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545A - 치실 장치 - Google Patents

치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545A
KR20230172545A KR1020237039352A KR20237039352A KR20230172545A KR 20230172545 A KR20230172545 A KR 20230172545A KR 1020237039352 A KR1020237039352 A KR 1020237039352A KR 20237039352 A KR20237039352 A KR 20237039352A KR 20230172545 A KR20230172545 A KR 20230172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bobbin
feeding assembly
transmission member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 첸
시 왕
젠 리우
Original Assignee
제니씽스 쉔젠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니씽스 쉔젠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제니씽스 쉔젠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172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5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개시된 치실장치는 케이스(20), 급선함(10) 및 구동장치(30)를 포함하며; 급선함(10)은: 케이스(20)의 수납캐비티(23) 내부에 구성된 함체(11);, 함체(11) 내부에 장착되어 구동장치(30)의 구동에 의해 사용한 치실(123)을 회수하고 사용하지 않은 치실(123)을 방출하는 급선 어셈블리(12); 일단은 급선 어셈블리(12)에 연결되며, 타단을 케이스(20) 외부로 내미는 치실홀더(13);를 포함하며, 치실홀더(13)는 급선 어셈블리(12)에서 방출되는 치실(123)을 당겨 펴주는 데 사용되며; 함체(11), 급선 어셈블리(12) 및 치실홀더(13)는 전부 분해성 소재 또는 재활용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실장치는 중복 사용할 수 있으며, 원가를 절감하고 환경 오염을 줄여준다.

Description

치실 장치
본 발명은 2022년 01월 14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220103698.X, 발명 명칭이 "치실 장치"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청구하며, 해당 발명의 전부 내용은 인용의 방식으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치아청결기술 분야, 특히 치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 정보만을 기재할 뿐 반드시 기존 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개인 위생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고 구강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사용자들이 치실을 사용하여 치아 심층 청결을 시도하고 있는 현황이다. 치실은 나일론실, 실크실 또는 폴리에스테르실을 사용하여 치아 표면에 있는 플라크를 제거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특히 평평하거나 볼록한 치면에 대한 플라크 제거 효과가 가장 뚜렷하다.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치실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손잡이를 통해 설치되며, 플라스틱 손잡이는 전체 치실 구조의 98% 이상의 부피와 무게를 차지하며, 이러한 치실 장치는 대부분 일회용으로 사용 후 폐기하면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일회용 치실 장치를 사용한 후 폐기하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치실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채택된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케이스, 급선함 및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치실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케이스는 수납캐비티를 구비하며;
상기 급선함은:
상기 수납캐비티 내부에 구성되는 함체;
상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장치의 구동으로 사용된 치실을 회수하고 사용하지 않은 치실을 방출하는 급선 어셈블리;
일단이 상기 함체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내미는 치실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치실홀더는 상기 급선 어셈블리가 방출하는 치실을 당겨 펴주어 상기 치실홀더의 타단에서 상기 치실을 당겨 펴주는 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선 어셈블리 및 상기 치실홀더는 상기 함체 내에 활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치실홀더의 타단을 상기 케이스 밖으로 내밀거나 상기 수납캐비티 내부로 수축시키기 위해, 상기 치실홀더 및 상기 급선 어셈블리가 함체 내부에서 왕복직선운동 하도록 구동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또는, 상기 함체는 활동 가능하게 상기 수납캐비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치실홀더의 타단을 상기 케이스 밖으로 내밀거나 상기 수납캐비티 내부로 수축시키기 위해, 상기 함체, 상기 급선 어셈블리 및 상기 치실홀더가 상기 수납캐비티 내부에서 왕복직선운동 하도록 구동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케이스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슬라이드 스위치;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와 상기 급선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된 전동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기구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의 왕복직선운동을 상기 급선 어셈블리의 왕복직선운동 및 상기 급선 어셈블리의 단방향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는 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기구는:
회동부재로 사용되며,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의 출력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급선 어셈블리와도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에 의해 왕복직선운동을 할 수 있는 제1전동부재;
직선부재로 사용되며, 상기 수납캐비티에 고정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동부재의 왕복직선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전동부재;
이동 중인 상기 제1전동부재와 맞닿아 위치를 제한하여 상기 제1전동부재의 위치 또는 자세를 변경시켜 상기 제2전동부재와 전동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제1전동부재가 상기 제2전동부재 상에서 상기 제2전동부재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위치제한구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전동부재는 축방향으로 연결되는 회전체 및 연결체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체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의 출력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체는 상기 급선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회동체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제1투스가 분포되며, 상기 회동체의 외주면은 상기 제1투스가 없는 위치에서 소재제거에 의해 직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전동부재는 직선체와, 직선을 따라 상기 직선체 상에 분포되는 제2투스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체는 상기 제1투스와 상기 직면이 교차적으로 상기 제2투스와 대응되게 설치되도록 이동 과정에서 상기 위치제한 구조에 의해 저지되면서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투스는 상기 투스와 대응되게 설치될 경우, 상기 제1투스와 상기 제2투스는 전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직면과 상기 제2투스가 대응될 경우, 상기 제1전동부재는 직선운동을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제한 구조는 스토퍼와 볼록칼럼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와 상기 회동체는 상기 회동체의 축방향을 따라 엇갈리며, 상기 볼록칼럼은 상기 회동체 상에 구성되며, 상기 볼록칼럼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 단면 상에 볼록하게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와 상기 볼록칼럼은 상기 회동체의 축방향을 따라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볼록칼럼은 상기 회동체가 상기 스토퍼가 있는 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스토퍼와 서로 맞닿아 상기 회동체의 회전을 유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 표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슬라이드 버튼;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와 회전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슬라이드버튼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체는 상기 회전축부에 슬리빙으로 구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이 중,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슬라이드버튼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슬라이드버튼에 분체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선 어셈블리는:
상기 함체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보빈;
