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708A -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708A
KR20230172708A KR1020220073202A KR20220073202A KR20230172708A KR 20230172708 A KR20230172708 A KR 20230172708A KR 1020220073202 A KR1020220073202 A KR 1020220073202A KR 20220073202 A KR20220073202 A KR 20220073202A KR 20230172708 A KR20230172708 A KR 20230172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vehicle
tarp
bracket
brack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훈
Original Assignee
박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훈 filed Critical 박종훈
Priority to KR1020220073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708A/ko
Publication of KR2023017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5Enclosure-type carriers, e.g. containers,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는, 물품을 보관하도록 차량의 제1 및 제2 루프랙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루프랙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서로간에 연결됨이 없이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루프 브래킷; 및 상기 복수의 루프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루프 브래킷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루프랙에 고정 연결되며, 물품을 보관 가능하도록 박스 또는 바스켓 형상을 갖는 물품 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가로연결바 구조를 생략하여 자동차 루프 상측에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중량의 물품을 적재/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소음을 저감하여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structure for roof installation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 상측에 다양한 물품을 보관 또는 거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이용한 장거리 여행 또는 물품의 운반시에 자동차의 실내 및 트렁크의 공간이 협소하여 루프 패널에 장착하여 물품을 운반할 수 있도록 별도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루프박스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루프박스 등을 자동차의 루프 패널에 고정, 장착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는 루프랙 또는 루프 캐리어 등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루프박스 등을 루프랙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 쌍의 루프랙 사이를 별도의 복수 가로연결바를 통해 연결하고, 이와 같이 연결된 가로연결바의 상측에 루프박스 등을 고정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한편, 자동차는 설계시 루프 허용하중이 결정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연결바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가로연결바의 중량만큼 루프박스 등에 적재나 보관할 수 있는 물품의 중량이 감소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종래 설치구조는 가로연결바의 상측에 루프박스 등이 설치되는바, 가로연결바의 두께만큼 자동차의 루프와 루프박스의 저면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으로써, 이와 같은 사이거리 증가에 따라 차량 주행시 루프박스의 저면과 자동차 루프 사이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소음이 증가할 수 밖에 없어 사용자의 불만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기존 가로연결바 구조를 생략하여 자동차 루프 상측에 기존보다 상대적으로 고중량의 물품을 적재/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소음을 저감하여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는 바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253080호(2021. 5. 11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가로연결바 구조를 생략하여 자동차 루프 상측에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중량의 물품을 적재/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소음을 저감하여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캠핑용 타프(Tarp)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별도 타프 설치를 위한 구조물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캠핌용 타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전장길이보다 큰 타프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품을 보관하도록 차량의 한 쌍의 루프랙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루프랙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서로간에 연결됨이 없이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루프 브래킷; 및 상기 복수의 루프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루프 브래킷을 통해 상기 한 쌍의 루프랙에 고정 연결되며, 물품을 보관 가능하도록 박스 또는 바스켓 형상을 갖는 물품 보관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물품 보관부에는 차량용 타프를 걸거나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품 보관부는,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가로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가로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프를 걸거나 지지할 수 있는 타프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차량용 타프의 걸림고리가 걸림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타프고리 걸림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프 지지부는, 일정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관통봉;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관통봉을 고정 가능한 관통봉 고정브래킷; 및 차량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상기 관통봉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차량용 타프의 또 다른 걸림고리가 걸림가능한 구조를 갖는 타프걸이 연장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봉 고정브래킷은 상기 연결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타프고리 걸림브래킷이 개재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관통봉 고정브래킷과 상기 타프고리 걸림브래킷은 복수의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한번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프걸이 연장봉은,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관과, 상기 외관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외관에 결합되는 내관을 포함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품 보관부는,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가로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가로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플레이트를 갖는 물품 보관부 본체와, 상기 복수의 루프 브래킷과 