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951A - 전안부 안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전안부 안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951A
KR20230172951A KR1020220073744A KR20220073744A KR20230172951A KR 20230172951 A KR20230172951 A KR 20230172951A KR 1020220073744 A KR1020220073744 A KR 1020220073744A KR 20220073744 A KR20220073744 A KR 20220073744A KR 20230172951 A KR20230172951 A KR 20230172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fixing
support part
anterior segmen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경선
박선경
황규덕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73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951A/ko
Priority to PCT/KR2023/002767 priority patent/WO2023243808A1/ko
Publication of KR20230172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81Apparatus for modifying intraocular pressure, e.g. for glaucom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평행하도록 지지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다수의 고정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멤브레인부 및 다수의 고정부재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고 안구의 전안부에 고정되는 탈착부를 포함하고, 다수의 고정부재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펴짐에 따라 다수의 멤브레인이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됨으로써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항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안부 안정화장치{An anterior segment stabi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전안부 안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되는 멤브레인부를 통해 유리체 절제술 및 각막이식 등 안과적인 수술 또는 각막 열상등 안구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서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 발생하는 전안부 구조물(홍채, 수정체 등)의 불안정한 상태 및 이에 의한 유리체 탈출에 대항하는 수직항력을 제공하는 수직항력을 제공함에 따라 전안부 구조물을 안정화시키는 전안부 안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막이식술은 선명한 중심각막 및 시축확림, 굴절이상 최소화, 눈의 구조유지, 통증완화 및 감염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수술 중 수용각막을 절제하여 안구가 개방상태(open sky)가 되면 눈 속의 압력에 의해 수정체, 유리체가 탈출하고 맥락막축출출혈이 되어 수술 중 실명의 사유가 될 수 있다.
맥락막축출출혈은 고연령, 근시, 녹내장, 염증, 저안압, 과거 외상병력 등의 위험인자자를 가지며, 수용각막을 원형으로 절제할 때 방수가 유출되고 안내 압력이 급격하게 감소하면서 축출성출혈의 발생이 생길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술전 약물 혹은 물리적 압박으로 안압을 조절하며, 수술중에는 공막을 지지하는 원형의 공막고정고리를 이용하여 눈이 개방하면 나타날 수 있는 공막 함몰에 의해 수정체나 유리체가 앞쪽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예방하기도 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방법들은 후방부의 유리체 및 수정체 탈출을 근본적으로 막아줄 수는 없으며, 공막고리는 수술부위를 좁게 하여 수술범위를 제한하고, 난시를 일으킬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유리체가 전안부쪽으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후방부에 머물러 있게 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837031호(2018.03.05.)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부의 동작에 의해 고정부에 부착된 멤브레인부가 펴지면서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됨에 따라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유리체압에 대항하는 수직항력(down force)을 제공하여 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환자의 안구 병변이 더 이상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구와 관련된 수술 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구가 손상되어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응급상황의 경우, 멤브레인부를 안구의 병변위치에 펼침으로써 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지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평행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멤브레인부; 및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안구의 전안부에 고정되는 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펴짐에 따라 상기 다수의 멤브레인이 상기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됨으로써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항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세로지지부 및 상기 세로지지부와 수직하도록 결합되는 가로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평행하도록 상기 세로지지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 중 상기 가로지지부와 인접한 고정부재와 상기 가로지지부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멤브레인부; 및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안구의 전안부에 고정되는 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펴짐에 따라 상기 다수의 멤브레인이 상기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됨으로써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항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지부;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멤브레인부;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직선왕복운동하는 푸쉬부; 및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안구의 전안부에 고정되는 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에 의해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가 상기 지지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방사상으로 펴짐에 따라 상기 멤브레인부가 상기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됨으로써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항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재질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는 멤브레인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직선왕복운동하는 푸쉬부; 상기 고정부 상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안구의 전안부에 고정되는 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에 의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지지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원형을 이루도록 펴짐에 따라 상기 멤브레인부가 상기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됨으로써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항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부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부는 실리콘(silico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안부에 포함된 각막의 지름이 12mm이고, 평균안압이 10mmHg 내지 21mmHg이며, 상기 멤브레인부에 작용되는 인장하중이 6N일 경우, 상기 수직항력은 1N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부의 두께는 1u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멤브레인은 