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830A - 적외선에 의한 피부 붉은기 진정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적외선에 의한 피부 붉은기 진정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830A
KR20230172830A KR1020220073492A KR20220073492A KR20230172830A KR 20230172830 A KR20230172830 A KR 20230172830A KR 1020220073492 A KR1020220073492 A KR 1020220073492A KR 20220073492 A KR20220073492 A KR 20220073492A KR 20230172830 A KR20230172830 A KR 20230172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extract
weight
red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현
곽준엽
이주호
박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22007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830A/ko
Publication of KR20230172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8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에 의한 피부 붉은기 진정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프랑스 해안송 껍질 추출물(Pinus Pinaster Bark Extract), 유럽 잎갈나무 목부추출물(Larix Europaea Wood Extract), 엑토인(Ectoin), 7-데하이드로 콜레스테롤(7-Dehydrocholesterol) 및 유익균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외선에 의한 피부 붉은기 진정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WITH EXCELLENT SKIN MOISTURIZING AND REDNESS CALMING CAUSED BY INFRARED RAYS}
본 발명은 적외선에 의한 피부 붉은기 진정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자외선, 환경 오염 등 외적 요인과 연령의 증가, 정신적 스트레스 등 내적 요인에 의해 진행되는 노화로 인하여 피부가 지닌 정상적인 기능이 저하된다. 이중에서도 특히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주름 생성, 탄력저하, 색소 침착과 더불어 피부 장벽 손상으로 인한 피부 수분량 감소,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 피부 표면 수분량이 감소하게 되어 피부 표면 각질층의 유연성 상실로 인하여 건성 피부나 거친 피부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의 수분량, 즉 피부 보습력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피부는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하여 탄력있고 부드럽게 되며 각질층의 탄력성이 유지되려면 10% 이상의 수분 함유가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왔다. 피부 건조증이 있는 부위는 각질층의 장벽 기능이 손상되어 있어 외부의 자극물질이나 항원이 쉽게 통과할 수 있어 피부의 증상이 악순환 되는 경향이 있다.
최근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 뿐만 아니라 적외선을 포함한 열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은 상대적으로 파장이 길어 피부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적외선에 의한 열 역시 피부손상 및 노화에 영향을 미친다. 피부의 이상적인 온도는 체온보다 낮은 섭씨 30~31℃로 알려져 있다. 정상 체온인 사람은 30분 간 강 렬한 햇볕에 노출시 최대 섭씨 43℃까지 피부 온도가 상승한다. 피부 온도가 올라가면 피부의 주요 구성 물질인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가 활성화되어 피부 손 상과 노화를 촉진하고 이는 곧 주름으로 이어진다. 보고된 논문에 의하면 열에 의해서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c-Jun N-terminal kinase (JNK), p38 MAPK의 활성 및 interluekin-6 (IL-6), interluekin-12 (IL-12),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발현 증가를 통해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과 MMP-3의 발현이 증가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열에 의해 증가된 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신호전달체계에 의해 MMP 발현이 증가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지속적으로 열에 노출되었을 시 피부 주름 형성 및 피부 두께가 얇아지는 현상을 동물모델 및 사람 조직을 이용한 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다. 광노화된 피부의 대표적인 현상인 일광탄력섬유증(solar elastosis)은 열에 의해서도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열에 의해 탄력섬유를 구성하는 엘라스틴(elastin)은 급격히 증가하고, 또 다른 단백질인 피브릴린(fibrillin)이 감소하여 비정상적인 탄력섬유가 쌓이게 되면서 피부가 노랗고 울퉁불퉁 하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열은 탄력섬유를 분해하는 효소인 MMP-12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 탄력을 감소시킨다.
