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039A -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 Google Patents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68039A KR20230168039A KR1020220068468A KR20220068468A KR20230168039A KR 20230168039 A KR20230168039 A KR 20230168039A KR 1020220068468 A KR1020220068468 A KR 1020220068468A KR 20220068468 A KR20220068468 A KR 20220068468A KR 20230168039 A KR20230168039 A KR 202301680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sule
- cover
- tray
- housing
- blad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3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10000000538 tai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71 hot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5—Cartridge perforating means for creating the hot water inle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47J31/0673—Means to perforate the cartridge for creating the beverage outle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이다. 하우징(10)에 커버(3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30)의 내부에는 음료의 추출을 위한 구성과 커버(30)와 하우징(10)의 체결을 위한 잠금기구(4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캡슐(1)이 안착되는 캡슐트레이(8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캡슐트레이(80)에는 다수개의 캡슐안착공간(84)이 형성되어 한 번에 다수개의 캡슐(1)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잠금기구(40)는 상기 캡슐트레이(80)와 하우징(10)에 동시에 체결되어 캡슐(1)을 고정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rage device using capsules. A cover 30 is installed on the housing 10 to be openable and closed. Inside the cover 30, there may be a structure for extracting beverages and a locking mechanism 40 for fastening the cover 30 and the housing 10. A capsule tray 80 on which the capsule 1 is seated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0, and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84 are formed in the capsule tray 80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capsules (1) at a time. 1) Beverage can be extracted from. The locking mechanism 40 can be simultaneously fastened to the capsule tray 80 and the housing 10 to secure the capsule 1.
Description
본 발명은 캡슐에 들어 있는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device for extracting beverages contained in capsules.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를 밀봉 포장한 캡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캡슐은 음료의 원료를 내부에 밀봉 상태로 보관하고 있는데, 사용자는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캡슐 내부로 물을 통과시켜 음료를 추출해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 커피머신이 있다. 최근에는 커피 뿐 아니라 다양한 음료 및 음료재료를 캡슐에 제공하고 있다.Capsules that seal and package raw materials for manufacturing beverages are widely used. These capsules store the raw materials of the beverage in a sealed state inside, and the user can extract the beverage by passing water through the capsule using a mechanical devic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beverage device that uses capsules is a coffee machine. Recently, not only coffee but also various beverages and beverage ingredients are provided in capsules.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서, 음료장치에서 한 번에 하나의 캡슐만으로 음료를 제조하지 않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캡슐을 사용하여 음료를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있다.According to this trend, beverage devices do not produce beverages with only one capsule at a time, but allow beverages to be produced using at least two or more capsules.
선행문헌1인 한국 공개특허 10-2012-0117390호에는 2개의 캡슐에서 동시에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는 캡슐을 장치 내에 하나 씩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장착하고, 추출 후에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아 꺼내야 한다. 따라서, 뜨거운 음료를 추출한 경우에는 온도가 높은 상태의 캡슐을 사용자가 꺼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서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구성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17390, which is a prior document, allows beverages to be extracted from two capsules at the same time. However, here, the user must hold and install the capsules one by one into the device by hand, and even after extraction, the user must manually pull them out. Therefore, when extracting a hot beverage,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has to take out the capsule while the temperature is high. In addition, a solenoid valve is used to ensure a stable supply of water, so the overall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선행문헌2는 한국 공개특허 10-2016-0006277호이다. 여기서는 캡슐이 장착된 후에 상부회전덮개가 닫혀서 캡슐을 차폐하는데, 단순하게 걸림축이 걸림축걸림홈에 걸어져서 상부회전덮개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캡슐로 물이 공급되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제시된 구조로는 상부회전덮개가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본체에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Prior Document 2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06277. Here, after the capsule is installed, the upper rotating cover is closed to shield the capsule. The locking shaft is simply hung in the locking shaft locking groove to prevent the upper rotating cover from opening, allowing it to withstand the pressure of water being supplied to the capsule. However, the proposed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the upper rotating cover cannot be firmly coupled to the main body as a whole.
선행문헌3은 한국 등록특허 10-2360341호이다. 여기서는 캡슐어댑터를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캡슐을 장치에 장착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캡슐어댑터가 장치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라 단순하게 삽입되고, 장착된 캡슐을 차폐하는 커버가 닫혀지더라도 캡슐에 통공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별도로 천공을 위한 구조가 있어야 하여서 전체적으로 장치의 구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Prior Document 3 is Korean Patent No. 10-2360341. Here, a capsule adapter is used to extract beverages by attaching various types of capsules to the device. However, the capsule adapter is not firmly fixed within the device, but is simply inserted, and a hole is not formed in the capsule even when the cover that shields the installed capsule is closed. Therefore, a separate structure for perforation must be provided, so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evice There is a growing problem.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을 음료장치에 장착하고 꺼내는 과정에서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psule tray on which capsules are seated during the process of mounting and removing capsules from a beverage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캡슐을 음료장치에 장착할 수 있는 캡슐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psule tray on which a plurality of capsules can be mounted on a beverage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캡슐을 음료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캡슐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psule tray so that various types of capsules can be used in a beverage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이 장착된 캡슐트레이를 추출부 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rmly fix a capsule tray equipped with capsules within the extraction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트레이에 장착된 캡슐을 추출부 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rmly fix the capsule mounted on the capsule tray within the extraction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트레이에 다수개의 캡슐을 장착하여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extraction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by mounting a plurality of capsules on a capsule tray.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대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cover remains stable relative to the housing in the open state.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트레이를 추출부에 위치시키고 커버를 닫음에 의해 캡슐에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inject water into the capsules by placing the capsule tray in the extraction section and closing the cov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캡슐트레이를 사용하여 캡슐을 음료장치의 추출부에 장착하고 꺼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capsules can be mounted on and removed from the extraction unit of the beverage device using a capsule tray.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캡슐트레이에 다수개의 캡슐안착공간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캡슐을 캡슐트레이에 안착하여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are formed in the capsule tray, and beverages can be extract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by seating a plurality of capsules in the capsule tray.
본 발명에서는 캡슐을 추출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커버를 닫음에 의해 캡슐에 통공이 형성되어 물이 주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에 천공구를 두어서 캡슐트레이에 장착된 캡슐에 천공을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closing the cover while the capsule is mounted on the extraction unit, a hole is formed in the capsule, allowing water to be injected. For this purpose, a hole is placed in the cover to make a hole in the capsule mounted on the capsule tray.
본 발명에서는 잠금기구를 사용하여 캡슐을 추출부 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잠금기구는 커버의 외부에 설치된 홀더에 의해 조작되어 캡슐을 고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sule can be firmly fixed within the extraction unit using a locking mechanism. The locking mechanism can be operated by a holder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cover to secure the capsule.
본 발명의 잠금기구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에는 걸이편에 내측편과 외측편이 있어서 잠금기구에 의해 커버와 하우징 그리고 커버와 캡슐트레이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The blade constituting the lock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ner piece and an outer piece on the hook, so that the cover and housing, and the cover and capsule tray can be simultaneously coupled by the locking mechanism.
