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281A -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는 방법, 전자 데이터베이스, 토큰 및 토큰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는 방법, 전자 데이터베이스, 토큰 및 토큰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281A
KR20230169281A KR1020237038766A KR20237038766A KR20230169281A KR 20230169281 A KR20230169281 A KR 20230169281A KR 1020237038766 A KR1020237038766 A KR 1020237038766A KR 20237038766 A KR20237038766 A KR 20237038766A KR 20230169281 A KR20230169281 A KR 20230169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workpiece
data
digital
digital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뵈른 에릭 마이
마렉 르옐카
크리스토프 크로
Original Assignee
세노디스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노디스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세노디스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69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28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08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G06K19/1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the marking being sensed by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마킹 요소들(3)을 갖는 마킹(2)이 배열된 공작물(1)을 제공하는 단계 ― 마킹 요소들은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마킹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마킹 콘텐츠와는 별도로 형성된 마킹 요소 특징부들을 포함함 ―; 이미지 캡처링 디바이스(4)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 상기 이미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킹(2)을 표시함 ―; 마킹 요소들(3)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마킹 요소 특징부를 결정하는 단계 ― 이미지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가 본 프로세스에서 분석됨 ―; 적어도 하나의 마킹 요소 특징부를 나타내는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특징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킹 데이터로부터 공작물(1)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공작물(1)에 대해 지정된 식별자로서 디지털 식별자를 전자 메모리(6)에 저장하는 단계를 갖는 식별자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디지털 식별자들로 공작물들을 전자적으로 등록 및 추적하기 위한 전자 데이터베이스, 토큰 및 토큰 생성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는 방법, 전자 데이터베이스, 토큰 및 토큰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본 발명은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는 방법, 공작물들을 전자적으로 등록 및 추적하기 위한 전자 데이터베이스, 토큰 및 토큰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특히 생산 또는 제조 프로세스들에서 전자 또는 디지털 마킹들을 통해 임의의 원하는 공작물에 대한 추적성(traceability)을 제공하기 위해 활용된다.
제조 산업, 특히 금속 섹터에서는 경쟁력 있는 제품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높은 비용 압박이 존재한다. 이러한 비용 압박은 CO2 배출량 감소 및 순환 경제(circular economy)와 같은 규제 조건들로 인해 더욱 심해진다. 생산 프로세스들과 공급망들의 디지털 최적화는 비용들의 절감을 위한 옵션이다. 가치 창출 네트워크들에 참여하는 개별 참여자들의 디지털 연결과 구성요소들, 반제품들 및 제품들에 연결된 정보의 추적 또는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러한 구성요소들, 반제품들 및 제품들에 대한 일관되고 고유한 ID들 및 식별 표준들이 부족하다.
현재 구성요소들, 반제품들 및 제품들에 관한 정보는 개별 생산 단계들 내에서 수집, 저장 및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최종 제품까지 상호 연결되지 않은 다수의 구성요소 ID들이 사용된다. 따라서, 원자재로부터 최종 제품에 이르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표준들을 가진 다수의 식별 해결책들이 사용된다. 구성요소들, 반제품들 및 제품들의 정보의 추적 또는 교환이 가능한 경우, 수동 조회들을 통해 사례별로만 가능하다.
마킹들을 사용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식별할 뿐만 아니라 생산 프로세스에서 구성요소들을 추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은 문헌 DE 10 2017 001 915 A1에 공지되어 있다. 이미지 처리 시스템을 통해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의 광학 표면 구조를 이미지로서 캡처하고, 구성요소의 고유하고 특징적인 광학 표면 특징부들을 확인하고, 구성요소의 고유 식별로서 디지털 시그니처를 생성하고, 이를 전자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의 식별의 참조로서 저장함으로써, 마킹들을 사용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캡처된 이미지는 여기에서 검사할 식별 영역들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스킹되고, 구성요소의 고유하고 특징적인 광학 표면 특징부들의 수가 해당 특징 벡터들을 통해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스킹된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되고 결정된다. 구성요소의 부분의 마스킹된 이미지의 추출된 고유 표면 특징부들의 수로부터 구성요소의 부분의 고유 식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의 시그니처는 미리결정된 맞춤형 소프트웨어 알고리즘들을 통해 생성되며,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고유 식별의 참조로서 저장된다.
문헌 WO 2010/112614 A1에는 물체의 고유하고 특징적인 광학적 특징부들을 확인하고, 확인된 특징부들을 물체의 식별자로서 저장하는 물체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물체의 광학 표면 구조는 고유하고 특징적인 광학적 특징부로서 확인된다. 이를 위해 이미지들 또는 사진들을 캡처한다. 설명된 방법을 통해, 물체 상의 마킹의 추가 적용이 생략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은 전자 메모리의 전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공작물의 특정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작물들을 전자적으로 등록 및 추적하기 위한 전자 데이터베이스 뿐만 아니라 토큰을 제공하는 것이 추가로 의도된다.
