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778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778A
KR20230172778A KR1020220073370A KR20220073370A KR20230172778A KR 20230172778 A KR20230172778 A KR 20230172778A KR 1020220073370 A KR1020220073370 A KR 1020220073370A KR 20220073370 A KR20220073370 A KR 20220073370A KR 20230172778 A KR20230172778 A KR 20230172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unit
change
display device
time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3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778A/ko
Priority to US17/815,124 priority patent/US20230410737A1/en
Priority to EP22187384.7A priority patent/EP4293651A1/en
Publication of KR20230172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정지 영상에 일정 시간 동안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정지 영상의 휘도를 디폴트 피크 휘도로 낮추는 휘도 제어 기능을 온 시키고, 상기 휘도 제어 기능이 온 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된 경우, 상기 휘도 제어 기능을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그 중,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이하, OLED 표시 장치라 함)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OLED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이다. 유기 발광 소자는 자체 발광 소자이기 때문에, OLED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가 필요한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해 소비 전력이 낮고, 얇게 제작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OLED 표시 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응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시간 피크 휘도 제어(Temporal Peak luminance Control, 이하 TPC) 기능은 잔상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정지 영상이 장시간 표시되면, 화면의 휘도가 자동으로 대폭 낮아짐으로써, 잔상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이다.
OLED 표시 장치는 시간 피크 휘도 제어의 기능이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TPC 기능은 휘도가 대폭 낮아짐에 따라 자주 변하지 않는 영상의 시청 시, 화면이 어두어지고 원래의 휘도대로 쉽게 회복되지 않아, 사용자의 시청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본 개시는 사용자가 작업 중인 상태를 감지하여 휘도를 낮추는 휘도 제어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는 마우스 움직임이나 문서 작업 중 TPC 기능 유지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정지 영상에 일정 시간 동안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정지 영상의 휘도를 디폴트 피크 휘도로 낮추는 휘도 제어 기능을 온 시키고, 상기 휘도 제어 기능이 온 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된 경우, 상기 휘도 제어 기능을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정지 영상을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정지 영상에 일정 시간 동안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정지 영상의 휘도를 디폴트 피크 휘도로 낮추는 휘도 제어 기능을 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휘도 제어 기능이 온 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된 경우, 상기 휘도 제어 기능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문서 작업 패턴 또는 마우스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여 따라 TPC 기능을 오프시켜 사용자가 PC 작업을 하는데 방해를 주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하게 화면의 휘도가 어두어져 사용자의 작업 환경에 방해가 일어남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유기발광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문서 작업 패턴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마우스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TPC 기능이 온 된 후, 디폴트 피크 휘도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스크린 세이버 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PC의 스크린 세이버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TPC 기능이 온 된 상태에서 블록의 변화가 발생되어도 TPC 기능을 오프하지 않는 예외적인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다양한 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는, 액정표시패널(LCD 패널),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 무기발광패널(LED 패널)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가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부(180)는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이 아닌 다른 패널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니터, TV, 태블릿 PC, 이동 단말기 등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authenticated)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31) 또는 복조부(132)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3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3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3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포맷터(360)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 / 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a의 (b)), 앞뒤(도 4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0), 사용자 입력부(430),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0)가 조작되거나 무선통신부(42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통신부(4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41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41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포인터(205)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송된다.