상기 함체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보빈;
및 치실;을 포함하며, 상기 치실은 치실홀더를 관통하고, 상기 치실 일단은 상기 제1보빈 상에 감기고, 상기 치실의 타단은 상기 제2보빈 상에 감기며;
상기 제1보빈은 연결체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보빈은 상기 제2보빈과 동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보빈 상의 상기 치실은 상기 제2보빈 상의 상기 치실과 상기 제1보빈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며; 상기 치실홀더는 상기 제1보빈과 수직되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보빈과 상기 제2보빈의 동일측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보빈의 중심에는 장착홀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홀의 내벽에는 제1위치제한바를 구성하며, 인접한 2개의 상기 제1위치제한바 사이에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체의 외벽에는 복수 제2위치제한바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 제2위치제한바는 각각 상이한 상기 슬롯에 삽입되며, 상기 슬롯의 수는 상기 제2위치제한바의 수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납캐비티을 형성하기 위해 둘러싸여 구성되는 베이스와 상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커버 내측에 가이드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제1슬라이드버튼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제1슬라이드버튼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슬롯을 설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커버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상부 커버의 일단과 상기 베이스의 일단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맞닿아 구성되며, 상기 상부 커버 타단은 상기 상부 커버 일단이 눌리워 가압된 후 상기 베이스의 타단과 분리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치실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급선 어셈블리 및 상기 치실홀더가 상기 함체 내부에서 왕복직선운동을 하도록 구동하는 제2 슬라이드버튼;
상기 급선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상기 급선 어셈블리가 단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치실을 방출하고 회수하는 데 사용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치실홀더는 2개의 선관 및 장착부재를 포함하며;상기 2개의 선관을 대향되게 이격 설치하며; 상기 선관은 선공을 구비하며, 상기 선공은 선관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대향된 양단을 관통하며, 상기 선공은 상기 치실이 관통되도록 적용하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2개의 선관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2개의 선관 일단 및 상기 장착부재는 모두 상기 함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2개의 선관 타단을 함체 외부로 내밀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급선 어셈블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급선 어셈블리에 일체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함체, 상기 급선 어셈블리 및 상기 치실홀더는 전부 분해성 소재 또는 재활용 가능한 소재를 채택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치실장치의 유익한 효과는: 급선 어셈블리에 대한 설치를 통해 치실장치를 여러 번 연속 사용할 수 있고, 사용 후 새로운 급선함을 교체하여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치실장치의 폐기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피할 수 있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치실 장치에 있어서, 함체, 급선 어셈블리 및 치실홀더는 전부 분해성 소재 또는 재활용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어, 급선함을 분리하여 교체하더라도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제품이다. 또한, 함체는 급선 어셈블리 및 치실홀더를 일체로 통합시켜, 급선 어셈블리와 치실홀더를 일괄 조립할 수 있고, 교체가 필요한 경우 일괄 교체할 수도 있다. 이밖에, 급선 어셈블리와 치실홀더 사이의 거리를 줄여주어, 급선 어셈블리와 치실홀더 사이에 치실 관통에 필요한 연결프레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전체 치실 장치 구조가 보다 단순하여 조립이 더욱 편리해 지며, 추후 정비 교체 시 급선함만 일괄 교체하면 되므로 중복 사용이 편리해 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을 보다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시예 또는 예시적인 기술 설명에 필요한 도면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며, 하기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명시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일반 기술자에 의해 창조적인 과정을 투입하지 않는 전제 하에서 이와 같은 도면을 통해 기타 관련 도면을 도출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 입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 분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실 장치 부감 개략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 부위 단면 개략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급선함 분해 개략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급선함 단면 개략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전동기구 구조 개략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 스위치, 제1전동부재, 제2전동부재 및 제1보빈의 조립 개략도.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기술방안 및 장점 등을 보다 명백하게 기재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와 연결시켜여 다음과 같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부분에서 설명된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함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한 소자가 다른 소자에 "고정되"거나 "설치되"는 것으로 언급될 경우, 이와 같은 소자는 다른 소자 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한 부재가 다른 부재에 "연결되"는 것으로 언급될 경우, 이와 같은 부재가 다른 부재에 직접 또는 간접 연결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위", "아래", "왼쪽", "오른쪽" 등의 용어와 같은 방향 또는 위치 관계의 표시는 도면에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에 기준하며,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리를 위한 것일 뿐이며, 표시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가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작동되어야 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기에, 본 발명에 대한 제한사항으로 이해하지 말아야 하며,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상기 용어들의 구체적인 의미는 특정한 상황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제1 " 및 "제2 "라는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적으로 나타내거나, 또는 기술적 특징 수를 암묵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복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한, 2개 또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술 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도면 및 실시예와 연결시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케이스(20), 급선함(10) 및 구동 장치(30)를 포함하는 치실 장치를 제공하며; 급선함(10) 및 구동장치(30)는 전부 케이스(20) 내부에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케이스(20)에는 수납 캐비티(23)를 구비한다. 급선함(10)은 함체(11), 급선 어셈블리(12) 및 치실홀더(13)를 포함하며; 함체(11)는 수납캐비티(23) 내부에 장착되고 급선 어셈블리(12)는 케이스(11) 내에 장착되며, 급선 어셈블리(12)는 구동장치(30)의 구동 하에 사용된 치실(123)을 회수하고 사용하지 않은 치실(123)을 방출할 수 있다. 치실홀더(13)의 일단은 급선 어셈블리(12)에 연결되고, 치실홀더(13)의 타단을 케이스(20)밖으로 내밀며; 치실 홀더(13)는 급선 어셈블리(12)에서 방출된 치실(123)을 당겨 펴주어 치실홀더(13)의 타단에서 치실(123)을 당겨 펴주는 데 사용된다. 구동 장치(30)은 급선 조립체(12)가 치실(123)을 회수 및 방출하도록 급선 조립체(12)를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실제 사용 시, 우선 구동장치(30)를 통해 급선 어셈블리(12)를 구동하여 초기 치실(123)을 방출하고, 해당 치실(123)의 일부를 치실홀더(13)에 의해 당겨 펴주어, 해당 치실(123)에 의해 치아 청결이 가능하며, 청결이 끝나면 구동장치(30)를 통해 급선 어셈블리(12)를 구동하여 사용된 치실(123)을 회수하는 동시에 새로운 치실(123)을 방출하며,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급선 어셈블리(12) 상의 치실(123)이 전부 소진되면, 급선함(10)을 케이스(20)로부터 일괄 분리한 후, 새로운 급선함(10)으로 교체한다.
