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521A -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521A
KR20230173521A KR1020220074390A KR20220074390A KR20230173521A KR 20230173521 A KR20230173521 A KR 20230173521A KR 1020220074390 A KR1020220074390 A KR 1020220074390A KR 20220074390 A KR20220074390 A KR 20220074390A KR 20230173521 A KR20230173521 A KR 20230173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unit
leak inspection
tr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환
Original Assignee
(주)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220074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521A/ko
Publication of KR20230173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28Leak testing of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8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change in dimensions of the structure being tes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치로 밀봉된 이차전지의 리크를 검사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전극시트(13) 및 제2전극시트(14)가 서로 번갈아가면서 적층되며 상기 제1전극시트(13) 및 제2전극시트(14) 사이에 분리막(12)이 위치되는 이차전지셀(20)과, 전해액에 함침된 이차전지셀(20)을 밀봉하는 파우치(11)를 포함하며 판형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10)의 전해액 리크를 검사하는 리크검사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이차전지(10)들이 수직으로 적재된 로딩용 트레이(30)가 위치되는 로딩부(100)와; 상기 로딩부(100)로부터 이차전지(10)를 공급받아 제1압력하의 이차전지(10)의 제1두께와, 상기 제1압력보다 작은 제2압력하의 이차전지(10)의 제2두께를 측정하고 상기 제1두께 및 상기 제2두께의 편차에 따라 이차전지(10)의 리크를 검사하는 리크검사부(200)와; 상기 리크검사부(200)에서 검사를 마친 이차전지(10)를 상기 리크검사부(200)로부터 전달받아 수직으로 적재되는 언로딩용 트레이(30)가 위치되는 언로딩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Leak inspection system for secondary cell}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치로 밀봉된 이차전지의 리크를 검사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전지는 양전극과 음전극의 전극 한쌍과 전해질로 구성되어 있는 전지로서, 전극과 전해질을 구성하는 물질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이 달라진다.
이러한 화학전지는 충전반응이 매우 느려서 1회 방전 용도로만 쓰이는 일차전지와, 반복적인 충방전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구분된다.
이차전지는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기술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일예로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와 같은 첨단 전자기기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및 디젤 내연기관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고 있는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여러 가지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 원통형, 각형, 파우치형 등이 있다.
통상적으로 원통형 이차전지는 원통형 알루미늄캔을 사용하고, 각형 이차전지는 각형의 알루미늄캔을 사용하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된 박판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을 팩 형태로 한 파우치로 밀봉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경량이면서 안정성이 우수하여 근래 들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로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구성을 살펴보면, 음전극과 양전극 사이에 분리막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시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인 스택(stack)과, 이 스택을 내부에 밀봉 수용하는 것으로 알루미늄-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파우치 그리고, 상기 스택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파우치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로 전류를 유도하기 위한 판상(板狀)의 음양극용 전극탭으로 구성된다.
한편 이차전지는, 음전극, 양전극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으로 구성되는 전지셀이 수용된 파우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한 후 밀봉함으로써 완성됨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제조되는 이차전지는, 음전극 및 양전극의 사이에 주입된 전해액으로부터 이온이 발생하여 전극 간에 이동하므로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그 작용에 의해 충ㆍ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따라서, 이차전지는 충ㆍ방전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전해액의 손실을 방지하고, 또 내압 발생을 고려하여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형의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이차전지에서 케이스의 기밀 불량에 의해 전해액이 누출되는 경우에는 제품의 불량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제조공정 라인에서 누액 검사를 수행하게 되며, 보통 케이스에 용접되어 있는 캡 플레이트의 용접부위를 X-ray 혹은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X-ray 검사의 경우 공정 및 설비가 복잡하여 실현성이 떨어지고, 육안 검사는 신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1과 같은 리크검사장치을 제시한 바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른 리크검사장치는, 레이저 변위센서를 이용하여 대기압 하 및 진공 상태 하에서의 이차전지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여 이차전지의 리크 유무를 검사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따른 리크검사장치는, 이차전지의 로딩/언로딩 시간에 비하여 리크검사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어 장치의 전체 풋프린트가 비효율적으로 구성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따른 리크검사장치는, 판면이 상측을 향하여, 즉 수평상태로 이차전지가 이송되어 상대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여 이러한 물류 구성 또한 장치의 전체 풋프린트가 비효율적으로 구성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따른 리크검사장치는, 검사대상인 이차전지에 따라서 검사 전 이차전지의 두께가 달라 리크검사시 두께변화 또한 이차전지에 따라서 달라져 리크검사 기준의 표준 설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 10-2018-0111122 A
