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040A - Capsule unit and beverage machine using same - Google Patents

Capsule unit and beverage machine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040A
KR20230168040A KR1020220068469A KR20220068469A KR20230168040A KR 20230168040 A KR20230168040 A KR 20230168040A KR 1020220068469 A KR1020220068469 A KR 1020220068469A KR 20220068469 A KR20220068469 A KR 20220068469A KR 20230168040 A KR20230168040 A KR 20230168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unit
cover
bever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석
이준범
곽명훈
류형곤
오민규
유그라미
여준희
황성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8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040A/en
Publication of KR2023016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0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5Cartridge perforating means for creating the hot water in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유니트와 이를 사용하는 음료장치이다. 본 발명의 캡슐유니트(80,180)는 그 내부에 캡슐(1)을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캡슐유니트(80,180)에 캡슐(1)을 장착한 상태로 음료장치의 추출부(20) 내에 캡슐유니트(80,180)를 장착한다. 추출부(20)를 구성하는 프레임(21)과 하우징(22)에 대해 커버(24)가 이동가능하다. 상기 커버(24)가 개방되면 내부에 상기 캡슐유니트(80,180)를 장착하고, 커버(24)를 닫고 음료의 추출을 진행한다. 상기 캡슐유니트(80)에는 다수개의 캡슐(1)이 장착될 수 있어, 다양한 음료를 다양한 방식으로 추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apsule unit and a beverage device using the same. The capsule unit (80, 18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capsule (1) installed therein. The capsule units (80, 180) are mounted in the extraction unit (20) of the beverage device with the capsule (1) mounted on the capsule units (80, 180). The cover 24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rame 21 and housing 22 that constitute the extraction unit 20. When the cover 24 is opened, the capsule units 80 and 180 are mounted inside, the cover 24 is closed, and the beverage is extracted. The capsule unit 80 can b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apsules 1, so that various beverages can be extracted in various ways.

Description

캡슐유니트 및 이를 사용하는 음료장치{Capsule unit and beverage machine using same}Capsule unit and beverage machine using the same {Capsule unit and beverage machine using same}

본 발명은 음료의 추출을 위한 캡슐을 장착하는 캡슐유니트와 이 캡슐유니트를 사용하여 캡슐에 들어 있는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sule unit equipped with a capsule for extracting a beverage and a beverage device that extracts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apsule using this capsule unit.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를 밀봉 포장한 캡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캡슐은 음료의 원료를 내부에 밀봉 상태로 보관하고 있는데, 사용자는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캡슐 내부로 물을 통과시켜 음료를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 커피머신이 있다. 최근에는 커피 뿐 아니라 다양한 음료 및 음료재료를 캡슐에 제공하여 음료를 만들어 음용하도록 하고 있다.Capsules that seal and package raw materials for manufacturing beverages are widely used. These capsules store the raw materials of the beverage in a sealed state inside, and the user can make the beverage by passing water through the capsule using a mechanical devic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beverage device that uses capsules is a coffee machine. Recently, in addition to coffee, various beverages and beverage ingredients are provided in capsules for use in making beverages.

따라서, 음료장치에서 한 번에 하나의 캡슐만으로 음료를 제조하지 않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캡슐을 사용하여 음료를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있다.Accordingly, the beverage device does not produce a beverage using only one capsule at a time, but allows beverages to be produced using at least two or more capsules.

선행문헌1인 한국 공개특허 10-2012-0117390호에는 2개의 캡슐에서 동시에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는 캡슐을 장치 내에 하나 씩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장착하고, 추출 후에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아 꺼내야 한다. 따라서, 뜨거운 음료를 추출한 경우에는 온도가 높은 상태의 캡슐을 사용자가 꺼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17390, which is a prior document, allows beverages to be extracted from two capsules at the same time. However, here, the user must hold and install the capsules one by one into the device by hand, and even after extraction, the user must manually pull them out. Therefore, when extracting a hot beverage,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has to take out the capsule while the temperature is high.

선행문헌2는 PCT 국제공개 WO2003/056987호이다. 여기서는 캡슐이 안착되는 하우징이 서랍식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캡슐케이지 내에 캡슐이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캡슐을 직접 꺼내지 않아도 되는데, 캡슐을 장착하고 사용 후의 캡슐을 모으는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Prior Document 2 is PCT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2003/056987. Here, the housing in which the capsule is seated slides in a drawer style so that the capsule enters the capsule cage. Here, the user does not have to take out the capsule directly, but there is a complicated problem with the structure of installing the capsule and collecting the capsule after use.

선행문헌3은 미국공개특허 US2017/0325622A1호이다. 여기서는 캡슐을 홀더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음료장치에 장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는, 상기 홀더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음료장치를 동작시켜야 한다. 즉, 홀더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유지하면서 음료장치를 수작업으로 동작시키는 불편한 점이 있다.Prior Document 3 is US Patent Publication No. US2017/0325622A1. Here, the beverage is extracted by placing the capsule in the holder and attaching it to the beverage device. However, here, the beverage device must be operated while the user holds the holder with his or her hand. In other words,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anually operate the beverage device while holding the holder with the user's hand.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11739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17390 PCT 국제공개 WO2003/056987호PCT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2003/056987 미국공개특허 US2017/0325622A1호US Published Patent US2017/0325622A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을 음료장치에 장착하고 꺼내는 과정에서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유니트를 사용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capsule unit in which the capsule is seated during the process of mounting and removing the capsule from the beverage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유니트 내부의 캡슐안착공간을 달리하여 종류가 다른 캡슐에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extraction of beverages from different types of capsules by varying the capsule seating space inside the capsule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유니트 내의 캡슐안착공간을 다수개 두어 캡슐을 다수개 장착하고, 이에 장착된 캡슐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in the capsule unit so that a plurality of capsules can be mounted and beverages can be extracted from the capsules mounted thereon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유니트에 캡슐을 장착함에 의해 캡슐에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water to be injected into the capsule by mounting the capsule in the capsule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유니트에 장착될 수 있는 캡슐의 갯수를 다양화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ersify the number of capsules that can be mounted on a capsule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유니트에 대한 청소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cleaning of the capsule uni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유니트를 사용한다. 상기 캡슐유니트 내에 캡슐이 장착된 상태에서 캡슐유니트가 추출부에 장착되므로 사용자가 추출부에 캡슐을 장착하고 꺼낼 때 직접 캡슐을 손으로 잡지 않을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apsule unit in which a capsule is mounted inside. Since the capsule unit is mounted on the extraction unit while the capsule is mounted in the capsule unit, the user can not directly hold the capsule with his or her hand when mounting and removing the capsule from the extraction unit.

본 발명에서는 캡슐유니트에 다수개의 캡슐을 장착할 수 있도록 캡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캡슐유니트에 장착된 캡슐에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밸브와 펌프를 각각의 공급관에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캡슐에서 음료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apsule seating space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capsules can be mounted in the capsule unit, and a valve and a pump are placed in each supply pipe to supply water to the capsules mounted in the capsule unit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verages can be extracted from multiple capsul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herefore, various types of drinks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캡슐유니트 내부에 있는 캡슐안착공간은 다양한 종류의 캡슐에 맞도록 각각 달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슐유니트를 교체함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캡슐에서 음료를 추출할 수 있어서, 음료장치의 호환성이 높아질 수 있다.The capsule seating space inside the capsul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to fit various types of capsules. Therefore, by replacing the capsule unit, beverages can be extracted from various types of capsules, thereby increasing the compatibility of the beverage device.

본 발명에서는 캡슐유니트의 유니트커버에 천공구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니트커버를 유니트본체에 장착하는 순간 캡슐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구성없이 유니트커버를 유니트본체에 결합하는 동작으로 캡슐에 물을 공급하는 통공을 천공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erforation hole may be installed in the unit cover of the capsule unit. Therefore, a hole may be formed in the capsule the moment the unit cover is mounted on the unit bod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rill a hole for supplying water to the capsule by attaching the unit cover to the unit body without any additional configuration.

본 발명에서는 캡슐유니트가 추출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캡슐유니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캡슐유니트뿐만 아니라 비어 있는 상태의 추출부하우징을 쉽게 청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sule unit can be separated from the extraction unit.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lean not only the capsule unit but also the empty extraction housing with the capsule unit separated.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캡슐유니트는,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캡슐안착공간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돌기와 토출공이 형성되는 유니트본체와, 상기 캡슐안착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캡슐을 고정하는 누름스컷트가 구비되고 상기 유니트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캡슐안착공간을 차폐하는 유니트커버와, 상기 토출공을 통해 나온 추출된 음료를 모아 외부로 전달하는 결합관이 구비되고 상기 유니트본체에 장착되는 유니트호퍼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sul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nit body in which a capsule seating space in which a capsule is seated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discharge holes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apsule seating space, and which is inserted into the capsule seating space to hold the capsule. A unit cover is provided with a press cut for fixing and is coupled to the unit main body to shield the capsule seating space, and a coupling pipe for collecting the extracted beverage coming out through the discharge hole and delivering it to the outside is provided and is mounted on the unit main body. A unit hopper can be included.

상기 유니트본체에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The unit body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상기 유니트본체와 상기 유니트커버의 체결을 위해 유니트본체와 유니트커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이단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fasten the unit body and the unit cover, a lever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and a hook on which the lever's hook is hung may b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unit body and the unit cover.

상기 유니트본체와 상기 유니트커버의 체결을 위해 유니트본체와 유니트커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스냅결합을 위한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fasten the unit body and the unit cover, a snap coupling structure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nit body and the unit cover.

상기 스냅결합을 위한 구조는 상기 유니트본체나 유니트커버 중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과 상대되는 위치의 유니트커버나 유니트본체 중 하나에 형성되어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턱에 결합되는 걸이후크일 수 있다.The structure for the snap coupling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one of the unit body or the unit cover, and a hanger formed on one of the unit cover or the unit body at a position relative to the locking protrusion and coupled to the locking protrusion by elastic deformation. It could be a hook.

상기 유니트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캡슐로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주입구에는 상기 캡슐에 통공을 형성하는 천공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injection port formed in the unit cover to supply water to the capsul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erforation hole for forming a hole in the capsule.

상기 천공구는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에서 연장되고 내부에 주입유로가 있는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의 선단에 형성되는 천공날을 포함할 수 있다.The perforation hole may include a body plate, a flow tube extending from the body plate and having an injection flow path therein, and a perforation blade formed at the tip of the flow tube.

상기 몸체판에는 다수개의 고정편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캡슐을 고정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ixing pieces protrude from the body pl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secure the capsule.

상기 캡슐안착공간은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may be form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닥에 안착되고 컵안착면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위치되고 하우징에 위치된 커버가 내부공간을 개폐하여 내부에 캡슐을 착탈하도록 구성되며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을 제공하는 커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seated on the floor and having a cup seating surface, a support part located on the base, and a cover located on the support part and located in the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internal space to open and close the internal space. It is configured to attach and detach the capsule and may include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beverage, and a cover driving unit installed within the extraction unit to provide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상기 추출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어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ractor may include a frame, a housing installed on the frame and constituting the exterior, and the cover that is seated on the frame and performs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상기 프레임에는 랙기어가 형성된 이동안내대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안내대를 따라 상기 커버와 체결된 이동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구에는 상기 랙기어와 연동되는 구동기어가 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The frame is provided with a moving guide formed with a rack gear, and a moving tool coupled to the cover is movably installed along the moving guide. A driving gear interlocked with the rack gear is driven by a driving source on the moving tool. It can be.

