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558A - 슬리팅용 리와인더 - Google Patents

슬리팅용 리와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558A
KR20230169558A KR1020220069851A KR20220069851A KR20230169558A KR 20230169558 A KR20230169558 A KR 20230169558A KR 1020220069851 A KR1020220069851 A KR 1020220069851A KR 20220069851 A KR20220069851 A KR 20220069851A KR 20230169558 A KR20230169558 A KR 20230169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core
rewinder
slitting
rotation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재영
차민수
김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69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9558A/ko
Publication of KR20230169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21Multiple web rol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2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longitudinal sli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9Supporting means for several rolls
    • B65H2301/41398Supporting means for several rolls juxtap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취 코어의 위치 및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권취되는 전극 판의 위치를 고정되게 하여 품질 균일성이 우수한 전극 롤을 제공할 수 있는 슬리팅용 리와인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리팅용 리와인더{Rewinder for Slitting}
본 발명은 슬리팅용 리와인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고갈에 의한 에너지원의 가격 상승, 환경 오염의 관심이 증폭되며,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가 미래생활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원자력, 태양광, 풍력, 조력 등 다양한 전력 생산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력 저장장치 또한 지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기 자동차에도 전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전지로, 대표적으로는 리튬(Li) 이차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양극판 및 음극판은 활물질, 도전제 바인더가 혼합된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박막과, 음극 집전체로 사용되는 구리 박막에 도포시키는 코팅 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 후 코팅공정이 끝난 전극의 용량 밀도를 높이고 집전체와 슬러리간의 접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예열 후 고온 가열된 한 쌍의 압연롤(1) 사이로 전극 판(A)을 통과시켜 원하는 두께로 압축하는 압연공정을 수행한다 (도 1 참조).
그리고 슬리팅 공정은, 도 2에서와 같이 압연공정이 완료된 전극 판(A)을 조립공정에서 권취할 수 있도록 커터(10,20)를 이용하여 전극 판(A)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는 공정이다.
상기 슬리팅을 거친 복수 개의 전극 판은 리와인더를 통해 전극 롤 형태로 권취되어 다양한 후 공정에 적용된다. 종래 리와인더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축; 및 회전 축이 관통 결합되는 중공을 갖고, 회전 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회전 축의 회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외주면을 따라 슬리팅된 전극 판이 롤 형태로 권취되는 복수 개의 권취 코어가 구비된다.
한편, 기존 리와인더 장비의 복수 개의 권취 코어는 회전하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좌우로 흔들림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전극 판이 일정한 위치에서 권취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최종 제품(전극 롤)에서 큰 수치의 캠버를 유발하여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고, 캠버 발생에 의한 후공정(와인딩 공정) 형교환 로스를 증가시켜 공정 생산성 저하를 일으켰다.
본 발명은 전극 판의 권취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최종 제품인 전극 롤의 품질 개선이 가능함에 따라 슬리팅 공정 및 후공정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슬리팅용 리와인더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슬리팅 공정을 거친 복수 개의 전극 판을 권취하는 리와인더 장비로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축; 회전 축이 관통 삽입되는 중공을 갖고, 회전 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회전 시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전극 판이 각각 권취되는 복수 개의 권취 코어; 및 복수 개의 권취 코어의 일 측면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 개의 제1 측면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측면 롤러의 돌출 영역은 인접한 두 개의 권취 코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슬리팅용 리와인더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슬리팅용 리와인더는 복수 개의 측면 롤러가 인접한 권취 코어의 간격을 유지시킴에 따라, 전극 판의 권취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차 전지의 전극판에 슬러리를 밀착시키는 압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슬리팅 장치 중 전극 판의 커팅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리와인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와인더의 지지 부재가 권취 코어의 측면에 접촉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와인더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전극 판의 권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권취 코어의 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1 지지 부재 및 권취 코어의 측면이 접촉 지지된 상태를 회전 축의 축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히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리와인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와인더의 지지 부재가 권취 코어의 측면에 접촉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와인더의 정면도이고, 도 6은 전극 판의 권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권취 코어의 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제1 지지 부재 및 권취 코어의 측면이 접촉 지지된 상태를 회전 축의 축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슬리팅 공정을 거친 복수 개의 전극 판을 권취하는 리와인더에 관한 것이다. 상기 리와인더는 슬리터 장비와 롤-투-롤 형태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와인더는 회전 축(100), 복수 개의 권취 코어(2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측면 롤러(3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축(100)은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 축(100)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 축(100)은 에어 샤프트일 수 있다. 