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069A -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069A
KR20230168069A KR1020220068540A KR20220068540A KR20230168069A KR 20230168069 A KR20230168069 A KR 20230168069A KR 1020220068540 A KR1020220068540 A KR 1020220068540A KR 20220068540 A KR20220068540 A KR 20220068540A KR 20230168069 A KR20230168069 A KR 20230168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upport member
container
housing
batter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혁
박정범
문정오
이승준
조태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68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069A/ko
Priority to PCT/KR2023/006115 priority patent/WO2023234574A1/ko
Publication of KR20230168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tationary device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즈 및 무게의 최적화에 용이한 배터리 컨테이너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는, 복수의 단위 하우징을 구비하여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 하우징;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모듈 적층체를 형성하며, 상기 모듈 적층체가 수평 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 및 적어도 2개의 단위 하우징 사이를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Battery container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형태의 하우징 내부에 복수의 배터리 모듈이 수납되어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 부족이나 친환경 에너지 등과 같은 이슈가 부각되면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러한 ESS를 이용하면,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Smart Grid System)과 같은 전력 관리 체계 구축이 용이하여, 특정 지역이나 도시 등에서 용이하게 전력 수급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에 대한 상용화가 본격화되면서 전기 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는 전기 충전소에도 이러한 ESS가 적용될 수 있다.
ESS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터리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컨테이너에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이 서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ESS에 활용되는 배터리 컨테이너의 경우, 용량이나 출력을 높이기 위하여 내부에 많은 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다수 적층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모듈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종래 배터리 컨테이너는, 랙 프레임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즉, 종래 배터리 컨테이너의 경우, 컨테이너 하우징의 내부에 다수의 배터리 모듈이 수납될 수 있도록 짜여진 별도의 랙 프레임을 포함하고, 이러한 랙 프레임에 배터리 모듈이 수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배터리 컨테이너의 경우, 배터리 모듈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랙 프레임으로 인해, 배터리 컨테이너의 무게가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배터리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하우징 자체의 무게도 많이 나가지만, 그 내부에 수납되는 랙 프레임의 무게도 상당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까지 수납되는 경우, 배터리 컨테이너 전체의 무게는 매우 많이 나갈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컨테이너를 운반하는데 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고, 운반에 따른 비용도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컨테이너의 원가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배터리 컨테이너를 설치하는 과정에서도 작업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배터리 컨테이너의 경우, 랙 프레임이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배터리 컨테이너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컨테이너의 크기가 증가하면, 배터리 컨테이너를 운반하고 설치하는데 큰 제약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랙 프레임으로 인해 배터리 컨테이너 내부에서 배터리 모듈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배터리 컨테이너의 에너지 밀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이즈 및 무게의 최적화에 용이한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는, 복수의 단위 하우징을 구비하여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 하우징;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모듈 적층체를 형성하며, 상기 모듈 적층체가 수평 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 및 적어도 2개의 단위 하우징 사이를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은, 복수의 단위 하우징으로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 내부에 다수 포함되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인접한 2개의 지지 부재 사이에 1개의 모듈 적층체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의 2개의 기둥부 및 상기 2개의 기둥부에 양단이 체결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이 안착되도록 구성된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다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2개의 기둥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2개의 기둥부 사이의 공간을 차단시키는 플레이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는, 서로 이격된 2개의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는, 상기 안착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배터리 컨테이너의 무게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컨테이너의 운반이나 설치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배터리의 운반에 소요되는 노력 및 비용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원가 경쟁력이 제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배터리 컨테이너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배터리 컨테이너가 파손될 가능성이 효과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배터리 컨테이너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컨테이너의 운반이나 설치 시 제약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보다 많은 배터리 컨테이너를 선박이나 차량과 같은 운송 장비에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배터리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이 증대되므로, 에너지 밀도가 보다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배터리 컨테이너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하여, 여러 다른 추가적인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여러 효과들에 대해서는 각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거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 구성에서, 배터리 모듈이 제거된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의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C1-C1'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의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구성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C2-C2'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일부 구성을 상부 측에서 바라본 