각각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상기 복수의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브래킷은,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의 단부에 절곡되는 제2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루프 브래킷에는,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가 내측에 배치되어 상호간에 걸림 결합관계를 형성하도록 걸림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루프 브래킷은 각각, 상기 루프랙의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거치면을 갖고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대응하는 제2 거치면을 갖는 브래킷 몸체; 상기 제1 거치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면에 밀착 가능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밀착부재; 상기 제2 거치면 측에 마련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밀착부재; 및 상기 브래킷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밀착부재를 상기 제1 밀착부재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하는 밀착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몸체는, 상기 제1 거치면과 상기 루프랙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측 커버면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걸림홈이 형성되는 제1 브래킷 몸체; 및 상기 제1 브래킷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거치면을 갖는 제2 브래킷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 결합부는, 상기 제1 브래킷 몸체에 마련되는 나사 결합홀; 상기 나사 결합홀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제2 브래킷 몸체에 마련되는 나사 결합부; 상기 나사 결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노브; 상기 제1 브래킷 몸체에 상기 나사 결합홀과 평행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브래킷 몸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 결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은 상기 제2 거치면으로부터 상기 제1 거치면을 향해 일정 이상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의 제2 거치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는, 상기 나사 결합부의 제2 거치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보다 일정이상 길게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의 돌출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탄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에 의하면, 기존 가로연결바 구조를 생략하여 자동차 루프 상측에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중량의 물품을 적재/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소음을 저감하여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물품 보관부에 캠핑용 타프(Tarp)를 설치할 수 있는 타프 지지부를 마련함으로써, 별도 타프 설치를 위한 구조물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캠핌용 타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전장길이보다 큰 타프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거치 브래킷 몸체에 각각 마련되는 가이드홀과 가이드봉 구조를 통해, 제1 거치 브래킷 몸체에 대해 제2 거치 브래킷 몸체를 결합할 때 나사 결합홀에 대한 나사 결합부의 정위치 결합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의 돌출 길이가 나사 결합부의 돌출 길이보다 일정이상 길게 형성하고 가이드봉의 돌출 단부에 탄성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나사 결합부가 나사 결합홀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봉이 가이드홀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됨으로써 제1 및 제2 거치 브래킷 몸체간의 분리를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가 차량 루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가 차량 루프에 설치되고 타프까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에서 루프 브래킷과 타프 지지부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의 브래킷 몸체가 루프랙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에서 제2 브래킷 몸체가 루프랙에 결합,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에서 제1 브래킷 몸체와 제2 브래킷 몸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는 다양한 물품을 차량의 루프 상측에 보관 또는 거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종래보다 구성의 생략을 통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루프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하여 루프의 구조적 안정성이 약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 구조에 비해 루프 상측에 상대적으로 고중량의 물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캠핑용 타프(Tarp)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별도 타프 설치를 위한 구조물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캠핌용 타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루프 상측에 다양한 물품을 보관 또는 거치할 수 있는 기능 외에 차량용 타프를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갖고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는 차량의 루프랙(10)에 결합되어 물품을 보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복수의 루프 브래킷(100)과 물품 보관부(15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루프랙(10)에 대해 설명하면, 관련 도면상 루프랙(10)의 좌측면을 제1 면(11)이라 하고 우측면을 제2 면(12)이라 하며, 루프랙(10)의 저면부는 차량 루프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먼저,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 브래킷(100)은 한 쌍의 루프랙(10)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서로간에 연결됨이 없이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된다.
즉, 차량의 루프 상측에 물품을 보관(수용)하기 위한 용도의 루프박스, 루프바스켓 등을 설치하기 위한 종래의 설치구조체는 한 쌍의 루프랙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가로연결바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가로연결바에 루프박스 등이 결합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여기서, 복수의 가로연결바 자체만으로도 대략 수 내지 10kg 이상의 중량을 갖고 있는바, 차량 설계스펙에 따른 루프 허용하중에 의해 루프 상측에는 가로연결바가 갖는 중량을 뺀 나머지 중량의 물품을 거치/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별도의 가로연결바가 필요없고, 후술하는 물품 보관부(150)가 복수의 루프 브래킷(100)에 직접 결합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는바,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물품을 적재나 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로연결바가 생략됨에 따라 가로연결바의 두께만큼 물품 보관부(150)와 차량 루프 사이의 거리가 감소함으로써, 차량 주행시 물품 보관부(150)의 저면과 차량 루프 사이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소음을 한층 감소시킬 수 있다.
