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367A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367A
KR20230172367A KR1020220087187A KR20220087187A KR20230172367A KR 20230172367 A KR20230172367 A KR 20230172367A KR 1020220087187 A KR1020220087187 A KR 1020220087187A KR 20220087187 A KR20220087187 A KR 20220087187A KR 20230172367 A KR20230172367 A KR 20230172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information
type
us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1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은정
김우영
형대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17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3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98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e.g. by rescanning the pattern or by human intervention;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acquired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82Event detection, e.g. detecting unique waveforms indicative of a medical cond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06F16/436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using biological or physiological data of a human being, e.g. blood pressure, facial expression,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5Combinations of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61Proximity, similarity or dissimilar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7Match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Abstract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건강 기록에 기반한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 판단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와 관련된 제1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제1 진단 정보를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업데이트하는 단계, 제1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 중 제1 진단 정보에 대응되는 제1유형의 생체 정보의 가용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됨에 기반하여, 다른 유형의 생체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Disclosed i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which is performed by a server. The method includes constructing a first databas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users, acquiring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related to biometric information on a first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and obtaining first diagnosis information. updating information on a first database, determining the availability of a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among the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and unavailability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e step of recommending different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included.

Description

건강 기록에 기반한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 판단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본 개시는 생체 정보 활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건강 기록에 기반한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a biometric information utilization device and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정보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높은 수준의 보안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도용 및 위조에 강하며, 변경 및 분실의 위험성이 낮은 개인 인증 방식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개발이 진행중인 개인 인증 방식 중 생체 인식 기술은 효율성을 인증받아 의료, 사물 인터넷, 정보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As the digitization of information progresses rapidly, a higher level of security technology is required. In order to develop high-level security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a personal authentication method that is resistant to theft and forgery and has a low risk of alteration and loss must be preceded. Among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ethod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biometric technology has been proven efficient and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al care, the Internet of Thing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생체 인식 기술은 누구나 가지고 있어야 하며(보편성), 같은 특성을 가진 사람이 없어야 하며(유일성), 시간이 지나도 변화하거나 변경되지 않아야 하며(영구성), 정보 추출 및 정량화가 쉬워야 한다(획득성). 다만, 신체는 노화, 특정 질환, 또는 각종 사고에 따라 변화할 있으며, 이에 따라 생체 인식 기술의 특성 중 하나인 영구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Biometric technology must be available to everyone (universality), no one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uniqueness), it must not change or change over time (permanence), and it must be easy to extract and quantify information (obtainability). However, the body may change due to aging, certain diseases, or various accidents,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permanence,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biometric technology, may not be guarantee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0-016994A, 2010.01.30Japanese Patent Publication 2020-016994A, 2010.01.30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039674A, 2011.02.24Japanese Patent Publication 2011-039674A, 2011.02.24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건강 기록에 기반한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isclosure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건강 기록에 기반한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 판단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와 관련된 제1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진단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 중 상기 제1 진단 정보에 대응되는 제1유형의 생체 정보의 가용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됨에 기반하여, 다른 유형의 생체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determining the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which is performed by a serv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ncludes the steps of building a first databas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users; Obtaining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related to biometric information for a first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updating the obtained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on the first database; determining the availability of a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among the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and recommending another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is unusable.

그리고, 상기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에 대해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를 수행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의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특징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저장된 특징 데이터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constructing step includes performing preprocessing on bi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users; extracting feature data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users that have performed the preprocessing; storing the extracted feature data on the first database; and verifying feature data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그리고,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가 입력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를 수행한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제1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제2 특징 데이터와 상기 제1 특징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특징 데이터와 상기 제2 특징 데이터 간의 유사도가 임계값을 초과함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특징 데이터의 검증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verifying step includes performing preprocessing on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being input by the first user; extracting first feature data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that has undergone the preprocessing; Comparing the first characteristic data with second characteristic data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pre-stored in the first database; and completing verification of the second feature data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feature data and the second feature data exceeding a threshold.

그리고,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의 유형은, 지문(finger print) 정보, 홍채(iris) 정보, 또는 얼굴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or face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제1 진단 정보는, 1) 상기 지문 정보, 상기 홍채 정보, 또는 상기 얼굴 정보에 대한 인식의 오류를 유발할 수 있는 질병과 관련된 정보 또는 2) 상기 질병에 대한 질병 코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first diagnosis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1) information related to a disease that may cause an error in recognition of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or face information, or 2) a disease code for the disease. can do.