형태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일부 구성을 상부 측에서 바라본 형태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부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J1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하우징(100), 배터리 모듈(200) 및 지지 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00)은, 복수의 단위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위 하우징에 의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내부 공간을 통해, 여러 구성요소를 수납하고 보호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하우징 중 적어도 일부는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단위 하우징 중 적어도 일부는, 분리된 상태로 제조된 후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지 않고, 처음부터 일체화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00)은, 배터리 컨테이너의 외장재로서,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여러 구성요소, 특히 배터리 모듈(200)을 보호하기 위해 강성이 높은 재질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 하우징(100)은,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컨테이너의 특정 형태나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컨테이너 하우징(100)이 본 발명에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200)은,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모듈(200)은, 용량 및/또는 출력 증대를 위해 배터리 컨테이너에 복수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배터리 모듈(200)은, 버스바나 케이블 등의 연결 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 모듈(200) 중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모듈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모듈 적층체는,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이 상하 방향(도면의 Z축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3개의 배터리 모듈(200)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모듈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모듈 적층체는 수평 방향으로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배터리 모듈(200)은 여러 그룹으로 분할되어, 각 그룹마다 별도의 모듈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모듈 적층체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배터리 컨테이너에는 14개의 모듈 적층체가 포함되며, 14개의 모듈 적층체는 좌우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때, 각 모듈 적층체에는, 13개의 배터리 모듈(200)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배터리 모듈(200)의 적층 개수나 모듈 적층체의 수평 방향 배열 개수는, 배터리 컨테이너의 사양이나 장착 용도, 배터리 모듈(200)의 사양이나 특성, 종류 등, 여러 조건 내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 부재(300)는, 적어도 2개의 단위 하우징 사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컨테이너 하우징(100)에는, 복수의 단위 하우징이 구비될 수 있는데, 지지 부재(300)는, 그 중 적어도 일부 단위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이러한 단위 하우징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 부재(300)는, 단위 하우징 사이를 지지하여,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구조적 강성을 일정 수준 이상 확보하거나 보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 부재(300)는,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포스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부재(300)는, 지지 포스트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30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200)을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배터리 모듈(200)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모듈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는데, 지지 부재(300)는 이러한 모듈 적층체의 적층 상태 및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300)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스틸과 같은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300)에 의해,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구조적 강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한편, 배터리 모듈(200)이 안정적으로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종래 배터리 컨테이너에서 배터리 모듈(200)을 수납하기 위해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던 랙 프레임 등이 추가로 마련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배터리 컨테이너의 무게나 크기가 감소되고 에너지 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배터리 컨테이너를 제조하거나 운반 또는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나 노력이 절감될 수 있으므로, 원가 경쟁력과 설치 품질 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실시 구성에서, 배터리 모듈(200)이 제거된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00)은, 복수의 단위 하우징으로서, 상부 하우징(101)과 하부 하우징(102)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1)은,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대하여 상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101)의 내측 표면, 즉 하면은,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천정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102)은,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대하여 하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하우징(102)의 내측 표면, 즉 상면은,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바닥면을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부 하우징(101)과 하부 하우징(102)은, 각각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지지 부재(300)는, 상부 하우징(101)과 하부 하우징(102) 사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지지 부재(300)는, A1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상단이 상부 하우징(101)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300)는, A2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하단이 하부 하우징(102)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지지 부재(300)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 하우징(101) 및 하부 하우징(102)과 처음부터 일체화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 부재(300)는, 상부 하우징(101) 및 하부 하우징(102)과 별도로 제조된 후, 조립 과정에서 볼팅 체결이나 용접 등 다른 여러 체결 방식에 의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300)에 의해 상부 하우징(101)과 하부 하우징(102)이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상부 하우징(101)이 하부 방향으로 쳐지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300)가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부터 천정면까지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 부재(300)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배터리 모듈(200)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200)의 수납 공간이 증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200)을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바닥면부터 천정면까지 높게 적층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배터리 컨테이너의 에너지 밀도 향상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1) 및 하부 하우징(102)과 함께 좌측 하우징(103) 및 우측 하우징(10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좌측 하우징(103) 및 우측 하우징(104)은, 컨테이너 하우징(100) 내부 공간에 대하여 좌측 및 우측을 각각 밀폐시킬 수 있다. 