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190A -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추정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추정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190A
KR20230174190A KR1020230079138A KR20230079138A KR20230174190A KR 20230174190 A KR20230174190 A KR 20230174190A KR 1020230079138 A KR1020230079138 A KR 1020230079138A KR 20230079138 A KR20230079138 A KR 20230079138A KR 20230174190 A KR20230174190 A KR 20230174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wireless signal
communication node
signal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갑석
김철순
고영조
이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30174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2Symbol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04J11/005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us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04J11/0056Inter-base st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5Pilot or known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1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involving interference determination or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 통신 노드의 방법은, 각각 제1 FA 및 제2 FA에 대응되는 제1 FA 시퀀스 및 제2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FA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1 FA 신호 및 제2 FA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 각각 상기 제1 FA 및 제2 FA에 대응되는 제3 FA 시퀀스 및 제4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FA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3 FA 신호 및 제4 FA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FA 신호로 구성되는 제1 송신 신호와, 상기 제3 및 제4 FA 신호를 포함하는 제2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추정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 FOR TIMING ESTI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추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전송 모드에서 타이밍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타이밍 추정을 위한 신호 송수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이 있다. LTE는 4G(4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고, NR은 5G(5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다. 5G 이후의 무선 통신 기술(이를테면, 6G(6th Generation) 등)을 B5G(beyond 5G) 무선 통신 기술이라 칭할 수 있다.
공장 자동화 시스템 등의 통신 환경에서는 정교한 측위, 정교한 시간 동기화 등이 요구될 수 있다. 정교한 시간 동기화를 위하여는 우수한 시간 분해능(time resolution)이 요구될 수 있다. 우수한 시간 분해능을 위하여, 넓은 대역폭의 확보가 요구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넓은 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대역의 반송파 주파수를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이하게 넓은 대역폭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은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전송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용이하게 넓은 대역폭이 확보될 수 있다. CA 전송 모드는 네크워크 커버리지 또는 전송속도 등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CA 전송 모드에서 우수한 시간 분해능에 기초하여 타이밍 추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위한 기술이 요구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요구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전송 모드에서 타이밍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타이밍 추정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통신 노드의 방법의 일 실시예는,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제1 FA(Frequency Assignment) 및 제2 FA에 대응되는 제1 FA 시퀀스 및 제2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FA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1 FA 신호 및 제2 FA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FA, 제1 기지국 및 제1 심볼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 제2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제1 FA 및 제2 FA에 대응되는 제3 FA 시퀀스 및 제4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FA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3 FA 신호 및 제4 FA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FA, 제2 기지국 및 제2 심볼에 대응되는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된 상기 제1 및 제2 FA 신호로 구성되는 제1 송신 신호와, 상기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된 상기 제3 및 제4 FA 신호를 포함하는 제2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FA,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심볼에 대응되는 부반송파 그룹들과, 상기 제1 및 제2 FA, 상기 제2 기지국 및 상기 제1 심볼에 대응되는 부반송파 그룹들에는 널(null) 값이 매핑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방법은, 제1 FA 시퀀스 및 제2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제1 내지 제3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퀀스 및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1 및 제2 기지국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시간 자원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3 식별자는 상기 제1 및 제2 심볼의 식별자이며, 상기 제1 시퀀스는 상기 제1 및 제2 FA에 대하여 동일하게 결정되고, 상기 제2 시퀀스는 상기 제1 및 제2 FA에 대하여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방법은, 제1 FA 시퀀스 및 제2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제1 내지 제4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퀀스 및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1 및 제2 기지국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시간 자원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3 식별자는 상기 제1 및 제2 심볼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4 식별자는 상기 제1 및 제2 FA의 식별자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송신 신호는, 전송 콤브(transmission comb) 값 1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시퀀스의 엘리먼트들의 수는 FA 별 총 가용 부반송파들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FA 별 총 가용 부반송파들의 수는 FA 별 자원 블록들의 수, 자원 블록 별 부반송파들의 수, 및 전송 콤브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FA 시퀀스 및 제2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FA 시퀀스에 포함되는 제1 엘리먼트 그룹 및 제2 엘리먼트 그룹을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의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엘리먼트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의 엘리먼트들의 값들은, 상기 제1 시퀀스가 수정된 제1 수정 시퀀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엘리먼트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은 짝수 인덱스를 가지는 엘리먼트들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그룹은 홀수 인덱스를 가지는 엘리먼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FA 시퀀스 및 제2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FA 시퀀스에 포함되는 제3 엘리먼트 그룹 및 제4 엘리먼트 그룹을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의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엘리먼트 그룹을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의 인덱스들은 연속하는 값들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엘리먼트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의 엘리먼트들의 값들은, 상기 제1 시퀀스가 수정된 제2 수정 시퀀스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다른 하나의 그룹의 엘리먼트들의 값들은, 상기 제1 수정 시퀀스가 수정된 제3 수정 시퀀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부반송파 그룹의 사이와, 상기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의 사이에는 각각 가드 밴드(guard band)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통신 노드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제1 FA(Frequency Assignment) 및 제2 FA에 대응되는 제1 FA 시퀀스 및 제2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FA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1 FA 신호 및 제2 FA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FA, 제1 기지국 및 제1 심볼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 제2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제1 FA 및 제2 FA에 대응되는 제3 FA 시퀀스 및 제4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및 제4 FA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3 FA 신호 및 제4 FA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FA,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심볼에 대응되는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된 상기 제1 및 제2 FA 신호와, 상기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된 상기 제3 및 제4 FA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FA 시퀀스에서 홀수 번째 인덱스를 가지는 엘리먼트들과, 상기 제3 및 제4 FA 시퀀스에서 짝수 번째 인덱스를 가지는 엘리먼트들은 모두 널(null)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방법은, 제3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제1 FA 및 제2 FA에 대응되는 제5 FA 시퀀스 및 제6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5 및 제6 FA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5 FA 신호 및 제6 FA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FA, 제2 기지국 및 상기 제1 심볼에 대응되는 제5 및 제6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 제4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제1 FA 및 제2 FA에 대응되는 제7 FA 시퀀스 및 제8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7 및 제8 FA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7 FA 신호 및 제8 FA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FA, 상기 제2 기지국 및 상기 제2 심볼에 대응되는 제7 및 제8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5 및 제6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된 제5 및 제6 FA 신호와, 상기 제7 및 제8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된 제7 및 제8 FA 신호를 포함하는 제2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및 제6 FA 시퀀스에서 짝수 번째 인덱스를 가지는 엘리먼트들과, 상기 제7 및 제8 FA 시퀀스에서 홀수 번째 인덱스를 가지는 엘리먼트들은 모두 널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방법은, 제1 FA 시퀀스 및 제2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제1 내지 제3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퀀스 및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1 기지국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시간 자원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3 식별자는 상기 제1 및 제2 심볼의 식별자일 수 있다.
상기 제1 송신 신호는, 전송 콤브(transmission comb) 값 2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시퀀스의 엘리먼트들의 수는 FA 별 총 가용 부반송파들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FA 별 총 가용 부반송파들의 수는 FA 별 자원 블록들의 수, 자원 블록 별 부반송파들의 수, 및 전송 콤브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신 신호는 전송 콤브(transmission comb) 값 n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방법은, 상기 제1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제n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제1 FA 및 제2 FA에 대응되는 제2n-1 FA 시퀀스 및 제2n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n-1 및 제2n FA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2n-1 FA 신호 및 제2n FA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FA,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n 심볼에 대응되는 제2n-1 및 제2n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 신호는 상기 제2n-1 FA 신호 및 제2n FA 신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n은 2보다 큰 자연수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제1 CC(Component Carrier) 및 제2 CC에 대응되는 제1 CC 시퀀스 및 제2 CC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CC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1 CC 신호 및 제2 CC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CC, 제1 기지국 및 제1 심볼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고, 제2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제1 CC 및 제2 CC에 대응되는 제3 CC 시퀀스 및 제4 CC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CC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3 CC 신호 및 제4 CC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CC, 제2 기지국 및 제2 심볼에 대응되는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된 상기 제1 및 제2 CC 신호로 구성되는 제1 송신 신호와, 상기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된 상기 제3 및 제4 CC 신호를 포함하는 제2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추정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전송 모드에서 BS 별 또는 FA 별 간섭 회피 효과를 고려하여 설계된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타이밍 추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FA 주파수 대역 별로(또는 FA 주파수 대역들에 걸쳐서) 하드웨어 손상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시간 분해능 및 타이밍 정확도 성능의 향상이 기대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전송 모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구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및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및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및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및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및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및 제1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etwork)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망(network)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5G 이동통신망, B5G 이동통신망(6G 이동통신망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로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은 접근점(access point),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기지국,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4G 통신(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 통신(예를 들어, NR(new radio)) 등을 지원할 수 있다. 4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고, 5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G 통신 및 5G 통신을 위해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iltered 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CP(cyclic prefix)-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4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S-GW(serving-gateway),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5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UPF(user plane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2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 및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RSU(road side unit),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eNB, gNB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UE(user equipment),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디바이스(device), IoT(Internet of Thing) 장치, 탑재 장치(mounted module/device/terminal 또는 on board device/terminal 등)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ideal backhaul link)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CA(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를 제어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제어에 의해 D2D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추정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테면, 수신 노드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송신 노드는 수신 노드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송신 노드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는 송신 노드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타임 슬롯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타임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개의 심볼들을 가질 수 있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개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영역의 복수개의 심볼들은 OFDM 심볼들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시간 영역의 복수개의 심볼들이 OFDM 심볼들인 OFDM 전송 모드를 예시로 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 구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 구조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 구조의 다른 실시예는 SC(single carrier) 전송 모드 등의 다른 전송 모드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는 주파수 대역 특성에 따른 ICI(inter-carrier interference) 감소, 서비스 특성에 따른 지연 감소(latency reduction) 등의 다양한 목적에 맞추어 표 1의 뉴머롤러지(numerology)들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표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뉴머롤러지들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각각의 뉴머롤러지 μ는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 Δf 및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의 정보들에 대응될 수 있다. 