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512A -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512A
KR20230168512A KR1020220069068A KR20220069068A KR20230168512A KR 20230168512 A KR20230168512 A KR 20230168512A KR 1020220069068 A KR1020220069068 A KR 1020220069068A KR 20220069068 A KR20220069068 A KR 20220069068A KR 20230168512 A KR20230168512 A KR 20230168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lever
circuit breaker
shaf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2006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512A/ko
Publication of KR2023016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cam or eccentric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On 동작에 동기화된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카운터가 차단기의 주회로부의 가동부를 구동하는 기구부의 메인 샤프트에 연동하여 작동하므로 On 동작과 동기화된다.

Description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Circuit Breaker having Counter}
본 발명은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On 동작에 동기화된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차단기는 송,변전 선로나 전기회로의 일부에 설치되어 부하를 개폐하거나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회로를 차단시켜 전기 시설 및 부하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회로차단기는 회로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개폐기구부, 이상전류를 검출하는 검출기구부, 과전류나 단락전류 등 이상전류 발생시 개폐기구부를 개리시킴으로써 선로나 부하를 보호하도록 하는 트립기구부, 차단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 및 냉각시키는 기능을 하는 소호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회로 차단기 중에서 진공 차단기는 고압 전력계통에 설치되어 단락이나 과전류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할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회로차단기의 일종으로서 진공상태에서의 절연성능과 아크 소호력이 우수한 점을 활용하여 설계된 것이다.
진공차단기는 특고압/고압 배전 선로의 과전류, 단락 및 지락사고 등 이상전류 발생시 외부의 별도 계전기에 의해 차단기 내부의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 VI)에서 진공 소호방식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인명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제품이다.
한편, 차단기의 개폐 동작 횟수를 표시하기 위해 카운터가 장착되어 있어 On 작동 시 1회씩 카운팅 된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차단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주요 부분만 도시되어 있다.
진공 차단기(10)는 기구부(11)와 회로부(50)를 포함한다.
기구부(11)는 기구부 프레임(12) 내에 설치되는 기구부 조립체(20)와 모터 조립체(13)를 포함한다. 모터 조립체(13)는 투입 스프링(미도시)의 장전(charge)을 위한 장치이고, 기구부 조립체(20)는 투입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해 회로부(50)의 가동부 조작을 위한 메인 샤프트(40)를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다.
도 2에 기구부 조립체(20)와 모터 조립체(13)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3에는 모터 조립체(13)가 나타나 있고, 도 4에는 기구부 조립체(20)가 나타나 있다.
모터 조립체(13)는 모터(14)와 기어부(15)를 포함한다. 기어부(15)는 다수의 기어로 구성되는데, 최후에 연결되는 출력기어에는 출력기어홀(16)이 형성된다.
기구부 조립체(20)에는 주회로 가동부의 투입 및 개방을 위한 온 버튼(22)과 오프 버튼(21)이 구비되고, 투입 스프링(미도시)의 작용을 위한 캠 조립체(25)가 마련된다.
캠 조립체(25)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캠 조립체(25)의 캠축(26)은 기구부 조립체(20)의 측판(23) 외부로 돌출되어 모터 조립체(13)의 출력기어홀(16)에 결합된다.
모터 조립체(13)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14)가 회전하면 모터(14)의 구동력은 기어부(15)를 거쳐 출력기어홀(16)에 결합된 캠축(26)을 회전시켜 캠 조립체(25)가 회전하여 투입 스프링을 차징한다.
캠 조립체(25)에는 캠축(26)과 캠판(27)이 구비된다.
한편, 기구부 조립체(20)의 다른 측판(23)에는 카운터 조립체(30)가 구비된다. 도 6에 카운터 조립체(30)가 도시되어 있다.
카운터 조립체(30)는 카운터 브래킷(32)에 결합되는 카운터(31)와 카운터(31)의 카운터 레버(33)를 동작시키는 작동 레버(34)를 포함한다.
작동 레버(34)의 레버 핀(35)은 캠 조립체(25)의 캠판(27)에 접촉하여 작동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 캠판(27)과 카운터 조립체(30)의 상호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는 투입 스프링의 방세(discharge), 즉 차단기의 투입 완료 상태이고, 도 7b는 투입 스프링의 장전(축세)(charge) 초기 상태, 도 7c는 투입 스프링의 장전(charge) 중간 상태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캠판(27)의 외주면에 레버 핀(35)이 접촉한 상태에 있다. 캠 조립체(25)가 캠축(2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레버 핀(35)은 캠판(27)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자리를 유지한다.