더욱이, 좌측 하우징(103)과 우측 하우징(104)도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하우징(100)에는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내부 구성요소를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이러한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이 제거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컨테이너 하우징(10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6개의 단위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직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은,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도어를 포함하거나, 전체적으로 도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컨테이너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하우징은, 표면이 완전히 평평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나, 부분적으로 절곡된 형태 내지 곡선 형태를 갖거나, 리브나 덧댐 구조와 같은 보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모서리나 중앙 부분에는, 보강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300)는, 컨테이너 하우징(100) 내부에 다수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지지 부재(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 이를테면 좌우 방향(X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모듈 적층체는, 인접하는 2개의 지지 부재(3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 구성에서, 모듈 적층체 S6는,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지지 부재(300)인 W1과 W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지지 부재(300)는, 그 사이에 개재된 모듈 적층체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지지 부재(300)는, 수평 방향으로 그 사이에 개재된 모듈 적층체에 구비된 배터리 모듈(200)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 구성에서, 지지 부재 W1은 모듈 적층체 S6에 포함된 배터리 모듈(200)의 좌측 하단부를 지지하고, 지지 부재 W2는 모듈 적층체 S6에 포함된 배터리 모듈(200)의 우측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다수의 지지 부재(300)에 의해 배터리 컨테이너의 지지 성능 내지 구조적 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배터리 컨테이너에 포함된 다수의 배터리 모듈(200)에 대하여, 다른 추가 구성요소 없이, 지지 부재(300)만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의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3은, 도 2의 B1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도 3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부재(300)는, 기둥부(310) 및 안착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기둥부(3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세워진 막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기둥부(310)는, 상단과 하단이 컨테이너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둥부(310)는, 상단과 하단이 컨테이너 하우징(100)에 용접 결합되거나 볼팅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둥부(310)는, 컨테이너 하우징(100)과 처음부터 일체화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310)는, 하나의 지지 부재(300)에서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둥부(3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지 부재(300)에 2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기둥부(310)는,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20)는, 기둥부(310)에 결합되어 배터리 모듈(200)이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안착부(320)는, 2개의 기둥부(310)에 양단이 체결되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320)는, 모듈 적층체에서 각 배터리 모듈(200)을 상부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320)는, 프레임 형태 또는 브라켓 형태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안착 프레임 또는 안착 브라켓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지지 부재(300)로서, 컨테이너 하우징(100) 및 모듈 적층체의 구조와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 구성에서는, 기둥부(310)에 의해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전체 형상이 유지 및 지지될 수 있고, 지지 부재(300)에 의해 배터리 모듈(200)의 적층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200)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랙 프레임이나 컨테이너 하우징(100)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 구조물이 배터리 컨테이너에 포함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300)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배터리 컨테이너의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 컨테이너의 무게가 감소되어, 배터리 컨테이너의 운송 및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지지 부재(300)에 대면하는 모듈 적층체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배터리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300)는, 이와 같이 적층된 다수의 배터리 모듈(200)을 각각 지지하기 위해, 다수의 안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안착부(3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200)의 적층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안착부(320)는, 도 5에서 H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체결홀을 통해, 양단이 기둥부(310)와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배터리 모듈(200)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구성된 모듈 적층체의 적층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모듈 적층체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이 보다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지지 부재(300)에는, 모듈 적층체가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 구성에서, 하나의 지지 부재 W1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서로 다른 모듈 적층체인 S6과 S7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지지 부재(3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각각 복수의 안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지지 부재(300)로서, 좌우 양측에 위치한 복수의 배터리 모듈(200)이 함께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안착부(320)는, 일 방향, 이를테면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320)는, 좌우 방향으로 중앙 부분이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안착부(320)는, 모듈이 위치하는 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모듈(200)이 안착부(320)의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안착부(320)의 하단은 우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더욱이, 안착부(3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대략 90°정도 절곡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안착부(320)는, 절곡된 부분을 중심으로 수직 파트(321)와 수평 