한편,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전세계적 확산으로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 되고 있으며, 이에 마스크 착용한 안면 부위에 가려움 및 홍조 등 다양한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장시간의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안면 피부가 지속적인 접촉 자극을 받아 알러지 반응이 일어나고, 마스크 내부의 습기 등으로 인한 세균 증식으로 인해 피부 염증이 유발되며, 이러한 알러지 및 피부 염증 등으로 인해 피부 장벽 손상과 재생능력이 저하되어, 피부 붉은기 등의 트러블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마스크 착용에 의한 안면 피부 붉은기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를 위한 화장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5208호(2018.05.09. 공고, 발명의 명칭: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적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자외선 차단효과 및 적외선에 의한 피부 붉은기 진정, 열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자극을 방지하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피 속 침투 효과가 우수하며, 사용감과 발림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크 착용에 의한 피부 붉은기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프랑스해안송 껍질 추출물(Pinus Pinaster Bark Extract), 유럽잎갈나무 목부추출물(Larix Europaea Wood Extract), 엑토인(Ectoin), 7-데하이드로 콜레스테롤(7-Dehydrocholesterol) 및 유익균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익균 발효물은 효모 발효물(Saccharomyces Ferment), 흑효모 발효물(Aureobasidium Pullulans Ferment), 락토바실러스 발효물(Lactobacillus Ferment) 및 비피다 발효물(Bifida Ferment Extrac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프랑스 해안송 껍질 추출물 0.001~5.0 중량%, 유럽 잎갈나무 목부추출물 0.001~5.0 중량%, 엑토인 0.001~5.0 중량%, 7-데하이드로 콜레스테롤 0.00001~0.5 중량% 및 유익균 발효물 0.01~10.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 0.001~5.0 중량%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병풀추출물은 병풀 유래 엑소좀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엑토인, 프랑스해안송 껍질추출물 및 유익균 발효물을 1:2~7:2~10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오일,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제형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Oil-in-Water, O/W), 유중수(Water-in-Oil, W/O) 또는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e, W/S) 제형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성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 및 무기 자외선 차단성분 중 하나 이상 포함하되,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Drometrizole trisiloxa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테인(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methoxyphenyl triazine), 벤조페논-3 (Benzophenone-3),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Diethylhexyl Butamido Triazone),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 p-Methoxycinnamate), 및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Terephthalylidene Dicamphor Sulfonic Acid) 중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성분은 아이언 옥사이드(iron oxide),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및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효과 및 적외선에 의한 피부 붉은기 진정, 열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자극을 방지하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경피 속 침투 효과가 우수하며, 사용감과 발림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하며, 마스크 착용에 의한 피부 붉은기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유래 엑소좀 추출물의 제형 안정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도포 전, 도포 직후 및 도포 후 온풍에서 10분 간 대기한 후의 피부 수분 함유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도포 전, 도포 직후 및 도포 후 냉풍에서 10분 간 대기한 후의 피부 수분 함유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도포 전, 도포 직후 및 온풍/냉풍에서 10분 간 대기 후의 피부 수분량을 나타낸 이미지 사진(Epsilon)이다.
도 5는 실시예 1 적용시 마스크 착용에 의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1 적용시 마스크 착용에 의한 피부 붉은기 개선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1 적용시 마스크 착용에 의한 피부 붉은기 개선 효과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적외선(열)에 의한 피부 붉은기 측정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적외선에 의한 피부 붉은기 개선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프랑스해안송 껍질 추출물(Pinus Pinaster Bark Extract), 유럽잎갈나무 목부추출물(Larix Europaea Wood Extract), 엑토인(Ectoin), 7-데하이드로 콜레스테롤(7-Dehydrocholesterol) 및 유익균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이하, 상기 화장료 조성물 구성 성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프랑스해안송 껍질 추출물
상기 프랑스 해안송(Pinus Pinaster, 소나무 계열)은 유럽 지중해 지역을 원산지로 하며, 서늘하고 비가 오는 겨울과 덥고 건조한 여름을 띈 지중해성 기후에서 서식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프랑스해안송 껍질 추출물은 프랑스 남서 해안 지방에서 자라나는 소나무 껍질에서 유래한 추출물이다.
상기 프랑스해안송 껍질 추출물은 폴리페놀 형태의 플라보노이드가 농축되어 있는 형태로 강력한 항산화 물질들인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을 비롯해 폴리페놀산(polyphenolic acids)인 카테킨(catechin) 및 에피카테킨(epicatech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프랑스해안송 껍질 추출물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 복합체를 피크노제놀(Pycnogenol)로 일컫는다. 또한 자외선에 대한 피부면역력을 증가시키며, 피부의 주요 단백질인 콜라겐 및 엘라스틴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효소에 의한 분해를 방지함으로써 피부의 노화 방지에 기여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프랑스해안송 껍질 추출물은 원료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원료화된 프랑스해안송 껍질 추출물 0.01~5 중량%, 폴리올(글리세린, 프로판다이올 또는 부틸렌글라이콜 등) 5~40 중량% 및 정제수 60~9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프랑스해안송 껍질 추출물(또는 원료화된 프랑스해안송 껍질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범위로 포함시 화장료 조성물의 혼합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자외선에 대한 피부 노화방지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01~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유럽잎갈나무 목부추출물
상기 유럽 잎갈나무(유럽 낙엽송, Larix Europaea)은 중앙 유럽의 알프스, 카르파티아 산과 산맥에 서식하는 소나무의 일종으로, 추위와 바람에 강하며 건조한 토양에서도 자라는 높이 25~45m까지 자란다.