해결책으로서, 독립 청구항 1에 따라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독립 청구항 14 및 청구항 15에 따른 전자 데이터베이스 및 토큰이 추가로 제공된다. 청구항 16에 따라 토큰을 생성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추가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마킹 요소들을 포함하는 마킹이 배열된 공작물을 제공하는 단계 ― 마킹 요소들은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마킹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마킹 콘텐츠와는 별도로 형성된 마킹 요소 특징부들을 포함함 ―; 이미징 디바이스를 통해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 이미지는 적어도 섹션들에서 마킹을 보여줌 ―; 마킹 요소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마킹 요소 특징부를 결정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마킹 요소 특징부를 결정하기 위해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가 이미지에 대해 평가됨 ―; 적어도 하나의 마킹 요소 특징부를 나타내는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특징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킹 데이터로부터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공작물과 연관된 식별자로서 디지털 식별자를 전자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식별자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 저장 요소에 전자적으로 저장되고, 각각 공작물과 연관되며, 방법에 따라 결정된 디지털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공작물들을 전자적으로 등록 및 추적하기 위한 전자 데이터베이스가 제공된다. 또한, 공작물과 연관되고 방법에 따라 결정된 디지털 식별자를 갖는 토큰이 제공된다.
토큰을 생성하는 디바이스(토큰 생성기)도 제공되며, 이는 디지털 식별자를 갖는 토큰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제안된 기술을 사용하면 공작물에 대한 고유한 디지털 또는 전자 ID를 구성하는 디지털 또는 전자 식별자를 통해 임의의 원하는 공작물을 전자 메모리,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 메모리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내 분산 플랫폼의 일부일 수 있다. 공작물과 연관된 디지털 식별자는 하나뿐만 아니라 복수의 전자 메모리들에 저장 및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작물에 대한 특정 디지털 ID로서 이용가능하다.
디지털 식별자의 결정을 위해, 마킹의 마킹 요소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마킹 요소 특징부들이 사용되며, 여기서 마킹 요소 특징부들은 마킹의 실제 마킹 콘텐츠와는 별도로 형성된다. 즉, 공작물에서 마킹의 마킹 콘텐츠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기 위해 평가할 필요가 없다. 마킹 요소 특징부들은 마킹 콘텐츠의 광학 가독성과 관련하여 중복된다. 이는 마킹 콘텐츠가 마킹 요소 특징부들과는 독립적으로 광학적으로 판독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마킹 요소들의 마킹 요소 특징부들은, 이미지의 캡처 및 후속 이미지 데이터 분석을 통해 결정되고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마킹 요소들의 추가의 선택적으로 무작위의 특징들 또는 특성들을 (마킹 콘텐츠에 걸쳐 그리고 그 위에) 형성하며, 이는 이어서, 그들의 부분에 대해 마킹 데이터의 일부가 되고, 이로부터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는 이를 전자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해 결정된다.
디지털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들은 공작물에 대한 생산 또는 제조 프로세스 전, 도중 및/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를 통한 이미지(들)의 캡처는 공작물 상에 마킹을 적용하기 전 및/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생산 또는 제조 프로세스 전 및/또는 동안 디지털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그에 따라, 생산 또는 제조 프로세스의 서로 다른 스테이션들에서 공작물을 식별하기 위해 이 프로세스 동안 디지털 식별자가 이미 이용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디지털 식별자의 다중 결정들 또는 반복 결정이 제공될 수 있다.
공작물은 일부 형태의 처리를 거쳤거나 거치고 있는 대체로 고체 물질의 구분된 단일 부분이다. 처리 방법 자체는 상관없다. 공작물은 또한 단일 구성요소 및 이미 (부분적으로) 조립된 조립체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디지털 식별자는 암호화 또는 비암호화 여부에 관계없이 어떤 형태로든 전자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마킹 요소 특징부의 결정 동안, 하나 이상의 마킹 요소들에 대한 목표 특징부로부터 벗어나는 실제 특징부인 오류 특징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 목표 특징부는 마킹이 공작물 상에 생성될 때 그에 따라 형성되어야 한다. 즉, 이러한 목표 특징부들은 부분적으로만 빈번하게 충족되므로, 실제 특징부에 따라 개별 목표 특징부들에 편차가 존재한다. 이러한 편차들(또한, 오류들 또는 결함들)은 적어도 하나의 마킹 요소 특징부를 결정하는 동안 광학적으로 캡처 및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편차들 또는 오류들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마킹 콘텐츠의 광학 가독성 또는 평가 가능성을 여전히 보장하는 오류 허용 오차들 내에 있을 수 있다. 오류 특징부들은 마킹 콘텐츠의 완전한 광학적 가독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즉 허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오류 특징부는 목표 포지션으로부터의 마킹 요소 포지션의 편차; 목표 형상으로부터의 마킹 요소 형상의 편차; 목표 크기로부터의 마킹 요소 크기의 편차; 목표 밝기로부터의 마킹 요소 밝기의 편차; 목표 콘트라스트로부터의 마킹 요소 콘트라스트의 편차; 목표 간격으로부터의 마킹 요소 간격의 편차; 및 상대적 목표 포지션으로부터의 다른 마킹 요소 및/또는 배열 그리드에 대한 상대적 마킹 요소 포지션의 편차의 그룹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편차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킹의 마킹 요소들이 페인트를 통해 공작물에 적용될 때 편차들 중 하나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사전에 생성된 후 공작물에 접착식으로 도포된 라벨은 오류 특징부의 결정 범위에서 추출 또는 평가될 수 있는 편차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편차들은 무작위 분포의 서로 다른 공작물들에 대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디지털 식별자의 개별화 설계를 지원한다.
디지털 식별자는 마킹 데이터의 검사합계(checksum)로서 결정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검사합계는 소스 데이터, 이 경우에는 마킹 데이터로부터 계산된 값이며, 비교 검사합계와의 비교를 허용하여, 비교 검사합계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 데이터 및 소스 데이터가 동일한지 또는 서로 다른지를 설정한다.