그리고,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가용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질병 코드를 통해 상기 제1 진단 정보가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와 관련된 것임이 식별됨에 기반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가용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vailability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includes a pre-tra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is related to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the disease code. It may include determining the availability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그리고,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복수의 유형의 생체 정보 중 상기 제1 유형을 제외한 나머지 유형의 생체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유형의 생체 정보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recommending step includes: identifying remaining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excluding the first type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and recommending a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with a higher priority among the identified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나머지 유형의 생체 정보 중 상기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는 상기 제1 진단 정보에 따라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생체 정보일 수 있다.Also, among the remaining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the biometric information that is least affected by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상기 제2 유형의 생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를 등록할 것을 추천하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the method provides a message recommending registering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the fact that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database. Additional steps may be included.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로, 건강 기록에 기반한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 판단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 하나 이상의 메모리(memory);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와 관련된 제1 진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진단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 중 상기 제1 진단 정보에 대응되는 제1유형의 생체 정보의 가용성을 판단하고; 및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됨에 기반하여, 다른 유형의 생체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erver that performs a method of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includes one or more communication modules; One or more memories; and one or more processors, wherein the one or more processors construct a first databas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users; Obtain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related to biometric information for a first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updating the obtained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on the first database; determine the availability of a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among the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is unusable, another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recommended.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에 대해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를 수행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의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징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저장하고; 및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저장된 특징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다.And, the one or more processors perform preprocessing on bi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users; Extract feature data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users that have performed the preprocessing; storing the extracted feature data on the first database; And feature data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can be verified.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가 입력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를 수행한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제1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제2 특징 데이터와 상기 제1 특징 데이터를 비교하고; 및 상기 제1 특징 데이터와 상기 제2 특징 데이터 간의 유사도가 임계값을 초과함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특징 데이터의 검증을 완료할 수 있다.And, the one or more processors perform preprocessing on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being input by the first user; extracting first feature data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that has undergone the preprocessing; comparing the first characteristic data with second characteristic data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previously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And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feature data and the second feature data exceeding a threshold, verification of the second feature data may be completed.

그리고,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의 유형은, 지문(finger print) 정보, 홍채(iris) 정보, 정맥(vein) 정보, 또는 얼굴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vein information, or face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제1 진단 정보는, 1) 상기 지문 정보, 상기 홍채 정보, 상기 정맥 정보, 또는 상기 얼굴 정보에 대한 인식의 오류를 유발할 수 있는 질병과 관련된 정보 또는 2) 상기 질병에 대한 질병 코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first diagnosis information may be 1) information related to a disease that may cause an error in recognition of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vein information, or face information, or 2) one of the disease codes for the disease. It can contain at least one.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질병 코드를 통해 상기 제1 진단 정보가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와 관련된 것임이 식별됨에 기반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가용성을 판단할 수 있다.And, the one or more processors,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is related to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the disease code, the first user's first diagnosis information through a pre-tra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 The availability of type 1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유형의 생체 정보 중 상기 제1 유형을 제외한 나머지 유형의 생체 정보를 식별하고; 및 상기 식별된 유형의 생체 정보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And, the one or more processors identify the remaining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except the first type among the plurality of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And among the identified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a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with a higher priority may be recommended.

그리고, 상기 나머지 유형의 생체 정보 중 상기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는 상기 제1 진단 정보에 따라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생체 정보일 수 있다.Also, among the remaining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the biometric information that is least affected by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상기 제2 유형의 생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를 등록할 것을 추천하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based on the fact that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database, a message recommending registration of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provided.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on to implement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further provided.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further provided.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건강 기록에 기반한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can be provided.

또한,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특정 질환으로 인해 기존에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특정 질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생체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it is impossible to use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an existing registered user due to a specific disease, a method of recommending customized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disease will be provided. You can.

또한,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생체 인식이 적용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생체 인식의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응급 활동 분야에서 환자를 보다 빨리 식별함으로써 구급 활동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tilization of biometrics can be increased in various fields where biometrics are applied, and the time of emergency services can be shortened by more quickly identifying patients in the field of emergency activities. .

또한,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보다 신속한 사용자에 대한 신원 식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ore rapid identification operation for a user can be performed.

또한,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의료, 신원 확인, 근태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어, 생체 인식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al care, identity verification, and attendance management,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of biometric recognition.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방법이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that performs a method of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is a flowchart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S.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5 is a flowchart explaining a method of building a first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verifying biometric information stored in a first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is disclosure.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or overlapping content between the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is omitted. The term 'unit, module, member, block' used in the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or hardware,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plurality of 'unit, module, member, block'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omponent, or It is also possible for one 'part, module, member, or block' to include multiple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connec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dditionally,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term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makes an exception.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step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stated in the context. there is.