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패널 기반의 디스플레이부(180)는, 패널(210), 제1 인터페이스부(230), 제2 인터페이스부(231), 타이밍 컨트롤러(232), 게이트 구동부(234), 데이터 구동부(236), 메모리(240), 프로세서(270), 전원 공급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영상 신호(Vd)와, 제1 직류 전원(V1) 및 제2 직류 전원(V2)을 수신하고, 영상 신호(Vd)에 기초하여,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제1 인터페이스부(230)는, 제어부(170)로부터 영상 신호(Vd)와, 제1 직류 전원(V1)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류 전원(V1)은,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전원 공급부(290), 및 타이밍 컨트롤러(232)의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제2 인터페이스부(231)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제2 직류 전원(V2)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직류 전원(V2)은,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데이터 구동부(236)에 입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영상 신호(Vd)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부(230)가 입력되는 영상 신호(Vd)를 변환하여 변환된 영상 신호(va1)를 출력하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변환된 영상 신호(va1)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를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제어부(170)로부터의 비디오 신호(Vd)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비디오 신호(Vd)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234)의 동작을 위한 게이트 구동 신호(Sga), 데이터 구동부(236)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구동 신호(Sda)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의 데이터 구동 신호(Sda)는, 패널(210)이 RGBW의 서브픽셀을 구비하는 경우, RGBW 서브픽셀 구동용 데이터 구동 신호일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게이트 구동부(234)에 제어 신호(Cs)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는, 타이밍 컨트롤러(232)로부터의 게이트 구동 신호(Sga), 데이터 구동 신호(Sda)에 따라, 각각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주사 신호 및 영상 신호를 패널(21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패널(210)은 소정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패널(210)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유기 발광층에 대응하는 각 화소에,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구동부(236)는, 제2 인터페이스부(231)로부터의 제2 직류 전원(V2)에 기초하여, 패널(210)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각종 전원을,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 타이밍 컨트롤러(232) 등에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 타이밍 컨트롤러(232)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유기발광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는, 패널(210) 내의 픽셀(Pixel)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패널(210)은 유기발광패널일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패널(210)은, 복수의 스캔 라인(Scan 1 ~ Scan n)과, 이에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R1, G1, B1, W1 ~ Rm, Gm, Bm, Wm)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패널(210) 내의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픽셀(pixel)이 정의된다. 도면에서는, RGBW의 서브픽셀(SPr1, SPg1, SPb1, SPw1)을 구비하는 픽셀(Pixel)을 도시한다.
도 6a에서는, 하나의 픽셀에 RGBW의 서브픽셀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픽셀에 RGB의 서브픽셀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픽셀의 소자 배열 방식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6b은, 도 6a의 유기발광패널의 픽셀(Pixel) 내의 어느 하나의 서브픽셀(sub pixel)의 회로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서브픽셀(sub pixel) 회로(CRTm)는, 능동형으로서, 스캔 스위칭 소자(SW1), 저장 커패시터(Cst), 구동 스위칭 소자(SW2), 유기발광층(OLED)을 구비할 수 있다.
스캔 스위칭 소자(SW1)는, 게이트 단자에 스캔 라인(Scan Line)이 접속되어, 입력되는 스캔 신호(Vscan)에 따라 턴 온하게 된다. 턴 온되는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Vdata)를 구동 스위칭 소자(SW2)의 게이트 단자 또는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으로 전달하게 된다.
저장 커패시터(Cst)는, 구동 스위칭 소자(SW2)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 레벨과, 저장 커패시터(Cst)의 타단에 전달되는 직류 전원(Vdd) 레벨의 소정 차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가, PAM(Plu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레벨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다른 예로, 데이터 신호가 PWM(Plu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펄스폭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구동 스위칭 소자(SW2)는,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원 레벨에 따라 턴 온된다. 구동 스위칭 소자(SW2)가 턴 온하는 경우, 저장된 전원 레벨에 비례하는, 구동 전류(IOLED)가 유기발광층(OLED)에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층(OLED)은 발광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유기발광층(OLED)은, 서브픽셀에 대응하는 RGBW의 발광층(EML)을 포함하며, 정공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정공 저지층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브픽셀(sub pixel)은, 유기발광층(OLED)에서 모두 백색의 광을 출력하나, 녹색, 적색, 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색상 구현을 위해, 별도의 컬러필터가 구비된다. 즉, 녹색, 적색, 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각각 녹색, 적색, 청색 컬러필터를 더 구비한다. 한편, 백색 서브픽셀의 경우, 백색광을 출력하므로, 별도의 컬러필터가 필요 없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스캔 스위칭 소자(SW1)와 구동 스위칭 소자(SW2)로서, p타입의 MOSFET인 경우를 예시하나, n타입의 MOSFET이거나, 그 외, JFET, IGBT, 또는 SIC 등의 스위칭 소자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화면의 휘도는 영상의 휘도와 같은 개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정지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한다(S701).