루프 브래킷(100) 구조, 루프 브래킷(100)과 물품 보관부(150) 간의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물품 보관부(150)는 물품을 보관 가능하도록 박스 또는 바스켓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루프 브래킷(100)에 결합되어 루프 브래킷(100)을 통해 한 쌍의 루프랙(10)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관련 도면에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일 예로 물품 보관부(150)가 바스켓(바구니)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품 보관부(150)는 물품 보관부 본체(151)와, 물품 보관부 본체(151)의 하부에 마련되어 루프 브래킷(100)과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브래킷(154)을 포함한다.
물품 보관부 본체(151)는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가로프레임(152)과 복수의 가로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플레이트(153)를 갖는다. 또한, 결합브래킷(154)은 루프 브래킷(10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연결플레이트(153)의 하부에 일체로 마련된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결합브래킷(154)은 연결플레이트(153)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결합플레이트(156)와 제1 결합플레이트(156)의 단부에 절곡되는 제2 결합플레이트(15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물품 보관부(150)에는 차량용 타프(20)를 걸거나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추가적으로 마련된다.
즉, 본 발명에서 물품 보관부(150)는 루프 상측에 다양한 물품을 보관 또는 거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과 더불어 차량용 타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추가적으로 갖고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프(20)를 걸거나 지지할 수 있는 타프 지지부(160)는 타프고리 걸림브래킷(161), 관통봉(162), 관통봉 고정브래킷(164) 및 타프걸이 연장봉(165)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 타프를 설치하거나, 좌측 및 우측방향에 모두 타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타프 지지부(16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품 보관부 본체(151)의 좌우 양측에 모두 마련된다.
먼저 타프고리 걸림브래킷(161)은 복수의 연결플레이트(153)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차량용 타프(20)의 걸림고리(21)가 걸림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타프고리 걸림브래킷(161)은 연결플레이트(153)에 스크루 등을 통해 결합 가능한 평평한 구조를 갖는 부분과, 이와 같이 스크루 결합되는 부분의 일단에 절곡되어 걸림고리(21)가 걸림 가능한 부분을 포함한다. 즉, 타프고리 걸림브래킷(161)에는 타프(20)의 일측 가장자리 근방에 마련되는 복수의 걸림고리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고리(21)가 걸림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프 설치를 위해 상기 관통봉(162), 관통봉 고정브래킷(164) 및 타프걸이 연장봉(165)은 생략된채 타프고리 걸림브래킷(161)만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타프의 일측 가장자리 근방에 마련되는 걸림고리(21)는 타프고리 걸림브래킷(161)에 걸림되고 타프의 타측 부분은 별도의 폴대(미도시)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타프의 타측 가장자리 근방에 마련되는 또 다른 걸림고리는 폴대(미도시)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걸림될 수 있다.
