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279A -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279A
KR20230170279A KR1020220070600A KR20220070600A KR20230170279A KR 20230170279 A KR20230170279 A KR 20230170279A KR 1020220070600 A KR1020220070600 A KR 1020220070600A KR 20220070600 A KR20220070600 A KR 20220070600A KR 20230170279 A KR20230170279 A KR 20230170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member
protection film
adhesive layer
screen protectio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드터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드터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드터치
Priority to KR102022007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0279A/ko
Publication of KR20230170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32B2037/268Relea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화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제1 점착층이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제1 점착층의 제1 영역에 부착되는 제1 이형 부재, 상기 제1 점착층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 부착되는 제2 이형 부재, 상기 제2 이형 부재의 하면에 부착되는 띠 형상의 제3 이형 부재 및 상기 제2 이형 부재와 상기 제3 이형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임시적으로 부착되는 제2 점착층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SCREEN PROTECTION FILM FOR MOBI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어 화면을 보호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는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터치 센서를 반복적으로 터치하게 됨으로써, 휴대 단말기 표면에 지문이나 기름기가 묻거나, 스크래치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오염을 방지하고 스크래치 등과 같은 외부의 크고 작은 충격으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화면)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면 보호 필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화면 보호 필름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베이스 시트(Base sheet)에 점착층(Adhesive layer)을 적층하여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부착하는 스티커(Sticker) 타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화면 보호 필름은 유연성 재질의 박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와의 정전기력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부착하기 힘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착 시에 화면 보호 필름이 일그러져서 다시 부착하려 할 때 처음 상태의 필름의 형상이 도출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제품 등은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카메라 렌즈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카메라 렌즈와 대응하여 화면 보호 필름 상에서 절개된 부분을 맞추어 부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화면 보호 필름을 대화면의 휴대 단말기에 정확한 위치를 찾아서 한 번에 제대로 부착하기가 쉽지 않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화면 보호 필름의 점착면 보호지를 가장자리부터 제거하여 보호필름을 화면의 가장자리부터 부착하게 되는데, 화면의 가장자리에서 화면 보호 필름의 부착 지점이 약간만이라도 어긋나게 되는 경우 다른 쪽 가장자리에서는 화면 보호 필름의 부착 지점이 상당한 차이로 어긋나게 된다.
이 경우에 화면 보호 필름을 떼고 다시 부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점착면에 지문이 묻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붙기 쉬워 재부착되는 화면 보호 필름의 투시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화면에 화면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일은 숙련도가 필요한 작업이고, 초보자로서는 화면에 화면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특정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은, 휴대 단말기의 화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제1 점착층이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제1 점착층의 제1 영역에 부착되는 제1 이형 부재, 상기 제1 점착층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 부착되는 제2 이형 부재, 상기 제2 이형 부재의 하면에 부착되는 띠 형상의 제3 이형 부재 및 상기 제2 이형 부재와 상기 제3 이형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임시적으로 부착되는 제2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제1 점착층보다 상대적으로 점착력이 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이형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 