단말은 상위 계층의 파라미터인 'subcarrierSpacing', 'cyclicPrefix' 등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downlink bandwidth part) 또는 상향링크 대역폭 부분(uplink bandwidth part)에 적용되는 뉴머롤러지 μ 및 CP 값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300)에서 무선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자원은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subframe)(320)으로 구성되는 프레임(frame)(330), 하나 이상의 () 슬롯(slot)(310)으로 구성되는 서브프레임(320), 그리고 개의 OFDM 심볼(symbol)들로 구성되는 슬롯(310)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각 변수 , , 의 값들은 설정된 뉴머롤러지에 따라 정규 사이클릭 프리픽스인 경우는 표 2의 값을 따를 수 있고, 확장 사이클릭 프리픽스인 경우는 표 3의 값을 따를 수 있다. 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들은 상위 계층 시그날링 혹은 상위 계층 시그날링 및 L1 시그날링의 조합에 의하여 '하향링크(downlink)', '플렉서블(flexible)' 또는 '상향링크(uplink)'로 구별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330)은 10ms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서브프레임(320)은 1ms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330)은 두 개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하프 프레임(half-frame)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첫 번째 하프 프레임(half-frame 0)은 0번 ~ 4번의 서브프레임(320)들로 구성될 수 있고, 두 번째 하프 프레임(half-frame 1)은 5번 ~ 9번의 서브프레임(320)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캐리어에는 상향링크를 위한 프레임들의 집합(uplink frames)과 하향링크를 위한 프레임들의 집합(downlink frames)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6개(Extended Cyclic Prefix인 경우) 또는 7개(Normal Cyclic Prefix인 경우)의 OFDM 심볼들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슬롯으로 정의되는 시간-주파수 영역을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라고 부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이 7개의 OFDM 심볼들을 가질 경우,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들()을 가질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에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중 일부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GP(Guard Period) 및 UpPTS(Uplink Pilot Time Slot)를 포함할 수 있다. DwPTS는 단말의 시간 및 주파수 동기 추정 및 셀 탐색에 활용될 수 있다. GP는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발생하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으로 볼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타이밍 추정 등을 위하여 제1 무선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하나 이상의 시퀀스들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시퀀스들은 시간 영역에서 프레임(330), 서브프레임(320), 슬롯(310) 또는 슬롯(310)을 구성하는 OFDM 심볼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무선 신호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시퀀스들은 변조되어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 개의 부반송파들에 매핑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신호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시퀀스들은 하나 이상의 이진 시퀀스들 또는 복소 시퀀스들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는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전송 모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장 자동화 시스템 등의 통신 환경에서는 정교한 측위, 정교한 시간 동기화 등이 요구될 수 있다. 정교한 시간 동기화를 위하여는 우수한 시간 분해능(time resolution)이 요구될 수 있다. 우수한 시간 분해능을 위하여, 넓은 대역폭의 확보가 요구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넓은 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대역의 반송파 주파수를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이하게 넓은 대역폭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은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전송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용이하게 넓은 대역폭이 확보될 수 있다.
CA 전송 모드는 네크워크 커버리지 또는 전송속도 등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CA 전송 모드에서는 하나 이상의 RAT(Radio Access Technology) 내의 주파수 대역이, 연속하는(또는 불연속하는) FA(Frequency Assignment) 단위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를테면 송신 노드(410)(기지국 등)는 CA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FA 단위로 나누어진 제1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 노드(420)(단말 등)는 CA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FA 단위로 나누어진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노드(420)는 수신된 제1 무선 신호를 FA 단위 별로 병렬적으로 처리 및 결합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수신 노드(420)는 각각의 FA 주파수 대역에 대해 독립적으로 타이밍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간 분해능 및 정교성 향상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만약 FA 주파수 대역 별로(또는 FA 주파수 대역들에 걸쳐서) 하드웨어 손상(일례로, CFO(Carrier Frequency Offset), PhN(Phase Noise) 등)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존재할 경우, 타이밍 정확도 등의 성능이 저하될 수도 있다. CA 전송 모드에서, 하드웨어 손상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시간 분해능 및 타이밍 정확도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타이밍 추정을 위한 송수신 기술이 요구될 수 있다.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구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무선 신호는 도 5에 도시된 무선 신호 구조(500)에 기초하여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타이밍 추정을 위하여 생성 및 송신되는 신호, 즉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일 수 있다. 무선 신호 구조(500)에서, 제1 무선 신호는 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은 OFDM 심볼(symbol) 인덱스(index), 슬롯(slot) 인덱스 및 BS(Base Station) 인덱스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 는 OFDM 심볼, 슬롯 및 BS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무선 신호 구조(500)에서, k는 부반송파(subcarrier, SC) 인덱스 또는 각 부반송파에 대응되는 식별자를 의미할 수 있다. 는 하나의 RB를 구성하는 부반송파들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에는 NRB=12인 실시예가 도시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무선 신호 구조의 일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는 하나의 FA(Frequency Assignment)가 차지하는 RB들의 총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하나의 FA가 차지하는 주파수 자원의 양(또는 부반송파들의 수)는 일 수 있다.
무선 신호 구조(500)에서, 콤브-타입(comb-type) 매핑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콤브-타입 매핑 방식에서, 신호(예를 들어, 시퀀스)는 하나의 심볼 또는 하나의 노드에 대응되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들 단위로 번갈아 가며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동작의 수행 후에 동일한 신호가 시간 도메인에서 반복될 수 있다. 무선 신호 구조(500)에서, 제1 무선 신호는 콤브-타입 매핑 방식에 기초하여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에 매핑될 수 있다. 콤브-타입 매핑 방식에 기초하여, 콤브(comb) 값 또는 전송 콤브(transmission comb) 값인 'Ncomb'이 결정될 수 있다. 콤브-타입 매핑 방식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Ncomb=1일 수 있다. 한편, 콤브-타입 매핑 방식이 사용될 경우, Ncomb는 1 이외의 자연수 값을 가질 수 있다. FA 별로 총 가용 부반송파 수는, Ncomb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FA 별 총 가용 부반송파 수는, 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무선 신호 구조(500)에서, 하나 이상의 BS(base station) 들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심볼들은 가용 부반송파들에 매핑될 수 있다. 이를테면, BS #0의 심볼 #0(510)은 FA1의 부반송파들(511) 및 FA2의 부반송파들(512)에 매핑될 수 있다. 여기서, FA1의 부반송파들(511)을 제1 부반송파 그룹(511)과 같이 칭할 수 있다. FA2의 부반송파들(512)을 제2 부반송파 그룹(512)과 같이 칭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511, 512) 사이에는, 가드 밴드(guard band)(515)가 배치될 수 있다. 가드 밴드의 배치는 선택적(optional)인 사항일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511, 512) 사이에는 가드 밴드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무선 신호 구조(500)에서, BS #1의 심볼 #1(570)은 FA1의 부반송파들(571) 및 FA2의 부반송파들(572)에 매핑될 수 있다. 여기서, FA1의 부반송파들(571)을 제3 부반송파 그룹(571)과 같이 칭할 수 있다. FA2의 부반송파들(572)을 제4 부반송파 그룹(572)과 같이 칭할 수 있다.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571, 572) 사이에는, 가드 밴드(575)가 배치될 수 있다. 가드 밴드의 배치는 선택적인 사항일 수 있다. 즉,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571, 572) 사이에는 가드 밴드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한 BS #0의 심볼 #0(510) 및 상기한 BS #1의 심볼 #1(57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구조(500)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무선 신호 구조(500)의 일 실시예는, BS #0의 심볼 #1(520), BS #0의 심볼 #2(530), BS #0의 심볼 #3(540), BS #1의 심볼 #0(560), BS #1의 심볼 #2(580), BS #1의 심볼 #3(59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FA"에 대하여 설명된 구성들은, "캐리어" 또는 "CC(Component Carrier)"에 대한 구성들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및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신호는 특정한 무선 신호 구조(600)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 구조(6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신호 구조(5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에 대응될 수 있고, 도 6c 및 도 6d는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2 실시예에 대응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Ncomb=1일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타이밍 추정을 위하여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대상 노드 별(이를테면, BS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심볼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FA 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무선 신호(즉,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는 ql,s,c[·]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보 시퀀스들 bl,s,c[·] 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l, s, c 각각은 OFDM 심볼 인덱스, 슬롯 인덱스 및 BS 인덱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600)에서, BS #0의 심볼 #0(61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0,s,0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0,s,0의 생성을 위하여, 제1 부반송파 그룹(61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612)에는 제1 후보 시퀀스 b0,S,0[k]가 매핑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611, 612)에는 동일하게 제1 후보 시퀀스 b0,S,0[k]가 매핑될 수 있다. 제1 후보 시퀀스는 OFDM 심볼, 슬롯, BS 등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후보 시퀀스는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일 수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후보 시퀀스 b0,S,0[k]는 Ncomb=1에 따른 FA 별 가용 부반송파들의 수(즉, FA 별 부반송파들의 수 NTA1=NTA2=NRBMRB)와 동일한 개수의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FA 별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0,s,0,FA#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에서, FA 별 q0,s,0는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Ncomb=1일 때, BS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BS #1의 심볼 #0에 대응되는 가용 부반송파들에 대하여는 널(null) 값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반송파 그룹(61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612)의 사이에는 가드 밴드(guard band)(61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600)에서, BS #1의 심볼 #1(67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1,s,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1,s,1의 생성을 위하여, 제3 부반송파 그룹(671) 및 제4 부반송파 그룹(672)에는 제2 후보 시퀀스 b1,S,1[k]가 매핑될 수 있다. 즉,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671, 672)에는 동일하게 제2 후보 시퀀스 b1,S,1[k]가 매핑될 수 있다. 제2 후보 시퀀스는 OFDM 심볼, 슬롯, BS 등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후보 시퀀스는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일 수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에서, 제2 후보 시퀀스 b1,S,1[k]는 Ncomb=1에 따른 FA 별 가용 부반송파들의 수(즉, FA 별 부반송파들의 수 NTA1=NTA2=NRBMRB)와 동일한 개수의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FA 별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1,s,1,FA#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에서, FA 별 q1,s,1는 수학식 2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는, TDMA 기반 간섭 회피 접근 방식에 기반할 수 있다. Ncomb=1일 때, BS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BS #0의 심볼 #1에 대응되는 가용 부반송파들에 대하여는 널(null) 값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3 부반송파 그룹(671) 및 제4 부반송파 그룹(672)의 사이에는 가드 밴드(guard band)(675)가 배치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후보 시퀀스들 bl,s,c[·]은 수학식 3과 동일 또는 유사한 랜덤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시퀀스로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3에서, 는 m-시퀀스일 수 있다. 이를테면, 는 최대 차수가 31이고, 씨드(seed) 즉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s)의 초기값들 이 수학식 4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정의되는 m-시퀀스일 수 있다.