상기 랙기어는 상기 이동안내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랙기어에 상기 구동기어가 맞물려 연동될 수 있다.The rack gears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gu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riving gear may be engaged and interlocked with each of the rack gears.

상기 커버에는 상기 베이스의 물공급부에서 전달된 물을 공급하는 연결관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관에 연결된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을 통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와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The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pe that supplies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supply part of the base, and may be provided with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and a valve and a pump that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supply pipe.

상기 추출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는 추출된 음료를 컵으로 전달하는 호퍼가 구비될 수 있다.The frame constituting the extraction unit may be equipped with a hopper that delivers the extracted beverage to a cup.

상기 호퍼에 형성된 오목부에는 배출관이 구비되고, 상기 오목부 내에는 내부에 캡슐이 장착된 캡슐유니트가 위치되어 상기 배출관으로 추출된 음료를 전달할 수 있다.A discharge pipe is provided in the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hopper, and a capsule unit with a capsule installed inside the concave portion is positioned to deliver the extracted beverage through the discharge pipe.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닥에 안착되고 컵안착면을 가지며 내부에 물공급부가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위치되고 개폐되는 커버를 구비하여 내부에 캡슐이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음료를 추출하여 컵으로 배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커버 내에 위치되어 상기 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연결돤을 통해 전달받아 상기 캡슐에 주입하는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that is seated on the floor, has a cup seating surface, and has a water supply part therein, a support part located on the base, and a cover that is positioned on the support part and is opened and closed. It may include an extraction unit configured to have a capsule mounted therein and extracting a beverage and discharging it into a cup, and a supply pipe located within the cover that receives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through a connection and injects it into the capsule. .

상기 연결관은 제1분지관과 제2분지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1분지관에는 제1밸브와 제1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제2분지관에는 제2밸브와 제2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제1분지관에는 제1공급관이 연결되어 일측 캡슐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제2분지관에는 제2공급관이 연결되어 타측 캡슐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ipe is provided with a first branch pipe and a second branch pipe, the first branch pipe is provided with a first valve and a first pump, and the second branch pipe is provided with a second valve and a second pump, A first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pipe to supply water to one capsule, and a second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pipe to supply water to the other capsule.

상기 추출부에는 오목부와 배출관을 구비하는 호퍼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에는 상기 제1공급관과 제2공급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유니트가 안착될 수 있다.A hopper having a concave portion and a discharge pipe is installed in the extraction unit, and a capsule unit in which a capsule that receives water from the first supply pipe and the second supply pipe is mounted can be seated in the hopper.

상기 호퍼의 배출관에는 연결관이 더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컵안착면에 안착된 컵으로 음료를 전달할 수 있다.A connection pipe is further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of the hopper, and the connection pipe can deliver the beverage to the cup seated on the cup seating surface.

상기 캡슐유니트는, 내부에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캡슐안착공간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돌기와 토출공이 형성되는 유니트본체와, 상기 캡슐을 고정하는 누름스컷트가 구비되고 상기 유니트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캡슐안착공간을 차폐하는 유니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psule unit is provided with a unit body in which a capsule seating space in which the capsule is seated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discharge holes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apsule seating space, and a press cut for fixing the capsule is provided, and a unit body is provided. It may include a unit cover that is combined to shield the capsule seating space.

상기 캡슐유니트는, 내부에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캡슐안착공간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돌기와 토출공이 형성되는 유니트본체와, 상기 캡슐을 고정하는 누름스컷트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유니트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캡슐안착공간을 차폐하는 유니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psule unit may be provided with a unit body in which a capsule seating space in which the capsule is seated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discharge holes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apsule seating space, and a pressing scut for fixing the capsule, and the unit It may include a unit cover tha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shields the capsule seating space.

상기 토출공을 통해 나온 추출된 음료를 전달하는 유니트호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A unit hopper that delivers the extracted beverage through the discharge hole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의한 캡슐유니트 및 이를 사용하는 음료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The capsu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everage device using the same can hav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캡슐안착공간이 형성되는 캡슐유니트를 사용한다. 상기 캡슐유니트 내에는 캡슐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캡슐유니트는 추출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음료의 추출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캡슐을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 캡슐유니트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취급하므로, 음료 추출 후 뜨거은 상태의 캡슐을 쉽게 취급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apsule unit is used in which a capsule seating space is formed inside. A capsule may be installed within the capsule unit. The capsule unit can be mounted inside the extraction unit to extract a beverage. Therefore, since the user handles the capsule while it is placed in the capsule unit rather than holding it directly with the hand, it is convenient to easily handle the hot capsule after extracting the beverage.

본 발명에서는 캡슐유니트의 캡슐안착공간을 다른 종류의 캡슐에 맞게 설계한 것을 별도로 구비하면, 보다 다양한 종류의 캡슐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장치의 호환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apsule seating space of the capsule unit is separately designed to fit different types of capsules, more diverse types of capsules can be use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relatively increasing compatibility of the beverage device.

본 발명에서는 캡슐유니트 내에 다수개 배치된 캡슐안착공간에 장착된 캡슐들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음료를 다수 잔 동시에 만들거나, 동일한 음료의 양을 늘여서 만들거나, 다른 종류의 음료를 동시에 만들거나, 다른 종류의 음료를 섞은 혼합음료를 만들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capsules mounted in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arranged within the capsule unit can be extract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making multiple cups of the same drink at the same time, making an increased amount of the same drink, making different types of drinks at the same time, or making a mixed drink by mixing different types of drinks. There is an effect.

본 발명에서는 캡슐유니트의 유니트본체에 캡슐을 안착시키고 유니트커버를 닫으면 천공구에 의해 통공이 형성되어 캡슐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잡한 구조없이 캡슐에 통공을 형성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구성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psule is placed in the unit body of the capsule unit and the unit cover is closed, a hole is formed by the perforation hole, allow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capsule. Therefore, a hole can be formed in the capsule without a complicated structure, which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본 발명에서는 캡슐유니트가 추출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캡슐유니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캡슐유니트뿐만 아니라 비어 있는 상태의 추출부 내부를 쉽게 청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sule unit can be separated from the extraction unit.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lean not only the capsule unit but also the inside of the empty extraction unit when the capsule unit is separated.

본 발명에서는 캡슐유니트에 장착될 수 있는 캡슐의 수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다양한 조합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음료를 만들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capsules that can be mounted on the capsule unit can be varied. In this way, you can make drinks in various ways with various combin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추출부와 캡슐유니트의 내부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추출부에서 하우징과 커버를 제거하여 추출부의 내부와 캡슐유니트가 추출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추출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추출부에서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을 하우징을 제거하고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커버의 승강을 위해 사용되는 이동안내대와 이동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커버의 승강을 위한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추출부에서 사용되는 호퍼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캡슐유니트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캡슐유니트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캡슐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캡슐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캡슐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캡슐유니트를 구성하는 유니트본체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캡슐유니트를 구성하는 유니트커버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캡슐유니트의 내부를 보인 중요부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례의 캡슐유니트 내부에 설치되는 천공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에서 사용되는 다른 종류의 캡슐유니트를 보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을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추출부의 커버가 개폐되고, 추출부 내부에 캡슐유니트가 장착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물공급부 내에서 물이 유동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everage device using a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traction unit and capsul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extraction unit and the capsule unit mounted on the extraction unit with the housing and cover removed from the extraction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important parts of the extraction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installed on the frame in the extract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housing removed.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guide and a moving tool used to raise and lower the co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co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pper used in the extraction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psul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psul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psul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psul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psul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it body constituting the capsule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nit cover constituting the capsule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mportant part showing the interior of the capsule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illing hole installed inside the capsule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capsule unit used in the beverage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parts installed inside the ba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at the cover of the extraction unit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capsule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extraction uni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water flowing within the water supply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 실시례의 캡슐유니트와 이 캡슐유니트를 사용하는 음료장치를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례에는 베이스(10)가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납작한 판상으로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베이스(10)가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베이스(10)는 납작한 형태라면 원판형상, 다각판형상 등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부(16)가 설치될 수 있다.A capsule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everage device using the capsule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re is a base 10. The base 10 may be in the shape of a flat plate. In this embodiment, the base 10 has a flat hexahedral shape. However, if the base 10 is flat, it can be made in various shapes, such as a disk shape or a polygonal plate shape. A support portion 1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10.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는 동작버튼(1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동작버튼(12)은 터치로 동작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동작버튼(12)을 포함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컵안착면(14)을 제외한 영역, 즉 컵안착면(14)에서 동작버튼(12)이 있는 베이스(10)의 앞쪽 사이의 영역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영역에 디스플레이패널을 설치하여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패널인 경우에 상기 동작버튼(12)은 터치로 작동될 수 있다.There may be an operation button 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The operation button 12 may be operated by touch. The area including the operation button 12 and excluding the cup seating surface 14, which will be explained below, that is, the area between the cup seating surface 14 and the front of the base 10 where the operation button 12 is located, is the display. may become possible. A display panel is installed in the area to display information, and in the case of a touch-enabled display panel, the operation button 12 can be operated by touch.

상기 베이스(10)의 뒤쪽 영역에는 컵이 안착되는 영역인 컵안착면(1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컵안착면(14)에 컵이 안착되어 추출부(20)에서 추출된 음료를 받을 수 있다. 상기 컵안착면(14)에 해당되는 영역에는 지지부(1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추출부(20)가 위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In the rear area of the base 10, there may be a cup seating surface 14, which is an area where the cup is seated. The cup is seated on the cup seating surface 14 to receive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unit 20. There may be a support portion 16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up seating surface 14. The extraction unit 2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positioned and supported on the support unit 16.

상기 지지부(16)는 지지레그(18)와 상기 지지레그(18) 사이를 연결하는 추출부안착대(19)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18)는 2개가 상기 추출부안착대(19)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18)의 사이에 상기 컵안착면(14)이 위치한다.The support portion 16 may be composed of a support leg 18 and an extractor seat 19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legs 18. Two support legs 18 may support both ends of the extraction unit seating base 19. The cup seating surface 14 is located between the support legs 18.

상기 지지부(16)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높이가 고정된 형태이다. 하지만, 상기 지지부(16)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6)의 높이가 가변되면 높이가 다른 컵을 쓸 때에 배출관(46,48,50) 또는 연결관(50,52,54)의 끝부분을 컵의 높이에 맞게 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6 has a fixed heigh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However,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16 may be variable. If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16 is variable, when using cups of different heights, the ends of the discharge pipes 46, 48, 50 or the connecting pipes 50, 52, and 54 can be adjusted to the height of the cup.

상기 지지부(16) 상에 추출부(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20)의 외관과 골격을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1), 하우징(22), 커버(24)가 형성할 수 있다. The extraction unit 20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unit 16. As can be seen in FIGS. 1 and 2, the exterior and skeleton of the extraction unit 20 can be formed by a frame 21, a housing 22, and a cover 24.