부채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하방향으로 기립된 세로지지부이고, 상기 세로지지부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고정부재,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고정부재, 상기 제3 고정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고정부재 및 상기 제4 고정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고정부재이고, 상기 제1 내지 제5 고정부재와 상기 세로지지부는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멤브레인은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제1 멤브레인, 상기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3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제2 멤브레인, 상기 제3 고정부재와 상기 제4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제3 멤브레인 및 상기 제4 고정부재와 상기 제5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제4 멤브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하방향으로 기립된 세로지지부; 및 상기 세로지지부의 중앙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로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지지부 및 상기 세로지지부는 십자가 형상을 가지면서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는 상기 세로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세로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가로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세로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세로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고정부재, 상기 가로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세로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세로지지부와 수직하도록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고정부재 및 상기 제3 고정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세로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세로지지부와 수직하도록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고정부재이고, 상기 제1 내지 제4 고정부재, 상기 세로지지부 및 상기 가로지지부는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멤브레인은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제1 멤브레인, 상기 제2 고정부재와 상기 가로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 멤브레인, 상기 가로지지부와 상기 제3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제3 멤브레인 및 상기 제3 고정부재와 상기 제4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제4 멤브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세로지지부이고,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는 상기 세로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푸쉬부에 연결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세로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푸쉬부에 연결되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세로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푸쉬부에 연결되는 제3 고정부재이고, 상기 푸쉬부가 전방으로 직선운동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고정부재는 상기 세로지지부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방사상으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고정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고정부의 동작에 의해 고정부에 부착된 멤브레인부가 펴지면서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됨에 따라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유리체압에 대항하는 수직항력(down force)을 제공하여 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환자의 안구 병변이 더 이상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구와 관련된 수술 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수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안구가 손상되어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응급상황의 경우, 멤브레인부를 안구의 병변위치에 펼침으로써 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응급상황에서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3의 (a),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에 구비된 멤브레인부가 펴지기 전후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5 의 (a),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에 구비된 멤브레인부가 펴지기 전후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에 구비된 멤브레인부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8의 (a),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에 구비된 다수의 고정부재의 개수를 다르게 적용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에서 제공하는 수직항력(down force)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실리콘 박막의 인장 시험 결과로서 변형율(strain)에 따른 응력(stress)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수술 봉합사의 인장 및 매듭 보안 특성을 비교한 테이블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기술되는 본 발명은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에 적용되는 기술이다.
우선, 본 발명은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환자의 안구와 관련된 수술 시에 활용되고, 예시적으로 전층각막이식술에 적용된다.
다음, 본 발명은 안구의 손상으로 인하여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응급상황의 경우, 임시적으로 안구의 손상 위치에 본 발명의 멤브레인부를 펼쳐서 유리체압이 더 이상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1. 제1 실시예: 전안부 안정화장치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의 구성요소를 한번에 모두 도시한 것으로서, 어느 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100)는 지지부(110), 고정부(120), 멤브레인부(130) 및 탈착부(150)를 포함하고,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23, 124, 125)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펴짐에 따라 다수의 멤브레인(131, 132, 133, 134)이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됨으로써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항력(down force)이 제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110)는 상하방향으로 기립된 세로지지부(111)이다.
세로지지부(111)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로지지부(110)는 내부가 채워져 있는 환형의 회전체(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이거나 내부가 비어 있는 환형의 회전체(예를 들어,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세로지지부(11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과장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 세로지지부(110)의 길이는 마이크로미터 단위나 나노미터 단위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부(120)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평행하도록 지지부(110)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23, 124, 125)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23, 124, 125)는 제1 고정부재(121), 제2 고정부재(122), 제3 고정부재(123), 제4 고정부재(124) 및 제5 고정부재(125)이다.
