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792A - Fabric orna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fabric ornamen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abric orna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fabric ornamen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792A
KR20230171792A KR1020220072369A KR20220072369A KR20230171792A KR 20230171792 A KR20230171792 A KR 20230171792A KR 1020220072369 A KR1020220072369 A KR 1020220072369A KR 20220072369 A KR20220072369 A KR 20220072369A KR 20230171792 A KR20230171792 A KR 20230171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dimensional
ornament
threa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3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재
Original Assignee
이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재 filed Critical 이호재
Priority to KR1020220072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1792A/en
Publication of KR20230171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792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Landscapes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브릭 입체장식품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장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폭을 가지는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원단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컬러의 실을 스티치 재봉하는 단계와, 스티치 재봉된 상기 컬러의 실을 일측 끝단으로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원단의 일측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원단을 권취하는 단계와, 스티치 재봉된 상기 실이 반복된 패턴을 형성하는 권취된 상기 원단을 일정 크기로 형성하여 입체 장식품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구입이 용이한 직물 원단을 이용하여 소형 장식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다양한 컬러의 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심미감을 자아내는 패턴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방법만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심미감이 우수한 장식품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원단과 다양한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소형장식품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 장식품을 벽걸이나 컵받침 등 인테리어 소품으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고, 그림이나 가방, 시계 등에 적용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fabric ornament and a three-dimensional ornament manufactured by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fabric having a certain width, stitching and sewing colored threads along the center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abric, and , exposing the stitch-sewn thread of the color at one end, applying adhesive to one side of the fabric and winding the fabric, and winding the stitch-sewn thread to form a repeated pattern. It includes the step of forming a three-dimensional ornament body by forming fabric to a certain size. Small ornaments can be easily manufactured using fabric that is easy to purchase, and patterns that create a variety of aesthetics using threads of various colors are used. Since it can expr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ornaments that are easy to manufacture and have excellent aesthetics with just a simple method. By using various fabrics and threads of various colors, not only can small ornaments be easily manufactured, but small ornaments can also be wall hung. It can be easily used as interior accessories such as coasters or coasters, and can be applied to paintings, bags, clocks, etc. to maximize the interior effect.

Description

패브릭 입체장식품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장식품{FABRIC ORNA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FABRIC ORNAMENT USING THE SAME}Fabric three-dimensional decoration manufacturing method and three-dimensional decoration manufactured by the method {FABRIC ORNA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FABRIC ORNA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패브릭 입체장식품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장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에 다양한 컬러의 실을 스티치 재봉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컬러의 반복된 패턴이 표현되어 심미감이 우수한 입체 장식품을 형성하는 패브릭 입체장식품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장식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fabric ornaments and to three-dimensional ornaments manufactured by the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three-dimensional orna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stitching and sewing threads of various colors on fabric and using this to express repeated patterns of various colors, creating an aesthetic sense. It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fabric three-dimensional ornaments that form excellent three-dimensional ornaments and to three-dimensional ornaments manufactured by the method.

일반적으로 다양한 분위기의 연출 및 패션감을 부각시키기 위한 용도로 각종 장식물이 독자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장식물은 여러가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고형소재를 이용한 제품이 있으며, 그밖에 직물이나 원단을 이용하여 부드러운 질감을 느끼게 하는 제품 등 다양한 형태와 소재를 갖고 있다. In general, various decorations are provided independently for the purpose of creating various atmospheres and emphasizing a sense of fashion. Decorations are made using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there are products using solid materials such as metal or plastic, and there are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such as products using fabrics or fabrics that provide a soft texture.

이 같은 장식물은 그 소재에 따라 각기 다른 미감을 나타내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적합한 장식물을 선택하여 착용하게 된다.Since these decorations exhibit different aesthetics depending on their material, the user selects and wears an appropriate decoration according to his or her taste.

직물 등 원단을 이용한 장식으로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서 직조된 원단에 자수에 의한 패턴이 형성된 것으로부터, 표면이 광택 처리되어 불빛에 의해 반짝거리는 장식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스팽글을 원단에 봉착한 것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The most basic form of decoration using fabrics, such as fabric, is a variety of forms, from patterns formed by embroidery on woven fabric to sequins sewn onto the fabric so that the surface is polished to create a decorative effect that sparkles in the light. There are different types.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장식원단들은 자수하여 원단에 형성된 패턴을 입체적으로 보강해 주거나, 불빛에 반짝거리는 스팽글을 소정 형상의 패턴을 봉착하는 등의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장식 효과를 발휘하는 데 한계가 있어 보다 입체적이고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식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such conventional decorative fabrics are composed of simple structures such as embroidery to three-dimensionally reinforce the pattern formed on the fabric, or sewing sequins that sparkle in the light into a pattern of a predetermined shape, so they exhibit various types of decorative effects. There are limitations to this, so there is a demand for various types of ornaments that can create a more three-dimensional and unique atmosphere.