상기 에어 샤프트는 에어와 샤프트 러그를 통해 회전 동안 권취 코어(2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권취 코어(200)는 회전 축(100)이 관통 삽입되는 중공을 갖고, 회전 축(1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회전 시 외주면(210)을 따라 전극 판(E)이 각각 권취된다 (도 6 참조). 슬리팅 공정에 의해 절단된 전극 판의 개수에 따라 권취 코어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팅 공정에 의해 6개의 절단된 전극 판이 만들어질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권취 코어(200)는 6개일 수 있다. 또한, 권취 코어(200)에 의해 권취된 전극 판(E)의 최종 형태는 전극 롤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측면 롤러(300)는 권취 코어(200)의 일 측면(220)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권취 코어(200)는 양 측면(22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만 제1 측면 롤러(300)가 마련된다. 이하에서, 제1 측면 롤러(300)가 마련된 권취 코어(200)의 측면을 일 측면(220A)이라 부르고, 측면 롤러(300)가 없는 권취 코어(200)의 측면을 타 측면(220B)라 부른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측면 롤러(300)의 돌출 영역은 인접한 두 개의 권취 코어 사이에 간격(L)을 형성한다. 상기 간격(L)은 제1 측면 롤러(300)의 돌출 길이에 대응한다. 제1 측면 롤러(300)의 돌출 길이를 통해 인접한 권취 코어의 간격(L)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롤러(300)는 권취 코어(200)의 일 측면(220A)에 아이들(idle)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측면 롤러(300)는 권취 코어(200)의 회전하면, 인접한 권취 코어의 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아이들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권취 코어(200)의 일 측면(220A)에는 측면 롤러(300)가 결합하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롤러(300)는 복수 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3개 일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롤러(300)는 권취 코어(200)가 회전하는 동안 인접한 두 개의 권취 코어(200) 사이의 간격 형성 및 상기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권취 코어(200)의 회전 동안 상기 제1 측면 롤러(300)의 돌출 영역은 인접한 권취 코어의 마주보는 타 측면(220B)을 접촉 지지하여 상기 간격(L)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권취 코어(200)의 회전 동안 상기 제1 측면 롤러(300)는 타 측면(200B)과 접촉 지지되면서 동시에 회전 할 수 있다. 2개의 인접한 권취 코어(200)의 마주보는 측면이 일 측면과 타 측면이 되도록, 복수 개의 권취 코어(200)는 일 측면(220A)이 일 방향으로 배열되게 회전 축(10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롤러(300)는 권취 코어(200)의 회전 동안 간격(L) 형성 및 상기 간격(L)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 떨림으로 인해 권취 코어(200)가 상하좌우로 흔들리는 문제를 방지하여, 캠버가 없는 우수한 품질의 전극 롤을 제공할 수 있고, 후공정(와인딩 공정) 형교환 로스(loss)를 감소시켜 공정 생산성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롤러(300)는 권취 코어(200)의 일 측면(220A) 원주를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면 롤러(300)가 2개일 경우 180° 간격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측면 롤러(300)가 3개일 경우, 120° 간격으로 배치되어 정삼각형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도 7 참조). 특히, 정삼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3 개의 제1 측면 롤러(300)가 권취 코어(200)의 간격(L) 유지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 축 방향을 따라 양 단에 위치한 제1 및 제2 외측 권취 코어(201, 202)를 각각 접촉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41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410, 420)는 제1 측면 롤러(300)에 의해 형성된 간격 유지, 권취 코어의 이탈 방지 및 위치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지지 부재(410)는 회전 축(100)의 일 단과 일체로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420)는 회전 축(100)의 다른 일 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지지 부재(420)는 회전 축(100)이 관통 삽입되는 중공을 갖는 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 부재(420)는 회전 축(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축(100)의 축 방향을 따라 좌우 이동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이동 나사(42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나사(423)를 조이거나 풀면서 제2 지지 부재(420)의 위치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부재(420)의 결합/분리를 통해 회전 축(100)에 권취 코어(200)를 끼거나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 부재(420)를 분리한 상태에서, 회전 축(100)의 다른 일 단은 개방되어 있을 수 있고, 권취 코어(200)를 상기 개방 영역에 끼운 후 회전 축(100) 일 단 방향으로 밀어 장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회전 축(100)의 다른 일 단에 제2 지지 부재(420)를 결합한 후 이동 나사(423)를 통해 권취 코어(200)와 밀착되게 제2 지지 부재(420)를 이동시킴으로써, 회전 축(100)에 장착된 권취 코어(200)의 이탈 방지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410)는 제1 외측 권취 코어(201)의 일 측면(201A)과 마주보며 권취 코어의 회전 동안 제1 외측 권취 코어(201)의 제1 측면 롤러(300)와 접촉 지지되는 제1 원형 접촉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원형 접촉부(411)는 제1 측면 롤러(300)의 돌출 영역과 접촉 지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원형 접촉부(411)와 제1 외측 권취 코어(201)의 일 측면(201A) 사이에 간격(L1)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420)는 제2 외측 권취 코어(202)의 타 측면(202B)과 마주보며 권취 코어의 회전 동안 제2 외측 권취 코어(202)의 타 측면(202B)과 접촉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측면 롤러(422)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2 원형 접촉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 롤러(422)는 제1 측면 롤러(200)와 대응하는 개수 및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원형 접촉부(421)와 제2 외측 권취 코어(202)의 타 측면(202B)는 제2 측면 롤러(422)를 매개로 접촉 지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원형 접촉부(421)와 제2 외측 권취 코어(202)의 타 측면(202B) 사이에 간격(L2)이 형성될 수 있다. 권취 코어(200) 및 제2 지지 부재(420)는 회전 축(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지지 부재(410)의 일 측면(201A) 방향으로 제1 측면 롤러(300) 및 제2 측면 롤러(422)가 마련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원형 접촉부(411)의 외경 크기는 권취 코어(200)의 내경 크기 이상이면서 외경 크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권취 코어(200)의 내경은 중공의 외경을 의미한다. 제2 원형 접촉부(421)의 외경 크기는 권취 코어(200)의 내경 크기 이상이면서 외경 크기 이하일 수 있다.