수학식 4에서, c는 타이밍 추정용 시퀀스의 ID일 수 있고, 는 슬롯당 OFDM 심볼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수학식 3 및 수학식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에서, 타이밍 추정용 신호 및 후보 시퀀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 후보 시퀀스 bl,s,c[·]는 심볼, 슬롯, BS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후보 시퀀스 bl,s,c[·]는 그 외의 모든 가능한 변수 조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 후보 시퀀스 bl,s,c[·]에서 c는 BS ID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c는 셀 ID, TRP ID, 타이밍 추정용 시퀀스 ID 등에 해당할 수도 있다.
- NRB=12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NRB는 그 외 모든 가능한 수를 값으로 가질 수 있다.
- 모든 FA에 대하여 가용 부반송파 수가 동일하게 NRBMRB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가용 부반송파 수는 FA별로 다르게 결정될 수도 있다.
- 도 6a 및 도 6b에는 2개의 FA들이 있는 상황이 예시로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2개 이상의 FA들에 대해서도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 도 6a 및 도 6b에서는 FA1과 FA2에 동일한 시퀀스 가 사용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FA2(또는 FA1)에는 FA1(또는 FA2) 시퀀스의 수정 시퀀스 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 수정 시퀀스 , , , , , , 등일 수 있지만 여기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가능한 의 수정 시퀀스가 본 개시의 범주에 포함된다. 여기서, 은 각각 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시퀀스 bl,s,c[m]의 수정 시퀀스 는, 표기의 편의를 위하여 b'l,s,c[m]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2 실시예
도 6c 및 도 6d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타이밍 추정을 위하여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대상 노드 별(이를테면, BS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심볼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FA 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무선 신호(즉,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는 ql,s,c[·]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보 시퀀스들 bl,s,c[·] 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l, s, c 각각은 OFDM 심볼 인덱스, 슬롯 인덱스 및 BS 인덱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6c 및 도 6d를 참조하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2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600)에서, BS #0의 심볼 #0(61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0,s,0과 같이 표현할 수 있고, BS #1의 심볼 #1(67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1,s,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0,s,0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611, 612)에 매핑될 수 있고, q1,s,1는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671, 672)에 매핑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 간의 차이는, 가드 밴드의 배치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611, 612) 사이와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671, 672) 사이에 가드 밴드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611, 612)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671, 672)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및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신호는 특정한 무선 신호 구조(700)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 구조(7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신호 구조(5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에 대응될 수 있고, 도 7c 및 도 7d는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4 실시예에 대응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서, Ncomb=1일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타이밍 추정을 위하여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대상 노드 별(이를테면, BS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심볼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FA 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무선 신호(즉,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는 ql,s,c[·]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보 시퀀스들 bl,s,c[·] 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l, s, c 각각은 OFDM 심볼 인덱스, 슬롯 인덱스 및 BS 인덱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700)에서, BS #0의 심볼 #0(71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0,s,0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0,s,0의 생성을 위하여, 제1 부반송파 그룹(71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712)에는 제1 후보 시퀀스 b0,S,0[k]가 매핑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711, 712)에는 동일하게 제1 후보 시퀀스 b0,S,0[k]가 매핑될 수 있다. 제1 후보 시퀀스는 OFDM 심볼, 슬롯, BS 등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후보 시퀀스는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일 수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후보 시퀀스 b0,S,0[k]는 Ncomb=1에 따른 FA 별 가용 부반송파들의 수(즉, FA 별 부반송파들의 수 NTA1=NTA2=NRBMRB)와 동일한 개수의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FA 별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0,s,0,FA#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에서, FA 별 q0,s,0는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5에서, 제1 후보 시퀀스 는 OFDM 심볼, 슬롯 및 BS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거나 동일한 값을 가지는, 길이 을 가지는 임의의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를 의미하고, 의 수정 시퀀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는 , 일 수 있지만,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모든 가능한 의 변형 패턴들이 일 수 있다.
Ncomb=1일 때, BS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BS #1의 심볼 #0에 대응되는 가용 부반송파들에 대하여는 널(null) 값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반송파 그룹(71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712)의 사이에는 가드 밴드(guard band)(71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700)에서, BS #1의 심볼 #1(77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1,s,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1,s,1의 생성을 위하여, 제3 부반송파 그룹(771) 및 제4 부반송파 그룹(772)에는 제2 후보 시퀀스 b1,S,1[k]가 매핑될 수 있다. 즉,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771, 772)에는 동일하게 제2 후보 시퀀스 b1,S,1[k]가 매핑될 수 있다. 제2 후보 시퀀스는 OFDM 심볼, 슬롯, BS 등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후보 시퀀스는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일 수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에서, 제2 후보 시퀀스 b1,S,1[k]는 Ncomb=1에 따른 FA 별 가용 부반송파들의 수(즉, FA 별 부반송파들의 수 NTA1=NTA2=NRBMRB)와 동일한 개수의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FA 별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1,s,1,FA#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에서, FA 별 q1,s,1는 수학식 6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q1,s,1의 경우에도, 수학식 5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의 분산연집 기반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시퀀스를 할당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TDMA 형태로 BS 간 간섭을 회피하도록 이어지는 심볼들에 대해 BS 별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시퀀스를 할당함으로써 수신단에서 BS 별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의 수신 신호들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Ncomb=1일 때, BS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BS #0의 심볼 #1에 대응되는 가용 부반송파들에 대하여는 널(null) 값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3 부반송파 그룹(871) 및 제4 부반송파 그룹(872)의 사이에는 가드 밴드(guard band)(875)가 배치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후보 시퀀스들 bl,s,c[·]은 수학식 3 및 수학식 4 등에 기초한 랜덤 QPSK 시퀀스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에서, 타이밍 추정용 신호 및 후보 시퀀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 후보 시퀀스 bl,s,c[·]는 심볼, 슬롯, BS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후보 시퀀스 bl,s,c[·]는 그 외의 모든 가능한 변수 조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 후보 시퀀스 bl,s,c[·]에서 c는 BS ID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c는 셀 ID, TRP ID, 타이밍 추정용 시퀀스 ID 등에 해당할 수도 있다.
- NRB=12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NRB는 그 외 모든 가능한 수를 값으로 가질 수 있다.
- 모든 FA에 대하여 가용 부반송파 수가 동일하게 NRBMRB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가용 부반송파 수는 FA별로 다르게 결정될 수도 있다.
- 도 7a 및 도 7b에는 2개의 FA들이 있는 상황이 예시로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2개 이상의 FA들에 대해서도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 도 7a 및 도 7b에서는 FA별로 짝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되고 홀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되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FA별로 홀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되고 짝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될 수도 있다.
- 도 7a 및 도 7b에서는 FA1과 FA2에 동일한 시퀀스 가 적용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FA2(또는 FA1)에서는 FA1(또는 FA2)에 사용된 시퀀스의 수정 시퀀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로, FA1에서 가 사용되었을 때, FA2에 또는 이 사용될 수도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4 실시예
도 7c 및 도 7d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타이밍 추정을 위하여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대상 노드 별(이를테면, BS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심볼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FA 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무선 신호(즉,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는 ql,s,c[·]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보 시퀀스들 bl,s,c[·] 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l, s, c 각각은 OFDM 심볼 인덱스, 슬롯 인덱스 및 BS 인덱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7c 및 도 7d를 참조하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4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700)에서, BS #0의 심볼 #0(71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0,s,0과 같이 표현할 수 있고, BS #1의 심볼 #1(77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1,s,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0,s,0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711, 712)에 매핑될 수 있고, q1,s,1는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771, 772)에 매핑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 간의 차이는, 가드 밴드의 배치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3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711, 712) 사이와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771, 772) 사이에 가드 밴드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711, 712)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771, 772)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및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 및 제6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신호는 특정한 무선 신호 구조(800)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 구조(8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신호 구조(5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에 대응될 수 있고, 도 8c 및 도 8d는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6 실시예에 대응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 및 제6 실시예에서, Ncomb=1일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타이밍 추정을 위하여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대상 노드 별(이를테면, BS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심볼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FA 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무선 신호(즉,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는 ql,s,c[·]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보 시퀀스들 bl,s,c[·] 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l, s, c 각각은 OFDM 심볼 인덱스, 슬롯 인덱스 및 BS 인덱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800)에서, BS #0의 심볼 #0(81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0,s,0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0,s,0의 생성을 위하여, 제1 부반송파 그룹(81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812)에는 제1 후보 시퀀스 b0,S,0[k]가 매핑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811, 812)에는 동일하게 제1 후보 시퀀스 b0,S,0[k]가 매핑될 수 있다. 제1 후보 시퀀스는 OFDM 심볼, 슬롯, BS 등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후보 시퀀스는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일 수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에서, 제1 후보 시퀀스 b0,S,0[k]는 Ncomb=1에 따른 FA 별 가용 부반송파들의 수(즉, FA 별 부반송파들의 수 NTA1=NTA2=NRBMRB)와 동일한 개수의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FA 별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0,s,0,FA#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에서, FA 별 q0,s,0는 수학식 7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7에서, 는 OFDM 심볼, 슬롯 및 BS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거나 동일한 값을 가지는 길이()을 가지는 임의의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를 의미하고, 의 수정 시퀀스를 의미하고, 일례로는 , 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모든 가능한 의 변형 패턴들이 일 수 있다.
