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457A - Cover for beverage container with carrier rope - Google Patents
Cover for beverage container with carrier ro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67457A KR20230167457A KR1020220067291A KR20220067291A KR20230167457A KR 20230167457 A KR20230167457 A KR 20230167457A KR 1020220067291 A KR1020220067291 A KR 1020220067291A KR 20220067291 A KR20220067291 A KR 20220067291A KR 20230167457 A KR20230167457 A KR 202301674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pe
- beverage container
- lid
- arm
- carrier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6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5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pon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20 cam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07 chanvre indie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87 hem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mean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67—Handles with respective ends fixed to local areas of two opposite sides or wall-part
- B65D25/287—Rope or st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숍 등에서 테이크 아웃으로 음료를 구매할 때 로프 형태의 캐리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료용 용기 뚜껑에 관한 기술로서, 음료용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한 곳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을 이루면서 최소 두 개 이상을 갖추되, 상하 및 외측단이 개구되게 이루어지는 로프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lid to enable the use of a rope-shaped carrier when purchasing a beverage as take-out at a coffee shop, etc., and includes a lid coupled to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body and having at least one outl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two rope fitting grooves ar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lid, and the upper, lower, and outer ends are open.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피숍 등에서 테이크 아웃으로 음료를 구매할 때 로프 형태의 캐리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료용 용기 뚜껑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beverage container lid to enable the use of a rope-shaped carrier when purchasing a beverage as take-out at a coffee shop, etc.
커피 문화가 보편화되면서 수많은 커피숍이 우후죽순으로 생기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의 사용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As coffee culture becomes more popular, numerous coffee shops are springing up, and the use of disposable plastic containers i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그리고 테이크 아웃으로 음료를 구매하는 경우 여러잔을 주문하는 경우도 많으며 이런 경우 캐리어를 사용하게 된다.Also, when purchasing drinks for take-out, you often order multiple drinks, and in this case, you use a carrier.
일반적인 캐리어는 종이박스 형태로 제공되거나 비닐 봉지 형태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캐리어는 부피도 크고 사용 후 폐기되는 것인 바 이 또한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mmon carrier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paper boxes or are used in the form of plastic bags. These existing carriers were bulky and discarded after use, which also caused environmental problems.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환경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캐리어의 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로프 형태의 캐리어를 활용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 뚜껑을 제시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beverage container lid that can utilize a rope-shaped carrier to minimize environmental problems and reduce the cost of the carrier.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캐리어 로프를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 뚜껑은, 음료용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한 곳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을 이루면서 최소 두 개 이상을 갖추되, 상하 및 외측단이 개구되게 이루어지는 로프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everage container lid that can use the carrier r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problem as presented includes a lid that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body and has at least one outl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two rope fitting grooves ar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lid, and the upper, lower, and outer ends are open.
바람직하게 상기 로프끼움홈은, 탄력을 갖는 제1암과 제2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ope fitting groove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 first arm and a second arm having elasticity.
바람직하게 상기 제1암과 제2암은 상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면서 끝단이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ar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above and below and their ends are formed to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로프를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 뚜껑은 소정 직경을 갖는 로프를 캐리어로 사용할 수 있도록 로프의 일부분이 음료용 용기 뚜껑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로프끼움홈에 끼워져 구속되게 함으로써 이동시 음료용 용기가 뒤집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beverage container lid that can use a r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rtion of the rope inserted into a rope fitting groove formed on the edge of the beverage container lid to be restrained so that a ro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can be used as a carrier,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moved during movement.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it from turning over.
본 발명을 통해 캐리어를 최대한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어 자원낭비를 줄이고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resource waste and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by making it possible to configure the carrier as simply a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로프를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 뚜껑의 평면 예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로프를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 뚜껑의 사용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1 is a plan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lid capable of using a carrier rop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the use of a beverage container lid that can use a carrier ro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4 is a usage state diagra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로프를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 뚜껑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이해를 돕고자 한다.Hereinaft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beverage container lid that can use the carrier r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nderstanding will be aided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로프를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 뚜껑의 평면 예시도이며, 도 2는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로프를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 뚜껑의 사용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is a plan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lid capable of using a carrier rop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igure 3 is a carrier ro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is is an example of the use of a beverage container lid that can be used, and Figure 4 shows a state diagram of use for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로프를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 뚜껑은 일반적인 음료용기 본체(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에 관한 것이며, 뚜껑(200)에는 한 곳 이상의 배출구(210)가 형성된다.As shown, the beverage container lid that can use the carrier r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coupled to the top of a general