일 실시 예에서 정지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반한 영상일 수 있다. 정지 영상은 외부 기기가 표시하고 있는 영상일 수 있다.
외부 기기는 PC, 노트북 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정지 영상은 PC에서 입력된 영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정지 영상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영상이 아닌 자체적으로 출력하는 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정지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S703).
일 실시 예에서 일정 시간은 2분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제어부(170)는 정지 영상의 APL을 측정하고, 측정된 APL의 변화가 기 설정된 비율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비율은 0.4% 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제어부(170)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화면의 휘도를 디폴트 피크 휘도로 낮추는 시간 피크 휘도 제어(Temporal Peak Luminance Control, TPC) 기능을 온 시킨다(S705).
일 실시 예에서 디폴트 피크 휘도는 75nit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수치이다.
제어부(170)는 TPC 기능의 활성화를 위해 현재 화면의 휘도를 디폴트 피크 휘도로 낮추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패널(210)이 출력하는 휘도가 디폴트 피크 휘도가 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들 각각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정지 영상의 평균 화상 레벨(Average Picture Level, APL)을 측정하고, 일정 시간 동안 측정된 APL의 변화가 기 설정된 비율 미만인 경우, TPC 기능을 온 시킬 수 있다. 기 설정된 비율은 0.4% 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제어부(170)는 TPC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07).
일 실시 예에서 기 설정된 패턴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PC의 화면 상에서 수행하는 작업 패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 설정된 패턴은 문서 작업 패턴, 마우스 움직임 패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문서 작업 패턴은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된 문서 작업 창을 통해 텍스트가 작성되고 있는 패턴일 수 있다.
마우스 움직임 패턴은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된 마우스 커서의 움직임 패턴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마우스 움직임 패턴 또는 문서 작업 패턴이 감지된 경우, TPC 기능의 해제를 위한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정지 영상이 표시 중인 상태에서, 마우스 움직임 패턴 또는 문서 작업 패턴이 감지된 경우, TPC 기능의 해제(또는 오프)를 위한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된 경우, TPC 기능을 오프 시킨다(S709).
제어부(170)는 정지 영상이 표시 중인 상태에서, 마우스 움직임 패턴 또는 문서 작업 패턴이 감지된 경우, TPC 기능을 오프 시킬 수 있다.
제어부(170)는 TPC 기능을 오프시킨 후, 정지 영상의 원래 피크 휘도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문서 작업 패턴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 각각은 도 7의 단계 S707에서 기 설정된 패턴이 문서 작업 패턴임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은 기 설정된 개수의 블록들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의 블록은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의 일부에 대응될 수 있다. 이미지 프레임의 일부는 블록 이미지 프레임으로 명명될 수 있다.
기 설정된 개수는 10개 또는 30개일 수 있다.
이하에서, 화면은 10개의 블록들로 구분됨을 가정한다.
또한, N-1 시간 주기, N 시간 주기, N+1 시간 주기는 단위 시간 주기로, 30 개의 이미지 프레임이 출력되기까지 걸리는 시간 주기를 나타낼 수 있다. 단위 시간 주기는 1초일 수 있으나, 예시에 불과하다.
도 8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N-1 시간 주기 동안 제1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고,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801).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단위 시간 동안 출력되는 30 개의 이미지 프레임들이 출력되는 동안 해당 블록에 상응하는 블록 이미지 프레임의 변경이 한 번 이상이 일어나는 경우, 블록의 변화가 존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블록 이미지 프레임과 제1 블록 이미지 프레임을 뒤따르는 제2 블록 이미지 프레임이 서로 다른 경우, 블록 이미지 프레임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단위 시간 동안 출력되는 30 개의 이미지 프레임들이 출력되는 동안 해당 블록에 상응하는 블록 이미지 프레임의 변경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N-1 시간 주기 동안 제1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고,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하는 경우, N 시간 주기 동안 제1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하고,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803).