(특허문헌 2) KR 10-1736137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기압 하 및 진공 상태 하에서 이차전지의 판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고 그 편차를 계산하여 계산된 편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 해당위치에서 전해액의 누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함에 있어서, 그 검사속도를 크게 향상시킴과 아울러 검사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1전극시트(13) 및 제2전극시트(14)가 서로 번갈아가면서 적층되며 상기 제1전극시트(13) 및 제2전극시트(14) 사이에 분리막(12)이 위치되는 이차전지셀(20)과, 전해액에 함침된 이차전지셀(20)을 밀봉하는 파우치(11)를 포함하며 판형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10)의 전해액 리크를 검사하는 리크검사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이차전지(10)들이 수직으로 적재된 로딩용 트레이(30)가 위치되는 로딩부(100)와; 상기 로딩부(100)로부터 이차전지(10)를 공급받아 제1압력하의 이차전지(10)의 제1두께와, 상기 제1압력보다 작은 제2압력하의 이차전지(10)의 제2두께를 측정하고 상기 제1두께 및 상기 제2두께의 편차에 따라 이차전지(10)의 리크를 검사하는 리크검사부(200)와; 상기 리크검사부(200)에서 검사를 마친 이차전지(10)를 상기 리크검사부(200)로부터 전달받아 수직으로 적재되는 언로딩용 트레이(30)가 위치되는 언로딩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로딩부(100) 및 상기 언로딩부(200)는, 하나의 트레이모듈(10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모듈(1000)은, 트레이(30)가 위치되는 트레이안착공간이 하나 이상의 설정되며, 각 트레이안착공간에 위치된 트레이(30)는, 리크검사가 수행될 이차전지(10)가 픽업된 빈공간에 리크검사를 마친 이차전지(10)가 적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크검사시스템은, 상기 트레이모듈(1000) 및 상기 리크검사부(200)가 배치된 X축방향과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어, 리크검사가 수행될 이차전지(10)를 상기 리크검사부(200)에 전달하고, 리크검사를 마친 이차전지(10)를 상기 리크검사부(200)로부터 상기 트레이모듈(1000)의 트레이(30)로 전달하는 이차전지이송모듈(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은, 이차전지(10)를 고정지지하는 전지지지부(411)와, 상기 트레이모듈(100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수수(授受)하는 제1수수위치(P1)와, 상기 리크검사부(20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수수하는 전달위치(P2) 사이에서 상기 전지지지부(411)를 X축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는 선형이동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지지지부(411)는, 상기 트레이모듈(1000)와, 제1이송툴(510)에 의하여 이차전지(10)를 수직상태로 전달받거나 전달하며, 상기 전지지지부(411)는, 상기 제1이송툴(510)에 의하여 이차전지(10)를 수직상태로 전달받은 후 지지된 이차전지(10)를 수평상태로 회전시키며, 상기 전지지지부(411)는, 상기 제1이송툴(510)에 의하여 이차전지(10)가 픽업되기 전에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 및 상기 리크검사부(200) 사이에는, 상기 리크검사부(200)의 리크검사 전에 이차전지(10)를 수평상태에서 가압하여 평탄화하는 평탄화모듈(43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크검사시스템은, 이차전지(10)가 수평상태로 안착되며 상기 평탄화모듈(430)에 의하여 평탄화하는 평탄화위치(P4)와,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수수하는 제2수수위치(P3)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1스테이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모듈(430)은,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에 대한 상대 상하이동에 의하여 상기 평탄화위치(P4)에 위치된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에 안착된 이차전지(10)를 가압하는 가압모듈(431)과; 상기 가압모듈(431)에 의하여 가압된 후의 이차전지(10)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수위치(P3)는, 상기 평탄화위치(P4)를 기준으로 X축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 한 쌍으로 설정되며,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는, 상기 평탄화위치(P4)를 교번하여 이동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크검사시스템은, 이차전지(10)가 수평상태로 적재되며 상기 리크검사부(200)의 리크검사위치(P6)와,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와 이차전지(10)를 수수하는 제3수수위치(P5)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2스테이지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크검사부(200)는, 상기 리크검사위치(P6)에 위치된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에 대한 상대 상하이동에 의하여 압력변환을 위한 밀폐된 검사공간(S)을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와 함께 형성하며 상기 이차전지(10)의 상면이 상측으로 노출시키도록 투명창(212)이 구비된 챔버본체(210)와; 상기 챔버본체(2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창(212)를 통하여 상기 이차전지(10)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수수위치(P5)는, 상기 리크검사위치(P6)를 기준으로 X축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 한 쌍으로 설정되며,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는, 상기 리크검사위치(P6)를 교번하여 이동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은, 대기압하 및 진공 상태하에서 이차전지의 판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고 그 편차를 계산하여 계산된 편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 