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803A - Hearing-Assisted Bone Conduction Earphones - Google Patents

Hearing-Assisted Bone Conduction Earpho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803A
KR20230172803A KR1020220073431A KR20220073431A KR20230172803A KR 20230172803 A KR20230172803 A KR 20230172803A KR 1020220073431 A KR1020220073431 A KR 1020220073431A KR 20220073431 A KR20220073431 A KR 20220073431A KR 20230172803 A KR20230172803 A KR 20230172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output device
smartphone
h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4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아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아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아드림
Priority to KR1020220073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803A/en
Publication of KR20230172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803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골전도음출력기기와, 골전도음출력기기에 무선 연결되며 마이크가 구비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에 설치되며 골전도음출력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주변 소음 크기에 따라 볼륨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골전도음출력기기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레벨을 환경에 따라 변할 수 있도록 한 자동 볼륨 조절 기능을 갖는 골전도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a smartphon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and equipped with a microphone, and a smartphon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phone and controlling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wherein the smartphone application reduces ambient noise. This relates to bone conduction earphones with an automatic volume control function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volume according to size and allows the level of sound output from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to change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Description

청각 보조 골전도 이어폰 {Hearing-Assisted Bone Conduction Earphones}Hearing-Assisted Bone Conduction Earphones

본 발명은 청각 보조 골전도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골전도음출력기기와, 골전도음출력기기에 무선 연결되며 마이크가 구비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에 설치되며 골전도음출력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되, 스마트폰의 마이크로부터 수음된 소리를 가공하여, 골전도음출력기기에 전달하는 청각보조부를 포함하여, 난청자의 청취를 돕도록 하는 청각 보조 골전도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one conduction earphones for assisting hear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microphone and wirelessly connected to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and a smartphone installed on the smartphone and controlling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It relates to hearing aid bone conduction earphones that include an application and a hearing aid unit that processes sound picked up from a smartphone microphone and transmits it to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helping hearing impaired people listen.

일반적으로 골전도 이어폰은 공기전도방식의 스피커와는 달리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진동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진동신호는 두개골( Cranialbone) 이나 턱뼈를 통해 외이나 중이를 거치지 않고, 직접 달팽이관으로 전달된 후 청각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이소골에 구성된 3개의 뼈를 경유하지 않고 와우에 보내어지므로 고막이나 이소골에 이상이 있는 난청자라도 와우와 청각신경이 정상이라면 골 전도로 명확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난청자에게는 보청기 대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bone conduction earphones, unlike air conduction speakers, convert the input electrical signal into a vibration signal, and the converted vibration signal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cochlea without passing through the outer or middle ear through the skull or jawbone. It utilizes the principle that the sound is transmitted to the brain through the auditory nerve, and is sent to the cochlea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hree bones comprised of the ossicles, so even in hearing-impaired people with abnormalities in the eardrum or ossicles, if the cochlea and auditory nerve are normal, sound is clearly transmitted through bone conduction.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hear, it is also used as a replacement for hearing aids for people with hearing loss.

이러한 골전도 헤드셋의 골 전도 스피커는 기존의 공기전도방식의 헤드셋에 비해 소리의 3대요소인 주파수, 진폭 및 음색이 절대적으로 미흡하여 스피커 출력을 높이는 경우 음파가 외부로 누설되는 외부누설음이 증가하여 타인에게 소음을 제공할 뿐 아니라 음성대역은 물론 주변소리의 원음재생능력 저하로 음질의 저하되는 문제점과 왜곡이 발생하며,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이 근접시 하울링과 노이즈가 증가하여 입력되는 주변소리가 왜곡되어 단어의 변별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소비전류가 증가되는 기술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Compared to existing air conduction headsets, the bone conduction speakers of these bone conduction headsets are absolutely inadequate in terms of frequency, amplitude, and timbre, the three major elements of sound. Therefore, when the speaker output is increased, external leakage sound, where sound waves are leaked to the outside, increases. This not only provides noise to others, but also causes distortion and deterioration of sound quality due to a decrease in the original sound reproduction ability of not only the voice band but also surrounding sounds, and when the speaker and microphone are close, howling and noise increase, distorting the input surrounding sound. This causes a problem in which the ability to distinguish words is deteriorated and a technical problem occurs in which current consumption increases.

또한, 기존 보청기는 공기전도방식을 적용한 기도 스피커를 통해 고막을 통해 수신함으로서 사용할수록 고막은 점점 손상되어 평균 5년 주기로 스피커출력을 향상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기도형 디지털 보청기이며, 디지털보청기의 앰프동작을 위한 재활용이 불가능한 건전지의 잦은 교체는 불편함과 비용증가의 발생 및 환경오염의 문제가 되고 있다.In addition, existing hearing aids receive information through the eardrum through an air conduction speaker using the air conduction method, so the eardrum becomes more and more damaged as it is used, so the speaker output is improved every 5 years on average. It is a common prayer-type digital hearing aid, and the amplifier of the digital hearing aid is used. Frequent replacement of non-recyclable batteries for operation causes inconvenience, increases costs, and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이와는 달리 인공이식의 경우 청각신경에 직접 전달하는 인공와우수술은 수술비용의 고가로 인해 사용자는 극히 제한적이며 최근 디지털보청기의 보급이 시장형성을 하고 있으나 디지털보청기의 가격도 매우 높아서 구입비용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빈곤층일수록 대부분의 난청자는 일반적인 공기전도 방식의 보청기인 아나로그형식의 저가제품도 구입하기가 어려운 현실이다.In contrast, in the case of artificial implants, cochlear implant surgery, which delivers direct delivery to the auditory nerve, has very limited users due to the high surgical cost. Recently, the spread of digital hearing aids has formed a market, but the prices of digital hearing aids are also very high, making it economically difficult to purchase them. The burden is increasing, and the poorer the population, the more difficult it is for most people with hearing loss to purchase low-cost analog hearing aids, which are common air conduction hearing aids.

