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977A -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977A
KR20230008977A KR1020210089434A KR20210089434A KR20230008977A KR 20230008977 A KR20230008977 A KR 20230008977A KR 1020210089434 A KR1020210089434 A KR 1020210089434A KR 20210089434 A KR20210089434 A KR 20210089434A KR 20230008977 A KR20230008977 A KR 20230008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organic light
bd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9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8977A/ko
Priority to PCT/KR2021/011590 priority patent/WO2023282384A1/ko
Publication of KR20230008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05B45/14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using electrical feedback from LEDs or from LED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45Current stabilisation; Maintaining constant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6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EDs comprising organic material, e.g. for opera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5Reduction of instantaneous peaks of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7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powering off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과 접속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과 접속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 각 게이트 라인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가 과전류인 경우, 과전류를 나타내는 피드백을 생성하는 전류 감지 회로 및 상기 과전류를 나타내는 피드백에 따라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ORGAR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그 중,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이하, OLED 표시 장치라 함)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OLED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이다. 유기 발광 소자는 자체 발광 소자이기 때문에, OLED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가 필요한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해 소비 전력이 낮고, 얇게 제작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OLED 표시 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응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OLED 표시 장치의 구성 요소에 불량의 발생 시, 해당 요소의 번트 방지를 위해, 번트 감지 보호(Burnt Detection Protection, 이하, BDP) 기능이 수행된다.
BDP 기능의 수행 후, OLED 표시 장치는 오프되어, 불량 확인 시, 파워 보드의 불량인지, 메인 모드의 불량인지, 게이트 구동 칩의 불량인지, 확인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불량을 해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이 많이 요구된다.
본 개시는 OLED 표시 장치의 불량 원인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는 OLED 표시 장치의 불량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최소한의 회로만을 이용하여, 개발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과 접속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과 접속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 각 게이트 라인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가 과전류인 경우, 과전류를 나타내는 피드백을 생성하는 전류 감지 회로 및 상기 과전류를 나타내는 피드백에 따라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OLED 표시 장치의 모듈 불량 문제에 대해 명확한 확인이 가능하며, 소비자 가이드를 통해 서비스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Debug을 위한 회로가 간소되어, OLED 표시 장치의 개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유기발광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블록도를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의 시청 시, 번트의 발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BDP 기능 회피를 통한 불량 모듈 검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온/오프 히스토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BDP 기능이 온 된 후, 디스플레이부가 오프되기 전, 표시되는 가이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다양한 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는, 액정표시패널(LCD 패널),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 무기발광패널(LED 패널)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가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부(180)는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이 아닌 다른 패널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니터, TV, 태블릿 PC, 이동 단말기 등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authenticated)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31) 또는 복조부(132)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3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3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3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포맷터(360)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 / 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a의 (b)), 앞뒤(도 4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0), 사용자 입력부(430),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0)가 조작되거나 무선통신부(42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통신부(4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41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41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포인터(205)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송된다.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패널 기반의 디스플레이부(180)는, 패널(210), 제1 인터페이스부(230), 제2 인터페이스부(231), 타이밍 컨트롤러(232), 게이트 구동부(234), 데이터 구동부(236), 메모리(240), 프로세서(270), 전원 공급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영상 신호(Vd)와, 제1 직류 전원(V1) 및 제2 직류 전원(V2)을 수신하고, 영상 신호(Vd)에 기초하여,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제1 인터페이스부(230)는, 제어부(170)로부터 영상 신호(Vd)와, 제1 직류 전원(V1)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류 전원(V1)은,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전원 공급부(290), 및 타이밍 컨트롤러(232)의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제2 인터페이스부(231)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제2 직류 전원(V2)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직류 전원(V2)은,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데이터 구동부(236)에 입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영상 신호(Vd)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부(230)가 입력되는 영상 신호(Vd)를 변환하여 변환된 영상 신호(va1)를 출력하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변환된 영상 신호(va1)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를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제어부(170)로부터의 비디오 신호(Vd)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비디오 신호(Vd)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234)의 동작을 위한 게이트 구동 신호(Sga), 데이터 구동부(236)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구동 신호(Sda)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의 데이터 구동 신호(Sda)는, 패널(210)이 RGBW의 서브픽셀을 구비하는 경우, RGBW 서브픽셀 구동용 데이터 구동 신호일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게이트 구동부(234)에 제어 신호(Cs)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는, 타이밍 컨트롤러(232)로부터의 게이트 구동 신호(Sga), 데이터 구동 신호(Sda)에 따라, 각각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주사 신호 및 영상 신호를 패널(21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패널(210)은 소정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패널(210)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유기 발광층에 대응하는 각 화소에,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구동부(236)는, 제2 인터페이스부(231)로부터의 제2 직류 전원(V2)에 기초하여, 패널(210)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각종 전원을,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 타이밍 컨트롤러(232) 등에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 타이밍 컨트롤러(232)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유기발광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는, 패널(210) 내의 픽셀(Pixel)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패널(210)은 유기발광패널일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패널(210)은, 복수의 스캔 라인(Scan 1 ~ Scan n)과, 이에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R1, G1, B1, W1 ~ Rm, Gm, Bm, Wm)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패널(210) 내의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픽셀(pixel)이 정의된다. 도면에서는, RGBW의 서브픽셀(SPr1, SPg1, SPb1, SPw1)을 구비하는 픽셀(Pixel)을 도시한다.