이 밖에, 본 발명의 급선함(10) 내에 있는 함체(11), 급선 어셈블리(12) 및 치실홀더(13)는 전부 분해성 소재 또는 재활용 가능한 소재를 채택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즉 분리 및 교체된 급선함(10)에 따른 환경 오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치실장치는 급선 어셈블리(12)의 구성을 통해 여러 번 연속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 후 새로운 급선함(10)으로 교체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치실장치의 폐기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동시에, 함체(11), 급선 어셈블리(12) 및 치실홀더(13)는 분해성 소재 또는 재활용 가능한 소재를 채택하여 제작될 수 있어 급선함(10)을 분리하여 교체하더라도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기에 본 발명의 치실 장치는 환경 친화적인 제품이다. 또한, 함체(11)를 통해 급선 어셈블리(12)와 치실홀더(13)를 통합 구성하여, 급선 어셈블리(12)와 치실홀더(13)를 일괄 조립할 수 있고, 교체가 필요한 경우 일괄 교체할 수도 있다. 또한, 급선 어셈블리(12)에서 치실홀더(13)까지의 거리를 줄여 주어, 급선 어셈블리(12)와 치실홀더(13) 사이에 치실(123) 관통에 필요한 연결 프레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전체 치실 장치 구조가 보다 단순해 지고 조립도 보다 더 편리해지며, 추후 정비 및 교체 시 급선함(10)만 일괄 교체하면 되기에 중복 사용이 편리해진다.
일 실시예에서, 함체(11)는 장착 캐비티(113)를 구비하며, 급선 어셈블리(12)는 장착 캐비티(11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급선 어셈블리(12)를 장착 캐비티(113)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급선 어셈블리(12)로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함체(11)는 장착 캐비티(113)를 설치하지 않고, 함체(11)와 급선 어셈블리(12)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으며, 즉, 급선 어셈블리(12)를 일회용 구조로 설정하여, 사용 후 급선 어셈블리(12)를 함체(11)와 함께 교체할 수 있고 유일하게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급선 어셈블리(12) 및 치실홀더(13)는 함체(11) 내부에 활동가능하게 구성하며, 구동 장치(30)는 급선 어셈블리(12) 및 치실홀더(13)가 함체(11) 내부에서 왕복직선운동하는 데에도 사용되어, 치실홀더(13)의 타단을 케이스(20) 밖으로 내밀거나 수납캐비티(23) 내부로 수축시켜 주며; 미사용 상태에서, 급선 어셈블리(12) 및 치실홀더(13)는 전부 수납캐비티(23) 내에 수납되며; 사용 시, 구동장치(30)는 치실홀더(13) 타단이 케이스(20)의 외부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내밀 때까지 함체(11)내부에서 치실홀더(13) 및 급선 어셈블리(12)를 구동 및 일괄 이동시켜, 치실(123)을 통해 치아를 청소할 수 있으며; 사용 후, 구동장치(30)를 통해 급선 어셈블리(12) 및 치실홀더(13)를 회수하여, 치실홀더(13) 및 그 위에 있는 치실(123)을 보호하여 치실(123)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제 설계 및 특정 요구 사항에 따라 상기 함체(11)도 수납캐비티(23) 내부에서 활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장치(30)는 함체(11), 급선 어셈블리(12) 및 치실홀더(13)가 수납캐비티(23) 내부에서 왕복직선운동을 하도록 구동하여, 치실홀더(13)의 타단을 케이스(20) 밖으로 내밀거나 수납캐비티(23) 내부로 회수시키는 데에도 사용된다. 이밖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는 함체(11)를 수납캐비티(23)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고, 치실홀더(13)의 타단을 항상 케이스(20) 밖으로 내밀어, 치실(123)을 당겨줄 수도 있으며, 이 부분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구동 장치(30)는 슬라이드 스위치(31) 및 전동기구(32)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스위치(31)는 케이스(2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며, 슬라이드 스위치(31)는 사용자에 의해 왕복으로 슬라이딩되어 왕복직선운동을 출력할 수 있다. 전동기구(32)는 슬라이드 스위치(31)와 급선 어셈블리(12)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동기구(32)는 슬라이드 스위치(31)의 왕복직선운동을 급선 어셈블리(12)의 왕복직선운동 및 급선 어셈블리(12)의 단방향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는 데 사용된다. 즉, 해당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스위치(31)와 전동기구(32)의 배합을 통해 급선 어셈블리(12)의 선 회수/방출 및 치실홀더(13) 타단을 캐비티(23)로부터 내밀거나 회수하도록 구현하여, 조작이 단순하여 사용자가 케이스(20) 상에서 슬라이드 스위치(31)을 슬라이딩만 하면 된다. 또한, 구동 장치(30)는 구조가 단순하여, 전체 치실 장치의 구조도 단순해지고 차지하는 공간도 적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전동기구(32)는 제1전동부재(321), 제2전동부재(322) 및 위치제한 구조(323)를 포함한다.