관통봉(162)은 일정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음, 관통봉 고정브래킷(164)은 연결플레이트(153)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연결플레이트(153)에 대해 관통봉(162)을 고정할 수 있다. 관통봉 고정브래킷(164)의 내측면에는 관통봉(162)의 외경과 대응하는 삽입홈이 마련되며, 관통봉 고정브래킷(164)은 스크루 등을 통해 연결플레이트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관통봉 고정브래킷(164)과 연결플레이트(153)가 결합된 상태에서 관통봉(162)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타프걸이 연장봉(165)은 차량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관통봉(162)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프걸이 연장봉(165)에는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 가능한 볼 플런저(166)가 마련되고, 관통봉(162)에는 볼 플런저(166)의 볼이 삽입되도록 볼 삽입홀(163)이 마련되며, 상기 볼이 볼 삽입홀(163)에 삽입됨에 따라 타프걸이 연장봉(165)은 관통봉(162)에 대해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고정 결합 가능하다. 또한, 타프걸이 연장봉(165)의 단부에는 차량용 타프(20)의 또 다른 걸림고리가 걸림가능하도록 타프 걸림고리(167)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량용 타프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관통봉(162)에 타프걸이 연장봉(165)을 삽입 고정한 후, 타프에 마련된 걸림고리들을 타프고리 걸림브래킷(161)과 타프 걸림고리(167)에 걸어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설치된 타프(20)로부터 타프걸이 연장봉(165)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특히 타프걸이 연장봉(165)의 자유단부가 타프걸이 연장봉의 길이방향에 대해 차량 외측 방향으로 벤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벤딩이 심할 경우 관련되어 조립되는 부품들의 내구성이 하락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52)에는 걸림홀을 갖는 복수의 지지와이어 브래킷(171)이 마련되고, 지지와이어 브래킷(171)과 타프걸이 연장봉(165)의 단부 사이에는 타프걸이 연장봉을 지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벤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와이어(173)가 마련된다. 여기서, 지지와이어(173)의 양단에는 각각 걸림고리가 마련되어 지지와이어 브래킷(171)과 타프걸이 연장봉(165)에 손쉽게 걸림 또는 걸림해제될 수 있다. 지지와이어(173)는 일정이상의 신축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타프걸이 연장봉(165)은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관(미도시)과, 외관(미도시)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외관에 결합되는 내관(미도시)의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타프의 크기(폭 등)에 대응하여 타프걸이 연장봉(165)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한 후, 타프에 구비된 걸림고리를 타프고리 걸림브래킷(161)과 타프 걸림고리(167)에 걸어 타프를 설치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관통봉 고정브래킷(164)은 연결플레이트(153)와의 사이에 타프고리 걸림브래킷(161)이 개재된 상태로 배치되며, 관통봉 고정브래킷(164)과 타프고리 걸림브래킷(161)은 복수의 결합부재(미도시)를 통해 연결플레이트(153)에 한번에 일체로 결합 가능하다.
이를 위해, 관통봉 고정브래킷(164), 타프고리 걸림브래킷(161) 및 연결플레이트(153)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복수의 결합부재 삽입홀이 마련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복수의 결합부재 삽입홀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서로 연통하도록 전술한 구성들을 배치한 후 스크루 등의 결합부재(미도시)를 통해 한번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 삽입홀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를 통해 다수의 구성을 동시에 결합할 수 있는바,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루프 브래킷(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루프랙(1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각각의 루프 브래킷(100)은 브래킷 몸체(110), 제1 밀착부재(120) 및 제2 밀착부재(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브래킷 몸체(110)는 루프랙(10)의 제1 면(11)에 대응하는 제1 거치면(113)을 갖고 제1 면(11)에 대향하는 제2 면(12)에 대응하는 제2 거치면(117)을 갖는 것으로서, 제1 브래킷 몸체(111)와 제2 브래킷 몸체(116)를 포함한다.
제1 브래킷 몸체(111)는 제1 거치면(113)과 루프랙(10)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측 커버면을 갖는다. 또한, 제1 브래킷 몸체(111)는 루프랙(10)의 하면을 커버하는 하측 커버면을 가질 수 있는데, 하측 커버면은 차량 루프에 대한 루프랙의 설치위치 등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브래킷 몸체(111)의 내측 상부면에는 결합브래킷(154), 즉 제2 결합플레이트(157)가 내측에 걸림 배치되어 결합브래킷(154)과 루프 브래킷(100) 사이에 상호 걸림 결합관계를 형성하도록 걸림홈(115)이 형성된다.
제2 브래킷 몸체(116)는 제1 브래킷 몸체(1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거치면(117)을 갖는다.
제1 브래킷 몸체(111)와 제2 브래킷 몸체(116)의 내측면에는 물품 보관부 본체(151)의 가로프레임(152)에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홈이 마련되어 있고, 제1 브래킷 몸체(111)와 제2 브래킷 몸체(116)에는 각각 상호간을 스크루 등을 통해 결합하도록 스크루 결합홀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밀착부재(120)는 제1 거치면(113), 상기 상측 커버면 및 하측 커버면에 마련되며, 제1 브래킷 몸체(111)와 제2 브래킷 몸체(116)의 결합시 루프랙(10)의 제1 면(11)에 밀착 가능하다.