본 발명의 하우징에는 힌지안착단이 형성되어 커버가 하우징에 대해 개방되었을 때, 커버의 힌지부가 힌지안착단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A hinge seating end is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when the cover is open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e hinge portion of the cover is supported by the hinge seating end and can be stably supported.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힌지부로 연결되어 개폐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에 착탈되게 설치되고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트레이와,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캡슐트레이에 안착된 캡슐을 고정하는 캡과,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와 하우징, 상기 커버와 캡슐트레이를 체결하는 잠금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cover that is connected to the housing with a hinge to open and close, a capsule tray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on which a capsule is seated, and a cap that is installed in the cover and secures the capsule seated in the capsule tray. , may include a locking mechanism installed on the cover to fasten the cover and the housing, and the cover and the capsule tray.
본 발명에서 상기 캡슐트레이에는 다수개의 캡슐안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may be formed in the capsule tray.
상기 커버의 외면에는 상기 잠금기구의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홀더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 holder that transmits a driving force for operating the locking mechanism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캡슐에서의 음료추출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가 있는 메인부와, 상기 캡슐에서 추출된 음료를 받는 용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와 하우징에는 캡슐에서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Inside the housing, there is a main part with a water supply part that supplies water for extracting the drink from the capsule, and a container part that receives the drink extracted from the capsule, and the cover and housing are provided with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drink from the capsule. Additional items may be provided.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커버의 외면에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동레버와, 상기 연동레버에 의해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캡슐트레이에 걸어지는 걸이편을 구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mechanism includes a holder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an interlocking lever installed inside the cove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older, and installed on the cover to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interlocking lever. It may include a blade provided with a hook for hang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capsule tray.
상기 블레이드는 링형상으로 되는 블레이드몸체와, 상기 블레이드몸체에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동레버의 구동암과 연결되어 홀더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연동핀과,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캡슐트레이에 동시에 걸어질 수 있는 걸이편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ade has a ring-shaped blade body, an interlocking pin that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blad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arm of the interlocking lever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the holder, and can be simultaneously hung on the housing and the capsule tray. May include a hanging piece.
상기 걸이편에는 상기 캡슐트레이에 걸어지는 내측편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걸어지는 외측편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hanging piece may have an inner piece hanging on the capsule tray and an outer piece hang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rotruding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내측편에는 상기 캡슐트레이의 걸이리브에 밀착되는 돌출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side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protruding end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anging rib of the capsule tray.
상기 연동핀은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 설치된 캡플레이트의 구동안내슬롯 내에서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interlocking pin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movement can be guided within the driving guide slot of the cap plate installed on the cover.
상기 캡슐트레이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잠금기구의 블레이드가 위치되는 블레이드단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단의 사이에는 통과슬롯과 걸이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걸이편이 상기 걸이리브에 걸어질 수 있다.A blade end on which the blade of the locking mechanism is positioned is formed surrounding the edge of the capsule tray, and a passing slot and a hook rib are formed between the blade ends so that the hook piece of the blade can be hung on the hook rib.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인부와 용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트레이안착판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힌지부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추출부와 잠금기구가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트레이안착판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안착공간이 다수개 형성되는 캡슐트레이와,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닫힘 동작에 의해 상기 캡슐트레이에 있는 캡슐에 통공을 천공하는 천공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rovided with a main part and a container part and a tray seating plat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part, a cover connected to the housing with a hinge part and installed with an extraction part and a locking mechanism, and the tray. A capsule tray that is detachably configured to a seating plate and has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in which capsules are seated, and a hole installed in the cover to drill holes in the capsules in the capsule tray by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It can be included.
상기 커버에는 상기 캡슐트레이에 있는 캡슐을 덮는 캡이 형성된 캡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캡에 형성된 주입구에는 상기 천공구가 위치될 수 있다.A cap plate formed with a cap that covers the capsules in the capsule tray is fixed to the cover, and the perforation hole can be located in the injection hole formed in the cap.
상기 캡슐플레이트에는 상기 잠금기구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동안내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A driving guide slot may be formed in the capsule plat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blade constituting the locking mechanism.
상기 캡플레이트에 형성된 캡에는 상기 캡슐의 가장자리를 눌러주는 스컷트가 돌출될 수 있다.A scut that presses the edge of the capsule may protrude from the cap formed on the cap plate.
상기 천공구는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에서 연장되고 내부에 주입유로가 있는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의 선단에 형성되는 천공날을 포함할 수 있다.The perforation hole may include a body plate, a flow tube extending from the body plate and having an injection flow path therein, and a perforation blade formed at the tip of the flow tube.
상기 몸체판에는 다수개의 고정편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캡슐을 고정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ixing pieces protrude from the body pl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secure the capsule.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커버의 외면에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동레버와, 상기 연동레버에 의해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캡슐트레이에 걸어지는 걸이편을 구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mechanism includes a holder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an interlocking lever installed inside the cove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older, and installed on the cover to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interlocking lever. It may include a blade provided with a hook for hang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capsule tray.
상기 걸이편에는 상기 캡슐트레이에 걸어지는 내측편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걸어지는 외측편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hanging piece may have an inner piece hanging on the capsule tray and an outer piece hang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rotruding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내측편에는 상기 캡슐트레이의 걸이리브에 밀착되는 돌출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side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protruding end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anging rib of the capsule tray.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커버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의 힌지부에 안착되는 커버지지단이 구비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hinge axis that serves a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over, and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support end tha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inge axis and is seated on the hinge portion of the cover.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The beverage device using th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캡슐트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캡슐트레이에는 음료장치에서 사용할 캡슐이 다수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캡슐트레이에 캡슐을 안착한 상태에서 음료장치에 캡슐트레이를 설치하여 음료를 추출하고, 캡슐트레이를 음료장치에서 분리하여 사용한 캡슐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캡슐을 직접 손으로 잡고 음료장치에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대신에 캡슐트레이를 사용하여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뜨거운 물을 사용하여 음료를 추출한 경우에 뜨거운 상태가 된 캡슐을 사용자가 직접 취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A capsule tray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apsules to be used in a beverage device may be placed on the capsule tray. With the capsule seated on the capsule tray, the capsule tray can be installed in the beverage device to extract the beverage, and the capsule tray can be separated from the beverage device to remove used capsules.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a capsule tray instead of holding the capsule directly with the hand and attaching or detaching it from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a beverage is extracted using hot water,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because the user does not have to directly handle the hot capsule.
상기 캡슐트레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캡슐을 동시에 장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캡슐안착공간이 있을 수 있다. 이들 캡슐안착공간에 장착된 캡슐들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캡슐을 각각 추출하여 각각의 음료를 제조하거나, 동시에 추출하여 양을 늘려서 음료를 제조하거나, 서로 다른 음료 또는 음료와 보충재료를 동시에 추출하여 섞어서 음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양,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The capsule tray may have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so that at least two capsules can be mounted simultaneously. Capsules mounted in these capsule seating spaces can be us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herefore, each beverage can be manufactured by extracting a plurality of capsules, or the beverage can be manufactured by increasing the amount by extracting a plurality of capsules at the same time, or different beverages or beverages and supplement materials can be extracted and mixed at the same time for drinking.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produce various amounts and types of beverages.