도 7b와 같이 레버 핀(35)이 캠판(27)의 캠홈(28) 부분을 지나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 레버(34)의 머리부에 구비되는 접촉부(36)도 상승하여 카운터 레버(33)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어 카운터 레버(33)는 상승하게 된다.
이후, 캠판(27)이 계속 회전하여 도 7c와 같이 레버 핀(35)이 캠홈(28)을 벗어나 카운터 레버(33)가 하강하면 접촉부(36)도 하강하고 이에 따라 카운터 레버(33)도 하강하다. 이때, 카운터(31)는 숫자가 1만큼 증가한다. 즉, 회로부(50)의 가동부가 작동한 것으로 인정되어 카운터(31)의 숫자가 1씩 증가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은 투입 스프링의 장전에 연동하여 카운터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엄밀히 말해 차단기의 투입 동작에 연동하지 않고 투입 스프링의 장전 동작에 연동하는 것으로 On 동작시 카운터가 계수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카운터의 오류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단기의 On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On 동작 횟수를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는 카운터를 갖는 진공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를 갖는 진공 차단기는 샤프트 링크에 의해 주회로부에 연결되는 메인 샤프트; 상기 메인 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기구부 조립체; 상기 기구부 조립체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일측으로 돌출되는 카운터 레버를 갖는 카운터 조립체; 및 상기 기구부 조립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샤프트 링크에 연결되어 동작하고, 타단이 상기 카운터 레버에 연결되는 전달 레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구부 조립체의 측판에는 상기 카운터 조립체가 고정되는 측판 브래킷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측판 브래킷에는 상기 전달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레버축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카운터 조립체는 숫자가 표시되는 카운터, 상기 카운터가 고정되는 카운터 브래킷 및 상기 카운터의 숫자를 증가시키는 카운터 레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운터 브래킷은 상기 기구부 조립체의 측판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 링크의 상단연결부가 상기 메인 샤프트에 고정된 샤프트 레버에 축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 링크의 하단연결부가 상기 주회로부의 구동 링크에 축 연결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 링크의 중간부에는 상기 전달 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걸림핀이 마련된다.
또한, 일단이 상기 전달 레버의 전단작용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카운터 레버에 결합되는 제1 복귀스프링이 구비된다.
또한, 일단이 상기 측판 브래킷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전달 레버의 전단작용부에 결합되는 제2 복귀스프링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단작용부에는 상기 제1 복귀스프링과 제2 복귀스프링이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제1홀과 제2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를 갖는 진공 차단기에 의하면 차단기의 On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On 동작 횟수를 정확히 계수할 수 있다.
카운터가 차단기의 주회로부의 가동부를 구동하는 기구부의 메인 샤프트에 연동하여 작동하므로 On 동작과 동기화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운터의 오류로 착각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기구부 조립체와 모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모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기구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캠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카운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카운터 조립체와 캠 조립체의 작용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서 기구부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On 상태이고, 도 10은 Off 상태이다.
도 11은 도 8에서 카운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카운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에서 카운터의 작용도이다. 도 13은 On 상태이고 도 14는 Off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 "부재" 또는 "부"라는 용어는 어떤 한정적 목적을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며,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서 기구부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On 상태이고, 도 10은 Off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는 샤프트 링크(170)에 의해 주회로부(110)에 연결되는 메인 샤프트(190); 상기 메인 샤프트(19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기구부 조립체(140); 상기 기구부 조립체(14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일측으로 돌출되는 카운터 레버(164)를 갖는 카운터 조립체(160); 상기 기구부 조립체(14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샤프트 링크(170)에 연결되어 동작하고, 타단이 상기 카운터 레버(164)에 연결되는 전달 레버(1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는 진공 차단기일 수 있다. 도 8에 진공 차단기의 주요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진공 차단기(100)는 특고압/고압 배전 선로의 과전류, 단락 및 지락사고 등 이상전류 발생시 별도로 구비되는 계전기의 제어 전원에 의해 차단기 내부의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분리되어 회로를 차단한다.
여기서,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은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 VI)에 구비되는데 진공 인터럽터는 진공 소호방식으로 작동하여 고온 고압의 아크를 신속히 소호하고 아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인명 및 부하기기 보호에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진공 차단기(100)는 주회로부(110)와 기구부(120)를 포함한다.