본 명세서에서는 건강 기록에 기반한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장치의 일 예시로 서버 장치를 지칭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게임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server device is referred to as an example of a device that determines the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Here, the server device is a server that processes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and may include an application server, computing server, database server, file server, game server, mail server, proxy server, and web server.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건강 기록에 기반한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장치는 컴퓨터,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device that determines the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may include both a computer and a portable terminal, or may be in any one form.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desktop, laptop, tablet PC, slate PC, etc. equipped with a web browser.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such as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and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 phone ), all types of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wearable devices such as watches, rings, bracelets, anklets, necklaces, glasses, contact lenses, or head-mounted-device (HMD). may includ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1000)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0)은 하나 이상의 서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1000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ystem 1000 shown in FIG. 1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servers.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10)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보안, 인증 및 인식에 활용되며, 지문(fingerprint) 정보, 손바닥(palm) 정보, 홍채(iris) 정보, 정맥(vein) 정보, 얼굴(face) 정보, 음성(speech) 정보, 보행(gait) 정보,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정보, 또는 서명(signature)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생체 정보는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특정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항 유형의 인식 정보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rver may obtain biometric information 10 for multiple users. Here, biometric information is used for security, authentication and recognition, including fingerprint information, palm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vein information, face information, speech inform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ait information, electrocardiogram (ECG) information, or signature information. In other words,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a specific user based on biometric signals.

서버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장치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10)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로, 서버에 유선으로 연결된 생체 인식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10)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버와 무선 연결된 단말 장치(예로, 스마트 폰 등)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10)를 획득할 수 있다.Biometric information 10 about the user can be input from a device connected wired/wireless to the server. For example, biometric information 10 about the user can be obtained through a biometric recognition device wired to a server. As another example, biometric information 10 about the user may be obtained from a terminal device (eg, a smart phone, etc.)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erver.

서버는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10)를 제1 데이터 베이스(또는, 생체 데이터베이스(biometric database))(25) 또는/및 개인 건강 기록(personal health records, PHR) 서버/클라우드(30)에 등록 및 업데이트(20)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데이터 베이스(25)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다중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구축될 수 있다. 생체 정보(10)를 제1 데이터 베이스(25) 또는/및 PHR 서버/클라우드(30)에 등록 및 업데이트(20)하는 과정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server stores biometric information 10 for a plurality of registered users in a first database (or biometric database) 25 or/and personal health records (PHR) server/cloud (30). ) can be registered and updated (20). Accordingly, the first database 25 can be built based on multiple biometric information for multiple users. The process of registering and updating biometric information 10 in the first database 25 or/and the PHR server/cloud 30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에 대한 진단 정보가 획득되면, 서버는 해당 진단 정보를 제1 데이터 베이스(25) 또는/및 PHR 서버/클라우드(30) 상에 업데이트/등록할 수 있다. PHR 서버/클라우드(30) 상에 업데이트된 진단 정보(41) 및 장기 생체 손상 프로파일(long-term biometric impairment profile)에 기초하여, 서버는 제1 사용자의 특정 유형의 생체 정보의 가용성(availability)(45)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사용자의 특정 유형의 생체 정보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서버는 각 유형의 생체 정보의 우선순위(priority)(47)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에 대한 최적의 생체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When diagnost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is obtained, the server may update/register the corresponding diagnostic information on the first database 25 or/and the PHR server/cloud 30. Based on the updated diagnostic information 41 and the long-term biometric impairment profile on the PHR server/cloud 30, the server determines the availability of certain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 45) can be determined. And, if a specific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s not available, the server may recommend optimal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based on the priority 47 of each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는 개인 건강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기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의 가용성을 판단하고,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최적의 생체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40)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determines the availability of biometric information of a pre-registered user based on personal health diagnosis information and performs a method 40 of recommending the user's optimal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priority. .

또 다른 예로, 서버는 응급 상황에서, 모바일 장치(61) 및 환자 모니터링 장치(62)를 이용하여, 단기 생체 손상 프로파일(short-term biometric impairment profile)(64)에 기초하여 사용자 생체 정보의 가용성(64) 및 우선 순위(65)를 판단하는 방법(60)을 수행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server uses the mobile device 61 and the patient monitoring device 62 to determine the availability of user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a short-term biometric impairment profile 64. 64) and method 60 of determining priority 65 can be performed.