제1 고정부재(121)는 지지부(110)의 외측면으로부터 지지부(110)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재(121)는 세로지지부(111)의 외측면으로부터 세로지지부(111)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타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고정부재(122)는 제1 고정부재(121)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지지부(110)의 외측면으로부터 지지부(110)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재(122)는 제1 고정부재(121)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세로지지부(111)의 외측면으로부터 세로지지부(111)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타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 고정부재(123)는 제2 고정부재(122)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지지부(110)의 외측면으로부터 지지부(110)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3 고정부재(123)는 제2 고정부재(122)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세로지지부(111)의 외측면으로부터 세로지지부(111)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타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제4 고정부재(124)는 제3 고정부재(123)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지지부(110)의 외측면으로부터 지지부(110)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4 고정부재(124)는 제3 고정부재(123)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세로지지부(111)의 외측면으로부터 세로지지부(111)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타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제5 고정부재(125)는 제4 고정부재(124)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지지부(110)의 외측면으로부터 지지부(110)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5 고정부재(125)는 제4 고정부재(124)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세로지지부(111)의 외측면으로부터 세로지지부(111)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타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1 내지 제5 고정부재(121, 122, 123, 124, 125)는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한 제1 내지 제5 고정부재(121, 122, 123, 124, 125)와 세로지지부(1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평면상에 위치한다.
멤브레인부(130)는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23, 124, 125)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멤브레인(131, 132, 133, 134)을 포함한다.
여기서, 멤브레인부(13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멤브레인부(130)는 실리콘(silico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다수의 멤브레인(131, 132, 133, 134)은 제1 멤브레인(131), 제2 멤브레인(132), 제3 멤브레인(133) 및 제4 멤브레인(134)이다.
제1 멤브레인(131)은 제1 고정부재(121)와 제2 고정부재(122)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제2 멤브레인(132)은 제2 고정부재(122)와 제3 고정부재(123)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제3 멤브레인(133)은 제3 고정부재(123)와 제4 고정부재(124)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제4 멤브레인(134)은 제4 고정부재(124)와 제5 고정부재(125)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제1 내지 제4 멤브레인(131, 132, 133, 134)이 펼쳐진 상태의 멤브레인부(130)의 직경은 9mm~13mm이며, 제1 내지 제4 멤브레인(131, 132, 133, 134)이 펼쳐진 상태의 멤브레인부(130)는 투명한 재질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한 이유는 안구의 손상된 병변 위치에서 제1 내지 제4 멤브레인(131, 132, 133, 134)을 펼칠 경우, 펼치는 과정에서 제1 내지 제5 고정부재(121, 122, 123, 124, 125)의 끝단이 안구의 내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직경의 멤브레인부(130)를 선택한다.
도 3의 (a),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에 구비된 멤브레인부가 펴지기 전후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의 (a)에는 고정부(120) 및 멤브레인부(130)이 펼쳐지기 전에 상부에서 내려다 본 모습이 도시된다.
전술한 다수의 멤브레인(131, 132, 133, 134)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내지 제4 멤브레인(131, 132, 133, 134)은 다수의 고정부재의 길이가 서로 다르거나 다수의 고정부재의 개수에 따른 다수의 고정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내지 제5 고정부재(121, 122, 123, 124, 125)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질 경우, 제1 내지 제4 멤브레인(131, 132, 133, 134)는 원형을 이루게 되어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된다.
탈착부(150)는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23, 124, 125)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고 안구의 전안부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탈착부(150)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내지 제5 고정부재(121, 122, 123, 124, 125) 중 세로지지부(111)와 대향하는 제1 내지 제5 고정부재(121, 122, 123, 124, 125)의 끝단에 탈착된다.