검사합계는 마킹 데이터의 해시값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마킹 데이터를 해시값에 매핑하기 위한 해시 함수는 유사한 마킹 데이터를 유사한 해시값들에 매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해시값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므로, 적어도 이 경우에는 단지 해시값만을 통해 마킹 데이터에 대한 추론들을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또한 해시 함수의 유사성에 민감한 속성은 해시 함수 자체의 이미지 공간에서 유사성 검색을 수행할 수 있고 마킹 데이터 공간의 오차 범위들이 해시 함수의 메트릭 이미지 공간으로 선형적으로 전송되도록 보장한다.
디지털 식별자는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마킹 콘텐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콘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킹 데이터로부터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예의 실시예에서, 마킹 데이터는 특징 데이터뿐만 아니라 공작물에서 마킹의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마킹 콘텐츠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콘텐츠 데이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작물에 대한 확장된 디지털 식별자가 제공된다. 마킹 콘텐츠는 이미지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평가할 때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공작물의 마킹은 마킹 콘텐츠를 결정하기 위해 별도로 광학적으로 판독할 수 있다.
또한, 공작물 상의 마킹 외부 영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공작물 특징부를 결정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공작물 특징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미지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추가 이미지에 대한 추가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가 평가됨 ―; 적어도 하나의 공작물 특징부를 나타내는 공작물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공작물 특징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킹 데이터로부터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예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공작물 특징부들이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공작물에 대해 추가로 결정되어, 그런 다음, 하나 이상의 공작물 특징부들을 나타내는 이들에 대한 공작물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적어도 특징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킹 데이터는 공작물 특징 데이터에 의해 보완되어, 공작물에 대한 확장된 디지털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작물 특징부들의 결정을 위해, 마킹 요소 특징부의 결정을 위해 평가된 이미지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디지털 이미지 분석을 통해 추가 이미지를 평가하여 공작물 특징부를 추출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작물 특징부들이 결정되는 마킹 외부의 공작물 영역을 보여준다. 이들은 광학적으로 표현 가능하거나 결정 가능한 공작물 특징부들, 특히 이미지 분석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는 공작물의 표면의 측면 상의 특징부들이다. 예를 들어, 표면 윤곽이나 텍스처는 공작물 상의 마킹에 인접하거나 그로부터 이격된 영역에서 분석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공작물의 임의의 영역 또는 섹션, 특히 마킹 외부의 공작물 특징부들은 공작물 특징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의 생성 및 결정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공작물 특징부의 통합은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의 추가적인 개별화 및 개선된 고유성을 용이하게 한다.
블랭크, 가공된 블랭크, 구성요소, 구성요소 그룹, 금속 구성요소, 가공된 구성요소, 가공된 구성요소 그룹, 가공된 금속 구성요소, 반가공재, 반제품, 하위 조립체들, 조립 그룹, 조립 부품, 몰딩, 완성 구성요소 및 완성 조립체의 그룹으로부터의 공작물이 공작물로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미지는 마킹이 제공된 공작물이 적어도 하나의 처리 단계에 따라 처리된 후에 캡처될 수 있다. 여기에는 공작물을 가열하거나 템퍼링하는 금속 가공 단계와 같은 임의의 처리 단계가 수반될 수 있다. 마킹은 온도 안정 마킹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또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지털 식별자는 생산 또는 제조 프로세스 동안 여러 번에 걸쳐 설명된 방식으로 결정되고 저장될 수 있다. 디지털 식별자의 새로운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때 결정된 디지털 식별자는 이전에 결정된 디지털 식별자와 비교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공작물 상의 마킹이 여전히 충분한 정도로 식별 효과를 보유하고 있는지, 그리고 공작물의 처리 동안 디지털 식별자가 더 이상 올바르게 결정될 수 없는 방식으로 손상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범위 내에서도 비교될 수 있다.
공작물에는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를 포함하는 마킹이 제공될 수 있으며,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의 모듈들은 마킹 요소들을 형성한다.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는 1 차원 코드(예를 들어, 바코드) 또는 2 차원 코드일 수 있다. 컬러 설계가 적용된 3 차원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들도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 자체로 알려져 있다. 모듈들은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의 마킹 요소들을 형성하는데, 예를 들어 막대들 또는 점들의 형태로 표시된다. 이러한 모듈들에 대해 마킹 요소 특징부들이 결정되고 디지털 식별자의 생성 및 결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또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마킹 요소 특징부들이 결정되고 디지털 식별자의 생성에서 고려될 수 있다.
공작물의 제공은 공작물에 대한 마킹의 적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마킹 요소들은 잉크 인쇄, 레이저 인그레이빙(engraving), 니들 엠보싱(needle embossing), 라벨 적용, 자성 입자들, (광) 방출 입자들 등과 같은 마커 요소들의 적용, 기계적 인그레이빙, 스탬핑 프로세스들, 스크린 인쇄, 코팅들 및 플로팅(plotting)의 그룹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마킹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다.
