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672A - 항-cd122 항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항-cd122 항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672A
KR20230170672A KR1020237034415A KR20237034415A KR20230170672A KR 20230170672 A KR20230170672 A KR 20230170672A KR 1020237034415 A KR1020237034415 A KR 1020237034415A KR 20237034415 A KR20237034415 A KR 20237034415A KR 20230170672 A KR20230170672 A KR 20230170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antigen
region
seq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엄 제임스 조나단 핀레이
존 이 해리스
Original Assignee
빌라리스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라리스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빌라리스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70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67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6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receptors for 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9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receptor, a cell surface antigen or a cell surface determin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multispecif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3Crossreactivity, e.g. for species or epitope, or lack of said crossre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5Valenc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icrobi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CD12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분자 및 이의 항원-결합 부분, 그리고 관련된 조성물, 핵산 분자, 벡터 및 숙주 세포가 본원에서 제공된다. 이러한 항체 분자의 의학적 용도 또한 본원에서 제공된다.

Description

항-CD122 항체 및 이의 용도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21년 11월 16일자로 제출된 U.S. 가특허 출원 번호 63/279,762, 2021년 4월 14일자로 제출된 U.S. 가특허 출원 번호 63/174,772에 대한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의 각 내용은 이의 전문이 본 명세서의 참고자료에 편입된다.
전자로 제출된 문서 화일 설명
전자로 제출된 문서 화일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전문이 참고자료에 편입된다: 서열 목록(화일명: VLRS_001_02WO_SeqList_ST25.txt, 기록 날짜: 2022년 4월 13일, 파일 크기: ~87,964 바이트)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포멧 카피.
기술 분야
본 명세서는 치료요법적 항체 분자 및 이의 의학적 용도에 관계한다.
배경
CD122는 면역글로불린 수퍼패밀리의 구성원이며, 천연 킬러 (NK) 및 T 세포 상에서 주로 발현되는 세포 표면 수용체다. CD122는 유형 1 당뇨병 (T1D), 복강 질환, 백혈병, 백반증, 및 기타 다른 것들을 비롯한 이들 면역 세포 유형에 의해 구동되는 다양한 상태에 대한 표적으로 제안되고 있었다. 이러한 면역-매개된 질환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가 필요하다. 특히, 백반증에는 전신 치료 옵션이 없으며, 질환을 개선하는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승인된 의학적 치료법이 없다.
요약
본원에서는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8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1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한다.
본원에서는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며,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7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9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인간화된 또는 키메라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VH 영역, VL 영역, 또는 VH 영역과 VL 영역 모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간 프레임워크 영역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VH 영역, VL 영역, 또는 VH 영역과 VL 영역 모두는 CDR 아미노산 서열이 삽입된 인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스캐폴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VH 영역은 HCDR1, HCDR2 및 HCDR3 아미노산 서열이 삽입된 IGHV3-23 인간 생식계열 스캐폴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VL 영역은 LCDR1, LCDR2 및 LCDR3 아미노산 서열이 삽입된 IGKV1-33 인간 생식계열 스캐폴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항-CD122 항체는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IgG, IgE, IgM, IgD, IgA 또는 IgY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IgG1, IgG2, IgG3, IgG4, IgA1 또는 IgA2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면역학적으로 비활성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야생형 인간 IgG4 불변 영역, 아미노산 치환 S228P을 포함하는 인간 IgG4 불변 영역, 야생형 인간 IgG1 불변 영역, 아미노산 치환 L234A, L235A 및 G237A을 포함하는 인간 IgG1 불변 영역 또는 야생형 인간 IgG2 불변 영역이며, 이때 번호매김은 Kabat에서와 같이 EU 색인에 따른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서열 식별 번호: 32-38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Fab, Fab', F(ab')2, Fv, scFv, 맥시바디(maxibody), 미니바디(minibody), 디아바디(diabody), 트리아바디(triabody), 테트라바디, 또는 비스-scFv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항체는 단일클론성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항체는 사량체 항체, 사가(tetravalent) 항체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항체는 제1 항원 및 제2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중특이적 항체이며, 이때 상기 제1 항원은 CD122이며, 상기 제2 항원은 CD122는 아니다.
치료요법적 작용제에 연계된 본원에서 기술된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면역접합체를 본원에서 제공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치료요법적 작용제는 세포독소, 방사성동위원소, 화학치료요법적 작용제, 면역조절 작용제, 세포증식억제성 효소, 세포용해성 효소, 치료요법적 핵산, 항-맥관형성 작용제, 항-증식성 작용제, 또는 프로-아팝토시스 작용제이다.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항체, 상기 항원-결합 부분 또는 면역접합체와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본원에서 제공한다.
본원에서 기술된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의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 (b)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 또는 (c) VH 영역 및 VL 영역 모두의 아미노산 서열을 인코드하는 핵산 분자를 본원에서 제공한다. 본원에서 기술된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본원에서 제공한다. 본원에서 기술된 핵산 분자 또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본원에서 제공한다.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만드는 방법을 본원에서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상기 핵산 분자가 발현되는 조건 하에서 본원에서 기술된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배양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이 생산되며; 그리고 상기 숙주 세포 또는 배양물로부터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을 단리시킨다.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시키는 방법을 본원에서 제공하며,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의 본원에서 기술된 항체, 항원-결합 부분, 면역접합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면역 반응은 CD122에 의해 매개된다.
대상체에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본원에서 제공하며,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의 본원에서 기술된 항체, 항원-결합 부분, 면역접합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질환은 염증성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질환은 백반증, 복강 질환, 유형 1 당뇨병, 다발성경화증, 이식편대숙주병, 전신홍반루푸스, 건선, 아토피피부염, 원형탈모증, 궤양성대장염, 또는 류머티스성 관절염이다.
피부로부터 T 세포의 IL-15 유도된 이동을 억제시키는 방법을 본원에서 제공하며, 이 방법은 상기 피부에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의 본원에서 기술된 항체, 항원-결합 부분, 면역접합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의약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서 기술된 항체, 항원-결합 부분, 면역접합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본원에서 제공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항-CD122 IgG의 생체내 약리학 분석에 대한 다이어그램을 묘사한다.
도 2A - 도 2D는 Villmab-1 (MIKβ1) 항-CD122 IgG의 특이성 분석으로부터 데이터를 나타낸다. Retrogenix 기법을 이용하여 Villmab 1의 단백체 특이성 프로파일링. (도 2A) ZS 대조군 발현, (도 2B) Villmab-1 프로브, (도 2C) 리툭시맙(Rituximab) 프로브, (도 2D) 일차 항체 없음.
도 3A - 도 3C는 표적-형질감염된 세포 상에서 Villmab-1 (MIKβ1) 항-CD122 IgG의 유세포측정 분석으로부터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3A) Villmab-1 결합, (도 3B) 일차 항체 없음 (도 3C) 리툭시맙 결합.
도 4는 항-CD122 IgG Alphascreen 에피토프 경쟁으로부터 데이터를 나타낸다. 인간 CD122에서 Villmab-1 결합 에피토프와의 경쟁을 조사하기 위해, Alphascreen 분석에서 새로운 클론을 스크리닝했다.
도 5는 신규한 항-CD122 IgGs에 대한 다중 반응성 점수를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를 묘사한다. 항체는 DNA 및 인슐린에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들 항체의 능력에 대해 조사되었다.
도 6A - 도 6G는 표적-형질감염된 세포 상에서 신규한 항-CD122 IgGs 및 Villmab-1의 유세포측정 분석으로부터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6A) 06F11, (도 6B) 07C07, (도 6C) 07D06, (도 6D) 07E09, (도 6E) 07D07, (도 6F) 06D12, (도 6G) 아이소형 대조군 IgG.
도 7A - 도 7F는 M07e 세포 IL-15 증식 검증에서 신규한 항-CD122 IgGs 및 Villmab-1의 분석으로부터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7A) 06F11, (도 7B) 07C07, (도 7C) 07D06, (도 7D) 07E09, (도 7E) 07D07, (도 7F) 06D12.
도 8A - 도 8F는 hIL-15 NSG 마우스 모델에서 신규한 항-CD122 IgGs 및 Villmab-1의 생체내 분석으로부터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8A) 이전 인간 CD8+ T 세포, (도 8B) 이전 인간 NK 세포, (도 8C) 1주 후 인간 CD8+ T 세포, (도 8D) 1주 후 인간 NK 세포, (도 8E) 3주 후 인간 CD8+ T 세포, (도 8F) 3주 후 인간 NK 세포.
도 9A - 도 9D는 표적-형질감염된 세포 상에서 신규한 항-CD122 IgGs 및 Villmab-1의 유세포측정 분석으로부터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9A) 06F11, (도 9B) 07C07, (도 9C) 아이소형 대조군 IgG, (도 9D) 리툭시맙.
도 10A - 도 10C는 Fab 및 IgG 포멧에서 Villmab-1 (MIKβ1) 항-CD122 신규한 클론의 특이성 분석으로부터 데이터를 나타낸다. BIACORE® 기법을 이용하여 인간 뉴데신(neudesin) 단백질 (도 10A) 또는 CILP2 단백질 (도 10B)에 대항하여 Fabs의 특이성 프로파일링은 Rmax (최대 특이적 결합 반응 값)으로 측정되었다. 인간 BCAM 단백질 (도 10C)에 대항한 IgGs의 특이성 프로파일링은 OD450 nm로 측정되었다.
도 11A - 도 11B는 Villmab-1 (MIKβ1) 항-CD122 신규한 클론 가변 도메인 서열의 서열 분석으로부터 데이터를 나타낸다. VH 서열 (도 11A) 및 VL 서열 (도 11B). 도 11A에서, 상기 서열은 다음과 같다: VillMAB-1: 서열 식별 번호: 22; MAB05: 서열 식별 번호: 1; MAB06: 서열 식별 번호: 1; MAB14: 서열 식별 번호: 52; MAB15: 서열 식별 번호: 52; MAB17: 서열 식별 번호: 53; MAB18: 서열 식별 번호: 53. 도 11B에서, 상기 서열은 다음과 같다: VillMAB-1: 서열 식별 번호: 28; MAB05: 서열 식별 번호: 9; MAB06: 서열 식별 번호: 17; MAB14: 서열 식별 번호: 9; MAB15: 서열 식별 번호: 17; MAB17: 서열 식별 번호: 9; MAB18: 서열 식별 번호: 17. CDRs은 굵게, 밑줄쳐 있다. VillMab-1 서열과 상이한 잔기들은 회색 상자로 강조 표시된다. 이 분석에서 오로지 이 클론에서만 BCAM, CILP2 또는 뉴데신에 결합하지 않는 것으로 발견된 독특한 잔기들은 검은색 상자로 표시된다.
도 12A - 도 12B는 일차 NK 세포 IL-15 증식 검증에서 신규한 항-CD122 IgGs 및 Villmab-1의 분석으로부터 데이터를 나타낸다. MAB05 (도 12A), MAB06 (도 12B).
도 13A - 도 13B는 인간 피부 생검 배양물 검정에서 피부 생검으로부터 이동하는 T 세포의 IL15-유도 축적에 대한 MAB05 및 MAB06 효과의 분석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묘사한다. 도 13A는 CD8+ T 세포 수에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3B는 CD4+ 세포 수에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4A - 도 14B는 인간 피부 생검 배양물 검정에서 피부 생검으로부터 이동하는 T 세포의 IL15-유도 축적에 대한 MAB05 및 MAB06 농도-의존성 길항성 분석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묘사한다. 도 13A는 CD8+ T 세포 및 관련 IC50s에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3B는 CD4+ T 세포 및 관련 IC50s에서 효과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항-CD122 항체 및 이러한 항체의 치료요법적 용도가 본원에서 제공된다. 본원에 개시된 항체는 길항적이고, 잘 발현되고, 생물리학적으로 안정하고, 가용성이 높으며, 바람직한 인간 생식계열에 대해 최대의 동일성을 갖는다.
CD122 (IL2RB, IL-2Rβ, IL15RB, P70-75, 인터루킨 2 수용체 하위단위 베타, 및 IMD63으로도 또한 공지됨)는 유형 I 막경유 당단백질이며, Ig 수퍼패밀리의 구성원이다. CD122는 인터루킨-15 (IL-15) 수용체 및 인터루킨-2 (IL-2) 수용체의 공유된 하위단위다. CD122는 NK 세포 및 T 세포의 하위단위에 의해 발현된다. IL-15 신호전달은 인간 백반증 병인에 연루되어 있었다. CD122를 표적화하거나, 또는 IL-15 신호전달을 차단시키면, 기타 면역 매개 질환, 이를 테면, 당뇨병, 건선, 다발성 경화증 및 원형 탈모증의 마우스 모델에서 유익하며, 뿐만 아니라 류머티스성 관절염 및 복강 질환의 증상 개선에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길항적 항-CD122 항체를 개발하는 것은 면역 매개 질환 치료에 유용할 것이다.
U.S. 특허 번호. 5,585,089 (본원에 이의 전문이 편입됨)에서는 길항성 뮤린 항-CD122 IgG 분자 ("MIKβ1"로 지칭됨), 뿐만 아니라 MIKβ1의 인간화된 형태를 기술한다. 이들 MIKβ1의 인간화된 형태는 전통적인 인간화 기법, 이를 테면, Kabat-특정된 뮤린 CDRs을 인간 중쇄 및 경쇄 프레임워크 서열로 접목시킴으로써 만들어지며, 이때 인간 프레임워크 잔기들의 일부는 대응적으로 위치된 MIKβ1 뮤린 잔기들에 대해 잠재적으로 역-돌연변이된다. MIKβ1의 부분적으로 인간화된 형태 (표 20)는 T-세포 큰 과립 림프구(T-LGL) 백혈병 및 인간 T 세포 림프친화성 바이러스 1 (HTLV-1)-연합된 골수병증/열대성 경직성 하반신마비 (HAM/TSP)의 단계 IIa임상 시험에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 항체는 부분적으로 인간화되고, 약동학 및 생체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비-표적 결합이 있다는 사실을 포함하여 많은 골칫거리가 있으며, 질환을 매개하지 않는 세포에서 원치 않는 항체-의존성 세포 독성/항체-의존성 세포 식균 작용의 위험을 초래하는 IgG1 이소형을 사용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이 항체는 인간 면역-매개된 질환의 표적화된 치료제로서 추가 테스트를 위한 준-최적 후보가 된다.
대조적으로, 본원에서 제공된 항-CD122 항체는 인간 면역-매개된 질환 및 장애의 치료에 유용하게 만드는 본원에 기술된 이점을 입증한다.
항체
CD12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본원에서 제공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항-CD122 항체는 US 5,585,089에서 기술된 뮤린 항-CD122 항체 MIKβ1 및 이의 인간화된 형태보다 몇 가지 장점을 갖는다. 본원에서 제공된 항-CD122 항체는 CD122를 통한 IL-15 신호전달 차단에 있어서 개선된 효능을 갖도록 선택되었다. 결정적으로, 이러한 항체는 인간 수용체 BCAM (AU, CD239, LU, MSK19, 기저 세포 흡착 분자로도 공지됨 (Lutheran blood group)), 뉴데신 (NENF로도 공지됨) 및 CILP2 (연골 중간층 단백질 2로도 공지됨)에 대한 표적-외 결합을 제거함으로써, MIKβ1과 비교하여, CD122 결합의 특이성을 극적으로 향상시켰다.
본원에서 기술된 항체 및 항원-결합 부분은 인간 CD122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체 및 항원-결합 부분은 인간이 아닌 종의 CD122, 예를 들면, 사이노몰구스 원숭이 (마카카 파시쿨라리스) CD122 및/또는 붉은 털 원숭이 (마카카 물라타) CD122와 교차-반응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체는 오로지 인간 CD122에 대해서만 특이적일 수 있으며, 비-인간 교차-반응성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인간, 사이노몰구스 및 붉은털 원숭이 CD122의 예시적인 아미노산 서열은 표 16에서 제공된다.
용어 "항체"는 광범위하게 일반적으로 면역글로불린 (Ig) 분자를 지칭하는데, 2개의 중쇄 (H) 및 2개의 경쇄 (L)로 된 4개 폴리펩티드 쇄를 포함하거나, 또는 Ig 분자의 필수적인 표적 결합 속성을 유지하는 이의 임의의 기능적 단편, 돌연변이체, 변이체 또는 이의 유도체를 지칭한다. 이러한 돌연변이체, 변이체 또는 유도체 항체 형태는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전장 항체에서 각 중쇄는 중쇄 가변 영역 (본원에서 VH 영역으로 약칭됨)과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중쇄 불변 영역은 3개의 도메인, CH1, CH2 및 CH3을 포함한다. 각 경쇄는 경쇄 가변 영역 (본원에서 VL 영역으로 약칭됨)과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경쇄 불변 영역은 하나의 도메인, CL을 포함한다. 상기 VH 영역 및 VL 영역은 프레임워크 영역 (FRs)으로 명명되는, 더 보존된 영역이 배치된, 상보성 결정 영역 (CDRs)이라고 불리는 초가변성 영역으로 더 세분화될 수 있다. 각 VH 도메인 및 VL 도메인은 3개의 CDRs 및 4개의 FRs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아미노-말단에서 카르복시-말단으로 다음의 순서로 배열된다: FR1, CDR1, FR2, CDR2, FR3, CDR3, FR4. 본 출원에서 이용된 CDR 정의는 Kabat 정의 (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5th ed. Bethesda, MD: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91))이다.
용어 "Fc 영역"은 면역글로불린 중쇄의 C-말단 영역을 정의하는데 이용된다. Fc 영역은 고유한(native) 서열 Fc 영역 또는 변이(variant) Fc 영역일 수 있다. 면역글로블린 중쇄의 Fc 영역의 경계는 약간씩 변화될 수 있지만, 인간 IgG 중쇄 Fc 영역은 보통 중쇄의 아미노산 잔기 Cys226, 또는 Pro230으로부터 이의 카르복실-말단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특정된다. Fc 영역에서 잔기들의 번호매김은 Kabat에서와 같이 EU 색인에 따른다. 면역글로불린의 Fc 영역은 일반적으로 2개의 불변 도메인, CH2 및 CH3을 포함한다. Fc 영역은 이량체 형태 또는 단량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Fc 영역은 다양한 세포 수용체, 이를 테면 Fc 수용체, 그리고 기타 면역 분자, 이를 테면, 보체 단백질에 결합한다.