상기 프레임(21)은 대략 원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에는 상기 하우징(22)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24)가 상기 프레임(21)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우징(22)과 커버(24)가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2)과 커버(24)의 형상은 다각기둥 형상 등 다양하게 될 수 있다.The frame 21 may be approximately disk-shaped. The housing 22 may be installed on the frame 21, and the cover 24 may be installed to be able to be lift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rame 21.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ousing 22 and the cover 24 have a cylindrical shape. The shapes of the housing 22 and the cover 24 may be various, such as a polygonal pillar shape.

상기 하우징(22)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출관(46,48,50)과 연결관(52,54,56)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2)은 상기 지지부(16)에 고정되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2)의 하부를 관통해서는 상기 컵안착면(14)을 향하도록 연결관(52,54,56)이 설치될 수 있다. Inside the housing 22, discharge pipes 46, 48, 50 and connection pipes 52, 54, and 5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located. The housing 22 may be fixed and seated on the support portion 16. Connecting pipes 52, 54, and 56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22 toward the cup seating surface 14.

상기 커버(24)는 그 내부에 있는 부품들과 함께 상기 프레임(21)에 안착되고,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프레임(21)에서 분리되어 소정 거리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24)는 상기 프레임(21)에 대해서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커버(24)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아래에서 설명될 캡슐유니트(80)가 추출부(2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The cover 24 is seated on the frame 21 together with the parts therein,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frame 21 by a driving source and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ver 24 may be moved upward relative to the frame 21 based on the drawing. When the cover 24 moves upward, the capsule unit 8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mounted inside the extraction unit 20.

상기 커버(24)는 상하로 관통된 통형상의 커버몸체(26)와 상기 커버몸체(26)의 상부를 차폐하는 커버탑(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26)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될 캡슐유니트(80)가 외부와 차폐될 수 있다.The cover 24 may include a cylindrical cover body 26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and a cover top 28 that shields the upper part of the cover body 26. The capsule unit 8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by the cover body 26.

상기 커버몸체(26)의 내부에는 관안내레버(2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관안내레버(26')는 한쌍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관안내레버(26')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4는 단면도이므로 하나의 관안내레버(26')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관안내레버(26')에 형성된 관통공(26h)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공급관(37)과 제2공급관(37')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There may be a pipe guide lever 26' inside the cover body 26. There may be a pair of tube guide levers 26'. The pipe guide lever 26' is shown in FIGS. 2 and 4. For reference, sinc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nly one pipe guide lever 26' is shown. The first supply pipe 37 and the second supply pipe 37',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6h formed in the pipe guide lever 26' as shown in FIG. 2.

상기 커버몸체(26)의 내부에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품안착단(2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부품안착단(27)에는 펌프안착공간(2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펌프안착공간(2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펌프(35)와 제2펌프(35')가 안착될 수 있다. 도 4는 단면도이므로 상기 부품안착단(27)과 펌프안착공간(27')은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버몸체(26)의 내면 일측에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체결대(27")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체결대(2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구(70)가 체결될 수 있다. Inside the cover body 26, as can be seen in FIG. 4, there may be a component seating end 27. The component seating end 27 may have a pump seating space 27'. The first pump 35 and the second pump 35',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seated in the pump seating space 27'. Sinc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nly the component seating end 27 and the pump seating space 27' are shown.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body 26, a fastener 27" protrudes, as can be seen in Figure 4. A moving tool 7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er 27". there is.

상기 커버탑(28)의 저면에는 누름단(29)이 형성되어 상기 펌프안착공간(27')에 안착된 펌프(35,35')를 눌러줄 수 있다. 상기 커버탑(28)은 상기 커버몸체(26)의 상단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몸체(26)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폐할 수 있다.A pressing end 29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ver top 28 to press the pumps 35 and 35' seated in the pump seating space 27'. The cover top 28 is coupl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cover body 26 to shield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body 26 from the outside.

상기 베이스(10)의 물공급부(121)에서 공급되는 물을 추출부(20)로 전달하기 위해 연결관(30)이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관(30)이 상기 베이스(10)에서 나와서 상기 추출부(20) 상부에 해당되는 상기 커버(24)를 관통하여 추출부(20)내부로 들어가 있다. 다르게는, 상기 연결관(30)은 상기 추출부(20)의 하부를 통해 추출부(2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즉, 연결관(30)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상기 지지부(16)를 따라 연결관(30)이 연장되어 추출부(20) 내부로 들어갈 수도 있다. 이때 치지부(16)를 통과하는 연결관(30)의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될 수 있다.There may be a connection pipe 30 to deliver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21 of the base 10 to the extraction unit 2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nection pipe 30 comes out of the base 10, penetrates the cover 24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extraction unit 20, and enters the interior of the extraction unit 20. Alternatively, the connection pipe 30 may enter the inside of the extraction unit 20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extraction unit 20. That is, the portion of the connector 30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Alternatively, the connection pipe 30 may extend along the support portion 16 and enter the inside of the extraction portion 20. At this time, the portion of the connector 30 that passes through the tooth portion 16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연결관(30)은 상기 커버(24)가 이동하는 거리만큼 신축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관(30)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커버(24)의 이동 거리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길이로 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0)을 통과하는 물의 온도유지를 위해 상기 연결관(30)을 둘러 단열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or 30 may be able to expand and contract by the distance the cover 24 moves. Alternatively, the connector 30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have a length sufficient to absorb the moving distance of the cover 24. In orde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ipe 30, an insulating layer (not shown) may be formed surrounding the connection pipe 30.

상기 연결관(30)의 끝부분에는 제1분지관(31)과 제2분지관(3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분지관(31)과 제2분지관(32)은 상기 연결관(30)을 통해서 전달된 물을 분리하여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분지관(31)에는 제1밸브(33)가 설치되어 제1분지관(31)을 통한 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분지관(32)에는 제2밸브(33')가 설치되어 제2분지관(32)을 통한 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ipe 30, there may be a first branch pipe 31 and a second branch pipe 32. The first branch pipe 31 and the second branch pipe 32 can separate and flow the water deliver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30. A first valve 33 is installed in the first branch pipe 31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through the first branch pipe 31. A second valve 33' is installed in the second branch pipe 32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through the second branch pipe 32.

상기 제1분지관(31)에는 제1펌프(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분지관(32)에는 제2펌프(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35)는 제1분지관(31)을 통한 물의 유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펌프(35')는 상기 제2분지관(32)을 통한 물의 유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A first pump 35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branch pipe 31. A second pump 35'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branch pipe 32. The first pump 35 may provide a driving force for the flow of water through the first branch pipe 31. The second pump 35' may provide a driving force for the flow of water through the second branch pipe 32.

예를 들어 제1공급관(37)과 제2공급관(37') 모두를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펌프(35)를 구동하고 제1밸브(33)를 개방하며, 제2펌프(35')도 구동하고 제2밸브(33')도 개방한다. 만약, 제1공급관(37)을 통해서만 물이 공급되도록 하려면, 상기 제1펌프(35)를 구동하고 제1밸브(33)는 개방하고, 상기 제2펌프(35')는 구동하지 않고 제2밸브(33')는 폐쇄한다.For example, in order to supply water through both the first supply pipe 37 and the second supply pipe 37', the first pump 35 is driven, the first valve 33 is opened, and the second pump ( 35') is also driven and the second valve (33') is also opened. If water is to be supplied only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37, the first pump 35 is driven, the first valve 33 is opened, the second pump 35' is not driven, and the second pump 35' is not driven. The valve 33' is closed.

상기 제1펌프(35)와 제2펌프(35')는 각각 상기 커버몸체(26)의 부품안착단(27)에 있는 펌프안착공간(27')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펌프(35)는 상기 제1분지관(31)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펌프(35')는 상기 제2분지관(32)과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1분지관(31)과 제2분지관(32) 및 이와 연결된 부분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상기 부품안착단(27)이 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35)와 제2펌프(35')는 각각 상기 누름단(29)에 의해 눌러져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pump 35 and the second pump 35' are respectively seated and fixed in the pump seating space 27' at the component seating end 27 of the cover body 26. The first pump 35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pipe 31, and the second pump 35'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pipe 32, so that the first branch pipe 31 The component seating end 27 may serve to support the second branch pipe 32 and the parts connected thereto. The first pump 35 and the second pump 35' may each be pressed and fixed by the push end 29.

상기 제1분지관(31)에는 제1공급관(37)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분지관(31')에는 제2공급관(37')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공급관(37)과 제2공급관(37)은 상기 관안내레버(26')에 형성된 관통공(26h)에 분지관(31,32) 반대쪽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관(37)은 상기 제1분지관(31)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26h)에 삽입되고, 상기 제2공급관(37')은 상기 제2분지관(32)에서 연장되어 다른 쪽 관통공(26h)에 삽입될 수 있다.A first supply pipe 37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pipe 31, and a second supply pipe 37'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pipe 31'. The first supply pipe 37 and the second supply pipe 37 may be joined by inserting the opposite ends of the branch pipes 31 and 32 into the through hole 26h formed in the pipe guide lever 26'. The first supply pipe 37 extends from the first branch pipe 31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6h, and the second supply pipe 37' extends from the second branch pipe 32 to another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ide through hole (26h).

상기 프레임(21)에는 호퍼(3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호퍼(38)는 도 5 및 도 8에 구성이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호퍼(38)는 추출된 음료를 컵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호퍼(38)의 상면에는 제1오목부(40), 제2오목부(42), 제3오목부(44)가 오목하게 그리고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오목부(40)는 상기 제1공급관(37)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고, 상기 제2오목부(42)는 상기 제2공급관(37')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다. 상기 제1오목부(40)와 제2오목부(42)의 사이에는 상기 제3오목부(44)가 있다.A hopper 38 may be installed on the frame 21. The configuration of the hopper 38 is well illustrated in FIGS. 5 and 8. The hopper 38 is configured to deliver the extracted beverage to the cup. A first concave portion 40, a second concave portion 42, and a third concave portion 44 may be formed concavely and side by si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pper 38. The first recess 40 is locat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supply pipe 37, and the second recess 42 is locat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supply pipe 37'. The third recess 44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recess 40 and the second recess 42.

상기 제1오목부(40)의 상면과 연통되도록 제1배출관(46)이 구비되고, 상기 제2오목부(42)의 상면과 연통되도록 제2배출관(4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오목부(44)의 상면과 연통되도록 제3배출관(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2,3배출관(46,48,50)은 상기 호퍼(38)의 하부로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2,3배출관(46,48,50)은 상기 하우징(22)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 하지만,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2,3배출관(46,48,50)이 하우징(22)의 하부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2,3배출관(46,48,50)에, 도 2, 도 3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관(52), 제2연결관(54), 제3연결관(56)이 있고, 이들 연결관(52,54,56)이 관통되면서 결합되도록 차폐판(58)이 있을 수 있다.A first discharge pipe 46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40, and a second discharge pipe 48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 42. A third discharge pipe 50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concave portion 44.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charge pipes 46, 48, and 50 may extend parallel to the lower part of the hopper 38.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charge pipes 46, 48, and 50 may extend to penetrate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22. Howev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charge pipes 46, 48, and 50 do not extend to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22. As shown in FIGS. 2, 3, and 5,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charge pipes (46, 48, and 50) are connected to a first connector (52), a second connector (54), and a third connector. There is a pipe 56, and there may be a shielding plate 58 so that these connecting pipes 52, 54, and 56 penetrate and couple together.

