400)은 제2바디(200)와 함께 회전되고, 차량의 외부로 조명 신호를 조사한다.The lighting unit 400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body 200 and emits a lighting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유닛(400)은 제1조명유닛(410), 제2조명유닛(420), 제3조명유닛(430)을 포함한다.The lighting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ighting unit 410, a second lighting unit 420, and a third lighting unit 430.

제1조명유닛(410)은 제2바디(200)에 결합되고, 노면을 향해 광학 이미지를 조사한다. The first lighting unit 410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200 and projects an optical image toward the road surfac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명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Figure 6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ligh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명유닛(410)은 필름 등에 인쇄된 이미지를 투사하는 영사 장치 또는 기록된 디지털 이미지를 투사하는 빔프로젝터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조명유닛(410)은 제2바디(200)의 내부에서 후술하는 제2조명유닛(420) 및 스피커유닛(50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제1조명유닛(410)은 용접 등에 의해 제2바디(2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볼팅 등에 의해 제2바디(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조명유닛(410)은 제2바디(200)의 회전 시 제2바디(200)와 동일한 각속도 및 각도로 회전된다. 제1조명유닛(410)은 제2바디(200)의 하측을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제1조명유닛(410)은 광학 이미지를 조사하는 렌즈의 중심축이 지면과 수평한 방향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의 각도(θ1)만큼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조명유닛(410)은 차량의 외부로 조사되는 광학 이미지가 노면 상에서 표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1조명유닛(4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이미지를 조사하는 렌즈의 중심축이 그릴부(210)를 대칭되게 분할하는 중심선을 지나도록 배치된다.1 to 6, the first lighting uni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mplified by a projection device that projects an image printed on film, etc., or a beam projector that projects a recorded digital image. there is. The first lighting unit 410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body 200 and above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and the speaker unit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lighting unit 41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200 by welding or the like, and may als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200 by bolting or the like. When the second body 200 rotates, the first lighting unit 410 is rotated at the same angular speed and angle as the second body 200. The first lighting unit 410 is dispos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200. That is, the first lighting unit 410 is disposed so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lens that irradiates the optical image is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θ1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Accordingly, the first lighting unit 410 can guide the optical image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o be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lighting unit 410 is arranged so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lens that emits the optical image passes through the center line that symmetrically divides the grill portion 210.

제1조명유닛(410)에 의해 조사되는 이미지는 화살표 이미지와 같은 기호, 횡단보도 이미지와 같은 그림, "HELLO" 등과 같은 문자, 로고나 엠블렘 등과 같은 문양,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조명유닛(410)은 조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보행자의 보행을 안내 및 지시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는 경우 차량이 운전자를 반기는 듯한 웰컴 기능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심미감을 부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제1조명유닛(410)은 후술하는 제어유닛(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유닛(700)에 의해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제1조명유닛(410)은 제어유닛(700)의 제어에 의해 노면으로 조사되는 상기한 복수개의 광학 이미지를 변경시킬 수 있다. The image illuminated by the first lighting unit 410 may be composed of a symbol such as an arrow image, a picture such as a crosswalk image, letters such as “HELLO”, patterns such as a logo or emblem, or a combination thereof. Accordingly, the first lighting unit 410 may be used to guide and instruct pedestrians to walk through the irradiated image, and may also be used for a welcome function where the vehicle appears to welcome the driver when the driver approaches the vehicle. It can be used to provide aesthetics. The first lighting unit 4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ts operating state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0. The first lighting unit 410 can change the plurality of optical images projected onto the road surfa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0.

제2조명유닛(420)은 제2바디(200)에 결합되고, 차량의 외부로 색상을 갖는 빛을 조사한다. 제2조명유닛(420)은 복수개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2조명유닛(420)은 후술하는 제어유닛(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유닛(70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외부로 설정된 색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명유닛(420)은 복수개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RGB(Red Green Blue) LED(Light-Emitting Diode) 조명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2조명유닛(420)은 제2바디(200)의 내부에서 제1조명유닛(4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제2조명유닛(420)은 용접 등에 의해 제2바디(2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볼팅 등에 의해 제2바디(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조명유닛(420)은 제2바디(200)의 회전 시 제2바디(200)와 동일한 각속도 및 각도로 회전된다. 제2조명유닛(420)은 길이 방향이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2조명유닛(420)은 발광면이 그릴부(210)를 대칭되게 분할하는 중심선과 마주보도록배치된다.The second lighting unit 420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200 and irradiates colored light to the exterior of the vehicle.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is equipped to display a plurality of colors.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displays a color set to the exterior of the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0.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mplified by RGB (Red Green Blue) LED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that can display a plurality of colors.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is arranged to be located below the first lighting unit 410 inside the second body 200.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200 by welding or the like, and may als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200 by bolting or the like.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is rotated at the same angular speed and angle as the second body 200 when the second body 200 rotates.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is formed to exte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is arranged so that its light-emitting surface faces the center line that symmetrically divides the grill portion 210.

제2조명유닛(420)은 제어유닛(70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외부로 제1색상, 제2색상 및 제3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색상 내지 제3색상은 각각 초록색, 파란색, 빨간색으로 예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구별 가능한 색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can display the first color, second color, and third color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0. Here, the first to third colors may be exemplified as green, blue, and red, respectively,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matters, and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of colors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보다 구체적으로, 제2조명유닛(420)은 제어유닛(700)이 차량이 현재 자율 주행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유닛(70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외부로 제1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조명유닛(420)은 차량 외부의 보행자, 다른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로 하여금 현재 차량이 자율 주행 상태에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currently in an autonomous driving state,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can display the first color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0. there is. Accordingly,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can easily enable pedestrians outside the vehicle and drivers riding in other vehicles to recognize that the vehicle is currently in an autonomous driving state.

또한, 제2조명유닛(420)은 제어유닛(700)에 의해 센서유닛(600)이 차량 주변의 운전자, 보행자 등의 객체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해당 객체를 추적중인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유닛(70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외부로 제2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조명유닛(420)은 차량 외부의 운전자, 보행자 등의 객체에게 현재 차량이 자신을 확실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표시해줌으로써 차량 외부의 운전자, 보행자 등의 객체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determines that the sensor unit 600 correctly recognizes objects such as drivers and pedestrians around the vehicle by the control unit 700 and is in a state of tracking the objects, The second color can be display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by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0. Accordingly,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can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to objects such as drivers and pedestrians outside the vehicle by indicating to objects such as drivers and pedestrians outside the vehicle that the vehicle is clearly recognizing the vehicle. .