Ncomb=1일 때, BS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BS #1의 심볼 #0에 대응되는 가용 부반송파들에 대하여는 널(null) 값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반송파 그룹(81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812)의 사이에는 가드 밴드(guard band)(81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800)에서, BS #1의 심볼 #1(87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1,s,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1,s,1의 생성을 위하여, 제3 부반송파 그룹(871) 및 제4 부반송파 그룹(872)에는 제2 후보 시퀀스 b1,S,1[k]가 매핑될 수 있다. 즉,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871, 872)에는 동일하게 제2 후보 시퀀스 b1,S,1[k]가 매핑될 수 있다. 제2 후보 시퀀스는 OFDM 심볼, 슬롯, BS 등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후보 시퀀스는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일 수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에서, 제2 후보 시퀀스 b1,S,1[k]는 Ncomb=1에 따른 FA 별 가용 부반송파들의 수(즉, FA 별 부반송파들의 수 NTA1=NTA2=NRBMRB)와 동일한 개수의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FA 별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1,s,1,FA#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에서, FA 별 q1,s,1는 수학식 8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q1,s,1의 경우에도, 수학식 7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의 분산연집 기반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시퀀스를 할당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TDMA 형태로 BS 간 간섭을 회피하도록 이어지는 심볼들에 대해 BS 별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시퀀스를 할당함으로써 수신단에서 BS 별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의 수신 신호들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후보 시퀀스들 bl,s,c[·]은 수학식 3 및 수학식 4 등에 기초한 랜덤 QPSK 시퀀스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에서, 타이밍 추정용 신호 및 후보 시퀀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 후보 시퀀스 bl,s,c[·]는 심볼, 슬롯, BS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후보 시퀀스 bl,s,c[·]는 그 외의 모든 가능한 변수 조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 후보 시퀀스 bl,s,c[·]에서 c는 BS ID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c는 셀 ID, TRP ID, 타이밍 추정용 시퀀스 ID 등에 해당할 수도 있다.
- NRB=12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NRB는 그 외 모든 가능한 수를 값으로 가질 수 있다.
- 모든 FA에 대하여 가용 부반송파 수가 동일하게 NRBMRB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가용 부반송파 수는 FA별로 다르게 결정될 수도 있다.
- 도 8a 및 도 8b에는 2개의 FA들이 있는 상황이 예시로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2개 이상의 FA들에 대해서도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 도 8a 및 도 8b에서는 FA별로 짝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되고 홀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되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FA별로 홀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되고 짝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될 수도 있다.
- 도 8a 및 도 8b에서는 FA1과 FA2에 동일한 시퀀스 가 적용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FA2(또는 FA1)에서는 FA1(또는 FA2)에 사용된 시퀀스의 수정 시퀀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로, FA1에서 가 사용되었을 때, FA2에 또는 이 사용될 수도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6 실시예
도 8c 및 도 8d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타이밍 추정을 위하여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대상 노드 별(이를테면, BS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심볼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FA 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무선 신호(즉,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는 ql,s,c[·]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보 시퀀스들 bl,s,c[·] 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l, s, c 각각은 OFDM 심볼 인덱스, 슬롯 인덱스 및 BS 인덱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8c 및 도 8d를 참조하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6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800)에서, BS #0의 심볼 #0(81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0,s,0과 같이 표현할 수 있고, BS #1의 심볼 #1(87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1,s,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0,s,0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811, 812)에 매핑될 수 있고, q1,s,1는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871, 872)에 매핑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 및 제6 실시예 간의 차이는, 가드 밴드의 배치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5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6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811, 812) 사이와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871, 872) 사이에 가드 밴드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811, 812)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871, 872)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및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 및 제8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신호는 특정한 무선 신호 구조(900)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 구조(9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신호 구조(5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에 대응될 수 있고, 도 9c 및 도 9d는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8 실시예에 대응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 및 제8 실시예에서, Ncomb=1일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타이밍 추정을 위하여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대상 노드 별(이를테면, BS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심볼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FA 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무선 신호(즉,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는 ql,s,c[·]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보 시퀀스들 bl,s,c[·] 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l, s, c 각각은 OFDM 심볼 인덱스, 슬롯 인덱스 및 BS 인덱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900)에서, BS #0의 심볼 #0(91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0,s,0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0,s,0의 생성을 위하여, 제1 부반송파 그룹(91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912)에는 제1 후보 시퀀스 b0,S,0[k]가 매핑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911, 912)에는 동일하게 제1 후보 시퀀스 b0,S,0[k]가 매핑될 수 있다. 제1 후보 시퀀스는 OFDM 심볼, 슬롯, BS 등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후보 시퀀스는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일 수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에서, 제1 후보 시퀀스 b0,S,0[k]는 Ncomb=1에 따른 FA 별 가용 부반송파들의 수(즉, FA 별 부반송파들의 수 NTA1=NTA2=NRBMRB)와 동일한 개수의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FA 별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0,s,0,FA#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에서, FA 별 q0,s,0는 수학식 9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9에서, 는 OFDM 심볼, 슬롯 및 BS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거나 동일한 값을 가지는 길이()을 가지는 임의의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를 의미하고, 의 수정 시퀀스를 의미하고, , 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모든 가능한 의 변형 패턴들이 일 수 있다.
Ncomb=1일 때, BS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BS #1의 심볼 #0에 대응되는 가용 부반송파들에 대하여는 널(null) 값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반송파 그룹(91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912)의 사이에는 가드 밴드(guard band)(91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900)에서, BS #1의 심볼 #1(97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1,s,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1,s,1의 생성을 위하여, 제3 부반송파 그룹(971) 및 제4 부반송파 그룹(972)에는 제2 후보 시퀀스 b1,S,1[k]가 매핑될 수 있다. 즉,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971, 972)에는 동일하게 제2 후보 시퀀스 b1,S,1[k]가 매핑될 수 있다. 제2 후보 시퀀스는 OFDM 심볼, 슬롯, BS 등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후보 시퀀스는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일 수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에서, 제2 후보 시퀀스 b1,S,1[k]는 Ncomb=1에 따른 FA 별 가용 부반송파들의 수(즉, FA 별 부반송파들의 수 NTA1=NTA2=NRBMRB)와 동일한 개수의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FA 별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1,s,1,FA#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에서, FA 별 q1,s,1는 수학식 10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q1,s,1의 경우에도, 수학식 9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의 분산연집 기반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시퀀스를 할당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TDMA 형태로 BS 간 간섭을 회피하도록 이어지는 심볼들에 대해 BS 별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시퀀스를 할당함으로써 수신단에서 BS 별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의 수신 신호들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후보 시퀀스들 bl,s,c[·]은 수학식 3 및 수학식 4 등에 기초한 랜덤 QPSK 시퀀스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에서, 타이밍 추정용 신호 및 후보 시퀀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 후보 시퀀스 bl,s,c[·]는 심볼, 슬롯, BS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후보 시퀀스 bl,s,c[·]는 그 외의 모든 가능한 변수 조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 후보 시퀀스 bl,s,c[·]에서 c는 BS ID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c는 셀 ID, TRP ID, 타이밍 추정용 시퀀스 ID 등에 해당할 수도 있다.
- NRB=12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NRB는 그 외 모든 가능한 수를 값으로 가질 수 있다.
- 모든 FA에 대하여 가용 부반송파 수가 동일하게 NRBMRB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가용 부반송파 수는 FA별로 다르게 결정될 수도 있다.
- 도 9a 및 도 9b에는 2개의 FA들이 있는 상황이 예시로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2개 이상의 FA들에 대해서도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 도 9a 및 도 9b에서는 FA별로 짝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되고 홀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되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FA별로 홀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되고 짝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될 수도 있다.
- 도 9a 및 도 9b에서는 FA1과 FA2에 동일한 시퀀스 가 적용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FA2(또는 FA1)에서는 FA1(또는 FA2)에 사용된 시퀀스의 수정 시퀀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로, FA1에서 가 사용되었을 때, FA2에 또는 이 사용될 수도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8 실시예
도 9c 및 도 9d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타이밍 추정을 위하여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대상 노드 별(이를테면, BS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심볼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FA 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무선 신호(즉,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는 ql,s,c[·]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보 시퀀스들 bl,s,c[·] 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l, s, c 각각은 OFDM 심볼 인덱스, 슬롯 인덱스 및 BS 인덱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9c 및 도 9d를 참조하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8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8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900)에서, BS #0의 심볼 #0(91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0,s,0과 같이 표현할 수 있고, BS #1의 심볼 #1(97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1,s,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0,s,0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911, 912)에 매핑될 수 있고, q1,s,1는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971, 972)에 매핑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 및 제8 실시예 간의 차이는, 가드 밴드의 배치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7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8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911, 912) 사이와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971, 972) 사이에 가드 밴드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911, 912)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971, 972)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및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 및 제10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신호는 특정한 무선 신호 구조(1000)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 구조(10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신호 구조(5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에 대응될 수 있고, 도 10c 및 도 10d는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0 실시예에 대응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 및 제10 실시예에서, Ncomb=2일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타이밍 추정을 위하여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대상 노드 별(이를테면, BS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심볼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FA 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무선 신호(즉,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는 ql,s,c[·]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보 시퀀스들 bl,s,c[·] 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l, s, c 각각은 OFDM 심볼 인덱스, 슬롯 인덱스 및 BS 인덱스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는, FDMA 기반 간섭 회피 접근 방식에 기반할 수 있다. 이하,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1000)에서, BS #0의 심볼 #0(101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0,s,0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0,s,0의 생성을 위하여, 제1 부반송파 그룹(101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1012)에는 제1 후보 시퀀스 b0,S,0[k]가 매핑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1011, 1012)에는 동일하게 제1 후보 시퀀스 b0,S,0[k]가 매핑될 수 있다. 제1 후보 시퀀스는 OFDM 심볼, 슬롯, BS 등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후보 시퀀스는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일 수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에서, q0,s,0는 수학식 1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1에서, 는 OFDM 심볼, 슬롯 및 BS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거나 동일한 값을 가지는 길이()을 가지는 임의의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간섭 회피를 위해 BS #1의 심볼 #0(1060)의 홀수번째 부반송파들에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 가 수학식 12와 같이 매핑될 수 있다.
