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225A -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225A
KR20230170225A KR1020220070470A KR20220070470A KR20230170225A KR 20230170225 A KR20230170225 A KR 20230170225A KR 1020220070470 A KR1020220070470 A KR 1020220070470A KR 20220070470 A KR20220070470 A KR 20220070470A KR 20230170225 A KR20230170225 A KR 20230170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real time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아이솔루션 (AI soluti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아이솔루션 (AI solution)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아이솔루션 (AI solution)
Priority to KR102022007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0225A/ko
Publication of KR2023017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22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8Controlling traffic signals according to detected number or speed of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은 버스, 택시, 통근 차량 등의 대중 교통 수단에 설치된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 또는 위치 추적 장치와, 교통 혼잡 지역, 상습 정체 지역, 사고 다발 지역, 교차로, 횡단보도 등에 설치된 복수 개의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교통 정보를 통해 관할 지방 자치 단체에서 교통 상황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SMART CITY TRAFF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택시, 통근 차량 등의 대중 교통 수단에 설치된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 또는 위치 추적 장치와, 교통 혼잡 지역, 상습 정체 지역, 사고 다발 지역, 교차로, 횡단보도 등에 설치된 복수 개의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교통 정보를 통해 관할 지방 자치 단체에서 교통 상황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전 국민의 차량 소유 대수가 급증함에 비해 이들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도로의 확충 및 신설은 매우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 도로를 이용한 차량 운행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이동시 운전자는 자신이 운행하고 있는 현재 도로의 교통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으로 도로에 설치된 교통 상황 표지판이나 전문 교통 방송 또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이용해 빠른 길을 안내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교통 안내를 받는다. 이러한 실시간 교통 정보를 활용하면 차량 운행 시 운전자는 목표 지점까지 최단 시간에 도착할 수 있어 운전자 개인의 시간 절약 및 유류비 절약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실시간 교통 정보를 교차로의 신호체계와 연계하여 막히는 구간의 신호 주기를 늘리는 등 신호 체계를 자동으로 조절하게 하여 시내 교통 체증을 완화하는데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실시간 교통 정보는 작게는 개인적인 효용 가치는 물론 지역적, 국가적 차원의 거시적인 관점에서 보더라도 에너지 수입 절감과 대기 오염 저감 등 사회,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된다.
이와 같이, 도시에서의 교통 상황은 다양한 도시 생활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 향후 가까운 미래에 등장할 자율 주행 자동차의 경우, 기본적인 차량의 자율 운행 기능과 별도로 목적지까지의 자율 운행 계획 수립에 있어 도시 전체 또는 국가 차원의 대규모 실시간 교통 정보의 확보는 매우 중요한 필수 정보이다.
따라서 도시에 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고속 도로와 같이 효율적인 실시간 반영이 가능한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시급하다. 특히 도시의 전체 구간이 아닌 상습 정체 구간 혹은 교통 사고나 다양한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교통 체증의 정확한 정보가 시민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서 필요하다.
예를 들어, 현재 운행되고 있는 카카오 택시, 각종 콜택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는 택시 기사의 장거리콜 선호, 민간 기업의 택시 기사에 대한 제약 없는 운용으로 인한 시민들의 편의 위주가 아닌 영업자 편의 위주의 시스템 운용으로 인하여, 정작 손님이 필요할 때 그 필요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현재 교통 신호 체계는 도로가 막힐 경우에 현장에 교통 경찰관이 출동하여 수동으로 신호 조작을 하여 교통상황을 호전시키는 형태이다. 이로 인해, 다른 교차로에서부터 도로가 막힐 경우, 근본 원인을 해결하기가 매우 어려운 구조이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교통 경찰관들 간에 무전으로 연락하여 교통 상황에 맞춰 대응하려고 하지만 정확한 원인 파악이 어렵고, 서로 간의 의견 충돌과 소통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신속한 해결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교통 체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무분별한 불법 주정차 차량으로 인한 것이다. 현존하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단점은 고정된 장소에서만 단속이 가능하며, 설사 이동하면서 단속한다 하더라도 인력에 의존해 있기 때문에 정해진 시간 외에는 단속이 불가능하여, 여전히 교통 체증을 유발시킨다.