이는 일반적인 디지털방식의 보청기 가격도 매우 고가로 판매되어 세계난청자의 90% 정도가 보청기 착용을 하지 못하는 안타까운 현실이 국제적으로도 중대한 문제가 되고 있다.This is an unfortunate reality that 90% of people with hearing loss around the world cannot wear hearing aids, as the prices of general digital hearing aids are sold at very high prices, which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internationally.

또한, 기존의 보청기는 주변환경의 소음이 심한 환경에서의 보청기를 통한 수신시 단어의 부정확성과 변별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In addition, existing hearing aids have problems such as inaccuracy of words and reduced discrimination ability when receiving words through the hearing aid in a noisy environment.

또한, 보청기 착용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로 착용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난청장애자는 난청환자임을 비밀로 하는 경향이 대부분이다.In addition, due to the negative image of wearing hearing aids, there is a strong psychological resistance to wearing them, and most people with hearing loss tend to keep their hearing loss a secret.

또한, 기존 보청기의 경우 일상적인 대화나 주변소리를 증폭하여 수신하는 기능에 한정되어 일반인과 같이 대화 중에도 통신기기나 음향기기의 사운드를 수신 및 송신하는 기능이 제한적으로 제공되는 난청자 및 청각장애자들을 위한 제품개발을 통해 일반인과의 차별화가 개선되어야 한다.In addition, existing hearing aids are limited to the function of amplifying and receiving everyday conversations or ambient sounds, so they are designed for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hearing impaired, who have limited functions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sounds from communication devices or audio devices during conversations like the general public. Differentiation from the general public must be improved through product development.

따라서, 난청자에게도 일반인과 대등하게 일상적인 생활에서 난청으로 인한 불편이 최소화 되도록 하고 구입비용도 일반적인 헤드폰수준의 가격으로 공급되는 제품개발을 통해 난청자에게도 삶의 활력소가 될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hearing loss in daily life should be minimized for people with hearing loss on an equal footing with the general public, and the purchase cost should be similar to that of general headphon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ducts that can provide vitality to the lives of people with hearing los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6217호(2014.04.17.공고), "골전도 헤드폰"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376217 (announced on April 17, 2014), “Bone conduction headphone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전도음출력기기와, 골전도음출력기기에 무선 연결되며 마이크가 구비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에 설치되며 골전도음출력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되, 스마트폰의 마이크로부터 수음된 소리를 가공하여, 골전도음출력기기에 전달하는 청각보조부를 포함하여, 난청자의 청취를 돕도록 하는 청각 보조 골전도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a smartphon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and equipped with a microphone, and a smartphon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phone and controlling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hearing aid bone conduction earphones that help hearing impaired people listen, including a hearing aid unit that processes sound picked up from the microphone of a smartphone and transmits it to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전도 음을 출력하는 골전도음출력기기와, 상기 골전도음출력기기에 무선 연결되며 마이크가 구비된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에 포함되어 골전도음 출력 부재를 제어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의 마이크로부터 수음된 소리를 가공하여, 골전도음출력기기에 전달하는 청각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조 골전도 이어폰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that outputs bone conduction sound, a smartphon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and equipped with a microphone, and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member included in the smartphone. A hearing aid bone conduction earphone is provided, compri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that controls the hearing aid, wherein the smartphone application processes sound collected from the microphone of the smartphone and transmits the sound to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do.

또한, 상기 청각보조부는 마이크버튼 및 안내문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aring aid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icrophone button and guidance text.

또한, 상기 청각보조부는 가공을 통해, 불필요한 소음을 제거하여 골전도음출력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aring aid unit removes unnecessary noise through processing and transmits it to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또한, 상기 청각보조부는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주변의 소리 중 100∼250Hz 범위의 소리를 증폭하고, 100∼250Hz 범위 밖의 소리는 감소시켜 골전도음출력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aring assistance unit amplifies sounds in the range of 100 to 250 Hz among the surrounding sounds collected through a microphone, and reduces sounds outside the range of 100 to 250 Hz and transmits them to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또한, 상기 청각보조부는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주변의 소리 중, 소음에 대한 반대 파형을 계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aring assistanc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lculates and outputs a waveform opposite to the noise among the surrounding sounds collected through the microphone.

본 발명에 따른 청각 보조 골전도 이어폰은 골전도음출력기기와, 골전도음출력기기에 무선 연결되며 마이크가 구비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에 설치되며 골전도음출력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되, 스마트폰의 마이크로부터 수음된 소리를 가공하여, 골전도음출력기기에 전달하는 청각보조부를 포함하여, 난청자의 청취를 도울 수 있다. The hearing aid bone conduction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microphone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and a smartphone application that is installed on the smartphone and controls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It can help people with hearing loss listen by including a hearing aid unit that processes sound collected from the smartphone's microphone and transmits it to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음출력기기가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음출력기기와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청각보조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돋보기보조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추가설정구성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martphone and a smartphone applica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a smartphone, and a smartphon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phone and a smartphon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ring assistance uni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gnifying glass auxiliary uni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dditional settings componen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and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shown as examples of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n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escrib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together with all equivalents to what those claims would assert if properly described. Similar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refer to identical or similar functions across various aspec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working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볼륨 조절 기능을 갖는 골전도 이어폰은 골전도 음을 출력하는 골전도음출력기기(100)와, 상기 골전도음출력기기(100)에 무선 연결되며 마이크(S-m)가 구비된 스마트폰(S) 및, 상기 스마트폰(S)에 포함되어 골전도음 출력 부재를 제어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00)을 포함한다.Bone conduction earphones with an automatic volum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that outputs bone conduction sound, and a smartphon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and equipped with a microphone (S-m). (S) and a smartphone application 200 included in the smartphone (S) to control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member.