마킹은 내온도성 또는 내열성 마킹으로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적어도 공작물 상에 마킹이 있는 영역이 가열되거나 템퍼링되는 공작물에 대해 특정 처리 단계들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와 연관된 공작물 데이터를 전자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전자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는 액세스 디바이스에서 공작물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디지털 요청 식별자를 나타내는 표시자 데이터가 요청과 함께 수신됨 ―; 디지털 요청 식별자가 디지털 표시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디지털 요청 식별자가 지정된 오류 허용 오차 내에서 디지털 식별자와 일치하는 것으로 설정되는 경우, 공작물 데이터에 대한 요청된 액세스를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작물 데이터는 공작물에 관한 임의의 전자 정보, 예를 들어 공작물의 재료, 공작물의 일련 번호, 제조 날짜 등일 수 있다. 공작물 데이터는 마킹 콘텐츠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작물 데이터는 전자 메모리,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내 디지털 식별자와 연관되어 저장되므로, 공작물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가 가능해지고 디지털 식별자를 통해 제어가능하다. 공작물 데이터에 대한 무단 액세스를 차단하기 위해, 액세스 요청 시 전송된 디지털 요청 식별자를 확인한다. 디지털 요청 식별자와 (저장된) 디지털 식별자에 대한 일치가 설정되는 경우에만 공작물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승인된다. 이러한 점에서, 디지털 식별자는 일종의 (소프트웨어) 토큰을 형성하며, 사용자가 토큰(디지털 식별자)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전자 메모리에 있는 공작물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변형에서, 서로 다른 형태들로 그 자체로 알려진 2 단계 인증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확인을 위해, 디지털 요청 식별자와 디지털 표시자의 일치는 지정된 오류 허용 오차 내에서 유사성이 있는 경우 결정될 수 있다.
디지털 식별자를 결정하기 위해, n(n>2) 개의 서로 다른 마킹 요소 특징부들이 결정되어 디지털 식별자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 경우, 예를 들어 요청 식별자와 디지털 식별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되기 위해 n 개의 마킹 요소 특징부들 중 얼마나 많은 마킹 요소 특징부들에 대해 일치가 설정되어야 하는지가 오류 허용 오차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마킹, 예를 들어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가 추론될 수 있는 마킹 요소 특징부들 자체를 사용해야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마킹 요소들 자체에 대해 유사성 검색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공할 수 있다. 마킹 요소 특징부들은 유사성에 민감한 해시 함수를 통해 매핑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 함수의 이미지 공간에서 다른 키와 관련하여 유사성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함수를 선택하면 유사한 마킹 특징부들이 인접한 해시값들에서 다시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웃한다는 것은 해시 함수의 이미지의 메트릭 공간에서 두 해시값들 사이의 거리가 미리정의된 값보다 크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속성들을 충족하는 해시 함수가 결정된다. 해시 함수는 가변 캡처 조건들 하에서 동일한 마킹 및 서로 다른 마킹의 추출된 마킹 요소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적절하게 선택된 학습 데이터, 예를 들어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들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미지(들)의 캡처에 대한 가변 조건들에는 특히 서로 다른 원근 왜곡들, 가변 노출들 및/또는 코드의 마킹 또는 부분 이미징에 있어서의 결함들이 포함된다. 이렇게 얻은 해시 함수는 코드의 견고한 인식을 위해, 이전에 정의된 오류 범위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마킹의 이미지가 해시 함수의 이미지 공간에서 다른 디지털 식별자의 미리결정된 이웃에 속하지 않으면, 이 두 코드들은 서로 다른 것으로 간주된다.
공작물 추적을 위해, 공작물의 마킹을 적어도 섹션들에서 보여주는 현재 이미지를 캡처하는 것; 마킹 요소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현재 마킹 요소 특징부를 결정하는 것 ― 적어도 하나의 현재 마킹 요소 특징부를 결정하기 위해,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가 다음 이미지에 대해 평가됨 ―; 적어도 하나의 현재 마킹 요소 특징부를 나타내는 현재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 현재 특징 데이터를 포함하는 현재 마킹 데이터로부터 공작물에 대한 현재 디지털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 및 현재 디지털 식별자가 전자 메모리 내의 디지털 식별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현재 디지털 식별자와 디지털 식별자의 비교에 관련되는 한, 전술한 것에서 기재된 두 디지털 식별자들의 비교에 관한 설명이 그에 따라 적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작물을 준비(전자 등록) 및 추적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현재 디지털 식별자의 결정은 예를 들어 진행 중인 생산 또는 제조 프로세스 동안 또는 이의 완료 후 공작물에 하나 이상의 처리 단계들을 적용한 다음에 수행될 수 있다. 현재 디지털 식별자는 마킹 콘텐츠 및/또는 하나 이상의 공작물 특징부들을 고려하면서 선택적으로 또한 결정될 수 있다. 현재 디지털 식별자는 생산 또는 제조 프로세스 동안 또는 이후 언제든지 전자 데이터베이스에서 공작물과 연관된 공작물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원하는 적용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토큰은 토큰 생성기를 사용하여 공작물과는 독립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토큰을 통해 상기 생성 동안 규정된 공작물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승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토큰 자체로 공작물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승인할지 아니면 디지털 식별자와 결합해서만 공작물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승인할지가 토큰 생성 동안 정의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때 토큰을 사용하여, 공작물 데이터의 소유자는 자신이 생성한 공작물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선택적으로 또한 제한할 수 있다.