도 6a에서는, 하나의 픽셀에 RGBW의 서브픽셀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픽셀에 RGB의 서브픽셀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픽셀의 소자 배열 방식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6b은, 도 6a의 유기발광패널의 픽셀(Pixel) 내의 어느 하나의 서브픽셀(sub pixel)의 회로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서브픽셀(sub pixel) 회로(CRTm)는, 능동형으로서, 스캔 스위칭 소자(SW1), 저장 커패시터(Cst), 구동 스위칭 소자(SW2), 유기발광층(OLED)을 구비할 수 있다.
스캔 스위칭 소자(SW1)는, 게이트 단자에 스캔 라인(Scan Line)이 접속되어, 입력되는 스캔 신호(Vscan)에 따라 턴 온하게 된다. 턴 온되는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Vdata)를 구동 스위칭 소자(SW2)의 게이트 단자 또는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으로 전달하게 된다.
저장 커패시터(Cst)는, 구동 스위칭 소자(SW2)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 레벨과, 저장 커패시터(Cst)의 타단에 전달되는 직류 전원(Vdd) 레벨의 소정 차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가, PAM(Plu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레벨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다른 예로, 데이터 신호가 PWM(Plu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펄스폭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구동 스위칭 소자(SW2)는,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원 레벨에 따라 턴 온된다. 구동 스위칭 소자(SW2)가 턴 온하는 경우, 저장된 전원 레벨에 비례하는, 구동 전류(IOLED)가 유기발광층(OLED)에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층(OLED)은 발광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유기발광층(OLED)은, 서브픽셀에 대응하는 RGBW의 발광층(EML)을 포함하며, 정공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정공 저지층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브픽셀(sub pixel)은, 유기발광층(OLED)에서 모두 백색의 광을 출력하나, 녹색, 적색, 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색상 구현을 위해, 별도의 컬러필터가 구비된다. 즉, 녹색, 적색, 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각각 녹색, 적색, 청색 컬러필터를 더 구비한다. 한편, 백색 서브픽셀의 경우, 백색광을 출력하므로, 별도의 컬러필터가 필요 없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스캔 스위칭 소자(SW1)와 구동 스위칭 소자(SW2)로서, p타입의 MOSFET인 경우를 예시하나, n타입의 MOSFET이거나, 그 외, JFET, IGBT, 또는 SIC 등의 스위칭 소자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블록도를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프로세서(270), 타이밍 컨트롤러(232), 전류 감지 회로(700), 게이트 구동부(234), 데이터 구동부(236) 및 패널(2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디스플레이부(180)는 도 5에 비해, 전류 감지 회로(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류 감지 회로(700)는 게이트 구동부(234)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류 감지 회로(700)는 타이밍 컨트롤러(232)가 게이트 구동부(234)에 전달하는 게이트 하이 신호 또는 게이트 로우 신호의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전류 감지 회로(700)는 감지된 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과전류를 나타내는 피드백을 타이밍 컨트롤러(232)에 전달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과전류를 나타내는 피드백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시스템 오프 신호를 프로세서(27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타이밍 컨트롤러(232)로부터 수신된 시스템 오프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원이 오프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메인 보드에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타이밍 컨트롤러(232)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화질 처리 모듈(710), 전원 모듈(730), 동기화 모듈(750)을 포함할 수 있다.
화질 처리 모듈(710)은 패널(210)에서 표시될 영상의 화질 팩터의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전원 모듈(730)은 게이트 구동부(234) 또는 데이터 구동부(236)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모듈(730)은 게이트 구동부(234)에 포함된 게이트 드라이버 칩에 게이트 하이 신호 또는 게이트 로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동기화 모듈(750)은 게이트 하이 신호 및 게이트 로우 신호의 시퀀스의 동기를 맞추어주는 모듈일 수 있다.
전류 감지 회로(700)는 게이트 구동부(234)에 전달되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전류 감지 회로(700)는 측정된 전류가 과전류인 경우, 과전류를 나타내는 피드백을 동기화 모듈(750)에 전달할 수 있다.