파트(3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파트(321)와 수평 파트(322)는, 각각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되, 서로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수직 파트(321)는 세워진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어 기둥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파트(321)는, 도 5에서 H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이 형성되어, 기둥부(310)와 볼팅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수평 파트(322)는 눕혀진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어 상면에 안착된 배터리 모듈(200)을 상부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20)는, 배터리 모듈(200)의 측하부 모서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착부(320)는, 배터리 모듈(200)의 좌측 하부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배터리 모듈(200)의 우측 하부 모서리는, 다른 안착부(320), 이를테면 다른 지지 부재(300)에 포함된 안착부(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배터리 모듈(200)을 기준으로, 2개의 안착부(320)가 배터리 모듈(200)의 양측, 특히 좌측 하단과 우측 하단을 각각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 모듈(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기둥부(310)에 체결 고정되는 안착부(320)의 구성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안착부(320)의 제조와 설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생산성 및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3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를 비롯하여 본 명세서에 포함된 여러 실시예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안착부(320)에는, H2로 표시된 바와 같은 후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홀(H2)은, 기둥부(310)의 후크가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기둥부(310)에는 후크(미도시)가 구비되어, 안착부(320)의 후크홀(H2)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안착부(320)의 후크홀(H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파트(321)뿐 아니라 수평 파트(322)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320)의 후크홀(H2)은, 수직 파트(321)에서 길게 형성되되, 절곡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직 파트(321)에 형성된 후크홀(H2)은, 수평 파트(322)와 접한 절곡부부터 상부 방향(+Z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다가, 수평 방향(Y축 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 길이만큼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기둥부(310)에 안착부(320)를 결합시키는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컨테이너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기둥부(310)와 안착부(320)의 결합성 및 고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3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안착부(320)는, E1 및 E2로 표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탄성 부재(E1, E2)는, 수평 파트(322)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탄성 부재(E1, E2)는, 고무나 실리콘, 폴리우레탄과 같은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E1, E2)는, 전기 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E1, E2)는, 상부에 배터리 모듈(200)이 직접 안착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이 기둥부(310) 및 안착부(320)를 거쳐 배터리 모듈(200)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E1, E2)는, 안착부(320) 본체와 배터리 모듈(200) 사이에서 전기적 절연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안착부(320) 본체는, 강성 확보를 위해 스틸과 같은 금속 등 도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E1, E2)는, 배터리 모듈(200)로부터 안착부(320) 본체로 누설 전류 등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E1, E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탄성 부재(E1, E2)는, 수평 파트(322)의 상부 표면에서 수직 파트(321)의 내측 표면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320)는, 도 7에서 D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후단부가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후단 절곡부(D1)는, 배터리 모듈(200)이 지지 부재(300)로 수납될 때, 후방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E1, E2)는, 이러한 안착부(320)의 후단 절곡부(D1)의 내측 표면에도 위치하도록 절곡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탄성 부재(E1, E2)에 의한 충격이나 진동 흡수 및 전기적 절연성 확보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C1-C1'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기둥부(310)는, V1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기둥부(3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형성된 중공(V1) 역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 컨테이너의 무게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컨테이너의 운반 및 설치 등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기둥부(310)에 사용되는 재료가 감소되어, 제조 비용이 보다 절감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기둥부(310)는, 모듈 적층체의 배열 방향인 수평 방향, 이를테면 좌우 방향(X축 방향)으로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기둥부(310)에는 각각 중공(V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중 적어도 2개의 기둥부(310) 사이에는 중공(V1)의 크기에 차이가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기둥부(310) 중, 외곽 부분에 위치하는 기둥부(310)의 중공(V1)은,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기둥부(310)의 중공(V1)에 비해 중공의 크기가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기둥부(310)는, 외부 크기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기둥부(310)의 중공(V1)은, 외곽 부분에 위치하는 기둥부(310)의 중공(V1)에 비해 관(파이프)의 두께가 두껍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외곽 부분에 위치하는 기둥부(310)는 중공(V1)을 크게 하고 두께를 줄여 배터리 컨테이너의 전체 무게가 감소되는데 기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기둥부(310)는 중공(V1)을 작게 하고 두께를 늘려 컨테이너 하우징(100), 특히 상부 하우징(101)의 중앙 부분이 아래로 쳐지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배터리 컨테이너의 무게를 감소시키면서도, 구조적 강성을 일정 수준 이상 확보하고자 하는 효과가 모두 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의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9는, 도 2의 B2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은, 도 9의 구성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C2-C2'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부재(300)는, 플레이트부(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330)는, 2개의 기둥부(31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지지 부재(300) 내에서, 2개의 기둥부(310)는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부(330)는, 전단부가 전방 측 기둥부(310)에 결합 고정되고, 후단부가 후방 측 기둥부(31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330)는, 2개의 기둥부(310) 사이의 공간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실시 구성을 참조하면, 