또한, 제2조명유닛(420)은 제어유닛(700)이 차량이 현재 파손, 도난, 침입 등 위험 상황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유닛(70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외부로 제3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조명유닛(420)은 차량의 위험 상황을 유발한 객체에게 현재 차량이 위험 상황을 인식하고 있음을 표시해줌으로써 차량의 위험 상황을 유발한 객체에게 경각심을 부여하고, 위험 상황이 해소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currently in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damage, theft, or intrusion,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displays a third color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0. It can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alerts the object that caused the vehicle's dangerous situation by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currently aware of the dangerous situation, and helps the dangerous situation to be resolved. It can be induced.

제3조명유닛(430)은 제1바디(100)에 결합되고, 차량의 외부로 로우빔, 하이빔 등과 같은 빔 패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조명유닛(430)은 광원, 리플렉터, 렌즈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차량이 진행하는 경로를 밝혀주는 기존 차량의 헤드램프로 예시될 수 있다. 제3조명유닛(430)은 제1바디(100)의 내부에서 제2바디(20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조명유닛(430)은 용접 등에 의해 제1바디(1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볼팅 등에 의해 제1바디(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3조명유닛(430)은 제어유닛(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유닛(700)에 의해 점등 상태, 점등 모드가 제어될 수 있다.The third lighting unit 430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100 and forms a beam pattern such as low beam, high beam, etc.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 third lighting unit 4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mplified as a headlamp of an existing vehicle tha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ght source, a reflector, a lens, etc. and illuminates the vehicle's path. The third lighting unit 4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100 and above the second body 200. The third lighting unit 43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first body 100 by welding or the like, and may als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100 by bolting or the like. The third lighting unit 4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00, and the lighting state and lighting mode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0.

스피커유닛(500)은 제2바디(200)와 함께 회전되고, 차량의 외부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The speaker unit 500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body 200 and outputs an acoustic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Figure 7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ak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유닛(500)은 특정 방향 또는 특정 방향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지향성 스피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유닛(500)은 음향 신호를 전달하고자 하는 객체에게 음향이 집중되서 출력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인식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피커유닛(500)은 제2바디(200)의 내부에서 제1조명유닛(41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스피커유닛(500)은 제2바디(200)의 내부에서 제2조명유닛(42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유닛(500)은 용접 등에 의해 제2바디(2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볼팅 등에 의해 제2바디(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피커유닛(500)은 제2바디(200)의 상측을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스피커유닛(500)은 음향 신호의 전달 방향이 지면과 수평한 방향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의 각도(θ2)만큼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스피커유닛(500)은 상대적으로 차체(10)보다 높은 위치에서 소리를 인식하는 운전자, 보행자에 대한 음향 신호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7 , the speaker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irectional speaker that outputs sound signals in a specific direction or at a constant angle around a specific direction. Accordingly, the speaker unit 500 can improve recognition efficiency and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by directing the sound to be concentrated and output to the object to which the sound signal is to be transmitted. The speaker unit 500 may be arranged to be located below the first lighting unit 410 inside the second body 200. At the same time, the speaker unit 500 may be arranged to be located below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inside the second body 200. The speaker unit 50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200 by welding or the like, and may als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200 by bolting or the like. The speaker unit 500 is dispos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ody 200. That is, the speaker unit 500 is arranged so that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sound signal is inclined up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θ2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horizontal to the ground. Accordingly, the speaker unit 500 can improv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sound signals to drivers and pedestrians who perceive sound at a relatively higher position than the vehicle body 10.

센서유닛(600)은 차량의 상태 및 차량의 주변 정보를 감지한다. 즉, 센서유닛(600)은 후술하는 제어유닛(700)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서 기능한다.The sensor unit 600 detects the status of the vehicle and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That is, the sensor unit 600 functions as a component that collects various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600)은 주행 감지센서(610), 객체 감지센서(620), 거리 감지센서(630), 위험 감지센서(640)를 포함한다.The sensor uni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detection sensor 610, an object detection sensor 620, a distance detection sensor 630, and a danger detection sensor 640.

이하에서는 센서유닛(600)이 주행 감지센서(610), 객체 감지센서(620), 거리 감지센서(630), 위험 감지센서(640)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센서유닛(60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행 감지센서(610), 객체 감지센서(620), 거리 감지센서(630), 위험 감지센서(640) 중 어느 하나, 2개의 조합, 3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sensor unit 600 includes the driving detection sensor 610,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0,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630, and the danger detection sensor 640. However, the sensor unit 6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composed of any one, a combination of two, or a combination of three of the driving detection sensor 610,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0,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630, and the hazard detection sensor 640. do.

주행 감지센서(610)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주행 감지센서(610)는 차량의 주행 방향, 차량의 주행 속도, 차량의 주행 또는 정지 여부, 차량의 주행 모드 등을 감지한다. 주행 감지센서(610)는 감지된 차량의 주행 상태를 전기적인 신호의 형태로 변환하여 후술하는 제어유닛(700)으로 전달한다. 주행 감지센서(610)는 제1바디(100) 또는 제2바디(200)에 설치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차체(1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감지센서(610)는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센서, 자이로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ensor), 지자기 센서, 차량의 주행 모드 신호를 감지하는 전류, 전압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언급되지 않은 센서라도, 차량의 주행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요소라면 주행 감지센서(610)에 포함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The driving detection sensor 610 detects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driving detection sensor 610 detect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or stopped, and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The driving detection sensor 610 converts the detected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riving detection sensor 61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or alternatively, it may be installed in various positions of the vehicle body 10. The driving sensor 6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ed sensor, an inclination sensor, a weight sensor, a gyro sensor, a global positioning sensor (GPS), a geomagnetic sensor, and a current and voltage sensor that detects a vehicle's driving mode signal. It can include at least one of them. In addition, even if a sensor not mentioned above is an element that can additionally obtain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it would be natural to include it in the driving detection sensor 610.

객체 감지센서(620)는 차량 주변의 객체를 감지한다. 여기서 객체는 운전자, 보행자, 동물 등 이동 가능한 객체 뿐만 아니라 차량 주변의 사물, 구조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0 detects objects around the vehicle. Here, objects may be exemplified to include not only movable objects such as drivers, pedestrians, and animals, but also objects and structures around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센서(620)는 라이다센서(621), 카메라모듈(622)을 포함한다.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dar sensor 621 and a camera module 622.