영역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형 부재는 상기 제1 이형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면 보호 필름 제조 방법은 베이스 부재 원단의 제1 점착층에서 이형지를 제거하는 단계, 서로 분리된 상태의 제1 이형 부재 원단과 제2 이형 부재 원단을 상기 제1 점착층에 부착하는 제1 부착 단계, 일면에 제2 점착층이 형성되고 띠 형상을 갖는 제3 이형 부재를 상기 제2 이형 부재 원단에 부착하는 제2 부착 단계 및 상기 베이스 부재 원단, 상기 제1 이형 부재 원단, 및 상기 제2 이형 부재 원단을 단위 별로 절단하여, 목표 형상을 갖는 화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는 절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라 하더라도 휴대 단말기의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면 보호 필름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화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는 화면 보호 필름 제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화면 보호 필름 제조 장치에서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화면 보호 필름 제조 장치에서 B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의 화면 보호 필름 제조 장치에서 C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3의 화면 보호 필름 제조 장치에서 D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연결", "결합" 또는 "접속"의 경우, 물리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것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100)은 베이스 부재(140), 제1 이형 부재(110), 제2 이형 부재(120) 및 제3 이형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40)는 휴대 단말기(10)의 화면(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제1 점착층(1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점착층(141)은 베이스 부재(140)의 일면 상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40)는 휴대 단말기(10)의 화면(12)을 보호하며, 제1 점착층(141)은 베이스 부재(140)가 화면(12)에 강하게 점착되게 한다. 즉, 점착력이 강한 제1 점착층(141)은 휴대 단말기(10)에 여러 번 탈부착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10)에서 부착을 원하는 위치를 선정한 다음 후술할 제2 점착층(121)을 사용하여 우선적으로 가점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보호 부재(150)는 베이스 부재(14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보호 부재(150)는 베이스 부재(140)의 표면에 이물질이 달라붙거나 외부 자극에 의해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40)가 휴대 단말기(10)에 점착된 이후, 보호 부재(150)는 베이스 부재(14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보호 부재(150)는 베이스 부재(140)보다는 상대적으로 얇은 필름일 수 있다.
제1 이형 부재(110)는 상기 제1 점착층(141)의 제1 영역(M1)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이형 부재(110)는 제1 점착층(141)의 제1 영역(M1)이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
제2 이형 부재(120)는 제1 점착층(141)에서 제1 영역(M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제2 이형 부재(120)의 하면에는 화면(12)에 임시적으로 부착되는 제2 점착층(1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이형 부재(120)의 상면은 상기 제1 점착층(141)에서 제1 영역(M1)을 제외한 제2 영역(M2)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이형 부재(120)는 상기 제1 이형 부재(110)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이형 부재(120)는 제2 점착층(121)의 면적만큼 제1 이형 부재(110)보다 넓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이형 부재(130)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2 이형 부재(12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3 이형 부재(130)는 후술할 제2 점착층(121)에 부착될 수 있다. 제3 이형 부재(130)는 제2 점착층(121)이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이형 부재(130)는 제2 점착층(1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3 이형 부재(130)의 일부분에는 돌출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3 이형 부재(130)를 제2 이형 부재(120)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돌출부(131)를 사용하여 제3 이형 부재(13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2 점착층(121)은 베이스 부재(140)가 휴대 단말기(10)에 최종 부착되기 전에 임시로 휴대 단말기(10)의 일부분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사용자는 베이스 부재(140)가 휴대 단말기(10)의 특정 위치에 정확히 배치될 수 있도록 보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제2 점착층(121)은 상기 제2 이형 부재(120)와 후술할 제3 이형 부재(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점착층(121)은 휴대 단말기(10)에 반복적으로 점착되더라도 점착력이 현저하게 감소되지 않은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점착층(121)은 상기 제1 점착층(141)보다 상대적으로 점착력이 