면역글로불린 분자는 (예로써, IgG, IgE, IgM, IgD, IgA 또는 IgY) 및 클래스 (예로써, IgG1, IgG2, IgG3, IgG4, IgA1 또는 IgA2) 또는 서브클래스일 수 있다. IgG, IgD 및 IgE 항체는 일반적으로 2개의 동일한 중쇄 및 2개의 동일한 경쇄 및 2개의 항원 결합 도메인(각각 VH 및 VL로 구성된)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IgA 항체는 2개의 단량체로 구성되며, 각 단량체는 2개의 중쇄와 2개의 경쇄로 구성되며(IgG, IgD 및 IgE 항체의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IgA 분자는 4개의 항원 결합 도메인을 가지며, 각각은 다시 VH와 VL로 구성된다. 특정 IgA 항체는 2개의 중쇄와 2개의 경쇄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단량체다. 분비된 IgM 항체는 일반적으로 5개의 단량체로 구성되며, 각 단량체는 2개의 중쇄와 2개의 경쇄로 구성된다 (IgG 및 IgE 항체의 경우와 같이). 따라서, IgM 분자는 10개의 항원 결합 도메인을 가지며, 각각은 다시 VH와 VL로 구성된다. IgM의 세포 표면 형태는 IgG, IgD 및 IgE 항체와 유사한 2개의 중쇄/2개의 경쇄 구조를 가진다.
용어 "항원-결합 부분" 또는 항체의 "항원-결합 단편" (또는 "항체 부분" 또는 "항체 단편")이란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항원 (예로써, CD12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능력이 유지된 항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편들을 지칭한다. 상기 항체의 항원-결합 기능은 전장 항체의 일부분 또는 단편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용어 항체의 "항원 결합 부분" 안에 내포된 결합 부분의 예시에는 (i) VL, VH, CL 및 CH1 도메인으로 구성된 단가 단편인 Fab 단편; (ii) 힌지 영역에서 이황화결합 다리에 의해 연계된 2개 Fab 단편을 포함하는 이가 단편인 F(ab')2 단편; (iii) VH 및 CH1 도메인으로 구성된 Fd 단편; (iv) 항체의 싱글 암의 VL 도메인 및 VH 도메인으로 구성된 Fv 단편, (v) 단일 가변 도메인을 포함하는 dAb (도메인 항체) 단편 (Ward et al., (1989) Nature 341:544-546; WO 90/05144 A1, 이들 각각은 이의 전문이 본원의 참고자료에 편입됨); 그리고 (vi) 단리된 상보성 결정 영역 (CDR)이 내포된다. 본 명세서는 또한 Fab' 단편을 포괄한다. Fab' 단편은 F(ab')2 단편의 환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Fab'는 F(ab')2로부터 유도되고; 따라서 Fc의 작은 부분을 함유할 수 있다. 더욱이, 비록 Fv 단편의 2개 도메인, VL 및 VH는 별개 유전자에 의해 인코드되지만, 이들은 재조합 방법을 이용하여 이들을 단일 단백질 쇄로 만들 수 있는 합성 링커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이때 VL 영역 및 VH 영역은 짝을 이뤄 단가(monovalent) 분자들 (단일 쇄 Fv (scFv)로도 알려짐)을 만든다. 예로써, Bird et al. (1988) Science 242:423-426; Huston et al. (1988) Proc. Natl. Acad. Sci. USA 85:5879-5883 참고. 이러한 단일 쇄 항체는 용어 항체의 "항원-결합 부분" 내에 포괄되는 것으로 또한 의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scFv 분자는 융합 단백질로 통합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단일 쇄 낙타 항체가 본원에서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어 중쇄 항체 (V-NAR)가 본원에서 제공된다. English et al. (2020) Antibody Therapeutics, 3(1):1-9. 항원-결합 부분의 예시들은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Kontermann and Dubel eds., Antibody Engineering (2001) Springer-Verlag. New York. 790 pp.). 일부 구체예들에서, 단일 도메인 항체가 본원에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이용될 때, 용어 "항체"는 "항체 부분"을 포괄한다. 항체 부분은 전장 항체의 항원-결합 속성을 일반적으로 유지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 및 항체 부분들은 다중특이적 (예로써, 이중특이적 또는 삼중특이적)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특이적 분자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분자 표적 또는 에피토프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제1 항원 및 제2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중특이적 분자이며, 이때 상기 제1 항원은 CD122이며, 상기 제2 항원은 CD122는 아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디아바디이다. 디아바디란 VH 도메인 및 VL 도메인이 단일 폴리펩티드 쇄 상에서 발현되지만, 그러나 동일한 쇄 상에서 두 도메인 사이의 페어링을 하기에는 너무 짧은 링커를 사용하고, 이로 인하여 이 도메인이 또다른 쇄의 상보적인 도메인과 쌍을 이루도록 강요되어, 두 개의 항원 결합 부위가 생성되는, 이가의(bivalent), 이중특이적 항체다 (예로써, Holliger et al. (1993) Proc. Natl. Acad. Sci. USA 90:6444-6448; Poljak et al. (1994) Structure 2:1121-1123 참고).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트리아바디, 테트라바디, 비스-scFv 또는 텐덤 scFv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듀얼 친화성 재-표적화 단백질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본원에서 기술된 항-CD122 항원-결합 부분은 Fab, Fab', F(ab')2, Fv, scFv, 맥시바디, 미니바디, 디아바디, 트리아바디, 테트라바디, 또는 비스-scFv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면역학적 결합", 및 "면역학적 결합 성질"은 면역글로불린 분자 (예로써,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와 면역글로불린의 특이적인 항원 사이에서 발생하는 비-공유적 상호 작용 유형을 의미한다. 면역학적 결합 상호작용의 강도 또는 친화력은 이 상호작용의 해리 상수 (Kd)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때 더 작은 Kd는 더 큰 친화력을 나타낸다. 선택된 폴리펩티드의 면역학적 결합 특성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화될 수 있다. 그러한 방법 중 하나는 항원-결합 부위/항원 복합체 형성 및 해리의 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수반하고, 이때 이러한 속도는 복합체 파트너의 농도, 상호작용의 친화력 그리고 양쪽 방향에서 이 비율에 동등하게 영향을 주는 기하학적 매개 변수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온-레이트 결합 상수"(Kon) 및 "오프-레이트 상수"(Koff)는 모두 농도 및 결합(association)과 해리(dissociation)의 실제 속도의 계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Malmqvist, Nature 361:186-187 (1993) 참고). Koff/Kon의 비율은 친화력과 관련이 없는 모든 매개변수의 취소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해리 상수 Kd와 같다. (Davies et al. (1990) Annual Rev Biochem 59:439-473 참고). 분석, 이를 테면, 방사능리간드 결합 분석 또는 당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유사한 분석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평형 결합 상수 (Kd)가 ≤10 μM, 바람직하게는 ≤ 1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 10nM,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 100 pM 내지 약 1 pM인 경우,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CD122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고 말한다. 항체의 Kd를 결정하는 한 가지 방법은 표면 플라즈몬 공명 (SPR), 전형적으로 바이오센서 시스템, 이를 테면, Biacore®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본원에서 제공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는 일가(monovalent) 또는 이가(bivalent)이며, 단일 쇄 또는 이중 쇄를 포함한다. 기능적으로,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의 결합 친화력은 10-5M 내지 10-12 M 범위 안에 있다. 예를 들면,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의 결합 친화력은 10-6 M 내지 10-12 M, 10-7 M 내지 10-12 M, 10-8 M 내지 10-12 M, 10-9 M 내지 10-12 M, 10-5 M 내지 10-11 M, 10-6 M 내지 10-11 M, 10-7 M 내지 10-11 M, 10-8 M 내지 10-11 M, 10-9 M 내지 10-11 M, 10-10 M 내지 10-11 M, 10-5 M 내지 10-10 M, 10-6 M 내지 10-10 M, 10-7 M 내지 10-10 M, 10-8 M 내지 10-10 M, 10-9 M 내지 10-10 M, 10-5 M 내지 10-9 M, 10-6 M 내지 10-9 M, 10-7 M 내지 10-9 M, 10-8 M 내지 10-9 M, 10-5 M 내지 10-8 M, 10-6 M 내지 10-8 M, 10-7 M 내지 10-8 M, 10-5 M 내지 10-7 M, 10-6 M 내지 10-7 M 또는 10-5 M 내지 10-6 M 범위에 있다.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항체 MAB05 또는 MAB06, 또는 항체 MAB05 또는 MAB06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표 18 및 표 19 참고)와 CD122에 결합에 대해 교차-경쟁한다.
용어 "교차-경쟁하다", "교차-경쟁", "교차-블록", "교차-차단" 및 "교차-차단"란 호환 사용되며,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본원의 항-CD122 항체의 입체적(allosteric) 조절을 통해 표적 CD122 (예로써, 인간 CD12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을 간섭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의 능력을 의미한다. 항체 또는 이의 부분이 해당 표적에 또다른 것의 결합을 방해하는 정도, 그리고 이에 따라서 교차-차단 또는 교차-경쟁할 수 있는지 여부는 경쟁 결합 분석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결합 경쟁 검증의 한 가지 예는 균질 시간 분해 형광 (HTRF)이다. 특히 적합한 정량적 교차 경쟁 분석 중 하나는 FACS 또는 AlphaScreen-기반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표적에 대해 라벨된 (예를 들면, His 태그된, 비오틴화된 또는 방사성 라벨된) 항체 또는 이의 일부분과 다른 항체 또는 이의 일부분 간의 결합 경쟁을 측면에서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교차-경쟁 항체 또는 이의 일부분은 예를 들면, 검정하는 동안 제2 항체 또는 이의 일부분 존재 하에서 교차-경쟁 검정에서 표적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며,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면역글로불린 단일 가변 도메인 또는 폴리펩티드의 기록된 대체는 주어진 양으로 존재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을 잠재적으로 교차-차단하는 능력에 의한 최대 이론적 변위(예를 들면, 교차-차단이 필요한 콜드(이를 테면, 라벨안된) 항체 또는 이의 단편에 의한 대체)의 최대 100% (이를 테면, FACS-기반 경쟁 검정)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교차-경쟁 항체 또는 이의 일부분은 10 %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내지 100 % 인 기록된 변위(displacement)를 갖는다.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와 CD122에 결합에 대해 교차-경쟁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1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8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한다.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본원에서 기술된 CDRs 세트를 포함하는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과 CD122에 결합에 대해 교차-경쟁하며; 그리고 (a) (i) 인간 CD122 및 (ii) 사이노몰구스 및/또는 붉은털 원숭이 CD12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b) 14nM 보다 더 낮은 EC50으로 인간 IL-15에 의해 자극될 때, 인간 CD122+ 세포, 이를 테면, 일차 NK 세포의 증식을 길항하고; (c) 10nM보다 더 닺은 KD로 붉은털 원숭이 CD122에 결합하고; (d) 사이노몰구스 및/또는 붉은털 원숭이 CD122 및 인간 CD122 상의 기능적으로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하고; 및/또는 (e) 항체 MIKβ1의 가변 도메인 서열을 포함하는 항-CD122 항체와 비교하였을 때, BCAM에 결합을 하지 않거나 또는 감소된 결합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의 Kd 값은 BIACORE® 분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의 EC50 값은 CD122-발현시키는 세포 (예로써, CHO 세포, HEK 세포, M07e 세포, NK 세포, T 세포)의 유동 세포측정 착색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본원에서 제공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낮은 면역원성을 갖는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SYGVH (서열 식별 번호: 24)의 HCDR1, VIWSGGSTDYNAAFIS (서열 식별 번호: 5)의 HCDR2, AGDYNYDGFAY (서열 식별 번호: 27)의 HCDR3, SGSSSVSFMY (서열 식별 번호: 30)의 LCDR1, DTSNLAS (서열 식별 번호: 13)의 LCDR2, 및 QQWSTYPLT (서열 식별 번호: 15)의 LCDR3을 포함하는 항-CD122 항체와 비교하였을 때, 감소된 면역원성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의 면역원성 위험은 상기 항체 또는 부분 (예로써, 상기 항체 또는 부분의 가변 영역에서)에서 T 세포 에피토프의 위치를 식별해냄으로써 가상환경에서(in silico)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에서 T 세포 에피토프는 iTope™를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다. iTope™는 인간 MHC 클래스 II에 고친화성 결합을 갖는 잡다한 펩티드에 대한 VL 및 VH 영역 서열을 분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고친화성 MHC 클래스 II 결합 잡다한 펩티드는 약물 단백질의 임상 면역원성에 대한 고위험 지표인 T 세포 에피토프의 존재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iTope™ 소프트웨어는 펩티드의 아미노산 측쇄와 34개의 인간 MHC 클래스 II 대립유전자의 개방형(open-ended) 결합 포켓 내 특정 결합 포켓(구체적 포켓 위치; p1, p4, p6, p7 및 p9) 사이의 유리한 상호작용을 예측한다. 이러한 대립유전자는 임의의 특정 인종 집단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대립유전자에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는 가장 일반적인 HLA-DR 대립유전자를 나타낸다. 상기 대립유전자들 중 20개는 "개방(open)" p1 형상배치를 함유하고, 14개는 위치 83의 글리신이 발린으로 대체된 "닫힌(closed)" 형상배치를 함유한다. 주요 결합 잔기의 위치는 테스트 단백질 서열에 걸쳐 있는 8개의 아미노산에 의해 중첩되는 9mer 펩티드의 가상환경에서 생성에 의해 달성된다. 이 프로세스는 MHC 클래스 II 분자에 결합하거나 또는 결합하지 않는 펩티드를 높은 정확도로 성공적으로 식별해낸다.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에서 T 세포 에피토프는 다른 단백질 서열의 시험관내 인간 T 세포 에피토프 맵핑 분석에 의해, 기존 확인된 T 세포 에피토프에 대한 일치를 검색하기 위해, TCED™ (T Cell Epitope Database™)를 이용하여 VL 영역 및 VH 영역의 서열을 분석함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 TCED™는 무관한 단백질 및 항체 서열로부터 파생된 펩티드의 대규모(>10,000개 펩티드)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테스트 서열 검색에 이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이 항체 또는 부분은 그 서열에서 다음 펩티드 중 적은 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보유하기 때문에 낮은 면역원성을 나타낼 수 있다: 높은 친화성 이물질 ('HAF' - 높은 면역원성 위험), 낮은 친화성 이물질 ('LAF' - 더 낮은 면역원성 위험), 및/또는 TCED+ (TCED™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미 식별된 에피토프).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이의 서열 내 생식계열 에피토프 (GE) 함량이 높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이의 서열내 (예로써, VL 영역 및/또는 VH 영역의 서열 내)에서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또는 20개 (또는 20개 보다 더 많이)의 생식계열 에피토프를 갖는다. 생식계열 에피토프는 MHC 클래스 II 결합의 높은 친화성을 갖는 인간 생식계열 펩티드 서열로 특정될 수 있다. 생식계열 에피토프 9mer 펩티드는 광범위한 생식 계열 펩티드를 사용한 이전 연구에서 검증된 바와 같이, T 세포 내성으로 인해 면역원성 잠재력을 가질 가능성이 낮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생식계열 v-도메인 에피토프 (인간 항체 불변 영역 내 유사한 서열에 의해 추가 도움됨)는 T 세포 자극에 필요한 '활성화 역치(activation threshold)'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외부 펩티드 제시의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항원 제시 세포의 막에서 MHC 클래스 II 점유를 위해 또한 경쟁한다. 따라서, 높은 GE 함량은 항체 치료제의 임상 개발에 있어서 유익한 품질이며, 낮은 면역원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LCDR2에서 MHC 클래스 II 결합의 높은 친화성 (예로써, 생식계열 에피토프)을 갖는 인간 생식계열 펩티드 서열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에서 항체 MIKβ1의 가변 도메인 서열을 포함하는 항-CD122 항체와 비교하였을 때, 중쇄 가변 영역 및 경쇄 가변 영역 모두의 프레임워크에서 발견되는 HAF, LAF 및/또는 TCED+ 에피토프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HAF, LAF 및/또는 TCED+ 에피토프는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의 VL 영역 서열 및/또는 VH 영역 서열에 존재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표 20에서 제공된 MIKβ1 뮤린/인간화된 항체 아미노산 서열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열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서열 식별 번호: 24를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27을 포함하는 HCDR3 및/또는 서열 식별 번호: 30을 포함하는 LCDR1을 포함하지 않는다. 표 1은 MIKβ1 뮤린 항-CD122 항체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제공하며, 본원에서 특정된 CDRs은 강조표시됨("Kabat" 설계). 용어 "MIKβ1-IgG1 (인간화된)"는 표 2의 CD122-VH1로 표시된 가변 중 영역 서열 및 CD122-VL1로 표시된 가변 경 영역 서열, 그리고 인간 IgG1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CD122 항체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기술된 항체는 항-CD122 길항성 항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길항성" 또는 "항-CD122 길항성 항체" (호환적으로 "항-CD122 항체"라고도 함)는 CD122에 결합하고, CD122 생물학적 활성 및/또는 CD122 신호전달에 의해 매개되는 하류 경로(들)를 저해시킬 수 있는 항체를 지칭한다. 항-CD122 길항성 항체는 CD122 신호전달에 의해 매개되는 하류 경로, 이를 테면 수용체 결합 및/또는 CD122에 대한 세포 반응을 끌어내기를 비롯한, CD122 생물학적 활성을 차단, 길항, 억제 또는 감소(유의미적으로)시킬 수 있는 항체를 포괄한다. 본 명세서의 목적으로 위해, 용어 "항-CD122 길항성 항체"란 CD122 자체, 그리고 CD122 생물학적 활성 (T 세포의 항-종양 세포 활성화를 억제시킬 수 있는 이의 능력을 비롯한,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또는 상기 활성 또는 생물학적 활성의 결과는 실질적으로 의미 있는 정도로 무효화, 감소 또는 중화되는, 모든 용어, 제목, 기능 상태 및 특성을 포괄하는 것으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체 분자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CD12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막 단백질 BCAM에 결합하지 않는다(또는 특이적으로 결합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BCAM은 인간 단백질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BCAM은 붉은털 원숭이 단백질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인간 BCAM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 식별 번호: 21에 대해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1%, 적어도 약 92%, 적어도 약 93%, 적어도 약 94%,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6%, 적어도 약 97%, 적어도 약 98% 또는 적어도 약 99%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항체 분자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BCAM에 결합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체 분자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항체 MIKβ1 또는 IgG1-MIKβ1 (인간화된)가 전술한 막 수용체에 대해 나타내는 결합과 비교하여 BCAM에 대한 결합은 감소됨을 나타낸다. 일부 경우들에서, BCAM에 대한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의 결합은 ELISA 또는 유세포측정 분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항체 MAB06 또는 MAB05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본원에서 추가로 제공된다. 이들 항체를 형성하는 VH 영역, VL 영역 및 CDR 서열의 조합은 표 18 및 표 19에서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VH 영역 서열 및/또는 VL 영역 서열은 아미노-말단에서 신호 서열 (또한 신호 펩티드로도 공지됨)을 포함한다.