라이다센서(621)는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차량 주변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한다. 라이다센서(621)는 획득된 이미지를 통해 차량 주변 객체의 위치 정보,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 속도 정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라이다센서(621)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센서(621)는 제1바디(100)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라이다센서(621)는 제1바디(100)의 내부에서 제3조명유닛(43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센서(621)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라이다센서(621)는 제1바디(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이다센서(621)는 차량 주변 객체의 인식 가능 범위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 라이다센서(621)는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위치 정보,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 속도 정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를 획득할 수 있다The LiDAR sensor 621 uses laser light to acquire three-dimensional images around the vehicle. The lidar sensor 621 can detect location information, distance information, direction information, speed information, etc. of objects around the vehicle through the acquired image. The lidar sensor 621 may be implemented in a time of flight (TOF) method or a phase-shift method. The lidar sensor 621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body 100. More specifically, the lidar sensor 621 may be arranged to be located above the third lighting unit 430 inside the first body 100. The lidar sensor 621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The plurality of lidar sensors 62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00. Accordingly, the lidar sensor 621 can further expand the recognition range of objects around the vehicle. The LiDAR sensor 621 can detect location information, distance information, direction information, speed information, etc. with an object. can be obtained

카메라모듈(622)은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모듈(622)은 획득된 이미지를 통해 차량 주변 객체의 위치 정보,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 속도 정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622)은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카메라모듈(622)은 제2바디(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모듈(622)은 제2바디(200)의 내부에서 제1조명유닛(4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카메라모듈(622)은 용접 등에 의해 제2바디(20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볼팅 등에 의해 제2바디(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amera module 622 captures images around the vehicle. The camera module 622 can detect location information, distance information, direction information, speed information, etc. of objects around the vehicle through the acquired image. The camera module 622 may be at least one of a mono camera, a stereo camera, and an Around View Monitoring (AVM) camera. The camera module 622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second body 200. More specifically, the camera module 622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body 200 and above the first lighting unit 410. The camera module 622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200 by welding, etc., and may als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200 by bolting, etc.

또한, 상기에 언급되지 않은 센서라도, 차량 주변의 객체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요소라면 객체 감지센서(620)에 포함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In addition, even if a sensor not mentioned above is an element that can additionally obtain object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it would be natural to include it in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0.

거리 감지센서(630)는 차량과 운전자 단말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다. 운전자 단말은 운전자가 소지하는 정보통신 단말기로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웨어러블 단말기, 노트북, 테블릿 P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거리 감지센서(63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적외선 센서, 안테나 등을 포함하여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단말의 상대 방위 및 상대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거리 감지센서(630)는 운전자 단말로부터 후술하는 제어유닛(700)으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며, 측정된 무선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차량과 운전자 단말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거리 감지센서(630)는 제어유닛(700)으로 입력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운전자 단말로 거리 감지 신호를 송신하고, 운전자 단말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차량과 운전자 단말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거리 감지센서(630)는 제1바디(100) 또는 제2바디(200)에 설치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차체(1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 언급되지 않은 센서라도, 차량과 운전자 단말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요소라면 거리 감지센서(630)에 포함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The distance sensor 630 detects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river's terminal. The driver terminal is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carried by the driver and may be at least one of a smartphone, a wearable terminal, a laptop, or a tablet PC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e distance sensor 630 includ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 infrared sensor, an antenna, etc., and can detect the relative orientation and relative distance of the driver's terminal to the vehicle.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630 measures the strength of a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driver terminal to the control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n detect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river terminal based on the measured strength of the wireless signal. In addition,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630 transmits a distance detection signal to the driver terminal as an input signal is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700, and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driver terminal to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river terminal. can be detected.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63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or alternatively, it may be installed in various positions of the vehicle body 10. In addition, even if a sensor not mentioned above is an element that can detect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river's terminal, it will be natural to include it in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630.

위험 감지센서(640)는 차량의 위험 상황을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험 감지센서(640)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도어의 개폐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차량의 파손, 침입, 도난 상황을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감지센서(640)는 충격 센서, 초음파 센서, 기울기 센서, 또는 도어 개폐 센서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험 감지센서(640)는 제1바디(100) 또는 제2바디(200)에 설치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차체(1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 언급되지 않은 센서라도, 차량과 운전자 단말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요소라면 위험 감지센서(640)에 포함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The hazard detection sensor 640 detects a dangerous situation in the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danger sensor 640 detects damage, intrusion, or theft of the vehicle by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n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or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danger sensor 6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mpact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tilt sensor, and a door open/close sensor. The hazard detection sensor 640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body 100 or the second body 200, or alternatively, it may be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on the vehicle body 10. In addition, even if a sensor not mentioned above is an element that can detect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river's terminal, it will be natural to include it in the hazard detection sensor 640.

제어유닛(700)은 감지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정보 또는 운전자 단말의 입력 신호를 전달받아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 모드를 기반으로 구동유닛(300), 조명유닛(400), 스피커유닛(5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제어유닛(700)은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700)에 의해 결정되는 동작 모드는 웰컴 모드, 주차 위치 알림 모드, 위험 경보 모드, 충돌 방지 모드, 보행자 안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모드에 따른 제어유닛(700)의 구체적인 제어 동작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an operation mode by receiving information sensed from the sensing unit 600 or an input signal from the driver terminal, and operates the driving unit 300, lighting unit 400, and speaker unit based on the determined operation mode.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500).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s brake system, etc. The operation mode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700 may include welcome mode, parking location notification mode, danger warning mode, collision prevention mode, and pedestrian guidance mode. Detailed control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700 for each mode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유닛(700)은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SoC(System on Chip)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운영 체제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유닛(700)은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시키고, 그 실행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유닛(700)은 운전자의 단말로부터 발생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는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rocessor, or a system on chip (SoC).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and can control a plurality of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by running an operating system or application, and can perform various data processing and calculations. The control unit 700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at least one command stored in a memory and store execution result data in the memory. The control unit 700 can implement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capable of receiving input signals generated from the driver's terminal, such as RF (Radio Frequency), Wi-Fi (Wireless Fidelity), Bluetooth, and Zigbee.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어유닛(700)에서 결정된 동작 모드 별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each operation mode determined in the control unit 70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가 웰컴 모드 및 주차 위치 알림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ure 8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in which a vehicle lighting device performs a welcome mode and a parking location notific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이 주차 중인 상태에서 제어유닛(700)은 운전자 단말로부터 발생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S100). 여기서, 입력 신호는 도어 개방 신호, 시동 신호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while the vehicle is parked, the control unit 700 receives an input signal generated from the driver terminal (S100). Here, the input signal may be exemplified by a door opening signal, a starting signal, etc.

이후, 감지유닛(600)은 차량과 운전자 단말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S110 단계에서 감지유닛(600)은 거리 감지센서(630)를 통해 운전자 단말로부터 제어유닛(700)으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며, 측정된 무선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차량과 운전자 단말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거리 감지센서(630)는 제어유닛(700)으로 입력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운전자 단말로 거리 감지 신호를 송신하고, 운전자 단말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차량과 운전자 단말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Afterwards, the sensing unit 600 detects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river terminal (S110). More specifically, in step S110, the detection unit 600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driver terminal to the control unit 700 through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630, and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measured wireless signal, the vehicle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driver's terminal can be detected. In addition,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630 transmits a distance detection signal to the driver terminal as an input signal is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700, and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driver terminal to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river terminal. can be detected.