약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점착층(141)은 베이스 부재(140)가 휴대 단말기(10)에 안정적으로 부착되도록 상대적으로 강한 점착력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점착층(121)은 제2 이형 부재(120)의 일부 영역을 휴대 단말기(10)에 임시적으로 부착될 수 있게 하는 것이므로, 제2 이형 부재(120)가 휴대 단말기(10)의 원하지 않은 위치에 부착되는 경우, 사용자가 제2 이형 부재(120)를 휴대 단말기(10)로부터 다시 분리하여 재점착할 수 있도록 제1 점착층(141)보다 상대적으로 점착력이 약하게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다르게 제2 점착층이 제1 이형 부재 및 제2 이형 부재 전체에 도포된 화면 보호 필름의 경우, 제1 이형 부재 및 제2 이형 부재 전체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 보호 필름을 전후좌우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형 부재 및 제2 이형 부재 전체가 휴대 단말기가 원하지 않는 위치에 부착되는 경우, 화면 보호 필름을 전체적으로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했다가 다시 재부착하여야 한다. 따라서,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가 화면 보호 필름을 휴대 단말기에 부착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100)은 제2 점착층이 띠 형상으로 제2 이형 부재(120)의 일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화면 보호 필름(100)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라하더라도 종래의 화면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훨씬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2 점착층(121)은 상기 베이스 부재(14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100)을 휴대 단말기(10)에 임시적으로 부착한 이후에, 제1 점착층(141)의 제1 영역(M1)과 제2 영역(M2) 각각을 휴대 단말기(10)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100)이 휴대 단말기(10)에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10은 화면 보호 필름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제3 이형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제2 점착층을 휴대 단말기에 임시로 점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제1 이형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제1 점착층의 제1 영역을 휴대 단말기에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제2 이형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제1 점착층의 제2 영역을 휴대 단말기에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보호 부재를 베이스 부재로부터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3 이형 부재(130)를 제2 이형 부재(120)로부터 제거하여 제2 점착층(121)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의 원하는 위치에 맞게 베이스 부재(140)의 위치를 적절하게 설정한다. 이때, 화면 보호 필름(100)이 휴대 단말기(10)의 카메라 렌즈(11)를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후 제2 점착층(121)을 사용하여 화면 보호 필름(100)을 휴대 단말기(10)에 임시적으로 부착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화면 보호 필름(100)이 휴대 단말기(10)의 카메라 렌즈(11)를 간섭하도록 부착되는 경우, 화면 보호 필름(100)을 전후좌우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면서 재부착하여 부착을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다시 보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이형 부재 및 제2 이형 부재 전체에 제2 점착층이 도포된 화면 보호 필름이 휴대 단말기가 원하지 않는 위치에 부착되는 경우, 화면 보호 필름을 전체적으로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했다가 다시 재부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100)은 제2 점착층이 띠 형상으로 제2 이형 부재(120)의 일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화면 보호 필름(100)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도 종래의 화면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훨씬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베이스 부재(140)에서 제1 이형 부재(110)가 위치된 부분의 일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로부터 들어올리면서 베이스 부재(140)가 휘어지게 한다. 제1 이형 부재(110)의 일단이 베이스 부재(140)로부터 분리되면, 제1 이형 부재(110)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40)에서 중앙 부분부터 시작하여 끝부분에 이르기까지 밀대(H)로 천천히 밀어서 기포가 발생되지 않게 하면서 제1 점착층(141)의 제1 영역(M1)을 휴대 단말기(10)에 부착시킨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베이스 부재(140)에서 제2 이형 부재(120)가 위치된 부분의 일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로부터 들어올리면서 베이스 부재(140)가 휘어지게 한다. 제2 이형 부재(120)의 일단이 베이스 부재(140)로부터 분리되면, 제2 이형 부재(120)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40)에서 중앙 부분부터 시작하여 끝부분에 이르기까지 밀대(H)로 천천히 밀어서 기포가 발생되지 않게 하면서 제1 점착층(141)의 제2 영역(M2)을 휴대 단말기(10)에 부착시킨다.