본원에서는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8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1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본원에서 기술되며, 이때 상기 항체는 HCDR1, HCDR2, 및 HCDR3을 포함하는 VH 영역, 그리고 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며, 이때 (a) HCDR1은 아미노산 서열 G-F-T-F-S-S-Y-X1-M-S을 포함하고, 이때 X1은 L 또는 임의의 기타 아미노산 (서열 식별 번호: 39)이며; (b) HCDR2는 아미노산 서열 X1-A-X2-I-S-G-G-G-X3-X4-X5-Y-Y-X6-D-S-V-K-G을 포함하고, 이때 X1은 V 또는 V의 보전적 치환, X2는 T 또는 N이며, X3은 A 또는 S이며, X4는 E 또는 N이며, X5는 T 또는 K이며, 그리고 X6은 P 또는 V (서열 식별 번호: 40)이며; (c) HCDR3은 아미노산 서열 X1-X2-X3-X4-X5-D-Y을 포함하고, 이때 X1은 Q 또는 임의의 기타 아미노산 (예를 들면, T, L, M, 또는 N)이며, X2는 L 또는 임의의 기타 아미노산 (예를 들면, G, K, M, Q, S, 또는 V)이며, X3은 Y 또는 Y의 보전적 치환 (예를 들면, H)이며, X4는 Y 또는 임의의 기타 아미노산 (예를 들면, A, D, F, G, M, E, I, K, S, 또는 W)이며, 그리고 X5는 F 또는 임의의 기타 아미노산 (예를 들면 A, D, E, I, K, M, S, 또는 W) (서열 식별 번호: 160)이며; (d) LCDR1은 아미노산 서열 R-A-S-Q-S-I-X1-X2-X3-X4-X5를 포함하고 이때 X1는 S 또는 S의 보전적 치환이며, X2는 S 또는 S의 보전적 치환이며, X3은 Y 또는 Y의 보전적 치환이며, X4는 L 또는 L의 보전적 치환이며, 그리고 X5는 N 또는 T이거나, 또는 N 또는 T의 보전적 치환 (서열 식별 번호: 161)이며; (e) LCDR2는 아미노산 서열 X1-A-X2-S-L-X3-X4을 포함하고 이때 X1은 A 또는 T이거나, 또는 A 또는 T의 보전적 치환이며, X2는 S 또는 S의 보전적 치환이며, X3은 Q 또는 임의의 기타 아미노산이며, 그리고 X4는 S 또는 임의의 기타 아미노산 (서열 식별 번호: 162)이며; 그리고 (f) LCDR3은 아미노산 서열 Q-Q-X1-Y-S-X2-P-X3-T을 포함하고, 이때 X1은 S 또는 임의의 기타 아미노산이며, X2는 T 또는 임의의 기타 아미노산이며, 그리고 X3은 W 또는 임의의 기타 아미노산 (서열 식별 번호: 163)이다.
본원에서는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7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9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다.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 또는 서열 식별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5%, 96%, 97%, 98% 또는 99%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a) 서열 식별 번호: 17, 또는 서열 식별 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5%, 96%, 97%, 98% 또는 99%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b) 서열 식별 번호: 17, 또는 서열 식별 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5%, 96%, 97%, 98% 또는 99%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본원에서 또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 또는 서열 식별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5%, 96%, 97%, 98% 또는 99%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7, 또는 서열 식별 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5%, 96%, 97%, 98% 또는 99%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 또는 서열 식별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5%, 96%, 97%, 98% 또는 99%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9, 또는 서열 식별 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5%, 96%, 97%, 98% 또는 99%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VH 영역 서열, VL 영역 서열, 또는 VH 영역 및 VL 영역 모두의 서열 내 1, 2 또는 3개 보전적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서열 식별 번호: 17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VH 영역 서열, VL 영역 서열, 또는 VH 영역 및 VL 영역 모두의 서열 내 1, 2 또는 3개 보전적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서열 식별 번호: 9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보전적 아미노산 치환들은 FR 서열에서만 만들어지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의 CDR 서열에서는 안 만들어진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본원에서 제공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단일클론성이다. 용어 "단일클론성 항체" (Mab)란 예를 들면, 임의의 진핵성, 원핵성, 또는 파아지 클론을 비롯한 단일 카피 또는 클론으로부터 유래된, 그러나 이를 만드는 방법에 의해서는 아닌,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단일클론성 항체는 상동성 또는 실질적으로 상동성 집단에 존재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단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본원에서 제공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키메라이다. 용어 "키메라"는 가변 도메인 서열은 하나의 종으로부터 유래되며, 적어도 하나의 불변 영역 서열은 또다른 종으로부터 유래된, 항체 분자,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면, 마우스 항체 (예로써, 마우스 단일클론성 항체)의 경쇄(들)의 하나 또는 모든 가변 도메인 및/또는 중쇄(들)의 하나 또는 모든 가변 도메인은 인간 불변 영역, 이를 테면, IgG1 또는 IgG4 인간 불변 영역에 각각 연결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키메라 항체의 예시 및 이의 생성에 적합한 기술은 U.S. 4,816,567; U.S. 4,975,369; 그리고 U.S. 4,816,397에 제공되며, 이들 각각은 이의 전문이 본원의 참고자료에 편입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본원에서 제공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는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 서열 식별 번호: 17을 포함하는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 및 인간 불변 영역; 또는 (b)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는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 서열 식별 번호: 9를 포함하는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 및 인간 불변 영역.
일부 구체예들에서, 본원에서 제공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인간화된다. 용어 "인간화된(humanized)"란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가변 도메인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간 프레임워크 영역과 함께 비-인간 (예로써, 마우스, 렛, 또는 헴스터)의 중쇄 및/또는 경쇄의 CDRs을 포함하도록 조작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지칭하도록 의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인간화된 항체는 CDRs을 제외하고, 전적으로 인간인 서열을 포함한다. 항-CD122 항체 분자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CDRs이 삽입되었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스캐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본원에서 제공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의 VH 영역, VL 영역, 또는 VH 영역 및 VL 영역 모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간 프레임워크 영역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인간화된 항체는 항체 MAB06 또는 MAB05의 CDRs인 CDRs을 제외하고, 전적으로 인간인 서열을 포함한다. 인간화된 항체의 예시 및 이들을 생성하기 위한 적합한 기술은 Hwang et al., Methods 36:35, 2005; Quee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6:10029-10033, 1989; Jones et al., Nature, 321:522-25, 1986; Riechmann et al., Nature, 332:323-27, 1988; Verhoeyen et al., Science, 239:1534-36, 1988; Orlandi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6:3833-37, 1989; U.S. 5,225,539; U.S. 5,530,101; U.S. 5,585,089; U.S. 5,693,761; U.S. 5,693,762; U.S. 6,180,370; 그리고 WO 90/07861에서 제공하며, 이들 각각은 이의 전문이 본원의 참고자료에 편입된다. 측면 CDRs에 FR을 선택할 때, 예를 들어, 항체를 인간화하거나 또는 최적화시킬 때, 동일한 표준 클래스의 CDR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의 FRs이 바람직하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본원에서 제공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단편은 대응하는 뮤린 CDR 또는 다른 (이를 테면 프레임워크) 아미노산 위치들에서 최대 숫자의 인간 생식계열 치환을 반드시 보유하지 않는다. 아래의 실험 섹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최대로 인간화된" 항체 분자는 항-CD122 결합 특징 및/또는 기타 바람직한 속성 측면에서 반드시 "최대로 최적화될" 필요는 없다.
본 명세서는 본원에서 특정된 바와 같이 상기 항체 분자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의 아미노산 서열에 변형을 포괄한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는 이들의 속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지 않는 기능적으로 등가의 가변 영역 및 CDRs을 포함하는 항체 분자 및 대응하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뿐만 아니라 활성 및/또는 친화성이 강화된 또는 감소된 변이체들이 내포된다. 예를 들면, 상기 아미노산 서열은 CD122에 바람직한 결합 친화성을 갖는 항체를 획득하기 위해 돌연변이될 수 있다. 서열 삽입에는 한 개 잔기에서 수백 또는 그 이상의 잔기가 함유된 폴리펩티드 범위, 뿐만 아니라 단일 또는 다수의 아미노산 잔기의 서열내 삽입이 포함된 아미노- 및/또는 카르복실-말단 융합이 예상된다. 말단 삽입의 예시에는 N-말단 메티오닐 잔기를 갖는 항체 분자 또는 에피토프 테그에 융합된 항체 분자가 내포된다. 상기 항체 분자의 다른 삽입 변이체들은 혈류내에서 항체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폴리펩티드 또는 효소의 항체의 N-말단 또는 C-말단의 융합이 내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본원에서 제공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에는 글리코실화된 폴리펩티드 및 글리코실화-안된 폴리펩티드, 뿐만 아니라 다른 해독-후 변형, 예를 들어, 상이한 당을 사용한 글리코실화, 아세틸화 및 인산화를 갖는 폴리펩티드를 또한 내포될 수 있다.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예를 들어, 글리코실화 부위를 형성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를 추가, 제거 또는 대체함으로써 이러한 해독-후 변형을 변경하도록 돌연변이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본원에서 제공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예를 들면, 상기 항체 또는 부분에서 잠재적 단백질용해 부위를 제거하기 위한 아미노산 치환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본원에서 또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VL 영역 및 모든 인간 프레임워크 영역 서열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1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8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한다.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본원에서 또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VL 영역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간 프레임워크 영역 서열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1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8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대응하는 HCDR 서열이 삽입되었던 IGHV3-23 인간 생식계열 스캐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대응하는 HCDR1, HCDR2 및 HCDR3 아미노산 서열 세트들이 삽입되었던 IGHV3-23 인간 생식계열 스캐폴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대응하는 LCDR 서열이 삽입되었던 IGKV1-33 인간 생식계열 스캐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대응하는 LCDR1, LCDR2 및 LCDR3 아미노산 서열 세트들이 삽입되었던 IGKV1-33 인간 생식계열 스캐폴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대응하는 HCDR 서열이 삽입되었던 IGHV3-23 인간 생식계열 스캐폴드 및 대응하는 LCDR 서열이 삽입된 IGKV1-33 인간 생식계열 스캐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대응하는 HCDR1, HCDR2 및 HCDR3 아미노산 서열 세트가 삽입되었던 IGHV3-23 인간 생식계열 스캐폴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대응하는 LCDR1, LCDR2 및 LCDR3 아미노산 서열의 세트가 삽입되었던 IGKV1-33 인간 생식계열 스캐폴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HCDR1, HCDR2, HCDR3, LCDR1, LCDR2 및 LCDR3 아미노산 서열은 표 18 또는 표 19에서 임의의 하나의 클론의 HCDR1, HCDR2, HCDR3, LCDR1, LCDR2 및 LCDR3 아미노산 서열일 수 있다(6개 CDR 서열은 모두 동일한 클론으로부터 유래됨).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IgG, IgE, IgM, IgD, IgA 또는 IgY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IgG1, IgG2, IgG3, IgG4, IgA1 또는 IgA2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면역학적으로 비활성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FcγR 결합, 항체-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 활성, 및/또는 보체-의존성 세포독성 활성을 감소 또는 방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연변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야생형 인간 IgG1 불변 영역, 야생형 인간 IgG2 불변 영역, 야생형 인간 IgG4 불변 영역, 아미노산 치환 L234A, L235A 및 G237A를 포함하는 인간 IgG1 불변 영역, 아미노산 치환 L234A, L235A, G237A 및 P331S를 포함하는 인간 IgG1 불변 영역, 또는 아미노산 치환 S228P를 포함하는 인간 IgG4 불변 영역이며, 이때 번호매김은 Kabat에서와 같이 EU 색인에 따른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불변 영역내 아미노산 잔기의 위치는 Kabat(Ward et al., 1995 Therap. Immunol. 2:77-94)에서와 같이 EU 색인에 따른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카파 경쇄 불변 영역 또는 람다 경쇄 불변 영역인 면역글로불린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는 표 15의 아미노산 서열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5에서 Fc 영역 서열은 CH1 도메인에서 시작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는 인간 IgG4, 인간 IgG4(S228P), 인간 IgG2, 인간 IgG1, 인간 IgG1 작동체 무효(null)의 Fc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간 IgG4(S228P) Fc 영역은 야생형 인간 IgG4 Fc 영역과 비교하였을 때 다음의 치환을 포함한다: S228P. 예를 들면, 상기 인간 IgG1 작동체 무효 Fc 영역은 야생형 인간 IgG1 Fc 영역과 비교하였을 때 다음의 치환들을 포함한다: L234A, L235A 및 G237A. 일부 구체예들에서,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RDELT (서열 식별 번호: 39) 모티프 또는 REEM (서열 식별 번호: 40) 모티프 (표 15에서 밑줄)를 포함할 수 있다. REEM (서열 식별 번호: 40) 동종이형은 RDELT (서열 식별 번호: 39) 동종이형 보다 더 작은 인간 집단에서 발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32-38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는 표 18 또는 표 19의 클론중 임의의 하나의 6개 CDR 아미노산 서열 및 표 15의 Fc 영역 아미노산 서열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는 표 15에서 Fc 영역 아미노산 서열 중 임의의 하나의 면역글로불린 중쇄 불변 영역, 그리고 면역글로불린 경쇄 불변 영역 (카파 경쇄 불변 영역 또는 람다 경쇄 불변 영역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는 VH 영역, VL 영역 및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8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중쇄 불변 영역은 서열 식별 번호: 32-38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1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중쇄 불변 영역은 서열 식별 번호: 32-38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는 VH 영역, VL 영역 및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8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중쇄 불변 영역은 야생형 인간 IgG4 불변 영역, 아미노산 치환 S228P을 포함하는 인간 IgG4 불변 영역, 야생형 인간 IgG2 불변 영역; 야생형 인간 IgG1 불변 영역 또는 아미노산 치환 L234A, L235A 및 G237A를 포함하는 인간 IgG1 불변 영역을 포함하며;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1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중쇄 불변 영역은 서열 식별 번호: 32-38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고; 그리고 중쇄 불변 영역은 야생형 인간 IgG4 불변 영역, 아미노산 치환 S228P을 포함하는 인간 IgG4 불변 영역, 야생형 인간 IgG2 불변 영역; 야생형 인간 IgG1 불변 영역 또는 아미노산 치환 L234A, L235A 및 G237A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인간 IgG1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7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그리고 중쇄 불변 영역은 서열 식별 번호: 32-38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9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그리고 중쇄 불변 영역은 서열 식별 번호: 32-38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는 면역 작동체 무효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면역 작동체 기능을 유도하지 않고, 임의선택적으로, 면역 작동체 기능을 억제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는 인간 FcγRI, FcγRIIa, FcγRIIIa 및 FcγRIIIb 수용체에 대한 측정가능한 결합은 결핍될 수 있지만, 인간 FcγRIIb 수용체에 대한 결합은 유지하고, 임의선택적으로 인간 FcRn 수용체에 대한 결합은 유지할 수 있다. FcγRI, FcγRIIa, FcγRIIIa 및 FcγRIIIb는 활성화 수용체의 예시다. FcγRIIb는 저해성 수용체의 예시다. FcRn은 재순환 수용체의 예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인간 Fc 수용체에 대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의 결합 친화성은 BIACORE® 분석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동성 시간 분해 형광 (HTRF)은 인간 Fc 수용체에 항-CD122 항체의 결합을 연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HTRF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인간 IgG1 (야생형)은 Fc 감마 수용체의 전체 세트로 라벨되며, 그 다음 조작된 Fc 단편을 갖는 항체를 적정 경쟁에 이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CD122-양성 세포는 인간 백색 혈액 세포 및 항-CD122 항체와 혼합될 수 있고, CDC, ADCC 및/또는 ADCP에 의한 세포 사멸을 측정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인간 IgG1의 Fc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CD122 항체 (표 15 참고)는 작동체 무효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인간 IgG1의 Fc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CD122 항체 (표 15 참고)는 작동체 무효가 아니다.
치료요법적 작용제에 연계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면역접합체를 본원에서 더 제공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치료요법적 작용제는 세포독소, 방사성동위원소, 화학치료요법적 작용제, 면역조절 작용제, 세포증식억제성 효소, 세포용해성 효소, 치료요법적 핵산, 항-맥관형성 작용제, 항-증식성 작용제, 또는 프로-아팝토시스 작용제이다.
적합한 치료요법적 작용제의 예시에는 면역조절 작용제, 세포독소, 방사성동위원소, 화학치료요법적 작용제, 항-맥관형성 작용제, 항증식성 작용제, 프로-아팝토시스 작용제, 그리고 세포정균성 및 세포용해성 효소 (예를 들면, RNAses)들이 내포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추가 치료요법적 작용제에는 치료요법적 핵산, 이를 테면, 면역조절 작용제, 항-맥관형성 작용제, 항-증식성 작용제, 또는 프로-아팝토시스 작용제를 인코딩하는 유전자가 내포된다. 이러한 약물 기술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며, 따라서, 치료제는 위의 용어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하여 기술될 수 있다.