상기 유럽잎갈나무 목부추출물(Larix Europaea Wood Extract)은 스위스에서 자라나는 유럽잎갈나무 목부에서 유래한 추출물이다. 유럽잎갈나무에는 아비에트산(Abietic acid), 올레아놀산(Oleanolic acid)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식물이 곰팡이나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한 항진균, 항바이러스를 돕는 성분이다. 또한 상기 유럽잎갈나무 목부 추출물은 피노실빈(Pinosylvin)이라는 폴리페놀 성분이 농축되어 있는 형태로 강력한 항산화, 항암, 항염 기능을 통해 장수에 기여하고 염증성 국부 피부 붉어짐과 불규칙한 피부톤, 기미, 과민증을 완화하고 개선 시켜준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럽잎갈나무 목부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범위로 포함시 화장료 조성물의 혼합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자외선에 대한 피부톤, 기미 방지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01~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엑토인
상기 엑토인은(Ectoin)은 분자량 142.16g/mol을 갖는 링(Cyclic) 구조를 갖는 수용성 유기화합물로, 여러 종의 박테리아에서 발견되는 화합물이다. 상기 엑토인은 삼투용 기질액으로 작용하여 유기체가 삼투압 스트레스에 저항하도록 돕는 물질이며, 이러한 특성으로 피부막에서 수분을 잡아 보습을 도와, 열 및 삼투 스트레스, 계면활성제, 알레르겐 및 자외선을 방어하고 피부 세포 보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 외에도 항염, 세포성 면역 강화, 자외선으로 유발된 DNA 손상을 예방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엑토인은 통상의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alomonas elongata라는 호염성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생명공학적 발효 공정과 박테리아 착유 과정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엑토인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1~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범위로 포함시 화장료 조성물의 혼합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보습효과, 항염 및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 방지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1~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7-데하이드로 콜레스테롤
상기 7-데하이드로 콜레스테롤은 비타민 D의 전구체인 프로비타민 D3(provitamin D3) 이며, 이는 체내에서 비타민 D의 활성을 발현할 수 있다. 비타민 D는 지용성 비타민 종류에 속하는 필수 영양소로, 뼈를 튼튼하게 한다는 기존의 기본적인 기능 외에 항암기능, 항염증기능, 당뇨병 및 심혈관계 질병 예방 기능 등의 효능을 가진다. 상기 7-데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UV-B에 해당하는 영역의 자외선 파장(270~300nm)이 조사되면 비타민 D3로 전환될 수 있다.
비타민 D는 변형된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UV-B를 쪼이면 피부의 7-데하이드로 콜레스테롤(프로비타민 D3)이 프리비타민D(previtamin D3)로 전환, 프리비타민 D는 온도에 의해 비타민 D로 이성화(isomerization) 된다. 햇빛은 피부조직에서 비타민D 전구체(Vitamin D precursor, vitamin D3 또는 cholecalcitriol)를 합성하고, 이렇게 합성된 vitamin D3는 피부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혈관을 타고, 간으로 가서 간세포에 의해서 25(OH)D로 합성된 다음, 또다시 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신장으로 가서 신장세포에 의해서 1,25(OH)2D 합성되면 신장세포가 세포 밖으로 분비해서 혈관을 통해 온 몸의 각 조직 세포에 가서 비타민 D의 기능을 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7-데하이드로 콜레스테롤은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연, 합성 및 발효 등의 과정을 거쳐 개발된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7-데하이드로 콜레스테롤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001~0.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시 분산성, 제형 안정성 및 보관성이 우수하고, 자외선에 의한 피부 붉은기 개선, 피부 손상 방지 및 피부 재생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0001~0.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유익균 발효물
상기 유익균 발효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시 피부 보습, 주름개선, 피부 장벽개선을 개선하고, 자외선과 적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붉은기 및 손상을 개선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익균 발효물은 효모 발효물(Saccharomyces Ferment), 흑효모 발효물(Aureobasidium Pullulans Ferment), 락토바실러스 발효물(Lactobacillus Ferment) 및 비피다 발효물(Bifida Ferment Extrac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효모 발효물(Saccharomyces Ferment)의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는 많은 종류의 효모를 포함하는 곰팡이 속 균주로 직경 2~8㎛ 및 길이 3~25㎛ 일 수 있다. 해당 속의 균주는 양조, 제빵 등 다양한 식품 생산에 중요하게 활용된다. 효모발효물에는 유기산이 풍부하며 이는 피부 보습과 항산화, 장벽 개선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흑효모 발효물(Aureobasidium Pullulans Ferment)의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는 외관상 검정색의 효모로서, 발효 시에 효모와 일부 다른 효소와 유익한 성분의 종류와 함량 차이를 가지며, 피부 보습과 주름 개선 및 항염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물(Lactobacillus Ferment)의 락토바실러스는 젖산균에 속하는 Lactobacillus 속 균주로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하여 다량의 유산과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형태학적으로 그람 양성 무포자 간균으로 다형성을 나타내고, 크기는 0.5~0.9 x 1~11㎛) 이다. 락토바실러스 등의 젖산균은 프로바이오틱(Probiotics)로 널리 이용되며 일반적으로 안정한 미생물로 보고된 균주로서 피부의 붉은기(홍반)를 감소시키며 피부 수분 증가 효능 및 주름개선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비피다 발효물(Bifida Ferment Extract)은 비피더스균의 발효 산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비피더스균은,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속 균주로 형상이 나무의 가지와 같이 Y자 및 V자 형태로 분기(Bifid)하고 있어 비피더스균으로 명명되었으며, 혐기성으로 포도당을 발효하여 조산과 유산을 생성한다. 비피더스균은 사람의 장내에서 초산과 젖산 등의 유기산 생성을 통해 장내 부패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체내 면역 기능 증강, 비타민 생성, 콜레스테롤 저하 등에 기여한다. 