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458A -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 - Google Patents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458A
KR20230173458A KR1020220074249A KR20220074249A KR20230173458A KR 20230173458 A KR20230173458 A KR 20230173458A KR 1020220074249 A KR1020220074249 A KR 1020220074249A KR 20220074249 A KR20220074249 A KR 20220074249A KR 20230173458 A KR20230173458 A KR 20230173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guard
protective sheet
magnet
shee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배
Original Assignee
박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배 filed Critical 박정배
Priority to KR1020220074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458A/ko
Publication of KR20230173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45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extending primarily along the sides of, or completely encircl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된 차량의 측면에 부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차량 측면을 보호하는 도어가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드는 차량의 측면에 배치되어, 주정차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차량을 보호하는 도어가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호시트부(10); 및 상기 보호시트부(10)가 내측으로 접히도록 구비되는 접힘부(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 {Attached door guard to prevent stamping }
본 발명은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된 차량의 측면에 부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차량 측면을 보호하는 도어가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가드는 차량이 차 문의 모서리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하려고 차량의 도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외부충격으로부터 차 문을 보호하고, 자신의 차뿐만 아니라, 주변 다른 차의 긁힘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차량의 크기와 디자인에 따라 차량의 문의 디자인이 다르게 제작되므로, 도어 단부에 부착식의 도어가드를 설치하여도 외부의 차량의 문에 의해 주차된 차량의 측면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40585호‘차량 가림 장치’에서는 차량의 측면을 가려 문콕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차량 가림 장치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이동이 불편하고, 설치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0585호 (2019.01.15.)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측면에 부착되어 문콕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며,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운반이 용이한 도어가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드는 차량의 측면에 배치되어, 주정차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차량을 보호하는 도어가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호시트부(10); 및 상기 보호시트부(10)가 내측으로 접히도록 구비되는 접힘부(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보호시트부(10)는, 상기 차량의 측면에 밀착되는 면을 형성하는 내피(11)와, 상기 내피(11) 위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자석(12)과, 상기 자석(12) 위에 배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차량과 상기 자석(12)을 보호하는 쿠션층(13)과, 상기 쿠션층(13) 위에 배치되며, 외주면이 상기 내피(11)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외피(14)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자석(12)은, 상기 접힘부(20)에 의해 길이가 등분되어 상기 보호시트부(10)가 용이하게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12)은, 상기 보호시트부(1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서로 반대되는 극성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보호시트부(10)는, 일측에 상기 차량의 문을 개폐하는 손잡이에 삽입되는 지지부재(22)가 구비되어 상기 보호시트부(10)가 하방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시트부(10)는,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붙임부재(24)를 구비하여 상기 차량 측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보호시트부(10)가 하방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는 차량의 측면에 부착되어 문콕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며,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의 지지부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의 붙임부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측면에 배치되어, 주정차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차량을 보호하는 본 발명의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는 크게 보호시트부(10) 및 접힘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보호시트부(10)는 차량의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보호시트부(10)는 상기 차량의 측면에 밀착되는 면을 형성하는 내피(11)와, 상기 내피(11) 위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자석(12)과, 상기 자석(12) 위에 배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차량과 상기 자석(12)을 보호하는 쿠션층(13)과, 상기 쿠션층(13) 위에 배치되며, 외주면이 상기 내피(11)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외피(14)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의 측면에 부착된다.
이때, 외피(14)는 방수 코팅 처리된 레자, 가죽, 인조가죽 등 그 면이 유동적으로 굽어질 수 있는 재질로 두께는 2mm 내지 5mm로 구비되며, 쿠션층(13)은 PE폼, PE발포지와 같이 플라스틱 재료에 발포제를 혼합하여 성형 가공함으로써 작은 기포가 균일하게 분포한 가공폼, 즉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 염화비닐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두께는 8mm 내지 12mm 이내로 구비한다.
다만, 쿠션층(31)의 두께가 8mm 보다 얇은 경우는 차량을 보호하는 성능이 낮아지고, 12mm 보다 두꺼운 경우는 도어가드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져 이동하는데 볼편함이 있었으므로 두께를 8mm 내지 12mm로 하였으나 이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내피(11)는 자석(12)의 자속을 차단하지 않도록 외피보다 얇은 2mm이내의 두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외피(14)보다 연한 재질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보호시트부(10) 내부에 구비되는 자석(12)은 연성이 있는 재질의 고무자석으로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파손되지 않고,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일부 흡수하며, 보호시트부(10)가 접힘부(20)를 따라 접혀질 때, 같이 접힐 수 있게 구비될 수 있으고, 접힘부(20)에 대응하는 길이로 등분되어 상기 보호시트부(10)가 용이하게 접힐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호시트부(10)는 길이가 170cm 내지 180cm이고 폭은 20cm 내지 30cm이며, 이를 5등분으로 나눌 때, 자석(12)은 접힘부(20)를 고려하여 25cm 내지 30cm의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자석(12)은 보호시트부(10)가 접힘부(20)를 따라 접힐 때, 자석(12)이 접히지 않는 길이로 구비되며, 자석(12)과 자석(12)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여 보호시트부(10)가 안정적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자석(12)은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자석(12)과 자석(12) 사이에 공간이 구비되어, 부착되는 차량 측면의 굴곡면에도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어가드는 부착되는 차량 측면의 굴곡면에 부착되되 보호시트부(10)가 차량의 측면에 대응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와 외부에 주차되는 차량의 도어 디자인에 관계없이 차량의 문콕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석(12)은 접힘부(20)와 접힘부(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길이 30cm, 폭 3cm의 판의 형으로 두께가 2mm인 고무자석으로, 길이방향으로 5개의 자석(12)이 두 줄로 나란하게 구비되었으나 자석(12)폭과 길이 및 수량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디자인과 크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며, 필요한 자성에 따라 자석(12)의 두께 또한 유동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다만, 자석(12)의 두께가 2mm보다 얇은 경우는 고무자석의 특성상 차량에 가해지는 자력이 약해지므로 도어가드가 차량 측면에 부착되는 힘이 부족하였고, 3mm보다 두꺼운 경우는 도어가드의 중량이 무거워져 이동에 불편함이 발생하였으므로 자석(12)의 두께를 2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전술한 외피(14), 쿠션층(13),자석(12) 및 내피(11)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외피(14)와 내피(11)의 외곽 둘레가 서로 봉합(21)되어 내부의 쿠션층(13)과 자석(12)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자석(12)은 접착제, 양면테이프 등으로 부착되거나 자석(12) 하부를 길이방향으로 봉합하여 자석(12)이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도어가드는 보호시트부(10)를 접힘부(20)를 따라 접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되는 자석의 극성을 서로 다르게 배치하 보호시트부(1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가드의 정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여, 보호시트부(10)가 접히며 마주보는 자석(12)의 극성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하여 자석(12)이 서로 붙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의 지지부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의 붙임부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시트부(10)는 차량의 문을 개폐하는 손잡이에 삽입되는 지지부재(22)를 포함하여 보호시트부(10)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하여, 일반적으로 여름과 같이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자석(12)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으므로, 내피(11)에 설치되는 지지부재(22)를 통하여 도어가드가 미끄러지지 않고 차량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지지부재(22)는 차량의 문틈(미도시) 또는 손잡이(미도시)의 틈 사이로 일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판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창틀에 일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부(20)에 의해 등분된 보호시트부(10)의 상부 일측 각각에 붙임부재(24)를 구비하여 보호시트부(10)가 하방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하여, 붙임부재(24)는 사용자가 붙이고 때는 것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도록 빨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붙임부재(24)의 빨판 부분은 차량의 창문, 또는 차량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고, 빨판의 반대 부분은 보호시트부(10)를 관통하는 끈과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보호시트부
11: 내피 12: 자석
13: 쿠션층 14: 외피
20: 접힘부
21: 봉합 22: 지지부재
24: 붙임부재