면역접합체에 이용하기 위한 적합한 치료요법적 작용제의 예시에는 JAK 키나제 억제제, 탁산, 메이탄신, CC-1065 및 듀오카르마이신, 칼리케아미신 및 기타 엔디인, 및 오리스타틴이 내포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는 항엽산제, 빈카 알칼로이드 및 안트라사이클린이 내포된다. 식물 독소, 기타 생리활성 단백질, 효소(이를 테면, ADEPT), 방사성동위원소, 감광제도 또한 면역접합체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리포좀이나 폴리머와 같은 세포독성제로 2차 담체를 사용하여 접합체를 만들 수 있다. 적합한 세포독소에는 세포의 기능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및/또는 세포 파괴를 초래하는 작용제들이 내포된다. 대표적인 세포독소에는 항생제, 튜불린 중합 억제제, DNA에 결합하여 방해하는 알킬화제, 단백질 합성 또는 단백질 키나아제, 포스파타제, 토포이소머라제, 효소 및 사이클린과 같은 필수 세포 단백질의 기능을 방해하는 작용제들이 내포된다.
대표적인 세포독소에는 독소루비신, 다우노루비신, 이다루비신, 아클라루비신, 조루비신, 미톡산트론, 에피루비신, 카루비신, 노갈라마이신, 메노가릴, 피타루비신, 발루비신, 시타라빈, 젬시타빈, 트리플루리딘, 안시타빈, 에노시타빈, 아자시티딘, 독시플루딘, 펜토스타틴, 브록슈딘, 케이프 시타빈, 클라드빈, 데시타빈, 플록슈딘, 플루다라빈, 구제로틴, 퓨로마이신, 테가푸르, 티아조펀, 아다마이신, 시스플라틴, 카보플라틴,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다카바진,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미톡산트론, 블레오마이신, 메클로레타민, 프레드니손, 프로카바진, 메토트렉세이트, 플루로우라실, 에토포사이드, 탁솔, 탁솔 유사체, 플라틴, 이를 테면, 시스-플라틴 및 카르보-플라틴, 미토마이신, 티오테파, 탁산, 빈크리스틴, 다우노루비신, 에피루비신, 악티노마이신, 아우트라마이신, 아자세린, 블레오마이신, 타목시펜, 이다루비신, 돌라스타틴/아우리스타틴, 헤미아스텔린, 에스페라마이신 및 메이탄시노이드가 내포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적합한 면역조절 작용제에는 종양 상에서 호르몬 작용을 차단하는 항-호르몬 및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하거나 또는 자가-항원 발현을 하향-조절하거나, 또는 MHC 항원을 차폐하는 면역억제제가 내포된다.
약제학적 조성물
본원에서 제공된 항-CD122 항체 및 항원-결합 부분 (본원에서 "활성 화합물"로 또한 지칭됨)은 투여에 적합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들은 전형적으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또는 전술한 항체 또는 부분을 포함하는 면역접합체), 그리고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은 무독성이어야 하며,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효능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담체 또는 기타 물질의 정확한 성질로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지며, 투여 경로는 주사, 볼루스, 주입 또는 아래에서 논의되는 임의의 기타 적절한 경로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이란 당분야에 공지된 경로를 이용하여 투여될 때, 일반적으로 알레르기 또는 다른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분자 실체 및 조성물을 지칭한다. U.S. 연방 또는 주정부의 관리인이 승인한, 또는 U.S. Pharmacopeia 또는 동물, 더욱 구체적으로 인간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승인된 분자 실제 또는 조성물을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제"는 임의의 그리고 모든 용액, 분산 배지, 코팅, 항균 및 항곰팡이 물질, 그리고 약제학적 투여에 양립되는 등장 및 흡수 지연 물질을 포함한다. 적합한 담체는 이 분야의 표준 참고 문헌인 Remington 's Pharmaceutical Sciences의 최신판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편입된다. 이러한 담체 또는 희석제의 일부 예로는 물, 염수, Ringer 용액, 덱스트로스 용액 및 5 % 인간 혈청 알부민이 내포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포좀 및 비-수성 비히클, 예컨대, 고정(fixed) 오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활성인 물질용 이러한 매질 및 물질의 이용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활성 화합물과 양립할 수 없는 임의의 통상적인 매질 또는 물질을 제외하고, 상기 조성물에 사용이 고려된다. 보충 활성 화합물 또한 상기 조성물에 혼합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는 2차 반응을 야기시키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의 투여 촉진, 신체 내 이의 반감기 증가 및/또는 이의 효능 증가, 또는 용액에서의 이의 용해도 증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조합일 수 있다.
다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i)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8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ii)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1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한다.
(i)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그리고(ii)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7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9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다.
본원에서 기술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의 의도된 투여 경로에 필적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투여 경로의 예로는 비경구, 예로써, 정맥내, 피내, 피하, 경구 (예로써, 흡입), 경피 (예로써, 국소), 점막 및 직장 투여가 포함된다. 비경구, 피내 또는 피하 적용에 사용되는 용액 또는 현탁액은 하기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주사용수, 식염수, 고정 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다른 합성 용매와 같은 멸균 희석제, 이를 테면, 주사용수, 염수, 고정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다른 합성 용매; 항균제, 이를 테면, 벤질 알콜 또는 메틸 파라벤; 항산화제, 이를 테면, 아스코르브산 또는 중아황산 나트륨; 킬레이팅 물질, 이를 테면,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완충제, 이를 테면, 아세테이트, 구연산 또는 인산염, 그리고 등장성 조절제, 이를 테면, 염화 나트륨 또는 덱스트로스. pH는 염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과 같은 산 또는 염기로 조절될 수 있다. 비경구제재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앰풀, 일회용 주사기 또는 다중 용량 바이알에 넣을 수 있다.
주사용으로 사용에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운반체들은 멸균 수성 용액 또는 분산액과 멸균 주사용 용액 또는 분산의 임기 조제용 멸균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정맥내 투여를 위해, 적합한 담체는 생리 염수, 정균수, Cremophor EL® (BASF, Parsippany, N.J.) 또는 포스페이트 완충된 염수 (PBS)를 포함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조성물은 무균이어야 하며, 주사의 용이성이 존재할 정도로 유동적이어야 한다. 그것은 제조 및 저장 조건 하에서 안정해야 하며, 박테리아 및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의 오염 작용에 대항하여 보존되어야 한다. 상기 운반체는 예를 들면, 물, 에탄올, 폴리올 (가령,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와 유사한 것들), 그리고 이들의 적합한 혼합물들이 포함된 용매 또는 분산액 매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복제, 이를 테면, 레시틴의 이용에 의해, 분산액의 경우 요구되는 입자 크기의 유지에 의해, 그리고 계면활성제의 이용에 의해 적절한 유동성이 유지될 수 있다. 미생물의 작용의 예방은 예를 들면,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아스크르빈산, 티메로졸 및 이와 유사한 것들과 같은 다양한 항박테리아 및 항진균제를 포함시킴으로써 확보될 수 있다. 많은 경우들에 있어서, 등장성 물질들, 예를 들면, 슈가, 다가알코올, 이를 테면, 만니톨, 소르비톨, 염화나트륨이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흡수를 지연시키는 물질, 이를 테면,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젤라틴과 같은 물질이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주사가능한 조성물의 연장된 흡수를 가져올 수 있다.
멸균 주사용 용액은 필요에 따라 활성 화합물을 적절한 용매에 상기 열거한 성분들 중 하나 또는 조합물과 혼합하고, 이어서 여과 멸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산액은 활성 화합물을 기본 분산 매질 및 상기 열거된 것들로부터의 필요한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무균 비히클에 혼입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멸균 주사 용액의 제조를 위한 멸균 분말의 경우, 제조 방법은 활성 성분의 분말과 미리 멸균-여과된 용액으로부터 임의의 추가의 원하는 성분을 생성하는 진공 건조 및 동결 건조이다.
구강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불활성 희석제 또는 식용 담체를 포함한다. 이들은 젤라틴 캡슐에 포집시키거나 압축하여 정제로 만들 수 있다. 구강 치료학적 투여를 위해, 활성 화합물은 부형제와 함께 혼입될 수 있고 테블릿, 트로키제(troches) 또는 캡슐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경구 조성물은 또한 구강 세척제로서 사용하기 위해 유체 담체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유체 담체 내의 화합물은 경구로 제공되고, 휙 소리를 내면서 움직이고, 그리고 뱉아내거나 삼킨다. 약학적으로 양립가능한 결합제 및/또는 어쥬번트 물질은 조성물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테블릿, 알약, 캡슐제, 트로키제 및 이와 유사한 것 등은 다음의 성분 또는 유사한 성질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결합제, 이를 테면, 미소결정 셀룰로오스, 검 트라가탄 또는 젤라틴; 부형제, 이를 테면, 전분 또는 락토즈, 분해제, 이를 테면, 알긴산, Primojel®, 또는 옥수수 전분; 윤활제, 이를 테면,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활택제, 이를 테면, 콜로이드성 이산화실리콘; 감미제, 이를 테면, 설탕 또는 사카린; 또는 풍미제, 이를 테면, 페퍼민트, 메틸 살리실레이트, 또는 오렌지 풍미.
흡입 투여 용으로, 상기 화합물은 적절한 추진체,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스를 함유하는 압력 용기 또는 디스펜서, 또는 네불라이져(nebulizer)로부터의 에어로졸 분무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전신 투여는 또한 경점막 또는 경피 수단일 수 있다. 경점막 또는 경피 투여를 위해, 침투되는 장벽에 적합한 침투제가 제형에 사용된다. 이러한 침투제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점막 투여용으로, 세제, 담즙 염 및 푸시딘산(fusidic acid) 유도체를 포함한다. 경점막 투여는 비강 스프레이 또는 좌약의 사용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경피 투여를 위해, 활성 화합물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연고, 살베(salves), 겔 또는 크림으로 제형화된다.
예로써, 상기 약제학적 작용제는 좌제 형태 (예로써, 코코아 버터 및 기타 글리세리드와 같은 통상적인 좌약 기제로) 또는 직장 전달용 정체 관장(retention enemas)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활성 화합물들은 화합물이 신체로부터 신속하게 제거되는 것으로부터 이 화합물을 보호하는 운반체와 함께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를 테면 임플란트 및 미소포집 운반시스템이 포함된 방출 제어 제형이 된다. 생분해가능한, 생체적합성 폴리머, 이를 테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안하이드리드, 폴리글리콜산, 콜라겐, 폴리오르소에스테르, 및 폴리락트산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재를 준비하는 방법은 당업계 숙련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을 것이다. 재료는 상업적으로 얻을 수도 있다. 리포좀 현탁액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로 이용될 수 있다.
투여의 용이성 및 투여량의 균일성을 위해 투약 단위 형태로 경구 또는 비경구 조성물을 제형화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투여 단위 형태는 치료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단일 투여량으로 적합한 물리적으로 분리된(discrete) 단위를 의미하고; 각 단위는 필요한 약제학적 담체와 관련하여 원하는 치료 효과를 생성하도록 계산된 사전결정된 양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투여 단위 형태에 대한 명세는 활성 화합물의 독특한 특성 및 달성 될 특정 치료 효과 및 그리고 개인의 치료를 위한 이러한 활성 화합물을 배합하는 분야에 고유한 제한 사항에 따라 좌우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투여 전 재구성을 위한 동결건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결건조된 항체 분자는 개인에게 투여하기 전에 멸균수에서 재구성되고, 식염수와 혼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 지침과 함께 용기, 팩 또는 디스펜서에 포함될 수 있다.
핵산 분자, 벡터, 숙주 세포 및 항체 생산 방법
본원에서 기술된 항-CD122 항체 또는 항-CD122 항원-결합 부분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의 (i) VH 영역, (ii) VL 영역, 또는 (iii) VH 영역 및 VL 영역 모두의 아미노산 서열)을 인코드하는 핵산 분자 (예로써, 단리된 핵산 분자)을 본원에서 제공한다. 본원에서 기술된 항-CD122 항체 또는 항-CD122 항원-결합 부분의 (i) 중쇄, (ii) 경쇄, 또는 (iii) 중쇄 및 경쇄 모두를 인코드하는 핵산 분자 (예로써, 단리된 핵산 분자)가 본원에서 더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VH 영역, VL 영역, 중쇄 또는 경쇄를 인코드하는 핵산 분자는 신호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VH 영역, VL 영역, 중쇄 또는 경쇄를 인코드하는 핵산 분자는 신호 서열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핵산 분자는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의 VH 영역 및 VL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인코드하며,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8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1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핵산 분자는 인간 프레임워크 영역 아미노산 서열을 더 인코드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핵산 분자는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의 VH 영역 및 VL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인코드하며,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7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9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다.
본원에서 기술된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본원에서 또한 제공한다. 특정 벡터에서, 핵산 분자는 숙주 세포에서 핵산 세그먼트의 발현에 적합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절 서열에 작동가능하도록 연계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발현 벡터는 복제를 중개하는 서열을 포함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선별가능한 마커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벡터"는 숙주 세포에서 관심 대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전자(들) 또는 서열(들)을 운반할 수 있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발현시킬 수 있는 구조체를 의미한다. 벡터의 예시에는 바이러스성 벡터, 네이키드 DNA 또는 RNA 발현 벡터,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또는 파아지 벡터, 양이온 축합제와 연합된 DNA 또는 RNA 발현 벡터, 리포좀 내에 포획된, 그리고 특정 진핵성 세포, 이를 테면, 생산자 세포내 포획된 DNA 또는 RNA 발현 벡터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기술된 발현 벡터 또는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본원에서 제공한다. "숙주 세포"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삽입물의 혼입을 위한 벡터(들)의 수용자일 수 있거나 또는 수용자인 개별 세포, 세포주 또는 세포 배양물이 내포된다. 숙주 세포에는 단일 숙주 세포의 후손이 내포된다. 이들 자손은 자연적, 우발적 또는 의도적 돌연변이로 인해 원래의 부모 세포와 필연적으로 완전히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형태 또는 게놈 DNA 보체에서). 발현 벡터는 표준 기술에 의해 숙주 세포로 형질감염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는 전기천공법, 인산칼슘 침전, DEAE-덱스트란 형질감염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이 내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재조합 숙주 세포는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의 VH 영역 및 VL 영역 모두를 인코드하는 단일 벡터 또는 단일 핵산 분자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재조합 숙주 세포는 (i)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의 VH 영역을 인코드하는 제1 벡터 또는 제1 핵산 분자, 그리고 (ii)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의 VL 영역을 인코드하는 제2 벡터 또는 제2 핵산 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체 분자,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당분야에 공지된 기술, 예를 들면, 재조합 기법들, 파아지 디스플레이 기법들, 합성 기법들 또는 이러한 기법들의 조합 및 해당 분야에 용이하게 공지되어 있는 다른 기법들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생산하는 방법이 본원에서 더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기술된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핵산 세그먼트가 발현되는 조건 하에서 배양시키고, 이로 인하여 상기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이 생산된다.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상기 숙주 세포 또는 배양물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항-CD122 항체 및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및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재조합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열 식별 번호: 1, 서열 식별 번호: 3, 서열 식별 번호: 5, 서열 식별 번호: 7, 서열 식별 번호: 9, 서열 식별 번호: 11, 서열 식별 번호: 13, 서열 식별 번호: 15, 서열 식별 번호: 17 또는 서열 식별 번호: 18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인코드하는 핵산 서열, 또는 이의 부분을 세균성 세포(예로써, 대장균, B. 서브틸리스) 또는 진핵성 세포 (예로써, 효모, 이를 테면 S. 세르비시에, 또는 포유류 세포 이를 테면, CHO 세포주, 각종 Cos 세포주, HeLa 세포, HEK293 세포, 각종 골수종 세포주, 또는 형질전환된 B-세포 또는 하이브리도마)로 도입시킬 수 있고, 또는 시험관내 해독 시스템으로 도입시킬 수 있고, 그리고 해독된 폴리펩티드를 단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체 경쇄 단백질 및 중쇄 단백질은 신호 서열과 함께 세포에서 생산되며, 이 신호서열은 성숙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의 생산시 제거된다.
당업자는 표준 방법, 예를 들면, Western 블랏, ELISA,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을 이용하여 과도한 실험 없이, 주어진 폴리펩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이 CD122 단백질에 결합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 CD12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리고 임의선택적으로 사이노몰구스 및/또는 붉은 털 원숭이 CD122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만드는 방법을 본원에서 제공하며,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1) 비-인간 원천의 항-CD122 CDRs를 인간 v-도메인 프레임워크에 접목시켜 인간화된 항-CD122 항체 분자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만드는 단계;
(2) CDRs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CD122 항체 분자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클론 라이브러리를 생성시키는 단계;
(3) 인간 CD122에 결합하는, 그리고 임의선택적으로 사이노몰구스 및/또는 붉은 털 원숭이 CD122에 또한 결합하는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하는 단계;
(4) (3)의 스크리닝 단계에서 인간 CD122에 대한 결합 특이성, 그리고 임의선택적으로 사이노몰구스 및/또는 붉은 털 원숭이 CD122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갖지만, 인간 BCAM, 인간 CILP2 또는 인간 뉴데신에 대해서는 결합이 감소된 또는 결합이 없는 클론을 선별해내는 단계; 그리고
(5) 단계(4)에서 선택된 클론으로부터 인간 CD12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리고 임의선택적으로 사이노몰구스 및/또는 붉은 털 원숭이 CD122에도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분자,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생산하는 단계.
상기 방법은 단계 (5)에서 생산된 상기 항체 분자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에서 인간화를 강화시키고 및/또는 인간 T 세포 에피토프 함량을 최소화시키거나 및/또는 제조 속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단계(4)에서 선택된 클론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단계(4)에서 선택된 클론의 CDRs에서 특정 위치들에서 추가적인 탐색적 돌연변이유발에 근거하여 추가적인 클론을 생산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항체의 용도
면역-매개된 질환 또는 장애를 갖는 대상체에게 치료요법적 이점을 제공하기 위해 본원에 기술된 항-CD122 항체, 항-CD122 항원-결합 부분, 면역접합체 및 약제학적 조성물을 만드는 방법 및 이의 용도를 본원에서 제공한다.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시키는 방법을 본원에서 제공하며,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의 본원에서 기술된 항체, 항원-결합 부분, 면역접합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 (예로써, CD122-양성 세포에 의해 매개된 면역 반응)을 억제시키는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의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8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1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한다.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시키는 방법을 본원에서 제공하며,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의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7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9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면역 반응은 CD122에 의해 매개된다.
