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379A -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379A
KR20230172379A KR1020220172156A KR20220172156A KR20230172379A KR 20230172379 A KR20230172379 A KR 20230172379A KR 1020220172156 A KR1020220172156 A KR 1020220172156A KR 20220172156 A KR20220172156 A KR 20220172156A KR 20230172379 A KR20230172379 A KR 20230172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liding
exercise
hole
exercis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2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대
Original Assignee
이진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대 filed Critical 이진대
Publication of KR20230172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이송작용에 의해 복근,어깨,가슴,엉덩이,허벅지 등의 신체근육을 단련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뿐만 아니라, 그 외 다른 근육운동에 도움을 주거나, 다른 근육운동 용도로 변 환사용할 수 있는 기능, 예컨대 선택적 멜빵연결을 통한 스쿼트 운동 및 클로즈그립 푸쉬업 운동, 그리고 선택적 발거치대 설치를 통한 허리강화운동을 병할 할 수 있는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더 부여하여 활용성을 극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하부마감커버와 상부마감커버로 이루어진 기구본체와, 스톱고정유닛과, 슬라이딩 손잡이와, 발거치대를 형성하되;
상기 기구본체는, 사방향 둘레에 멜빵연결공을 배열 형성하고, 상기 하부마감커버는, 푸쉬업파지홈과 휠설치부와 이송휠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하며, 상기 상부마감커버는, 파지홈결착홈과 손잡이삽입관과 휠지지컬럼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하고, 상기 스톱고정유닛은, 안전작동공과 안전로드와 안전단속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Multifunctional sliding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슬라이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 구름에 의한 전후 이송안내작용에 의해 복근,어깨,가슴,엉덩이,허벅지 등 신체 전반근육을 단련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운동기구에 있어, 그 슬라이딩 운동기구에 평형 유지기능과 스톱고정 기능을 부여하여 사용안전성을 확보하고, 아울러 선택적인 멜빵연결을 통해 스쿼트 운동을 보조하는 기능과 클로즈그립 푸쉬업 운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가변 설치되는 발거치대에 의해 허리를 강화할 수 있는 운동기능 또한 복합적으로 부여하여 활용성이 향상된 생활건강보조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운동은 신체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는데 필수적인 한 요소로써, 운동학적 측면에서 보면 근력 강화, 순발력 및 민첩성 향상 등과 같은 운동 능력의 발달을 가져다준다.
운동 능력의 향상은 외부 환경에서 유발되는 외상으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고, 노화로 인해 생기는 노쇠화 과정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특히 운동을 통해 바른 자세를 만들고, 강한 힘을 기르며, 젊은 외모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자연스럽게 자신감 또한 갖을 수 있는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한편, 최근 대한비만학회가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코로나19 시대 국민 체중 관리 현황 및 비만 인식 조사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4명이 코로나19 펜데믹 현상 이전 대비 체중이 3kg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인즉, 사회적 거리두기 및 외부 활동 자제로 인해 운동량이 감소하고, 활동량 부족으로 음식섭취량 대비 소모열량이 그에 미치지 못하는 등 건강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강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더욱 강조되는 현실이며, 건강을 잃치 않기 위한 방안, 또는 나빠진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의 운동, 예컨대 홈 트레이닝(Home training)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홈 트레이닝(Home training)은 간단한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하여 집에서 할 수 있는 운동방식을 말하는 것이며, 이는 헬스장 등지에 시간과 비용을 지불하며 장기간 다니기에 부담스러운 사람들에게 유용한 방식이다.
홈 트레이닝(Home training) 기구의 위한 대표적인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 등록된 "슬라이딩 운동기구(실용신안등록 제0245372)"가 창안된 바 있다.