최종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부재(150)를 베이스 부재(140)로부터 제거하여 화면 보호 필름(100)의 부착 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부착된 베이스 부재(140는 휴대 단말기(10)의 원하는 위치에 적절하게 부착됨으로써, 카메라 렌즈(11)와 간섭되지는 않으면서 화면(12, 도 10 참조)과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100)에 따르면,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도 제2 점착층(121)을 통해 화면 보호 필름(100)을 휴대 단말기(10)의 화면(12) 상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후 제1 이형 부재(110)와 제2 이형 부재(120)를 제거하며 밀대(H)를 통한 부착 공정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100)과 휴대 단말기(10) 사이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100)을 제조하기 위한 화면 보호 필름 제조 방법(S100, 도 12 참조) 및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100)을 제조하기 위한 화면 보호 필름 제조 장치(1000, 도 13 참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면 보호 필름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면 보호 필름 제조 방법(S100)은 베이스 부재 원단의 제1 점착층에서 이형지를 제거하는 단계 (S110), 서로 분리된 상태의 제1 이형 부재 원단과 제2 이형 부재 원단을 상기 제1 점착층에 부착하는 제1 부착 단계 (S120), 일면에 제2 점착층이 형성되고 띠 형상을 갖는 제3 이형 부재를 상기 제2 이형 부재 원단에 부착하는 제2 부착 단계 (S130) 및 상기 베이스 부재 원단, 상기 제1 이형 부재 원단, 및 상기 제2 이형 부재 원단을 단위 별로 절단하여, 목표 형상을 갖는 화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는 절단 단계 (S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면 보호 필름 제조 방법(S100)을 구현하기 위한 화면 보호 필름 제조 장치(1000)는 일례로 메인 권취 롤러(1100), 박리 롤러(1200), 제1 합지 롤러(1300), 제2 합지 롤러(1400), 절단기(1500) 및 복수의 이송 롤러(1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화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는 화면 보호 필름 제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4는 베이스 부재에서 제1 점착층에 부착된 이형지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제1 이형 부재와 제2 이형 부재를 제1 점착층에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은 제3 이형 부재를 제2 이형 부재에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베이스 부재를 목표 형상으로 절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화면 보호 필름 제조 장치(1000)에 의해 화면 보호 필름(100, 도 1 참조)이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 단계(S110, 도 12 참조)는 베이스 부재(140) 원단에서 제1 점착층(141)의 보호를 위하여 부착된 이형지(P1)를 제거할 수 있으며, 메인 권취 롤러(1100)와 박리 롤러(1200)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베이스 부재(140) 원단의 제1 점착층(141)에 이형지(P1)가 부착된 상태로 메인 권취 롤러(1100)에 권취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140) 원단이 이송 롤러(1600)에 의해 메인 권취 롤러(1100)로부터 박리 롤러(1200)로 이송될 수 있다.
박리 롤러(1200)는 메인 권취 롤러(1100)로부터 공급되는 베이스 부재(140) 원단에 부착된 이형지(P1)를 제거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40) 원단으로부터 분리되는 이형지(P1)는 제1 권취 롤러(1210)에 보관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40)는 이송 롤러(1600)에 의해 이송되고, 이형지(P1)는 박리 롤러(1200)에 의해 제1 점착층(141)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 권취 롤러(1210)에 권취될 수 있다. 이후, 베이스 부재(140) 원단은 제1 점착층(141)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합지 롤러(1300)로 이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착 단계(S120, 도 12 참조)는 서로 분리된 상태의 제1 이형 부재(110) 원단과 제2 이형 부재(120) 원단을 제1 점착층(141)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제1 합지 롤러(1300)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합지 롤러(1300)는 일부분이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면에 제1 이형 부재(110) 원단과 제2 이형 부재(120) 원단이 부착된 제1 공급 필름(P2)이 제2 권취 롤러(1310)로부터 제1 합지 롤러(1300)로 공급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40) 원단과 제1 공급 필름(P2)이 제1 합지 롤러(1300)를 통과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40)의 하면과 제1 공급 필름(P2)의 상면이 제1 합지 롤러(1300)에 의해 가압되면서 제1 이형 부재(110) 원단과 제2 이형 부재(120) 원단이 제1 점착층(141)에 점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형 부재(110) 원단과 제2 이형 부재(120) 원단이 제거된 제1 공급 필름(P2)은 제3 권취 롤러(1320)에 보관될 수 있다. 