동기화 모듈(750)은 과전류를 나타내는 피드백에 따라 프로세서(270)에 번트 감지 보호(Burnt Detection Protection, 이하, BDP) 기능을 온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프로세서(270)에 전달할 수 있다.
BDP 기능은 디스플레이부(180)의 이상 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를 구성하는 요소가 burnt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일 수 있다.
BDP 기능이 온 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BDP 기능이 오프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전원의 공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의 실시 예를 도 7 및 도 8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전류 감지 회로(700)는 게이트 구동부(234)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S901).
구체적으로, 전류 감지 회로(700)는 전원 모듈(730)이 게이트 구동부(234)에 전달하는 게이트 하이 신호 또는 게이트 로우 신호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전류 감지 회로(700)는 타이밍 컨트롤러(232)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전류 감지 회로(700)는 측정된 전류가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측정된 전류가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과전류를 나타내는 피드백을 타이밍 컨트롤러(232)에 전달한다(S903).
전류 감지 회로(700)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류를 타이밍 컨트롤러(232)에 피드백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34)에 제공되는 전류가 과전류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80)를 구성하는 모듈이 파손되어, 패널(210)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이 깨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의 시청 시, 번트의 발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영상의 시청 중, 전류 감지 회로(700)는 게이트 구동부(234)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측정된 전류가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시점에, 전류의 크기가 비정상적인 크기를 갖는 번트 현상(1000)이 발생될 수 있다.
번트 현상(1000)이 발생된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에 따라, 영상(1100)의 일부가 깨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특정 게이트 라인에 흐르는 전류가 과전류인 경우, 번트 영상(1110)이 발생될 수 있다.
번트 영상(1110)은 영상(1100)의 시청에 방해가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요소에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그에 따른 대책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다시, 도 9를 설명한다.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과전류를 나타내는 피드백의 수신에 따라, BDP 기능을 온 시킨다(S905).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BDP 기능을 온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프로세서(27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를 오프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과전류를 나타내는 피드백의 수신에 따라,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80)를 오프시킬 수도 있다.
그 후,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BDP 기능의 회피를 위한 요청을 수신했는지를 판단한다(S907).
일 실시 예에서, BDP 기능의 회피를 위한 요청은 BDP 기능을 일시적으로, 오프시키기 위한 요청일 수 있다.
BDP 기능의 회피를 위한 요청은 과전류 감지에 따라 BDP 기능이 온 된 후, BDP 기능을 일시적으로 오프시키기 위한 요청일 수 있다.
BDP 기능의 회피를 위한 요청은 BDP 기능이 온 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가 오프되어, 번트의 원인이 제대로 파악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BDP 기능의 회피를 위한 요청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 구비된 로컬 키를 선택하는 요청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BDP 기능의 회피를 위한 요청은 로컬 키를 5초 동안 누르는 입력일 수 있다. 여기서, 5초는 예시에 불과하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BDP 기능의 회피를 위한 요청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일 수 있다. 제어 명령은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BDP 기능의 회피를 위한 요청은 마이크로폰(미도시)을 통해 수신된 음성 명령일 수 있다. 음성 명령은 BDP 기능을 오프시키도록 하는 발화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BDP 기능의 회피를 위한 요청을 수신한 경우, BDP 기능을 오프시킨다(S911).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BDP 기능의 회피를 위한 요청의 수신에 따라 프로세서(270)에, BDP 기능을 오프시키라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타이밍 컨트롤러(232)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시스템을 온 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270)는 BDP 기능을 오프시키고, 디스플레이부(18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전원 공급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BDP 기능이 오프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온 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BDP 기능이 오프된 경우,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913).
일 실시 예에서, 일정 시간은 관리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모듈의 증상을 확인하고 검토하는 시간일 수 있다. 일정 시간은 5분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관리자는 일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전원 온/오프 이력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234)에 불량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는 전원 온/오프 이력을 통해 BDP 기능이 온 된 기록이 존재하는 경우, 게이트 구동부(234)에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일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다시, BDP 기능을 온 시킨다(S915).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모듈 증상 확인의 검토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BDP 기능을 온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가 오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BDP 기능 회피를 통한 불량 모듈 검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서, system off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원을 오프 하는 것일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전류 감지 회로(700)로부터 과전류를 나타내는 피드백을 수신한 경우, BDP 기능을 온 시키기 위한 이상 신호를 프로세서(27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BDP 기능 회피를 위한 로컬 키 입력을 수신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로컬 키 입력을 5초간 수신한 경우, BDP 기능의 회피를 위한 요청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70)는 BDP 기능의 예외 처리를 위한 입력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고, BDP 기능을 오프 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일정 시간 동안, BDP 기능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일정 시간은 5분일 수 있다.