상기 골전도음출력기기(100)는 진동을 발산하여 골전도음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110)와, 골전도음출력기기(100)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includes an output unit 110 capable of outputting bone conduction sound by emitting vibration, and a control unit 120 in charge of controlling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상기 출력부(100)는 골전도음을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100)는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코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코일에 가해지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자기장이 발생해 내부의 자성체가 진동하고, 진동판으로 전달되어 골전도음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출력부(100)는 고막이 아닌 뼈와 피부의 진동을 통해 소리를 전달하며, 일반적인 이어폰 등의 출력구조와는 다소 상이할 수 있다. 골전도의 방식은 특히 산업 현장에서 빛을 발하는 장점이 있는데, 이는 기존 이어폰/헤드셋은 외부 소음을 잘 차단하면 지시는 또렷하게 전달받을 수 있으나 외부 소음이 차단되다보니 안전 사고를 미처 감지하지 못해 휘말릴 위험이 있고, 반대로 외부 소음을 차단하지 못하면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게 수월해지나 지시를 또렷하게 받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는데, 골전도 헤드폰은 필요한 지시는 헤드폰으로 또렷하게 받으면서도 외부의 소음을 감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두 효과를 모두 잡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골전도는 고막이 아닌 뼈와 피부의 진동을 통해 내이로 전달하기 때문에 외이와 중이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도 소리를 들을 수 있다.The output unit 100 outputs bone conduction sound. The output unit 100 may include a bobbin with a hollow formed in the center and a coil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coil, the magnetic material inside vibrates, and the magnetic body vibrates, and the diaphragm It may be transmitted and output bone conduction sound. The output unit 100 transmits sound through vibration of bones and skin rather than the eardrum, and may b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output structure of general earphones, etc. The bone conduction method has an advantage that shines especially in industrial settings. This is because existing earphones/headsets can block external noise well, so instructions can be received clearly. However, since external noise is blocked, safety accidents cannot be detected and there is a risk of being involved. On the other hand, if you cannot block external noise, it becomes easi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but there is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receive instructions clearly. Bone conduction headphones prevent safety accidents by detecting external noise while still receiving necessary instructions clearly through the headphones. You can expect the effect of capturing both effects. Meanwhile, bone conduction transmits sound to the inner ear through vibrations of bones and skin rather than the eardrum, so even people with problems with the outer or middle ear can hear sound.

상기 제어부(120)는 골전도음출력기기(10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어라 함은 어떤 목적에 적합하도록 제어 대상에 필요한 조작을 가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어부란, 어떤 목적에 적합하도록 제어 대상에 필요한 조작을 가하는 것은 물론, 이를 수행하기 위한 부가적인 구성들 역시 포함된다.The control unit 12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Control refers to applying necessary operations to the object of control to suit a certain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not only applies the necessary manipulations to the object of control to suit a certain purpose, but also provides additional components to perform this. Included.

이에, 상기 제어부(120)는 스마트폰(S)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신호를 일정한 진동의 골전도음으로 변환하는 변환부(121), 스마트폰(S)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전달받을 수 있는 통신부(122), 골전도음출력기기(100)의 전원을 담당하는 전원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갖는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제어부(120)의 하부 구성을 상기 구성들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20 is connected wirelessly to the conversion unit 121, which converts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S) into bone conduction sound of constant vibration, and can transmit or receive data.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22 and a power supply unit 123 in charge of powering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In addition, elements with various functions may be included,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lower components of the control unit 120 to the above components.

한편, 상기 출력부(110)와, 제어부(12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출력부(110)와, 제어부(120)는 양 귀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가장 구체적으로 상기 출력부(110)와, 제어부(120)는 두 개씩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Meanwhile, the output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20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In more detail, the output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20 are formed adjacent to both ears. Most specifically, it is appropriate that the output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20 are formed in two pieces.

상기 제어부(120)는 제어부연결프레임(13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연결프레임(130)은 두상의 형태에 맞추어 라운드진 형태를 갖는 것이 적절하고, 두상의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나, 상기 제어부연결프레임(130)의 형상 및 재질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The control units 1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trol unit connection frame 130. It is appropriate that the control unit connection frame 130 has a rounded shape to match the shape of the head, and is made of a material with elasticity so that it can chang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head. In general, it is appropriate to use a synthetic resin material, but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control unit connection frame 130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또한,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부연결프레임(150)이 연장되어 출력부(110)와 연결된다. 상기 출력부연결프레임(150)은 상부로 휘어진 형태를 가지며, 일정구간 상승했다가 일정구간은 하강하는 형태를 갖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상기 출력부연결프레임(150)을 귓바퀴에 걸어 고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출력부연결프레임(150) 역시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나,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output unit connection frame 150 extends from the control unit 120 and is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110. The output unit connection frame 150 has a shape that is curved upward, and it is appropriate to have a shape that rises for a certain section and then descends for a certain section. This is to fasten the output connection frame 150 to the auricle. It is also appropriate to use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 the output connection frame 150,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한편, 제어부연결프레임(130)과 출력부연결프레임(150) 내부에는, 각각의 제어부(120)와 출력부(1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내부에 회선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제어부연결프레임(130)과 출력부연결프레임(150)은 내부의 회선을 외부의 경질의 재질을 통해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it would be desirable for a line to be provided inside the control unit connection frame 130 and the output unit connection frame 150 so as to connect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output unit 11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connection frame 130 and the output unit connection frame 150 serve to protect the internal line through an external hard material.