즉, 상기 차폐판(58)에는 상기 제1에서 제3연결관(52,54,5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판(58)은 상기 하우징(22)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관(52)은 상기 제1배출관(46)과 연결되어 추출된 음료를 컵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2연결관(54)은 상기 제2배출관(48)과 연결되어 추출된 음료를 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관(56)은 상기 제3배출관(50)과 연결되어 추출된 음료를 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차폐판(58)을 상기 하우징(22)의 개구부에 장착하기 위해 양단에 체결걸이(58')(도 5 참고)가 있을 수 있다. That is, the shielding plate 58 may be provided with the first to third connectors 52, 54, and 56. The shielding plate 58 may serve to shield the opening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22. The first connection pipe 52 is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ipe 46 to deliver the extracted beverage to the cup,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54 is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e pipe 48 to deliver the extracted beverage. can be delivered through a cup. The third connection pipe 56 is connected to the third discharge pipe 50 and can deliver the extracted beverage to the cup. In order to mount the shielding plate 58 to the opening of the housing 22, there may be fastening hooks 58' (see FIG. 5) at both ends.

상기 제1연결관(52)과 제2연결관(54)의 출구는 소정의 간격을 둘 수 있는데, 하나의 컵에 동시에 음료를 전달할 수 있는 간격으로 될 수 있다. 물론 상대적으로 입구의 직경이 큰 컵을 사용하는 경우에 그러하다. 즉, 일반적인 컵의 입구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제1배출관(44)과 제2배출관(44')의 출구 사이의 간격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컵으로 제1연결관(52)과 제2연결관(54)에서 나오는 음료를 동시에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outlets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52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54 may be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which may be a gap that allows beverages to be delivered to one cup at the same time. Of course, this is the case when using a cup with a relatively large inlet diameter. That is, the gap between the outlet of the first discharge pipe 44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44' may be smaller than the inlet diameter of a typical cup. This is to enable one cup to simultaneously receive beverages coming from the first connector 52 and the second connector 54.

하지만, 상기 제1연결관(52)과 제2연결관(54)의 출구 사이의 간격은 컵의 벽체의 두께값의 2배 보다는 더 큰 값을 가져야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연결관(52)과 제2연결관(54)의 사이에 제3연결관(56)이 있어서 그러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1연결관(52)과 제2연결관(54)에서 나오는 음료를 별도의 컵으로 받을 수 있다. However, the gap between the outlets of the first connector 52 and the second connector 54 must be greater than twice the thickness of the cup wall.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case because there is a third connector 56 between the first connector 52 and the second connector 54. According to this structure, beverages coming out of the first connector 52 and the second connector 54 can be received in separate cups.

상기 프레임(21)에는 이동안내대(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대(60)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구(7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대(60)의 구성은 도 6과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안내대(60)는 상기 프레임(21)에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대(60)는 상기 프레임(21)의 상면에 직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대(60)의 일측면을 따라서는 랙기어(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62)는 상기 이동안내대(60)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다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랙기어(62)가 상기 이동안내대(60)를 따라 2줄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A moving guide 60 may be installed on the frame 21. The movement guide 60 may serv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tool 7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configuration of the moving guide 60 is well shown in FIGS. 6 and 7. The moving guide 60 is installed on the frame 21 and may extend long in one direction. The moving guide 60 may be installed upr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1. A rack gear 62 may be formed along one side of the moving guide 60. The rack gear 62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lo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oving guide 60. In this embodiment, the rack gear 62 is formed in two rows side by side along the moving guide 60.

상기 이동안내대(60)의 하부에는 고정편(6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64)은 상기 프레임(21)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편(64)에는 결합공(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64')에는 상기 프레임(21)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가 관통될 수 있다. A fixing piece 64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guide 60. The fixing piece 64 is a part coupled to the frame 21. A coupling hole 64' may be formed in the fixing piece 64. A fastener for fastening to the frame 21 may pass through the coupling hole 64'.

상기 이동안내대(60)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관(30)이나 밸브(33,33')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배관간섭회피부(66)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간섭회피부(66)를 둠에 의해 상기 분지관(31,32)과 연결관(30)의 폭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A pipe interference avoidance portion 66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guide 60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ion pipe 30 or the valves 33 and 33'. By providing the piping interference avoidance portion 66, it is possible to prevent flo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anch pipes 31 and 32 and the connecting pipe 30.

상기 이동안내대(6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구(7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구(70)의 구성은 도 6과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구(70)는 상기 커버(24)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이동구(7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24) 그 내부의 부품들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구(70)가 상기 이동안내대(60)를 따라 상기 프레임(21)에 대해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프레임(21)에 대해 상기 이동구(70)가 상기 이동안내대(6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There may be a moving tool 70 that moves along the moving guide 60. The configuration of the moving tool 70 is well shown in FIGS. 6 and 7. The moving tool 70 is coupled to the cover 24, so that parts inside the cover 24 can be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tool 70. The moving tool 70 may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or farther away from the frame 21 along the moving guide 60. 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tool 70 can be lifted and lowered relative to the frame 21 along the moving guide 60.

상기 이동구(70)의 골격을 이동구몸체(7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구몸체(72)에는 관통부(74)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74)에는 상기 이동안내대(60)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구몸체(72)에는 상기 커버몸체(26)의 체결대(27")에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76)이 있다. 상기 체결공(76)은 상기 이동구몸체(72)의 양단에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76)을 체결구(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하여 상기 체결대(27")에 체결될 수 있다.The moving tool body 72 may form the skeleton of the moving tool 70. A penetrating portion 74 is formed through the moving tool body 7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oving guide 60 may penetrate the penetrating portion 74. The mobile device body 72 has fastening holes 76 for fastening the cover body 26 to the fastening table 27". The fastening holes 76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mobile device body 72. They can be formed one by one. A fastener (not shown) may pass through the fastener hole 76 and be fastened to the fastener 27".

상기 이동구몸체(72)에는 구동원안착부(7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안착부(77)에는 상기 이동구(7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7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78)으로는 기어드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78)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기어(79)가 상기 이동구몸체(72)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79)는 상기 구동원(7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62)와 연동된다. 상기 랙기어(62)가 형성된 이동안내대(60)가 상기 프레임(2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랙기어(62)와 맞물려 회전되는 상기 구동기어(79)는 상기 랙기어(62)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79)가 상기 랙기어(62)를 따라 승강됨에 의해 상기 커버(24)가 이동될 수 있다.A drive source seating portion 77 may be formed on the moving tool body 72. A driving source 78 that provides driving force for movement of the moving tool 70 may be installed on the driving source seating portion 77. A geared motor may be used as the driving source 78. Drive gears 79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source 78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body 72. The driving gear 79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ing source 78 and interlocked with the rack gear 62. Since the moving guide 60 on which the rack gear 62 is formed is fixed to the frame 21, the drive gear 79, which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rack gear 62, follows the rack gear 62. Can be elevated. The cover 24 may be moved as the drive gear 79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rack gear 62.

상기 프레임(21)에 고정된 상기 호퍼(38)에 안착되는 캡슐유니트(8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캡슐유니트(80)는 내부에 캡슐(1)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추출부(2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캡슐유니트(80)를 사용함에 의해 사용자는 직접 캡슐(1)을 손으로 잡고 추출부(20)에 넣고 뺄 필요가 없다. 사용자는 상기 캡슐유니트(80)에 캡슐(1)을 장착한 후에 캡슐유니트(80)를 잡아서 추출부(20) 내에 넣거나 빼면 된다. 따라서, 상기 캡슐(1)이 고온의 물로 음료를 추출한 후에 뜨거워진 상태일지라도 사용자는 캡슐(1)을 직접 손으로 잡지 않고 캡슐유니트(80)를 사용하여 추출부(20)에서 분리해 낼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capsule unit 80 mounted on the hopper 38 fixed to the frame 21 will be described. The capsule unit 80 may be mounted inside the extraction unit 20 with the capsule 1 seated therein. By using the capsule unit 80, the user does not need to hold the capsule 1 by hand and insert it into and remove the capsule 20 from the extraction unit 20. After attaching the capsule 1 to the capsule unit 80, the user simply grabs the capsule unit 80 and inserts it into or removes it from the extraction unit 20. Therefore, even if the capsule 1 is in a hot state after extracting a beverage with high-temperature water, the user can separate the capsule 1 from the extraction unit 20 using the capsule unit 80 without holding the capsule 1 directly with the hand. .

그리고, 상기 캡슐유니트(80)에 캡슐(1)을 넣고 유니트커버(92)를 닫는 순간 상기 캡슐(1)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캡슐(1)에 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고, 추가의 기구적인 구성도 필요없다.And, as soon as the capsule 1 is placed in the capsule unit 80 and the unit cover 92 is close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apsule 1 and water can be injected. In this way,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erform work to form a hole in the capsule 1, and no additional mechanical construction is required.

상기 캡슐유니트(80)의 골격을 유니트본체(8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니트본체(82)에는 캡슐안착공간(84)이 다수개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의 캡슐안착공간(84)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슐안착공간(84) 내에는 캡슐(1)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캡슐안착공간(84)의 형상이나 크기는 장착되는 캡슐(1)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캡슐안착공간(84)이 특정한 캡슐(1)의 안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캡슐유니트(80)를 다수개 구비하면, 다양한 종류의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The unit body 82 may form the skeleton of the capsule unit 80. The unit body 82 may have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84.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wo capsule seating spaces 84 are formed side by side. The capsule 1 can be seated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The shape or size of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r size of the capsule 1 on which it is mounted. That is, if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psule units 80 that enable seating of a specific capsule 1, beverages can be extracted from various types of capsules 1.

상기 캡슐안착공간(84)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돌기(8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86)는 캡슐(1)의 일측을 관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돌기(86)의 사이에는 토출공(86')이 상기 유니트본체(8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공(86')을 통해서는 추출된 음료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돌기(86)와 토출공(86')은 다수개가 가로 세로로 열을 지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86)는 상기 캡슐(1)중에서 상기 캡슐안착공간(84)에 안착되는 부분인 알루미늄캡 부분을 눌러줄 수 있다. 상기 캡슐(1) 내부에 압력이 걸리게 되면 상기 알루미늄캡 부분은 상기 돌기(86)에 의해 눌러져서 찢어지게 되어 음료가 추출될 수 있다. 추출된 음료는 상기 토출공(86')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86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The protrusion 86 can penetrate one side of the capsule 1. A discharge hole 86' may be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86 to penetrate the unit body 82. The extracted beverage can pass through the discharge hole 86'.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86 and discharge holes 86' may be formed in row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e protrusion 86 may press the aluminum cap portion of the capsule 1 that is seated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When pressure is applied inside the capsule 1, the aluminum cap portion is pressed by the protrusion 86 and is torn, allowing the beverage to be extracted. The extracted beverag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86'.