한편, N-1 시간 주기 동안 제1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고,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 이외의 경우에는 단계 S705에 따라 TPC 기능의 온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N 시간 주기 동안 제1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하고,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TPC 기능을 오프시킨다(S709).
다음으로 도 8b를 설명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N-1 시간 주기 동안 제1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고,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811).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단위 시간 동안 출력되는 30 개의 이미지 프레임들이 출력되는 동안 해당 블록에 상응하는 블록 이미지 프레임의 변경이 한 번 이상이 일어나는 경우, 블록의 변화가 존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단위 시간 동안 출력되는 30 개의 이미지 프레임들이 출력되는 동안 해당 블록에 상응하는 블록 이미지 프레임의 변경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N-1 시간 주기 동안 제1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고,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하는 경우, N 시간 주기 동안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813).
이는 문서의 타이핑 과정에서 타이핑된 문자가 제1 블록 및 제2 블록에 겹쳐서 표시되는 상황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70)는 N 시간 주기 동안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N+1 시간 주기 동안 제1 블록의 변화가 미존재하고,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815).
제어부(170)는 N+1 시간 주기 동안 제1 블록의 변화가 미존재하고,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TPC 기능을 오프시킨다(S709).
이하에서는 보다 문서 작업 패턴을 감지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된 문서 작업 창(900)이 도시되어 있다.
문서 작업 창(9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반한 창일 수 있다.
문서 작업 창(900)은 복수의 블록들(#1 내지 #10)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각 블록은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문서 작업 창(900)은 하나의 정지 영상일 수 있다.
사용자는 문서 작업 창(900)에 타이핑을 통해 좌에서 우 방향으로 텍스트 입력을 하고, 입력된 텍스트(910)가 문서 작업 창(900)에 표시될 수 있다.
텍스트(910)는 3개의 줄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2 내지 제 7 블록들(#2 내지 #7)에 대해서만, 타이핑이 이루어져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각 블록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10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래프(1000)의 가로축은 시간 축이고, 시간 축의 하나의 간격은 단위 시간 주기일 수 있다. 그래프(1000)의 세로축은 문자의 타이핑 여부 나타낼 수 있다. 타이핑 여부는 1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제어부(170)는 타이핑이 일어난 경우, 즉 사용자의 타이핑에 따라 문자가 입력된 경우, 해당 블록에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N-1 시간 주기 동안 제2 블록(#2)에는 9번의 타이핑이, 제3 블록(#3)에는 0번의 타이핑이 있었다. 제3 블록(#3)은 제2 블록(#2)의 우측에 인접한 블록일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N-1 시간 주기 동안 제2 블록(#2)에는 9번의 변화가 발생되었고, 제3 블록(#3)에는 0번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N 시간 주기 동안 제2 블록(#2)에는 0번의 타이핑이, 제3 블록(#3)에는 10번의 타이핑이 있었다.
즉, 제어부(170)는 N 시간 주기 동안 제2 블록(#2)에는 0번의 변화가 발생되었고, 제3 블록(#3)에는 10번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N-1 시간 주기 동안 제2 블록(#2)에 변화가 있고, 제2 블록(#2)과 인접한 제3 블록(#3)에는 변화가 없고, N 시간 주기 동안 제2 블록(#2)에 변화가 없고, 제3 블록(#3)에는 변화가 있는 경우, 문서 작업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도 8a의 실시 예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문서 작업 패턴이 감지된 경우, TPC 기능을 오프시켜 문서 작업 창(1000)의 원래 휘도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서 작업 창(900)이 정지 영상으로 인식되지 않아, TPC 기능이 오프되어 문서 작업 중 화면이 어두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블록(#3)과 제4 블록(#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 블록(#4)은 제3 블록(#)의 우측에 인접한 블록일 수 있다.