이후, 제1 이형 부재(110)와 제2 이형 부재(120)가 점착된 베이스 부재(140) 원단은 이송 롤러(1600)에 의해 후술할 제2 합지 롤러(1400)로 이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착 단계(S130, 도 12 참조)는 상기 제3 이형 부재(130)를 상기 제2 이형 부재(120)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제2 합지 롤러(1400)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제2 합지 롤러(1400)는 일부분이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2 점착층(121)은 일례로 각각의 면의 점착력이 상이한 양면 테이프(121)일 수 있다. 이러한 양면 테이프(121)가 제3 이형 부재(130)에 부착되어 있고, 제3 이형 부재(130)는 제2 공급 필름(P3)에 일정 간격마다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양면 테이프(121)에서 제3 이형 부재(130)에 점착되는 면은 상대적으로 점착력이 약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양면 테이프(121)에서 제2 이형 부재(120)에 점착되는 면은 상대적으로 점착력이 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100, 도 1 참조)이 휴대 단말기(10)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제3 이형 부재(130)가 제2 점착층(121)을 구성하는 양면 테이프(12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제2 공급 필름(P3)이 제4 권취 롤러(1410)로부터 제2 합지 롤러(1400)로 공급되고, 베이스 부재(140) 원단과 제2 공급 필름(P3)이 제2 합지 롤러(1400)를 통과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40) 원단의 하면과 제2 공급 필름(P3)의 상면이 제2 합지 롤러(1400)에 의해 가압되면서 띠 형상의 제3 이형 부재(130)가 제2 이형 부재(12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3 이형 부재(130)가 제거된 제2 공급 필름(P3)은 제5 권취 롤러(1420)에 보관될 수 있다. 이후, 제3 이형 부재(130)가 점착된 베이스 부재(140) 원단은 이송 롤러(1600)에 의해 후술할 절단기(1500)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화면 보호 필름 제조 장치(1000)에서는 띠 형상으로 이미 절단된 상태로 제2 공급 필름(P3)에 부착되어 있는 제3 이형 부재(130)를 제2 이형 부재(120)에 부착함으로써, 후술할 최종 절단 과정에서 절단날에 의한 눌림 자국이 베이스 부재(140) 원단이나 제2 이형 부재(120)원단에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단계(S140, 도 12 참조)에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140) 원단, 상기 제1 이형 부재(110) 원단, 및 상기 제2 이형 부재(120) 원단을 단위 별로 절단하여, 목표 형상을 갖는 화면 보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절단기(1500)는 복수의 절단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미도시된 복수의 절단날은 베이스 부재(140) 원단, 상기 제1 이형 부재(110) 원단, 및 상기 제2 이형 부재(120) 원단을 목표 형상으로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절단날 각각이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깊이를 상이하게 하여 제3 이형 부재(130)의 돌출부(131)는 절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제3 이형 부재(130)가 부착된 화면 보호 필름(100)이 지지대(1510)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절단기(1500)가 베이스 부재(140) 원단을 미도시된 절단날로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화면 보호 필름 제조 장치(1000)에서는 화면 보호 필름(100)이 부착되는 휴대 단말기(10)의 크기나 형상이 변경되더라도, 절단기(1500)만 교체하여 다양한 종류의 휴대 단말기(10)를 위한 화면 보호 필름(100)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이송 롤러(1600)는 메인 권취 롤러(1100), 제1 합지 롤러(1300), 제2 합지 롤러(1400) 및 절단기(1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화면 보호 필름(100)을 일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보호 필름 제조 장치(1000)는 하나 이상의 장력 롤러(17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 롤러(1700)는 화면 보호 필름 제조 장치(1000)에서 적절한 장력이 가해져야 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력 롤러(1700)는 박리 롤러(1200)와 제1 합지 롤러(1300) 사이에 설치되어 화면 보호 필름(100)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다르게, 베이스 부재에 일체로 이루어진 제1 이형 부재와 제2 이형 부재를 미리 부착한 이후에, 제1 이형 부재와 제2 이형 부재의 경계부분을 절단하는 경우, 베이스 부재에서 절단날이 눌리는 부분에 자국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5로 되돌아가서, 상기와 같은 화면 보호 필름 제조 장치(1000, 도 13 참조)는 기절단된 제1 이형 부재(110) 원단과 제2 이형 부재(120) 원단을 베이스 부재(140)에 부착함으로써, 베이스 부재(140) 내부에 자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름 제조 장치(1000)는 화면 보호 필름(100)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휴대 단말기