상기 선출원 등록기술로서의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몸체 하부에 내장된 전후 롤러와, 롤러 고정축과 치합된 복원기어와, 복원기어의 양측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된 손잡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전술한 선등록 기술로서의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하부케이스 내측면에 전후롤러와 복원기어, 그리고 복원스프링 등이 상호 조합된 구조로 수용설치되고, 그들 수용된 조합구성들로 인해 상부케이스가 상당한 높이로 융기된 형태, 예컨대 지면에 접촉하는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하부측 면적대비, 그 높이가 불필요하게 높은 구성을 취함에 따라 슬라이딩 운동 중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균형이 쉽게 무너지는 폐단이 있고,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균형 무너짐은 바로 사용자 신체균형까지 무너뜨려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상당한 안전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전술한 선등록 기술로서의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구름 이송작용을 행하는 전후롤러에 별도 고정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못함에 따라, 취급이 불가한 유아들이 어른들의 보호를 받지못한 상태에서 올라타거나 접촉하는 경우, 뇌진탕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등 그 취급 및 보관과정에 있어 또한, 매우 위험한 안전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르게, 전술한 선등록 기술로서의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이송휠 구름에 의한 전후 이송안내작용에 의해 복근,어깨,가슴,엉덩이,허벅지 등과 같은 신체근육을 단순히 단련할 수 있는 기능에 한정된 것일뿐, 기타 위에서 언급한 근육운동 이외에 기타 다른 근육운동에 도움을 주거나 혹은 다른 근육운동 용도로 변환사용할수 있는 기능 등은 전혀 마련하고 있지는 못한 것으로 활용성 및 범용성 저하의 폐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기초 외관구성을 균일한 두께의 원반형 구조, 예컨대 기구본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기구본체 하부면 사방향에 이송휠을 균일한 분산 배치구성으로 설치하여 기구본체와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키고, 그와 같은 접촉면적 확대에 따라 균형 무너짐 현상없이 안정적으로 평형을 유지하며 슬라이딩 근력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원반형태의 기구본체 상부면에 완충안전패드를 적층 형성하여 근력운동 중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사용자가 넘어져 기구본체에 부딛히는 경우라도 신체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 안정성을 극히 증대시킬 수 있도로 한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필요에 따른 스위칭 조작에 의해 승강작동되며 지면과 기구본체 사이에 고정지지력을 부여하는 스톱고정유닛을 형성하여, 취급이 불가한 유아들이 어른들의 보호를 받지못한 상태에서 올라타거나 접촉하는 경우라도 슬라이딩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을 원천 예방되게 함으로써, 취급성과 사용 안전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이송작용에 의해 복근,어깨,가슴,엉덩이,허벅지 등의 신체근육을 단련할 수 있는 기능 뿐만 아니라, 그 외 다른 근육운동에 도움을 주거나, 다른 근육운동 용도로 변환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 예컨대 선택적 멜빵연결을 통한 스쿼트 운동(앉았다 섯다를 반복하는 하체운동) 및 클로즈그립 푸쉬업 운동(팔뒤쪽 삼두근을 발달시키기 위해 양손을 최대한 가슴쪽으로 모은 상태에서 실시하는 푸쉬업 운동), 그리고 선택적인 발거치대 연결(설치)을 통한 허리강화운동을 병할 할 수 있는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더 부여하여 활용성을 극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근육을 발달시키기 위한 단순 홈 트레이닝 기구로서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원반형태의 기구본체를 받침수단으로 하고, 선택적으로 연결사용되는 멜빵을 고정 묶음수단으로 하여 가구나 화분 등의 무거운 물건을 용이하게 이동 운반할 수 있는 운반수단 용도로 변환사용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 효율성과 범용성을 극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하부마감커버와 상부마감커버로 이루어진 기구본체, 기구본체 중앙부로 수용 설치되는 스톱고정유닛, 기구본체 좌,우 양측면으로 탈부착 되는 슬라이딩 손잡이, 기구본체 상부면으로 탈,부착되는 발거치대를 형성하되;
상기 기구본체는, 사방향 둘레에 멜빵연결공을 배열 형성하고;
상기 하부마감커버는, 푸쉬업파지홈과, 휠설치부와, 이송휠을 포함하는 구성으로형성하며;