피부 (예로써, 인간 피부)로부터 T 세포의 IL-15 유도된 이동을 억제시키는 방법방법을 본원에서 제공하며, 이 방법은 상기 피부에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의 본원에서 기술된 항체, 항원-결합 부분, 면역접합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피부 (예로써, 인간 피부)로부터 T 세포의 IL-15 유도된 이동을 억제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이 피부에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의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8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1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한다. 피부(예로써, 인간 피부)로부터 T 세포의 IL-15 유도된 이동을 억제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이 피부에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의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7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9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T 세포는 CD8+ T 세포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T 세포는 CD4+ T 세포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피부는 CD122를 과다발현시키는 것과 연관된 질환 또는 장애, 또는 CD122를 정상적으로 발현시키지 않는 세포에서 CD122를 발현과 연관된 질환 또는 장애를 갖는 대상체의 피부다.
본원에서 기술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은 인간 또는 동물 신체의 예방적 또는 방지적 처리 (예로써, 대상체에서 발생하는 병태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대상에서 병태의 발병 전에 치료; 발병 지연; 발병 후 중증도 감소) 치료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치료 방법은 상기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에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본원에서 제공하며,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의 본원에서 기술된 항체, 항원-결합 부분, 면역접합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체에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의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8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1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한다. 대상체에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본원에서 제공하며,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의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7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9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다.
대상체에서 질병 증상의 중증도를 개선, 치료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의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8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1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한다. 대상체에서 질병 증상의 중증도를 개선, 치료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을 본원에서 제공하며,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의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VH 영역 및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7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며,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9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질환 또는 장애는 CD122의 과다발현, 또는 CD122를 정상적으로 발현시키지 않는 세포에서 CD122를 발현과 연관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질환 또는 장애는 CD122에 의해 매개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질환은 염증성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질환은 백반증, 복강 질환, 유형 1 당뇨병, 다발성경화증, 이식편대숙주병, 전신홍반루푸스, 건선, 아토피피부염, 원형탈모증, 궤양성대장염, 또는 류머티스성 관절염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본원에서 제공된 발명에서 이용된 항-CD122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의 VH 영역, VL 영역, 또는 VH 영역 및 VL 영역 모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간 프레임워크 영역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유효량" 또는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이란 질환, 예로써, 백반증, 복강 질환, 유형 1 당뇨병, 다발성 경화증, 이식편대숙주병,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원형 탈모증, 궤양성 대장염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중증도 및/또는 기간을 줄이거나 또는 개선, 질환의 진행 방지, 질환의 퇴행 유발, 질환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의 재발, 발달, 개시 또는 진행의 예방, 질환의 발견, 또는 CD122-매개된 질환에 대한 또다른 관련된 요법제(가령, 예방 또는 치료요법제)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들)의 강화 또는 개선하기에 충분한 약제학적 작용제, 예로써,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의 양을 지칭한다.
실제 투여량, 투여율 및 투여시간은 치료되는 질환 특성 및 중증도, 치료되는 특정 포유동물, 개별 환자의 임상 상태, 장애의 원인, 조성물의 전달 부위, 투여 방법, 투여 일정 및 및 의료 종사자에게 알려진 기타 요인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치료 처방, 예로써, 복용량 등에 대한 결정은 일반의 및 기타 의사의 책임 내에 있으며 증상의 중증도 및/또는 치료 중인 질환의 진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적절한 투여량의 항체 분자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Ledermann J.A. et al., 1991, Int. J. Cancer 47: 659-664; Bagshawe K.D. et al., 1991, Antibody, Immunoconjugates and Radiopharmaceuticals 4: 915-922). 투여되는 의약의 유형에 적절한 특정 투여량이 본원 또는 Physician's Desk Reference (2003)에 표시될 수 있다. 항체 분자의 치료적 유효량 또는 적합한 투여량은 동물 모델에서의 시험관내 활성 및 생체내 활성을 비교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마우스 및 기타 시험 동물에서 인간에 대한 유효 투여량을 외삽하는 방법은 알려져 있다. 정확한 투여량은 항체가 예방용인지 치료용인지, 치료할 영역의 크기와 위치, 항체의 정확한 특성(예로써, 전체 항체, 단편) 및 특성, 그리고 및 검출가능한 라벨 또는 항체에 부착된 다른 분자의 특성을 비롯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인 항체 용량은 전신 적용의 경우 100μg~1g, 피내 주사의 경우 1μg~1mg 범위가 될 것이다. 초기 더 높은 부하(loading) 투여분량, 그 다음 이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더 낮은 투여분량이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항체는 온전한 항체, 예로써, IgG1 또는 IgG4 아이소형이다. 이것은 성인 피험자의 단일 치료를 위한 용량으로, 어린이와 유아에 대해 비례적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분자량에 비례하여 다른 항체 형식에 대해서도 조정될 수 있다. 치료는 의사의 재량에 따라 매일, 주 2회, 매주 또는 매월 간격으로 반복될 수 있다. 대상체에 대한 치료 일정은 항체 조성물의 약동학적 및 약력학적 특성, 투여 경로 및 치료되는 병태의 성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치료는 주기적일 수 있고, 투여 사이의 기간은 2주 또는 그 이상, 예로써, 약 3 주 또는 그 이상, 약 4 주 또는 그 이상, 한 달 또는 그 이상 동안 대략 한 번, 약 5 주 또는 그 이상, 또는 약 6 주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치료는 2~4주마다, 또는 4~8주마다 할 수 있다. 치료는 수술 전 및/또는 후에 제공될 수 있고 및/또는 외과적 치료 또는 침습적 절차의 해부학적 부위에 직접 투여 또는 적용될 수 있다. 적합한 제형 및 투여 경로는 위에 기재되어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본원에 기술된 항-CD122 항체 분자 및 항원-결합 부분은 피하 주사로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기간의 예방/치료를 위해 자동 주사 장치를 사용하여 피하 주사를 투여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의 치료요법적 효과는 용량에 따라, 여러 반감기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의 단일 투여용량에서 치료요법적 효과는 해당 대상체에서 1 개월 또는 그 이상, 2 개월 또는 그 이상, 3 개월 또는 그 이상, 4 개월 또는 그 이상, 5 개월 또는 그 이상, 또는 6 개월 또는 그 이상 지속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대상체는 본원에 기술된 항-CD122 항체 또는 항-CD122 항원-결합 부분, 면역접합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그리고 CD122-매개된 질환 또는 장애 또는 CD122-매개된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 또는 여병을 치료하는데 이용된 추가 치료요법적 작용제 또는 요법제로 치료될 수 있다. 상기 항-CD122 항체 또는 항-CD122 항원-결합 부분 및 추가적인 치료요법적 작용제 또는 요법제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대상체는 인간, 비-인간 영장류, 돼지, 말, 소, 개, 고양이, 기니피그, 마우스 또는 렛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대상체는 성인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대상체는 소아 인간이다.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의 본원에 기술된 항-CD122 항체 또는 항-CD122 항원-결합 부분, 면역접합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본원에서 더 제공된다.
의약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용도의 본원에서 기술된 항-CD122 항체 또는 항-CD122 항원-결합 부분, 면역접합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정의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정의를 갖는다. 일부 용어는 아래에 정의되어 있으며, 나머지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 정의를 찾을 수 있다.
용어 단수 부정관사("a" 또는 "an")는 해당 엔티티 중 하나 이상을 지칭하며, 즉 복수의 지시 대상을 지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어 단수 부정관사("a" 또는 "an"), "하나 이상" 및 "적어도 하나"는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부정 관사 ("a"또는 "an")에 의한 "하나의 요소"에 대한 언급은 문맥 상 하나의 요소 만이 존재하도록 요구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요소가 존재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 출원 전체에서 "약(about)"이라는 용어는 값이 장치에 대한 고유한 오류 변동, 값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또는 측정되는 샘플 중에 존재하는 변동이 내포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백하지 않은 한, "약"이라는 용어는 보고된 수치보다 10% 이상 또는 이하를 의미한다(이러한 수치가 가능한 값의 100%를 초과하거나 0% 미만인 경우 제외). 범위 또는 일련의 값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약"이라는 용어는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범위의 끝점 또는 일련의 값 각각에 적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 "약(about)" 및 "대략적으로"란 대등하게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서열 동일성"은 2개의 최적으로 정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서열이 잔기, 예로써, 뉴클레오티드 또는 아미노산의 정렬 창 전체에 걸쳐 불변인 정도를 의미한다. 테스트 서열 및 참조 서열의 정렬된 세그먼트에 대한 "동일성 분획(identity fraction)"은 참조 서열 세그먼트, 즉, 전체 참조 서열 또는 참조 서열의 더 작게 정의된 부분의 총 잔기 수로 나눈 2개의 정렬된 서열이 공유하는 동일한 잔기의 수이다. "동일성 퍼센트"란 동일성 분수에 100을 곱한 것이다. 동일성 백분율은 기본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ebi.ac.uk/Tools/msa/clustalo에서 제공되는 정렬 프로그램 Clustal Omega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Sievers et al., "Fast, scalable generation of high-quality protein multiple sequence alignments using Clustal Omega" (2011 October 11) Molecular systems biology 7:539 참고. 서열에 대한 동일성을 계산하기 위해 태그와 같은 확장자는 내포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HCDR"이란 중쇄 상보성 결정 영역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LCDR"이란 경쇄 상보성 결정 영역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보전적 치환"이란 기능적 활성을 유의하게 유해하게 변화시키지 않는 다른 아미노산으로 아미노산을 대체시킨 것을 말한다. "보존적 치환"의 바람직한 예는 하나의 아미노산을 다음 BLOSUM 62 치환 매트릭스에서 값이 ≥ 0인 다른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Henikoff & Henikoff, 1992, PNAS 89: 10915-10919 참고):
"항체-약물 접합체" 및 "면역접합체"란 CD122에 결합하고, 세포독성, 세포정균성 및/또는 치료요법적 작용제에 접합된 항체 유도체를 비롯한 항체 분자,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지칭한다.
용어 "단리된 분자" (여기에서 분자는 예를 들면, 폴리펩티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항체)는 그 기원 또는 파생 원천으로 인해, (1) 원래 상태에서 동반되는 자연적으로 연합된 구성 요소와 연합되지 않고, (2) 동일한 종의 다른 분자들이 실질적으로 없고, (3) 상이한 종의 세포에서 발현되고, 또는 (4) 자연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분자다. 따라서, 화학적으로 합성되거나, 또는 이것이 자연적으로 유래되는 세포와 상이한 세포 시스템에서 합성된 분자는 이와 자연적으로 연합된 구성성분들로부터 "단리된" 상태일 것이다. 분자는 또한 당업계에 잘 알려진 정제 기술을 사용한 분리에 의해 자연적으로 연합된 성분이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분자 순도 또는 균질성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펩티드 샘플의 순도는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 및 겔 착색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당업계에 잘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폴리펩티드를 시각화할 수 있다. 특정 목적을 위해, HPLC 또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기타 정제 수단을 사용하여 더 높은 분해능을 제공할 수 있다.
용어 "에피토프"란 항체 분자의 항원-결합 영역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에서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에 의해 인지되고, 이들에 결합될 수 있는 분자의 부분을 지칭한다. 에피토프는 1차, 2차 또는 3차 단백질 구조의 정의된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항체의 항원 결합 영역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부분에 의해 인지되는 표적의 2차 구조 단위 또는 구조 도메인의 조합이 내포된다. 에페토프는 아미노산이나 또는 당 측쇄와 같은 분자의 특정된 화학적 활성 표면 그룹핑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이적인 3-차원 구조 특성, 뿐만 아니라 특이적 전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용어 "항원성 에피토프"란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당분야에 공지됨 임의의 방법, 예를 들면, 통상적인 면역분석법, 항체 경쟁적 결합 분석법, x-선 결정학 또는 관련 구조 결정 방법(예를 들면, 핵자기공명 분광법)에 의해 측정될 때, 항체 분자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의 부분으로 특정된다.
용어 "역가(potency)"는 생물학적 활성의 측도이고, 본원에 기술된 CD122 활성 분석에서 측정된 활성의 50%를 억제하는 항원 CD122에 대한 항체 또는 항체 약물 접합체의 유효 농도, IC50, EC50로 지정될 수 있다.
용어 "억제하다" 또는 "중화시킨다"란 본원에서 기술된 항체의 생물활성에 대해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CD122에 대한 항체 분자의 생물학적 활성 또는 결합 상호 작용을 비롯한,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억제되는 진행 또는 중증도를 실질적으로 길항하거나, 금지하거나, 예방하거나, 제지하거나, 느리게 하거나, 방해하거나, 제거하거나, 정지하거나, 감소하거나 역전시키는 항체의 능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농도 범위, 백분율 범위, 비율 범위, 또는 정수 범위는 언급된 범위 안에 임의의 정수 값, 그리고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적절한 경우, 이들의 분수 값(이를 테면, 한 정수의 1/10 및 1/100)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대체어 (예를 들면, "또는")의 이용은 이들 대체물중 하나, 둘 또는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함유하다(include)"와 "포함하다(comprise)"는 동의어로 이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섹션 제목은 오로지 구획을 구분하려는 목적을 위함이며, 서술된 주제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특허, 특허 출원, 공개된 특허 출원, 문헌, 책 및 협정이 포함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은, 본원에서 언급된 모든 서류, 또는 서류의 일부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일부 뿐만 아니라 이의 전문은 본 명세서의 참고자료에 명시적으로 편입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합 문서 또는 문서의 일부가 출원서의 해당 용어 정의와 모순되는 용어를 정의하는 경우, 본 출원에 나타나는 정의가 우선한다. 그러나, 여기에 인용된 참고문헌, 기사, 간행물, 특허, 특허 간행물 및 특허 출원에 대한 언급은 해당 기술이 유효한 선행 기술을 구성하거나 세계 어느 나라에서나 공통된 일반 지식의 일부를 구성한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어떤 형태로든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측면 및 실시예 중 임의의 것은 아래의 특정하고,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실시예/구체예를 비롯하여, 요약, 도면 및/또는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임의의 다른 측면 또는 실시예와 조합될 수 있다.
열거된 구체예들
첨부된 청구범위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는 다음과 같은 번호가 매겨진 구체예들을 제시한다:
1.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8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1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한다.
2. 구체예 1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7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9를 포함한다.
3. 구체예 1 또는 2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인간화된 또는 키메라이다.
4. 구체예 1-3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이때 VH 영역, VL 영역, 또는 VH 영역과 VL 영역 모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간 프레임워크 영역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5. 구체예 1-4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이때 VH 영역, VL 영역, 또는 VH 영역과 VL 영역 모두는 CDR 아미노산 서열이 삽입된 인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스캐폴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6. 구체예 1 및 3-5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이때 VH 영역은 HCDR1, HCDR2 및 HCDR3 아미노산 서열이 삽입된 IGHV3-23 인간 생식계열 스캐폴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7. 구체예 1 및 3-6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이때 VL 영역은 LCDR1, LCDR2 및 LCDR3 아미노산 서열이 삽입된 IGKV1-33 인간 생식계열 스캐폴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8. 구체예 1-7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이때 상기 항체는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9. 구체예 8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이때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IgG, IgE, IgM, IgD, IgA 또는 IgY이다.
10. 구체예 9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이때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IgG1, IgG2, IgG3, IgG4, IgA1 또는 IgA2이다.
11. 구체예 8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이때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면역학적으로 비활성이다.
12. 구체예 8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이때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야생형 인간 IgG4 불변 영역, 아미노산 치환 S228P을 포함하는 인간 IgG4 불변 영역, 야생형 인간 IgG1 불변 영역, 아미노산 치환 L234A, L235A 및 G237A을 포함하는 인간 IgG1 불변 영역 또는 야생형 인간 IgG2 불변 영역이며, 이때 번호매김은 Kabat에서와 같이 EU 색인에 따른다.
13. 구체예 8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이때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서열 식별 번호: 32-38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14. 구체예 1-13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Fab, Fab', F(ab')2, Fv, scFv, 맥시바디, 미니바디, 디아바디, 트리아바디, 테트라바디, 또는 비스-scFv이다.
15. 구체예 1-14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이때 상기 항체는 단일클론성이다.
16. 구체예 1-15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이때 상기 항체는 사량체 항체, 사가 항체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다.
17. 구체예 1-16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이때 상기 항체는 제1 항원 및 제2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중특이적 항체이며, 이때 상기 제1 항원은 CD122이며, 상기 제2 항원은 CD122는 아니다.
18. 치료요법적 작용제에 연계된, 구체예 1-17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면역접합체.
19. 구체예 18의 면역접합체 이때 상기 치료요법적 작용제는 세포독소, 방사성동위원소, 화학치료요법적 작용제, 면역조절 작용제, 세포증식억제성 효소, 세포용해성 효소, 치료요법적 핵산, 항-맥관형성 작용제, 항-증식성 작용제, 또는 프로-아팝토시스 작용제이다.
20. 구체예 1-17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또는 구체예 18 또는 19의 면역접합체, 그리고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1. 다음을 인코딩하는 핵산 분자:
구체예 1-17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의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
(b)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 또는
(c) VH 영역 및 VL 영역 모두의 아미노산 서열.
22. 구체예 21의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23. 구체예 21의 핵산 분자 또는 구체예 22의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
24.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만드는 방법,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상기 핵산 분자가 발현되는 조건 하에서 구체예 22의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배양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이 생산되며; 그리고 상기 숙주 세포 또는 배양물로부터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을 단리시킨다.
25.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시키는 방법,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구체예 1-17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구체예 18 또는 19의 면역접합체 또는 구체예 20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26. 구체예 25의 방법, 이때 상기 면역 반응은 CD122에 의해 매개된다.
27. 대상체에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구체예 1-17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구체예 18 또는 19의 면역접합체 또는 구체예 20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28. 구체예 27의 방법, 이때 상기 질환은 염증성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이다.