11: 카메라 렌즈
12: 화면
100: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110: 제1 이형 부재
120: 제2 이형 부재
121: 제2 점착층
130: 제3 이형 부재
140: 베이스 부재
141: 제1 점착층
150: 보호 부재

Claims (5)

  1. 휴대 단말기의 화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제1 점착층이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제1 점착층의 제1 영역에 부착되는 제1 이형 부재;
    상기 제1 점착층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 부착되는 제2 이형 부재;
    상기 제2 이형 부재의 하면에 부착되는 띠 형상의 제3 이형 부재; 및
    상기 제2 이형 부재와 상기 제3 이형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임시적으로 부착되는 제2 점착층; 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제1 점착층보다 상대적으로 점착력이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형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 영역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형 부재는 상기 제1 이형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5. 베이스 부재 원단의 제1 점착층에서 이형지를 제거하는 단계;
    서로 분리된 상태의 제1 이형 부재 원단과 제2 이형 부재 원단을 상기 제1 점착층에 부착하는 제1 부착 단계;
    일면에 제2 점착층이 형성되고 띠 형상을 갖는 제3 이형 부재를 상기 제2 이형 부재 원단에 부착하는 제2 부착 단계;
    상기 베이스 부재 원단, 상기 제1 이형 부재 원단, 및 상기 제2 이형 부재 원단을 단위 별로 절단하여, 목표 형상을 갖는 화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는 절단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제조 방법.
KR1020220070600A 2022-06-10 2022-06-10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70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600A KR20230170279A (ko) 2022-06-10 2022-06-10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600A KR20230170279A (ko) 2022-06-10 2022-06-10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279A true KR20230170279A (ko) 2023-12-19

Family

ID=8938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600A KR20230170279A (ko) 2022-06-10 2022-06-10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02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8689B2 (en) Protective covers for electronic devices
EP3600830B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protective films
JP2006155452A (ja) タッチパネル用保護フィルム積層体
US20150169089A1 (en) Surface Protection Film and Method of Making a Protection Film for a Touch Screen
KR101576002B1 (ko) 유색 점착면 보호필름과 절취선을 이용한 휴대폰 액정 보호필름 및 이를 이용한 액정 보호필름 부착방법
US20120110868A1 (en) protective cover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technical field
US20160043765A1 (en) Protective film composite
KR101234532B1 (ko)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TWI449005B (zh) 功能性膜片貼合方法、貼合機台及膜片貼合對位方法
US20160271928A1 (en) A method for bonding first and second panels and a display device
KR101341865B1 (ko) 보호필름 부착용 모듈
KR200488338Y1 (ko) 이물질제거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화면 보호 필름
KR101462266B1 (ko)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액정 보호필름 부착 방법
KR20230170279A (ko) 휴대 단말기의 화면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95075B1 (ko) 기능성 필름을 갖는 액정보호필름 구조체
JP2015203090A (ja) ディスプレイ用保護フィルム
US20220332107A1 (en) Auxiliary device for sticking of tempered glass screen protector and tempered glass screen protector combination
KR102102128B1 (ko) 충전단자를 이용하여 부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855865B2 (ja) ガラス基板分断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876630B1 (ko) 평판표시소자 보호판의 전주와 양면테이프를 접착하기 위한지그 및 지그를 이용한 접착방법
JP6374223B2 (ja) 保護部材
KR101838657B1 (ko) 전자기기의 액정 보호 모듈, 이를 위한 블랭크 및 부착 방법
CN211194913U (zh) 摄像镜头保护贴黏贴治具
KR102002001B1 (ko) 충전단자를 이용하여 부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부착 방법
KR102376283B1 (ko) 이동단말기의 액정 보호필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