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760A - Moving device for rigid catenary system - Google Patents

Moving device for rigid catenar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760A
KR20230169760A KR1020220070289A KR20220070289A KR20230169760A KR 20230169760 A KR20230169760 A KR 20230169760A KR 1020220070289 A KR1020220070289 A KR 1020220070289A KR 20220070289 A KR20220070289 A KR 20220070289A KR 20230169760 A KR20230169760 A KR 20230169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block
clutch
block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일
장광동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0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9760A/en
Publication of KR20230169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760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3/00Feeding power to supply lines in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s; Arrangements for consuming regenerative power
    • B60M3/04Arrangements for cutting in and out of individual track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involving features specific to the use of a compressible medium, e.g. air, steam
    • F15B11/072Combined pneumatic-hydraulic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02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disengaged by a contact of a part mounted on the clutch with a stationarily-mounted member
    • F16D11/04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disengaged by a contact of a part mounted on the clutch with a stationarily-mounted member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강체전차선을 이동시킬 수 있고 비상 시에는 강체전차선을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모터와 강체전차선의 동력전달을 차단시키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that blocks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motor and the rigid catenary so that the rigid catenary can be moved with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in normal times and the rigid catenary can be manually moved in an emergency.

Description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Moving device for rigid catenary system}{Moving device for rigid catenary system}

본 발명은 강체전차선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강체전차선을 이동시킬 수 있고 비상 시에는 강체전차선을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모터와 강체전차선의 동력전달을 차단시키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for moving a rigid catenar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that blocks the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motor and the rigid catenary so that the rigid catenary can be moved with the driving power of the motor in normal times and the rigid catenary can be manually moved in an emergency. .

고속철도의 개통과 더불어 신교통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전기철도는 최근 전기철도의 고속화, 대용량화 및 운전 시간 간격의 단축으로 인해 전차선로의 성능과 신뢰도 그리고, 안전성 향상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Electric railways, which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means of transportation with the opening of high-speed railway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reliability, and safety of tram lines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speed, large capacity, and shortening of operation time intervals of electric railways.

여기서 전차선로는 선로를 운행하는 전동차의 집전장치와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차선 등의 선로와 이에 부속하는 설비를 총칭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Here, a tram line can be defined as a general term for tracks such as tram lines and facilities attached thereto that are used to supply power by contacting the current collectors of electric trains running on the tracks.

전동차의 주행 시 필요한 전력은 전차선로 및 차량의 판토그라프(pantograph)의 집전장치를 통하여 공급받게 되는데, 전동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로는 전기를 급전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되고 있다.The power required when a train runs is supplied through a current collector on the tram line and the vehicle's pantograph. The tram lines that supply electricity to the train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supplying electricity.

구체적으로, 상기 전차선로는 가공식(Overhead Catenary System)과 제3궤조식(Third Rail System)으로 구분될 수 있고, 가공식 전차선로는 다시 강체 조가 방식과 현수 조가 방식으로 구분된다.Specifically, the tramway can be divided into an overhead catenary system and a third rail system, and the overhead catenary system is further divided into a rigid catenary system and a suspended catenary system.

여기서 현수 조가 방식은 조가선을 이용하여 전차선을 가선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지상 구간에 적용되고 있는데, 전차선과 조가선 및 드로퍼선을 함께 가선해야 하고, 장력 조절 장치 등 주변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소요 가선고가 높고, 복잡하여 터널 구간에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현수 조가 방식 전차선로를 터널 구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터널 단면적 또는 내부 높이가 커야하기 때문에 건설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또한 설치공간이 협소하므로 일상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Here, the suspension method is a method of catenating a catenary using a catenary line and is generally applied to above-ground sections. The catenary, catenary line, and dropper line must be catenated together, and peripheral devices such as tension control devices are required, so the required catenary height is high. ,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apply to tunnel sections. In other words, in order to apply a suspension type tramway to a tunnel sec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r internal height of the tunnel must be large, which requires excessive construction costs, and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daily inspection and maintenance difficult because the installation space is small.

상기 제3궤조식은 급전용 레일을 노면 상 또는 측면에 설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터널과 같이 협소한 공간상에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급전용 레일이 지면에 배치되는 특성상 감전의 위험이 커 일부 특수한 구간에만 적용되고 있다.The third rail type is a method of supplying power by installing a feed rail on the road surface or on the sid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such as a tunnel, but due to the nature of the feed rail being placed on the ground, there is no risk of electric shock. Due to the high risk, it is only applied to certain special sections.

한편, 상기 강체 조가 방식은 전차선을 강체에 일체화시켜 전차선과 수직하게 설치된 브래킷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해 설치하는 것으로, 조가선이 요구되지 않고, 별도의 장력 유지 장치가 필요치 않으므로 터널 등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가 어려운 구간에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강체식 전차선로는 설치시 소요공간이 작아 신설 터널에서 건설비용을 대폭 경감할 수 있으며, 터널 내부에서의 유지보수 작업에 있어서도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igid body rigging method integrates the tram line into a rigid body and installs it using a separate structure such as a bracket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tram line. Since it does not require a tram line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tension maintenance device, it can be used in narrow spaces such as tunnels. It is applied to areas where installation is difficult. Therefore, the rigid tramway can significantly reduce construction costs in new tunnels due to the small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is also very advantageous in maintenance work inside the tunnel.

국내에서 강체전차선은 Rigid Bar를 줄여 R-Bar 라고 표현하는데, 이중 단면의 형상이 T 자와 유사한 형태의 강체전차선은 특별히 T-Bar 라고 불리우고 있다. 상기 R-Bar가 T-Bar에 비하여 시공성, 집전 성능이 우수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DC 구간에는 T-Bar 를 적용하고, AC 구간에는 R-Bar 를 적용하고 있다.In Korea, rigid catenary is shortened to Rigid Bar and is expressed as R-Bar, and rigid catenary with a cross-sectional shape similar to the letter T is specifically called T-Bar. Although the R-Bar is widely used because it has superior constructability and current collection performance compared to the T-Bar, in Korea, the T-Bar is applied to the DC section and the R-Bar is applied to the AC section.