전술한 예의 실시예들은 이에 따라 전자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토큰과 결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고, 생산 및 제조 프로세스 동안 디지털 식별자를 통해 공작물을 추적하기 위한 방법이 다음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방법은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방법은, 마킹 요소들을 포함하는 마킹이 배열된 공작물을 제공하는 단계 ― 마킹 요소들은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마킹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마킹 콘텐츠와는 별도로 형성된 마킹 요소 특징부들을 포함함 ―; 및 이미징 디바이스를 통해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 이미지는 적어도 섹션들에서 마킹을 보여줌 ― 를 포함한다. 이미지는 마킹이 제공되는 공작물이 생산 및 제조 프로세스 동안 적어도 하나의 처리 단계에 따라 처리된 후에 캡처된다. 마킹 요소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마킹 요소 특징부가 결정되며, 이를 위해 이미지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가 평가된다. 적어도 하나의 마킹 요소 특징부를 나타내는 특징 데이터가 생성된다. 특징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킹 데이터로부터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가 추가로 결정되고, 디지털 식별자는 공작물과 연관된 식별자로서 전자 메모리에 저장된다. 생산 및 제조 프로세스 동안의 공작물 추적을 위해, 그런 다음, 공작물의 마킹을 적어도 섹션들에서 보여주는 현재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마킹 요소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현재 마킹 요소 특징부를 결정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현재 마킹 요소 특징부를 결정하기 위해,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가 다음 이미지에 대해 평가됨 ―; 적어도 하나의 현재 마킹 요소 특징부를 나타내는 현재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현재 특징 데이터를 포함하는 현재 마킹 데이터로부터 공작물에 대한 현재 디지털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현재 디지털 식별자가 전자 메모리 내의 디지털 식별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가 제공된다.
디지털 식별자는 생산 및 제조 프로세스 동안 공작물에 대해 여러 번 결정되고 저장될 수 있다. 디지털 식별자의 새로운 결정 동안, 이때 결정된 디지털 식별자가 이전에 결정된 디지털 식별자와 비교될 수 있으며, 동시에, 공작물 상의 마킹이 여전히 충분한 정도로 식별 효과를 소유하고, 공작물의 처리 동안에, 디지털 식별자가 더 이상 정확하게 결정될 수 없는 그러한 방식으로 손상되지 않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처리 단계는 공작물에 대한 열간 가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작물은 디지털 식별자를 통해 생산 및 제조 프로세스의 범위 내에서 추적된다. 이 변형에서는 마킹이 제공된 공작물이 생산 및 제조 프로세스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처리 단계를 거친 후에(만) 공작물에 미리 적용된 마킹의 이미지가 캡처되는 것이 제공된다.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는 이미지로부터 결정되며, 여기서 디지털 식별자는 특징 데이터를 통해 마킹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마킹 요소 특징부를 나타낸다. 마킹 요소는 마킹의 마킹 요소의 특성과 관련되며, 이 점에서 공작물에서 마킹의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마킹 콘텐츠와는 서로 다른 특성과 관련된다. 마킹의 마킹 요소(디지털 식별자)의 이러한 특성은 처리 단계의 범위 내에서 공작물이 사전 처리를 거친 후에 결정되고 확인된다. 따라서, 처리 단계의 결과로만 마킹에 나타날 수 있는 마킹 요소 특징부들을 디지털 식별자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마킹 요소에 존재하는 마킹 요소 특징부들이 디지털 식별자의 기초를 또한 형성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처리 단계 이후에만 공작물의 마킹 이미지가 캡처되므로, 디지털 식별자는 적어도 하나의 마킹 요소 특징부와 관련하여 처리 단계 이후의 공작물 상의 마킹 요소의 상태를 나타낸다.
그런 다음, 공작물은 생산 및 제조 프로세스 동안 추적되고, 동시에 ― 즉, 생산 및 제조 프로세스 과정에서 ― 공작물 상의 마킹의 (추가) 현재 이미지가 캡처되어 현재 마킹 요소 특징부들을 결정하고, 그로부터 최종적으로 공작물에 대한 현재 디지털 식별자를 결정하며, 현재 디지털 식별자를 이전에 결정되고 저장된 디지털 식별자와 비교함으로써 비교된 디지털 식별자들이 일치하는지 여부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원본) 디지털 식별자와 현재 디지털 식별자들의 비교들을 거쳐, 생산 및 제조 프로세스를 통해 공작물을 추적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추가의 예의 실시예들이 설명되며, 여기서,
도 1은 공작물을 전자적으로 등록 및 추적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 또는 요소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마킹 요소들이 점들로서 구현되는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의 일 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공작물을 전자적으로 등록 및 추적하는 방법의 순서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은 공작물(1)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 또는 요소들을 갖는 배열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공작물(1)은, 예를 들어 선들 및/또는 점들로서 형성될 수 있고,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마킹 콘텐츠가 제공되게 하는 마킹 요소들(3)을 갖는 마킹(2)을 포함한다.
이미징 디바이스(4)를 통해, 마킹(2)을 갖거나 갖지 않고서 공작물(2)의 이미지들 또는 사진들을 캡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5)를 통해 이미지 분석 범위 내에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캡처 이미지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5)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들은 적어도 디지털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5)는 예를 들어,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전자 메모리(6)에 연결된다.