또한, 권취 코어의 회전 동안, 상기 제1 측면 롤러(300)는 권취 코어(200) 일 측면(220A) 내주(220D)와 제1 원형 접촉부(411)의 외주(411A) 사이에서 제1 원형 접촉부(411)와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도 8 참조). 또한, 제2 측면 롤러(422)도 권취 코어(200)의 회전 동안, 권취 코어(200)의 타 측면(220B) 내주와 제2 원형 접촉부(421)의 외주 사이에서 권취 코어(200)의 타 측면(220B)과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권취 코어(200)는 측면(220)의 가장 자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손잡이(5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원형 접촉부(411)와 인접한 권취 코어(200)의 일 측면(220A) 접촉 지지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손잡이(500)는 제1 원형 접촉부(411)의 외주(411A)와 권취 코어(200)의 외주(220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손잡이(500)가 제1 원형 접촉부(411)의 외주(220C) 보다 바깥에 위치함에 따라, 권취 코어(200)의 취급 용이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권취 코어(200)의 외주면(210) 폭(w)은 인접한 권취 코어(200) 사이의 간격(L) 이상일 수 있다.
본 출원은 또 하나의 슬리팅용 리와인더에 관한 것이다. 이하 전술한 내용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슬리팅용 리와인더는 슬리팅 공정을 거친 복수 개의 전극 판을 권취하는 리와인더 장비로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축(100); 회전 축(100)이 관통 삽입되는 중공을 갖고, 회전 축(1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회전 시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전극 판이 각각 권취되는 복수 개의 권취 코어(200); 및 회전 축 방향을 따라 양 단에 위치한 제1 및 제2 외측 권취 코어(201, 202)를 각각 접촉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410, 420)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권취 코어(200)의 일 측면(220A)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측면 롤러(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롤러(300)의 돌출 영역은 인접한 두 개의 권취 코어(200) 사이에 간격(L)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지지 부재(410)는 회전 축(100)의 일 단과 일체로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420)는 회전 축의 다른 일 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410)는 제1 외측 권취 코어(201)의 일 측면(220A)과 마주보며 권취 코어의 회전 동안 제1 외측 권취 코어(201)의 제1 측면 롤러(300)와 접촉 지지되는 제1 원형 접촉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420)는 제2 외측 권취 코어(202)의 타 측면(202B)과 마주보며 권취 코어의 회전 동안 제2 외측 권취 코어(202)의 타 측면(202B)과 접촉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측면 롤러(422)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2 원형 접촉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슬리팅 장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슬리팅 장비는 전술한 슬리팅용 리와인더를 포함한다. 슬리팅 장비는 슬리터와 전술한 슬리팅용 리와인더가 롤-투-롤 연결된 장비일 수 있다. 리와인더 이외 슬리터 장비를 구성하는 장비들은 공지된 다양한 장비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슬리팅 장비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회전 축
200: 권취 코어
300: 제1 측면 롤러

Claims (16)

  1. 슬리팅 공정을 거친 복수 개의 전극 판을 권취하는 리와인더 장비로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축;
    회전 축이 관통 삽입되는 중공을 갖고, 회전 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회전 시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전극 판이 각각 권취되는 복수 개의 권취 코어; 및
    복수 개의 권취 코어의 일 측면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측면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롤러의 돌출 영역은 인접한 두 개의 권취 코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슬리팅용 리와인더.
  2. 제 1 항에 있어서, 권취 코어의 회전 동안 상기 제1 측면 롤러의 돌출 영역은 인접한 권취 코어의 마주보는 타 측면을 접촉 지지하여 상기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슬리팅용 리와인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롤러는 권취 코어의 일 측면 원주를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슬리팅용 리와인더.