상기 상부마감커버는, 파지결착홈과, 손잡이삽입관과, 휠지지컬럼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하고;
상기 스톱고정유닛은, 안전작동공과, 안전로드와, 안전단속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원반형태의 기구본체 하부면에 이송휠을 균일한 분산 배치구성으로 설치하여 기구본체와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키고, 접촉면적 확대에 따른 평형 유지기능에 의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근력운동을 행하게 하며, 아울러 기구본체에 완충안전패드를 더 적층 형성하여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사용자가 기구본체에 부딛히는 경우라도 신체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되게 한 것으로, 이는 사용 안정성을 증대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기구본체에 스톱고정유닛을 형성하여, 취급이 불가한 유아들이 어른들의 보호를 받지못한 상태에서 그 기구본체에 올라타거나 접촉하는 경우라도 슬라이딩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원천 예방되게 한 것으로, 이는 취급성과 사용 안전성을 향상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복근,어깨,가슴,엉덩이,허벅지 등의 신체근육을 단련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뿐만 아니라, 그 외 다른 근육운동에 도움을 주거나, 다른 근육운동 용도로 변환사용할 수 있는 기능, 예컨대 선택적 멜빵연결을 통한 스쿼트 운동 및 클로즈그립 푸쉬업 운동, 선택적인 발거치대 연결(설치)을 통한 허리강화운동을 병할 할 수 있는 기능을 복합적으로 더 부여한 것으로, 이는 활용성을 증대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단순한 홈 트레이닝기구로서뿐만 아니라, 원반형태의 기구본체를 받침수단으로 하고, 선택적으로 연결사용되는 멜빵을 고정 묶음수단으로 하여 가구나 화분 등의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수 있는 용도로 또한 변환사용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사용 효율성과 범용성을 증대되게 하는 등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마감커버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요부작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손잡이의 요부 체결작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휠설치부와 휠지지컬럼의 요부확대 결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발거치대의 결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에 멜빵을 연결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이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하부마감커버(1)와 상부마감커버(2)로 이루어진 기구본체(100)와, 스톱고정유닛(3)과, 슬라이딩 손잡이(4)와 발거치대(5)의 유기적 결합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기구본체(100)는 후술하는 하부마감커버(1)와 상부마감커버(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본원발명의 주요 핵심적인 외관구성이다.
이러한, 기구본체(100)는, 도 1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한 두께를 갖는 원반형 구조로하여, 그 원반형 구조를 갖는 기구본체(100)의 사방향 둘레에 규칙적인 간격배열 구성으로 멜빵연결공(101)을 배열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기구본체(100)로 형성되는 멜빵연결공(101)은, 하부마감커버(1)와 상부마감커버(2)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장공형태의 구성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마감커버(1)는, 전술한 기구본체(100)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되는 하부측 부품구성이다.
이러한, 하부마감커버(1)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형 구조를 취하며 좌,우 양측면에 대칭되는 한쌍의 푸쉬업파지홈(11)을 형성하고, 내측바닥 사방면에 규칙적인 간격 배치구성으로 휠설치부(12)를 형성하며, 상기 휠설치부(1)에 탈부착 조립구조로 결합하는 이송휠(1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하부마감커버(1)에 있어 상기 휠설치부(12)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관통구조를 갖는 휠삽입공(121)과, 휠삽입공(121)의 좌우 양측면에 레일형구조로 돌출된 한쌍의 휠회동안착구(122)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휠(13)은 좌우 양측면 중앙부에 상기 휠회동안착구(122)에 안착되며 이송휠(13)을 자유회전되도록 유도하는 휠축(131)이 대칭 돌출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마감커버(2)는, 전술한 기구본체(100)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되는 상부측 부품구성이다.