제어유닛(700)은 감지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차량과 운전자 단말 사이의 거리가 설정 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여기서, 설정 거리는 운전자가 차량의 위치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 가능한 거리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600 and the driver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distance (S120). Here, the set distance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range of a distance that allows the driver to easily visual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vehicle.

감지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차량과 운전자 단말 사이의 거리가 설정 거리 이하인 경우, 제어유닛(700)은 구동유닛(300), 조명유닛(400) 및 스피커유닛(500)을 동작시켜 운전자를 향해 조명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S130).If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river's termi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600 is less than the set distance,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driving unit 300, lighting unit 400, and speaker unit 500 to direct the driver toward the driver. Lighting signals and sound signals are output (S13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130 단계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S130 단계에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sequence of step S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in step S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S13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지유닛(600)은 설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운전자의 위치를 감지한다(S131). 보다 구체적으로, S131단계에서 감지유닛(600)은 객체 감지센서(620)의 라이다센서(621) 및 카메라모듈(622)을 통해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운전자의 위치, 거리,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To describe step S130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the detection unit 600 detects the location of the driver who has approached within a set distance (S131). More specifically, in step S131, the detection unit 600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distance, speed, etc. of the driver located around the vehicle through the lidar sensor 621 and the camera module 622 of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0. sense

이후, 제어유닛(700)은 감지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운전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2바디(200)의 회전 각도를 산출한다(S132). 보다 구체적으로, S132단계에서 제어유닛(700)은 감지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운전자의 위치와 현재 조명유닛(400)의 조명 조사 방향 및 스피커유닛(500)의 음향 출력 방향을 비교하고, 조명유닛(400)의 조명 조사 방향 및 스피커유닛(500)의 음향 출력 방향이 감지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운전자의 위치와 일치되기까지 필요한 제2바디(200)의 회전 각도를 산출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calculates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body 200 based on the driver's loc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600 (S132). More specifically, in step S132, the control unit 700 compares the driver's posi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600 with the current lighting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ighting unit 400 and the sound output direction of the speaker unit 500,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body 200 required until the lighting direction of the unit 400 and the sound output direction of the speaker unit 500 match the driver's posi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600 is calculated.

이후, 제어유닛(700)은 구동유닛(300)을 동작시켜 산출된 회전 각도로 제2바디(200)를 회전시킨다(S133).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driving unit 300 to rotate the second body 200 at the calculated rotation angle (S133).

이후, 제어유닛(700)은 제1조명유닛(410)을 동작시켜 운전자가 위치한 노면상으로 광학 이미지를 조사한다(S134). S134 단계에서 제1조명유닛(410)이 노면상으로 조사하는 광학 이미지는 다양한 종류의 도형, 기호, 그림,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Afterwards,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first lighting unit 410 to project an optical image onto the road surface where the driver is located (S134). The optical image projected onto the road surface by the first lighting unit 410 in step S134 may be various types of shapes, symbols, pictures, letter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제어유닛(700)은 스피커유닛(500)을 동작시켜 운전자를 향해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S135). S135 단계에서 스피커유닛(500)은 예를 들어 "Hi 운전자명" 등과 같은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speaker unit 500 to output an audio signal to the driver (S135). In step S135, the speaker unit 500 may output an acoustic signal such as “Hi driver’s name,” etc.

또한, 제어유닛(700)은 제2조명유닛(420)을 동작시켜 운전자를 향해 제2색상을 표시한다(S136).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to display the second color toward the driver (S136).

이후, 제어유닛(700)은 감지유닛(600)의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였는지를 판단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has boarded the vehicle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600.

제어유닛(700)은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유닛(300), 조명유닛(400) 및 스피커유닛(500)의 동작을 중단시킨다.When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at the driver is in the vehicle, 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300, lighting unit 400, and speaker unit 500.

도 9에서는 S134, S135, S136 단계가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S134, S135, S136 단계는 이러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순서를 달리하여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Figure 9, it is shown as an example that steps S134, S135, and S136 occur sequentially, but steps S134, S135, and S136 are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 a different order. .

한편, S120 단계에서 감지유닛(600)에 의해 감지된 차량과 운전자 단말 사이의 거리가 설정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유닛(700)은 조명유닛(400)과 스피커유닛(500)을 동작시켜 차량의 외부로 조명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S140). Meanwhi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river termi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600 in step S120 exceeds the set distance,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lighting unit 400 and the speaker unit 500 to Output lighting signals and sound signals to the outside (S14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140 단계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S140 단계에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sequence of step S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at step S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도 12를 참조하여 S14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유닛(700)은 제1조명유닛(410)을 동작시켜 운전자가 위치한 노면상으로 광학 이미지를 조사한다(S141). S141 단계에서 제1조명유닛(410)이 노면상으로 조사하는 광학 이미지는 다양한 종류의 도형, 기호, 그림,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다수의 차량이 일렬로 주차된 상황에서도 노면상에 표시된 광학 이미지를 통해 자신의 차량의 주차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To describe step S140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first lighting unit 410 to project an optical image onto the road surface where the driver is located (S141). The optical image that the first lighting unit 410 irradiates onto the road surface in step S141 may be various types of shapes, symbols, pictures, letters, or a combination thereof. Accordingly, the driver can easily identify the parking location of his or her vehicle through the optical image displayed on the road even in a situation where multiple vehicles are parked in a row.

또한, 제어유닛(700)은 스피커유닛(500)을 동작시켜 차량의 외부를 향해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S142). S142 단계에서 스피커유닛(500)은 예를 들어 "Hi 운전자명" 등과 같은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다수의 차량이 일렬로 주차된 상황에서도 음향 신호를 통해 차량의 주차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speaker unit 500 to output an acoustic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S142). In step S142, the speaker unit 500 may output an audio signal such as “Hi driver’s name,” etc. Accordingly, drivers can easily identify the vehicle's parking location through acoustic signals even in situations where multiple vehicles are parked in a row.

이후, 감지유닛(600)에 의해 감지된 차량과 운전자 단말 사이의 거리가 설정 거리 이하인 경우, 제어유닛(700)은 상기한 S130 단계가 수행되도록 구동유닛(300), 조명유닛(400) 및 스피커유닛(500)을 동작시킬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river termi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600 is less than the set distance,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driving unit 300, the lighting unit 400, and the speaker so that the above-mentioned step S130 is performed. The unit 500 can be operat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가 위험 경보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ure 1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in which a vehicle lighting device performs a hazard warn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우선 센서유닛(600)은 위험 감지센서(640)에 의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한다(S200). Referring to FIG. 13, first, the sensor unit 600 detects at least one of an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or an open/closed state of the vehicle door by the hazard detection sensor 640 (S200).

이후, 제어유닛(700)이 센서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S210). 보다 구체적으로, S210 단계에서 제어유닛(700)은 우선 차량의 시동의 온/오프 여부를 판단한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e dangerous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600 (S210). More specifically, in step S210, the control unit 700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gnition is on or off.