수학식 12에서, 는 수학식 11의 와 동일한 시퀀스일 수 있다. 는 OFDM 심볼, 슬롯 및 BS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거나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1000)에서, BS #0의 심볼 #1(107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1,s,0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에서, q1,s,0는 수학식 1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3에서, 는 OFDM 심볼, 슬롯 및 BS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거나 동일한 값을 가지는 길이()을 가지는 임의의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간섭 회피를 위해 BS #1의 심볼 #0(1060)의 홀수번째 부반송파들에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 가 수학식 14와 같이 매핑될 수 있다.
수학식 11 내지 수학식 14에서와 같이, 이와 같은 패턴으로 이어지는 심볼들에 대해 BS 별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시퀀스를 할당함으로써 수신단에서 BS 별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의 수신 신호들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에서, 타이밍 추정용 신호 및 후보 시퀀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 후보 시퀀스 bl,s,c[·]는 심볼, 슬롯, BS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후보 시퀀스 bl,s,c[·]는 그 외의 모든 가능한 변수 조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 후보 시퀀스 bl,s,c[·]에서 c는 BS ID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c는 셀 ID, TRP ID, 타이밍 추정용 시퀀스 ID 등에 해당할 수도 있다.
- NRB=12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NRB는 그 외 모든 가능한 수를 값으로 가질 수 있다.
- 모든 FA에 대하여 가용 부반송파 수가 동일하게 NRBMRB/Ncomb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가용 부반송파 수는 FA별로 다르게 결정될 수도 있다.
- 도 10a 및 도 10b에는 2개의 FA들이 있는 상황이 예시로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2개 이상의 FA들에 대해서도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FA별로 짝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되고 홀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되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FA별로 홀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되고 짝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될 수도 있다.
-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FA1과 FA2에 동일한 시퀀스 가 적용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FA2(또는 FA1)에서는 FA1(또는 FA2)에 사용된 시퀀스의 수정 시퀀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로, , , , , , , 일 수 있다. 여기서, 은 각각 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0 실시예
도 10c 및 도 10d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타이밍 추정을 위하여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대상 노드 별(이를테면, BS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심볼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FA 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무선 신호(즉,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는 ql,s,c[·]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보 시퀀스들 bl,s,c[·] 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l, s, c 각각은 OFDM 심볼 인덱스, 슬롯 인덱스 및 BS 인덱스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0c 및 도 10d에 도시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0 실시예는, FDMA 기반 간섭 회피 접근 방식에 기반할 수 있다. 이하, 도 10c 및 도 10d를 참조하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0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0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1000)에서, BS #0의 심볼 #0(101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0,s,0과 같이 표현할 수 있고, BS #1의 심볼 #1(107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1,s,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0,s,0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1011, 1012)에 매핑될 수 있고, q1,s,1는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1071, 1072)에 매핑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 및 제10 실시예 간의 차이는, 가드 밴드의 배치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0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1011, 1012) 사이와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1071, 1072) 사이에 가드 밴드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1011, 1012)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1071, 1072)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및 제1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실시예 및 제12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신호는 특정한 무선 신호 구조(1100)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 구조(11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신호 구조(5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실시예에 대응될 수 있고, 도 11c 및 도 11d는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2 실시예에 대응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실시예 및 제12 실시예에서, Ncomb=4일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실시예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타이밍 추정을 위하여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대상 노드 별(이를테면, BS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심볼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FA 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무선 신호(즉,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는 ql,s,c[·]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보 시퀀스들 bl,s,c[·] 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l, s, c 각각은 OFDM 심볼 인덱스, 슬롯 인덱스 및 BS 인덱스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실시예는, FDMA 기반 간섭 회피 접근 방식에 기반할 수 있다. 이하,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1100)에서, BS #0의 심볼 #0(111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0,s,0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0,s,0의 생성을 위하여, 제1 부반송파 그룹(111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1112)에는 제1 후보 시퀀스 b0,S,0[k]가 매핑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1111, 1112)에는 동일하게 제1 후보 시퀀스 b0,S,0[k]가 매핑될 수 있다. 제1 후보 시퀀스는 OFDM 심볼, 슬롯, BS 등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후보 시퀀스는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일 수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실시예에서, q0,s,0는 수학식 1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5에서, 는 OFDM 심볼, 슬롯 및 BS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거나 동일한 값을 가지는 길이()을 가지는 임의의 이진 시퀀스 또는 복소 시퀀스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간섭 회피를 위해 BS #1의 심볼 #0(1160)의 홀수번째 부반송파들에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 가 수학식 16과 같이 매핑될 수 있다.
한편 간섭 회피를 위해 BS #2의 심볼 #0의 홀수번째 부반송파들에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 가 수학식 17과 같이 매핑될 수 있다.
한편 간섭 회피를 위해 BS #3의 심볼 #0의 홀수번째 부반송파들에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 가 수학식 18과 같이 매핑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에 따른 Comb-2 기반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 구성과,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Comb-4 기반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 구성의 실시예들에서, FA 별로 동일한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 가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위상잡음 등의 하드웨어 손상에 강인하도록 FA 별로 negating(극성 반전), conjugating(허수부의 극성 반전) 또는 그 혼용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 및 제11 실시예에서와 같이 FA 별로 동일한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구성하는 이유는, 가드 밴드를 채용하고 있어서, 극성 반전, 허수부의 극성 반전, 또는 그 혼용을 상기 송신 신호 구성에 적용하지 않고 수신단에 이와 동일한 신호 구성 효과를 보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실시예에서, 타이밍 추정용 신호 및 후보 시퀀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 후보 시퀀스 bl,s,c[·]는 심볼, 슬롯, BS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후보 시퀀스 bl,s,c[·]는 그 외의 모든 가능한 변수 조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 후보 시퀀스 bl,s,c[·]에서 c는 BS ID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c는 셀 ID, TRP ID, 타이밍 추정용 시퀀스 ID 등에 해당할 수도 있다.
- NRB=12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NRB는 그 외 모든 가능한 수를 값으로 가질 수 있다.
- 모든 FA에 대하여 가용 부반송파 수가 동일하게 NRBMRB/Ncomb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가용 부반송파 수는 FA별로 다르게 결정될 수도 있다.
- 도 11a 및 도 11b에는 2개의 FA들이 있는 상황이 예시로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2개 이상의 FA들에 대해서도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FA별로 짝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되고 홀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되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FA별로 홀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되고 짝수번째 부반송파에 이 적용될 수도 있다.
-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FA1과 FA2에 동일한 시퀀스 가 적용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FA2(또는 FA1)에서는 FA1(또는 FA2)에 사용된 시퀀스의 수정 시퀀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로, , , , , , , 일 수 있다. 여기서, 은 각각 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2 실시예
도 11c 및 도 11d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타이밍 추정을 위하여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대상 노드 별(이를테면, BS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심볼 별로 구성될 수도 있고, FA 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무선 신호(즉,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는 ql,s,c[·]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보 시퀀스들 bl,s,c[·] 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l, s, c 각각은 OFDM 심볼 인덱스, 슬롯 인덱스 및 BS 인덱스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1c 및 도 11d에 도시된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2 실시예는, FDMA 기반 간섭 회피 접근 방식에 기반할 수 있다. 이하, 도 11c 및 도 11d를 참조하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2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구조(1100)에서, BS #0의 심볼 #0(111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0,s,0과 같이 표현할 수 있고, BS #1의 심볼 #1(1170)에 대응되는 타이밍 추정용 송신 신호를 q1,s,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0,s,0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1111, 1112)에 매핑될 수 있고, q1,s,1는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1171, 1172)에 매핑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실시예 및 제12 실시예 간의 차이는, 가드 밴드의 배치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1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2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1111, 1112) 사이와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1171, 1172) 사이에 가드 밴드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1111, 1112)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1171, 1172)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통신 노드는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수신된 제1 수신 신호에 포함된 제1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밍 추정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1 실시예
제1 통신 노드의 제1 수신 블록(1200)은 하나 이상의 모뎀(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들(1210, 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하나 이상의 모뎀들(1210, 1220)을 이용하여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수신 신호는 제1 무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신호는 도 1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무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무선 신호는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 내지 제8 실시예에 따라서 생성 및 송신된 무선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1 수신 신호에 포함된 제1 무선 신호는 comb-1에 기반하여 송신된 신호일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BS #0의 심볼 #0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수신 신호 및 제1 무선 신호는 하나 이상의 FA들에 매핑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통신 노드는 FA1 및 FA2에 매핑된 제1 수신 신호를, 모뎀 #1(1210) 및 모뎀 #2(1220)를 이용하여 수신 및 복조할 수 있다. 모뎀 #1(1210)은 제1 수신 신호 중에서 FA1에 대응되는 성분을 복조할 수 있다. 모뎀 #2(1220)는 제1 수신 신호 중에서 FA2에 대응되는 성분을 복조할 수 있다. 제1 수신 신호에서 CP(cyclic prefix)를 제외하고 제1 무선 신호에 해당하는 성분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노드는 타이밍 추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FA1에 대응되는 시간-영역 수신 신호(1211) 및 FA2에 대응되는 시간-영역 수신 신호(1221)는 각각 Q개의 샘플들을 가질 수 있다. Q는 자연수일 수 있다. 시간-영역 수신 신호들(1211, 1221)에 대한 Q-포인트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하여, Q개의 샘플들을 가지는 주파수-영역 수신 신호들(1212, 1222)이 생성될 수 있다.