한국특허 제1191352호(모피장식물의 제조방법)Korean Patent No. 1191352 (Method for manufacturing fur decoration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 원단과 컬러의 실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의 반복된 패턴이 표현되어, 단독으로 소형 장식품이 될 뿐만 아니라, 벽걸이나 컵받침, 그림의 구성으로서 부착될 수 있는 패브릭 입체 장식품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press repeated patterns of various colors using fabric fabric and colored threads, so that it can not only be used as a small decoration on its own, but also as a wall hanging or The purpose is to provide fabric three-dimensional decorations that can be attached as a coaster or picture composi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m.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입체장식품 제조방법은 일정 폭을 가지는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원단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컬러의 실을 스티치 재봉하는 단계와, 스티치 재봉된 상기 컬러의 실을 일측 끝단으로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원단의 일측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원단을 권취하는 단계와, 스티치 재봉된 상기 실이 반복된 패턴을 형성하는 권취된 상기 원단을 일정 크기로 형성하여 입체 장식품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fabric orn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eparing a fabric having a certain width, stitching colored threads along the center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abric, and stitch sewing. exposing the colored threads to one end, applying adhesive to one side of the fabric and winding the fabric, and wrapping the wound fabric so that the stitched threads form a repeated patter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step of forming a three-dimensional ornament body by forming it to size.

여기서, 상기 컬러의 실을 스티치 재봉하는 단계는 상기 원단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스티치 재봉하고, 상기 컬러의 실을 노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원단을 반으로 접어서 상기 스티치 재봉쇤 컬러의 실을 상기 원단의 끝단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tep of stitching the colored thread is sewing a stitch along the center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abric, and the step of exposing the colored thread is folding the fabric in half and sewing the colored thread into the fabric.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exposed at the end of.

여기서, 상기 컬러의 실을 스티치 재봉하는 단계는 상기 원단의 폭 방향 끝단에 스티치 재봉하고, 상기 컬러의 실을 노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원단을 반으로 접어서 상기 스티치 재봉쇤 컬러의 실을 상기 원단의 끝단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tep of stitching the thread of the color is sewing a stitch at the end of the fabric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tep of exposing the thread of the color is folding the fabric in half and sewing the thread of the color of the stitch sewing stitch to the end of the fabric. It is characterized by exposure to.

여기서, 상기 원단을 권취하는 단계는, 일정 형상의 심지를 중심으로 상기 원단을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tep of winding the fabric is characterized by winding the fabric around a core of a certain shape.

여기서, 상기 심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입체 장식품 본체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wick has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and the three-dimensional ornament body is woun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또한, 본 발명의 패브릭 입체 장식품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abric three-dimensional orna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여기서, 상기 패브릭 입체 장식품은 그림 또는 가방 또는 시계의 프레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fabric three-dimensional ornament is attached to the frame of a picture, bag, or watch.

여기서, 상기 입체 장식품의 중앙에는 자석이 부착되고, 상기 입체 장식품은 금속판에 부착되는 벽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a magnet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and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is formed as a wall hanger attached to a metal plate.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구입이 용이한 직물 원단을 이용하여 소형 장식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다양한 컬러의 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심미감을 자아내는 패턴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방법만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심미감이 우수한 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mall ornaments can be easily manufactured using fabrics that are easy to purchase, and patterns that create a variety of aesthetics can be expressed using threads of various colors, using only a simple method. It is possible to provide decorations that are easy to manufacture and have excellent aesthetics.