뿐만 아니라, 도시 생활에서 맞벌이 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는 필수적으로 어린이 집, 유치원의 이용과 각종 학원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로 인해, 부모들은 어린이 집과 학원으로 이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않은 교통 사고에 지대한 관심과 더불어 걱정을 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폰의 사용으로 인해 횡단보도에서 발생하는 교통 사고가 나날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스마트 폰을 보는 사람들에게도 신호를 인지시켜 경각심과 더불어 시민의 안전을 강화할 수 있는 대책이 시급히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71367호 (등록일자: 2017.08.2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버스, 택시, 통근 차량 등의 대중 교통 수단에 설치된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 또는 위치 추적 장치와, 교통 혼잡 지역, 상습 정체 지역, 사고 다발 지역, 교차로, 횡단보도 등에 설치된 복수 개의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교통 정보를 통해 관할 지방 자치 단체에서 교통 상황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은, 버스들 각각에 설치되어 운행 중 실시간으로 도로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 택시들 각각에 설치되어 운행 중 실시간으로 제1 위치 정보와 제1 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위치 추적 장치; 특정 지역에 복수 개가 고정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해당 지역의 도로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 불법 주정차 단속 지역에서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자동 주행하고, 카메라를 구비하여 상기 불법 주정차 단속지역에서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불법 주정차 차량이 검지되면, 해당 불법 주정차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제3 영상을 획득하는 드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영상을 실시간 전송받고 상기 제1 위치 추적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속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도로의 교통 상황을 모니터링하도록 처리하고, 적어도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영상과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속도 정보를 취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기반으로 도로의 혼잡도를 분석 및 데이터화하여 실시간으로 도시 전체에 대한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제3 영상을 전송받아서 불법 주정차 차량을 단속하도록 처리하는 통합 교통 정보 관리 서버; 상기 통합 교통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교통 정보를 전송받아서 취합된 실시간 교통 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 설치된 교통 신호등의 신호 체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 상기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통합 교통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교통 정보를 전송받아서 실시간으로 상기 교통 정보에 대응하는 교통 상황을 표시하는 교통 정보 표시 장치; 상기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의 차량 신호와 보행자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지역의 도로와 횡단보도 상에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조사하는 로고 젝트; 및 상기 통합 교통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교통 정보를 전송받아서 안내하고, 택시 관리 시스템과 연동해서 택시를 예약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교통 관련 시스템을 지방 자치 단체에서 도시 전체의 교통 정보를 통합 관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에게 안전과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스마트 시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교통 관련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시 전체의 교통 정보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시민들에게 교통 상황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은 신뢰할 수 있는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합하여 각 운전자와 관할 정부 기관에 공유하여 도로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뿐 아니라, 시민들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은 교통으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다양한 돌발 상황을 미리 예방할 수 있으며, 돌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은 자녀를 가진 맞벌이 부부들이 안심하고 일에 매진할 수 있으며, 통학 차량의 이동 경로에 맞춰 보호자가 자녀를 맞이하거나 배웅할 수 있고, 어린이 집, 유치원, 학원 등을 운영하는 운영자와 보호자에게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은 교통 상황에 적합하게 신호등의 신호 체계 및 로고젝트 조사를 제어하여 스마트 폰이나 다른 주의를 빼앗는 기기나 요소들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으며, 소중한 인명을 보호하는 한편, 교통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개인적 국가적 손실을 막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은 드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도로 상의 위법 차량 단속과 불법 주정차를 단속함으로써, 교통 체증의 가장 큰 원인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도시 전반적으로 원활한 교통 흐름의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시티를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합 교통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2)은 스마트 시티(smart city)를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통 수단들 예컨대, 버스, 택시 등의 대중 교통 수단과, 어린이집, 학원 등의 통근 차량들 각각에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 또는 위치 추적 장치(300, 400)를 구비하고, 교통 혼잡 지역, 상습 지체 지역 및 사고 다발 지역 등에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700)를 설치하고, 이들을 통해 실시간으로 도시 곳곳의 교통 상황에 따른 교통 정보를 수집 및 모니터링하도록 하여 도시 전체의 교통 정보를 통합 관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2)은 수집된 교통 정보에 대응하여 교차로, 횡단보도 등에 설치된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720) 및 로고젝트(740)를 이용하여 수집된 교통 정보에 따라 신호등 자동 제어, 교통 안내 등을 처리하도록 도시 전체의 교통 정보를 통합 관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2)은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500)와 교통 정보 표시 장치(760)를 통해 실시간으로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택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거나, 시민이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900)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교통 정보 모니터링 서비스, 택시 예약 서비스 등을 제공하도록 도시 전체의 교통 정보를 통합 관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2)은 복수 개의 드론(800)을 이용하여 도시의 다양한 위치에서 불법 주정차 차량을 단속하도록 처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2)은 통신망(4), 복수 개의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 700), 복수 개의 위치 추적 장치(300, 400), 복수 개의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720), 복수 개의 교통 정보 표시장치(760), 복수 개의 드론(800) 및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2)은 복수 개의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500)와, 복수 개의 휴대용 단말기(9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망(4)은 예를 들어, 유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유무선 자가망 등으로 구비되고, 이들 각각의 단일 통신망 또는 혼합된 복합 통신망으로 제공될 수 있다. 