공작물(1)은 생산 또는 제조 프로세스 동안 하나 이상의 처리 단계들을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작물은 금속 가공을 통해 가공되는 금속 공작물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처리 동안에 공작물(1)이 또한 가열되거나 템퍼링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마킹(2)은 예를 들어 문헌 DE 10 2015 107 774 B3에 설명된 바와 같이 열간 가공과 같은 처리 단계들 동안에도 내구성이 있는 마킹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도 2는 마킹(2)의 일 예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는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20)를 포함한다.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20)의 마킹 요소들(3)은 여기서 점들(21)로 형성된다.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와 결합하여 모듈들로도 불리는 점들(21)은 지정된 매트릭스(22)에 따라 공작물(1) 상에 적용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따르면, 점들(21)의 일부는 이러한 목표 사양들에서 벗어난 편차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들은 점 크기의 편차(23), 점 포지션의 편차(24), 점 형상의 편차(25), 콘트라스트 변조(26) 및 그리드 불규칙성들(27)을 포함한다. 이들은 무작위적인 결함들 또는 편차들이거나,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20)를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적으로 체계적으로 유발되는 결함들 또는 편차들일 수 있다. 이러한 편차들에도 불구하고, 마킹(2)의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마킹 콘텐츠는 여전히 판독 및 평가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편차들은 공작물(1) 상에 마킹(2)을 생성하기 위한 가능한 오류 허용 오차들 내에 있다. 편차들은 공작물(1)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생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오류 특징부들을 형성하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공작물(1)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단계(30)에서, 공작물(1)에는 공작물 상에 배열된 마킹(2)(또한 식별 또는 마크)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포함하는 이미징 디바이스(4)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킹(2)을 캡처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 또는 사진들이 캡처된다(단계(31)).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5)를 통해, 이미지들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가 이미지 분석의 범위 내에서 평가된다(단계(32)). 이 분석 동안, 단계(33)에서, 마킹(2)의 마킹 요소들(3), 특히 도 2와 함께 이전에 결정된 편차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 하나 이상의 마킹 요소 특징부들이 결정되어, 그런 다음, 단계(34)에서 이미지 분석의 범위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마킹 요소 특징부들을 나타내는 특징 데이터를 제공한다.
특징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킹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계(36)에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5)에 의해 공작물(1)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가 결정되어 단계(37)에서 공작물(1)에 할당된 디지털 식별자를 전자 메모리(6)에 저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작물(1)에 대한 고유한 전자 ID(디지털 식별자)가 제공되며, 이는 임의의 원하는 적용예에서 공작물(1)을 식별 및 추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디지털 식별자를 소지한 사용자들이 디지털 식별자와 연관되어 저장된, 따라서 전자 메모리(6)에 공작물(1)과 연관되어 저장된 공작물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용자가 입력 디바이스(8)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7)를 통해 공작물 데이터에 액세스하기를 원하는 경우(도 1 참조), 사용자는 디지털 식별자를 일종의 토큰으로서 제공해야 하며, 그 때, 이 토큰이 전자 메모리(6)에 이전에 저장된 공작물(1)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액세스에 대한 요청의 일부로서 전송된 요청 식별자가 적어도 지정된 특정 오류 허용 오차 내에서 저장된 디지털 식별자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공작물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승인된다. 그렇지 않으면, 전자 메모리(6)의 공작물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액세스가 차단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디지털 식별자가 계산되거나 결정되는 마킹 데이터를 마킹(2)의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마킹 콘텐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콘텐츠 데이터로 보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공작물(1)에 대해 마킹(2) 외부 영역에서 이전에 공작물(1)에 대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공작물 특징부, 예를 들어 공작물(1)의 상기 영역 내 표면 구조물 또는 표면 윤곽을 나타내는 공작물 특징 데이터로 마킹 데이터를 보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공작물 특징부는 또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분석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추가 양태들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공작물(1) 상에 마킹(2)을 제공하기 위해, 먼저 적용 분야에 적합한 방법으로 공작물에 마킹이 이루어진다. 특히, 잉크 인쇄, 레이저 인그레이빙, 니들 엠보싱, 라벨들 또는 다수의 방법들의 조합이 여기에 고려될 수 있다. 마킹(2)은 직접 또는 추가 생산 단계들 동안 표면에 단단히 부착되어 공작물(2) 상에 영구적으로 증착된다. 마킹(2)의 영구적인 접착은 예를 들어, 잉크 또는 페이스트의 특정 재료 안료들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제 마킹(2)의 이미지는 공작물(1)의 마킹 직후 및 선택적으로는 추가로 다음 프로세스 단계(예를 들어, 열간 가공 단계) 후에 이미징 디바이스(4)로 캡처될 수 있으며, 추가 처리를 위해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5)로 전달될 수 있다.
현재 마킹(2)의 이미지로부터 고유한 특징부들이 추출되며, 이러한 특징부들은 가변적인 주변 조건들 하에서도 한계들 내에서 견고하게 인식될 수 있다. 주변 조건들 외에도 견고성은 허용 가능한 수의 결함들(스크래치들, 오염 등)이 있는 경우에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오류 허용 오차와 관련이 있다. 그런 다음 디지털 식별자는 이들 특징부들에 의해, 예를 들어 마킹 데이터의 고유 해시값으로서 결정된다. 여기서, 고유성은 가능한 모든 해시값들의 집합과 관련되며, 각각의 해시값이 한 번만 발생하도록 하여(충돌들의 방지) 디지털 식별자가 항상 공작물과 명확하게 일치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도록 의도된다. 해시값은 공작물 정보를 공작물과 명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데이터 저장소의 키 및 키 값(ID) 역할을 한다. 여기서 데이터 저장소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저장소 또는 분산형 저장소(분산 원장(distributed ledger), DLT)일 수 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 저장소의 경우, 서로 다른 사용자들의 서로 다른 데이터 사일로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기 위해 소위 커넥터들을 구현할 수 있다.
검사합계들(해시값)을 생성하기 위해, 공작물이나 다른 키가 없는 액세스를 방지하기 위해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하지 않는 해시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공작물(1) 자체, 더 정확하게는 공작물의 마킹(2)이 데이터 저장소에 대한 광학 키(식별자) 역할을 한다.
디지털 식별자만을 사용하여 데이터 저장소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는 공작물(1) 및 그에 따른 마킹(2)을 소유한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프라이빗 토큰들을 통해 데이터를 보호하고 선택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토큰들은 토큰 생성기로부터 획득되며, 토큰들의 처분을 특정 데이터에 대한 특정 읽기 및 쓰기 권한들과 구체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거래할 수 있다.