이러한, 상부마감커버(2)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형 케이스구조를 취하며 좌,우 양측면에 대칭되는 한쌍의 요철홈 구성, 예컨대 전술한 푸쉬업파지홈(11)의 상부면으로 밀착 결합하는 파지결착홈(21)을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파지결착홈(21)이 형성된 부위 내측면에 도 2 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의 원통형구조를 갖는 손잡이삽입관(22)을 형성하며, 상부마감커버(2)의 내측 사방면으로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돌출구조로 분산 배치되며 전술한 휠설치부(12)와 밀착 압박구조로 결합하는 휠지지컬럼(23)을 형성하고, 상부마감커버(2)의 상부면 사방면으로는 후술하는 발거치대(5)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탈부착 구조로 가변적 설치할 수 있는 수단, 예컨대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구조로 관통된 거치대 설치공(24)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상부마감커버(2)에 있어 휠지지컬럼(23)은, 그 저면부에 전술한 이송휠(13)이 마찰 압박없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간극구성, 예컨대, 도 6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같은 마찰방지홈(231)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전술한 상부마감커버(2)에 있어 손잡이삽입관(22)은, 후술하는 슬라이딩 손잡이(4)의 체결로드(42)를 탈부착 삽입구조로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그 내측면에 도 1 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구조의 체결공(221)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221) 내경 일측면에 도 5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조를 이루는 탄성걸림공(P)과, 상기 탄성걸림공(P)으로 수용결합되는 체결해제버튼(l)으로 이루어진 체결단속부(222)를 더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스톱고정유닛(3)은, 사용자 필요에 따른 스위칭 조작에 의해 승강작동하며 전술한 기구본체(100)와 지면 사이에 고정지지력을 부여하여 기구본체(100)가 슬라이딩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일종의 안전제어 수단이다.
이러한, 스톱고정유닛(3)은,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관통구조를 이루며 그 관통된 내경 좌우 양측면에 승강안내홈(311)을 마련한 안전작동공(31)을 형성하고, 상기 안전작동공(31)의 내경부로 삽입 설치되며 승강안내홈(311)을 따라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작동하는 안전로드(32)를 형성하며, 아울러 상기 안전작동공(31) 하부 일측면으로는 상기 안전로드(32)의 승강높이를 조절하며 고정하는 수단, 예컨대 안전단속부(33)를 더 연결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스톱고정유닛(3)에 있어 상기 안전로드(32)는, 도 1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버튼(321) 하부면에 고정지지축(322)을 일체화 구조로 연장 형성시킨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그 고정지지축(322) 외경 일측면에 다단 이격구조로 분할 배치된 걸림단속수단, 예컨대 고정걸림홈(H)을 더 형성한다.
아울러, 전술한 스톱고정유닛(3)에 있어 상기 안전단속부(33)는, 작동스프링(331)과 단속레버(332)를 수용 설치하고, 단속레버(332) 설치부위 하부면에 관통구조의 레버작동공(333)을 마련한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4)는,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파지한 상태하에 기구본체(100)를 전,후 방향으로 강제 슬라이딩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손잡이는(4)는, 도 1 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립(41) 일측면에 다각구조의 체결로드(42)를 일체화 구조로 연장 형성하고, 상기 연장 형성된 체결로드(42) 일측면에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S)과 스톱볼(B)이 수용 설치된 탄성걸림부(43)를 돌출구조로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상기 발거치대(5), 사용자가 바닥에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양쪽발목 또는 양쪽 종아리 부위를 거치시킨 상태하에, 기구본체(10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송시켜 허리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발거치대(5)는, 도 1 또는 도 7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 좌,우 양측면과 중앙부에 균등한 간격배열로 분할 융기된 구획패널(51)을 형성하고, 상기 융기된 구획패널(51)에 의해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으로 대칭 분할된 한쌍의 발안착홈(52)을 형성하며, 아울러 발안착홈(52) 형성부위 하단면 사방향 둘레에 도 7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연장구조로 돌출된 탈착조립돌기(53)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거치대(5)는, 상기 한쌍의 발안착홈(52) 내측 바닥면에 도 1 또는 도 7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절개홈 형태로 관통되는 통기공(521)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이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마감커버(1)와 상부마감커버(2)의 결합에 의해 기구본체(100)를 형성하고, 상기 기구본체(100) 중앙부에 도 1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고정유닛(3)을 결합 설치하며, 기구본체(100) 좌,우 양측면, 예컨대 손잡이 삽입관(22)으로 형성된 체결공(221)에 슬라이딩 손잡이(3)를 탈,부착 구조로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구현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3)의 탈부착 조립관계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로드(42)를 체결공(221)에 삽입시키면, 탄성걸림부(43)의 스톱볼(B)이 체결단속부(222)의 탄성걸림공(P)에 걸림되며 슬라이딩 손잡이(3)가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력을 부여한다.