N-1 시간 주기 동안 제3 블록(#3)에는 10번의 타이핑이, 제4 블록(#4)에는 0번의 타이핑이 있었다.
즉, 제어부(170)는 N-1 시간 주기 동안 제3 블록(#3)에는 10번의 변화가 발생되었고, 제4 블록(#4)에는 0번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N 시간 주기 동안 제3 블록(#3)에는 8번의 타이핑이, 제4 블록(#4)에는 3번의 타이핑이 있었다.
즉, 제어부(170)는 N 시간 주기 동안 제3 블록(#3)에는 8번의 변화가 발생되었고, 제4 블록(#4)에는 3번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N+1 시간 주기 동안 제3 블록(#3)에는 0번의 타이핑이, 제4 블록(#4)에는 10번의 타이핑이 있었다.
즉, 제어부(170)는 N+1 시간 주기 동안 제3 블록(#3)에는 변화가 없고, 제4 블록(#4)에는 10번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N-1 시간 주기 동안 제3 블록(#3)에 변화가 있고, 제3 블록(#3)과 인접한 제4 블록(#4)에는 변화가 없고, N 시간 주기 동안 제3 블록(#3) 및 제4 블록(#4)에 변화가 있고, N+1 시간 주기 동안 제3 블록(#3)에 변화가 없고, 제4 블록(#4)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문서 작업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도 8b의 실시 예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문서 작업 패턴이 감지된 경우, TPC 기능을 오프시켜 문서 작업 창(1000)의 원래 휘도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TPC 기능이 온 된 상태에서, 문서 작업 패턴이 감지된 경우, TPC 기능을 온에서 오프로 변경시켜, 원래의 휘도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서 작업 창(900)이 정지 영상으로 인식되지 않아, TPC 기능이 오프되어 문서 작업 중 화면이 어두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마우스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단계 S707에서 기 설정된 패턴이 마우스 움직임 패턴임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들 중 제1 블록의 변화량이 N 시간 주기 동안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101).
N 시간 주기는 단위 시간 주기로, 1초일 수 있으나, 예시에 불과하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N 시간 주기 동안 제1 블록에 상응하는 블록 이미지 프레임의 변경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블록의 변화량은 단위 시간 동안 해당 블록에 상응하는 블록 이미지 프레임이 변경된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단위 시간 동안 30개의 이미지 프레임들이 출력되는 과정에서, 해당 블록에 상응하는 블록 이미지 프레임이 변경된 횟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 결과를 블록의 변화량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N 시간 주기 동안 제1 블록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인 경우,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량이 N+1 시간 주기 동안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103).
즉, 제어부(170)는 N 시간 주기를 뒤 따르는 N+1 시간 주기 동안 제1 블록에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N+1 시간 주기 동안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인 경우, 마우스 움직임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고, TPC 기능을 오프시킨다(S709).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N+1 시간 주기 동안 제1 블록의 변화량이 감지되지 않고, 제2 블록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인 경우, 마우스 움직임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된 정지 영상(1200)이 도시되어 있다.
정지 영상(1200)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PC의 바탕 화면 영상일 수 있다.
정지 영상(1200) 상에는 마우스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마우스 커서(1201)가 되어 있다.