모든 공작물 데이터는 분산형 플랫폼(분산 원장, DLT)에 암호화된 형태로 또한 저장될 수 있다. 분산형 메모리로서, 플랫폼은 중복성 및 그에 따라, 데이터 손실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데이터 세트에 대한 변경 사항들은 다수의 당사자들의 확인(합의)을 거쳐야 하므로 조작에 대한 보호가 보장된다. 개방형 표준들을 사용하여 플랫폼을 기존 데이터 메모리들에 연결할 수 있으며, 토큰들(스마트 계약들)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자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동형 암호화(homomorphic encryption) 방식들을 통해, 공작물(1)과 관련된 기존 데이터 기록들은 암호화된 형태로 제3 자들(서비스 제공업체들)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제3 자들은 예를 들어, 암호화된 데이터에 자체 알고리즘들을 적용하여 결과들을 다시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상은 추후 결과들의 사용을 통해 발생한다. 이어서 데이터는 이전에 생성 및 획득한 토큰들을 사용하여 거래된다.
본 명세서, 청구항들 및 도면에 개시된 특징들은 그 자체로 관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시예들의 실현을 위해 임의의 원하는 조합으로 관련될 수 있다.

Claims (16)

  1.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마킹 요소들(3)을 포함하는 마킹(2)이 배열된 공작물(1)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마킹 요소들은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마킹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마킹 콘텐츠와는 별도로 형성된 마킹 요소 특징부들을 포함함 ―;
    - 이미징 디바이스(4)를 통해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 상기 이미지는 적어도 섹션들에서 상기 마킹(2)을 보여줌 ―;
    - 상기 마킹 요소들(3)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마킹 요소 특징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킹 요소 특징부를 결정하기 위해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이미지에 대해 평가됨 ―;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킹 요소 특징부를 나타내는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특징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킹 데이터로부터 상기 공작물(1)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 상기 공작물(1)과 연관된 식별자로서 상기 디지털 식별자를 전자 메모리(6)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킹 요소 특징부를 결정하는 단계 동안, 하나 이상의 마킹 요소들에 대한 목표 특징부로부터 벗어나는 실제 특징부인 오류 특징부가 결정되는,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특징부는,
    - 목표 포지션으로부터의 마킹 요소 포지션의 편차;
    - 목표 형상으로부터의 마킹 요소 형상의 편차;
    - 목표 크기로부터의 마킹 요소 크기의 편차;
    - 목표 밝기로부터의 마킹 요소 밝기의 편차;
    - 목표 콘트라스트로부터의 마킹 요소 콘트라스트의 편차;
    - 목표 간격으로부터의 마킹 요소 간격의 편차; 및
    - 상대적 목표 포지션으로부터의 다른 마킹 요소 및/또는 배열 그리드에 대한 상대적 마킹 요소 포지션의 편차
    의 그룹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편차를 나타내는,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식별자는 상기 마킹 데이터의 검사합계(checksum)로서 결정되는,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합계는 상기 마킹 데이터의 해시값(hash value)으로서 결정되는,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1)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는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마킹 콘텐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콘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킹 데이터로부터 결정되는,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공작물(1) 상의 마킹(2) 외부 영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공작물 특징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작물 특징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추가 이미지에 대한 추가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가 평가됨 ―;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작물 특징부를 나타내는 공작물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 상기 공작물 특징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킹 데이터로부터 상기 공작물(1)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가 추가로 제공되는,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랭크, 가공된 블랭크, 구성요소, 구성요소 그룹, 금속 구성요소, 가공된 구성요소, 가공된 구성요소 그룹, 가공된 금속 구성요소, 반가공재, 반제품, 하위 조립체들, 조립 그룹, 조립 부품, 몰딩, 완성 구성요소 및 완성 조립체의 그룹으로부터의 공작물이 상기 공작물(1)로서 제공되는,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2)이 제공된 상기 공작물(1)이 적어도 하나의 처리 단계에 따라 처리된 후에 상기 이미지가 캡처되는,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를 포함하는 마킹(2)이 공작물(1)에 제공되며, 상기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의 모듈들은 상기 마킹 요소들을 형성하는,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의 제공은 상기 공작물(1)에 대한 마킹의 적용을 포함하며, 상기 마킹 요소들은 잉크 인쇄, 레이저 인그레이빙(engraving), 니들 엠보싱(needle embossing), 라벨 적용, 자성 입자들, 방출 입자들 등과 같은 마커 요소들의 적용, 기계적 인그레이빙, 스탬핑 프로세스들, 스크린 인쇄, 코팅들 및 플로팅(plotting)의 그룹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마킹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공작물(1)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와 연관된 공작물 데이터를 상기 전자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 상기 전자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는 액세스 디바이스에서 상기 공작물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디지털 요청 식별자를 나타내는 표시자 데이터가 상기 요청과 함께 수신됨 ―;
    - 상기 디지털 요청 식별자가 디지털 표시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 상기 디지털 요청 식별자가 지정된 오류 허용 오차 내에서 상기 디지털 식별자와 일치하는 것으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공작물 데이터에 대한 상기 요청된 액세스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1)을 추적하기 위해,
    - 상기 공작물(1) 상의 마킹(2)을 적어도 섹션들에서 보여주는 현재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 상기 마킹 요소들(3)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현재 마킹 요소 특징부를 결정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현재 마킹 요소 특징부를 결정하기 위해,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가 다음 이미지에 대해 평가됨 ―;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재 마킹 요소 특징부를 나타내는 현재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현재 특징 데이터를 포함하는 현재 마킹 데이터로부터 상기 공작물(1)에 대한 현재 디지털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 상기 현재 디지털 식별자가 상기 전자 메모리 내의 디지털 식별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가 제공되는,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 공작물들을 전자적으로 등록 및 추적하기 위한 전자 데이터베이스로서,
    데이터베이스 저장 요소에 전자적으로 저장되고, 공작물(1)과 연관되어 각각 저장되며,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 결정된 디지털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공작물들을 전자적으로 등록 및 추적하기 위한 전자 데이터베이스.