제1전동부재(321)는 회동부재이며, 즉 제1전동부재(321)는 구동되어 회동할 수 있다. 제1전동부재(321)은 슬라이드 스위치(31)의 출력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전동부재(321)는 급선 어셈블리(12)와도 연결되며, 제1전동부재(321)는 슬라이드 스위치(31)에 의해 왕복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이밖에, 제1전동부재(321)가 출력축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특성을 통해, 제1전동부재(321)가 외력에 의해 구동되면서 회전할 때, 제1전동부재(321)도 출력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전동부재(322)는 고정 설치되고, 제2전동부재(322)는 직선부재이며, 제2전동부재(322)는 제1전동부재(321)의 왕복직선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 중, 위치제한구조(323)는 이동 중인 제1전동부재와 맞닿아 위치를 제한하여 제1전동부재(321)의 위치 또는 자세를 변경시켜 제2전동부재(322)와 전동 연결되도록 하여, 제1전동부재(321)가 제2전동부재(322) 상에서 상기 제2전동부재(322)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이 중, 설명해야 부분이라면, 제1전동부재(321)의 위치 또는 자세의 변화는 제1전동부재(321)가 자세를 변경하기 위해 제자리에서 회전하거나, 제1전동부재(321)가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위치제한구조(323)와 접하기 전에, 제1전동부재(321)와 제2전동부재(322) 사이는 전동 연결 관계를 구성하지 않으며; 제1전동부재(321)는 슬라이드 스위치(31)의 출력축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전동부재(321)의 직선운동이 저지되면, 제1전동부재(321)에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제1전동부재(321)가 원 위치에서 회전축을 둘러싸고 회전하면서, 제1전동부재(321)의 위치가 변경되어, 제1전동부재(321)와 제2전동부재(322)가 상호 전동 연결되고, 진일보로, 제1전동부재(321)가 제2전동부재(322) 상에서 제2전동부재(3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제1회동부재(321)는 회동체(3211)와 연결체(3214)를 포함하며, 회동체(3211)는 슬라이드 스위치(31)의 출력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체(3214)는 급선 어셈블리(12)에 연결된다. 회동체(3211)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제1투스(3212)가 분포되고, 회동체(3211)의 외주면에는 제1투스(3212)가 없는 위치에서 소재제거에 의해 직면(3213)이 형성된다. 제2전동부재(322)는 직선체(3221)와 제2투스(3222)를 포함하며, 제2투스(3222)는 직선체(3221) 상에 직선을 따라 분포된다. 회동체(3211)는 이동 중 위치제한구조(323)에 의해 차단되고 제자리에서 회전하여 제1투스(3212)와 직면(3213)이 교차적으로 제2투스(3222)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며; 제1투스(3212)가 제2투스(3222)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경우, 제1투스(3212)는 제2투스(3222)에 전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직면(3213)이 제2투스(3222)에 대응될 경우, 제1전동부재(321)는 직선 운동을 유지한다. 본 발명은 회동체(3211)의 외주에 제1투스(3212)와 직면(3213)을 분포시키고, 제1투스(3212)와 직면(3213)을 이용하여 교차적으로 제2투스(3222)에 대응되게 구성됨으로써, 제1전동부재(321)와 제2전동부재(322) 간의 간헐적 전동접속을 구현하며; 즉, 본 발명은 제1전동부재(321)가 제2전동부재(322)의 대응하는 부위를 변경함으로써 제1전동부재(321)와 제2전동부재(322)간의 간헐적인 전동접속을 구현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외부 보조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제1전동부재(321)를 구동하여 제2전동부재(322)와의 연결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제 설계 상황에 따라 상기 제1투스(3212)와 직면(3213)을 축방향을 따라 분포시킬 수도 있으며, 제1전동부재(321) 또는 제2전동부재(322)의 축방향 위치를 변경하여, 제1투스(3212)와 직면(3213)이 교차적으로 제2투스(3222)에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회동체(3211)과 슬라이드 스위치(31) 사이에 탄성부재를 구성할 수 있으며, 회동체(3211)가 위치제한구조(323)까지 이동하면, 위치제한구조(323)는 축방향을 따라 회동체(3211)에 맞닿아 회동체(3211)의 축방향 위치가 변경되고, 진일보로 제1투스(3212)와 직면(3213)이 축방향을 따른 위치가 변경하게 됨을 이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위치제한구조(323)에는 스토퍼(3232)와 볼록칼럼(3231)이 포함된다. 