차량의 시동이 오프인 경우, 제어유닛(700)은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의 크기가 설정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유닛(700)의 판단기준이 되는 충격의 크기는 차량의 충격 위치, 차량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When the vehicle's ignition is off,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whether the magnitude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exceeds the set magnitude. Here, the size of the impact, which is the judgment standard for the control unit 700, can be designed and changed to various values depending on the impact location of the vehicle, type of vehicle, etc.

또한, 제어유닛(700)은 운전자 단말의 입력 신호 없이 차량의 도어가 무단으로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whether the door of the vehicle has been opened without permission without an input signal from the driver terminal.

이후,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의 크기가 설정 크기를 초과하는지 여부와, 운전자 단말의 입력 신호 없이 차량의 도어가 무단으로 개방되었는지 여부 중 어느 하나가 만족되면 제어유닛(700)은 차량이 위험 상황인 것으로 판단한다.Afterwards, if either the size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exceeds the set size or whether the vehicle door is opened without permission without an input signal from the driver terminal,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It is judged that

차량이 위험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유닛(700)은 구동유닛(300), 조명유닛(400) 및 스피커유닛(500)을 동작시켜 차량의 외부로 조명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S22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driving unit 300, lighting unit 400, and speaker unit 500 to output lighting signals and sound signals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S220) .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220 단계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S220 단계에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sequence of step S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at step S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도 15를 참조하여 S22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지유닛(600)은 설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위험 유발 객체의 위치를 감지한다(S221). 여기서 위험 유발 객체는 제어유닛(700)이 위험 상황을 판단한 시점에서, 감지유닛(600)에 의해 감지된 차량 주변의 객체 중 차량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 이동 가능한 객체, 예를 들어 사람, 차량 등을 의미한다. S221단계에서 감지유닛(600)은 객체 감지센서(620)의 라이다센서(621) 및 카메라모듈(622)을 통해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위험 유발 객체의 위치, 거리,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To describe step S220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the detection unit 600 detects the location of a risk-causing object that approaches within a set distance (S221). Here, the risk-causing object is a movable object located closest to the vehicle, for example, a person, a vehicle, etc., among the objects around the vehicl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600 at the time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a dangerous situation. it means. In step S221, the detection unit 600 detect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distance, speed, etc. of dangerous objects located around the vehicle through the lidar sensor 621 and the camera module 622 of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0. .

이후, 제어유닛(700)은 감지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위험 유발 객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2바디(200)의 회전 각도를 산출한다(S222). 보다 구체적으로, S222단계에서 제어유닛(700)은 감지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위험 유발 객체의 위치와 현재 조명유닛(400)의 조명 조사 방향 및 스피커유닛(500)의 음향 출력 방향을 비교하고, 조명유닛(400)의 조명 조사 방향 및 스피커유닛(500)의 음향 출력 방향이 감지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위험 유발 객체의 위치와 일치되기까지 필요한 제2바디(200)의 회전 각도를 산출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calculates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body 2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angerous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600 (S222). More specifically, in step S222, the control unit 700 compares the location of the risk-causing objec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600 with the current illumination direction of the lighting unit 400 and the sound output direction of the speaker unit 500. , Calculate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body 200 required until the lighting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ighting unit 400 and the sound output direction of the speaker unit 500 match the position of the dangerous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600. do.

이후, 제어유닛(700)은 구동유닛(300)을 동작시켜 산출된 회전 각도로 제2바디(200)를 회전시킨다(S223).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driving unit 300 to rotate the second body 200 at the calculated rotation angle (S223).

이후, 제어유닛(700)은 제1조명유닛(410)을 동작시켜 위험 유발 객체가 위치한 노면상으로 광학 이미지를 조사한다(S224). S224 단계에서 제1조명유닛(410)이 노면상으로 조사하는 광학 이미지는 경고 의미를 전달하는 도형, 기호, 그림,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S224 단계에서 제어유닛(700)은 제1조명유닛(4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학 이미지가 점멸되도록 제1조명유닛(410)을 동작시킬 수 있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first lighting unit 410 to project an optical image onto the road surface where the hazard-causing object is located (S224). The optical image projected onto the road surface by the first lighting unit 410 in step S224 may be a shape, symbol, picture, text, or a combination thereof that conveys a warning meaning. In step S224, the control unit 700 may operate the first lighting unit 410 so that the optical image emitted from the first lighting unit 410 blinks.

또한, 제어유닛(700)은 스피커유닛(500)을 동작시켜 차량의 외부, 보다 구체적으로 위험 유발 객체를 향해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S225). S225 단계에서 스피커유닛(500)은 예를 들어 경고 의미를 전달하는, 예를 들어 "Warning" 등과 같은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speaker unit 500 to output an acoustic signal toward the outside of the vehicle, more specifically toward a dangerous object (S225). In step S225, the speaker unit 500 may output an acoustic signal such as “Warning” that conveys a warning meaning, for example.

또한, 제어유닛(700)은 제2조명유닛(420)을 동작시켜 차량의 외부, 보다 구체적으로 위험 유발 객체를 향해 제3색상을 표시한다(S226). S226단계에서 제어유닛(700)은 제2조명유닛(420)이 점멸되며 제3색상을 표시하도록 제2조명유닛(420)을 동작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to display the third color toward the outside of the vehicle, more specifically toward a hazard-causing object (S226). In step S226, the control unit 700 may operate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so that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blinks and displays a third color.

도 14에서는 S224, S225, S226 단계가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S224, S225, S226 단계는 이러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순서를 달리하여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Figure 14, it is shown as an example that steps S224, S225, and S226 occur sequentially, but steps S224, S225, and S226 are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 a different order. .

이후, 감지유닛(600)은 위험 유발 객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한다. Afterwards, the sensing unit 600 detects a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dangerous object.

제어유닛(700)은 감지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위험 유발 객체의 변경된 위치를 기반으로 위험 유발 객체의 회피 여부를 판단한다.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whether to avoid the dangerous object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of the dangerous objec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600.

제어유닛(700)은 위험 유발 객체의 회피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유닛(300), 조명유닛(400) 및 스피커유닛(500)의 동작을 중단시킨다.When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at avoidance of the dangerous object has been completed, 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300, lighting unit 400, and speaker unit 500.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가 충돌 방지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의 S320 단계에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in which a vehicle lighting device performs a collision avoidanc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n operation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320. This is a drawing that schematically shows the state.

도 16, 도 17을 참조하면, 우선 센서유닛(600)은 차량의 주행 상태와 차량 주변의 이동 객체를 감지한다(S300). Referring to FIGS. 16 and 17, first, the sensor unit 600 detects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moving objects around the vehicle (S300).