뚜껑(200)은 음료용기 본체(100)의 형상에 대응하게 제작되며, 통상 음료용기 본체는 상단은 넓고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이룰 수 있고, 혹은 텀블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이러한 뚜껑(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을 이루면서 최소 두 개 이상의 로프끼움홈(220)이 형성된다. 즉, 로프끼움홈(220)은 뚜껑(200)의 제조시 일체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뚜껑(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2 개의 로프끼움홈(220)이 형성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At least two
하지만, 뚜껑(200)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로프끼움홈(220)은 3개 또는 4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는 요소이다.However, three or four
뚜껑(200)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로프끼움홈(220)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외측단도 개구된 형상을 이룬다. 즉, 로프끼움홈(220)은 이격된 제1암(221)과 제2암(222)으로 이루어지며 제1암(221)과 제2암(222)은 탄력을 갖추게 됨으로써 외측단의 개구된 틈을 통해 로프(300)를 끼울 수 있도록 한다.Th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암(221)과 제2암(222)이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각 끝단부가 이격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어 로프(300)를 끼울 수 있는 틈이 형성되게 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도 4에서처럼 제2실시예에서는 제1암(221)과 제2암(222)이 상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면서 끝단이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제1암(221)과 제2암(222)이 동일 평면이 아닌 상하 위치를 달리하면서 배치되고 각 끝단이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함으로써 제1암(221)과 제2암(222)을 외측으로 벌려 생긴 틈으로 로프(300)를 끼운 후 제1암(221)과 제2암(222)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제1암과 제2암이 오므라들면서 로프를 감싸는 형태가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로프를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 뚜껑이 실제 사용되는 사용 상태도를 보여주며, 음료용기 본체(100) 상단에 뚜껑(200)이 결합되며, 소정 굵기의 로프(300)의 하단을 둥글게 형성시켜서 음료용기 본체(100) 외면에 밀착되게 하고, 둥글게 말린 로프 하단의 좌우 양측에서 상향하면서 연결되는 손잡이가 형성되게 하고, 손잡이의 일부분이 로프끼움홈(220)에 끼워지게 하여 손잡이의 상단을 잡고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로프의 일부가 로프끼움홈에 끼워져 위치 고정이 되므로서 캐리어로서 충분한 기능을 하게 된다.Figure 3 show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lid that can use the carrier ro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used, in which the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로프는 비닐을 대체할 수 있도록 친환경적인 마끈과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로프의 굵기에 따라 로프끼움홈의 치수는 달라질 수 있다.Preferably, the rop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 of eco-friendly hemp string to replace vinyl, and the size of the rope fitting groove may vary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rope.
본 발명은 음료용기의 뚜껑으로 사용될 수 있고, 로프 형태의 캐리어를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and can be applied as a rope-shaped carrier.
100 : 음료용기 본체
200 : 뚜껑
210 : 배출구
220 : 로프끼움홈
221 : 제1암
222 : 제2암
300 : 로프100: Beverage container body
200: Lid
210: outlet
220: Rope fitting groove
221: 1st cancer
222: 2nd cancer
300: rope
Claims (3)
음료용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한 곳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을 이루면서 최소 두 개 이상을 갖추되, 상하 및 외측단이 개구되게 이루어지는 로프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로프를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 뚜껑.As a beverage container lid,
A lid coupled to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body and having one or more outlets;
A beverage container lid capable of using a carrier rope, comprising at least two rope fitting grooves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lid and having the upper, lower, and outer ends open.
상기 로프끼움홈은,
탄력을 갖는 제1암과 제2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로프를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 뚜껑.According to claim 1,
The rope fitting groove is,
A beverage container lid capable of using a carrier ro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elastic first arm and a second arm.
상기 제1암과 제2암은 상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면서 끝단이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로프를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 뚜껑.
According to claim 2,
A beverage container lid that can use a carrier rop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ar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up and down and the ends are par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7291A KR20230167457A (en) | 2022-06-02 | 2022-06-02 | Cover for beverage container with carrier ro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7291A KR20230167457A (en) | 2022-06-02 | 2022-06-02 | Cover for beverage container with carrier ro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7457A true KR20230167457A (en) | 2023-12-11 |
Family
ID=89163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67291A KR20230167457A (en) | 2022-06-02 | 2022-06-02 | Cover for beverage container with carrier ro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67457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6733B1 (en) | 2016-06-21 | 2016-09-13 | (주)현민피앤디 | Coffee carrier |
-
2022
- 2022-06-02 KR KR1020220067291A patent/KR2023016745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6733B1 (en) | 2016-06-21 | 2016-09-13 | (주)현민피앤디 | Coffee carri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923407S1 (en) | Beverage container with closure | |
USD639117S1 (en) | Floating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 |
USD897207S1 (en) | Bottle cap | |
USD968909S1 (en) | Bottle | |
USD951071S1 (en) | Sandpaper dispensing device | |
CN104169184A (en) | Storage container | |
US2329656A (en) | Bottle carrier | |
US4249671A (en) | Carrying case | |
USD836433S1 (en) | Lid with dispensing orifice | |
KR20230167457A (en) | Cover for beverage container with carrier rope | |
USD863983S1 (en) | Bottle for holding a crystal | |
USD907994S1 (en) | Wine bottle gift box | |
CN109625543A (en) | Has the storage box of synchronization lifting | |
TWI404663B (en) | Bottle type container (1) | |
JP2013173546A (en) | Carrying box | |
US835497A (en) | Bottle-stopper-holding device. | |
KR200425398Y1 (en) | Box for fruits | |
CN202244379U (en) | Portable self-closing two-branch wine box | |
CN100548824C (en) | Box and lid | |
USD1027645S1 (en) | Closure for a bottle | |
CN104787418A (en) | Wound body storage box and wound body-contained storage box | |
CN208434863U (en) | It is easy to the plastics cutlery box stacked | |
KR102690762B1 (en) | Plastic receptacle strap type handle combination structure | |
KR101014931B1 (en) | Beverage containers | |
USD1008022S1 (en) | Ca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