해당위치에서 전해액의 누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전해액 누출에 대한 검사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은, 이차전지를 수직상태로 로딩 및 언로딩하여 이차전지의 이송을 위한 트레이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전체 풋프린트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은, 리크검사 전 및/또는 후에 이차전지를 평탄화함으로써, 검사 전 평탄화에 의하여 검사전 이차전지의 두께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리크검사의 효율 및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은, 리크검사 후 평탄화함으로써, 검사를 마친 이차전지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여 언로딩시 트레이에 대한 이차전지의 적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의 검사대상인 이차전지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Ⅱ-Ⅱ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중 평탄화부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의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중 리크검사부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도 3의 리크검사시스템의 리크검사부의 압력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의 리크를 검사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에 의하여 검사되는 이차전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시트(13) 및 제2전극시트(14)가 서로 번갈아가면서 적층되며 제1전극시트(13) 및 제2전극시트(14) 사이에 분리막(12)이 위치되는 이차전지셀(20)과, 전해질에 함침된 이차전지셀(20)을 밀봉하는 파우치(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시트(13) 및 제2전극시트(14)는, 서로 번갈아가면서 적층되며 그 사이에 분리막(12)에 의하여 분리되는 전극들로서, 각각 이차전지(10)의 양극 및 음극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전극 특성에 따라서 금속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12)은, 제1전극시트(13) 및 제2전극시트(14) 사이에 개재되는 부재로서, 전해질에 대한 높은 젖음성과 높은 내화학성을 가지는 재질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막(12)은, 이차전지(10)를 구성하는 제1전극시트(13) 및 제2전극시트(14)의 재질, 전해질의 물성 등에 따라서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파우치(11)는, 전해질에 함침된 이차전지셀(20)을 밀봉하는 부재로서 제1전극시트(13) 및 제2전극시트(14)의 재질, 전해질의 물성 등에 따라서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극시트(13) 및 제2전극시트(14)는, 각각 파우치(11)의 외측에 결합된 전극리드탭(19)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파우치(11)는, 이차전지셀(20)이 삽입되며 상측이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을 밀봉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 주입장치에 의하여 전해질이 주입된 후 밀봉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리크검사시스템에 의한 리크검사 수행 전에, 상기 이차전지(10)는, 완전 밀봉 전 가스를 제거하는 디가싱 공정을 거침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차전지(10)들이 수직으로 적재된 로딩용 트레이(30)가 위치되는 로딩부(100)와; 상기 로딩부(100)로부터 이차전지(10)를 공급받아 제1압력하의 이차전지(10)의 제1두께와, 상기 제1압력보다 작은 제2압력하의 이차전지(10)의 제2두께를 측정하고 상기 제1두께 및 상기 제2두께의 편차에 따라 이차전지(10)의 리크를 검사하는 리크검사부(200)와; 상기 리크검사부(200)에서 검사를 마친 이차전지(10)를 상기 리크검사부(200)로부터 전달받아 수직으로 적재되는 언로딩용 트레이(30)가 위치되는 언로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로딩부(100)는, 복수의 이차전지(10)들이 수직으로 적재된 로딩용 트레이(30)가 위치되는 구성으로서, 트레이(30)의 로딩 및 언로딩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30)는, 복수의 이차전지(10)들이 수직으로 적재되는 구성으로서, 이차전지(10)들이 수직으로 적재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트레이(30)를 수직으로 적재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수평으로 적재된 상태로도 본 발명의 다른 주요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트레이(30)는, 수직방향으로 적재됨에 있어서, 로딩부(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 길이방향이 X축과 평행을 이루도록 이차전지(10)가 적재됨이 바람직하다.
일예로서, 상기 로딩부(100)는, 복수의 이차전지(10)들이 적재된 트레이(3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딩부(100)는, 후술하는 이차전지이송모듈(410)로의 이차전지(10) 전달을 위하여 제1이송툴(51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툴(510)은, 트레이(30)에서 이차전지(10)를 픽업하여 이차전지이송모듈(410)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이차전지(10)의 픽업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1이송툴(510)은, 이차전지(10)가 트레이(30)에 수직으로 적재되어 있음을 고려하여 그리퍼를 구비하여 이차전지(10)를 그립하여 픽업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이송툴(510)은, 트레이(30) 및 이차전지이송모듈(410) 사이의 이동을 고려하여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또는 X축 및 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언로딩부(300)는, 상기 리크검사부(200)에서 검사를 마친 이차전지(10)를 상기 리크검사부(200)로부터 전달받아 수직으로 적재되는 언로딩용 트레이(30)가 위치되는 구성으로서, 로딩부(10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언로딩부(300)는, 복수의 이차전지(10)들이 적재될 트레이(3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언로딩부(300)는, 후술하는 이차전지이송모듈(410)로부터 이차전지(10)를 전달받기 위하여 제2이송툴(5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툴(520)은, 이차전지이송모듈(410)로부터 이차전지(10)를 픽업하여 트레이(30)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제1이송툴(5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으로서, 이차전지(10)의 픽업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2이송툴(520)은, 