또한 피부에서 손상된 장벽 회복하는 효능을 가진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익균 발효물은 효모 발효물, 흑효모 발효물, 락토바실러스 발효물 및 비피다 발효물을 각각 여과한 발효 여과물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익균발효물은 원료내 효모 발효물, 흑효모 발효물, 락토바실러스 발효물 및 비피다 발효물 중 하나 이상을 0.1~99.0 중량% 포함하여 원료화 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익균 발효물은, 상기 효모, 흑효모, 락토바실러스 및 비피다스 균주를 배지에 각각 접종하고 20~40℃에서 배양(또는 발효)하여 배양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양물을, 1차 여과하여 1차 여과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여과물을 1,2-헥산디올과 혼합한 다음 2차 여과하여 2차 여과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배양물은 초음파 추출 등을 통해 배양추출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물 또는 1차 여과물은 더 이상의 배양이 되지 않도록 50~110℃에서 열처리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효모 발효물은 효모(Saccharomyces) 균주 배양액을 배양배지에 107 내지 108 CFU/mL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35~40℃, pH 5~7로 유지하면서 5~10일 동안 배양(발효)하고, 상기 배양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로 제거 후 더 이상 배양이 되지 않도록 멸균한 다음, 배양균을 1차 여과하여 1차 여과물을 제조하고, 이를 1,2-헥산디올(1,2-Hexanediol)과 혼합 후 2차 여과하여 2차 여과물을 수득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에에서 상기 흑효모 발효물은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 균주 배양액을 발효조에 투입하고 20~40℃의 온도에서, pH 5~7로 유지하면서 5~10일간 배양(발효)하고, 상기 배양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로 제거 후 더 이상 배양이 되지 않도록 멸균하여 효모의 기능상실을 유도 고, 이를 여과하여 얻은 여과물을 1,2-헥산디올과 혼합하고 2차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균주를 배양배지에 접종하고 105~107 CFU/mL 농도가 되도록 배양배지에 접종하여 혐기 조건에서 35~40℃에서 36~60시간 동안 배양(발효)하고, 상기 배양된 배양액을 90~110℃에서 20~50분 실활하여 냉침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1차 여과된 여과물을 1,2-헥산디올과 혼합하고 2차 여과하여 2차 여과물을 수득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비피다 발효물은 비피다박테리움 속 균주를 106 내지 1010 CFU/mL 농도로 배양배지에 접종하여 35~40℃에서 1~5일간 배양(발효)시킨 후 상기 배양물에 정제수를 소량 투입한 다음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10~60분 동안 초음파(Sonification)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1차 여과하여 얻은 1차 여과물에 1,2-헥산디올을 혼합하고 2차 여과하여 2차 여과물을 수득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익균 발효물(또는 원료화된 유익균 발효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10.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범위로 포함시 분산성, 제형 안정성 및 보관성이 우수하고, 자외선에 의한 피부 붉은기 개선, 피부 손상 방지 및 피부 재생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1~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엑토인, 프랑스해안송 껍질추출물 및 유익균 발효물을 1:2~7:2~10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로 포함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혼합성과 제형안정성이 우수하여 성분의 분리를 최소화하고, 피부 적용시 경피 침투효과와, 발림성과 사용감이 우수하고, 자외선 및 적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 및 피부 재생 효과가 우수하며, 마스크 착용에 의한 피부 붉은기 완화 및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엑토인, 프랑스해안송 껍질추출물 및 유익균 발효물을 1:2~5:2~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병풀추출물
상기 병풀추출물은 병풀(Centella asiatica) 유래 엑소좀(exosome)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소좀은 세포 내에서 생성되어 외부로 분비 및 방출되는 소낭 또는 소포(Extracellular vesicles, EVs)의 일종이다. 상기 엑소좀은 30~150nm 크기를 가지며 진핵 생물체에서 세포간 정보교환을 위해 분비되며, 최근에는 엑소좀을 이용하여 질병 진단 및 생물 정보학, 약물전달 시스템으로 응용하고 있다. 식물성 엑소좀은 세포독성 효과가 거의 없고 면역반응을 발생시키지 않아 다양한 성분의 운반체로 응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병풀추출물은 마데카소사이드, 마데카식애씨드, 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틱애씨드 등의 펜타사이클릭 트리테르펜 계열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상처치료, 피부 재생, 항염 및 항균, 안티에이징 등 다양한 효능을 지니는 병풀에서 추출한 엑소좀으로 EV(Extracellular vesicle)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병풀 유래 엑소좀 추출물은 병풀의 잎 부위와 버퍼(2,3-디포스포글리시레이트(2,3-Diphosphoglycerate, DPG) 및 포스페이트 버퍼 살린(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를 포함하는 수용액)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파쇄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여과액을 수득하고, 상기 여과액을 균질화(Homogenization) 한 후 엑소좀 추출 버퍼(DPG 및 PBS 포함 수용액)를 이용하여 엑소좀을 추출하여 현탁액을 수득하여, 상기 방법을 통해 평균 166nm 크기의 병풀 엑소좀 현탁액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병풀추출물로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제조된 병풀 유래 엑소좀 추출물을 포함시 분산성과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며, 피부 붉은기 진정 및 피부 재생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된 엑소좀과, 폴리올 및 정제수를 혼합한 현탁액을 여과하여 병풀유래 엑소좀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현탁액은 나노입자 추적 분석 방법(NTA; 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으로 크기와 농도를 분석하거나 EV & RNA Purification Kit를 사용하여 정량을 검증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병풀추출물은 원료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원료화된 병풀추출물은, 상기 병풀추출물 0.01~5.0 중량%, 폴리올(글리세린, 프로판다이올 또는 부틸렌글라이콜) 5~40 중량% 및 정제수 60~9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병풀추출물(또는 원료화된 