반면,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손잡이(3)가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단속부(222)의 체결해제버튼(L)을 누르게 되면. 탄성걸림공(P)에 걸림된 스톱볼(B)이 탄성 압입되며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그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손잡이(3)를 잡아당겨 체결공(221)으로 부터 체결로드(42)를 분리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구성을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슬라이딩 손잡이(4)를 사용자 양손을 이용하여 파지하고, 그러한 파지상태하에 무릎을 꿇거나 푸쉬업 자세로 상체를 들어올리며, 재차 상체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손잡이(4)에 신체외력을 전달하여 이송휠(13)에 의한 구름작용에 의해 기구본체(100)를 전,후 방향으로 반복 이송작동되게 함으로써, 복근,어깨,가슴,엉덩이,허벅지 등의 신체근육을 단련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근육운동 행한 후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스톱고정유닛(3)의 안전로드(32)에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압입 외력을 부여한다.
이에, 스톱고정유닛(3)에 압입외력이 가해지면 안전로드(32)는 하강하며 지면과 접촉되고, 지면과 접촉된 안전로드(32)의 마찰지지력에 의해 기구본체(100)는 더 이상 슬라이딩 작동이 불가한 상태로 고정되며 유아들이 기구본체(100) 올라타거나 장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이때, 안전로드(32)의 승강 높이 조절은 안전단속부(33)로 형성된 단속레버(332)의 끝단부가 다단구조로 형성된 고정걸림홈(H)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레버작동공(333)의 안내에 따라 단속레버(332)를 탄성작동 구조로 전후 이송시키면, 탄성작동 구조로 이송되는 단속레버(332)의 일측 끝단부가 고정걸림홈(H)에 걸림되거나 반대로 걸림 해제되는 형태로 안전로드(32)의 승강 높이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슬라딩 손잡이(4)를 분리 제거하고, 스톱고정유닛(3)에 의해 기구본체(100)를 지면에 고정시킨 상태하에 사용자의 양손으로 푸쉬업파지홈(11)을 파지토록 하여 클로즈그립 푸쉬업 운동, 예컨대 팔뒤쪽 삼두근을 발달시키기 위해 양손을 최대한 가슴쪽으로 모은 상태에서 실시하는 푸쉬업 운동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상부마감커버(2)로 형성된 거치대 설치공(21)에 탈착조립돌기(53)를 삽입 걸림되게 하는 방식으로 발거치대(5)를 기구본체(100)에 선택적으로 설치 결합한다. 이후 사용자가 바닥에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양쪽발목 또는 양쪽 종아리 부위를 발거치대(5)로 형성된 발안착홈(52)에 분할 거치시킨 상태하에, 기구본체(10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송시켜 허리를 강화시키는 운동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발거치대(5)를 이용하여 허리강화운동을 행함에 있어, 발거치대(5)로 형성된 통기공(521)은 발안착홈(52)으로 거치된 사용자의 발목 또는 종아리 접촉면의 통기작용을 원할하게 하여 땀에 의한 미끌림 현상 및 그에 따른 사용 불쾌감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기구본체(100) 사방향 둘레로 형성된 멜빵연결공(101)에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으면 두가닥으로 분리된 멜빵(200)을 탈부착 연결구조로 결합시키고, 결합된 멜빵(200)을 이용하여 기구본체(100)를 사용자 등부위에 착용토록 한다. 이후 착용된 기구본체(100)를 수직벽면에 밀착시킨 상태하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키며 스쿼트 운동을 보조하는 기능, 예컨대 앉았다 섯다를 반복하는 하체운동의 보조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기구본체(100)를 받침수단으로 하여 그 기구본체(100)에 화분이나 가구 등 운반하고자 하는 상당한 중량의 물건을 안착시키고, 멜빵연결공(101)에 연결된 멜빵(100)을 묶음수단으로 하여 기구본체(100)에 안착된 물건을 고정시킨 후 운반할 수 있는 용도로 또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이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 구성에 있어 상부마감커버(2)의 상부면에 실리콘이나 고무, 기타 스펀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완충안전패드(25)를 적층 결합시킨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이용한 근력운동 중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사용자가 넘어져 기구본체(100)에 부딛히는 경우라도 완충안전패(25)에 의한 탄력적 완충보호작용에 의해 신체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행할 수 있다.