스토퍼(3232)는 케이스(20) 내부에 구성되고, 스토퍼(3232)는 회동체(3211)의 축방향을 따라 회동체(3211)와 어긋나게 구성되며, 볼록칼럼(3231)은 회동체(3211) 상에 구성되며, 볼록칼럼(3231)은 회동체(3211)의 축방향을 따른 단면에 볼록하게 구성되며, 즉, 볼록칼럼(3231)과 회동체(3211)는 축방향으로 어긋나게 구성되고, 스토퍼(3232)와 볼록칼럼(3231)은 회동체의 축방향을 따라 대응되게 구성하면, 회동체(3211)는 스토퍼(3232) 위치까지 이동하여, 볼록칼럼(3231)과 스토퍼(3232)가 상호 맞닿아 구성되게 하여 회동체(3211)의 회전을 유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전동부재(321) 또는 제2전동부재(322)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별도의 구동구조를 구성할 필요가 없이, 스토퍼(3232)와 볼록칼럼(3231) 간의 상호 맞닿음 및 구동장치(30)의 구동만으로 회동체(3211)을 회전시켜, 제1전동부재(321)과 제2전동부재(322) 사이를 비연결관계에서 상호전동연결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 간단하며 생산공정 또한 간단하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슬라이드 스위치(31)는 제1슬라이드버튼(311)과 연결부재(312)를 포함하며, 제1슬라이드버튼(311)은 케이스(20) 표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며, 연결부재(312)는 상호 연결된 연결부(3121)와 회전축부(3122)를 포함하며, 회동체(3121)는 제1슬라이드버튼(311)에 연결되며, 회동체(3211)는 회전축부(3122)에 회전 가능하게 슬리빙 구성된다. 케이스(20)의 표면에서 제1슬라이드버튼(311)을 슬라이딩하면, 연결부(3121) 및 회전축부(3122)를 통해 제1회동부재(321)가 왕복직선운동을 하도록 유도하며, 제2전동부재(322)와 위치제한구조(323)의 배합을 통해, 최종적으로 급선 어셈블리(12)의 왕복직선운동과 제1회동부재(321)의 단일방향 회전 운동을 출력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3121)와 제1슬라이드버튼(311)은 일체적으로 연결되며, 즉, 연결부재(312)와 제1슬라이드버튼(311)이 일체적으로 연결되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연결부재(312)와 제1슬라이드버튼(311)을 함께 가공하여 성형될 수 있어, 연결부재(312)와 제1슬라이드버튼(311)의 제조 공정 및 조립 공정을 단순화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위에서 언급한 연결부(3121)와 제1슬라이드버튼(311)은 분체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즉 연결부재(312)와 제1슬라이드버튼(311)을 각각 제작한 다음 일체로 고정하며, 이 부분에서 유일하게 한정하지 아니함은 이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급선 어셈블리(12)는 제1보빈(121), 제2보빈(122) 및 치실(123)을 포함하며; 제1보빈(121)은 함체(1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제2보빈(122)은 함체(1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치실(123)은 치실홀더(13)을 관통하고 치실(123) 일단은 제1보빈(121) 상에 감기고, 치실(123)의 타단은 제2보빈(122) 상에 감긴다. 설치 시, 제1보빈(121)을 연결체(3214)에 연결하고, 사용하지 않은 치실(123)을 제1보빈(121)에 감고, 사용한 치실(123)을 제2보빈(122)에 감는다. 매번 치실(123)을 사용한 후, 제1슬라이드버튼(311)을 슬라이딩하고, 연결부재(312), 회동체(3211) 및 연결체(3214)를 통해 제1보빈(121)이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사용하지 않은 치실(123)을 방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제1보빈(121)과 제2보빈(122)에 대한 설계를 통해 사용하지 않은 치실(123)과 사용된 치실(123)을 충분히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지 않은 치실(123)이 이미 사용한 치실(123)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제 설계 요구 사항에 따라 상기 급선 어셈블리(12)도 보빈 하나만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되지 않은 치실(123)과 사용한 치실(123)은 보빈의 대향된 양단에 각각 감긴 다음, 격판에 의해 사용하지 않은 치실(123)과 이미 사용한 치실(123)을 분리할 수 있으며, 이 부분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제1보빈(121)은 제2보빈(122)과 동축 상에 구성되며, 제1보빈(121) 상에 있는 치실(123)과 제2보빈(122) 상에 있는 치실(123)은 제1보빈(121)의 축 방향을 따라 이격 구성된다. 치실홀더(13)은 제1보빈(121)과 제2보빈(122)의 축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제1보빈(121)과 제2보빈(122)의 동일측에 위치하여, 제1보빈(121) 상의 치실(123)이 치실홀더(13)로 용이하게 관통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치실홀더(13) 내에 있는 치실(123)이 제2보빈(122)에 용이하게 감기도록 한다. 동시에 제1보빈(121), 제2보빈(122) 및 치실홀더(13)의 전체 구조가 컴팩트하고 점유 공간이 작아 전체 급선함(10)의 점유 공간이 적어 치실 장치 구조가 작고 휴대가 편리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보빈(121)의 중심에는 장착홀(1211)이 있고, 장착홀(1211)의 내벽에 둘레를 따라 분포하는 복수 제1위치제한바(1212)를 구성하며, 제1위치제한바(1212)는 장착홀(1211)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인접한 두 개의 제1위치제한바(1212) 사이에 슬롯(1213)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체(3214)의 외벽에는 상이한 슬롯(1213)에 각각 삽입된 복수 제2위치제한바(3215)를 구성하며, 연결체(3214)가 장착홀(1211)에 삽입되었을 때, 제2위치제한바(3215)는 슬롯(1213)과 삽입 배합되어, 제1보빈(121)과 연결체(3214)의 둘레 방향에 대한 위치 제한을 달성하며, 연결체(3214)가 회전할 때, 제1보빈(121)을 회전시켜 치실의 방출과 치실의 회수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보빈(121)은 키 결합, 억지끼워 맞춤 결합 또는 나사 잠금 결합 방식에 의해 연결체(3214)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함은 이해할 수 있다.