이차전지(10)가 트레이(30)에 수직으로 적재됨을 고려하여 그리퍼를 구비하여 이차전지(10)를 그립하여 픽업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이송툴(520)은, 트레이(30) 및 이차전지이송모듈(410) 사이의 이동을 고려하여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또는 X축 및 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이송툴(510) 및 상기 제2이송툴(5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 즉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로딩부(100) 및 언로딩부(300) 모두 이동이 가능하도록 X-Y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송툴(510) 및 상기 제2이송툴(520)은, 이차전지(10)의 픽업 및 플레이스를 위하여 상하방향, 즉 Z축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이송툴(510) 및 상기 제2이송툴(520)은, 선형이동 구조로 구성되는 대신, X-Y-Z 이동, 즉 자유이동이 가능한 다관절로봇(미도시)로도 구성이 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한편, 상기 로딩부(100)에 위치된 트레이(30)는, 검사될 이차전지(10)가 픽업되는 경우 빈자리가 발생되는데, 이때 빈자리를 검사를 마친 이차전지(10)가 적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딩부(100) 및 언로딩부(300)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로딩부(100) 및 상기 언로딩부(200)는, 하나의 트레이모듈(1000)(이하, 로딩부(100) 및 언로딩부(300)의 구성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트레이모듈(1000)'로 통칭한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모듈(1000)은, 검사될 이차전지(10)가 적재된 트레이(30)가 로딩되고, 검사를 마친 이차전지(10)가 적재된 트레이(30)를 언로딩하도로 구성되며, 로딩부(100) 및 언로딩부(300)가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모듈(1000)은, 트레이(30)가 위치되는 트레이안착공간이 하나 이상의 설정되며, 각 트레이안착공간에 위치된 트레이(30)는, 리크검사가 수행될 이차전지(10)가 픽업된 빈공간에 리크검사를 마친 이차전지(10)가 적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트레이(30)는, 검사될 이차전지(10)가 적재되는 동안은 로딩용으로, 다 비워진 후 검사를 마친 이차전지(10)가 적재되는 언로딩용으로 사용되는 등 트레이모듈(1000) 내에서 트레이(30)가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모듈(1000)은, 하나의 트레이(30)가 적재되거나, 로딩 및 언로딩의 편의를 위하여 2개 이상의 트레이(30)가 적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모듈(1000)은, 트레이(30)의 로딩 및 언로딩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트레이(30)의 핸들링 구성(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모듈(1000) 및 상기 리크검사부(200) 사이의 이차전지(10) 수수(授受)를 위하여, 상기 트레이모듈(1000) 및 상기 리크검사부(200)가 배치된 X축방향과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어, 리크검사가 수행될 이차전지(10)를 상기 리크검사부(200)에 전달하고, 리크검사를 마친 이차전지(10)를 상기 리크검사부(200)로부터 상기 트레이모듈(1000)의 트레이(30)로 전달하는 이차전지이송모듈(41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은, 상기 트레이모듈(1000) 및 상기 리크검사부(200) 사이의 이차전지(10) 수수를 위하여, 상기 트레이모듈(1000) 및 상기 리크검사부(200)가 배치된 X축방향과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어, 리크검사가 수행될 이차전지(10)를 상기 리크검사부(200)에 전달하고, 리크검사를 마친 이차전지(10)를 상기 리크검사부(200)로부터 상기 트레이모듈(1000)의 트레이(30)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이차전지(10)의 지지구조 및 이동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은, 이차전지(10)를 고정지지하는 전지지지부(411)와, 상기 트레이모듈(100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수수(授受)하는 제1수수위치(P1)와, 상기 리크검사부(20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수수하는 전달위치(P2) 사이에서 상기 전지지지부(411)를 X축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는 선형이동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수수위치(P1)은, 상기 트레이모듈(100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수수(授受)하기 위하여 상기 전지지지부(411)가 위치되는 위치로서, 앞서 설명한 제1이송툴(510) 및 제2이송툴(520)에 의한 이차전지(10)의 이송방향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위치(P2)는, 상기 리크검사부(20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수수하기 위하여 상기 전지지지부(411)가 위치되는 위치로서, 후술하는 리크검사부(200)와의 이차전지(10) 전달방향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전지지지부(411)는, 이차전지(10)를 고정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이차전지(10)를 앞서 설명한 상기 제1이송툴(510) 및 상기 제2이송툴(520)로부터 이차전지(10)를 전달받거나 전달하기 위하여 이차전지(10)를 고정지지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제1이송툴(510) 및 상기 제2이송툴(520)은, 이차전지(10)를 수직상태로 픽업, 즉 이차전지(10)의 판면의 법선이 수평방향을 이루도록 픽합할 때, 상기 전지지지부(411)는, 상기 제1이송툴(510) 및 상기 제2이송툴(52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전달하거나 받을 때는 수직상태로 유지하고, 후술하는 리크검사부(200)와 이전전지(10)를 전달하거나 받을 때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지지지부(411)는 상기 트레이모듈(1000)와, 제1이송툴(510)에 의하여 이차전지(10)를 수직상태로 전달받거나 전달하며, 상기 전지지지부(411)는, 상기 제1이송툴(510)에 의하여 이차전지(10)를 수직상태로 전달받은 후 지지된 이차전지(10)를 수평상태로 회전시키며, 상기 전지지지부(411)는, 상기 제1이송툴(510)에 의하여 이차전지(10)가 픽업되기 전에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지지지부(411)는, 상기 이차전지(10)를 다양한 구조에 의하여 픽업 및 지지할 수 있으며, 예로서, 이차전지(10)의 측면, 즉 판면을 진공압에 의하여 흡착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선형이동부(412)는, 상기 트레이모듈(100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수수(授受)하는 제1수수위치(P1)와, 상기 리크검사부(20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수수하는 