추후, 특정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식을 위한 생체 정보가 입력되면, 서버는 입력된 생체 정보와 제1 데이터 베이스(25) 상에 저장된 생체 정보 간의 매칭 작업(50)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된 생체 정보가 특정 사용자로 식별(70)되는 경우, 서버는 PHR 서버/클라우드(30)에서 특정 사용자의 PHR을 검색(80)할 수 있다.Later, when biometric information for user recognition is input from a specific user, the server may perform a matching operation 50 between the input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25. If the input biometric information is identified as a specific user (70), the server may search for the PHR of the specific user in the PHR server/cloud (30) (8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사용자의 신원 식별에 이용되는 생체 정보의 사용 가능 여부 및 우선 순위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신원 식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used to identify a user, so that more accurate and faster identity identification operations can be performed.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that performs a method of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메모리(110), 통신 모듈(120), 디스플레이(130), 입력 모듈(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00)는 필요한 동작에 따라 당업자 관점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구성이 수정/추가/생략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erver 100 may include a memory 110, a communication module 120, a display 130, an input module 140, and a processor 150.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oftware and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100 may be modified/added/omitted depending on the required operation within the rang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메모리(110)는 본 서버(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프로세서(15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음악 파일,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저장할 있고, 본 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본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The memory 110 can store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server 100 and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150, and can store input/output data (e.g., music files, still images, video, etc.), a number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on the device, data for the operation of the server 100, and commands can be stored.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이러한, 메모리(1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10 is of a flash memory type, hard disk type, solid state disk type, SDD type (Silicon Disk Drive type), and multimedia card micro type. micro type),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또한, 메모리(110)는 본 장치와는 분리되어 있으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 도 1에 도시된 제1 데이터 베이스는 메모리(110)의 일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emory 110 is separate from the device, but may include a databas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For example, the first database shown in FIG. 1 may be implemented as a component of the memory 110.

통신 모듈(120)은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 유선통신 모듈, 무선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enabl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may include.

유선 통신 모듈은,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Wired communication modules include various wired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Local Area Network (LAN) modules, Wide Area Network (WAN) modules, or Value Added Network (VAN) modules, as well as USB (Universal Serial Bus) modules. ),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 (recommended standard 232), power line communication, or POTS (plain old telephone service).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 5G, 6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Wi-Fi modules and WiBro (Wireless broadband) modules,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include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4G, 5G, 6G, etc.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디스플레이(130)는 본 서버(100)에서 처리되는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에 대한 진단 정보/생체 정보의 가용성 판단과 관련된 정보/다른 유형의 생체 정보 추천 정보 등)를 표시(출력)한다. 디스플레이(130)는 본 서버(100)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130)(또는, 서버(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별개의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130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server 100 (e.g., diagnostic information for the user/information related to determining the availability of biometric information/recommended information for other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etc.). The display 130 may be attached to the server 100,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 display 130 connected wired/wireless to the server 100 (or a display 130 connected wired/wireless to the server 100). may include a display of a separate terminal device).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본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일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에서 출력되는 UI에 대한 종류는 후술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display 130 displays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for example,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server 100, or UI (User Interface)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The types of UI output from the display 130 will be described later.

입력 모듈(140)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5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본 서버(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입력 모듈(140)은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put module 140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the processor 15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rver 100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As another example, the input module 140 may receive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user.

이러한, 입력 모듈(140)은 하드웨어식 물리 키(예를 들어, 본 장치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소프트웨어식 터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 키는,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130) 상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put module 140 includes hardware-type physical keys (e.g., buttons, dome switches, jog wheels, jog switches, etc. locat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back, and sides of the device) and software-type physical keys. May include touch keys. As an example, the touch key consists of a virtual key, soft key, or visual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ype display 130 through software processing, or the above It may consist of a touch key placed in a part other than the touch screen. Meanwhile, the virtual key or visual key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graphic, text, icon, video or these. It can be made up of a combination of .

프로세서(150)는 본 서버(100)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processor 150 includes a memory that stores data for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components within the server 100 or a program that reproduces the algorithm, and at least one device that perform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It can be implemented with a processor (not shown). At this time, the memory and processor may each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Alternatively, the memory and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또한, 프로세서(150)는 이하의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서버(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50 can control any one or a combin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in FIGS. 3 to 6 below on the server 100. You can.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ure 3 is a flowchart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베이스(예로, 생체(biometric)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S310). The server may build a first database (eg, biometric databas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users (S310).