주회로부(110)는 주회로에 연결되어 전원 및 부하에 연결된다. 주회로부(110)의 배후에는 전원에 연결되는 제1 터미널(상부 터미널)(114)과 부하에 연결되는 제2 터미널(하부 터미널)(115)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1 터미널(114)는 진공 인터럽터 내부의 고정접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터미널(115)는 진공 인터럽터 내부의 가동접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주회로부(110)는 회로의 각 상(phase)별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3상 회로의 경우 R상, S상, T상의 3개의 회로부(111,112,113)가 마련된다. 진공 차단기의 경우 회로부(111,112,113)에는 각각 진공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가 마련되어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구비된다. 즉, 각 상별로 차단부(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가 마련된다.
기구부(120)에는 투입 스프링(미도시)의 장전(축세, 차징, charging)을 위한 모터 조립체(130), 투입 스프링의 복원(방세, 디스차징, discharging)에 의해 작용하는 힘(복원력)을 메인 샤프트(190)에 전달하는 기구부 조립체(140), 차단부의 투입 또는 개방 작용을 일으키는 온 오프(On / Off) 버튼(126,125) 등이 포함된다.
모터 조립체(130)에는 투입 스프링의 차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32)와 기어부(135)를 포함한다.
모터(132)는 별도로 구비되는 제어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투입 스프링의 차징을 위한 구동력을 낸다.
기어부(135)는 모터(132)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다수의 기어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기어부(135)의 종단에는 출력기어(136)가 배치된다.
출력기어(136)는 기구부 조립체(140)의 캠 조립체(145)에 연결된다. 즉, 캠축(146)은 출력기어(136)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고 투입스프링을 차징한다.
캠 조립체(145)의 캠축(146)에는 크랭크 조립체(150)가 연결된다. 크랭크 조립체(150)는 메인 샤프트(190)의 메인 샤프트 레버(192)에 연결되어 메인 샤프트(190)를 회전시킨다.
모터 조립체(130)와 기구부 조립체(140)의 배후에 메인 샤프트(190)가 설치된다. 메인 샤프트(190)는 주회로부(110)의 차단부에 동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샤프트(190)는 주회로부(110)의 가동 접점을 동작시킨다.
메인 샤프트(190)에는 샤프트 링크(170)가 연결된다. 메인 샤프트(190)에는 샤프트 레버(191)가 구비된다. 샤프트 레버(191)는 메인 샤프트(190)로부터 방사(radial) 방향으로 돌출된다. 샤프트 레버(191)에 샤프트 링크(170)가 축연결된다. 따라서, 메인 샤프트(190)가 회전하면, 샤프트 링크(170)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On 버튼(126)이 작동하여 투입 시 메인 샤프트(19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샤프트 링크(170)가 상승한 것이 나타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Off 버튼(125)이 작동하여 개방 시 메인 샤프트(19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샤프트 링크(170)가 하강한 것이 나타나 있다.
샤프트 링크(170)의 하단에는 구동 링크(195)가 축 연결된다. 구동 링크(195)는 샤프트 링크(170)에 의해 상하 운동하면서 가동 접점을 동작시킨다.
도 11에는 카운터 조립체(16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카운터 조립체(160)의 분해도와 샤프트 링크(170)가 도시되어 있다.
기구부 조립체(140)의 측판(141)에는 카운터 조립체(160)의 설치를 위한 측판 브래킷(165)이 마련된다. 측판 브래킷(165)은 서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 형성되는 제1판(166)과 제2판(167)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판(166)과 제2판(167)은 서로 90도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판(166)은 측판(141)에 고정된다. 제1판(166)은 측판(141)에서 돌출 형성되는 장착부(144)에 고정될 수 있다.
제2판(167)에는 전달 레버(175)를 설치할 수 있는 레버축홀(168)이 형성된다.
카운터 조립체(160)는 카운터(161)와 카운터 브래킷(162) 및 카운터 레버(164)를 포함한다.
카운터 브래킷(162)은 기구부(120)의 측판(141)에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카운터 브래킷(162)과 측판(141)에는 각각 설치용 홀(163, 143)이 형성될 수 있다.
카운터 브래킷(162)은 상면, 전면, 측면을 포함한다. 카운터 브래킷(162)의 전면에 카운터(161)가 결합된다. 카운터 브래킷(162)의 측면이 기구부 조립체(140)의 측판(141)에 결합된다.
카운터 레버(164)는 카운터(161)의 숫자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카운터 레버(164)는 1번 당겨질 때마다 카운터(161)의 숫자를 1만큼 증가시킨다.
샤프트 링크(170)가 마련된다. 샤프트 링크(170)는 메인 샤프트(190)의 회전력을 구동 링크(195)에 전달하여 주회로부(110)의 가동부를 움직인다.