또한, 다양한 원단과 다양한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소형장식품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 장식품을 벽걸이나 컵받침 등 인테리어 소품으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고, 그림이나 가방, 시계 등에 적용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not only can small ornaments be easily manufactured using various fabrics and threads of various colors, but small ornaments can also be easily used as interior accessories such as wall hangings or coasters, and can be applied to paintings, bags, clocks, etc. The interior effect can be max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패브릭 입체장식품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패브릭 입체장식품 제조과정에서의 원단과 컬러의 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입체장식품의 일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입체장식품의 다른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입체장식품을 그림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입체장식품을 시계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입체장식품을 컵받침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flow chart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 three-dimensional deco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fabric and colored thread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abric three-dimensional deco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ample of a three-dimensional fabric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other example of a three-dimensional fabric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pplying the fabric three-dimensional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picture.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pplying the fabric three-dimensional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watch.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pplying the fabric three-dimensional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coas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입체장식품의 제조방법 및 패브릭 입체장식품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 three-dimensional decoration and the fabric three-dimensional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examples.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입체장식품 제조방법은 직물원단을 이용하여 소형 장식품으로 제조하는 것을 예로 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6,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fabric orn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kes as an example the manufacture of a small ornament using a fabric fabric.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입체 장식품 제조방법은, 우선 원단(2)을 준비한다. 상기 원단(2)은 사용자가 주변에서 흔히 존재하고 구매할 수 있는 직물 원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원단(2)은 일정 폭을 가지는 원단으로 준비한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fabric orn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prepare the fabric (2). The fabric 2 may be a fabric that is commonly available and available for purchase by users. The fabric 2 is prepared as a fabric having a certain width.

여기서, 상기 원단(2)의 폭은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길이방향을 따라 폭이 점차 감소하거나 점차 증가하는 원단으로 구성하여, 후술하는 패브릭 입체장식품 본체가 입체감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Here, the width of the fabric 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onstant width over the entire length,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may be composed of a fabric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or increases gradu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later. The main body of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can be configured to have a three-dimensional effect.

그런 다음, 상기 원단(2)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컬러의 실(3)을 스티치 재봉한다. 여기서, 상기 컬러의 실(3)은 상기 원단(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 길이에 걸쳐서 동일한 컬러의 실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길이에 걸쳐서 다양한 컬러의 실을 사용할 수 있다. Then, colored threads (3) are stitched along the center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abric (2). Here, the colored yarn 3 may be a yarn of the same color over the entire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bric 2, but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colored yarn 3 can be of various colors over a certain length. You can use thread.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의 스티치 재봉은 직선 재봉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그재그 재봉, 이중재봉, 삼각재봉 등 다양한 형태의 스티치 재봉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titch sewing of the thread is straight sewing,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can be done in various types of stitch sewing, such as zigzag sewing, double sewing, and triangle sewing.

그런 다음, 스티치 재봉된 상기 컬러의 실을 일측 끝단으로 노출시킨다. Then, the stitched thread of the color is exposed at one en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러의 실을 스티치 재봉하는 단계는 상기 원단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스티치 재봉하고, 상기 컬러의 실을 노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원단을 반으로 접어서 상기 스티치 재봉쇤 컬러의 실을 반으로 접힌 상기 원단의 끝단에 노출시키는 것을 예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step of stitching the colored thread is sewing a stitch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abric, and the step of exposing the colored thread is folding the fabric in half and sewing the colored thread of the stitch sewing line. For example, expose the end of the fabric folded in half.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시하지는 않지만, 상기 컬러의 실을 스티치 재봉하는 단계는 상기 원단의 폭 방향 끝단에 스티치 재봉하고, 상기 컬러의 실을 노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원단을 반으로 접어서 상기 스티치 재봉쇤 컬러의 실을 상기 원단의 끝단에 노출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step of stitching the colored thread is sewing a stitch at the width direction end of the fabric, and the step of exposing the colored thread is folding the fabric in half and sewing the stitch. It can be configured to expose colored threads at the ends of the fabric.

그런 다음, 상기 원단(2)의 일측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원단을 권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원단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스티치 재봉하고, 상기 원단을 반으로 접어서 상기 원단의 끝단에 노출시키는 경우에는, 반으로 접힌 후의 원단의 일측면에만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원단을 권취하여, 일측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원단이 권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n, adhesive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fabric 2 and the fabric is wound.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stitching is performed along the center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abric and the fabric is folded in half to expose the end of the fabric, the adhesive is applied only to one side of the fabric after being folded in half and the fabric is It can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wound state of the fabric by winding it with an adhesive applied to one side.

또한, 상기 원단의 권취는 일정 형상의 심지를 중심으로 상기 원단을 권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심지는, 예를 들면, 종이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지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하여, 도 3 내지 4에서와 같이, 상기 원단이 원형으로 권취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심지를 삼각형(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원단이 삼각형(또는 다각형)으로 권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winding of the fabric can be configured to wind the fabric around a core of a certain shape. The wick may be made of, for example, paper, plastic, or metal. In addition, the interlining can be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so that the fabric is wound in a circle, as shown in Figures 3 and 4, and the interlining can be formed to have a triang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so that the fabric has a triangular shape. It can be configured to be wound in a shape (or polygon).