제1 데이터 베이스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생체 정보에서 추출된 특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특징 데이터는 검증 과정을 완료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first database may store feature data extracted from biometric information input from a plurality of users. At this time, the feature data may be data that has completed the verification process. Embodiment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와 관련된 제1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20). The server may obtain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related to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S320).

이 때, 제1 진단 정보는 1) 생체 정보(예로,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또는 얼굴 정보)에 대한 인식의 오류를 유발할 수 있는 질병과 관련된 정보 또는 2) 질병에 대한 질병 코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1) information related to a disease that may cause errors in recogni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e.g.,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or face information) or 2) a disease code for the disease. It can be included.

서버는 획득된 제1 진단 정보를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S330). The server may update the obtained first diagnosis information on the first database (S330).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에 대해 생성된 제1 진단 정보는 PHR(Personal Health Record),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HIS(Hospital Information Service) 등 개인 건강 기록 서버(30)에 자동으로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연동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진단 정보를 제1 데이터 베이스(25) 중 제1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 상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a), the first diagnosis information generated for the first user is personal health records such as Personal Health Record (PHR),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and Hospital Information Service (HIS). It can be automatically linked to the server 30. And, the server may update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about the linked first user on a database related to the first user among the first databases 25.

서버(100)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 중 제1 진단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가용성을 판단할 수 있다(S330).The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availability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agnosis information among the bi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S330).

각 생체 정보는 다양한 이유로 인해 인식 오류가 야기될 수 있다. 예로, 손 끝이 갈라지거나, 상처/피부염 등의 후천적 원인이 발생되거나, 무지문증(Adermatorglyphia) 등의 선천적 원인이 발현되는 경우, 지문 정보 인식의 오류가 야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조명 및 각도 등 외부 환경의 영향 또는 노화나 얼굴 표정등의 영향에 의해, 얼굴 정보 인식 오류가 야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빛 반사, 초첨 렌즈 등의 영향, 백내장, 녹내장 등 안질환의 영향, 또는 홍채 구조의 결함, 전방 포도막염 등에 의해, 홍채 정보 인식 오류가 야기될 수 있다.Each biometric information may cause recognition errors for various reasons. For example, if fingertips are cracked, acquired causes such as wounds/dermatitis, or congenital causes such as Adermatorglyphia occur, errors in fingerprint information recognition may occur. As another example, facial information recognition errors may be caused by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lighting and angle, or the influence of aging or facial expression. As another example, iris information recognition errors may be caused by light reflection, effects of focal lenses, eye diseases such as cataracts and glaucoma, defects in the iris structure, anterior uveitis, etc.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질병 코드(예로, 이벤트 프로파일(event profile)에 저장된 질병 코드 번호 등)를 통해 제1 진단 정보가 어느 유형의 생체 정보에 대응되는 것인지 식별할 수 있다. 예로, 생체 정보의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병 및 질병 코드는 표 1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the server can identify which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the first diagnosis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rough the disease code (e.g., disease code number stored in the event profile, etc.) there is. For example, diseases and disease codes that can affect the recogni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organized as shown in Table 1.

예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진단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에게 홍채 녹내장(질병코드 H40)이 발생한 경우, 서버는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예로, 홍채 정보)의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when iris glaucoma (disease code H40) occurs in the first user according to the first diagnosis information, the server uses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e.g., iris information) This can be judged to be impossible.

또 다른 예로, 질병 코드를 통해 상기 제1 진단 정보가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와 관련된 것임이 식별됨에 기반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제1 사용자의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가용성을 판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vailability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hrough a pre-tra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identification that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is related to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a disease code. can be judged.

이 때, 인공지능 모델은 각 유형의 생체 정보의 가용성을 판단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생체 정보의 가용성 여부가 결정된 데이터 셋을 기반으로 지도 학습(supervised training)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공 지능 모델은 다양한 유형의 학습 방식으로 학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an be trained to determine the availability of each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can perform supervised training based on data sets in which the availability of biometric information has been determin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can be learned using various types of learning methods.

인공지능 모델은 상기 데이터 셋을 기반으로 생체 정보의 인식 가능성을 예측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예로, 인식 가능성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인공지능 모델은 0을 출력하고, 인식 가능성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인공지능 모델은 1을 출력하도록 학습(즉, 이분법 분류(binary classification))될 수 있다.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an be trained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recognizing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the data set. For example, if the likelihood of recognition is less than a threshol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trained to output 0, and if the likelihood of recognition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trained to output 1 (i.e., binary classification).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됨에 기반하여, 서버는 다른 유형의 생체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S350).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is unusable, the server may recommend another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S350).