관리자는, 5분 동안, 디스플레이부(180)의 게이트 구동부(234)에 불량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이상 동작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오프된 경우, 어느 부품에서 이상 동작이 발생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
관리자는, BDP 기능이 온 된 경우, 게이트 구동부(234)에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는, 전원 온/오프 히스토리를 통해, 게이트 구동부(234)에 불량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는, 시스템이 오프되었지만, BDP 기능이 온된 이력이 없는 경우, 게이트 구동부(234) 이외의 부품인 메인 보드나, 파워 보드에 불량이 생긴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타이머를 구비할 수 있고, 타이머를 통해 5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5분이 경과한 경우, BDP 기능을 다시, 온 시킬 수 있다. 즉,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원이 오프되어 추측된 모듈 불량 문제의 원인에 대한 명확한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류 감지 회로(700)라는 간단한 회로만으로, 디버그가 감지되어, 개발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온/오프 히스토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BDP 기능의 회피를 위한 요청의 수신 후, 공장 모드의 진입을 위한 입력에 따라, 전원 온/오프 히스토리(1300)를 패널(21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전원 온/오프 히스토리(13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원의 온/오프 이력 및 BDP 기능의 온/오프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는 전원 온/오프 히스토리(1300)를 통해, BDP 기능의 온/오프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는 BDP 기능이 온 된 경우, 게이트 구동부(234)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는 BDP 기능이 온 된 경우, 게이트 구동부(234)에 과전류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온/오프 히스토리(1300)를 통해, 게이트 구동부(234)에 불량이 발생되었는지 여부가 손쉽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BDP 기능이 온 된 후, 디스플레이부가 오프되기 전, 표시되는 가이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패널(210)은 BDP 기능이 온 되고, BDP 기능의 회피를 위한 로컬 키 입력을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140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14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A 로컬 키를 5초간 선택하라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패널(210)은 BDP 기능이 온 되고, BDP 기능이 온 된 원인을 나타내는 제2 가이드(150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가이드(1500)는 게이트 구동 칩(게이트 구동부)의 점검을 요구하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는 제1,2 가이드(1400, 150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의 불량 원인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과 접속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과 접속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
    각 게이트 라인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가 과전류인 경우, 과전류를 나타내는 피드백을 생성하는 전류 감지 회로; 및
    상기 과전류를 나타내는 피드백에 따라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피드백을 수신함에 따라, 번트 감지 보호 (Burnt Detection Protection, 이하, BDP) 기능을 온 시키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BDP 기능을 회피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따라, 상기 전원을 온 시키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로컬 키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BDP 기능을 회피하기 위한 요청은
    상기 복수의 로컬 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BDP 기능을 회피하기 위한 요청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명령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BDP 기능을 회피하기 위한 요청에 따라 상기 전원이 온 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BDP 기능을 온 시키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BDP 기능이 온 된 경우, 특정 로컬 키를 선택하는 제1 가이드를 표시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BDP 기능이 온 된 경우, 상기 게이트 구동부의 점검을 요구하는 제2 가이드를 표시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9.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과 접속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과 접속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각 게이트 라인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전류가 과전류인 경우, 과전류를 나타내는 피드백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피드백에 따라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을 수신함에 따라, 번트 감지 보호 (Burnt Detection Protection, 이하, BDP) 기능을 온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DP 기능을 회피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요청에 따라, 상기 전원을 온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로컬 키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BDP 기능을 회피하기 위한 요청은
    상기 복수의 로컬 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BDP 기능을 회피하기 위한 요청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명령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DP 기능을 회피하기 위한 요청에 따라 상기 전원이 온 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BDP 기능을 온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DP 기능이 온 된 경우, 특정 로컬 키를 선택하는 제1 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10089434A 2021-07-08 2021-07-08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230008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434A KR20230008977A (ko) 2021-07-08 2021-07-08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PCT/KR2021/011590 WO2023282384A1 (ko) 2021-07-08 2021-08-30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434A KR20230008977A (ko) 2021-07-08 2021-07-08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977A true KR20230008977A (ko) 2023-01-17

Family

ID=8480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434A KR20230008977A (ko) 2021-07-08 2021-07-08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08977A (ko)
WO (1) WO20232823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281B1 (ko) * 2011-11-03 2019-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17528A (ko) * 2013-08-07 2015-0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239898B1 (ko) * 2014-09-01 2021-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과전류 보호 회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364010B1 (ko) * 2014-12-24 2022-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과전류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520547B1 (ko) * 2015-12-31 2023-04-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결함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2384A1 (ko)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550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070677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179850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1854475B2 (en) Display device
KR102638182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3048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6403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40800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08977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5866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038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6465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4343750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4293651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3031701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694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812093B2 (en) Luminance decrease for same thumbnail images
KR10234840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20020319A1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20279233A1 (en)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