100 : 기구본체 200 : 멜빵
101 : 멜빵연결공 1 : 하부마감커버
2 : 상부마감커버 3 : 스톱고정유닛
4 : 슬라이딩 손잡이 5 : 발거치대
11 : 푸쉬업파지홈 12 : 휠설치부
13 : 이송휠 21 : 파지결착홈
22 : 손잡이삽입관 23 : 휠지지컬럼
24 : 거치대 설치공 25 : 완충안전패드
31 : 안전작동공 32 : 안전로드
33 : 안전단속부 41 : 그립
42 : 체결로드 43 : 탄성걸림부
51 : 구획패널 52 : 발안착홈
53 : 탈착조립돌기

Claims (6)

  1. 하부마감커버(1)와 상부마감커버(2)로 이루어진 기구본체(100)와, 기구본체 중앙부로 수용 설치되는 스톱고정유닛(3)과, 기구본체 좌,우 양측면에 삽입식 구조로 탈,부착 결합하는 한쌍의 슬라이딩 손잡이(4)와, 기구본체 상부면에 삽입식 걸림구조로 탈,부착 결합하는 발거치대(5)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형성하되;
    상기 기구본체(100)는, 사방향 둘레에 하부마감커버(1)와 상부마감커버(2)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장공구성의 멜빵연결공(101)을 배열 형성하고;
    상기 하부마감커버(1)는, 좌우 양측면에 대칭되는 한쌍의 푸쉬업파지홈(11)과, 내측바닥 사방면에 분산 배치된 휠설치부(12)와, 휠설치부(12)에 탈부착 구조로 결합되는 이송휠(1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하며;
    상기 상부마감커버(2)는, 좌우 양측면에 대칭되는 한쌍의 파지결착홈(21)과, 한쌍의 파지결착홈(21) 형성부위 내측면에 슬라이딩 손잡이(4)가 탈,부착 구조로 결합되는 손잡이삽입관(22)과, 내측 사방면에 수직 돌출구조로 분산 배치되며 상기 휠설치부(12)와 밀착 압박구조로 결합하는 휠지지컬럼(23)과, 상부면 사방면에 발거치대(5)를 탈부착 구조로 고정 설치하는 거치대 설치공(2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하고;
    상기 스톱고정유닛(3)은, 원형관통구조를 이루며 내경면 좌우 양측면에 승강안내홈(311)을 형성한 안전작동공(31)과, 안전작동공(31) 내경부로 삽입 설치되며 승강안내홈(311)을 따라 승강작동하는 안전로드(32)와, 안전작동공(31) 하부 일측면으로 연결 설치되며 안전로드(32)의 승강높이를 조절 고정하는 안전단속부(33)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손잡이(4)는, 그립(41) 일측면에 다각구조의 체결로드(42)가 일체화 구조로 연장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체결로드(42) 일측면에 스프링(S)과 스톱볼(B)이 수용 설치된 탄성걸림부(43)를 돌출구조로 더 형성하고;
    상부마감커버(2)의 손잡이삽입관(22)은, 상기 체결로드(42)를 탈부착 삽입구조로 결합시키기 위한 다각구조의 체결공(221)을 형성한 것을 포함하며, 체결공(221) 내경 일측면에 상기 탄성걸림부(43)의 스톱볼(B)이 탄성 걸림되고, 탄성 걸림된 스톱볼(B)을 탄성 압입하여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체결단속부(222)를 더 형성하되;
    상기 체결단속부(222)는, 수직 관통구조를 이루는 탄성걸림공(P)과, 탄성걸림공(P)에 수용결합되며 상기 스톱볼(B)에 탄성압입력을 부여하는 체결해제버튼(L)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발거치대(5)는, 분할 융기된 구획패널(51)에 의해 좌,우 양측면으로 대칭 분할된 한쌍의 발안착홈(52)과, 발안착홈(52) 하단면 사방향 둘레에 수직 돌출된 탈착조립돌기(5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발안착홈(52)은, 내측 바닥면에 통기공(521)을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스톱고정유닛(3)의 안전로드(32)는, 스톱버튼(321) 하부면에 고정지지축(322)이 일체화 구조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고정지지축(322) 외경 일측면에 다단 이격구조로 분할 배치된 고정걸림홈(H)을 더 형성하고;
    스톱고정유닛(3)의 안전단속부(33)는, 작동스프링(331)과 단속레버(332)를 수용 설치하고, 단속레버(332) 설치부위 하부면에 레버작동공(333)을 관통 형성하며;