2개의 기둥부(310) 사이에는, V2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부(330)는, 이러한 사이 공간으로 물질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레이트부(330)는, 대략 판상으로 구성되어, 평평한 2개의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부(330)는, 인접한 2개의 모듈 적층체 사이에 개재되어, 양 표면이 서로 다른 모듈 적층체에 대면하도록 세워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3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모듈 적층체가 위치하는 경우, 플레이트부(330)는 좌측과 우측에 양 표면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부(330)의 좌측 표면은 좌측 모듈 적층체에 대면하고, 플레이트부(330)의 우측 표면은 우측 모듈 적층체에 대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330)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부(330)는, 부분적으로 곡면을 갖거나 요철 내지 돌기 등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30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 모듈 적층체 사이의 물질 이동이 차단되거나 억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기둥부(310)와 함께 플레이트부(330)가 지지 부재(300)에 구비되어, 양측에 위치한 모듈 적층체 사이에서 화염 등이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배터리 컨테이너 내부에 포함된 다수의 모듈 적층체 사이에서 화염 등이 전파되는 문제가 감소되거나, 전파 속도가 지연될 수 있다. 이러한 화염 차단 성능 확보를 위해, 플레이트부(330)는, 스틸과 같이 용융점과 강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330)는, 화염 차단 성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세라믹, 더욱이 mica와 같은 재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컨테이너에는, 다수의 배터리 시스템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배터리 시스템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모듈 적층체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배터리 시스템은,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모듈 적층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부(330)는, 서로 다른 배터리 시스템 사이에 개재된 지지 부재(3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배터리 시스템에 2개의 모듈 적층체가 구비된 경우, 플레이트부(330)는 2개의 모듈 적층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배터리 시스템 내에서는 지지 부재(300)가 존재하더라도 플레이트부(330)가 적용되어 있지 않으므로, 지지 부재(300)를 사이에 두고 공기 등이 유통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배터리 시스템은, 동일한 공조 모듈, 이를테면 HVAC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공조 모듈로서, 서로 다른 모듈 적층체 사이에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서로 다른 배터리 시스템 사이에는, 지지 부재(300)에 플레이트부(330)가 적용되어 있으므로, 서로 다른 배터리 시스템 간 화염이 전달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330)는 2개의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각 지지 부재(300)마다 2개의 플레이트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플레이트부(330)는, 다수의 모듈 적층체가 배열되는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상호 대면되게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2개의 플레이트부(330)는, 상호 간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즉, 2개의 플레이트부(330)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플레이트부(330) 사이에는, 도면에서 V2로 표시된 바와 같은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2개의 플레이트부(330)가 지지 부재(300)의 일부로서 화염 차단 공간을 이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플레이트부(330)가 하나로 일체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2개의 플레이트부(330) 사이의 열전달이 억제될 수 있다. 더욱이, 2개의 플레이트부(330)가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공기층 등으로 인해, 2개의 플레이트부(330) 사이의 단열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화염 차단 성능을 갖도록 함에도 불구하고, 지지 부재(300)의 무게가 크게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배터리 컨테이너 전체의 무게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 컨테이너의 운송이나 설치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2개의 플레이트부(330)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V2)으로 인해, 플레이트부(330)의 변형이 흡수될 수 있다. 특히, 특정 모듈 적층체에서 가스나 화재가 발생한 경우, 해당 모듈 적층체가 수납된 공간에는 내압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내압 증가로 인해, 해당 모듈 적층체와 직접 대면하고 있는 플레이트부(33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해당 플레이트부(330)는, 도 11에서 V2로 표시된 바와 같은 빈 공간이 형성된 부분으로 밀릴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300) 전체의 위치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지지 부재(300)에 구비된 다른 플레이트부(330)에도 손상이나 변형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즉, 2개의 플레이트부(330) 사이의 빈 공간은, 내압 증가에 대한 플레이트부(330)의 변형을 버퍼링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 12는 도 10의 실시 구성에서 지지 부재(300), 특히 플레이트부(330)에 대한 변형예라 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300)에서 플레이트부(330)는, F1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단부가 절곡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부(3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절곡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단 절곡부는,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하부 측 내면, 즉 바닥면과 접촉할 수 있다. 더욱이, 플레이트부(330)의 하단 절곡부의 하면은, 하부 하우징(102)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330)의 상단부도 절곡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부(330)의 상단 절곡부는, 상부 하우징(101)의 내면, 즉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천정면과 접촉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플레이트부(330)에 형성된 상단 및/또는 하단 절곡부로 인해, 플레이트부(330)와 컨테이너 하우징(100) 사이의 밀폐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부(330)와 컨테이너 하우징(100) 사이의 틈으로 인해, 화염이나 가스가 새어 나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플레이트부(330)와 컨테이너 하우징(10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플레이트부(330)에 의한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구조적 강성 보완이나 지지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더욱이, 앞선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지지 부재(300)에 2개의 플레이트부(330)가 구비된 경우, 각 플레이트부(330)의 절곡 방향은, 지지 부재(300)의 외측 방향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지지 부재(300)에 2개의 플레이트(좌측 플레이트와 우측 플레이트)가 구비된 경우, 좌측 플레이트의 상단과 하단은 좌측 방향으로 절곡되고, 우측 플레이트의 상단과 하단은 우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지지 부재(300)에서, 2개의 플레이트의 단부와 컨테이너 하우징(100) 사이의 틈이 더욱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절곡 형태에 따른 밀폐 성능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지지 부재(300)에서, 2개의 플레이트부(330) 사이에 다양한 구성요소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부재(300)는, 2개의 플레이트부(330) 사이의 빈 공간(V2)에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제가 수납될 수 있다. 