한편, 골전도음출력기기(100)를 통해, 골전도로 소리를 듣기 위해선, 귀로 들어오는 소리가 방해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골전도음출력기기(100)를 착용할때는 귀마개를 착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는, 골전도음출력기기(100) 자체에서 귀를 통해 들어오는 소음을 저감하는 방식을 채택할수도 있는데, 이는 출력부(110)의 일측에 에어커튼생성부(111)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에어커튼생성부(111)는 출력부(110)에 구비되되, 골전도음출력기기(100)를 착용하였을때, 귓구멍을 향하는 방향으로 에어커튼을 발산하는 것이 적절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커튼생성부(111)는 출력부(110)에 구비되되, 출력부(110)에서 제어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를 발산하는 것이 적절하다. 한편, 상기 에어커튼생성부(111)는 음향 출력을 위한 설비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소음과 반대되는 파형이 에어커튼 중의 기류로 출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소음과 반대되는 파형은 후술할 반대파형생성부(245)에서 제공받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일 실시 일뿐,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을 아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listen to sound through bone conduction through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the sound entering the ear may be disturbed. To prevent this, it is appropriate to wear earplugs when wearing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do. Alternatively,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itself may adopt a method of reducing noise coming through the ears, which involves installing an air curtain generator 111 on one side of the output unit 110. The air curtain generator 111 is provided in the output unit 110, and when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is worn, it is appropriate to emit the air curtai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ear hole. More specifically, the air curtain generator 111 is provided in the output unit 110, and it is appropriate to emit airflow in a direction from the output unit 110 toward the control unit 120. Meanwhile, the air curtain generator 111 may be equipped with equipment for sound output, and through this, a waveform opposite to the noise may be output as an airflow in the air curtain. The waveform opposite to this noise may be provided by the opposite waveform generator 24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is configuration is only one implementatio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it.

상기 골전도음출력기기(100)에는 다양한 버튼이 형성될 수 있는데, 출력부(110)에는 음악재생이나 통화 등을 실행 또는 작동하는 버튼이 형성될 수 있고, 제어부(120)에는 볼륨을 조절하거나, 골전도음출력기기(100)의 전원을 켜거나 끄는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의 위치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그 위치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Various buttons may be formed on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The output unit 110 may have a button for executing or operating music playback or a call, and the control unit 120 may have a button for controlling the volume, A button may be formed to turn on or off the power of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Since the location of these button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the loc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스마트폰(S)은 상기 골전도음출력기기(100)에 무선 연결되며 일측에 마이크(S-m)가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S-m)는 소리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이크(S-m)는 스마트폰(S)에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스마트폰(S)에 기본적으로 장착 되어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장 적절하게는, 스마트폰(S)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잉다. The smartphone (S)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and is equipped with a microphone (S-m) on one side. The microphone (S-m) serves to collect sound. The microphone (S-m) may be connected to the smartphone (S), or the microphone (S-m)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 the smartphone (S) may be used. Most appropriately, it would be desirable to use the one that is built into the smartphone (S).

상기 스마트폰(S)에는 골전도음 출력 부재를 제어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00)이 설치된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란, 기술, 시스템 및 제품 등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어플리케이션이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즉 응용프로그램의 줄임 말이다. 응용프로그램은 사용자 또는 어떤 경우에는 다른 응용프로그램에게, 특정한 기능을 직접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이다.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00)은 복수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다수의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A smartphone application 200 that controls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member is installed on the smartphone (S). Application refers to the use of technology, systems, and products. Application is short for application program, that is, application program. An application is a program designed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directly to the user or, in some cases, to another application. The smartphone application 200 may have multiple functions and can be converted to multiple screens.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00)은 골전도음 출력 부재를 제어하고, 그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00)은 청각보조부(210), 볼륨제어부(220), 돋보기보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설정을 위하여, 추가설정구성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martphone application 200 can control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member and perform various other functions. To this end, the smartphone application 200 may include a hearing auxiliary unit 210, a volume control unit 220, and a magnifying glass auxiliary unit 230. Additionally, for additional settings, an additional settings unit 240 may be included.

상기 청각보조부(210), 볼륨제어부(220), 돋보기보조부(230) 및 추가설정구성부(240)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00)의 일측 하단부에 작은 아이콘메뉴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The hearing assistant 210, volume control unit 220, magnifying glass assistant 230, and additional setting component 240 may be displayed as a small icon menu at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200.