통신망(4)은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 700), 위치 추적 장치(300, 400),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720), 교통 정보 표시 장치(760), 드론(800),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500) 및 휴대용 단말기(900)들과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 간에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 실시예에서 통신망(4)은 도시 전체를 네트워크 구성할 수 있는 로라(LoRa : Long Range) 망으로 구비되어, 무선 기지국, 무선 중계기(AP) 등을 접목시켜서 광범위한 커버리지와, 적은 대역폭,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 등의 특징을 갖는 사물 인터넷 전용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장소 및 다양한 장치(사물)들 간에 상호 통신이 가능하게 유지하여 도시 전체의 교통 정보를 수집, 취합, 분석, 저장 및 관리하도록 제공된다.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 700)는 예컨대, 객체 지능형 고해상도 CCTV 카메라로 구비되어, 도시에서 일정한 경로를 주행하는 대중 교통 수단 즉, 시내 도로를 주행하는 버스의 전면 상단에 설치되거나, 도시의 교통 혼잡 지역, 상습 정체 지역, 사고 다발 지역, 교차로, 횡단보도 등의 특정 지역 각각에 복수 개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 700)는 버스에 설치된 경우, 주행 중 도로 상황을 실시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통신망(4)을 통해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 전송한다. 또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 700)는 특정 지역에 설치된 경우, 복수 개가 해당 지역의 차도, 인도 등 도로 주변의 서로 다른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해당 영역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 획득하여 통신망(4)을 통해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 700)는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가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ID, IP 등)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각각의 설치 장소나 위치가 판별되며, 설치 장소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통신망(4)을 통해 통합 관제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 때,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 700)는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를 검지하고, 검지된 영상을 추출하여 통신망(4)을 통해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 700)는 내부에 영상 분석 모듈(도 2의 24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위치 추적 장치(300, 400)는 예컨대, GPS 모듈, 위치 센서, 비콘 또는 RFID 모듈 등으로 구비되어, 시내 도로뿐만 아니라 교통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운 국도, 지방도, 좁은 도로나 골목 등을 주행하는 택시 또는 통근 차량의 운행 시, 운행 중에 도로의 교통 상황에 따른 위치 정보와 속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통신망(4)을 통해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 전송한다. 위치 추적 장치(300, 400)는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가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ID, IP 등)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각각이 식별된다.
위치 추적 장치(400)는 어린이집, 유치원 및 학원 등의 통학 차량에 설치된 경우,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정보를 실시간 획득하여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에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는 통학 차량의 이동 상황을 보호자가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900)들로 제공하여 모니터링하도록 하고, 통학 차량의 운행 중 교통사고, 기타 돌발 상황 등의 발생 시, 사고 발생 여부에 대한 긴급 메시지 등을 보호자에게 전달한다.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500)는 예컨대, 키오스크(KIOSK) 형태의 단말기로 구비된다.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500)는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가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ID, IP 등)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각각의 설치 장소나 위치가 판별된다.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500)는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부터 교통 정보를 전송받아서 이용자에게 실시간 교통 정보를 안내하도록 표시하고, 최적의 노선 정보와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500)는 인구가 밀집해 있는 주거 지역, 도시 중심부 등에 설치되어 택시 관리 시스템(미도시됨)과 연동해서 택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지방 자치 단체장은 지방 자치 단체에 소속된 각 택시 운수 회사, 개인 택시 기사와 서약서를 작성하여 지방 자치 단체가 관리하는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2)을 통하여 예약되는 콜을 최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제공된다. 또 택시 예약은 시만의 편의를 위해 시민이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9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예약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500)는 복수 개가 통신망(4)을 통하여 택시 관리 시스템(미도시됨)에 의해 관리 및 운용된다.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720)는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가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ID, IP 등)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설치 장소(위치)가 판별된다.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720)는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의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서 도시 곳곳에 설치된 신호등의 교통 신호 체계를 자동 제어한다. 즉,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720)는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취합한 도시 전체의 교통 상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각 교차로 및 횡단보도 등에서의 신호등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신호등 자동 제어 기법은 시스템의 개발과 시스템의 원활한 정착과 효율성의 극대화를 위해, 일정 기간(예를 들어, 3 년)을 두고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구축된다. 예를 들어,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720)는 1 차적(1 년차 동안)으로 도시의 통합 교통 정보 관리센터나 관련 관공서 등에서 관리자나 담당자가 실시간 교통 정보를 활용하여 모든 도로의 교통 신호를 직접 조작하여 제어하고, 틈틈이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720)를 동작시켜서 사람의 관리 하에 테스트를 진행하여 딥러닝 학습 및 분석 등을 통해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2 차적(2 년차 동안)으로는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720) 만을 활용하여 도시의 교통 신호를 제어하며, 3 차적(3 년차 동안)으로는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720)의 개선점을 파악하여 더 나은 시스템으로 발전시켜서, 궁극적으로 도시 전체의 교통 신호 체계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원격 제어하도록 구축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에 유기적으로 신속하고 원활히 운영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교통 정보 표시 장치(760)는 예를 들어, 관공서, 도로 주변 등 도시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거나, 도시의 교통 혼잡 지역, 상습 정체 지역, 사고 다발 지역, 교차로, 횡단보도 등의 특정 지역 각각에 설치되는 대화면의 교통 안내 전광판, 도시 교통 현황판 등으로 구비된다. 교통 정보 표시 장치(760)는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부터 실시간으로 교통 정보를 전송받아서 시민들에게 실시간으로 교통 정보를 안내하도록 표시한다.