보다 구체적으로, S300 단계에서 센서유닛(600)은 주행 감지센서(610)에 의해 차량의 주행 모드를 감지한다.More specifically, in step S300, the sensor unit 600 detects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using the driving detection sensor 610.

제어유닛(700)은 주행 감지센서(61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자율 주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1).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autonomously driving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riving detection sensor 610 (S301).

차량이 자율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유닛(700)은 제2조명유닛(420)을 동작시켜 차량의 외부로 제1색상을 표시한다(S302). 이에 따라 차량 외부의 보행자, 다른 차량의 운전자 등은 현재 차량이 자율 주행 상태에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driving autonomously,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to display the first color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S302). Accordingly, pedestrians outside the vehicle, drivers of other vehicles, etc.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vehicle is currently in an autonomous driving state.

차량이 자율 주행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유닛(700)은 제2조명유닛(42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autonomously driving, the control unit 7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또한, S300 단계에서 센서유닛(600)은 객체 감지센서(620)에 의해 차량 주변의 이동 객체를 감지한다. 객체 감지센서(620)는 라이다센서(621) 및 카메라모듈(622)을 통해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이동 객체의 위치, 거리,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객체는 차량 주변에서 이동이 가능한 객체로, 보행자, 동물, 자전거 탑승자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step S300, the sensor unit 600 detects a moving object around the vehicle using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0.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0 can detect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distance, speed, etc. of moving objects located around the vehicle through the lidar sensor 621 and the camera module 622. Here, the moving object is an object that can move around the vehicle and may be exemplified by a pedestrian, an animal, a bicycle rider, etc.

이후, 제어유닛(700)은 센서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과 이동 객체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한다(S310). 보다 구체적으로, S310 단계에서 제어유닛(700)은 주행 감지센서(610)에서 감지된 차량의 주행 방향과, 객체 감지센서(620)에서 감지된 이동 객체의 위치, 이동 방향을 기반으로 차량의 예상 주행 경로상에 이동 객체가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a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moving object based on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600 (S310). More specifically, in step S310, the control unit 700 predicts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detected by the driving detection sensor 610, and the location and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0. Determine whether a moving object is located on the driving path.

이 과정에서, 제어유닛(700)은 차량과 이동 객체 사이의 거리가 설정 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this process,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moving objec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distance.

차량과 이동 객체 사이의 거리가 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졌음에도 운전자에 의해 감속 또는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제어유닛(700)은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켜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거나 차량을 제동시킬 수 있다.If deceleration or braking is not performed by the driver even though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moving object becomes less than the set distance,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vehicle's brake device to slow down the vehicle or brake the vehicle. You can.

S310 단계에서 차량과 이동 객체의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유닛(700)은 구동유닛(300), 조명유닛(400) 및 스피커유닛(500)을 동작시켜 이동 객체를 향해 조명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S32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10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moving object,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driving unit 300, the lighting unit 400, and the speaker unit 500 to send a lighting signal and an acoustic signal toward the moving object. Output (S320).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700)은 감지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2바디(200)의 회전 각도를 산출한다(S321). 보다 구체적으로, S321단계에서 제어유닛(700)은 감지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이동 객체의 위치와 현재 조명유닛(400)의 조명 조사 방향 및 스피커유닛(500)의 음향 출력 방향을 비교하고, 조명유닛(400)의 조명 조사 방향 및 스피커유닛(500)의 음향 출력 방향이 감지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이동 객체의 위치와 일치되기까지 필요한 제2바디(200)의 회전 각도를 산출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700 calculates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body 2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600 (S321). More specifically, in step S321, the control unit 700 compares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600 with the current illumination direction of the lighting unit 400 and the sound output direction of the speaker unit 500,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body 200 required until the illumination direction of the lighting unit 400 and the sound output direction of the speaker unit 500 match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600 is calculated.

이후, 제어유닛(700)은 구동유닛(300)을 동작시켜 산출된 회전 각도로 제2바디(200)를 회전시킨다(S322).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driving unit 300 to rotate the second body 200 at the calculated rotation angle (S322).

이후, 제어유닛(700)은 제1조명유닛(410)을 동작시켜 이동 객체가 위치한 노면상으로 광학 이미지를 조사한다(S323). S323 단계에서 제1조명유닛(410)이 노면상으로 조사하는 광학 이미지는 경고 의미를 전달하는 도형, 기호, 그림,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S323 단계에서 제어유닛(700)은 제1조명유닛(4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학 이미지가 점멸되도록 제1조명유닛(410)을 동작시킬 수 있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first lighting unit 410 to project an optical image onto the road surface where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S323). The optical image projected onto the road surface by the first lighting unit 410 in step S323 may be a shape, symbol, picture, character, or a combination thereof that conveys a warning meaning. In step S323, the control unit 700 may operate the first lighting unit 410 so that the optical image emitted from the first lighting unit 410 blinks.

또한, 제어유닛(700)은 스피커유닛(500)을 동작시켜 이동 객체를 향해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S324). S324 단계에서 스피커유닛(500)은 예를 들어 경고 의미를 전달하는, 예를 들어 "Warning" 등과 같은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speaker unit 500 to output an audio signal toward the moving object (S324). In step S324, the speaker unit 500 may output an acoustic signal such as “Warning” that conveys a warning meaning, for example.

또한, 제어유닛(700)은 제2조명유닛(420)을 동작시켜 차량의 외부,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 객체를 향해 제2색상을 표시한다(S325). S325 단계에서 제2조명유닛(420)이 제1색상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S325 단계에서 제어유닛(700)은 제2조명유닛(420)이 표시하고 있는 색상이 제1색상에서 제2색상으로 전환되도록 제2조명유닛(420)을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차량 주변의 이동 객체는 현재 차량이 자신을 인지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to display the second color toward the outside of the vehicle, more specifically toward the moving object (S325). If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displays the first color in step S325, the control unit 700 changes the color displayed by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from the first color to the second color in step S325.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is operated to switch. Accordingly, moving objects around the vehicle can recognize that the vehicle is currently recognizing them.

도 16에서는 S323, S324, S325 단계가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S323, S324, S325 단계는 이러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순서를 달리하여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Figure 16, it is shown as an example that steps S323, S324, and S325 occur sequentially, but steps S323, S324, and S325 are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 a different order. .

이후, 감지유닛(600)은 이동 객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한다(S340).Afterwards, the sensing unit 600 detect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S340).

제어유닛(700)은 감지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이동 객체의 변경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객체의 회피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S350). S350 단계에서 제어유닛(700)은 이동 객체가 차량의 예상 주행 경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 객체가 회피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whether avoidance of the moving object has been completed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600 (S350). In step S350, if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at the moving object deviates from the vehicle's expected driving path, it may determine that the moving object has been evaded.