29. 구체예 27의 방법, 이때 상기 질환은 백반증, 복강 질환, 유형 1 당뇨병, 다발성경화증, 이식편대숙주병, 전신홍반루푸스, 건선, 아토피피부염, 원형탈모증, 궤양성대장염, 또는 류머티스성 관절염이다.
30. 피부로부터 T 세포의 IL-15 유도된 이동을 억제시키는 방법, 이 방법은 상기 피부에 구체예 1-17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구체예 18 또는 19의 면역접합체 또는 구체예 20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31. 의약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체예 1-17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구체예 18 또는 19의 면역접합체 또는 구체예 20의 약제학적 조성물.
본 명세서는 본 개시내용을 순전히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닌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최적화된 항-CD122 치료요법적 항체의 생산
개요
본 실시예에서, 우리는 길항성, 최적화된 항-CD122 항체의 패널을 성공적으로 생성시켰다. 이들 항-CD122 항체는 잘 발현되고, 생물물리학적으로 안정하고, 가용성이 높으며, 바람직한 인간 생식계열에 대한 동일성이 최대화된다.
재료 및 방법
항체 v-도메인 특이성 테스트: 인간 수용체 어레이 분석
인간 세포 막 수용체 프로테옴 어레이는 Retrogenix Ltd에서 수행되었다.
일차 스크린: 5 μg/ml의 IgG1-MIKβ1 (인간화됨, 또한 VillMab-1으로도 지칭됨) 항체는 4975개 인간 혈장 막 단백질을 개별적으로 (14개 슬라이드 세트, 슬라이드 세트 당 n=2개 슬라이드) 발현시키는 고정된 HEK293 세포/슬라이드에 대항한 결합에 대해 스크리닝되었다. 모든 형질감염 효율은 최소 임계값을 초과했다. 항체 결합은 AF647 형광 이차 항-인간 IgG1 항체를 이용하여 탐지되었다. ImageQuant에서 형광(AF647 및 ZsGreen1)을 분석하여 1차 히트(중복 지점)를 식별했다. 모든 히트를 인코딩하는 벡터들은 이들의 정확한 실체를 확인하기위해 서열분석되었다.
확인/특이성 스크린: 모든 히트를 인코딩하는 벡터와 MS4A1(CD20) 및 EGFR을 인코딩하는 대조군 벡터를 새 슬라이드에 중복 스팟시키고, 이전과 같이 인간 HEK293 세포를 역-형질감염시키는 데 사용했다. 모든 형질감염 효율은 최소 임계값을 초과했다. 동일한 고정된 슬라이드들을 5 μg/ml의 각 테스트 항체, 5 μg/ml의 음성 대조군 항체, 1 μg/ml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 (양성 대조군), 아이소형 IgG1 (Ab00102 인간 IgG1 항-Fluorescein) 또는 테스트 분자 없이 (오로지 이차; 음성 대조군) (처리당 n=2개 슬라이드)로 처리하였다. 슬라이드를 상기와 같이 분석하였다.
유세포측정 확인 스크린: 오로지 ZsGreen1 만, 또는 ZsGreen1 및 CD122, BCAM을 인코딩하는 발현 벡터를 인간 HEK293 세포 상으로 형질감염시켰다. 각각의 살아있는 형질감염체를 1mg/ml 및 5 mg/ml의 각 시험 항체 및 이소타입 대조군 항체와 함께 항온처리했다. 세포를 세척하였고, 세포 마이크로어레이 스크린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AF647 항-인간 IgG Fc 검출 항체와 함께 항온처리했다. 세포를 다시 세척하였고, Accuri 유세포 분석기(BD)를 사용하여 유세포 분석기로 분석했다. 7AAD 살아있는/죽은 착료를 사용하여, 죽은 세포를 배제시켰고, ZsGreen1-양성 세포(이를 테면, 형질감염된 세포)를 분석을 위해 선별했다.
CD122 라이브러리 생성 및 선별
CD122 Fab 레퍼토리는 대량 올리고 합성 및 PCR에 의해 어셈블리되었다. 그런 다음, 증폭된 Fab 레퍼토리를 제한-결찰을 통해 파지미드 벡터에 클로닝시키고, 대장균 TG-1 세포로 형질전환시켰으며, 파아지 레퍼토리는 이전에 자세히 설명한 대로 기본적으로 구출시켰다 (Finlay et al., 2011, Methods Mol Biol 681: 383-401). 파아지 선별은 스트렙타비딘 자성 마이크로비드를 비오틴화된 CD122 표적 단백질(인간 또는 시노몰구스)로 코팅하고, 상기 비드를 PBS로 3회 세척하였고, PBS pH 7.4 + 5% 탈지유 단백질에 재현탁시켰다. 이들 비드는 1차 선별 라운드에서 100nM 표적 단백질로 코팅되었고, 이어서 3회 연속 라운드에서 항원 농도가 감소되었다. 각 라운드에서, 파아지는 TG1 세포에 재-감염되기 전에 트립신을 사용하여 용출되었다.
Fab 및 IgG 발현 및 정제
리드 패널 항-CD122 항체와 MIKβ1 변이체의 중쇄 및 경쇄 가변 도메인을 코딩하는 포유동물 코돈- 최적화 합성 유전자를 작동체 기능이 없는 인간 IgG1('IgG1-3M'; 정상적인 면역글로불린 ADCC, ADCP 및 CDC 기능을 폐지하는 하부 힌지에 L234A, L235A, G237A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인간 IgG1) 및 인간 Cκ 도메인을 각각 포함하는 포유동물 발현 벡터에 클로닝했다. 포유동물 발현 시스템에서 중쇄 및 경쇄 함유 벡터의 공동-형질감염을 수행한 후, IgG의 단백질 A- 기반 정제, 변성 및 비-변성 SDS-PAGE에 대한 정량화 및 QC를 수행했다.
Fab 및 IgG에 대한 직접 결합 ELISA
재조합 단백질에 대한 리드 패널의 결합 및 교차 반응성은 ELISA 결합에 의해 초기에 평가되었다. 인간 CD122 인간 Fc 테그된 재조합 단백질 및 사이노몰구스 및/또는 붉은 털 원숭이 CD122 인간 Fc 테그된 재조합 단백질은 MaxiSorp™ 평면 바닥 96 웰 플레이트의 표면에 1 μg/ml로 코팅되었다. 정제된 Fab 또는 IgG 샘플을 500nM에서 시작하여 0.98nM까지 2배-연속 희석으로 적정되었고, 코팅된 항원에 결합되도록 했다. Fabs는 마우스 항-c-myc 항체와 양고추냉이 퍼옥시다제에 접합된 당나귀 항-마우스 IgG를 사용하여 검출되었다. IgG는 고추냉이 퍼옥시다제에 접합된 마우스 항-인간 IgG를 사용하여 검출되었다. 결합 신호는 3,3',5,5'-테트라메틸벤지딘 기질 용액(TMB)으로 시각화되었으며 흡광도는 450 nm에서 측정되었다.
인간 및 붉은털 원숭이 CD122에 대한 Fab 친화성의 BIACORE ® 분석
정제된 IgG의 친화도(KD)는 BIACORE® 3000(GE)에서 용액 내 항원을 사용한 SPR을 통해 결정되었다. 마우스 항-인간 항체 (CH1 특이적)를 두 채널에 대한 Wizard 지침에 따라 아민 커플링을 사용하여, pH 4.5의 아세테이트 완충액에 2000 RU 수준으로 CM5 센서 칩 상에 고정시켰다. 한 채널은 배경 신호 보정에 사용되었다. 표준 실행 완충액 HBS-EP pH 7.4가 사용되었다. 재생은 pH 1.5의 10mM 글리신 10μl를 20μl/분으로 단일 주입하여 수행되었다. IgG 샘플을 30μl/분의 속도로 50nM에서 2분 동안 주입한 후, 60초의 오프-레이트(off-rate)를 가졌다. 단량체 항원 (인간 CD122 His 테그된 또는 사이노몰구스 및/또는 붉은 털 원숭이 CD122 His 테그)을 100nM에서 3.1nM로 하향 2배 연속 희석하여, 30μl/분에서 2분 동안 주입한 후 300초의 오프-레이트를 가졌다. 획득된 센서그램은 BIACORE® 3000 평가(BIAevaluation)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KD는 결합 및 해리 단계를 1:1 Langmuir 결합 모델에 동시에 적용시켜 산출되었다.
IgGs의 유세포측정
CHO-K1 안정 세포주 및 CHO-K1 야생형 세포에서 발현된 인간 및 붉은털원숭이 CD122에 대한 결합에 대해 정제된 IgGs를 FACs에서 테스트했다. IgG 샘플은 500nM부터 0.98nM까지 3-배 연속 희석으로 적정되었다. FITC에 접합된 마우스 항-인간 IgG를 사용하여 IgGs의 결합을 탐지했다. 결과는 유세포 분석기의 BL-1 채널 검출기(AttuneTM NxT Acoustic Focusing Cytometer, Invitrogen/ ThermoFisher Scientific)에서 샘플당 10000개 세포의 평균 형광 강도(MFI)를 검사하여 분석되었다.
M07e 세포-기반 검증
M07e 세포는 DSMZ-German 미생물 및 세포 배양 컬렉션에서 얻었으며, 유통업체에서 제공한 지침에 따라 10% FBS, 10ng/mL GM-CSF(Peprotech) 및 L-글루타민(Corning)이 보충된 RPMI에서 유지되었다. 1일째에, 세포를 RPMI로 세척하였고, 10% FBS 및 L-글루타민(Corning)이 보충된 RPMI에 2.5×105개 세포/mL의 밀도로 재현탁시켰다. 최종 부피 200μL의 총 5.0×104개 세포를 96 웰 편평 바닥 플레이트의 웰에서 50ng/mL 재조합 인간 IL15(rhIL15)(R&D) 또는 rhIL15의 존재 하에 37℃에서 72시간 동안 항온처리했다. 72 시간 후, 세포를 20μL의 WST-1 세포 증식 시약(Miltenyi)과 함께 37℃에서 3시간 동안 항온처리했다. 세포 증식의 정량화는 스캐닝 다중 웰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450nM에서 측정된 흡광도는 생존 세포 수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인간 NK 세포-기반 검증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s)는 Ficoll Histopaque를 사용한 밀도 구배 원심분리를 사용하여 공여자의 전혈로부터 분리하였고,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Miltenyi Biotec(Bergisch Gladbach, Germany) 인간 NK 세포 분리 키트를 사용하여 분리된 PBMC로부터 NK 세포를 농축했다. NK 세포를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CellTrace™ CFSE 세포 증식 키트로 착색시켰고, 10% FBS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이 보충된 RPMI에 재현탁했다. 총 105개의 NK 세포를 96 웰 둥근 바닥 플레이트의 웰에서 20ng/mL 재조합 인간 IL15(rhIL15)(R&D) 또는 항체가 포함된 rhIL15의 존재 하에 37℃에서 120 시간 동안 항온처리했다. 120 시간 후, NK 세포를 세척하였고, 항-인간 CD3(UCHT1), CD56(5.1H11), CD16(3G8)(1:20 희석, Biolegend)으로 착색시켰고, CFSE 희석을 BD LSR II 유세포 분석기(BD Biosciences) 및 FlowJo(Tree Star Inc.)로 분석했다.
NSG-IL15 마우스 모델
인간 IL15(NSG-Tg)를 발현하는 NOD scid 감마 마우스에 인간 조혈 줄기 세포(HSCs)를 접목시켜 인간화된 마우스를 생성시켰다. 6~8주령의 NSG-Tg 마우스는 제대혈에서 추출한 105 CD34+ HSC를 주사하기 전, 200cGy의 방사선 조사를 받았다. HSC-접목이식된 NSG-Tg 마우스를 12주 및 16주에 스크리닝하여, 혈액 내 기본 생착을 결정했다. 2% 이상의 CD56+인 20% 이상의 인간 CD45+ 세포를 갖는 NSG-Tg 마우스를 항체 치료를 위해 선택했다. 마우스를 3주 동안 매주 두 차례 (월요일/목요일 일정) 복강내(i.p.) 주사로 치료했다. 인간 면역 세포 수준은 치료 시작 후 1주와 3주, 그리고 치료 후 1, 3, 5주에 유동 세포 계측법을 사용하여 혈액에서 정량화되었다. 처리 후 5주째에 마우스를 안락사시켰고, 비장 및 혈액의 인간 면역 세포 수준을 유세포 측정 분석법으로 측정했다. 모든 조직의 세포를 항-인간 CD45, CD3, CD4, CD8, CD7, CD56, CD16, Mik-b2 및 Mik-b3(1:20 희석, Biolegend)으로 착색시켰고, BD LSR II 유세포 분석기( BD Biosciences) 및 FlowJo(Tree Star Inc.)로 분석했다.
결과 및 논의
약리학적 모델링: 피부에서 질환 치료를 위한 IL15Rβ 길항제 항체의 타당성 평가
특이적 조직, 이를 테면, 피부에서 효능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된 항-CD122 IgG1 항체의 치료 성공을 이끌 수 있는 약리학적 매개변수와 특성을 정의하기 위해 가상환경(in silico) 모델링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CD122 표적 생물학에 대해 확립된 값(표 1)과 2가 IgG 항체에 대한 알려진 잠재적 약물 특성 및 투여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했다 (표 2).
그런 다음, 위에 설명된 매개변수를 분석하여 도 1에 설명된 대로 약물 효능 및 분포에 대한 영향을 샘플링했다. 이전에 인간화 항-CD122 IgG1 항체 'MIKβ1'을 투여한 T 세포 백혈병 환자로부터 보고된 PK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향식 추정 접근법이 확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평균 체질량의 인간 대상체에서 IV 및/또는 SC 투여 및 항체 CD122 결합 친화도와 관련된 일련의 발견이 이루어졌다:
1. 10nM KD의 명목상 약물 친화도에서, 피부에서 IL15Rβ의 지속적인 억제(>90%)는 700mg IV Q4W 또는 100mg SC Q1W를 사용하여 실현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표 3, 표 4).
2. 10nM KD보다 기능적 친화성이 높으면 IV 및 SC의 투여 요구를 줄일 수 있으며, 1nM에 가까운 KD 값은 최대 투여량에서 피부의 99% 표적 점유를 허용한다. 이 패턴은 IV 및 SC 투여 경로에서 질적으로 유사하다 (표 3, 표 4).
3. 10nM의 명목상 약물 결합 친화도에서, 100mg SC Q1W는 피부에서 90% 수용체 점유를 유지하는 데 충분하지만, 그러나 100mg SC Q1W는 >95% 수용체 점유를 유지하는 데 충분하지 않다. 100mg SC Q1W 투여 일정에서 >95% 수용체 점유를 달성하려면 더 높은 친화성이 필요할 수 있다 (표 4).
4. 전신 표적 흡수원을 제거하면, 피부에서 높은(>90%) 표적 점유율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용량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친다. 전신 CD122가 알려진 수준으로 존재하는 경우와 CD122가 없는 경우의 IV Q4W 투여 시뮬레이션은 피부 및 약물 분포 효과에서 최적의 활성을 갖기 위해 총 용량이 전신 표적 부담을 극복해야 함을 시사한다 (표 5).
개요에서, 이러한 분석은 최적의 항-CD122 길항 치료 항체가 > 10nM의 CD122에 대한 기능적 친화도를 갖고, 700mg IV Q4W 또는 100mg SC Q1W에서의 투여를 허용할 것임을 시사했다. 친화력이 증가하면 더 낮은 용량에서 더 큰 표적 범위를 허용할 수 있다.
항체 결합 특이성 분석
초기 임상시험에서, 인간화된 항-CD122 IgG1 항체 'MIKβ1'이 제거율이 가속화되는 증거가 보고되었다. 표적-매개된 약물 분포(TMDD) 효과가 역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가속화된 제거는 위에 설명된 이상적인 약물 특성을 달성할 수 없는 위험 요소다. 우리는 MIKβ1이 CD122에만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확인되지 않고 예측할 수 없는 인간 단백질에도 결합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러한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5500개의 독특한 인간 막 수용체 및 막-에 연결된 분비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의 고-밀도 어레이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한 시험관 내 기술(Retrogenix, Ltd.)을 사용하여 인간화 IgG1-MIKβ1(VillMab-1)에서 표적-외 결합 특이성을 스크리닝했다. 이 수용체 어레이 결합 스크린은 VillMab-1이 막-발현된 CD122에 강한 결합을 나타내었고, BCAM(AU, CD239, LU, MSK19로도 알려짐, 기저 세포 접착 분자(Lutheran blood group)에 대한 잠재적인 오프-타겟 결합 특이성도 가짐을 확인했다. BCAM은 항-CD122 항체의 치료요법적 용량에서 PK를 감소시키고, '싱크(sink)' 효과를 악화시킬 수 있는 광범위하게-발현되는 막 흡착 단백질이다.
이러한 표적외 결합 사건을 확인하기 위해 BCAM 및 대조군 단백질을 코딩하는 플라스미드를 DNA 서열분석에 제출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인코딩된 단백질이 실제로 올바른 서열임을 확인했다. 그런 다음, 대조군 및 잠재적 표적 수용체에 대한 플라스미드 샘플을 이중 반복 분석을 위해 새로운 칩에 다시-배열했다. 모든 재배열된 플라스미드로부터의 효과적인 발현 유도는 내부 대조군 마커로서 모든 발현 플라스미드에 공동-인코딩된 ZS 녹색에 대한 칩을 스캐닝함으로써 확인되었다. 이 분석은 플라스미드가 발견된 모든 위치에서 검출가능한 ZS 발현을 명확하게 보여주었다(도 2A). 추가로, 동일하게-얼룩진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VillMab-1 (도 2B), 리툭시맙 (IgG1 양성 대조군, 도 2C), 및 1차 항체 프로브가 적용되지 않은 칩(도 2D)으로 형질감염된 세포를 다시-프로빙했다. 이러한 분석은 VillMab-1이 BCAM으로 형질감염된 세포에 대한 배경(두 칩 모두에서)에 걸쳐 측정 가능한 결합을 다시 입증했음을 보여주었다(도 2B). 리툭시맙은 예상된 바와 같이, CD20에 대한 결합을 입증했으며, 다른 단백질에 대한 관찰 가능한 결합은 없었다(도 2C). 1차 항체 없이 프로빙된 칩(도 2D)에서는 예상된 대조군 단백질만이 임의의 신호를 나타냈다. 대조군 칩의 이러한 명확한 성능은 CD122 및 BCAM의 VillMab-1 결합 신호가 특이적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러한 표적-외 결합 결과를 추가로 확인하기 위해, 서열-검증된 플라스미드를 HEK-293 세포에 다시 형질감염시키고, 유세포측정 분석을 통해 결합을 조사했다 (도 3). 이 실험에서, VillMab-1은 CD122 및 BCAM-형질감염 세포 모두에 대한 명확한 결합을 나타냈지만, ZS로 형질감염된 세포 ("오로지 ZS", 도 3A)에 대한 배경 결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일차 항체는 없지만 동일한 세포를 이용한 대조군 실험 (도 3B)에서 BCAM 신호가 항체와 관련되어 있고, 리툭시맙 IgG1 항-CD20으로 착색한 경우(도 3C) CD20-형질감염 세포에서만 결합 신호가 나타났으며, 이는 BCAM의 신호가 VillMab-1의 결합 도메인에 의해 특이적으로 매개된다는 것을 증명한다.