  15. 토큰으로서,
    공작물(1)과 연관되고,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 결정된 디지털 식별자를 포함하는, 토큰.
  16. 토큰 생성 디바이스로서,
    제15항에 따른 토큰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토큰 생성 디바이스.
KR1020237038766A 2021-04-12 2022-04-08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는 방법, 전자 데이터베이스, 토큰 및 토큰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2301692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09020.2A DE102021109020A1 (de) 2021-04-12 2021-04-12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s digitalen Identifikators für ein Werkstück sowie elektronische Datenbank, Tok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s Token
DE102021109020.2 2021-04-12
PCT/DE2022/100270 WO2022218472A1 (de) 2021-04-12 2022-04-08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s digitalen identifikators für ein werkstück sowie elektronische datenbank, tok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s tok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281A true KR20230169281A (ko) 2023-12-15

Family

ID=8144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8766A KR20230169281A (ko) 2021-04-12 2022-04-08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는 방법, 전자 데이터베이스, 토큰 및 토큰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23919A1 (ko)
KR (1) KR20230169281A (ko)
CN (1) CN117121012A (ko)
DE (1) DE102021109020A1 (ko)
WO (1) WO20222184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4214B1 (en) 1999-04-23 2003-06-2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using complex, three-dimensional structural features
DE102006019248A1 (de) * 2006-04-21 2007-10-25 Niemeyer-Stein, Werner, Dipl.-Ing. Identifizierungskennzeichnung zur unterscheidbaren Identifizierung von Gegenständen
DE102008016803A1 (de) * 2008-04-02 2009-10-29 Bayer Technology Services Gmbh Authentifizierung von Objekten mittels Bilderkennung
EP2414111A1 (de) 2009-04-03 2012-02-08 Singulus Technologi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dentifizierung von gegenständen sowie zum verfolgen von gegenständen in einem produktionsprozess
US20150354382A1 (en) 2014-06-06 2015-12-10 General Electric Company Exhaust frame cooling via strut cooling passages
DE102015107744B3 (de) 2015-05-18 2016-07-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Markierung von Werkstücken und ein derart hergestelltes Werkstück
DE102015217855A1 (de) 2015-09-17 2017-03-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Prüfung einer Konsistenz zwischen Referenzdaten eines Fertigungsobjektes und Daten eines digitalen Zwillings des Fertigungsobjektes
DE102017001915A1 (de) 2017-02-27 2018-08-30 INPRO Innovationsgesellschaft für fortgeschrittene Produktionssysteme in der Fahrzeugindustrie mbH Verfahren und System zum kennzeichenlosen Identifizieren mindestens eines Bauteils sowie zum Rückverfolgen von Bauteilen in einem Produktionsprozess
US11351809B2 (en) 2019-08-06 2022-06-07 Larry J. Costa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security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data on an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23919A1 (de) 2024-02-21
WO2022218472A1 (de) 2022-10-20
CN117121012A (zh) 2023-11-24
DE102021109020A1 (de)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97808A1 (en) Security scheme for authenticating object origins
CN107888557B (zh) 一种协议文件的生成方法及其系统
CN103093365B (zh) 验证产品真伪的方法和系统
CN106022805A (zh) 一种基于标签识读的防伪溯源系统及方法
CN104392260A (zh) 一种基于附加信息的二维码防伪方法
CN107078909B (zh) 用于登记随机安全特征的方法和认证系统
CN108140152A (zh) 计算机实现的追踪机制及数据管理
WO2011077459A2 (en) A method of extracting naturally encrypted features from a natural surface of a product
CN104424579A (zh) 一种防伪追溯管理系统
CN103793806A (zh) 基于点阵图形以实现物流管控的系统及平台
CN105894074B (zh) 一种防伪条形码标签、防伪条形码标签信息采集器、采集方法及防伪验证系统
CN105184580B (zh) 一种基于可读标识的通信管理方法及系统
CN114239780A (zh) 基于点阵的防伪溯源码的生成及校验方法
US20210090011A1 (en) Identifying and Tracking System for Searching Items
CN109690575A (zh) 片状产品和用于验证安全标签的方法
KR20230169281A (ko) 공작물에 대한 디지털 식별자를 제공하는 방법, 전자 데이터베이스, 토큰 및 토큰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US20200311245A1 (en) Authenticating object instances
US20240193906A1 (en) Method for providing a digital identifier for a workpiece, electronic database, token, and device for generating a token
WO2013036228A1 (en) Generating an incremental information object
CN103793677A (zh) 通过识别点阵图形以进行信息提取与身份鉴别的方法
JP2024522243A (ja) ワークピースのためのデジタル識別子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電子データベース、トークン、およびトークンを生成するための装置
CN108009616B (zh) 一种新型具有防伪功能的条图码及应用方法
CN109272078A (zh) 一种身份认证系统和方法
CN113627577B (zh) 一种三维码的生成方法及基于三维码的防伪溯源系统
CN114202040A (zh) 一种基于产品表面纹理密码标签的防伪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