상기 유니트본체(82)에는 걸이단(8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단(88)은 유니트본체(82)의 중간부분 양측에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단(8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100)의 걸림턱(104)이 걸어질 수 있다.The unit body 82 may have a hanging end 88. The hanging end 88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unit body 82. The hook 104 of the lever 1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hung on the hook 88.

상기 유니트본체(82)에는 손잡이(89)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89)는 사용자가 캡슐유니트(80)를 취급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상기 손잡이(89)는 상기 유니트본체(82)에서 상기 캡슐안착공간(84)이 형성된 양쪽을 연결하도록 아치형상으로 될 수 있다.The unit body 82 may have a handle 89. The handle 89 is a part that the user holds with his hand to handle the capsule unit 80. The handle 89 may have an arch shape to connect both sides of the unit body 82 where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is formed.

상기 유니트본체(82)의 하부에는 유니트호퍼(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니트호퍼(90)는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니트호퍼(90)에는 결합관(90')이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관(90')은 상기 호퍼(38)의 배출관(46,48,50)에 결합되어 추출된 음료를 배출관(46,48,5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유니트호퍼(90)의 하부 형상은 상기 오목부(40,42,44)와 대응되게 만들어 질 수 있다.A unit hopper 90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unit body 82. The unit hopper 90 may have a funnel shape. A coupling pipe 90'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unit hopper 90. The coupling pipe 9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s 46, 48, and 50 of the hopper 38 and can deliver the extracted beverage to the discharge pipes 46, 48, and 50. The lower shape of the unit hopper 90 may be made to correspond to the concave portions 40, 42, and 44.

상기 유니트본체(82)에 결합되어 상기 캡슐안착공간(84)을 차폐하도록 유니트커버(92)가 있다. 상기 유니트커버(92)에는 원통형상의 누름스컷트(94)가 있다. 상기 누름스컷트(94)는 상기 캡슐안착공간(84)의 내부로 들어가서 캡슐(1)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눌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re is a unit cover 92 coupled to the unit body 82 to shield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The unit cover 92 has a cylindrical press cut 94. The pressing cut 94 may enter the interior of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and press the corresponding edge of the capsule 1.

상기 유니트본체(82)에서 상기 누름스컷트(94)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물주입구(9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물주입구(96)는 상기 공급관(37,37')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공급관(37,37')을 통해 공급된 물이 상기 물주입구(96)를 통과해서 캡슐안착공간(84)에 있는 캡슐(1)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There may be a water inlet 96 in the unit body 82 to communic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ress cut 94. The water inlet 96 is a part where the supply pipes 37 and 37' are join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s 37 and 37' may pass through the water inlet 96 and enter the capsule 1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상기 유니트커버(92)에서 상기 유니트본체(82)의 걸이단(88)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각각 한쌍의 레버설치단(9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설치단(9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1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설치단(98)에는 레버(100)의 회전중심이 되는 축공(9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공(98')은 상기 레버설치단(98)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설치단(98) 사이에는 걸이홈(9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홈(9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106)의 아암(108)중 하나가 걸어질 수 있다.A pair of lever installation ends 98 may be formed in the unit cover 92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anging ends 88 of the unit body 82. A lever 1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installed on the lever installation end 98. An axial hole 98', which becomes the rotation center of the lever 100, may be formed in the lever installation end 98. The shaft hole 98' may be formed through the lever installation end 98. A hanging groove 99 may be formed between the lever installation ends 98. One of the arms 108 of the elastic member 10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hung in the hanging groove 99.

상기 레버설치단(98)의 쌍에는 각각 레버(1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100)는 상기 유니트커버(92)를 상기 유니트본체(82)에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버(10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회전중심축(10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회전중심축(102)은 상기 레버설치단(98)의 축공(9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중심축(102)을 중심으로 상기 레버(10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레버(100)의 일측에는 상기 걸이단(88)에 걸어지는 걸림턱(104)이 있다. 상기 걸림턱(104)이 상기 유니트본체(82)의 걸이단(88)에 걸어짐에 의해 유니트본체(82)에 상기 유니트커버(92)가 체결될 수 있다.A lever 100 may be installed on each pair of lever installation stages 98. The lever 100 serves to fasten the unit cover 92 to the unit body 82. There may be a rotation center axis 10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lever 100. The rotation center axis 102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shaft hole 98' of the lever installation end 98. The lever 100 may be rotated around the rotation center axis 102. On one side of the lever 100, there is a hook 104 that is hung on the hook 88. The unit cover 92 can be fastened to the unit body 82 by hooking the hook 104 on the hanging end 88 of the unit body 82.

상기 레버(100)의 회전중심축(102) 일측에는 탄성부재(10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06)는 본 실시례에서는 토션스프링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탄성부재(106)의 양측에는 아암(108)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아암(108)중 일측의 것은 상기 걸이홈(99)에 걸어지고, 타측의 아암(108)은 상기 레버(100)의 일측에 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탄성부재(106)는 상기 레버(100)의 걸림턱(104)이 상기 걸이단(88)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레버(100)의 걸림턱(104)이 상기 걸이단(88)에서 분리되려면 상기 레버(100)에서 상기 걸림턱(104)의 반대쪽 단부를 사용자가 눌러주면 된다. 양측의 레버(100)를 사용자가 동시에 눌러주면 상기 걸림턱(104)이 상기 걸이단(88)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유니트본체(82)에서 상기 유니트커버(92)가 분리될 수 있다.An elastic member 106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center axis 102 of the lever 100. The elastic member 106 is a torsion spring in this embodiment. Arms 108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elastic member 106. One of the arms 108 can be hung on the hanging groove 99, and the other arm 108 can be hung on one side of the lever 100. In this way, the elastic member 106 provides a tendency for the locking protrusion 104 of the lever 100 to rot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hooked to the hook end 88. Accordingly, in order for the locking protrusion 104 of the lever 100 to be separated from the hanging end 88, the user needs to press the opposite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104 from the lever 100. When the user presses both levers 100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protrusion 104 is separated from the hanging end 88 and the unit cover 92 can be separated from the unit body 82.

상기 유니트커버(92)의 주입구(96) 내부에는 천공구(1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천공구는 도 17에 그 구조가 잘 개시되어 있다. 상기 천공구(110)는 캡슐(1)에 물을 주입할 수 잇는 통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천공구(110)는 캡슐(1)의 해당되는 부분을 관통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재질로 천공구(110)가 만들어질 수 있다. A perforation hole 1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njection port 96 of the unit cover 92. The structure of the drill hole is well disclosed in Figure 17. The perforation hole 110 forms a hole through which water can be injected into the capsule 1. The perforation hole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penetrate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capsule 1. For example, the drill hole 1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상기 천공구(110)에는 몸체판(112)이 있다. 상기 몸체판(112)은 링형상의 판모양이다. 상기 몸체판(112)에는 유로관(114)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유로관(114)에는 상기 공급관(37,37')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로관(114)의 내부에는 주입유로(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관(114)의 끝부분에는 천공날(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공날(116)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천공날(114)의 형성을 위해 상기 유로관(114)의 끝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유로관(114)의 길이는 상기 몸체판(112)에서 시작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점차 길어졌다가 다시 타측에서 일측으로 가면서 점차 짧아진다.The drill hole 110 has a body plate 112. The body plate 112 is shaped like a ring-shaped plate. A flow pipe 114 protrudes from the body plate 112.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s 37 and 37' may flow through the flow pipe 114. An injection passage 115 may be formed inside the flow pipe 114. A perforation blade 116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flow pipe 114. The perforation blade 116 may have an overall oval shape. This is because the end of the flow pipe 114 is inclined to form the perforation blade 114.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flow pipe 114 starts from the body plate 112 and gradually becomes longer as it go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then gradually becomes shorter as it goes from the other side to one side.

상기 몸체판(112)에는 다수개의 고정편(11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편(118)은 상기 몸체판(112)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편(118)은 캡슐(1)이 캡슐안착공간(84)에 장착되고, 상기 유니트커버(92)가 상기 유니트본체(82)에 결합되었을 때, 캡슐(1)의 고정을 위해서 캡슐(1)의 대응되는 부분을 눌러주거나 파고들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118)의 선단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118)의 일측은 날카로운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118)은 캡슐(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body plate 112 may have a plurality of fixing pieces 118. The fixing pieces 118 may be located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at the edge of the body plate 112. The fixing piece 118 is used to secure the capsule 1 when the capsule 1 is mounted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and the unit cover 92 is coupled to the unit body 82. It can be inserted by pressing or digging into the corresponding part of 1). The tip of the fixing piece 118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One side of the fixing piece 118 may be sharp. The fixing piece 118 may serve to fix the capsule 1.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10) 내에 있는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10) 내에는 제어부(12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음료장치의 동작을 위한 제어와 베이스(10)에 있는 디스플레이의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configuration within the base 10 will be described. There may be a control unit 120 within the base 10. The control unit 12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device and control the display on the base 10.

상기 베이스(10) 내에는 물공급부(12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121)는 상기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할 때 사용되는 물을 공급한다. 상기 물공급부(121)에는 물탱크(12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물탱크(122)에는 음료추출에 필요한 물을 저장한다. 상기 물탱크(122)는 상기 베이스(1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음료장치를 고정식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물탱크(122)에 외부 물공급원을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물탱크(122) 없이 외부 물공급원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A water supply unit 121 may be installed within the base 10. The water supply unit 121 supplies water used when extracting a beverage from the capsule 1. The water supply unit 121 may include a water tank 122. The water tank 122 stores water needed for beverage extraction. The water tank 122 can be separated from the base 10 and filled with water. However, when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can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122. Alternatively, water can be supplied directly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without the water tank 122.

상기 물탱크(122)의 출구에는 센서(12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센서(124)는 상기 물탱크(122)에서 취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124)를 통과해서 물이 유동되는 내부배관(123)에는 메인펌프(12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펌프(126)는 상기 물탱크(122)의 물을 유동시키는 원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re may be a sensor 124 at the outlet of the water tank 122. The sensor 124 can measure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122. A main pump 126 may be installed in the internal pipe 123 through which water flows through the sensor 124. The main pump 126 may provide a driving force for flowing water in the water tank 122.

상기 물공급부(121)에는 보일러(128)가 있다. 상기 보일러(128)는 상기 메인펌프(126)를 통과한 물에 열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보일러(128)는 내부에 히터가 있어서 전달된 물을 원하는 값으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128)에서 물을 가열하는 방식은 히터 외에도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일러 내부에 설치되어 물이 통과하는 관에 발열수단을 두어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128)에서 나가는 물의 온도는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일러(128)에는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있어서 상기 보일러(128)에서 가열되어 나가는 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128)에서 배출되는 물은 연결관(30)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121 has a boiler 128. The boiler 128 supplies heat to water passing through the main pump 126. The boiler 128 has a heater inside and can heat the delivered water to a desired value.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of heating water in the boiler 128 other than heaters. For example, water can be heated by placing a heating means in a pipe installed inside the boiler through which water passe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leaving the boiler 128 can be set to a value desired by the user. For this purpose, the boiler 128 has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water heated in the boiler 128. Water discharged from the boiler 128 may be delivered to the connection pipe 30.