그리고, 상기 캡슐트레이의 캡슐안착공간을 캡슐의 종류에 맞도록 만들 수 있다. 즉, 외관 형상 및 치수가 다른 캡슐을 위해서 캡슐안착공간을 다르게 만든 캡슐트레이를 사용하면, 하나의 음료장치에서 다양한 종류의 캡슐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Additionally, the capsule seating space of the capsule tray can be made to match the type of capsule. In other words, if capsule trays with different capsule seating spaces are used for capsules with different external shapes and dimension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beverages using various types of capsules in one beverage device.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 내에 장착된 캡슐트레이를 커버에 있는 블레이드의 회전동작을 통해 추출부 내에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블레이드는 캡슐트레이와 하우징의 내면에 동시에 체결되어 견고하게 캡슐트레이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sule tray mounted within the extraction unit can be fixed within the extraction unit through the rotation of the blade on the cover. In particular, the blade is simultaneously fastened to the capsule tra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llowing the capsule tray to be firmly fixed.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가 설치된 커버의 플레이트에 스컷트가 있는데, 커버가 닫히면 상기 스컷트가 캡슐의 가장자리를 눌러주어 견고하게 고정하고, 특히 블레이드의 회전동작말기에 상기 스컷트 방향으로 캡슐트레이를 밀어주어 캡슐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scut on the plate of the cover where the blade is installed. When the cover is closed, the scut presses the edge of the capsule and firmly fixes it. In particular, at the end of the rotation of the blade, the capsule tray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scut. The capsule can be fixed more firmly.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에 커버의 힌지부가 안착되는 힌지안착단이 있어서, 커버가 개방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has a hinge seating end on which the hinge portion of the cover is seated, which has the effect of stably supporting the cover when it is opened.
본 발명에서는 커버에 설치되는 캡플레이트에 캡슐캡이 있고, 상기 캡슐캡을 관통하여서는 물이 공급되는 주입구가 있으며 상기 주입구에는 캡슐에 통공을 형성하는 천공구가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가 닫히는 순간 캡슐트레이에 안착된 캡슐에 물 공급을 위한 통공이 형성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음료장치의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capsule cap on a cap plate installed on the cover,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capsule cap, and the inlet has a perforation hole that forms a hole in the capsule. Therefore, at the moment the cover is closed, a hole for supplying water to the capsule seated on the capsule tray can be formed, thereby simplify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의 추출부 내부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트레이안착판 쪽을 보인 하우징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캡플레이트와 천공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캡플레이트의 단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캡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의 캡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천공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의 잠금기구를 구성하는 홀더, 연동레버 및 연동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캡슐트레이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캡슐트레이의 저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잠금기구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잠금기구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의 단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블레이드가 하우징 및 캡슐트레이와 결합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블레이드의 돌출단에 의해 캡슐의 가장자리가 스컷트와 캡슐트레이 사이에 밀착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에서 커버가 개방되고 캡슐이 캡슐트레이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커버가 하우징에 대해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캡슐이 캡슐트레이에 안착되어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례의 잠금기구에서 홀더의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가 이동되어 캡슐트레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everage device using a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extraction unit of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important par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cking mechanis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showing the tray seating plate sid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p plate and a drill ho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cap plat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p plat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lling hole installed on the cap plat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lder, interlocking lever, and interlocking tool that constitute the locking mechanis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psule tra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apsule tra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ade constituting the locking mechanis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blade constituting the locking mechanis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lade being combined with the housing and the capsule tra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edge of the capsul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between the scut and the capsule tray by the protruding end of the blad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and the capsule is seated on the capsule tray in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cover in a maximum open stat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the capsule being seated on the capsule tray and mounted inside the housing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ade is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holder in the locking mechanis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upled to the capsule tray.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 실시례의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를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커버(30)가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메인부(M)와 용기부(C)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커버(30)에는 추출부(E)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추출부(E)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10) 쪽에 있을 수 있다.A beverage device using a capsu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best shown in FIG. 1, the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기둥 모양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상기 하우징(10)과 커버(30)가 다각기둥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또는 원기둥에 가까운 다각기둥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과 커버(30)의 외관이 만들어질 수 있다.The beverage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overall cylindrical appearance as shown in FIG. 1. Alternatively, in the beve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하우징(10)의 상대적으로 아래쪽인 상기 메인부(M)에는 전체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메인부(M)에는 캡슐(1)에서 음료의 추출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가 있을 수 있다. 물공급부에는 물탱크와 보일러 등이 있을 수 있다. 물론, 물탱크는 하우징(10) 외부에 별도의 물공급원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메인부(M)에는 또한 물탱크의 물을 추출부(E)로 보낼 수 있는 메인펌프가 물공급부의 구성요소로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이러한 메인부(M) 내부의 구성을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The main part (M) located relatively below the
상기 하우징(10)에서 상기 커버(30)와 닿는 부분, 즉 상기 메인부(M)와 상기 커버(30)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인 용기부(C)에는 추출된 음료를 받을 수 있는 컵이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이러한 구성을 생략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에 있는 용기부(C)는 그 일부가 서랍식으로 입출될 수 있다. 이 입출되는 서랍식 부분에는 추출된 음료가 담겨 있을 수 있다. 다르게는 서랍식으로 입출되는 부분에 음료를 담는 컵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부(C)에서 서랍식으로 입출되는 구성은 편의상 도시되어 있지 않다.The portion of the