상기한 탈착부(150)는 제1 내지 제4 멤브레인(131, 132, 133, 134)가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될 시, 술자가 파지한 포셉을 통해 안구의 전안부에 고정됨에 따라 제1 내지 제4 멤브레인(131, 132, 133, 134)에서 제공되는 수직항력이 일정하도록 유지시킨다.
2. 제2 실시예: 전안부 안정화장치
이하,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100)는 지지부(110), 고정부(120), 멤브레인부(130) 및 탈착부(150)를 포함하고,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23, 124)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펴짐에 따라 다수의 멤브레인(131, 132, 133, 134)이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됨으로써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항력이 제공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110)는 세로지지부(111) 및 가로지지부(112)를 포함한다.
세로지지부(111)는 상하방향으로 기립된다.
상기한 세로지지부(111)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세로지지부(111)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를 참조하도록 한다.
가로지지부(112)는 세로지지부(111)와 수직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로지지부(112)는 세로지지부(111)의 중앙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가로지지부(112)는 세로지지부(111)와 같이 내부가 채워져 있는 환형의 회전체(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이거나 내부가 비어 있는 환형의 회전체(예를 들어,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전술한 가로지지부(111) 및 세로지지부(112)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120)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평행하도록 세로지지부(11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고정부(120)는 제1 고정부재(121), 제2 고정부재(122), 제3 고정부재(123) 및 제4 고정부재(124)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재(121)는 세로지지부(111)의 외측면으로부터 세로지지부(111)와 수직하도록 일측방향(도 4에서 좌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고정부재(122)는 제1 고정부재(121)와 가로지지부(112) 사이에 위치하면서 세로지지부(111)의 외측면으로부터 세로지지부(111)와 수직하도록 일측방향(도 4에서 좌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 고정부재(123)는 가로지지부(112)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세로지지부(111)의 외측면으로부터 세로지지부(111)와 수직하도록 타측방향(도 4에서 우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제4 고정부재(124)는 제3 고정부재(123)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세로지지부(111)의 외측면으로부터 세로지지부(111)와 수직하도록 타측방향(도 4에서 우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전술한 제1 내지 제4 고정부재(121, 122, 123, 124), 세로지지부(111) 및 가로지지부(1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평면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1, 2 고정부재(121, 122)는 제3, 4 고정부재(123, 124)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멤브레인부(130)는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23, 124)를 각각 연결하고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23, 124) 중 가로지지부(112)와 인접한 고정부재(122, 123)와 가로지지부(112)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멤브레인(131, 132, 133, 134)을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의 멤브레인(131, 132, 133, 134)은 제1 멤브레인(131), 제2 멤브레인(132), 제3 멤브레인(133) 및 제4 멤브레인(134)이다.
또한, 멤브레인부(13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멤브레인부(130)는 실리콘(silico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멤브레인(131)은 제1 고정부재(121)와 제2 고정부재(122)를 연결한다.
제2 멤브레인(132)은 제2 고정부재(122)와 가로지지부(112)를 연결한다.
제3 멤브레인(133)은 가로지지부(112)와 제3 고정부재(123)를 연결한다.
제4 멤브레인(134)은 제3 고정부재(123)와 제4 고정부재(124)를 연결한다.
상기한 제1 내지 제4 멤브레인(131, 132, 133, 134)이 펼쳐진 상태의 멤브레인부(130)의 직경은 9mm~13mm이며, 제1 내지 제4 멤브레인(131, 132, 133, 134)이 펼쳐진 상태의 멤브레인부(130)는 투명한 재질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한 이유는 안구의 손상된 병변 위치에서 제1 내지 제4 멤브레인(131, 132, 133, 134)을 펼칠 경우, 펼쳐지는 과정에서 제1 내지 제4 고정부재(121, 122, 123, 124)의 끝단이 안구의 내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직경의 멤브레인부(130)를 선택한다.