한편, 도 18에는 캡슐유니트(180)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된 캡슐유니트(180)는 캡슐(1)을 하나 장착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캡슐유니트(180)는 제3오목부(44)에 안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캡슐유니트(18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캡슐유니트(80)와 비교할 때, 구성요소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같으며, 단지 하나의 캡슐(1)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어서, 구체적인 구조의 설명보다는 도 18에 도시된 구성 위주로 설명한다. 본 캡슐유니트(180)의 골격을 유니트본체(18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니트본체(182)의 내부에는 캡슐안착공간(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슐안착공간에 안착되는 캡슐(1)은 캡슐안착공간의 크기와 형상 등에 따라 다르게 될 수 있다.Meanwhile, Figure 18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capsule unit 180. The capsule unit 180 shown in FIG. 18 is designed to extract beverages by mounting one capsule 1. This capsule unit 180 can be used by being seated in the third recessed portion 44. Compared to the capsule unit 80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is capsule unit 180 is the same except for some components, and is configured to mount only one capsule 1, so it has a specific structure. Rather than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8. The unit body 182 may form the skeleton of this capsule unit 180. A capsule seating space (not shown) may be formed inside the unit body 182. The capsule 1 seated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capsule seating space.

상기 유니트본체(182)에 유니트커버(192)가 레버(200)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레버(200)는 상기 유니트커버(192)에 형성된 레버설치단(19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레버(200)는 탄성부재(206)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유니트본체(182)의 일측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가진다. 상기 유니트본체(182)의 하부에는 유니트호퍼(190)가 설치되어 상기 제3오목부(44)에 안착되어 추출된 음료를 제3배출관(50)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unit cover 192 is mounted on the unit body 182 by a lever 200, and the lever 2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ever installation end 198 formed on the unit cover 192. The lever 200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206 and has a tendency to rot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hangs on one side of the unit body 182. A unit hopper 190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unit body 182 and is seated in the third concave portion 44 to deliver the extracted beverage to the third discharge pipe 50.

한편, 상기 캡슐유니트(180)로의 물공급을 위해서 상기 유니트커버(192)에는 주입관(19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입관(196)은 일종의 Y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주입관(196)은 상기 유니트커버(192)를 관통해서 캡슐안착공간에 있는 캡슐(1)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것인데, 상기 주입관(196)은 입구가 2개가 된다. 즉, 하나의 입구는 상기 제1공급관(37)과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입구는 제2공급관(37')과 결합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Meanwhile, an injection pipe 196 may be provided in the unit cover 192 to supply water to the capsule unit 180. The injection pipe 196 may have a Y-shaped shape. The injection pipe 196 penetrates the unit cover 192 and supplies water into the capsule 1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The injection pipe 196 has two entrances. That is, one inlet is coupled with the first supply pipe 37 and the other inlet is coupled with the second supply pipe 37' to receive water.

상기 캡슐유니트(180)는 상기 주입관(196)과 캡슐안착공간의 갯수가 위의 캡슐유니트(80)와 다르고 나머지의 구성은 거의 동일하다.The capsule unit 180 differs from the above capsule unit 80 in the number of injection pipes 196 and capsule seating spaces,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almost the sam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는 캡슐(1)을 바로 추출부(20)에 장착하지 않고, 상기 캡슐유니트(80) 내에 장착한 상태에서 추출부(20)에 장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캡슐유니트(80)의 캡슐안착공간(84)에 캡슐(1)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캡슐안착공간(84)의 바닥에 캡슐(1)의 평평한 알루미늄캡 부분을 위치시키면 된다. 상기 캡슐안착공간(84)에 있는 돌기(86)들이 상기 알루미늄캡과 접촉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캡슐안착공간(84)에 캡슐(1)을 장착하고 나면, 상기 유니트커버(92)를 장착한다. 상기 유니트커버(82)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레버(100)의 걸림턱(104)을 상기 유니트본체(82)의 걸이단(88)에 걸어지게 한다. 이는 상기 유니트커버(92)를 상기 유니트본체(82)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버(100)가 이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상기 레버(100)가 탄성부재(106)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sule 1 is not mounted directly on the extraction unit 20, but is mounted on the extraction unit 20 while being mounted within the capsule unit 80. For this purpose, the capsule 1 is mounted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of the capsule unit 80. At this time, the flat aluminum cap portion of the capsule 1 can be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Protrusions 86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contact the aluminum cap. After the capsule 1 is installed in each capsule seating space 84 in this way, the unit cover 92 is installed. The locking protrusion 104 of the lever 100 installed on the unit cover 82 is hung on the hanging end 88 of the unit body 82. This can be naturally achieved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unit cover 92 to the unit body 82. The lever 100 can perform this operation because the lever 100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106.

상기 유니트본체(82)에 상기 유니트커버(92)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누름스컷트(94)가 상기 캡슐안착공간(84)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캡슐(1)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눌러주고, 상기 유니트커버(92)의 물주입구(96) 내에 있는 천공구(110)에 의해 캡슐(1)에 통공이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편(118)이 캡슐(1)에 파고들거나 눌러주게 된다.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unit cover 92 to the unit body 82, the pressing cut 94 enters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and presses the corresponding edge of the capsule 1, A hole is formed in the capsule 1 by the perforation hole 110 in the water inlet 96 of the unit cover 92. In this process, the fixing piece 118 digs into or presses the capsule 1.

상기 유니트커버(92)의 누름스컷트(94)가 상기 캡슐(1)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눌러주면, 상기 캡슐(1)의 평평한 알루미늄캡 부분이 상기 캡슐안착공간(84) 내에 있는 돌기(86)에 밀착되어 찢어질 수 있는 상태로 된다.When the pressing cut 94 of the unit cover 92 presses the corresponding edge of the capsule 1, the flat aluminum cap portion of the capsule 1 is pressed against the protrusion 86 in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 is in a state where it can be torn.

이와 같이 내부의 캡슐안착공간(84)에 캡슐(1)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캡슐유니트(80)를 상기 추출부(20) 내부에 삽입한다. 상기 캡슐유니트(80)를 추출부(20) 내부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24)를 상기 프레임(21)에 대해서 상부로 이동하도록 해야 한다.In this way, with the capsule 1 mounted in the internal capsule seating space 84, the capsule unit 80 is inserted into the extraction unit 20. In order to insert the capsule unit 80 into the extractor 20, the cover 24 must be mov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frame 21.

이를 위해서는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4)가 상기 프레임(21)에서 분리되어 상부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구동원(78)이 구동하면 상기 구동기어(79)가 회전하면서 상기 랙기어(62)와 연동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랙기어(62)를 따라 상기 구동기어(79)가 회전하면서 이동하면 상기 이동구(70)가 상기 이동안내대(60)를 따라 이동된다.To achieve this, as shown in (a) of FIG. 20, the cover 24 must be separated from the frame 21 and moved upward. This is achieved by the fact that when the drive source 78 is driven, the drive gear 79 rotates and is interlocked with the rack gear 62. When the driving gear 79 rotates and moves along the rack gear 62, the moving tool 70 moves along the moving guide 60.

상기 이동구(70)는 상기 커버(24)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이동구(70)의 이동은 상기 커버(24)의 이동을 만들어낸다. 상기 커버(24)가 상부로 이동하면 도 20의 (a)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호퍼(38)가 노출되면, 이에 상기 캡슐유니트(80)를 안착시킨다. 도 20의 (b)에는 상기 캡슐유니트(80)가 호퍼(38)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캡슐유니트(80)의 결합관(90')은 제1배출관(46)과 제2배출관(48)에 결합된다.The moving tool 70 is coupled to the cover 24, so that movement of the moving tool 70 causes the cover 24 to move. When the cover 24 moves upward, it enters the state shown in (a) of FIG. 20. When the hopper 38 is exposed in this way, the capsule unit 80 is seated on it. Figure 20(b) shows the capsule unit 80 mounted on the hopper 38. At this time, the coupling pipe 90' of the capsule unit 80 is coupled to the first discharge pipe 46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48.

다음으로, 상기 커버(24)를 상기 프레임(21)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는 상기 구동원(78)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동구(70)가 상기 이동안내대(60)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커버(24)가 상기 프레임(21)에 안착되면 상기 캡슐유니트(80)는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상기 커버(24)에 의해 차폐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20의 (c)에 도시되어 있다.Next, the cover 24 is moved toward the frame 21. This can be done by rotating the drive source 78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moving tool 70 moves along the moving guide 60. When the cover 24 is seated on the frame 21, the capsule unit 80 is shielded by the cover 24 so that it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This state is shown in (c) of FIG. 20.

도 20의 (c)의 상태는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상태이다. 캡슐유니트(80)의 2개의 캡슐안착공간(94)에 각각 안착되어 있는 캡슐(1)로 소정 온도의 물을 공급한다. 캡슐(1)로의 물의 공급은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ate in (c) of FIG. 20 is a state in which beverage can be extracted from the capsule 1. Wat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supplied to the capsules (1) each seated in the two capsule seating spaces (94) of the capsule unit (80). The supply of water to the capsule 1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20.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펌프(126)를 가동하여 상기 물탱크(122)의 물을 상기 보일러(128)로 공급한다. 상기 보일러(128)에서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물온도가 소정의 값으로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커피가 들어 있는 캡슐(1)인 경우에는, 캡슐(1) 내에서의 온도가 섭씨 80~90도 사이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일러(128)에서는 이에 맞추어 물을 가열하게 된다.In order to extract a beverage from the capsule 1, the main pump 126 is operated to supply water from the water tank 122 to the boiler 128. In the boiler 128, the water temperature is controlled to a predetermined value by the control unit 120.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apsule 1 containing coffee, the temperature within the capsule 1 is generally between 80 and 90 degrees Celsius. The boiler 128 heats water accordingly.

이와 같이 보일러(128)에서 소정의 온도로 된 물은 상기 제1공급관(37) 및/또는 제2공급관(37')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펌프(35)와 제1밸브(33) 그리고 제2펌프(35')와 제2밸브(33')가 사용된다.In this way, wat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rom the boiler 128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supply pipe 37 and/or the second supply pipe 37'. For this purpose, the first pump 35, the first valve 33, and the second pump 35' and the second valve 33' are used.

만약, 상기 제1공급관(37)과 제2공급관(37') 모두를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2개의 캡슐(1)에서 동시에 음료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펌프(35)를 구동하고 제1밸브(33)를 개방하며, 제2펌프(35')도 구동하고 제2밸브(33')도 개방한다.If water is supplied through both the first supply pipe 37 and the second supply pipe 37' to extract beverages from the two capsules 1 simultaneously, the first pump 35 must be driven. The first valve 33 is opened, the second pump 35' is driven, and the second valve 33' is also opened.

일측 캡슐(1)에서만 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급관(37)을 통해서만 물이 공급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펌프(35)를 구동하고 제1밸브(33)는 개방하고, 상기 제2펌프(35')는 구동하지 않고 제2밸브(33')는 폐쇄한다.In order to ensure that the beverage is extracted only from one side of the capsule 1, for example, water can be supplied only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37. In this case, the first pump 35 is driven and the first valve 33 is opened, and the second pump 35' is not driven and the second valve 33' is closed.