상기 하우징(10)의 일부와 커버(30)의 내부에는 추출부(E)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추출부(E)는 캡슐(1)이 위치되어 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추출부(E)에서 캡슐(1)로부터 추출된 음료는 상기 용기부(C)에 있는 컵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re may be an extraction portion (E) inside a portion of the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례의 하우징(10)과 커버(30)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부(M)와 용기부(C)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편의상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Figure 2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트레이안착판(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안착판(12)의 구성은 도 2, 도 3 및 도 5에서 볼 수 있다. 상기 트레이안착판(12)은 아래에서 설명될 캡슐트레이(80)가 위치되는 부분이고, 추출부(E)와 용기부(C)를 구획하는 구성이다.A
상기 트레이안착판(12)에는 판토출공(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토출공 (14)은 캡슐(1)에서 추출된 음료가 상기 용기부(C)로 전달되는 부분이다. 상기 판토출공(14)은 다수개의 통공이 가로 세로로 열을 지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토출공(14)이 형성된 영역은 본 실시례에서는 2군데이다. 이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의 캡슐(1)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A
상기 판토출공(14) 상에는 고정보스(16)가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보스(16)는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보스(16)는 아래에서 설명될 캡슐트레이(80)가 상기 트레이안착판(12) 상에서 회전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보스(16)는 아래에서 설명될 캡슐트레이(80)를 관통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A fixed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는 다수 곳에 통과홈(1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통과홈(18)은 아래에서 설명될 블레이드(90)의 외측편(96")이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통과홈(18)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홈(18)의 갯수는 블레이드(90)의 외측편(96")의 갯수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통과홈(18)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하우징(19)의 상단 입구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홈(18)을 통해 상기 커버(30)에 설치된 블레이드(90)의 외측편(96")이 통과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도록 닫히고 분리되도록 열리는 과정에서 외측편(96")이 상기 통과홈(18)을 통과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상기 하우징(10)의 상단 내측을 둘러서는 걸이단(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단(20)은 상기 통과홈(18)과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축(24)이 위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단(20)에는 블레이드(90)의 외측편(96")이 걸릴 수 있다. 상기 걸이단(20)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는 걸이채널(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채널(22)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상기 걸이채널(22)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면 전체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블레이드(90)의 외측편(96")이 위치될 수 있는 영역에만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채널(22)에 블레이드(90)의 외측편(96")이 위치됨에 의해 외측편(96")이 상기 걸이단(20)에 걸어져 커버(30)가 하우징(10)에서 분리되어 개방되지 않게 된다.A hanging
상기 하우징(10)의 상단 일측에는 힌지축(2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힌지축(24)의 설치를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상단 일부가 제거될 될 수 있다. 상기 제거된 부분에 상기 힌지축(2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힌지축(24)은 상기 커버(30)의 개폐 동작을 위한 회전중심이 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24)이 위치되도록 제거된 부분의 바닥은 커버지지단(26)이 될 수 있다. 상기 커버지지단(26)은 상기 커버(30)가 개방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re may be a
상기 커버(30)는 상기 하우징(10)에 대해서 상기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커버(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10)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커버(30)의 내부에는 음료의 추출을 수행하는 추출부(E)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위치될 수 있다.The
상기 커버(30)의 외관 구성을 보면, 베이스판(32)이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32)은 본 실시례에서는 평면도로 볼 때, 대략 원형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3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커버측벽(33)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커버측벽(33) 부분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입구 가장자리에 안착되어 상기 트레이안착판(12) 및 이에 안착된 캡슐트레이(80) 등을 외부와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커버(30)의 골격과 외관을 상기 베이스판(32)과 커버측벽(33)이 형성할 수 있다.Looking at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커버(30)의 베이스판(32)에는 커버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홈(34)은 상기 베이스판(32) 상에 원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홈(3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64)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홈(34)의 중앙에는 커버공(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공(36)은 상기 홀더(64)의 회전중심인 홀더축(66)이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커버(30)에는 커버(30)의 개폐동작을 위한 손잡이(37)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37)는 상기 커버(30)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A
상기 커버(30)에는 힌지부(38)가 있다. 상기 힌지부(38)는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상기 커버(30)가 개폐동작을 하는 회전중심이 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38)는 상기 손잡이(37)의 반대쪽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힌지부(38)를 상기 하우징(10)의 힌지축(24)이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38)는 상기 커버(30)가 상기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동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24)이 관통하여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38)의 구성은 도 19에서 단면으로 볼 수 있다. 상기 힌지부(38)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입구가 형성되는데, 상기 입구의 폭은 상기 힌지축(24)의 직경보다 작아서, 상기 힌지축(24)이 상기 힌지부(38)의 입구를 탄성변형시키면서 힌지부(38)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The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잠금기구(40)가 있다. 상기 잠금기구(40)는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잠금기구(40)의 구성이 도 4에 캡플레이트(42)를 포함하여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플레이트(42)는 캡슐(1)에 물의 주입을 위한 통공을 형성하는 역할을 주로 하는 것이나, 잠금기구(4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구동안내슬롯(46)이 할 수 있다.There is a locking mechanism 40 so that the
상기 캡플레이트(4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커버(30)의 내측에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4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공(44)은 상기 캡플레이트(42)를 커버(30)에 결합하는 체결구(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공(44)을 관통한 체결구는 상기 커버(30)의 내측에 체결되어 상기 캡플레이트(42)가 커버(3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There may be a
상기 캡플레이트(42)에는 다수개의 구동안내슬롯(46)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안내슬롯(46)은 아래에서 설명될 블레이드(90)의 연동핀(94)을 안내하고, 상기 연동핀(94)과 연동레버(70)가 연동되어 블레이트(90)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안내슬롯(46)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캡플레이트(42)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3개의 구동안내슬롯(46)이 소정의 곡률반경에 해당되는 원주 상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driving
상기 캡플레이트(42)의 일측에는 절결공간(4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절결공간(48)은 상기 캡플레이트(42)의 일측을 일부 잘라낸 것이다. 상기 절결공간(48)은 상기 커버(30)의 힌지부(3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캡플레이트(42)와 상기 힌지부(38)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re may be a
상기 캡플레이트(42)에는 캡(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50)은 상기 캡플레이트(4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50)은 상기 캡슐(1)을 덮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캡(50)은 아래에서 설명될 캡슐트레이(80)에 안착되는 상기 캡슐(1)의 평면부(평평하게 형성된 알루미늄 막부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캡(50)이 캡슐(1)의 대응되는 모든 부분을 덮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로만 캡슐(1)을 덮을 수 있는 만큼 덮도록 캡(50)의 구조가 만들어 질 수 있다. 만약, 상기 캡플레이트(42)에서 상기 캡(50)의 형상을 달리하면, 다른 종류의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A
상기 캡(50)에서 상기 캡슐(1)의 평면부 가장자리를 눌러주는 부분을 스컷트(52)라고 한다. 상기 스컷트(52)가 상기 캡슐(1)의 평면부 가장자리를 상기 캡슐트레이(80)의 캡슐안착공간(84)의 가장자리에 눌러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16 등에 잘 도시되어 있다.The part of the