샤프트 링크(170)는 상단연결부(171)가 메인 샤프트(190)에 고정된 샤프트 레버(191)에 축 연결되고, 하단연결부(172)가 구동 링크(195)에 축 연결된다.
온 버튼(126)에 의해 투입 스프링이 방세(discharging)되면 메인 샤프트(190)가 회전하고, 이 메인 샤프트(190)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 링크(170)가 상승하여 구동 링크(195)를 끌어올린다. 구동 링크(195)는 가동부를 작동시켜 주회로부(110)를 투입 상태로 만든다.
샤프트 링크(170)의 중간부에는 전달 레버(175)를 작동시킬 수 있는 걸림핀(173)이 마련된다.
카운터(161)에는 측면에 카운터 레버(164)가 구비되어 회전한다. 카운터 레버(164)가 하강하면 카운터(161)는 1회 증가한다.
측판 브래킷(165)의 제1판(166)에는 상단부가 일부 절곡되고 스프링홀(169)이 마련된다.
전달 레버(175)는 측판 브래킷(165)에 축결합되어 회전한다. 전달 레버(175)는 측판 브래킷(165)의 제2판(167)에 형성된 레버축홀(168)에 축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2판(167)의 레버축홀(168)과 전달 레버(175)의 레버홀(181)을 관통하는 체결부재(185)가 마련될 수 있다.
전달 레버(175)는 전단작용부(177)와 후단작용부(180)를 갖는다.
전단작용부(177)는 전달 레버(175)의 몸체부로부터 일부 절곡되는 벤딩부(176)에 연결될 수 있다. 벤딩부(176)는 전달 레버(175)로부터 전단작용부(177) 사이의 간격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전단작용부(177)에는 제1 복귀스프링(185)과 제2 복귀스프링(187)이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제1홀(178)과 제2홀(179)이 형성된다.
후단작용부(180)는 샤프트 링크(170)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걸림핀(173)에 접촉 연결된다.
제1 복귀스프링(185)의 일단은 전달 레버(175)의 전단작용부(177)에 형성된 제1홀(178)에 결합되고, 제1 복귀스프링(185)의 타단은 카운터 레버(164)의 스프링홀(164a)에 결합된다. 제1 복귀스프링(185)에 의해, 전달 레버(175)가 하강하면 카운터 레버(164)가 하강하여 카운터(161)의 횟수가 1 증가한다.
제2 복귀스프링(187)의 일단은 제1판(166)의 스프링홀(169)에 결합되고, 제2 복귀스프링(187)의 타단은 전달 레버(175)의 전단작용부(177)에 형성된 제2홀(179)에 결합된다. 제2 복귀스프링(187)은 전달 레버(175)의 후단작용부(180)가 걸림핀(173)의 힘을 받아 상승하면, 전단작용부(177)가 하강하면서 탄성력이 저장되고, 후단작용부(180)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면 복원되어 전달 레버(175)의 전단작용부(177)를 상승시켜 원위치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에서 카운터의 작용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On 상태이고 도 14는 Off 상태이다.
사용자가 온 버튼(126)을 눌러 기구부 조립체(140)가 작동하면 투입 스프링이 방세하여 메인 샤프트(190)가 회전한다. 메인 샤프트(190)가 회전하면, 메인 샤프트(190)에 돌출된 샤프트 레버(191)도 회전하고 이에 축 연결된 샤프트 링크(170)가 상승하여 구동 링크(195)를 끌어올린다. 구동 링크(195)는 주회로부(110)의 가동부를 작동시켜 주회로부(110)를 투입 상태로 만든다. 도 13의 상태가 된다.
한편, 샤프트 링크(170)가 상승하면 샤프트 링크(170)의 걸림핀(173)에 걸려있는 후단작용부(180)가 상승하여 전달 레버(175)는 도 13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전단작용부(177)가 하강하면서 제1 복귀스프링(185)에 의해 카운터 레버(164)가 하강하여 카운터(161)의 숫자가 올라간다. 이때, 제2 복귀스프링(187)은 신장하면서 탄성력이 저장된다.
즉, 카운터가 메인 샤프트에 연동하여 작용하므로 차단기의 On 작용에 동기화되어 On 동작이 정확히 계수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오프 버튼(125)을 눌러 기구부 조립체(140)가 작동하면 투입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메인 샤프트(190)가 회전한다. 메인 샤프트(190)가 회전하면, 메인 샤프트(190)에 돌출된 샤프트 레버(191)도 회전하고 이에 축 연결된 샤프트 링크(170)가 하강하여 구동 링크(195)를 끌어내린다. 구동 링크(195)는 주회로부(110)의 가동부를 작동시켜 주회로부(110)를 개방 상태로 만든다. 도 14의 상태가 된다.