전달위치(P2) 사이에서 상기 전지지지부(411)를 X축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선형이동부(412)는, 상기 전지지지부(411)를 X축방향으로 선형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크검사부(200)에 의한 리크검사는, 이차전지(10)에 대하여 제1압력 및 제2압력하의 각 두께를 측정하여 두께변화에 따라 이차전지(10)의 리크여부를 검사함에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리크검사시 이차전지(10)가 바뀌면서 각 이차전지(10)의 상태에 따라 두께가 달라질 수 있어 리크검사측정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 리크검사부(200)에 의한 리크검사 전에 이차전지(10)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는 평탄화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평탄화 과정을 위하여,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 및 상기 리크검사부(200) 사이에는, 상기 리크검사부(200)의 리크검사 전에 이차전지(10)를 수평상태에서 가압하여 평탄화하는 평탄화모듈(43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차전지(10)가 수평상태로 안착되며 상기 평탄화모듈(430)에 의하여 평탄화하는 평탄화위치(P4)와,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수수하는 제2수수위치(P3)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1스테이지부(420)가 추가로 설치된다.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는, 상기 이차전지(10)가 수평상태로 안착되며 상기 평탄화모듈(430)에 의하여 평탄화하는 평탄화위치(P4)와,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수수하는 제2수수위치(P3) 사이에서 이동하는 구성으로서, 이차전지(10)의 지지구조 및 이동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는, 상기 이차전지(10)가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평탄화위치(P4)에서 평탄화모듈(430)에 의하여 가압됨을 고려하여 가압하중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는, 제1선형왕복이동부(미도시)에 의하여 제2수수위치(P3) 및 평탄화위치(P4) 사이에서 왕복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선형왕복이동부는,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를 제2수수위치(P3) 및 평탄화위치(P4) 사이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1선형왕복이동부는,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의 선형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 따라서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를 이동시키는 선형구동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모듈(430)은, 상기 리크검사부(200)의 리크검사 전에 이차전지(10)를 수평상태에서 가압하여 평탄화하는 구성으로서, 평탄화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평탄화모듈(430)은,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에 대한 상대 상하이동에 의하여 상기 평탄화위치(P4)에 위치된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에 안착된 이차전지(10)를 가압하는 가압모듈(431)과; 상기 가압모듈(431)에 의하여 가압된 후의 이차전지(10)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부(4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모듈(431)은,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에 대한 상대 상하이동에 의하여 상기 평탄화위치(P4)에 위치된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에 안착된 이차전지(10)를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가압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가압모듈(431)은,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에 안착된 이차전지(10)의 상면을 면가압하도록 가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두께측정부(432)는, 상기 가압모듈(431)에 의하여 가압된 후의 이차전지(10)의 두께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두께측정부(432)는, 평면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의 꼭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 및 상기 가압모듈(43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평탄화모듈(430)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의 이차전지(10)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화모듈(430)은, 미리 설정된 가압하중에 의하여 이차전지(10)를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탄화모듈(430)은, 제1스테이지부(420)의 제2수수위치(P3) 및 평탄화위치(P4) 사이에서 이동되는 구성을 제외하면 특허문헌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탄화모듈(430)은, 특허문헌 2와 같이, 상기 이차전지(10)를 가압한 상태에서 전극리드탭(19) 및 파우치(11)의 금속부분과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이차전지(10)의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평탄화모듈(430)은,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에 안착된 이차전지(10)의 전극리드탭(19) 및 파우치(11)의 금속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단자들을 구비하고, 전극리드탭(19) 및 파우치(11)의 금속층에 각 접속단자를 접촉시켜 절연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이차전지(10)의 절연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탄화모듈(430)에 의하여 측정된 절연저항이 미리 결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절연저항불량으로 판정하고 후속하는 리크검사를 생략하여, 전체 검사절차를 줄여 검사효율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수수위치(P3)는,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수수하기 위하여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가 위치되는 위치로서, 이차전치(10)의 수수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탄화위치(P4)는, 평탄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가 위치되는 위치로서, 앞서 설명한 평탄화모듈(430)가 설치된 위치로 설정된다.