이러한 강체전차선은 일반 선로상에서는 지지브래킷 등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고정식 가선방식은 열차의 주행 이외에 차량의 검수 및 유지보수, 화물의 하역 등과 관련된 일련의 작업, 특히 철도차량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에 있어서는 충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며, 전차선 가선구간에서는 감전, 추락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These rigid tram lines are installed to be supported in a fixed state by support brackets, etc. on general tracks. However, this fixed catenary method does not provide sufficient work space for a series of tasks related to vehicle inspection and maintenance, unloading and unloading of cargo, etc. in addition to the running of the train, especially work performed on the top of the railroad car, and electric shock and falls can occur in the catenary section. There are problems such as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철도차량의 유지보수나 점검작업 그리고 화물의 하역 등이 이루어지는 검수고 및 화물 야적장 등에서 전차선을 이동 가능하게 한 이동식 강체전차선이 사용되고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mobile rigid tram lines that enable the movement of tram lines are being used in inspection depots and cargo yards where maintenance and inspection work on railway vehicles and unloading of cargo are performed.

이하 종래의 이동식 강체전차선의 브래킷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racket system of a conventional mobile rigid catenar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종래의 이동식 강체전차선의 브래킷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Figure 1 shows a front view of the bracket system of a conventional mobile rigid catenary.

종래의 이동식 강체전차선의 브래킷 시스템은 강체전차선(20)을 지지하는 지지클램프(10)와, 상기 지지클램프(10)가 일단에 장착되는 지지브래킷(30)과, 상기 지지브래킷(3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브래킷(30)의 타단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회전축(50)과, 축커플러(60)를 통해 상기 회전축(50)에 연결되는 감속기(70)와, 상기 감속기(70)에 연결되는 구동모터(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racket system of a conventional mobile rigid catenary includes a support clamp (10) supporting the rigid catenary (20), a support bracket (30) on which the support clamp (10) is mounted at one end, and the support bracket (30) is rotated. In order to do so, a rotating shaft 50 is mounted perpendicularly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racket 30, a reducer 70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50 through a shaft coupler 60, and a reducer 70 connected to the reducer 7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motor (80).

강체전차선(20)은 전동열차(1)의 팬터그래프(2)와 접촉 상태로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지지브래킷(30)에 의하여 철로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브래킷(30)의 일단에는 강체전차선(20)이 장착되는 지지클램프(1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브래킷(30)의 타단에 상기 지지브래킷(3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수직하게 장착된 회전축(50)이 구비된다.The rigid catenary (20)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while in contact with the pantograph (2) of the electric train (1)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ilway by means of a support bracket (30). A support clamp 10 on which a rigid catenary 20 is mounted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racket 30, and a rotation shaft is vertically mount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racket 30 to rotate the support bracket 30. (50) is provided.

상기 회전축(50)은 지면 또는 벽면 등에 설치된 지지프레임(40)에 장착되는데, 상기 회전축(50)은 상기 회전축(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회전축(50)을 상기 지지프레임(40)에 장착하기 위한 마운트 부재(41)를 매개로 장착된다. 이때 상기 마운트 부재(41)는 고정부재(43, 45)에 의해 지지프레임(40)에 고정된다.The rotation shaft 50 is mounted on a support frame 40 installed on the ground or a wall, etc., and the rotation shaft 50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on shaft 50 and attaches the rotation shaft 50 to the support frame 40. It is mounted via a mount member 41 for mounting. At this time, the mount member 41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40 by fixing members 43 and 45.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구동모터(80)가 작동하여 회전축(50)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50)에 결합된 지지브래킷(30)가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브래킷(30)의 끝단에 장착된 강체전차선(20)은 지지브래킷(3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When the drive motor 80 operates in the state shown in FIG. 1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50, the support bracket 30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50 rotates, so it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support bracket 30. The rigid catenary (20) moves along the support bracket (30).

이때, 이동식 강체전차선의 회피 동작이 필요시 정전이 발생되거나 구동모터(80)가 고장나는 경우에는 지지브래킷(30)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강체전차선(20)을 이동시켜야 하는데, 상기 구동모터(80)가 서보모터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서보모터의 자체 브레이킹 시스템에 의해 회전축(50) 및 이에 결합된 지지브래킷(30)의 회전이 불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when avoidance operation of the mobile rigid catenary is necessary, if a power outage occurs or the drive motor 80 breaks down, the support bracket 30 must be manually rotated to move the rigid catenary 20. ) is applied as a servomot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otation shaft 50 and the support bracket 30 coupled thereto cannot be rotated due to the servomotor's own braking system.

따라서 정전 및 구동모터(80) 고장 시에는 구동모터(80)의 구동축와 회전축(50)을 물리적으로 분리시켜 지지브래킷의 수동 작동이 가능해야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구동모터 등을 해체하는 작업이 요구되어,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었다.Therefore,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or failure of the drive motor 80,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80 and the rotation shaft 50 must be physically separated to enable manual operation of the support bracket. However, this requires dismantling the drive motor, etc. Workability was greatly reduced.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강체전차선을 이동시킬 수 있고 비상 시에는 강체전차선을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모터와 강체전차선의 동력전달을 차단시키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that blocks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motor and the rigid catenary so that the rigid catenary can be moved with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in normal times and the rigid catenary can be manually moved in an emergency. Make it an assignment.