상기 캡(50)에는 주입구(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54)를 통해서는 캡슐(1)에 물을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주입구(54)는 상기 캡(5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54) 내에는 천공구(5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54)를 통해 전달되는 물을 상기 캡슐(1)에 주입할 수 있도록 통공을 상기 천공구(56)가 형성할 수 있다.An
상기 천공구(56)는 상기 캡슐(1)의 해당되는 부분을 관통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재질로 천공구(56)가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천공구(56)의 구성은 도 7, 도 8 및 도 10에 잘 도시되어 있다.The
상기 천공구(56)에는 몸체판(58)이 있다. 상기 몸체판(58)은 링형상의 판모양이다. 상기 몸체판(58)에는 유로관(60)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유로관(60)에는 상기 메인부(M) 측에서 공급될 수 있는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유로관(60)의 내부에는 주입유로(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관(60)의 끝부분에는 천공날(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공날(62)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천공날(62)의 형성을 위해 상기 유로관(60)의 끝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유로관(60)의 길이는 상기 몸체판(56)에서 시작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점차 길어졌다가 다시 타측에서 일측으로 가면서 점차 짧아진다.The
상기 몸체판(58)에는 다수개의 고정편(63)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편(63)은 상기 몸체판(58)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편(63)은 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63)은 캡슐(1)이 캡슐안착공간(84)에 장착되었을 때, 캡슐(1)의 고정을 위해서 캡슐(1)의 대응되는 부분을 눌러주거나 파고들어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8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편(63)의 선단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63)의 일측은 날카로운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63)은 캡슐(1)이 캡슐트레이(80)와 캡플레이트(42)의 캡(50) 사이에 있을 때, 상기 캡슐(1)의 통공 주변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편(63)은 상기 캡슐(1)이 캡슐트레이(80)와 캡(50) 사이에 고정되어 있을 때, 추가로 상기 캡슐(1)을 더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상기 커버(30)의 커버홈(34) 내에는 홀더(6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64)는 상기 잠금기구(40)의 잠금동작과 해제동작을 위한 힘을 사용자가 제공하는 곳이다. 상기 홀더(64)는 상기 커버홈(34) 내에 위치되어 상기 커버공(36)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커버공(36)에 위치된 상기 홀더(64)가 회전되는 정도는 상기 구동안내슬롯(46)에서 블레이드(80)의 연동핀(94)이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이다.A
상기 홀더(64)에는 상기 커버(30)의 커버공(36)을 관통하도록 홀더축(6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홀더축(66)에는 단면이 사각형인 결합키이(6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키이(68)는 상기 커버(30)의 내측에서 연동레버(70)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연동레버(70)은 상기 커버(3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고, 일측에 키이홈(72)이 있어서, 상기 홀더(64)의 결합키이(68)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키이홈(72)은 그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상기 결합키이(68)와 같은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이홈(72)에 상기 결합키이(68)가 안착되어 있으면, 상기 연동레버(70)와 홀더(64)는 일체로 동작될 수 있다.The interlocking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연동레버(70)는 상기 홀더(64)의 홀더축(66)을 중심으로 반대쪽 단부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연동레버(70)에는 상기 키이홈(72) 반대쪽에 구동암(74)이 있다. 상기 구동암(74)은 상기 연동레버(70)에 직교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암(74)은 아래에서 설명될 블레이드(90)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암(74)은 상기 홀더(64)에 의해 상기 연동레버(70)가 소정 각도 회전됨에 의해 블레이드(9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end of the interlocking
상기 구동암(74)에는 연동구(76)가 결합되어 블레이드(90)의 연동핀(94)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동구(76)에는 결합키이(78)가 있어서, 구동암(74)에 결합되어 일체로 동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암(74)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결합키이(78)가 삽입될 수 있는 키이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구(76)에는 블레이드(90)의 연동핀(94)이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동구(76)에는 블레이드(90)의 연동핀(94)이 삽입될 수 있는 대응되는 결합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동구(76)는 상기 연동레버(70)와 아래에서 설명될 블레이드(90)가 연동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n interlocking
도 12에 도시된, 캡슐트레이(80)는 캡슐(1)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캡슐트레이(80)에는 다수개의 캡슐(1)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캡슐트레이(80)의 골격을 트레이몸체(8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몸체(82)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몸체(82)는 상기 트레이안착판(12)에 안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도 13에는 상기 캡슐트레이(80)의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댜. 상기 트레이몸체(82)의 저면에는 보스공(8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공(82')은 상기 트레이안착판(12)에 형성된 고정보스(16)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보스(16)가 상기 보스공(82')에 삽입되어 상기 캡슐트레이(80)가 상기 트레이안착판(12)에서 임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Figure 13 show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상기 트레이몸체(82)에는 캡슐안착공간(84)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의 캡슐(1)이 상기 캡슐트레이(80)에 안착될 수 있도록 2개의 캡슐안착공간(8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슐(1)이 상기 캡슐트레이(80)에 안착되는 부분이 캡슐안착공간(84)이다. 상기 캡슐안착공간(84)의 구성은 도 1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슐안착공간(84)의 위치는 상기 트레이안착판(12)의 판토출공(14)이 형성된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A
상기 캡슐안착공간(84)은 안착되는 캡슐(1)의 형상에 따라 그 크기와 형상이 달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슐트레이(80)에서 상기 캡슐안착공간(84)의 크기와 형상을 달리하게 되면, 다른 종류의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물론, 캡슐(1)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기 캡(50)의 형상도 달리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캡(50)이 형성된 캡플레이트(42)도 교체되어야 다른 종류의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The
상기 캡슐안착공간(84)의 바닥에는 토출공(86)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공(86)을 통해서는 캡슐(1)에서 추출된 음료가 아래의 용기부(C)로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트레이안착판(12)의 판토출공(14)을 통과해서 상기 용기부(C)로 추출된 음료가 전달된다. 참고로, 상기 캡슐안착공간(84)의 바닥에는 상기 토출공(86)과 함께 돌기(도시되지 않음)들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캡슐(1)의 알루미늄캡 부분이 보다 잘 찢어져서 음료의 추출이 잘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86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상기 트레이몸체(82)는 전체적으로 원판형상으로 되는데, 상기 트레이몸체(8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블레이드단(8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단(87)에는 상기 커버(30)에 설치된 블레이드(90)가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닫혔을 때, 블레이드(90)가 상기 블레이드단(87)에 위치되어 상기 홀더(64)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단(87)은 상기 트레이몸체(82)의 다른 부분보다는 낮게 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블레이드단(97)은 상기 트레이몸체(82)의 가장자리 전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중간 중간에서 통과슬롯(88)에 의해 끊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단(87)과 상기 통과슬롯(88)이 상기 트레이몸체(82)의 가장자리를 따라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통과슬롯(88)이 3군데에 형성되어 있다.The blade end 97 is not formed along the entire edge of the
상기 통과슬롯(88)이 형성된 위치에는 상기 블레이드단(87)에서 연장된 걸이리브(89)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리브(89)는 상기 블레이드단(87)에서 상기 통과슬롯(88)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리브(89)를 따라서는 상기 트레이몸체(82)와의 사이에 걸이채널(8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채널(8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블레이드(90)의 걸이편(96)에 형성된 내측편(96')이 위치되어 상기 걸리이브(89)에 걸어질 수 있다.There may be a
이와 같이 블레이드(90)의 내측편(96')이 캡슐트레이(80)의 걸이리브(89)에 걸어지면 상기 커버(30)에 있는 캡플레이트(42)와 캡슐트레이(8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위에서도 설명되었듯이, 블레이드(90)는 하우징(10)의 걸이단(20)에도 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9)의 걸이편(96)은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캡슐트레이(80)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 커버(30) 그리고 상기 캡슐트레이(80)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In this way, when the inner side 96' of the