로고젝트(740)는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720)와 연동해서 차량 신호, 횡단보도 신호에 대응하여 차도 바닥면과 횡단보도 바닥면에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조사한다. 이러한 로고젝트(740)는 시민들이 이동 중에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주의를 빼앗는 요소들이 늘어남에 따라 발생 가능한 사건, 사고를 예방하고 시민들이 교통 신호를 잘 인지하고 경각심을 갖게 하기 위하여 신호등과 연동되어 신호등의 녹색, 빨간색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차도 바닥면, 횡단보도 바닥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로고젝트(740)는 신호등이 차량에 대해 녹색이고, 보행자에 대해 빨간색일 때, 동시에 녹색 신호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차도의 바닥면에 조사하고 빨간색 신호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횡단보도의 바닥면에 조사하여 차량 운전자와 보행자 각각에게 제공한다.
드론(800)은 복수 개의 프로펠러(미도시됨)를 구비하고,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의해 지방 자치 단체의 설정된 영역에서 지정된 경로를 따라 자율 주행하는 무인 비행체로서, 객체(예컨대, 차량 등)를 인식 가능한 카메라(도 3의 806)가 구비된다. 물론 드론(800)은 주행 경로를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 : RC)(미도시됨) 등에 의해 원격 조종될 수도 있다. 드론(800)은 자율 주행 중 자신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카메라(806)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 즉, 차량이 검지되면, 검지된 차량에 인접하게 이동하고, 차량에 대한 영상에서 차량 번호판에 대한 영상을 추출한다.
드론(800)은 자신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도 3의 820)과 상호 무선 통신 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론(800)은 추출된 영상을 무선 통신망(4)을 통해 자신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820)의 무선 통신부(도 3의 824)로 전송한다. 이 때, 드론(800)은 자신의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함께 무선 통신부(824)로 전송한다.
또 드론(300)은 무선 통신부(824)를 통해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응답해서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객체에 대한 영상에서 차량 번호판에 대한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즉, 드론(800)은 자율 주행 중 자신과 가장 인접한 위치의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820)의 무선 통신부(824)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서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부터 원격 제어된 위치로 이동하고, 해당 위치에서 카메라(806)을 통해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판을 인식 및 추출한 스틸 컷 영상을 해당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820)의 무선 통신부(824)로 전송한다.
휴대용 단말기(900)는 예컨대, 시민들 각각이 구비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태블릿 폰 등으로 구비되어, 통신망(4)을 통해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와 연결된다. 휴대용 단말기(900)는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부터 실시간 제공되는 교통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택시 예약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900)는 보호자가 구비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녀의 통학 차량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정보를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부터 실시간 전송받아서 모니터링하거나, 통학 차량의 위치 정보가 이동 경로 상에서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긴급 메시지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는 도시 전체의 교통 정보를 통합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는 통신망(4)을 통하여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 700), 위치 추적 장치(300, 400), 신호등 자동 제어장치(720), 교통 정보 표시 장치(760),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500), 드론(800) 및 휴대용 단말기(900)와 연결되고, 이들 각각과 연동해서 상술한 기능들을 처리한다.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은 다음의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 또는 700)는 주행 경로가 일정한 대중 교통 수단 즉, 버스의 운행 중 또는 도시의 교통 혼잡 지역, 상습 정체 지역, 사고 다발 지역, 교차로, 횡단보도 등의 설치 장소에서의 도로 교통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고해상도 영상(또는 저해상도 영상)을 획득한다.