병풀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1~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범위로 포함시 화장료 조성물의 혼합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붉은기 진정 및 피부 재생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엑토인, 프랑스해안송 껍질 추출물, 유익균 발효물, 유럽잎갈나무 목부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1:2~7:2~10:0.5~3:0.5~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로 포함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혼합성과 제형안정성이 우수하여 성분의 분리를 최소화하고, 피부 적용시 경피 침투효과와, 발림성과 사용감이 우수하고, 자외선 및 적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 및 피부 재생 효과가 우수하며, 마스크 착용에 의한 피부 붉은기 완화 및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엑토인, 프랑스해안송 껍질추출물, 유익균 발효물, 유럽잎갈나무 목부추출물 및 병풀추출물을 1:2~5:2~5:1~3:1~3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성분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성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 및 무기 자외선 차단성분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Drometrizole trisiloxa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테인(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methoxyphenyl triazine), 벤조페논-3 (Benzophenone-3),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Diethylhexyl Butamido Triazone),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 p-Methoxycinnamate), 및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Terephthalylidene Dicamphor Sulfonic Acid)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기계 자외선 차단성분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1~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하고, 혼합성, 분산성 및 제형안정성이 우수하면서, 사용감 및 발림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성분은 아이언 옥사이드(iron oxide),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및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무기계 자외선 차단성분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1~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하고, 혼합성, 분산성 및 제형안정성이 우수하면서, 사용감 및 발림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시 조성물의 분산성과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며,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오일,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스프레이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스테아릭산, 세틸알코올, 스쿠알란,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알지닌, 카보머,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및 정제수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보습제, 식물오일, 에스테르오일, 자외선 차단제, 산화방지제, pH조절제, 색소, 향료, 보존제, 점증제, 유화제, 가용화제, 식물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Oil-in-Water, O/W), 유중수(Water-in-Oil, W/O) 또는 실리콘중수(Water-in-Silicone, W/S) 제형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을 적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크림(선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2의 성분 중에서, 프랑스해안송 껍질 추출물, 병풀추출물 및 유익균 발효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1) 프랑스해안송 껍질 추출물(Pinus Pinaster Bark Extract): 프랑스 남서 지방에서 자라는 소나무 껍질 부위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추출물을 1차 여과 후,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을 투입하고 2차 여과하여 원료화하여 사용하였다.
(2) 유익균 발효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효모 발효물(Saccharomyces Ferment), 흑효모 발효물(Aureobasidium Pullulans Ferment), 락토바실러스 발효물(Lactobacillus Ferment) 및 비피다 발효물(Bifida Ferment Extract) 을 각각 준비하였다.
(2-1) 효모 발효물: 효모(Saccharomyces) 균주 배양액을 107~108 CFU/mL 농도가 되도록 배양배지에 접종하여 35~40℃, pH 5-7로 유지하여 7일간 배양(발효)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로 제거 후 더 이상 배양이 되지 않도록 멸균(121℃, 15분, 1.5기압)하였다. 멸균 처리한 다음, 여과하여 얻은 여과물을 1,2-헥산디올(1,2-Hexanediol)과 혼합하여 2차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2-2) 흑효모 발효물: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 균주 배양액을 5L 발효조에 넣고 20~40℃의 온도에서, pH 5-7로 유지하여 7일간 배양(발효)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로 제거 후 더 이상 배양이 되지 않도록 80
Figure pat00001
에서 15분간 열을 가하여 효모의 기능상실을 유도 하였다. 여과하여 얻은 여과물을 1,2-헥산디올과 혼합하고 2차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2-3) 락토바실러스 발효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균주를 접종하고 106 CFU/mL 농도가 되도록 배양배지에 접종하여 혐기 조건에서 35~4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발효)하였다. 상기 배양물을 100℃, 30분 조건에서 실활하여 냉침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얻은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1,2-헥산디올과 혼합하고 2차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2-4) 비피다 발효물: 비피다박테리움 균주(비피다박테리움 롱검, Bifidobacterium longum)를 108 CFU/mL 농도로 배양배지에 접종하여 35~40℃에서 2일간 배양(발효)시킨 후 상기 배양물에 정제수를 소량 투입한 다음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30분간 초음파(Sonification) 추출하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 발효 추출물을 여과하여 얻은 여과물을 1,2-헥산디올과 혼합하고 2차 여과하여 비피다 발효물을 수득하였다.