표적-외 결합은 IgGs의 PK, 생체분포 및 독성 프로파일에 잠재적인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치료용 항체는 이상적으로는 원하는 표적에 대해 뛰어난 특이성을 가져야 한다. VillMab-1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VillMab-1 바인딩 인터페이스의 탐색적 변조가 아래와 같이 수행되었습니다.
VillMab-1 돌연변이유발 및 파라토프 조절
최적의 약물 유사 특성을 지닌 최종 선두 치료용 IgG 화합물에 대한 엔지니어링 노력을 편향시키기 위해, 우리는 VillMab-1 항체의 돌연변이유발 변종을 검사하기로 결정했다. VillMab-1의 v 도메인의 서열 분석에서 원래의 인간화 과정이 인간 생식계열 프레임워크 IGHV3-23 및 IGKV1-33 (이들은 용해도와 약물개발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발현되는 인간항체 레퍼토리에서 높은 빈도로 사용되는 물질임)과 관련된 스캐폴드를 사용했음을 보여주었다 (표 6). 이러한 잘 알려진 스캐폴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가변 도메인의 프레임워크 둘 다 생식계열 서열과 상당한 수의 편차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CDR 서열에는 인간 생식계열과 다른 많은 잔기들이 함유되어 있다 (표 6).
VillMab-1의 v-도메인 서열은 Fab 파지 디스플레이 형식으로 결합되었고, 올리고 합성 및 어셈블리에 의해 VH 도메인 및 VL 도메인에 대해 별도의 돌연변이유발 라이브러리 카세트가 생성되었다. 각 돌연변이 유발 카세트는 VillMab-1 잔기, 인간 생식계열 잔기, 또는 표 6에 밑줄 친 모든 위치의 상동성 아미노산을 인코드하였다. VL에 대한 돌연변이 카세트를 VillMab-1 VH와 결합하거나, 또는 VillMab-1 VL과 VH에 대한 돌연변이유발 카세트를 결합하여 별도의 Fab 라이브러리를 생성했다. 각각의 최종 Fab 라이브러리를 파아지 디스플레이 벡터에 결찰시켰고, 전기천공을 통해 대장균으로 형질전환시켜, > 107개의 독립적인 클론을 생성시켰다. 라이브러리 구축 품질은 라이브러리당 96개의 클론을 시퀀싱하여 검증되었다. 이러한 시퀀싱 데이터는 돌연변이된 위치가 설계된 다양성을 효과적으로 샘플링했음을 보여주었다. 헬퍼 파아지 M13을 사용하여 라이브러리를 구출하였고, 바이오티닐화된 인간 및 시노몰구스 및/또는 붉은 털 원숭이 CD122-Fc 단백질에 대해 다중 개별 가지에서 선택을 수행했다. 1차 선별 라운드 후, 사전-선택된 돌연변이 VH 및 VL 조합을 사용하여, 두 V 도메인 모두에서 선택된 가변성을 동시에 샘플링하는 세 번째 조합 라이브러리를 생성했다.
선별-후 주변세포질 준비 스크리닝 및 DNA 서열분석을 통해 ELISA에서 인간 및 붉은털원숭이 CD122에 대한 강력한 결합을 나타내고, 그리고 Alphascreen 분석에서 인간 및 붉은털원숭이 CD122에 대한 VillMab-1 결합의 >50% 억제를 나타내는 64개의 고유한 인간 및 붉은털원숭이 CD122 결합 Fab 클론의 존재가 밝혀졌다. 이러한 고유한 라이브러리-유래된 리드에서, 분석 신호의 강도, 인간 생식계열에 대한 돌연변이 수준 및 주요 발달성 골칫거리/화학적 분해 모티프의 부재를 기반으로 15개의 상위 클론이 식별되었다 (표 7). 이 분석은 또한 각 CDR에서 일련의 고유한 서열을 식별했다 (표 8). 이들 독특한 CDR 서열 프로파일은 15개의 추가 클론(MAB01-MAB15)을 설계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는 (표 9)에서 개요가 설명된 바와 같이, 상위 15개 라이브러리 유래 클론 중에서 발견되지 않은 잠재적인 CDR 조합을 포함한다. 총 30개의 고유한 클론은 CHO 일시적 배양에서 인간 IgG1 형식으로 발현되었으며, 단백질 A를 통해 정제되었으며,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로 >95%의 단량체성을 확인했다.
리드(Lead) IgG 특이성 및 역가 특징
이어서, 위에서 설명한 정제된 IgG를 Alphascreen 형식으로 인간 CD122-Fc의 VillMAb-1 결합 에피토프에 대한 경쟁에 대해 테스트했다. 이 분석에서는 30개의 클론 중 24개가 VillMab-1과 CD122의 결합을 농도 의존적 방식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는 이들이 모(parental) 항체의 기능적 에피토프를 유지했음을 입증했다 (도 4). 그런 다음, 이들 24개 클론을 다반응성 분석으로 검사하여, 초기 엔지니어링의 최종 리드 클론이 짧은 PK와 강하게 연합된 DNA 또는 인슐린 결합 프로필을 갖지 않았는지 확인했다 (도 5). 이 분석에 따르면, 24개 클론 모두 양성 대조군인 보코치주맙(Bococizumab)보다 현저히 낮은 신호를 나타냈지만, 하위 집합에서는 음성 대조군 항체인 베바치주맙(Bevacizumab), 우스테키누맙(Ustekinumab) 및 펨프로리주맙(Pembrolizumab)과 동등하거나 그보다 향상된 특히 낮은 신호를 생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5). 이러한 결과를 통해 추가 분석을 위해 6가지 주요 리드의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었다.
6개의 우선순위가 지정된 라이브러리-유래된 리드 클론은 유세포측정 분석을 통해 세포 표면에서 인간 및 붉은털 원숭이 CD122에 대한 농도 의존적 결합에 대해 분석되었다 (도 6). 각 클론 06F11 (도 6A), 07C07 (도 6B), 07D06 (도 6C), 07E09 (도 6D), 07D07 (도 6E) 및 06D12 (도 6F)은 VillMab-1에서 관찰된 것과 매우 유사한 결합 곡선을 갖는 CD122 특이적 결합 프로파일을 나타냈고, 한편 아이소형 대조군 IgG1은 임의의 세포 유형에 대해 결합을 나타내지 않았다 (도 6G).
CD122-IL-15 차단 분석에서 리드 IgG 분석
M07e 세포-기반 CD122/IL-15 차단 보고자 검증에서, 클론 06F11 (도 7A), 07C07 (도 7B), 07D06 (도 7C), 07E09 (도 7D), 07D07 (도 7E) 및 06D12 (도 7F)는 CD122의 농도-의존성 길항성을 나타내었다. VillMAB-1에 대한 IC50은 9.792μg/mL이었다. 6F11 및 7C07의 IC50은 각각 14.8μg/mL 및 20.8μg/mL였으며, 리드 클론 중 가장 낮았다. 06D12, 07D06, 07D07 및 07E09에 대한 IC50은 차례로 38.610μg/mL, 27.820μg/mL, 34.170μg/mL 및 23.610μg/mL이었다. 이 분석에서는 06F11과 07C07이 추가 평가를 위한 이상적인 후보로 강조되었다.
1:1 결합 친화성을 위한 CD122 결합 BIACORE ® 의 리드 Fab 분석
FW1(06F11-V)의 돌연변이를 수정한 06F11 변종과 더불어 클론 06F11 및 07C07에 대한 진정한 1:1 친화도 값을 특성화하기 위해, 이들 및 양성 대조군 Villmab-1 클론은 인간 Fab 형식(이를 테면, 1가(monovalent) 이고, 힌지 및 Fc 영역 둘 다 결여됨)으로 클론, 발현 및 정제되었다. 완전히-정제된 Fab 단백질을 인간 CD122(표 10) 및 붉은털 원숭이 CD122 둘 다에 대한 결합에 대해 검사했다 (표 11). 이들 분석에서 클론 FAB06F11-V, FAB06F11 및 FAB07C07이 인간 및 붉은털원숭이 CD122 둘 다에 대해 전체적으로 감소된 전체 KD 값을 나타냈지만, 그러나 중요한 것은 VillFab-1과 비교하여 증가된 온(ka) 및 오프(kd) 비율 모두를 나타내었음을 보여주었다.
hIL-15 NSG 마우스 모델에서 리드 IgG 분석
인간화된 hIL-15 NSG 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여 생체내 인간 NK 및 CD8 T의 CD122/IL15 신호 전달 지원 생착을 억제하는 VillMAB-1, 7C07 및 6F11-v(모두 IgG1-3M 작동체 무효 형식)의 능력을 비교했다. 세포의 완전한 생착을 확립한 후, 마우스를 비히클, 저-용량(1mg/kg) 또는 고-용량(10mg/kg) 항체로 처리했다.
항체 치료 전, 혈액 내 인간 CD8+ T 세포(도 8A) 및 NK(도 8B) 세포의 수를 마우스 그룹 간에 필적했다. 1주간의 치료 후, 10mg/kg VillMAB-1로 치료된 마우스만이 아이소형으로 치료된 마우스에 비해 CD8+ T 세포 수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냈다(도 8C). 아이소형으로 처리된 마우스와 비교했을 때, 모든 항체 처리 그룹에서 CD8+ T 세포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혈액 내 NK 세포의 수는 모든 그룹에 걸쳐 유사했다(도 8D).
치료 3주 후, 이소형 치료 마우스와 비교하여 모든 항체 치료 그룹의 혈액에서 CD8+ T 세포의 수가 감소했다(도 8E).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NK 세포의 수는 항체-처리된 마우스의 모든 그룹에서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감소는 1mg/kg 07C07로 처리된 마우스를 제외한 모든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도 8F). 고용량 및 저용량 VillMAB-1 처리는 두 용량 모두에서 06F11-V 또는 07C07 처리보다 NK 세포 수를 더 많이 감소시켰다.
중요하게도, 이러한 발견은 ADCC 또는 ADCP 작동체 기능이 없는 경우, 클론 Villmab-1, 06F11-V 또는 07C07에 의한 CD122-IL15 신호 전달의 만성적 차단이 NK 및 CD8+ T 세포 모두의 고갈을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클론 06F11-V 및 07C07에 대한 항체 결합 특이성 분석
클론 06F11-V 및 07C07은 v-도메인의 프레임워크 영역 및 CDR 모두에서 높은 수준의 인간화와 함께 시험관 내 및 생체 내에서 CD122의 효과적인 차단을 나타내는 것으로 위에서 나타났기 때문에, 이는 Retrogenix 단백체 플랫폼에서 특이성 분석을 위해 재-스크리닝하는 데 사용되었다. 예기치 않게, 이 분석은 Villmab-1에 대해 관찰된 BCAM 결합이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06F11-V 및 07C07 IgGs에 대해서는 관찰되지 않았음을 입증했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Villmab-1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던 두 가지 새로운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도 9). CD122 결합 외에도, 표적 및 대조군의 발현을 유도하는 플라스미드로 형질감염된 세포에 대한 결합에 대한 유세포측정 분석에서, 클론 06F11-V는 뉴데신(뉴로트로핀) 및 CILP2(연골 구조 단백질) 모두에 결합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한편으로 07C07은 오로지 CILP2에만 결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도 9A, 도 9B). 대조적으로, "오로지 이차 항체" (도 9C) 및 리툭시맙 일차 항체 (도 9D) 대조군 실험에서 각각 배경에 대한 결합이 없거나, 또는 CD20 형질감염된 세포에만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발견은 06F11-V 및 07C07 IgG에 대해 관찰된 표적외 결합이 진짜이고, 특이적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클론 06F11-V의 최적화
유리한 속성을 최대화하고, 표적-외 결합을 최소화하기 위한 추가 최적화를 위해 클론 06F11-V를 선택했다. 이러한 최적화는 06F-11V의 중쇄 및 경쇄 서열 모두의 CDRs1, 및/또는 2, 및/또는 3의 뮤린 서열에 대한 돌연변이 조합의 실험적 분석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각각 3개의 VL 서열 중 하나와 결합된 6개의 VH 서열 중 하나를 나르는 18개의 새로운 클론이 생성되었다 (표 12). 이들 18개의 신규 변이체인 Villmab-1 및 06F11V를 인간 1가 Fab 단편 형식으로 클로닝하였고, CHO 세포에서 발현시켰고, 단백질 A 컬럼에 이어 단량체 상태로 정제한 다음, SEC를 수행했다.
그 다음, 정제된 Fabs의 인간 및 붉은털 원숭이 CD122에 대한 결합 친화성은 BIACORE®에 의해 검사하였다(표 13). 이 분석에서 일련의 클론이 06F11-V 및 심지어 VillMab-1에 비해 CD122에 대해 향상된 친화성을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이 코호트로부터, 클론 MAB05, MAB06, MAB14, MAB15, MAB17 및 MAB18을 추가 분석을 위해 우선순위화하였고, 역가 및 특이성 분석을 위해 인간 IgG1-3M 형식으로 추가로 발현 및 정제했다. 모든 우선순위화된 클론의 Fab 버전이 인간 뉴데신 및 CILP2 단백질에 대한 BIACORE® 결합에서 테스트되었을 때 (도 10A, 도 10B), 클론 06F11-V만이 두 단백질에 대해 측정가능한 결합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신규한 리드 클론이 이러한 두 가지 표적-외 결합 위험을 제거했음을 나타낸다. 인간 BCAM 단백질의 모든 클론에 대한 IgG의 ELISA 분석에서, 모든 클론은 MAB05 및 MAB06 이외의 표적-외 결합을 유지했으며, 이는 CD122에 대해 완전한 특이성을 나타냈다 (도 10C, 표 14).
이렇게 밀접하게 관련된 항체 서열이 특이성 프로필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갖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조사하기 위해, 우리는 VillMab-1에 대한 VH 및 VL 도메인과 클론 05, 06, 14, 15, 17 및 18의 서열 정렬을 수행했다 (도 11A, 11B). 놀랍게도, (완전히 CD122-특이적) 클론 MAB05 및 MAB06에 고유한 VillMab-1 서열과 다른 유일한 변화는 VH 도메인의 CDR1에서 발견된 3개의 (매우 상동성인) 돌연변이였다. 이 발견은 항체 결합의 난잡함의 예측할 수 없는 특성을 보여준다.
클론 MAB05, MAB06, MAB14, MAB15, MAB17 및 MAB18의 생물학적 효능 확인은 IL-15 자극 M07e 분석에서 확인되었다 (표 14). 이 분석은 클론 MAB05 및 MAB06의 친화도가 VillMab-1에 비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IL-15 신호 전달을 차단하는 효능도 대략적으로 2-배 향상되었음을 입증했다 (표 14). 클론 MAB05 및 MAB06의 최종 기능적으로 관련된 효능은 IL-15 자극 하에서 인간 1차 NK 세포의 증식을 측정하는 분석에서 확인되었다 (도 12A, 도 12B). 이 분석은 M07e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여 MAB05 및 MAB06이 VillMab-1에 비해 실제로 개선되었음을 입증했다.
인간 및 뮤린 Fc 수용체에 결합에 있어서 IgG1-3M BIACORE ® 분석
클론 06F11-V IgG1-3M 및 양성 대조군 IgG의 친화성을 특성화하기 위해, 정제된 온전체 단백질을 인간 및 쥐의 FcγR 및 FcRn에 대한 결합에 대해 검사했다 (표 17). 이들 분석은 모든 양성 대조군이 인간 및 쥐 수용체 둘 다와의 예상되는 강한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반면, 클론 06F11-V IgG1-3M은 pH 7.4에서 인간 또는 쥐 FcγR 및 FcRn에 대해 매우 낮거나 측정 가능한 친화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06F11-V IgG1-3M이 pH 6.0에서 인간 및 쥐 FcRn에 대해 완전한 친화성을 유지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발견은 NSG/IL-15 마우스 모델에서 위의 생체 내 관찰을 확인했고, IgG 효과기 기능이 없는 경우 CD122 신호 전달을 차단하면 CD122+ 세포를 고갈시키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실시예 2. 인간 피부 T 세포 크롤링 아웃 분석에서 항-CD122 치료 항체 기능
인간 피부 생검 배양 검정을 사용하여 피부-상주 T 세포에서 CD122/IL-15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MAB05 및 MAB06의 능력을 평가했다.