다음으로, 블레이드(9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블레이드(90)는 상기 커버(3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90)가 상기 커버(30)의 캡플레이트(42)의 저면 가장자리에 위치된 상태가 도 18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90)는 상기 커버(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에 있는 캡슐트레이(80)의 블레이드단(87)을 따라 소정 각도 회전되면서 상기 캡슐트레이(80) 및 하우징(10)에 체결될 수 있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블레이드(90)의 골격을 블레이드몸체(92)가 형성한다. 상기 블레이드몸체(92)는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몸체(92)에는 다수개의 연동핀(9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동핀(94)은 상기 블레이드몸체(92)의 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동핀(94)은 상기 캡플레이트(42)의 구동안내슬롯(46)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동핀(94) 중에 하나는 상기 연동레버(70)의 구동암(74)과 연동구(76)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동핀(94)이 상기 캡플레이트(42)의 구동안내슬롯(46)에 위치되어 이동이 안내됨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90)의 회전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The
상기 블레이드몸체(92)에는 다수개의 걸이편(96)이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이편(96)이 3개가 있다. 이는 상기 트레이몸체(82)에 상기 걸이리브(89)가 3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걸이편(96)은 상기 걸이리브(89)와 같은 갯수가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걸이편(96)은 상기 연동핀(94)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이편(96)은 하우징(10) 및 하우징(10)에 있는 캡슐트레이(80) 측과 걸어지는 것이고, 상기 연동핀(94)은 상기 커버(30)에 설치된 캡플레이트(42)의 구동안내슬롯(46)에 위치되어 안내되기 때문이다.The hanging
상기 걸이편(96)은 상기 블레이드몸체(92)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몸체(92)에서 돌출되고 선단에서 양측으로 각각 직교하게 돌출된 내측편(96')과 외측편(96")이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도 14 및 도 1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걸이편(96)에는 내측편(96')과 외측편(96")이 있지만, 하나의 걸이편(96)에는 내측편(96')만이 있다. 이는 내측편(96')만 있는 걸이편(96)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10)에는 통과홈(18)이 없기 때문이다.The hanging
상기 걸이편(96)의 내측편(96')의 일측에는 돌출단(9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단(98)은 상기 블레이드(90)에 의한 결합동작 말기에 상기 캡슐트레이(80)의 걸이리브(89) 저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단(98)에 의해 상기 캡슐트레이(80)가 상기 캡플레이트(42) 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캡슐트레이(80)에 안착되어 있는 캡슐(1)이 캡플레이트(42)의 캡(50) 쪽으로 더 이동되면서 상기 캡슐트레이(80)와 캡(50)에 캡슐(1)이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A protruding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device using th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20을 참고하여 본 발명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20의 (a)에는 캡슐트레이(80)에 2개의 캡슐(1)이 장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슐트레이(80)는 상기 커버(3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추출부(E)로부터 분리하여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외부로 상기 캡슐트레이(80)를 분리해 낸 상태에서, 음료를 추출할 캡슐(1)을 상기 캡슐트레이(80)의 캡슐안착공간(84) 내에 위치시킨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의 캡슐(1)을 각각의 캡슐안착공간(84)에 장착하였다.First, the use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Figure 20(a) shows two
이때, 상기 캡슐(1)은 같은 음료가 들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서로 다른 음료가 상기 캡슐(1)에 각각 들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음료를 추출하는데 2개의 캡슐(1)이 사용되는 것이어서, 내용물이 다른 2개의 캡슐(1)을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다양한 조합으로 캡슐(1)의 음료를 추출하여 음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캡슐트레이(80)는 캡슐(1)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캡슐(1)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상기 캡슐트레이(80)의 캡슐안착공간(84)의 크기나 형상이 달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캡슐트레이(80)를 다양한 것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캡슐(1)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트레이(80)에 캡슐(1)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30)를 상기 하우징(10)에 대해서 개방하여, 상기 하우징(10)) 내에 장착할 수 있다. 도 20의 (b)에는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10)에 대해서 개방되고, 상기 캡슐트레이(80)가 하우징(10)의 트레이안착판(12)에 안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As shown in (a) of FIG. 20, with the
이때, 상기 트레이안착판(12)의 판토출공(14)이 형성된 영역에 상기 캡슐안착공간(84)의 토출공(86)이 형성된 영역이 위치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캡슐트레이(80)의 보스공(82')에 상기 트레이안착판(12)의 고정보스(16)가 위치되도록 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스공(82')에 상기 트레이안착판(12)의 고정보스(16)가 삽입되면 상기 캡슐트레이(80)는 상기 트레이안착판(12) 상에서 임의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20의 (b)에 도시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area where the
참고로, 도 18에는 상기 커버(30)가 개방된 상태가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10)의 트레이안착판(12) 상에 캡슐트레이(80)가 안착되어 있고, 상기 블레이드(80)의 걸이편(96)이 커버(30) 측에 노출되어 보인다. 물론 상기 캡슐트레이(80)의 캡슐안착공간(84)에는 캡슐(1)이 안착되어 있는 상태이다.For reference, Figure 18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이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10)의 트레이안착판(12)에 캡슐트레이(80)를 장착하고 분리해 내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커버(30)가 트레이안착판(12)의 상부를 가리는 것이 최소화될 필요가 있다. 상기 커버(30)가 열렸을 때, 상기 하우징(10)에 대해서, 일정 이상 회전되어 있어야 하지만, 지나치게 상기 커버(30)가 개방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물론, 상기 캡슐트레이(80)를 상기 트레이안착판(12) 상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영역을 가리는 것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30)의 힌지부(38)가 상기 하우징(10)의 커버지지단(26)에 보다 넓은 영역에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이와 같이 커버(30)가 하우징(10)의 커버지지단(26)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상기 커버지지단(26)과 힌지부(38) 등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힌지부(38)가 상기 커버지지단(26)에 지지되는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면적을 넓히기 위해서는, 상기 힌지축(24)의 직경방향으로의 커버지지단(26)의 길이와 상기 커버지지단(26)의 폭(힌지축(24)의 길이방향)을 일정 이상의 값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상기 커버(30)의 힌지부(38)를 지지하는 면적을 일정 이상이 되도록 하여 상기 커버(30)를 상기 베이스(10)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상기 커버(30)가 상기 베이스(10)에 대해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안착판(12)에 상기 캡슐트레이(80)를 장착한 후에는 상기 커버(30)를 닫아서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캡슐(1)을 차폐한다. 도 20의 (c)에는 상기 커버(30)가 닫히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버(30)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블레이드(90)의 걸이편(96)이 상기 하우징(10), 상기 캡슐트레이(80)의 블레이드단(87), 걸이리브(89)와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홀더(64)가 상기 커버(30)의 커버홈(34) 내에서 특정한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상기 커버(30)를 닫기 전에, 상기 홀더(64)가 상기 커버홈(34) 내에서 특정한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After mounting the
상기 커버(30)가 닫히면서 상기 걸이편(96)이 상기 하우징(10)의 통과홈(18)과 상기 캡슐트레이(80)의 통과슬롯(88)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커버(30)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10)이나 캡슐트레이(80)의 일측과 간섭하지 않는다.As the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10)에 안착되는 순간에 상기 캡슐트레이(80)의 캡슐안착공간(84)에 장착되어 있는 캡슐(1)을 상기 캡플레이트(42)의 캡(50)이 덮어 누르게 된다.At the moment the
이 과정에서 상기 캡(50)의 주입구(54)에 설치되어 있는 천공구(56)가 상기 캡슐(1)에 통공을 형성한다. 상기 캡슐(1)에 형성된 통공은 상기 캡슐(1) 내부로 음료의 추출을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공구(56)의 고정편(63)이 상기 캡슐(1)에 파고들거나 캡슐(1)을 눌러주어 캡슐(1)이 고정되도록 한다.In this process, the
상기 커버(30)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캡슐(1)에 상기 천공구(56)가 통공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주입구(54)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주입구(54)로 물이 전달되는 것은, 별도의 공급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상기 공급관을 도시하지 않았다.When the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공간을 닫은 상태에서, 잠금을 위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홀더(64)를 사용자가 조작한다. 상기 홀더(64)를 상기 커버(30)의 커버홈(34)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홀더(64)의 홀더축(66)이 회전하면서 상기 연동레버(70)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상기 연동레버(7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동레버(70)에 연결된 구동암(74)이 이동한다.In a state where the