여기서는 버스에 설치된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를 이용하여 그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는 예컨대, 4K 고화질의 CCTV 카메라로 구비되어, 기존의 방범, 감시 또는 보안 시스템에 적용되는 저해상도의 CCTV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예를 들어, 약 2M 픽셀의 영상)보다 높은 해상도의 영상(예를 들어, 12 M 픽셀의 영상)을 획득한다. 또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는 내부의 구비되는 엔코더, 압축 코덱 등을 이용하여 획득된 고해상도 영상을 서로 다른 압축률로 압축시켜서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저해상도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는 유저(user)의 용도별에 따라 서로 다른 해상도의 영상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10), 제어부(220), 카메라 모듈(23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한다. 또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는 영상 분석 모듈(24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예컨대, 무선 통신 모듈 등으로 구비되고, 통신망(4)을 통하여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와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즉, 무선 통신부(210)는 제어부(220)의 제어를 받아서 통신망(4)을 통해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 운행 중 획득된 고해상도 영상과,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무선 통신부(210)는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에 영상 분석 모듈(230)이 구비된 경우, 영상 분석 모듈(240)에 의해 생성된 분석 데이터를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230)은 예컨대,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 모듈로 구비되어, 버스의 운행 중 교통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고해상도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영상 분석 모듈(240)은 카메라 모듈(230)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자체적으로 분석하여 도로의 혼잡도 등을 데이터화한다. 즉, 영상 분석 모듈(240)은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 자체적으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한다.
저장부(250)는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의 식별 정보와, 카메라 모듈(230)로부터 획득된 고해상도 영상을 저장한다. 또 저장부(250)는 영상 분석 모듈(240)에 의해 생성된 분석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20)는 무선 통신부(210), 카메라 모듈(230) 및 저장부(250)들 각각이 해당 기능을 상호 연동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영상 분석 모듈(240)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 제어부(220)는 내부에 엔코더, 압축 코덱 등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카메라 모듈(230)로부터 획득된 고해상도 영상을 서로 다른 압축률로 압축시켜서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저해상도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로부터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 전송되는 데이터 량을 줄임으로써,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통신망(4)을 통해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로 식별 정보와 고해상도 영상을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영상 분석 모듈(240)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의 구성(210 ~ 250)은 도시의 교통 혼잡 지역, 상습 정체 지역, 사고 다발지역, 교차로, 횡단보도 등의 설치 장소 즉, 특정 지역에 설치된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700)의 구성과 대체로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비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드론(800)은 무인 비행체의 전형적인 구성을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의해 지방 자치 단체의 특정 지역(예컨대, 불법 주정차 단속 지역 등)에서 지정된 경로를 따라 자율 주행하거나, 주행 경로를 통합 관제 서버(100),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 : RC)(미도시됨) 등에 의해 원격 조종될 수도 있다.
드론(800)은 자율 주행 중 카메라(806)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불법 주정차 단속 지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차량이 검지되면, 검지된 차량에 인접하게 이동하여 차량 번호판에 대한 영상 즉, 스틸 컷 영상을 추출한다. 드론(800)은 추출된 영상을 통신망(4)을 통해 자신과 가장 인접한 위치의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820)의 무선 통신부(824)로 전송한다. 이 때, 드론(800)은 자신의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이러한 드론(800)은 실시간, 주기적 또는 특정 시간에 자율 주행으로 해당 지역 등을 정찰하여 해당 지역을 촬영하도록 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또 드론(800)은 배터리(812)가 방전되면,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820)으로 주행하여 배터리(812)를 무선 충전한다.
이 실시예에서 드론(800)은 무선 통신부(802), 제어부(804), 카메라(806), 구동부(808), [0067] GPS 모듈(810), 배터리(812), 배터리 충전부(814) 및 전력 수신 모듈(816)을 포함한다. 이러한 드론(800)의 무선 통신 및 배터리 충전을 위해 본 발명의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2)은 도시 곳곳에 복수 개의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820)을 구비한다.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820)은 제어부(822), 무선 통신부(824), 전원 공급원 및 무선 충전 패드(830)를 구비한다. 무선 충전 패드(830)에는 전력 송신 모듈(832)이 구비된다.