구체적으로, 서버는 복수의 유형의 생체 정보 중 상기 제1 유형을 제외한 나머지 유형의 생체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식별된 유형의 생체 정보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rver may identify the remaining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except for the first type among the plurality of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Additionally, the server may recommend a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with a higher priority among the identified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일 예로, 생체 정보의 우선 순위는 진단 정보에 영향을 적게받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나머지 유형의 생체 정보 중 상기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는 제1 진단 정보에 따라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생체 정보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it is less affected by diagnostic information. That is, among the remaining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the biometric information that is least affected by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또 다른 예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유형의 생체 정보의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선호되는 생체 정보의 유형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예로, 제1 진단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에게 홍채 녹내장(질병코드 H40)이 발생한 경우, 서버는 지문 정보 또는 얼굴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4(a),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cannot be used, a preferre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defined in advance. For example, if the first user develops iris glaucoma (disease code H40) according to the first diagnosis information, the server may recommend fingerprint information or face information.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제1 사용자에 대한 제2 유형의 생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서버는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를 등록할 것을 추천하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는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를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Based on the fact that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database, the server may provide a message recommending registering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ly, the server may obtain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and update the obtained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on the first database.

이 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인식에 실패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한 정보를 개인 건강 기록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응급 상황을 대비한 생체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b), the server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who failed to be recognized in the personal health record server. Additionally, the server can separatel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biometric information in preparation for emergency situations.

이후, 서버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2 유형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를 식별하고, 제1 사용자에 대한 건강 기록을 검색할 수 있다. 예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새로 등록된 유형의 생체 정보를 의료/근태/신상 식별 등에 사용할 수 있다.Thereafter, the server may identify the first user based on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and retrieve the health record for the first us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the server can use the newly registere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medical treatment/attendance/personal identification, etc.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ure 5 is a flowchart explaining a method of building a first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510). 서버는 생체 정보의 유형에 맞는 전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 생체 정보가 지문 정보, 얼굴 정보, 또는 홍채 정보인 경우, 전처리 동작은 이미지의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전처리 동작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생체 정보가 음성 정보인 경우, 전처리 동작은 음성 데이터의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전처리 동작일 수 있다. The server may perform preprocessing on biometric information for multiple users (S510). The server can perform preprocessing operations appropriate for the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biometric information is fingerprint information, face information, or iris information, the preprocessing operation may be a preprocessing operation to extract feature data of the imag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is voice information, the preprocessing operation may be a preprocessing operation to extract feature data of the voice data.

서버는 전처리를 수행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의 특징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520). 그리고, 서버는 추출된 특징 데이터를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S530). 예로, 서버는 추출된 특징 데이터와 사용자 이름(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The server may extract characteristic data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users that have performed preprocessing (S520). And, the server may store the extracted feature data on the first database (S530). For example, the server may match the extracted feature data with the user name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user) and store it in the first database.

서버는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저장된 특징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다(S550). 예로,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유형의 생체 정보를 검증하는 경우를 가정한다.The server may verify feature data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S550). For example, assume that a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input by a first user is verified.

제1 사용자에 의해 제1 유형의 생체 정보가 입력됨에 기반하여, 서버는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는 전처리를 수행한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제1 특징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된 제1 사용자의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제2 특징 데이터와 제1 특징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제1 특징 데이터와 제2 특징 데이터 간의 유사도가 임계값을 초과함에 기반하여, 서버는 제2 특징 데이터의 검증을 완료할 수 있다. Based on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being input by the first user, the server may perform preprocessing on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The server may extract first characteristic data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that has undergone preprocessing. The server may compare the first characteristic data with the second characteristic data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previously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feature data and the second feature data exceeding the threshold, the server may complete verification of the second feature data.

제1 특징 데이터와 제2 특징 데이터 간의 유사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서버는 제2 특징 데이터를 삭제하고, 제1 유형의 생체 정보를 다시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에 의해 제1 유형의 생체 정보가 입력되면, 서버는 다시 제1 유형의 생체 정보를 제1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S510 내지 S530)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새롭게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생체 정보에 대한 검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feature data and the second feature data is below the threshold, the server may delete the second feature data and provide a message to re-enter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When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is input by the first user, the server may again perform a process (S510 to S530) of registering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in the first database. Additionally, the server may perform a verification process for the biometric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based on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newly input by the first user.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verifying biometric information stored in a first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서버는 제1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610)받을 수 있다. 서버는 입력받은 생체 정보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620)할 수 있다. 서버는 전처리를 수행한 데이터에 대해 제1 특징 데이터를 추출(630)할 수 있다. 서버는 추출한 제1 특징 데이터를 제1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저장할 수 있다.The server may receive input 610 of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The server may perform preprocessing (620) on the input biometric information. The server may extract first feature data from the preprocessed data (630). The server may register/store the extracted first feature data in the first database.