주파수-영역 수신 신호들(1212, 1222) 각각에 대하여 부반송파 디인덱싱(subcarrier de-inexing) 연산 및 제로 패딩(zero padding) 연산이 수행됨에 따라, 샘플 구조 #1(1213) 및 샘플 구조 #2(1223)가 획득될 수 있다. 샘플 구조 #1(1213) 및 샘플 구조 #2(1223)는 제1 설정 개수만큼의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설정 개수는, BQ-포인트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의 입력 BQ 샘플수와 동일 또는 근사할 수 있다.
샘플 구조 #1(1213)에서는, 제1 무선 신호에서 FA1에 대응되는 성분이 할당되어 있는 NFA1 개의 샘플들(1214)이 추출되어 가운데(또는 중간 지점과 동일 또는 유사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샘플 구조 #2(1223)에서는, 제1 무선 신호에서 FA2에 대응되는 성분이 할당되어 있는 NFA2 개의 샘플들(1224)이 추출되어 가운데(또는 중간 지점과 동일 또는 유사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부반송파 디인덱싱 연산에 대응될 수 있다.
샘플 구조 #1-1(1213)에서는, 제1 무선 신호에서 FA1에 대응되는 성분이 할당되어 있는 NFA1 개의 샘플들(1214)에 대응되는 샘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즉, 상위 부반송파 그룹 및 하위 부반송파 그룹)에는 널(null) 값들이 채워질 수 있다. 샘플 구조 #1-2(1223)에서는, 제1 무선 신호에서 FA2에 대응되는 성분이 할당되어 있는 NFA2 개의 샘플들(1224)에 대응되는 샘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즉, 상위 부반송파 그룹 및 하위 부반송파 그룹)에는 널(null) 값들이 채워질 수 있다. 이는 제로 패딩 연산에 대응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 노드는 디패터닝 연산을 통하여 샘플 구조 #2-1(1215) 및 샘플 구조 #2-2(1225)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통신 노드는 샘플 구조 #1-1(1213) 및 샘플 구조 #1-2(1223)에서 FA별로 수학식 1, 수학식 5, 수학식 7 및 수학식 9 등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FA 별 q0,s,0에 대응되는 수신 부반송파들에 대해, 수학식 19와 같이 디패터닝된 샘플 (1216) 및 디패터닝된 샘플 (1226)을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19에서, 각각은 부반송파 k에 유입된 수신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각각은 로 모델링될 수 있다. 는 주파수응답을 의미할 수 있다. 는 잡음을 의미할 수 있다. 수학식 19에서 의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 디패터닝 연산을 의미할 수 있다. 디패터닝 연산은 특정 송신 신호 성분을 1로 만드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 노드는 부반송파 인덱싱 연산을 통하여 샘플 구조 #3-1(1217) 및 샘플 구조 #3-2(1227)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통신 노드는 BQ-포인트 IFFT 연산의 입력 샘플 위치에 부합되도록 샘플 구조 #2-1(1215) 및 샘플 구조 #2-2(1225)에서 부반송파 위치들을 조정할 수 있다. 디패터닝된 샘플 (1216)은 양분되어, 샘플 구조 #3-1(1217)의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디패터닝된 샘플 (1226)은 양분되어, 샘플 구조 #3-2(1227)의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부반송파 인덱싱을 거친 샘플 구조 #3-1(1217) 및 샘플 구조 #3-2(1227)의 샘플들에 대한 BQ-포인트 IFFT 연산을 통하여, 시간 영역 샘플들 ()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 노드는 중 CP에 해당하는 샘플들을 타이밍 추정 블록(1239)에 입력하여, 수학식 20과 같은 샘플 인덱스 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20과 같이 획득된 샘플 인덱스 의 값이, 최종 타이밍 추정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수학식 20에서, 을 최대로 하는 이 0에서 CP의 샘플들(즉, ) 사이에 존재하면 =이 될 수 있다. 한편, 을 최대로 하는 에서 사이에 존재하면 =가 될 수 있다.
도 13은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통신 노드는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수신된 제1 수신 신호에 포함된 제1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밍 추정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2 실시예
제1 통신 노드의 제2 수신 블록(1300)은 하나 이상의 모뎀(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들(1310, 1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하나 이상의 모뎀들(1310, 1320)을 이용하여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수신 신호는 제1 무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신호는 도 1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무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무선 신호는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 내지 제8 실시예에 따라서 생성 및 송신된 무선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1 수신 신호에 포함된 제1 무선 신호는 comb-1에 기반하여 송신된 신호일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BS #0의 심볼 #0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수신 신호 및 제1 무선 신호는 하나 이상의 FA들에 매핑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통신 노드는 FA1 및 FA2에 매핑된 제1 수신 신호를, 모뎀 #1(1310) 및 모뎀 #2(1320)를 이용하여 수신 및 복조할 수 있다. 모뎀 #1(1310)은 제1 수신 신호 중에서 FA1에 대응되는 성분을 복조할 수 있다. 모뎀 #2(1320)는 제1 수신 신호 중에서 FA2에 대응되는 성분을 복조할 수 있다. 제1 수신 신호에서 CP(cyclic prefix)를 제외하고 제1 무선 신호에 해당하는 성분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노드는 타이밍 추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FA1에 대응되는 시간-영역 수신 신호(1311) 및 FA2에 대응되는 시간-영역 수신 신호(1321)는 각각 Q개의 샘플들을 가질 수 있다. Q는 자연수일 수 있다. 시간-영역 수신 신호들(1311, 1321)에 대한 Q-포인트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하여, Q개의 샘플들을 가지는 주파수-영역 수신 신호들(1312, 1322)이 생성될 수 있다.
주파수-영역 수신 신호들(1312, 1322) 각각에 대하여 부반송파 디인덱싱(subcarrier de-inexing) 연산 및 제로 패딩(zero padding) 연산이 수행됨에 따라, 샘플 구조 #1(1313) 및 샘플 구조 #2(1323)가 획득될 수 있다. 샘플 구조 #1(1313) 및 샘플 구조 #2(1323)는 제1 설정 개수만큼의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설정 개수는, BV-포인트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의 입력 BV 샘플수의 절반(즉, BV/2)와 동일 또는 근사할 수 있다.
샘플 구조 #1(1313)에서는, 제1 무선 신호에서 FA1에 대응되는 성분이 할당되어 있는 NFA1 개의 샘플들(1314)이 추출되어 최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샘플 구조 #2(1323)에서는, 제1 무선 신호에서 FA2에 대응되는 성분이 할당되어 있는 NFA2 개의 샘플들(1324)이 추출되어 최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부반송파 디인덱싱 연산에 대응될 수 있다.
샘플 구조 #1-1(1313)에서는, 제1 무선 신호에서 FA1에 대응되는 성분이 할당되어 있는 NFA1 개의 샘플들(1314)에 대응되는 샘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즉, 상위 부반송파 그룹)에는 널(null) 값들이 채워질 수 있다. 샘플 구조 #1-2(1323)에서는, 제1 무선 신호에서 FA2에 대응되는 성분이 할당되어 있는 NFA2 개의 샘플들(1324)에 대응되는 샘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즉, 하위 부반송파 그룹)에는 널(null) 값들이 채워질 수 있다. 이는 제로 패딩 연산에 대응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 노드는 디패터닝 연산, 연집 연산, 부반송파 인덱싱 연산 등을 통하여 샘플 구조 #2(1335) 및 샘플 구조 #3(1337) 등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통신 노드는 샘플 구조 #1-1(1313) 및 샘플 구조 #1-2(1323)에서 FA별로 수학식 1, 수학식 5, 수학식 7 및 수학식 9 등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FA 별 q0,s,0에 대응되는 수신 부반송파들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수학식 19와 같이 디패터닝된 샘플 (1336-1) 및 디패터닝된 샘플 (1336-2)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 노드는 부반송파 인덱싱 연산을 통하여, BV-포인트 IFFT 연산의 입력 샘플 위치에 부합되도록 샘플 구조 #2(1335)에서 부반송파 위치들을 조정할 수 있다. 디패터닝된 샘플 (1336-1)은 샘플 구조 #3(1337)의 하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디패터닝된 샘플 (1336-2)은 샘플 구조 #3(1327)의 상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부반송파 인덱싱을 거친 샘플 구조 #3(1337)의 샘플들에 대한 BV-포인트 IFFT 연산을 통하여, 시간 영역 샘플들 ()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 노드는 중 CP에 해당하는 샘플들을 타이밍 추정 블록(1339)에 입력하여, 수학식 21과 같은 샘플 인덱스 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21과 같이 획득된 샘플 인덱스 의 값이, 최종 타이밍 추정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수학식 21에서, 을 최대로 하는 이 0에서 CP의 샘플들(즉, ) 사이에 존재하면 =이 될 수 있다. 한편, 을 최대로 하는 에서 사이에 존재하면 =가 될 수 있다.