소화제로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화재 진압 가능한 물질이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소화제는 특정 모듈 적층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특정 모듈 적층체의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접한 다른 모듈 적층체로 화재가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300)는, 특정 모듈 적층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소화제가 2개의 플레이트부(330) 사이의 빈 공간(V2)에만 존재하거나, 그러한 공간으로부터 유출되어 모듈 적층체 측으로 새어 나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300)의 일부, 이를테면 플레이트부(330)에는 소화제가 새어 나갈 수 있는 홀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는, 소화액 공급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소화액 공급 모듈은, Q로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300) 내부에 소화 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소화 노즐(Q)은, 2개의 플레이트부(330) 사이의 공간(V2)으로 소화액, 이를테면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화 노즐(Q)은, 2개의 플레이트부(330) 사이의 공간(V2)에서 상부, 즉 상부 하우징(101)에 위치하여, 하부 방향으로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소화 노즐(Q)은, 인접한 모듈 적층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소화액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 노즐(Q)은, 유리 벌브 형태로 구성되어, 화염 등에 의해 열이 인가되어 파손됨으로써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소화액 공급 모듈은, 화재 센서나 연기 센서 등을 구비하여, 이러한 센서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고, 소화 노즐(Q)을 통해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특정 모듈 적층체에서 열폭주 또는 화재 발생 시, 열이나 화염이 지지 부재(300) 너머의 다른 모듈 적층체로 향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컨테이너 전체로 화재가 전이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 구성에서, 물과 같은 소화액은 지지 부재(300) 내부에만 분사되고, 배터리 모듈(200)에는 분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소화액에 직접 접촉하여 정상적인 배터리 모듈(200)까지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감전 사고 또는 누전 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의 일부 구성을 상부 측에서 바라본 형태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부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부재(300)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전방 측 내면 및 후방 측 내면에 각각 접촉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는, 내부 구성을 잘 나타내기 위해, 전방 하우징 및 후방 하우징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컨테이너 하우징(100)에는, 내부 공간의 전방 측과 후방 측을 폐쇄시키기 위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하우징(105) 및 후방 하우징(106)이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전방 하우징(105) 및/또는 후방 하우징(106)에는, 내부 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하우징(105) 및/또는 후방 하우징(106)에는,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공조를 위해 공조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HVAC이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전방 측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구성에서, 지지 부재(300)의 전단부는, 도 14에서 I1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전방 하우징(105)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특히, 지지 부재(300)의 전단부와 전방 하우징(105) 사이의 접촉 부분은,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300)의 후단부는, 도 14에서 I1'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후방 하우징(106)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300)의 후단부와 후방 하우징(106) 사이의 접촉 부분 역시,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지지 부재(30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기둥부(31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전단부에 위치하는 기둥부(310)의 전면은 전방 하우징(105)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후단부에 위치하는 기둥부(310)의 후면은 후방 하우징(106)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300)에 의한 화염 등 차단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300)의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화염이나 고온의 벤팅 가스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300)를 사이에 두고 인접 배치된 모듈 적층체 간 화재 전이 방지 효과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의 일부 구성을 상부 측에서 바라본 형태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도 15의 J1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먼저, 도 15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300)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J1, J2, J3 및 J4로 표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사면은, 전후 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방향이란, 모듈 적층체가 수납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구성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300)의 전단부 좌측, 특히 전방 측 기둥부(310)의 좌측면에는, K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전방 측(-Y축 방향)으로 갈수록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서 전방 측 기둥부(310)의 우측면에는, J2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전방 측으로 갈수록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서 후방 측 기둥부(310)의 좌측면에는, J3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후방 측으로 갈수록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서 후방 측 기둥부(310)의 우측면에는, J4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후방 측으로 갈수록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 구성의 경우, 지지 부재(300), 특히 기둥부(3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형태, 다시 말해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태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화염이나 가스 등이 지지 부재(300)의 전단부 내지 후단부를 따라, 그 너머의 다른 적층체 측으로 넘어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도 16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화염이나 가스가, 경사면(K)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염이나 가스가 지지 부재(300)의 단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지 부재(300) 너머의 다른 모듈 적층체로 이동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300)와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내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더욱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300)와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내면 사이의 틈으로 화염이나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300)에 의한 컨테이너 하우징의 지지 효과, 특히 전방 하우징(105) 및 후방 하우징(106)의 지지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300)에 포함된 플레이트부(330)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요철은, 플레이트부(330)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7에서 P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330)에는,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P1)는, 배터리 모듈(200)이 위치한 외측 수평 방향, 이를테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돌기(P1)는,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다수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특정 배터리 모듈(200)로부터 화염이 배출되는 경우, 플레이트부(330)에 구비된 돌기(P1)로 인해, 플레이트부(330)의 표면을 따라 화염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해될 수 있다. 