또한, 본 발명은 정전 시에도 구동모터와 회전축 간의 동력전달을 수동으로 해제시킬 수 있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mobile rigid catenary drive device that can manually disable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drive motor and the rotating shaft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지지프레임과 평행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샤프트로 선택적 전달 또는 차단이 가능한 클러치유닛; 및,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회전샤프트에 결합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 타단에 강체전차선이 장착되는 지지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motor coupled to a support frame; a rotation shaft mounted parallel to the support frame and driven by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A clutch unit capable of selectively transmitting or block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to the rotation shaft; And, a support bracket whose longitudinal end extends horizontally to b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on which the rigid catenary is mounted at the other longitudinal end,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클러치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클러치블록과, 상기 제1 클러치블록의 상면에 결착 또는 분리됨에 따라 동력전달 및 동력차단이 이루어지는 제2 클러치블록과, 상기 제2 클러치블록의 상측에 위치되어 전류 인가 시 상기 제2 클러치블록을 상측으로 견인하여 상기 제2 클러치블록을 상기 제1 클러치블록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전자석블록과, 상기 제2 클러치에 하향 탄성력을 인가하는 가압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제2 클러치블록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utch unit, a first clutch block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ve motor and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from the drive motor, transmits power and blocks power by engaging or separat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lutch block. A second clutch block in which this is achieved, an electromagnet block located above the second clutch block that pulls the second clutch block upward when an electric current is applied to separate the second clutch block from the first clutch block, and It consists of a pressure spring that applies downward elastic force to the second clutch, and the rotation shaft is coupled with the second clutch block and can rotate together.

그리고, 상기 제1 클러치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제1 클러치블록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어가 구비되는 제1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클러치블록의 저면에는 상기 제1 기어와 형합되는 다수의 기어가 구비되는 제2 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gea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gears arranged in a circle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clutch block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lutch block, and the first gea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lutch block are formed. A second gear unit may be formed including a plurality of gears that are aligned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2 클러치블록의 상면에는 원통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자석블록의 저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인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자석블록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클러치블록만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a cylindrical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lutch block, and a cylindrical inlet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magnet block, so that when the electromagnet block is fixed, the second clutch block Only it can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이 경우, 상기 전자석블록은 상기 돌출부의 상면과 대응되는 지점의 내부에 전자석이 내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magnet block may have an electromagnet built into the interior of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그리고, 상기 제2 클러치블록은 외주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플랜지의 저면에 위치되는 하부 거치부를 구비하여 상방으로 추진되었을 때 상기 제2 클러치블록을 상방으로 추진시키는 승강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lutch block has a flang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i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and has a lower mounting portion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flange, so that when pushed upward, the second clutch block has a flange that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t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frame that propels the second clutch block upward.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에 연결된 클러치와이어를 상향으로 견인하는 승강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lever that pulls the clutch wire connected to the lifting frame upward.

그리고, 상기 승강레버와 상기 클러치와이어는 완충스프링을 연결매개체로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ifting lever and the clutch wire may be connected using a shock absorbing spring as a connecting medium.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감속시킨 후 상기 제1 클러치블록으로 전달하는 감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t may further include a reducer that reduces the rotational force output from the drive motor and then transmits it to the first clutch block.

이 경우,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향으로 추진하기 위한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may include a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to propel the lifting frame upward.

그리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샤프트를 지지하는 상부 거치부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에 상기 실린더의 추진축이 연결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상방향 추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ylinder is fastened to the support frame and mounted on an upper mount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and the propulsion shaft of the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lifting frame to propel the lifting frame upwar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상부 거치부 상에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air of cylinders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n the upper mounting portion.

여기서, 상기 실린더의 추진축은 상기 승강프레임에 체결되는 브라켓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propulsion shaft of the cylinder may be connected to a bracket member fastened to the lifting frame.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에 의하면, 구동모터 고장 시 구동모터와 회전축 간의 동력전달을 해제시킬 수 있어 상기 구동모터 고장 시 지지브래킷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ing motor fails,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driving motor and the rotation shaft can be released, and the support bracket can be manually rotated when the driving motor breaks dow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에 의하면, 정전 등에 의해 클러치 작동이 불가하더라도 구동모터와 회전축 간의 동력전달을 수동으로 해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driving motor and the rotating shaft can be manually released even if the clutch operation is impossible due to a power outage or the like.

도 1은 종래의 이동식 강체전차선의 브래킷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의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의 사시도와 정면도와 단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에 포함되는 제2 클러치블록과 전자석블록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제1 클러치블록과 제2 클러치블록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Figure 1 shows a front view of the bracket system of a conventional mobile rigid catenary.
Figure 2 show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to 5 show a perspective view, front view, and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econd clutch block and the electromagnet block included in 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lutch block and the second clutch block.
Figures 8 to 10 show a use state diagram of 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so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의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의 사시도와 정면도와 단면사시도를 도시한다.Figure 2 show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3 to 5 show a perspective view, front view, and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는 구동모터(200)의 동력으로 지지브래킷(600)을 회전시킬 때 구동모터(200)의 동력전달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200)가 고장났을 때 지지브래킷(600) 회전을 수동으로 할 수 있다 점에 기능상의 특징이 있다.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power transmission of the driving motor 200 can be block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when the support bracket 600 is rotated with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200. A functional feature is that when the motor 200 breaks down, the support bracket 600 can be rotated manually.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는, 지지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구동모터(200)와,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장착되되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샤프트(500)와,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샤프트(500)로 선택적 전달 또는 차단이 가능한 클러치유닛(400)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회전샤프트(500)에 결합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 타단에 강체전차선(610)이 장착되는 지지브래킷(600)을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이때, 상기 회전샤프트(500)를 따라 회전하여 강체전차선(610)을 이동시키는 지지브래킷(600)은 종래의 이동식 강체전차선용 브래킷 시스템에 적용되는 지지브래킷(30:도 1 참조)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지지브래킷(600)의 결합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지지브래킷(600)이 과도하게 빠르게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20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감속시킨 후 상기 제1 클러치블록(410)으로 전달하는 감속기(3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motor 200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00, and a rotation device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100 and drive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200. A shaft 500, a clutch unit 400 capable of selectively transmitting or block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200 to the rotation shaft 500, and a longitudinal end horizontal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500. It extends and includes a support bracket 600 on which a rigid catenary 610 is mounted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basic component. At this time, the support bracket 600, which rotates along the rotation shaft 500 to move the rigid catenary 6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upport bracket 30 (see Figure 1) applied to the conventional bracket system for movable rigid catenary.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upling structure and operating principle of the support bracket 600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upport bracket 600 from rotating excessively quickly, a reducer 300 is added to reduce the rotational force output from the drive motor 200 and then transmit it to the first clutch block 410. It can be provided with .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는 구동모터(200)에서 출력되는 동력(더 명확하게는 구동모터(20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항상 회전샤프트(500)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구동모터(200)와 회전샤프트(500) 사이에 구비되는 클러치유닛(400)에 의해 동력 전달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므로 상기 구동모터(200)가 고장나거나 오작동을 일으킬 때 구동모터(200)의 동력전달을 차단시킴으로써 지지브래킷(600)의 회전 및 이에 따른 강체전차선(610) 이동을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output from the drive motor 200 (more specificall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200) is not alway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shaft 500, but the drive motor ( Since power transmission is selectively blocked by the clutch unit 400 provid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500 and the rotation shaft 500, power transmission of the drive motor 200 is blocked when the drive motor 200 breaks down or malfunction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otation of the support bracket 600 and the resulting movement of the rigid catenary 610 can be performed manually.