한편,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00)은 내용표시부(2n0)가 넓은 영역 화면으로써 구비되는데, 상기 내용표시부(2n0)는 일측 하단부에 작은 아이콘메뉴로 표시된 청각보조부(210), 볼륨제어부(220), 돋보기보조부(230) 및 추가설정구성부(240)를 터치하면, 해당 구성들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영역이다. Meanwhile, the smartphone application 200 is equipped with a content display unit 2n0 as a large area screen, where the content display unit 2n0 includes a hearing aid unit 210 displayed as a small icon menu at the bottom of one side, a volume control unit 220, When the magnifying glass auxiliary unit 230 and the additional settings component 240 are touched, this is an area that displays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즉,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00)은 일측 하단부에 작은 아이콘메뉴로써, 청각보조부(210), 볼륨제어부(220), 돋보기보조부(230) 및 추가설정구성부(240)를 구비하며,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터치하면, 내용표시부(2n0)에, 청각보조부(210), 볼륨제어부(220), 돋보기보조부(230) 및 추가설정구성부(240)의 상세한 구성이 표시된다. That is, the smartphone application 200 is provided with a small icon menu at the bottom of one side, a hearing assistant 210, a volume control unit 220, a magnifying glass assistant 230, and an additional settings component 240, which of these When one is selected and touche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earing assistant 210, volume control unit 220, magnifying glass assistant 230, and additional setting component 240 is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unit 2n0.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00)은 스마트폰(S)의 마이크(S-m)로부터 수음된 소리를 가공하여, 골전도음출력기기(100)에 전달하는 청각보조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청각보조부(210)는 노년층을 위해 청각을 보조하고자 하는 것으로, 귀를 통한 소리의 청취가 어려운 노년층도 청각보조부(210)를 이용해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고, 골전도음출력기기(100)를 통해 소리를 들을 수 있게된다. The smartphone application 200 includes a hearing assistance unit 210 that processes sound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S-m) of the smartphone (S) and transmits it to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The hearing auxiliary unit 210 is intended to assist hearing for the elderly, and even elderly people who have difficulty hearing sound through their ears can collect surrounding sounds using the hearing auxiliary unit 210 and use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to collect sounds. You can hear sounds.

상기 청각보조부(210)는 마이크버튼(211) 및 안내문구(212)를 포함한다. The hearing aid unit 210 includes a microphone button 211 and a guide message 212.

상기 안내문구(212)는 "마이크버튼을 눌러주세요"와 같은 내용을 표시할 수 있으며, 안내문구(212)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청각보조부(210)의 마이크버튼(211)을 터치하면, 상기 청각보조부(210)는 스마트폰(S)의 마이크(S-m)를 작동하여, 주변의 소리를 수집한다.The guidance phrase 212 may display content such as “Please press the microphone button.” According to the guidance phrase 212, when the user touches the microphone button 211 of the hearing assistance unit 210, the The hearing assistance unit 210 operates the microphone (S-m) of the smartphone (S) and collects surrounding sounds.

또한, 상기 청각보조부(210)는 마이크(S-m)를 통해 수집된 주변의 소리를 바로 골전도음출력기기(100)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가공을 통해, 불필요한 소음을 제거 내지는 최소화하여 골전도음출력기기(100)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hearing assistance unit 210 does not directly transmit surrounding sounds collected through a microphone (S-m) to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but removes or minimizes unnecessary noise through specific processing to output bone conduction sound. It is transmitted to the device 100.

이에, 상기 청각보조부(210)는 마이크(S-m)를 통해 수집된 주변의 소리 중 사람의 목소리만을 취해, 골전도음출력기기(100)로 전달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청각보조부(210)는 마이크(S-m)를 통해 수집된 주변의 소리 중 사람의 목소리에 해당하는 100∼250Hz 범위의 소리를 증폭하고, 100∼250Hz 범위 밖의 소리는 감소시켜 골전도음출력기기(100)로 전달한다.Accordingly, the hearing assistance unit 210 takes only the human voice among the surrounding sounds collected through the microphone (S-m) and transmits it to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More specifically, the hearing assistance unit 210 amplifies sounds in the 100 to 250 Hz range corresponding to human voices among the surrounding sounds collected through a microphone (S-m), and reduces sounds outside the 100 to 250 Hz range to output bone conduction sound. It is transmitted to the device 100.

또한, 상기 청각보조부(210)는 마이크(S-m)를 통해 수집된 주변의 소리 중, 사람의 목소리 외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소음에 대한 반대 파형을 계산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hearing assistance unit 210 may calculate and output a waveform opposite to the noise in order to remove noise other than human voices among the surrounding sounds collected through the microphone (S-m).

이때, 상기 청각보조부(210)는 특정하게 반복되는 소음에 대해서는, 해당 파형의 유형을 미리 기억을 했다가, 해당 소음이 인식되면, 반대되는 파형을 바로 출력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소음을 제거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hearing assistant 210 memorizes the type of the corresponding waveform in advance for a specific repetitive noise, and when the noise is recognized, it uses a method of immediately outputting the opposite waveform to more effectively reduce the noise. You can also remove it.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00)은 주변 소음 크기에 따라 볼륨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볼륨제어부(220)를 포함한다.The smartphone application 200 includes a volume control unit 220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volume according to the level of surrounding noise.

상기 볼륨제어부(220)는 마이크(S-m)를 통해 수음된 주변 소음의 크기에 따라, 골전도음출력기기(100)에서 출력되는 골전도음 진동 크기를 조절하며, 기준볼륨대비조절된볼륨표시부(225, 미도시)를 통해, 조절된 볼륨 레벨을 표시한다.The volume control unit 220 adjusts the size of the bone conduction sound vibration output from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rrounding noise picked up through the microphone (S-m), and the volume display unit 225 adjusted compared to the reference volume. (not shown) displays the adjusted volume level.