정지 영상(1200)을 구성하는 화면은 총 10개의 블록(#0 내지 #9)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단위 시간 주기 동안 특정 블록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이고, 다음 단위 시간 주기 동안 특정 블록에 직접 인접한 블록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인 경우, 마우스 움직임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마우스 움직임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TPC 기능을 오프시킬 수 있다. 정지 영상(1200)이 표시되더라도 마우스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라면, 사용자가 PC 상에서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화면의 밝기를 어둡게 낮추지 않기 위함이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도 12의 정지 영상은 PC에서 입력된 영상이 아닌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표시하는 영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위 시간 주기 동안 특정 블록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이고, 다음 단위 시간 주기 동안 특정 블록에 직접 인접한 블록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인 경우, 커서 움직임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서 움직임 패턴이 감지된 경우, TPC 기능을 오프시킬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 블록에서 발생되는 변화량을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각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 축이고, 시간 축의 하나의 간격은 단위 시간 주기일 수 있다. 각 그래프의 세로축은 각 블록에서 변화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변화의 발생 여부는 1 또는 0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3a의 제1 그래프(13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PC의 마우스 움직임이 빠른 속도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b의 제2 그래프(13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PC의 마우스 움직임이 보통 속도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어부(170)는 단위 시간 주기 동안 특정 블록의 프레임 변경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이고, 다음 단위 시간 주기 동안 특정 블록에 인접한 인접 블록의 프레임 변경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마우스 움직임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단위 시간 주기 동안 특정 블록의 프레임 변경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이고, 다음 단위 시간 주기 동안 특정 블록의 프레임의 변경이 미 존재하고, 인접 블록의 프레임 변경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마우스 움직임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우스 커서가 이동됨에 따라 다음 단위 시간 주기에는 특정 블록의 프레임 변경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마우스 움직임 패턴이 감지됨에 따라 TPC 기능을 오프시켜 사용자가 PC 작업을 하는데 방해를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TPC 기능이 온 된 후, 기 설정된 패턴의 감지에 따라 TPC 기능이 오프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IDLE 구간(waiting 구간) 동안 정지 영상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IDLE 구간 동안 정지 영상의 APL 변화량이 0.4% 미만인 경우, TPC 기능을 온 시킬 수 있다. TPC 기능이 온 됨에 따라 정지 영상의 입력 피크 휘도는 디플토 피크 휘도로 점차 떨어질 수 있다. 정지 영상의 휘도는 입력 피크 휘도로부터 감쇄 구간(예를 들어, 4분 30초) 동안 떨어져 디폴트 피크 휘도에 도달할 수 있다.
그 후, 정지 영상의 휘도가 디폴트 피크 휘도가 유지되다가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되거나, 영상이 전환되면, TPC 기능이 오프될 수 있다. 영상 전환에 따라 휘도는 0.3초에 걸쳐 입력 피크 휘도에 도달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TPC 기능이 온 된 후, 디폴트 피크 휘도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스크린 세이버 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TPC 기능이 온 됨에 따라 정지 영상의 휘도는 디폴트 피크 휘도에 도달할 수 있다. 정지 영상의 휘도가 20분 동안 디폴트 피크 휘도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스크린 세이버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스크린 세이버 기능은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을 오프하거나, 디스플레이부(180)에 최소한 전력을 제공하여, 화면을 보호하는 기능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스크린 세이버의 기능 실행 후,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되면, 화면을 온 시키고, TPC 기능을 오프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PC의 스크린 세이버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OLED 디스플레이의 케어를 위한 패널 케어 메뉴(1600)를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패널 케어 메뉴(1600)는 PC 스크린 세이버 항목(1610)을 포함할 수 있다.
PC 스크린 세이버 항목(16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PC가 연결된 경우, 설정한 시간 동안 화면이 정지되어 있으면, 화면 보호 기능이 동작함을 가이드 하는 항목일 수 있다.
PC 스크린 세이버 항목(1610)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PC 스크린 세이버 기능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 설정 메뉴(1630)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시간 설정 메뉴(1630) 이외에 PC 스크린 세이버의 기능을 설명하는 말풍선(1650)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TPC 기능이 온 된 상태에서 블록의 변화가 발생되어도 TPC 기능을 오프하지 않는 예외적인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d에서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1700)은 정사각형 형태의 총 30개의 블록들로 구분됨을 가정한다.
먼저, 도 17a를 설명한다.
화면(1700)에는 로딩 영상(1711)이 표시될 수 있다. 로딩 영상(1711)은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프로그램의 창 또는 웹 페이지의 창이 열리기까지 대기 중 표시되는 영상이다. 로딩 영상(1711)은 대기 중임을 나타내도록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TPC 기능이 온 된 상태에서 단위 시간 주기 또는 복수의 단위 시간 주기들 동안 복수의 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블록(로딩 영상이 표시된 블록)에 변화가 발생된 경우,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일부 블록에 변화가 발생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상황을 감지함에 따라 TPC 기능을 오프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b를 설명한다.
