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008A -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008A
KR20230168008A KR1020220068380A KR20220068380A KR20230168008A KR 20230168008 A KR20230168008 A KR 20230168008A KR 1020220068380 A KR1020220068380 A KR 1020220068380A KR 20220068380 A KR20220068380 A KR 20220068380A KR 20230168008 A KR20230168008 A KR 20230168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racket
fishing
tilt angle
stan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명해
Original Assignee
곽명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명해 filed Critical 곽명해
Priority to KR1020220068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008A/ko
Publication of KR20230168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00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낚시받침틀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낚시대와 낚시대 고정구 등을 포함하는 낚시받침틀의 모든 하중이 작용하는 고정위치를 멀리 이격시켜 고정부분에서의 마모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수명을 더욱 연장할 수 있는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는, 낚시받침틀의 양쪽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낚시대의 상하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낚시받침틀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판과, 낚시받침틀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브라켓과, 바닥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브라켓과, 제1 고정브라켓과 제2 고정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제2 고정브라켓에 대하여 제1 고정브라켓이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제1 고정브라켓에 형성한 나사구멍과, 회전축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나사구멍의 중심까지를 반경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 고정브라켓에 형성한 장방형 안내구멍과, 제2 고정브라켓의 장방형 안내구멍을 나사부가 관통하여 제1 고정브라켓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고, 나사부의 조임시 제2 고정브라켓을 제1 고정브라켓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Tilt angle adjustment device of fishing rod stand}
본 발명은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받침틀의 상하방향 기울기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알려진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로서, 예를 들면 등록실용신안 20-0174195호의 낚시대 받침구(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적용된 구성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조절손잡이(414)와 연결된 워엄(413)과 이와 워엄휠(412)이 치합되어 있고, 워엄휠(412)에는 낚시받침틀(10)의 작동대(415)가 고정된 구성이다.
따라서 낚시받침틀(10)에 낚시대를 설치한 후, 조절손잡이(414)를 회전시키면, 워엄(413)과 워엄휠(412)에 의해 받침틀(10)의 기울기각도가 변경되므로, 낚시대의 상,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낚시받침틀 기울기각도 조절장치는, 감속비가 매우 큰 워엄(413)과 워엄휠(412)을 이용한 것이므로, 낚시받침틀(10)의 기울기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통상적으로 낚시대 설치시 상하 각도를 미세하게 설정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그 실용성면에서 활용가치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오히려 미세한 기울기각도 조절에 의해 조절시간이 오래 걸려 신속한 조절을 할 수 없으며, 워엄(413)과 워엄휠(412)의 제작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여 기울기각도 조절장치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낚씨 받침틀(10)은 워엄휠(41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낚시받침틀(10)과 이 받침틀(10)에 설치되는 낚시대 및 낚시대 고정구 등을 포함하는 모든 하중이 워엄(412)와 워엄휠(412)의 치합부분에 집중되고, 이로 인해 치합부분에서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낚시대의 상하방향 기울기각도 조절 조작을 더욱 힘들게 할 뿐만아니라, 큰 마찰력에 의해 치합부위가 쉽게 마모되거나 손상되어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낚시받침틀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낚시대와 낚시대 고정구 등을 포함하는 낚시받침틀의 모든 하중이 작용하는 고정위치를 멀리 이격시켜 고정부분에서의 마모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수명을 더욱 연장할 수 있는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낚시받침틀의 양쪽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낚시대의 상하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낚시받침틀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판; 상기 낚시받침틀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브라켓;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브라켓; 상기 제1 고정브라켓과 제2 고정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제2 고정브라켓에 대하여 제1 고정브라켓이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제1 고정브라켓에 형성한 나사구멍; 상기 회전축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나사구멍의 중심까지를 반경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 고정브라켓에 형성한 장방형 안내구멍; 및 상기 제2 고정브라켓의 장방형 안내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고정브라켓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조임시 제2 고정브라켓을 제1 고정브라켓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를 조절하는 장치의 구성이 제1 및 제2 고정브라켓을 연결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받침틀이 회전 또는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구성을 간소화되어 제조비용을 대폭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가 신속하게 조절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시받침틀의 회전중심과 고정부재의 고정부위가 멀리 이격된 것이므로, 고정부재의 고정부위에 작용하는 낚시대 및 낚시대 고정구 등을 포함하는 낚시받침틀의 모든 하중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써 고정부분에서의 마모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수명을 더욱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받침틀 기울기각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낚시받침틀 기울기각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4에서 주요부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기울기각도 조절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받침틀 기울기각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60)는, 낚시받침틀(61)의 양쪽 저면에 각각 설치된다.
즉,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60)는, 낚씨 받침틀(61)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판(62)을 구비하며, 낚씨 받침틀(61)의 저면에는 제1 고정브라켓(63)이 고정되고, 바닥판(62)의 상면에는 제2 고정브라켓(64)이 고정된다.
상기 제1 고정브라켓(63)과 제2 고정브라켓(64)은 상호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65)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바닥판(62)의 제2 고정브라켓(64)에 대하여 낚씨 받침틀(61)의 제1 고정브라켓(63)이 회전축(65)을 중심으로 하는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65)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제1 고정브라켓(63)에는 나사구멍(63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65)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나사구멍(63a)의 중심까지를 반경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 고정브라켓(64)에는 장방형 안내구멍(64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나사구멍(63a)과 장방형 안내구멍(64a)이 일치된 상태에서 고정부재(66)의 나사부(66a)가 제2 고정브라켓(64)의 장방형 안내구멍(64a)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고정브라켓(63)의 나사구멍(63a)에 나사결합되고, 고정부재(66)에는 가압부(66b)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66a)의 조임시 제2 고정브라켓(64)을 제1 고정브라켓(63)에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6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66)의 나사부(66a)를 회전시켜 풀면, 제1 고정브라켓(63)과 제2 고정브라켓(64) 사이가 이격되어 제1 고정브라켓(63)은 제2 고정브라켓(64)에 대하여 회전축(6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65)을 중심으로 하여 제1 고정브라켓(63)과 고정된 낚씨 받침틀(61)을 소정각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기울기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66)의 나사부(66a)는 장방형 안내구멍(64a)에 안내되므로, 장방형 안내구멍(64a)의 양끝단에 고정부재(66)의 나사부(66a)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울기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낚씨 받침틀(61)의 기울기각도를 조절한 후, 다시 고정부재(66)를 회전시켜 나사부(66a)를 조이게 되면, 고정부재(66)의 가압부(66b)가 제2 고정브라켓(64)을 제1 고정브라켓(63)에 밀착시키게 되므로, 제1 고정브라켓(63)과 고정된 낚씨 받침틀(61)을 기울기각도가 조절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부재(66)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매우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낚씨 받침틀(61)의 기울기각도가 조절되므로, 낚씨 받침틀(61)에 설치되는 낚시대를 상,하방향의 경사각으로 조절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60)는, 낚씨 받침틀(61)의 회전중심인 회전축(65)과 낚씨 받침틀(61)의 조절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66)의 고정위치가 멀리 이격된 것이므로, 고정부재(66)의 고정부위에 작용하는 낚씨 받침틀(61)의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로써 고정부재(66)의 고정부위에 대한 마모나 손상이 최소화되어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60 : 낚시받침틀 기울기각도 조절장치 61 : 낚시받침틀
62 : 바닥판 63 : 제1 고정브라켓
63a : 나사구멍 64 : 제2 고정브라켓
64a : 장방형 안내구멍 65 : 회전축
66 : 고정부재 66a : 나사부
66b : 가압부