상기 볼륨제어부(220)는, 마이크(S-m)를 통해 수음된 주변 소음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면, 골전도음출력기기(100)에서 출력되는 골전도음 볼륨 레벨을 증폭하고, 마이크(S-m)를 통해 수음된 주변 소음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으면, 골전도음출력기기(100)에서 출력되는 골전도음 볼륨 레벨을 감소시킨다. The volume control unit 220 amplifies the volume level of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from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when the size of the surrounding noise picked up through the microphone (S-m) is relatively large, and collects the sound through the microphone (S-m). If the size of the surrounding noise is relatively small, the bone conduction sound volume level output from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is reduced.

이때, 상기 볼륨제어부(220)는 볼륨 레벨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급속하게 조절하는것이 아니라, 볼륨을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증폭 또는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귀가 소리의 변화에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시간차를 두는 것으로, 예를들어, 볼륨 레벨을 5dB 감소시키는 경우, 1초 후 1dB 감소시키고, 2초 후 2dB 감소시키며, 최종적으로 5초 후 5dB 감소시키는 등 순차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을 택하여, 사용자의 귀가 소리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사운드 레벨을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과정에서, 마이크(S-m)를 통해 수음된 주변 소음 크기에 변화가 있을 경우, 이에 맞추어 조정해야 할 볼륨 레벨을 재설정 함으로써, 주변 소음 크기의 변화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도 있다. 또한, 마이크(S-m)를 통해 수음된 주변 소음 크기 변화에 따른 실시간 재설정을 통해, 사용자의 사운드 청취가 이질감없이 조절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volume control unit 220 may not adjust the volume level rapidly, but may sequentially amplify or decrease the volume over time. This is to leave a time difference so that the user's ears do not feel strange changes in sound. For example, when reducing the volume level by 5 dB, it decreases by 1 dB after 1 second, decreases by 2 dB after 2 seconds, and finally decreases by 5 dB after 5 seconds. By choosing a method of sequentially decreasing the sound, the user's ears can adapt to changes in sound. Meanwhile, in the process of gradually reducing the sound level, if there is a change in the level of surrounding noise picked up through the microphone (S-m), the volume level to be adjusted accordingly is reset to more actively cope with the change in the level of surrounding noise. It may be possible. In addition, it may have the advantage that the user's sound listening can be adjusted without any discomfort through real-time resetting according to changes in the level of ambient noise picked up through the microphone (S-m).

상기 볼륨제어부(220)에는 볼륨업버튼(221, 미도시) 및 볼륨다운버튼(222ㅍ)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볼륨업버튼(221) 및 볼륨다운버튼(222)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되는 음악 등의 사운드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The volume control unit 220 may be provided with a volume up button 221 (not shown) and a volume down button 222ㅍ. The user can use the volume up button 221 and the volume down button 222 to adjust the sound level of the currently playing music.

상기 볼륨제어부(220)는 볼륨조절부(223, 미도시), 멈춤버튼(224, 미도시) 및 현재소음레벨표시부(226,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volume control unit 220 may be provided with a volume control unit 223 (not shown), a stop button 224 (not shown), and a current noise level display unit 226 (not shown).

상기 볼륨조절부(223)는 원형의 그래프 형상을 가지며, 현재 출력중인 사운드의 레벨을 표시하며, 또는 사용자가 드래그하여 사운드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The volume control unit 223 has a circular graph shape and displays the level of the sound currently being output, or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level of the sound by dragging.

상기 멈춤버튼(224)은 외부 환경의 변화,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재생중인 사운드를 멈추고 싶을 때, 터치하여 사운드의 재생을 멈추도록 하는 구성이다. The stop button 224 is configured to stop sound playback by touching it when the user wants to stop the sound being played due to a change in the external environment or the user's intention.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00)은 돋보기보조부(230)를 포함한다. The smartphone application 200 includes a magnifying glass auxiliary unit 230.

상기 돋보기보조부(240)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이어폰을 사용하는 사용층의 연령대에 맞추어, 작은 글씨를 확인하기 어려운 노년층에게 돋보기 기능을 제공한다. The magnifying glass auxiliary unit 240 provides a magnifying glass function to the elderly who have difficulty reading small print in accordance with the age group of the user who uses the bone conduction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돋보기보조부(240)를 실행하면, 스마트폰(S)의 카메라를 작동하여, 사물을 표시한다.When the magnifying glass auxiliary unit 240 is executed, the camera of the smartphone S is operated to display an object.

상기 돋보기보조부(240)에는 확대 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크기까지 화면 내 사물을 확대할 수 있다. The magnifying glass auxiliary unit 240 is equipped with a magnification function and can magnify objects on the screen to an arbitrary size desired by the user.

또한,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00)은 추가설정구성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martphone application 200 may include an additional settings component 240.

상기 추가설정구성부(240)는 소음 제거 또는 음향 조정 등과 관련하여, 추가설정을 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씨리얼넘버 등을 입력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additional setting unit 240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additional settings in relation to noise removal or sound adjustment. Additionally, i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for inputting a serial number, etc.

이를 위해, 상기 추가설정구성부(240)는 제1추가설정부(241), 제2추가설정부(242), 제3추가설정부(243), 제4추가설정부(244), … , 제n추가설정부(24n)을 포함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additional setting unit 240 includes a first additional setting unit 241, a second additional setting unit 242, a third additional setting unit 243, a fourth additional setting unit 244, . , may include an nth additional setting unit (24n).