제1 밀착부재(120)는 루프랙에 직접적으로 밀착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제1 거치면(113)에 마련되어 루프랙의 제1 면(11)에 밀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 브래킷 몸체(111)의 상측 커버면, 하측 커버면에 마련되어 설치시 루프랙의 상/하부면에 밀착 가능하다. 여기서, 제1 밀착부재(120)는 제1 거치면(113), 상측 커버면 및 하측 커버면에 일체로 마련된다.
제2 밀착부재(130)는 루프랙에 직접적으로 밀착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제2 브래킷 몸체(116)의 제2 거치면(117) 측에 마련되며, 제1 브래킷 몸체(111)와 제2 브래킷 몸체(116)의 결합시 루프랙(10)의 제2 면(12)에 밀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밀착부재(120)와 제2 밀착부재(130)는 루프랙에 설치시 루프랙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밀착부재와 제2 밀착부재는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브래킷 몸체(111)와 제2 브래킷 몸체(116)가 루프랙(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밀착부재(120)와 제2 밀착부재(130)가 루프랙의 상면, 좌우 측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므로 다수회 결합/분리 작업을 반복하더라도 루프랙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를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고 도면상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2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는 루프 브래킷 구조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들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복수의 루프 브래킷(200)은 각각, 브래킷 몸체(210), 제1 밀착부재(220), 제2 밀착부재(230) 및 밀착 결합부(280)를 포함한다.
제1 브래킷 몸체(211)와 제2 브래킷 몸체(216)을 포함하는 브래킷 몸체(210), 제1 밀착부재(220), 제2 밀착부재(23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하고, 밀착 결합부(28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밀착 결합부(280)는 실질적으로 브래킷 몸체(210)가 루프랙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브래킷 몸체(210)에 마련되어 제2 밀착부재(230)를 제1 밀착부재(220) 측으로 이동하여 루프랙의 제2 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하거나, 제1 밀착부재(220)를 제2 밀착부재(230) 측으로 이동하여 루프랙의 제1 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 결합부(280)는 제1 브래킷 몸체(211)에 마련되는 나사 결합홀(281), 나사 결합홀(281)에 나사 결합되도록 제2 브래킷 몸체(216)에 마련되는 나사 결합부(282), 나사 결합부(282)를 회전시키는 회전 노브(283)를 포함한다.
나사 결합홀(28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있고, 사용자는 회전 노브(283)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 결합부(282)를 나사 결합홀(281)에 체결함으로써, 제2 브래킷 몸체(216)를 제1 브래킷 몸체(211) 측으로 접근시켜 루프랙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회전 노브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브래킷 몸체(216)를 제1 브래킷 몸체(211)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브래킷 몸체를 루프랙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브래킷 몸체(216)에는 회전 노브(283)의 회전시 나사 결합부(282)가 상하,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회전을 지지하는 별도의 베어링부재(미도시)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 결합부(280)는 가이드홀(284)과 가이드봉(285)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홀(284)은 제1 브래킷 몸체(211)에 나사 결합홀(281)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며, 가이드홀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가이드봉(285)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284)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2 브래킷 몸체(216)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홀(284)과 가이드봉(285)은 제1 브래킷 몸체(211)에 대한 제2 브래킷 몸체(216)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여 제1 브래킷 몸체에 대한 제2 브래킷 몸체의 정위치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회전 노브(283)를 회전시켜 나사 결합부(282)를 나사 결합홀(281)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1 브래킷 몸체(211)와 제2 브래킷 몸체(216)를 상호 결합할 수 있고, 전술한 나사 결합을 해제하여 브래킷 몸체들을 서로 분리할 수 있으며, 결합/분리 과정에 가이드홀(284)과 가이드봉(285)은 상호 브래킷 몸체들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한다.