한편,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에 대한 이차전지(10)의 수수과정 및 상기 평탄화모듈(430)에 의한 평탄화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수위치(P3)가 상기 평탄화위치(P4)를 기준으로 X축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 한 쌍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는, 상기 평탄화위치(P4)를 교번하여 이동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수수위치(P3)가 상기 평탄화위치(P4)를 기준으로 X축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 한 쌍으로 설정되면,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에 대한 이차전지(10)의 수수과정 및 상기 평탄화모듈(430)에 의한 평탄화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 또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한 쌍의 제1스테이지부(420)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과 이차전지(10) 수수하는 동안, 나머지 하나의 제1스테이지부(420)는, 평탄화위치(P4)에 위치되어 평탄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들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우측)의 제1스테이지부(420)는,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로부터 이차전지(10)를 전달받고, 평탄화모듈(430)에 의한 평탄화 후 후술하는 리크검사부(200)로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나머지 하나(예를 들면 좌측)의 제1스테이지부(420)는, 리크검사부(200)에 의한 리크검사를 마친 이차전지(10)를 전달받아 평탄화모듈(430)에 의한 평탄화 후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로 이차전지(10)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리크검사부(200)는, 상기 로딩부(100)로부터 이차전지(10)를 공급받아 제1압력하의 이차전지(10)의 제1두께와, 상기 제1압력보다 작은 제2압력하의 이차전지(10)의 제2두께를 측정하고 상기 제1두께 및 상기 제2두께의 편차에 따라 이차전지(10)의 리크를 검사하는 구성으로서, 리크검사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리크검사부(200)는, 특허문헌 1의 리크검사부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리크검사부(200)는, 상기 리크검사위치(P6)에 위치된 제2스테이지부(440)에 대한 상대 상하이동에 의하여 압력변환을 위한 밀폐된 검사공간(S)을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와 함께 형성하며 상기 이차전지(10)의 상면이 상측으로 노출시키도록 투명창(212)이 구비된 챔버본체(210)와; 상기 챔버본체(2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창(212)를 통하여 상기 이차전지(10)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본체(210)는, 상기 리크검사위치(P6)에 위치된 제2스테이지부(440)에 대한 상대 상하이동에 의하여 압력변환을 위한 밀폐된 검사공간(S)을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와 함께 형성하며 상기 이차전지(10)의 상면이 상측으로 노출시키도록 투명창(212)이 구비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챔버본체(210)는, 압력변환 효율을 위하여 상기 이차전지(10)의 두께변화 측정가능한 수준의 내부부피를 가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에 대한 상대 상하이동하도록 하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본체(210)는, 제1압력 및 제2압력 사이에서 압력이 변화되도록 배기관(미도시)에 의하여 진공펌프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챔버본체(210)는, 리크검사시 이차전지(10)에서 누출될 수 있는 전해가스 등의 성분을 고려하여, 냄새센서 등 특정 물질의 측정이 가능한 누설센서가 상기 배기관의 경로상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두께측정부(220) 및 제2스테이지부(440) 사이의 거리변화의 정밀성을 고려하여, 상기 챔버본체(210)가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에 대하여 상하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창(212)은, 상기 챔버본체(210)가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와 함께 밀폐된 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챔버본체(210)에 설치된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두께측정부(220)가 레이저를 이용하여 측정함을 고려하여 레이저빔이 투과가능한 유리재질, 석영재질 등 투명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챔버본체(210)의 하단 및/또는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 중 상기 챔버본체(210)의 하단과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공간(S)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오링(21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두께측정부(220)는, 챔버본체(2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창(212)를 통하여 상기 이차전지(10)의 두께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두께측정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두께측정부(220)는, 레이저빔의 조사 및 반사에 의하여 상기 제1스테이지부(440)에 안착된 상기 이차전지(10)의 상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이차전지(10)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두께측정부(220)는,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에 대한 제1거리를 알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이차전지(10)의 상면에 대한 제2거리를 측정하게 되며, 제1거리 및 제2거리의 차이가 이차전지(10)의 두께가 된다.
한편, 상기 제1압력 및 제2압력은, 이차전지(10)의 두께변화를 통하여 이차전지(10)의 리크를 검사함을 고려하여, 상기 제2압력은 제1압력보다 충분히 낮은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압력은, 압력변환의 효율을 고려하여 대기압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압력은, 상기 제1압력하에서 측정된 제1거리에 대한 제2거리의 편차가 리크검사에 충분할 정도의 제2거리가 형성되도록 충분한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거리의 측정에 있어서, 상기 제2거리의 측정시점은, 제1압력으로부터 제2압력으로 압력강하 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제2압력을 유지한 후 제2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압력하에서 이차전지(10)의 리크가 있는 경우 리크가 충분히 일어난 후 제2거리의 측정효과가 있는바, 상기 제2거리를 제2압력을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에 대한 이차전지(10)의 수수과정 및 상기 리크검사부(200)에 의하여 리크검사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이차전지(10)가 수평상태로 적재되며 상기 리크검사부(200)의 리크검사위치(P6)와,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와 이차전지(10)를 수수하는 제3수수위치(P5)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2스테이지부(44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3수수위치(P5)는,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수수하기 위하여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가 위치되는 위치로서, 이차전치(10)의 수수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크검사위치(P6)는, 리크검사부(200)에 의하여 리크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2스테이지부(420)가 위치되는 위치로서, 앞서 설명한 리크검사부(200)가 설치된 위치로 설정된다.