그런 다음, 스티치 재봉된 상기 실이 반복된 패턴(5)을 형성하는 권취된 상기 원단을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 크기로 형성하여 입체 장식품 본체를 형성하여 완료한다. Then, the wound fabric forming a pattern 5 in which the stitched threads are repeated is formed into a certain size desired by the user to form a three-dimensional ornament body, thereby completing the process.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패브릭 입체 장식품(1)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자체로서 소형 장식품이나 인테리어 소품으로 이용될 수 있고,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림 또는 가방 또는 시계 등에 이용될 수 있다. The fabric three-dimensional orna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 small ornament or interior accessory as shown in Figures 3 and 4, and is shown in Figures 5 to 7. As shown, it can be used for paintings, bags, or watches.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입체장식품을 그림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명화나 그림에 상기 패브릭 입체 장식품에 상응하는 크기의 공간을 마련하거나 그림이나 명화의 적당한 부분에 상기 패브릭 입체 장식품(1)을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하여, 그림이나 명화에 보다 입체감을 부여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pplying the fabric three-dimensional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picture. As shown in FIG. 5, a space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abric three-dimensional ornament is provided in the famous painting or painting, or the fabric three-dimensional ornament (1) is attached to an appropriate part of the painting or famous painting with adhesive or the like, so that it can be seen in the painting or famous painting. It can improve aesthetics by gi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입체장식품을 시계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패브릭 입체장식품(1)을 시계 프레임의 중앙에 부착하고, 중앙부분에 시계침을 회전시키는 부품을 설치하여, 상기 패브릭 입체장식품(1)을 시계의 구성부품이나 인테리어 부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pplying the fabric three-dimensional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watch. As shown in Figure 6, the fabric three-dimensional decoration (1)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clock frame, and a part that rotates the clock hand is installed in the center part, so that the fabric three-dimensional decoration (1) is used as a component part or interior part of the watch. It can be used as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입체장식품을 컵받침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크기의 목재 판이나 플라스틱 판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의 크기에 상응하는 상기 패브릭 입체장식품을 제조한 후, 상기 홈에 삽입하여 상기 패브릭 입체장식품이 컵받침의 구성일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받침의 후면에 자석을 부착하거나 상기 패브릭 입체장식품의 상기 심지를 자석으로 형성하여, 상기 패브릭 입체 장식품(1)은 금속판에 부착되는 벽걸이로 형성할 수 있다.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pplying the fabric three-dimensional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coaster. As shown in Figure 7, a groove is formed in a wooden board or plastic plate of a certain size, the fabric three-dimensional decoration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groove is manufactured, and then inserted into the groove so that the fabric three-dimensional decoration is of the coaster. It can be used as part of the composition. Additionally, the three-dimensional fabric ornament 1 can be formed as a wall hanger attached to a metal plate by attaching a magnet to the back of the coaster or forming the core of the three-dimensional fabric ornament with a magnet.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컬러의 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심미감을 자아내는 패턴을 표현한 소형장식품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 장식품을 벽걸이나 컵받침 등 인테리어 소품으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고, 그림이나 가방, 시계 등에 적용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not only can small ornaments expressing patterns that create a variety of aesthetics be manufactured using threads of various colors, but small ornaments can also be easily used as interior accessories such as wall hangings or coasters, and can be used as paintings or bags. , clocks, etc. can be applied to maximize the interior effec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s common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 : 패브릭 입체장식품
2 : 원단
3 : 실
5 : 패턴
1: Fabric three-dimensional ornament
2: Fabric
3: thread
5: Pattern

Claims (8)