한편, 상기 구동모터(200)는 넓은 범위에서 연속적인 속도 제어가 가능하며 역전을 포함해 즉응성이 뛰어난 서보모터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서보모터는 고장 또는 전류 공급 차단으로 인해 구동축이 정지되었을 때 상기 구동축이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하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00)가 서보모터로 적용되고 상기 회전샤프트(500)가 서보모터의 구동축에 직접 결합되면, 때 상기 회전샤프트(500) 역시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브래킷(60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이 불가능해진다는 문제가 발생된다.Meanwhile, the drive motor 200 is capable of continuous speed control in a wide range and is often applied as a servomotor with excellent responsiveness, including reversal. In the servomotor, the drive shaft stops due to failure or current supply interruption. When turned on, the drive shaft does not rotate in any direction and remains fixed. Therefore, when the drive motor 200 is applied as a servomotor and the rotation shaft 500 is directly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servomotor, the rotation shaft 500 also cannot rotate in any direction, and thus the support A problem arises in that manual rotation of the bracket 600 becomes impossibl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는 구동모터(200)의 구동축과 회전샤프트(500) 간의 연결이 클러치유닛(400)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샤프트(500)가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더라도 지지브래킷(600)을 수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강체전차선(61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However, in 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200 and the rotation shaft 500 can be separated by the clutch unit 400, so the rotation shaft 500 of the drive motor 200 )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ve the rigid tramline 610 by manually rotating the support bracket 600 even if it is fixed so that it cannot rotate in any direction.

또한, 상기 클러치유닛(400)은 구동모터(20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요소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되, 상기 구성요소들의 물리적 분리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the clutch unit 400 has a structural feature in that the components that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200 are physically separated, and the physical separation of the components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즉, 상기 클러치유닛(400)은, 상기 구동모터(2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모터(20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클러치블록(410)과, 상기 제1 클러치블록(410)의 상면에 결착 또는 분리됨에 따라 동력전달 및 동력차단이 이루어지는 제2 클러치블록(420)과,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의 상측에 위치되어 전류 인가 시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을 상측으로 견인하여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을 상기 제1 클러치블록(41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전자석블록(430)과, 상기 제2 클러치에 하향 탄성력을 인가하는 가압스프링(440)으로 구성된다.That is, the clutch unit 400 includes a first clutch block 410 located above the drive motor 200 and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from the drive motor 200, and the first clutch block ( A second clutch block 420 that transmits power and blocks power by being attached to or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410),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lutch block 420 and when a current is applie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t consists of an electromagnet block 430 that pulls upward to separate the second clutch block 420 from the first clutch block 410, and a pressure spring 440 that applies downward elastic force to the second clutch. .