한편,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에 대한 이차전지(10)의 수수과정 및 상기 리크검사부(200)에 의하여 리크검사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3수수위치(P5)가 상기 리크검사위치(P6)를 기준으로 X축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 한 쌍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는, 상기 리크검사위치(P6)를 교번하여 이동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3수수위치(P5)가 상기 리크검사위치(P6)를 기준으로 X축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 한 쌍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에 대한 이차전지(10)의 수수과정 및 상기 리크검사부(200)에 의한 평탄화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 또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한 쌍의 제1스테이지부(440)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에 대하여 이차전지(10) 수수하는 동안, 나머지 하나의 제2스테이지부(440)는, 리크검사위치(P6)에 위치되어 평탄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들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우측)의 제2스테이지부(44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수수위치(P5)에서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로부터 이차전지(10)를 전달받고, 이때 나머지 하나(예를 들면 좌측)의 제1스테이지부(42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크검사부(200)에 의하여 리크검사가 수행된다.
한편,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들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우측)의 제2스테이지부(440)는,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로부터 이차전지(10)를 전달받은 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크검사위치(P6)에서 리크검사부(200)에 의하여 리크검사를 받는다. 이때 나머지 하나(예를 들면 좌측)의 제1스테이지부(420)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제1스테이지부(420)로 이차전지(10)가 전달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제1스테이지부(420)는, 리크검사위치(P6)를 중심으로 교번하여 왕복이동함으로써, 제3수수위치(P5)에서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로부터 이차전지(10)를 전달받고, 리크검사위치(P6)에서 리크검사를 받은 후 좌측 또는 우측의 제3수수위치(P5)로 이동되어 제2스테이지부(420)로 이차전지가 전달된다.
한편, 상기 리크검사 후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아 안착된 이차전지(10)는, 제1스테이지부(420)에 거치지 않고 이차전지이송모듈(410)로 바로 전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는, 한 쌍으로 설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하나로만 구성되어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는 좌측의 제2수수위치(P3)에서 평탄화위치(P4)를 거쳐 우측의 제2수수위치(P3)까지 이동된 후 다시 좌측의 제2수수위치(P3)로 이동되어 순환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는, 한 쌍으로 설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하나로만 구성되어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는 좌측의 제3수수위치(P5)에서 리크검사위치(P6)를 거쳐 우측의 제3수수위치(P5)까지 이동된 후 다시 좌측의 제3수수위치(P5)로 이동되어 순환이동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이차전지 11 : 파우치
100 : 로딩부 200 : 리크검사부
300 : 언로딩부

Claims (13)

  1. 제1전극시트(13) 및 제2전극시트(14)가 서로 번갈아가면서 적층되며 상기 제1전극시트(13) 및 제2전극시트(14) 사이에 분리막(12)이 위치되는 이차전지셀(20)과, 전해액에 함침된 이차전지셀(20)을 밀봉하는 파우치(11)를 포함하며 판형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10)의 전해액 리크를 검사하는 리크검사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이차전지(10)들이 수직으로 적재된 로딩용 트레이(30)가 위치되는 로딩부(100)와;
    상기 로딩부(100)로부터 이차전지(10)를 공급받아 제1압력하의 이차전지(10)의 제1두께와, 상기 제1압력보다 작은 제2압력하의 이차전지(10)의 제2두께를 측정하고 상기 제1두께 및 상기 제2두께의 편차에 따라 이차전지(10)의 리크를 검사하는 리크검사부(200)와;
    상기 리크검사부(200)에서 검사를 마친 이차전지(10)를 상기 리크검사부(200)로부터 전달받아 수직으로 적재되는 언로딩용 트레이(30)가 위치되는 언로딩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100) 및 상기 언로딩부(200)는, 하나의 트레이모듈(10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모듈(1000)은,
    트레이(30)가 위치되는 트레이안착공간이 하나 이상의 설정되며,
    각 트레이안착공간에 위치된 트레이(30)는, 리크검사가 수행될 이차전지(10)가 픽업된 빈공간에 리크검사를 마친 이차전지(10)가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모듈(1000) 및 상기 리크검사부(200)가 배치된 X축방향과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어, 리크검사가 수행될 이차전지(10)를 상기 리크검사부(200)에 전달하고, 리크검사를 마친 이차전지(10)를 상기 리크검사부(200)로부터 상기 트레이모듈(1000)의 트레이(30)로 전달하는 이차전지이송모듈(4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은,
    이차전지(10)를 고정지지하는 전지지지부(411)와,
    상기 트레이모듈(100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수수(授受)하는 제1수수위치(P1)와, 상기 리크검사부(20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수수하는 전달위치(P2) 사이에서 상기 전지지지부(411)를 X축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는 선형이동부(4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지지지부(411)는, 상기 트레이모듈(1000)와, 제1이송툴(510)에 의하여 이차전지(10)를 수직상태로 전달받거나 전달하며,