도 5 의 (a),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에 구비된 멤브레인부가 펴지기 전후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5의 (a)에는 고정부(120) 및 멤브레인부(130)이 펼쳐지기 전에 상부에서 내려다 본 모습이 도시된다.
전술한 다수의 멤브레인(131, 132, 133, 134)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내지 제4 멤브레인(131, 132, 133, 134)은 다수의 고정부재의 길이가 서로 다르거나 가로지지부(112)의 길이가 달라지거나 다수의 고정부재의 개수가 달라짐에 따른 다수의 고정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내지 제4 고정부재(121, 122, 123, 124)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질 경우, 제1 내지 제4 멤브레인(131, 132, 133, 134)는 원형을 이루게 되어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된다.
탈착부(150)는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23, 124, 125)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고 안구의 전안부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탈착부(150)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내지 제4 고정부재(121, 122, 123, 124) 중 세로지지부(111)와 대향하는 제1 내지 제4 고정부재(121, 122, 123, 124)의 끝단에 탈착된다.
상기한 탈착부(150)는 제1 내지 제4 멤브레인(131, 132, 133, 134)가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될 시, 술자가 파지한 포셉을 통해 안구의 전안부에 고정됨에 따라 제1 내지 제4 멤브레인(131, 132, 133, 134)에서 제공되는 수직항력이 일정하도록 유지시킨다.
3. 제3 실시예: 전안부 안정화장치
이하, 도 1,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에 구비된 멤브레인부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100)는 지지부(110), 고정부(120), 멤브레인부(130), 푸쉬부(140) 및 탈착부(150)를 포함하고, 푸쉬부(140)에 의해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23)가 지지부(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방사상으로 펴짐에 따라 멤브레인부(130)가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됨으로써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항력이 제공된다.
지지부(11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세로지지부(111)이다.
상기한 세로지지부(111)는 제1, 2 실시예에서 설명된 세로지지부(111)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를 참고하도록 한다.
고정부(120)는 지지부(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23)는 제1 고정부재(121), 제2 고정부재(122) 및 제3 고정부재(123)이다.
제1 고정부재(121)는 세로지지부(111)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푸쉬부(14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재(121)의 하부는 푸쉬부(140)에 연결(예를 들어, 힌지, 링크 등을 이용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된다.
또한, 제1 고정부재(121)는 외부로 노출된 후 제2 고정부재(12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고정부재(122)와 예각을 이룬 상태에서 멤브레인부(130)의 일면에 부착된다.
제2 고정부재(122)는 세로지지부(111)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푸쉬부(14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재(122)의 하부는 제1 고정부재(121)의 하부와 함께 푸쉬부(140)에 연결(예를 들어, 힌지, 링크 등을 이용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된다.
또한, 제2 고정부재(122)는 외부로 노출된 후 세로지지부(111)와 동일직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멤브레인부(130)의 일면에 부착된다.
제3 고정부재(123)는 세로지지부(111)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푸쉬부(14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3 고정부재(123)의 하부는 제1 고정부재(121)의 하부 및 제2 고정부재(122)와 함께 푸쉬부(140)에 연결(예를 들어, 힌지, 링크 등을 이용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된다.
또한, 제3 고정부재(123)는 외부로 노출된 후 제2 고정부재(12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고정부재(122)와 예각을 이룬 상태에서 멤브레인부(130)의 일면에 부착된다.
이에 따른 제1 내지 제3 고정부재(123)는 푸쉬부(140)에 연결됨에 따라 푸쉬부(14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운동할 시, 함께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푸쉬부(140)가 전방으로 직선운동하면, 제1 내지 제3 고정부재(121, 122, 123)는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세로지지부(111)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방사상으로 펴지게 된다(도 7 참조).