따라서 상기 전자석블록(43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아니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이 상기 가압스프링(440)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되어 제1 클러치블록(410)의 상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회전샤프트(500)는 구동모터(200)의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상태 즉, 상기 구동모터(200)의 구동축이 고정되면 상기 회전샤프트(500) 역시 독립적으로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전자석블록(430)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성을 갖게 되면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은 상방으로 추진하여 상기 전자석블록(430)에 붙게되고,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은 제1 클러치블록(410)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분리되므로,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에 연결된 회전샤프트(500)는 상기 구동모터(200)의 구동축이 고정되더라도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제1 클러치블록(410)과 제2 클러치블록(420)의 결착 또는 분리구조는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refore, while the current is not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block 430,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pressed downward by the pressure spring 440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lutch block 410, thereby causing the rotation. The shaft 500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200, that is, when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200 is fixed, the rotation shaft 500 also cannot rotate independently. However,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block 430 and becomes magnetic,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propelled upward and attached to the electromagnet block 430, an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attached to the first clutch block 430. Since it is separated so that it can rotate independently from the clutch block 410, the rotation shaft 500 connected to the second clutch block 420 can rotate independently even if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200 is fixed. The connection or separation structure of the first clutch block 410 an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한편, 상기 전자석블록(430)은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내부에 매립된 전자석(432)이 자력을 띠게 되어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을 상향으로 끌어 당기게 되는데, 정전이 되면 상기 전자석블록(430)이 자성을 가지지 못하게 되어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을 상향으로 끌어 당기지 못하게 되어, 지지브래킷(60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block 430, the electromagnet 432 embedded inside becomes magnetic and pulls the second clutch block 420 upward. When a power failure occurs, the electromagnet block 430 ) ceases to have magnetism, making it impossible to pull the second clutch block 420 upward, resulting in a problem in that the support bracket 600 cannot be rotated manually.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는 정전 시에도 제2 클러치블록(420)을 상방으로 추진시켜 제1 클러치블록(410)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을 상측으로 견인하는 승강프레임(70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ushes the second clutch block 420 upward so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lutch block 410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A lifting frame 7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이때,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은 외주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421)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프레임(700)은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장착되되 상기 플랜지(421)의 저면에 위치되는 하부 거치부(71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프레임(700)이 사용자에 의해 상방으로 추진되었을 때 상기 승강프레임(700)의 하부 거치부(710)가 제2 클러치블록(420)의 플랜지(421)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되므로,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은 상기 제1 클러치블록(410)으로부터 이격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provided with a flange 421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lifting frame 700 is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100 i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and the flange 421 ) is configured to have a lower mounting portion 710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Therefore, when the lifting frame 700 is pushed upward by the user, the lower mounting portion 710 of the lifting frame 700 pushes the flange 421 of the second clutch block 420 upwar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lutch block 410.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클러치블록(420)을 끌어 올리기 위한 별도의 승강프레임(700)이 구비되면, 정전이 발생하여 상기 전자석블록(430)이 작동을 하지 아니하더라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1 클러치블록(410)과 제2 클러치블록(420)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지지브래킷(600)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if a separate lifting frame 700 is provided to raise the second clutch block 420, even if the electromagnet block 430 does not operate due to a power outage, the user can manually lift the first clutch block 420. By disconnecting the block 410 an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the support bracket 600 can be manually rotated.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는 사용자가 이격된 위치에서도 상기 승강프레임(700)을 수동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프레임(700)에 연결되는 클러치와이어(720)와, 상기 클러치와이어(720)를 상향으로 견인하는 승강레버(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러치와이어(720) 및 승강레버(800)가 추가로 구비되면, 사용자는 선로와 멀리 떨어져 있는 지점에서도 상기 승강레버(800)를 조작함으로써 제1 클러치블록(410)과 제2 클러치블록(420)의 연결을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으므로, 제1 클러치블록(410)과 제2 클러치블록(420)의 연결 해제 조작이 매우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비상상황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utch connected to the lifting frame 700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tow the lifting frame 700 even in a distant pos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wire 720 and a lifting lever 800 that pulls the clutch wire 720 upward. In this way, when the clutch wire 720 and the lifting lever 800 are additionally provided, the user operates the lifting lever 800 even at a point far from the track to connect the first clutch block 410 and the second clutch block ( Since the connection of 420 can be released manually, not only is it very easy to disconnect the first clutch block 410 an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but also an immediate response is possibl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한편, 상기 승강레버(800)를 조작하여 클러치와이어(720)로 제2 클러치블록(420)을 견인할 때 승강레버(800)에 의한 클러치와이어(720)의 견인 거리가 과도하게 길게 설정되면,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이 매우 큰 힘으로 전자석블록(430)에 압착되어 제2 클러치블록(420)이나 전자석블록(430)이 손상되거나, 상기 클러치와이어(720)가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물론, 클러치와이어(720)의 견인 거리를 처음부터 짧게 설정하면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지지만, 제2 클러치블록(420)의 상승거리가 너무 짧아 제1 클러치블록(410)과의 이격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pulled with the clutch wire 720 by operating the lifting lever 800, if the pulling distance of the clutch wire 720 by the lifting lever 800 is set excessively long,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pressed against the electromagnet block 430 with a very large force, causing the second clutch block 420 or the electromagnet block 430 to be damaged or the clutch wire 720 to be broken. It can be. Of course, if the traction distance of the clutch wire 720 is set short from the beginning, there is no risk of the above problem occurring, but the rising distance of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too shor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lutch block 410 an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too short. Separation may not be performed properly.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는 상기 승강레버(800)의 조작에 의한 클러치와이어(720)의 견인 거리가 다소 길게 설정되더라도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이 과도하게 큰 힘으로 전자석블록(430)에 압착되지 않도록, 상기 승강레버(800)와 상기 클러치와이어(720)를 연결하는 완충스프링(81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raction distance of the clutch wire 720 by manipulating the lifting lever 800 is set to be somewhat long, the second clutch block 420 blocks the electromagnet block with excessively large force. A buffer spring 810 connecting the elevating lever 800 and the clutch wire 72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so as not to be compressed by 430.

이와 같이 승강레버(800)와 클러치와이어(720)가 완충스프링(810)을 연결매개체로 연결되면, 상기 클러치와이어(720)가 과도하게 많이 당겨지더라도 제2 클러치블록(420)이 전자석블록(430)에 밀착된 이후에는 상기 완충스프링(810)이 늘어나 상기 클러치와이어(720)의 변위량을 흡수하게 되므로,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이 전자석블록(430)에 과도하게 큰 힘으로 충격되는 현상이나 상기 클러치와이어(720)의 단선을 예방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lifting lever 800 and the clutch wire 720 are connected with the buffer spring 810 as a connecting medium, even if the clutch wire 720 is pulled excessively,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an electromagnet block ( After being in close contact with 430, the buffer spring 810 is stretched to absorb the displacement of the clutch wire 720, so that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not impacted with an excessively large force on the electromagnet block 430. This phenomenon or disconnection of the clutch wire 720 can be prevent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에 포함되는 제2 클러치블록(420)과 전자석블록(43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Figure 6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econd clutch block 420 and the electromagnet block 430 included in 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전자석블록(430)은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선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클러치블록(42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을 따라 회전하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때,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과 전자석블록(430)이 단순한 면접촉을 하도록 구성되면,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이 회전할 때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이 수평방향으로 흔들릴 우려가 있다.Since the electromagnet block 430 is connected to a wire so that it can receive current from the outside, even if the second clutch block 420 rotates, it must remain fixed without rotating along the second clutch block 420. do. At this time, if the second clutch block 420 and the electromagnet block 430 are configured to make simple surface contact, the second clutch block 420 may shak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second clutch block 420 rotates. There are concerns.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는, 상기 전자석블록(43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이 수평방향으로 흔들리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의 상면에는 원통 형상의 돌출부(424)가 형성되고, 상기 전자석블록(430)의 저면에는 상기 돌출부(424)가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인입부(43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cond clutch block 420 so that the second clutch block 420 can rotate stably without shak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the electromagnet block 430 is fixed. ), a cylindrical protrusion 42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cylindrical inlet 434 into which the protrusion 424 is inserted is preferab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lectromagnet block 430.

이와 같이 제2 클러치블록(420)의 돌출부(424)는 외측면이 전자석블록(430)의 인입부(434) 내측면에 압착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접촉되도록 삽입되므로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지 아니하고 회전만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424 of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inserted so that the outer surface simply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part 434 of the electromagnet block 430, rather than being pressed. Therefore,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only rotate without shak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achieved.