반대로, 타측 캡슐(1)에서만 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공급관(37')을 통해서만 물이 공급되도록 하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펌프(35')를 구동하고 상기 제2밸브(33')는 개방하고, 상기 제1펌프(35)는 구동하지 않고 제1밸브(33)는 폐쇄한다.Conversely, in order to ensure that the beverage is extracted only from the other capsule 1, water needs to be supplied only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37'. To this end, the second pump 35' is driven and the second valve 33' is opened, and the first pump 35 is not driven and the first valve 33 is closed.

이와 같이, 캡슐(1) 들에서 음료를 추출하는 다양한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In this way, various methods of extracting beverages from the capsules 1 are performed through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한편, 상기 캡슐(1)에서 추출된 음료는 상기 호퍼(38)를 통과해서 상기 배출관(46,48,50)과 연결관(52,54,56)을 통해 컵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료 추출의 시작 전에 미리 컵을 상기 컵안착면(14)에 위치시킨다.Meanwhile,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capsule 1 may pass through the hopper 38 and be discharged into a cup through the discharge pipes 46, 48, 50 and connection pipes 52, 54, and 56. For this purpose, the cup is placed on the cup seating surface 14 in advance before starting beverage extraction.

2개의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컵안착면(14)에는 2개의 컵이 위치될 수 있다. 이는 2개의 캡슐(1)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별도로 각각의 컵에 받는 경우이다.When extracting a beverage from two capsules (1), two cups may be positioned on the cup seating surface (14). This is a case where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wo capsules (1) is received separately in each cup.

만약, 2개의 캡슐(1)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섞으려면 상기 컵안착면(14)의 중앙에 컵을 위치시켜 상기 제1연결관(52)과 제2연결관(54)에서 나오는 음료를 동시에 받도록 하면 된다. 이때에는 컵의 입구 직경이 상기 제1연결관(52)과 제2연결관(54)의 출구 사이의 거리보다는 큰 것이어야 한다. 물론, 제1연결관(52)과 제2연결관(54)에서 나오는 음료를 별도의 컵에 받아서 섞어도 상관없다.If you want to mix the drinks extracted from two capsules (1), place the cup in the center of the cup seating surface (14) and mix the drinks coming out of the first connector (52) and the second connector (54) at the same time. All you have to do is receive it. In this case, the inlet diameter of the cup must be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outlets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52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54. Of course, it does not matter if the drinks coming out of the first connector 52 and the second connector 54 are mixed in separate cups.

그리고, 하나의 캡슐(1)이 장착되는 상기 캡슐유니트(180)를 사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캡슐유니트(180)가 상기 제3오목부(44)에 장착되므로, 추출된 음료는 제3배출관(50)과 제3연결관(56)을 통해서 컵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제3연결관(56)과 대응되는 위치인 컵안착면(14)의 중앙에 하나의 컵을 위치시키면 된다.In addition, when extracting a beverage using the capsule unit 180 equipped with one capsule 1, the capsule unit 180 is mounted in the third recess 44, so the extracted beverage is It can be discharged into the cup through the third discharge pipe 50 and the third connection pipe 56. Therefore, in this case, one cup can be placed in the center of the cup seating surface 14, which is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connector 56.

이때, 상기 캡슐유니트(180) 내에 있는 캡슐(1)로는 상기 주입관(196)을 통해서 물을 주입할 수 있는데, 상기 제1공급관(37)과 제2공급관(37') 모두를 통해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밸브(33,33')와 펌프(35,35')의 동작을 제어부(120)에서 다양하게 제어하여, 예를 들어 제1공급관(37)을 통해서만 물을 공급하거나, 제2공급관(37')을 통해서만 물을 공급하는 등 다양하게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water can be injected into the capsule 1 within the capsule unit 180 through the injection pipe 196, and water is injected through both the first supply pipe 37 and the second supply pipe 37'. can be supplied. However, the operation of the valves 33 and 33' and the pumps 35 and 35' are controlled in various ways by the control unit 120, for example, to supply water only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37 or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Water can be supplied in various ways, such as supplying water only through (37').

음료의 추출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커버(24)를 개방한다. 즉, 도 20에 도시된 순서와 역순으로 진행하여, 상기 커버(24)를 개방하고, 상기 캡슐유니트(80)를 추출부(20)에서 빼낸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캡슐유니트(80)의 손잡이(89)를 잡고 캡슐유니트(80)를 취급한다.After extraction of the beverage is completed, the cover 24 is opened. That is, in the reverse order shown in FIG. 20, the cover 24 is opened and the capsule unit 80 is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unit 20. At this time, the user holds the handle 89 of the capsule unit 80 and handles the capsule unit 80.

상기 캡슐유니트(80)에서 사용된 캡슐(1)을 빼내기 위해서는 양측에 있는 상기 레버(100)들을 잡고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레버(100)가 탄성부재(10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회전되어 상기 걸림턱(104)이 유니트본체(82)의 걸이단(88)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유니트커버(92)가 유니트본체(82)에서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In order to remove the used capsule 1 from the capsule unit 80, hold the levers 100 on both sides and press them in a direction that approaches each other, and the lever 100 rotates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06. Thus, the locking protrusion 104 is separated from the hooking end 88 of the unit body 82. In this case, the unit cover 92 can be separated from the unit body 82.

상기 유니트커버(92)를 상기 유니트본체(82)에서 분리하면 상기 유니트본체(82)의 캡슐안착공간(84)이 개방되어, 그 속에 있는 캡슐(1)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에도, 사용자는 캡슐(1)을 손으로 잡지 않고, 상기 유니트본체(82)를 뒤집어서 상기 캡슐안착공간(84)에서 캡슐(1)이 분리되도록 하면 된다.When the unit cover 92 is separated from the unit body 82,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of the unit body 82 is opened, and the capsule 1 therein can be removed. Even at this time, the user does not hold the capsule 1 with his hand, but simply turns the unit body 82 over so that the capsule 1 is separated from the capsule seating space 84.

이와 같이 캡슐(1)이 분리된 캡슐유니트(80)는 물로 헹궈주면 남아 있는 음료성분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캡슐유니트(80)에 대한 청소가 끝나고 나면, 캡슐유니트(80)를 보관하거나, 추가의 사용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캡슐유니트(80)는 캡슐(1)의 종류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하는 캡슐(1)에 맞는 캡슐유니트(80)를 사용하면 된다.In this way, the remaining beverage ingredients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capsule unit 80 from which the capsule 1 is separated by rinsing with water. After cleaning the capsule unit 80 is completed, the capsule unit 80 can be stored or used further. A plurality of such capsule units 80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type of capsule 1. Therefore, the user can use the capsule unit 80 that matches the capsule 1 being used.

그리고, 하나의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캡슐(1)이 장착될 수 있는 캡슐유니트(180)를 사용하면 된다. 상기 캡슐유니트(180)는 제3오목부(44)에 장착되고, 상기 주입관(196)을 통해 제1공급관(37) 및/또는 제2공급관(37')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캡슐(1)을 사용하는 캡슐유니트(180)도 내부의 캡슐안착공간의 크기와 형상을 달리하는 것을 구비할 수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캡슐(1)을 사용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Also, if you want to extract a beverage from one capsule (1), you can use the capsule unit (180) on which one capsule (1) can be mounted. The capsule unit 180 is mounted in the third recess 44, and receives water from the first supply pipe 37 and/or the second supply pipe 37' through the injection pipe 196 to extract a beverage. can do. In this way, the capsule unit 180 using one capsule 1 can also be provided with different sizes and shapes of the internal capsule seating space, so that beverages can be extracted using various types of capsules 1. there is.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us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캡슐유니트(80)에는 캡슐(1)이 2개가 장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더 많은 갯수의 캡슐(1)이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음료장치에 이와 대응되도록 물공급과 음료배출을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wo capsules 1 are installed in the capsule unit 80, but a larger number of capsules 1 may be installed. Of course, in this case, the beverage device needs to be configured for water supply and beverage discharge to correspond to this.

그리고, 상기 캡슐유니트(80)(180)의 유니트본체(82)(182)와 유니트커버(92)(192)의 체결을 위해서 상기 레버(100)(200)가 사용되었으나, 다르게는 유니트본체(82)(182)와 유니트커버(92)(192)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스냅결합을 위한 탄성구조물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니트본체(82)(182)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유니트커버(92)(192)에는 상기 걸림턱에 탄성변형을 통해 결합되는 걸이후크와 같은 구조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ever (100) (200) was used to fasten the unit body (82) (182) and the unit cover (92) (192) of the capsule unit (80) (180), but otherwise, the unit body ( Elastic structures for snap coupling may be provid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82) (182) and unit covers (92) (192), respectively. For example, a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unit body (82) (182), and a structure such as a hanging hook that is coupled to the locking protrusion through elastic deforma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nit cover (92) (192). .

그리고, 상기 캡슐유니트(80)(180)에서 사용되는 레버(100)(200)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유니트커버(92)(192)에 있으나, 반대로 유니트본체(82)(182)에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걸이단(88)은 유니트커버(92)(192)에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levers 100 and 200 used in the capsule units 80 and 180 are located on the unit covers 92 and 192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ut may also be located on the unit body 82 and 182. there is. In this case, the hanging end 88 is located on the unit cover 92 (192).

1: 캡슐 10: 베이스
12: 동작버튼 14: 컵안착면
16: 지지부 18: 지지레그
19: 추출부안착대 20: 추출부
21: 프레임 22: 하우징
24: 커버 26: 커버몸체
26': 관안내레버 26h: 관통공
27: 부품안착단 27': 펌프안착공간
27": 체결대 28: 커버탑
29: 누름단 30: 연결관
31: 제1분지관 32: 제2분지관
33: 제1밸브 33': 제2밸브
35: 제1펌프 35': 제2펌프
37: 제1공급관 37': 제2공급관
38: 호퍼 40: 제1오목부
42: 제2오목부 44: 제3오목부
46: 제1배출관 48: 제2배출관
50: 제3배출관 52: 제1연결관
54: 제2연결관 56: 제3연결관
58: 차폐판 58': 체결걸이
60: 이동안내대 62: 랙기어
64: 고정편 64': 결합공
66: 배관간섭회피부 70: 이동구
72: 이동구몸체 74: 관통부
76: 체결공 77; 구동원장착부
78: 구동원 79: 구동기어
80: 캡슐유니트 82: 유니트본체
84: 캡슐안착공간 86: 돌기
86': 토출공 88: 걸이단
89: 손잡이 90: 유니트호퍼
90': 결합관 92: 유니트커버
94: 누름스컷트 96: 주입구
98: 레버설치단 98': 축공
99: 걸이홈 100: 레버
102: 회전중심축 104: 걸림턱
106: 탄성부재 108: 아암
110: 천공구 112: 몸체판
114: 유로관 115: 주입유로
116: 천공날 118: 고정편
120: 제어부 121: 물공급부
122: 물탱크 123: 내부배관
124: 센서 126: 메인펌프
128: 보일러
1: Capsule 10: Base
12: Operation button 14: Cup seating surface
16: support 18: support leg
19: Extraction unit seating base 20: Extraction unit
21: frame 22: housing
24: Cover 26: Cover body
26': Pipe guide lever 26h: Through hole
27: Part seating end 27': Pump seating space
27": Fastener 28: Cover top
29: pusher 30: connector
31: First branch pipe 32: Second branch pipe
33: first valve 33': second valve
35: first pump 35': second pump
37: first supply pipe 37': second supply pipe
38: Hopper 40: First recess
42: second recess 44: third recess
46: first discharge pipe 48: second discharge pipe
50: Third discharge pipe 52: First connection pipe
54: second connector 56: third connector
58: Shielding plate 58': Fastening hanger
60: Movement guide 62: Rack gear
64: fixed piece 64': coupling hole
66: Piping interference avoidance section 70: Moving section
72: Moving body 74: Penetrating part
76: Fastener 77; Drive source attachment part
78: drive source 79: drive gear
80: Capsule unit 82: Unit body
84: Capsule seating space 86: Protrusion
86': discharge hole 88: hanging end
89: Handle 90: Unit hopper
90': Coupler 92: Unit cover
94: Press cut 96: Inlet
98: Lever installation end 98': Axial hole
99: Hanging groove 100: Lever
102: rotation center axis 104: locking jaw
106: elastic member 108: arm
110: hole 112: body plate
114: flow pipe 115: injection flow path
116: perforation blade 118: fixed piece
120: Control unit 121: Water supply unit
122: Water tank 123: Internal piping
124: Sensor 126: Main pump
128: boiler