도 14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통신 노드는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수신된 제1 수신 신호에 포함된 제1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밍 추정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3 실시예
제1 통신 노드의 제3 수신 블록(1400)은 하나 이상의 모뎀(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들(1410, 1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하나 이상의 모뎀들(1410, 1420)을 이용하여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수신 신호는 제1 무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신호는 도 1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무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무선 신호는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9 실시예 내지 제12 실시예에 따라서 생성 및 송신된 무선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1 수신 신호에 포함된 제1 무선 신호는 comb-2 또는 comb-4 등에 기반하여 송신된 신호일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BS #0의 심볼 #0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수신 신호 및 제1 무선 신호는 하나 이상의 FA들에 매핑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통신 노드는 FA1 및 FA2에 매핑된 제1 수신 신호를, 모뎀 #1(1410) 및 모뎀 #2(1420)를 이용하여 수신 및 복조할 수 있다. 모뎀 #1(1410)은 제1 수신 신호 중에서 FA1에 대응되는 성분을 복조할 수 있다. 모뎀 #2(1420)는 제1 수신 신호 중에서 FA2에 대응되는 성분을 복조할 수 있다. 제1 수신 신호에서 CP(cyclic prefix)를 제외하고 제1 무선 신호에 해당하는 성분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노드는 타이밍 추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FA1에 대응되는 시간-영역 수신 신호(1411) 및 FA2에 대응되는 시간-영역 수신 신호(1421)는 각각 Q개의 샘플들을 가질 수 있다. Q는 자연수일 수 있다. 시간-영역 수신 신호들(1411, 1421)에 대한 Q-포인트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하여, Q개의 샘플들을 가지는 주파수-영역 수신 신호들(1412, 1422)이 생성될 수 있다.
주파수-영역 수신 신호들(1412, 1422) 각각에 대하여 부반송파 디인덱싱(subcarrier de-inexing) 연산 및 제로 패딩(zero padding) 연산이 수행됨에 따라, 샘플 구조 #1(1413) 및 샘플 구조 #2(1423)가 획득될 수 있다. 샘플 구조 #1(1413) 및 샘플 구조 #2(1423)는 제1 설정 개수만큼의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설정 개수는, BQ-포인트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의 입력 BQ 샘플수와 동일 또는 근사할 수 있다.
샘플 구조 #1(1413)에서는, 제1 무선 신호에서 FA1에 대응되는 성분이 할당되어 있는 NFA1 개의 샘플들(1414)이 추출되어 가운데(또는 중간 지점과 동일 또는 유사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샘플 구조 #2(1423)에서는, 제1 무선 신호에서 FA2에 대응되는 성분이 할당되어 있는 NFA2 개의 샘플들(1424)이 추출되어 가운데(또는 중간 지점과 동일 또는 유사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부반송파 디인덱싱 연산에 대응될 수 있다.
샘플 구조 #1-1(1413)에서는, 제1 무선 신호에서 FA1에 대응되는 성분이 할당되어 있는 NFA1 개의 샘플들(1414)에 대응되는 샘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즉, 상위 부반송파 그룹 및 하위 부반송파 그룹)에는 널(null) 값들이 채워질 수 있다. 샘플 구조 #1-2(1423)에서는, 제1 무선 신호에서 FA2에 대응되는 성분이 할당되어 있는 NFA2 개의 샘플들(1424)에 대응되는 샘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즉, 상위 부반송파 그룹 및 하위 부반송파 그룹)에는 널(null) 값들이 채워질 수 있다. 이는 제로 패딩 연산에 대응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 노드는 디패터닝 연산 및 제로 펑처링 연산을 통하여 샘플 구조 #2-1(1415) 및 샘플 구조 #2-2(1425)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통신 노드는 샘플 구조 #1-1(1413) 및 샘플 구조 #1-2(1423)에서 FA별로 수학식 11 등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FA 별 q0,s,0에 대응되는 수신 부반송파들에 대해, 수학식 22와 같이 디패터닝 및 제로 펑처링된 샘플 (1416, 1426)을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22에서, 는 부반송파 에 유입된 수신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로 모델링될 수 있다. 는 주파수 응답을 의미할 수 있다. 은 잡음을 의미할 수 있다. 수학식 22에서 의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 디패터닝 연산을 의미할 수 있다. 디패터닝 연산은 특정 송신 신호 성분을 1로 만드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부반송파 의 값을 제로로 만드는 과정은 제로 펑처링 연산을 의미할 수 있다. (1416, 1426)는 FA 별로 (1416) 및 (1426)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 노드는 부반송파 인덱싱 연산을 통하여 샘플 구조 #3-1(1417) 및 샘플 구조 #3-2(1427)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통신 노드는 BQ-포인트 IFFT 연산의 입력 샘플 위치에 부합되도록 샘플 구조 #2-1(1415) 및 샘플 구조 #2-2(1425)에서 부반송파 위치들을 조정할 수 있다. 디패터닝된 샘플 (1416)은 양분되어, 샘플 구조 #3-1(1417)의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디패터닝된 샘플 (1426)은 양분되어, 샘플 구조 #3-2(1427)의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부반송파 인덱싱을 거친 샘플 구조 #3-1(1417) 및 샘플 구조 #3-2(1427)의 샘플들에 대한 BQ-포인트 IFFT 연산을 통하여, 시간 영역 샘플들 ()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 노드는 중 CP에 해당하는 샘플들을 타이밍 추정 블록(1439)에 입력하여, 수학식 20과 같은 샘플 인덱스 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20과 같이 획득된 샘플 인덱스 의 값이, 최종 타이밍 추정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수학식 20에서, 을 최대로 하는 이 0에서 CP의 샘플들(즉, ) 사이에 존재하면 =이 될 수 있다. 한편, 을 최대로 하는 에서 사이에 존재하면 =가 될 수 있다.
도 15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4 실시예에서, 제1 통신 노드는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수신된 제1 수신 신호에 포함된 제1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밍 추정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수신 방식의 제4 실시예
제1 통신 노드의 제4 수신 블록(1500)은 하나 이상의 모뎀(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들(1510, 1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하나 이상의 모뎀들(1510, 1520)을 이용하여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수신 신호는 제1 무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신호는 도 1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무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무선 신호는 무선 신호 생성 방식의 제1 실시예 내지 제8 실시예에 따라서 생성 및 송신된 무선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1 수신 신호에 포함된 제1 무선 신호는 comb-2 또는 comb-4 등에 기반하여 송신된 신호일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는 BS #0의 심볼 #0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수신 신호 및 제1 무선 신호는 하나 이상의 FA들에 매핑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통신 노드는 FA1 및 FA2에 매핑된 제1 수신 신호를, 모뎀 #1(1510) 및 모뎀 #2(1520)를 이용하여 수신 및 복조할 수 있다. 모뎀 #1(1510)은 제1 수신 신호 중에서 FA1에 대응되는 성분을 복조할 수 있다. 모뎀 #2(1520)는 제1 수신 신호 중에서 FA2에 대응되는 성분을 복조할 수 있다. 제1 수신 신호에서 CP(cyclic prefix)를 제외하고 제1 무선 신호에 해당하는 성분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노드는 타이밍 추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FA1에 대응되는 시간-영역 수신 신호(1511) 및 FA2에 대응되는 시간-영역 수신 신호(1521)는 각각 Q개의 샘플들을 가질 수 있다. Q는 자연수일 수 있다. 시간-영역 수신 신호들(1511, 1521)에 대한 Q-포인트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하여, Q개의 샘플들을 가지는 주파수-영역 수신 신호들(1512, 1522)이 생성될 수 있다.
주파수-영역 수신 신호들(1512, 1522) 각각에 대하여 부반송파 디인덱싱(subcarrier de-inexing) 연산 및 제로 패딩(zero padding) 연산이 수행됨에 따라, 샘플 구조 #1(1513) 및 샘플 구조 #2(1523)가 획득될 수 있다. 샘플 구조 #1(1513) 및 샘플 구조 #2(1523)는 제1 설정 개수만큼의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설정 개수는, BV-포인트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의 입력 BV 샘플수의 절반(즉, BV/2)와 동일 또는 근사할 수 있다.
샘플 구조 #1(1513)에서는, 제1 무선 신호에서 FA1에 대응되는 성분이 할당되어 있는 NFA1 개의 샘플들(1514)이 추출되어 최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샘플 구조 #2(1523)에서는, 제1 무선 신호에서 FA2에 대응되는 성분이 할당되어 있는 NFA2 개의 샘플들(1524)이 추출되어 최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부반송파 디인덱싱 연산에 대응될 수 있다.
샘플 구조 #1-1(1513)에서는, 제1 무선 신호에서 FA1에 대응되는 성분이 할당되어 있는 NFA1 개의 샘플들(1514)에 대응되는 샘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즉, 상위 부반송파 그룹)에는 널(null) 값들이 채워질 수 있다. 샘플 구조 #1-2(1523)에서는, 제1 무선 신호에서 FA2에 대응되는 성분이 할당되어 있는 NFA2 개의 샘플들(1524)에 대응되는 샘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즉, 하위 부반송파 그룹)에는 널(null) 값들이 채워질 수 있다. 이는 제로 패딩 연산에 대응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 노드는 디패터닝 연산, 제로 펑처링 연산, 연집 연산, 부반송파 인덱싱 연산 등을 통하여 샘플 구조 #2(1535) 및 샘플 구조 #3(1537) 등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통신 노드는 샘플 구조 #1-1(1513) 및 샘플 구조 #1-2(1523)에서 FA별로 수학식 11 등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FA 별 q0,s,0에 대응되는 수신 부반송파들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수학식 22와 같이 디패터닝 및 제로 펑처링된 샘플 (1536-1, 1536-2)을 생성할 수 있다. 는 FA 별로 (1536-1) 및 (1536-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 노드는 부반송파 인덱싱 연산을 통하여, BV-포인트 IFFT 연산의 입력 샘플 위치에 부합되도록 샘플 구조 #2(1535)에서 부반송파 위치들을 조정할 수 있다. 디패터닝된 샘플 (1536-1)은 샘플 구조 #3(1537)의 하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디패터닝된 샘플 (1536-2)은 샘플 구조 #3(1527)의 상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부반송파 인덱싱을 거친 샘플 구조 #3(1537)의 샘플들에 대한 BV-포인트 IFFT 연산을 통하여, 시간 영역 샘플들 ()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 노드는 중 CP에 해당하는 샘플들을 타이밍 추정 블록(1539)에 입력하여, 수학식 23과 같은 샘플 인덱스 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23과 같이 획득된 샘플 인덱스 의 값이, 최종 타이밍 추정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수학식 23에서, 을 최대로 하는 이 0에서 CP의 샘플들(즉, ) 사이에 존재하면 =이 될 수 있다. 한편, 을 최대로 하는 에서 사이에 존재하면 =가 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추정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전송 모드에서 BS 별 또는 FA 별 간섭 회피 효과를 고려하여 설계된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타이밍 추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FA 주파수 대역 별로(또는 FA 주파수 대역들에 걸쳐서) 하드웨어 손상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시간 분해능 및 타이밍 정확도 성능의 향상이 기대될 수 있다.