화면(1700)에는 영상의 녹화 중임을 나타내는 녹화 버튼(1721)이 표시될 수 있다. 녹화 버튼(1721)는 영상의 녹화 중 동안 깜박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TPC 기능이 온 된 상태에서 단위 시간 주기 동안 또는 복수의 단위 시간 주기들 동안 복수의 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블록(녹화 버튼이 표시된 블록)에 변화가 발생된 경우,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c를 설명한다.
화면(1700)는 웹 사이트 영상이 표시되어 있고, 웹 사이트 영상은 날씨 배너(1731)를 포함할 수 있다. 날씨 배너(1731)는 온도나 날씨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날씨 배너(1731)가 표시된 3개의 블록들이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경우, TPC 기능을 오프시키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날씨 배너(1731)가 표시된 3개의 블록들이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경우,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d를 설명한다.
화면(1700)는 웹 사이트 영상이 표시되어 있고, 웹 사이트 영상은 날씨 배너(1731) 및 증권 배너(1733)를 포함할 수 있다.
증권 배너(1733)는 증권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날씨 배너(1731)와 마찬가지로 증권 배너(1733) 또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날씨 배너(1731)가 표시된 3개의 블록들 및 증권 배너(1733)가 표시된 3개의 블록들이 주기적으로 변경된 경우,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상황을 감지하여 불필요하게 TPC 기능이 오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여준다.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샤프트(103) 및 스탠드 베이스(105)가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10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스탠드 베이스(105)를 이어줄 수 있다. 샤프트(103)는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103)의 하단은 스탠드 베이스(105)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103)의 하단은 스탠드 베이스(105)의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샤프트(103)는 스탠드 베이스(105)에 대해 수직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103)의 상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스탠드 베이스(10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샤프트(103) 및 스탠드 베이스(10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샤프트(103)의 상부와 디스플레이(180)의 후면이 맞닿은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9a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로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부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고, 도 19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가 파셜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부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고, 도 19c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가 풀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부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제로뷰 모드(zero view mode)는, 디스플레이부(180) 전체가 하우징(183)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로뷰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 전체가 하우징(183)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피커 모드로 동작할 경우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로뷰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원 오프될 경우 디스플레이부(180)를 제로뷰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로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부(180)의 모든 영역에 컨텐트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로뷰 모드일 때 오프될 수 있다.
파셜뷰 모드(partial view mode)는, 디스플레이부(180) 중 일부가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셜뷰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 중 일부가 하우징(183) 내부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부(180) 중 나머지 일부가 하우징(183)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메뉴(menu) 모드, 무드(mood) 모드, 뮤직(music) 모드, 프레임(frame) 모드 또는 시계 모드 등으로 동작할 경우 디스플레이 모드를 파셜뷰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파셜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부(180) 중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된 영역에서만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파셜뷰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 중 하우징(183)에 인입된 영역에는 컨텐트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풀뷰 모드(full view mode)는, 디스플레이부(180)가 하우징(183)으로부터 최대로 인출된 상태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즉, 풀뷰 모드는 하우징(183)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180)의 인출 길이가 최대인 모드일 수 있다.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뷰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가 하우징(183)으로부터 모두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일반 모드로 동작할 경우 디스플레이 모드를 풀뷰 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이 때 일반 모드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로부터의 입력 영상 등을 출력하는 모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풀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부(180) 중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된 영역에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풀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80) 중 영상 출력이 가능한 전체 영역에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c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트의 표시 영역은 디스플레이 모드, 즉 디스플레이부(180)의 인출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정지 영상에 일정 시간 동안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정지 영상의 휘도를 디폴트 피크 휘도로 낮추는 휘도 제어 기능을 온 시키고, 상기 휘도 제어 기능이 온 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된 경우, 상기 휘도 제어 기능을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PC의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 패턴이고,