제어유닛(700)은 이동 객체의 회피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변화된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제2바디(200)의 회전 각도를 보정한다(S350). S350 단계는 S321 단계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avoidance of the moving object has not been completed, the control unit 700 corrects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body 200 calculated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S350). Step S350 may be performed by the same method as step S321.

이후, 제어유닛(700)은 구동유닛(300)을 동작시켜 보정된 회전 각도로 제2바디(200)를 회전시킨다(S360).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driving unit 300 to rotate the second body 200 at the corrected rotation angle (S360).

이후, 제어유닛(700)은 이동 객체의 회피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유닛(300), 조명유닛(400) 및 스피커유닛(500)의 동작을 중단시킨다.Thereafter, when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at avoidance of the moving object has been completed, 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300, lighting unit 400, and speaker unit 500.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가 보행 안내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Figure 18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in which a vehicle lighting device performs a walking guidanc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우선 센서유닛(600)은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보행자를 감지한다(S400). 보다 구체적으로, S400 단계에서 센서유닛(600)은 객체 감지센서(620)에 의해 차량 주변의 보행자를 감지한다. 객체 감지센서(620)는 라이다센서(621) 및 카메라모듈(622)을 통해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이동 객체의 위치, 거리,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first, the sensor unit 600 detects a pedestrian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stopped (S400). More specifically, in step S400, the sensor unit 600 detects pedestrians around the vehicle using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0.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0 can detect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distance, speed, etc. of moving objects located around the vehicle through the lidar sensor 621 and the camera module 622.

이후, 제어유닛(700)은 운전자 단말로부터 발생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S410). S410 단계에서 발생되는 입력 신호는 제어유닛(700)이 후술하는 S420 단계를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신호로, 상술한 S100 단계에서 발생되는 입력 신호와 상이한 신호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Afterwards, the control unit 700 receives an input signal generated from the driver terminal (S410). The input signal generated in step S410 is a signal that commands the control unit 700 to perform step S4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of signal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input signal generated in step S100 described above.

이후, 제어유닛(700)은 센서유닛(600), 보다 구체적으로 객체 감지센서(620)에서 감지된 보행자의 위치, 이동 방향, 속도 등을 기반으로 보행자의 보행 경로를 판단한다(S420).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e pedestrian's walking path based on the pedestrian's location, movement direction, speed, etc. detected by the sensor unit 600, more specifically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0 (S420).

보행자의 보행 경로가 판단된 이후, 제어유닛(700)은 구동유닛(300), 조명유닛(400) 및 스피커유닛(500)을 동작시켜 보행자의 보행 경로상으로 조명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S430).After the pedestrian's walking path is determined,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driving unit 300, lighting unit 400, and speaker unit 500 to output lighting signals and sound signals on the pedestrian's walking path ( S430).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700)은 S420 단계에서 판단된 보행자의 보행 경로를 기반으로 제2바디(200)의 회전 각도를 산출한다(S431). 보다 구체적으로, S431단계에서 제어유닛(700)은 판단된 보행자의 예상 보행 경로, 감지유닛(600)에서 감지된 보행자의 위치, 현재 조명유닛(400)의 조명 조사 방향 및 스피커유닛(500)의 음향 출력 방향을 비교하고, 조명유닛(400)의 조명 조사 방향 및 스피커유닛(500)의 음향 출력 방향이 보행자의 보행 방향 전방을 향하도록 필요한 제2바디(200)의 회전 각도를 산출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700 calculates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body 200 based on the pedestrian's walking path determined in step S420 (S431). More specifically, in step S431,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e estimated walking path of the pedestrian, the location of the pedestrian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600, the current illumination direction of the lighting unit 400, and the speaker unit 500. The sound output directions are compared,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body 200 required so that the illumination direction of the lighting unit 400 and the sound output direction of the speaker unit 500 face forward in the pedestrian's walking direction is calculated.

이후, 제어유닛(700)은 구동유닛(300)을 동작시켜 산출된 회전 각도로 제2바디(200)를 회전시킨다(S432).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driving unit 300 to rotate the second body 200 at the calculated rotation angle (S432).

이후, 제어유닛(700)은 제1조명유닛(410)을 동작시켜 보행자가 위치한 노면상으로 광학 이미지를 조사한다(S433). 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first lighting unit 410 to project an optical image onto the road surface where the pedestrian is located (S433).

도 19,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명유닛이 S433 단계에서 노면상으로 조사하는 광학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s 19 and 20 are diagrams showing optical images that the first lighting unit emits onto the road surface in step S43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9를 참조하면, S433 단계에서 제1조명유닛(410)이 노면상으로 조사하는 광학 이미지는 횡단보도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조명유닛(410)은 보행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고, 주변 차량에게 현재 보행자가 보행 상태에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19, the optical image projected onto the road surface by the first lighting unit 410 in step S433 may be in the shape of a crosswalk. Accordingly, the first lighting unit 410 can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to the pedestrian and enable surrounding vehicles to easily recognize that the pedestrian is currently in a walking state.

도 20을 참조하면, S433 단계에서 제1조명유닛(410)이 노면상으로 조사하는 광학 이미지는 보행자의 보행 방향을 향하는 화살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조명유닛(410)은 야간 상황과 같이 주변이 어두운 상황에서 보행자에게 보행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optical image projected onto the road surface by the first lighting unit 410 in step S433 may be in the shape of an arrow pointing in the pedestrian's walking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lighting unit 410 can guide pedestrians in the direction of walking in dark surroundings, such as at night.

이와 달리 제1조명유닛(410)이 노면상으로 조사하는 광학 이미지는 도 19, 도 20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및 횡단보도 형상의 조합일 수 있고, 화살표 형상 및 횡단보도 형상 이외의 별도의 기호, 도형, 그림일수도 있다.In contrast, the optical image projected onto the road surface by the first lighting unit 410 may be a combination of the arrow shape and crosswalk shape shown in FIGS. 19 and 20, and may be a separate symbol other than the arrow shape and crosswalk shape, It could be a shape or a picture.

또한, 제어유닛(700)은 스피커유닛(500)을 동작시켜 이동 객체를 향해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S434). S434 단계에서 스피커유닛(500)은 예를 들어 보행자에게 보행 방향을 지시하는, 예를 들어 "Left", "Right" 등과 같은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speaker unit 500 to output an audio signal toward the moving object (S434). In step S434, the speaker unit 500 may output sound signals such as “Left”, “Right”, etc. that instruct the pedestrian in the direction of walking.

또한, 제어유닛(700)은 제2조명유닛(420)을 동작시켜 차량의 외부,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 객체를 향해 제2색상을 표시한다(S435). 이에 따라 제2조명유닛(420) 보행자가 현재 차량이 자신을 인지하고 있음을 인식하도록 하여 보행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to display the second color toward the outside of the vehicle, more specifically toward the moving object (S435). Accordingly, the second lighting unit 420 can provide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to pedestrians by allowing them to recognize that the vehicle is currently recognizing them.