상기 구동암(74)의 이동은 연동구(76)의 이동을 만들어내고, 상기 구동암(74)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연동구(76)는 상기 캡플레이트(42)의 구동안내슬롯(46)에 있는 연동핀(94)과 연동된다. 상기 연동구(76)에 의해 상기 연동핀(94)은 상기 구동안내슬롯(46)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블레이드(90)를 회전시킨다. 상기 블레이드(90)가 회전됨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몸체(92)에 있는 상기 걸이편(96)이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10)의 걸이채널(22)에 위치되어 걸이단(20)에 외측편(96")이 걸어지고, 상기 내측편(96')은 상기 캡슐트레이(80)의 걸이채널(89')에 위치되어 걸이리브(89)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블레이트(90)가 상기 하우징(10)과 캡슐트레이(80)에 동시에 체결된다. 도 16에는 상기 블레이드(90)의 걸이편(89)에서 외측편(96")이 하우징(10)의 걸이채널(22)에 위치되어 걸이단(20)에 걸어진 것과, 상기 내측편(96')이 상기 캡슐트레이(80)의 걸이채널(89')에 위치되어 걸이리브(89)에 걸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The movement of the driving
상기 홀더(64)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80)가 회전될 수 있는 만큼 다 회전되면, 상기 걸이편(96)의 내측편(96")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단(98)이 상기 캡슐트레이(80)의 걸이리브(89)의 일측 표면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상기 캡슐트레이(80)가 상대적으로 들어올려진다. 다시 말하면, 상기 캡슐트레이(80)가 상기 캡플레이트(42) 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캡슐트레이(80)의 캡슐안착공간(84)에 안착되어 있는 캡슐(1)이 상기 캡플레이트(42)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기 캡(50)의 스컷트(52)가 상기 캡슐(1)쪽으로 접근하여 상기 캡슐(1)의 가장자리를 눌러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캡슐(1)이 상기 캡슐안착공간(84) 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이와 같이 하여 커버(30)가 하우징(10) 측과 체결되도록 하는 동작은 도 2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64)를 사용자가 화살표 방향으로 돌려줌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상태가 되면 상기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할 준비가 다 된 것이다.In this way, the operation of fastening the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캡슐(1)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과 추출된 음료를 컵에 배출하기 위한 구성에 대한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음료장치에서의 물공급과 음료배출 구조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for supplying water to the
도 20의 (d) 상태에서는 상기 캡슐(1)의 내부로 상기 주입구(54)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천공구(56)에 의해 천공된 통공을 통해 상기 캡슐(1)의 내부로 물을 주입하여 음료를 추출한다. 상기 캡슐(1)이 상기 캡슐안착공간(84)에 상기 캡플레이트(42)의 캡(50)에 의해 눌러져 있게 되면, 상기 캡슐안착공간(84) 바닥의 토출공(86)에 대응되는 부분의 알루미늄캡이 찢어지면서 추출된 음료가 상기 토출공(86)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토출공(86)을 통해 나온 음료는 상기 트레이안착판(12)에 형성된 판토출공(14)을 통해 용기부(C)로 전달되어 컵에 모아질 수 있다.In the state (d) of FIG. 20, water can be supplied into the
컵에 모아진 음료는 상기 용기부(C)를 서랍식으로 개방하여 컵을 꺼냄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에서는 2개의 캡슐(1)에서 동시에 음료를 추출할 수도 있고, 각각의 캡슐(1)에서 음료를 순차적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추출된 음료는 상기 용기부(C)에 놓여지는 컵의 갯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The beverage collected in the cup can be taken out of the
예를 들어 2개의 캡슐(1)에서 추출된 음료를 별도의 컵에 담아서 각각 다른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큰 컵을 상기 용기부(C)에 두어 2개의 캡슐(1)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나오는 음료를 담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2개의 캡슐(1)에서 추출된 음료가 하나의 컵으로 들어가서 섞여질 수 있다. For example, drinks extracted from two capsules (1) can be placed in separate cups and consumed by different users. Additionally, a relatively large cup can be placed in the container portion (C) to contain beverages coming out of the two capsules (1)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In this case, the drinks extracted from two capsules (1) can be mixed into one cup.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음료를 추출한 후에는 상기 커버(30)를 개방하여 사용된 캡슐(1)을 꺼낸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상기 홀더(64)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서 상기 블레이드(90)를 회전시킨다. 상기 블레이드(90)의 걸이편(96)을 이동시켜 상기 블레이드(90)가 상기 하우징(10) 및 캡슐트레이(80)와 체결된 상태를 해제한다.After extracting the beverage in these various ways, the
그리고, 상기 커버(30)를 개방하고, 상기 커버(30)의 개방에 의해 노출된 캡슐트레이(80)에 있는 캡슐(1)을 꺼낼 수 있다. 물론, 상기 캡슐(1)을 직접 사용자가 잡고 꺼낼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캡슐트레이(80)를 잡아서 2개의 캡슐(1)을 한 번에 꺼낼 수 있다. 특히, 고온의 물을 사용하여 음료를 추출한 경우에 상기 캡슐(1)의 온도가 높을 수 있는데, 사용자는 높은 온도의 캡슐(1)을 손으로 잡지 않고 하우징(10)에서 캡슐트레이(80)를 사용하여 꺼낼 수 있다. Then, the
한편, 상기 캡슐트레이(80)의 캡슐안착공간(84)의 형상과 크기는 사용할 수 있는 캡슐(1)의 형상과 크기에 맞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캡슐트레이(80)를 다수개 구비해 두고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캡슐(1)에 있는 음료를 추출하여 먹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캡(50)의 형상도 캡슐(1)의 종류에 따라 달리 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캡플레이트(42)도 상기 캡슐트레이(80)와 함께 교체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hape and size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us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캡슐
10: 하우징
12: 트레이안착판
14: 판토출공
16: 고정보스
18: 통과홈
20: 걸이단
22: 걸이채널
24: 힌지축
26: 커버지지단
30: 커버
32: 베이스판
33: 커버측벽
34: 커버홈
36: 커버공
40: 잠금기구
42: 캡플레이트
44: 체결공
46: 구동안내슬롯
48: 절결공간
50: 캡
52: 스컷트
54: 주입구
56: 천공구
58: 몸체판
60: 유로관
61: 주입유로
62: 천공날
63: 고정편
64: 홀더
66: 홀더축
68: 결합키이
70: 연동레버
72: 키이홈
74: 구동암
76: 연동구
78: 결합키이
80: 캡슐트레이
82: 트레이몸체
84: 캡슐안착공간
86: 토출공
87: 블레이드단
88: 통과슬롯
89: 걸이리브
89': 걸이채널
90: 블레이드
92: 블레이드몸체
94: 연동핀
96: 걸이편
96': 내측편
96": 외측편
98: 돌출단
M: 메인부
C: 용기부
E: 추출부 1: Capsule 10: Housing
12: Tray seating plate 14: Plate extrusion hole
16: Fixed boss 18: Passing groove
20: Hanging group 22: Hanging channel
24: Hinge axis 26: Cover support end
30: Cover 32: Base plate
33: Cover side wall 34: Cover groove
36: Cover hole 40: Locking mechanism
42: cap plate 44: fastening hole
46: Drive guidance slot 48: Notch space
50: Cap 52: Scutt
54: Inlet 56: Perforation hole
58: body plate 60: flow pipe
61: Injection passage 62: Perforation blade
63: Fixed piece 64: Holder
66: Holder shaft 68: Combination key
70: Interlocking lever 72: Key home
74: Driving arm 76: Linkage port
78: Combination key 80: Capsule tray
82: Tray body 84: Capsule seating space
86: discharge hole 87: blade end
88: Passing slot 89: Hook rib
89': Hanging Channel 90: Blade
92: Blade body 94: Interlocking pin
96: Hanger side 96': Inner side
96": Outer side 98: Protruding end
M: Main part C: Container part
E: extraction section
Claims (20)
상기 하우징에 힌지부로 연결되어 개폐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에 착탈되게 설치되고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트레이와,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캡슐트레이에 안착된 캡슐을 고정하는 캡과,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와 하우징, 상기 커버와 캡슐트레이를 체결하는 잠금기구를 포함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housing,
A cover connected to the housing with a hinge and opened and closed,
A capsule tray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on which a capsule is seated,
A cap installed on the cover and securing the capsule seated in the capsule tray,
A beverage device using a capsule including a locking mechanism installed on the cover and fastening the cover and the housing, the cover and the capsule tray.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are formed in the capsule tray.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older that transmits a driving force for operating the locking mechanism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main part having a water supply part that supplies water for extracting the beverage from the capsule, and a container part that receives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capsule, and the cover and the housing include a capsule. A beverage device using a capsule equipped with a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beverages from a beverage.