서버는 제1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저장된 제1 특징 데이터에 대해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는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다시 제1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640)받을 수 있다. 서버는 입력받은 생체 정보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650)할 수 있다. 서버는 전처리를 수행한 데이터에 대해 제2 특징 데이터를 추출(660)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제1 특징 데이터와 제2 특징 데이터가 매칭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특징 데이터에 대해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rver may perform verification on the first feature data registered/stored in the first database. The server may receive input 640 of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again to perform verification. The server may perform preprocessing (650) on the input biometric information. The server may extract second feature data from the preprocessed data (660). Additionally, the server may perform verification on the first feature data based on whether the first feature data and the second feature data match.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that stores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may create program modules to perform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media storing instructions that can be decoded by a computer. For example, there may be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magnetic tape, magnetic disk, flash memory,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acticed in forms different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00: 서버
110: 메모리
120: 통신 모듈
130: 디스플레이
140: 입력 모듈
150 : 프로세서
100: server
110: memory
120: communication module
130: display
140: input module
150: processor

Claims (18)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건강 기록에 기반한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 판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와 관련된 제1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진단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 중 상기 제1 진단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가용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됨에 기반하여, 다른 유형의 생체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performed by a server, the method includes:
Building a first databas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users;
Obtaining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related to biometric information for a first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updating the obtained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on the first database;
determining the availability of a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among the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and
A method comprising recommending another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determining that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is unus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에 대해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를 수행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의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특징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저장된 특징 데이터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struction step is,
Performing preprocessing on bi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users;
extracting feature data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users that have performed the preprocessing;
storing the extracted feature data on the first database; and
A method comprising verifying feature data stored on the first databa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가 입력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를 수행한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제1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제2 특징 데이터와 상기 제1 특징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특징 데이터와 상기 제2 특징 데이터 간의 유사도가 임계값을 초과함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특징 데이터의 검증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verification step is,
performing preprocessing on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being input by the first user;
extracting first feature data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that has undergone the preprocessing;
Comparing the first characteristic data with second characteristic data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pre-stored in the first database; and
Completing verification of the second feature data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feature data and the second feature data exceeding a threshol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의 유형은,
지문(finger print) 정보, 홍채(iris) 정보, 또는 얼굴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is:
A method including at least one of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or face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단 정보는,
1) 상기 지문 정보, 상기 홍채 정보, 또는 상기 얼굴 정보에 대한 인식의 오류를 유발할 수 있는 질병과 관련된 정보 또는 2) 상기 질병에 대한 질병 코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is,
A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1) information related to a disease that may cause an error in recognition of the fingerprint information, the iris information, or the face information, or 2) a disease code for the diseas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가용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질병 코드를 통해 상기 제1 진단 정보가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와 관련된 것임이 식별됨에 기반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가용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vailability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include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that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is related to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the disease code, the availability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s determined through a pre-tra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복수의 유형의 생체 정보 중 상기 제1 유형을 제외한 나머지 유형의 생체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유형의 생체 정보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recommended steps above are:
Identifying the remaining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excluding the first type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and
A method comprising recommending a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with a higher priority among the identified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유형의 생체 정보 중 상기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는 상기 제1 진단 정보에 따라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생체 정보인, 방법.
In clause 7,
Among the remaining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is the biometric information least affected by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상기 제2 유형의 생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를 등록할 것을 추천하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a message recommending registration of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the fact that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database. , method.
건강 기록에 기반한 생체 정보의 가용성 및 우선 순위 판단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
하나 이상의 메모리(memory);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와 관련된 제1 진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진단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 중 상기 제1 진단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가용성을 판단하고; 및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됨에 기반하여, 다른 유형의 생체 정보를 추천하는, 서버
In the server that perform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One or more communication modules;
One or more memories; and
Contains one or more processors,
The one or more processors:
Constructing a first databas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users;
Obtain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related to biometric information for a first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updating the obtained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on the first database;
determine the availability of a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among the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and
A server that recommends another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is unusab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에 대해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를 수행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의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징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저장하고; 및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저장된 특징 데이터를 검증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use 10,
The one or more processors:
Perform preprocessing on bi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users;
Extract feature data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users that have performed the preprocessing;
storing the extracted feature data on the first database; and
A server that verifies feature data stored on the first databas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가 입력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를 수행한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제1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제2 특징 데이터와 상기 제1 특징 데이터를 비교하고; 및
상기 제1 특징 데이터와 상기 제2 특징 데이터 간의 유사도가 임계값을 초과함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특징 데이터의 검증을 완료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use 11,
The one or more processors:
Based on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being input by the first user, pre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extracting first feature data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that has undergone the preprocessing;
comparing the first characteristic data with second characteristic data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previously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and
The server completes verification of the second feature data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feature data and the second feature data exceeding a threshol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의 유형은,
지문(finger print) 정보, 홍채(iris) 정보, 정맥(vein) 정보, 또는 얼굴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use 12,
The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is,
A server including at least one of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vein information, or face informa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단 정보는,
1) 상기 지문 정보, 상기 홍채 정보, 상기 정맥 정보, 또는 상기 얼굴 정보에 대한 인식의 오류를 유발할 수 있는 질병과 관련된 정보 또는 2) 상기 질병에 대한 질병 코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use 13,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is,
A serv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1) information related to a disease that may cause an error in recognition of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vein information, or face information, or 2) a disease code for the diseas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질병 코드를 통해 상기 제1 진단 정보가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와 관련된 것임이 식별됨에 기반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유형의 생체 정보의 가용성을 판단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use 14,
The one or more processor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that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is related to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the disease code, the availability of the first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s determined through a pre-tra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Judging serv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유형의 생체 정보 중 상기 제1 유형을 제외한 나머지 유형의 생체 정보를 식별하고; 및
상기 식별된 유형의 생체 정보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를 추천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use 15,
The one or more processors:
Identifying the remaining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except for the first type among the plurality of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and
A server that recommends a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with a higher priority among the identified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유형의 생체 정보 중 상기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는 상기 제1 진단 정보에 따라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생체 정보인, 서버.
According to clause 16,
Among the remaining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is the biometric information least affected by the first diagnostic informa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 상에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상기 제2 유형의 생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유형의 생체 정보를 등록할 것을 추천하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use 17,
A server that provides a message recommending registering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the fact that the second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for the first user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database.
KR1020220087187A 2022-06-14 2022-07-14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KR2023017236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902 2022-06-14
KR20220071902 2022-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367A true KR20230172367A (en) 2023-12-22