도 8의 (a),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에 구비된 다수의 고정부재의 개수를 다르게 적용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한편, 변형예로서, 고정부(12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재(121) 및 제2 고정부재(122)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다른 변형예로서, 고정부(12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재(121), 제2 고정부재(122), 제3 고정부재(123), 제4 고정부재(124) 및 제5 고정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2가지 변형예에서 고정부(120)와 푸쉬부(140)의 연결관계, 고정부(120)와 멤브레인부(130)의 결합관계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멤브레인부(130)는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3)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다.
또한, 멤브레인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멤브레인부(130)는 실리콘(silico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멤브레인부(13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 내지 제3 고정부재(121, 122, 123)에 부착된다.
푸쉬부(140)는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23)의 끝단에 연결되도록 지지부(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직선왕복운동한다.
구체적으로 푸쉬부(140)는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23)와 연결되면서 적어도 일부가 지지부(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술자는 각각 세로지지부(111)와 푸쉬부(140)를 파지한 상태에서 푸쉬부(14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23)를 펼치거나 세로지지부(111)의 내부로 위치시킨다.
탈착부(150)는 다수의 고정부재(121, 122, 123)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고 안구의 전안부에 고정된다.
이를 위한 탈착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4. 제4 실시예: 전안부 안정화장치
이하, 도 1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100)는 지지부(110), 고정부(120), 멤브레인부(130), 푸쉬부(140) 및 탈착부(150)를 포함하고, 푸쉬부(140)에 의해 고정부(120)가 지지부(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원형을 이루도록 펴짐에 따라 멤브레인부(130)가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됨으로써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항력이 제공된다.
지지부(11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세로지지부(111)이다.
상기한 세로지지부(111)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세로지지부(111)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를 참고하도록 한다.
고정부(120)는 지지부(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120)는 전방으로 직선운동하는 푸쉬부(140)에 의해 세로지지부(111)의 외부로 노출될 시 원형에 가깝게 펴진다.
한편, 고정부(120)는 후방으로 직선운동하는 푸쉬부(140)에 의해 세로지지부(111)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가한 동작은 고정부(120)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기에 가능하다.
멤브레인부(130)는 고정부(120)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멤브레인부(130)는 원형의 박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0)에 부착됨에 따라 고정부(120)의 동작에 의해 펴지거나 접히게 된다.
푸쉬부(140)는 고정부(120)에 연결되도록 지지부(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직선왕복운동한다.
구체적으로 푸쉬부(140)의 일측부는 고정부(120)에 연결되고, 푸쉬부(140)의 타측부는 세로지지부(1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술자는 푸쉬부(140)의 타측부를 파지한 상태로 푸쉬부(14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운동시켜 멤브레인부(130)를 펴거나 접을 수 있다.
탈착부(150)는 고정부(120) 상에 탈착 가능하고 안구의 전안부에 고정된다.
즉, 탈착부(150)는 다수 개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의 탈착부(15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안부 안정화장치에서 제공하는 수직항력(down force)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수직항력(down force)를 연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전제조건은 정상안압(Normal Intraocular pressure)이 10mmg 내지 21mmg이고, 각막의 지름(Cornea diameter)이 12mm이며, 각막의 반지름은 6mm이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필요한 인장하중(F1)과 수직항력(F2)을 길이에 대한 비례식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비례식]
필요한 인장하중(F1) : 수직항력(F2) = 6.083 : 1mm
위의 [비례식]을 통해 수직항력(F2)은 필요한 인장하중(F1)의 약 6배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수직항력(F2)이 1N(P=800Pa)일 경우, 필요한 인장하중(F1)은 6N이 된다.
도 11은 실리콘 박막의 인장 시험 결과로서 변형율(strain)에 따른 응력(stress)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수술 봉합사의 인장 및 매듭 보안 특성을 비교한 테이블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실크의 최대 인장하중은 10N으로 필요한 인장하중(F1=6N)보다 크므로 제공하고자 하는 수직항력(F2=1N)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실크의 두께는 1um이므로 멤브레인부(130)의 두께는 1um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리하면, 전안부에 포함된 각막의 지름이 12mm이고, 평균안압이 10mmHg 내지 21mmHg이며, 멤브레인부(130)에 작용되는 인장하중(F1)이 6N일 경우, 수직항력(F2)은 1N이다.