The 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ing mechanism includes a holder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an interlocking lever installed inside the cove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older, and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interlocking lever. A beverage device using a capsule including a blade installed on the cover to rotate and having a hook piece hang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capsule tray.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lade includes a ring-shaped blade body, an interlocking pin that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blad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arm of the interlocking lever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the holder, the housing, and the capsule tray. A beverage device using a capsule that includes a hanging piece that can be hung simultaneously on the device.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hanging piece has an inner piece hanging on the capsule tray and an outer piece hang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rotruding in opposite directions.
The beverage device using capsule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inner side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truding end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 hanging rib of the capsule tray.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plurality of the interlocking pin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beverage device uses a capsule whose movement is guided within a driving guide slot of the cap plate installed on the cover.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blade end on which the blade of the locking mechanism is positioned is formed surrounding an edge of the capsule tray, and a passing slot and a hook rib are formed between the blade ends so that the hook piece of the blade is connected to the hook rib. A beverage device using hanging capsules.
상기 하우징에 힌지부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추출부와 잠금기구가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트레이안착판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안착공간이 다수개 형성되는 캡슐트레이와,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닫힘 동작에 의해 상기 캡슐트레이에 있는 캡슐에 통공을 천공하는 천공구를 포함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A housing provided with a main part and a container part, and a tray seating plat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part;
A cover connected to the housing with a hinge and equipped with an extractor and a locking mechanism,
A capsule tray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tray seating plate and forming a plurality of capsule seating spaces in which capsules are seated,
A beverage device using capsules, including a hole installed in the cover and drilling a hole in the capsule in the capsule tray by a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a cap plate with a cap covering the capsule in the capsule tray is fixed to the cover, and the perforation hole is located in an injection hole formed in the cap.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 driving guide slot is formed on the capsule plat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blade constituting the locking mechanism.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a cap formed on the cap plate has a protruding scut that presses an edge of the capsule.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perforation hole uses a capsule including a body plate, a flow tube extending from the body plate and having an injection flow path therein, and a perforation blade formed at a tip of the flow tube.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a plurality of fixing pieces protrude from the body pl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secure the capsule.
The 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locking mechanism includes a holder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an interlocking lever installed inside the cove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older, and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interlocking lever. A beverage device using a capsule including a blade installed on the cover to rotate and having a hook piece hang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capsule tray.
The beve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hanging piece has an inner piece hanging on the capsule tray and an outer piece hang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rotruding in opposite directions.
The beverage device using capsules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inner side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truding end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 hook rib of the capsule tray.
The beverage device of claim 11, wherein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hinge axis that serves as a rotation center of the cover, and a cover support end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inge axis and is seated on the hinge portion of the cover.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8468A KR20230168039A (en) | 2022-06-03 | 2022-06-03 |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8468A KR20230168039A (en) | 2022-06-03 | 2022-06-03 |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8039A true KR20230168039A (en) | 2023-12-12 |
Family
ID=8915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68468A KR20230168039A (en) | 2022-06-03 | 2022-06-03 |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68039A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17390A (en) | 2011-04-15 | 2012-10-24 | 주식회사 다인 | Extraction apparatus of beverage and method using the same |
KR20160006277A (en) | 2014-07-08 | 2016-01-19 | 주식회사 화수 | Device of pressing for a coffee capsule |
KR102360341B1 (en) | 2021-06-02 | 2022-02-09 | (주)메디프레소 | Adapter for capsule and capsule-type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using thereof |
-
2022
- 2022-06-03 KR KR1020220068468A patent/KR20230168039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17390A (en) | 2011-04-15 | 2012-10-24 | 주식회사 다인 | Extraction apparatus of beverage and method using the same |
KR20160006277A (en) | 2014-07-08 | 2016-01-19 | 주식회사 화수 | Device of pressing for a coffee capsule |
KR102360341B1 (en) | 2021-06-02 | 2022-02-09 | (주)메디프레소 | Adapter for capsule and capsule-type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using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747713B (en) | For preparing the conveying assembly of the machine of fluid product via box | |
ES2354645T3 (en) | DEVICE FOR PREPARING A LIQUID DRINK FROM A CARTRIDGE. | |
CA2429631C (en) | Percolating device | |
US10674860B2 (en) | Single serve beverage dispens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 |
US20060123998A1 (en) | Delivery head for espresso coffee machines | |
ES2284848T3 (en) | WATER INJECTION DEVICE FOR AN APPLIANCE FOR THE PREPARATION OF A DRINK FROM A CAPSULE. | |
RU2662140C2 (en) | Beverages preparation system | |
US9833103B2 (en) | Capsule-based food preparation system | |
KR20110053368A (en) | Coffee holding arm of a coffee machine with hand loading | |
US20160174754A1 (en) | Capsule multi-piercing | |
US20160198888A1 (en) | Capsule multi-piercer | |
EP2460449A1 (en) |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automatic cleaning system | |
JP2024510749A (en) |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and beverage preparation systems with drives | |
EP2440092B1 (en) | Brewing head of a hot beverage dispenser based on dimensionally stable beverage capsules | |
JP2007522036A (en) | Container cap | |
KR20160031686A (en) |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 |
ES2912098T3 (en) | Device for preparing coffee | |
EP2907425A1 (en) | Machine for making an infused drink and infusion group | |
KR20230168039A (en) |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 |
EP3199071B1 (en) | System for preparing a liquid beverage from a capsule | |
KR860002065A (en) | Beverage vending machine | |
KR20230168041A (en) |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 |
KR20230168040A (en) | Capsule unit and beverage machine using same | |
KR20220001940U (en) | Tumbler having large diameter hole | |
KR102633794B1 (en) | Capsule holder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