(3) 병풀추출물(병풀 유래 엑소좀 추출물): 일반적인 엑소좀 추출 방식은 병풀잎의 식물세포를 고체배지 또는 액제배지로 캘러스를 배양하고 유도한다. 해당 배지와 혼합액을 통해 파쇄한 후, 원심분리 및 여과를 통해 농축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실시예에 적용된 상기 병풀추출물의 경우, 병풀의 잎 부위와 버퍼(DPG 및 PBS 일정 비율로 혼합한 수용액)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파쇄한 다음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여과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균질화(homogenization)한 다음 엑소좀 추출 버퍼(DPG 및 PBS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수용액)로 엑소좀을 추출한 것으로 의료용 엑소좀 수준의 순도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의 추출물은 ㈜제노헬릭스의 EV 추출 방법이 적용된 원물을 활용하여, 원물의 엑소좀과 폴리올 및 정제수를 혼합한 현탁액을 여과하여 병풀유래 엑소좀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피부 자극 평가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5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피부 자극 시험을 조사하기 위해 피부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는 만 19~59세의 시험 부위에 피부 질환이 없는 성인남녀로 선정하였으며 평균나이 47.8 세였다. 총 10명씩 12개 그룹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첩포 부위인 등을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을 각 25μl씩 적하하며, 부착형 (팩, 패치 등) 시험물질은 1cm x 1cm(가로 x 세로)로 잘라 피부에 부착시켜 주도록 한다. 24시간 동안 첩포를 실시한 뒤, 첩포를 제거하고 1시간 후 피부 반응을 검사하고, 다음날(첩포 시작으로부터 48시간 뒤) 다시 검사하였다. 피부 반응 판정은 하기 검사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피부 첩포 시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피부 반응 검사기준
- 반응 없음 ± 미약한 양성 반응 (홍반) + 양성 반응 (홍반) ++ 강한 양성 반응 (홍반, 부종) +++ 심한 양성 반응 (홍반, 부종, 수포)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7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7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분리 및 변색 정도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45℃와 2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냉장고 및 일광 조건으로 실시예 조성물을 샘플 용기에 담아 4주 동안 보관 후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의 분리 및 변색 정도는 하기의 6 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 분리 및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상기 표 4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7은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엑소좀 추출 방법으로 추출한 병풀추출물의 안정성 평가
상기 제조된 병풀 유래 엑소좀 추출물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 해당 원료를 샘플 용기에 담아 4주 동안 보관 후 나노 입자 트랙킹 분석(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NTA)을 이용하여 입자 사이즈를 측정하고, 분리 및 변색 정도를 육안으로 비교하였다. 이때 제품의 분리 및 변색 정도는 하기의 6 등급으로 분류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 분리 및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하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유래 엑소좀 추출물의 제형 안정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표 5 및 도 1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 병풀 유래 엑소좀 추출물은 45℃에서 1달간 보관했을 때 입자 사이즈의 변화나 변색 및 분리 현상이 관찰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엑소좀 추출 방법으로 추출한 병풀 추출물의 안정성과 원료로써의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온/냉풍 조건에서의 피부 보습력 측정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1에 대하여 피부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만 19~60세의 성인남녀 중 21 명(평균 나이 43.5세)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평가 실험에 참여한 시험대상자 21명이었으며, 중도 탈락자 1명을 제외한 시험을 종료한 시험대상자 20명의 피부 상태는 건성 피부 5명, 중건성 피부 7명, 중성 피부 5명, 중지성 피부 2 명, 지성 피부 1명이었다. 피부질환, 가려움, 따가움, 홍반, 화장품 부작용, 의약품 부작용, 광민감성, 아토피질환 경험에 대한 설문에서 해당되는 시험대상자는 없었으며 기타 항목에 대한 경험이 있는 시험대상자 또한 없었다.
또한 기기적 평가를 위하여 시험대상자는 준비된 세정제로 전박 세정 및 세안을 한 후 실내온도 20~24℃ 및 습도 40~60%의 항온, 항습 조건의 대기실에서 약 30 분간 안정을 취하여 피부 표면 온도와 습도를 측정공간의 환경에 적응하게 하였으며, 안정을 취하는 동안에는 수분 섭취를 제한하였다. 또한, 온풍 및 냉풍 조건에서의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온풍 조건(온도 39±1℃) 및 냉풍 조건(온도 17±1℃)의 공간에서 약 10분간 대기 후 측정을 하였다. 시험 제품 적용 부위를 촬영 또는 측정하였고 매번 같은 조건에서 동일한 연구자에 의해 진행되었다. 보습력의 측정은 피부 수분량을 이미지로 촬영할 수 있는 Epsilon을 사용하여 시험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직후, 각 온/냉풍 조건에서 10분 대기 후 얼굴 볼 부위의 피부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피부 수분 함유량의 단위는 A.U(Arbitrary Unit)이며, 분석 값과 피부 수분 함유량은 비례하며,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6~7 및 도 2~4에 나타내었다.