특히, 화염은 직진성이 강하기 때문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돌기(P1)에 의해, 화염의 전후 방향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화염이 배터리 컨테이너의 전방 내지 후방 측으로 토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300)에 포함된 플레이트부(330)의 표면에는, P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돌기(P2)는,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안착부(320) 사이의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다수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특정 배터리 모듈(200)로부터 화염이 배출되는 경우, 플레이트부(330)에 구비된 돌기(P2)로 인해, 플레이트부(330)의 표면을 따라 화염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모듈 적층체 내부에서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된 다른 배터리 모듈(200)로 화염이 이동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모듈 적층체에서, 배터리 모듈(200) 간 화재가 전이되는 것이 감소되거나 지연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특히, 도 19는, 지지 부재(300)의 하부가 하부 하우징(102)과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내면, 이를테면 하부 하우징(102)의 상면(바닥면)에는, G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300)의 적어도 일부, 이를테면 하단부는 이러한 제1 삽입홈(G1)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제1 삽입홈(G1)은, 지지 부재(300)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제1 삽입홈(G1)은,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부재(300)는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제1 삽입홈(G1)을 따라 길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 19에서는,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하부만 도시되어 있으나,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상부에도 이러한 지지 부재(300)의 삽입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300)와 컨테이너 하우징(100) 사이로 화염이나 가스가 새어나가는 것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300)의 하단은 하부 하우징(102)에 형성된 제1 삽입홈(G1)에 삽입되므로, 지지 부재(300)의 하단과 하부 하우징(102) 사이의 화염 유출 경로가 절곡되어, 그 경로가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 부재(300)의 하단과 하부 하우징(102) 사이의 틈으로 화염 등이 쉽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300)가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지지 부재(300)의 컨테이너 하우징(100) 강성 보완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300)의 위치가 제1 삽입홈(G1)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컨테이너 하우징(100) 내부에 지지 부재(300)를 설치하는 작업이 보다 쉽게 수행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역시, 지지 부재(300)의 하부가 하부 하우징(102)과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19의 실시 구성과 마찬가지로, 컨테이너 하우징(100)의 내면에, 지지 부재(30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G2로 표시된 바와 같은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20의 실시 구성에서는, 도 19의 실시 구성과 달리, 제2 삽입홈(G2)의 내부에, L1 및 L2로 표시된 바와 같은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구별의 편의를 위해, 도 19의 실시예에 형성된 삽입홈(G1)은 제1 삽입홈, 도 20의 실시예에 형성된 삽입홈(G2)은 제2 삽입홈으로 지칭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제2 삽입홈(G2) 내부에 구비된 돌출부(L1, L2)는, 지지 부재(300)의 단부 형태에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11에서 V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300)에서 기둥부(310)의 중앙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둥부(310)의 중공(V1)으로, 제1 돌출부(L1)가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제1 돌출부(L1)는, 전후 방향으로 2개 형성될 수 잇다. 따라서, 지지 부재(300)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기둥부(310)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제1 돌출부(L1)의 주변에 형성된 제2 삽입홈(G2)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도 11의 실시 구성에서 V2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지지 부재(300)에서 플레이트부(330)를 구성하는 2개의 판재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플레이트부(330) 사이의 빈 공간(V2)으로, 제2 돌출부(L2)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판재는, 제2 돌출부(L2)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제2 삽입홈(G2)에 끼워진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구성의 경우, 지지 부재(300)와 컨테이너 하우징(100) 사이의 체결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300)와 컨테이너 하우징(100) 사이에 형성된 틈이, 여러 번 절곡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300)와 컨테이너 하우징(100) 사이의 틈으로 화재나 가스 등이 유출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0)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기둥부(310)는, 안착부(320)가 삽입되도록 G3 및 G3'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G3, G3')은, 앞선 삽입홈들(G1, G2)과 구별하기 위해 제3 삽입홈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삽입홈(G3, G3')은, 안착부(3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삽입홈(G3, G3')은, 안착부(32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수평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지지 부재(300)에서 2개의 기둥부(310)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기둥부(310)에는 좌측 표면 및 우측 표면에 각각 안착부(32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측 기둥부(310F)의 우측에 형성된 제3 삽입홈(G3)은, 안착부(320)의 전단부가 우측에서 삽입 가능하도록, 우측 및 후방 측이 개방된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측 기둥부(310R)의 우측에 형성된 제3 삽입홈(G3')은, 안착부(320)의 후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우측 및 전방 측이 개방된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측 기둥부(310F)의 좌측에 형성된 제3 삽입홈(G3)은, 안착부(320)의 전단부가 좌측에서 삽입 가능하도록, 좌측 및 후방 측이 개방된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측 기둥부(310R)의 좌측에 형성된 제3 삽입홈(G3')은, 안착부(320)의 후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좌측 및 전방 측이 