Claims (1)

  1. 낚시받침틀의 양쪽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낚시대의 상하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낚시받침틀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판;
    상기 낚시받침틀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브라켓;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브라켓;
    상기 제1 고정브라켓과 제2 고정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제2 고정브라켓에 대하여 제1 고정브라켓이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제1 고정브라켓에 형성한 나사구멍;
    상기 회전축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나사구멍의 중심까지를 반경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 고정브라켓에 형성한 장방형 안내구멍; 및
    상기 제2 고정브라켓의 장방형 안내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고정브라켓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조임시 제2 고정브라켓을 제1 고정브라켓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
KR1020220068380A 2022-06-03 2022-06-03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 KR20230168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380A KR20230168008A (ko) 2022-06-03 2022-06-03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380A KR20230168008A (ko) 2022-06-03 2022-06-03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008A true KR20230168008A (ko) 2023-12-12

Family

ID=8915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380A KR20230168008A (ko) 2022-06-03 2022-06-03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0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0804A (en) Portable electric fan having a universally adjustable mounting
US8864611B2 (en) Front derailleur
CN102909632B (zh) 砂带机
WO2021047335A1 (zh) 墙纸铺贴机器人的贴紧机构及墙纸铺贴机器人
KR20230168008A (ko) 낚시받침틀의 기울기각도 조절장치
US5913498A (en) Adjustable cantilever foot assembly for furniture
CN210265727U (zh) 皮带轮张紧装置
KR20230001410U (ko) 지지부재 기울기각도 조절장치
CN209479726U (zh) 一种三角钢琴升降流转车
JPH032184Y2 (ko)
CN212613729U (zh) 一种便于调节的铝合金模板支撑装置
CN210637749U (zh) 一种计算机显示器升降结构
CN209208077U (zh) 一种钢板覆膜双重纠偏装置
CN219118361U (zh) 一种桁架支撑脚
CN207514172U (zh) 一种皮带张紧装置
CN108529164A (zh) 一种角度可调节的输送机
JPS5851789Y2 (ja) 製図台
CN218061621U (zh) 一种装配式建筑支撑装置
CN211203547U (zh) 一种合路器固定机构
CN217273742U (zh) 投射角度可调投光灯
CN215332631U (zh) 多功能的建筑用攀爬装置
CN219654979U (zh) 一种多功能风扇支架
CN217053919U (zh) 幕墙支座位移补偿机构
CN212218402U (zh) 一种转向连接架旋转平台夹具
CN217175927U (zh) 建筑工程施工用模板支撑组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