또한, 멤브레인부의 두께는 1u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안부 안정화장치
110: 지지부
111: 세로지지부
112: 가로지지부
120: 고정부
121: 제1 고정부재
122: 제2 고정부재
123: 제3 고정부재
124: 제4 고정부재
125: 제5 고정부재
130: 멤브레인부
131: 제1 멤브레인
132: 제2 멤브레인
133: 제3 멤브레인
134: 제4 멤브레인
140: 푸쉬부
150: 탈착부

Claims (18)

  1. 지지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평행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멤브레인부; 및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안구의 전안부에 고정되는 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펴짐에 따라 상기 다수의 멤브레인이 상기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됨으로써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항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안부 안정화장치.
  2. 세로지지부 및 상기 세로지지부와 수직하도록 결합되는 가로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평행하도록 상기 세로지지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 중 상기 가로지지부와 인접한 고정부재와 상기 가로지지부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멤브레인부; 및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안구의 전안부에 고정되는 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펴짐에 따라 상기 다수의 멤브레인이 상기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됨으로써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항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안부 안정화장치.
  3. 지지부;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멤브레인부;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직선왕복운동하는 푸쉬부; 및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안구의 전안부에 고정되는 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에 의해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가 상기 지지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방사상으로 펴짐에 따라 상기 멤브레인부가 상기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됨으로써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항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안부 안정화장치.
  4.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재질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는 멤브레인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직선왕복운동하는 푸쉬부;
    상기 고정부 상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안구의 전안부에 고정되는 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에 의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지지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원형을 이루도록 펴짐에 따라 상기 멤브레인부가 상기 안구의 전안부에 밀착됨으로써 전안부(anterior segment)의 압력이 후안부(posterior segment)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전안부 전방(anterior chamber) 압력이 후안부 또는 전안부 후방(posterior chamber)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유리체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항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안부 안정화장치.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부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부 안정화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부는 실리콘(silico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부 안정화장치.
  7.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안부에 포함된 각막의 지름이 12mm이고, 평균안압이 10mmHg 내지 21mmHg이며, 상기 멤브레인부에 작용되는 인장하중이 6N일 경우, 상기 수직항력은 1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부 안정화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부의 두께는 1u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부 안정화장치.
  9.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부 안정화장치.
  1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멤브레인은 부채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부 안정화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하방향으로 기립된 세로지지부이고,
    상기 세로지지부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부 안정화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고정부재,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고정부재, 상기 제3 고정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고정부재 및 상기 제4 고정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고정부재이고,
    상기 제1 내지 제5 고정부재와 상기 세로지지부는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부 안정화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멤브레인은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제1 멤브레인, 상기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3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제2 멤브레인, 상기 제3 고정부재와 상기 제4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제3 멤브레인 및 상기 제4 고정부재와 상기 제5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제4 멤브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부 안정화장치.
  1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하방향으로 기립된 세로지지부; 및
    상기 세로지지부의 중앙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로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지지부 및 상기 세로지지부는 십자가 형상을 가지면서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부 안정화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는 상기 세로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세로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가로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세로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세로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고정부재, 상기 가로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세로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세로지지부와 수직하도록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고정부재 및 상기 제3 고정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세로지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세로지지부와 수직하도록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고정부재이고,
    상기 제1 내지 제4 고정부재, 상기 세로지지부 및 상기 가로지지부는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부 안정화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멤브레인은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제1 멤브레인, 상기 제2 고정부재와 상기 가로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 멤브레인, 상기 가로지지부와 상기 제3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제3 멤브레인 및 상기 제3 고정부재와 상기 제4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제4 멤브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부 안정화장치.