슬롯(1213)의 수가 제2위치제한바(3215)의 수보다 많으면 제2위치제한바(3215)는 용이한 조립을 위해 상이한 슬롯(1213)에 삽입될 수 있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20)는 베이스(21)와 상부 커버(22)를 포함하며, 베이스(21)와 상부 커버(22)는 둘러싸여 수납캐비티(23)을 형성하고, 함체(11), 급선 어셈블리(12) 및 치실홀더(13) 모두가 수납캐비티(23)에 수용된다. 상부 커버(22)의 내부에는 가이드 프레임(24)을 구성하며, 제1슬라이드버튼(311)은 가이드 프레임(24)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부 커버(22)는 제1슬라이드버튼(311)의 위치에 대응되게 관통 슬롯을 구성하며, 제1슬라이드버튼(311)은 사용자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관통 슬롯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은 가이드 프레임(24)의 설정을 통해 제1슬라이드버튼(311)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고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상부 커버(22) 일단은 베이스(21)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부 커버(22)의 일단과 베이스(21)의 일단 사이에는 탄성 부재(25)가 맞닿아 구성되며, 상부 커버(22) 타단은 상부 커버(22) 일단이 눌리워 가압된 후 베이스(21)의 타단과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25)는 수납캐비티(23) 내에 설치되며, 탄성부재(25)는 압축 스프링이고, 탄성부재(25)의 밑단은 베이스(21)의 일단 내벽에 고정 연결되며; 탄성부재(25)의 상단은 상부 커버(22)의 일단 내벽에 고정연결되며; 상부 커버(22)와 베이스(21) 상호 간 커버될 때, 탄성부재(25)는 자연적인 신축된 상태가 되며, 상부 커버(22)의 일단이 눌리워 가압되면, 상부 커버(22) 감김장치 일단은 상부 커버(22) 타단이 베이스(21) 타단에서 분리될 때까지 회전하여, 급선함(10)을 쉽게 인출해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탄성부재(25)는 압축 상태로 되어 탄력을 축적 하며; 상부 커버(22)의 일단에 있는 외력이 소실되면 상부커버(22) 일단은 탄성부재(25)의 탄력의 작용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여 상부 커버(22)가 베이스(21) 상에 커버될 때가지 역회전하도록 유도한다. 본 실시예의 케이스(20)는 상기 구조설계를 통해 사용자가 상부 커버(22)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열고 급선함(10)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베이스(21) 상에 두 개의 동축 및 배향 연장된 회전축(211)을 구성하며, 상부 커버(22)의 내벽에는 두 개의 회전축(2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축홀이 분포되어 있다. 설치 시, 2개의 회전축(211)이 2개의 축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부 커버(22)가 베이스(21) 상에서의 회전 연결을 구현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일 실시예에서 치실홀더(13)는 2개의 선관(131)과 장착부재(132)를 포함하며; 2개의 선관(131)은 대향되게 이격 구성되며; 선관(131)은 선공(1311)을 구비하며, 선공(1311)은 선관(131)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방향에서 대향된 양단을 관통하며, 선공(1311)은 치실(123)을 관통 시키는 데 사용되며; 장착부재(132)는 두 선관(131)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며, 두 선관(131)의 일단과 장착부재(132)는 모두 함체(11) 내부에 수용되고, 두 선관(131)의 타단은 함체(11) 밖으로 내밀어 구성되며; 장착부재(132)에는 장착 구조를 구성하고 있어, 급선 어셈블리(12)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장착부재(132)를 통해 두 선관(131)의 일단 사이에서 고정연결되며, 장착부재(132) 상에 장착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장착부재(132)와 급선 어셈블리(12)를 탈착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어, 치실홀더(13)의 탈부착이 편리해 지고, 후속 유지보수나 교체가 용이해진다. 또한, 선공(1311)을 통해 선관(131)의 대향된 양단을 관통하여 치실(123)이 치아 청결에 사용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기타는 전부 선공(1311) 내부에서 보호되도록 하며, 치실(123)이 사용 전에 깨끗하고 위생적이며 먼지가 묻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치실(123)이 사용 전에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치실(123)의 사용 기능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부재(132)는 급선 어셈블리(12)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급선 어셈블리(12)는 장착 베이스(14)를 더 포함하며, 제1보빈(121) 및 제2보빈(122)은 전부 장착 베이스(14)의 내강에 장착되어 있고, 장착부재(132)는 장착 베이스(14)와 일체로 연결되어 급선 어셈블리(12)와 치실홀더(13) 사이의 연결이 더욱 견고해짐을 이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함체(11)는 박스 베이스(111)과 박스 커버(112)를 포함하며, 박스 베이스(111)의 가장자리와 박스 커버(112)의 가장자리는 서로 맞물리면서 둘러싸여 장착캐비티(113)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구동장치(30)는 제2슬라이드버튼과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슬라이드버튼은 치실홀더(13)에 연결되며, 제2슬라이드버튼은 슬라이딩에 사용되어 급선 어셈블리(12) 및 치실홀더(13)를 구동시켜 수납캐비티(23) 내부에서 왕복직선운동하도록 한다. 구동모터는 급선 어셈블리(12)에 연결되어, 급선 어셈블리(12)가 단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데 사용되어 치실을 방출하고 회수하도록 한다. 즉, 제2슬라이드버튼 및 구동 모터의 두 구동구조를 통해 치실홀더(13)의 왕복직선운동 및 급선 어셈블리(12)의 치실 방출과 회수를 각각 구동한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데 사용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요지와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교체 및 개선 등은 전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0-급선함; 11-함체; 111-박스 베이스; 112-박스 커버; 113-장착 캐비티; 12-급선 어셈블리; 121-제1보빈; 1211-장착홀; 1212-제1위치제한바; 1213-슬롯; 122-제2보빈; 123-치실; 13-치실홀더; 131-선관; 1311-선공; 132-장착부재;14-장착 베이스; 20-케이스; 21-베이스; 211-회전축; 22-상부 커버; 23-수납캐비티; 24-가이드 프레임; 25-탄성부재; 30-구동 장치; 31-슬라이드 스위치; 311-제1슬라이드 버튼; 312-연결 부재; 3121-연결부; 3122-회전축부; 32-전동기구; 321-제1전동부재; 3211-회동체; 3212-제1투스; 3213-직면; 3214-연결체; 3215-제2위치제한바; 322-제2전동부재; 3221-직선체; 3222-제2투스; 323-위치제한구조; 3231-스토퍼; 3232, 볼록칼럼.