일정 폭을 가지는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원단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컬러의 실을 스티치 재봉하는 단계와,
스티치 재봉된 상기 컬러의 실을 일측 끝단으로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원단의 일측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원단을 권취하는 단계와,
스티치 재봉된 상기 실이 반복된 패턴을 형성하는 권취된 상기 원단을 일정 크기로 형성하여 입체 장식품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브릭 입체장식품 제조방법.
A step of preparing fabric having a certain width,
Stitching colored threads along the center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abric;
exposing the stitched thread of the color to one end;
Applying adhesive to one side of the fabric and winding the fabric;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fabric ornament,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three-dimensional ornament body by forming the wound fabric in which the stitched threads form a repeated pattern to a certain siz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의 실을 스티치 재봉하는 단계는 상기 원단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스티치 재봉하고,
상기 컬러의 실을 노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원단을 반으로 접어서 상기 스티치 재봉쇤 컬러의 실을 상기 원단의 끝단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브릭 입체장식품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stitching the colored thread involves stitching along the center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abric,
The step of exposing the thread of the colo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fabric ornament, characterized in that folding the fabric in half to expose the thread of the stitch sewing color at the end of the fabri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의 실을 스티치 재봉하는 단계는 상기 원단의 폭 방향 끝단에 스티치 재봉하고,
상기 컬러의 실을 노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원단을 반으로 접어서 상기 스티치 재봉쇤 컬러의 실을 상기 원단의 끝단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브릭 입체장식품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stitching the colored thread involves sewing a stitch at the end of the fabric in the width direction,
The step of exposing the thread of the colo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fabric ornament, characterized in that folding the fabric in half to expose the thread of the stitch sewing color at the end of the fabri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을 권취하는 단계는, 일정 형상의 심지를 중심으로 상기 원단을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브릭 입체장식품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winding the fabric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fabric ornament, characterized in that winding the fabric around a core of a certain shap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입체 장식품 본체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브릭 입체장식품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4,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three-dimensional orna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e has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and the three-dimensional ornament main body is woun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브릭 입체장식품.
A three-dimensional fabric decoration manufactur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브릭 입체 장식품은 그림 또는 가방 또는 시계의 프레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브릭 입체장식품.
According to claim 6,
The fabric three-dimensional ornament is a fabric three-dimensional orna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to the frame of a picture, bag, or watch.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장식품의 중앙에는 자석이 부착되고, 상기 입체 장식품은 금속판에 부착되는 벽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브릭 입체장식품.



According to claim 6,
A three-dimensional fabric ornament, characterized in that a magnet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three-dimensional ornament, and the three-dimensional ornament is formed as a wall hanger attached to a metal plate.



KR1020220072369A 2022-06-14 2022-06-14 Fabric orna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fabric ornament using the same KR202301717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369A KR20230171792A (en) 2022-06-14 2022-06-14 Fabric orna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fabric ornamen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369A KR20230171792A (en) 2022-06-14 2022-06-14 Fabric orna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fabric ornamen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792A true KR20230171792A (en) 2023-12-21

Family

ID=8932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369A KR20230171792A (en) 2022-06-14 2022-06-14 Fabric orna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fabric ornamen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179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52B1 (en) 2010-02-24 2012-10-15 신봉섭 Method for producing fur ornam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52B1 (en) 2010-02-24 2012-10-15 신봉섭 Method for producing fur orna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rtley The Ladies' Hand Book of Fancy and Ornamental Work: Directions and Patterns from the Civil War Era
Luke-Boone African fabrics: Sewing contemporary fashion with ethnic flair
KR20230171792A (en) Fabric orna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fabric ornament using the same
KR101191352B1 (en) Method for producing fur ornaments
Faisal The decline of Varanasi silk handloom cottage industry: A case study of brocade weaving community in Varanasi
RU2423164C1 (en) Method to make textile doll (versions)
RU2079415C1 (en) Method of making decorative and household articles from textile
RU2371324C1 (en) Method of manufacturing decorative-applied product
Brown Beaded Embroidery Stitching: 125 Stitches to Embellish with Beads, Buttons, Charms, Bead Weaving & More
Lowes Chats on old Lace and needlework
KR101934113B1 (en) Tassel manufacturing method and tassel thereof
JP5379319B1 (en) Artificial flowers and artificial flower decorations containing the artificial flowers
Montano The Crazy Quilt Handbook, Revised: 12 Updated Step-by-Step Projects-Illustrated Stitch Guide, Including Silk Ribbon Stitches
Fuhrmann Bobbin lace: an illustrated guide to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techniques
Aymuratova Unique Traditions and Sewing Technology of Embroidery in Surkhan Oasis
Patrick Time to Weave
Pironti The interconnection of culture and manufacture in Japanese Nō theater costume: Conservation of an Edo Period chōken
Lonchinskaya et al. Understanding the integration of needle and bobbin lace in works of applied art
JPS6226135Y2 (en)
JPH0440486Y2 (en)
RU2174823C1 (en) Method for decorative making-up of window curtains
JPH0630237Y2 (en) Human form
JP3200161U (en) Decorative body for bottle
D'Amato et al. Italian Crafts: Inspirations from Folk Art
McNeill Drawn Thread Embroid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