Family

ID=893097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187A KR20230172367A (en) 2022-06-14 2022-07-14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KR1020220087630A KR20230172369A (en) 2022-06-14 2022-07-15 Apparatus for recognizing identity using multiple biometric information in case of emergenc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630A KR20230172369A (en) 2022-06-14 2022-07-15 Apparatus for recognizing identity using multiple biometric information in case of emergenc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172367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9674A (en) 2009-08-07 2011-02-24 Toraiakkusu:Kk Medical database center system
JP2020016994A (en) 2018-07-24 2020-01-30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Hospital reservation system and server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9674A (en) 2009-08-07 2011-02-24 Toraiakkusu:Kk Medical database center system
JP2020016994A (en) 2018-07-24 2020-01-30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Hospital reservation system and serv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369A (en) 202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66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thetic interaction with user and devices
CN107787498B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US20160171280A1 (en) Method of updating biometric feature pattern and electronic device for same
WO2021139146A1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apparatus
US9613197B2 (en) Biometric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EP36939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privacy-preserved audio collection
KR1023270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result of clinical trial
KR102653450B1 (en) Method for response to input voic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80009275A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3287924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heart rate based on infrared rays sensor using the same
CN107609914A (en) A kind of intelligent menu design method and system
US20200204546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biometric recognition
KR101729959B1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eye responses
CN111816300A (en) Data classific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deep reinforcement learning
KR20170101052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user input in electronic device
KR20170027589A (en)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60217565A1 (en) Health and Fitness Monitoring via Long-Term Temporal Analysis of Biometric Data
US117419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ssive subject specific monitoring
CN107358179A (en) A kind of living management system, medium and method based on iris verification
Stragapede et al. IJCB 2022 mobile behavioral biometrics competition (MobileB2C)
KR202301723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and priority of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health records
Bhattacharyya et al. Biometric authentication techniques and its future possibilities
CN108766562A (en) Medical intelligent diagnostics platform and its oper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645477B2 (en) Response sentence creation device
US11837341B1 (en) Secured messaging service with customized near real-time data integ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