한편, 나사 결합홀(281)에 대한 나사 결합부(282)의 정위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해서는, 제2 브래킷 몸체(216)의 내측면(예를 들면, 제2 거치면(117))에 대해 나사 결합부(282) 돌출 길이(L2)보다 가이드봉(285) 돌출 길이(L1)가 일정이상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나사 결합부(282)가 나사 결합홀(281)에 나사 결합되기 전 가이드봉(285)이 가이드홀(284)에 먼저 삽입되어 일종의 가결합 상태를 제공하여 나사 결합부의 정위치 결합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제1 브래킷 몸체(211)와 제2 브래킷 몸체(216)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회전 노브(283)를 회전시켜 나사 결합부(282)를 나사 결합홀(281)로부터 이탈시키더라도 가이드봉(285)의 단부는 아직 가이드홀(284)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브래킷 몸체와 제2 브래킷 몸체를 서로 완전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먼저 회전 노브(283)를 일정 이상 회전시켜 나사 결합부(282)를 나사 결합홀(281)로부터 이탈시키고, 이어서 가이드홀(284)로부터 가이드봉(285)을 완전히 이탈시키기 위해 제1 브래킷 몸체와 제2 브래킷 몸체를 양측으로 이동시키는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나사 결합부(282)를 나사 결합홀(281)로부터 이탈시키면 가이드봉(285)이 자동으로 가이드홀(284)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전술한 사용자의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없이 제1 브래킷 몸체와 제2 브래킷 몸체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285)의 제2 거치면(117, 도 5 참조)으로부터의 돌출 길이(L1)는 나사 결합부(282)의 제2 거치면(117)으로부터의 돌출 길이(L2)보다 일정이상 길게 형성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285)의 돌출 단부에는 가이드홀(284)에 삽입 가능하도록 탄성부재(286)가 마련된다. 탄성부재(286)는 일 예로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브래킷 몸체(216)가 제1 브래킷 몸체(211)로부터 이격되어 나사 결합부(282)가 나사 결합홀(281)로부터 분리되고 가이드봉(285)의 단부는 아직 가이드홀(284)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부재(286)의 일단은 가이드홀(284)의 내측 측벽에 지지된 상태를 가지면서 일정이상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나사 결합부(282)가 나사 결합홀(281)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탄성부재(28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봉(285)은 가이드홀(284)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됨으로써 거치 브래킷 몸체들간의 분리를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루프랙 20: 타프
100: 루프 브래킷 110: 브래킷 몸체
111: 제1 브래킷 몸체 115: 걸림홈
116: 제2 브래킷 몸체 120: 밀착부재
130: 제2 밀착부재 150: 물품 보관부
151: 물품 보관부 본체 154: 결합브래킷
156: 제1 결합플레이트 157: 제2 결합플레이트
160: 타프 지지부 161: 타프고리 걸림브래킷
162: 관통봉 164: 관통봉 고정브래킷
165: 타프걸이 연장봉 171: 지지와이어 브래킷
173: 지지와이어 200: 루프 브래킷
210: 브래킷 몸체 280: 밀착 결합부
281: 나사 결합홀 282: 나사 결합부
283: 회전 노브 284: 가이드홀
285: 가이드봉 286: 탄성부재

Claims (12)

  1. 물품을 보관하도록 차량의 한 쌍의 루프랙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루프랙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서로간에 연결됨이 없이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루프 브래킷; 및
    상기 복수의 루프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루프 브래킷을 통해 상기 한 쌍의 루프랙에 고정 연결되며, 물품을 보관 가능하도록 박스 또는 바스켓 형상을 갖는 물품 보관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부에는 차량용 타프를 걸거나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추가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부는,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가로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가로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프를 걸거나 지지할 수 있는 타프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차량용 타프의 걸림고리가 걸림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타프고리 걸림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프 지지부는,
    일정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관통봉;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관통봉을 고정 가능한 관통봉 고정브래킷; 및
    차량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상기 관통봉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차량용 타프의 또 다른 걸림고리가 걸림가능한 구조를 갖는 타프걸이 연장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봉 고정브래킷은 상기 연결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타프고리 걸림브래킷이 개재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관통봉 고정브래킷과 상기 타프고리 걸림브래킷은 복수의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한번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프걸이 연장봉은,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관과, 상기 외관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외관에 결합되는 내관을 포함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부는,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가로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가로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플레이트를 갖는 물품 보관부 본체와, 상기 복수의 루프 브래킷과 각각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상기 복수의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브래킷은,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의 단부에 절곡되는 제2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루프 브래킷에는,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가 내측에 배치되어 상호간에 걸림 결합관계를 형성하도록 걸림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루프 브래킷은 각각,