Claims (22)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캡슐안착공간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돌기와 토출공이 형성되는 유니트본체와,
상기 캡슐안착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캡슐을 고정하는 누름스컷트가 구비되고 상기 유니트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캡슐안착공간을 차폐하는 유니트커버와,
상기 토출공을 통해 나온 추출된 음료를 모아 외부로 전달하는 결합관이 구비되고 상기 유니트본체에 장착되는 유니트호퍼를 포함하는 캡슐유니트.
A unit body in which a capsule seating space in which a capsule is seated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discharge holes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apsule seating space;
A unit cover that is inserted into the capsule seating space and is provided with a press cut to secure the capsule, and is coupled to the unit body to shield the capsule seating space;
A capsule unit including a unit hopper mounted on the unit body and provided with a coupling pipe for collecting the extracted beverage coming out through the discharge hole and delivering it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본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캡슐유니트.
The capsule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it body is provided with a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본체와 상기 유니트커버의 체결을 위해 유니트본체와 유니트커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이단이 형성되는 캡슐유니트.
The caps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ever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and a hook on which the hook of the lever is hung ar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unit body and the unit cover to fasten the unit body and the unit cover.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본체와 상기 유니트커버의 체결을 위해 유니트본체와 유니트커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스냅결합을 위한 구조가 구비되는 캡슐유니트.
The capsule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nap-coupling structure is provid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unit body and the unit cover to fasten the unit body and the unit cov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결합을 위한 구조는 상기 유니트본체나 유니트커버 중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과 상대되는 위치의 유니트커버나 유니트본체 중 하나에 형성되어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턱에 결합되는 걸이후크인 캡슐유니트.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ructure for snap coupling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one of the unit body or the unit cover,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one of the unit cover or the unit body at a position relative to the locking protrusion, thereby causing elastic deforma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Capsule unit with a hanging hook attached to the hanging ja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캡슐로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주입구에는 상기 캡슐에 통공을 형성하는 천공구가 더 구비되는 캡슐유니트.
The capsule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jection port formed in the unit cover to supply water to the capsule is further provided with a perforation hole for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capsu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구는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에서 연장되고 내부에 주입유로가 있는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의 선단에 형성되는 천공날을 포함하는 캡슐유니트.
The capsule unit of claim 6, wherein the perforation hole includes a body plate, a flow tube extending from the body plate and having an injection flow path therein, and a perforation blade formed at a tip of the flow tub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판에는 다수개의 고정편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캡슐을 고정하는 캡슐유니트.
The capsule unit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plurality of fixing pieces protrude from the body pl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secure the caps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안착공간은 다수개가 형성되는 캡슐유니트.
The capsule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are formed.
바닥에 안착되고 컵안착면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위치되고 하우징에 위치된 커버가 내부공간을 개폐하여 내부에 캡슐을 착탈하도록 구성되며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을 제공하는 커버구동부를 포함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A base that sits on the floor and has a cup seating surface,
a support portion located on the base,
An extraction unit configured to extract a beverage, wherein a cover located on the support unit and located in the housing opens and closes the internal space to attach and detach the capsule therein;
A beverage device using a capsule including a cover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extraction unit to provide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어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커버를 포함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extractor uses a capsule including a frame, a housing installed on the frame and constituting the exterior, and the cover that is seated on the frame and performs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랙기어가 형성된 이동안내대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안내대를 따라 상기 커버와 체결된 이동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구에는 상기 랙기어와 연동되는 구동기어가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게 구비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moving guide on which a rack gear is formed, and a moving device coupled to the cover is movably installed along the moving guide, and the moving device includes a drive interlocked with the rack gear. A beverage device using a capsule in which a gear is provided to be driven by a drive sour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는 상기 이동안내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랙기어에 상기 구동기어가 맞물려 연동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rack gea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gu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riving gear engages and interlocks with each of the rack gear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베이스의 물공급부에서 전달된 물을 공급하는 연결관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에 연결된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을 통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와 펌프가 구비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The capsul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pe for supplying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supply part of the base, and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is provided, and a valve and a pump are provided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supply pipe. Beverage device using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는 추출된 음료를 컵으로 전달하는 호퍼가 구비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frame constituting the extra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hopper for delivering the extracted beverage to a cup.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에 형성된 오목부에는 배출관이 구비되고, 상기 오목부 내에는 내부에 캡슐이 장착된 캡슐유니트가 위치되어 상기 배출관으로 추출된 음료를 전달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a discharge pipe is provided in the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hopper, and a capsule unit with a capsule mounted therein is located within the concave portion to deliver the extracted beverage to the discharge pipe.
바닥에 안착되고 컵안착면을 가지며 내부에 물공급부가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위치되고 개폐되는 커버를 구비하여 내부에 캡슐이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음료를 추출하여 컵으로 배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커버 내에 위치되어 상기 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연결돤을 통해 전달받아 상기 캡슐에 주입하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A base that sits on the floor, has a cup seating surface, and has a water supply part inside,
a support portion located on the base,
An extraction unit that is located on the support unit, has a cover that opens and closes, is configured to have a capsule mounted therein, and extracts the beverage and discharges it into a cup;
A beverage device using a capsule that is located within the cover and includes a supply pipe that receives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through a connection and injects it into the capsul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제1분지관과 제2분지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1분지관에는 제1밸브와 제1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제2분지관에는 제2밸브와 제2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제1분지관에는 제1공급관이 연결되어 일측 캡슐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제2분지관에는 제2공급관이 연결되어 타측 캡슐로 물을 공급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nnection pipe is provided with a first branch pipe and a second branch pipe, the first branch pipe is provided with a first valve and a first pump, and the second branch pipe is provided with a second valve and a first pump. A beverage using capsules is provided with 2 pumps, and a first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pipe to supply water to one capsule, and a second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pipe to supply water to the other capsule. Devic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에는 오목부와 배출관을 구비하는 호퍼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에는 상기 제1공급관과 제2공급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유니트가 안착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a hopper having a concave portion and a discharge pipe is installed in the extraction unit, and a capsule unit in which a capsule receiving water from the first supply pipe and the second supply pipe is mounted is mounted on the hopper. A beverage device that does.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배출관에는 연결관이 더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컵안착면에 안착된 컵으로 음료를 전달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a connection pipe is further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of the hopper, and the connection pipe uses a capsule to deliver the beverage to a cup seated on the cup seating surfac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유니트는, 내부에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캡슐안착공간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돌기와 토출공이 형성되는 유니트본체와, 상기 캡슐을 고정하는 누름스컷트가 구비되고 상기 유니트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캡슐안착공간을 차폐하는 유니트커버를 포함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capsule unit includes a unit body having a capsule seating space inside which a capsule is seate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discharge hole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apsule seating space, and a press cut for fixing the capsule. A beverage device using a capsule including a unit cover provided and coupled to the unit body to shield the capsule seating space.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을 통해 나온 추출된 음료를 전달하는 유니트호퍼가 더 구비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The beverage device using a capsule according to claim 21, further comprising a unit hopper for delivering the extracted beverag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KR1020220068469A 2022-06-03 2022-06-03 Capsule unit and beverage machine using same KR202301680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469A KR20230168040A (en) 2022-06-03 2022-06-03 Capsule unit and beverage machin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469A KR20230168040A (en) 2022-06-03 2022-06-03 Capsule unit and beverage machine u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040A true KR20230168040A (en) 2023-12-12

Family

ID=8915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469A KR20230168040A (en) 2022-06-03 2022-06-03 Capsule unit and beverage machine us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040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390A (en) 2011-04-15 2012-10-24 주식회사 다인 Extraction apparatus of beverage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170325622A1 (en) 2014-12-01 2017-11-16 Cma Macchine Per Caffe' S.R.L. Device for perforating a capsule containing an infusion produ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390A (en) 2011-04-15 2012-10-24 주식회사 다인 Extraction apparatus of beverage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170325622A1 (en) 2014-12-01 2017-11-16 Cma Macchine Per Caffe' S.R.L. Device for perforating a capsule containing an infusion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0400C2 (en) Boiling unit for beverages preparation
JP5414690B2 (en) Beverage preparation device comprising a detachable injection member
JP6093383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washable brewing head
US10092130B2 (en) Opener for making large openings in capsules
JP5600738B2 (en) Infusion unit for making beverages from single-use sachets and apparatus having the unit
JP5492093B2 (en) Extraction unit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a single use package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unit
EP2648581B1 (e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automatic cleaning system
EP3032989B1 (en) Capsule multi-piercing
EP3032990B1 (en) Capsule multi-piercer
US20050132891A1 (en) Cabinet design of filter holder for pressurized coffee machines
US20160198889A1 (en) Capsule multi-piercer with assembly means
BR112015002823B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US20060137534A1 (en) Motorized and remote-controlled cabinet design of filter holder for pressurized espresso machines
CN101668461A (en) Device for preparing a liquid beverage from a cartridge
JP2019503783A (en) Distribution group of espresso coffee machine with front insertion type filter holder
JP2007516053A (en) Cabinet design of filter holder for pressurized espresso machine
KR20230168040A (en) Capsule unit and beverage machine using same
JP2010500145A (en) Beverage production device having a pad holde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rewing chamber via a bayonet connection
EP1547498B1 (en) Cabinet design of filter holder for pressurized coffee machines
KR20230168041A (en)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KR20230168042A (en)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EP3791763B1 (en) Coffee machine equipped with milk carafe
KR20230168039A (en)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EP4248808A2 (en) Beverage machine with an actuation distrib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