    문서 작업 패턴 또는 마우스 움직임 패턴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은 복수의 블록들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단위 시간 주기 동안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제1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고, 상기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하고, 상기 제1 단위 시간 주기를 뒤따르는 제2 단위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하고, 상기 제2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은 복수의 블록들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단위 시간 주기 동안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제1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고, 상기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하고, 상기 제1 단위 시간 주기를 뒤따르는 제2 단위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 각각의 변화가 존재하고, 상기 제2 단위 시간 주기를 뒤따르는 제3 단위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하고, 상기 제2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은 복수의 블록들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단위 시간 주기 동안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제1 블록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이고, 상기 제1 단위 시간 주기를 뒤따르는 제2 단위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하고, 상기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량이 상기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정지 영상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에 기초한 영상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휘도 제어 기능을 오프시킴에 따라 상기 휘도를 상기 제1 정지 영상의 입력 피크 휘도로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휘도 제어 기능이 온 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화면 보호 기능을 동작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지 영상이 새로운 영상으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휘도 제어 기능을 오프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각이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정지 영상을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정지 영상에 일정 시간 동안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정지 영상의 휘도를 디폴트 피크 휘도로 낮추는 휘도 제어 기능을 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휘도 제어 기능이 온 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된 경우, 상기 휘도 제어 기능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PC의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 패턴이고,
    문서 작업 패턴 또는 마우스 움직임 패턴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은 복수의 블록들로 구분되고,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는
    제1 단위 시간 주기 동안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제1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고, 상기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하고, 상기 제1 단위 시간 주기를 뒤따르는 제2 단위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하고, 상기 제2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은 복수의 블록들로 구분되고,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는
    제1 단위 시간 주기 동안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제1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고, 상기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하고, 상기 제1 단위 시간 주기를 뒤따르는 제2 단위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 각각의 변화가 존재하고, 상기 제2 단위 시간 주기를 뒤따르는 제3 단위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하고, 상기 제2 블록의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은 복수의 블록들로 구분되고,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는
    제1 단위 시간 주기 동안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제1 블록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이고, 상기 제1 단위 시간 주기를 뒤따르는 제2 단위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블록의 변화가 미 존재하고, 상기 제1 블록과 인접한 제2 블록의 변화량이 상기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정지 영상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에 기초한 영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 기능을 오프시킴에 따라 상기 휘도를 상기 제1 정지 영상의 입력 피크 휘도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 기능이 온 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화면 보호 기능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영상이 새로운 영상으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휘도 제어 기능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각이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20073370A 2022-06-16 2022-06-1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72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370A KR20230172778A (ko) 2022-06-16 2022-06-1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7/815,124 US20230410737A1 (en) 2022-06-16 2022-07-26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22187384.7A EP4293651A1 (en) 2022-06-16 2022-07-28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370A KR20230172778A (ko) 2022-06-16 2022-06-1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778A true KR20230172778A (ko) 2023-12-26

Family

ID=8278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370A KR20230172778A (ko) 2022-06-16 2022-06-1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410737A1 (ko)
EP (1) EP4293651A1 (ko)
KR (1) KR20230172778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0486B2 (en) * 2013-10-10 2016-01-0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a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during different device operating modes
KR102584423B1 (ko) * 2016-11-17 2023-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102796B2 (en) * 2017-03-13 2018-10-16 Dell Products, L.P. Image sticking avoidance i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s
KR102588780B1 (ko) * 2018-12-27 2023-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210105477A (ko) * 2020-02-18 2021-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93651A1 (en) 2023-12-20
US20230410737A1 (en)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442B1 (ko) 영상표시장치
US1179850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1322077B1 (en) Display device
KR102431503B1 (ko) 영상표시장치
US1198408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local dimming thereof
KR102638182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642615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390902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40800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048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8780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EP4293651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866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3620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6465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27061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23031701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40105116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812093B2 (en) Luminance decrease for same thumbnail images
KR10259138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20220020319A1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30008977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