Claims (15)

  1. 치실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실장치는 케이스, 급선함 및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수납캐비티를 구비하며;
    상기 급선함은:
    상기 수납캐비티 내부에 구성되는 함체;
    상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장치의 구동으로 사용된 치실을 회수하고 사용하지 않은 치실을 방출하는 급선 어셈블리;
    일단이 상기 급선 어셈블리와 연결을 형성하고, 타단을 상기 케이스 외부로 내미는 치실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치실홀더는 상기 급선 어셈블리가 방출하는 치실을 당겨 펴주어 상기 치실홀더의 타단에서 치실을 당겨 펴주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선 어셈블리 및 상기 치실홀더는 상기 함체 내에 활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치실홀더의 타단을 상기 케이스 밖으로 내밀거나 상기 수납캐비티 내부로 수축시키기 위해, 상기 급선 어셈블리 및 상기 치실홀더를 함체 내부에서 왕복직선운동 하도록 구동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또는, 상기 함체는 활동 가능하게 상기 수납캐비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치실홀더의 타단을 상기 케이스 밖으로 내밀거나 상기 수납캐비티 내부로 수축시키기 위해, 상기 함체, 상기 급선 어셈블리 및 상기 치실홀더가 상기 수납캐비티 내부에서 왕복직선운동 하도록 구동하는 데에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케이스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슬라이드 스위치;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와 상기 급선 어셈블리 사이에 연결되는 전동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기구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의 왕복직선운동을 상기 급선 어셈블리의 왕복직선운동 및 상기 급선 어셈블리의 단방향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구는:
    회동부재로 사용되며,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의 출력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급선 어셈블리와도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에 의해 왕복직선운동을 할 수 있는 제1전동부재;
    직선부재로 사용되며, 상기 수납캐비티에 고정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동부재의 왕복직선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전동부재;
    이동 중인 상기 제1전동부재와 맞닿아 위치를 제한하여 상기 제1전동부재의 위치 또는 자세를 변경시켜 상기 제2전동부재와 전동 연결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제1전동부재가 상기 제2전동부재 상에서 상기 제2전동부재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사용되는 위치제한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동부재는 축방향으로 연결되는 회동체 및 연결체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체는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의 출력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체는 상기 급선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회동체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제1투스가 분포되며, 상기 회동체의 외주면은 상기 제1투스가 없는 위치에서 소재제거에 의해 직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전동부재는 직선체와, 직선을 따라 상기 직선체 상에 분포되는 제2투스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체는 상기 제1투스와 상기 직면이 교차적으로 상기 제2투스와 대응되게 설치되도록 이동 과정에서 상기 위치제한 구조에 의해 저지되면서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투스는 상기 투스와 대응되게 설치될 경우, 상기 제1투스와 상기 제2투스는 전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직면과 상기 제2투스가 대응될 경우, 상기 제1전동부재는 직선운동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 구조는 스토퍼와 볼록칼럼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와 상기 회동체는 상기 회동체의 축방향을 따라 엇갈리며, 상기 볼록칼럼은 상기 회동체 상에 구성되며, 상기 볼록칼럼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 단면 상에 볼록하게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와 상기 볼록칼럼은 상기 회동체의 축방향을 따라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볼록칼럼은 상기 회동체가 상기 스토퍼가 있는 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스토퍼와 서로 맞닿아 상기 회동체의 회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 표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슬라이드 버튼;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와 회전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슬라이드버튼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체는 상기 회전축부에 슬리빙으로 구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이 중,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슬라이드버튼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슬라이드버튼에 분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선 어셈블리는:
    상기 함체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보빈;
    상기 함체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보빈;
    및 치실;을 포함하며, 상기 치실은 치실홀더를 관통하고, 상기 치실 일단은 상기 제1보빈 상에 감기고, 상기 치실의 타단은 상기 제2보빈 상에 감기며;