    상기 루프랙의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거치면을 갖고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대응하는 제2 거치면을 갖는 브래킷 몸체;
    상기 제1 거치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면에 밀착 가능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밀착부재;
    상기 제2 거치면 측에 마련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밀착부재; 및
    상기 브래킷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밀착부재를 상기 제1 밀착부재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하는 밀착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몸체는,
    상기 제1 거치면과 상기 루프랙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측 커버면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걸림홈이 형성되는 제1 브래킷 몸체; 및
    상기 제1 브래킷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거치면을 갖는 제2 브래킷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결합부는,
    상기 제1 브래킷 몸체에 마련되는 나사 결합홀;
    상기 나사 결합홀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제2 브래킷 몸체에 마련되는 나사 결합부;
    상기 나사 결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노브;
    상기 제1 브래킷 몸체에 상기 나사 결합홀과 평행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브래킷 몸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결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은 상기 제2 거치면으로부터 상기 제1 거치면을 향해 일정 이상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의 제2 거치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는, 상기 나사 결합부의 제2 거치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보다 일정이상 길게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의 돌출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탄성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KR1020220073202A 2022-06-16 2022-06-16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KR20230172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202A KR20230172708A (ko) 2022-06-16 2022-06-16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202A KR20230172708A (ko) 2022-06-16 2022-06-16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708A true KR20230172708A (ko) 2023-12-26

Family

ID=8932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202A KR20230172708A (ko) 2022-06-16 2022-06-16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7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79794A1 (en) * 2021-05-25 2022-12-01 Yotta Innovation Co., Ltd. Adjustment mechanism for wheel securement member of vehicle carri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080B1 (ko) 2019-10-22 2021-05-14 박선영 차량 루프박스 설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080B1 (ko) 2019-10-22 2021-05-14 박선영 차량 루프박스 설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79794A1 (en) * 2021-05-25 2022-12-01 Yotta Innovation Co., Ltd. Adjustment mechanism for wheel securement member of vehicle carr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8822B1 (en) Clothes cabinet for wardrobe
US5460279A (en) Collapsible shelf organizer
KR101661348B1 (ko) 차량 밀착형 루프박스 장착용 루프 랙 어셈블리
US20120273636A1 (en) Hanger holder accessory and system
US11178985B2 (en) Hanging assembly and frame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US10149541B2 (en) Utility rack having end supports with folding cross-members
US20160348959A1 (en) Drawer assembly
KR20230172708A (ko) 차량의 루프설치용 구조체
US20050230577A1 (en) Hanger for use on metal rack
US8459473B2 (en) Linking style hanging closet
KR101523713B1 (ko)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
US11696643B2 (en) Elongate stabilizers for preventing furniture from tipping
US20060096023A1 (en) Shower curtain bar
US9289064B2 (en) Shelf structure for a merchandiser
KR20120006945U (ko) 욕실용 선반기구
US11324319B1 (en) Stabilizers for preventing furniture from tipping
KR200459857Y1 (ko) 다단의 수납함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헹거
KR200483150Y1 (ko) 휨방지 기능이 구비된 선반장치
KR102363576B1 (ko) 캠핑용 트레일러의 외부선반
KR20090002556U (ko) 주방 액세서리 설치용 압연 프레임 조립구조
EP3500135B1 (en) Guide adapted to support a container, a storage system
KR200424495Y1 (ko) 다용도실용 선반 받침장치
KR101396079B1 (ko) 선반이 일체로 형성된 수납장
KR20090050692A (ko) 신발장
KR102338438B1 (ko) 싱크대용 수납선반 프레임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