무선 통신부(802)는 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등으로 구비되어, 통신망(4) 즉, 무선 통신망을 통해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820)의 무선 통신부(824)와 연결된다. 이 때, 드론(800)은 자율 주행 중 자신과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부(824)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가장 인접한 위치의 무선 통신부(824)와 연결된다. 무선 통신부(802)는 드론(800)의 식별 정보와 GPS 모듈(810)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와 함께 카메라(806)로부터 획득된 영상에서 검지된 차량 번호판이 포함된 스틸 컷 영상을 추출하여 무선 통신부(824)로 전송한다.
카메라(806)는 예컨대, 객체 인식이 가능한 고해상도 카메라로 구비되어, 객체 즉,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차량 영상에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스틸 컷 영상을 추출한다. 구동부(808)는 제어부(804)의 제어를 받아서 드론(800)의 자율 주행 또는 원격 제어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복수 개의 프로펠러들을 구동시킨다. GPS 모듈(810)은 위성 항법 시스템(GPS)과 연동해서 드론(80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배터리(812)는 재충전 가능한 2 차 전지로 구비되고, 드론(800)의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이 실시예에서 배터리(812)는 무선 충전된다. 이를 위해 해당 불법 주정차 단속 지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820)이 구비된다.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820)에는 드론(800)과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무선 통신부(824)와, 드론(800)이 안착되고 전력 송신 모듈(832)가 구비되는 무선 충전 패드(830)와, 무선 충전 패드(83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원(826) 및, 무선 통신부(824)와 전원 공급원(826) 및 무선 충전 패드(830)를 제어하는 제어부(822)가 구비된다. 무선 충전 패드(830)는 드론(800)의 전력 수신 모듈(816)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기 방식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전력 송신 모듈(832)이 구비된다. 전력 송신 모듈(832)은 전력 수신 모듈(816)과 상호 작용하여 배터리(812)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발생시킨다.
전력 수신 모듈(816)은 드론(800)이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820)에 구비된 무선 충전 패드(830)에 안착되면, 무선 충전 패드(832)의 전력 송신 모듈(832)과 상호 작용하여 전력을 유도한다. 유도된 전력은 배터리 충전부(814)를 통해 배터리(812)를 충전한다.
배터리 충전부(814)는 제어부(804)의 제어를 받아서 전력 수신 모듈(816)에서 유도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812)를 충전시킨다. 그리고 제어부(804)는 드론(8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무선 통신부(802), 카메라(806), 구동부(808), GPS 모듈(810), 배터리(812), 배터리 충전부(814) 및 전력 수신 모듈(816)들을 제어한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합 교통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는 복수 개의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 700), 복수 개의 위치 추적 장치(300, 400) 및 복수 개의 드론(800)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예컨대, 식별 정보, 위치정보, 영상, 분석 데이터 등)를 취합하여 도시 전체의 교통 상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는 생성된 교통 정보를 통해 복수 개의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720)와 복수 개의 로고젝트(740)를 제어하고, 복수 개의 교통 정보 표시 장치(760)와 복수 개의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500) 및 복수 개의 휴대용 단말기(900)들로 교통 정보를 실시간 제공한다. 또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는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500)와 휴대용 단말기(900)를 이용하여 택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처리하며, 드론(800)을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을 단속 처리한다.
이를 위해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는 통신부(102), 제어부(104), 교통 정보 수집부(106), 교통 정보 분석부(108), 교통 정보 제공부(110), 위치 모니터링 처리부(112), 신호등 자동 제어 처리부(114), 로고젝트 처리부(116), 택시 예약 처리부(118), 드론 처리부(120), 불법 주정차 단속 처리부(122), 알림 처리부(124) 및 데이터베이스부(12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02)는 예컨대, 유무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인터페이스 모듈 등을 포함하여 통신망(4)에 연결되고, 이를 통해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 700)들로부터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위치 추적장치(300, 400)들로부터 위치 정보와 속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다. 통신부(102)는 드론(800)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820)을 통해 전송받는다. 통신부(102)는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500), 교통정보 표시 장치(760) 및 휴대용 단말기(900)들로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또 통신부(102)는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720)와 로고젝트(740)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또 통신부(102)는 휴대용 단말기(900)로 긴급 메시지를 전송한다.