    상기 레버작동공(333) 안내에 따라 단속레버(332)를 탄성작동 구조로 전후 이송시키고, 탄성작동 구조로 이송되는 단속레버(332)의 일측 끝단부를 상기 고정걸림홈(H)에 걸림 및 걸림 해제시키는 구조로 조작 단속하여 안전로드(32)의 승강 높이를 조절함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마감커버(2)는, 상부면에 완충안전패드(25)가 적층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기구본체(100)는, 사방향 둘레로 관통 형성된 멜빵연결공(101)에 멜빵(200)이 탈부착 연결구조로 결합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
KR1020220172156A 2022-06-15 2022-12-11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 KR202301723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72700 2022-06-15
KR1020220072700 2022-06-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379A true KR20230172379A (ko) 2023-12-22

Family

ID=8930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156A KR20230172379A (ko) 2022-06-15 2022-12-11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3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4809U (ja) 多目的運動器具
US6244991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xercise developmentally delayed persons
EP1268005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xercise developmentally delayed or neurologically impaired persons
US7255666B2 (en) Multi-function swing apparatus for total-body exercise, stretching, yoga, spinal traction, gymnastics, inversion therapy, spinal manipulation and weightless coupling and sky chair
US10293202B2 (en) Fitness training system
US9132316B2 (en) Weight-adjustable surface glid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purpose fitness
US20160166451A1 (en) Portable rehab station with standing assist
JP2009520564A (ja) リハビリ治療用懸垂装置
US9314114B2 (en) Device for assisted walking
CN110680683A (zh) 一种具有折叠座板的医疗助行器
CN208319835U (zh) 一种康复科用腿部锻炼装置
KR20230172379A (ko)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구
US10493314B1 (en) Workout apparatus for use with a chair
CN210845128U (zh) 健身器材
KR200449845Y1 (ko) 거꾸리발걸이운동기구
CN203829571U (zh) 腿肌训练架
CN219423250U (zh) 一种多功能医疗康复护理训练装置
CN210991610U (zh) 一种可拆卸康复训练步行车
CN213698699U (zh) 一种具有调整支撑高度功能的俯卧撑支架
CN212308783U (zh) 一种足踝训练装置
JP3207452U (ja) 健康器具
JP3198049U (ja) 下腹部筋力強化補助具
KR200483694Y1 (ko) 신체 승강 운동장치
CN106693297A (zh) 腿部摆动训练器
US20130345027A1 (en) Wheelbarrow walker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