각각의 추가설정부에 대해서는 특정한 기능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Each additional setting un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unction, and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일 예시를 들자면, 상기 추가설정구성부(240)에는 반대파형생성부(245)가 구비될수도 있다. As an example, the additional setting unit 240 may be provided with an opposite waveform generator 245.

상기 반대파형생성부(245, 미도시)는, 청각보조부(210)의 기능을 돕는 것으로, 추가설정을 하는 제n추가설정부(24n) 중 하나이다. 상기 반대파형생성부(245)는 소음에대한 일정한 파형을 목록으로 저장하였다가, 마이크(S-m)를 통해 기저장된 목록의 소음이 인식될 경우, 해당 소음에 반대되는 파형을 골전도음출력기기(10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The opposite waveform generator 245 (not shown) assists the function of the hearing auxiliary unit 210 and is one of the nth additional setting units 24n that make additional settings. The opposite waveform generator 245 stores certain waveforms for noise in a list, and when a noise in the previously stored list is recognized through the microphone (S-m), the waveform opposite to the noise is generated by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100). ) ha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상기 반대파형생성부(245)는 일정한 파형을 목록으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반대파형생성부(245)는 제1파형선택버튼(2451, 미도시), 제2파형선택버튼(2452, 미도시), 제3파형선택버튼(2453, 미도시), 제4파형선택버튼(2454, 미도시), 제5파형선택버튼(2455, 미도시), …, 제n파형선택버튼(245n,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pposite waveform generator 245 stores certain waveforms in a list. For example, the opposite waveform generator 245 includes a first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1, not shown), a second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2, not shown), a third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3, not shown), and a third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3, not shown). 4th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4, not shown), 5th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5, not shown), … , may include an nth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n, not shown).

이때, 상기 반대파형생성부(245)에 저장되는 파형은 사용자가 직접 녹음하여 임의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고, 특정한 절차를 통해 다운로드 받는 것일 수도 있으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00)에 학습모델을 추가하여 스스로 학습하고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00)은 SmartFDC, T2_SPE, FDC_KNN 등 공지의 학습모델을 불러와 데이터를 학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학습모델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00)의 학습모델은 읽기 및 쓰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매번 생성되는 소음 파형에 대해 저장하는 등, 유사한 유형의 소음에 대해 스스로 갱신 학습하는 방식으로, 소음의 유형을 저장할 수도 있다. 물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200)의 학습모델은 최초에는 소음의 대표적인 유형을 저장하여, 기본적인 소음 유형의 틀을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At this time, the waveform stored in the opposite waveform generator 245 may be recorded directly by the user and stored arbitrarily, or may be downloaded through a specific procedure, or may be downloaded by adding a learning model to the smartphone application 200. It could be learning and saving. Accordingly, the smartphone application 200 can perform the role of learning data by loading known learning models such as SmartFDC, T2_SPE, and FDC_KNN, and can build learning model data. The learning model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200 can perform read and write functions, and can also store the type of noise by automatically updating and learning about similar types of noise, such as storing the noise waveform generated each time. there is. Of course, it is appropriate that the learning model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200 initially stores representative types of noise to form a framework of basic noise types.

예컨데, 상기 반대파형생성부(245)의 제1파형선택버튼(2451)은 사람음성일 수도 있으며, 제2파형선택버튼(2452)은 자동차소리일 수 있고, 제3파형선택버튼(2453)은 기계음일 수 있으며, 제4파형선택버튼(2454)은 또 다른 기계음일 수 있고, 제5파형선택버튼(2455)은 일정한 마찰음일 수 있다. 이렇듯 상기 제n파형선택버튼(245n)은 저감하고자하는 특정소음의 파형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1 of the opposite waveform generator 245 may be a human voice, the second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2 may be a car sound, and the third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3 may be a car sound. It may be a mechanical sound, the fourth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4 may be another mechanical sound, and the fifth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5 may be a certain friction sound. In this way, the nth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n may store the waveform of a specific noise to be reduced.

사용자는 제1파형선택버튼(2451), 제2파형선택버튼(2452), 제3파형선택버튼(2453), 제4파형선택버튼(2454), 제5파형선택버튼(2455), …, 제n파형선택버튼(245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The user uses the first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1), the second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2), the third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3), the fourth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4), the fifth waveform selection button (2455), … , noise can be reduced by selecting one or more of the nth waveform selection buttons (245n).

또한, 상기 반대파형생성부(245)에는 모두선택버튼(245a)이 구비되어 모든 소음을 선택하는 기능이 구비될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opposite waveform generator 245 may be provided with an all selection button 245a to have the function of selecting all noise.