이때, 상기 회전샤프트(500)의 하단은 전자석블록(430)의 인입측 키홀(436)을 관통한 후 제2 클러치블록(420)의 돌출측 키홀(426)에 삽입되므로 상기 회전샤프트(500)는 전자석블록(430)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되 제2 클러치블록(420)과는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500 penetrates the keyhole 436 on the inlet side of the electromagnet block 430 and is then inserted into the keyhole 426 on the protruding side of the second clutch block 420, so that the rotary shaft 500 Rotates independently of the electromagnet block 430, but rotates integrally with the second clutch block 420.

도 7은 제1 클러치블록(410)과 제2 클러치블록(420)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Figure 7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lutch block 410 an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제1 클러치블록(410)과 제2 클러치블록(420)은 상호 압착되었을 때 동력 전달이 가능하고 상호 이격되었을 때 동력전달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제1 클러치블록(410)과 제2 클러치블록(420)이 마찰클러치 구조로 구성되면 즉, 상호 간의 마찰력 크기에 따라 동력전달 여부가 결정되도록 구성되면, 제1 클러치블록(410)이 회전하더라도 제2 클러치블록(420)이 회전하지 아니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러치블록(410)과 제2 클러치블록(420) 간의 마찰력이 감소하거나, 지지브래킷(600)의 하중이 증가하여 제2 클러치블록(420)을 회전시키는데 큰 힘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제1 클러치블록(410)이 제2 클러치블록(420)에 밀착되어 있더라도 상기 제1 클러치블록(410)만이 회전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The first clutch block 410 an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are configured to enable power transmission when pressed against each other and to block power transmission whe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clutch block 410 an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f (420) is configured as a friction clutch structure, that is, if power transmiss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mutual friction force, the second clutch block 420 does not rotate even if the first clutch block 410 rotates. may occur. For example, when the friction between the first clutch block 410 an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decreases, or the load on the support bracket 600 increases, a large force is required to rotate the second clutch block 420. , Even if the first clutch block 4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clutch block 420, only the first clutch block 410 may rotate.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는 제1 클러치블록(410)과 제2 클러치블록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클러치블록(410)과 제2 클러치블록(420)이 기어결합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클러치블록(41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클러치블록(4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어가 구비되는 제1 기어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의 저면에는 상기 제1 기어(412)와 형합되는 다수의 기어가 구비되는 제2 기어부(422)가 형성될 수 있다.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rst clutch block 410 an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geared so that the first clutch block 410 and the second clutch block rotate at the same rotation speed. Can be combined in a bonding structure. 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first gear unit 41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lutch block 410 with a plurality of gears arranged in a circle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clutch block 410. ) is formed, and a second gear unit 42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clutch block 420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ears that are aligned with the first gear 412.

이와 같이 제1 클러치블록(410)의 상면과 제2 클러치블록(420)의 저면에 제1 기어(412)와 제2 기어(422)가 각각 형성되면, 상기 제1 기어(412)와 제2 기어(422) 간의 기어결합이 유지되는 한 상기 제1 클러치블록(410)과 제2 클러치블록(420)은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이 가능해지므로, 지지브래킷(600)의 회전각도를 매우 정밀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when the first gear 412 and the second gear 42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lutch block 4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lutch block 420, respectively, the first gear 412 and the second gear 422 As long as the gear engagement between the gears 422 is maintained, the first clutch block 410 an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can rotate at the same rotation speed, so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bracket 600 can be adjusted very precise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done.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Figures 8 to 10 show a use state diagram of 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 클러치블록(410)과 제2 클러치블록(420) 간의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제2 클러치블록(420)을 상방으로 추진하는 힘이 인가되지 아니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은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과 전자석(432) 블록 사이에 설치된 가압스프링(440)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 클러치블록(410)의 상면에 밀착된다.When power is transmitted between the first clutch block 410 an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that is, when the force that propels the second clutch block 420 upward is not applied,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pressed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essure spring 440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clutch block 420 and the electromagnet 432 block and is pres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lutch block 410. It adheres closely.

이와 같이 제2 클러치블록(420)이 제1 클러치블록(410)의 상면에 밀착되면 제1 기어(412)와 제2 기어(422)가 기어결합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구동모터(200)가 구동되었을 때 상기 구동모터(200)의 회전력이 상기 제1 클러치블록(410)과 제2 클러치블록(420)을 통해 회전샤프트(500)로 전달되고, 지지브래킷(600)이 상기 회전샤프트(500)를 따라 회전되어 최종적으로는 강체전차선(610)이 이동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lutch block 410, the first gear 412 and the second gear 422 are in a gear-coupled state, so the drive motor 200 When driv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200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shaft 500 through the first clutch block 410 an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and the support bracket 60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500. ) is rotated along and ultimately the rigid tram line 610 moves.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블록(430)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전자석블록(430) 내에 매립된 전자석(432)이 자성을 띠게 되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러치블록(420)이 상기 전자석(432)을 향하는 방향 즉, 상측으로 이동하여 전자석블록(430)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전자석(432)이 돌출부(424)의 측면과 대응되는 부위에 내장되면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의 돌출부(424) 측벽이 전자석블록(430)의 인입부(434) 내벽에 붙어 상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전자석블록(43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424)의 상면과 대응되는 지점의 내부에 내장됨이 바람직하다.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block 430 in the state shown in FIG. 8, the electromagnet 432 embedded in the electromagnet block 430 becomes magnetic, so as shown in FIG. 9, the second clutch block 420 ) mov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electromagnet 432, that is, upward,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lectromagnet block 430. At this time, when the electromagnet 432 is built in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protrusion 424, the side wall of the protrusion 424 of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inlet part 434 of the electromagnet block 430. Since it cannot move upward smoothly, the electromagnet block 430 is preferably built inside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424 as shown in this embodiment.