    상기 제1보빈은 연결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빈은 상기 제2보빈과 동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보빈 상의 상기 치실은 상기 제2보빈 상의 상기 치실과 상기 제1보빈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며; 상기 치실홀더는 상기 제1보빈과 수직되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보빈과 상기 제2보빈의 동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빈의 중심에는 장착홀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홀의 내벽에는 제1위치제한바를 구성하며, 상호 인접한 2개의 상기 제1위치제한바 사이에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체의 외벽에는 복수 제2위치제한바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 제2위치제한바는 각각 상이한 상기 슬롯에 삽입되며, 상기 슬롯의 수는 상기 제2위치제한바의 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와 상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부 커버는 둘러싸여 수납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 커버 내측에 가이드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제1슬라이드버튼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제1슬라이드버튼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슬롯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상부 커버의 일단과 상기 베이스의 일단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맞닿아 구성되며, 상기 상부 커버 타단은 상기 상부 커버 일단이 가압된 후 상기 베이스의 타단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치실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치실홀더 및 상기 급선 어셈블리가 상기 함체 내부에서 왕복직선운동을 하도록 구동하는 제2 슬라이드버튼;
    상기 급선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상기 급선 어셈블리가 단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치실을 방출하고 회수하는 데 사용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홀더는 2개의 선관 및 장착부재를 포함하며;상기 2개의 선관을 대향되게 이격 설치하며; 상기 선관은 선공을 구비하며, 상기 선공은 선관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대향된 양단을 관통하며, 상기 선공은 상기 치실이 관통되도록 적용하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2개의 선관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2개의 선관의 일단 및 상기 장착부재는 모두 상기 함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2개의 선관의 타단은 함체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급선 어셈블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급선 어셈블리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 상기 급선 어셈블리 및 상기 치실홀더는 전부 분해성 소재 또는 재활용 가능한 소재를 채택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장치.

KR1020237039352A 2022-01-14 2022-09-23 치실 장치 KR202301725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20103698.XU CN217366151U (zh) 2022-01-14 2022-01-14 牙线装置
CN202220103698.X 2022-01-14
PCT/CN2022/120836 WO2023134216A1 (zh) 2022-01-14 2022-09-23 牙线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545A true KR20230172545A (ko) 2023-12-22

Family

ID=8309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352A KR20230172545A (ko) 2022-01-14 2022-09-23 치실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4321130A1 (ko)
JP (1) JP2024517353A (ko)
KR (1) KR20230172545A (ko)
CN (1) CN217366151U (ko)
AU (1) AU2022434174A1 (ko)
CA (1) CA3220059A1 (ko)
TW (1) TWM647379U (ko)
WO (1) WO20231342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7366151U (zh) * 2022-01-14 2022-09-06 卓物科技(深圳)有限公司 牙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0681A (en) * 1990-12-24 1991-10-29 Robert S. Westbrook Dental flossing device
US5816271A (en) * 1995-12-14 1998-10-06 Dynaproducts, Inc. Self-guiding flosser
CN2320217Y (zh) * 1997-11-25 1999-05-26 伍驹有限公司 一种改进的o型牙线盒
CN111658206A (zh) * 2020-07-07 2020-09-15 南京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口腔齿间缝清洁专用牙线
CN112043439A (zh) * 2020-09-15 2020-12-08 陈志� 牙齿清洁设备
CN217366151U (zh) * 2022-01-14 2022-09-06 卓物科技(深圳)有限公司 牙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20059A1 (en) 2023-07-20
WO2023134216A1 (zh) 2023-07-20
TWM647379U (zh) 2023-10-21
EP4321130A1 (en) 2024-02-14
AU2022434174A1 (en) 2023-11-30
JP2024517353A (ja) 2024-04-19
CN217366151U (zh)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72545A (ko) 치실 장치
CA2085916C (en) Electric dental flosser
EP0585738B1 (en) Power toothbrush
US3104405A (en) Tooth brush actuating mechanism
CA2412674C (en) Electric toothbrush
US3150393A (en) Power-operated hair brush
WO2007056793A1 (en) Teeth cleaning apparatus
JPH11501247A (ja) 歯洗浄装置およびそのアタッチメント
CN211750216U (zh) 一种电动牙刷
WO2020192248A1 (zh) 消毒装置及牙刷
CN110213986B (zh) 传动装置及洁面仪
CN211242084U (zh) 牙刷
CN212015423U (zh) 一种切纸机
CN212853695U (zh) 一种电动牙刷
AU2006315064B2 (en) Teeth cleaning apparatus
CN210471360U (zh) 可伸缩型牙间刷
CN220559871U (zh) 一种紫外线灯管清洁设备
CN211794855U (zh) 一种毛发收集清洁装置
CN211242083U (zh) 牙刷
CN217548280U (zh) 一种感应式双向清洁牙刷及智能电动牙刷
CN216453862U (zh) 一种伸缩式内镜清洗刷
JPH11290132A (ja) 繰り出し式口腔衛生器具
CN211888036U (zh) 一种具有杀菌机构的清洗装置
CN218008657U (zh) 一种旋转清洁牙刷
CN210539613U (zh) 一种转动清理牙缝的牙缝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