한편, 샤프트 링크(170)가 상승하면 샤프트 링크(170)의 걸림핀(173)에 걸려있는 후단작용부(180)에 대한 구속이 해제된다. 제2 복귀스프링(187)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전단작용부(177)가 상승하여 전달 레버(175)는 도 14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후단작용부(180)가 하강하고 카운터 레버(164)는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 상태를 예시하고 있는 것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들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진공 차단기
110 주회로부
120 기구부
125 오프 버튼
126 온 버튼
130 모터 조립체
140 기구부 조립체
141 측판
144 장착부
160 카운터 조립체
161 카운터
162 카운터 브래킷
164 카운터 레버
165 측판 브래킷
166 제1판
167 제2판
170 샤프트 링크
171 상단연결부
172 하단연결부
173 걸림핀
175 전달 레버
177 전단작용부
180 후단작용부
185 제1 복귀스프링
187 제2 복귀스프링
190 메인 샤프트
195 구동 링크

Claims (10)

  1. 샤프트 링크에 의해 주회로부에 연결되는 메인 샤프트;
    상기 메인 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기구부 조립체;
    상기 기구부 조립체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일측으로 돌출되는 카운터 레버를 갖는 카운터 조립체; 및
    상기 기구부 조립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샤프트 링크에 연결되어 동작하고, 타단이 상기 카운터 레버에 연결되는 전달 레버;를 포함하는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 조립체의 측판에는 상기 카운터 조립체가 고정되는 측판 브래킷이 구비되는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 브래킷에는 상기 전달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레버축홀이 형성되는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조립체는 숫자가 표시되는 카운터, 상기 카운터가 고정되는 카운터 브래킷 및 상기 카운터의 숫자를 증가시키는 카운터 레버를 포함하는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브래킷은 상기 기구부 조립체의 측판에 고정되는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링크의 상단연결부가 상기 메인 샤프트에 고정된 샤프트 레버에 축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 링크의 하단연결부가 상기 주회로부의 구동 링크에 축 연결되는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링크의 중간부에는 상기 전달 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걸림핀이 마련되는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전달 레버의 전단작용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카운터 레버에 결합되는 제1 복귀스프링이 구비되는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9. 제8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측판 브래킷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전달 레버의 전단작용부에 결합되는 제2 복귀스프링이 구비되는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작용부에는 상기 제1 복귀스프링과 제2 복귀스프링이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제1홀과 제2홀이 형성되는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KR1020220069068A 2022-06-07 2022-06-07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KR20230168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068A KR20230168512A (ko) 2022-06-07 2022-06-07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068A KR20230168512A (ko) 2022-06-07 2022-06-07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512A true KR20230168512A (ko) 2023-12-14

Family

ID=8916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068A KR20230168512A (ko) 2022-06-07 2022-06-07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5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86456A1 (zh) 一种具有接地联动的双断口隔离开关
US11189994B2 (en) Circuit breaker
WO2015157484A1 (en) Switchgear operating mechanism
WO2018223321A1 (zh) 带微动开关的熔断装置
EP3382731B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N212783318U (zh) 断路器
KR20230168512A (ko) 카운터를 갖는 회로 차단기
KR200411524Y1 (ko) 한류형 배선차단기
KR102206960B1 (ko) 진공절연을 통해 소호 가능한 저압형 양전원 진공절체차단기
CN111916317A (zh) 断路器
US10176956B2 (en) Safety tripping device for a frame-type ACB drawer seat
US20190287750A1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active arc control features
KR200477251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주 접점 위치 표시 기구
EP2736064A1 (en) Trip device and circuit breaker for electric wiring having same
CN113889377A (zh) 断路器
KR200295509Y1 (ko) 부하 개폐기
CN111463079B (zh) 断路器
EP3319102B1 (en) Indication device of electric switch
US4342889A (en) Modular vault-type load break switch
CN210778385U (zh) 负荷开关-熔断器组合电器
CN214898296U (zh) 一种小型漏电断路器漏电指示装置
CN213400930U (zh) 一种断路器联锁机构
CN214152829U (zh) 一种小型断路器的引弧装置
EP4318519A1 (en) Test button loop device and circuit breaker
CN213025989U (zh) 断路器用漏电显示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