이와 같이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전자석블록(430)에 밀착되면 상기 제2 기어(422)는 제1 기어(412)와 이격되어 분리되므로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1 클러치블록(410)이 고정되어 있더라도 제2 클러치블록(420)이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는 효과 즉, 구동모터(200)의 구동축 및 이에 연결된 제1 클러치블록(410)이 고착되어 있더라도 사용자가 지지브래킷(600)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second clutch block 420 moves upward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lectromagnet block 430, the second gear 42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gear 412, so in the state shown in FIG. 9, the second gear 42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gear 412. 1 Even if the clutch block 410 is fixe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can be rotated independently, that is, even if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200 and the first clutch block 410 connected to it are fixed, the user can The effect of being able to manually rotate the support bracket 600 can be obtain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는, 정전이나 전류공급장치의 이상 등으로 인하여 전자석블록(430)에 전류를 인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제2 클러치블록(42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이 제1 클러치블록(410)과 이격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승강레버(800)를 조작하여 클러치와이어(720)를 상측으로 견인하면(도 5 참조) 상기 승강프레임(700)은 클러치와이어(720)에 의해 상측으로 견인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프레임(700)의 하부 거치부(710)가 제2 클러치블록(420)의 플랜지(421)를 상측으로 끌어 올리게 되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러치블록(420)은 전자석블록(430)에 밀착된다.Meanwhile, 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second clutch block 420 upward even when current cannot be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block 430 due to a power outage or abnormality of the current supply device. 2 The clutch block 4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lutch block 410. That is, in the state shown in FIG. 8, when the user operates the lifting lever 800 and pulls the clutch wire 720 upward (see FIG. 5), the lifting frame 700 is moved upward by the clutch wire 720. It is towed, and as a result, the lower mounting portion 710 of the lifting frame 700 pulls the flange 421 of the second clutch block 420 upward, so as shown in FIG. 10, the second clutch block 420 )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lectromagnet block 430.

도 10에 도시된 경우도 상기 제2 기어(422)는 제1 기어(412)와 이격되어 분리되므로, 제1 클러치블록(410)이 고정되어 있더라도 제2 클러치블록(420)이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는 효과 즉, 구동모터(200)의 구동축 및 이에 연결된 제1 클러치블록(410)이 고착되어 있더라도 사용자가 지지브래킷(600)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Even in the case shown in FIG. 10, the second gear 42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gear 412, so even if the first clutch block 410 is fixed, the second clutch block 420 can rotate independently. That is, the user can manually rotate the support bracket 600 even if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200 and the first clutch block 410 connected thereto are fixed.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승강프레임(700)과 체결되는 하부 거치부(710)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프레임(700)의 승강시 상기 하부 거치부(710)는 함께 승강 구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a lower mounting portion 710 is provided that is fastened to the lifting frame 700 so that the second clutch block 420 is not tilted to one side, and when the lifting frame 700 is raised or lowered, the lower part 710 is provided. The mounting portion 710 may be driven up and down together.

상기 하부 거치부(710)는 제2 클러치블록(420)의 플랜지(421) 전체를 지지하여 상방으로 추진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승강프레임(700)은 클러치와이어(720)에 의해 상방으로 견인되었을 때 상기 제2 클러치블록(420)이 기울어지지 않고 추진될 수 있다면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가 변경될 수도 있다.The lower mounting portion 710 supports the entire flange 421 of the second clutch block 420 and propels it upward. However, the lifting frame 700 is moved upward by the clutch wire 720. If the second clutch block 420 can be propelled without tilting when towed, the design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 이하를 참조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Figure 1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ose referring to FIG. 3 and below will be omitted.

도 3 이하를 참조한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프레임(700)은 상기 클러치와이어(720)에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와이어는 승강레버(800)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작동되었다.3 and below, the lifting frame 700 was connected to the clutch wire 720, and the clutch wire was manually operated by manipulating the lifting lever 800.

그러나, 상기 승강프레임(700)은 와이어 견인 방식이 아닌 실린더 추진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However, the lifting frame 700 may also be configured by a cylinder propulsion method rather than a wire traction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는 상기 승강프레임(700)을 상향으로 추진하기 위한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7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740 for propelling the lifting frame 700 upward.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승강프레임(700)을 상방 추진하기 위하여, 지지프레임(100)에 체결되어 회전샤프트(500)와 베어링 등을 지지하는 상부 거치부(730) 상에 좌우로 2개의 실린더(740)가 설치되고, 각각의 실린더(740)의 추진축(743)은 승강프레임(700)과 체결되는 브라켓 부재(750)의 하부를 추진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in order to propel the lifting frame 700 upward, two mounts on the left and right are fastened to the support frame 100 and support the rotating shaft 500 and bearings, etc. Cylinder 740 is installed, and the propulsion shaft 743 of each cylinder 740 may be mounted to propel the lower portion of the bracket member 750 that is fastened to the lifting frame 700.

각각의 실린더(740)에는 공압 또는 유압 라인이 연결되는 연결밸브(741)가 구비되어 공압 또는 유압 등의 인가를 위한 공압장치(미도시) 또는 유압장치(미도시)가 실린더에 연결될 수 있고, 공압 또는 유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Each cylinder 74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valve 741 to which a pneumatic or hydraulic line is connected, so that a pneumatic device (not shown) or a hydraulic device (not shown) for applying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can be connected to the cylinder, It may be configured to regulate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상기 상부 거치부(730)는 승강프레임(700)에 체결되는 하부 거치부(710)와 달리 지지프레임(100)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실린더(740)가 구동되면, 상기 실린더(740)의 추진축(743)이 브라켓 부재(750)를 상방 추진하고, 상기 브라켓 부재(750)에 체결된 프레임(700)이 상방으로 추진되어 전술한 실시예에서 클러치와이어(720)가 프레임을 상방으로 견인하는 방식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upper mounting part 730 is fastened to the support frame 100, unlike the lower mounting part 710, which is fastened to the lifting frame 700. When the cylinder 740 is driven, the propulsion shaft of the cylinder 740 (743) pushes the bracket member 750 upward, and the frame 700 fastened to the bracket member 750 is pushed upward, so that the clutch wire 720 pulls the frame upwar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ame effect can be achieved.