    상기 전지지지부(411)는, 상기 제1이송툴(510)에 의하여 이차전지(10)를 수직상태로 전달받은 후 지지된 이차전지(10)를 수평상태로 회전시키며,
    상기 전지지지부(411)는, 상기 제1이송툴(510)에 의하여 이차전지(10)가 픽업되기 전에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 및 상기 리크검사부(200) 사이에는,
    상기 리크검사부(200)의 리크검사 전에 이차전지(10)를 수평상태에서 가압하여 평탄화하는 평탄화모듈(4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이차전지(10)가 수평상태로 안착되며 상기 평탄화모듈(430)에 의하여 평탄화하는 평탄화위치(P4)와, 상기 이차전지이송모듈(410)에 대하여 이차전지(10)를 수수하는 제2수수위치(P3)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1스테이지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모듈(430)은,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에 대한 상대 상하이동에 의하여 상기 평탄화위치(P4)에 위치된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에 안착된 이차전지(10)를 가압하는 가압모듈(431)과;
    상기 가압모듈(431)에 의하여 가압된 후의 이차전지(10)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수수위치(P3)는, 상기 평탄화위치(P4)를 기준으로 X축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 한 쌍으로 설정되며,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는, 상기 평탄화위치(P4)를 교번하여 이동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이차전지(10)가 수평상태로 적재되며 상기 리크검사부(200)의 리크검사위치(P6)와, 상기 제1스테이지부(420)와 이차전지(10)를 수수하는 제3수수위치(P5)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2스테이지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리크검사부(200)는,
    상기 리크검사위치(P6)에 위치된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에 대한 상대 상하이동에 의하여 압력변환을 위한 밀폐된 검사공간(S)을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와 함께 형성하며 상기 이차전지(10)의 상면이 상측으로 노출시키도록 투명창(212)이 구비된 챔버본체(210)와;
    상기 챔버본체(2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창(212)를 통하여 상기 이차전지(10)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3수수위치(P5)는, 상기 리크검사위치(P6)를 기준으로 X축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 한 쌍으로 설정되며,
    상기 제2스테이지부(440)는, 상기 리크검사위치(P6)를 교번하여 이동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KR1020220074390A 2022-06-17 2022-06-17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KR20230173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390A KR20230173521A (ko) 2022-06-17 2022-06-17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390A KR20230173521A (ko) 2022-06-17 2022-06-17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521A true KR20230173521A (ko) 2023-12-27

Family

ID=8937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390A KR20230173521A (ko) 2022-06-17 2022-06-17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5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9409B2 (en) Sealed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00118991A (ko) 이차전지셀의 디가스시스템
KR20180111122A (ko) 이차전지의 리크검사시스템
KR102602205B1 (ko) 이차전지셀 디가스시스템
KR101810659B1 (ko)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의 전극단자 용접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용접 방법
KR20200118992A (ko) 이차전지셀의 디가스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가스시스템
KR102586807B1 (ko) 전해질 주입장치 및 전해액 주입방법
US20200144589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ack of sheet-shaped electrodes
KR20200059615A (ko) 이차전지셀 파우치성형모듈
KR20200062642A (ko) 연료전지 스택용 분리판 검사장치
KR20160143242A (ko) 전극단자 용접 장치
US10910664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ack of sheet-shaped electrodes
KR102638743B1 (ko) 전극탭 재단장치
HU231404B1 (hu) Berendezés és eljárás kupak elrendezések több típusának gyártására másodlagos elemekhez
KR20200059614A (ko) 전극/분리막조립체 로딩장치 및 로딩방법
KR20200059617A (ko) 이차전지셀의 절연저항측정장치
KR20230173521A (ko) 이차전지 리크검사시스템
KR102665857B1 (ko) 이차전지셀을 위한 셀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셀트레이
KR102661477B1 (ko) 이차전지셀을 위한 셀적재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주입장치
KR102595603B1 (ko) 전해질주입장치
KR101891892B1 (ko) 캡플레이트 반제품의 제조장치
KR101094028B1 (ko) 팩형 리튬 이차전지의 외장케이스 미융착 검사장치
KR20200059560A (ko) 이차전지셀 롤링모듈
JP2020077491A (ja) 電池製造装置
KR102518668B1 (ko) 이차전지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셀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