Claims (6)

  1. 차량의 측면에 배치되어, 주정차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차량을 보호하는 도어가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호시트부(10); 및
    상기 보호시트부(10)가 내측으로 접히도록 구비되는 접힘부(20);를 포함하는 도어가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부(10)는,
    상기 차량의 측면에 밀착되는 면을 형성하는 내피(11)와,
    상기 내피(11) 위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자석(12)과,
    상기 자석(12) 위에 배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차량과 상기 자석(12)을 보호하는 쿠션층(13)과,
    상기 쿠션층(13) 위에 배치되며, 외주면이 상기 내피(11)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외피(14)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가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12)은,
    상기 접힘부(20)에 대응하는 길이로 등분되어 상기 보호시트부(10)가 용이하게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가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12)은,
    상기 보호시트부(1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서로 반대되는 극성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가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부(10)는,
    일측에 상기 차량의 문을 개폐하는 손잡이에 삽입되는 지지부재(22)가 구비되어 상기 보호시트부(10)가 하방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가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부(10)는,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붙임부재(24)를 구비하여 상기 보호시트부(10)가 하방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가드.
KR1020220074249A 2022-06-17 2022-06-17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 KR20230173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249A KR20230173458A (ko) 2022-06-17 2022-06-17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249A KR20230173458A (ko) 2022-06-17 2022-06-17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458A true KR20230173458A (ko) 2023-12-27

Family

ID=89377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249A KR20230173458A (ko) 2022-06-17 2022-06-17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4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585B1 (ko) 2017-11-14 2019-01-2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가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585B1 (ko) 2017-11-14 2019-01-2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가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7536B1 (en) Vehicle window screen
US20090101075A1 (en) Cover for a pet carrier
US6354245B1 (en) Inflatable pet cage
US20090151827A1 (en) Removable protective cover door guard
US20170144614A1 (en) Vehicle rear surface protector
US20130334845A1 (en) Multi-functional car seat gap filling device
US9827921B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tecting vehicle cargo areas
ES2702295T3 (es) Un dispositivo de compartimentación, portátil preparado para colisiones
US20110067310A1 (en) Garage door storage device
CN106494316B (zh) 轻质低成本拉伸负载罩盖
KR20230173458A (ko) 문콕 방지용 부착형 도어가드
US20030085585A1 (en) Tonneau cover with concealed storage compartment
KR20140115142A (ko) 골프 백
US20150307016A1 (en) Folding Divider Device
US6401889B1 (en) Luggage lock covering device
US20160031384A1 (en) Motor vehicle with a storage bag for a bicycle
US6551690B2 (en) Window stabilizing device
US7216763B2 (en) Impact protection system for carrying case
KR20190050218A (ko) 트럭 적재함용 사이드 게이트 구조체
ES2491740T3 (es) Conjunto de bastidor y carril de guía, bandeja de estantería y refrigerador
KR101682173B1 (ko) 엘리베이터 내벽 보호 패드
US11260807B2 (en) Vehicle door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070119890A1 (en) Storage device
JP4379714B2 (ja)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ES2628338T3 (es) Embalaje para un producto a transport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