따라서, 상기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740)에 의하여 전술한 클러치와이어(720) 및 승강레버(800) 방식보다 더욱 신속하게 상기 승강프레임(700)을 승강구동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740 can be used to lift and lower the lifting frame 700 more quickly than the clutch wire 720 and lifting lever 800 method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승강프레임(700)을 상향으로 추진하기 위한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740)는 클러치와이어(720) 및 승강레버(800)와 함께 제공되어 선택적으로 승강프레임(700) 승강 수단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740 for propelling the lifting frame 700 upward is provided with a clutch wire 720 and a lifting lever 800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determine the means for lifting the lifting frame 700. It could be.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is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described below. It will be possible to implement it. Therefore, if the modified implementation basically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지지프레임
200 : 구동모터
300 : 감속기
400 : 클러치유닛
100: support frame
200: driving motor
300: Reducer
400: Clutch unit

Claims (13)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지지프레임과 평행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샤프트로 선택적 전달 또는 차단이 가능한 클러치유닛; 및,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회전샤프트에 결합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 타단에 강체전차선이 장착되는 지지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
A drive motor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 rotation shaft mounted parallel to the support frame and driven by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A clutch unit capable of selectively transmitting or block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to the rotation shaft; and,
A movab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comprising a support bracket, one longitudinal end of which extends horizontally to b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n which the rigid catenary is moun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클러치블록과, 상기 제1 클러치블록의 상면에 결착 또는 분리됨에 따라 동력전달 및 동력차단이 이루어지는 제2 클러치블록과, 상기 제2 클러치블록의 상측에 위치되어 전류 인가 시 상기 제2 클러치블록을 상측으로 견인하여 상기 제2 클러치블록을 상기 제1 클러치블록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전자석블록과, 상기 제2 클러치에 하향 탄성력을 인가하는 가압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제2 클러치블록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lutch unit includes a first clutch block located on top of the drive motor and rotated by rotational force provided from the drive motor, and power transmission and power interruption by being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lutch block. A second clutch block, an electromagnet block located above the second clutch block that pulls the second clutch block upward when an electric current is applied to separate the second clutch block from the first clutch block, and the second clutch block It consists of a pressure spring that applies downward elastic force to the clutch,
A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shaft is coupled with the second clutch block and rotated toge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러치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제1 클러치블록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어가 구비되는 제1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클러치블록의 저면에는 상기 제1 기어와 형합되는 다수의 기어가 구비되는 제2 기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 first gear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lutch block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ears arranged in a circle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clutch block,
A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gear por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ears that are aligned with the first gear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clutch blo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러치블록의 상면에는 원통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자석블록의 저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인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자석블록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클러치블록만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 cylindrical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lutch block, and a cylindrical inlet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lectromagnet block,
A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so that only the second clutch block can rotate while the electromagnet block is fix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블록은 상기 돌출부의 상면과 대응되는 지점의 내부에 전자석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electromagnet block is a mobile rigid catenary driv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electromagnet is built into the interior of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러치블록은 외주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플랜지의 저면에 위치되는 하부 거치부를 구비하여 상방으로 추진되었을 때 상기 제2 클러치블록을 상방으로 추진시키는 승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econd clutch block has a flang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t is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i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lifted up and down, and has a lower mounting portion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flange, and further includes a lifting frame that propels the second clutch block upward when pushed upward. Rigid catenary drive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에 연결된 클러치와이어를 상향으로 견인하는 승강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
According to clause 6,
A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ifting lever that pulls the clutch wire connected to the lifting frame upwar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레버와 상기 클러치와이어는 완충스프링을 연결매개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
In clause 7,
A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lever and the clutch wire are connected through a buffer spring as a connecting medi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감속시킨 후 상기 제1 클러치블록으로 전달하는 감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ducer that reduces the rotational force output from the drive motor and then transmits it to the first clutch bloc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향으로 추진하기 위한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
According to clause 6,
A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comprising a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for propelling the lifting frame upwar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샤프트를 지지하는 상부 거치부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에 상기 실린더의 추진축이 연결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상방향 추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cylinder is fastened to the support frame and mounted on an upper mount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and the propulsion shaft of the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frame to propel the elevating frame upwar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상부 거치부 상에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A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er is provided in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on the upper mounting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추진축은 상기 승강프레임에 체결되는 브라켓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구동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A mobile rigid catenary dr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pulsion shaft of the cylinder is connected to a bracket member fastened to the lifting frame.
KR1020220070289A 2022-06-09 2022-06-09 Moving device for rigid catenary system KR202301697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289A KR20230169760A (en) 2022-06-09 2022-06-09 Moving device for rigid catenar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289A KR20230169760A (en) 2022-06-09 2022-06-09 Moving device for rigid catenar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760A true KR20230169760A (en) 2023-12-18

Family

ID=8930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289A KR20230169760A (en) 2022-06-09 2022-06-09 Moving device for rigid catenar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976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4054B (en) Travel structure of magnetic levitation type rail polling car
CN100453349C (en) Multipurpose vehicle for various types of travel ways
AU769394B2 (en) Monorail system
ES2787698T3 (en) Drive station arrangements
DE60220990T2 (en) MONORAIL SYSTEM
KR101908687B1 (en) Caterpillar excavator with line drive unit
JPS6357268B2 (en)
CN214689513U (en) Articulated system for rapidly realizing marshalling conversion between virtual rail train and articulated passenger car
AU2004245546B2 (en) Improved elevated rail transportation system
JP2007055351A (en) Railroad vehicle with derailment restoring device
CN201062187Y (en) Coal mine down-hole tunnel mono-rail hoister
CN210824118U (en) Wheel set transportation system for overhauling wheel set of railway rolling stock
KR20230169760A (en) Moving device for rigid catenary system
CN105437892A (en) Traction device of road-railer
CN112550451A (en) Motor car bogie and rubber wheel train
KR20230169761A (en) Apparatus for moving rigid catenary and water gate system having the same
US6324993B1 (en) Hydraulic load-shifting device for drawbar
CN112550249B (en) Rubber wheel train and brak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2578768B (en) Rubber tyer train's control system and rubber tyer train
CN115447627A (en) Bogie and empty rail train
CN210594859U (en) Cage and cage transport system
CN209938592U (en) Prefabricated flatcar system
EP1726503A2 (en) Monorail system
KR20170048661A (en) Shunting device using linear motor
CN112550250B (en) Rubber wheel train and brak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