* 변화율(%) = (제품 사용 후 분석 값 x 100)/제품 사용 전 분석 값
(제품 사용 전 분석 값을 100% 기준으로 계산함)
상기 표 6 및 7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 후 온/냉풍 조건에서의 10분 노출 후 피부 보습력 측정 결과, 피부 수분 함유량 분석 값이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제품 사용 직후 온/냉풍 조건에서 10분 대기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p<0.05).
하기 도 2는 실시예 1의 도포 전, 도포 직후 및 도포 후 온풍에서 10분 간 대기한 후의 피부 수분 함유량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하기 도 3은 실시예 1의 도포 전, 도포 직후 및 도포 후 냉풍에서 10분 간 대기한 후의 피부 수분 함유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며, 하기 도 4는 실시예 1의 도포 전, 도포 직후 및 온풍/냉풍에서 10분 간 대기 후의 피부 수분량을 나타낸 이미지 사진(Epsilon)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은 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피부 보습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시험제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직후 및 온풍/냉풍 조건에서 10분 대기 후의 피부 수분 함유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시예 1은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마스크에 의한 피부 자극 완화 측정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대표적으로 실시예 1에 대하여 마스크에 의한 피부 자극 완화를 측정 평가하였다. 여성 임상단 23명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스크에 의한 피부 자극 완화 측정은 시험대상자의 안면 좌, 우측을 시험제품 사용 부위와 미사용 부위로 나눈 후 Vapometer를 사용하여 마스크 착용 전, 마스크 1시간 착용 후, 제품 사용 30분 후 각 부위의 피부 경표피수분손실량이 증가됨을 확인하고, 제품 사용 30분 후 시험제품 사용 부위와 시험제품 미사용 부위의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값의 변화 정도를 비교하여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피부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은 부위당 1회 측정하였고, 그 단위는 g/m2h 이다. 측정 값과 경표피수분손실량은 비례하므로 측정 값이 낮을수록 마스크에 의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피부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결과를 하기 표 8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 변화율(%) = [(제품 사용 후 측정 값 - 마스크 1시간 착용 후 측정 값)/마스크 1시간 착용 후 측정값] x100
하기 도 5는 실시예 1에 의한 마스크 착용시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표 8 및 도 5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 사용에 의한 마스크에 의한 피부 자극 완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사용 부위는 마스크 1시간 착용 후에 비해 제품 사용 후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값의 변화율이 실시예 1 미사용 부위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므로 (p<0.05), 실시예 1의 사용 부위는, 미사용 부위 대비 마스크에 의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6: 마스크에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완화 측정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대표적으로 실시예 1에 대하여 마스크에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효과를 측정 평가하였다. 여성 임상단 23명을 1개 그룹으로 하여 총 3개 그룹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스크에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효과 측정은 시험대상자의 안면 좌, 우측을 시험제품 사용 부위와 미사용 부위로 나눈 후 Antera 3D를 사용하여 마스크 착용 전, 마스크 1시간 착용 후, 제품 사용 30분 후 각 부위의 피부 붉은기 정도를 촬영하였다. 헤모글로빈 모드로 촬영한 사진을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인 Image pro plus로 특정 영역을 지정하여 피부 붉은기(a value)를 분석하였다. 마스크 착용 전에 비해 마스크 1시간 착용 후 피부 붉은기가 증가됨을 확인하고, 제품 사용 30분 후 시험제품 사용 부위와 시험제품 미사용 부위의 피부 붉은기 변화 정도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측정 값과 피부 붉은기 정도는 비례하므로 측정 값이 낮아질수록 마스크에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 변화율(%) = [(제품 사용 후 측정 값 - 마스크 1시간 착용 후 측정 값)/마스크 1시간 착용 후 측정값] x 100
하기 도 6은 실시예 1 적용시 마스크 착용시 피부 붉은기 개선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며, 하기 도 7은 실시예 1 적용시 마스크 착용시 피부 붉은기 개선 효과를 비교한 사진(Antera 3D)이다.