교통 정보 수집부(106)는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 700)들과 드론(800)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수집한다. 교통 정보 분석부(108)는 수집된 영상과 위치 추적 장치(300, 400)들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와 속도 정보들을 분석하여 도로 혼잡도 등을 포함하는 분석 데이터를 구간별, 시간대별 등으로 생성하고, 분석 데이터들을 딥러닝 학습 및 빅데이터화하여 도시 전체의 교통 상황을 관리한다. 교통 정보 제공부(110)는 교통 정보 분석부(108)에 의해 생성된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에 따른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교통 정보를 교통 정보 표시 장치(760)와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500) 및 휴대용 단말기(900)들로 실시간 제공한다. 또한, 교통 정보 제공부(110)는 교통 정보를 관련 관공서 등으로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위치 모니터링 처리부(112)는 위치 추적 장치(300, 400)들로부터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를 전송받고,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과 연동해서 교통 정보 표시 장치(760) 등에 도로 혼잡도를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교통 상황을 모니터링하도록 처리한다. 또 위치 모니터링 처리부(112)는 통학차량에 설치된 위치 추적 장치(400)들로부터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서 통학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실시간, 주기적 또는 원하는 시간대에 보호자의 휴대용 단말기(900)로 제공하고, 동시에 어린이집, 유치원 및 학원 등의 운영자들의 휴대용 단말기(900)로 제공하여 대상자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신호등 자동 제어 처리부(114)는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720)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신호등 자동 제어장치(720)의 설치 장소(위치)를 판별하고, 분석 데이터를 통해 해당 지역의 교통 상황에 대응하여 도시 전체의 교통 흐름이 원할하게 유지되도록 차량, 보행자의 신호등 신호 체계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처리한다. 신호등 자동 제어 처리부(114)는 신호등 신초 체계에 대한 신호 정보를 로고젝트 처리부(116)로 전달한다.
로고젝트 처리부(116)는 로고젝트(740)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로고젝트(740)의 설치 장소(위치)를 판별하고, 신호등 자동 제어 처리부(114)로부터 전달된 신호 정보에 대응하여 차도 바닥면과 횡단보도 바닥면 각각에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조사한다.
택시 예약 처리부(118)는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500)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설치 장소(위치)를 판별하고, 교통 정보를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500)로 실시간 제공한다. 택시 예약 처리부(118)는 교통 정보에 대응하여 택시 예약 시, 최적의 노선 정보를 제공하도록 검색 기능을 처리한다. 또 택시 예약 처리부(118)은 휴대용 단말기(900)의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해서 택시 예약을 처리한다.
드론 처리부(120)는 드론(800)을 자율 또는 원격 제어에 의해 불법 주정차 단속 지역의 설정된 경로를 주행하도록 처리한다. 드론 처리부(120)는 드론(800)의 배터리 충전을 위해 드론 무선 충전 승강장(820)으로 드론(800)을 주행하도록 처리한다. 드론 처리부(120)는 드론(800)으로부터 획득된 단속 영상 즉, 불법 주정차 차량의 번호판 영상이 전송되면,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드론의 위치 정보를 통해 단속 지역, 단속 시간 등을 획득하여 불법 주정차 단속 처리부(122)로 전달한다. 이 때, 드론 처리부(120)는 불법 주정차 단속 지역을 3 차원의 지리정보 시스템(GIS)을 활용하여 중앙 교통 센터나 통합 관제 센터 등에서 불법 주정차 위반 자료(즉, 단속 영상, 단속 지역, 단속 시간, 차량 번호 등)와 드론(800)에 의해 촬영된 도로의 혼잡도 등을 3 차원 영상에 표시하여 모니터링 및 관리하도록 처리한다.
불법 주정차 단속 처리부(122)는 드론 처리부(120)로부터 전달된 불법 주정차 위반 자료를 통해 해당 차량의 불법 주정차 위반에 대한 법적인 조치를 처리하도록 위반 자료를 저장, 관리하고, 경찰청, 관할 경찰서 등의 관련 관공서로 위반 자료를 제공한다.
알림 처리부(124)는 통학 차량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 주기적 또는 원하는 시간대에 보호자, 운영자, 관리자 등의 휴대용 단말기(900)로 전송한다. 알림 처리부(124)는 위치 모니터링 처리부(112)에 의해 통학 차량을 모니터링 중 정상적인 이동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통학 차량의 보호자, 운영자, 관리자 등의 휴대용 단말기(900)로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데이터베이스부(128)는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의 처리 과정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 등록 및 관리한다.