개방된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안착부(320)의 고정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안착부(320)가 제3 삽입홈(G3, G3')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안착부(3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구성에 의하면, 제3 삽입홈(G3, G3')에 의해 안착부(320)의 조립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배터리 컨테이너의 조립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컨테이너는,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 이외에,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른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컨테이너는, AC/DC 패널과 같은 전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컨테이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제어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400)은, 배터리 컨테이너에 포함된 배터리 모듈(200)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거나 배터리 컨테이너 외부의 다른 구성요소와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컨테이너에 다수의 배터리 시스템이 포함된 경우, 다수의 제어 모듈(40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각 배터리 시스템에는, 별도의 제어 모듈(400)이 포함되어, 해당 배터리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둘 이상의 배터리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배터리 컨테이너 이외에 하나 이상의 배터리 컨테이너의 충방전 동작 등 여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컨테이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내측과 외측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내측 방향은 그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 방향은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컨테이너 하우징
101: 상부 하우징, 102: 하부 하우징, 103: 좌측 하우징, 104: 우측 하우징, 105: 전방 하우징, 106: 후방 하우징
200: 배터리 모듈
300: 지지 부재
310: 기둥부, 320: 안착부, 330: 플레이트부
400: 제어 모듈
G1~G3: 삽입홈

Claims (11)

  1. 복수의 단위 하우징을 구비하여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 하우징;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모듈 적층체를 형성하며, 상기 모듈 적층체가 수평 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 및
    적어도 2개의 단위 하우징 사이를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지지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은, 복수의 단위 하우징으로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컨테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 내부에 다수 포함되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인접한 2개의 지지 부재 사이에 1개의 모듈 적층체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컨테이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의 2개의 기둥부 및 상기 2개의 기둥부에 양단이 체결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이 안착되도록 구성된 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컨테이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다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컨테이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컨테이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컨테이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2개의 기둥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2개의 기둥부 사이의 공간을 차단시키는 플레이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컨테이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서로 이격된 2개의 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컨테이너.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상기 안착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컨테이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0220068540A 2022-06-03 2022-06-03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20230168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540A KR20230168069A (ko) 2022-06-03 2022-06-03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PCT/KR2023/006115 WO2023234574A1 (ko) 2022-06-03 2023-05-04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540A KR20230168069A (ko) 2022-06-03 2022-06-03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069A true KR20230168069A (ko) 2023-12-12

Family

ID=8902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540A KR20230168069A (ko) 2022-06-03 2022-06-03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8069A (ko)
WO (1) WO202323457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975B1 (ko) * 2016-01-07 2020-09-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컨테이너
CN110127253A (zh) * 2019-04-20 2019-08-16 中山市四海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锂电池高温静置立库温度独立控制装置及方法
KR20220001228A (ko) *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억제를 위한 격벽과 단열층이 구비된 전지 모듈
CN212934776U (zh) * 2020-09-29 2021-04-09 南通富顺柜业制造有限公司 一种可双侧开带有散热功能的电池集装箱
CN112366391B (zh) * 2020-12-11 2022-08-16 北京海博思创科技股份有限公司 储能电池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4574A1 (ko)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11611B2 (ja) 電池パック、車両及びエネルギー蓄積装置
RU2693497C1 (ru) Модуль контейнеров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на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ах
KR101358762B1 (ko) 배터리 냉각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랙
CN103493241B (zh) 电池容器、用在电池容器中的子电池容器及使用它们的电池组
JP5705374B2 (ja) 電池搭載車両
EP1207581A1 (en) Battery cooling structure
US11509014B2 (en) Battery rack and power storag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1883715A (zh) 用于lng货舱的防晃结构
KR102665192B1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US20210210808A1 (en) Battery case
KR20230168069A (ko)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10416452A (zh) 电池容纳装置和电动车
JP7041812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固定装置
KR20230168068A (ko)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18120101A (zh) 电池容器和包括该电池容器的能量存储系统
KR102664969B1 (ko) 배터리팩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CN218827559U (zh) 一种储能柜及储能系统
KR20080003495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218039643U (zh) 箱体和储能设备
CN220491977U (zh) 电芯安装组件及储能集装箱
US20230361404A1 (en)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WO2024011960A1 (zh) 电动车辆
KR20230105641A (ko) 소화수 저장 탱크와 월 마운트 유닛을 구비한 배터리 팩
CN116742199A (zh) 电芯安装组件及储能集装箱
KR20230168162A (ko) 개선된 냉각 구조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