4mm Integra 일회용 생검 펀치(Integra)를 사용하여 수술 표본 (지방절제술)에서 인간 피부 생검(직경 4mm x 두께 2mm)을 채취했다. 피부 생검을 PBS에 희석한 항생제-항진균제(Gibco)에서 30분 동안 4℃에서 항온처리한 후, PBS로 3x 헹구었다. 3개의 피부 생검을 24-웰 플레이트 (Corning)의 1개 웰에 넣고, 잠시 건조시킨 후 웰 표면에 대한 생검의 흡착을 촉진했다. 그런 다음 생검을 20% 열 불활성화 소 태아 혈청,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 (Corning) 및 3.5μL/L β-머캅토에탄올 (Sigma)을 포함하는 Iscove 변형 배지(Sigma) 2mL에서 배양하였고, 37℃에서 21일 동안 항온처리했다. 각 웰에서 1mL의 배지를 흡인하였고, 1mL의 새로운 배지를 다시 추가하여 배양물에 주당 3회 공급했다. IL-15 또는 항-CD122 항체로 처리된 배양물의 경우, 20ng/mL의 재조합 인간 IL15(rhIL15)(R&D) 및 항-CD122 항체(MAB05 또는 MAB06)를 배양 시작부터 21T-세포 수집때까지 추가했다. 21일 후, 배양 배지를 웰로부터 수거하였고, 5mL 폴리스티렌 밑-둥근 튜브에서 330xg로 10분 동안 회전시켰다. 상층액을 흡인하였고, 남은 T 세포를 세척하였고, 항-인간 CD3, CD4 및 CD8 (1:20 희석, Biolegend)로 착색시킨 후, BD LSR II 유세포 분석기(BD Biosciences) 및 FlowJo (Tree Star Inc.)로 정량화했다.
이 분석에서, MAB05 및 MAB06은 피부 생검에서 이동하는 CD8+ T 세포의 IL15-유발된 축적을 억제시킨다. 생검을 IL-15 없이 배양할 때보다 생검을 IL-15와 함께 배양할 때 더 많은 CD8+ T 세포가 축적된다; 11,101 ± 6011 vs. 438.3 ± 66.05 (평균 ± SD) (도 13A). 생검을 IL-15 및 MAB05와 함께 배양하는 경우, 축적되는 CD8+ T 세포의 수는 IL-15 단독으로 배양하는 경우에 비해 감소한다; 2096 ± 1100 vs. 11,101 ± 6011 (평균 ± SD) (도 13A). 유사하게, 생검을 IL-15 및 MAB06과 함께 배양하면 IL-15 단독 배양에 비해 더 적은 CD8+ T 세포가 축적된다; 2436 ± 501.6 vs. 11,101 ± 6011 (평균 ± SD) (도 13A).
MAB05 및 MAB06은 피부 생검에서 이동하는 CD4+ T 세포의 IL15-유발된 축적을 억제시킨다. 생검을 IL-15 없이 배양할 때보다 생검을 IL-15와 함께 배양할 때 더 많은 CD4+ T 세포가 축적된다; 40,523 ± 15,391 vs. 1261 ± 473.6 (평균 ± SD) (도 13B). 생검을 IL-15 및 MAB05와 함께 배양하는 경우, 축적되는 CD4+ T 세포의 수는 IL-15 단독으로 배양하는 경우에 비해 감소한다; 3471 ± 1627 vs. 40,523 ± 15,391 (평균 ± SD) (도 13B). 유사하게, 생검을 IL-15 및 MAB06과 함께 배양하면 IL-15 단독 배양에 비해 더 적은 CD4+ T 세포가 축적된다; 4308 ± 2111 vs. 40,523 ± 15,391 (평균 ± SD) (도 13B).
피부 생검 배양 분석에서, MAB05는 1.9μg/mL의 IC50으로 IL-15-유발된 피부-상주 CD8+ T 세포 축적의 농도 의존적 길항작용을 나타냈다 (도 14A). MAB06은 1.8 μg/mL의 IC50으로 필적할만한 CD8+ T 세포 축적의 농도-의존성 길항성을 나타냈다 (도 14A). 또한, MAB05 및 MAB06은 각각 2.1μg/mL 및 1.8μg/mL의 IC50으로 IL-15-유도된 CD4+ T 세포 축적의 농도-의존적 필적할만한 길항작용을 나타냈다 (도 14B).
실시예 3. 사이노몰구스 원숭이에서 항-CD122 치료요법적 항체의 약동학/약력학(PK/PD) 연구
사이노몰구스 원숭이에게 1~20mg/kg 범위의 용량 수준으로 항-CD122 항체 (MAB05 또는 MAB06)을 단일 정맥 주입으로 투여했다. 혈액 샘플을 투여-전, 그리고 투여-후 1시간부터 투여-후 16일차까지의 다양한 시점에서 수집했다. ELISA 방법에 의한 항-CD122 항체 혈장 농도의 정량화 후, 약동학적 매개변수를 결정하였다. 또한 혈액 샘플을 분석하여 NK 세포의 CD122 수용체 점유, 그리고 전체 T 세포, 헬퍼 T 세포, 세포 독성 T 세포 및 NK 세포의 정량화를 유세포측정 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1 mg/kg 내지 20 mg/kg 범위의 용량 수준으로 단일 정맥내 투여한 후, MAB05 및 MAB06은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임상적 이상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선형 약동학을 나타냈다. 1 mg/kg의 MAB05 및 MAB06의 단일 용량은 샘플링 기간(투여-후 16일) 동안 NK 세포에서 >90% CD122 수용체 점유 유지에 충분했다. 1 mg/kg, 5 mg/kg 또는 20 mg/kg의 MAB05 및 MAB06 단일 용량 투여는 순환 NK 세포 수의 감소를 유도했다. 순환하는 NK 세포는 투여-후 약 7일에 최저점에 도달했고, 남은 샘플링 기간(투여-후 16일) 동안 1 mg/kg 또는 5 mg/kg 투여에 이어 꾸준한 회복을 보였다. 순환하는 NK 세포 수의 조절은 기능적 활성의 지표로 여겨지며, 항-CD122 항체가 생체 내에서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하는 데 중요하고 (Waldmann et al. (2020) J Exp Med 217:e20191062 참고), 따라서 환자의 최적 투여량을 정의하는 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헬퍼 T 세포 또는 세포독성 T 세포에 대해서는 아무런 효과도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4. 항-CD122 치료요법적 항체의 사전-제형화 개발 및 안정성 연구
안정성 연구 패널을 사용하여 제조 개발 가능성에 대해 항-CD122 항체를 평가했다. 항-CD122 항체의 10개 제형을 완충제와 부형제의 조합으로부터 5mg/mL 농도에서 안정성과 응집 가능성을 평가했다. 낮은 pH 스트레스, 열 스트레스, 동결-해동 조건 및 강제 산화 조건 하에서 항체를 평가했다. >100 mg/mL 농도에서 항체의 자기 결합 및 점도를 또한 평가했다.
MAB05 및 MAB06은 25mM L-히스티딘, 9% (w/v) 수크로스, 0.02%(w/v) 폴리소르베이트 80, pH 6.0의 조성물 완충액에서 높은 열 안정성, 낮은 pH(pH 3.0)에 대한 높은 내성, 낮은 응집 전위, 낮은 산화 및 탈아미드화 민감도, 우수한 동결/해동 안정성을 나타냈다. MAB05 및 MAB06은 90 내지 120mg/mL 범위의 농도로 동일한 완충 용액에 용해되었다. 115 mg/mL 농도에서 MAB05 및 MAB06의 점도는 낮았고 (약 4-6 센티푸아즈), 이는 항-CD122 항체의 피하 전달을 위한 임상 제제를 달성하기 위한 타당성을 나타낸다.
표 1. 항-CD122 IgG의 약리학적 모델링을 위한 표적 생물학 입력 매개변수
표 2. 항-CD122 IgG의 약리학적 모델링을 위한 약물 입력 매개변수
표 3. IV Q4W 투약: 투약 요건에 대한 CD122에 대한 약물 친화도의 효과 (다양한 약물 친화도에서 억제 기준을 충족하는 데 필요한 최소 용량)
표 4. SC Q1W 투여: 10nM KD의 SC 투여 요구 사항
(100mg이 최대 실행 가능한 SC 용량이라고 가정할 때 피부에서 RO를 달성하기 위한 예상 용량)
표 5. IV Q4W: 전신 부담 없이 RO를 목표로 하는 용량 (10nM IgG KD)
표 6. 인간화된 항-CD122 가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
표 7. 상위 15개 고유 라이브러리-유래된 CD122 길항성 IgG의 가변 영역 서열가변 영역 서열
표 8. 라이브러리-유래된, CD122-결합 항체에서 발견된 독특한 CDR 서열.
표 9. MAB01-MAB15 IgG1s을 생성하기 위해 쌍으로 조합하여 사용되는 디자이너 가변 도메인 서열
표 10. 인간 CD122에 대한 Fab 결합에 대한 BIACORE ® 친화성 값
표 11. 붉은털 원숭이 CD122에 대한 Fab 결합에 대한 BIACORE ® 친화성 값
표 15. 항체 Fc 영역 아미노산 서열의 실시예
표 16. 막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의 실시예
표 17. Fc 수용체 상호작용의 BIACORE ® 분석
표 18. 항체 MAB05의 아미노산 서열
표 19. 항체 MAB06의 아미노산 서열
표 20. 뮤린/인간화된 항체 MIKβ1의 아미노산 서열

Claims (31)

  1.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고;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8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3을 포함하는 HCDR1, 서열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7을 포함하는 HCDR3; 그리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1을 포함하는 LCDR1, 서열 식별 번호: 13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 식별 번호: 15를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한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때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7을 포함하고; 또는
    (b)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1을 포함하고,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식별 번호: 9를 포함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인간화된 또는 키메라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4. 청구항 1-3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VH 영역, VL 영역, 또는 VH 영역과 VL 영역 모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간 프레임워크 영역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5. 청구항 1-4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VH 영역, VL 영역, 또는 VH 영역과 VL 영역 모두는 CDR 아미노산 서열이 삽입된 인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스캐폴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6. 청구항 1 및 3-5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VH 영역은 HCDR1, HCDR2 및 HCDR3 아미노산 서열이 삽입된 IGHV3-23 인간 생식계열 스캐폴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7. 청구항 1 및 3-6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VL 영역은 LCDR1, LCDR2 및 LCDR3 아미노산 서열이 삽입된 IGKV1-33 인간 생식계열 스캐폴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8. 청구항 1-7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는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이때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IgG, IgE, IgM, IgD, IgA 또는 IgY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이때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IgG1, IgG2, IgG3, IgG4, IgA1 또는 IgA2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이때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면역학적으로 비활성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이때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야생형 인간 IgG4 불변 영역, 아미노산 치환 S228P을 포함하는 인간 IgG4 불변 영역, 야생형 인간 IgG1 불변 영역, 아미노산 치환 L234A, L235A 및 G237A을 포함하는 인간 IgG1 불변 영역 또는 야생형 인간 IgG2 불변 영역이며, 이때 번호매김은 Kabat에서와 같이 EU 색인에 따른,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이때 상기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서열 식별 번호: 32-38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14. 청구항 1-13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은 Fab, Fab', F(ab')2, Fv, scFv, 맥시바디, 미니바디, 디아바디, 트리아바디, 테트라바디, 또는 비스-scFv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15. 청구항 1-14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는 단일클론성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16. 청구항 1-15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는 사량체 항체, 사가 항체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17. 청구항 1-16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는 제1 항원 및 제2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중특이적 항체이며, 이때 상기 제1 항원은 CD122이며, 상기 제2 항원은 CD122는 아닌,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18. 치료요법적 작용제에 연계된, 청구항 1-17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면역접합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이때 상기 치료요법적 작용제는 세포독소, 방사성동위원소, 화학치료요법적 작용제, 면역조절 작용제, 세포증식억제성 효소, 세포용해성 효소, 치료요법적 핵산, 항-맥관형성 작용제, 항-증식성 작용제, 또는 프로-아팝토시스 작용제인, 면역접합체.
  20. 청구항 1-17 중 임의의 한 항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청구항 18 또는 19의 면역접합체, 그리고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1. 청구항 1-17 중 임의의 한 항의
    (a) VH 영역 아미노산 서열;
    (b)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 또는
    (c) VH 영역 및 VL 영역 아미노산 서열
    모두를 인코드하는 핵산 분자.
  22. 청구항 21의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23. 청구항 21의 핵산 분자 또는 청구항 22의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
  24. 항-CD122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생산하는,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
    핵산 분자가 발현되는 조건 하에서 청구항 22의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배양하고, 이로 인하여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부분을 생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숙주 세포 또는 배양물로부터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을 단리시키는 단계.
  25.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청구항 1-17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청구항 18 또는 19의 면역접합체 또는 청구항 20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이때 상기 면역 반응은 CD122에 의해 매개된, 방법.
  27. 대상체에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청구항 1-17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 또는 항원-결합 부분, 청구항 18 또는 19의 면역접합체 또는 청구항 20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이때 상기 질환은 염증성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인, 방법.
  29. 청구항 27에 있어서, 이때 상기 질환은 백반증, 복강 질환, 유형 1 당뇨병, 다발성경화증, 이식편대숙주병, 전신홍반루푸스, 건선, 아토피피부염, 원형탈모증, 궤양성대장염, 또는 류머티스성 관절염인, 방법.
  30. 피부로부터 T 세포의 IL-15 유도된 이동을 억제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은 상기 피부에 청구항 1-17 중 임의의 한 항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청구항 18 또는 19의 면역접합체 또는 청구항 20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1. 의약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청구항 1-17 중 임의의 한 항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 청구항 18 또는 19의 면역접합체 또는 청구항 20의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37034415A 2021-04-14 2022-04-13 항-cd122 항체 및 이의 용도 KR202301706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74772P 2021-04-14 2021-04-14
US63/174,772 2021-04-14
US202163279762P 2021-11-16 2021-11-16
US63/279,762 2021-11-16
PCT/US2022/024620 WO2022221409A1 (en) 2021-04-14 2022-04-13 Anti-cd122 antibodies and use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672A true KR20230170672A (ko) 2023-12-19

Family

ID=8157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415A KR20230170672A (ko) 2021-04-14 2022-04-13 항-cd122 항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20230357420A1 (ko)
EP (1) EP4323402A1 (ko)
JP (1) JP2024513921A (ko)
KR (1) KR20230170672A (ko)
AU (1) AU2022256455A1 (ko)
BR (1) BR112023021297A2 (ko)
CA (1) CA3215058A1 (ko)
CL (1) CL2023003048A1 (ko)
CO (1) CO2023015254A2 (ko)
CR (1) CR20230523A (ko)
DO (1) DOP2023000211A (ko)
EC (1) ECSP23085780A (ko)
IL (1) IL307267A (ko)
PE (1) PE20240086A1 (ko)
WO (1) WO20222214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0195A1 (en) 2022-08-17 2024-02-22 Capstan Therapeutics, Inc. Conditioning for in vivo immune cell engineer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308235D0 (en) 1983-03-25 1983-05-05 Celltech Ltd Polypeptides
US4816567A (en) 1983-04-08 1989-03-28 Genentech, Inc. Recombinant immunoglobin preparations
US5225539A (en) 1986-03-27 1993-07-06 Medical Research Council Recombinant altered antibodies and methods of making altered antibodies
US4975369A (en) 1988-04-21 1990-12-04 Eli Lilly And Company Recombinant and chimeric KS1/4 antibodies directed against a human adenocarcinoma antigen
AU634186B2 (en) 1988-11-11 1993-02-18 Medical Research Council Single domain ligands, receptors comprising said ligands,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of said ligands and receptors
IL162181A (en) 1988-12-28 2006-04-10 Pdl Biopharma Inc A method of producing humanized immunoglubulin, and polynucleotides encoding the same
US5530101A (en) 1988-12-28 1996-06-25 Protein Design Labs, Inc. Humanized immunoglobulins
CN102939305B (zh) * 2010-04-08 2016-08-17 Jn生物科学有限责任公司 对cd122的抗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R20230523A (es) 2024-01-23
CL2023003048A1 (es) 2024-04-12
CO2023015254A2 (es) 2023-11-20
US20230357420A1 (en) 2023-11-09
PE20240086A1 (es) 2024-01-16
JP2024513921A (ja) 2024-03-27
DOP2023000211A (es) 2024-01-15
US20230322944A1 (en) 2023-10-12
IL307267A (en) 2023-11-01
AU2022256455A1 (en) 2023-10-12
WO2022221409A1 (en) 2022-10-20
BR112023021297A2 (pt) 2023-12-12
EP4323402A1 (en) 2024-02-21
AU2022256455A9 (en) 2023-10-26
ECSP23085780A (es) 2024-01-31
CA3215058A1 (en)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556B1 (ko) Ig 및 itim 도메인을 갖는 t 세포 면역 수용체 (tigit)에 대한 항체 및 이것의 사용
JP6740126B2 (ja) 腫瘍壊死因子様リガンド1a特異的抗体ならびにその組成物および使用
CN107849136B (zh) 抗TfR抗体及其在治疗增殖性和炎性疾病中的用途
US11332531B2 (en) Immunotherapy using antibodies that bind programmed death ligand-1 (PD-L1)
JP2022545585A (ja) 新規の抗cd39抗体
EP3632932A1 (en) Anti-cd40 antibody, antigen binding fragment thereof and medical use thereof
US11248049B2 (en) Immunotherapy using antibodies that bind Programmed Death 1 (PD-1)
CN114728065A (zh) 针对cd3和bcma的抗体和自其制备的双特异性结合蛋白
TWI745670B (zh) 抗cd27抗體、其抗原結合片段及其醫藥用途
JP2019514871A (ja) 骨髄性白血病の治療方法で使用するための、cd33とcd3に結合する二重特異性構築物の投与の方法
KR20210076918A (ko) 4-1bb 및 종양-관련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 작제물 및 이의 용도
US20230322944A1 (en) Anti-cd122 antibodies and uses thereof
US20230151104A1 (en) Chemokine receptor 4 (cxcr4) antagonist antibodies
JP2022553908A (ja) Pd1およびvegfr2二重結合剤
US11655300B2 (en) Colony stimulating factor 1 receptor (CSF1R) antibodies and immunoconjugates thereof
JP7430137B2 (ja) 抗体および使用方法
US20240141048A1 (en) Anti-vista constructs and uses thereof
JP2023516945A (ja) 抗cd137コンストラクト及びその使用
CN117295762A (zh) 抗cd122抗体及其用途
TWI833227B (zh) 靶向pd-l1和cd73的特異性結合蛋白及其應用
US20230265202A1 (en) Antibody constructs binding 4-1bb and folate receptor alpha and uses thereof
WO2024023273A1 (en) Bispecific anti-c-kit and anti-cd203c antigen-binding molecules and uses thereof
WO2024076514A1 (en) C-c chemokine receptor type 8 (ccr8) antagonist antibo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