도 18에서는 S433, S434, S435 단계가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S433, S434, S435 단계는 이러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순서를 달리하여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Figure 18, it is shown as an example that steps S433, S434, and S435 occur sequentially, but steps S433, S434, and S435 are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 a different order. .

이후, 감지유닛(600)은 보행자의 위치 변화를 감지한다(S440).Afterwards, the detection unit 600 detects a change in the pedestrian's position (S440).

제어유닛(700)은 감지유닛(600)으로부터 감지된 보행자의 변경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객체의 보행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S450). S450 단계에서 제어유닛(700)은 보행자가 차량의 주행 경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보행자가 보행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whether the moving object has completed walking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600 (S450). In step S450, the control unit 700 may determine that the pedestrian has completed walkin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estrian has deviated from the vehicle's driving path.

제어유닛(700)은 보행자의 보행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변화된 보행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제2바디(200)의 회전 각도를 보정한다(S460). S460 단계는 S431 단계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estrian's walking has not been completed, the control unit 700 corrects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body 200 calculated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S460). Step S460 can be performed by the same method as step S431.

이후, 제어유닛(700)은 구동유닛(300)을 동작시켜 보정된 회전 각도로 제2바디(200)를 회전시킨다(S470).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driving unit 300 to rotate the second body 200 at the corrected rotation angle (S470).

이후, 제어유닛(700)은 이동 객체의 회피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유닛(300), 조명유닛(400) 및 스피커유닛(500)의 동작을 중단시킨다.Thereafter, when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at avoidance of the moving object has been completed, 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300, lighting unit 400, and speaker unit 50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 : 차량용 조명 장치 10 : 차체
100 : 제1바디 200 : 제2바디
210 : 그릴부 300 : 구동유닛
400 : 조명유닛 410 : 제1조명유닛
420 : 제2조명유닛 430 : 제3조명유닛
500 : 스피커유닛 600 : 센서유닛
610 : 주행 감지센서 620 : 객체 감지센서
621 : 라이다센서 622 : 카메라모듈
630 : 거리 감지센서 640 : 위험 감지센서
700 : 제어유닛
1: Vehicle lighting device 10: Car body
100: first body 200: second body
210: grill part 300: driving unit
400: lighting unit 410: first lighting unit
420: 2nd lighting unit 430: 3rd lighting unit
500: Speaker unit 600: Sensor unit
610: Driving detection sensor 620: Object detection sensor
621: Lidar sensor 622: Camera module
630: Distance detection sensor 640: Hazard detection sensor
700: Control unit

Claims (7)

센서유닛이 차량의 주행 상태와 상기 차량 주변의 이동 객체를 감지하는 단계;
제어유닛이 감지된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과 상기 이동 객체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과 상기 이동 객체의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유닛이 구동유닛, 조명유닛 및 스피커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이동 객체를 향해 조명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A sensor unit detecting a driving state of a vehicle and moving objects around the vehicle;
A control unit determining a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moving object based on the detected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moving object, the control unit operates a driving unit, a lighting unit, and a speaker unit to output a lighting signal and an acoustic signal toward the moving object.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light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제1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2바디에 결합되고, 노면을 향해 광학 이미지를 조사하는 제1조명유닛; 및
상기 제2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해 상기 차량의 외부로 설정된 색상을 표시하는 제2조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use 1,
The lighting unit is,
a first lighting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body, coupled to a second body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and irradiating an optical image toward the road surface; and
A second lighting unit coupled to the second body and displaying a color set to the exterior of the vehicle by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객체를 향해 조명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유닛이 감지된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바디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구동유닛을 동작시켜 산출된 회전 각도로 상기 제2바디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제1조명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이동 객체가 위치한 노면상으로 광학 이미지를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스피커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이동 객체를 향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use 2,
The step of outputting a lighting signal and a sound signal toward the moving object,
calculating a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bod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moving object by the control unit;
causing the control unit to operate the drive unit to rotate the second body at a calculated rotation angle;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first lighting unit to project an optical image onto the road surface where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the control unit operating the speaker unit to output an acoustic signal toward the moving objec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와 상기 차량 주변의 이동 객체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차량이 자율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조명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차량의 외부로 제1색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clause 3,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moving objects around the vehicle, if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driving autonomously,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second lighting unit to display the first color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객체를 향해 조명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제2조명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이동 객체를 향해 제2색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use 4,
The step of outputting a lighting signal and a sound signal toward the moving object,
The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causing the control unit to operate the second lighting unit to display a second color toward the moving objec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이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유닛이 변화된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객체의 회피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use 3,
detecting, by the sensor unit, a change in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control unit has completed avoiding the moving object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객체의 회피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유닛이 변화된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제2바디의 회전 각도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구동유닛을 동작시켜 보정된 회전 각도로 상기 제2바디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When it is determined that avoidance of the moving object is not complete, the control unit corrects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body calculated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causing the control unit to operate the drive unit to rotate the second body at a corrected rotation angle.
KR1020220075439A 2022-06-21 2022-06-21 Control method of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23017448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439A KR20230174481A (en) 2022-06-21 2022-06-21 Control method of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US18/145,939 US20230406192A1 (en) 2022-06-21 2022-12-23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439A KR20230174481A (en) 2022-06-21 2022-06-21 Control method of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481A true KR20230174481A (en) 2023-12-28

Family

ID=8938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439A KR20230174481A (en) 2022-06-21 2022-06-21 Control method of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448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5926B2 (en) Vehicle display system
CN109641552B (en) Vehicle lighting system, vehicle system and vehicle
JP5476914B2 (en) Directional control lighting device
WO2017073632A1 (en) Vehicular illumination device, vehicle system, and vehicle
WO2018110495A1 (en) Vehicle lighting system, vehicle system, vehicle, and data communication system
KR20190100614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08147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riving information relating to surrounding situation of vehicle
CN109923019A (en) The control method of the controller of vehicle and vehicle installed on vehicle
US10759334B2 (en) System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vehic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165422A (en) Collision probability determination device
US11414131B2 (en) Blind spot detection device for vehicle, method thereof, and steering wheel device
JP2008090748A (en) Warning apparatus for vehicle
JP5542501B2 (en) Vehicle lamp system
US20190051184A1 (en) Reverse-facing anti-collision system
JP6289776B1 (en) Rear wheel position indicator
US20210188163A1 (en) U-turn signal indicator
KR20230174481A (en) Control method of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230174480A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74482A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082298B2 (en) Autonomous mobile device
JP3986907B2 (en) Warning device for vehicle
KR20110057837A (en) Night view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406192A1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 same
US20220406176A1 (en) Traffic Support Systems and Methods
JP2005018235A (en) Alarm for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