  1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세로지지부이고,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는 상기 세로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푸쉬부에 연결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세로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푸쉬부에 연결되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세로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푸쉬부에 연결되는 제3 고정부재이고,
    상기 푸쉬부가 전방으로 직선운동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고정부재는 상기 세로지지부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방사상으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부 안정화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고정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안부 안정화장치.
KR1020220073744A 2022-06-16 2022-06-16 전안부 안정화장치 KR20230172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744A KR20230172951A (ko) 2022-06-16 2022-06-16 전안부 안정화장치
PCT/KR2023/002767 WO2023243808A1 (ko) 2022-06-16 2023-02-28 전안부 안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744A KR20230172951A (ko) 2022-06-16 2022-06-16 전안부 안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951A true KR20230172951A (ko) 2023-12-26

Family

ID=8919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744A KR20230172951A (ko) 2022-06-16 2022-06-16 전안부 안정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72951A (ko)
WO (1) WO2023243808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1057A (en) * 1990-06-28 1991-06-04 Vitreoretinal Development, Inc. Corneal expulsive hemorrhage instrument
JP4931408B2 (ja) * 2005-12-02 2012-05-16 Hoya株式会社 眼科手術用コンタクトレンズ
EP4108216A1 (en) * 2009-06-03 2022-12-28 Forsight Vision5, Inc. Anterior segment drug delivery
CN102883682A (zh) * 2010-04-27 2013-01-16 雷恩斯根公司 调节眼内晶状体的装置
US9089397B2 (en) * 2012-10-01 2015-07-28 Gerald Paul Clarke Iris shield
WO2016139587A1 (en) * 2015-03-03 2016-09-09 Citterio Roberto Surgical assembly for ocular surgery, system and method of compensation of intraocular pres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3808A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3769B2 (en) Method for use in cataract surgery
US8303655B2 (en) Ocular implant iris diaphragm
Hernández-Verdejo et al. Porcine model to compare real-time intraocular pressure during LASIK with a mechanical microkeratome and femtosecond laser
Simon et al. New management strategies for ectopia lentis
JP2002537066A (ja) ミニカプセロレキシスバルブ
Merriam et al. Iris hooks for phacoemulsification of the subluxated lens
JP2008518655A (ja) 眼球内および角膜内屈折レンズ
US5951565A (en) Corneal endothelium protective device
Assia et al. Adjustable 6-0 polypropylene flanged technique for scleral fixation, part 1: primary fixation IOLs in aphakia, capsular stabilizing devices, and aniridia implants
US6641589B2 (en) Ophthalmic surgical lens
US20060155301A1 (en) Methods and devices usable in eye surgery
US6059828A (en) Macular indentor for use in the treatment of subretinal neovascular membranes
Menapace et al. Modified triple procedure using a temporary keratoprosthesis for closed-system, small-incision cataract surgery
CN111920579B (zh) 一种对接接口装置
Anisimova et al. Five-year results of non-penetrating deep sclerectomy with demineralized cancellous bone xenogenically derived collagen glaucoma implant
Neumann et 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STAAR silicone implants
Rashad et al. Retropupillary fixation of iris-claw intraocular lens versus trans-scleral suturing fixation for aphakic eyes without capsular support
KR20230172951A (ko) 전안부 안정화장치
Gross et al. Combined penetrating keratoplasty and vitreoretinal surgery with the Eckardt temporary keratoprosthesis
Blinder Use of perfluorocarbon liquids
Tabbara et al. Complications of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Ladi et al. Vertical fixation with fibrin glue-assisted secondary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 a case of surgical aphakia
US20200338235A1 (en) Incised descemet's membran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Agarwal et al. Concomitant sutureless scleral fixation of intraocular lens with keratoplasty: Review of surgical techniques
Lane Cataract surgical problem: Consultation–Feb#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