다만,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추정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들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본 개시의 명세서 상에 기재된 구성들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 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제1 통신 노드의 방법으로서,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제1 FA(Frequency Assignment) 및 제2 FA에 대응되는 제1 FA 시퀀스 및 제2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FA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1 FA 신호 및 제2 FA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FA, 제1 기지국 및 제1 심볼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
    제2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제1 FA 및 제2 FA에 대응되는 제3 FA 시퀀스 및 제4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FA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3 FA 신호 및 제4 FA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FA, 제2 기지국 및 제2 심볼에 대응되는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된 상기 제1 및 제2 FA 신호로 구성되는 제1 송신 신호와, 상기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된 상기 제3 및 제4 FA 신호를 포함하는 제2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및 제2 FA,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심볼에 대응되는 부반송파 그룹들과, 상기 제1 및 제2 FA, 상기 제2 기지국 및 상기 제1 심볼에 대응되는 부반송파 그룹들에는 널(null) 값이 매핑되는,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방법은,
    제1 FA 시퀀스 및 제2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제1 내지 제3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퀀스 및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1 및 제2 기지국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시간 자원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3 식별자는 상기 제1 및 제2 심볼의 식별자이며, 상기 제1 시퀀스는 상기 제1 및 제2 FA에 대하여 동일하게 결정되고, 상기 제2 시퀀스는 상기 제1 및 제2 FA에 대하여 동일하게 결정되는,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4.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방법은,
    제1 FA 시퀀스 및 제2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제1 내지 제4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퀀스 및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1 및 제2 기지국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시간 자원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3 식별자는 상기 제1 및 제2 심볼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4 식별자는 상기 제1 및 제2 FA의 식별자인,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5.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및 제2 송신 신호는, 전송 콤브(transmission comb) 값 1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6.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시퀀스의 엘리먼트들의 수는 FA 별 총 가용 부반송파들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FA 별 총 가용 부반송파들의 수는 FA 별 자원 블록들의 수, 자원 블록 별 부반송파들의 수, 및 전송 콤브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7.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FA 시퀀스 및 제2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FA 시퀀스에 포함되는 제1 엘리먼트 그룹 및 제2 엘리먼트 그룹을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의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엘리먼트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의 엘리먼트들의 값들은, 상기 제1 시퀀스가 수정된 제1 수정 시퀀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8. 청구항 7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엘리먼트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은 짝수 인덱스를 가지는 엘리먼트들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그룹은 홀수 인덱스를 가지는 엘리먼트들로 구성되는,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9. 청구항 7에서,
    상기 제1 FA 시퀀스 및 제2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FA 시퀀스에 포함되는 제3 엘리먼트 그룹 및 제4 엘리먼트 그룹을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의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엘리먼트 그룹을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의 인덱스들은 연속하는 값들로 결정되는,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10. 청구항 9에서,
    상기 제3 및 제4 엘리먼트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의 엘리먼트들의 값들은, 상기 제1 시퀀스가 수정된 제2 수정 시퀀스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다른 하나의 그룹의 엘리먼트들의 값들은, 상기 제1 수정 시퀀스가 수정된 제3 수정 시퀀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11.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부반송파 그룹의 사이와, 상기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의 사이에는 각각 가드 밴드(guard band)가 배치되는,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12. 제1 통신 노드의 방법으로서,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제1 FA(Frequency Assignment) 및 제2 FA에 대응되는 제1 FA 시퀀스 및 제2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FA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1 FA 신호 및 제2 FA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FA, 제1 기지국 및 제1 심볼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
    제2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제1 FA 및 제2 FA에 대응되는 제3 FA 시퀀스 및 제4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및 제4 FA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3 FA 신호 및 제4 FA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FA,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심볼에 대응되는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된 상기 제1 및 제2 FA 신호와, 상기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된 상기 제3 및 제4 FA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13. 청구항 12에서,
    상기 제1 및 제2 FA 시퀀스에서 홀수 번째 인덱스를 가지는 엘리먼트들과, 상기 제3 및 제4 FA 시퀀스에서 짝수 번째 인덱스를 가지는 엘리먼트들은 모두 널(null) 값을 가지는,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14. 청구항 12에서,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방법은,
    제3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제1 FA 및 제2 FA에 대응되는 제5 FA 시퀀스 및 제6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5 및 제6 FA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5 FA 신호 및 제6 FA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FA, 제2 기지국 및 상기 제1 심볼에 대응되는 제5 및 제6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
    제4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제1 FA 및 제2 FA에 대응되는 제7 FA 시퀀스 및 제8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7 및 제8 FA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7 FA 신호 및 제8 FA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FA, 상기 제2 기지국 및 상기 제2 심볼에 대응되는 제7 및 제8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5 및 제6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된 제5 및 제6 FA 신호와, 상기 제7 및 제8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된 제7 및 제8 FA 신호를 포함하는 제2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15. 청구항 14에서,
    상기 제5 및 제6 FA 시퀀스에서 짝수 번째 인덱스를 가지는 엘리먼트들과, 상기 제7 및 제8 FA 시퀀스에서 홀수 번째 인덱스를 가지는 엘리먼트들은 모두 널 값을 가지는,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16. 청구항 12에서,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방법은,
    제1 FA 시퀀스 및 제2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제1 내지 제3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퀀스 및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1 기지국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시간 자원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3 식별자는 상기 제1 및 제2 심볼의 식별자인,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17. 청구항 12에서,
    상기 제1 송신 신호는, 전송 콤브(transmission comb) 값 2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18. 청구항 12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시퀀스의 엘리먼트들의 수는 FA 별 총 가용 부반송파들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FA 별 총 가용 부반송파들의 수는 FA 별 자원 블록들의 수, 자원 블록 별 부반송파들의 수, 및 전송 콤브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19. 청구항 12에서,
    상기 제1 송신 신호는 전송 콤브(transmission comb) 값 n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방법은, 상기 제1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제n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제1 FA 및 제2 FA에 대응되는 제2n-1 FA 시퀀스 및 제2n FA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n-1 및 제2n FA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2n-1 FA 신호 및 제2n FA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FA,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n 심볼에 대응되는 제2n-1 및 제2n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 신호는 상기 제2n-1 FA 신호 및 제2n FA 신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n은 2보다 큰 자연수인,
    제1 통신 노드의 방법.
  20. 제1 통신 노드로서,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제1 CC(Component Carrier) 및 제2 CC에 대응되는 제1 CC 시퀀스 및 제2 CC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CC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1 CC 신호 및 제2 CC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CC, 제1 기지국 및 제1 심볼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고;
    제2 시퀀스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제1 CC 및 제2 CC에 대응되는 제3 CC 시퀀스 및 제4 CC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CC 시퀀스를 변조하여 생성된 제3 CC 신호 및 제4 CC 신호의 엘리먼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CC, 제2 기지국 및 제2 심볼에 대응되는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된 상기 제1 및 제2 CC 신호로 구성되는 제1 송신 신호와, 상기 제3 및 제4 부반송파 그룹에 매핑된 상기 제3 및 제4 CC 신호를 포함하는 제2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제1 통신 노드.
KR1020230079138A 2022-06-20 2023-06-20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추정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301741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75169 2022-06-20
KR1020220075169 2022-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190A true KR20230174190A (ko) 2023-12-27

Family

ID=8937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9138A KR20230174190A (ko) 2022-06-20 2023-06-20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추정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080826A1 (ko)
KR (1) KR2023017419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80826A1 (en)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90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CN112003808B (zh) 信号处理方法及装置
US201800912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scalable frame structure
JP704118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同期信号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このための装置
TWI765931B (zh) 傳輸資訊的方法、終端設備和網路設備
CN108632193B (zh) 一种资源指示方法及网络设备、终端设备
CN109845210A (zh) 利用单载波频分多址(sc-fdma)和ofdma的灵活参考信号传输方法
CN108811074B (zh) 信息传输方法及装置
US10652062B2 (en) Configurable waveform for beyond 52.6GHz
CN102549996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利用帧结构收发信号的装置和方法
KR20190098695A (ko)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05543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재전송 방법 및 장치
CN102377723B (zh) 设计参考信号模式的方法及其相关通信装置
KR20230174190A (ko)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추정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9802784B (zh) 一种pucch传输方法、移动通信终端及网络侧设备
US116171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72430A (ko)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모드 식별 방법 및 장치
US20180123673A1 (en) Multi-subcarrier based radio frame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 node therefor
KR20200055376A (ko)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401370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fast mobility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50529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087149A (ko) 비직교 통신 절차에서 참조 신호의 송수신 방법
US202302173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phase noise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480040B1 (ko) 통신 시스템에서 prach의 송수신 방법
KR20240057374A (ko)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