그리고 제어부(104)는 통합 교통 관제 서버(1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04)는 통신부(102), 교통 정보 수집부(106), 교통 정보 분석부(108), 교통 정보 제공부(110), 위치 모니터링 처리부(112), 신호등 자동 제어 처리부(114), 로고젝트 처리부(116), 택시 예약 처리부(118), 드론 처리부(120), 불법 주정차 단속 처리부(122), 알림 처리부(124) 및 데이터베이스부(126)를 제어하여, 상술한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200, 00)와 위치 추적 장치(300, 400)들을 기반으로 도시 전체에 대한 교통 상황을 분석 및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교통 정보를 실시간 생성하여 교통 정보 표시 장치(760)와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500)에 표시하도록 처리하고, 신호등의 신호 체계와 로고젝트 제어,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900)들로 교통 정보를 제공하도록 처리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버스들 각각에 설치되어 운행 중 실시간으로 도로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
    택시들 각각에 설치되어 운행 중 실시간으로 제1 위치 정보와 제1 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위치 추적 장치;
    특정 지역에 복수 개가 고정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해당 지역의 도로의 교통 상황에 대한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
    불법 주정차 단속 지역에서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자동 주행하고, 카메라를 구비하여 상기 불법 주정차 단속지역에서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불법 주정차 차량이 검지되면, 해당 불법 주정차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제3 영상을 획득하는 드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영상을 실시간 전송받고 상기 제1 위치 추적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속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도로의 교통 상황을 모니터링하도록 처리하고, 적어도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영상과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속도 정보를 취합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을 기반으로 도로의 혼잡도를 분석 및 데이터화하여 실시간으로 도시 전체에 대한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제3 영상을 전송받아서 불법 주정차 차량을 단속하도록 처리하는 통합 교통 정보 관리 서버;
    상기 통합 교통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교통 정보를 전송받아서 취합된 실시간 교통 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 설치된 교통 신호등의 신호 체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
    상기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통합 교통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교통 정보를 전송받아서 실시간으로 상기 교통 정보에 대응하는 교통 상황을 표시하는 교통 정보 표시 장치;
    상기 신호등 자동 제어 장치의 차량 신호와 보행자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지역의 도로와 횡단보도 상에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조사하는 로고 젝트; 및
    상기 통합 교통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교통 정보를 전송받아서 안내하고, 택시 관리 시스템과 연동해서 택시를 예약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택시 정보 안내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220070470A 2022-06-10 2022-06-10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KR20230170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470A KR20230170225A (ko) 2022-06-10 2022-06-10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470A KR20230170225A (ko) 2022-06-10 2022-06-10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225A true KR20230170225A (ko) 2023-12-19

Family

ID=89385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470A KR20230170225A (ko) 2022-06-10 2022-06-10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022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367B1 (ko) 2016-09-06 2017-08-24 김동화 공기 오염 정보 및 교통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367B1 (ko) 2016-09-06 2017-08-24 김동화 공기 오염 정보 및 교통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140B1 (ko) 스마트 시티를 구현하기 위한 통합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
AU2007360814B2 (en) Traffic monitoring system
CN108364494B (zh) 道路交通智能管理方法、系统及平台
US8576069B2 (en) Mobile sensing for road safety, traffic management, and road maintenance
US11320829B2 (en) Battery powered artificial intelligence autonomous patrol vehicle
CN104221065B (zh) 利用照明网络进行交通管理的系统和方法
CN110648528A (zh) 一种智慧公路管理系统
WO2022028508A1 (zh) 交通监控终端和交通监控系统
CN108282744B (zh) 基于智慧灯杆的智慧交通系统
CN114394100B (zh) 一种无人巡逻车控制系统及无人车
CN107680376A (zh) 一种景区交通路况预警疏导系统
KR102336934B1 (ko) 스쿨존 내 보행자 위험요소인 차량, 개인용 이동차량의 이동 상황을 ai분석하여 vms에 표출하고 관제센터에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185121A (zh) 一种基于5g的交通精准执法方法及设备
KR20240008966A (ko) 주차공간 이용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차공유시스템
CN105957370A (zh) 一种基于QoE的交通调度大数据系统及方法
KR100608241B1 (ko) 통합 및 독립적 구성 조합에 의한 불법 주정차 무인 단속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CN114244827A (zh) 一种智慧城市监控系统
CN114038068A (zh) 一种视频巡检系统
KR20230170225A (ko) 스마트 시티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CN114267182B (zh) 一种违章提醒机器人系统及违章提醒方法
CN212084381U (zh) 一种具有识别功能的停车管理系统
KR20080021225A (ko) 교통/재난 및 지리적 현황에 대한 지리적 감시시스템
KR20030009243A (ko) 단거리무선단말기(dsrc)를 이용한 불법주차단속시스템버스우선신호시스템 버스정보시스템 그 장치와 방법
Zeng et al. Intelligent transport management system for urban traffic hubs based on an integration of multiple technologies
CN217606448U (zh) 一种基于车路协同的动态交通管控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