상기 표 9 및 도 6~7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을 적용시 마스크에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효과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사용 부위의 마스크를 1시간 착용 후 대비, 실시예 1 사용 후 피부 붉은기 분석 값의 변화율이 미사용 부위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므로 (p<0.05), 실시예 1의 사용 부위는, 미사용 부위 대비 마스크에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7: 적외선(열)에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대표적으로 실시예 1에 대하여 적외선(열)에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효과를 평가하였다. 여성 임상단 23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적외선(열)에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효과 측정은 안면 좌측 및 우측을 시험제품 사용 부위와 미사용 부위로 나누고, 적외선 조사기(Infralux-300, 적외선 특정 파장)로 안면에서 30cm 이격된 거리에서 5분간 가온한 후 제품 사용 부위에만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를 적용하였다. Chromameter CR400을 사용하여 안면 가온 전, 안면 가온 후, 실시예 및 비교예 사용 후, 얼굴 양쪽 볼 부위의 피부 붉은기(a value) 정도를 측정하였고, 3회 측정한 평균 값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측정값과 피부 붉은기 정도는 비례하므로 측정값이 낮을수록 적외선(열)에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 변화율(%) = [(제품 사용 후 측정 값 - 안면 가온 후 측정 값)/안면 가온 후 측정값] x 100
하기 도 8은 실시예 1의 적외선(열)에 의한 피부 붉은기 측정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하기 도 9는 실시예 1의 적외선에 의한 피부 붉은기 개선 효과를 나타낸 사진(Janus 1 Mark II, 편광 모드) 이다.
상기 표 10, 도 8 및 도 9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은 시험제품 사용 후 적외선(열)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효과를 측정한 결과, 시험제품 사용 부위의 피부 붉은기 감소 정도가 시험제품 미사용 부위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므로 (p<0.05), 시험제품 미사용 부위 대비 적외선(열)에 의한 피부(붉은기) 진정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8: 관능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시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20~50세의 훈련된 여성 5명을 1개 그룹으로 하여 14개 그룹으로 구성된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사용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5의 화장료 조성물을 4주 동안 각 그룹에 일 1회 사용한 후, 피부 촉촉함 개선(촉촉함), 피부결개선(결개선), 피부 탄력감 개선(탄력감) 및 피부광택개선(광택감) 항목에 5점 척도(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함)로 답하게 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1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7은 비교예 1~5에 비하여 촉촉함, 지속성, 발림성 및 광택감 등의 사용감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프랑스해안송 껍질 추출물(Pinus Pinaster Bark Extract), 유럽잎갈나무 목부추출물(Larix Europaea Wood Extract), 엑토인(Ectoin), 7-데하이드로 콜레스테롤(7-Dehydrocholesterol) 및 유익균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익균 발효물은 효모 발효물(Saccharomyces Ferment), 흑효모 발효물(Aureobasidium Pullulans Ferment), 락토바실러스 발효물(Lactobacillus Ferment) 및 비피다 발효물(Bifida Ferment Extrac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프랑스 해안송 껍질 추출물 0.001~5.0 중량%, 유럽 잎갈나무 목부추출물 0.001~5.0 중량%, 엑토인 0.001~5.0 중량%, 7-데하이드로 콜레스테롤 0.00001~0.5 중량% 및 유익균 발효물 0.01~10.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 0.001~5.0 중량%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병풀추출물은 병풀 유래 엑소좀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엑토인, 프랑스해안송 껍질추출물 및 유익균 발효물을 1:2~7:2~10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오일,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성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 및 무기 자외선 차단성분 중 하나 이상 포함하되,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Drometrizole trisiloxa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테인(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methoxyphenyl triazine), 벤조페논-3 (Benzophenone-3),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Diethylhexyl Butamido Triazone),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 p-Methoxycinnamate), 및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Terephthalylidene Dicamphor Sulfonic Acid) 중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성분은 아이언 옥사이드(iron oxide),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및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73492A 2022-06-16 2022-06-16 적외선에 의한 피부 붉은기 진정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KR20230172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492A KR20230172830A (ko) 2022-06-16 2022-06-16 적외선에 의한 피부 붉은기 진정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492A KR20230172830A (ko) 2022-06-16 2022-06-16 적외선에 의한 피부 붉은기 진정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830A true KR20230172830A (ko) 2023-12-26

Family

ID=8932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492A KR20230172830A (ko) 2022-06-16 2022-06-16 적외선에 의한 피부 붉은기 진정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8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315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03295B1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CA2886575A1 (en) Composition for removing keratinous skin material comprising green tea lactobacillus
KR20080068160A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2888B1 (ko) 표피세포에 있어서의 라미닌 5 생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물질 및 이들의 사용
KR102016164B1 (ko) 비타민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에멀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92274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6732B1 (ko)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3283B1 (ko)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3549A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70990B1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102119524B1 (ko) 새싹삼 잎, 줄기 발효액 또는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32001B1 (ko)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품
KR20230172830A (ko) 적외선에 의한 피부 붉은기 진정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KR102298534B1 (ko) 웨이셀라 사이베리아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24529B1 (ko) 홍해삼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홍해삼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7231B1 (ko) 효소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 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512B1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10B1 (ko)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9520A (ko) 대나무수액의 균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951816B1 (ko) 월귤 열매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월귤 열매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5281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5027B1 (ko) 천연 추출물 및 햄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