이때, 상기 반대파형생성부(245)는 반대 파형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급속하게 조절하는것이 아니라, 반대 파형을 단계적으로 증폭 또는 감소시키며 출력하는 것 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귀가 소리의 변화에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시간차를 두는 것으로, 예를들어, 반대 파형을 5dB 출력하는 경우, 1초 후 1dB 출력하고, 2초 후 2dB 출력하며, 최종적으로 5초 후 5dB 출력하는 등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방법을 택하여, 사용자의 귀가 소리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반대 파형을 단계적으로 출력하는 과정에서, 마이크(S-m)를 통해 수음된 주변 소음 크기에 변화가 있을 경우, 이에 맞추어 출력해야 할 반대 파형의 사운드 레벨을 재설정 함으로써, 주변 소음 크기의 변화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도 있다. 또한, 마이크(S-m)를 통해 수음된 주변 소음 크기 변화에 따른 반대 파형의 사운드 레벨 실시간 재설정을 통해, 사용자의 사운드 청취가 이질감 없이 조절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도 있다. At this time, in outputting the opposite waveform, the opposite waveform generator 245 may not rapidly adjust the opposite waveform, but may output the opposite waveform by amplifying or decreasing it step by step. This is to set a time difference so that the user's ears do not feel any discomfort in the change in sound. For example, when outputting 5dB of the opposite waveform, 1dB is output after 1 second, 2dB is output after 2 seconds, and finally 5dB is output after 5 seconds. By choosing a sequential output method, such as, the user's ears can adapt to changes in sound. Meanwhile, in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opposite waveform step by step, if there is a change in the level of surrounding noise picked up through the microphone (S-m), the sound level of the opposite waveform to be output is reset accordingly, making it more responsive to changes in the size of surrounding noise. You can also deal with it proactively. In addition, it may have the advantage that the user's sound listening can be adjusted without any sense of heterogeneity by resetting the sound level of the opposite waveform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surrounding noise picked up through the microphone (S-m).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only one example among various embodiments includ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ten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by change, substitution, substitution, etc.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bject to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cluded In addition, it is clarified that some of the configurations in the drawings are provided in an exaggerated or reduced form compared to the actual figure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more clearly.

S: 스마트폰
100: 골전도음출력기기
200: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S: Smartphone
100: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200: Smartphone application

Claims (5)

골전도 음을 출력하는 골전도음출력기기와, 상기 골전도음출력기기에 무선 연결되며 마이크가 구비된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에 포함되어 골전도음 출력 부재를 제어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의 마이크로부터 수음된 소리를 가공하여, 골전도음출력기기에 전달하는 청각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조 골전도 이어폰.
It includes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that outputs bone conduction sound, a smartphon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and equipped with a microphone, and a smartphon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smartphone to control the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member,
The smartphone application is a hearing aid bone conduction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earing assistance unit that processes the sound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of the smartphone and transmits it to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보조부는 마이크버튼 및 안내문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조 골전도 이어폰.
According to paragraph 1,
Hearing assistance bone conduction earpho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ring assistance unit includes a microphone button and an information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보조부는 가공을 통해, 불필요한 소음을 제거하여 골전도음출력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조 골전도 이어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earing assistance bone conduction earpho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ring assistance unit removes unnecessary noise through processing and transmits it to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보조부는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주변의 소리 중 100∼250Hz 범위의 소리를 증폭하고, 100∼250Hz 범위 밖의 소리는 감소시켜 골전도음출력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조 골전도 이어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earing aid unit amplifies sounds in the 100-250 Hz range among the surrounding sounds collected through a microphone, reduces sounds outside the 100-250 Hz range, and transmits them to a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보조부는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주변의 소리 중, 소음에 대한 반대 파형을 계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조 골전도 이어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earing assistance bone conduction earpho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ring assistance unit calculates and outputs a waveform opposite to the noise among the surrounding sounds collected through the microphone.
KR1020220073431A 2022-06-16 2022-06-16 Hearing-Assisted Bone Conduction Earphones KR202301728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431A KR20230172803A (en) 2022-06-16 2022-06-16 Hearing-Assisted Bone Conduction Earpho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431A KR20230172803A (en) 2022-06-16 2022-06-16 Hearing-Assisted Bone Conduction Earpho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803A true KR20230172803A (en) 2023-12-26

Family

ID=8932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431A KR20230172803A (en) 2022-06-16 2022-06-16 Hearing-Assisted Bone Conduction Earphon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80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217B1 (en) 2010-03-19 2014-04-17 메아리소닉코리아 주식회사 Bone conductive head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217B1 (en) 2010-03-19 2014-04-17 메아리소닉코리아 주식회사 Bone conductive head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0374B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s configured to detect and provide protection to the user from harmful conditions
US20150319546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KR101457928B1 (en) On-site, custom fitted hearing equalizer
US75649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mersive simulation of hearing loss and auditory prostheses
EP3182721A1 (en) Controlling own-voice experience of talker with occluded ear
EP3439316A1 (en) Sound reproducing device
US20060002574A1 (en) Canal hearing device with transparent mode
US20110028777A1 (en) Frequency altered feedback for treating non-stuttering pathologies
EP3095252A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KR20130133790A (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with hearing support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JP6400796B2 (en) Listening assistance device to inform the wearer's condition
DK201770606A1 (en) An occlusion conrol system for a hearing instrument and a hearing instrument
WO2016167877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s configured to detect and provide protection to the user harmful conditions
AU2010347009B2 (en) Method for training speech recognition, and training device
KR20230172803A (en) Hearing-Assisted Bone Conduction Earphones
ES2795058T3 (en) Method for selecting and custom fitting a hearing aid
US9204226B2 (en) Method for adjusting a hearing device as well as an arrangement for adjusting a hearing device
KR20230172804A (en) Bone conduction earphone with noise reduction function
KR20230172802A (en) Bone conduction earphones with automatic volume control
JP3938322B2 (en) Hearing aid adjustment method and hearing aid
CN209951556U (en) Hearing auxiliary rehabilitation system
WO2023210452A1 (en) Hearing device, ear piece, program, and control method
CN219353890U (en) Health monitoring and hearing assisting device
Dillon et al. Hearing Aids and Auditory Rehabilitation
JP2018019385A (en) Binaural hearing-cum-recording/playback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