  4.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 축 방향을 따라 양 단에 위치한 제1 및 제2 외측 권취 코어를 각각 접촉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슬리팅용 리와인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회전 축의 일 단과 일체로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회전 축의 다른 일 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팅용 리와인더.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제1 외측 권취 코어의 일 측면과 마주보며 권취 코어의 회전 동안 제1 외측 권취 코어의 제1 측면 롤러와 접촉 지지되는 제1 원형 접촉부를 포함하는, 슬리팅용 리와인더.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제2 외측 권취 코어의 타 측면과 마주보며 권취 코어의 회전 동안 제2 외측 권취 코어의 타 측면과 접촉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측면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2 원형 접촉부를 포함하는, 슬리팅용 리와인더.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형 접촉부의 외경 크기는 권취 코어의 내경 크기 이상이면서 외경 크기 이하인, 슬리팅용 리와인더.
  9. 제 6 항에 있어서, 권취 코어의 회전 동안, 상기 제1 측면 롤러는 인접한 권취 코어의 일 측면 내주와 제1 원형 접촉부의 외주 사이에서 제1 원형 접촉부와 접촉 지지되는, 슬리팅용 리와인더.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코어는 측면의 가장 자리를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 개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슬리팅용 리와인더.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코어의 외주면 폭은 인접한 권취 코어 사이의 간격 이상인, 슬리팅용 리와인더.
  12. 슬리팅 공정을 거친 복수 개의 전극 판을 권취하는 리와인더 장비로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축;
    회전 축이 관통 삽입되는 중공을 갖고, 회전 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회전 시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전극 판이 각각 권취되는 복수 개의 권취 코어; 및
    회전 축 방향을 따라 양 단에 위치한 제1 및 제2 외측 권취 코어를 각각 접촉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권취 코어의 일 측면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측면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롤러의 돌출 영역은 인접한 두 개의 권취 코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슬리팅용 리와인더.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회전 축의 일 단과 일체로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회전 축의 다른 일 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팅용 리와인더.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제1 외측 권취 코어의 일 측면과 마주보며 권취 코어의 회전 동안 제1 외측 권취 코어의 제1 측면 롤러와 접촉 지지되는 제1 원형 접촉부를 포함하는, 슬리팅용 리와인더.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제2 외측 권취 코어의 타 측면과 마주보며 권취 코어의 회전 동안 제2 외측 권취 코어의 타 측면과 접촉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측면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2 원형 접촉부를 포함하는, 슬리팅용 리와인더.
  16. 제 1 항에 따른 슬리팅용 리와인더를 포함하는, 슬리팅 장치.
KR1020220069851A 2022-06-09 2022-06-09 슬리팅용 리와인더 KR20230169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851A KR20230169558A (ko) 2022-06-09 2022-06-09 슬리팅용 리와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851A KR20230169558A (ko) 2022-06-09 2022-06-09 슬리팅용 리와인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558A true KR20230169558A (ko) 2023-12-18

Family

ID=8930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851A KR20230169558A (ko) 2022-06-09 2022-06-09 슬리팅용 리와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95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126B1 (ko) 노칭 롤러를 포함하고 있는 전극 제조 장치
CN111564654A (zh) 一种模切折叠一体机
JP6374599B2 (ja) 両方向に巻き取られている電極組立体及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WO2023169218A1 (zh) 电芯制造设备及制备方法
JP2012033421A (ja) 巻回素子の製造装置
CN218333916U (zh) 电芯制造设备
KR20160087251A (ko) 전극 시이트용 압연 롤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 시이트
KR102273773B1 (ko) 이차전지용 권취장치 및 이차전지용 권취방법
KR20230169558A (ko) 슬리팅용 리와인더
WO2024060741A1 (zh) 切断装置及电池流水线生产设备
JP3460267B2 (ja) 電池電極巻回装置
CN212342674U (zh) 一种模切折叠一体机
KR102300705B1 (ko) 이차전지용 전극 커팅장치
KR20170094642A (ko) 가압롤들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가압장치
KR20210144311A (ko) 전극, 이차 전지, 전극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358767B1 (ko) 전극 롤 프레스 공정 시 전극 롤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방법
WO2023173931A1 (zh) 卷绕设备和方法
EP4242480A1 (en) Conveying system and battery production system
WO2015162746A1 (ja) ロール状シート材の保持装置及び電池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80113335A (ko) 각형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 권취형 전극조립체
JP2000255847A (ja) 偏平型巻軸及び二次電池用極板巻取り装置
CN108933218B (zh) 隔离件卷绕体的制造方法
CN220796796U (zh) 极片生产设备
KR20130007140A (ko) 가이드 롤 장치
CN216140947U (zh) 一种放卷机构、卷绕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